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383U -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383U
KR20240000383U KR2020220002041U KR20220002041U KR20240000383U KR 20240000383 U KR20240000383 U KR 20240000383U KR 2020220002041 U KR2020220002041 U KR 2020220002041U KR 20220002041 U KR20220002041 U KR 20220002041U KR 20240000383 U KR20240000383 U KR 202400003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glove body
electric vehicle
charging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협
Original Assignee
최정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협 filed Critical 최정협
Priority to KR2020220002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383U/ko
Publication of KR202400003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383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Gloves with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A41D19/0027Measuring instruments, e.g. watch, thermomet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76Protective gloves made of a patchwork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6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26Electrically protective, e.g.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or electric shoc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41D2500/54Synthetic resins or rubbers in coated form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46Shape recovering or form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장갑 몸체와 장갑 몸체의 손바닥면에 구비되는 수납부 및 수납부에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며,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구부리면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형상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기차 충전기 헤드를 잡고 전기차를 충전할 때 누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전자파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며, 사용자가 충전기 헤드를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기 헤드가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SAFETY GLOVE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본 고안은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전압 전기자동차 충전기 헤드를 이용하여 충전시 충전기 헤드의 낙하를 방지하고 감전 및 전자파로부터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자동차의 확장세가 가파르다. 전문가들은 2025년에 100만대가 훌쩍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추세는 앞으로 더 가속화 될 전망이다.
급격히 성장하는 전기차 시장에 발맞추어 충전인프라 시장도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정부는 친환경 자동차법을 개정하여 전기차 충전기 의무 설비 비율을 신축 건물은 0.5%에서 5%로 상향하였고, 기축 건물은 22년 공공을 시작으로 23년 민간건물에도 2% 의무 부과하기로 하였다. 2021년 7월 기준으로 국내에서 전기차 충전사업자로 약 219개의 기업 및 개인이 등록되어 있으며, 일부를 제외하고는, 고정형 충전기를 활용하여 충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가 성장하고 있는 만큼 문제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고속 충전기의 경우 대부분 건물 외부에 설치가 되어 있고, 800v의 고전압이 사용되며, 60V 이상은 고전압으로 분류되고 감전에 대한 두려움이 존재한다. 충전기 손잡이는 전자파 차폐 및 절연을 위해 플라스틱 소재로 되어 있고 빠른 급속 충전을 위해 초고전압 사용과 통과 전류의 양이 많으므로 점점 굵은 전선으로 설치되어 충전기 배선 자체가 상당한 무게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노약자나 여성이 취급시 낙하할 위험이 있고, 낙하시 고가의 충전기 파손과 이로 인한 수리비 발생한다.
또한 낙하 등의 이유로 충전기 헤드의 파손이 발생 될 시 충전기의 미세 크랙 발생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후속 사용자가 충전기를 잡을 경우 누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818988호 '전류 및 전압 측정 기능을 포함하는 절연 장갑'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818988호는 장갑 본체가 전기적 절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도전성 코팅부를 이용하여 전류의 흐름을 측정하고 전류 및 전압의 수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전류의 흐름이 감지될 경우 발광하고, 음향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21-0150205호 '전기 작업용 절연 장갑의 구조'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21-0150205호는 특고압 활선 작업시 절연용 고무장갑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용 고무장갑의 외부에 내마모성이 우수한 보호용 갑피를 덧씌워 착용하도록 제작되는 전기 작업용 절연 장갑의 구조를 개시한다.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절연용 고무장갑 및 절연용 고무장갑의 외부에 착용되는 보호용 외피장갑을 포함하고, 보호용 외피장갑은 내마모성 소재의 기능성 섬유 원사와 유연성 소재의 기능성 섬유 원사를 상호 꼬아 만든 합성 원사를 직조하여 제작된다.
종래 기술들은 과전류, 고전압과 같은 위험상황을 작업자에게 인지하도록 하거나,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들 뿐이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확산되고 있는 현 시점에 사용자가 충전기 헤드를 이용하여 전기차를 충전할 때 과전류 및 고전압으로부터 보호하는 것 뿐만 아니라 충전기 헤드를 안전하게 잡아 낙하 위험을 방지함으로써 충전기 헤드 뿐만 아니라 사용자도 보호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한 시점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898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150205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차 충전기 헤드를 잡고 전기차를 충전할 때 누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전자파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며, 사용자가 충전기 헤드를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기 헤드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안전장갑의 손바닥면에 구비된 전류감지부가 충전기 헤드에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감지된 전류 수치 및 수치에 해당하는 안전등급을 손등면의 표시부에 색깔별로 표시하거나, 감지된 전류 수치 및 일정수치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는 퓨즈가 끊어진 모습을 표시하여 전기차를 충전 중인 사용자에게 현재 충전기 헤드에 흐르는 전류의 상태가 어느정도인지 알려주는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장갑 몸체와 상기 장갑 몸체의 손바닥면에 구비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며,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구부리면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형상유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장갑 몸체의 손바닥면은 절연재질로 구성되며, 장갑 몸체의 손등면은 전자파 흡수재질로 구성된다.
장갑 몸체의 손바닥면과 손등면이 결합되는 부위를 따라 안쪽에는 방수재질의 원단이 삽입되어 손바닥면과 손등면 사이로 물의 침투를 방지한다.
그리고 장갑 몸체는 엄지 손가락이 들어가는 엄지부와 검지 손가락이 들어가는 검지부 그리고 중지, 약지, 소지가 같이 들어가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는 장갑 몸체의 손바닥 부위에서 파지부에 이르는 면적에 구비된다.
또한 장갑 몸체의 손바닥 부위와 파지부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기 헤드를 감싸쥔 상태에서 엄지부와 검지부는 형상유지부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움직임이 가능하다.
수납부의 표면은 실리콘 재질의 미끄럼 방지층을 포함한다.
형상유지부는 판 형상의 절연 성능을 포함하는 형상유지소재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전기차 충전기 헤드를 감싸쥐면 형상유지부가 충전기 헤드 둘레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수납부는 위와 같은 길이의 형상유지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장갑 몸체의 손가락 부위에서 손바닥면의 일정 부분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장갑 몸체의 손바닥면이 전기차 충전기 헤드를 감싸쥔 상태에서 충전기 헤드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감지하는 전류감지부와 장갑 몸체의 손등에 구비되며 전류감지부가 감지한 전류의 수치 및 수치에 해당하는 안전등급을 색깔별로 표시하거나, 감지된 전류 수치 및 일정수치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는 퓨즈가 끊어진 모습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장갑 몸체와 장갑 몸체의 손바닥면에 구비되어 전기차 충전기 헤드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용 덧댐피를 포함하며, 장갑 몸체의 손바닥면과 손등면이 결합되는 부위를 따라 안쪽에는 방수재질 원단이 삽입되어 손바닥면과 손등면 사이로 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장갑 몸체는 엄지 손가락이 들어가는 엄지부와 검지 손가락이 들어가는 검지부 및 중지, 약지, 소지가 같이 들어가는 파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장갑 몸체 및 장갑 몸체의 손바닥면에 구비되어 전기차 충전기 헤드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흡착판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용 흡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장갑 몸체의 손바닥면과 손등면이 결합되는 부위를 따라 안쪽에는 방수재질 원단이 삽입되어 손바닥면과 손등면 사이로 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장갑 몸체는 엄지 손가락이 들어가는 엄지부와 검지 손가락이 들어가는 검지부 및 중지, 약지, 소지가 같이 들어가는 파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전기차 충전기 헤드를 잡고 충전할 때 안전장갑에 구비된 미끄러짐 방지 기능과 형상유지부를 이용한 안전 파지 기능에 의해 충전기 헤드를 쉽게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충전기를 보호할 수 있다.
충전기가 낙하하여 충전기 헤드에 크랙이 발생하면 누전 및 전자파의 위험에 쉽게 노출되는데 낙하를 방지하여 충전기 헤드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기 헤드에 크랙이 발생시 안전장갑을 착용하고 충전함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안전장갑의 손바닥면에 구비된 전류감지 기능을 이용하여 충전기 헤드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손등면에 구비된 표시부에 충전기 헤드에 흐르는 전류의 수치 및 수치에 해당하는 안전등급을 색깔별로 표시하거나, 전류 수치와 일정수치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퓨즈가 끊어진 모습을 표시하여 전기차를 충전 중인 사용자에게 현재 충전기 헤드에 흐르는 전류의 상태가 위험한 상태인지, 안심하고 사용해도 되는지 알려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의 사시도(A)와 측면도(B),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을 착용후 전기차 충전기 헤드를 잡은 상태의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을 착용후 전기차 충전기 헤드를 잡았을 때 형상유지부가 충전기 헤드를 감싸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의 손바닥면에 전류감지부가 구비된 모습(A)과 전류감지부가 감지한 전류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손등면에 구비된 모습(B)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손바닥면에 전기차 충전기 헤드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용 덧댐피가 구비된 예시도(A)와 다수 개의 흡착판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용 흡착부가 구비된 예시도(B)
도 6은 본 고안의 형상유지부에 사용된 순수한 형상기억고분자(a)와 유리섬유로 강화된 형상기억고분자(b)의 변형 모습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한 것이며, 그 기술적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100)은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장갑 몸체(110), 장갑 몸체(110)의 손바닥면(111)에 구비되는 수납부(120), 수납부(120)에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며,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구부리면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형상유지부(130)로 구성된다.
장갑 몸체(110)의 손바닥면(111)은 절연재질로 구성되며, 장갑 몸체(110)의 손등면(113)은 전자파 흡수재질로 구성된다.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장갑 몸체(110)의 손바닥면(111)에 사용되는 절연 재질의 소재는 고무재질이나 절연성을 가진 합성수지재를 사용한다. 사용자가 충전기 헤드(200)를 잡으면 전자파는 동심원을 그리며 퍼져나가서 사용자가 착용한 장갑 몸체(110)의 손등 부위로 침투하기 때문에 손등면(113)은 전자파 차폐 및 흡수가 가능한 복합 기능성 원단으로 구성한다.
도 1(B)를 참고하면, 장갑 몸체(110)의 손바닥면(111)과 손등면(113)이 결합되는 부위를 따라 안쪽에는 방수재질의 원단(115)이 삽입되어 손바닥면(111)과 손등면(113) 사이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손바닥면(111)과 손등면(113)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박음질 작업을 하는데 그 사이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바닥면(111)과 손등면(113)이 밀착하는 부분의 내측 둘레에는 방수재질의 원단(115)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함께 박음질 작업을 함으로써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납부(120)는 장갑 몸체(110)의 손가락 끝 첫 마디 부위에서 손바닥면(111)의 일정 부분까지 길게 형성된다. 수납부(120)의 앞 부분은 형상유지부(130)를 넣고 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수납부(120)의 뒷 부분은 형상유지부(130)가 빠지지 않도록 막혀있다.
수납부(120)의 표면은 실리콘 재질의 미끄럼 방지층(121)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충전기 헤드(200)를 잡을 때 충전기 헤드(200)가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며, 형상유지부(130)는 판 형상의 절연 성능을 포함하는 형상유지소재로 이루어진다.
형상유지부(130)는 두께 2~3mm의 절연 성능을 포함하는 형상유지소재를 이용하여 전기가 통하지 않도록 하며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 후 손가락에 일정 이상의 힘을 주어 구부리면 휘어지는 재질을 사용하며, 다시 일정 이상의 힘을 주면 원래대로 펴지게 된다.
또한 형상유지부(130)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도 6을 참고하면, (a)는 본 발명에 사용된 순수한 형상기억고분자를 나타내며, (b)는 본 발명에 사용된 유리섬유로 강화된 형상기억고분자를 나타낸다.
(a) 순수한 형상기억고분자는 유리섬유로 강화된 형상기억고분자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된다. 순수한 형상기억고분자와 유리섬유로 강화된 형상기억고분자는 원래의 형상과 변형된 형상으로 구성된 이중형상을 갖는다. 형상기억고분자는 폴리우레탄 형상기억고분자, 에폭시 형상기억고분자, 탄소섬유 형상기억고분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순수한 형상기억고분자와 유리섬유로 강화된 형상기억고분자는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 후 일정 이상의 힘을 주어 구부리면 변형된 형상으로 휘어지며, 충전기 헤드(200)에서 일정 수치 이상의 전류나 일정 온도 이상의 열이 전달되면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펴지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장갑 몸체(110)에 일정 수준 이상의 전류나 열이 전달되는 경우 형상유지부(130)가 펴지면서 동시에 장갑 몸체(110)가 펴지게 되어 장갑에 전류가 흐르고 있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장갑에서 손을 신속하게 뺄 수 있어 누전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형상유지부(130)는 높은 절연성능 및 형상유지를 위해 고무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고무소재는 충전기 헤드(200)의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동그랗게 휘어진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수납부(120)에 삽입하면 장갑 몸체(110)가 동그랗게 휘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무소재를 사용하면 소재 자체가 충전기 헤드(200)를 잡기 편리한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성질이 있어 사용자가 충전기 헤드(200)를 쉽게 떨어뜨릴 염려를 없앨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100)의 장갑 몸체(11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엄지 손가락이 들어가는 엄지부(141)와 검지 손가락이 들어가는 검지부(142)와 중지, 약지, 소지가 같이 들어가는 파지부(143)로 구성되며, 수납부(120)는 장갑 몸체(110)의 손바닥(111) 부위에서 파지부(143)의 손가락 끝 마디에 이르는 면적에 구비된다.
엄지부(141), 검지부(142) 그리고 나머지 세 개의 손가락이 들어가는 파지부(143)의 세 개로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장갑 몸체(110)의 손바닥(111) 부위와 파지부(143)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기 헤드(200)를 감싸쥔 상태에서 엄지부(141)와 검지부(142)는 형상유지부(130)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움직임이 가능하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장갑(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전기차 충전기 헤드(200)를 감싸쥐면 형상유지부(130)가 충전기 헤드(200) 둘레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수납부(120)는 위와 같은 길이의 형상유지부(130)를 수납할 수 있도록 장갑 몸체(110)의 손가락 부위에서 손바닥면의 일정 부분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된다.
사용자가 충전기 헤드(200)를 쥔 상태에서 충전기 헤드(200)가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게 중요하며, 형상유지부(130)가 충전기 헤드(200)의 낙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형상유지부(130)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장갑(100)을 착용한 손가락을 구부렸을 때 충전기 헤드(200)를 제대로 감싸지 못하여 손가락이 쉽게 펴지게 되어 충전기 헤드(200)가 떨어질 염려가 있다. 또한 형상유지부(130)의 길이가 너무 길면 충전기 헤드(200) 둘레를 너무 많이 감싸게 되어 사용자가 장갑(100)에서 손을 쉽게 빼는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충전기 헤드(200)의 낙하를 방지하면서 사용자가 장갑(100)에 손을 넣고 빼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기 위해 수납부(120)와 그 안에 삽입되는 형상유지부(130)는 파지부(143)의 손가락 끝 마디에서 시작하여 손바닥면(111)의 일정길이(L)에 이르는 길이까지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일정길이(L)는 파지부(143)가 시작되는 위치에서 손바닥면(111)의 중간 위치에 약간 못미치는 정도의 길이가 바람직하며, 나머지 손바닥면(111)에는 아래에서 살펴볼 전류감지부(150)가 구비된다.
도 3을 보면 형상유지부(130)는 파지부(143)의 손가락 끝 마디에서 시작하여 손바닥면(111)의 일정길이(L)에 이르는 길이까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충전기 헤드(200)를 잡으면 형상유지부(130)가 충전기 헤드(200) 둘레의 약 절반 정도를 감싸면서 형상유지부(130)의 아래 부분은 충전기 헤드(200)를 받쳐줌으로써 충전기 헤드(20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100)은 전류감지부(150)와 표시부(160)를 구비한다.
도 4(A)를 참고하면, 전류감지부(150)는 장갑 몸체(110)의 손바닥면(111)이 전기차 충전기 헤드(200)를 감싸쥔 상태에서 충전기 헤드(200)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전류감지부(150)는 손바닥면(111)의 외부에 부착되며 표면에는 전류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는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전류 및 전압 측정이 가능한 제어회로를 구비한다.
도 4(B)를 참고하면, 표시부(160)는 장갑 몸체(110)의 손등면(113)에 구비되며 전류감지부(150)가 감지한 전류의 수치 및 수치에 해당하는 안전등급을 색깔별로 표시한다. 표시부(160)는 전류감지부(150)의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가 측정한 전류 수치 및 이에 해당하는 안전등급을 수신한다. 표시부(160)는 제어부가 측정한 전류 수치를 표시하는 전류수치표시부(161)와 전류 수치가 안전 등급에 해당하는 경우 녹색, 주의 등급에 해당하는 경우 노란색, 위험 등급에 해당하는 경우 붉은색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색상알람부(162)로 이루어진다. 또는 전류수치표시부(161)는 제어부가 측정한 전류 수치를 표시하고, 색상알람부(162)는 감지된 전류 수치가 일정 수치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과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퓨즈가 끊어진 모습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전류수치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하는 전류수치가 안전한 수치인지, 위험하지는 않지만 주의해야 하는 수치인지, 위험한 상황에 해당하여 충전기 헤드(200)의 사용을 중단해야 하는 상황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5(A)를 참고하면,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100)은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장갑 몸체(110)와 장갑 몸체(110)의 손바닥면(111)에 구비되어 전기차 충전기 헤드(2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용 덧댐피(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장갑 몸체(110)의 손바닥면(111)과 손등면(113)이 결합되는 부위를 따라 안쪽에는 방수재질 원단(115)이 삽입되어 손바닥면(111)과 손등면(113) 사이로 물의 침투를 방지한다.
또한, 장갑 몸체(110)는 엄지 손가락이 들어가는 엄지부(141)와 검지 손가락이 들어가는 검지부(142) 그리고 중지, 약지, 소지가 같이 들어가는 파지부(143)로 구성된다. 다른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았으나 도 1 내지 4를 참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납부(120) 및 형상유지부(130)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며, 수납부(120)와 형상유지부(130) 대신에 미끄럼방지용 덧댐피(170)를 구비한다. 미끄럼방지용 덧댐피(17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충전기 헤드(200)를 잡은 상태에서 밀착하여 충전기 헤드(200)가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미끄럼방지용 덧댐피(170)는 파지부(143)의 손가락 끝 마디에서 시작하여 손바닥면(111)의 일정길이(L)에 이르는 길이까지 형성되도록 한다.
도 5(B)를 참고하면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100)은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장갑 몸체(110)와 장갑 몸체(110)의 손바닥면(111)에 구비되어 전기차 충전기 헤드(2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흡착판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용 흡착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장갑 몸체(110)의 손바닥면(111)과 손등면(113)이 결합되는 부위를 따라 안쪽에는 방수재질 원단(115)이 삽입되어 손바닥면(111)과 손등면(113) 사이로 물의 침투를 방지한다.
또한, 장갑 몸체(110)는 엄지 손가락이 들어가는 엄지부(141)와 검지 손가락이 들어가는 검지부(142) 그리고 중지, 약지, 소지가 같이 들어가는 파지부(143)로 구성된다. 다른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았으나 도 1 내지 4를 참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납부(120) 및 형상유지부(130)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며, 수납부(120)와 형상유지부(130) 대신에 미끄럼방지용 흡착부(180)를 구비한다. 미끄럼방지용 흡착부(180)는 고무 재질의 여러 개의 흡착판이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며 안쪽은 오목하게 파여있어 사용자가 충전기 헤드(200)를 잡으면 여러 개의 흡착판이 충전기 헤드(200)를 흡착하여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미끄럼방지용 흡착부(180)는 파지부(143)의 손가락 끝 마디에서 시작하여 손바닥면(111)의 일정길이(L)에 이르는 길이까지 형성되도록 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은 전기차 충전기 헤드를 잡고 충전할 때 충전기 헤드가 장갑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충전기 헤드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누전 및 전자파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함으로써 전기차 충전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충전기 헤드에 흐르는 전류 수치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를 안심시켜 줄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지만, 첨부 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 110 : 장갑 몸체
111: 손바닥면 113 : 손등면
114 : 결합면 115 : 방수재질 원단
120 : 수납부 121 : 실리콘 재질의 미끄럼 방지층
130 : 형상유지부 141 : 엄지부
142 : 검지부 143 : 파지부
150 : 전류감지부 160 : 표시부
161 : 전류수치표시부 162 : 색상알람부
170 : 미끄럼방지용 덧댐피 180 : 미끄럼방지용 흡착부
200 : 전기차 충전기 헤드

Claims (11)

  1.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장갑 몸체;
    상기 장갑 몸체의 손바닥면에 구비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에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며,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구부리면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형상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갑 몸체의 손바닥면은 절연재질로 구성되며, 장갑 몸체의 손등면은 전자파 흡수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갑 몸체의 손바닥면과 손등면이 결합되는 부위를 따라 안쪽에는 방수재질의 원단이 삽입되어 손바닥면과 손등면 사이로 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갑 몸체는 엄지 손가락이 들어가는 엄지부;
    검지 손가락이 들어가는 검지부; 및
    중지, 약지, 소지가 같이 들어가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는 장갑 몸체의 손바닥 부위에서 파지부에 이르는 면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
  5. 청구항 4에 있어서,
    장갑 몸체의 손바닥 부위와 파지부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기 헤드를 감싸쥔 상태에서 엄지부와 검지부는 상기 형상유지부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표면은 실리콘 재질의 미끄럼 방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는 판 형상의 절연 성능을 포함하는 형상유지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
  8. 청구항 7에 있어서,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전기차 충전기 헤드를 감싸쥐면 상기 형상유지부가 충전기 헤드 둘레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는 위와 같은 길이의 형상유지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장갑 몸체의 손가락 부위에서 손바닥면의 일정 부분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갑 몸체의 손바닥면이 전기차 충전기 헤드를 감싸쥔 상태에서 충전기 헤드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감지하는 전류감지부; 및
    장갑 몸체의 손등에 구비되며 전류감지부가 감지한 전류의 수치 및 수치에 해당하는 안전등급을 색깔별로 표시하거나, 감지된 전류 수치 및 일정수치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는 퓨즈가 끊어진 모습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
  10.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장갑 몸체; 및
    장갑 몸체의 손바닥면에 구비되어 전기차 충전기 헤드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용 덧댐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장갑 몸체의 손바닥면과 손등면이 결합되는 부위를 따라 안쪽에는 방수재질 원단이 삽입되어 손바닥면과 손등면 사이로 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상기 장갑 몸체는 엄지 손가락이 들어가는 엄지부와
    검지 손가락이 들어가는 검지부 및
    중지, 약지, 소지가 같이 들어가는 파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
  11.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장갑 몸체; 및
    장갑 몸체의 손바닥면에 구비되어 전기차 충전기 헤드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흡착판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용 흡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장갑 몸체의 손바닥면과 손등면이 결합되는 부위를 따라 안쪽에는 방수재질 원단이 삽입되어 손바닥면과 손등면 사이로 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상기 장갑 몸체는 엄지 손가락이 들어가는 엄지부와
    검지 손가락이 들어가는 검지부 및
    중지, 약지, 소지가 같이 들어가는 파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
KR2020220002041U 2022-08-22 2022-08-22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 KR202400003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041U KR20240000383U (ko) 2022-08-22 2022-08-22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041U KR20240000383U (ko) 2022-08-22 2022-08-22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383U true KR20240000383U (ko) 2024-02-29

Family

ID=9004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041U KR20240000383U (ko) 2022-08-22 2022-08-22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383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988B1 (ko) 2016-02-16 2018-01-16 전종환 전류 및 전압 측정 기능을 포함하는 절연 장갑
KR20210150205A (ko) 2020-06-03 2021-12-10 한국전력공사 전기 작업용 절연 장갑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988B1 (ko) 2016-02-16 2018-01-16 전종환 전류 및 전압 측정 기능을 포함하는 절연 장갑
KR20210150205A (ko) 2020-06-03 2021-12-10 한국전력공사 전기 작업용 절연 장갑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4611A (en) Heat resistant protective hand covering
KR20240000383U (ko) 전기차 충전용 안전장갑
CN207639713U (zh) 一种具有漏电报警功能的绝缘手套
CN104223500B (zh) 手套
US20160124508A1 (en) Waterproof touchscreen glove
JP4563724B2 (ja) 防護用作業手袋
ES2541127T3 (es) Dispositivo que permite detectar, controlar y alimentar con energía eléctrica equipos individuales calentantes
KR20180032405A (ko) 방호복
CN204599422U (zh) 一种新型电力防护手套
KR101752483B1 (ko) 다기능 장갑
CN204519449U (zh) 一种多功能绝缘手套
CN108031019A (zh) 一种停电情况下输电线路陪同下降疏散救援方法
CN206586449U (zh) 一种消防用绝缘手套
KR101918202B1 (ko) 손가락 발열장치를 구비한 장갑
SE542782C2 (en) Ice claw
CN212520929U (zh) 一种阻燃型安全防护手套
CN212117239U (zh) 预防触电智慧手套
CN219146854U (zh) 一种耐高温的阻燃手套
CN216059350U (zh) 一种便于更换的耐用性绝缘手套
US20040148680A1 (en) Protective clothing, in particular glove
CN216220260U (zh) 一种防电弧服
CN215913404U (zh) 一种隔热效果好的消防手套
CN217645697U (zh) 一种具有漏电防护的阻燃型安全带
CN214283483U (zh) 一种指尖防割防护涤纶手套
CN217851493U (zh) 火灾事故勘察专用防护手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