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031A - Method for manufacturing food tray and food tray manufactured by th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food tray and food tray manufactured by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031A
KR20240000031A KR1020220076329A KR20220076329A KR20240000031A KR 20240000031 A KR20240000031 A KR 20240000031A KR 1020220076329 A KR1020220076329 A KR 1020220076329A KR 20220076329 A KR20220076329 A KR 20220076329A KR 20240000031 A KR20240000031 A KR 20240000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edge
forming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3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뽀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뽀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뽀득
Priority to KR1020220076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031A/en
Publication of KR20240000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031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6Plates with integral holders for spoons, glas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12Edge-curling
    • B21D19/14Reinforcing edges, e.g. armour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판 제조 공정을 제공한다. 상기 식판 제조 공정은 판상의 성형 대상물을 준비하는 준비 단계와; 준비된 상기 성형 대상물에 다수의 수용홈을 형성하는 수용홈 성형 단계; 및, 상기 성형 대상물의 에지 영역을 절곡한 후, 접어 밀착되도록 성형하는 에지 성형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판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된 식판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식판의 테두리 부분을 컬링 공정을 통해 둥글게 형성한 이후에 헤밍 공정을 거쳐 밀착되도록 하여 테두리 부분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The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includes a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plate-shaped molding object; A receiving groove forming step of forming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in the prepared molding object; And, it includes an edge forming step of bending the edge area of the object to be molded, then folding it and forming it into close contact.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plate manufactured through the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edge portion by forming the edge portion of the food plate into a round shape through a curling process and then making it adhere closely through a hemming process.

Description

식판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식판{Method for manufacturing food tray and food tray manufactured by the method}Food tray manufacturing process and food tray manufactured through the process {Method for manufacturing food tray and food tray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식판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식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판의 테두리 부분에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음식물이 수용되는 수용홈에서 음식물이 흘러넘치는 방지할 수 있는 식판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식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and a food plate manufactured through the proces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and to a food plate manufactured through the process, and more specifically, to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food scraps from being caught in the edge of the food plate, as well as preventing food from overflowing from the receiving groove where food is accommodated. It relates to a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that can be made and a food plate manufactured through it.

학교 또는 병원을 비롯한 공공 기관 등에서는 급식을 위하여 급식용 식판이 사용된다. 통상 급식용으로 사용되는 식판은 위생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식판을 사용한다.Meal trays are used for school meals in public institutions, including schools and hospitals. Typically, food plates used for school meals are made of stainless steel to solve hygiene problems.

이러한 식판은 밥, 국, 서너 가지의 반찬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칸을 나누어 만든 식기이다.These plates are tableware made with concave compartments to hold rice, soup, and three or four side dishes.

상기의 금속 식판은 금속판을 프레스로 소정의 크기로 절단 가공하여 만드는데, 통상적으로는 금속판을 펀칭하여 절단한 상태에서 가장자리를 연마 처리하여 그대로 사용한다. 종래에는 금속판의 가장자리을 표면을 부드럽게 연마 처리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는 있으나, 금속판 자체가 얇기 때문에 가장자리 부분은 날카롭게 형성되어 식판을 사람이 손으로 잡거나 특히, 어린 아이들의 경우 입을 댈 때 잘못하면 상처를 입게 되는 등의 안전 사고가 여전히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The metal food plate is made by cutting a metal plate into a predetermined size with a press. Typically, the metal plate is cut by punching and the edges are polished and used as is. Conventionally, the edges of metal plates are gently polish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but because the metal plates themselves are thin, the edges are sharp and can cause injury if a person holds the food plate with their hands or, especially, when young children put their mouths on it. There is a problem that safety accidents such as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식판의 가장자리 선단을 아래쪽으로 둥글게 말아주는 컬링(curling) 작업을 함으로써, 식판의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아래쪽으로 둥글게 말려들어가도록 하여 제작하였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harp edge of the food plate was manufactured by curling the edge of the plate downward.

그러나 컬링 공정을 거쳐 둥글게 말린 식판의 단부는 식판의 하면에서 일정의 갭이 발생되며, 식판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상기의 갭을 통하여 컬링 처리된 부분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어 끼이는 문제가 있고, 이와 같이 이물질이 컬링 처리된 부분의 내측에서 쉽게 제거되지 않아 썩는 등의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end of the plate that has been rounded through the curling process creates a certain gap on the bottom of the plate, and during the process of cleaning the plate, foreign substances such as food residue flow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urled portion through the gap and become stuck. This is problematic, and foreign substances are not easily removed from the inside of the curled portion, causing contamination such as rotting.

더하여 사용자는 종래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식판의 테두리 부분을 손으로 잡고 사용한다. 여기서 식판에 형성된 수용홈에 일정 온도 이상의 고온의 음식물이 수용되는 경우, 이 음식물의 열은 식판의 테두리 부분으로 전달되며 이로 인해 화상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holds the rim of a conventional food tray made of metal with his hand. Here, when high-temperature food above a certain temperatur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formed on the plate, the heat of this food is transferred to the edge of the plate, which may cause safety accidents such as burns.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5545호(2006.04.27 등록)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15545 (registered on April 27, 200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래와 같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식판의 테두리 부분을 컬링 공정을 통해 둥글게 형성한 이후에 헤밍 공정을 거쳐 밀착되도록 하여 테두리 부분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판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식판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in which the edge of a food plate made of metal is rounded through a curling process and then brought into close contact through a hemming proces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edge. Providing manufactured food plat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판의 테두리 부분의 일정 위치에 손잡이 부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 부와 수용홈들이 형성되는 영역과 서로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수용홈에 저장되는 가열된 음식으로 인한 열이 손잡이 부로 전달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는 식판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식판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handle at a certain position on the edge of a food plate, and to form a step between the handle and the area where the receiving grooves are formed, so that heat due to heated food stored in the receiving groove is transferred to the handle. The aim is to provide a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that can delay delivery time and a food plate manufactured through this process.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식판 제조 공정을 제공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상기 식판 제조 공정은 판상의 성형 대상물을 준비하는 준비 단계와; 준비된 상기 성형 대상물에 다수의 수용홈을 형성하는 수용홈 성형 단계; 및, 상기 성형 대상물의 에지 영역을 절곡한 후, 접어 밀착되도록 성형하는 에지 성형 단계를 포함한다.The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includes a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plate-shaped molding object; A receiving groove forming step of forming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in the prepared molding object; And, it includes an edge forming step of bending the edge area of the object to be molded, then folding it and forming it into close contact.

여기서 상기 수용홈 성형 단계에서,Here, in the receiving groove forming step,

상기 다수의 수용홈의 하단면을 서로 동일 선상을 따르도록 일정한 깊이를 형성하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mold the low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to form a constant depth so that they follow the same line.

그리고 상기 에지 성형 단계 이전에,And before the edge forming step,

상기 성형 대상물의 에지 영역의 끝단을 트리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o trim the end of the edge area of the molded object.

또한 상기 다수의 수용홈을 성형한 후,Also, after formi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상기 다수의 수용홈을 포함하는 일정의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 이외의 외곽 영역과의 단차를 이루도록 성형하되,Formed to form a step between a certain central area includi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and an outer area other than the central area,

상기 외곽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 보다 상향 단차를 이루도록 하고,The outer area is configured to have an upward step compared to the central area,

상기 외곽 영역의 다수 위치에 상기 중앙 영역 측으로 진입되는 손잡이 영역들을 형성하고,Forming handle areas entering the central area at multiple locations in the outer area,

상기 외곽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과 연결되는 평판 영역과, 상기 평판 영역의 둘레에 형성되는 상기 에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area preferably includes a flat area connected to the central area and an edge area formed around the flat area.

또한 상기 에지 성형 단계는,Additionally, the edge forming step is,

상기 성형 대상물의 상기 에지 영역을 상기 평판 영역의 둘레를 경계로 하여 하방을 따라 일정의 경사를 이루도로 절곡하고,The edge area of the molding object is bent downwar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flat area as a boundary,

절곡된 상기 에지 영역을 하방을 따라 일정의 곡률을 이루도록 둥글게 성형하고,The bent edge area is rounded and formed to have a certain curvature along the bottom,

둥들게 성형된 상기 에지 영역과 상기 성형 대상물의 저면이 접혀 밀착되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mold the rounded edge area and the bottom of the object to be molded by folding them into close contact.

또한 상기 평판 영역과 상기 에지 영역의 경계에 상방으로 볼록한 일정의 곡률을 가지는 절곡 안내부를 더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further form a bending guide having a certain curvature that is convex upwar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lat area and the edge area.

또한 상기 절곡 안내부의 상단을 상방으로 볼록한 제 1곡률을 형성하고,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bending guide portion is formed to have a first curvature that is convex upward,

상기 절곡 안내부의 하단을 상기 제 1곡률에 상응하는 오목한 제 2곡률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urther form a concave second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urvature at the bottom of the bending guide portion.

또한 상기 평판 영역의 저면과, 상기 에지 영역의 저면은 매끈한 면을 이루도록 면처리를 더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t area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area are further surface treated to form a smooth surface.

또한 상기 평판 영역의 저면에 상기 에지 영역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를 성형하고,Also, forming a space on the bottom of the flat area into which the edge area can be inserted,

상기 에지 영역을 접어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면서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old the edge area and bring it into close contact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pace.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식판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식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plate manufactur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상기의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식판의 테두리 부분을 컬링 공정을 통해 둥글게 형성한 이후에 헤밍 공정을 거쳐 밀착되도록 하여 테두리 부분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a means of solving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edge by forming the edge of a food plate made of metal into a round shape through a curling process and then making it adhere closely through a hemming process. It has an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식판의 테두리 부분의 일정 위치에 손잡이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 영역과 수용홈들이 형성되는 영역과 서로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수용홈에 저장되는 가열된 음식으로 인한 열이 손잡이 영역으로 전달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handle area at a certain position on the edge of the food plate, and forms a step between the handle area and the area where the receiving grooves are formed, so that heat due to heated food stored in the receiving groove flows into the handle area. It has the effect of delaying the delivery time.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식판 제조 공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대상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대상물에 수용홈들이 성형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지 성형 단계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1차 벤딩이 이루어진 성형 대상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트리밍이 이루어진 성형 대상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2차 벤딩이 이루어진 성형 대상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2차 컬링이 이루어진 성형 대상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헤밍이 이루어진 성형 대상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의 일부 단면을 보여주는 일부 사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부를 형성하는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flow chart showing the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molded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ceiving grooves formed in a molded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edge forming ste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molded object that has undergone primary bending.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trimmed molded object.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molded object on which secondary bending has been performed.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molded object on which secondary curling has been performed.
Figure 9 is a view showing a molded object in which hemming has been performed.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in Figure 11.
Figure 13 is a partial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al cross-section of a foo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forming an edg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the “top (or bottom)” of the substrate or the provision or arrangement of any component on the “top (or bottom)” of the substrate means that any component is provided or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means that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it is not limited to not including other components between the substrate and any components provided or disposed on (or under) the substrate.

다음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컵 세척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컵 세척 방법을 설명한다.Next, the cup clea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up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식판 제조 공정을 설명한다.First, the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식판은 유아용 식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단체 급식을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식판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ood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food tray for infants and is used for group feeding. And the food plate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도 1은 본 발명의 식판 제조 공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1 is a flow chart showing the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판의 제조 공정은 준비 단계(S10) -> 수용홈 성형 단계(S20) -> 에지 성형 단계(S30)의 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oo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ceed in the following order: preparation step (S10) -> receiving groove forming step (S20) -> edge forming step (S30).

상기의 각 단계를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식판을 제조하는 공정에는 성형을 위한 금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형은 특정의 금형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되는 각 단계에서 성형을 위한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금형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각 단계를 설명하면서 후술하기로 한다.Each step above is explained. In addition, a mold for forming may be us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foo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old, and any mold that has the function of producing results for molding in each step described later can be us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hile explaining each step.

준비 단계(S10)Preparation stage (S1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대상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molded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 하면 일정의 면적 및 두께를 가지는 판상의 성형 대상물(10)을 준비한다. 상기 성현 대상물(1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성형 대상물(10)의 상면 및 하면은 평판 형상으로 성형이 이루어지기 이전의 상태이다.Referring to Figure 2, a plate-shaped molding object 10 having a certain area and thickness is prepared. The object 10 is made of stainless steel.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olding object 10 are in a flat state before molding.

상기 성형 대상물(10)은 다이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의 상부에는 펀치가 배치되며, 상기 펀치는 승강기의 구동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The molding object 10 may be seated and fixed on the die. A punch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die, and the punch can be moved up and down by driving an elevator.

수용홈 성형단계(S20)Receiving groove forming step (S2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대상물에 수용홈들이 성형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ceiving grooves formed in a molded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 하면 상기 성형 대상물(10)에 다수의 수용홈(11)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ure 3,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11 are formed in the molding object 10.

상술한 펀치에는 다수의 수용홈(11)을 성형하기 위한 양각의 수용홈 성형 부재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 성형 부재들은 서로 다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홈 성형 부재들은 실질적으로 식판에서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홈 형상을 이루고, 이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 성형 부재들은 펀치에서 탈착 가능하여 다른 수용홈 성형 부재들로 교체 가능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punch, embossed receiving groove forming members are formed to form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11. Here, the receiving groove forming members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and the receiving groove forming members substantially form a groove shape for accommodating food in a food tray,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dditionally, the receiving groove forming members may be detachable from the punch and replaced with other receiving groove forming members.

상기 수용홈 성형 단계는 실질적으로 드로잉 성형 공정으로서, 승강기는 펀치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수용홈 성형 부재들은 다이에 안착된 성형 대상물(10)을 압착하여 설정된 수용홈들(11)을 드로잉 성형할 수 있다.The receiving groove forming step is essentially a drawing forming process, and an elevator may lower the punch. Accordingly, the receiving groove forming members can draw and mold the receiving grooves 11 set by compressing the molding object 10 seated on the die.

여기서 상기 수용홈들(11)의 하단면은 동일 선상을 따르도록 일정한 깊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수용홈들(11)은 성형 대상물(10)의 상단면으로부터 하방을 따라 돌출되도록 성형되며, 그 돌출되는 정도는 동일할 수 있다. 이에 수용홈들(11)의 하단면은 서로 동일 선상을 따르기 때문에 식판이 소정의 안착 영역에 안착되는 경우 지지 면적이 일정 이상으로 증가되어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lower surfaces of the receiving grooves 11 may have a certain depth so as to follow the same line. That is, the receiving grooves 11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molding object 10, and the degree of protrusion may be the same. Accordingly, since the lower surfaces of the receiving grooves 11 follow the same line, when the food plate is seated in a predetermined seating area, the support area is increased to a certain level or more and stable support can be achieved.

에지 성형 단계(S30)Edge forming step (S3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지 성형 단계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edge forming ste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지 성형 단계(S30)는 1차 벤딩(S31) -> 트리밍(S32) -> 2차 벤딩(S33) -> 컬링(S34) -> 헤밍(S35) 순의 각 단위 공정들로 진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 the edge forming step (S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order of primary bending (S31) -> trimming (S32) -> secondary bending (S33) -> curling (S34) -> hemming (S35). It can be carried out through each unit process.

상기 각 단위 공정들을 설명한다.Each of the above unit processes will be described.

도 5는 1차 벤딩이 이루어진 성형 대상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5 is a view showing a molded object that has undergone primary bending.

도 5를 참조 하면 수용홈들(11)이 성형된 성형 대상물(10)은 하형에 안착되고, 상형은 하형의 상부에서 승강되도록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molding object 10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s 11 are formed is seated on the lower mold, and the upper mold is arranged to be raised and lower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lower mold.

상기 하형에는 수용홈들(11)이 끼워지고 수용홈들(11)을 포함하는 중앙 영역(CA)과 상기 중앙 영역(CA) 이외의 외곽 영역(OA)을 형성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영역(CA)은 외곽 영역(OA)과 일정의 단차를 형성한다.Receiving grooves 11 are inserted into the lower mold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forms a central area (CA) including the receiving grooves 11 and an outer area (OA) other than the central area (CA). The central area (CA) forms a certain level difference with the outer area (OA).

이에 상형은 상기 단차를 이루는 중앙 영역(CA)을 성형할 수 있도록 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upper mold may be formed into a corresponding shape so that the central area CA forming the step can be molded.

이를 통해 상형과 하형이 맞물리면 상형에 의해 외곽 영역(OA)을 제외한 중앙 영역(CA)이 외곽 영역(OA)과 일정의 단차를 이루도록 1차 벤딩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re engaged, the central area (CA) excluding the outer area (OA) can be first bent by the upper mold to form a certain level difference with the outer area (OA).

이때 실질적으로 외곽 영역(OA)은 1차 벤딩되는 동안에 일정의 늘음이 발생되어 외곽 영역 자체에 주름 형상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area (OA) may actually be stretched to a certain extent during the first bending,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wrinkles occurring in the outer area itself.

그리고 상기와 같이 1차 벤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형의 형상을 제작하는 당시에 다수의 손잡이 영역(HA)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first bend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handle areas (HA) can be form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upper shape.

즉 상기 다수의 손잡이 영역(HA)은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중앙 영역(CA)과 외곽 영역(OA)의 양측 경계에서 외곽 영역(OA)의 일부가 중앙 영역(CA) 측으로 침투되도록 일정의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손잡이 영역(HA)은 수용홈들(11)과 일정의 단차를 통해 깊이 차이를 이루어 수용홈들(11)에 가열된 음식이 수용되는 경우 이 음식으로 인한 열이 손잡이 영역(HA)으로 전달되는 열전달률을 일정 이하로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plurality of handle areas (HA) have a certain level at the boundaries between the central area (CA) and the outer area (OA) so that a part of the outer area (OA) penetrates into the central area (CA). Areas can be formed. Therefore, the handle area (HA) has a depth difference from the receiving grooves (11) through a certain level difference, so that when heated food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s (11), heat due to this food is transferred to the handle area (HA).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effect of lowering the heat transfer rate below a certain level.

도 6은 트리밍이 이루어진 성형 대상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6 is a view showing a trimmed molded object.

도 6을 참조 하면 상기와 같이 1차 벤딩이 이루어진 성형 대상물(10)의 외곽 영역(OA)의 테두리를 전단 가공을 이룸을 통해 외곽 영역의 테두리의 불규칙한 부분을 균일한 면을 이루도록 절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edge of the outer area (OA) of the molded object 10 on which the primary bending has been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is subjected to shear processing, so that the irregular portion of the edge of the outer area can be cut to form a uniform surface. .

상기와 같이 트리밍을 진행하는 경우 레이저 또는 별도의 절단날을 사용한 절단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When trimming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cutting work can be performed using a laser or a separate cutting blade.

더하여 절단이 이루어진 성형 대상물(10)의 테두리에 별도의 그라인딩 수단을 통해 일정의 곡률 또는 일정의 경사면을 이루도록 선택적으로 더 가공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edge of the cut molded object 10 may be selectively further processed to form a certain curvature or inclined surface using a separate grinding means.

도 7은 2차 벤딩이 이루어진 성형 대상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molded object on which secondary bending has been performed.

도 7을 참조 하면 트리밍이 이루어진 상태의 성형 대상물(10)은 외곽 영역(OA)에서 에지 영역(OA2)을 2차 벤딩을 이루는 단위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trimmed molding object 10 may undergo a unit process of secondary bending of the edge area OA2 from the outer area OA.

상기 2차 벤딩은 별도의 금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ary bending may be performed using a separate mold.

상기 성형 대상물(10)에서 외곽 영역(OA)은 평판 영역(OA1)과 에지 영역(O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평판 영역(OA1)과 에지 영역()A2)의 사이에는 경계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molding object 10, the outer area OA may be divided into a flat area OA1 and an edge area OA2. A boundary may be formed between the plate area OA1 and the edge area A2.

상기 평판 영역(OA1)은 중앙 영역(CA)과 경계의 사이 영역 일 수 있고, 상기 에지 영역(OA2)은 상기 경계와 외곽 영역(OA)의 테두리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The flat area OA1 may be an area between the center area CA and the border, and the edge area OA2 may be an area between the border and the edge of the outer area OA.

해당 금형은 상형을 구비하되, 상형에는 상기 경계를 이루어 에지 영역(OA2)이 하방을 향하여 일정의 경사를 이루어 벤딩될 수 있는 벤딩 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에 하형에 안착된 성형 대상물에 하형이 하강되면서 벤딩 부재가 에지 영역을 가압하면 상기 에지 영역(OA2)은 상기 경계를 기준으로 하방을 따라 일정의 각도를 이루어 경사지도록 벤딩될 수 있다.The mold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upper mold, and a bending member is formed on the upper mold to form the boundary so that the edge area OA2 can be bent at a certain downward angle. Accordingly, when the lower mold is lowered on the molding object seated on the lower mold and the bending member presses the edge region, the edge region OA2 may be bent to be inclined at a certain angle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boundary.

여기서 상기 벤딩되는 에지 영역(OA2)의 경사각은 상기 밴딩 부재의 경사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2차 벤딩을 이루는 경우 다단을 이루어 순차적으로 벤딩을 이룰 수도 있다. 즉 벤딩 부재를 단계적으로 하강시켜 에지 영역(OA2)을 단계적으로 가압하여 목적하고자 하는 경사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에지 영역(OA2)이 벤딩되는 동안에 일부 구간이 틀어지거나 휨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Her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edge area OA2 to be b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inclination of the bending member, and when performing secondary bending, the bending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in multiple stages. That is, the bending member may be lowered step by step to press the edge area OA2 step by step to achieve the desired inclin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some sections are twisted or bent while the edge area OA2 is bent.

도 8은 2차 컬링이 이루어진 성형 대상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molded object on which secondary curling has been performed.

도 8을 참조 하면 상기와 같이 2차 벤딩이 이루어져 에지 영역(OA2)이 하방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진 성형 대상물(10)을 다른 하형에 안착 시킨다. 그리고 컬링을 이루기 위한 형상이 형성된 상형을 하형과 맞물리도록 압착하여, 상기 에지 영역(OA2)을 하방으로 둥글게 성형을 이룰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secondary bending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molded object 10, whose edge area OA2 is inclined downward at a certain angle, is seated on another lower mold. Then, the upper mold, which has a shape for curling, is pressed so that it engages with the lower mold, so that the edge area OA2 can be molded to be rounded downward.

이때 컬링이 이루어진 에지 영역(OA2)의 끝단은 평판 영역(OA1)의 저면과 이격되도록 성형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it is best to shape the end of the curled edge area (OA2)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flat area (OA1).

여기서 컬링을 이루는 경우 2차 벤딩 이후에 컬링 성형을 이루기 때문에 에지 영역(OA2)이 경사져 벤딩된 상태에서 둥글게 성형이 되기 때문에 컬링 대상 영역을 에지 영역(OA2)으로 정확하게 한정할 수 있다. 즉, 2차 벤딩을 실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컬링 성형을 이루는 경우 컬링이 이루어지는 내측의 경계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어 결국 본 발명은 평판 영역(OA1)과 에지 영역(OA2)의 경계가 불균일하여 제품 불량으로 이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Here, in the case of curling, since the curling forming is performed after the secondary bending, the edge area (OA2) is formed roundly in an inclined and bent state, so the curling target area can be accurately limited to the edge area (OA2). In other words, when curling is performed without performing secondary bending, the inner boundary where curling occurs may not be formed uniformly.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on-uniform boundary between the flat area (OA1) and the edge area (OA2). Problems that lead to product defects can be resolved.

도 9는 헤밍이 이루어진 성형 대상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9 is a view showing a molded object in which hemming has been performed.

도 9를 참조 하면 컬링 성형이 이루어진 성형 대상물을 다른 하형에 안착시킨 후, 헤밍을 이루기 위한 부재가 형성된 상형을 하형과 맞물린다. 이에 헤밍을 이루기 위한 부재에 가압됨에 따라 컬링 성형이 이루어진 에지 영역(OA2)은 평판 영역(OA1)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9, after the curling molded molding object is placed on another lower mold, the upper mold on which the member for hemming is formed is engaged with the lower mold. Accordingly, as the member for forming the hemming is pressed, the curled edge area OA2 may b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flat area OA1.

여기서 상기 평판 영역(OA1) 및 에지 영역(OA2)의 저면은 매끈한 면을 이루도록 면처리가 먼저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bottom surfaces of the flat area OA1 and the edge area OA2 may first be surface treated to form a smooth surface.

이에 헤밍 성형을 통해 에지 영역(OA2)의 저면과 평판 영역(OA1)의 저면은 서로 밀착되며, 면 처리로 인해 거칠기가 일정 이하의 수준을 이루기 때문에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Accordingly, through hemming molding, the bottom of the edge area OA2 and the bottom of the plate area OA1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ontact area can be increased because the roughness is below a certain level due to surface treatment.

즉, 평판 영역(OA1)의 저면과 에지 영역(OA2)의 저면이 서로 밀착됨에 따라 이물질은 이들 사이로 침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That is,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t area OA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area OA2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foreign substances may not easily penetrate between them.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에지 영역(OA2)을 2차 벤딩을 이루고 컬링 성형을 거친후 헤밍 성형을 통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성형하기 때문에, 헤밍 성형시 에지 영역(OA2) 자체에 스프링 백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제품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dge area (OA2) is secondary bent, curled, and then formed into the shape shown in FIG. 9 through hemming forming, a spring back phenomenon occurs in the edge area (OA2) itself during hemming forming. By efficiently preventing this from occurring, you can prevent product defects from occurring in the first pl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판에서 평판 영역(OA1)과 에지 영역(OA2)의 사이 절곡되는 부분은 곡면을 이룰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foo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t portion between the flat area OA1 and the edge area OA2 may form a curved surface.

여기서 에지 영역(OA2)을 2차 벤딩 후 헤밍 성형을 바로 실시하는 경우 압착시 곡면이 형성된 테두리 영역의 불균일한 구간에 주름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즉 압착된 면이 균일하지 못한 폭과 두께를 가지게 될 수 있다.Here, when hemming forming i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secondary bending of the edge area (OA2), there is a problem that wrinkles may occur in the uneven section of the edge area where the curved surface is formed during compression. That is, the pressed surface may have an uneven width and thickness.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2차 벤딩과 헤밍 성형 사이에 컬링 성형을 추가하여 성형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일정한 폭으로 컬링(curling) 후 압착되도록 하여 균일한 폭과 두께를 가지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erforming the forming process by adding curling forming between secondary bending and hemming forming, so that the material can be curled to a certain width and then compressed to have a uniform width and thickness.

다음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식판을 설명한다.Next, a foo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판은 상술한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Referring to Figures 10 and 11, the foo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식판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식판은 동일한 두께를 이룬다. 상기 식판은 판 상의 몸체(100)를 갖는다. 상기 몸체(100)에는 서로 다른 위치 및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수용홈들(1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들(11)은 상술한 드로잉 공정을 통해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100)에는 수용홈들(11)이 형성되는 수용부들(110)이 형성될 수 있다.The foo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stainless steel. The food plates have the same thickness. The food tray has a plate-shaped body 100. Receiving grooves 11 having different positions and different sizes are formed in the body 100. The receiving grooves 11 may be formed through the drawing proces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receiving portions 110 in which receiving grooves 11 are formed may be formed in the body 100.

상기 수용홈들(11)의 깊이는 서로 동일한 깊이를 형성하면서 하방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수용부들(110)의 하단면은 서로 동일 선상을 따른다. 이에 따라 수용부들(110)이 안착면에 안착되는 경우 안착으로 인한 면적이 일정 이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이에 식판은 안착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depths of the receiving grooves 11 are the same and protrude downward. The lower surfaces of the receiving portions 110 follow the same line. Accordingly, when the receiving portions 110 are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the area due to the seating may increase beyond a certain level. Accordingly, the food plate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seating surface.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둘레에는 테두리 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 부(120)의 내측 경계는 몸체(100)의 둘레로부터 상향 단자치어 위치된다. 상기 테두리 부(120)의 양측부에는 몸체(100) 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 영역(121)이 각각 형성된다.And an edge portion 120 is formed around the body 100. The inner border of the edge portion 120 is positioned upward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100. Handle areas 121 protruding toward the body 10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dge portion 120, respectively.

즉 상기 몸체(100)와 상기 테두리 부(120)의 사이에는 단차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140)는 상술한 1차 벤딩 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 step portion 140 is formed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edge portion 120. The step portion 140 may be formed through the primary bending molding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단차부(140)의 단차 정보는 1차 벤딩 성형을 이루는 경우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Here, the step information of the step portion 140 can be variably adjusted when performing primary bending forming.

또한 상기 단차부(140)의 단차 수준은 단차부(140)와 수용홈들(11) 중 근접한 수용홈(11)의 외주와의 거리에 2배를 이루도록 설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vel of the step of the step portion 140 may be designed to be twice the distance between the step portion 140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ceiving groove 11 that is closest among the receiving grooves 11.

이에 수용홈들(11)이 일정의 고온을 이루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경우 이에 의한 열이 상기 단차부(140)의 단차 수준으로 인해 테두리 부로 전달되는 시간을 일정 시간 이상으로 지연시키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receiving grooves 11 accommodate food having a certain high temperature, the heat transfer time to the edge portion due to the step level of the step portion 140 can be delayed by a certain amount of time or more. .

여기서 상기 단차부(140)는 1단 이상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단차부는 계단 형상의 단차를 이룰 수도 있다.Here, the step portion 140 may form one or more steps. For example, the step portion may form a step-shaped step.

상기 단차부(140)는 몸체(100)와 직교를 이룰 수 있으며, 일정의 둔각을 형성하는 경사진 단차를 이룰 수도 있다. 이러한 단차 형상은 1체 벤딩 성형 시 설계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The step portion 140 may be perpendicular to the body 100 or may be an inclined step forming a certain obtuse angle. This step shape can be applied by changing the design during single-body bending molding.

이에 따라 수용홈들(11)이 형성되는 몸체(100)와 테두리 부(120)와의 열전달을 지연시킬 수 있는 단차부(140)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테두리 부(120) 또는 손잡이 영역(121)을 잡는 경우 뜨거운 열이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a step portion 140 that can delay heat transfer between the body 100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s 11 are formed and the edge portion 120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manually touch the edge portion 120 or the handle area 121. ), you can prevent hot heat from being transmitted as is.

더하여 상기 단차부(140)에는 방열을 위하여 다수의 엠보(미도시)를 더 성형하여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이룸을 통해, 수용홈들(11)에 저장되는 뜨거운 음식물로 인한 열이 테두리 부(120)로 전달되면서 효율적으로 방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portion 14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emboss (not shown) for heat dissipation to form a structure that increases the contact area with air, thereby reducing the heat caused by hot food stored in the receiving grooves 11. As it is transmitted to the edge portion 120, heat can be efficiently dissipated.

도 12는 도 11의 A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의 일부 단면을 보여주는 일부 사시 단면도이다.Figure 1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in Figure 11. Figure 13 is a partial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al cross-section of a foo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부(120)는 이중으로 겹쳐진 구조를 이룬다. 하기에서 평판 영역을 '122', 에지 영역을 '123'으로 구성번호를 명기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ures 12 and 13, the edge portion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ouble-overlapping structure. In the following, the configuration numbers will be specified as '122' for the flat area and '123' for the edge area.

실질적으로 상기 테두리 부(120)는 상술한 평판 영역(122)과 에지 영역(123)으로 형성되며, 상기 평판 영역(122)과 에지 영역(123)의 사이에는 경계가 형성된다. Substantially, the edge portion 120 is formed of the above-described flat area 122 and the edge area 123, and a boundary is formed between the flat area 122 and the edge area 123.

상기 에지 영역(123)은 경계를 기준으로 2차 벤딩 성형을 통해 일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벤딩될 수 있다.The edge area 123 may be bent to form a certain inclination through secondary bending molding based on the boundary.

그리고 이 경사진 에지 영역(123)은 컬링 성형을 통해 둥글게 성형된 후 헤밍 성형을 통해 평판 영역(122)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Additionally, this slanted edge area 123 can be formed into a round shape through curling molding and then formed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t area 122 through hemming molding.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부(120)는 이중으로 겹쳐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평판 영역(122)과 에지 영역(123)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이룬다. 이를 통해 평판 영역(122)과 에지 영역(123)의 사이에는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edge portion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double-overlapping shape, and the flat area 122 and the edge area 123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is, foreign substances may not be introduced between the flat area 122 and the edge area 123.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식판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컬링 성형 이후에 용접과 같은 공정을 더 실시하여 평판 영역과 에지 영역의 사이에 용접부를 형성하여 이들 간의 미세한 갭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food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such as welding may be further performed after curling forming to form a weld between the plate area and the edge area to fundamentally block the fine gap between them. there is.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부를 형성하는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forming an edg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 하면 2차 벤딩 성형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영역(122)의 저면에는 단턱을 이루어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간부(122a)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부(122a)는 별도의 가압 성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before the secondary bending molding is performed, a stepped space 122a in the shape of a groove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lat area 1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122a may be formed through separate pressure molding.

상기 공간부(122a)는 에지 영역(123)이 접히는 경우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space 122a may form a space where the edge area 123 is seated when it is folded.

이어 컬링 성형을 통해 에지 영역(123)을 평판 영역(122)과의 경계를 기준으로 둥글게 성형한 이후에, 헤밍 성형을 통해 둥글게 성형된 에지 영역(123)을 평판 영역(122)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펴지도록 성형할 수 있다. 이때 에지 영역(123)은 실질적으로 공간부(122a)에 삽입되면서 공간부(122a)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식판의 테두리 부의 두께를 상술한 예에 비하여 일정 이하로 줄일 수 있으며, 에지 영역의 단부와 평탄 영역 단부의 사이 갭을 줄여 이물질이 그 사이 공간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별도의 용접 또는 가압 성형을 통해 에지 영역의 단부를 추가로 압착하여 공간부 사이의 틈을 메울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Next, the edge area 123 is formed roundly based on the boundary with the flat area 122 through curling molding, and then the rounded edge area 123 is closely adhered to the bottom of the flat area 122 through hemming molding. It can be molded to spread out. At this time, the edge area 123 may be substantially inserted into the space 122a and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122a.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edge of the food plate can be reduced to a certain level or less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the gap between the end of the edge area and the end of the flat area can be reduce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space between them. In addition, the end of the edge area can be additionally compressed through separate welding or pressure forming to fill the gap between spaces.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식판의 테두리 부분을 컬링 공정을 통해 둥글게 형성한 이후에 헤밍 공정을 거쳐 밀착되도록 하여 테두리 부분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edge portion by forming the edge portion of the food plate made of metal into a round shape through a curling process and then making it adhere closely through a hemm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은 식판의 테두리 부분의 일정 위치에 손잡이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 영역과 수용홈들이 형성되는 영역과 서로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수용홈에 저장되는 가열된 음식으로 인한 열이 손잡이 영역으로 전달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handle area at a certain position on the edge of the food plate, and forms a step between the handle area and the area where the receiving grooves are formed, so that heat due to heated food stored in the receiving groove flows into the handle area. Delivery time may be delayed.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 성형 대상물
11 : 수용홈
HA, 121 : 손잡이 영역
CA : 중앙 영역
OA : 외곽 영역
OA1 : 평판 영역
OA2 : 에지 영역
100 : 몸체
110 : 수용부
120 : 테두리 부
122 : 평탄 영역
123 : 에지 영역
140 : 단턱부
10: Molding object
11: Receiving groove
HA, 121: Handle area
CA: central area
OA: Outer Area
OA1: Reputation area
OA2: Edge area
100: body
110: receiving part
120: border part
122: flat area
123: Edge area
140: Stepped part

Claims (10)

판상의 성형 대상물을 준비하는 준비 단계;
준비된 상기 성형 대상물에 다수의 수용홈을 형성하는 수용홈 성형 단계; 및,
상기 성형 대상물의 에지 영역을 절곡한 후, 접어 밀착되도록 성형하는 에지 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 제조 공정.
A preparatory step of preparing a plate-shaped molding object;
A receiving groove forming step of forming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in the prepared molding object; and,
A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comprising an edge forming step of bending the edge area of the object to be formed and then folding and forming it into close contac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 성형 단계에서,
상기 다수의 수용홈의 하단면을 서로 동일 선상을 따르도록 일정한 깊이를 형성하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 제조 공정.
According to clause 1,
In the receiving groove forming step,
A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are formed to form a certain depth so that they follow the same l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성형 단계 이전에,
상기 성형 대상물의 에지 영역의 끝단을 트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 제조 공정.
According to clause 1,
Before the edge forming step,
A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trimming the end of the edge area of the molded objec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용홈을 성형한 후,
상기 다수의 수용홈을 포함하는 일정의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 이외의 외곽 영역과의 단차를 이루도록 성형하되,
상기 외곽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 보다 상향 단차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외곽 영역의 다수 위치에 상기 중앙 영역 측으로 진입되는 손잡이 영역들을 형성하고,
상기 외곽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과 연결되는 평판 영역과, 상기 평판 영역의 둘레에 형성되는 상기 에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 제조 공정.
According to clause 1,
After formi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Formed to form a step between a certain central area includi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and an outer area other than the central area,
The outer area is configured to have an upward step compared to the central area,
Forming handle areas entering the central area at multiple locations in the outer area,
The outer area includes a flat area connected to the central area, and an edge area formed around the flat area.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성형 단계는,
상기 성형 대상물의 상기 에지 영역을 상기 평판 영역의 둘레를 경계로 하여 하방을 따라 일정의 경사를 이루도로 절곡하고,
절곡된 상기 에지 영역을 하방을 따라 일정의 곡률을 이루도록 둥글게 성형하고,
둥들게 성형된 상기 에지 영역과 상기 성형 대상물의 저면이 접혀 밀착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 제조 공정.
According to clause 4,
The edge forming step is,
The edge area of the molding object is bent downwar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flat area as a boundary,
The bent edge area is rounded and formed to have a certain curvature along the bottom,
A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unded edge area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olded object are folded and molded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영역과 상기 에지 영역의 경계에 상방으로 볼록한 일정의 곡률을 가지는 절곡 안내부를 더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 제조 공정.
According to clause 5,
A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forming a bending guide having a certain curvature that is convex upwar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plate area and the edge area.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안내부의 상단을 상방으로 볼록한 제 1곡률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 안내부의 하단을 상기 제 1곡률에 상응하는 오목한 제 2곡률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 제조 공정.
According to clause 6,
Forming a first curvature convex upward at the upper end of the bending guide,
A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forming a second concave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urvature at the bottom of the bending guide por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영역의 저면과, 상기 에지 영역의 저면은 매끈한 면을 이루도록 면처리를 더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 제조 공정.
According to clause 5,
A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t area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area are further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to form a smooth surfac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영역의 저면에 상기 에지 영역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를 성형하고,
상기 에지 영역을 접어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면서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 제조 공정.
According to clause 8,
Forming a space on the bottom of the flat area into which the edge area can be inserted,
A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area is fold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pace.
제 1항 내지 제 5항의 식판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
A foo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manufactured through the foo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of claims 1 to 5.
KR1020220076329A 2022-06-22 2022-06-22 Method for manufacturing food tray and food tray manufactured by the method KR202400000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329A KR20240000031A (en) 2022-06-22 2022-06-22 Method for manufacturing food tray and food tray manufactured by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329A KR20240000031A (en) 2022-06-22 2022-06-22 Method for manufacturing food tray and food tray manufactured by th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031A true KR20240000031A (en) 2024-01-02

Family

ID=8951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329A KR20240000031A (en) 2022-06-22 2022-06-22 Method for manufacturing food tray and food tray manufactured by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03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545Y1 (en) 2006-02-03 2006-05-03 순 옥 윤 A personal dining pl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545Y1 (en) 2006-02-03 2006-05-03 순 옥 윤 A personal dining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7989A (en) Method for making bialys
US7628950B2 (en) Method and tooling for slitting a thermoformed container and container formed thereby
US1879555A (en) Method and machine for cutting and forming plates and other articles
US2618852A (en) Pie top cutter
US8631583B2 (en) Bagel slicer
AU2005281402B2 (en) Edible food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24000003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ood tray and food tray manufactured by the method
KR870005710A (en) Press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of sheet made of small elongation
JP2008512314A5 (en)
KR101890868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ice biscuit
US4522580A (en) Dough roller and shaper device for pie crusts and the like
US451435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multi-compartmented tray from a sheet material
EP2590804B1 (en) Sealing machine
RU2017101001A (en) METHOD FOR PRODUCING CUTLERY AND CUTTING TOOLS FOR CUTLERY
US2206207A (en) Bread slicing equipment
CN208557700U (en) A kind of inserted quick-cutting tool
CN210249497U (en) Mould for making chafing dish
JP6795825B1 (en) How to form a three-dimensional pattern of natural leather
JP6427699B1 (en) Cookwa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6030266A (e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square container
US7040976B2 (en) Method of portioning meat
CN216135727U (en) Macadamia nut kernel taking machine
JP7117448B1 (en) tofu reformer
CA2685903C (en) Method of making a die-cut object made of foam
CN215016451U (en) Dough pressing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