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564U - Tea bag with cup-mountable tag - Google Patents
Tea bag with cup-mountable ta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0564U KR20240000564U KR2020220002274U KR20220002274U KR20240000564U KR 20240000564 U KR20240000564 U KR 20240000564U KR 2020220002274 U KR2020220002274 U KR 2020220002274U KR 20220002274 U KR20220002274 U KR 20220002274U KR 20240000564 U KR20240000564 U KR 2024000056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g
- tea bag
- fixing plate
- wing
- cup
- Prior art date
Links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1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92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9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468 Thea s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79 black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0 easy-to-clea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B65D85/812—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with features facilitating their manipulation or suspens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everag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는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는 티 내용물을 수용하는 티백(tea bag)부, 상기 티백부와 일단부가 연결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끈부, 및 상기 끈부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태그(tag)부를 포함하는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로서, 컵의 상단에 위치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끈부를 통과시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해주며, 상기 태그부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태그부의 통과는 차단하는 슬라이딩 홀, 및 상기 고정판을 상기 컵의 상단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고정판의 형상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조절하는 형상조절부재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g fixing device for tea bag products. The tag fixing device for tea bag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a bag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tea contents, one end connected to the tea bag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tag fixing device for a tea bag product including a string portion and a tag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tring portion, a fixing plate positioned at the top of a cup, locat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fixing plate, and sliding through the strap portion. A sliding hole that is smaller than the tag portion and blocks passage of the tag portion, and a shape adjustment member that changes and adjusts the shape of the fixing plat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o fix the fixing plate to the top of the cup. Includes.
Description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tag fixing device for tea bag products.
티백(Tea bag)은 녹차, 홍차 등과 같은 각종 차 잎 또는 추출물을 보관하는 주머니 형태의 일회용 차 수용부재로서, 뜨거운 물에 담그면 차가 우러나 간편하게 마실 수 있고, 뒤처리가 용이하여 현대인의 생활 속에서 빈번이 사용되고 있다. A tea bag is a disposable tea storage member in the form of a bag that stores various tea leaves or extracts such as green tea, black tea, etc. When soaked in hot water, the tea brews and can be easily drunk. It is also easy to clean up, so it is frequently used in modern people's lives. It is being used.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티백 제품은 일정량의 차를 수용 보관하는 티백과, 티백과 연결되어 있으며 컵 속의 물에 티백을 담그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해주며 티백을 흔들어 차를 우려내도록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인 태그와, 티백과 태그 사이를 일정 길이로 연결하는 실 등으로 이루어진 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었다. As is well known, conventional tea bag products include a tea bag that holds and stores a certain amount of tea, and is connected to the tea bag, allowing the tea bag to be immersed in or taken out of the water in the cup, and the user can shake the tea bag to brew tea. It was composed of a tag, which is the part that can be used, and a string made of thread that connects the tea bag and the tag to a certain length.
예를 들어, 사용자는 물이 담긴 컵 속에 티백을 담근 상태로 끈을 컵의 상단 테두리에 걸쳐서 태그를 컵의 외부로 늘여 놓을 수 있다. 이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티백에 수용된 차 등의 내용물이 물 속에 우려나게 되는데, 사용자는 태그를 파지하여 컵 속에 담긴 티백을 들어올려 끄집어낼 수 있다. For example, a user can place a tea bag in a cup filled with water and place a string over the top rim of the cup, extending the tag to the outside of the cup.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ontents of the tea bag are steeped in water, and the user can grab the tag and lift the tea bag in the cup to take it out.
그런데, 종래의 경우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태그가 컵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문제가 발생된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se, a problem occurs where the tag is sucked into the cup contrary to the user's intention due to various reasons.
예를 들어, 컵 속의 물이 티백 속으로 스며들 경우 티백은 컵의 바닥으로 가라앉게 되며 티백과 끈으로 연결된 태그 역시 티백과 함께 컵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water in the cup seeps into the tea bag, the tea bag will sink to the bottom of the cup, and the tag connected to the tea bag with a string may also be sucked into the cup along with the tea bag.
이와 다른 예로서, 흔히 컵 속에 티백을 먼저 넣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컵에 물을 따를 수 있는데, 이 경우 물의 유입에 따라 티백이 컵 속에서 이리저리 유동하게 되며, 티백과 끈으로 연결된 태그 역시 티백과 함께 컵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user can pour water into a cup by placing the tea bag in the cup first. In this case, the tea bag flows around in the cup as the water flows in, and the tag connected to the tea bag with a string also stays with the tea bag. Problems with being sucked into the cup may occur.
이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태그가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컵 속에 빨려 들어갈 경우 젖은 태그를 물 속에서 건져내야 하는 불편이 따르며, 위생적으로 나쁜 단점이 있었다. Likewise, if the tag held by the user is sucked into the cup contrary to the user's intention,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trieve the wet tag from the water,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hygienic.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2170호가 있으며, 종래의 선행문헌에는 티백 고정용 음료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Prior literatur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22170, and the prior literature discloses a beverage container for fixing a tea bag.
본 고안의 목적은, 티백과 끈으로 연결된 태그가 티백이 담긴 컵 속의 물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물 속에서 태그를 건져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을 줄이고, 위생적인 티백 사용을 가능하게 해주는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invention is to prevent the tag connected to the tea bag with a string from falling into the water in the cup containing the tea bag, thereby reducing the hassle and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trieve the tag from the water, and enabling the use of hygienic tea bags. To provide a tag fixing device.
본 고안의 목적은, 간편하게 보관 및 수납이 가능하며, 적어도 일회 이상 반복 사용이 가능한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g fixing device for tea bag products that can be easily stored and stored and used repeatedly at least once.
본 고안의 목적은, 티백이 담긴 컵을 들고서 이동하거나 또는 차량 등과 같이 흔들림이 있는 공간에서도 태그는 물론 태그를 고정하는 고정판이 컵 속으로 빠지지 않도록 견고한 고정력을 갖는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g fixing device for tea bag products that has a firm fixing force so that the tag as well as the fixing plate that secures the tag does not fall into the cup even when carrying a cup containing a tea bag or in a shaking space such as a vehicle. will be.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and other purpos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티백과 끈으로 연결된 태그가 티백이 담긴 컵 속의 물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물 속에서 태그를 건져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을 줄이고, 위생적인 티백 사용을 가능하게 해주는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는 간편하게 보관 및 수납이 가능하며, 적어도 일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 회 이상 반복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a bag prevents the tag connected to the tea bag with a string from falling into the water in the cup containing the tea bag, reducing the hassle and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trieve the tag from the water, and enabling hygienic use of the tea bag. A tag fixing device for the product can be provided. The tag fixing device for tea bag product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stored and stored, and can be used repeatedly at least once, preferably multiple times or more.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티백이 담긴 컵을 들고서 이동하거나 또는 차량 등과 같이 흔들림이 있는 공간에서도 태그는 물론 태그를 고정하는 고정판이 컵 속으로 빠지지 않도록 견고한 고정력을 갖는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ag fixing device for tea bag products is provided that has a firm fixing force so that the tag as well as the fixing plate that secures the tag does not fall into the cup even when carrying a cup containing a tea bag or in a shaking space such as a vehicle. can be provid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는, 티 내용물을 수용하는 티백(tea bag)부, 상기 티백부와 일단부가 연결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끈부, 및 상기 끈부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태그(tag)부를 포함하는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로서, 컵의 상단에 위치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끈부를 통과시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해주며, 상기 태그부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태그부의 통과는 차단하는 슬라이딩 홀; 및 상기 고정판을 상기 컵의 상단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고정판의 형상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조절하는 형상조절부재를 포함한다.A tag fixing device for a tea bag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a bag portion for accommodating tea contents, a string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ea bag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other end of the string portion. A tag fixing device for a tea bag product including a connected tag portion, comprising: a fixing plate positioned at the top of a cup; a sliding hole locat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fixing plate, allowing sliding movement through the string portion, and being smaller than the tag portion to block passage of the tag portion; and a shape adjustment member that changes and adjusts the shape of the fixing plat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o fix the fixing plate to the top of the cup.
고정판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플렉시블 한 판재 형태로 제공되는 복수의 날개부; 및 상기 슬라이딩 홀을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날개부를 설정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해주는 폴딩부를 포함한다. The fixed plate includes a plurality of wings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provided in the form of a flexible plate; and a folding part that allows the plurality of wings to be folded in a set direction around the sliding hole.
복수의 날개부는, 상기 폴딩부를 기준으로 좌측에 연결되며, 제1 상단날개와, 상기 제1 상단날개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 하단날개를 포함하는 제1 날개부; 및 상기 폴딩부를 기준으로 우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상단날개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제2 상단날개와, 상기 제2 상단날개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하단날개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제2 하단날개를 포함하는 제2 날개부를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wing parts includes: a first wing part connected to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folding part and including a first upper wing and a first lower wing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upper wing; and a second upper wing connected to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folding unit and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upper wing, and a second upper wing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upper wing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wer wing, and It includes a second wing portion including a second lower wing having a size.
형상조절부재는, 상기 제1 상단날개의 라운드 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복수 방향으로 굽힘 변형 가능한 제1 굽힘 와이어; 상기 제1 하단날개의 라운드 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복수 방향으로 굽힘 변형 가능한 제2 굽힘 와이어; 상기 제2 상단날개의 라운드 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복수 방향으로 굽힘 변형 가능한 제3 굽힘 와이어; 및 상기 제2 하단날개의 라운드 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복수 방향으로 굽힘 변형 가능한 제4 굽힘 와이어;를 포함한다. The shape adjustment member includes: a first bending wire formed along a rounded edge of the first upper wing and capable of bending and deforming in multiple directions; a second bending wire formed along a rounded edge of the first lower wing and capable of bending and deforming in multiple directions; a third bending wire formed along the round edge of the second upper wing and capable of bending and deforming in multiple directions; and a fourth bending wire formed along the rounded edge of the second lower wing and capable of bending and deforming in multiple direction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굽힘 와이어, 상기 제2 굽힘 와이어, 상기 제3 굽힘 와이어, 상기 제4 굽힘 와이어 각각은 상기 고정판에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요한 날개부, 예를 들어 제1 상단날개, 제1 하단날개, 제2 상단날개, 제2 하단날개 중 필요한 것만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구부려서 컵 상단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컵 상단에 고정판이 비스듬하게 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컵을 들고 이동하는 경우 또는 차량 운전석에서 컵을 보관하는 경우와 같이 컵에 흔들림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태그고정장치의 위치 고정력이 향상되어 고정판은 물론 태그가 컵 속에 빠지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Preferably, each of the first bending wire, the second bending wire, the third bending wire, and the fourth bending wire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e from the fixing plate. Accordingly, the user can bend only the necessary wings, for example, the first upper wing, the first lower wing, the second upper wing, and the second lower wing, with his or her fingers and firmly attach them to the top of the cup. As a result,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fixing plate is mounted at an angle on the top of the cup, it can be maintained more firmly, even when the cup is shaken, such as when carrying the cup or storing it in the driver's seat of a car. The positioning power of the tag fixing device has been improved, effectively solving the problem of the tag as well as the fixing plate falling into the cup.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 굽힘 와이어, 상기 제2 굽힘 와이어, 상기 제3 굽힘 와이어, 상기 제4 굽힘 와이어는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복수의 날개부의 형상 변경이 보다 자유자재로 조절 가능하여 컵 상단에 고정시킬 경우 고정력이 향상되는 장점과 함께, 고정판의 미사용 시 다양한 형태로 폴딩시켜 수납 및 보관이 유리한 장점이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bending wire, the second bending wire, the third bending wire, and the fourth bending wir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is,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wings can be changed more freely, so that the fixing force is improved when fixed to the top of the cup, and when the fixing plate is not in use, it can be folded into various shapes to facilitate storage and storag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는, 상기 제1 하단날개와 상기 제2 하단날개 각각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의 무게 중심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정 무게를 갖는 웨이트부를 더 포함한다. The tag fixing device for a tea bag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weight provided on each of the first lower wing and the second lower wing and having a weight set to mov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ixing plate in the downward direction. Includes more wealth.
바람직한 예로서, 제1 하단날개와 제2 하단날개 각각에 동일한 무게를 갖는 웨이트부가 적어도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고정판을 컵의 상단에 비스듬히 거치시킬 때, 만일 컵의 상단 개방면적이 고정판의 크기보다 클 경우 고정판이 컵 속으로 빠지게 되고, 고정판과 함께 태그부가 컵 속으로 빠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데, 웨이트부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도록 고정판의 경사진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웨이트부는 제1 하단날개 및 제2 하단날개가 제1 상단날개 및 제2 상단날개보다 상대적으로 큰 무게를 가질 수 있도록 날개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증가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중량 부재를 플레이트 형태로 내장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트부는 박판 형상의 금속 또는 복합소재 플레이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티백부가 물 속에서 흔들리는 경우에도 웨이트부는 고정판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고정판의 경사진 자세를 유지시켜줄 수 있어, 고정판 및 고정판에 걸려 있는 태그부가 컵 내부로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s a preferred example, at least one weight unit having the same weight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first lower wing and the second lower wing. When mounting the fixing plate at an angle to the top of the cup, if the open area at the top of the cup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xing plate, the fixing plate may fall into the cup, and a problem may occur where the tag part falls into the cup along with the fixing plate. It serves to maintain the inclined position of the fixing plate to prevent such problems. As a specific example, the weight unit partially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wing so that the first lower wing and the second lower wing can have a relatively greater weight than the first upper wing and the second upper wing, or plates a separate weight member. It can be formed by embedding it in a shape. For example, the weight portion may be a thin metal or composite material plate. Accordingly, even when the tea bag part shakes in the water, the weight part can fix the position of the fixing plate and maintain the inclined posture of the fixing plate, effectively preventing the fixing plate and the tag part hanging from the fixing plate from falling into the cup.
고정판은 슬라이딩 홀을 둘러 감싸는 소정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판을 컵의 상단에 위치 고정시킬 때 컵과 접촉하는 부위의 구조 강성을 상대적으로 보강하여 고정판이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접히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시켜주는 지지라이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라이너부는 고정판과 동일한 재질을 가지며 나머지 부위에 비해 고정판의 두께를 증가시켜주는 코팅재일 수 있으며, 또는 고정판에 비해 단단한 재질을 가지며 일정 두께로 고정판에 덧대어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코팅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라이너부의 외측에 구비되며 슬라이딩 홀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된 끈부는 물론, 끈부에 연결된 태그부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논슬립부를 더 포함한다. 논슬립부는 러버 등의 슬립(slip)이 억제되는 소재로 코팅되어 끈부 또는 태그부가 슬라이딩 홀 쪽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판의 내측(즉, 고정판이 컵의 상단에 위치 고정될 때 컵 내부를 향하는 부위)에는 습기(또는 물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습기방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습기방지부는 고정판이 컵 상단에 위치 고정될 때 수분이 많은 컵 내부와 접촉되어 수증기 등에 의해 훼손 또는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기방지부는 방수 소재를 얇게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plate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area surrounding the sliding hole, and when the fixing plate is positioned and fixed on the top of the cup,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cup is relatively strengthened to prevent the fixing plate from being folded or deformed contrary to the user's intention.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liner portion. The support liner portion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xed plate and may be a coating material that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fixed plate compared to the rest of the plate, or it may be a coating material that is harder than the fixed plate and is added to the fixed plate at a certain thickness to structurally reinforce it. In addition, it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liner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non-slip portion that prevents the tag portion connected to the string portion from slipping as well as a string portion that passes through the sliding hole and is drawn outward. The non-slip part is coated with a material that suppresses slip, such as rubber, to prevent the string part or tag part from sliding toward the sliding hole.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fixing plate (that is, the area facing the inside of the cup when the fixing plate is positioned and fixed to the top of the cup)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moisture prevention portion to prevent damage due to moisture (or moisture). When the fixing plate is fixed to the top of the cup, the moisture prevention par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cup, which contains a lot of moisture, and can prevent damage or damage caused by water vapor, etc. For example, the moisture prevention portion may be formed by thinly applying a waterproof material.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티백과 끈으로 연결된 태그가 티백이 담긴 컵 속의 물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물 속에서 태그를 건져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을 줄이고, 위생적인 티백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g connected to the tea bag with a string is prevented from falling into the water in the cup containing the tea bag, reducing the hassle and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trieve the tag from the water, and having the advantage of enabling hygienic use of the tea bag. there is.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를 간편하게 수납 및 보관할 수 있으며, 형태에 따라 일회 사용 또는 복수 회 사용 가능하게 제공하여 사용자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g fixing device for tea bag products can be easily stored and store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increasing user satisfaction by providing it for single use or multiple use depending on the form.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고안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while explaining the specific details for implementing the desig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를 티백 제품에 적용한 사용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의 고정판에 형상조절부재 및 웨이트부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의 고정판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를 이용하여 태그부가 컵 속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를 이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briefly showing a tag fixing device for tea bag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use of the tag fixing device for tea bag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ea bag products.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hape adjustment member and weight portion applied to the fixing plate of the tag fixing device for tea bag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xing plate of the tag fixing device for tea bag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how to prevent the tag portion from falling into the cup using a tag fixing device for a tea bag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use of a tag fixing device for tea bag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dditionally,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dentical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der, or numb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interposed” or that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또한, 본 고안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may be subdivid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s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one device or module, or on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multiple devices or modules. It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를 티백 제품에 적용한 사용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의 고정판에 형상조절부재 및 웨이트부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의 고정판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를 이용하여 태그부가 컵 속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를 이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In the drawings,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briefly showing the tag fixing device for tea bag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use of the tag fixing device for tea bag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ea bag products. It is a conceptual diagram, and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hape adjustment member and the weight portion applied to the fixing plate of the tag fixing device of the tea bag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hape adjustment member and the weight portion of the tea bag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xing plate of the tag fixing device. And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how to prevent the tag part from falling into the cup using the tag fixing device of the tea bag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tea bag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showing how to use a tag fixing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tag fixing device for a tea bag produ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는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100)는 티백부(10)과 끈부(20)로 연결된 태그부(40)가 컵(30) 속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컵(30) 속의 물(31)에 빠진 태그부(40)를 손을 집어 넣어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기존에 비해 위생적인 티백 사용이 가능하다. The
특히, 티백부(10)가 담긴 컵(30)을 들고서 이동하거나 또는 차량 등과 같이 흔들림이 있는 공간에서 컵(30)을 보관할 경우 태그부(40)를 고정하는 태그고정장치(100)가 컵(30) 속으로 빠지지 않도록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carrying th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100)는 고정판(100), 슬라이딩 홀(140), 및 형상조절부재(12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는 티백 제품(1)은 티백부(10), 끈부(20), 및 태그부(40)를 포함한다(도 2 참조). The
예를 들어, 티백부(10)는 티 내용물(11)을 수용하는 주머니, 즉 차를 담고 있는 수용부재를 말한다. 티백부(10)는 컵 속의 물에 잠겨서 물 속에 티 내용물(11), 예를 들어 차를 우려낼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끈부(2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끈 부재를 말한다. 예를 들어, 끈부(20)는 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끈부(20)는 티백부(10)와 일단부가 연결되며 티백부(10)와 태그부(100) 사이를 연결한다. The
태그부(40)는 끈부(20)의 타단부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사각형 종이 손잡이를 말한다. 사용자는 태그부(40)를 손으로 잡고서 컵(30) 속에 담긴 티백부(10)를 흔들어 티 내용물을 물 속에 우려낼 수 있다. The
이러한 티백 제품(1)을 이용할 경우, 기존에는 태그부(40)가 컵(30) 속으로 빠지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되었는데, 본 고안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태그고정장치(100)를 이용하여 태그부(40)의 위치를 컵(30)의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다. When using this tea bag product (1), the problem of the tag portion (40) falling into the cup (30) frequently occurred. According to the present desig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tag fixing device (100) is used to solve the problem. The position of the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고정장치(100)는 고정판(100)과, 슬라이딩 홀(140)과, 형상조절부재(12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고정판(100)은 컵(30)의 상단에 위치 고정되는 부재이다. The fixing
고정판(110)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플렉시블 판재 형태, 즉 사용자의 의도대로 잘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는 판상의 형태로 제공되는 복수의 날개부(111, 112)와, 폴딩부(130)를 포함한다. The fixing
폴딩부(130)는 슬라이딩 홀(140)을 중심으로 복수의 날개부(111, 112)를 설정된 방향으로 접힐 수 있게 해준다. The
예를 들어, 복수의 날개부(111, 112)는 폴딩부(130)를 기준으로 좌측에 연결되는 제1 날개부(111)와, 폴딩부(130)를 기준으로 우측에 연결되는 제2 날개부(112)를 포함한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이때, 제1 날개부(111)는 제1 상단날개(1111)와, 상기 제1 상단날개(1111)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 하단날개(1112)를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또한, 제2 날개부(112)는 제1 상단날개(1111)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제2 상단날개(1121)와, 상기 제2 상단날개(1121)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하단날개(1112)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제2 하단날개(1122)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고정판(110)은 제1 날개부(111)와 제2 날개부(112)를 좌우로 접도록 해주는 폴딩부(130)와 함께, 폴딩부(13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제1 상단날개(1111) 및 제2 상단날개(1121)를 제1 하단날개(1112) 및 제2 하단날개(1122)와 상하로 접히게 해주는 추가 폴딩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fixing
폴딩부(130)와 추가 폴딩부(131)는 복수의 날개부(111, 112)가 서로 설정된 방향, 즉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미리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일자형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폴딩부(130)와 추가 폴딩부(131)는 복수의 날개부(111, 112)의 다른 부위와 달리 해당 위치에서만 접힘 가능하도록 부분적으로 두께가 얇게 처리되는 일자형 주름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부(130)와 추가 폴딩부(131)가 형성된 위치에서 고정판(110)은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복수 회 접힐 수 있어 작은 수납봉투 등에 쉽게 수납이 가능하며,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For example, the
슬라이딩 홀(140)은 고정판(110)을 관통하여 끈부(20)가 통과 가능한 구멍을 말한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홀(140)은 고정판(110)의 내측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liding
슬라이딩 홀(140)은 태그부(40)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끈부(20)는 슬라이딩 홀(140)을 통해 고정판(110)을 관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데, 특히 이 경우 티백부(40)의 통과는 차단됨으로써 태그부(40)가 컵(30) 속으로 빠져들어 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 sliding
형상조절부재(120)는 상기 고정판(110)을 상기 컵(30)의 상단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고정판(110)의 형상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조절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형상조절부재(120)는, 상기 제1 상단날개(1111)의 라운드 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복수 방향으로 굽힘 변형 가능한 제1 굽힘 와이어(121)와, 상기 제1 하단날개(1112)의 라운드 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복수 방향으로 굽힘 변형 가능한 제2 굽힘 와이어(122)와, 상기 제2 상단날개(1121)의 라운드 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복수 방향으로 굽힘 변형 가능한 제3 굽힘 와이어(123)와, 상기 제2 하단날개(1122)의 라운드 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복수 방향으로 굽힘 변형 가능한 제4 굽힘 와이어(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요한 날개 부위, 즉 제1 상단날개(111), 제1 하단날개(1112), 제2 상단날개(1121), 제2 하단날개(1122) 중 필요한 것을 다양한 형상으로 개별적으로 구부려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형상조절부재(120)를 조절하여 고정판(110)이 컵(30) 상단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또한, 상기 제1 굽힘 와이어(121), 상기 제2 굽힘 와이어(122), 상기 제3 굽힘 와이어(123), 상기 제4 굽힘 와이어(124) 각각은 상기 고정판(110)에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요한 날개부, 예를 들어 제1 상단날개(1111), 제1 하단날개(1112), 제2 상단날개(1121), 제2 하단날개(1122) 중 필요한 부위에 제1 굽힘 와이어(121), 상기 제2 굽힘 와이어(122), 상기 제3 굽힘 와이어(123), 상기 제4 굽힘 와이어(124) 중 해당되는 굽힘 와이어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후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형상조절부재(120)를 적용하는 경우, 컵(30) 상단에 고정판(110)을 단순히 비스듬하게 거치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큰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고정판(110)이 컵(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컵(30)을 들고 이동하는 경우이거나, 또는 차량 등의 이동장치 내에서 컵(30)을 들고 있는 경우 컵(30)에 큰 흔들림이 가해져도 고정판(110)의 위치 고정이 견고해질 수 있어 고정판(110) 및 고정판(110)에 걸린 태그부(30)가 컵(30) 속으로 빠져들어 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이와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 굽힘 와이어(121), 상기 제2 굽힘 와이어(122), 상기 제3 굽힘 와이어(123), 상기 제4 굽힘 와이어(124)는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복수의 날개부, 즉 제1 상단날개(1111), 제1 하단날개(1112), 제2 상단날개(1121), 제2 하단날개(1122)의 형상 변경이 보다 자유자재로 조절 가능해 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판(1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고정판(110)의 미사용 시 고정판(110)을 다양한 형태로 접어 간편하게 수납 및 보관하는데 유리한 측면이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100)는 웨이트부(150)를 더 포함한다. Meanwhile, the
웨이트부(150)는 상기 제1 하단날개(1112)와 상기 제2 하단날개(1122) 각각에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one
웨이트부(150)는 상기 고정판(110)의 무게 중심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무게 추 역할을 한다. The
예를 들어, 제1 하단날개(1112)와 제2 하단날개(1122) 각각에 동일한 무게를 갖는 웨이트부(150)가 적어도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at least one
만일, 고정판(110)을 컵(30)의 상단에 비스듬히 거치시키게 되면, 컵(30)의 상단 개방면적이 고정판(110)의 크기보다 클 경우 고정판(110)이 컵(30) 속으로 빠질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나아가, 이러한 경우 고정판(110)은 물론, 고정판(110)과 함께 컵(30)의 외부에 위치하는 태그부(40)가 고정판(110)과 함께 컵(30) 속으로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If the fixing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웨이트부(150)는 고정판(110)의 하부로 무게 중심을 이동시켜, 고정판(110)에 진동 및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고정판(110)이 컵(30)의 상단에 경사지게 세워진 자세를 유지시켜줄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예를 들어, 웨이트부(150)는 제1 하단날개(1112) 및 제2 하단날개(1122)가 제1 상단날개(1111) 및 제2 상단날개(1121)보다 상대적으로 큰 무게를 가질 수 있도록 날개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증가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중량 부재를 플레이트 형태로 내장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구체적인 예로서, 웨이트부(150)는 박판 형상의 금속 또는 복합소재 플레이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티백부(10)가 물(31) 속에서 흔들리는 경우에도 웨이트부(150)는 고정판(11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고정판(110)의 경사진 자세를 유지시켜줄 수 있어, 고정판(110) 및 고정판(110)에 걸려 있는 태그부(40)가 컵(30) 내부로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도 5 참조).As a specific example, the
한편, 고정판(110)은 지지라이너부(141), 논슬립부(142), 및 습기방지부(143)를 더 포함한다(도 4 참조). Meanwhile, the fixing
지지라이너부(141)는 슬라이딩 홀(140)을 둘러 감싸는 소정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판(110)을 컵(30)의 상단에 위치 고정시킬 때 컵(30)과 접촉하는 부위의 구조 강성을 상대적으로 보강한다. 이에 따라, 지지라이너부(141)는 고정판(110)이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구조적으로 접히거나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지지라이너부(141)는 고정판(110)과 동일한 재질을 가지며 나머지 부위에 비해 고정판(110)의 두께를 증가시켜주는 코팅재일 수 있으며, 또는 고정판(110)에 비해 단단한 재질을 가지며 일정 두께로 고정판(110)에 덧대어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코팅재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논슬립부(142)는 지지라이너부(141)의 외측에 구비되며 슬라이딩 홀(140)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된 끈부(20)는 물론, 끈부(20)에 연결된 태그부(40)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논슬립부(142)는 러버(rubber) 등의 슬립(slip)이 억제되는 소재로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끈부(20) 또는 태그부(40)가 슬라이딩 홀(140) 쪽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습기방지부(143)는 고정판(110)의 내측 즉, 고정판(110)이 컵(30)의 상단에 위치 고정될 때 컵(30) 내부를 향하는 부위에 위치하며, 습기(또는 물기)에 의한 고정판(1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고정판(110)을 구성하는 제1, 2 날개부(111, 112)의 경우 플렉시블 한 종이 등으로 제작 가능한데, 습기(또는 물기)에 닿을 경우 쉽게 손상 및 훼손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and
습기방지부(143)는 고정판(110)이 컵(30) 상단에 위치할 때, 컵(30)의 상단에서 컵(30)의 내측을 향하여 마주하는 부위에 형성됨으로써, 수증기 등에 의한 훼손 또는 손상을 방지하고, 내구수명을 증가시켜준다. When the fixing
예를 들어, 습기방지부(143)는 방수 가능한 소재(예: 비닐 등)를 얇은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티백과 끈으로 연결된 태그가 티백이 담긴 컵 속의 물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물 속에서 태그를 건져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을 줄이고, 위생적인 티백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g connected to the tea bag with a string is prevented from falling into the water in the cup containing the tea bag, thereby reducing the hassle and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trieve the tag from the water, and maintaining hygienic hygiene. There is an advantage to using tea bags.
나아가,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를 간편하게 수납 및 보관할 수 있으며, 형태에 따라 일회 사용 또는 복수 회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Furthermore, the tag fixing device for tea bag products can be easily stored and stored,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used once or multiple times depending on the form.
1: 티백 제품
10: 티백부
11: 티 내용물
20: 끈부
30: 컵
31: 물
40: 태그부
100: 태그고정장치
110: 고정판
111: 제1 날개부
1111: 제1 상단날개
1112: 제1 하단날개
112: 제2 날개부
1121: 제2 상단날개
1122: 제2 하단날개
120: 형상조절부재
121: 제1 굽힘 와이어
122: 제2 굽힘 와이어
123: 제3 굽힘 와이어
124: 제4 굽힘 와이어
130, 131: 폴딩부
140: 슬라이딩 홀
141: 지지라이너부
142: 논슬립부
143: 습기방지부
150: 웨이트부1: Tea bag product
10: Tea bag part
11: Tea contents
20: String part
30: cup
31: water
40: Tag part
100: Tag fixing device
110: fixing plate
111: first wing part
1111: 1st upper wing
1112: 1st lower wing
112: second wing part
1121: 2nd upper wing
1122: Second lower wing
120: Shape adjustment member
121: first bending wire
122: second bending wire
123: Third bending wire
124: fourth bending wire
130, 131: Folding part
140: sliding hole
141: Support liner part
142: Non-slip part
143: Moisture prevention unit
150: Weight unit
Claims (5)
컵의 상단에 위치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끈부를 통과시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해주며, 상기 태그부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태그부의 통과는 차단하는 슬라이딩 홀; 및
상기 고정판을 상기 컵의 상단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고정판의 형상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조절하는 형상조절부재;
를 포함하는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
As a tag fixing device for tea bag products, including a tea bag part for accommodating tea contents, a string part connected to the tea bag part at one end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tag pa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tring part. ,
A fixing plate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cup;
a sliding hole locat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fixing plate, allowing sliding movement through the string portion, and being smaller than the tag portion to block passage of the tag portion; and
a shape adjustment member that changes and adjusts the shape of the fixing plat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o fix the fixing plate to the top of the cup;
Tag fixing device for tea bag products including.
상기 고정판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플렉시블 한 판재 형태로 제공되는 복수의 날개부; 및
상기 슬라이딩 홀을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날개부를 설정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해주는 폴딩부를 포함하는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xing plate is,
A plurality of wings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provided in the form of a flexible plate; and
A tag fixing device for a tea bag product including a folding part that allows the plurality of wings to be folded in a set direction around the sliding hole.
상기 복수의 날개부는,
상기 폴딩부를 기준으로 좌측에 연결되며, 제1 상단날개와, 상기 제1 상단날개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 하단날개를 포함하는 제1 날개부; 및
상기 폴딩부를 기준으로 우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상단날개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제2 상단날개와, 상기 제2 상단날개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하단날개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제2 하단날개를 포함하는 제2 날개부를 포함하는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plurality of wings,
A first wing part connected to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folding part and including a first upper wing and a first lower wing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upper wing; and
A second upper wing connected to the right side of the folding unit and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upper wing, and a second upper wing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upper wing and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wer wing. A tag fixing device for a tea bag product including a second wing portion including a second lower wing having a tag.
상기 형상조절부재는,
상기 제1 상단날개의 라운드 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복수 방향으로 굽힘 변형 가능한 제1 굽힘 와이어;
상기 제1 하단날개의 라운드 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복수 방향으로 굽힘 변형 가능한 제2 굽힘 와이어;
상기 제2 상단날개의 라운드 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복수 방향으로 굽힘 변형 가능한 제3 굽힘 와이어; 및
상기 제2 하단날개의 라운드 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복수 방향으로 굽힘 변형 가능한 제4 굽힘 와이어를 포함하는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hape control member is,
a first bending wire formed along a rounded edge of the first upper wing and capable of bending and deforming in multiple directions;
a second bending wire formed along a rounded edge of the first lower wing and capable of bending and deforming in multiple directions;
a third bending wire formed along the round edge of the second upper wing and capable of bending and deforming in multiple directions; and
A tag fixing device for a tea bag product including a fourth bending wire that is formed along the round edge of the second lower wing and can be bent and deformed in multiple directions.
상기 제1 하단날개와 상기 제2 하단날개 각각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의 무게 중심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정 무게를 갖는 웨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티백 제품의 태그고정장치.According to paragraph 3,
A tag fixing device for a tea bag product,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weight part provided on each of the first lower wing and the second lower wing and having a set weight to mov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ixing plate in a downward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2274U KR20240000564U (en) | 2022-09-23 | 2022-09-23 | Tea bag with cup-mountable ta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2274U KR20240000564U (en) | 2022-09-23 | 2022-09-23 | Tea bag with cup-mountable ta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0564U true KR20240000564U (en) | 2024-04-01 |
Family
ID=9065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20002274U KR20240000564U (en) | 2022-09-23 | 2022-09-23 | Tea bag with cup-mountable ta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00564U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2170A (en) | 2009-08-27 | 2011-03-07 | 정재훈 | Container for fixing tea bag |
-
2022
- 2022-09-23 KR KR2020220002274U patent/KR20240000564U/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2170A (en) | 2009-08-27 | 2011-03-07 | 정재훈 | Container for fixing tea ba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19631B1 (en) | Chair with backrest mounted item hook and drink holder | |
US3306512A (en) | Ice cream drip tray | |
US8752729B2 (en) | Combination dispensing and disposal container | |
JPH09500599A (en) | Ice cream support container | |
US20100326848A1 (en) | Clip Scoop | |
US20170050763A1 (en) | Apparatus for dispensing seeds and receiving skins | |
US20170065130A1 (en) | Potato Chip Lifter | |
US20120000884A1 (en) | Container With Adjustable Lift | |
KR20240000564U (en) | Tea bag with cup-mountable tag | |
US9173526B2 (en) | Potato chip lifter | |
US20120000883A1 (en) | Container with internal lift | |
US20080093433A1 (en) | Condiment receptacle for food container | |
JP2013502355A (en) | Plastic bottle with a recess to hold a straw | |
US6571984B1 (en) | Storage and loading system for bags | |
US7353970B1 (en) | Food and beverage article dispenser | |
CA2085185A1 (en) | Toilet seat holder | |
US9277842B2 (en) | Potato chip lifter | |
US20060060490A1 (en) | Double-ended tissue-wipe dispenser | |
US10780834B2 (en) | Apparatus for containing debris within vehicle interior door compartments | |
US9657449B2 (en) | Pet waste receptacle | |
US2075049A (en) | Paper cup | |
KR20240000565U (en) | Tea bag with cup-mountable tag | |
US721307A (en) | Folding support for cans. | |
US20100269477A1 (en) | Manual harvest system for fine wine grapes crop | |
US1574223A (en) | Capri-fig bask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