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594U - Functional clothing - Google Patents

Functional clot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594U
KR20240000594U KR2020220002313U KR20220002313U KR20240000594U KR 20240000594 U KR20240000594 U KR 20240000594U KR 2020220002313 U KR2020220002313 U KR 2020220002313U KR 20220002313 U KR20220002313 U KR 20220002313U KR 20240000594 U KR20240000594 U KR 202400005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body wearing
sound generating
area
functional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31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인철
Original Assignee
김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철 filed Critical 김인철
Priority to KR2020220002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594U/en
Publication of KR202400005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594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14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18Blou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의류는, 상체에 착용되는 상체 착용부; 상기 상체 착용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팔에 착용되되, 어깨를 노출시키도록 일정영역이 상기 상체 착용부와 단절되는 팔 착용부; 및 상기 상체 착용부와 팔 착용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단절영역을 접촉 또는 이격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한다.Functional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body wearing portion worn on the upper body; an arm wearing unit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wearing unit and worn on the arm, wherein a certain area is cut off from the upper body wearing unit to expose the shoulder; and an opening/closing part formed on the upper body wearing part and the arm wearing part, respectively, and contacting or separating the disconnected area.

Description

기능성 의류{FUNCTIONAL CLOTHING}Functional Clothing{FUNCTIONAL CLOTHING}

본 고안은 블라우스, 남방, 와이셔츠, 티셔츠, 재킷 등과 같은 상체 착용부 및 치마, 바지, 반바지 등과 같은 하체 착용부를 제공하고, 상체 착용부와 팔 착용부의 연결부위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상체 착용부의 디자인을 다른 형태로 연출하면서 통풍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하체 착용부의 내부에 에는 교통카드, 신용카드, 지갑 등의 각종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소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upper body wear parts such as blouses, blouses, dress shirts, T-shirts, jackets, etc. and lower body wear parts such as skirts, pants, shorts, etc., and designs the upper body wear parts by selectively opening the connection parts of the upper body wear parts and arm wear parts. It relates to functional clothing that can provide smooth ventilation while creating a different form, and can store various belongings such as transportation cards, credit cards, and wallets inside the lower body wear part, thereby preventing loss of belongings. .

최근 여성들(특히 외모에 민감한 여학생들) 사이에는 보다 날씬해 보이기 위해 블라우스를 몸에 딱 맞게 입는 것이 유행이다.Recently, it is a trend among women (especially female students who are conscious of their appearance) to wear blouses that fit their bodies tightly to look slimmer.

그리고, 블라우스는 남성들이 착용하는 셔츠와는 달리 주로 여성들이 착용하는 의류의 일종으로써 동절기시에는 그 위에 재킷을 착용하지만, 하절기시에는 더위 때문에 면직물로 이루어진 블라우스만을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외모에 관심을 가지는 여성들의 경우에는 옷맵시가 돋보이도록 블라우스를 타이트하게 맞추어 입게 된다.Also, unlike the shirts worn by men, blouses are a type of clothing mainly worn by women. In the winter, a jacket is worn over them, but in the summer, due to the heat, it is common to only wear blouses made of cotton fabric, and people are concerned about their appearance. In the case of women with blouses, they wear their blouses tightly tailored so that their clothes stand out.

이러한 종래의 블라우스는 크게 상체에 착용되는 상체 착용부 및 상체 착용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팔에 착용되는 팔 착용부를 포함한다.This conventional blouse largely includes an upper body wearing portion worn on the upper body and an arm wearing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wearing portion and worn on the arms.

그러나, 종래의 블라우스는 자체적으로 디자인을 변형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금방 실증이 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conventional blouses do not have the ability to change their own design, so they have the problem of quickly becoming outdated.

그리고, 여름철과 같이 더운 날씨에는 땀을 흘리게 되는데, 종래의 블라우스는 땀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 아니고, 통풍의 기능이 없기 때문에 여성의 상체에 땀냄새가 배이게 되어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hot weather such as summer, people sweat, and since conventional blouses are not made of a material that can absorb sweat and do not have a ventilation func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mell of sweat permeates the woman's upper body, causing discomfort.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0905호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40905

본 고안은 블라우스, 남방, 와이셔츠, 티셔츠, 재킷 등과 같은 상체 착용부 및 치마, 바지, 반바지 등과 같은 하체 착용부를 제공하고, 상체 착용부와 팔 착용부의 연결부위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상체 착용부의 디자인을 다른 형태로 연출하면서 통풍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하체 착용부의 내부에 에는 교통카드, 신용카드, 지갑 등의 각종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소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upper body wear parts such as blouses, blouses, dress shirts, T-shirts, jackets, etc. and lower body wear parts such as skirts, pants, shorts, etc., and designs the upper body wear parts by selectively opening the connection parts of the upper body wear parts and arm wear parts. We provide functional clothing that can facilitate ventilation while creating different shapes, and can store various belongings such as transportation cards, credit cards, and wallets inside the lower body wearing part, preventing loss of belongings. It has a purpose.

그리고, 상체 착용부의 단추의 사이 공간을 가려 속살이 보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functional clothing that can prevent the inner skin from being seen by covering the space between the buttons of the upper body worn part.

또한, 상체 착용부의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바꿀 수 있고,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연출할 수 있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functional clothing that can selectively change the image of the upper body worn part and create a three-dimensional image.

그리고, 어두운 밤길에서 괴한을 만나거나 조난을 당하는 등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육성 대신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functional clothing that can make sounds instead of voices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meeting a stranger or being in distress on a dark street at night.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의류는, 상체에 착용되는 상체 착용부; 상기 상체 착용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팔에 착용되되, 어깨를 노출시키도록 일정영역이 상기 상체 착용부와 단절되는 팔 착용부; 및 상기 상체 착용부와 팔 착용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단절영역을 접촉 또는 이격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한다.Functional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body wearing portion worn on the upper body; an arm wearing unit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wearing unit and worn on the arm, wherein a certain area is cut off from the upper body wearing unit to expose the shoulder; and an opening/closing part formed on the upper body wearing part and the arm wearing part, respectively, and contacting or separating the disconnected area.

그리고, 상기 개폐부는 지퍼, 단추, 밸크로드 테이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formed with any one selected from a zipper, button, or velcro tape.

또한, 상기 하체에 착용되며, 내면에 포켓부가 설치된 하체 착용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is worn on the lower body and further includes a lower body wearing portion provided with a pocket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그리고, 상기 상체 착용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홀이 형성된다.Also, at least one cut hole is formed in the upper body wearing part.

그리고, 상기 상체 착용부의 내면에 고정되되, 상기 절개홀을 통해 상체 착용부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체 착용부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색상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한다.And, it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body wearing part, and selectively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upper body wearing part through the cut hole, and includes a protrusion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color as the upper body wearing part.

또한, 상기 돌출부의 전면에 일정패턴으로 형성 또는 부착되는 장식부; 및 상기 디자인 변형부를 상기 상체 착용부의 내면 또는 외면에 밀착시키는 무게추를 포함한다.Additionally, a decorative part formed or attached in a certain pattern to the front of the protrusion; and a weight that brings the design deformation par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upper body wearing part.

그리고, 상기 상체 착용부의 전면은 복수개의 단추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제1 영역 및 상기 단추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구멍이 형성된 제2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단추의 사이마다 배치되는 형태로 상기 제1 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단추가 상기 삽입구멍에 채워질 시, 일정영역이 상기 제2 영역의 내면에 밀착되는 가림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upper body wearing part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where a plurality of butto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area where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buttons are respectively inserted are formed, and disposed between the buttons. It is fixed to the first area in a shape, and when the button is filled in the insertion hole, a certain area further includes a shielding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area.

또한, 상기 포켓부에 수납되거나 또는, 상체 착용부에 설치되는 호신용 소리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리발생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박스부; 상기 박스부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제1 소리발생스프링; 상기 제1 소리발생스프링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제1 소리발생판; 상기 제1 소리발생판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제2 소리발생판; 상기 제2 소리발생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소리발생스프링; 상기 제2 소리발생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박스부 관통홀에서 양방향으로 이동되며, 일단이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고, 일정영역이 상기 박스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타단에 누름판이 형성된 작동부; 상기 박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부가 상기 제1 소리발생판 방향으로 전진될 시 원위치 되도록 상기 누름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귀스프링 및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소리발생판과 제2 소리발생판에 반복적으로 충돌되면서 소리를 발생시키며, 알갱이 형상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소리발생유닛을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sound generating unit for self-defense that is stored in the pocket or installed on an upper body worn part, wherein the sound generating unit has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and is made of a metal material. box part; A first sound generating spring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box portion; a first sound generating plate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first sound generating spring and made of a metal material; a second sound generating plate facing the first sound generating pl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de of a metal material; a second sound generating spring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second sound generating plate; a support plate supporting the second sound generating spring; An operating part that moves in both directions through the box part through-hole, has one end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 certain area protruding outside the box part, and a pressing plate formed at the other end; The first sound generating plate and the second sound ar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a return spring installed in the box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pressing plate so that 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operating portion is advanc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ound generating plate and the operating portion. It generates sound by repeatedly colliding with the generating plat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ound generating units made of a granular metal material.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의류는, 블라우스, 남방, 와이셔츠, 티셔츠, 재킷 등과 같은 상체 착용부 및 치마, 바지, 반바지 등과 같은 하체 착용부를 제공하고, 상체 착용부와 팔 착용부의 연결부위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상체 착용부의 디자인을 다른 형태로 연출하면서 통풍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하체 착용부의 내부에 에는 교통카드, 신용카드, 지갑 등의 각종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소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unctional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upper body wear parts such as blouses, blouses, dress shirts, T-shirts, jackets, etc. and lower body wear parts such as skirts, pants, shorts, etc.,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upper body wear parts and arm wear parts is selectively opened. By creating a different design of the upper body wearable part, ventilation can be smoothened, and various belongings such as transportation cards, credit cards, and wallets can be stored inside the lower body wearing part, preventing loss of belongings. It works.

그리고, 상체 착용부의 단추의 사이 공간을 가려 속살이 보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dditionally,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inner skin from being shown by covering the space between the buttons of the upper body worn part.

또한, 상체 착용부의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바꿀 수 있고,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selectively changing the image of the upper body worn part and crea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그리고, 어두운 밤길에서 괴한을 만나거나 조난을 당하는 등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육성 대신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dditionally,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such as meeting a stranger or being in distress on a dark street at night, there is an effect of generating sound instead of voic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적용된 개폐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서 단절영역이 개폐부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디자인 변형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적용된 디자인 변형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가림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적용된 소리발생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unctional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pplied to functional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connected area is closed by an opening and closing part in functional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esign deformation part applied to functional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design deformation portion applied to functional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hielding portion applied to functional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und generator applied to functional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provid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기능성 의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for explaining functional clothing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적용된 개폐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서 단절영역이 개폐부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가림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unctional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opening and closing part applied to functional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connected area is closed by an opening and closing part in functional clothing according to , an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locking portion being applied to functional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1)는, 상체 착용부(10)와, 팔 착용부(20)와, 개폐부(30) 및 하체 착용부(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Functional clothin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upper body wearing part 10, an arm wearing part 20, an opening and closing part 30, and a lower body wearing part 40. You can.

상체 착용부(10)는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된다.The upper body wearing unit 10 is worn on the user's upper body.

도면에는 상체 착용부(10) 및 팔 착용부(20)가 여성용 블라우스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1)에서 상체 착용부(10)는 와이셔츠, 티셔츠, 잠바, 재킷 형태 등 상체에 착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upper body wearing part 10 and the arm wearing part 20 are applied to a women's blouse. However, in the functional clothin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ody wearing part 10 is used as a dress shirt or a T-shirt. , it is revealed that it can be formed into various forms that can be worn on the upper body, such as a jumper or jacket.

상체 착용부(10) 및 팔 착용부(20)는 옷맵시를 향상시키도록 신축성이 부여된 탄성섬유로 제작될 수 있다.The upper body wearing part 10 and the arm wearing part 20 may be made of elastic fibers with elasticity to improve clothing fit.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상체 착용부(10) 중 착용자의 목에 접촉되는 부분에는 스카프(13)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Although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the scarf 13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ortion of the upper body wearing portion 10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earer's neck.

스카프(13)는 대략 중앙부분이 상체 착용부(10)에 재봉 결합될 수 있다.The approximately central portion of the scarf 13 may be sewn to the upper body wearing portion 10.

이와 같은 경우, 스카프(13)를 리본 등 다양한 형태로 묶어서 상체 착용부(10)의 이미지를 아름답게 연출하면 된다.In this case, the scarf 13 may be ti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ribbon to create a beautiful image of the upper body worn portion 10.

한편, 상체 착용부(10)은 그 전면부가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으로 분할되는 일반적인 블라우스 구조를 이루고 있다.Meanwhile, the upper body wearing portion 10 has a general blouse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portion is divided into a first region 11 and a second region 12.

그리고,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이 서로 접하는 부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복수개의 단추(11a) 및 단추(11a)가 고정되는 삽입구멍(12a)이 각각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buttons 11a and insertion holes 12a to which the buttons 11a are fixed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area 11 and the second area 1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o.

도면에는 제1 영역(11)에 단추(11a)가 형성되고, 제2 영역(12)에 삽입구멍(12a)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a button 11a is formed in the first area 11 and an insertion hole 12a is formed in the second area 12.

제1 영역(11)에는 속살이 외부로 보이는 것을 방지하는 가림부(80)가 결합된다.A shielding portion 80 that prevents the inner flesh from being seen to the outside is coupled to the first region 11.

가림부(80)는 일부분이 제1 영역(11)에 재봉 또는 고주파 결합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shielding portion 80 may be sewn or high-frequency coupled to the first region 11 .

가림부(80)는 단추(11a)의 사이마다 결합될 수 있다.The shielding portion 80 may be coupled between each button 11a.

그리고, 가림부(80)는 합성수지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hielding portion 80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or plastic material.

가림부(80)는 일정영역이 제1 영역(11)의 가장자리에서 일정길이 돌출되는 구조를 이룬다.The shielding portion 80 has a structure in which a certain area protrudes from the edge of the first region 11 by a certain length.

따라서, 단추(11a)를 삽입구멍(12a)에 각각 채우면 가림부(80)의 돌출되는 부분이 제2 영역(12)의 내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가림부(80)를 통해 속살을 가릴 수 있고, 이로 인해 착용자가 자유롭고 편하게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uttons 11a are filled into the insertion holes 12a,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hielding portion 80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area 12. This covering portion 80 can cover the inner skin, allowing the wearer to move freely and comfortably.

부가적으로, 가림부(80) 중 착용자의 뱃살에 접촉되는 후면에는 헝겊이나, 부드러운 소재의 제1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Additionally, a first pad made of cloth or a soft material may b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hielding portion 8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wearer's belly fat.

그리고, 가림부(80) 및 패드에는 통풍을 위한 복수개의 미세통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a plurality of fine holes for ventilation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hielding portion 80 and the pad.

또한, 가림부(80)의 전면에는 일정한 패턴을 갖는 무늬나 색상이 인쇄되거나 또는, 일정한 패턴을 갖는 무늬나 색상이 인쇄된 제2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attern or color having a certain pattern may be printed on the front of the shielding portion 80, or a second pad having a pattern or color having a certain pattern printed may be attached.

따라서,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의 사이로 가림부(80)가 노출되었을 경우, 가림부(80)의 전면에 위치한 무늬나 색상이 타인에게 보여지게 된다. 이때, 무늬나 색상은 보는 이로 하여금 상체 착용부(10)의 심미감을 유발하고, 미려하게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locking portion 80 is exposed between the first area 11 and the second area 12, the pattern or color located on the front of the blocking portion 80 is visible to others. At this time, the pattern or color can induce an aesthetic sense of the upper body worn part 10 in the viewer and make it look beautiful.

한편, 팔 착용부(20)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체 착용부(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결합된다.Meanwhile, the arm wearing unit 20 is composed of two pairs and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body wearing unit 10, respectively.

일 예로, 팔 착용부(20)는 상체 착용부(10)에 재봉 결합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arm wearing unit 20 may be sewn-coupled to the upper body wearing unit 10.

이때, 팔 착용부(20)는 착용자의 어깨를 노출시키도록 일정영역이 상체 착용부(10)와 단절된다.At this time, a certain area of the arm wearing unit 20 is cut off from the upper body wearing unit 10 to expose the wearer's shoulder.

팔 착용부(20)는 반팔 형태 또는 긴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상체 착용부(10)에 적용될 수 있다.The arm wearing unit 20 may be applied to the upper body wearing unit 10 in various forms, such as a short-sleeved form or a long-sleeved form.

개폐부(30)는 상체 착용부(10)와 팔 착용부(20)에 각각 형성되어, 단절영역(S)을 접촉 또는 이격시킨다.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30 are formed on the upper body worn portion 10 and the arm worn portion 20, respectively, to contact or separate the disconnected areas S.

개폐부(30)는 지퍼, 단추(11a), 밸크로드 테이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지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30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a zipper, a button 11a, and a velcro tape, and an examp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30 is shown in the drawing as a zipper.

개폐부(30)를 통해 단절영역(S)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The disconnection area (S) can be selectively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opening/closing unit (30).

단절영역(S)을 폐쇄하는 경우 일반적인 블라우스로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If the cut area (S) is closed, it can be viewed as a normal blouse.

그리고, 단절영역(S)을 개방하는 경우, 어깨가 노출되는 형태로 착용이 가능하다.Also, when the disconnection area (S) is opened, it can be worn in a way that the shoulders are exposed.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1)는 하나의 블라우스로 2가지의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연출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unctional clothin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create two images with one blouse.

따라서, 여름과 같이 더운 날씨에는 개폐부(30)를 통해 단절영역(S)을 개방하여 블라우스를 시원하게 입으면 되고, 봄, 가을과 같이 쌀쌀한 날씨에는 개폐부(30)를 통해 단절영역(S)을 폐쇄하여 블라우스를 따뜻하게 입으면 된다.Therefore, in hot weather such as summer, the disconnected area (S) can be open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30 to wear the blouse coolly, and in chilly weather such as spring and fall, the disconnected area (S) can be clos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30. Just wear a warm blouse.

부가적으로, 여름에도 단절영역(S)을 폐쇄한 상태로 블라우스를 착용할 수 있는데, 상체에 땀이 많이 차는 경우에는 개폐부(30)를 통해 단절영역(S)을 일시적으로 개방하여 통풍시키고 체온을 낮추면 된다.Additionally, the blouse can be worn with the cut area (S) closed even in summer. If the upper body sweats a lot, the cut area (S) is temporarily open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 to ventilate and cool the body temperature. Just lower it.

한편, 하체 착용부(40)는 착용자의 하체에 착용되는 구성이다.Meanwhile, the lower body wearing unit 40 is worn on the wearer's lower body.

하체 착용부(40)는 통상의 치마, 긴바지, 반바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body wearing portion 40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a regular skirt, long pants, and shorts.

도면에는 하체 착용부(40)가 치마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lower body wearing portion 40 is formed as a skirt.

하체 착용부(40)의 상측에는 착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밀착되는 밀착밴드가 형성된다.A close-fitting ban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wearing part 40 to wrap around the wearer's waist.

그리고, 하체 착용부(40)의 내면에는 포켓부(41)가 설치된다.Additionally, a pocket portion 41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body wearing portion 40.

포켓부(41)는 하체 착용부(40)의 내면에 재봉 결합되는 결합면부를 포함한다.The pocket portion 41 includes a coupling surface portion sew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body wearing portion 40.

포켓부(4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보관공간이 형성된다.The top of the pocket portion 41 is open, and a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포켓부(41)에는 교통카드, 신용카드, 지갑 등의 각종 소지품을 보관하면 된다.In the pocket part 41, you can store various belongings such as transportation cards, credit cards, and wallets.

그리고, 포켓부(41)에서 소지품을 꺼내고자 할 경우에는 밀착밴드를 일정수준으로 벌려 공간을 확보한 다음, 하체 착용부(40)의 내부로 손을 넣어 소지품을 꺼내면 된다.Also, if you want to take out your belongings from the pocket part 41, open the adhesive band to a certain level to secure space, then put your hand inside the lower body wearing part 40 and take out your belongings.

이때, 포켓부(41)는 착용자가 소지품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체 착용부(40)의 상부측에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pocket portion 41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wearing portion 40 so that the wearer can quickly and easily take out belongings.

포켓부(41)의 상측 개구된 부분은 밸크로드 테이프나 지퍼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The upper open portion of the pocket portion 41 may be closed with a velcro tape or zipper.

하체 착용부(40)는 통상의 치마, 긴바지, 반바지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면에는 주머니가 형성되지 아니할 수 있다.The lower body wearing portion 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gular skirt, long pants, or shorts, but may not have a pocke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이로 인해 주머니로 인해 하체 착용부(40)의 디자인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sign of the lower body wearing portion 40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the pocket.

대신 포켓부(41)가 하체 착용부(40)의 내면에 결합됨에 따라, 각종 소지품을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Instead, as the pocket portion 41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body wearing portion 40, it is possible to store various belongings.

포켓부(41)로 인해 소지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난, 분실 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By preventing belongings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due to the pocket portion 41, theft and loss accidents can also be prevented.

이상 설명한 포켓부(41)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pocket portion 41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as one or more.

그리고, 포켓부(41)는 상체 착용부(10)와, 팔 착용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내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ocket portion 41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body worn portion 10 and the arm worn portion 20.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1)는 디자인 변형부(50)와, 장식부(60)와, 무게추(70) 및 소리발생부(9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al clothin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design deformation part 50, a decoration part 60, a weight 70, and a sound generating part 90. can do.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디자인 변형부(50)와, 장식부(60) 및 무게추(70)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design deformation part 50, the decoration part 60, and the weight 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디자인 변형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적용된 디자인 변형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esign deformation part applied to functional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design deformation part applied to functional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체 착용부(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홀(10a)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at least one cut hole 10a is formed in the upper body worn portion 10.

디자인 변형부(50)는 그 상측만 상체 착용부(10)의 내면에 재봉결합 될 수 있다.The design deformation part 50 may be sew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body wearing part 10 only on its upper side.

이때, 디자인 변형부(50)의 상측은 절개홀(10a)보다 높은 곳에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upper side of the design deformation part 50 is couple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cutting hole 10a.

디자인 변형부(50)는 절개홀(10a)을 통해 출입하는 돌출부(51)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sign deformation part 50 may include a protrusion 51 that enters and exits through the cut hole 10a.

즉, 돌출부(51)는 절개홀(10a)을 통해 상체 착용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That is, the protrusion 51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r be retracted into the upper body wearing part 10 through the cut hole 10a.

돌출부(51)가 상체 착용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우, 그 두께에 의해 상체 착용부(10)가 입체적으로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protrusion 51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upper body wearing part 10, the upper body wearing part 10 can be viewed in three dimensions due to its thickness.

따라서, 돌출부(51)를 통해 상체 착용부(10)(블라우스)를 선택적으로 다른 형태나 이미지로 연출할 수 있다.Therefore, the upper body wearing part 10 (blouse) can be selectively presented in a different shape or image through the protrusion 51.

돌출부(51)는 상체 착용부(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51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upper body worn portion 10.

그리고, 돌출부(51)는 상체 착용부(10)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trusion 51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or different color as the upper body worn portion 10 .

돌출부(51)를 상체 착용부(10)와 상이한 색상으로 구현할 경우, 상체 착용부(10)(블라우스)가 보다 심미하고 미려하며 입체적으로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protrusion 51 is implemented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upper body wearing part 10, the upper body wearing part 10 (blouse) can be made to appear more aesthetically pleasing and three-dimensional.

한편, 장식부(60)는 돌출부(51)의 전면 즉, 전방에 위치한 상대방이 보게 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decoration portion 6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protrusion 51, that is, on the side that is visible to the other party located in the front.

장식부(60)는 무늬로 인쇄되거나 또는, 큐빅으로 형성되어 부착될 수 있다.The decoration portion 60 may be printed with a pattern or may be formed and attached as a cubic shape.

도면에는 장식부(60)가 무늬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decoration portion 60 is formed in a pattern.

무늬로 인해 상체 착용부(10)(블라우스)를 보다 아름답게 연출할 수 있다.Due to the pattern, the upper body wearing part 10 (blouse) can be presented more beautifully.

이때, 무늬의 형상이나 패턴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나 패턴으로 변형 가능함을 밝힌다.At this time, it is revealed that the shape or pattern of the pattern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drawings and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or patterns.

무게추(70)는 돌출부(51)의 하측에 고정된다.The weight 70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protrusion 51.

무게추(70)는 소정의 중량을 갖도록 형성되어, 돌출부(51)가 상체 착용부(10)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펄럭이는 것을 억제한다.The weight 7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eight to suppress the protrusion 51 from fluttering inside or outside the upper body worn portion 10.

이때, 장식부(60)는 무늬와 큐빅 모두 적용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decoration portion 60 may be applied in both pattern and cubic.

다음으로, 도 7을 참고하여 디자인 소리발생부(9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design sound generator 9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에 적용된 소리발생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und generator applied to functional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소리발생부(90)는 착용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호신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sound generator 90 can be used for self-defense to protect the wearer's safety.

이를 위해 소리발생부(90)는 박스부(91)와, 제1 소리발생스프링(92)과, 제1 소리발생판(93)과, 제2 소리발생판(94)과, 제2 소리발생스프링(95)과, 지지판(96)과, 작동부(97)와, 복귀스프링(98) 및 소리발생유닛(99)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sound generating unit 90 includes a box part 91, a first sound generating spring 92, a first sound generating plate 93, a second sound generating plate 94, and a second sound generating plat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pring 95, a support plate 96, an operating unit 97, a return spring 98, and a sound generating unit 99.

소리발생부(90)는 일 예로 포켓부(41)에 수납될 수 있다.The sound generating unit 90 may be stored in the pocket unit 41, for example.

소리발생부(90)는 다른 일 예로, 상체 착용부(10)에 설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ound generating unit 9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body worn unit 10.

구체적으로, 박스부(91)와 상체 착용부(10)의 내면에 밸크로드 테이프를 각각 마련하여 박스부(91)를 상체 착용부(10)의 내면에 분리 또는 결합하면 된다.Specifically, velcro tapes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box part 91 and the upper body worn part 10, respectively, and the box part 91 may be separated or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body worn part 10.

이하에서는 소리발생부(90)가 포켓부(41)에 수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sound generating unit 90 is accommodated in the pocket unit 41 will be described.

박스부(91)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에 덮개(91)가 부착된다.A receiv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box portion 91, and a cover 91 is attached to one side.

덮개(91)에는 작동부(97)가 왕복이동하도록 관통홀(911a)이 형성된다.A through hole 911a is formed in the cover 91 so that the operating unit 97 reciprocates.

덮개(91)는 후술되는 소리발생유닛(99)이 충돌할 시 공명음을 크게 발생시키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91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o generate a loud resonance sound when the sound generating unit 99,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ollides.

제1 소리발생스프링(92)은 도 를 기준으로 박스부(91)의 내부 좌측벽면에 설치된다.The first sound generating spring 92 is installed on the inner left wall of the box portion 91 with reference to FIG.

제1 소리발생판(93)은 제1 소리발생스프링(92)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The first sound generating plate 93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irst sound generating spring 92.

제1 소리발생판(93)은 소리발생유닛(99)이 충돌할 시 소리를 크게 발생시키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ound generating plate 93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o generate a loud sound when the sound generating unit 99 collides.

제2 소리발생판(94)은 박스부(91)의 수용공간에서 제1 소리발생판(93)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향된다.The second sound generating plate 94 faces the first sound generating plate 9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x portion 91.

제2 소리발생판(94)은 소리발생유닛(99)이 충돌할 시 소리를 크게 발생시키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ound generating plate 94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o generate a loud sound when the sound generating unit 99 collides.

제2 소리발생스프링(95)은 박스부(91)의 수용공간에서 제2 소리발생판(94)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The second sound generating spring 95 elastically supports the second sound generating plate 94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x portion 91.

지지판(96)은 박스부(91)의 수용공간에서 제2 소리발생스프링(95)을 지지한다.The support plate 96 supports the second sound generating spring 95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x portion 91.

작동부(97)는 작동 전 상태에서 그 중앙부분이 박스부(91) 관통홀(911a)에 위치된다.The central portion of the operating unit 97 is located in the through hole 911a of the box unit 91 in the state before operation.

그리고, 작동부(97)의 일측은 박스부(91)의 수용공간에서 지지판(96)에 결합되고, 타측은 박스부(91)의 외부로 돌출된다. Additionally, one side of the operating unit 97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96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x unit 91, and the other side protrudes out of the box unit 91.

작동부(97)는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양방향 이동될 수 있다.The operating unit 97 can be moved in both directio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state.

작동부(97)의 돌출된 부분 끝부분에는 착용자가 누르게 되는 누름판(971)이 형성된다.A pressing plate 971 that the wearer presses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operating unit 97.

복귀스프링(98)은 박스부(91)에 설치되고, 작동부(97)가 제1 소리발생판(93) 방향으로 전진될 시 원위치 되도록 누름판(971)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The return spring 98 is installed in the box portion 91,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pressing plate 971 so that 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operating unit 97 advanc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ound generating plate 93.

소리발생유닛(99)은 알갱이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가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The sound generating unit 99 is formed in a gran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sound generating units 99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소리발생유닛(99)은 작동부(97)의 작동에 의해 제1 소리발생판(93)과 제2 소리발생판(94)에 반복적으로 충돌된다.The sound generating unit 99 repeatedly collides with the first sound generating plate 93 and the second sound generating plate 94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unit 97.

소리발생유닛(99)은 제1 소리발생판(93)과 제2 소리발생판(94)에 충돌할 시 소리를 크게 발생시키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sound generating unit 99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o generate a loud sound when it collides with the first sound generating plate 93 and the second sound generating plate 94.

다음으로, 전술한 소리발생부(90)의 사용 예에 대해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use of the above-described sound generating unit 90 will be described.

착용자가 어두운 밤길을 보행하는 과정에서 괴한을 만나거나, 조난을 당하는 등 자신의 위치를 알려야 하는 상황이 발생될 경우, 포켓부(41)에서 소리발생부(90)를 꺼낸 다음, 일정시간 간격으로 누름판(971)을 반복적으로 누른다.If a situation arises in which the wearer needs to announce his or her location, such as meeting a stranger or being in distress while walking down a dark night street, the sound generating unit 90 is taken out from the pocket unit 41 and then at regular intervals. Press the push plate (971) repeatedly.

이때, 복귀스프링(98)이 누름판(971)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 작동부(97)는 도 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because the return spring 98 elastically supports the pressing plate 971, the operating unit 97 can be repeatedly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degrees.

누름판(971)을 누르면 제2 소리발생판(94)이 제1 소리발생판(93)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리발생유닛(99)들을 가압한다.When the pressing plate 971 is pressed, the second sound generating plate 94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ound generating plate 93 and presses the sound generating units 99.

따라서, 소리발생유닛(99)들은 제1 소리발생판(93)과 제2 소리발생판(94)의 사이에 가압되며, 그 과정에서 제1 소리발생스프링(92) 및 제2 소리발생스프링(95)이 압축된다.Therefore, the sound generating units 99 are pressed between the first sound generating plate 93 and the second sound generating plate 94, and in the process, the first sound generating spring 92 and the second sound generating spring ( 95) is compressed.

작동부(97)가 복귀스프링(98)에 의해 후진되면 제2 소리발생판(94)이 제1 소리발생판(93)과 멀어지게 됨으로, 소리발생유닛(99)은 제1 소리발생판(93)과 제2 소리발생판(94) 및 박스부(91)의 내면에 확률적으로 반복 충돌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When the operating unit 97 is moved backward by the return spring 98, the second sound generating plate 94 moves away from the first sound generating plate 93, so the sound generating unit 99 is connected to the first sound generating plate ( 93) and the second sound generating plate 9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x portion 91 stochastically collide repeatedly to generate noise.

즉, 소리발생유닛(99)이 제1 소리발생판(93) 및 제2 소리발생판(94)에 각각 충돌하면, 제1 소리발생스프링(92) 및 제2 소리발생스프링(95)이 압축되었다가 팽창되어, 제1 소리발생판(93) 및 제2 소리발생판(94)이 소리발생유닛(99)을 튕겨내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ound generating unit 99 collides with the first sound generating plate 93 and the second sound generating plate 94, respectively, the first sound generating spring 92 and the second sound generating spring 95 are compressed. and then expanded, the first sound generating plate 93 and the second sound generating plate 94 bounce off the sound generating unit 99.

그리고, 착용자는 소리발생유닛(99)의 충돌소리가 작아지면 다시 누름판(971)을 눌러 소리발생유닛(99)이 제1 소리발생판(93)과 제2 소리발생판(94) 및 박스부(91)의 내면에 충돌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도록 한다.Then, when the collision sound of the sound generating unit 99 becomes smaller, the wearer presses the pressing plate 971 again so that the sound generating unit 99 is connected to the first sound generating plate 93, the second sound generating plate 94, and the box portion. Make noise by collid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91).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1)는 이러한 소리발생부(90)를 통해 착용자가 소리를 지를 수 없는 상황에서 용이하게 구조 요청을 하도록 할 수 있다.The functional clothin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quest rescue in situations where the wearer cannot scream through the sound generating unit 90.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interpreted.

1 : 기능성 의류 10 : 상체 착용부
10a : 절개홀 11 : 제1 영역
11a : 단추 12 : 제2 영역
12a : 삽입구멍 13 : 스카프
20 : 팔 착용부 30 : 개폐부
40 : 하체 착용부 41 : 포켓부
50 : 디자인 변형부 51 : 돌출부
60 : 장식부 70 : 무게추
80 : 가림부 90 : 소리발생부
91 : 박스부 91 : 덮개
911a : 관통홀 92 : 제1 소리발생스프링
93 : 제1 소리발생판 94 : 제2 소리발생판
95 : 제2 소리발생스프링 96 : 지지판
97 : 작동부 971 : 누름판
98 : 복귀스프링 99 : 소리발생유닛
1: Functional clothing 10: Upper body wearing part
10a: cut hole 11: first area
11a: Button 12: Second area
12a: Insertion hole 13: Scarf
20: arm wearing part 30: opening and closing part
40: lower body wearing part 41: pocket part
50: design deformation part 51: protrusion
60: Decorative part 70: Weight
80: Screening part 90: Sound generating part
91: box part 91: cover
911a: Through hole 92: First sound generating spring
93: first sound generating plate 94: second sound generating plate
95: second sound generating spring 96: support plate
97: operating unit 971: pressing plate
98: return spring 99: sound generating unit

Claims (5)

상체에 착용되는 상체 착용부;
상기 상체 착용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팔에 착용되되, 어깨를 노출시키도록 일정영역이 상기 상체 착용부와 단절되는 팔 착용부; 및
상기 상체 착용부와 팔 착용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단절영역을 접촉 또는 이격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An upper body wearing portion worn on the upper body;
an arm wearing unit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wearing unit and worn on the arm, wherein a certain area is cut off from the upper body wearing unit to expose the shoulder; and
Functional clothing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body wearing portion and the arm wearing portion, respectively, and contacting or separating the disconnected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지퍼, 단추, 밸크로드 테이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기능성 의류.
According to paragraph 1,
Functional clothing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a zipper, button, or velcro t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에 착용되며, 내면에 포켓부가 설치된 하체 착용부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According to paragraph 1,
Functional clothing that is worn on the lower body and further includes a lower body wearing portion with a pocket portion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착용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체 착용부의 내면에 고정되되, 상기 절개홀을 통해 상체 착용부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체 착용부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색상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디자인 변형부;
상기 돌출부의 전면에 일정패턴으로 형성 또는 부착되는 장식부; 및
상기 디자인 변형부를 상기 상체 착용부의 내면 또는 외면에 밀착시키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According to paragraph 1,
At least one cut hole is formed in the upper body wearing part,
A design modification part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body wearing part, selectively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upper body wearing part through the cut hole, and including a protrusion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color as the upper body wearing part;
A decorative portion formed or attached in a certain pattern to the front of the protrusion; and
Functional clothing including a weight that brings the design deformation par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upper body wear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착용부의 전면은 복수개의 단추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제1 영역 및 상기 단추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구멍이 형성된 제2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단추의 사이마다 배치되는 형태로 상기 제1 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단추가 상기 삽입구멍에 채워질 시, 일정영역이 상기 제2 영역의 내면에 밀착되는 가림부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ront of the upper body wearing part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where a plurality of butto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area where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buttons are respectively inserted are formed,
Functional clothing is fixed to the first area in a form arranged between the buttons, and further includes a shielding par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area when the button is filled in the insertion hole.
KR2020220002313U 2022-09-29 2022-09-29 Functional clothing KR2024000059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313U KR20240000594U (en) 2022-09-29 2022-09-29 Functional clot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313U KR20240000594U (en) 2022-09-29 2022-09-29 Functional cloth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594U true KR20240000594U (en) 2024-04-05

Family

ID=9065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313U KR20240000594U (en) 2022-09-29 2022-09-29 Functional clot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594U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905Y1 (en) 2007-06-15 2008-07-08 주식회사 아이비클럽 Secret cover and Blouse with secret cov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905Y1 (en) 2007-06-15 2008-07-08 주식회사 아이비클럽 Secret cover and Blouse with secret co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3908B1 (en) Garment having a buttocks cleavage revealing feature
US20140096305A1 (en) Convertible head and face covering
US20080222780A1 (en) Dual hip cell phone and CD player pocket
US6526587B1 (en) Tattooed tear wear
US20160262476A1 (en) Improvements to integrated personal mobile handset storage, access and use units
Fischer " Pantalets" and" Turkish trowsers": Designing freedom in the mid-nineteenth-century United States
KR20240000594U (en) Functional clothing
CN206714146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assembly type school uniform
CN208354632U (en) A kind of clothes suit
US20040221372A1 (en) Article of clothing
KR200465345Y1 (en) A manteau
CN104705821A (en) Multifunctional maternity dress
JP3155505U (en) Clothing with cooling body
CN220192240U (en) Light western-style clothes free of return and pull
CN219396321U (en) Trousers with a pair of trousers
CN215124484U (en) Novel coat with cap
CN210672158U (en) Convenient and comfortable all-weather garment
CN212938127U (en) Breathable garment with freely changeable patterns
CN219270198U (en) Western-style clothes
CN220157606U (en) Shirt with adjustable sleeve length
CN218245737U (en) Riding wind-guiding cool trousers
CN215013726U (en) High-elastic splicing body-shaping sports coat
CN210538983U (en) Gauze embroidery dress
CN202999342U (en) Dual-purpose fur down coat
CN219460383U (en) Coat with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