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015U - 화장지 보관 걸이구 - Google Patents

화장지 보관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015U
KR20240000015U KR2020220001558U KR20220001558U KR20240000015U KR 20240000015 U KR20240000015 U KR 20240000015U KR 2020220001558 U KR2020220001558 U KR 2020220001558U KR 20220001558 U KR20220001558 U KR 20220001558U KR 20240000015 U KR20240000015 U KR 202400000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aper
door
bracket
roll
inser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진희
Original Assignee
손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진희 filed Critical 손진희
Priority to KR2020220001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015U/ko
Publication of KR202400000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0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47K2010/389Accessories or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e.g. music boxes, clocks, heating devices or shel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Toilet Supplies (AREA)
  • Unwinding Webs (AREA)

Abstract

화장지 보관 걸이구가 개시된다. 화장지 보관 걸이구는, 설치 장소의 벽면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롤 화장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브라켓부와, 삽입 공간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롤 화장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걸이봉과, 브라켓부의 삽입 공간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개폐 도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지 보관 걸이구{TOILET PAPER ROLL HOLDER}
본 고안은 내부에 화장지의 보관 및 화장지의 인출 사용이 함께 가능한 화장지 보관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가정, 백화점, 쇼핑센터, 병원, 학교 등의 화장실에는, 두루마리 화장지를 배치하기 위한 휴지 걸이구가 구비된다.
이러한, 휴지 걸이구는, 통상적으로 두루마리 롤 화장지가 공회전하도록 헐겁게 끼워져 걸림 고정되는 지지봉이 나사 체결되고 벽면에 설치되는 브라켓을 가지며, 상기 부라켓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두루마리 화장지의 상단을 덮도록 된 상부커버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지지봉에 두루마리 화장지를 관통시켜 고정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봉이 고정된 두루마리 화장지의 사용이 완료되어, 새로운 두루마리 화장지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교체용 두루마리 화장지들이 보관된 별도의 보관함 또는 장소에서 꺼낸 후, 교체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불편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화장지의 사용 도중에 화장지의 완전 소모시 교체를 해야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화장지의 공급이 어려워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공보 20-2013-0004615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예비적인 롤 화장지의 보관과, 롤 화장지의 인출 사용이 함께 가능한 화장지 보관 걸이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설치 장소의 벽면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롤 화장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브라켓부와, 삽입 공간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롤 화장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걸이봉과, 브라켓부의 삽입 공간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개폐 도어를 포함한다.
개폐 도어는, 브라켓부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삽입 공간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 도어와, 브라켓부의 타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삽입 공간의 타측을 개폐하는 제2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부의 상측에는 편평면이 형성된 선반부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도어와 제2 도어의 각각의 측면에는 손잡이부가 돌출될 수 있다.
브라켓부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롤 화장지 중의 어느 하나의 화장지가 인출되는 인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부의 상측에는 편평면이 형성된 선반부가 설치되고, 개폐 도어는, 브라켓부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방 상태에서 선반부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삽입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롤 화장지가 브라켓부의 내부에 복수개로 삽입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롤 화장지의 사용이 완료되는 경우, 추가 롤 화장지의 공급과 함께 사용이 완료된 롤 화장지의 외부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이에 따라, 롤 화장지의 보관과 사용이 완료된 롤 화장지의 교체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사용자 편의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보관 걸이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지 보관 걸이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장지 보관 걸이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장지 보관 걸이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보관 걸이구의 도어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보관 걸이구의 도어의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보관 걸이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보관 걸이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화장지 보관 걸이구의 개폐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화장지 보관 걸이구의 개폐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걸이봉이 안착 돌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보관 걸이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장지 보관 걸이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화장지 보관 걸이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화장지 보관 걸이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보관 걸이구(100)는, 설치 장소의 벽면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롤 화장지(12)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11)이 형성되는 브라켓부(10)와, 삽입 공간(11)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롤 화장지(1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걸이봉(20)과, 브라켓부(10)의 삽입 공간(11)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개폐 도어(30, 40)를 포함한다.
브라켓부(10)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삽입 공간(11)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 도어(30)와, 브라켓부(10)의 타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삽입 공간(11)의 타측을 개폐하는 제2 도어(40)를 포함한다.
브라켓부(10)는 화장실의 변기에 인접한 위치의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대소변후에 화장지의 사용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부(10)는 내부에 삽입 공간(11)이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롤 화장지(12)의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삽입 공간(11)은 본 실시예에서 2개의 롤 화장지(12)가 삽입 가능한 크기로 브라켓부(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 공간(11)의 2개의 롤 화장지(12)의 삽입이 가능한 크기로 브라켓부(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은, 2개의 롤 화장지(12)의 어느 하나는 실사용을 하고, 다른 하는 사용 대기 상태로 보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브라켓부(10)의 삽입 공간(11)에는 롤 화장지(12)의 거치를 위한 걸이봉(20)이 설치될 수 있다.
걸이봉(20)은 브라켓부(10)의 삽입 공간(11)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2개의 롤 화장지(12)가 인접한 상태로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롤 화장지(12)는 브라켓부(10)의 내부에 걸이봉(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계속적인 사용이 용이하도록 걸이봉(20)에 삽입될 수 있다.
브라켓부(10)의 하부에는 롤 화장지(12)의 사용을 위해 화장지의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개방된 인출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인출부(14)는 브라켓부(10)의 하부에서 2개의 롤 화장지(12) 중에서 사용을 위한 어느 하나의 롤 화장지(12)의 하부 위치에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롤 형상으로 감겨진 롤 화장지(12)를 손으로 당겨 인출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브라켓부(10)의 하부에 개방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부(10)의 측면에는 롤 화장지(12)의 삽입을 위한 제1 도어(30) 및 제2 도어(4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보관 걸이구의 도어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보관 걸이구의 도어의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브라켓부(10)의 삽입 공간(11)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개폐 도어(30, 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개폐 도어(30, 40)는, 브라켓부(10)의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도어(30) 및 제2 도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30)는 브라켓부(10)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삽입 공간(11)의 일측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도어(30)는 브라켓부(10)의 일측에 힌지 결합에 의해 회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브라켓부(10)의 일측 위치에서 걸이봉(20)의 일측 위치로 롤 화장지(12)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도어(30)의 측면에는 용이한 개폐 작동을 위한 손잡이부(32)가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부(10)의 타측, 즉, 제1 도어(30)가 설치된 위치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제2 도어(4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도어(40)는 제1 도어(30)와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의 동일 또는 유사 형상으로 브라켓부(10)의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도어(40)는 브라켓부(10)의 타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삽입 공간(11)의 타측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도어(40)는 브라켓부(10)의 타측에 힌지 결합에 의해 회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브라켓부(10)의 타측 위치에서 걸이봉(20)의 타측 위치에서 사용이 완료된 롤 화장지(12) 또는 롤 화장지 중심의 원통형의 지관(미도시)이 배출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도어(40)의 측면에는 용이한 개폐 작동을 위한 손잡이부(32)가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도어(30)와 제2 도어(40)의 각각에 설치된 손잡이부(32)를 파지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회전 개폐 가능한 바, 브라켓부(10)의 내부에 롤 화장지(12)의 투입 및 사용이 완료된 롤 화장지(12) 또는 지관의 용이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브라켓부(10)의 내부에는 제1 도어(30)에 인접한 위치에 제1 롤 화장지(12a)가 걸이봉(20)에 삽입되고, 제2 도어(40)에 인접한 위치에 제2 롤 화장지(12b)가 걸이봉(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롤 화장지(12b)는 브라켓부(10)의 하부에 형성된 인출부(14)를 통해 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며, 계속적인 사용에 따라 사용이 완료된 제1 롤 화장지(12a)의 삽입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제2 도어(40)를 통해 외부로 제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브라켓부(10) 내부의 삽입 공간(11)에 제1 롤 화장지(12a)와 제2 롤 화장지(12b)를 삽입한 상태에서 제2 롤 화장지(12b)의 사용이 완료되는 경우, 제1 도어(30)를 개방하여 제3 롤 화장지를 삽입 공간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롤 화장지(12a)는 제3 롤 화장지의 가압력에 의해 삽입 공간(11)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바, 사용이 완료된 제2 롤 화장지(12b) 또는 지관은 제2 도어(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롤 화장지(12a)와 제2 롤 화장지(12b) 및 제3 롤 화장지(미도시)는 동일한 크기의 화장지를 말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사용 설명을 위해 제1 내지 제3 롤 화장지로 구분하였다.
한편, 브라켓부(10)의 상측에는 선반부(5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선반부(50)는 브라켓부(10)의 상측에서 브라켓부(1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 표면에 편평면이 형성되어 소정의 휴대 물품(휴대폰 등)이 임시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롤 화장지(12)는 브라켓부(10)의 내부에 복수개로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이 완료된 롤 화장지(12)는 삽입 공간(11)으로 공급되는 롤 화장지(12)의 가압력에 의해 제2 도어(40)의 외부로 배출되는 바, 롤 화장지(12)의 보관과 사용이 완료된 롤 화장지(12)의 교체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사용자 편의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보관 걸이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보관 걸이구(200)는, 선반부(50)의 표면에 오목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오목홈(110)은 선반부(50)의 상부 표면의 내부로 일정 깊으로 인입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 크기의 휴대 물품이 오목홈(110)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보관 걸이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화장지 보관 걸이구의 개폐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화장지 보관 걸이구의 개폐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걸이봉이 안착 돌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보관 걸이구(300)의 개폐 도어(210)는, 브라켓부(10)의 전면에 상하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 도어(210)는 브라켓부(10)의 전면에 상하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삽입 공간(11)의 내부에 걸이봉(20)에 의해 복수개로 삽입된 롤 화장지의 삽입 또는 인출이 용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개폐 도어(210)는 브라켓부(10)의 전면에서 개방된 상태에서, 선반부(50)의 내측 위치로 슬라이딩되어 삽입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선분부(50)의 하부에는 개폐 도어(210)의 슬라이딩을 위한 레일부(211)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도어(210)는 개방 상태에서 롤 화장지의 안정적인 삽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부(10)의 내부에는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 걸이봉(20)의 설치를 위한 안착 돌부(120)가 돌출될 수 있다.
안착 돌부(120)는 상부에 걸이봉(20)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개방된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브라켓부(10)의 대향하는 내벽면의 양측에 각각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부(10)의 하부의 일측에는 롤 화장지(12)의 사용을 위해 화장지의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개방된 인출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인출부(14)는 브라켓부(10)의 하부에서 2개의 롤 화장지(12) 중에서 사용을 위한 어느 하나의 롤 화장지(12)의 하부 위치에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롤 형상으로 감겨진 롤 화장지(12)를 손으로 당겨 인출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브라켓부(10)의 하부에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보관 걸이구()는, 브라켓부(10)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롤 화장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11)을 용이하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여, 롤 화장지의 예비적인 저장과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브라켓부 11...삽입 공간
12...롤 화장지 12a..제1 롤 화장지
12b..제2 롤 화장지 14...인출부
20...걸이봉 30...제1 도어
40...제2 도어 50...선반부
110..오목홈 210..개폐 도어
211..레일부

Claims (5)

  1. 설치 장소의 벽면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롤 화장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브라켓부;
    상기 삽입 공간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롤 화장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걸이봉; 및
    상기 브라켓부의 삽입 공간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개폐 도어;
    를 포함하는, 화장지 보관 걸이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는,
    상기 브라켓부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삽입 공간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 도어; 및
    상기 브라켓부의 타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삽입 공간의 타측을 개폐하는 제2 도어;
    를 포함하는, 화장지 보관 걸이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의 상측에는 편평면이 형성된 선반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의 각각의 측면에는 손잡이부가 돌출되는, 화장지 보관 걸이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상기 롤 화장지 중의 어느 하나의 화장지가 인출되는 인출부가 형성되는, 화장지 보관 걸이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의 상측에는 편평면이 형성된 선반부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 도어는,
    상기 브라켓부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선반부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화장지 보관 걸이구.
KR2020220001558U 2022-06-25 2022-06-25 화장지 보관 걸이구 KR202400000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558U KR20240000015U (ko) 2022-06-25 2022-06-25 화장지 보관 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558U KR20240000015U (ko) 2022-06-25 2022-06-25 화장지 보관 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015U true KR20240000015U (ko) 2024-01-03

Family

ID=8951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558U KR20240000015U (ko) 2022-06-25 2022-06-25 화장지 보관 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015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615U (ko) 2012-01-18 2013-07-26 박광호 한 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장지 걸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615U (ko) 2012-01-18 2013-07-26 박광호 한 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장지 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8209B2 (en) Multiple-roll toilet tissue holder and dispenser
US6109429A (en) Apparatus for storing toiletries
US4363454A (en) Tissue roll storage and dispenser apparatus
US7185843B1 (en) Two high bathroom tissue dispenser
US2959368A (en) Toilet tissue holder and dispenser
US4362278A (en) Roll dispenser
US5511691A (en) Plastic grocery bag dispenser and storage container
US5301888A (en) Storage unit and dispenser for paper product rolls
KR200495171Y1 (ko) 탄창형 벽걸이 휴지케이스
KR20240000015U (ko) 화장지 보관 걸이구
KR100727021B1 (ko) 슬라이딩식 수납장
KR101479214B1 (ko) 매립형 휴지걸이
US5845870A (en) Toilet paper holding device
MXPA02005588A (es) Aparato surtidor y metodo.
KR100961938B1 (ko) 욕실용 휴지걸이
US3843219A (en) Towel dispenser
CN113905645B (zh) 多卷纸产品分配器
KR200463260Y1 (ko) 휴지 보관함
US20040130245A1 (en) Bathroom items dispenser
KR200434228Y1 (ko) 잡지꽂이대의 휴지걸이대 착탈구조
KR200496543Y1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를 갖는 스틸 책장용 스틸 캐비넷
KR200340591Y1 (ko) 가구용 수납함
KR100598788B1 (ko) 물품 수납통이 구비된 파티션
US20010048047A1 (en) Dispenser of flexible material, provided with a multi-roll holder
KR100862804B1 (ko) 주방용 롤 제품의 수납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