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199U - Multi-layered pillow - Google Patents

Multi-layered pil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199U
KR20240000199U KR2020220001826U KR20220001826U KR20240000199U KR 20240000199 U KR20240000199 U KR 20240000199U KR 2020220001826 U KR2020220001826 U KR 2020220001826U KR 20220001826 U KR20220001826 U KR 20220001826U KR 20240000199 U KR20240000199 U KR 202400001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user
horizontal
layer
cervical s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82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형걸
Original Assignee
투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투에이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투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20001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199U/en
Publication of KR202400001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199U/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A47G9/0253Pillow sl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00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 B68G2001/005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for pillows or duv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경추 깊이에 맞추어 사용이 가능하면서 누웠을 때 자세 변환에도 목과 어깨를 부담없이 편하게 지지할 수 있는 다층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는 수평 좌우 방향을 따라 중앙부와 좌, 우측부를 각각 구획하는 복수의 세로 누빔선과 수평 전후 방향을 따라 사용자의 머리부와 목부를 구획하는 가로 누빔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누빔선을 포함하는 제1 베개; 상기 제1 베개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되고, 사용자의 경추 깊이에 대응하여 수평 좌우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경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 베개; 및 상기 제1 베개 또는 상기 제2 베개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전체 베개의 수직 방향 높이를 사용자에 의해 조절 가능하도록 평평한 패드 형태로 형성되는 제3 베개;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베개가 조합 적층되어 구성되는, 다층 베개가 제공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pillow that can be adjusted to the user's desired height,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user's cervical spine depth, and can comfortably support the neck and shoulders without burden even when changing posture when lying down. For this purpos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vertical quilting lines that divide the center, left, and right portions along the horizontal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horizontal quilting lines that divide the user's head and neck along the horizontal front and rear directions. A first pillow including a quilting line; a second pillow that is selectivel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illow and includes a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protruding to have a length along the horizontal left and right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user's cervical spine; and a third pillow that is selectively provided under the first pillow or the second pillow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ad so that the vertical height of the entire pillow can be adjusted by the user. Among them, a multi-layer pillow is provided, which is composed of at least two or more pillows stacked in combination.

Description

다층 베개 {MULTI-LAYERED PILLOW}MULTI-LAYERED PILLOW}

본 고안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경추 깊이에 맞추어 사용이 가능하면서 누웠을 때 자세 변환에도 목과 어깨를 부담없이 편하게 지지할 수 있는 다층 베개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pillow that can be adjusted to the user's desired height,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user's cervical spine depth, and can comfortably support the neck and shoulders without burden even when changing posture when lying down.

일반적으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아주 편안한 상태에서의 숙면을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숙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각종 침구류(베개, 이불, 요, 침대 등)가 사용되고, 특히 베개는 인체에 가장 중요한 머리부위에 받쳐 사용하게 되므로 적절한 사용 높이와 지지력 및 구션력이 요구되며 숙면을 위한 기본적이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In general, in order to maintain health, it is very important to get a good night's sleep in a very comfortable state. To get a good night's sleep, various bedding (pillows, blankets, mattresses, beds, etc.) are used, and in particular, pillows ar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head to the human body. Since it is used with support, an appropriate height of use, support, and cushioning power are required, which are the basic and most important factors for a good night's sleep.

수면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베개는 편안한 숙면뿐만 아니라 경추(목뼈)의 안정적인 지지나 목 주변 근육의 이완과 같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사람마다 경추의 모양과 깊이는 제각각이므로 자신에게 알맞은 베개의 높이를 사용하여 목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 신체의 건강과 숙면에 중요하다.In the process of sleeping, pillow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not only providing comfortable sleep but also providing stable support for the cervical spine and relaxation of the muscles around the neck. Since the shape and depth of the cervical vertebrae are different for each person, reducing the burden on the neck by using a pillow height that is appropriate for one's body is important for physical health and a good night's sleep.

그러나, 종래의 베개는 입면 시 모양과 높이가 알맞았더라도 취침 중 무의식적인 뒤척임으로 인해 베개 속을 채우는 충진재가 어느 한 쪽으로 쏠리게 되면서 경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해 취침 시 불편함을 초래하였다.However, even if the conventional pillow had the right shape and height when lying down, the filling material inside the pillow was tilted to one side due to unconscious tossing and turning during sleep, causing discomfort while sleeping because it could not stably support the cervical spine.

자신에게 알맞은 높이의 베개를 선택하였더라도 때로는 신체 또는 건강상태의 변화, 상황에 의해 베개의 상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출 필요가 생기게 되는데, 통상 베개를 높일 때에는 두 개 이상의 베개를 포개어 베는 경우가 많으며, 베개를 포개어 베게 되면 높이 및 모양 유지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너무 높은 경우, 등이 뜨고 목이 가슴 쪽으로 꺽이게 되어 호흡에 불편을 초래하거나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았다. 베개의 높이를 너무 낮게 하는 경우에는 목 뒤에 빈틈이 생겨 목과 어깨 근육에 피로감을 주고 고개가 뒤로 젖혀지면서 호흡에 불편함을 초래한다. 또한, 베개를 베지 않는 경우에는 머리가 심장보다 낮게 위치하여 원활한 혈류를 방해하고 근육에도 피로감을 주게 된다.Even if you have chosen a pillow of the appropriate height, sometimes it becomes necessary to raise or lower the height of the pillow due to changes in body or health status or circumstances. Usually, when raising a pillow, two or more pillows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Not only was it difficult to maintain the height and shape when the pillows we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but if the pillows were too high, the back would rise and the neck would bend toward the chest, causing discomfort in breathing or causing pain. If the height of the pillow is set too low, a gap is created behind the neck, causing fatigue to the neck and shoulder muscles and causing discomfort in breathing as the head is tilted back. Additionally, if you do not use a pillow, your head will be positioned lower than your heart, which will interfere with smooth blood flow and cause muscle fatigue.

따라서, 베개를 베고 누운 사람이 필요에 따라 베개의 상하 높이를 수시로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 목에 부담을 주지 않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베개가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pillow that allows a person lying down on a pillow to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pillow up and down at any time as needed, while eliminating or minimizing the burden on the neck.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9874호(2001.11.16.)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49874 (November 16, 2001)

본 고안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경추 깊이에 맞추어 사용이 가능하면서 누웠을 때 자세 변환에도 목과 어깨를 부담없이 편하게 지지할 수 있는 다층 베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multi-layer pillow that can be adjusted to the user's desired height,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user's cervical spine depth, and can comfortably support the neck and shoulders without burden even when changing posture when lying dow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 좌우 방향을 따라 중앙부와 좌, 우측부를 각각 구획하는 복수의 세로 누빔선과 수평 전후 방향을 따라 사용자의 머리부와 목부를 구획하는 가로 누빔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누빔선을 포함하는 제1 베개; 상기 제1 베개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되고, 사용자의 경추 깊이에 대응하여 수평 좌우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경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 베개; 및 상기 제1 베개 또는 상기 제2 베개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전체 베개의 수직 방향 높이를 사용자에 의해 조절 가능하도록 평평한 패드 형태로 형성되는 제3 베개;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베개가 조합 적층되어 구성되는, 다층 베개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vertical quilting lines dividing the center, left, and right parts respectively along the horizontal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horizontal quilting line dividing the user's head and neck along the horizontal front and rear directions. A first pillow including a quilting line; a second pillow that is selectivel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illow and includes a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protruding to have a length along the horizontal left and right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user's cervical spine; and a third pillow that is selectively provided under the first pillow or the second pillow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ad so that the vertical height of the entire pillow can be adjusted by the user. Among them, a multi-layer pillow is provided, which is composed of at least two or more pillows stacked in combination.

상기 제1 베개의 가로 누빔선은 사용자의 경추 깊이에 대응하여 수평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목부가 상기 머리부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horizontal quilting line of the first pillow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neck portion is formed to be larger or smaller than the head portion along the horizontal front-to-back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user's cervical spine.

그리고, 상기 제1 베개의 좌, 우측부는 상기 중앙부보다 수직 방향을 따라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first pillow may be formed to be hig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central portion.

이때, 상기 좌, 우측부는 해당되는 세로 누빔선을 기준으로 양측 끝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and right parts are formed so that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toward both ends based on the corresponding vertical quilting line.

상기 제2 베개는, 수평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경추 지지부와 연결되는 중앙부에서 상기 경추 지지부의 반대측 끝단으로 갈수록 곡선 형태로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illow may be formed in a curved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central portion connected to the cervical vertebral support portion along the horizontal front-back direction to the opposite end of the cervical vertebral support portion.

상기 제3 베개는, 사용자에 의해 복수로 적층 구비되어 전체 수직 방향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third pillow can be stacked in multiple pieces by the user so that the overall vertical height can be adjusted.

한편, 상기 제1 베개는 내부에 볼 형태의 구름솜 또는 기능성 솜이 충진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베개와 상기 제3 베개는 메모리폼 소재와 라텍스 소재 및 에어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pillow may be formed by filling the inside with ball-shaped cloud cotton or functional cotton, and the second pillow and the third pillow may be formed by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emory foam material, a latex material, and an air coil. You can.

그리고, 상기 조합 적층되는 2개 이상의 베개는, 상호 봉제에 의한 연결 방식과 고무밴드에 의한 연결 방식과 단추에 의한 연결 방식 및 벨크로에 의한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wo or more pillows that are combined and stacked may be connected in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ways: a connection method by mutual sewing, a connection method by a rubber band, a connection method by a button, and a connection method by Velcro.

이때, 본 실시예의 다층 베개는, 상기 조합 적층되는 2개 이상의 베개가 내부에 수용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ulti-layer pillow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cover in which two or more pillows to be combined and stacked are accommodated therein.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베개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선택적으로 조절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adjust the height of the pillow to a desired height.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경추 깊이에 맞추어 베개의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illow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user's cervical spine depth.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누웠을 때 자세 변환을 하더라도 목고 어깨를 부담없이 편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neck and shoulders can be comfortably supported without burden even if the user changes posture when lying dow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베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제1 베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구성도들
도 4는 도 1의 제2 베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제2 베개와 제3 베개가 커버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제1 베개에 도 5의 커버에 수용된 제2, 3 베개가 고무밴드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다층 베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들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layer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s 3a and 3b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first pillow of Figure 1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second pillow of Figure 1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illow and the third pillow of Figure 1 are accommodated in the cover.
Figure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and third pillows accommodated in the cover of Figure 5 are connected to the first pillow of Figure 1 by a rubber band.
7A to 7C are combined perspective views showing multi-layer pillows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되는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nly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meanings.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one or more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existence or possibility of any other characteristic, number, step, operation, element, or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베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제1 베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구성도들이고, 도 4는 도 1의 제2 베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제2 베개와 제3 베개가 커버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제1 베개에 도 5의 커버에 수용된 제2, 3 베개가 고무밴드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layer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And, Figures 3a and 3b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first pillow of Figure 1,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second pillow of Figure 1, and Figure 5 is a second and third pillow of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cover, and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pillow of FIG. 1 and the second and third pillows accommodated in the cover of FIG. 5 are connected by a rubber ban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베개(100)는, 크게 사용자의 경추를 포함하는 머리가 직접 접촉되는 제1 베개(110)와, 상기 제1 베개(11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제2 베개(120)와, 상기 제2 베개(12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제3 베개(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multi-layer pillow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first pillow 110 with which the user's head, including the cervical spine, directly contacts, and the first pillow 110 ) may include a second pillow 120 selectively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illow 120 and a third pillow 130 selectively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illow 120.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1 베개(110)는 수평 좌우 방향을 따라 중앙부(111)와 좌, 우측부(112, 113)를 각각 구획하는 복수의 세로 누빔선(114)과, 수평 전후 방향을 따라 사용자의 머리부(110a)와 목부(110b)를 구획하는 가로 누빔선(115)을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first pillow 110 has a plurality of vertical quilting lines 114 dividing the central portion 111 and the left and right portions 112 and 113, respectively, along the horizontal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long the horizontal front and rear directions. It may include a horizontal quilting line 115 that divides the user's head 110a and neck 110b.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베개(110)에 상기 복수의 세로 누빔선(114)과 상기 가로 누빔선(115)이 모두 구비된 것을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복수의 세로 누빔선(114)과 상기 가로 누빔선(1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disclosed that the first pillow 110 is provided with both the plurality of vertical quilting lines 114 and the horizontal quilting lines 115,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lurality of vertical quilting lines ( 114) and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quilting lines 115 may be provided.

여기서,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가로 누빔선(115)은, 사용자의 경추(목 뒤에 C 커브 형태로 들어간 부분) 깊이에 대응하여 수평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목부(110b)가 상기 머리부(110a)보다 작거나 크게 형성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horizontal quilting line 115 moves the neck portion 110b along the horizontal front-back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user's cervical spine (the part that enters the back of the neck in the form of a C curve). It may be provided in a position that is smaller or larger than the portion 110a.

즉, 사용자가 마른 체형이거나 체구가 작은 경우 일 예로 여성의 경우 경추의 깊이가 낮기 때문에 상기 가로 누빔선(115)을 기준으로 상기 머리부(110a)보다 상기 목부(110b)를 작게 형성한 제1 베개(110)를 선택 적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덩치가 크거나 뚱뚱한 경우 일 예로 체격이 좋은 남자의 경우 경추의 깊이가 깊기 때문에 상기 가로 누빔선(115)을 기준으로 상기 머리부(110a)보다 상기 목부(110b)를 크게 형성한 제1 베개(110)를 선택 적용할 수 있다.That is, if the user is thin or small, for example, in the case of women, the depth of the cervical spine is low, so the first neck portion 110b is formed smaller than the head portion 110a based on the horizontal quilting line 115. The pillow 110 can be selected and applied, and if the user is large or obes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an with a good physique, the depth of the cervical spine is deeper than the head portion 110a based on the horizontal quilting line 115. The first pillow 110 having a large neck portion 110b can be selected and applied.

이때, 상기 목부(110b)는 상기 머리부(110a)보다 수직 방향으로 더 돌출 형성하여, 즉 부피감이 더 있도록 형성하여 사용자의 경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eck portion 110b is formed to protrude mor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head portion 110a, that is, is formed to have more volume, so that the user's cervical spine can be stably supported.

그리고, 상기 제1 베개(110)의 좌, 우측부(112, 113)는 상기 중앙부(111)보다 수직 방향을 따라 더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좌, 우측부(112, 113)는 해당되는 세로 누빔선(114)을 기준으로 양측 끝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parts 112 and 113 of the first pillow 110 may be formed hig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central part 111, and the left and right parts 112 and 113 may have the correspond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increases gradually toward both ends based on the vertical quilting line 114.

이때, 상기 제1 베개(110)는 베개피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충진재는 볼 형태의 구름솜 또는 기능성 솜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라텍스 및 메모리폼을 작게 절단한 칩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좌, 우측부(112, 113)가 상술한 구조를 갖도록 베개피의 형태를 대응되는 형태로 디자인하여 중앙부(111)의 내부보다 충진재가 더 많은 양으로 주입되어 부피가 커지도록 하는 구조이다.At this time, the first pillow 110 may be formed by filling the inside of the pillow skin with a filler. The filler may be composed of ball-shaped cloud cotton or functional cotton, o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chips made by cutting latex and memory foam into small pieces.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parts (112, 113) are designed to have a corresponding shape so that the left and right parts (112, 113) have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o that a larger amount of filler is injected into the central part (111) to increase its volume. .

이는 사용자의 경추 깊이보다 어깨의 깊이(두께)가 더 크고 두껍기 때문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옆으로 돌리는 자세 변환시 어깨가 눌리는 듯한 압박감을 방지하고 이에 목과 어깨를 부담없이 편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Because the depth (thickness) of the shoulder is greater and thicker than the depth of the user's cervical spine, it prevents pressure on the shoulder when the user changes posture from lying down to turning to the side, and thus supports the neck and shoulders comfortably and stably without burden.

또한, 상기 제1 베개(110)는 사용자의 경추와 머리가 직접 접촉하는 부위로 내부 충진재를 달리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경도 등 부드러움 정도를 최적으로 선택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illow 110 is an area where the user's cervical spine and head are in direct contact, and the internal filling materials can be varied to optimally select and apply the degree of softness such as hardness felt by the user.

도 4를 더 참조하면, 상기 제2 베개(120)는 사용자의 경추 깊이에 대응하여 수평 좌우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경추 지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폼 소재 또는 라텍스 소재 또는 고무 소재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4, the second pillow 120 may include a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121 protruding to have a length along the horizontal left and right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user's cervical spine, and may be made of memory foam material, latex material, or It can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rubber material.

이에, 상기 제1 베개(110)의 목부(110b)를 통해 사용자의 경추를 1차적으로 맞는 높이로 받쳐주고, 상기 제2 베개(120)의 경추 지지부(121)를 통해 사용자의 경추를 2차적으로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받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s cervical spine is primarily supported at an appropriate height through the neck portion 110b of the first pillow 110, and the user's cervical spine is secondaryly supported through the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121 of the second pillow 120. It can be supported stably and firmly.

이때, 상기 제2 베개(120)는, 수평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경추 지지부(121)와 연결되는 중앙부(122)에서 상기 경추 지지부(121)의 반대측 끝단(123)으로 갈수록 곡선 형태로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pillow 120 gradually increases in height in a curved shape as it moves from the central part 122 connected to the cervical spine support unit 121 along the horizontal front-back direction to the opposite end 123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unit 121. It can be formed into a tall structure.

이에, 상기 제2 베개(120)는 사용자의 머리 후두부가 잘 맞도록 중앙부(122)가 낮고 반대측 끝단(123)으로 갈수록 다시 높아짐으로써 사용자의 턱이 들려 고개가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pillow 120 has a low center portion 122 to fit the back of the user's head well, and becomes higher again toward the opposite end 123, so that the user's chin can be lifted and the head cannot be tilted back stably. there is.

상기 제3 베개(130)는 상기 제1 베개(110) 또는 상기 제2 베개(12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이를 포함하는 전체 다층 베개의 수직 방향 높이가 사용자에 의해 조절 가능하도록 한다.The third pillow 130 is selectively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illow 110 or the second pillow 120 so that the vertical height of the entire multi-layer pillow including the third pillow 130 can be adjusted by the user.

이때, 상기 제3 베개(130)는 평평한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높이 조절을 위해 복수로 다단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third pillow 130 may be formed in a flat square shape,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formed by stacking multiple layers to adjust the height.

상기 제3 베개(130) 역시 메모리폼 소재와 라텍스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에어코일이 적용된 탄성 구조 등 다양한 소재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pillow 130 may also be made of memory foam material, latex material, etc., and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and structures, such as an elastic structure to which an air coil is applied.

본 실시예의 다층 베개(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베개(120)와 상기 제3 베개(130)를 함께 수용하는 커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multi-layer pillow 1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cover 140 that accommodates the second pillow 120 and the third pillow 130 together.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베개(120)와 상기 제3 베개(130)가 수용된 커버(140)는, 상기 제1 베개(110)의 하면에 구비된 고무밴드(150)에 의해 연결되어 전체가 하나의 다층 베개를 구성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6, the cover 140 in which the second pillow 120 and the third pillow 130 are accommodated is a rubber band 150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illow 110. can be connected to form a single multi-layer pillow.

이때, 자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커버(140)는 상기 제1 베개(110)와 고무밴드(150) 대신 봉제에 의한 연결 방식으로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똑닥이 단추 등에 의한 연결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찍찍이와 같은 벨크로에 의한 연결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cover 14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pillow 110 and the rubber band 150 by sewing, or may be connected by a button, etc., It can be connected in various ways, such as by connecting with Velcro, such as a snap.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다층 베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들로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베개(110)와 상기 제2 베개(120)만을 적층 연결하여 다층 베개를 구성할 수도 있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베개(110)와 상기 제3 베개(130)만을 적층 연결하여 다층 베개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베개(120)와 상기 제3 베개(130)만을 적층 연결하여 다층 베개를 구성할 수도 있다.FIGS. 7A to 7C are combined perspective views showing multi-layer pillows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A, only the first pillow 110 and the second pillow 120 are stacked and connected to form a multi-layer pillow. A pillow may be formed, or a multi-layer pillow may be formed by stacking and connecting only the first pillow 110 and the third pillow 130, as shown in Figure 7b, and as shown in Figure 7c, the third pillow 110 A multi-layer pillow may be formed by stacking and connecting only the second pillow 120 and the third pillow 130.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다층 베개는 상기 제1 베개(110)와 상기 제2 베개(120) 및 상기 제3 베개(130)의 전부를 사용하거나 어느 하나를 제외하고 나머지 2개의 베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 및 취향에 따라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ulti-layer pillow of this embodiment uses all of the first pillow 110, the second pillow 120, and the third pillow 130, or excludes one and uses the remaining two pillows to allow the user to You can use them in appropriate combinations depending on your desired height and preference.

이상에서 본 고안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is patent claim as well as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later.

100 : 다층 베개
110 : 제1 베개
110a : 머리부
110b : 목부
111 : 제1 베개의 중앙부
112 : 좌측부
113 : 우측부
114 : 세로 누빔선
115 : 가로 누빔선
120 : 제2 베개
121 : 경추 지지부
122 : 제2 베개의 중앙부
123 : 경추 지지부의 반대측 끝단
130 : 제3 베개
140 : 커버
150 : 고무밴드
100: multi-layer pillow
110: first pillow
110a: head
110b: xylem
111: Central part of the first pillow
112: left side
113: right side
114: vertical quilting line
115: horizontal quilting line
120: second pillow
121: cervical spine support
122: Central part of the second pillow
123: Opposite end of cervical spine support
130: Third pillow
140: cover
150: rubber band

Claims (9)

수평 좌우 방향을 따라 중앙부와 좌, 우측부를 각각 구획하는 복수의 세로 누빔선과 수평 전후 방향을 따라 사용자의 머리부와 목부를 구획하는 가로 누빔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누빔선을 포함하는 제1 베개;
상기 제1 베개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되고, 사용자의 경추 깊이에 대응하여 수평 좌우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경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 베개; 및
상기 제1 베개 또는 상기 제2 베개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전체 베개의 수직 방향 높이를 사용자에 의해 조절 가능하도록 평평한 패드 형태로 형성되는 제3 베개;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베개가 조합 적층되어 구성되는, 다층 베개.
A first pillow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vertical quilting lines that divide the center, left, and right portions along the horizontal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horizontal quilting lines that divide the user's head and neck along the horizontal front and rear directions;
a second pillow that is selectivel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illow and includes a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protruding to have a length along the horizontal left and right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user's cervical spine; and
a third pillow that is selectively provided under the first pillow or the second pillow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ad so that the vertical height of the entire pillow can be adjusted by the user; middle,
A multi-layer pillow composed of at least two or more pillows stacked in combin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베개의 가로 누빔선은 사용자의 경추 깊이에 대응하여 수평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목부가 상기 머리부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다층 베개.
In claim 1,
The horizontal quilting line of the first pillow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neck portion is formed to be larger or smaller than the head portion along the horizontal front-back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user's cervical spin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베개의 좌, 우측부는 상기 중앙부보다 수직 방향을 따라 더 높게 형성되는, 다층 베개.
In claim 1 or claim 2,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first pillow are formed to be hig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central por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부는 해당되는 세로 누빔선을 기준으로 양측 끝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다층 베개.
In claim 3,
A multi-layer pillow in which the left and right parts are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in height toward both ends based on the corresponding vertical quilting li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베개는, 수평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경추 지지부와 연결되는 중앙부에서 상기 경추 지지부의 반대측 끝단으로 갈수록 곡선 형태로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다층 베개.
In claim 1,
The second pillow is a multi-layer pillow formed in a curved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central portion connected to the cervical vertebral support portion along the horizontal front-back direction to an end opposite to the cervical vertebral support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베개는, 사용자에 의해 복수로 적층 구비되어 전체 수직 방향 높이가 조절되는, 다층 베개.
In claim 1,
The third pillow is a multi-layer pillow in which a plurality of pillows are stacked by the user and the overall vertical height is adjus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베개는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베개와 상기 제3 베개는 메모리폼 소재와 라텍스 소재 및 에어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다층 베개.
In claim 1,
The first pillow is formed by filling the inside with a filler material, and the second pillow and the third pillow are formed by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emory foam material, a latex material, and an air coi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합 적층되는 2개 이상의 베개는, 상호 봉제에 의한 연결 방식과 고무밴드에 의한 연결 방식과 단추에 의한 연결 방식 및 벨크로에 의한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되는, 다층 베개.
In claim 1,
A multi-layer pillow wherein the two or more pillows to be combined and stacked are connected by at least one of a connection method by mutual sewing, a connection method by a rubber band, a connection method by a button, and a connection method by Velcro.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합 적층되는 2개 이상의 베개가 내부에 수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다층 베개.
In claim 1,
A multi-layer pillow comprising a cover in which two or more pillows that are stacked in combination are accommodated therein.
KR2020220001826U 2022-07-27 2022-07-27 Multi-layered pillow KR2024000019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826U KR20240000199U (en) 2022-07-27 2022-07-27 Multi-layered pil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826U KR20240000199U (en) 2022-07-27 2022-07-27 Multi-layered pill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199U true KR20240000199U (en) 2024-02-05

Family

ID=89859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826U KR20240000199U (en) 2022-07-27 2022-07-27 Multi-layered pill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199U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874Y1 (en) 2001-07-02 2001-11-16 유금열 health pillow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874Y1 (en) 2001-07-02 2001-11-16 유금열 health pill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1353B2 (en) Arm pillow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KR200489782Y1 (en) Pillow having 3 layers
US201102525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ody support
KR101577903B1 (en) pillow for effect of correction and treatment
KR102109986B1 (en) Faculty pillow
JP3124497U (en) Improved bedding set
KR101930643B1 (en) a pillowa
KR20160016311A (en) The pillow of sleep like a log
KR20240000199U (en) Multi-layered pillow
KR101768611B1 (en) Pillow
WO2009044956A1 (en) Pillow
KR100444950B1 (en) The pillow
JP3137305U (en) Cervical spine support / height adjustment pillow
CN209769898U (en) Adjustable sleep-relaxing hose pillow and bedding
JP2001161501A (en) Underlaying bedding
JPH10146247A (en) Cushion material
KR20040101584A (en) Multi-hardness and elastomer of Health pillow for control of Height
KR200451415Y1 (en) Adjustable height pillow
JPH10117916A (en) Posture adjustment bedding
CN217245352U (en) Health-care physiotherapy composite adjustable pillow
KR102639636B1 (en) Cervical Pillow
KR102611491B1 (en) Functional soundproof pillow
KR102630894B1 (en) Double Structure Pillow
KR200497926Y1 (en) Pil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