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144A -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144A
KR20230174144A KR1020230033147A KR20230033147A KR20230174144A KR 20230174144 A KR20230174144 A KR 20230174144A KR 1020230033147 A KR1020230033147 A KR 1020230033147A KR 20230033147 A KR20230033147 A KR 20230033147A KR 20230174144 A KR20230174144 A KR 20230174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emitting
inner case
clothing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1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희범
임형규
김재형
윤태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819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49313A1/en
Publication of KR20230174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144A/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9/00Washing machines using vibrations for washing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너케이스, 도어, 기계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로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이너케이스, 상기 도어, 상기 기계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행어부에서 낙하된 상기 의류가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적어도 일부 차단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발광부와 상기 센서부는 상기 행어부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ny one of the inner case, the door, and the machine room, and emits light into the inner case, and is provided in any one of the inner case, the door, and the machine room, and falls from the hanger portion. It relates to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sensor unit detects that the clothing blocks at least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emitter and the sensor unit are disposed lower than the hanger unit.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조도센서를 통해 의류의 낙하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ing treatment devic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clothing handling device that can determine whether clothing has fallen through an illuminance sensor.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물에 적셔 습포로 만든 뒤에 세제의 화학작용과 드럼회전 등의 물리작용을 통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기와, 상기 습포상태의 의류를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건조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In general, clothing treatment devices include a washing machine that wets clothes in water and turns them into a wet cloth and then removes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chemical action of detergent and physical action such as drum rotation, and a dryer that dries the clothes in the wet cloth using hot air and steam. It is a concept that includes.

그러나, 근자에는 건포 상태의 의류를 물에 적시지 않은 상태에서 의류를 쾌적하고 청정하게 유지시키는 의류관리기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의류관리기는 의류가 거치된 상태에서 스팀 또는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의류의 냄새를 탈취 하고,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살균하는 리프레쉬(refresh) 행정을 수행할 수 있었다.However, recently, clothing care machines have appeared that keep dried clothing comfortable and clean without soaking it in water. This clothes care machine was able to deodorize the clothes by supplying steam or hot air while the clothes were placed and perform a refresh process to dry or sterilize the clothes.

이러한 의류관리기는 상기 의류에 선택적으로 향기까지 더할 수 있었고, 근자에는 세탁기 및 건조기와 더불어 의류처리장치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다.These clothes care machines were able to selectively add fragrance to the clothes, and in recent years, they have become an important part of clothes treatment equipment along with washing machines and dryers.

도1은 스팀공급부가 구비된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 equipped with a steam supply unit.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57545호를 참조하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거치되는 이너케이스(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57545, a conventional clothing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cabinet (1) forming the exterior, and an inner case (2)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to hold clothes. do.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이너케이스(2)의 하부에 이너케이스(2)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13)와, 상기 순환덕트(13)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와 열 교환하는 열교환기(15)와, 상기 열교환기(15)에 고온의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 (1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2)의 내부에 상기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행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4)가 구동되면 상기 이너케이스(2)로 열풍이 공급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상기 의류는 건조되거나 살균될 수 있다.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es a circulation duct 13 at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2 that circulates the air of the inner case 2, and a heat exchanger 15 provided in the circulation duct 13 to exchange heat with the air. ) and a compressor (14) that supplies high-temperature refrigerant to the heat exchanger (15). Additionally, the inner case 2 may be provided with a hanger portion capable of holding the clothing. When the compressor 14 is driven, hot air is supplied to the inner case 2 to increa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 and the clothes can be dried or sterilized.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65886호를 참조하면, 광센서를 이용하여 이너케이스 내부의 의류의 재질, 의류의 부하량 등을 측정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였다.Meanwhile, referring to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65886,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was provided that measures the material and load of clothing inside the inner case using an optical sensor.

상기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추정된 의류 부하량에 기초하여 송풍 장치나 스팀 발생 장치에 적용되는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함으로써, 의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The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 had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fficiently manage clothing and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clothing management by determining control parameters applied to the blower or steam generator based on the estimated clothing load.

다만,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처리 과정 중 상기 이너케이스(2) 내부의 행어부에서 의류가 탈락하는 경우, 사용자가 의류처리과정 중 옷걸이에서 탈락하는 의류를 인지할 수 없어 떨어진 의류가 스팀이나 열풍 분사구를 막는 경우 의류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lothing processing device, when clothing falls off the hanger inside the inner case (2) during the clothing processing process, the user cannot recognize the clothing falling off the hanger during the clothing processing process, so the fallen clothing is not exposed to steam or hot air. There was a problem with clothing being damaged when the nozzle was blocked.

나아가, 사용자는 의류처리과정 종료 후에 의류가 탈락되어 제대로 된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인지하게 되므로 능동적인 조치를 취할 수 없어 제품 사용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Furthermore, since the user was aware that the clothing fell off after the clothing treatment process was completed and that proper treatment was not performed, the user was unable to take active action, which resulted in lower satisfaction with using the product.

이에, 옷걸이 등에 로드센서를 구비하여 의류 낙하 여부를 직접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했다. 다만, 로드센서는 의류처리과정 중에 발생하는 진동 및 가벼운 의류의 무게(1kg 이하) 등으로 인해 의류 낙하 여부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Accordingly, a clothing handling device equipped with a load sensor on a hanger, etc. to directly determine whether clothing has fallen has emerged. However, the load sensor had a problem in that it could not properly determine whether clothing had fallen due to vibration occurring during the clothing processing process and the weight of light clothing (less than 1 kg).

따라서, 의류 낙하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clothing handling device that can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clothing has fallen.

본 발명은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의류 처리 중 의류의 낙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that uses an illuminance sensor to detect whether clothing has fallen during clothing processing.

본 발명은 의류가 낙하되었을 때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빛의 조도 변화로부터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lothing handling device that can determine whether clothing has fallen based on a change in the illuminance of ligh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when clothing has fallen.

본 발명은 충격 및 진동에도 영향을 적게 받으며 전력만 공급되면 광원의 수명에 한계가 존재하지 않는 조도센서를 이용한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is less affected by shock and vibration and can determine whether clothing has fallen using an illuminance sensor that has no limit to the lifespan of the light source as long as power is supplied.

본 발명은 센서를 의류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빛의 조도 변화를 감지하여 의류 낙하 여부를 간접적으로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lothing handling device that can indirectly and quickly determine whether clothing has fallen by detecting changes in light intensity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clothing with a sensor.

본 발명은 발광부 및 센서부가 어느 위치에 구비되더라도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이 센서부에 도달하기만 한다면 센서부가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이용하여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can determine whether clothes have fallen by using the sensor unit to detect changes in illumination as long a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reaches the sensor unit, no matter where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are located. Make it the problem you want to solv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너케이스, 도어, 기계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로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이너케이스, 상기 도어, 상기 기계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행어부에서 낙하된 상기 의류가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적어도 일부 차단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발광부와 상기 센서부는 상기 행어부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in any one of an inner case, a door, and a machine room, and emitting light into the inner case, and 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in any one of the inner case, the door, and the machine room. and a sensor unit that detects that the clothing dropped from the hanger blocks at least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are disposed lower than the hanger unit. Provides a device.

상기 발광부와 상기 센서부는 상기 행어부 보다 상기 이너케이스 바닥면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than the hanger unit.

상기 발광부와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바닥면을 기준으로 너비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may b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r front-to-back direction ba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센서부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inner case, and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disposed ahead of the sensor unit.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센서부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inner case, and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placed on a side of the sensor unit.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계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chine room.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센서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기계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센서부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도어에 배치될 수 있다.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may be placed inside the machine room, and the other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may be placed in the inner case or the door.

상기 기계실은 상기 이너케이스의 바닥면과 연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바디와, 상기 유입바디에서 유입된 상기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열풍을 생성하는 열교환부가 설치되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와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를 연통하고 상기 유입바디 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배출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유입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machine room includes an inflow body that communicates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lets air flow in, a circulation duct installed with a heat exchanger that heats the air flowing in from the inflow body to generate the hot air, and the circulation duct and the inner It may further include an discharge duct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case and is disposed rearward of the inlet body,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provided in the inlet body, and the sensor unit may be provided in the rear of the inner case.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후면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유입바디는 상기 이너케이스 바닥면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유입바디 내부에서 상기 센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in the width direction, the inlet body is disposed to be biased to one sid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the light emitting unit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or unit inside the inlet body. It can be.

상기 발광부 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센서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ion unit disposed above the light emitting unit to guid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to the sensor unit.

상기 기계실은 상기 유입바디에 장착되는 바디필터와, 상기 바디필터 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필터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필터덮개와 상기 바디필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machine room further includes a body filter mounted on the inflow body and a filter cover disposed above the body filter, and the reflecto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lter cover and the body filter.

상기 반사부는 상기 필터덮개의 양측에 배치되는 양측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flector may include two-side reflecto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cover.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발광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필터덮개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된 중앙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중앙반사판은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반사판은 상기 빛을 상기 센서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reflector includes a central reflecto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ter cover to face the light emitter, and the light emitter, the sensor unit, and the central reflector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central reflector is configured to emit the light.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sensor unit.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바닥면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may be dispos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센서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may b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상기 발광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측면 중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case, and the sensor unit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facing the one side.

상기 발광부는 상기 일면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타면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one surface, and the sensor unit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other surface.

상기 발광부는 상기 도어의 내면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sensor unit may be provided on the rear of the inner case.

상기 발광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후면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도어 내면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nsor unit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in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은 상기 센서부가 감지하는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의 양에 따라 상기 의류의 낙하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행어부 보다 상기 이너케이스 바닥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의류가 낙하하지 않았을 때 제1값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1값보다 작은 값을 감지하면 상기 의류가 낙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 fallen part of the cloth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wherein the sensor unit is disposed close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than the hanger unit, The sensor unit detects a first value when the clothing has not fallen, and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at the clothing has fallen when the sensor unit detects a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value.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적어도 2개 이상의 방향으로 분산시켜 상기 센서부가 상기 바닥면으로 낙하한 의류가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ion unit provided to disper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in at least two directions so that the sensor unit detects that clothing that has fallen to the floor block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상기 반사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에서 상기 센서부와 상기 발광부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reflecting unit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nsor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between the sensor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상기 반사부는 상기 센서부 보다 상기 발광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The reflector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than the sensor unit.

상기 반사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너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reflection unit may be arranged in a front-back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and the sensor unit and the light-emitting unit may be arranged in a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상기 복수의 반사부는 상기 센서부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reflection units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to the sensor unit.

상기 복수의 반사부는 상기 센서부 및 발광부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reflection units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the sensor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본 발명은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옷걸이,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옷걸이를 흔들도록 구비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옷걸이를 흔드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행어부, 상기 이너케이스 바닥면 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로 열풍과 스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기계실, 이너케이스, 상기 도어, 상기 기계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로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이너케이스, 상기 도어, 상기 기계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행어부에서 낙하된 상기 의류가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적어도 일부 차단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와 상기 센서부는 상기 행어부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having an opening in the front, an inner cas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clothing, a door coupled to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t least one hanger for holding the clothing, A hanger unit includ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ase and provided to shake the hanger, a drive unit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d providing power to shake the hanger, and a hanger unit located below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in any one of the machine room, the inner case, the door, and the machine room and provided to supply at least one of hot air and steam into the inner case, and emitting light into the inner case, the inner case , is provided in any one of the door and the machine room, and includes a sensor unit that detects that the clothing dropped from the hanger blocks at least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are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is provided, which is disposed lower than the hanger.

본 발명은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의류 낙하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ccurately detecting whether clothing has fallen by using an illumination sensor.

본 발명은 충격 및 진동에도 영향을 적게 받으며 전력만 공급되면 광원의 수명에 한계가 존재하지 않는 조도센서를 이용한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determine whether clothing has fallen using an illumination sensor that is less affected by shock and vibration and has no limit to the lifespan of the light source as long as power is supplied.

본 발명은 센서를 필터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빛의 조도 변화를 감지하여 의류 낙하 여부를 간접적으로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quickly and indirectly determining whether clothing has fallen by detecting changes in light intensity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sensor with the filter.

본 발명은 발광부 및 센서부가 어느 위치에 구비되더라도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이 센서부에 도달하기만 한다면 센서부가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이용하여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determine whether clothes have fallen by using the sensor unit to detect changes in illumination as long a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reaches the sensor unit, no matter where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are located.

도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이너케이스의 상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 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덕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덕트의 형상을 설명한다.
도8은 상기 순환덕트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에 구비된 제어부 설치부 구조를 도시 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공기배출부(323)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외기덕트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상기 순환덕트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스팀공급부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스팀공급부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6은 발광부 및 센서부가 설치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1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이너케이스의 공간영역 구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1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반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필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2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7은 제1반사판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반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반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의류낙하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3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필터덮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
Figure 2 shows the appearanc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upper structure of the inner case.
Figure 4 shows the machine room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the machine room base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the circulation duct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explains the shape of the circulation duct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irculation duct.
Figure 9 shows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provided at the bas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the structure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shows the structure of the base cover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shows the structure of an outdoor air duct.
Figure 13 shows the flow of air flowing through the circulation duct.
Figure 14 shows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team supply unit.
Figure 15 shows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team supply unit.
Figure 16 shows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with a light emitting unit and a sensor unit.
Figure 17 shows the spatial area division of the inner cas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shows an example of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shows an example of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shows an example of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shows an example of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shows an example of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shows an example of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4 shows an embodiment of the reflecting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5 shows the filter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6 shows an example of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7 shows the structure of the first reflector.
Figure 28 shows an embodiment of the reflecting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9 shows an embodiment of the reflecting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0 shows the clothing falling area of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1 shows the structure of the filter cover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 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 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 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 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ber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by the attached drawings.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the appearanc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a),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binet 100 forming an exterior, and a door 40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100.

상기 도어(40)는 상기 캐비닛(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본체바디(410)와, 상기 본체바디(4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바디(4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40 includes a main body 410 that forms the front of the cabinet 100, and an installation body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410 on which a display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can be installed. It may include (420).

상기 설치바디(420)는 상기 본체바디(410)에서 상기 캐비닛(100)의 후방을 향하여 단차(43)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installation body 420 may be provided to form a step 43 from the main body 410 toward the rear of the cabinet 100.

한편, 상기 설치바디(4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바디(410)의 후방에서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단차(43)는 핸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tallation body 420 may be arranged to overlap in the front-back direction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410. Accordingly, the step 43 can function as a handle.

상기 설치바디(420)는 상기 본체바디(410)와 다른 재질 또는 다른 색깔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바디(420)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발광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반투명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The installation body 420 may be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or color than the main body 410. Additionally, the installation body 420 may be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that allows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to pass through.

도2(b)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는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20)을 구비하는 이너케이스(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전방에 의류가 출입하는 개구부(2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210)는 상기 도어(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b), an inner case 200 having a receiving space 220 for storing clothing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0. The inner case 20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210 at the front through which clothing enters and exits, and the opening 210 may be shielded by the door 40 .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플라스틱 수지 계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온의 공기 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이하, 열풍)과 스팀 또는 수분에도 변형되지 않는 강화플라스틱 수지계열로 구비될 수 있다.The inner case 200 may be made of a plastic resin series, and may be made of a reinforced plastic resin series that is not deformed by air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room temperature air, heated air (hereinafter referred to as hot air), steam, or moisture. .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높이가 너비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가 접히거나 구겨지지 않는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220)에 수용될 수 있다.The inner case 200 may be provided with a height longer than the width. As a result, the clothing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220 without being folded or wrinkled.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수용공간(220)에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500 that can hold clothing in the receiving space 220 of the inner case 200.

상기 거치부(5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500 may include a hanger portion 51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to hold clothing.

상기 행어부(510)에 상기 의류가 거치되면 상기 의류는 수용공간(220) 내부에서 공중에 부유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clothes are mounted on the hanger unit 510, the clothes may be placed suspended in the air inside the receiving space 220.

한편, 상기 거치부(500)는 도어(40)의 내면에 결합되어 의류를 고정할 수 있는 가압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unting portion 500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portion 520 tha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40 and can secure clothing.

상기 행어부(51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바 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어부(510)는 옷걸이 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가 직접 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hanger portion 510 may be provided in a bar shape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case 200 to support a hanger on which clothing is mounted. Additionally, as shown, the hanger portion 51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hanger so that clothing can be directly mounted.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행어부(510)를 진동시켜 의류에 부착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떼어낼 수 있는 가진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ibrator unit capable of vibrating the hanger unit 51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attached to clothing.

상기 거치부(500)는 상기 도어(40)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는 가압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520)는 상기 도어(40)의 내면에 고정되어 의류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522)와, 상기 지지부(522)에 지지된 의류를 가압하는 압박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500 may include a pressing portion 520 provided on the door 40 to press and secure the clothing. The pressing unit 520 may include a support unit 522 that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40 and supports one side of the clothing, and a pressing unit 521 that presses the clothing supported on the support unit 522. there is.

상기 압박부(521)는 상기 지지부(522)를 향하여 이동하거나 상기 지지부(522)에서 멀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압박부(521)는 상기 지지부(522) 또는 상기 도어(40)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521 may be moved toward the support portion 522 or may be provided to move away from the support portion 522 . For example, the pressing part 521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support part 522 or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40.

이로써, 상기 압박부(521)와 상기 지지부(522)는 상기 의류의 양면을 가압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고 의도한 주름(crease)를 생성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pressing portion 521 and the supporting portion 522 may press both sides of the clothing to remove wrinkles from the clothing and create intended creases.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용공간(220)에 열풍 또는 스팀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거나, 상기 캐비닛(100)의 외부공기를 정화하거나 제습할 수 있는 각종 장치들이 설치되는 기계실(300)을 구비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machine room 300 in which various devices capable of supplying one or more of hot air or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220 or purifying or dehumidifying the external air of the cabinet 100 are installed. You can.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분리 또는 구획되어 배치되되,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machine room 300 may be arranged separately or partitioned from the inner case 200, and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case 200.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비중이 작은 열풍과 스팀이 상기 이너케이스(200)로 공급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열풍과 스팀이 의류에 공급될 수 있다.The machine room 300 may be placed below the inner case 200. Accordingly, when hot air and steam with a small specific gravity are supplied to the inner case 200, the hot air and steam can be naturally supplied to the clothing.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열공급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340)는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공기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가열하는 히터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machine room 300 may include a heat supply unit 340 capable of supplying hot air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The heat supply unit 340 may be provided as a heat pump system or as a heater that directly heats air with electric energy.

상기 열공급부(340)가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에서 배출된 공기를 다시 제습 및 가열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When the heat supply unit 340 is provided as a heat pump system, it may be provided to dehumidify and he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ner case 200 and supply it to the inner case 200. The detailed structure is described later.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steam)을 공급할 수 있는 스팀공급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직접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The machine room 300 may include a steam supply unit 800 capable of supplying steam to the inner case 200. The steam supply unit 800 may be provided to directly supply steam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The detailed structure is described later.

이를 위해,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기계실(300)과 연통하는 복수의 관통홀(230)을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inner case 2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30 that penetrate one surface and communicate with the machine room 300.

상기 관통홀(230)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220)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300)로 공급될 수 있고, 상기 기계실(300)에서 생성된 열풍 또는 스팀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수용공간(200)으로 공급될 수 있다.Air in the receiving space 220 may be supplied to the machine room 300 through the through hole 230, and at least one of hot air or steam generated in the machine room 300 may be 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200. can be supplied.

상기 관통홀(23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300)로 배출 또는 흡입되는 유입홀(231)고,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기계실(300)에서 생성된 열풍이 토출되는 배출홀(2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rough hole 230 is an inlet hole 231 through which the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is discharged or sucked into the machine room 300 by penetra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and the inner case ( It may include an discharge hole 232 through which hot air generated in the machine room 300 is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machine room 200.

상기 배출홀(232)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 중 배면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배출홀(232)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 또는 배면 사이에 지면과 경사지게 배치되어 행어부(51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discharge hole 232 may be disposed biased toward the rea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For example, the discharge hole 23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at an angle to the ground and facing the hanger unit 510.

또한, 상기 유입홀(231)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 중 전방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입홀(231)은 상기 배출홀(232)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nlet hole 231 may be dis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Accordingly, the inlet hole 231 can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hole 232.

상기 관통홀(230)은 상기 스팀공급부(800)에서 생성된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홀(2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홀(233)은 상기 배출홀(23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230 may include a steam hole 233 through which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supply unit 800 is supplied. The steam hole 233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hole 232.

한편,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에는 상기 스팀공급부(8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통(3)과, 상기 열공급부(340)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수집되는 배수통(4)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in front of the machine room 300, a water tank 3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supply unit 800 and a drain tank 4 for collecting condensed water from the heat supply unit 340 will be provided. You can.

상기 급수통(3)과 상기 배수통(4)은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에서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급수원 또는 배수원과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다.The water tank 3 and the water tank 4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front of the machine room 300. As a result,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installed without regard to the water supply source or drainage source.

한편,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인출입되며 별도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드로워(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5)는 스팀발생장치 또는 다리미가 보관될 수도 있다.Meanwhile, at the front of the machine room 300, a drawer 5 may be further provided, which is drawn in and out from the front and has a separate accommodation space. The drawer 5 may store a steam generator or an iron.

도3은 이너케이스의 상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the upper structure of the inner case.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행어부(51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옷걸이(511)를 흔들도록 구비되는 동력전달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ger unit 510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unit 513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ase 200 to shake the hanger 511.

상기 동력전달부(513) 하부에는 상기 옷걸이(511)가 안착되거나 거치될 수 있는 걸이부(512)가 구비될 수 있다.A hanger 512 on which the hanger 511 can be seated or mounted may be provided below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3.

이로써, 상기 동력전달부(513)가 움직이면 상기 걸이부(512)가 움직이게 되고, 상기 걸이부(512)에 거치된 옷걸이(511)가 흔들리면서 상기 의류가 털어지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3 moves, the hanger 512 moves, and the hanger 511 mounted on the hanger 512 shakes, resulting in the effect of shaking off the clothes.

상기 동력전달부(513)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동력전달부(513)에 결합되는 걸이부(512)도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력전달부(513)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다량의 의류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거치되어 리프레쉬 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3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the hook portion 512 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3 may also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s a result, a large amount of clothing corresponding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3 can be refreshed by being placed inside the inner case 200.

도3은 상기 행어부(510) 및 동력전달부(513)가 이너케이스(200)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도시하였다.Figure 3 shows the hanger portion 510 and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513 being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case 200.

그러나, 상기 행어부(510) 및 동력전달부(513)는 상기 의류가 상기 수용공간에서 배치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의류가 상기 이너케이스(200)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된다면, 상기 행어부(510) 및 동력전달부(513)는 이너케이스(20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However, the hanger unit 510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3 may be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othes are arranged in the receiving space. For example, if clothing is arranged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in the inner case 200, the hanger unit 510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3 may be arranged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inner case 200.

이하에서는 상기 행어부(510) 및 복수의 동력전달부(513), 복수의 걸이부(512)가 이너케이스(200)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는 일 실시예일뿐, 상기 행어부(510) 및 복수의 동력전달부(513), 복수의 걸이부(512)는 복수의 의류가 수용공간에 거치되거나 배치되도록 설계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e hanger unit 510, the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units 513, and the plurality of hangers 512 being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case 200,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he hanger unit 510, the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units 513, and the plurality of hangers 512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designed to allow a plurality of clothes to be mounted or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상기 행어부(510)는 상기 동력전달부(513)를 움직이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ger unit 51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514 that provides power to mov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3.

상기 구동부(514)는 상기 동력전달부(513)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구동부(514)는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하도록 구비되므로, 스팀이나 열풍에 노출이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ving unit 514 may be provided to be exposed inside the inner case 200 as long as it can transmit power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3. However, since the driving unit 514 is provided to operate by receiving electric energy, it is desirable to block exposure to steam or hot air.

따라서, 상기 구동부(514)는 이너케이스(200)의 상부면과 상기 캐비닛(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210)에 노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iving unit 51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and the cabinet 10 to be blocked from being exposed to the receiving space 210.

상기 동력전달부(513)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부(514)에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513)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공간(210)에 하단이 노출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3 may pass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ase 200 and receive power to the driving unit 514.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3 may extend downwar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ase 200 and expose its lower end to the receiving space 210.

상기 동력전달부(513)는 길이가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막대형상, 관 형상 또는 판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3 may be provided in a rod shape, tube shape, or plate shape, where the length is longer than the thickness.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the machine room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a)는 상기 기계실(300)을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며, 도4(b)는 상기 기계실(300)을 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Figure 4(a) is a view of the machine room 300 from the front, and Figure 4(b) is a view of the machine room 300 from the rear.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는 의류처리공간에 열풍을 공급하거나, 의류처리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하거나, 의류처리공간에 스팀을 공급하거나, 캐비닛 외부의 공기를 청정하기 위한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Inside the machine room 300, components may be placed to supply hot air to the clothing processing space, circulate air inside the clothing processing space, supply steam to the clothing processing space, or clean the air outside the cabinet.

상기 기계실(300)는 각종 장치들을 지지하거나 설치되는 공간을 배치하는 베이스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각종 장치들이 설치되는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The machine room 300 may include a base portion 310 that supports various devices or arranges a space for installation. The base portion 310 can provide an area where various devices can be installed.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또는 상기 캐비닛(100)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순환덕트(320)가 설치될 수 있다.The base portion 310 may be provided with a circulation duct 320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from outside the inner case 200 or the cabinet 100 moves.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내부에 상기 열공급부(340) 중 일부의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duct 320 may be provided in a case shape with an open top, and some of the heat supply units 340 may be installed therein.

상기 열공급부(340)가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후술하는 열교환기(341,342)와 상기 열교환기에 고온 고압의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342)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heat supply unit 340 is provided as a heat pump system, it may include heat exchangers 341 and 3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side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a compressor 342 that supplies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to the heat exchanger. .

상기 열교환기(341,342)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순환덕트(320)를 흐르는 공기를 냉각시켜 제습할수도 있고, 상기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할 수도 있다.The heat exchangers 341 and 342 are accommodated inside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can cool and dehumidify the air flowing through the circulation duct 320, or heat the air to generate hot air.

상기 순환덕트(320)가 캐비닛(100) 외부에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전방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외기덕트(370)가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circulation duct 320 is provided to suck air outside the cabinet 100, an outside air duct 370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circulation duct 320 to suck in outside air.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외기덕트(370)와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duct 320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ir duct 370 and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suck in outside air.

상기 순환덕트(320)의 전면에는 상기 급수통과 배수통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급수통(3)과 배수통(4)은 상기 외기덕트(370)의 상부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tank and the drain tank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irculation duct 320. The water tank 3 and the water tank 4 may be placed and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outdoor air duct 370.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베이스부(310)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베이스부(310)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베이스부(310)와 상기 순환덕트(320)가 사출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duct 320 may be provided coupled to the base portion 310, or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ase portion 310. For example, the base portion 310 and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상기 기계실(300)는 상기 순환덕트(320)와 상기 유입홀(231)을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커버(3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chine room 300 may include a base cover 360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the inlet hole 231.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홀(231)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base cover 36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may be provided to guide air sucked in from the inlet hole 231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을 차폐하여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의 하부와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유로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base cover 360 can block the air inside the circulation duct 320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shiel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The lower part of the base cover 36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form one side of the flow path of the circulation duct 320.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홀(231)과 상기 순환덕트(320)를 연결하는 유입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362)는 덕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순환덕트(320)에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를 전달하는 흡기덕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base cover 360 may include an inlet 362 connecting the inlet hole 231 and the circulation duct 320. The inlet 362 is provided in a duct shape and can serve as an intake duct that delivers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to the circulation duct 320.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급수통(3)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여 이너케이스(200)에 공급하는 스팀공급부(8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의 상부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machine room 300 may be installed with a steam supply unit 800 that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3, receives water, generates steam, and supplies it to the inner case 200. The steam supply unit 800 may be placed and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cover 360.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유입부(36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steam supply unit 800 may be disposed behind the inlet 362.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순환덕트(320)와 상기 이너케이스(200)을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팬설치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설치부(350)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의 공기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송풍팬(353)과, 상기 송풍팬(353)을 수용하며 상기 순환덕트(320)에 결합되거나 연장되는 팬하우징(351)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chine room 300 may include a fan installation unit 350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the inner case 200. The fan installation unit 350 accommodates a blowing fan 353 that provides power to move the air inside the circulation duct 320 in one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circulation duct 320 to accommodate the blowing fan 353. It may include a fan housing 351 that extends or extends.

상기 팬설치부(350)는 상기 순환덕트(320)와 상기 배출홀(232)를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배출덕트(352)가 구비될 수 있다.The fan installation unit 350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duct 352 that communicates with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the discharge hole 232.

상기 배출덕트(352)는 상기 팬하우징(351)에서 단면이 상기 배출홀(232)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상기 배출홀(232)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discharge duct 352 may be provided in the fan housing 351 with a cross-sectional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hole 232 and extending toward the discharge hole 232.

그 결과,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베이스커버(360)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순환덕트(320)를 통과한 다음 상기 팬설치부(350)를 통해 다시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flows in through the base cover 360, passes through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then flows back into the inner case 200 through the fan installation part 350. can be supplied.

한편,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열교환기(341,343)에 냉매를 공급하는 상기 압축기(342)가 설치되는 압축기 설치부(3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설치부(313)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base portion 310 may be provided with a compressor installation portion 313 where the compressor 342 that supplies refrigerant to the heat exchangers 341 and 343 is installed. The compressor installation unit 313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irculation duct 320.

또한, 상기 베이스부(310)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또는 컨트롤패널(C)이 설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ase unit 310 may be equipped with a control unit or control panel (C) that controls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하부에서 상기 제어부(C)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어부설치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The base portion 310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installation portion 312 that forms a space into which the control unit C can be inserted at the bottom of the circulation duct 320.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압축기(342), 상기 스팀공급부(800), 상기 송풍팬(353) 등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모든 구성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 may be provided to control all electronically controlled components, such as the compressor 342, the steam supply unit 800, and the blowing fan 353.

상기 제어부(C)가 상기 베이스부(310)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 상기 제어부(C)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가 모든 전자구성과 가깝게 배치되므로 노이즈 등의 제어오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Since the control unit (C)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base unit (310), vibration or shock applied to the control unit (C) can be cushioned. Additionally, since the control unit (C) is placed close to all electronic components, the occurrence of control errors such as noise can be minimized.

또한,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에 스팀공급부가 배치되며, 순환덕트(320)의 하부에는 제어부(C)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순환덕트(320)가 상기 스팀공급부(800)과 상기 제어부(C) 사이에서 직선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덕트(3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a steam supply unit is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a control unit (C)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circulation duct 320. Therefore,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straight duct between the steam supply unit 800 and the control unit (C). Accordingly, flow resistance of air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duct 320 can be minimized.

상기 베이스부(310)에 상기 순환덕트(320), 상기 외기덕트(370), 스팀공급부(800), 제어부(C), 열공급부(340)가 모듈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duct 320, the external air duct 370, the steam supply unit 800, the control unit C, and the heat supply unit 340 may be provided in a module format in the base unit 310.

이로써, 상기 베이스부(310)가 상기 기계실(300)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인출입 되면서 용이하게 설치 및 유지보수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base portion 310 can be easily installed and maintained by being pulled in and out of the machine room 300 forward or backward.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 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5 shows the machine room base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a)는 상기 베이스부(310)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5(b)와 도5(c)는 상기 베이스부9310)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portion 310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ures 5(b) and 5(c)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base portion 9310 viewed from the rear.

상기 베이스부(310)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가 그 자체로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base portion 310 may be installed on a base plate that forms the lower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The base portion 310 may itself form the lower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상기 베이스부(310)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바닥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바닥부(311)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바닥부(311)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캐비닛(100)의 바닥면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base portion 310 may include a base bottom portion 311 that forms a support surface. The base bottom portion 311 may form the lower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dditionally, the base bottom portion 311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100, which forms the lower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상기 베이스부(310)는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순환덕트(320)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portion 310 may be integrally equipped with the circulation duct 320, which forms at least a portion of the flow path through which air moves.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base bottom portion 311.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에서 연장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바디(321)와 상기 덕트바디(321) 내부에 증발기(341) 또는 응축기(343)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열교환기 설치부(3212)과, 상기 덕트바디(321)의 후방에 구비되어 덕트바디(321)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3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duct 320 provides a duct body 321 extending from the base bottom 311 to form a flow path and a space in which an evaporator 341 or a condenser 343 is installed inside the duct body 321. It may include a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and an air discharge part 323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uct body 321 through which air of the duct body 321 is discharged.

상기 공기배출부(323)은 상기 덕트바디(32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의 직경은 상기 덕트바디(321)의 너비 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 unit 323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pipe extending rearward from the duct body 321. The diameter of the air outlet 323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duct body 321.

상기 공기배출부(323)은 상기 팬하우징(350)과 연결될 수 있다. 공기배출부(323)에서 배출된 공기는 팬하우징(350)을 통해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 unit 323 may be connected to the fan housing 350.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unit 323 may be guided into the inner case 200 through the fan housing 350.

상기 순환덕트(320)는 덕트바디(321)의 전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외기흡입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duct 320 may include an external air intake portion 322 form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duct body 321.

상기 외기흡입부(322)는 상기 외기덕트(370)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기흡입부(322)의 전방에 상기 외기덕트(370)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The outside air intake unit 322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ir duct 370. The outdoor air duct 370 may be seated and supported in front of the outdoor air intake unit 322.

상기 순환덕트(320)는 외기흡입부(322)를 개폐하는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의 개폐를 통해 외기가 순환덕트(3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duct 320 may be provided with a damper that opens and closes the outside air intake unit 322. By opening and closing the damper, it is possible to allow or block outside air from flowing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압축기(342)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압축기 설치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베이스바닥부(31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portion 310 may include a compressor installation portion 312 that provides a space where the compressor 342 is installed.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ortion 31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bottom portion 311 and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bottom portion 311.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압축기(342)를 지지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베이스부(310)의 후방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 설치부(312)는 공기배출부(323)과 너비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compressor installation portion 312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compressor 342. The compressor installation unit 312 may be disposed biased toward the rear of the base unit 310.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art 312 may be arrang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art 312 overlaps the air discharge part 323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압축기(342)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하는 완충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돌기에 고정될 수 있다.The compressor installation unit 312 may be equipped with a buffer member to reduc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pressor 342. The buffer member may be fixed to the protrusion.

상기 베이스부(310)는 제어부(C)가 설치되는 제어부 설치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설치부(313)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순환덕트(3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순환덕트(320)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 설치부(313)는 순환덕트(320)의 하부에서 전방과 후방 중 어느 하나 개방된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base unit 310 may include a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where the control unit C is installed.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part 313 may be formed between the base bottom part 311 and the circulation duct 320.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part 313 may be formed between the base bottom part 31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n open duct at either the front or the rear at the lower part of the circulation duct 320.

상기 제어부설치부(313)의 구조는 후술한다.The structure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will be described later.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덕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6 shows the circulation duct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순환덕트(320)는 베이스바닥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증발기(341)와 응축기(342)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열교환기 설치부(3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는 상기 덕트바디(321)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duct 320 may extend from the base bottom to the top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include a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ortion 3212 that provides a space where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2 are installed.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may be provided inside the duct body 321.

상기 덕트바디(321)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바디(321)의 개구부를 통해 응축기(343) 및 증발기(341)가 투입되어 설치 수 있다.The duct body 321 may be provided with an open upper surface. The condenser 343 and the evaporator 341 can be install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duct body 321.

상기 덕트바디(321)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의해 개구부가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커버(360)오 상기 덕트바디(321)는 순환유로(320)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opening of the duct body 321 may be shielded by the base cover 360, and the base cover 360 and the duct body 321 may form a flow path of the circulation passage 320.

상기 덕트바디(321)의 전방면은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duct body 32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rea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base bottom portion 311.

이로써, 상기 베이스바닥부(311)는 상술한 급수통(3) 또는 배수통(4) 및 외기덕트(370)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지지되는 지지면(3111)을 확보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base bottom portion 311 can secure a support surface 3111 on which one or more of the water tank 3 or the water tank 4 and the outdoor air duct 370 are installed and supported.

한편, 상기 열공급부(340)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덕트(320)에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켜 제습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되는 증발기(341)와, 상기 증발기(3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형성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되는 응축기(343)와, 상기 응축기(343)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를 공급하며 상기 순환덕트(320) 외부에 배치되는 압축기(342)와, 상기 응축기(343)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켜 냉각시키는 팽창밸브(344)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heat supply unit 340 includes an evaporator 341 installed inside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provided as a heat exchanger to cool and dehumidify the air flowing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the evaporator 341. A condenser 343 provided as a heat exchanger that heats the passing air to form hot air, and a compressor 342 arranged outside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supplying a refrigerant that exchanges heat with the air to the condenser 343. , It may include an expansion valve 344 that expands and cools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denser 343.

한편, 상기 덕트바디(32)가 베이스부(310)에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열교환기 설치부(3212)의 높이도 더 많이 확보될 수 있고, 응축기(343) 및 증발기(341)의 높이도 증가될 수 있다.Meanwhile, as the duct body 32 is integrally molded with the base portion 310, the height of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ortion 3212 can be secured, and the height of the condenser 343 and the evaporator 341 can also be increased. can be increased.

그 결과, 응축기(343) 및 증발기(341)의 전후방향의 폭을 축소할 수도 있어, 응축기 및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매배관의 수를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기 및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width of the condenser 343 and the evaporator 341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can be reduced, and the number of refrigerant pipes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and evaporator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flow loss of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and evaporator.

한편, 증발기(341) 길이와 응축기(343) 길이의 합은 열교환기 설치부(3212) 의 길이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의 전후방향 길이는 덕트바디(321)의 길이의 절반과 같거나 절반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ortion 3212. Accordingly, the front-to-back length of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ortion 3212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half the length of the duct body 321.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설치부(3212)가 상기 외기흡입부(322)에서 충분히 이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외기와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can be sufficiently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air intake part 322, sufficient space is provided inside the circulation duct 320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and the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can be introduced. It can be secured.

한편, 상기 덕트바디(321)의 내부는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와 상기 열교환시 설치부(3212) 외부를 구분하는 설치격벽(32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격벽(3211)은 상기 덕트바디(321)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증발기(341)의 전방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terior of the duct body 321 may include an installation partition 3211 that separates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from the outside of the heat exchange installation part 3212. The installation partition 3211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duct body 321 and support the front of the evaporator 341.

또한, 상기 덕트바디(321)는 상기 설치격벽(3211)을 기준으로 너비가 확장되어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uct body 321 may be expanded in width based on the installation partition 3211 and extend rearward.

그 결과, 열교환기 설치부(3212)의 너비는 베이스부(310) 너비의 절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순환덕트(320) 너비는 베이스부(310) 너비의 절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width of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ortion 3212 may be greater than half the width of the base portion 310. Additionally, the width of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be greater than half the width of the base portion 310.

응축기(343) 너비 및 증발기(341) 너비 또한 베이스부(310) 전체 너비의 절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condenser 343 and the width of the evaporator 341 may also be greater than half the total width of the base portion 310.

상술한 바와 같이 응축기(343) 및 증발기(341)의 너비가 확보되면, 열교환 용량을 충분이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f the width of the condenser 343 and the evaporator 341 is secured, there is an effect of securing sufficient heat exchange capacity.

또한, 팬하우징(350)은 응축기(343) 또는 증발기(341)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341) 및 응축기(343)를 통과한 공기는 유로의 꺾임 없이 팬하우징(35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순환덕트(320)로 유입된 공기는 팬하우징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유로의 꺾임이 없어 유동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dditionally, the fan housing 350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condenser 343 or the evaporator 341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Accordingly,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can be introduced into the fan housing 350 without bending the flow path. In other words, the air flowing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flow loss because the flow path is not bent in the process of moving to the fan housing.

도7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덕트의 형상을 설명한다.Figure 7 explains the shape of the circulation duct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베이스부(310)는 금형사출을 통해 베이스바닥부(310)와 순환유로(320)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The base portion 310 may have the base bottom portion 310 and the circulation passage 320 integrally molded through mold injection.

상기 덕트바디(321)의 내부면을 성형하는 금형은 상기 덕트바디(321)의 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인출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금형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덕트바디(321)의 벽면은 금형의 제거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The mold for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body 321 may be removed by being pulled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duct body 321. At this time, to facilitate removal of the mold, the wall surface of the duct body 321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removal of the mold.

상기 덕트바디(321)의 하부면(321a)의 너비는 상기 덕트바디(321)의 상부면(321b)의 너비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lower surface 321a of the duct body 321 may be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321b of the duct body 321.

구체적으로, 서로 마주보는 덕트바디(321)의 벽면 사이의 거리는 베이스바닥부(311)에서 멀어질수록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순환유로의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의 거리는 금형의 인출방향을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형의 제거가 용이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walls of the duct bodies 321 facing each other may be increased as the distance from the base bottom 311 incre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irculation path facing each other can be increased along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mold. Accordingly, removal of the mold may be facilitated.

한편, 상기 공기배출부(323)는 상기 덕트바디(321)의 후방에서 직경 또는 너비가 작아지도록 연장되는 공기연장관(3231)과, 상기 공기연장관(3231)에서 직경이 균일한 파이프 형상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중공(3233)를 형성하는 공기배출관(3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연장관(3231)은 노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air discharge portion 323 includes an air extension pipe 3231 extending from the rear of the duct body 321 to have a smaller diameter or width, and extending from the air extension pipe 3231 in a pipe shape with a uniform diameter. It may include an air discharge pipe 3232 forming a hollow 3233 therein. The air extension pipe 3231 can perform the function of a nozzle and increase the speed of discharged air.

또한, 상기 공기배출부(323)을 성형하는 금형은 위의 도면과 같이 제거될 수 있다. 공기배출부(323)의 내측에서 순환유로(320)의 내부를 향해 전방으로 인출된 뒤, 순환유로(320)의 상측 개방면을 향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금형의 인출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old for forming the air discharge portion 323 can be removed as shown in the drawing above. It may be drawn forward from the inside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toward the inside of the circulation passage 320 and then removed toward the upper open surface of the circulation passage 320. In this process, the mold can be formed into a structure that makes it easy to take out.

도8은 상기 순환덕트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8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irculation duct.

상기 설치격벽(3211)은 덕트바디(321)의 내벽에서 내부로 돌출되거나, 순환덕트의 외벽이 내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installation partition 3211 may be formed by protruding inward from the inner wall of the duct body 321 or by having the outer wall of the circulation duct recessed toward the inside.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는 열교환기 설치 격벽(3211)과 공기배출부(32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may be formed between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ition 3211 and the air discharge part 323.

상기 공기배출부(323)을 성형하는 금형은 공기배출부(323)의 전방으로 인출된 뒤 상부로 인출되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을 성형하는 금형이 공기배출부(323) 내부에서 전방으로 인출될 때 열교환기 설치 격벽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공기배출부(323)의 설계 수치를 조정할 수 있다.The mold for forming the air discharge part 323 may be pulled out in front of the air discharge part 323 and then pulled out to the top and removed.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mold for forming the air discharge part 323 from interfering with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ition when the mold for forming the air discharge part 323 is pulled forward from the inside of the air discharge part 323. To this end, the design value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can be adjusted.

구체적으로, 공기배출부(323)을 성형할 때, 상기 도면의 공기배출부(323) 파팅라인(3233)을 기준으로 전방측을 성형하는 금형과, 후방측을 성형하는 금형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형의 제거 방향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공기배출부(323) 파팅라인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되는 부분을 성형하는 금형은 전방으로 인출되고, 공기배출부(323) 파팅라인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되는 부분을 성형하는 금형은 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molding the air discharge portion 323, a mold for molding the front side and a mold for molding the rear side based on the parting line 3233 of the air discharge portion 323 in the drawing may be separately provided. there is. Accordingly, the direction of removal of the mold may also be different. The mold for forming the part located in the front with respect to the parting line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is pulled out, and the mold for molding the part located in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parting line in the air discharge unit 323 is pulled out in the rear. It can be.

즉, 전방으로 인출되는 금형이 인출 과정에서 열교환기 설치 격벽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면에서 거리1(323a)은 거리2(321c)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거리1(323a)은 공기배출부(323) 파팅라인과 공기배출부(323) 전단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거리1(323a)은 공기배출부(323) 파팅라인과 순환덕트의 후방개구부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거리2(321c)는 공기배출부(323) 전단과 열교환기 설치 격벽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거리2(323a)는 순환덕트의 후방개구부와 열교환기 설치 격벽(3211)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prevent the mold pulled out forward from interfering with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ition during the pulling process, distance 1 (323a) in the drawing may be made smaller than distance 2 (321c). Distance 1 (323a) may refer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arting line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and the front end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Additionally, distance 1 (323a) may refer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arting line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and the rear opening of the circulation duct. Distance 2 (321c) may refer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and the partition wall where the heat exchanger is installed. Additionally, distance 2 (323a) may refer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opening of the circulation duct and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ition wall (3211).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에 구비된 제어부 설치부 구조를 도시 한 것이다.Figure 9 shows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provided at the bas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a)는 상기 제어부(C)가 상기 제어부설치부(313)에 설치되는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9(a) shows an aspect in which the control unit C is installed in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상기 제어부(C)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의류를 리프레쉬 행정을 수행하는 임의의 코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모든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PCB기판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를 위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 may be provided to control all devices necessary for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erform any course of refreshing clothes. The control unit (C) may be provided as a PCB board,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provided as various devices for control.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어부설치부(313)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 can be inserted and seated in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상기 제어부설치부(313)는 순환덕트(3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may be placed below the circulation duct 320.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은 제어부 설치부(313)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 설치부(313)는 공기배출부(323) 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may be placed lower than the air discharge unit 323.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설치부(313)는 상기 베이스부(310)에 순환덕트(32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순환덕트의 하부에 함몰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part 313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bottom part 311.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portion 313 may be formed as a recessed spac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irculation duct 320 dur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circulation duct 320 in the base portion 310.

상기 제어부(C)는 제어부 설치부(313)에서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입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 may be inserted into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in a sliding manner from the rear to the front.

상기 제어부(C)의 표면에는 제어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브라켓(3131) 더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3131)은 제어부의 상하에 배치되어 제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bracket 3131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ontrol unit C to surround the control unit. The bracket 3131 is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control unit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브라켓(3131)은 제어부(C)에 열 또는 진동이 전달되어 제어부(C) 내부의 회로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라켓(3131)은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racket 3131 can prevent the circuit board inside the control unit (C) from being damaged by heat or vibration being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C). The bracket 3131 may be made of metal.

도9(b)는 제어부 설치부에 제어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9(b)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in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상기 도면과 같이 제어부(C)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unit C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ase bottom 311.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저수부(326)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C)의 상부에 물이 유출되는 경우 상기 물이 상기 제어부(C)를 신속하게 이탈할 수 있으며,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을 상기 저수부(326)를 향하여 경사지게 성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C may be disposed inclined toward the water storage unit 326. Accordingly, when water flows out of the upper part of the control unit (C), the water can quickly leave the control unit (C),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is inclined toward the water storage unit 326. It can be molded.

상기 제어부(C)는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서포터(3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 may include a supporter 3132 protruding from the side.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는 설치부의 양측면에서 돌출되는 리브(3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서포터(3132)는 상기 리브(3134)의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may include ribs 3134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installation unit. The supporter 3132 of the control unit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ib 3134.

상기 제어부의 서포터(3132)는 제어부(C) 전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제어부의 서포터(3132)가 상기 리브(3134)의 상측에 지지되면, 상기 제어부(C)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The supporter 3132 of the control unit can support the entire load of the control unit (C). When the control unit supporter 3132 is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ib 3134, the control unit C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bottom 3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리브(3134)는 베이스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3134)는 베이스부(310)가 사출 성형될 때 함께 성형되어 베이스바닥부(311), 순환덕트(320) 등의 구성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The ribs 3134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portion 310. The ribs 3134 may be molded together when the base portion 310 is injection molded and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ase bottom portion 311 and the circulation duct 320.

상기 제어부(C)의 전방면에는 돌출 형성된 돌기(313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설치부(313)의 내측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는 가이드와 결합될 수 있다. 돌기는 가이드에 삽입될 수 있다. 제어부를 제어부 설치부에 인입할 때, 돌기를 가이드에 결합시키는 방식을 통해 제어부를 정위치에 정렬할 수 있다.A protrusion 3133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trol unit C. Additionally, a guide protruding rearward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The protrusion may be combined with a guide. The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When inserting the control unit into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the control unit can be aligned in the correct position by coupling the protrusion to the guide.

또한, 제어부의 양측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포터가 리브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과정을 이용하여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제어부를 제어부 설치부의 정위치에 결합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ositions of both sides of the control unit can be determined in such a way that the supporter is seated on the rib, as described above. Using this coupling process, the control unit can be coupled to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part in the correct position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mber.

도1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공기배출부(323)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0 shows the structure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베이스부(310)는 처리된 공기를 팬하우징을 향해 배출하는 공기배출부(3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portion 310 may include an air discharge portion 323 that discharges treated air toward the fan housing.

상기 공기배출부(323)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내부 또는 상기 덕트바디(321)와 팬하우징(350)을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은 벨마우스(bell mouth)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벨마우스 형상으로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손실을 저감할 수 있으며, 공기 순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air discharge unit 323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or between the duct body 321 and the fan housing 350. The air discharge unit 323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bell mouth. Equipped with a bell mouth shape, it can reduce air flow loss and improve air circulation efficiency.

상기 공기배출부(323)의 상기 공기배출관(3232)은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며, 파팅라인(3233)을 기준으로 금형 제거 과정에서 파팅라인(3233)의 전방에 배치되는 금형은 전방으로 인출되고, 파팅라인(3233)의 후방에 배치되는 금형은 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 pipe 3232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pipe, and during the mold removal process based on the parting line 3233, the mold disposed in front of the parting line 3233 is pulled forward, The mold placed behind the parting line 3233 can be pulled out rearward.

상기 팬설치부(350)은 상기 공기배출관(3232)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51)은 상기 공기배출관(3232)의 외주면과 결합되는 결합홀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결합홀에 상기 송풍팬(353)을 배치할 수 있다.The fan installation unit 350 may be supported by being coupled to the air discharge pipe 3232. The fan housing 351 may have a coupling hol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ir discharge pipe 3232, and the blowing fan 353 can be placed in the coupling hole.

상기 팬하우징(351)은 상기 송풍팬(353)의 외주면 또는 외측에서 상기 배출홀(232)로 연장되는 배출덕트(3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n housing 351 may include a discharge duct 352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r the outside of the blowing fan 353 to the discharge hole 232.

상기 팬하우징(351)과 상기 배출덕트(352)는 내부에 상기 송풍팬(353)을 수용하며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fan housing 351 and the discharge duct 352 may accommodate the blowing fan 353 therein and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an move.

상기 송풍팬(353)을 회전시키는 모터는 상기 팬하우징(351)의 외부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The motor that rotates the blowing fan 353 may be coupled to and supported on the outside of the fan housing 351.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1 shows the structure of the base cover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순환덕트(320)의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base cover 36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to prevent the insid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from being exposed.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상기 순환덕트(320)를 연통시키는 유입바디(361)와, 상기 유입바디(361)에서 연장되어 상기 순환덕트(320)를 차폐하는 차폐바디(363)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cover 36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includes an inlet body 361 that communicates the inner case 200 and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an inlet body 361 extending from the inlet body 361. It may include a shielding body 363 that shields the circulation duct 320.

상기 유입바디(361)는 덕트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의 유입홀(231)과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는 상기 차폐바디(363) 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inlet body 361 may be provided in a duct shape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hole 231 of the inner case and the insid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The inflow body 361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urther upward than the shielding body 363.

상기 유입바디(361)는 상기 증발기(341)와 상기 응축기(343)와 마주하지 않도록 상기 증발기(341) 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격벽(3211) 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let body 361 may be placed ahead of the evaporator 341 so as not to face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and may be placed ahead of the partition wall 3211.

상기 유입바디(361)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공기를 상기 순환덕트(320)로 이동시키는 유입덕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let body 361 may serve as an inlet duct that moves air in the inner case 200 to the circulation duct 320.

상기 유입바디(361)는 내부에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입부(362)가 구비될 수 있다.The inflow body 361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portion 362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inner case 200 can pass.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바디(361)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리브(362a)와, 상기 제1리브(362a)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유입바디(361)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리브(362b)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se cover 360 has a first rib 362a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let body 361, and is spaced rearward from the first rib 362a to form a portion of the inlet body 361. It may include a second rib 362b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상기 제1리브(362a)와 상기 제2리브(362b)는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리브(362a)와 상기 제2리브(362b)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높이는 상기 유입바디(361)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rib 362a and the second rib 362b may be provided side by side. The first rib 362a and the second rib 362b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ir height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inlet body 361.

상기 유입바디(361)의 전방모서리와 상기 제1리브(362a)는 제1유입구(362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리브(362a)와 상기 제2리브(362b)는 상기 제2유입구(3623)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리브(362b)와 상기 유입바디(361)의 후방모서리는 제3유입구(3622)을 형성할 수 있다.The front edge of the inflow body 361 and the first rib 362a may form a first inlet 3621, and the first rib 362a and the second rib 362b may form the second inlet. (3623) may be formed, and the second rib (362b) and the rear edge of the inlet body (361) may form a third inlet (3622).

상기 제1유입구(3621)과 상기 제3유입구(3622)는 서로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유입구(36222)는 상기 제1유입구(3621)과 상기 제3유입구(3622)의 면적 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inlet 3621 and the third inlet 3622 may have the same area, and the second inlet 36222 may be the area of the first inlet 3621 and the third inlet 3622. It can be provided smaller.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부(362)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댐퍼부(364)와, 상기 댐퍼부(364)에 결합되어 상기 댐퍼부(364)의 개폐를 제어하는 구동부(365)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cover 360 includes a damper part 364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part 362, and a drive part 365 that is coupled to the damper part 364 and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amper part 364. It can be included.

상기 댐퍼부(364)는 상기 제1유입구(3621)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제1댐퍼부(3641)와, 상기 제3유입구(3622)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제2댐퍼부(36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mper unit 364 may include a first damper unit 3641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inlet 3621, and a second damper unit 3642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third inlet 3622. You can.

상기 제1댐퍼부(3641)은 상기 제1유입구(3621)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판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유입구(3621) 내부에서 상기 유입바디(361)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damper unit 3641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wit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let 3621, and is rotatable on both sides of the inlet body 361 within the first inlet 3621. can be combined

상기 제2댐퍼부(3642)는 상기 제3유입구(3622)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판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유입구(3622) 내부에서 상기 유입바디(361)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damper unit 3642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wit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third inlet 3622, and is rotatable on both sides of the inlet body 361 within the third inlet 3622. can be combined

상기 제2유입구(3623)는 공기는 통과하지만 미세먼지, 린트 등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차단필터(366)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inlet 3623 may be provided with a blocking filter 366 that allows air to pass through but filters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and lint.

상기 차단필터(366)는 상기 제2유입구(3623)에 삽입되어 상기 제1유입구(3621)와 상기 제3유입구(3622)를 구획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필터(366)는 상기 제2유입구(3623)에서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blocking filter 366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inlet 3623 to partition the first inlet 3621 and the third inlet 3622. The blocking filter 366 may be arranged to extend from the second inlet 3623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상기 차단필터(366)는 상기 수분까지 여과할 수 있는 필터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차단필터(366)는 헤파 필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blocking filter 366 may be provided as 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even the moisture. For example, the blocking filter 366 may be provided as a HEPA filter or the like.

한편, 상기 제2유입구(3623)는 상기 차단필터(366)가 삽입되면 상기 제2유입구(3623)를 차폐하는 차폐부재가 더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blocking filter 366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let 3623, a shielding member that shields the second inlet 3623 may be further coupled.

상기 구동부(365)는 상기 제1댐퍼부(364)와 상기 제2댐퍼부(365)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제1댐퍼부(364)와 상기 제2댐퍼부(365)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복수의 기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365 includes a motor that provides power to selectively rotate the first damper unit 364 and the second damper unit 365, and a motor that engages the motor to rotate the first damper unit 364. ) and a plurality of gear members capable of selectively rotating the second damper unit 365.

상기 구동부(365)로 인해 상기 제1유입구(3611)와 상기 제3유입구(3622)는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Due to the driving unit 365, the first inlet 3611 and the third inlet 3622 can be selectively opened.

상기 구동부(365)로 인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수용된 공기는 상기 제1유입구(3621)를 따라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고, 상기 제3유입구(3622)을 따라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Due to the driving unit 365, the air contained inside the inner case 200 may flow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along the first inlet 3621, and may flow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along the third inlet 3622. It may flow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물론, 상기 구동부(365)는 상기 제1유입구(3611)와 상기 제3유입구(3622)를 모두 개방하도록 상기 제1댐퍼(3641)과 상기 제2댐퍼(3642)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1유입구(3611)와 상기 제3유입구(3622)을 모두 차폐하도록 상기 제1댐퍼(3641)과 상기 제2댐퍼(3642)를 제어할 수 있다.Of course, the driving unit 365 can control the first damper 3641 and the second damper 3642 to open both the first inlet 3611 and the third inlet 3622, and the The first damper 3641 and the second damper 3642 can be controlled to shield both the first inlet 3611 and the third inlet 3622.

상기 구동부(365)는 상기 제1댐퍼(3641)와 상기 제2댐퍼(3642)를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들어,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기어, 상기 제1댐퍼와 상기 제2댐퍼에 결합되어 상기 주동기어에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기어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365 may be provided in any structure as long as it can rotate the first damper 3641 and the second damper 3642.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as a combination of a motor, a main gear rotating by the motor, and a driven gear coupled to the first damper and the second damper and rotating by rotation of the main gear.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바디(361)에서 연장되어 상기 증발기(341)와 상기 응축기(343)를 차폐할 수 있는 차폐바디(3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바디(363)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base cover 360 may include a shielding body 363 that extends from the inflow body 361 and can shield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The shielding body 363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바디(361)의 하부면에서 연장되는 유입후크(3612)를 통해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base cover 36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through an inlet hook 3612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inlet body 361.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유입후크(36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duct 320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let hook 3612.

도12는 외기덕트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2 shows the structure of an outdoor air duct.

도12(a)를 참조하면, 상기 외기덕트(370)는 베이스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2(a), the outdoor air duct 370 may be coupled to the base portion 310.

상기 외기덕트(370)는 상기 외기흡입부(322)와 연통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outdoor air duct 370 may be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door air intake unit 322.

상기 외기덕트(370)는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개폐하는 외기댐퍼(373)와 상기 외기댐퍼(373)를 회전시켜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로 제어하는 외기구동부(374)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door air duct 370 includes an outdoor air damper 373 that opens and closes the outdoor air intake unit 322, and an outdoor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outdoor air damper 373 to selectively open and control the outdoor air intake unit 322. 374) may be included.

상기 외기댐퍼(373)는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실링할 수 있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외기흡입부(322)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outdoor air damper 373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capable of sealing the outdoor air intake unit 322, a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outdoor air intake unit 322.

상기 외기구동부(374)는 상기 외기덕트(370) 또는 순환덕트(320)에 결합되어 상기 외기댐퍼(373)를 회전시키는 엑츄에이터로 구비될 수 있다.The outdoor driving unit 374 may be coupled to the outdoor air duct 370 or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may be provided as an actuator that rotates the outdoor air damper 373.

상기 외기덕트(370)는 상기 외기흡입부(322)의 전방에서 상기 외기흡입부(322)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덕트(372)와, 상기 연장덕트(372)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흡기덕트(371)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side air duct 370 includes an extension duct 372 extending forward from the outside air intake unit 322 in front of the outside air intake unit 322, and extending forward from the extension duct 372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in. It may include an intake duct 371 that can be used.

상기 흡기덕트(371)는 상기 연장덕트(372)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부에 급수통(3)과 배수통(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통(3)과 상기 배수통(4)은 상기 흡기덕트(371)에 결합되거나 안착될 수도 있다.The intake duct 371 may be provided exten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extension duct 372, and a water tank 3 and a drain tank 4 may be disposed at the top. The water tank 3 and the water tank 4 may be coupled to or seated in the intake duct 371.

상기 흡기덕트(371)는 일단 또는 자유단에 외기가 흡입되는 외기구(3711)와 상기 외기구(3711)를 구획하도록 구비되는 구획리브(37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ake duct 371 may include an external device 3711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sucked at one end or a free end, and a partition rib 3712 provided to partition the external device 3711.

상기 외기구(3711)는 상기 도어(40) 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40)에 차폐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3711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door 40 so as not to be shielded from the door 40 .

상기 구획리브(3712)는 상기 외기구(3711) 내부를 구획하도록 구비되어 이물질이나 사용자의 신체가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partition rib 3712 may be provided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external device 3711 and may be provided to block foreign substances or the user's body from entering.

도12(b)를 참조하면, 상기 외기구동부(374)가 상기 외기댐퍼(373)를 회전시켜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개방하면, 상기 흡기덕트(371)와 상기 순환덕트(320)는 연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b), when the external driving unit 374 rotates the external air damper 373 to open the external air intake unit 322, the intake duct 371 and the circulation duct 320 There may be communication.

이때 송풍팬(352)이 구동하면 캐비닛 외부 공기는 상기 순환덕트(320)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하면 상기 외부공기는 순환덕트(320)를 통과하면서 제습되어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blowing fan 352 is driven, air outside the cabinet may flow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When the compressor 342 operates, the external air may be dehumid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supplied into the inner case 200.

상기 도어(4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출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수용공간과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oor 40 may further include an outlet f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to the outside, and an exhaust damp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The outlet may be provided to face the receiving space of the inner case 200.

이로써, 상기 제습된 공기는 상기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ehumidified ai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또한, 상기 외부 공기는 차단필터(366)를 통과하면서 여과되어 다시 캐비닛(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outside air may b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blocking filter 366 and discharged back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0.

도13은 상기 순환덕트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13 shows the flow of air flowing through the circulation duct.

도13(a)를 참조하면, 상기 외기댐퍼(373)는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차폐하고, 상기 제1댐퍼(3641)은 상기 제1유입구(3621)을 개방하고, 상기 제2댐퍼(3642)는 상기 제3유입구(3622)를 차폐한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3(a), the outside air damper 373 shields the outside air intake portion 322, the first damper 3641 opens the first inlet 3621, and the second damper (3642) can be controlled with the third inlet (3622) shielded.

상기 송풍팬(352)이 구동하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1유입구(3621)로 유입되어 상기 차단필터(366)를 통과하며 여과될 수 있다.When the blowing fan 352 is driven, the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may flow into the first inlet 3621, pass through the blocking filter 366, and be filtered.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하면, 상기 차단필터(366)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증발기(341)과 상기 응축기(343)를 통과하면서 제습 및 가열될 수 있다.When the compressor 342 operate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locking filter 366 may be dehumidified and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상기 열교환기까지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설치부(350)를 통과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may pass through the fan installation portion 350 and be supplied into the inner case 200.

이 상태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스팀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스팀이 공급되면 상기 수분이 상기 차단필터(366)를 적시게되어 상기 차단필터(366)의 성능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This state may be a state in which steam is not supplied to the inner case 200. This is because when steam is supplied to the inner case 200, the moisture wets the blocking filter 366 and the performance of the blocking filter 366 cannot be guaranteed.

결과적으로,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스팀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이 공급되기 전이거나,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이 공급된 이후라도 습도가 낮아진 경우에,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1유입구(3641)을 통과하여 상기 차단필터(366)를 통과하며 이물질 등의 린트 등을 여과할 수 있다.As a result, even when steam is not supplied to the inner case 200, before steam is supplied inside the inner case 200, or even after steam is supplied inside the inner case 200, the humidity is lowered. In this case, the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may pass through the first inlet 3641 and the blocking filter 366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such as lint.

도13(b)를 참조하면, 상기 외기댐퍼(373)는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차폐하고, 상기 제1댐퍼(3641)는 상기 제1유입구(3621)을 차폐하고, 상기 제2댐퍼(3642)는 상기 제3유입구(3622)을 개방한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3 (b), the outside air damper 373 shields the outside air intake part 322, the first damper 3641 shields the first inlet 3621, and the second damper (3642) can be controlled with the third inlet (3622) opened.

상기 송풍팬(352)이 구동하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3유입구(3622)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3유입구(3622)는 차단필터(366) 보다 하류에 구비되므로, 상기 제3유입구(3622)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차단필터(366)를 통과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blowing fan 352 is driven,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may flow into the third inlet 3622. Since the third inlet 3622 is provided downstream of the blocking filter 366, air flowing into the third inlet 3622 may not pass through the blocking filter 366.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하면, 상기 차단필터(366)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증발기(341)과 상기 응축기(343)를 통과하면서 제습 및 가열될 수 있다.When the compressor 342 operate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locking filter 366 may be dehumidified and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상기 열교환기까지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설치부(350)를 통과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may pass through the fan installation portion 350 and be supplied into the inner case 200.

결과적으로,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스팀이 공급되는 상태이거나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습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공기가 상기 제3유입구(3622)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1유입구(362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상기 차단필터(366)가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As a result, when steam is supplied to the inner case 200 or the humidity inside the inner case 200 is very high, the air of the inner case 200 flows into the third inlet 3622. In addition, the blocking filter 366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moisture by blocking the inflow into the first inlet 3621.

도13(c)를 참조하면, 상기 외기댐퍼(373)는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개방하고하고, 상기 제1댐퍼(3641)는 상기 제1유입구(3621)을 차폐하고, 상기 제2댐퍼(3642)는 상기 제3유입구(3622)을 차폐한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3(c), the outside air damper 373 opens the outside air intake portion 322, the first damper 3641 shields the first inlet 3621, and the second The damper 3642 can be controlled in a state that shields the third inlet 3622.

상기 송풍팬(352)이 구동하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유입부(362)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상기 캐비닛(100)의 외부 공기만 상기 순환덕트(320)로 유입되어 상기 차단필터(366)를 통과할 수 있다. 이로써, 외부 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차단필터(366)에서 여과될 수 있다.When the blowing fan 352 is driven, the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is blocked from flowing into the inlet 362, and only the outside air of the cabinet 100 flows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can pass through the blocking filter 366. As a result,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can be filtered through the blocking filter 366.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하면, 상기 차단필터(366)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증발기(341)과 상기 응축기(343)를 통과하면서 제습될 수 있다.When the compressor 342 operate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locking filter 366 may be dehumid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상기 열교환기까지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설치부(350)를 통과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되어 의류에 신선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can pass through the fan installation part 350 and be supplied into the inner case 200 to supply fresh hot air to clothes.

이때, 상기 도어(40)에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캐비닛 외부의 공기는 상기 차단필터(366)와 상기 열 공급부(340)를 통과하며 정화되고 제습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door 40 is equipped with a device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to the outside, the air outside the cabinet passes through the blocking filter 366 and the heat supply unit 340. It can be discharged in a purified and dehumidified state.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어부(C)가 상기 외기구동부(374)와 유입구동부(365)를 제어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와 상기 캐비닛 외부의 공기의 유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 controls the external drive unit 374 and the inlet unit 365 to determine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and the air outside the cabinet. You can.

도14는 스팀공급부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4 shows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team supply unit.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베이스커버(36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The steam supply unit 800 may be supported by being seated on the base cover 360.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안착되고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물을 저장하는 스팀케이스(8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am supply unit 800 may include a steam case 810 that is seated on the base cover 360 and stores water that generates the steam.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스팀케이스(810)를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고정할 수 있는 설치브라켓(8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am supply unit 800 may further include an installation bracket 870 capable of fixing the steam case 810 to the base cover 360.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베이스커버(360)에 결합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르 고정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bracket 870 can be coupled to the base cover 360 to fix the steam case 810.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스팀케이스(81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하부패널(871)과 상기 하부패널(871)에서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면패널(8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bracket 870 may include a lower panel 871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team case 810 and a side panel 872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steam case 810 on the lower panel 871. You can.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상기 측면패널(872)에서 연장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나이상의 고정클립(8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bracket 87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fixing clips 873 that extend from the side panel 872 to prevent the steam case 810 from being separated.

상기 고정클립(873)은 스팀케이스(810)의 상부 또는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clip 873 may be detachably provided on the top or side of the steam case 810.

상기 스팀공급부(800) 보다 하부에는 상기 압축기(342)가 배치될 수 있다.The compressor 342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steam supply unit 800.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압축기에서 발생한 열 또는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스팀공급부(80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installation bracket 870 may be provided to block heat generated from the compressor or heat generated from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team supply unit 800.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상기 압축기(342)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화재가 스팀공급부(800)로 전이되는 것도 차단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bracket 870 can also block the fire from spreading to the steam supply unit 800 when a fire occurs in the compressor 342.

한편,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차폐바디(363)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공급부(8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36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631)는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하부에서 돌출되는 돌출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base cover 360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3631 provided on the shielding body 363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steam supply unit 800. The fastening part 3631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steam case 810.

이로써,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에 물이 다량으로 수용되어 있어도 상기 스팀케이스(810)는 안정적으로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안착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a large amount of water is contained within the steam case 810, the steam case 810 can be stably seated on the base cover 360.

또한, 상기 스팀케이스(810)가 상기 순환덕트(320) 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와의 거리가 더 짧아지므로, 상기 스팀케이스(810)에서 생성된 스팀이 이너케이스(200)에 도달하기 전에 응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eam case 810 is disposed above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the distance from the inner case 200 is shorter, the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case 810 flows to the inner case 200. Condensation before reaching the target can be minimized.

도15는 스팀공급부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5 shows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team supply unit.

도15(a)를 참조하면,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스팀을 생성할 물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는 스팀케이스(810)와,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수용되어 상기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5(a), the steam supply unit 800 includes a steam case 810 capable of receiving and storing water to generate steam, and is accommodated in the steam case 810 to heat the water to produce steam. It may include a heater unit 840 that generates heat.

상기 스팀케이스(810)는 상부가 개구된 케이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부(840)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team case 8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ase with an open top, and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heater unit 840.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결합되어 상기 히터부(84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스커버(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am supply unit 800 is coupled to the steam case 810 to prevent the heater unit 84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may further include a case cover 820 to prevent the water from leaking. .

상기 케이스커버(820)는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850)와,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에 스팀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스팀센서(860)가 설치될 수 있다.The case cover 820 includes a water level sensor 850 that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steam case 810, and a temperature sensor inside the steam case 810 or whether steam is generated inside the steam case 810. A steam sensor 860 that detects may be installed.

도15(b)를 참조하면, 상기 스팀케이스(810)는 상기 물을 저장하고 히터부(84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바디(81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b), the steam case 810 may include a case body 811 that stores the water and provides a space to accommodate the heater unit 840.

상기 케이스바디(811)는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바디(811) 내부에 각종 부품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잇다.The case body 811 has an open top so that various parts can be easily installed inside the case body 811.

상기 케이스바디(811)는 일측이 관통되어 상기 히터(840)가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는 히터삽입홀(8111)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body 811 may include a heater insertion hole 8111 through which one side can be inserted or extracted.

상기 케이스바디(811)는 내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회수관(814)을 포함할 수 잇다.The case body 811 may include a recovery pipe 814 capable of discharging water contained therein to the outside.

상기 회수관(814)는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의 잔수를 제거할 때만 개방되도록 차폐마개(8141)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차폐마개(8141)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차폐마개(8141)를 상기 회수관(814)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차폐클립(8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overy pipe 814 can be kept closed by the shielding stopper 8141 so that it is opened only when residual water inside the steam case 810 is removed, and the shielding stopper 8141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arbitrarily. It may include a shielding clip 8142 that maintains the shielding stopper 8141 coupled to the recovery pipe 814.

이로써, 상기 스팀케이스(800)를 수리하거나, 상기 스팀케이스(800)의 동파 등을 예방할 때, 상기 회수관(814)을 통해 상기 스팀케이스(800) 내부의 물을 배출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repairing the steam case 800 or preventing freezing or bursting of the steam case 800, water inside the steam case 80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recovery pipe 814.

한편, 상기 케이스바디(811) 내부에는 상기 히터부(840)를 지지하거나 고정할 수 있는 히터고정부(8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고정부(830)는 상기 히터부(840)를 고정시키는 고정클립(831)과, 상기 지지클립(831)을 상기 케이스바디(811)에 고정시키는 클립체결부재(833)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heater fixing part 830 capable of supporting or fixing the heater part 84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se body 811. The heater fixing part 830 may include a fixing clip 831 for fixing the heater part 840, and a clip fastening member 833 for fixing the support clip 831 to the case body 811. there is.

상기 고정클립(831)은 상기 히터부(84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거나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clip 831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or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er unit 840.

한편,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물을 공급받는 급수관(8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815)는 상기 급수통(30)에 연통되어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team supply unit 80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ipe 815 through which water is supplied. The water supply pipe 815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tank 30 to receive water.

상기 급수관(815)는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구비되거나,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급수관(815)을 통해 물이 다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ipe 815 may be provided on the case cover 820 or may b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eam case 810. As a result, wate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815.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히터부(840)가 구동하여 발생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관(8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관(813)도 상기 케이스커버(820)의 상부에 구비되어 물이 스팀관(813)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관(813)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스팀홀(233)에 연통될 수 있다.The steam supply unit 800 may be provided with a steam pipe 813 that discharges steam generated by driving the heater unit 840 to the outside. The steam pipe 813 is also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se cover 820 to block water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steam pipe 813. The steam pipe 813 may communicate with the steam hole 233 of the inner case 200.

상기 케이스커버(820)는 상기 수위센서가 설치될 수 있는 수위센서홀(854)이 구비될 수 있다.The case cover 82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hole 854 where the water level sensor can be installed.

상기 수위센서(850)는 상기 수위센서홀(854)에 삽입되어 물에 침지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하나이상의 접촉돌기(852)와, 상기 접촉돌기(852)를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에서 부유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수위센서홀(854)에 결합되거나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지지되는 센서바디(851)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level sensor 850 includes one or more contact protrusions 852 that are inserted into the water level sensor hole 854 and are immersed in water to detect the water level, and the contact protrusions 852 are suspended inside the steam case 810. It may include a sensor body 851 coupled to the water level sensor hole 854 or supported on the case cover 820 to maintain the sensor body 851 in a fixed state.

상기 센서바디(851)는 센서체결부재(853)를 통해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nsor body 851 may be coupled to the case cover 820 through a sensor fastening member 853.

한편, 상기 케이스커버(820)는 상기 스팀센서(860)가 설치될 수 있는 삽입홀(8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센서(860)는 상기 삽입홀(864)에 삽입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에서 스팀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장치(861)와, 상기 감지장치(861)를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고정시키는 지지대(863)와, 상기 지지대(863)를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862)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se cover 820 may be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864 into which the steam sensor 860 can be installed. The steam sensor 86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864 and includes a detection device 861 that detects whether steam is generated inside the steam case 810, and a detection device 861 connected to the case cover ( It may include a support 863 that is fixed to the support 820 and a coupling member 862 that couples the support 863 to the case cover 820.

상기 감지장치(861)는 습도센서 또는 온도센서로 구비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에서 스팀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detection device 861 is provided as a humidity sensor or a temperature sensor and can detect whether steam is generated inside the steam case 810.

한편, 상기 케이스커버(820)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커버(860)에 결합될 수 있는 커버후크(821)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case cover 820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hook 821 that extends forward and can be coupled to the base cover 860.

또한, 상기 케이스커버(820)의 후방에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 또는 별도의 스팀배출부(900)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돌기(822)도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protrusion 822 that can fix the lower part of the inner case 200 or a separate steam discharge part 900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ase cover 820.

상기 히터부(840)는 상기 히터삽입홀(8111)에 삽입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수용되며 전력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heater unit 840 is inserted into the heater insertion hole 8111 and accommodated in the steam case 810, and may be provided to heat water by receiving power.

상기 히터부(840)는 시스히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700)에 의해 구동과 정지가 반복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The heater unit 840 may be provided as a sheath heater, etc., and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00 so that driving and stopping can be repeated.

상기 히터부(840)는 제1전력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는 제1히터(841)와, 제1전력 보다 더 큰 전력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는 제2히터(8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er unit 840 may include a first heater 841 that heats water by receiving first power, and a second heater 842 that heats water by receiving power greater than the first power. .

결과적으로, 상기 제2히터(842)는 상기 제1히터(841) 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을 가열하여 더 많은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cond heater 842 may be equipped to heat a larger amount of water and generate more steam than the first heater 841.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의류처리장치에서 히터부(840)에 허용되는 최대 히터전력량을 나누어 소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히터(841)가 최대 히터전력량의 일부를 소모하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제2히터(842)는 상기 최대 히터전력량의 나머지를 소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may be provided to divide and consume the maximum amount of heater power allowed for the heater unit 840 i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That is, if the first heater 841 is equipped to consume a portion of the maximum heater power amount, the second heater 842 may be equipped to consume the remainder of the maximum heater power amount.

예를들어, 상기 히터부(840)에 허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최대 히터전력량이 1500w 인 경우, 상기 제1히터(841)는 600w를 소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히터(842)는 880w를 소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20w는 오차 등을 고려하여 더 적게 배분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general maximum heater power allowable for the heater unit 840 is 1500w, the first heater 841 is provided to consume 600w, and the second heater 842 is provided to consume 880w. It may be provided to do so. 20w can be allocated less considering errors, etc.

물론, 상기 히터부(840)는 3개 이상의 히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히터(841), 상기 제2히터(842), 상기 제3히터(843)를 포함하며, 상기 제1히터(841), 상기 제2히터(842), 상기 제3히터(843)는 최대 히터전력량을 나누어 소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Of course, the heater unit 840 may include three or more heaters. For example, it includes the first heater 841, the second heater 842, and the third heater 843, and the first heater 841, the second heater 842, and the third heater 843. The heater 843 may be provided to consume the maximum heater power by dividing it.

이하에서는 상기 히터부(340)가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로 구비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heater unit 340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act that it is provided with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u자 형태의 금속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may be formed as a U-shaped metal tube.

상기 히터부(840)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를 고정하고 상기 히터관통홀(8111)을 실링할 수 있는 히터실러(84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자부(8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er unit 840 may include a heater sealer 843 capable of fixing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and sealing the heater through hole 8111. It may include a terminal portion 844 that supplies current to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상기 단자부(844)는 상기 제1히터(841)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1단자(844a)와 제2히터(842)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2단자(844b)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portion 844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844a that supplies current to the first heater 841 and a second terminal 844b that supplies current to the second heater 842.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같은 수위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may be arranged at the same height. Accordingly,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may be provided to generate steam by heating water at the same level.

이로써,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를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발생하는 스팀량과, 소모되는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700 can adjust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and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using both or selectively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도16은 발광부 및 센서부가 설치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6 shows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with a light emitting unit and a sensor unit.

종래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의류 처리 과정 중 옷걸이에서 의류가 탈락하는 문제가 있었다.In conventional clothing processing devices, there was a problem with clothing falling off hangers during the clothing processing process.

그 결과, 사용자가 의류 처리과정 중 옷걸이에서 탈락하는 의류를 인지할 수 없어 떨어진 의류가 스팀이나 열풍 분사구를 막는 경우 의류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where the clothes were damaged when the fallen clothes blocked the steam or hot air nozzle because the user was unable to recognize the clothes falling off the hanger during the clothes processing process.

나아가, 사용자는 의류 처리 과정 종료 후에 의류가 탈락되어 제대로 된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인지하게 되므로 능동적인 조치를 취할 수 없어 제품 사용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Furthermore, since the user was aware that the clothing was not properly treated because the clothing fell off after the clothing treatment process was completed, the user was unable to take active action, which resulted in lower satisfaction with using the product.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100),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200),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40),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510), 상기 이너케이스(200) 바닥면 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열풍과 스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기계실(300), 상기 이너케이스(200), 상기 도어(40), 상기 기계실(3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600), 상기 이너케이스(200), 상기 도어, 상기 기계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행어부(510)에서 낙하된 상기 의류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적어도 일부 차단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700)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00 having an opening in the front, an inner case 200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0 to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clothes, and a cabinet 200 coupled to the cabinet and opening the opening. A door 40 that opens and closes, a hanger part 510 provided at the top of the inner case 200 to hold the clothing, and a hanger portion 510 provided below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200 and inside the inner case 200. It is provided in any one of the machine room 300, the inner case 200, the door 40, and the machine room 300, and is provided to supply at least one of hot air and steam, and is located inside the inner case 200. It is provided in any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600, the inner case 200, the door, and the machine room, and the clothing that falls from the hanger 510 i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ing a sensor unit 700 that detects at least some blocking of light can be provided.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발광부(600) 및 센서부(700)가 어느 위치에 구비되더라도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센서부(700)에 도달하기만 한다면 센서부(700)가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이용하여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no matter where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are provided, as long a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reaches the sensor unit 700, the sensor unit 700 determines the illuminance. Detecting changes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clothing has fallen.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를 향해 빛을 방출하도록 구비되는 발광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600 that emits light toward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센서부(700)가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빛을 방출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자외선, 가시광선 등의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equipped to emit any light as long as the sensor unit 700 can detect it. For example,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ultraviolet rays, visible rays, etc.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적외선, 자외선 등 보다는 가시광선 영역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적외선은 물체를 투과할 수 있어 의류가 낙하하더라도 의류를 통과하는 반면, 가시광선은 사람의 눈에서 인식 가능한 전자기파로서 물체를 투과하지 못한다. 또한, 가시광선을 이용한다면 빛의 차단을 이용한 의류 낙하 감지에 더 적절하고, 사용자의 시각을 보호할 수 있다.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in the visible light range rather than infrared or ultraviolet rays. Infrared rays can penetrate objects and pass through clothing even if they fall, while visible rays are electromagnetic waves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human eye and cannot penetrate objects. Additionally, using visible light is more appropriate for detecting clothing drops by blocking light and protects the user's vision.

상기 발광부(600)의 광원은 LED, 전구 등 빛을 발광하는 모든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of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anything that emits light, such as an LED or a light bulb.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수신하는 센서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may include a sensor unit 700 that receive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조도란 밝기의 척도로서 많은 양의 빛이 입사되면 조도가 높아지고, 반대로 적은 양의 빛이 입사되면 조도가 낮아진다.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as an illuminance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illuminance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lluminance is a measure of brightness. When a large amount of light is incident, the illuminance increases, and conversely, when a small amount of light is incident, the illuminance decreases.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수신여부 및 빛의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700 can detect at least one of whether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received and the intensity of light.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온전히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의 구체적인 설치 위치는 후술한다.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in a position where it can fully receiv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The specific installation loca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each be provided at least one.

상기 발광부(600)가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700)에 수신되는 빛의 양이 많아지므로 더욱 정확하게 의류 낙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When two or more light emitting units 600 are provided,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sensor unit 700 increases, making it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clothing has fallen.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처리 과정 중 의류가 낙하했을 때 센서부(700)에서 감지되는 빛의 조도 변화로부터 의류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the clothing has fallen based on a change in the illuminance of ligh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700 when the clothing falls during the clothing processing process.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행어부 보다 상기 이너케이스(200) 바닥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의류가 낙하하지 않았을 때 제1값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제1값보다 작은 값을 감지하면 상기 의류가 낙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700 is disposed closer to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200 than the hanger unit, and the sensor unit 700 detects the first value when the clothing has not fallen, The control unit C may determine that the clothing has fallen when the sensor unit 700 detects a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value.

도1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이너케이스의 공간영역 구분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17 shows the spatial area division of the inner cas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높이에 따라 구분되는 제1공간영역(V1), 제2공간영역(V2), 제3공간영역(V3)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case 200 may include a first spatial area (V1), a second spatial area (V2), and a third spatial area (V3) divided according to height.

상기 제1공간영역(V1)은 제1위치(a) 및 제2위치(b)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first spatial area V1 may be defined as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osition (a) and the second position (b).

상기 제2위치(b)는 상기 제1위치(a)보다 제1높이만큼 아래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The second location (b) may be lower than the first location (a) by a first height.

상기 제2위치(b)는 상기 제1위치(a)에서 제4위치(d)까지의 길이의 1/3만큼 상기 제1위치(a)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다.The second position (b)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position (a) by 1/3 of the length from the first position (a) to the fourth position (d).

상기 제1공간영역(V1)의 높이는 제1높이가 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first spatial region V1 may be the first height.

상기 제1높이는 상기 행어의 높이방향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The first height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hanger in the height direction.

상기 제1높이는 상기 제1위치(a)에서 제4위치(d)까지의 길이의 1/3가 될 수 있다.The first height may be 1/3 of the length from the first position (a) to the fourth position (d).

상기 제1공간영역(V1)에는 행어부(510)가 설치될 수 있다.A hanger unit 51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spatial area V1.

저고리, 아기옷, 치마 등 상기 제1높이보다 길이가 짧고 작은 옷은 제1공간영역(V1)에 구비될 수 있다.Clothes that are shorter and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such as jeogori, baby clothes, and skirts,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spatial area (V1).

상기 제2공간영역(V2)은 상기 제1공간영역(V1)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위치(b) 및 제2위치(b)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3위치(c)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second spatial area (V2) is disposed lower than the first spatial area (V1) and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position (b) and the third position (c) provided lower than the second position (b). It can be defined as space.

상기 제2공간영역(V2)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높이방향의 중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patial area V2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case 200 in the height direction.

셔츠, 자켓 등 길이가 비교적 일반적인 옷은 상기 제2공간영역(V2)에 구비될 수 있다.Clothes of relatively general length, such as shirts and jackets,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spatial area V2.

상기 제3공간영역(V3)은 상기 제2공간영역(V2)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3위치(c) 및 상기 제4위치(d)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third spatial area V3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second spatial area V2 and may be defined as a space between the third position (c) and the fourth position (d).

코트, 바지 등 길이가 긴 옷은 상기 제3공간영역(V3)에 구비될 수 있다.Long clothes, such as coats and pants, can be provided in the third spatial area (V3).

낙하한 의류는 상기 제3공간영역(V3)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Fallen clothing may be placed in the lower part of the third spatial area (V3).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제1공간영역(V1), 상기 제2공간영역(V2), 상기 제3공간영역(V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patial area (V1), the second spatial area (V2), and the third spatial area (V3).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제1위치(a)보다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lower than the first position (a).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제4위치(d)보다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above the fourth position (d).

도1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8 shows an example of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 또는 제어부(C)는 상기 센서부(700)가 조도 증가를 감지하는 것을 통해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r control unit (C)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clothing has fallen through the sensor unit 700 detecting an increase in illumination.

상기 의류가 행어부(510)에 걸려있을 경우 의류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한다. 의류가 낙하하는 경우에는 의류에 의해 차단됐던 빛이 의류의 낙하로 인해 상기 센서부(700)에 도달한다. 그 결과,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제어부(C)는 조도 증가를 감지하는 것을 통해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clothing is hung on the hanger 510, the clothing block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600. When clothing falls, the light that was blocked by the clothing reaches the sensor unit 700 due to the falling clothing. As a result,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or control unit (C) can determine whether clothing has fallen by detecting an increase in illumination.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각각 단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each be provided as a single unit.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같은 공간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patial area.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가 제5위치(e)보다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처음부터 차단되지 않고 상기 센서부(700)에 도달하므로 상기 센서부(700)는 조도 변화를 감지할 수 없다.When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are provided lower than the fifth position (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not blocked from the beginning and is directed to the sensor unit 700. Therefore, the sensor unit 700 cannot detect the change in illuminance.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제2공간영역(V2) 또는 상기 제3공간영역(V3)에 구비되는 경우 길이가 짧고 작은 의류는 상기 제1공간영역(V1)에만 구비되어 있어 의류가 낙하하더라도 상기 센서부(700)는 조도 증가를 감지할 수 없다.For example,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are provided in the second spatial area (V2) or the third spatial area (V3), short and small clothing is stored in the first spatial area. Since it is provided only in (V1), the sensor unit 700 cannot detect an increase in illumination even if clothes fall.

따라서,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최소한 상기 제5위치(e)보다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are provided at least above the fifth position (e).

상기 제5위치(e)는 제1공간영역(V1), 제2공간영역(V2), 제3공간영역(V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상기 제5위치(e)가 제1공간영역(V1)에 있을 경우에도 의류 낙하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제1공간영역(V1) 중에서도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fth position (e)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patial area (V1), the second spatial area (V2), and the third spatial area (V3). Even when the fifth position (e) is in the first spatial area (V1),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are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patial area (V1) to detect clothing falling. It is desirable to have it available.

또한,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행어부(510)보다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행어부(510)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의류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차단하는 것을 이용하여 빛의 조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are preferably provided lower than the hanger unit 510. As a result, the sensor unit 700 can detect changes in light illuminance by minimizing the influence of the hanger unit 510 and using the fact that clothing block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도1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9 shows an example of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센서부(700) 및 상기 발광부(600)는 서로 다른 공간영역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제2공간영역(V2)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제1공간영역(V1)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7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in different spatial areas.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spatial area V2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spatial area V1.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센서부(700)가 빛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부(700)를 향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는 빛이 상기 센서부(700)가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영역 내로 방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toward the sensor unit 700 so that the sensor unit 700 can detect light.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to emit light into an area where the sensor unit 700 can detect light.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on surfaces of the inner case 200 facing each other.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제1공간영역(V1)을 지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짧은 의류가 걸려있는 경우에도 의류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부(700)는 빛의 조도 증가를 감지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passes through the first spatial region V1. Accordingly, even when short clothing is hanging, the sensor unit 700 can detect an increase in light illuminance by utilizing the fact that the clothing block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다른 공간영역에 구비된 상기 센서부(700)로 유도하기 위해 반사부(400)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A reflecting unit 400, etc.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to gui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to the sensor unit 700 provided in another spatial area.

도2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0 shows an example of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each be provided at least one.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의 개수는 같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기 발광부(600)가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700) 또한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The number of light emitting units 600 and sensor units 700 may not be the same, and when two or more light emitting units 600 are provided, two or more sensor units 700 may also be provided.

상기 발광부(600)가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센서부(700)는 한 개만 구비될 수 있다. Even when two or more light emitting units 600 are provided, only on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두 개 이상의 발광부(600)는 서로 다른 공간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제1공간영역(V1)에 구비된 제1발광부(610) 및 상기 제2공간영역(V2)에 구비된 상기 제2발광부(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wo or more light emitting units 600 may be provided in different spatial areas.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ncludes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610 provided in the first spatial area (V1)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620 provided in the second spatial area (V2). More may be included.

상기 제1발광부(610) 및 상기 제2발광부(62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610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620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상기 제1발광부(610) 및 상기 제2발광부(62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일면의 높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610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620 may be provided side by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one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제1발광부(610) 또는 제2발광부(620)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보도록 상기 발광부(600)가 구비된 면과 마주보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provided with the light emitting unit 600 so as to face at least on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610 or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620.

상기 제1발광부(610)는 상기 제1발광부(61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제1공간영역(V1) 및 상기 제2공간영역(V2)을 통과하여 상기 센서부(700)에 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610 passes through the first spatial area (V1) and the second spatial area (V2) and reaches the sensor unit 700. It may be provided to do so.

상기 제2발광부(620)는 상기 제2발광부(62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제2공간영역(V2)을 통과하여 상기 센서부(700)에 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620 may be provided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620 passes through the second spatial area V2 and reaches the sensor unit 700.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제어부(C)는 제1발광부(610)에서 방출되는 빛의 차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1공간영역(V1)에 구비된 의류 낙하를 감지할 수 있고, 제2발광부(620)에서 방출되는 빛의 차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2공간영역(V2)에 구비된 의류 낙하를 감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or the control unit (C) can detect the fall of clothing provided in the first spatial area (V1) by using block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610), and emit the second light. Falling of clothing provided in the second spatial area V2 can be detected by block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unit 620.

이로써, 상기 제5위치(e)가 어디에 구비되어 있는지와 무관하게 상기 센서부(700)는 빛의 조도 변화를 감지하여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regardless of where the fifth position (e) is located, the sensor unit 700 can determine whether clothing has fallen by detecting a change in light intensity.

또한,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한꺼번에 수신하므로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제어부(C)는 상기 센서부(700)를 한번에 쉽게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nsor unit 700 receiv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ll at once,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r the control unit C can easily control the sensor unit 700 at once.

도2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1 shows an example of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의류는 상기 제1공간영역(V1)에 구비된 행어부(510)에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일측면에서 상기 일측면의 반대 방향을 향해 걸려있다. Meanwhile, clothing is hung on the hanger unit 510 provided in the first spatial area V1 from one side of the inner case 20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side.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각각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의류가 여러 개 구비된 경우에는 의류가 낙하하더라도 낙하된 의류의 전방에 구비된 의류에 의해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센서부(700)가 조도 변화를 감지할 수 없을 수도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ase 200, respectively. However, in the case where multiple pieces of clothing are provided, even if the clothing fall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fundamentally blocked by the clothing provided in front of the fallen clothing, and the sensor unit 700 detects changes in illuminance. It may not be detectable.

따라서,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면 또는 상기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rear of the inner case 200 or the door.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on the door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와 마주보도록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of the inner case 200 to face the light emitting unit 600.

상기 설명과 달리 상기 발광부(600)가 상기 이너케이스(200)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도어에 구비될 수도 있다.Unlike the above description,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of the inner case 2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on the door.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행어부(510)에 걸려있는 의류의 너비방향과 동일한 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행어부(510)에 걸려있는 의류의 측면을 향해 빛을 방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가 낙하하지 않은 경우 상기 행어부(510)에 걸려있는 의류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on the same line as the width direction of the clothing hanging on the hanger unit 510. Additionally,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to emit light toward the side of clothing hanging on the hanger unit 510. Therefore, if the clothing does not fall, the clothing hanging on the hanger 510 may block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상기 발광부(600) 및 센서부(700)는 상기 행어부(510)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행어부(510)가 5개라면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 또한 5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as many as the hanger units 510. For example, if there are five hanger units 510, there may also be five light emitting units 600 and sensor units 700.

상기 발광부(600)는 제1발광부(610), 제2발광부(620), 제3발광부(630), 제4발광부(640), 제5발광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ight emitting unit 610,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620, a third light emitting unit 630, a fourth light emitting unit 640, and a fifth light emitting unit 650. You can.

상기 제1발광부(610), 제2발광부(620), 제3발광부(630), 제4발광부(640), 제5발광부(650) 사이의 간격은 행어부(510)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일렬로 구비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610,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620,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630,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640, and 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650 is between the hanger units 510. It can be provided in a row with the same spacing.

상기 센서부(700)는 제1센서부(710), 제2센서부(720), 제3센서부(730), 제4센서부(740), 제5센서부(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7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ensor unit 710, a second sensor unit 720, a third sensor unit 730, a fourth sensor unit 740, and a fifth sensor unit 750. You can.

상기 제1센서부(710), 제2센서부(620), 제3센서부(730), 제4센서부(740), 제5센서부(750) 사이의 간격은 행어부(510)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ensor unit 710, the second sensor unit 620, the third sensor unit 730, the fourth sensor unit 740, and the fifth sensor unit 750 is between the hanger units 510. It can be provided the same as the spacing.

즉, 상기 제1센서부(710), 제2센서부(720), 제3센서부(730), 제4센서부(740), 제5센서부(75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발광부(610), 제2발광부(620), 제3발광부(630), 제4발광부(640), 제5발광부(650)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일렬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gap between the first sensor unit 710, the second sensor unit 720, the third sensor unit 730, the fourth sensor unit 740, and the fifth sensor unit 750 is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The light emitting units 610,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620,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630,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640, and 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650 may be arranged in a row at the same interval as the interval between them.

상기 제1센서부(710), 제2센서부(720), 제3센서부(730), 제4센서부(740), 제5센서부(750)는 각각 상기 제1발광부(610), 제2발광부(620), 제3발광부(630), 제4발광부(640), 제5발광부(650)와 마주하도록 구비된다.The first sensor unit 710, the second sensor unit 720, the third sensor unit 730, the fourth sensor unit 740, and the fifth sensor unit 750 are each connected to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610. , it is provided to face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620,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630,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640, and 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650.

만약 상기 제1발광부(610) 및 상기 제1센서부(710) 사이에 있는 의류가 낙하되는 경우, 의류에 의해 제1발광부(61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제1센서부(710)에 도달하게 되어 상기 제1센서부(710)는 빛의 조도 증가를 감지할 수 있다.If the clothing between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610 and the first sensor unit 710 falls,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610 by the clothing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ensor unit 710. reaches , so that the first sensor unit 710 can detect an increase in the illuminance of light.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제1공간영역(V1), 제2공간영역(V2) 또는 제3공간영역(V3)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도 무관하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rst spatial area (V1), the second spatial area (V2), or the third spatial area (V3).

상기 제5위치(e)가 상기 센서부(700)보다 상부에 있는 경우 의류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할 수 없어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제1공간영역(V1)에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f the fifth position (e) is above the sensor unit 700, the clothing may not be able to block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so it may not be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lothing has fallen. Therefore,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are provided in the first spatial area V1.

상기 행어부(510)에 걸려있는 의류 중 적어도 하나의 의류가 낙하되면 상기 센서부(700)는 그 의류와 같은 선상에 구비된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감지한다. 그 결과,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제어부(C)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조도 증가를 감지할 수 있다.When at least one piece of clothing hanging on the hanger unit 510 falls, the sensor unit 700 detect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provided on the same line as the clothing. As a result,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or the control unit C can detect an increase in the illuminance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여러 개 구비된 경우에도 상기 센서부(700)가 빛의 조도 증가를 감지하는 것을 통해 의류 낙하 여부 뿐만 아니라 어떤 의류가 낙하했는지까지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there are multiple pieces of clothing, the clothing handling device can determine not only whether the clothing has fallen but also which clothing has fallen through the sensor unit 700 detecting an increase in light intensity.

도2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2 shows an example of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센서부(700)가 조도 감소를 감지하는 것을 통해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의류가 낙하하는 경우 낙하한 의류가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센서부(700)로 도달하지 못하므로 상기 센서부(700)는 이상 조도 감소를 감지할 수 있다.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or the control unit (C) may determine whether the clothing has fallen through the sensor unit 700 detecting a decrease in illumination. When clothing falls, the fallen clothing block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Therefore, sin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does not reach the sensor unit 700, the sensor unit 700 can detect an abnormal decrease in illuminance.

즉,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행어부 보다 상기 이너케이스(200) 바닥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의류가 낙하하지 않았을 때 제1값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제1값보다 작은 값을 감지하면 상기 의류가 낙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at is, the sensor unit 700 is disposed close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than the hanger unit, the sensor unit 700 detects the first value when the clothing does not fall, and the control unit (C) When the sensor unit 700 detects a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lothing has fallen.

상기 발광부(600)와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바닥면을 기준으로 너비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너케이스(200) 바닥면에 낙하된 상기 의류에 의해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일부 차단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r front-to-back direction ba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As a resul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artially blocked by the clothing that has fallen on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200.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센서부(700)보다 전방에 배치되거나,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센서부(7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70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inner case 2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ensor unit 700, or the sensor unit 70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inner case 200. It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inner case 2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laced on a side of the sensor unit 700.

상기 센서부(700) 및 상기 발광부(600)는 이너케이스(200)의 서로 다른 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7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on different sides of the inner case 200.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가 구비된 면과 마주보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where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provided.

이때,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낙하된 의류에 의해 상기 센서부(700)로 도달하지 못하여야 하므로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sin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should not reach the sensor unit 700 due to fallen cloth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do.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각각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양측면에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inner case 200.

또는, 상기 발광부(600) 및 센서부(700)는 각각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면 또는 상기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to face at least one of the back of the inner case 200 or the door, respectively.

상기 발광부(600)가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면에 구비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This shows an embodimen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provided on the door and the sensor unit 700 is provided on the rear of the inner case 200.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도어의 너비방향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700)가 어느 위치에 구비되어 있더라도 감지불가영역을 줄여 의류가 어느 위치에서 낙하하더라도 낙하한 의류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더욱 많이 수신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door in the width direction. As a result, no matter where the sensor unit 700 is installed, the non-detectable area can be reduced to detect fallen clothing no matter where it falls, and mor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can be received. can do.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같은 공간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제3공간영역(V3)에 구비될 수 있다. 의류 낙하시 의류는 제3공간영역(V3)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제3공간영역(V3)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patial area.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in the third spatial area V3. When clothing falls, the clothing is located in the third spatial area (V3), so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are provided in the third spatial area (V3).

상기 발광부(600) 및 센서부(700)는 상기 행어부(510)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 및 센서부(700)는 상기 의류 최하단 높이(e)보다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부(600)와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행어부(510) 보다 상기 이너케이스(200) 바닥면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어부(C)는 상부에 걸려있는 의류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의류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hanger unit 510.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below the lowest height (e) of the clothing. That is,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than the hanger unit 510. Accordingly, the clothing handling device or the control unit (C) can determine whether the clothing has fallen by minimizing the influence of the clothing hanging on top.

이로써, 상기 센서부(700)가 낙하된 의류에 의한 빛의 조도 감소를 감지하여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의류의 길이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낙하된 의류에 의해 차단되는 빛의 조도 감소만을 이용하여 의류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ensor unit 700 detects a decrease in light intensity caused by fallen clothing and determines whether the clothing has fallen, it is not affected by the length of the clothing, but only uses the decrease in light intensity blocked by the fallen clothing.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clothing has fallen.

또한, 상기 센서부(700)가 낙하된 의류에 의한 빛의 조도 감소를 감지하여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의류가 여러 개 구비된 경우에도 더욱 쉽고 정확하게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the sensor unit 700 determines whether clothing has fallen by detecting a decrease in light illuminance caused by fallen clothing,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and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clothing has fallen even when multiple clothing items are provided.

또한, 발광부(600) 및 센서부(700)를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재료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material costs, etc. can be reduced by using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to a minimum.

도2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3 shows an example of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각각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to face at least one of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inner case 200, respectively.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행어부(510)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below the hanger unit 510.

상기 센서부(700)는 의류 낙하시 의류에 의해 상기 센서부(700)가 가려지도록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200 so that the sensor unit 700 is obscured by clothing when the clothing falls.

또는,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기계실 내부 또는 상기 유입바디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수리 및 전원공급에 유리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chine room or in the inlet body. This can be advantageous for repairs and power supply.

상기 설명과 달리 상기 발광부(600)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기계실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유입바디에 구비될 수 있다. Unlike the above description,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inner case 2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ase 200.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or in the inlet body.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일직선상에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in a straight line.

구체적으로, 의류가 낙하하면 상기 센서부(700)가 가려져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차단된다. 그 결과, 상기 센서부(700)가 빛의 조도 감소를 감지하는 것을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어부(C)는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clothing falls, the sensor unit 700 is covered and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blocked. As a result, the sensor unit 700 detects a decrease in light intensity, so that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or the control unit (C) can determine whether the clothing has fallen.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서부(700)는 많을수록 바람직하다. 대부분의 경우 의류가 낙하할 때 중력에 의해 걸려있던 영역의 주변으로 낙하하므로 상기 센서부(700)가 여러 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700)는 의류 낙하 여부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In particular, the more sensor units 700 there are, the more desirable it is. In most cases, when clothing falls, it falls around the area where it was hung due to gravity, so if multiple sensor units 700 are provided, the sensor units 700 can more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clothing has fallen.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에 3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700)는 제1센서부(710), 제2센서부(720), 제3센서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ree sensor units 70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200. The sensor unit 700 may include a first sensor unit 710, a second sensor unit 720, and a third sensor unit 730.

상기 제1센서부(710), 제2센서부(720), 제3센서부(730)는 일렬로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sensor unit 710, second sensor unit 720, and third sensor unit 730 may be provided in a row.

상기 제1센서부(710), 제2센서부(720), 제3센서부(7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발광부(600)와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or unit 710, the second sensor unit 720, and the third sensor unit 730 may be provided to face the light emitting unit 600.

의류 낙하시 의류는 상기 제1센서부(710), 제2센서부(720), 제3센서부(7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 낙하하여 상기 제1센서부(710), 제2센서부(720), 제3센서부(7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릴 수 있다. When clothing falls, the clothing falls on top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or unit 710, the second sensor unit 720, and the third sensor unit 730. At least one of the unit 720 and the third sensor unit 730 may be covered.

이로써, 상기 제1센서부(710), 제2센서부(720), 제3센서부(7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빛의 조도 감소를 감지하는 것을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어부(C)는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ly,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or unit 710, the second sensor unit 720, and the third sensor unit 730 detects a decrease in light illuminance, thereby controlling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r the control unit (C). can determine whether clothing has fallen.

또한, 의류의 길이, 개수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낙하된 의류에 의해 차단되는 빛의 조도 감소만을 이용하여 의류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clothing has fallen by only using the decrease in illuminance of light blocked by the fallen clothing,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length or number of clothing.

도2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반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4 shows an embodiment of the reflecting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가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은 직진하여 상기 센서부(700)에 도달한다. 따라서, 의류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직진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낙하하는 경우 의류에 의해 빛이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센서부(700)는 조도 변화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travels straight and reaches the sensor unit 700. Therefore, when clothing falls in an area other than the area whe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travels straight, the sensor unit 700 may not detect a change in illuminance because the light is not blocked by the clothing.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 사이에 구비되는 제1낙하영역(S1) 및 상기 제1낙하영역(S1) 이외의 영역으로 정의되는 감지불가영역(X)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has a first falling area (S1) provid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and an undetectable area (X) defined as an area other than the first falling area (S1). may include.

의류가 상기 제1낙하영역(S1)에 낙하한다면 낙하된 의류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하여 상기 센서부(700)는 조도 감소를 감지할 수 있지만, 의류가 상기 감지불가영역에 낙하한다면 낙하된 의류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하지 못해 상기 센서부(700)는 조도 감소를 감지할 수 없게 된다. If clothing falls into the first falling area (S1), the fallen clothing block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can detect a decrease in illumination, but the clothing cannot be detected. If the clothes fall in the area, the fallen clothing cannot block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so the sensor unit 700 cannot detect a decrease in illumination.

다만, 낙하된 의류가 상기 제1낙하영역(S1)에 조금이라도 걸쳐지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의류의 일부분에 의해 차단되므로 상기 센서부(700)는 조도 감소를 감지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fallen clothing touches the first falling area (S1) even slight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blocked by a portion of the clothing, so the sensor unit 700 detects a decrease in illumination. can do.

감지불가영역(X)을 최소화하여 의류가 어디에 낙하하는지와 무관하게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반사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minimize the non-detectable area (X) and determine whether the clothing has fallen regardless of where the clothing falls, the clothing handl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or 400.

상기 반사부(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사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reflector 400 may be comprised of at least one reflector.

상기 반사판은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가 구비된 면과 다른 면에 구비될 수 있다. The reflector may be provided on a side different from the side on which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are provided.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1반사판(410) 및 상기 제1반사판(410)이 구비된 면과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는 제2반사판(4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flector 400 includes a first reflector 410 provided on a side of the inner case 200 and a second reflector 420 provided on a side opposite to the side provided with the first reflector 410. It can be included.

상기 제1반사판(410) 및 상기 제2반사판(42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일면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낙하영역(S2) 및 상기 제3낙하영역(S3)을 더 넓여 감지불가영역을 줄일 수 있다. The first reflector 410 and the second reflector 420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inner case 200 in the width direction. As a result, the second falling area (S2) and the third falling area (S3) can be expanded to reduce the non-detection area.

상기 제1반사판(410) 및 상기 제2반사판(420)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reflector 410 and the second reflector 420 may b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상기 제1반사판(410) 및 상기 제2반사판(42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일면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reflector 410 and the second reflector 420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inner case 200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반사판(410)에 반사되는 빛에 의해 형성되는 제2낙하영역(S2) 및 상기 제2반사판(420)에 반사되는 빛에 의해 형성되는 제3낙하영역(S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es a second falling area (S2) formed by light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ng plate (410) and a third falling area (S3) formed by light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ing plate (420). It may further include.

상기 반사부(40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반사부(400)가 구비되지 않았을 때보다 상기 감지불가영역의 넓이가 감소한다. 의류가 낙하하여 의류의 일부분이 제1낙하영역(S1), 제2낙하영역(S2), 제3낙하영역(S3) 중 어느 하나에 걸쳐지는 경우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낙하된 의류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센서부(700)는 조도 감소를 감지할 수 있다. When the reflector 400 is provided, the area of the non-detectable area is reduced compared to when the reflector 400 is not provided. When clothing falls and a portion of the clothing falls over any one of the first fall zone (S1), second fall zone (S2), and third fall zone (S3),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falls. The sensor unit 700 can detect a decrease in illumination due to being blocked by the clothing.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감지불가영역(X)을 최소화하여 의류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의 어느 영역에 떨어지더라도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lothing handling device can determine whether the clothing has fallen no matter which are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by minimizing the non-detectable area (X).

도2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필터부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5 shows the filter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기계실(300)의 상부에 필터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 may include a filter unit 380 at the top of the machine room 300 to prevent dust from entering the circulation duct 320.

상기 필터부(380)는 상기 유입바디(361)에 장착되어 상기 유입바디(361)로 유입되는 먼지를 여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filter unit 380 may be mounted on the inlet body 361 to filter dust flowing into the inlet body 361.

상기 필터부(380)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의 상기 유입바디(361)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유입바디(361)의 상부면의 일부를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바디필터(38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필터(386)는 큰 먼지를 차단할 수 있고, 빛이 통과할 수 있는 메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lter unit 380 may include a body filter 386 that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let body 361 of the base cover 360 and is provided to shield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let body 361. . The body filter 386 can block large dust and may be made of a mesh material that allows light to pass through.

상기 필터부(380)는 상기 바디필터(386)가 안착되는 바디커버(3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커버(385)는 상기 유입바디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커버(385)는 제1유입구(3621) 및 제3유입구(3622) 상부의 일면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바디커버(385)가 제1유입구(3621) 및 제3유입구(3622)의 상면을 차폐하는 부분은 타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커버(385)는 상기 바디필터(386)가 미장착되는 경우 등에 큰 먼지를 차단하여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lter unit 380 may further include a body cover 385 on which the body filter 386 is seated. The body cover 385 may be provided on top of the inlet body. The body cover 385 may shield one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first inlet 3621 and the third inlet 3622. The portion of the body cover 385 that shields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inlet 3621 and the third inlet 3622 may be provided with a perforation. The body cover 385 can prevent dust from entering the circulation duct 320 by blocking large dust, such as when the body filter 386 is not installed.

상기 필터부(380)는 상기 바디커버(385) 및 상기 바디필터(386)를 고정하기 위해 필터고정부(3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고정부(384)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커버(385)의 둘레면은 상기 필터고정부(384)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고, 필터고정부(384)로부터 착탈될 수 있다. 상기 필터고정부(384)는 기계실(300) 및 드로워(5)의 일면을 차폐할 수 있다. The filter unit 38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fixing unit 384 to fix the body cover 385 and the body filter 386. The filter fixing part 384 may be provided on the top of the base cover 360.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cover 385 may be coupled to the filter fixing part 384 and may be detached from the filter fixing part 384. The filter fixing part 384 can shield one side of the machine room 300 and the drawer (5).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바디커버(385) 상부에 필터덮개(3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덮개(382)는 상기 바디커버(385)의 너비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덮개(382)는 상기 바디필터(386)의 일면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필터덮개(382)의 하부면은 격자형태의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덮개(382)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덕트(320)로 유입되도록 상기 이너케이스(200) 바닥면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cover 382 on top of the body cover 385. The filter cover 382 may be provid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cover 385. The filter cover 382 may shield one side of the body filter 386.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over 382 may be formed of a grid-shaped injection molded product. The filter cover 382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to allow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to flow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상기 필터덮개(382) 상부에는 차단커버(38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커버(381)는 상기 기계실(300)의 개구된 상면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A blocking cover 381 may be provided on the filter cover 382. The blocking cover 381 can completely shield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machine room 300.

도2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6 shows an example of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낙하된 의류에 의해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센서부(700)가 감지하지 못하도록 한다면 어느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installed in any position as long as the sensor unit 700 does not det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by fallen clothing.

따라서,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행어부(510) 보다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행어부(510) 보다 하부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내에서 상기 제2공간영역(V2), 상기 제3공간영역(V3) 및 상기 기계실(300)을 포함한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are provided lower than the hanger unit 510. A lower part than the hanger part 510 includes the second spatial area V2, the third spatial area V3, and the machine room 300 within the inner case 200.

따라서,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기계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또는 상기 도어(40)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is disposed inside the machine room, and the other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is located inside the inner case 200 or It may be placed on the door 40.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보다 하부 중 특히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전원 공급 및 수리가 유리해질 수 있고, 의류 낙하 여부 판단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걸려있는 의류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lower than the inner case 200, particularly inside the machine room 300. As a result, power supply and repair can be advantageous, and the influence of clothing hanging inside the inner case 200 can be minimized when determining whether clothing has fallen.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센서부(700)에 수신되도록 상기 센서부(700)를 향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덮개(382)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toward the sensor unit 700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received by the sensor unit 700. At this time, the filter cover 382 may not be provided.

의류 낙하시 의류는 상기 제3공간영역(V3)에 존재하고, 상기 센서부(700)는 낙하된 의류에 의해 빛이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기 때문에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 즉 제3공간영역(V3)에 구비될 수 있다. When clothing falls, the clothing exists in the third spatial area (V3), and the sensor unit 700 detects that light is blocked by the fallen clothing, so the sensor unit 700 detects that the inner case 200 It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 that is, in the third spatial area (V3).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 배치된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발광부(600)와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바닥면을 기준으로 너비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for the sensor unit 700 to det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disposed inside the machine room 300,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are connected to the inner case 200. It is desirable to arrange them in the width direction or front-to-back direction based on the floor surface.

즉,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경로의 일부가 상기 이너케이스(300)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너비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지나야한다. That is, part of the path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ust pass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300 in the width direction or front-to-back direction.

따라서,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센서부(700)보다 전방에 배치되거나,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센서부(7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nsor unit 70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inner case 2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ensor unit 700, or the sensor unit 70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inner case 200.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2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disposed on a side of the sensor unit 700.

의류 낙하시 의류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방에 낙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전후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clothing will fall on the rear of the inner case 200 when clothing falls,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provided to cross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inner case 200. .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방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700)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directed toward the rear of the inner case 200.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unit 700 is also provided at the rear of the inner case 200 so that it faces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의류가 낙하하는 경우 낙하된 의류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700)는 이상 조도 감소를 감지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어부(C)는 의류 낙하를 판단할 수 있다. When clothing falls, the fallen clothing block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ccordingly, the sensor unit 700 detects an abnormal decrease in illumination, and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or the control unit C can determine whether the clothing has fallen.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바디필터(386) 보다 사부에서 상기 바디커버(385)의 전방모서리 또는 후방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at a front edge or rear edge of the body cover 385 in a dead portion relative to the body filter 386.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기계실 내부에서도 상기 바디필터(386)보다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바디필터(386)에 걸러지는 먼지 등에 의해 상기 발광부(600)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눈에 빛이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lower than the body filter 386 even inside the machine room. As a result, the performance of the light emitting unit 6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dust filtered in the body filter 386, and ligh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user's eyes.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바디필터(386)를 사이에 두고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바디필터(386)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700)에서 감지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with the body filter 386 interposed therebetween. 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provided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penetrates the body filter 386 and can b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700.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유입바디(361)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유입바디(361)의 상부로 빛을 방출하도록 상기 유입바디(361)의 전방모서리 또는 후방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제1유입구(3621) 또는 상기 제3유입구(3622)의 상부로 빛을 방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의 상기 제2유입구(3623)에는 상기 제2유입구(3623)를 차폐하는 차폐부재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유입구(3623) 상부로 빛을 방출하도록 구비될 수 없어 상기 유입바디(361)의 측면보다는 전면 또는 후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let body 361.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or rear edge of the inlet body 361 to emit light to the upper part of the inlet body 361. That is,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to emit light toward the top of the first inlet 3621 or the third inlet 3622. A shielding member that shields the second inlet 3623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second inlet 3623 of the inflow body 361. Accordingly, it cannot be provided to emit light above the second inlet 3623, so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at the front or rear rather than the side of the inlet body 361.

상기 발광부(600)는 광원을 설치할 수 있는 조명설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설치부는 상기 유입바디의 전면 또는 후면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further include a lighting installation unit capable of installing a light source. The lighting installation unit may be provided through the front or rear of the inlet body.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바디필터(386)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센서부(700)에서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이용해 의류 낙하 뿐만 아니라 상기 바디필터(386) 착탈 여부 또는 바디필터(386) 오염도까지 판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provided below the body filter 386, so that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or the control unit (C) detects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t the sensor unit 700. Using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not only whether clothing has fallen, but also whether the body filter 386 is attached or detached or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body filter 386.

한편,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의류처리장치 좌측으로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의 너비방향의 중앙과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너비방향의 중앙은 같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너비방향의 중앙은 상기 기계실(300)의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machine room 300 may be located to the left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The width direction center of the machine room 300 may not be the same as the width direction center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The width direction center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may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machine room 300.

따라서,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기계실(300)의 너비방향의 중앙이 아닌 상기 의류처리장치 너비방향의 중앙과 같은 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on the same line as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rather than the center of the machine room 300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후면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700) 및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일직선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ly, the sensor unit 7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600 can be provided in a straight line at the center of the inner case 200 in the width direction.

즉,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후면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유입바디(361)는 상기 이너케이스 바닥면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유입바디(361) 내부에서 상기 센서부(70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sensor unit 70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in the width direction, the inflow body 361 is disposed to be biased to one sid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the It may be plac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or unit 700 inside the inflow body 361.

상기 설명과 달리,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 구비될 수 있다.Unlike the above description,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exchanged.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한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재료비 및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고, 하나의 센서부(700)를 이용하여 의류 낙하 여부를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may be provided as one unit. As a result,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can reduce material and manufacturing costs and can efficiently detect whether clothing has fallen using a single sensor unit 700.

한편, 상기 발광부(600)가 상기 바디필터(386)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각도 및 상기 바디커버(385)와 상기 이너케이스(200) 사이의 단차 때문에 상기 이너케이스(200) 후면에 구비된 상기 센서부(700)로 빛이 도달할 수 없다.Meanwhile,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provided below the body filter 386, the angle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tep between the body cover 385 and the inner case 200 Therefore, light cannot reach the sensor unit 70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inner case 200.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조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발광부(600)가 방출되는 빛이 상기 이너케이스(200) 하부를 향해 유도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센서부(700)에 도달해야 한다.In order for the sensor unit 700 to detect a change in illuminance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guided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inner case 200 and finally reaches the sensor. You must reach wealth (700).

따라서, 상기 발광부(600)가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 구비된 경우,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센서부(700)로 유도하고, 감지에 필요한 조도량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발광부(600) 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센서부(700)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반사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provided inside the machine room 300,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guided to the sensor unit 700 and the illuminance required for detection is secured. It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ion unit 400 disposed above the light emitting unit 600 to gui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to the sensor unit 700.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반사하여 상기 센서부(700)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각도,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The reflector 400 may be provided in a position, angle, and number so that the sensor unit 700 can dete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600 by reflecting it.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가 어디에 구비되더라도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반사하여 상기 센서부(700)로 유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reflector 400 may be provided to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600 and guide it to the sensor unit 700, regardless of where the light emitter 600 and the sensor unit 700 are installed. .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발광부(600)보다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600)와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은 곧바로 상기 반사부(400)에 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reflecting unit 400 may be provided above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arrang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light emitting unit 600.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to directly reach the reflecting unit 400.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발광부(600)와 상기 센서부(70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reflecting unit 4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nd the sensor unit 700.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바디필터(386)보다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필터(366) 및 상기 발광부(6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바디커버(385)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반사부(400)로 유도되어 상기 바디필터(386)의 국부적인 영역의 오염도까지 감지할 수 있다.The reflection unit 400 may be provided above the body filter 386 and disposed between the body filter 366 and the light emitting unit 600. The reflector 4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cover 385. As a resul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guided to the reflecting unit 400 and even the level of contamination in the local area of the body filter 386 can be detected.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필터덮개(382)와 상기 바디필터(38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필터덮개(382)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커버(385) 및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 사이의 단차를 극복하고 상기 반사부(400)에서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면에 있는 상기 센서부(700)에 유도하기 위해서는 상기 필터덮개(382)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flector 4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lter cover 382 and the body filter 386. The reflector 40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over 382. The step between the body cover 385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is overcome,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transmitted from the reflecting unit 400 to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In order to guide the sensor unit 700, it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over 382.

상기 반사부(400)가 상기 필터덮개(382)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필터덮개(382)는 상기 필터덮개(382) 하부면에 상기 반사부(400)를 설치하기 위한 반사부(400) 설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덮개(382)의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When the reflector 400 is provided below the filter cover 382, the filter cover 382 includes a reflector 400 for installing the reflector 40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over 382. It may further include an installation part.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filter cover 382 will be described later.

이로써, 상기 필터덮개(382) 및 상기 이너케이스(200) 바닥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센서부(700)로 유도하여 상기 센서부(700)가 낙하된 의류에 의한 조도 감소를 감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guided to the sensor unit 700 in the space spaced apart between the filter cover 38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and the sensor unit 700 A decrease in illumination caused by dropped clothing can be detected.

도27은 제1반사판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7 shows the structure of the first reflector.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발광부(600)와 높이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구비되는 제1반사판(4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flector 400 may include a first reflector 410 provided on the same line in the height direction as the light emitter 600.

상기 제1반사판(410)은 상기 필터덮개(382)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reflector 41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over 382.

상기 제1반사판(410)은 상기 필터덮개(382)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reflector 410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ilter cover 382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발광부(600), 상기 센서부(700) 및 상기 제1반사판(410)은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반사판(410)에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곧바로 상기 센서부(700)에 반사시키는 제1반사면(411)이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the sensor unit 700, and the first reflector 410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sent directly to the sensor. A first reflective surface 411 may be provided to reflect the unit 700.

상기 제1반사면(411)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후방을 향해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reflective surface 411 may be provided toward the rear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상기 제1반사판(410)에는 상기 필터덮개(382)와 결합할 수 있는 후크(3823)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reflector 410 may be provided with a hook 3823 that can be coupled to the filter cover 382.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제1반사면(411)을 거쳐 상기 센서부(700)로 유도되는 제1경로(R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ath (R1)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guided to the sensor unit 700 through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411.

상기 제1경로(R1)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를 지날 수 있다. 상기 제1경로(R1)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과 가깝게 지날 수 있다.The first path R1 may pass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inner case 200. The first path R1 may pass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의류가 낙하하는 경우 낙하된 의류는 상기 제1경로(R1)를 지나는 빛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700)는 이상 조도 감소를 감지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어부(C)는 의류 낙하를 판단할 수 있다. When clothing falls, the fallen clothing block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path (R1). Accordingly, the sensor unit 700 detects an abnormal decrease in illumination, and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or the control unit C can determine whether the clothing has fallen.

도2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반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8 shows an embodiment of the reflecting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a)는 상기 필터부(380)의 분해 사시도를, 도 28(b)는 상기 기계실을 가로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28(a)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unit 380, and Figure 28(b) shows a cross-section of the machine room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1반사판(410)만으로는 상기 센서부(700)에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There may be cases where the first reflector 410 alone cannot sufficiently transmi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to the sensor unit 700.

따라서, 도 28(a)와 같이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센서부(700)에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반사판(410)의 양측에 대칭되어 배치되는 제2반사판(420) 및 제3반사판(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28(a), the reflector 400 is symmetrical on both sides of the first reflector 410 in order to sufficiently transmi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600 to the sensor unit 700.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flector 420 and a third reflector 430.

상기 제2반사판(420) 및 제3반사판(430)은 상기 필터덮개(382)의 양측 모서리에 가깝도록 상기 필터덮개(382)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reflector 420 and the third reflector 43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over 382 close to both edges of the filter cover 382.

이때, 상기 제1반사판(410)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반사되는 빛을 상기 제2반사판(420)에 반사시키는 제2반사면(412), 상기 발광부(600)에서 반사되는 빛을 상기 제3반사판(430)에 반사시키는 제3반사면(4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reflector 410 is a second reflective surface 412 that reflect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to the second reflector 420, and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reflection surface 413 that reflects the third reflection plate 430.

또한, 상기 제2반사판(420)은 상기 제2반사면(412)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상기 센서부(700)를 향해 반사시키는 제4반사면(42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반사판(430)은 상기 제3반사면(413)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제5반사면(43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4, 5반사(421, 431)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은 상기 센서부(7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reflection plate 420 may include a fourth reflection surface 421 that reflects light reflected from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412 toward the sensor unit 700. The third reflection plate 430 may be provided with a fifth reflection surface 431 that reflects light reflected from the third reflection surface 413. Accordingly,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fourth and fifth reflection surfaces 421 and 431 can b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700.

즉, 상기 제1반사판(410)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제2반사판(420) 및 상기 제3반사판(430)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반사판(420) 및 제3반사판(430)으로 반사된 빛은 상기 센서부(700)에서 감지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reflector 410 can refle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to the second reflector 420 and the third reflector 430. Light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or 420 and the third reflector 430 can b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700.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제1반사판(410)의 상기 제2반사면(412) 및 상기 제2반사판(420)의 상기 제4반사면(421)을 거쳐 상기 센서부(700)로 유도되는 제2경로(R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es treatment device is such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reflects the second reflecting surface 412 of the first reflecting plate 410 and the fourth reflecting surface 421 of the second reflecting plate 420.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ath (R2) leading to the sensor unit 700.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제1반사판(410)의 상기 제3반사면(413) 및 상기 제3반사판(430)의 상기 제5반사면(431)을 거쳐 상기 센서부(700)로 유도되는 제3경로(R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es treatment device is such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reflects the third reflective surface 413 of the first reflective plate 410 and the fifth reflective surface 431 of the third reflective plate 430. 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ath (R3) leading to the sensor unit 700.

상기 의류가 낙하하는 경우 낙하된 의류는 상기 제2경로 및 상기 제3경로를 지나는 빛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는 이상 조도 감소를 감지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어부(C)는 의류 낙하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clothing falls, the fallen clothing blocks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path and the third path. Accordingly, the sensor unit detects an abnormal decrease in illumination, and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or the control unit (C) can determine whether the clothing has fallen.

또한,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제1, 2, 3경로(R1, R2, R3)로 유도되어 상기 바디필터(386)의 국부적인 영역의 오염도까지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guid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paths (R1, R2, and R3), so that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n the local area of the body filter 386 can be detected.

도2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반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9 shows an embodiment of the reflecting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8과 같이 상기 반사부(400)가 상기 제1반사판(410), 상기 제2반사판(420) 및 상기 제3반사판(430)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의류가 낙하되어 상기 제1경로(R1), 상기 제2경로(R2) 또는 상기 제3경로(R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약 0~66%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바디필터(386)가 장착되고, 상기 의류가 낙하되지 않았을 때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약 60~70%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가 낙하되었을 때와 상기 의류가 낙하되지 않았을 때 상기 센서부(700)가 감지하는 빛의 양의 중복되는 범위가 생기고, 만약 약 66% 이하의 빛을 감지하게 된다면 감지할 수 없게 되어 의류 낙하를 판단하는 정확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As shown in Figure 28, when the reflector 400 includes the first reflector 410, the second reflector 420, and the third reflector 430, the clothing falls and travels through the first path (R1). ), when at least one of the second path (R2) or the third path (R3) is blocked, the sensor unit 700 emits about 0 to 66%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t can be detected. However, when the body filter 386 is installed and the clothing has not fallen, the sensor unit 700 can detect about 60 to 70%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Therefore, there is an overlapping range of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700 when the clothing falls and when the clothing does not fall, and if about 66% or less of light is detected, it cannot be detec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ccuracy of determining whether clothing has fallen may decrease.

따라서, 상기 중복되는 범위를 없애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발광부(600)가 상기 바디필터(386)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이너케이스(200) 또는 상기 도어(40)에 구비되어 상기 행어부(510) 보다 상기 필터부(380)에 더 가까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반사부(400)가 상기 제1반사판(410)을 제외한 상기 제2반사판(420) 및 상기 제3반사판(430)만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eliminate the overlapping range, the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has the light emitting unit 600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filter 386, and the sensor unit 700 installed at the inner case 200 or the door ( 40) and disposed closer to the filter unit 380 than the hanger unit 510, the reflector 400 reflects the second reflector 420 and the first reflector excluding the first reflector 410. 3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only the reflector 430.

상기 제2반사판(420) 및 상기 제3반사판(430)이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바디필터(386)를 지나 상기 제2경로(R2) 및 상기 제3경로(R3)를 지날 수 있다.The second reflector 420 and the third reflector 430 are provided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passes through the body filter 386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path (R2) and the third path ( You can pass through R3).

만약 상기 의류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에 낙하되는 경우 상기 의류는 상기 제2경로(R2) 또는 상기 제3경로(R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단할 수 있다.If the clothing falls on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200, the clothing may block at least one of the second path (R2) or the third path (R3).

이로써,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조도 변화를 통해 상기 의류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C can determine whether the clothing has fallen through a change in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emitted by the sensor unit 700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필터(386)가 장착되고, 상기 의류가 낙하되지 않았을 때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약 60~70%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의류가 낙하되어 상기 제2경로(R2) 또는 상기 제3경로(R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약 0~50%를 감지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body filter 386 is installed and the clothing has not fallen, the sensor unit 700 can detect about 60 to 70%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t this time, when the clothing falls and blocks at least one of the second path (R2) or the third path (R3), approximately 0 to 50% can be detected.

이로써, 상기 의류가 낙하되었을 때와 상기 의류가 낙하되지 않았을 때 상기 센서부(700)가 감지하는 빛의 양의 중복되는 범위가 없어져 상기 필터덮개(382)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반사판(420) 및 상기 제3반사판(430)만으로도 상기 제어부(C)는 의류 낙하 및 상기 바디필터(386)의 착탈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overlapping range of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700 when the clothing falls and when the clothing does not fall is eliminated, and the second reflecto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cover 382 ( 420) and the third reflector 430 alone, the control unit C can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clothing has fallen and whether the body filter 386 is attached or detached.

도3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의류낙하영역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30 shows the clothing falling area of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 발광부(600)가 상기 기계실 또는 상기 바디필터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발광부(600)가 방출되는 빛이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방으로 방출되므로 상기 필터덮개(382)에 가려져 상기 센서부(700)가 감지하지 못하는 영역, 즉 감지불가영역(X)이 생길 수도 있다. 의류가 상기 감지불가영역(X)에 낙하한다면 낙하된 의류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하지 못해 상기 센서부(700)는 조도 감소를 감지할 수 없게 된다.Meanwhile,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or lower part of the body filter,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emitted to the rear of the inner case 200 and is thus transmitted to the filter cover 382. There may be an area that is obscured and cannot b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700, that is, a non-detection area (X). If clothing falls in the non-detectable area (X), the fallen clothing cannot block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so the sensor unit 700 cannot detect a decrease in illumination.

따라서,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적어도 2개 이상의 방향으로 분산시켜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바닥면으로 낙하한 의류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반사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dispers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so that the sensor unit 700 block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by clothing that has fallen to the floor. It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or 400 provided for sensing.

도 30(a)와 같이, 의류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방으로 낙하하거나, 낙하하는 의류의 면적이 감지불가영역(X)보다 넓어 감지불가영역(X)의 일부분에만 낙하할 가능성이 더욱 높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600)가 상기 기계실(300) 또는 상기 바디필터(366)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조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0(a), clothing falls to the rear of the inner case 200, or the area of the falling clothing is larger than the non-detectable area (X), making it more likely that it will fall only in a part of the non-detectable area (X). Because it is high, even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300 or below the body filter 366, the sensor unit 700 can detect a change in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00. You can.

다만, 도 30(b)와 같이 스카프 등 부피가 매우 작은 의류가 낙하하거나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전방으로 낙하하는 경우에는 낙하하는 의류의 면적이 감지불가영역(X)보다 좁아 감지불가영역(X)에 낙하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ure 30(b), when very small clothing such as a scarf falls or falls in front of the inner case 200, the area of the falling clothing is narrower than the non-detectable area (X), so the non-detectable area ( It can fall on X).

따라서, 도 30(c)와 같이 상기 센서부(700)의 감지불가영역(X)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센서부(700)와 상기 발광부(600) 사이에서 상기 센서부(700)와 상기 발광부(6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0(c), in order to minimize the non-detectable area (X) of the sensor unit 700, the reflection unit 400 It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unit 7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600.

상기 제2반사판(420) 및 상기 제3반사판(430)은 상기 필터덮개(382)의 양측모서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반사판(420) 및 상기 제3반사판(430)은 상기 센서부(700)의 감지불가영역(X)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필터덮개(382)의 후면모서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reflector 420 and the third reflector 430 may be placed close to both edges of the filter cover 382. In addition, the second reflector 420 and the third reflector 430 may be placed close to the rear edge of the filter cover 382 to minimize the non-detection area (X) of the sensor unit 700. .

이로써, 상기 제2반사판(420) 및 상기 제3반사판(430)은 최대한 상기 필터덮개(382)의 양측 및 후면모서리에 가깝게 배치되어 상기 감지불가영역(X)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reflector 420 and the third reflector 430 can be placed as close to both sides and rear edges of the filter cover 382 as possible to minimize the non-detectable area (X).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센서부(700) 보다 상기 발광부(60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The reflecting unit 400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600 than the sensor unit 700.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센서부(700)와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너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reflecting unit 400, the sensor unit 7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600 are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ased on the floor, and the reflecting unit 400 i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based on the floor. It can be.

상기 복수의 반사부(400)는 상기 센서부(700)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reflection units 400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to the sensor unit 700.

상기 복수의 반사부(400)는 상기 센서부(700) 및 발광부(600)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reflection units 400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the sensor unit 7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600.

도3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필터덮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31 shows the structure of the filter cover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1(a)는 필터덮개(382)의 하부사시도를, 도31(b)는 상기 반사부(400)가 구비된 필터덮개(382)의 하부면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31(a) shows a lower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cover 382, and Figure 31(b) shows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over 382 provided with the reflection portion 400.

상기 필터덮개(382)는 상기 필터덮개(382)의 하부면에 상기 제1반사판(410)을 설치할 수 있는 제1반사판 설치부(3821a)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lter cover 382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reflector installation part 3821a that can install the first reflector 41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over 382.

상기 필터덮개(382)는 상기 필터덮개(382)의 하부면에 상기 제2반사판(420)을 설치할 수 있는 제2반사판 설치부(3821b), 상기 제3반사판(430)을 설치할 수 있는 제3반사판 설치부(382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반사판 설치부(3821b) 및 상기 제3반사판 설치부(3821c)는 상기 제1반사판 설치부(3821a)의 양측에 대칭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filter cover 382 includes a second reflector installation part 3821b on which the second reflector 420 can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over 382, and a third reflector on which the third reflector 430 can be installed. It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or installation part 3821c. The second reflector installation unit 3821b and the third reflector installation unit 3821c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first reflector installation unit 3821a.

상기 필터덮개(382)는 상기 필터덮개(382)의 하부면에 상기 필터고정부(384)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383)를 설치할 수 있는 링크 설치부(3822)를 구비할 수 있다. The filter cover 382 may be provided with a link installation part 3822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over 382, which can install a link 383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lter fixing part 384.

상기 필터덮개(382)는 상기 필터덮개(382)의 하부면에 상기 필터고정부(384)에 지지되는 후크(3823)를 구비할 수 있다. The filter cover 382 may be provided with a hook 3823 supported on the filter fixing part 384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over 382.

상기 필터덮개(382)는 상기 필터덮개(382)의 하부에 공기를 탈취할 수 있는 아로마시트를 설치할 수 있는 아로마시트 설치부(3824)를 구비할 수 있다. The filter cover 382 may be provided with an aroma sheet installation portion 3824 that can install an aroma sheet capable of deodorizing air at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cover 382.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understoo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s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This will be self-evident to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1 의류처리장치
3 급수통 4 배수통 5 드로워
40 도어
41 메인플레이트
42 디스플레이부
43 단차
100 캐비닛
200 이너케이스
210 개구부
220 수용공간
230 관통홀 231 유입홀 232 배출홀 233 스팀홀
300 기계실
310 베이스
311 베이스바닥부
312 압축기설치부
313 제어부설치부
3131 브라켓 3132 서포터
3133 수용부
3133a 수용바닥면
320 순환덕트
321 덕트바디
3211 설치격벽 3212 열교환기 설치부
321a 하부면길이 321b 상부면 길이 321c 설치길이
322 외기흡입부
323 공기배출부
3231 공기연장관 3232 공기배출관 3233 파팅라인
323a 돌출길이
324 개방면
325 바닥면
326 저수부 3261 저수바닥면 3262 함몰부 3263 배수관 3264 필터
327 워터커버
330 잔수처리부
331 배수펌프
332 유입관
333 안내관
334 배출관
335 배수호스
340 열공급부
341 증발기 342 압축기 343 응축기 344 팽창밸브
350 팬설치부
351 팬하우징 352 배출덕트
353 송풍팬
360 베이스커버
361 유입바디 3611 조설설치부 3612 유입후크
362 유입덕트 유입부
362a 제1리브
362b 제2리브
3621 제1유입구
3622 제3유입구
3263 제2유입구
363 차폐바디
3631 체결부 3632 수용리브 3633 강화리브 3634 차폐후크
364 댐퍼부
365 유입구동부
3651 구동모터 3652 주동기어 3653 종동기어 3654 스토퍼
366 차단필터
370 외기덕트
371 흡기덕트 372 연장덕트 373 외기댐퍼 374 외기구동부
380 필터부
381 차단커버
382 필터덮개 3821 반사판 설치부 3821a 제1반사판 설치부
3821b 제2반사판 설치부
3821c 제3반사판 설치부
3822 링크설치부 3823 후크 3824 아로마시트 설치부
383 링크
384 필터고정부
385 바디커버
386 바디필터
400 반사부
410 제1반사판 411 제1반사면 412 제2반사면 413 제3반사면
420 제2반사판 421 제4반사면
430 제3반사판 431 제5반사면
500 거치부
510 행어부
520 가압부
521 지지부
522 압박부
600 발광부
610 제1발광부 620 제2발광부 630 제3발광부
640 제4발광부 650 제5발광부
700 센서부
710 제1센서부 720 제2센서부 730 제3센서부
740 제4센서부 750 제5센서부
CL 의류
a 제1위치(행어부 최하단 위치) b 제2위치 c 제3위치 d 제4위치(이너케이스 최하단 위치) e 제5위치(의류 최하단 위치)
V1 제1공간영역 V2 제2공간영역 V3 제3공간영역
h1 제1높이
R1 제1경로 R2 제2경로 R3 제3경로
X 감지불가영역 S1 제1낙하영역 S2 제2낙하영역 S3 제3낙하영역
C 제어부 (컨트롤패널)
800 스팀공급부
810 스팀케이스
811 케이스측면 8111 히터삽입홀
812 분리격벽
813 스팀배출관
814 회수관
815 급수관
820 케이스커버 821 커버후크
830 히터고정부
831 고정클립 832 지지클립 833 클립체결부재
840 히터부
841 제1히터
842 제2히터
843 히터실러
850 수위센서
851 센서바디 852 접촉돌기 853 센서체결부재
860 온도센서
870 설치브라켓
871 하부패널 872 측면패널 873 고정클립
880 스팀펌프
890 급수관
900 스팀배출부
910 공급용기
911 용기측면
912 제1바닥면 9121 제1관 9122 제2관
913 제2바닥면 9131 제3관 9132 차폐관 9133 개방면
920 용기커버
921 고정돌기 922 수분분리판 923 스팀분사홀 924 체결후크
1 Clothing processing device
3 Water tank 4 Drain tank 5 Drawer
40 doors
41 main plate
42 Display unit
43 step
100 cabinets
200 inner case
210 opening
220 capacity
230 through hole 231 inlet hole 232 discharge hole 233 steam hole
300 machine room
310 base
311 Base bottom part
312 Compressor installation section
313 Control installation section
3131 Bracket 3132 Supporter
3133 receptacle
3133a receiving bottom surface
320 circulation duct
321 Duct Body
3211 Installation bulkhead 3212 Heat exchanger installation section
321a lower surface length 321b upper surface length 321c installation length
322 External air intake unit
323 air outlet
3231 Air extension pipe 3232 Air discharge pipe 3233 Parting line
323a protrusion length
324 open side
325 floor
326 Reservoir 3261 Reservoir bottom 3262 Recess 3263 Drain pipe 3264 Filter
327 water cover
330 Residual water treatment department
331 Drain pump
332 inlet pipe
333 Guide
334 discharge pipe
335 drain hose
340 Heat supply unit
341 Evaporator 342 Compressor 343 Condenser 344 Expansion Valve
350 fan installation part
351 Fan housing 352 Discharge duct
353 blowing fan
360 base cover
361 Inlet body 3611 Construction installation part 3612 Inlet hook
362 Inlet duct inlet
362a first rib
362b second rib
3621 1st inlet
3622 3rd inlet
3263 2nd inlet
363 shielding body
3631 Fastening part 3632 Receiving rib 3633 Reinforcing rib 3634 Shielding hook
364 Damper section
365 Inlet East
3651 Drive motor 3652 Main gear 3653 Drive gear 3654 Stopper
366 blocking filter
370 Outdoor air duct
371 Intake duct 372 Extension duct 373 Outside air damper 374 Outside drive unit
380 filter part
381 blocking cover
382 Filter cover 3821 Reflector installation part 3821a First reflector installation part
3821b Second reflector installation part
3821c Third reflector installation part
3822 Link installation part 3823 Hook 3824 Aroma sheet installation part
383 link
384 Filter fixing part
385 body cover
386 body filter
400 reflector
410 1st reflector 411 1st reflector 412 2nd reflector 413 3rd reflector
420 2nd reflector 421 4th reflector
430 3rd reflector 431 5th reflector
500 holder
510 Hanger Department
520 pressurized part
521 support
522 compression unit
600 light emitting unit
610 first light emitting unit 620 second light emitting unit 630 third light emitting unit
640 4th light emitting part 650 5th light emitting part
700 sensor unit
710 1st sensor unit 720 2nd sensor unit 730 3rd sensor unit
740 4th sensor unit 750 5th sensor unit
CL Clothing
a 1st position (lowest position of hanger) b 2nd position c 3rd position d 4th position (lowest position of inner case) e 5th position (lowest position of clothing)
V1 First spatial area V2 Second spatial area V3 Third spatial area
h1 first height
R1 1st path R2 2nd path R3 3rd path
X detection area S1 1 fall area S2 second fall area S3 3rd drop area
C control unit (control panel)
800 Steam supply department
810 steam case
811 Case side 8111 Heater insertion hole
812 separating bulkhead
813 Steam discharge pipe
814 recovery pipe
815 water pipe
820 Case Cover 821 Cover Hook
830 Heater fixing part
831 Fixed clip 832 Support clip 833 Clip fastening member
840 heater unit
841 1st heater
842 2nd heater
843 heater sealer
850 water level sensor
851 Sensor body 852 Contact protrusion 853 Sensor fastening member
860 temperature sensor
870 installation bracket
871 Bottom panel 872 Side panel 873 Fixing clip
880 steam pump
890 water pipe
900 Steam outlet
910 supply container
911 container side
912 Floor 1 9121 Building 1 9122 Building 2
913 2nd floor 9131 3rd pipe 9132 Shielded pipe 9133 Open side
920 container cover
921 Fixing protrusion 922 Moisture separation plate 923 Steam spray hole 924 Fastening hook

Claims (34)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
상기 이너케이스 바닥면 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로 열풍과 스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이너케이스, 상기 도어, 상기 기계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로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이너케이스, 상기 도어, 상기 기계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행어부에서 낙하된 상기 의류가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적어도 일부 차단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와 상기 센서부는 상기 행어부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having an opening at the front;
an inner cas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to accommodate clothing;
a door coupled to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 hanger portion provided at the top of the inner case to hold the clothing;
a machine room provided below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to supply at least one of hot air and steam into the inner case;
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in any one of the inner case, the door, and the machine room, and emitting light into the inner case;
It includes a sensor unit provided in any one of the inner case, the door, and the machine room, and detecting that the clothing dropped from the hanger blocks at least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are disposed lower than the hange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센서부는 상기 행어부 보다 상기 이너케이스 바닥면에 더 가까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laundry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are disposed close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than the hanger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바닥면을 기준으로 너비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are arranged in a width direction or a front-back direction ba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센서부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ensor unit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inner cas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is disposed ahead of the sensor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센서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ensor un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ner cas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is disposed on a side of the sensor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계실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is disposed inside the machine roo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센서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기계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센서부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도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is disposed inside the machine room,
The other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is disposed in the inner case or the do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이너케이스의 바닥면과 연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바디와, 상기 유입바디에서 유입된 상기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열풍을 생성하는 열교환부가 설치되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와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를 연통하고 상기 유입바디 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배출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유입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In clause 7,
The machine room is
An inlet body that communicates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through which air flows in, a circulation duct installed with a heat exchanger that heats the air flowing in from the inlet body to generate the hot air, and the inside of the circulation duct and the inner case. It further includes an discharge duct that communicates and is disposed rearward than the inlet body,
The light emitting unit is provided in the inlet body,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uni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inner cas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후면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유입바디는 상기 이너케이스 바닥면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유입바디 내부에서 상기 센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sensor unit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ar of the inner case,
The inflow body is disposed to be biased to one sid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or unit within the inlet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 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센서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8,
A clothing treatmen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reflecting unit disposed above the light emitting unit to guid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to the sensor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유입바디에 장착되는 바디필터와,
상기 바디필터 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필터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필터덮개와 상기 바디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machine room is
A body filter mounted on the inlet body,
Further comprising a filter cover disposed above the body filter,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reflector is disposed between the filter cover and the body filt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필터덮개의 양측에 배치되는 양측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lection unit includes two-side reflecto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cov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발광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필터덮개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된 중앙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중앙반사판은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반사판은 상기 빛을 상기 센서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The reflector includes a central reflecto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ilter cover in the width direction to face the light emitter,
The light emitting unit, the sensor unit, and the central reflector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The central reflector is provided to guide the light to the sensor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바닥면 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are dispos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센서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4,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측면 중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4,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part is provided on one of the sides of the inner case, and the sensor par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facing the one sid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일면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타면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6,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one side, and the sensor unit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other sid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센서부는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7,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and is arrang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8,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at least one sensor unit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도어의 내면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4,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sensor unit is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후면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도어 내면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20,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ck of the inner case, and the sensor unit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
상기 이너케이스 바닥면 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로 열풍과 스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이너케이스, 상기 도어, 상기 기계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로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감지하는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의 양에 따라 상기 의류의 낙하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행어부 보다 상기 이너케이스 바닥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의류가 낙하하지 않았을 때 제1값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1값보다 작은 값을 감지하면 상기 의류가 낙하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having an opening at the front;
an inner cas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to accommodate clothing;
a door coupled to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 hanger portion provided at the top of the inner case to hold the clothing;
a machine room provided below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to supply at least one of hot air and steam into the inner case;
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in any one of the inner case, the door, and the machine room, and emitting light into the inner case;
A sensor unit provided on either the inner case or the door and configured to det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re the clothing has fallen based on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The sensor unit is disposed closer to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than the hanger unit,
The sensor unit detects a first value when the clothing does not fall,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clothing has fallen when the sensor unit detects a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valu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행어부 보다 상기 센서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22,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is disposed closer to the sensor unit than to the hanger unit.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센서부 보다 상기 도어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23,
The sensor unit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inner cas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is disposed closer to the door than the sensor unit.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
상기 이너케이스 바닥면 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로 열풍과 스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이너케이스, 상기 도어, 상기 기계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로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가 차단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의류의 낙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적어도 2개 이상의 방향으로 분산시켜 상기 센서부가 상기 바닥면으로 낙하한 의류가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having an opening at the front;
an inner cas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to accommodate clothing;
a door coupled to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 hanger portion provided at the top of the inner case to hold the clothing;
a machine room provided below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to supply at least one of hot air and steam into the inner case;
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in any one of the inner case, the door, and the machine room, and emitting light into the inner case;
A sensor unit provided on either the inner case or the door, and detecting the fall of the clothing by block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is dispers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so that the sensor unit detects that clothing that has fallen to the floor block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flection unit. Clothing processing device.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에서 상기 센서부와 상기 발광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25,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lection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sensor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on both sides of the sensor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센서부 보다 상기 발광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26,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reflecting unit is disposed clos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than the sensor unit.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너비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26,
The reflector
The sensor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are arranged in a front-back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reflection unit i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based on the floor surface.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부는 상기 센서부와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28,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plurality of reflection units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the sensor unit.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부는 상기 센서부 및 발광부와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28,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plurality of reflection units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the sensor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
상기 행어부에 구비되어 상기 행어부를 진동시키는 가진부;
상기 이너케이스 바닥면 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로 열풍과 스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이너케이스, 상기 도어, 상기 기계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로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이너케이스, 상기 도어, 상기 기계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행어부가 진동될 때 상기 행어부에서 낙하된 상기 의류가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적어도 일부 차단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와 상기 센서부는 상기 행어부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having an opening at the front;
an inner cas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to accommodate clothing;
a door coupled to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 hanger portion provided at the top of the inner case to hold the clothing;
An excitation unit provided in the hanger unit to vibrate the hanger unit;
a machine room provided below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to supply at least one of hot air and steam into the inner case;
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in any one of the inner case, the door, and the machine room, and emitting light into the inner case;
a sensor unit provided in any one of the inner case, the door, and the machine room, and detecting that the clothing dropped from the hanger blocks at least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when the hanger unit vibrates; Includ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are disposed lower than the hanger unit.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이너케이스의 바닥면과 연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바디와, 상기 유입바디에서 유입된 상기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열풍을 생성하는 열교환부가 설치되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와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를 연통하고 상기 유입바디 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배출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유입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31,
The machine room is
An inlet body that communicates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through which air flows in, a circulation duct installed with a heat exchanger that heats the air flowing in from the inlet body to generate the hot air, and the inside of the circulation duct and the inner case. It further includes an discharge duct that communicates and is disposed rearward than the inlet body,
The light emitting unit is provided in the inlet body,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uni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inner case.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유입바디에 장착되는 바디필터와,
상기 바디필터 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필터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 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센서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필터덮개의 양측에 배치되는 양측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32,
The machine room is
A body filter mounted on the inlet body,
It includes a filter cover disposed above the body filter,
It further includes a reflection unit disposed above the light emitting unit and provided to gui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to the sensor unit,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lection unit includes two-side reflecto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cover.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옷걸이,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옷걸이를 흔들도록 구비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옷걸이를 흔드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행어부;
상기 이너케이스 바닥면 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로 열풍과 스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이너케이스, 상기 도어, 상기 기계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로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이너케이스, 상기 도어, 상기 기계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행어부에서 낙하된 상기 의류가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적어도 일부 차단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와 상기 센서부는 상기 행어부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having an opening at the front;
an inner cas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to accommodate clothing;
a door coupled to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 row including at least one hanger for holding the clothes, a power transmission unit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the inner case and provided to shake the hanger, and a drive unit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o provide power to shake the hanger. fisherman;
a machine room provided below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to supply at least one of hot air and steam into the inner case;
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in any one of the inner case, the door, and the machine room, and emitting light into the inner case;
It includes a sensor unit provided in any one of the inner case, the door, and the machine room, and detecting that the clothing dropped from the hanger blocks at least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are disposed lower than the hanger unit.
KR1020230033147A 2022-06-20 2023-03-14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1741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8193 WO2023249313A1 (en) 2022-06-20 2023-06-14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188 2022-06-20
KR20220075188 2022-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144A true KR20230174144A (en) 2023-12-27

Family

ID=8937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147A KR20230174144A (en) 2022-06-20 2023-03-14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74144A (en)
WO (1) WO2023249313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594B1 (en) * 2008-08-20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606117B1 (en) * 2016-06-03 2023-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2207248B1 (en) * 2017-11-30 2021-01-25 (주)솔루션뱅크 Locker using states confirmating device
KR102627707B1 (en) * 2018-11-30 202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44874B1 (en) * 2020-02-28 2021-12-29 장경숙 Appratus for dry of clothing using LED light sou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9313A1 (en)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559E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7707858B2 (en) Washing machine and lint removing apparatus thereof
US10041203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heat pump
KR101597106B1 (en)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KR102627704B1 (en) Clothes Care Device
KR20220043099A (en) Shoe care apparatus
KR20120102428A (en) Drying wardrobe
US11459697B2 (en) Clothes care apparatus
CN116065371A (en) Clothes hanger and clothes processing device with same
KR20090105085A (en) Cloth treating apparatus
US10138586B2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20230174144A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174148A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174145A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174146A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174147A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20138194A (en)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USRE49131E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20240003157A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0878469A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240003156A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116721A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116625A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230116624A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486346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