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439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439A
KR20230174439A KR1020220075360A KR20220075360A KR20230174439A KR 20230174439 A KR20230174439 A KR 20230174439A KR 1020220075360 A KR1020220075360 A KR 1020220075360A KR 20220075360 A KR20220075360 A KR 20220075360A KR 20230174439 A KR20230174439 A KR 20230174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oor
rotation
locking membe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3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균
이윤석
동용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5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439A/en
Priority to PCT/KR2023/006249 priority patent/WO2023249246A1/en
Publication of KR20230174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4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05Y2201/412Function thereof for closing for the final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며, 접촉면을 구비하는 힌지 브라켓; 상기 힌지 브라켓에 구비되는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 브라켓과 작용하여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작동하며,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C1)과 이격되는 회전 중심(C2)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탄성 부재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디와, 상기 레버의 회전 중심(C2)과 이격되는 회전 중심(C3)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이 축적된 상태에 상기 레버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락킹 부재를 포함하는 오토 클로징 장치; 및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락킹 부재에 대한 상기 레버의 락킹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레버 또는 상기 락킹 부재를 푸시하는 푸시 부재를 포함한다. The refrigerator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cabinet having a storage space; A hinge bracket coupled to the cabinet and having a contact surface; a door rotatably coupled to a shaft provided on the hinge bracket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It is installed on the door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oor, operates to automatically close the door by acting on the hinge bracket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and rotates away from the center of rotation (C1) of the door. A lever that rotates about the center (C2),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lever, a body installed on the door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lever, and a rotating body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C2) of the lever. An auto closing device that is rotatable about the center C3 and includes a locking member that is coupled to the lever and restricts rotation of the lever whil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s accumulated; and a push member that pushes the lever or the locking member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lever with respect to the locking member during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refrigerators.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allows food to be stored at low temperature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shielded by the refrigerator door. It cools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tion cycle. It is designed to store stored food in optimal condition.

상기 냉장고는, 주방이나 거실 등에 독립적으로 놓이거나, 주방의 가구장 내에 수납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be placed independently in a kitchen or living room, or may be stored in a kitchen cabinet.

상기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Refrigerators are gradually becoming larger and more multi-functional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eating habits and the trend of higher quality products, and refrigerators equipped with various structures and convenience devices that take user convenience into consideration are being released.

한편, 상기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에는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도어 저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에 도어 저장부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도어 자체의 무게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 저장부에 수납된 음식물의 무게에 의해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닫기 위하여 많은 힘이 요구된다. Meanwhile,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cabinet forming a storage space, and a door connected to the cabinet to provide the storage space. The door may be provided with a door storage portion for storing food. When the door is provided with a door storage unit, a lot of force is required for the user to close the door due to the weight of the food stored in the door storage unit as well as the weight of the door itself.

사용자가 도어를 용이하게 닫을 수 있도록, 근래의 냉장고는 도어가 일정 각도로 닫힌 상태에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힌지장치를 구비한다. To enable users to easily close the door, modern refrigerators are equipped with a hinge device that allows the door to close automatically when the door is closed at a certain angle.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 제10-0874633호에는, 복원장치를 포함하는 분리형 자동복귀 힌지장치가 개시된다. In Korean Patent No. 10-0874633, which is a prior document, a separate automatic return hinge device including a restoration device is disclosed.

상기 힌지장치는, 몸통과, 몸통 내부에 장착되는 클러치장치와, 클러치장치를 관ㅌ오하여 체결되는 샤프트와, 도어가 닫힐 때 복원력을 샤프트에 전달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inge device may include a body, a clutch device mounted inside the body, a shaft coupled with the clutch device, and a first spring that transmits a restoring force to the shaft when the door is closed.

상기 샤프트는 도어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코일 스프링 형태의 제1스프링이 상기 샤프트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The shaft serves to provid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oor, and a first spring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is dispos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haft.

이러한 선행문헌의 경우, 복원장치가 도어의 회전 중심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도어 내에서 복원장치의 높이만큼 복원장치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여 복원장치의 설치에 제약이 있다. In the case of this prior literature, since the restoration device is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door, a space for positioning the restoration device within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restoration device is required, which limits the installation of the restoration device.

또한, 도어의 두께 가변에 따라 도어의 회전 중심의 위치가 도어에서 가변될 수 있는데, 도어의 두께가 얇아지는 경우에는 도어의 회전 중심과 나란한 방향으로 복원장치를 설치하기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다. Additionally, the position of the door's center of rot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door. However, when the thickness of the door becomes thinner, it may be impossible to install the restoration devi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oor's center of rotation.

본 실시 예는, 도어의 닫힘 과정에서 도어가 기준 각도에 도달한 시점에서 최소한의 각도로 도어를 회전시켜 오토 클로징 장치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이고 도어를 닫을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This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that allows the user to close the door with little effort by operating the auto-closing device by rotating the door to a minimum angle when the door reaches the reference angle during the door closing process.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실시 예는, 사용자가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도어를 닫는 힘을 제거하였을때, 오토 클로징 장치가 작동하지 않아 도어가 열린 상태로 유지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in which the auto-closing device is prevented from operating when the user removes the door-closing force during the door-closing process, thereby preventing the door from remaining open.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실시 예는, 도어의 두께와 무관하게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닫힘력을 제공하는 오토 클로징 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is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n auto-closing device that is installed on the door and provides a closing force of the door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door.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며, 접촉면을 구비하는 힌지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힌지 브라켓에 구비되는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aspect may include a cabinet having a storage space. The refrigerator is coupled to the cabinet and may further include a hinge bracket having a contact surface. The refrigerator is rotatably coupled to a shaft provided on the hinge bracket and may further include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space.

상기 냉장고는 도어를 자동으로 닫기 위한 오토 클로징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n auto-closing device to automatically close the door.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는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 브라켓과 작용하여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작동할 수 있다. The auto-clos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door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door, and may operate to automatically close the door by acting on the hinge bracket during the door closing process.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는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C1)과 이격되는 회전 중심(C2)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는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uto-closing device may include a lever that rotates based on a rotation center (C2)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C1) of the door. The auto-clos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lever.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는 상기 레버의 회전 중심(C2)과 이격되는 회전 중심(C3)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이 축적된 상태에 상기 레버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락킹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uto-clos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door and may further include a body that rotatably supports the lever. The auto-closing device is rotatable based on a rotation center (C3)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C2) of the lever, and is coupled to the lever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s accumulated to limit rotation of the lever. I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member.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락킹 부재에 대한 상기 레버의 락킹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레버 또는 상기 락킹 부재를 푸시하는 푸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push member that pushes the lever or the locking member to unlock the lever with respect to the locking member when the door is closed.

상기 푸시 부재는 상기 힌지 브라켓 또는 상기 캐비닛에 설치될 수 있다. The push member may be installed on the hinge bracket or the cabinet.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는, 상기 바디 또는 상기 도어에 결합되며 상기 락킹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락킹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uto clos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coupled to the body or the door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locking member. The auto-clos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locking member within the housing.

상기 레버는 락킹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락킹 홈에 삽입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가 상기 락킹 홈에 삽입되면 상기 레버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The lever may include a locking groove. The locking member may include a hook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When the hook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rotation of the lever may be restricted.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푸시 부재가 상기 레버를 푸시하여 상기 레버가 상기 회전 중심(C2)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the push member pushes the lever so that the lever can rotate in one direction based on the rotation center C2.

상기 레버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락킹 부재가 상기 회전 중심(C3)을 기준으로 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레버의 락킹이 해제될 수 있다. When the lever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locking member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based on the rotation center C3, thereby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lever.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가 상기 회전 중심(C2)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락킹 부재를 상기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ever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for rotating the locking member in the other direction while the lever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bout the rotation center C2.

상기 레버에서 상기 접촉면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상기 락킹 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locking groove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lever and the extension portion.

상기 회전 중심(C2)에서 상기 연장부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 중심(C2)에서 상기 접촉면과 접촉되는 상기 레버의 접촉부까지의 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rotation (C2) to the end of the extension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rotation (C2)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lever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레버의 회전이 제한된 락킹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레버의 상기 일 방향 회전 과정에서 상기 연장부에 의해서 가압되는 접촉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ocking member may include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extension part is accommodated in a locked state in which rotation of the lever is restricted. The lock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protrusion pressed by the extension portion during the one-directional rotation of the lever.

상기 수용홈은 상기 락킹 부재의 회전 중심(C3)과 상기 접촉 돌기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receiving groove may be located between the rotation center C3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contact protrusion.

상기 접촉면은 상기 도어가 기준 각도 보다 큰 각도로 개방된 이후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푸시 부재에 의해서 회전된 상기 레버가 접촉하는 제 1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면은, 상기 제 1 면과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2 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면은 상기 제 2 면에서 경사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접촉하는 제 3 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ct surface may include a first surface with which the lever rotated by the push member contacts during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after opening at an angle greater than the reference angle. The contact surfa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rface extending at an angle to the first surface. The contact surface extends to be inclined from the second surface an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urface that contacts when the door is closed.

상기 제 1 면은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회전 중심(C1)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surface may extend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rotation center C1 as it approaches the front of the cabinet.

상기 제 2 면은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가까워질수록 상기 회전 중심(C1)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면과 곡률이 다를 수 있다. The second surface extend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rotation center C1 as it approaches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may have a different curvature from the first surface.

상기 제 3 면은 상기 제 2 면에서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The third side may extend from the second side away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 면에서 제 2 면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는 상기 푸시 부재와 이격될 수 있다. While the lever moves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the leve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ush member.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후크와 상기 접촉 돌기 사이에 위치되는 라운드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 면에서 제 2 면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접촉 돌기를 지나 상기 라운드면에 접촉할 수 있다. The lock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round surface positioned between the hook and the contact protrusion. While the lever moves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the extension part may pass through the contact protrusion and contact the round surface.

상기 레버는 회전 가능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접촉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푸시 부재는 상기 롤러를 푸시할 수 있다. The lever may include a rotatable roller. The roller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the push member may push the roller.

상기 푸시 부재는 상기 접촉면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가 상기 푸시 부재와 상기 접촉면 사이 공간을 지날 수 있다. The push membe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surface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the lever may pass through a space between the push member and the contact surface.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힌지 브라켓에 구비되는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may include a doo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a shaft provided on a hinge bracket and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space.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C1)과 이격되는 회전 중심(C2)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body installed on the door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door.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lever that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body and rotates about a rotation center (C2)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C1) of the door.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lever.

상기 냉장고는 상기 레버의 회전 중심(C2)과 이격되는 회전 중심(C3)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락킹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의 닫힘 과정에서 상기 락킹 부재에 의한 상기 레버의 락킹을 해제시키기 위한 푸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can rotate about a rotation center (C3)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C2) of the lever, and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member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lever.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push member for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lever by the locking member during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상기 도어가 기준 각도 보다 큰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가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로 상기 레버는 상기 락킹 부재에 의해서 회전이 제한되는 락킹 상태가 된다. When the door is opened at an angle greater than the reference angle, the elastic member accumulates elastic force and the lever is in a locked state in which rotation is restricted by the locking member.

상기 도어가 상기 기준 각도 보다 큰 각도로 개방된 이후에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푸시 부재가 상기 레버 또는 상기 락킹 부재를 푸시하여, 상기 레버의 락킹을 해제시킬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after the door is opened at an angle greater than the reference angle, the push member may push the lever or the locking member to unlock the lever.

상기 레버의 락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가 상기 접촉면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에 축적되는 탄성력이 감소할 수 있다. When the lever moves along the contact surface while the lever is unlocked, the elastic force accumulated in the elastic member may decrease.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이 감소되는 구간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이 상기 도어의 닫힘력으로 작용하여 상기 도어가 닫힐 수 있다. In a section wher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s reduce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cts as a closing force of the door and the door can be closed.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도어가 기준 각도에 도달한 시점에서 최소한의 각도로 사용자가 도어를 회전시키면 오토 클로징 장치가 작동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므로,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이고 도어를 닫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when the user rotates the door to the minimum angle when the door reaches the reference angle, the auto-closing device operates and the door automatically closes, allowing the user to close the door with less effort. There is.

또한, 상기 레버의 락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가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받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수동으로 닫지 않아도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놓았을 때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dditionally, in the unlocked state of the lever, since the lever receives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he door can be automatically clo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even if the user does not manually close the door.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oor can be prevented from remaining open when the user releases the door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또한, 오토 클로징 장치가 도어의 회전 중심선과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도어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도어가 닫힐 때 도어로 닫힘력을 제공할 수 있다. Additionally, since the auto-closing device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line of the door, closing force can be provided to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door becomes thinner.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힌지 브라켓과 오토 클로징 장치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어가 기준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의 힌지 브라켓과 오토 클로징 장치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오토 클로징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어가 기준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의 힌지 브라켓과 오토 클로징 장치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오토 클로징 장치 및 힌지 브라켓의 저면도.
도 7은 도어가 기준 각도 보다 작은 제 1 각도 만큼 개방된 상태에서의 힌지 브라켓과 오토 클로징 장치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오토 클로징 장치 및 힌지 브라켓의 저면도.
도 8은 도어가 제 1 각도 보다 작은 제 2 각도 만큼 개방된 상태에서의 힌지 브라켓과 오토 클로징 장치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오토 클로징 장치 및 힌지 브라켓의 저면도.
도 9는 도어가 제 2 각도 보다 작은 제 3 각도 만큼 개방된 상태에서의 힌지 브라켓과 오토 클로징 장치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오토 클로징 장치 및 힌지 브라켓의 저면도.
도 10은 도어가 제 3 각도 보다 작은 제 4 각도 만큼 개방된 상태에서의 힌지 브라켓과 오토 클로징 장치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오토 클로징 장치 및 힌지 브라켓의 저면도.
도 11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힌지 브라켓과 오토 클로징 장치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오토 클로징 장치 및 힌지 브라켓의 저면도.
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hinge bracket and the auto closing device when the door is close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hinge bracket and the auto-closing device when the door is opened at a reference angle.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to closing device.
Figure 6 is a bottom view of the auto-closing device and the hinge bracket to show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hinge bracket and the auto-closing device when the door is opened at a reference angle.
Figure 7 is a bottom view of the auto-closing device and the hinge bracket to show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hinge bracket and the auto-closing device when the door is opened by a first angle smaller than the reference angle.
Figure 8 is a bottom view of the auto-closing device and the hinge bracket to show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hinge bracket and the auto-closing device when the door is opened by a second angle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Figure 9 is a bottom view of the auto-closing device and the hinge bracket to show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hinge bracket and the auto-closing device when the door is opened by a third angle smaller than the second angle.
Figure 10 is a bottom view of the auto-closing device and the hinge bracket to show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hinge bracket and the auto-closing device when the door is opened by a fourth angle, which is smaller than the third angle.
Figure 11 is a bottom view of the auto-closing device and the hinge bracket to show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hinge bracket and the auto-closing device when the door is clos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Figure 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ure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독립적으로 주방에 설치되거나, 실내의 가구장 내에 수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실내의 가구장 내에 냉장고(1)가 설치될 때, 냉장고(1)는 단독으로 설치되거나 다른 냉장고와 함께 좌우로 배열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installed independently in a kitchen or installed in an indoor furniture cabinet. When the refrigerator 1 is installed in an indoor furniture cabinet, the refrigerator 1 can be installed alone or arranged side to side with other refrigerators.

상기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 may include a cabinet 10 having a storage space.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 may further include a refrigerator door 20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space.

상기 저장공간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측의 제 1 공간과 하측의 제 2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20)도 상기 제 1 공간을 개폐하는 제 1 도어(21)와 상기 제 2 공간을 개폐하는 제 2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space is not limited, but can be divided into an upper first space and a lower second space. The refrigerator door 20 may also include a first door 21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space and a second door 22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space.

상기 제 1 공간은 냉장실이고, 상기 제 2 공간은 냉동실이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저장공간이 좌우로 구분되는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저장공간이 단일의 공간일 수 있고, 단일의 냉장고 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irst space may be a refrigerating room, and the second space may be a freezing room, or vice versa. Alternatively, the storage space may include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lternatively, the storage space may be a single space, and a single refrigerator door may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상기 제 1 도어(21)와 상기 제 2 도어(22) 중 하나 이상은 회전 타입의 도어일 수 있다. 또는 단일의 냉장고 도어(20)가 회전 타입의 도어일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door 21 and the second door 22 may be a rotating type door. Alternatively, the single refrigerator door 20 may be a rotating type door.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냉장고 도어(20)는 냉장고 도어(20)가 열린 후 일정 각도 닫힌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20)로 닫힘력을 제공하는 오토 클로징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efrigerator door 20 may include an auto-closing device 30 that provides a closing force to the refrigerator door 20 in a closed state at a certain angle after the refrigerator door 20 is opened.

도 2에서는 일례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 도어와 제 2 도어 중에서 제 1 도어에 오토 클로징 장치(30)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오토 클로징 장치(30)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In FIG. 2 , an auto-closing device 30 is provided on the first door among the first and second door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position of the auto-closing device 30.

상기 제 1 도어(21)와 상기 제 2 도어(22)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도어(21)와 상기 제 2 도어(22)의 사이에 힌지 브라켓(50)이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door 21 and the second door 22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hinge bracket 50 will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door 21 and the second door 22. You can.

상기 힌지 브라켓(50)은, 상기 제 1 도어(21)와 상기 제 2 도어(22) 각각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공통의 브라켓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도어(21)의 상측에도 힌지 브라켓이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도어(22)의 하측에도 힌지 브라켓이 위치될 수 있다. The hinge bracket 50 may be a common bracket that provides a rotation center for each of the first door 21 and the second door 22. Of course, a hinge bracket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oor 21, and a hinge bracket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door 22.

상기 힌지 브라켓(50)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50)은 후술할 샤프트 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inge bracket 50 may be fixed to the front of the cabinet 10. The hinge bracket 50 may include a shaft member 5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 1 도어(21)와 상기 제 2 도어(22)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A gap G of a predetermined siz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door 21 and the second door 22.

상기 제 1 도어(21)와 상기 제 2 도어(22)가 서로 간섭 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 브라켓(50)의 일부는 제 1 도어(21)와 상기 제 2 도어(2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도어(21)의 하면과 이격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도어(22)의 상면과 이격된다. A portion of the hinge bracket 50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door 21 and the second door 22 so that the first door 21 and the second door 22 can rotate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It can be. At least a portion of the hinge bracket 50 is not only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door 21 but also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oor 22.

본 실시 예의 오토 클로징 장치(30)는 상기 힌지 브라켓(50)과 작용하면서 상기 제 1 도어(21)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도어(21)로 닫힘력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가 상기 제 2 도어(22)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도어(22)로 닫힘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auto-closing device 30 of this embodiment may act with the hinge bracket 50 and provide a closing force to the first door 21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first door 21. Of course, when the auto-closing device 30 is provided on the second door 22,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closing force to the second door 22.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가 상기 제 1 도어(21)로 닫힘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는 상기 제 1 도어(21)에 설치될 수 있다. In order for the auto-closing device 30 to provide closing force to the first door 21, the auto-closing device 30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door 21.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는 상기 제 1 도어(21)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50)과 작용하기 위하여, 오토 클로징 장치(30)의 일부는 상기 제 1 도어(2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auto-closing device 3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door 21. In order to function with the hinge bracket 50, a portion of the auto closing device 30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door 21.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가 상기 제 1 도어(21)의 하측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 1 도어(21)의 개폐 과정에서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가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는다. When the auto-closing device 30 is installed below the first door 21, the auto-closing device 30 is not clearly visible from the outside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first door 21.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가 상기 제 2 도어(22)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는, 상기 제 2 도어(22)의 상면과 이격될 수 있다. The auto-closing device 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oor 22 so that the auto-closing device 3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econd door 22 .

도 3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힌지 브라켓과 오토 클로징 장치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어가 기준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의 힌지 브라켓과 오토 클로징 장치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오토 클로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hinge bracket and the auto-closing device when the door is closed,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hinge bracket and the auto-closing device when the door is opened at a reference angle.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to closing device.

도 6은 도어가 기준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의 힌지 브라켓과 오토 클로징 장치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오토 클로징 장치 및 힌지 브라켓의 저면도이다. Figure 6 is a bottom view of the auto-closing device and the hinge bracket to show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hinge bracket and the auto-closing device when the door is opened at a reference angle.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 브라켓(50)은,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to 6 , the hinge bracket 50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510 to be coupled to the cabinet 10 .

상기 힌지 브라켓(50)은 상기 결합부(510)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라켓 바디(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inge bracket 50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body 520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coupling portion 510.

상기 결합부(510)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512)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홀(512)을 관통하여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coupling portion 510 may include one or more fastening holes 512. A fastening member may pass through the fastening hole 512 and be coupled to the cabinet 10.

상기 브라켓 바디(520)의 높이는 상기 결합부(510)의 높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520)에는 샤프트 부재(550)가 결합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bracket body 520 may be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coupling portion 510. A shaft member 550 may be coupled to the bracket body 520.

상기 샤프트 부재(550)는, 상기 제 1 도어(21)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제 1 샤프트(5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부재(550)는 상기 제 2 도어(22)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제 2 샤프트(5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샤프트(556)는 생략 가능하다. The shaft member 550 may include a first shaft 554 that provides a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door 21. The shaft member 55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haft 556 that provides a rotation center of the second door 22. Of course, the second shaft 556 can be omitted.

상기 샤프트 부재(550)는, 상기 브라켓 바디(520)에 안착되는 안착부(5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haft member 550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portion 552 mounted on the bracket body 520.

상기 제 1 샤프트(554)는 상기 안착부(552)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샤프트(556)는 상기 안착부(552)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shaft 554 may extend upward from the seating portion 552. The second shaft 556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seating portion 552.

상기 제 2 샤프트(556)의 직경 보다 상기 안착부(552)의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520)에는 상기 제 2 샤프트(556)가 관통하기 위한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seating portion 552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shaft 556. A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second shaft 556 passes may be formed in the bracket body 520.

상기 제 2 샤프트(556)는 상기 브라켓 바디(520)의 상방에서 상기 브라켓 바디(520)의 홀을 관통하고 상기 안착부(552)는 상기 브라켓 바디(52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The second shaft 556 may pass through a hole in the bracket body 520 from above, and the seating portion 552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520 .

상기 제 1 샤프트(554)에는 상기 제 1 도어(2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샤프트(556)에는 상기 제 2 도어(22)가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door 2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haft 554. The second door 2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haft 556.

상기 힌지 브라켓(50)은, 상기 브라켓 바디(5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캠 부재(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inge bracket 50 may further include a cam member 570 detachably coupled to the bracket body 520.

상기 캠 부재(570)는 상기 레버(320)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면(57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면(576)의 마모 시 상기 캠 부재(570)를 상기 브라켓 바디(520)에서 분리시킨 후에 새로운 캠 부재(570)를 상기 브라켓 바디(5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The cam member 570 may include a contact surface 576 for contacting the lever 320. When the contact surface 576 is worn, the cam member 570 can be separated from the bracket body 520 and then a new cam member 570 can be coupled to the bracket body 520.

상기 캠 부재(570)가 상기 브라켓 바디(5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 상기 힌지 브라켓(50)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상기 캠 부재(570) 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를 위한 비용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cam member 57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racket body 520, only the cam member 570 can be replaced without replacing the entire hinge bracket 50,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service costs. There is.

상기 캠 부재(570)가 상기 브라켓 바디(5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제 1 도어(21)와 상기 제 2 도어(2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캠 부재(570)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서비스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도어 들을 분리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캠 부재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Since the cam member 57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racket body 520, the cam member 570 can be separated while the first door 21 and the second door 22 are opened. Therefor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service. In other words, since there is no need to separate the doo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am member can be easily replaced.

물론, 상기 캠 부재(570)가 상기 브라켓 바디(52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브라켓 바디(520)가 접촉면(576)을 포함할 수 있다.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cam member 570 to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racket body 520. In this case, the bracket body 520 may include a contact surface 576.

상기 캠 부재(570)는, 제 1 캠 바디(572)와, 상기 제 1 캠 바디(572)와 결합되는 제 2 캠 바디(57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m member 570 may include a first cam body 572 and a second cam body 573 coupled to the first cam body 572.

상기 제 1 캠 바디(572)와 상기 제 2 캠 바디(573)는 상기 브라켓 바디(520)를 매개로 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The first cam body 572 and the second cam body 573 may be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via the bracket body 520.

일례로, 상기 제 1 캠 바디(572)의 일부가 상기 브라켓 바디(52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캠 바디(573)의 일부가 상기 브라켓 바디(520)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캠 바디(572)와 상기 제 2 캠 바디(573)가 결합될 수 있다. For example, with a portion of the first cam body 572 positioned above the bracket body 520 and a portion of the second cam body 573 positioned below the bracket body 520. The first cam body 572 and the second cam body 573 may be combined.

상기 제 1 캠 바디(572)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57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캠 바디(573)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57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am body 572 may include one or more fastening holes 574. The second cam body 573 may include one or more fastening holes 575.

상기 브라켓 바디(520)에도 상기 각 체결홀(574, 575)과 정렬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A fastening hole aligned with each of the fastening holes 574 and 575 may also be formed in the bracket body 520.

상기 제 1 캠 바디(572)의 일부가 상기 접촉면(576)의 일부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캠 바디(573)의 일부가 상기 접촉면(576)의 다른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first cam body 572 may provide a portion of the contact surface 576, and a portion of the second cam body 573 may provide another portion of the contact surface 576.

또는, 상기 제 1 캠 바디(572)와 상기 제 2 캠 바디(573) 중 어느 하나 만이 접촉면(576)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for only one of the first cam body 572 and the second cam body 573 to provide the contact surface 576.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는 상기 제 1 샤프트(554)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는 상기 제 1 샤프트(554)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 1 도어(21)에 결합될 수 있다. The auto-closing device 3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haft 55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auto-closing device 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door 21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haft 554.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는 상기 제 1 도어(21)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 1 도어(21)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브라켓 바디(520)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제 1 도어(21)로 닫힘력을 제공한다. The auto-closing device 30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door 21, and interacts with the bracket body 520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first door 21 to close the first door 21. Provides power.

이하에서는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auto-closing device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 예의 오토 클로징 장치(30)는, 바디(3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to-closing device 3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body 310.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는 상기 바디(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는 상기 레버(320)와 연결되는 탄성 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uto-closing device 30 may further include a lever 320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310. The auto-closing device 3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350 connected to the lever 320.

상기 바디(310)는,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The body 310 may form the outer shape of the auto-closing device 30.

상기 레버(320)는 회전 중심(C2: 도 6참조)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도어(21)의 회전 중심(C1: 도 6참조)을 지나는 선과 상기 레버(320)의 회전 중심(C2: 도 6참조)을 지나는 선은 나란하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The lever 320 can be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the rotation center (C2: see FIG. 6). That is,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door 21 (C1: see Figure 6) and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center of the lever 320 (C2: see Figure 6) are parallel and may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상기 바디(310)는, 상기 레버(32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디(310)는 상기 레버(320)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 1 바디(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311)에는 상기 레버(320)의 삽입을 위한 슬롯(312)이 구비될 수 있다. The body 310 may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lever 320. For example, the body 310 may include a first body 311 that accommodates a portion of the lever 320. The first body 311 may be provided with a slot 312 for insertion of the lever 320.

상기 레버(320)가 상기 제 1 바디(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320)는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3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롯(312)은 상기 제 1 바디(311)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While the lever 3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311, the lever 320 may be rotated. Accordingly, the slot 312 may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311 to enable rotation of the lever 320.

상기 바디(310)는, 상기 제 1 바디(311)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2 바디(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313)는 상기 제 1 도어(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313)는 상기 제 1 바디(31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 1 바디(311)에 결합될 수 있다. The body 3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ody 313 located above the first body 311. The second body 313 may be coupled to the first door 21. The second body 313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body 311 or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311.

상기 제 1 바디(311)는 일례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313)는 일례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body 31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the second body 313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상기 제 2 바디(313)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314)이 형성될 수 있다. One or more fastening holes 314 may be formed in the second body 313.

상기 제 1 바디(311) 및 상기 제 2 바디(313)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311)의 개구는 상기 제 2 바디(313)의 개구와 연통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311 and the second body 313 may each include an opening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pening of the first body 311 may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of the second body 313.

상기 바디(310)는, 상기 제 2 바디(313)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3 바디(3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디(317)는 일례로 상기 제 2 바디(313)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The body 31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body 317 located above the second body 313. For example, the third body 317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ody 313.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는, 상기 바디(310) 내에 배치되는 제 1 커넥터(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uto-closing device 3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or 340 disposed within the body 310.

상기 제 1 커넥터(340)는 상기 바디(310)로 삽입된 레버(32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or 340 may be connected to the lever 320 inserted into the body 310.

상기 제 1 커넥터(340)는, 상기 레버(320)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3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넥터(340)는 상기 레버(320)가 상기 슬롯(312)을 통하여 상기 바디(3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310)의 상측에서 상기 바디(310)로 수용되어 상기 레버(32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or 340 may be connected to the lever 320 and rotate together with the lever 320 . The first connector 340 is received in the body 310 from the upper side of the body 310 when the lever 320 is inserted into the body 310 through the slot 312 and is connected to the lever ( 320) can be combined.

상기 제 1 커넥터(340)의 일부는 상기 레버(320)를 관통하여 상기 레버(320)와 결합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340 may pass through the lever 320 and be coupled to the lever 320 .

상기 제 1 커넥터(340)는, 상기 탄성 부재(350)를 상기 레버(320)와 연결시킨다. 상기 제 1 커넥터(340)는, 레버 결합부(34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 결합부(341a)는 상기 레버(32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or 340 connects the elastic member 350 to the lever 320. The first connector 340 may include a lever coupling portion 341a. The lever coupling portion 341a may be coupled to the lever 320.

상기 제 1 커넥터(340)는 상기 탄성 부재(350)와 결합되는 제 1 탄성 부재 결합부(341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or 340 may include a first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341b coupled to the elastic member 350.

상기 제 1 커넥터(340)는, 레버 결합부(341a)와 제 1 탄성 부재 결합부(341b)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판(3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판(342)을 기준으로 상기 레버 결합부(341a)는 상기 구획판(342)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탄성 부재 결합부(341b)는 상기 구획판(342)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or 340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plate 342 disposed between the lever coupling portion 341a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341b.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plate 342, the lever coupling part 341a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artition plate 342,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coupling part 341b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plate 342. It can be.

상기 레버 결합부(341a)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1 리브 및 제 2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리브와 상기 제 2 리브 사이에는 제 1 결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레버 결합부(341a)는 단일의 리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ever coupling portion 341a may include first ribs and second ribs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first coupling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rib and the second rib. As another example, the lever coupling portion 341a may be formed in a single rib shape or may be formed in a non-circular shape.

상기 레버(320)는, 상기 제 1 및 제 2 리브가 각각 관통하는 복수의 리브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리브 홀은 이격될 수 있다. The lever 3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ib holes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ribs respectively pass. The plurality of rib holes may be spaced apart.

상기 레버 결합부(341a)가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레버(320)도 상기 리브와 대응되는 형태의 하나의 리브 홀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lever coupling portion 341a includes one rib, the lever 320 may also include one rib hol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ib.

상기 제 1 탄성 부재 결합부(341b)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3 리브 및 제 4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리브와 상기 제 4 리브 사이에는 제 2 결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공간에는 상기 탄성 부재(35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The first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341b may include third ribs and fourth ribs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second coupling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third rib and the fourth rib. A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35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space.

상기 레버(320)는, 상기 제 1 커넥터(340)와 결합되는 제 1 부분(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321)을 커넥터 결합부라고도 할 수 있다. The lever 320 may include a first part 321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340. The first part 321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connector coupling part.

상기 제 1 부분(321)의 일부가 상기 슬롯(312)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31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321)의 다른 일부는 상기 바디(310)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321)에 상기 리브 홀이 형성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321 may pass through the slot 312 and be accommodated in the body 310 . Another part of the second part 321 may be located in the body 310. The rib hole may be formed in the first portion 321.

상기 레버(320)는 상기 제 1 부분(32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3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ever 3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art 322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first part 321.

상기 제 2 부분(322)은 일례로 상기 제 1 부분(321)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연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part 322 may extend while maintaining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part 321.

상기 레버(320)는, 상기 브라켓 바디(520)와 접촉하기 위한 롤러(327)(또는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ever 320 may further include a roller 327 (or contact portion) for contacting the bracket body 520.

상기 롤러(327)는 상기 제 2 부분(322)에 롤러 핀(326)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롤러(327)는 상기 제 2 부분(322)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roller 327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part 322 by a roller pin 326. For example, the roller 327 may be located below the second part 322.

상기 레버(320)는 상기 제 1 부분(321)에서 상기 제 2 부분(322)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3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부분(324)은 후술할 락킹 부재(70)와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 3 부분(324)을 연장부라 이름할 수 있다. The lever 32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art 324 extending from the first part 321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econd part 322. The third part 324 may function with a locking member 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hird part 324 may be called an extension part.

상기 탄성 부재(350)는, 일례로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50)는, 와이어가 다수 회 권취되어 형성되는 바디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352)는 원통 또는 원뿔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350 may be a torsion spring,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350 may include a body portion 352 formed by winding a wire multiple times. The body portion 35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or truncated cone shape.

상기 바디부(352)를 형성하는 와이어의 수직 단면은 비원형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와이어의 수직 단면은 사각형일 수 있다. The vertical cross-section of the wire forming the body portion 352 may be non-circular. For example, the vertical cross-section of the wire may be square.

상기 탄성 부재(350)는, 상기 바디부(352)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3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354)는 상기 바디부(352)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354)는 상기 제 1 커넥터(34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탄성 부재 결합부(341b)의 제 2 결합 공간(348)에 상기 제 1 연장부(354)가 삽입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350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ortion 354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352.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54 may extend toward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352. The first extension 354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340. For example, the first extension part 354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space 348 of the first elastic member coupling part 341b.

상기 제 1 연장부(354)가 상기 제 2 결합 공간(348)에 수용되면, 상기 제 1 탄성 부재 결합부(341b)는 상기 바디부(352)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extension part 354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coupling space 348, the first elastic member coupling part 341b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portion 352.

상기 제 1 연장부(354)가 상기 제 2 결합 공간(348)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연장부(354)와 상기 바디부(352)는 상기 구획판(342)에 안착될 수 있다. With the first extension part 354 accommodated in the second coupling space 348, the first extension part 354 and the body part 352 may be seated on the partition plate 342.

상기 탄성 부재(350)는, 상기 바디부(352)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3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35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xtension portion 356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body portion 352.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는, 상기 탄성 부재(350)와 결합되는 제 2 커넥터(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356)가 상기 제 2 커넥터(36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auto-closing device 3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nector 460 coupled to the elastic member 350.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56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360.

상기 제 2 커넥터(360)는, 제 2 탄성 부재 결합부(36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넥터(360)는 핀 결합부(36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넥터(360)는, 제 2 탄성 부재 결합부(361a)와 핀 결합부(361b)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판(3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or 360 may include a second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361a. The second connector 360 may further include a pin coupling portion 361b. The second connector 360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plate 362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361a and the pin coupling portion 361b.

상기 구획판(362)을 기준으로 상기 핀 결합부(361b)는 상기 구획판(362)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탄성 부재 결합부(361a)는 상기 구획판(362)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Based on the partition plate 362, the pin coupling portion 361b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plate 362. The second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361a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artition plate 362.

상기 제 2 탄성 부재 결합부(361a)의 기본 구조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 결합부(341a)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The basic structur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361a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341a.

일례로, 상기 제 2 탄성 부재 결합부(361a)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1 리브 및 제 2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리브와 상기 제 2 리브 사이에는 제 1 결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50)의 제 2 연장부(356)는 상기 제 1 결합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361a may include a first rib and a second rib that ar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first coupling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rib and the second rib.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56 of the elastic member 35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coupling space.

상기 제 2 연장부(356)가 상기 제 1 결합 공간에 수용되면, 상기 제 2 탄성 부재 결합부(361a)는 상기 바디부(352)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Whe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56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coupling space, the second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361a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portion 352.

상기 핀 결합부(361b)의 기본 구조는 상기 제 2 탄성 부재 결합부(361a)와 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The basic structure of the pin coupling portion 361b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361a.

일례로 상기 핀 결합부(361b)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3 리브 및 제 4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리브와 상기 제 4 리브 사이에는 제 2 결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in coupling portion 361b may include third ribs and fourth ribs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second coupling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third rib and the fourth rib.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는, 상기 바디(310)의 상측 개구를 커버하는 상부 캡(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캡(370)은 내부에 중공(373)이 형성되는 캡 바디(3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캡(370)은 상기 캡 바디(372)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3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부 캡(370)은 생략 가능하다. The auto-closing device 30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cap 370 that covers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310. The upper cap 370 may include a cap body 372 with a hollow 373 formed therein. The upper cap 370 may further include a flange 374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top of the cap body 372. Of course, the upper cap 370 can be omitted.

상기 캡 바디(372)는 상기 바디(3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374)는 상기 바디(31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핀 결합부(361b)는 상기 중공(373)에 삽입될 수 있다. The cap body 372 may be inserted into the body 310. The flange 374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310. The pin coupling portion 361b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373.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는, 고정핀(3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uto-closing device 3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in 380.

상기 고정핀(380)은 상기 제 2 커넥터(36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380)은 상기 바디(310)에 상기 상부 캡(370)을 고정시킬 수 있다. The fixing pin 380 may limit rotation of the second connector 360. The fixing pin 380 may fix the upper cap 370 to the body 310.

상기 바디(310)에는 상기 고정핀(380)이 관통하기 위한 한 쌍의 제 1 핀 홀(3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 바디(372)에는 상기 고정핀(380)이 관통하기 위한 한 쌍의 제 2 핀 홀(375)이 형성될 수 있다. A pair of first pin holes 318 may be formed in the body 310 for the fixing pin 380 to pass through. A pair of second pin holes 375 may be formed in the cap body 372 for the fixing pin 380 to pass through.

상기 고정핀(380)은 상기 핀 결합부(361b)의 제 2 결합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핀(380)은 일 제 1 핀 홀(318)과 일 제 2 핀 홀(375)을 관통한 후에 상기 제 2 결합 공간을 지나고 다른 제 2 핀 홀과 다른 제 1 핀 홀(318)을 통과할 수 있다. The fixing pin 38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space of the pin coupling portion 361b. That is, the fixing pin 380 passes through the first pin hole 318 and the second pin hole 375, passes through the second coupling space,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pin hole 318 that is different from the other second pin hole. ) can pass.

상기 고정핀(380)에 의해서 상기 상부 캡(370), 상기 제 2 커넥터(360)가 상기 바디(3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핀(380)에 의해서 상기 상부 캡(370), 상기 제 2 커넥터(360)는 회전이 제한된다. The position of the upper cap 370 and the second connector 360 is fixed while connected to the body 310 by the fixing pin 380. That is, the rotation of the upper cap 370 and the second connector 360 is restricted by the fixing pin 380.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탄성 부재(350)에서 상기 제 2 연장부(356)는 고정단이고, 상기 제 1 연장부(354)는 가동단이다. 따라서, 상기 제 2 연장부(356)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연장부(354)는 상기 레버(320)와 함께 회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in the elastic member 350, the second extension part 356 is a fixed end,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354 is a movable end. Accordingly, while the second extension part 356 is fixed, the first extension part 354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lever 320.

상기 탄성 부재(350)의 제 2 연장부(356)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연장부(354)가 일 방향 회전되면 상기 탄성 부재(350)가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상기 탄성 부재(350)가 축적한 탄성력은 상기 레버(320)가 상기 일 방향과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레버(320)로 작용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extension 354 is rotated in one direction while the second extension 356 of the elastic member 350 is fixed, the elastic member 350 accumulates elastic force. The elastic force accumulated by the elastic member 350 may act as the lever 320 to rotate the lever 320 in an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이렇게 상기 탄성 부재(350)가 축적한 탄성력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도어(21)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도어(21)로 작용하여 상기 제 1 도어(21)가 소정 위치에서 자동으로 닫히도록 한다. In this way, the elastic force accumulated by the elastic member 350 acts on the first door 21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first door 21 so that the first door 21 automatically close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do.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는, 락킹 유닛(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 유닛(70)은 상기 제 1 도어(21)가 소정 각도 이상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3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The auto-closing device 30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unit 70. The locking unit 70 may limit the rotation of the lever 320 when the first door 21 is open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상기 제 1 도어(21)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 부재(350)의 탄성력이 축적될 수 있고, 상기 탄성 부재(350)의 탄성력이 증가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도어(21)가 소정 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락킹 유닛(70)이 상기 레버(320)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3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first door 21,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50 may be accumulated, and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50, the first door 21 may be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reached, the locking unit 70 may be connected to the lever 320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lever 320.

상기 락킹 유닛(70)은, 상기 레버(32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락킹 부재(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730)는 상기 레버(320)와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320)와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될 수 있다. The locking unit 70 may include a locking member 730 that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lever 320. The locking member 730 can be rotated independently of the lever 320 and can be coupled to or disengaged from the lever 320.

상기 락킹 부재(730)가 상기 레버(320)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320)의 회전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730)가 상기 레버(320)와 결합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320)는 회전 가능하다. When the locking member 730 is coupled to the lever 320, rotation of the lever 320 may be restricted. When the locking member 730 is disengaged from the lever 320, the lever 320 is rotatable.

상기 락킹 유닛(70)은, 상기 락킹 부재(73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우징(7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ocking unit 70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710 to which the locking member 730 is rotatably connected.

상기 하우징(7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7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710)은 상기 락킹 부재(73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The housing 710 may include a hollow 715 extending vertically. The housing 710 may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730.

일례로 상기 하우징(710)은 제 1 하우징(7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711)에 상기 락킹 부재(730)가 수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housing 710 may include a first housing 711. The locking member 73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711.

상기 제 1 하우징(711)에는 상기 락킹 부재(730)의 삽입을 위한 슬롯(71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롯(717)을 관통한 상기 락킹 부재(730)의 일부가 상기 중공(715)에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housing 711 may be provided with a slot 717 for insertion of the locking member 730. A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730 that penetrates the slot 717 may be located in the hollow 715.

상기 락킹 부재(730)가 상기 제 1 하우징(7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 부재(730)는 상기 제 1 하우징(711)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락킹 부재(7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롯(717)은 상기 제 1 하우징(711)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When the locking member 7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711, the locking member 730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711. Accordingly, the slot 717 may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711 to enable rotation of the locking member 730.

상기 하우징(710)은, 상기 제 1 하우징(711)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2 하우징(7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712)은 상기 제 1 도어(21)에 결합되거나 상기 바디(3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2 하우징(712)이 상기 바디(310)에 결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The housing 7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ousing 712 located above the first housing 711. The second housing 71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door 21 or the body 310. Hereinafter, the second housing 712 is coupled to the body 310 as an example.

상기 제 2 하우징(712)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 연장부(7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연장부(713)는 상기 바디(310)에 접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 연장부(713)는 상기 제 2 바디(313)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The second housing 712 may include a fastening extension portion 713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astening extension portion 713 may contact the body 310 . For example, the fastening extension part 713 may contact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313.

일례로 상기 제 2 바디(313)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 연장부(713)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315)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315)에는 제 1 체결홀(3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연장부(713)에도 상기 제 1 체결홀(316)와 정렬되는 제 2 체결홀(71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홀(316, 714)을 관통함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710)이 상기 바디(31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316, 714)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상기 제 1 도어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a seating groove 315 for seating the fastening extension portion 713 may be formed by rec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313. A first fastening hole 316 may be formed in the seating groove 315. A second fastening hole 714 aligned with the first fastening hole 316 may also be formed in the fastening extension portion 713. Accordingly, the housing 710 can be fastened to the body 310 as the fastening member penetrates the fastening holes 316 and 714. It is also possible for a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s 316 and 714 to be fastened to the first door.

상기 락킹 유닛(70)은 상기 하우징(710) 내에 배치되는 락킹 부재 커넥터(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ocking unit 70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member connector 720 disposed within the housing 710.

상기 락킹 부재 커넥터(720)는 상기 하우징(710)으로 삽입된 락킹 부재(73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locking member connector 720 may be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730 inserted into the housing 710.

상기 락킹 부재 커넥터(720)는, 상기 락킹 부재(730)와 연결되어 상기 락킹 부재(73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 커넥터(720)는 상기 락킹 부재(730)가 상기 슬롯(717)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7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710)의 상측에서 상기 하우징(710)으로 수용되어 상기 락킹 부재(73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locking member connector 720 is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730 and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locking member 730. The locking member connector 720 is received into the housing 710 from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710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73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710 through the slot 717 and is locked into the housing 710. It may be combined with member 730.

상기 락킹 부재 커넥터(720)의 일부는 상기 락킹 부재(730)를 관통하여 상기 락킹 부재(730)와 결합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connector 720 may pass through the locking member 730 and be coupled to the locking member 730 .

상기 락킹 부재 커넥터(720)는 후술할 탄성 부재(75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locking member connector 720 may be connected to an elastic member 7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락킹 부재 커넥터(720)의 기본 구조는, 상술한 제 1 커넥터(340)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The basic structure of the locking member connector 720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first connector 340 described above.

즉, 상기 락킹 부재 커넥터(720)도 레버 결합부(720a)와 탄성 부재 결합부(7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 결합부(720a)는 이격되는 두 개의 리브와 두 개의 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720b)도 이격되는 두 개의 리브와 두 개의 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 결합부(720a)와 탄성 부재 결합부(720b)의 사이에 구획판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락킹 부재 커넥터(720)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상기 레버 결합부(720a)와 탄성 부재 결합부(720b) 각각이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That is, the locking member connector 720 may also include a lever coupling portion 720a and an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720b. The lever coupling portion 720a may include two spaced apart ribs and a coupling space formed between the two ribs. The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720b may also include two spaced apart ribs and a coupling space formed between the two ribs. A partition plat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ever coupling portion 720a and the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720b.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ocking member connector 720 will be omitted.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each of the lever coupling portion 720a and the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720b includes one rib.

상기 락킹 부재(730)는, 상기 레버 결합부(720a)의 하나 이상의 리브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 홀(73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ocking member 730 may include one or more rib holes 732 into which one or more ribs of the lever coupling portion 720a are inserted.

상기 락킹 유닛(70)은 탄성 부재(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750)는 상기 하우징(7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750)의 일부는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720b)의 결합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The locking unit 7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750. The elastic member 750 may be accommodated within the housing 710. A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75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space of the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720b.

상기 탄성 부재(750)는, 일례로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750)의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 바디(310) 내에 수용되는 탄성 부재(350)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750 may be a torsion spring, for example. The basic structure of the elastic member 750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that of the elastic member 350 accommodated in the body 310.

일례로, 상기 탄성 부재(750)는, 와이어가 다수 회 권취되어 형성되는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750)는, 상기 바디부(752)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락킹 부재 커넥터(7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탄성 부재 결합부(720b)에 상기 제 1 연장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750)는, 상기 바디부(352)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750 may include a body portion formed by winding a wire multiple times. The elastic member 750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752. The first extension may be coupled to the locking member connector 720. For example, the first extension part may be inserted into the elastic member coupling part 720b. The elastic member 75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body portion 352.

상기 락킹 유닛(70)은, 탄성 부재(750)와 결합되는 탄성 부재 커넥터(7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750)의 제 2 연장부가 상기 탄성 부재 커넥터(76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locking unit 7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connector 760 coupled to the elastic member 750.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750 may be coupled to the elastic member connector 760.

본 실시 예의 탄성 부재 커넥터(760)의 기본 구조는, 상기 제 2 커넥터(360)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The basic structure of the elastic member connector 760 of this embodiment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connector 360.

즉, 상기 탄성 부재 커넥터(760)도 탄성 부재 결합부와 핀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elastic member connector 760 may also include an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and a pin coupling portion.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는 이격되는 두 개의 리브와 두 개의 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 결합부도 이격되는 두 개의 리브와 두 개의 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 커넥터(760)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와 탄성 부재 결합부 각각이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two spaced apart ribs and a coupling space formed between the two ribs. The pin coupling portion may also include two spaced apart ribs and a coupling space formed between the two ribs.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lastic member connector 760 will be omitted.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each of the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and the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includes one rib.

상기 락킹 유닛(70)은, 상기 탄성 부재 커넥터(760)를 상기 하우징(7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7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ocking unit 7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in 780 for fixing the elastic member connector 760 to the housing 710.

상기 하우징(710)에는 상기 고정핀(780)이 관통하기 위한 홀(716)이 형성될 수 있다. A hole 716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710 through which the fixing pin 780 passes.

상기 고정핀(780)은 핀 홀(716)을 관통한 후에 상기 탄성 부재 커넥터(760)의 핀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ixing pin 780 may pass through the pin hole 716 and then be coupled to the pin coupling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connector 760.

상기 락킹 부재(730)의 단부에는 후크(7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320)에는 상기 후크(734)가 삽입되는 락킹 홈(3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734)가 상기 락킹 홈(32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320)는 상기 락킹 부재(730)에 의해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A hook 734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locking member 730. A locking groove 323 into which the hook 734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lever 320. When the hook 734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23, the rotation of the lever 320 may be restricted by the locking member 730.

상기 락킹 부재(730)는 접촉 돌기(7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 돌기(735)는 상기 레버(320)의 제 3 부분(324)과 접촉될 수 있다. The locking member 730 may be provided with a contact protrusion 735. The contact protrusion 735 may be in contact with the third portion 324 of the lever 320.

상기 접촉 돌기(735)는 상기 락킹 부재(730)에서 상기 락킹 부재 결합부(720a)가 결합되는 부분 또는 락킹 부재(730)의 회전 중심(C3)과 상기 후크(73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contact protrusion 735 may be located at a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730 where the locking member coupling portion 720a is coupled or between the rotation center C3 of the locking member 730 and the hook 734. .

상기 락킹 부재(730)는 상기 레버(320)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부분(324)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7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ocking member 730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groove 737 for receiving the third part 324 while the rotation of the lever 320 is restricted.

상기 수용홈(737)은 상기 접촉 돌기(735)와 락킹 부재(730)의 회전 중심(C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receiving groove 737 may be located between the contact protrusion 735 and the rotation center C3 of the locking member 730.

상기 제 3 부분(324)은 상기 락킹 홈(323)을 기준으로 상기 롤러(327)(레버의 접촉부임)의 반대 편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부분(324)과 상기 롤러(327) 사이에 상기 락킹 홈(323)이 위치될 수 있다. The third part 324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oller 327 (a contact part of the lever) with respect to the locking groove 323. That is, the locking groove 323 may be located between the third part 324 and the roller 327.

상기 회전 중심(C2)에서 상기 제 3 부분(324)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 중심(C2)에서 상기 롤러(327)(레버의 접촉부임) 까지의 거리 보다 짧다.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center C2 to the end of the third portion 324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center C2 to the roller 327 (which is the contact portion of the lever).

상기 접촉 돌기(735)는 일례로 상기 락킹 부재(730)의 측면(736)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730)의 후크(734)가 상기 락킹 홈(3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부분(324)은 상기 접촉 돌기(735)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730)의 후크(734)가 상기 락킹 홈(3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부분(324)의 단부는 상기 수용홈(737)에 수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act protrusion 735 may protru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ide 736 of the locking member 730. When the hook 734 of the locking member 73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23, the third portion 324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rotrusion 735. When the hook 734 of the locking member 73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23, the end of the third part 324 can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737.

상기 제 1 도어(21)는, 상기 제 1 도어(21)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320)의 락킹 상태가 해제되도록 작동하는 푸시 부재(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door 21 may further include a push member 540 that operates to release the locked state of the lever 320 during the process of closing the first door 21.

상기 푸시 부재(540)는 일례로 상기 제 1 도어(21)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320)를 푸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ush member 540 may push the lever 320 while the first door 21 is being closed.

상기 푸시 부재(540)는 상기 힌지 브라켓(50)에 설치되거나 상기 캐비닛(10)에 설치될 수 있다. The push member 540 may be installed on the hinge bracket 50 or on the cabinet 10.

일례로 도 3에는 상기 푸시 부재(540)가 상기 힌지 브라켓(50)의 결합부(510)에 설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For example, FIG. 3 shows the push member 540 being installed on the coupling portion 510 of the hinge bracket 50.

상기 푸시 부재(540)는, 상기 결합부(510)에 체결되는 체결 바디(5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바디(542)에는 상기 결합부(510)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홀(543)이 형성될 수 있다. The push member 540 may include a fastening body 542 fastened to the coupling portion 510. A fastening hole 543 through which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o the coupling portion 510 passes may be formed in the fastening body 542.

상기 푸시 부재(540)는 상기 체결 바디(542)에서 연장되는 푸시 바디(5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바디(544)는 상기 체결 바디(542)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push member 540 may further include a push body 544 extending from the fastening body 542. The push body 544 may extend from the fastening body 54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푸시 바디(544)는 상기 레버(320)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320)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320)가 상기 푸시 바디(544)와 접촉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레버(320)의 롤러(327)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push body 544 may b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at least a portion of the lever 320. Therefore,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lever 320, the lever 320 can contact the push body 544. For example, it may be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roller 327 of the lever 320.

상기 접촉면(576)도 상기 롤러(327)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푸시 바디(544)는 상기 접촉면(576)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contact surface 576 may also be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roller 327. The push body 544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surface 57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 1 도어(21)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롤러(327)는 상기 접촉면(576)과 상기 푸시 바디(544) 사이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first door 21, the roller 327 may be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contact surface 576 and the push body 544.

상기 푸시 바디(544)는 상기 롤러(327)가 접촉되는 푸시면(5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면(545)은 경사면이거나 라운드면일 수 있다. The push body 544 may include a push surface 545 with which the roller 327 comes into contact. The push surface 545 may be an inclined surface or a round surface.

상기 제 1 도어(21)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롤러(327)는 상기 푸시면(545)을 따라 이동하면서 푸시될 수 있다. 상기 롤러(327)가 상기 푸시면(545)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롤러(327)가 가압되어 상기 레버(320)가 회전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first door 21, the roller 327 may be pushed while moving along the push surface 545.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roller 327 along the push surface 545, the roller 327 may be pressed and the lever 320 may be rotated.

상기 접촉면(576)은, 상기 제 1 도어(21)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320)가 초기에 접촉하는 제 1 면(576a)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ct surface 576 may include a first surface 576a that the lever 320 initially contacts during the process of closing the first door 21.

상기 제 1 도어(21)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320)가 상기 제 1 면(576a)과 미접촉된다. 상기 제 1 도어(21)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320)가 상기 제 1 면(576a)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 1 면(576a)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면일 수 있다. When the first door 21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the lever 320 is not in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576a.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first door 21, the lever 320 may contact the first surface 576a.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576a may be a concave surface.

상기 접촉면(576)은, 상기 제 1 면(576a)에서 연장되는 제 2 면(576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면(576b)은 상기 제 1 면(576a)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면(576b)의 곡률은 상기 제 1 면(576a)의 곡률 보다 클 수 있다. The contact surface 576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rface 576b extending from the first surface 576a. The second surface 576b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576a. The curvature of the second surface 576b may be greater than the curvature of the first surface 576a.

상기 접촉면(576)은, 상기 제 2 면(576b)에서 연장되는 제 3 면(576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면(576c)은 상기 제 2 면(576b)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contact surface 576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urface 576c extending from the second surface 576b. The third surface 576c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rface 576b.

상기 제 1 면(576a)은 상기 결합부(510)(또는 캐비닛(10)의 전면))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제 1 도어(21)의 회전 중심(C1)을 지나면서 상기 결합부(510)에 수직한 가상선(A1)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As the first surface 576a approaches the coupling portion 510 (or the front of the cabinet 10), the coupling portion 510 passes through the rotation center C1 of the first door 21. )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imaginary line (A1) perpendicular to ).

또는, 상기 제 1 면(576a)은 상기 결합부(510)(또는 캐비닛(10)의 전면)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회전 중심(C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first surface 576a may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tation center C1 as it approaches the coupling portion 510 (or the front of the cabinet 10).

상기 제 3 면(576c)은 상기 결합부(510)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가상선(A1)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third surface 576c may extend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imaginary line A1 as the distance from the coupling portion 510 increases.

또는, 상기 제 3 면(576e)은 상기 제 2 면(576b)에서 상기 결합부(510)(또는 캐비닛(10)의 전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third surface 576e may extend from the second surface 576b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upling portion 510 (or the front of the cabinet 10).

이하에서는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3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to-closing device 30 will be described.

도 7은 도어가 기준 각도 보다 작은 제 1 각도 만큼 개방된 상태에서의 힌지 브라켓과 오토 클로징 장치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오토 클로징 장치 및 힌지 브라켓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도어가 제 1 각도 보다 작은 제 2 각도 만큼 개방된 상태에서의 힌지 브라켓과 오토 클로징 장치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오토 클로징 장치 및 힌지 브라켓의 저면도이다. Figure 7 is a bottom view of the auto-closing device and the hinge bracket to show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hinge bracket and the auto-closing device when the door is opened by a first angle smaller than the reference angle, and Figure 8 is a bottom view of the auto-closing device and the hinge bracket when the door is opened by a first angle smaller than the reference angle. This is a bottom view of the auto-closing device and the hinge bracket to show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hinge bracket and the auto-closing device when opened by a smaller second angle.

도 9는 도어가 제 2 각도 보다 작은 제 3 각도 만큼 개방된 상태에서의 힌지 브라켓과 오토 클로징 장치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오토 클로징 장치 및 힌지 브라켓의 저면도이고, 도 10은 도어가 제 3 각도 보다 작은 제 4 각도 만큼 개방된 상태에서의 힌지 브라켓과 오토 클로징 장치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오토 클로징 장치 및 힌지 브라켓의 저면도이다. Figure 9 is a bottom view of the auto-closing device and the hinge bracket to show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hinge bracket and the auto-closing device when the door is opened by a third angle smaller than the second angle, and Figure 10 is a bottom view of the auto-closing device and the hinge bracket when the door is opened by a third angle that is smaller than the second angle. This is a bottom view of the auto-closing device and the hinge bracket to show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hinge bracket and the auto-closing device when opened by a fourth angle smaller than the angle.

도 11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힌지 브라켓과 오토 클로징 장치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오토 클로징 장치 및 힌지 브라켓의 저면도이다. Figure 11 is a bottom view of the auto-closing device and the hinge bracket to show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hinge bracket and the auto-closing device when the door is closed.

도 6 내지 도 11에서는 도어는 생략되었다. In Figures 6 to 11, the door is omitted.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도어(21)가 기준 각도 이상으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350)가 탄성력(일례로 제 1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로 상기 락킹 부재(730)의 후크(734)가 상기 레버(320)의 락킹 홈(323)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320)의 회전은 제한된다. Referring to FIGS. 4 to 11, when the first door 21 is opened beyond the reference angle, the elastic member 350 accumulates elastic force (for example, the first elastic force) and the locking member ( The hook 734 of 730 is maintained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23 of the lever 320. In this state, rotation of the lever 320 is restricted.

상기 락킹 부재(730)의 후크(734)가 상기 레버(320)의 락킹 홈(3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320)의 제 3 부분(324)은 상기 락킹 부재(730)의 접촉 돌기(735)와 접촉되고, 단부는 상기 수용홈(737)에 수용될 수 있다. When the hook 734 of the locking member 73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23 of the lever 320, the third part 324 of the lever 320 is a contact protrusion of the locking member 730. It is in contact with (735), and the end can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737).

상기 레버(320)의 회전 중심(C2)에서 상기 수용홈(737) 까지의 거리는 상기 상기 레버(320)의 회전 중심(C2)에서 접촉 돌기(735)까지의 거리 보다 크다.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center (C2) of the lever 320 to the receiving groove 737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center (C2) of the lever 320 to the contact protrusion 735.

상기 락킹 부재(730)는 탄성 부재(715)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으므로, 상기 레버(320)나 상기 락킹 부재(730)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락킹 부재(730)의 후크(734)가 상기 레버(320)의 락킹 홈(323)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Since the locking member 730 receives elastic force from the elastic member 715, the hook 734 of the locking member 730 is maintained unles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ever 320 or the locking member 730. The inserted state in the locking groove 323 of the lever 320 may be maintained.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후크(734)가 상기 락킹 홈(323)에 삽입된 상태를 상기 레버(320)의 락킹 상태라 할 수 있다. 상기 후크(734)가 상기 락킹 홈(323)에서 빠진 상태를 상기 레버(320)의 락킹 해제 상태라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tate in which the hook 734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23 may be referred to as the locking state of the lever 320. The state in which the hook 734 is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 323 may be referred to as the unlocked state of the lever 320.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후크(734)가 상기 락킹 홈(323)에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락킹 부재(730)가 회전되는 방향을 락킹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후크(734)가 상기 락킹 홈(323)에서 빠지기 위하여 상기 락킹 부재(730)가 회전되는 방향을 락킹 해제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member 730 is rotated in order to insert the hook 734 into the locking groove 323 may be referred to as the locking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member 730 is rotated so that the hook 734 can be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 323 may be referred to as the unlocking direc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도어(21)가 A 방향(일례로 도 6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도어(21)의 개방 각도가 기준 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레버(320)가 상기 푸시 바디(544)의 푸시면(545)와 접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first door 21 in direction A (for example, clockwise based on FIG. 6),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first door 21 reaches the reference angle, the The lever 320 may contact the push surface 545 of the push body 544.

상기 레버(320)가 상기 푸시 바디(544)의 푸시면(545)에 접촉하여 상기 레버(320)가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레버(320)가 상기 제 1 면(576a)과 접촉할 수 있다. As the lever 320 contacts the push surface 545 of the push body 544 and rotates the lever 320, the lever 320 may contact the first surface 576a.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레버(320)가 상기 푸시면(545)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21)가 추가로 A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320)는 상기 푸시면(545)에 의해서 가압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레버(320)는 회전 중심(C2)을 기준으로 C 방향(일례로 도 7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in the process of further rotating the first door 21 in direction A while the lever 320 is in contact with the push surface 545, the lever 320 is pushed to the push surface (545). 545) can be pressurized. Then, the lever 320 may be rotated in the C direction (for example, clockwise based on FIG. 7)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C2.

상기 레버(320)가 C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3 부분(324)의 단부가 상기 락킹 부재(730)의 상기 접촉 돌기(735)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락킹 부재(730)는 회전 중심(C3)을 기준으로 B 방향(일례로 도 7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락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레버(3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락킹 부재(73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3 부분(324)은 상기 레버(320)의 회전력을 상기 락킹 부재(7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lever 320 in the C direction, the end of the third part 324 presses the contact protrusion 735 of the locking member 730. Then, the locking member 730 rotates in direction B (for example, clockwise or unlocking direction based on FIG. 7) about the rotation center C3. That is, the locking member 730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lever 320. The third part 324 serves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ever 320 to the locking member 730.

상기 락킹 부재(730)가 B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후크(734)가 상기 락킹 홈(323)에서 빠지게 된다. When the locking member 730 rotates in direction B, the hook 734 is pulled out of the locking groove 323.

일례로, 상기 제 1 도어(21)의 개방 각도가 기준 각도 보다 작은 제 1 각도인 상태에서 상기 후크(734)가 상기 락킹 홈(323)에서 빠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hook 734 may fall out of the locking groove 323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first door 21 is a first angle smaller than the reference angle.

상기 후크(734)가 상기 락킹 홈(323)에서 빠지면, 상기 레버(320)는 C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When the hook 734 is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 323, the lever 320 is rotatable in the C direction.

상기 후크(734)가 상기 락킹 홈(323)에서 빠진 상태에서 상기 레버(320)는 상기 제 1 면(576a)에 접촉하고 있다. With the hook 734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 323, the lever 32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576a.

상기 제 1 면(576a)이 오목면인 경우 상기 레버(320)가 상기 푸시면(545)에 의해서 가압되어 회전될 때, 상기 레버(320)가 상기 제 1 면(576a)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면(576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surface 576a is a concave surface and the lever 320 is pressed and rotated by the push surface 545, the lever 32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576a. It can be moved along the first surface 576a while being maintained.

도 7의 위치에는 상기 레버(320)의 락킹 상태가 해제되었으므로, 상기 탄성 부재(35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레버(320)가 C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제 1 도어(21)로 닫히는 힘을 제공하지 않더라도, 오토 클로징 장치(30)에 의해서 상기 제 1 도어(21)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Since the locked state of the lever 320 is released at the position shown in FIG. 7, the lever 320 can be rotated in the C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50. In this state, even if the user does not provide closing force to the first door 21, the first door 21 can be automatically closed by the auto closing device 30.

도 8과 같이 상기 제 1 도어(21)가 추가로 A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레버(320)는 상기 푸시면(545)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레버(320)는 상기 탄성 부재(350)의 탄성력을 받고 있으므로 상기 레버(320)는 상기 제 1 면(576a)을 따라 제 2 면(576c)으로 이동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when the first door 21 is further rotated in direction A, the lever 3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ush surface 545. Since the lever 320 receives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50, the lever 320 can move along the first surface 576a to the second surface 576c.

도 8과 같이, 상기 레버(320)가 상기 제 1 면(576a)에서 상기 제 2 면(576b)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3 부분(736)은 상기 수용홈(737)에서 빠져 상기 락킹 부재(730)의 측면(736)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측면(7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회전 중심(C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는 라운드면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lever 320 from the first surface 576a to the second surface 576b, the third part 736 falls out of the receiving groove 737 and is removed from the locking member. It may be in contact with the side 736 of 730.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736 may be a round surface that is round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tation center C2.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35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레버(320)는 C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 2 면(376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9 to 11, the lever 320 can continuously rotate in the C direction and move along the second surface 376b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50.

상기 탄성 부재(350)의 탄성력은 상기 레버(320)의 C 방향으로의 누적 회전 각도가 증가될수록 줄어들게 되는데, 줄어드는 상기 탄성 부재(350)의 탄성력은 상기 제 1 도어(21)의 닫힘력으로 작용한다.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50 decreases as the cumulative rotation angle in the C direction of the lever 320 increases, and the decreased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50 acts as a closing force of the first door 21. do.

도 11과 같이, 상기 레버(320)가 상기 제 2 면(376b)을 지나 상기 제 3 면(376c)에 접촉되면, 상기 제 1 도어(21)가 완전하게 닫히게 된다. As shown in Figure 11, when the lever 320 passes through the second surface 376b and contacts the third surface 376c, the first door 21 is completely closed.

상기 제 1 도어(21)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락킹 부재(730)는 락킹 해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되거나 상기 제 1 도어(21)가 닫히기 바로 전에 상기 락킹 부재(730)의 회전이 정지되거나 상기 제 1 도어(21)가 닫히기 바로 전에 상기 락킹 부재(730)가 락킹 방향(B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first door 21, the locking member 730 is continuously rotated in the unlocking direction, or the rotation of the locking member 730 is stopped immediately before the first door 21 is closed, or the locking member 730 is rotated in the unlocking direction. 1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locking member 730 is rotated in the locking direction (B1 direction) just before the door 21 is closed.

도 11과 같이, 상기 제 1 도어(21)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레버(320)는 실질적으로 상기 바디(310)에 대해서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로 존재하여 상기 탄성 부재(350)가 소정 크기의 제 2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 제 2 탄성력은 상기 제 1 탄성력 보다 작으나 0보다는 크다. As shown in FIG. 11, when the first door 21 is completely closed, the lever 320 is substantially rotated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body 310 so that the elastic member 350 has a predetermined size. The second elastic force of is maintained in an accumulated state. At this time, the second elastic force is smaller than the first elastic force but greater than 0.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350)가 상기 제 1 도어(21)가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므로, 상기 제 1 도어(21)가 닫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first door 21 is closed, the elastic member 350 applies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door 21 is closed, so that the closed state of the first door 21 is stably maintained. It can be.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도어(21)가 기준 각도 이상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350)가 제 1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로 상기 레버(320)가 락킹 상태가 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first door 21 is opened beyond the reference angle, the lever 320 is in a locked state with the elastic member 350 accumulating the first elastic force.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21)를 닫히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 1 도어(21)를 기준 각도에서, 상기 기준 각도와 제 1 각도의 차이 만큼 상기 제 1 도어(21)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레버(320)의 락킹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기준 각도와 제 1 각도의 차이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5도 이하일 수 있다. In this state, in order to close the first door 21, the user manually rotates the first door 21 at a reference angle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angle and the first angle. If so, the locking of the lever 320 can be releas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angle and the first angle is not limited, but may be 5 degrees or less.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도어(21)를 기준 각도에서 5도 이하의 각도만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도어(21)를 닫기 위한 힘을 상기 제 1 도어(21)로 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이고도 상기 제 1 도어(21)를 닫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if the user manually rotates the first door 21 by an angle of 5 degrees or less from the reference angle, there is no need to apply additional force to the first door 21 to close the first door 21. ,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close the first door 21 even with a small amount of force.

상기 레버(320)의 락킹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제 1 도어(21)를 수동으로 닫지 않아도 상기 탄성 부재(35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 1 도어(21)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21)를 닫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 1 도어(21)를 놓았을 때 상기 제 1 도어(21)가 열린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When the lever 320 is unlocked, the first door 21 can be automatically clo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50 even without the user manually closing the first door 21. . Accordingly, when the user releases the first door 21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first door 21, the first door 21 can be prevented from remaining open.

한편, 상기 제 1 도어(21)가 개방되는 경우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Meanwhile, the case where the first door 21 is opened will be briefly described.

상기 제 1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21)가 개방되면, 상기 레버(320)는 상기 바디(310)에 대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레버(320)가 상기 바디(310)에 대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탄성 부재(350)의 탄성력은 상기 제 2 탄성력에서 증가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door 21 is opened while the first door 21 is closed, the lever 320 may be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body 310. When the lever 32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body 310,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50 may increase from the second elastic force.

상기 제 1 도어(21)의 개방 각도가 증가되면, 상기 레버(320)의 회전 각도가 증가되고, 상기 탄성 부재(350)의 탄성력은 지속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first door 21 increases, the rotation angle of the lever 320 increases,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50 may continuously increase.

상기 제 1 도어(21)의 개방 각도가 증가되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320)가 회전될 때, 상기 록킹 부재(730)는 락킹 방향(도면 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the opening angle of the first door 21, when the lever 320 is rotated, the locking member 730 rotates in the locking direction (clockwise in the drawing).

상기 제 1 도어(21)의 개방 각도가 증가되어 개방 각도가 제 1 각도가 되면, 상기 레버(320)가 상기 푸시면(545)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 3 부분(324)이 상기 접촉 돌기(735)를 지나 상기 수용홈(737)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후크(734)는 상기 락킹 홈(323)과 인접하게 위치된다.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first door 21 increases and the opening angle becomes the first angle, the lever 3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ush surface 545, and the third portion 324 contacts the contact protrusion. It passes through (735) and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737). In this state, the hook 734 is located adjacent to the locking groove 323.

상기 제 1 도어(21)의 개방 각도가 제 1 각도에서 기준 각도로 증가되는 과정에서 상기 후크(734)는 상기 락킹 홈(323)에 삽입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the opening angle of the first door 21 from the first angle to the reference angle, the hook 734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23.

상기 제 1 도어(21)가 기준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후크(734)가 상기 락킹 홈(323)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 부재(350)의 탄성력이 제 1 탄성력으로 축적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32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door 21 is opened at a reference angle, the hook 734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23,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50 is accumulated as the first elastic force, and the lever ( 320) rotation may be restricted.

한편,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도어(21)의 닫힘 과정에서 상기 푸시 부재(540)가 상기 레버(320)를 푸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푸시 부재(540)가 상기 락킹 부재(730)를 푸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락킹 부재(730)에 연장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도어(21)의 닫힘 과정에서 상기 푸시 부재(540)가 상기 연장부를 푸시하여 상기 락킹 부재(730)가 락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push member 540 pushes the lever 320 during the closing process of the first door 21. However, unlike this, the push member 540 is the locking member ( 730) is also possible. In this case, the locking member 730 may be provided with an extension, and during the closing process of the first door 21, the push member 540 pushes the extension so that the locking member 730 moves in the unlocking direction. can be rotated.

Claims (18)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며, 접촉면을 구비하는 힌지 브라켓;
상기 힌지 브라켓에 구비되는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 브라켓과 작용하여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작동하며,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C1)과 이격되는 회전 중심(C2)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탄성 부재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디와,
상기 레버의 회전 중심(C2)과 이격되는 회전 중심(C3)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이 축적된 상태에 상기 레버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락킹 부재를 포함하는 오토 클로징 장치; 및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락킹 부재에 대한 상기 레버의 락킹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레버 또는 상기 락킹 부재를 푸시하는 푸시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A cabinet with storage space;
A hinge bracket coupled to the cabinet and having a contact surface;
a door rotatably coupled to a shaft provided on the hinge bracket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It is installed on the door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oor, and operates to automatically close the door by acting on the hinge bracket during the door closing process,
A lever rotated about a rotation center (C2)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C1) of the door,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lever,
A body installed on the door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lever;
It is rotatable based on a rotation center (C3)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C2) of the lever, and is coupled to the lever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s accumulated, and includes a locking member that limits rotation of the lever. Auto closing device;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a push member that pushes the lever or the locking member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lever with respect to the locking member when the door is clo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부재는 상기 힌지 브라켓 또는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A refrigerator wherein the push member is installed on the hinge bracket or the cabin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는, 상기 바디 또는 상기 도어에 결합되며 상기 락킹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락킹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auto closing device includes a housing coupled to the body or the door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locking member,
The refrigerator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locking member within th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락킹 홈을 포함하고,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락킹 홈에 삽입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가 상기 락킹 홈에 삽입되면 상기 레버의 회전이 제한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lever includes a locking groove,
The locking member includes a hook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A refrigerator in which rotation of the lever is restricted when the hook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푸시 부재가 상기 레버를 푸시하여 상기 레버가 상기 회전 중심(C2)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레버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락킹 부재가 상기 회전 중심(C3)을 기준으로 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레버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4,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the push member pushes the lever so that the lever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bout the rotation center (C2), and the locking member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rotation center (C2) of the lever. A refrigerator that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based on C3) to unlock the lev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가 상기 회전 중심(C2)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락킹 부재를 상기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연장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5,
The lever includes an extension part for rotating the locking member in the other direction while the lever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bout the rotation center (C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서 상기 접촉면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상기 락킹 홈이 형성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6,
A refrigerator in which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 of the lever that contacts the contact surface and the extension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중심(C2)에서 상기 연장부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 중심(C2)에서 상기 접촉면과 접촉되는 상기 레버의 접촉부까지의 거리 보다 짧은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6,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rotation (C2) to the end of the extension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rotation (C2)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lever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레버의 회전이 제한된 락킹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가 수용되는 수용홈과,
상기 레버의 상기 일 방향 회전 과정에서 상기 연장부에 의해서 가압되는 접촉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락킹 부재의 회전 중심(C3)과 상기 접촉 돌기 사이에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6,
The locking member includes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extension part is accommodated in a locked state in which rotation of the lever is restricted,
Further comprising a contact protrusion pressed by the extension portion during the one-way rotation of the lever,
The receiving groove is located between the rotation center (C3)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contact protrus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도어가 기준 각도 보다 큰 각도로 개방된 이후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푸시 부재에 의해서 회전된 상기 레버가 접촉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에서 경사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접촉하는 제 3 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use 9,
The contact surface is a first surface with which the lever rotated by the push member comes into contact when the door is closed after being opened at an angle greater than the reference angle,
It includes a second surface extending at an angle to the first surface,
A refrigerator comprising a third surface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second surface and contacting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은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회전 중심(C1)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면은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가까워질수록 상기 회전 중심(C1)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면과 곡률이 다르고,
상기 제 3 면은 상기 제 2 면에서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0,
The first surface extend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center of rotation (C1) as it approaches the front of the cabinet,
The second surface extend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center of rotation (C1) as it approaches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has a different curvature from the first surface,
The third side extends away from the second side and the front of the cabine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 면에서 제 2 면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는 상기 푸시 부재와 이격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0,
A refrigerator in which the lever is spaced apart from the push member while the lever moves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후크와 상기 접촉 돌기 사이에 위치되는 라운드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 면에서 제 2 면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접촉 돌기를 지나 상기 라운드면에 접촉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0,
The lock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round surface positioned between the hook and the contact protrusion,
A refrigerator in which the extension part passes the contact protrusion and contacts the round surface while the lever moves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회전 가능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푸시 부재는 상기 롤러를 푸시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lever includes a rotatable roller,
A refrigerator in which the push member pushes the roller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부재는 상기 접촉면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가 상기 푸시 부재와 상기 접촉면 사이 공간을 지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push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surfac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refrigerator in which the lever passes through a space between the push member and the contact surface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며, 접촉면을 구비하는 힌지 브라켓;
상기 힌지 브라켓에 구비되는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C1)과 이격되는 회전 중심(C2)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레버;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탄성 부재;
상기 레버의 회전 중심(C2)과 이격되는 회전 중심(C3)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락킹 부재; 및
상기 도어의 닫힘 과정에서 상기 락킹 부재에 의한 상기 레버의 락킹을 해제시키기 위한 푸시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A cabinet with storage space;
A hinge bracket coupled to the cabinet and having a contact surface;
a door rotatably coupled to a shaft provided on the hinge bracket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 body installed on the door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door;
a lever rotatably supported on the body and rotated about a rotation center (C2)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C1) of the door;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lever;
a locking member rotatable about a rotation center (C3)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C2) of the lever and configured to limit rotation of the lev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a push member for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lever by the locking member during the closing process of the doo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기준 각도 보다 큰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가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로 상기 레버는 상기 락킹 부재에 의해서 회전이 제한되는 락킹 상태가 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기준 각도 보다 큰 각도로 개방된 이후에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푸시 부재가 상기 레버 또는 상기 락킹 부재를 푸시하여, 상기 레버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6,
When the door is opened at an angle greater than the reference angle, the elastic member accumulates elastic force and the lever is in a locked state in which rotation is restricted by the locking member,
A refrigerator in which the push member pushes the lever or the locking member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after the door is opened at an angle greater than the reference angle to unlock the lever.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락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가 상기 접촉면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에 축적되는 탄성력이 감소하며,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이 감소되는 구간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이 상기 도어의 닫힘력으로 작용하여 상기 도어가 닫히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7,
When the lever moves along the contact surface while the lever is unlocked, the elastic force accumulated in the elastic member decreases,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oor is closed by acting as a closing force of the door in a section wher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s reduced.
KR1020220075360A 2022-06-21 2022-06-21 Refrigerator KR2023017443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360A KR20230174439A (en) 2022-06-21 2022-06-21 Refrigerator
PCT/KR2023/006249 WO2023249246A1 (en) 2022-06-21 2023-05-09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360A KR20230174439A (en) 2022-06-21 2022-06-21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439A true KR20230174439A (en) 2023-12-28

Family

ID=89384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360A KR20230174439A (en) 2022-06-21 2022-06-21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443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6982B1 (en) Refrigerator
EP2770284B1 (en) Refrigerator
KR102118047B1 (en) Refrigerator
RU2484392C1 (en) Refrigerator
EP3521736B1 (en) Refrigerator with inner door
US8579394B2 (en) Refrigerator
US20060226751A1 (en) Refrigerator
KR200459216Y1 (en) Refrigerator
KR101697112B1 (en) Refrigerator having double doors
US20230280085A1 (en) Refrigerator
KR20230174439A (en) Refrigerator
KR20230174440A (en) Refrigerator
US10041727B2 (en)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and method for install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US20240167754A1 (en) Refrigerator
KR102004446B1 (en) Refrigerator
KR20220018704A (en) Refrigerator
KR102004434B1 (en) Refrigerator
US20230288129A1 (en) Refrigerator
KR20080106722A (en) Rice refrigerator
US20240044570A1 (en) Refrigerator
KR20240057859A (en) Refrigerator
KR20220018705A (en) Refrigerator
KR20080106721A (en) Rice refrigerator
KR20210027913A (en) A refrigerator
KR20110081411A (en) A refrige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