KR20240000631U - Exercise equipment for self-jumping chin-up - Google Patents

Exercise equipment for self-jumping chin-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631U
KR20240000631U KR2020220002368U KR20220002368U KR20240000631U KR 20240000631 U KR20240000631 U KR 20240000631U KR 2020220002368 U KR2020220002368 U KR 2020220002368U KR 20220002368 U KR20220002368 U KR 20220002368U KR 20240000631 U KR20240000631 U KR 202400006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exercise bar
bar
seating groov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36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균열
Original Assignee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220002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631U/en
Publication of KR202400006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631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18Chinning, pull-up, i.e. concentr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Abstract

본 고안은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는 원형의 바 형상을 가지며, 운동 과정에서 일단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부재가 구비된 운동바 및 상기 운동바의 안착을 위한 복수개의 안착 홈 및 상기 운동바를 평행하게 지지하도록 운동바의 각 말단 영역에 대응하여 양측으로 구비된 상기 안착 홈이 배치된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운동바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안착 홈에 안착하고, 상기 이탈 방지 부재에 의해 상기 운동바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for magnetic jump pull-ups. The exercise device for magnetic jump pull-u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ircular bar shape and is equipped with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to prevent one end from coming off during the exercise process. An exercise bar,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for seating the exercise bar, and a pair of support frames arranged with the seating grooves provided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each end area of the exercise bar to support the exercise bar in parallel. It includes a guide frame, and the exercise bar is seated in a seating groove of the guide frame, and separation of the exercise b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prevented by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Description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Exercise equipment for self-jumping chin-up}Exercise equipment for self-jumping chin-up}

본 고안은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턱걸이 운동에서 땅에 발을 닿지 않고 자신의 순발력으로 상단으로 도약하고 하단으로 내려올 수 있는 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for self-jump pull-ups, which allows the user to jump to the top and come down to the bottom using their own agility without touching the ground with their feet.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팔 등의 근력을 단련하기 위해 철봉 기구 등을 이용하여 턱걸이 운동을 한다. 철봉 기구는 두 개의 지주와 두 지주의 상부에 고정되는 철봉으로 이루어진다. 현재의 철봉 기구는 봉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사용자가 자신의 체중을 들어올리는 기능에 제한되어 있다.Generally, people do chin-up exercises using a bar or other equipment to strengthen their arms and other muscles. The iron bar mechanism consists of two struts and an iron bar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two struts. The current bar equipment is limited to the ability for the user to simply lift his or her own body weight because the bar is fixed.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턱걸이 운동을 수행하면서도 자신의 체중을 도약하지 않고 공중으로 들어 올려 승하강할 수 있는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pulling pull-up exercise device that can lift one's body weight into the air and lower it without jumping while performing the pull-up exercise.

또한, 특수한 형태의 순발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군인, 소방관과 같은 특수 임무 수행자들을 위한 훈련에 적용 가능한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because it can improve special types of agility, it provides exercise equipment for self-pulling pull-ups that can be applied to training for special mission performers such as soldiers and firefighter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는, 원형의 바 형상을 가지며, 운동 과정에서 일단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부재가 구비된 운동바 및 상기 운동바의 안착을 위한 복수개의 안착 홈 및 상기 운동바를 평행하게 지지하도록 운동바의 각 말단 영역에 대응하여 양측으로 구비된 상기 안착 홈이 배치된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운동바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안착 홈에 안착하고, 상기 이탈 방지 부재에 의해 상기 운동바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The exercise equipment for magnetic jump pull-up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is purpose includes an exercise bar having a circular bar shape and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to prevent one end from leaving during the exercise process, and seating of the exercise bar. A guide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for the exercise bar and a pair of support frames on which the seating grooves are disposed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each end region of the exercise bar to support the exercise bar in parallel, and the exercise bar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of the guide frame, and separation of the exercise b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prevented by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또한, 상기 운동바의 승하강시 안착 홈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guard member that prevents the exercise bar from deviating more than a preset distance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deviates from the seating groove when being raised or lowered.

또한, 상기 이탈 방지 부재는 상기 운동바가 상기 안착 홈에 안착 시 상기 안착 홈 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outside the seating groove when the exercise bar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또한, 상기 안착 홈은 상기 운동바가 삽입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운동바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경사진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groove may be at least partially open to allow the exercise bar to be inserted, and may include an inclined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ercise bar is inserted.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턱걸이 운동을 수행하면서도 자신의 체중을 도약하지 않고 공중으로 들어 올려 승하강할 수 있는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lf-pulling pull-up exercise equipment that can lift one's body weight into the air and lower it without jumping while performing the pull-up exercise.

또한, 특수한 형태의 순발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군인, 소방관과 같은 특수 임무 수행자들을 위한 훈련에 적용 가능한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ecause it can improve a special type of agility, it is possible to provide exercise equipment for self-pulling pull-ups that can be applied to training for special mission performers such as soldiers and firefighter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의 안착 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의 활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의 활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ercise device for magnetic jump pull-up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eating groove of the exercise equipment for magnetic jump pull-u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an exercise device for magnetic jump pull-u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an exercise device for magnetic jump pull-u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The purpose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configuration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complete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just become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ercise device for magnetic jump pull-up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100)는 운동바(110) 및 가이드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운동바(110)는 원형의 바 형상을 가지며, 운동 과정에서 일단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부재(111)가 구비될 수 있다. 운동바(110)는 스틸 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exercise equipment 100 for magnetic jump pull-ups may include an exercise bar 110 and a guide frame 120. The exercise bar 110 has a circular bar shape and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11 to prevent one end from leaving during the exercise process. The exercise bar 110 may be made of ste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운동바(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각 끝단 영역에는 이탈 방지 부재(1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탈 방지 부재(111)는 운동바(110)가 가이드 프레임(120)에 안착 시 길이 방향으로의 이탈(도 1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부재(111)의 형상 및 작용에 대해서는 보다 뒤에서 살펴보기로 한다.The exercise bar 11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 and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11 may be provided at each end area.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11 can prevent the exercise bar 110 from depar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 or right with respect to FIG. 1) when seated on the guide frame 120.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11 The shape and operation of will be discussed later.

또한, 상기 운동바(110)는 양 끝단의 이탈 방지 부재(1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이드 프레임(120)은 운동바(110)의 안착을 위한 복수개의 안착 홈(121) 및 운동바(110)를 평행하게 지지하도록 운동바(110)의 각 말단 영역에 대응하여 양측으로 구비된 안착 홈(121)이 배치된 한 쌍의 지지 프레임(122)을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exercise bar 110 may includ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s 111 at both ends. Referring to Figure 1, the guide frame 120 corresponds to each end area of the exercise bar 110 to support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121 for seating the exercise bar 110 and the exercise bar 110 in parallel. Thus, it may include a pair of support frames 122 in which seating grooves 121 provided on both sides are disposed.

구체적으로, 지지 프레임(122)은 운동바(110)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운동바(110)의 끝단 영역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각 지지 프레임(122)에는 운동바(110)가 안착되는 안착 홈(121)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동바(110)가 한 쌍의 안착 홈(121)에 안착되어 가이드 프레임(120)상에서 수평하게 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pport frame 122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ercise bar 110 and may be provided as a pair corresponding to the end area of the exercise bar 110.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121 in which the exercise bar 110 is seated may be formed in each support frame 122. Accordingly, the exercise bar 110 is seated in the pair of seating grooves 121 and can be mounted horizontally on the guide frame 120.

도 1을 참조하면, 운동바(110)의 이탈 방지 부재(111)는 운동바(110)가 안착 홈(121)에 안착 시 안착 홈(121)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한 쌍의 안착 홈(121)이 한 쌍의 이탈 방지 부재(11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운동 과정에서 힘의 불균형에 의해 체중이 운동바(110)의 어느 한쪽으로 쏠릴 경우, 운동바(110)가 길이 방향(도 1 기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안착 홈(121)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무발판 도약을 시도중이므로 공중에서 추락하여 심각한 부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안착 홈(121)보다 바깥 쪽에 이탈 방지 부재(111)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하는 과정에서 운동바(110)가 어느 한쪽으로 쏠려 가이드 프레임(120) 내지 안착 홈(1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11 of the exercise bar 110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outside the seating groove 121 when the exercise bar 110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21. This means that a pair of seating grooves 121 are disposed between a pair of separation prevention members 111. If the user's body weight is shifted to one side of the exercise bar 110 due to an imbalance of force during the user's exercise process, the exercise bar 110 may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FIG. 1) and deviate from the seating groove 121. You can. In this case, the user is attempting a footless jump and may fall from the air, resulting in serious injury. Therefore,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11 is provided outside the seating groove 121, so that the exercise bar 110 is tilted to one side during the user's exercise process and is separated from the guide frame 120 or the seating groove 121. can be prevented.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의 가드 부재의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the guard member of the exercise equipment for magnetic jump pull-u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100)는 운동바(110)의 승하강시 안착 홈(121)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드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드 부재(130)는 사용자가 자력 도약하는 과정에서 운동바(110)가 현재 안착 홈(121) 내지 도약할 안착 홈(12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exercise device 100 for magnetic jump pull-ups includes a guard member 130 that prevents the exercise bar 1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ating groove 121 by a preset distance or more when being raised or lowered. can do. Specifically, the guard member 130 can prevent the exercise bar 110 from completely leaving the current seating groove 121 or the seating groove 121 to be jumped during the user's self-jumping process.

도약 과정에서 운동바(110)가 안착 홈(121)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경우 사용자는 중심을 잃고 지면으로 추락하여 부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가드 부재(130)가 구비됨에 따라 운동바(110) 및 이탈 방지 부재(111)가 가드 부재(130)의 세로 길이(도 2 기준 10시~4시 길이) 이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중심을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는 예시적으로, 이탈 방지 부재(111)의 지름을 초과하는 길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드 부재(130)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상면을 통해 운동바(110)가 인입될 수 있다.If the exercise bar 11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seating groove 121 during the jumping process, the user may lose balance and fall to the ground, resulting in injury. Accordingly, as the guard member 130 is provided, the exercise bar 110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11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eyo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guard member 130 (length from 10 o'clock to 4 o'clock based on FIG. 2). It can prevent users from losing their balance. Additionally, the preset distance may be a length exceeding the diameter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ddition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guard member 130 is open, and the exercise bar 110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open upper surface.

도 2를 참조하면, 안착 홈(121)은 운동바(110)가 삽입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고, 운동바(110)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경사진 돌출부(1211)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 홈(121)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가 자력으로 무발판 도약하여 운동바(110)를 현재 위치보다 상단에 위치한 안착 홈(121)으로 이동시킬 경우, 안착 홈(121)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영역으로 운동바(110)가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11)에 의해 운동바(110)가 상기 개방된 영역에 도달한 상태에서 돌출부(1211)의 경사면을 따라 안착 홈(121)으로 슬라이딩하여 안정적인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seating groove 121 is at least partially open to allow the exercise bar 110 to be inserted, and may include a protrusion 1211 that is inclined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ercise bar 110 is inserted. . Looking at the seating groove 121 in detail, when the user moves the exercise bar 110 to the seating groove 121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current position by jumping without stepping on its ow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ating groove 121 is opened. The exercise bar 110 can be easily seated in the open area. In addition, when the exercise bar 110 reaches the open area due to the protrusion 1211, it can be stably seated by sliding into the seating groove 121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otrusion 1211.

도 2를 참조하면, 안착 홈(121)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안착 홈(121)은 한 쌍의 지지 프레임(122) 중 어느 한쪽의 안착 홈(121)을 나타낸 것으로 타 측의 지지 프레임에 구비된 안착 홈(121) 역시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지지 프레임(122)에 구비된 복수의 안착 홈(121)은 서로 대칭(평행)하여 배치될 수 있고, 안착 홈(121)에 안착된 운동바(11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121 may be provided at preset intervals. The seating groove 121 shown in FIG. 2 represents a seating groove 121 on one side of a pair of support frames 122, and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121 provided on the other support frame are also provided at equal intervals. It can be.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121 provided in the pair of support frames 122 can be arranged symmetrically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exercise bar 110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21 remains horizontal. You ca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의 안착 홈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eating groove of an exercise device for magnetic jump pull-u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살펴본 안착 홈(121)은 지지 프레임(122)과 별도로 구비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예를 설명하였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안착 홈(121)과 지지 프레임(122)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직육면체 지지 프레임(122)의 일면은 개방되고, 개방된 면에는 안착 홈(121)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22)의 상면 또한 개방될 수 있고, 개방된 상면을 통해 운동바(110)가 인입될 수 있다.The previously discussed example of the seating groove 121 being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upport frame 122 was explain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ating groove 121 and the support frame 122 may be provided as an integrated piece. Referring to FIG. 3, one sid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support frame 122 may be open, and a seating groove 121 may be provided on the open 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22 may also be open, and the exercise bar 110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open upper surface.

지지 프레임(122)의 가로 길이는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 프레임(122)의 가로 길이는 이탈 방지 부재(111)의 지름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122)의 세로 길이는 이탈 방지 부재(111)의 두께 이상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서 가드 부재(13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력 도약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운동바(110)가 안착 홈(12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운동바(110)가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운동바(110) 및 이탈 방지 부재(111)의 이동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upport frame 122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a preset distance. That is,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upport frame 122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11. Additionally, the vertical length of the support frame 122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11. Accordingly, as previously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guard member 130, the exercise bar 110 is prevented from completely leaving the seating groove 121 while the user performs a magnetic jumping exercise, and the exercise bar 110 is raised and lowered.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movement of the exercise bar 110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11 during the descent process.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의 활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an exercise device for magnetic jump pull-u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100)를 활용함에 있어서, 발이 땅에 닿지 않도록 발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턱걸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발이 땅에 닿지 않는 상태로 자신의 복근력과 순발력을 이용하여 운동바(110)를 현재 안착 홈(121)에서 상단의 안착 홈(121)으로 도약시키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본인의 체중을 들어올리는 힘과 함께 운동바(110)를 도약시키기 때문에 근력과 순발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연속하여 구비된 안착 홈(121)으로 운동바(110)와 함께 본인의 신체를 도약시키거나 하강하는 상하 왕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무게중심 이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when using the exercise equipment 100 for magnetic jump pull-ups, the user can perform the pull-up exercise while lifting the feet so that the feet do not touch the groun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exercise in which the exercise bar 110 jumps from the current seating groove 121 to the upper seating groove 121 using one's abdominal muscles and agility without the feet touching the ground. This can enhance muscle strength and agility because it causes the exercise bar 110 to jump along with the power to lift one's body weight. In addition, the successively provided seating grooves 121 allow the user to move his or her body up and down along with the exercise bar 110, thereby improving the ability to continuously move the center of gravity.

또한, 앞서 살펴본 가드 부재(130)의 적용 또는 안착 홈(121)이 지지 프레임(122)에 적용된 경우와 같이, 자력 도약 운동시 운동바(110)가 안착 홈(121)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the case where the guard member 130 is applied or the seating groove 121 is applied to the support frame 122 as seen above, the exercise bar 110 is prevented from completely leaving the seating groove 121 during a magnetic jump movement. This can prevent user injuries.

이처럼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100)는 특수한 형태의 순발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암벽 클라이머, 군인 또는 소방관과 같이 특수 임무를 수행하는 인원의 훈련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exercise equipment 100 for self-pulling pull-ups can improve a special type of agility, so it can be used for training of personnel performing special missions, such as rock climbers, soldiers, or firefighters.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variation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claims.

100: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
110: 운동바
111: 이탈 방지 부재
120: 가이드 프레임
121: 안착 홈
122: 지지 프레임
130: 가드 부재
1211: 돌출부
100: Exercise equipment for magnetic jump pull-ups
110: exercise bar
111: Breakaway prevention member
120: Guide frame
121: Seating groove
122: support frame
130: Absence of guard
1211: protrusion

Claims (4)

원형의 바 형상을 가지며, 운동 과정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부재가 구비된 운동바; 및
상기 운동바의 안착을 위한 복수개의 안착 홈 및 상기 운동바를 평행하게 지지하도록 운동바의 각 말단 영역에 대응하여 양측으로 구비된 상기 안착 홈이 배치된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운동바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안착 홈에 안착하고, 상기 이탈 방지 부재에 의해 상기 운동바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인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
An exercise bar having a circular bar shape and equipped with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to prevent separ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uring the exercise process; and
It includes a guide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for seating the exercise bar and a pair of support frames on which the seating grooves are arranged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each end area of the exercise bar to support the exercise bar in parallel. do,
The exercise bar is seated in a seating groove of the guide frame, and separation of the exercise b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evented by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바의 승하강시 안착 홈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xercise device for magnetic jump pull-ups further includes a guard member that prevents the exercise bar from deviating more than a preset distance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deviates from the seating groove when the exercise bar is raised or lowe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 부재는 상기 운동바가 상기 안착 홈에 안착 시 상기 안착 홈 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인,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outside the seating groove when the exercise bar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홈은 상기 운동바가 삽입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운동바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경사진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자력 도약 턱걸이용 운동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ating groove is at least partially open to allow the exercise bar to be inserted, and includes an inclined protrusion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in which the exercise bar is inserted.
KR2020220002368U 2022-10-06 2022-10-06 Exercise equipment for self-jumping chin-up KR2024000063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368U KR20240000631U (en) 2022-10-06 2022-10-06 Exercise equipment for self-jumping chin-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368U KR20240000631U (en) 2022-10-06 2022-10-06 Exercise equipment for self-jumping chin-u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631U true KR20240000631U (en) 2024-04-15

Family

ID=9065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368U KR20240000631U (en) 2022-10-06 2022-10-06 Exercise equipment for self-jumping chin-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631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8627A (en) Weight-lifting device
US9327155B2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exercises using a freely rotating ball
US3866914A (en) Variable weight resistance football training device
US8961375B2 (en) Squat exercise apparatus
US5928117A (en) Motion-resisting exercise apparatus utilizing concentric frames
US20160074695A1 (en) Fitness structure
US9132313B2 (en) Bench halo
CA3045178A1 (en) Training device for performing balance, meditation and/or yoga exercises
KR20240000631U (en) Exercise equipment for self-jumping chin-up
US20170007876A1 (en) Exercise Apparatus
WO2007111446A1 (en) Exercise apparatus having a leveler
EP2720761A2 (en) Trampoline and method of exercising
KR101369467B1 (en) A complex indoor fitness equipment
WO2015186993A1 (en) Fitness structure
KR20200116710A (en) Marble twist
KR200492035Y1 (en) Functional barbell holder
US8876666B1 (en) Exercising assembly
WO2002098516A1 (en) A height-adjustable auxiliary equipment for trampoline
KR101688578B1 (en) Horizontal sliding exercise apparatus
KR101837100B1 (en) Horizontal sliding exercise apparatus
KR200322633Y1 (en) Body training apparatus
JP3218461U (en) Walking training device
US20040058782A1 (en) Low impact exercising method and apparatus
EP2452723A1 (en) Swinging and climbing exerciser
KR102418714B1 (en) Bent over support ben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