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089A -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ecommending content title and thumbnail - Google Patents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ecommending content title and thumbn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089A
KR20230174089A KR1020220075154A KR20220075154A KR20230174089A KR 20230174089 A KR20230174089 A KR 20230174089A KR 1020220075154 A KR1020220075154 A KR 1020220075154A KR 20220075154 A KR20220075154 A KR 20220075154A KR 20230174089 A KR20230174089 A KR 20230174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hannel
user
provision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1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현승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타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타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타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220075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089A/en
Publication of KR20230174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089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추천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게시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제 1 조건에 부합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채널 판독부, 및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시청 성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제시된 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한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2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제목 및 썸네일 추천부를 포함한다.The recommendation server is a channel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from the user terminal, analyzes content posted on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and extracts a first conten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that meets the first condition. a reader, and a plurality of contents including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for growing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among the content presented in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based on the user's viewing tendency of the content provision channel. 2 Includes title and thumbnail recommendations that extract the content list.

Description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추천하는 추천 서버, 추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ECOMMENDING CONTENT TITLE AND THUMBNAIL}Recommendation server, recommend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ecommending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ECOMMENDING CONTENT TITLE AND THUMBNAIL}

본 발명은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해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추천하는 추천 서버, 추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mmendation server, recommend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at recommend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to grow a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가 생산되고 소비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유튜브'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볼 수 있으며, 컨텐츠 제작자는 컨텐츠의 구독 수에 따른 광고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유튜브' 등과 같이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장은 매년 성장하고 있다.Various types of content are produced and consumed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 (SNS). For example, users can view various types of content through ‘YouTube,’ and content creators can earn advertising revenue based on the number of subscriptions to the content. The market for social network services that provide content, such as 'YouTube', is growing every year.

그러나 컨텐츠 제작자는 급격한 트렌드 변화에 따라 매번 새로운 컨텐츠를 제작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However, content creators are having difficulty producing new content every time due to rapid changes in trends.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해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추천하는 추천 서버, 추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grow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s, we aim to provide a recommendation server, recommend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at recommends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challenges that this embodiment aims to achieve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게시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제 1 조건에 부합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채널 판독부, 및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시청 성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제시된 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한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2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제목 및 썸네일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인 추천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As a means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from a user terminal, analyzes the content posted on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and satisfies the first condition. a channel reading unit for extracting a first conten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matching contents, and growing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among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based on the user's viewing tendency of the content provision channel; A recommendation server that includes a title and thumbnail recommendation unit that extracts a second conten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including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to be recommended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게시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제 1 조건에 부합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시청 성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제시된 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한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2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추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from a user terminal, analyzing content posted on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that satisfies a first condition. Extracting a content list, and a plurality of contents including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for growing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among the content presented in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based on the user's viewing tendency of the content provision channe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commendation method that includes the step of extracting a second content list inclu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게시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제 1 조건에 부합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시청 성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제시된 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한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2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xecuted by a computing device, the computer program receive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from the user terminal, analyzes the content posted on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and satisfies the first condition. A content title for extracting a first conten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matching content, and growing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among the content presented in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based on the viewing tendency of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and a sequence of instructions for extracting a second conten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including thumbnails.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are merely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시청 성향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According to one of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help grow a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by recommending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based on the user's viewing tendency of the content provision chann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채널 등록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회수 예측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렌드 분석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서버에서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해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추천하는 추천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commend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extracting a first content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channel registra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view count predic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rend analysis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lowchart of a recommendation method in which a recommendation server recommends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to grow a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In this specification, 'par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Additionally,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pieces of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using one piece of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or device may instead be performed o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on a terminal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및 추천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 및 추천 서버(200)는 추천 시스템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1, a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00 and a recommendation server 200. The user terminal 100 and recommendation server 200 shown in FIG. 1 exemplarily illustrate components that can be controlled by a recommendation system.

도 1의 추천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Each component of the recommendation system in Figure 1 may generally b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a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that allow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nodes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including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telephone network,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 network, etc.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Fi, Bluetooth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and ultrasound. This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communicat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LiFi, etc.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면, 노트북, 데스크탑 PC뿐만 아니라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 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100)은 앞서 예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The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or desktop PC as well as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 mobile terminal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ot only smartphones, tablet PCs, and wearable devices, but also 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ultrasonic, infrared, and Wi-Fi ( It may include various devices equipped with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WiFi) and LiFi. However, the user terminal 100 is not limited to those illustrated above.

사용자 단말(100)은 추천 서버(200)에 접속하여, 추천 서버(200)가 제공하는 추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컨텐츠 제공 채널을 소유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채널은 예컨대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의 개인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can access the recommendation server 200 and receive a recommend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recommendation server 200. Here, the user may own a content provision channel. Additionally, the content provision channel may mean, for example, a personal channel on a platform such as 'YouTube'.

추천 서버(200)는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해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추천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recommendation server 200 may be a server that recommends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to grow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추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고,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게시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제 1 조건에 부합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The recommendation server 200 receive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alyzes content posted on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and provides first conten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that meets the first condition. You can extract a list.

추천 서버(200)는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시청 성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제시된 컨텐츠 중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한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2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The recommendation server 200 is a second server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content including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for growing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among the content presented in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based on the user's viewing tendency of the content provision channel. A content list can be extra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시청 성향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급성장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help to rapidly grow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by recommending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based on the user's viewing tendency of the content provision channe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서버의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commend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서버(200)는 채널 판독부(210), 제목 및 썸네일 추천부(230), 조회수 예측부(250) 및 트렌드 분석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추천 서버(2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 the recommendation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nnel reading unit 210, a title and thumbnail recommendation unit 230, a view count prediction unit 250, and a trend analysis unit 270. It can be included. However, the recommendation server 200 in FIG. 2 is only one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ased o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도 2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FIG.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채널 판독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고,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게시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제 1 조건에 부합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The channel reading unit 210 receive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alyzes the content posted on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and generates a first message containing a plurality of content that meets the first condition. A content list can be extracted.

여기서 컨텐츠 제공 채널의 정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일 수 있다.Here,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provision channel may be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또한, 제 1 조건은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게시된 컨텐츠 중 평균 조회수보다 높은 조회수를 갖는 조건일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이용하여 채널 판독부(21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Additionally, the first condition may be a condition of having a higher number of views than the average number of views among content posted on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channels. Hereinafter, the channel reading unit 2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FIGS. 3A and 3B.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extracting a first content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조하면, 채널 판독부(210)는 판독 채널 정보 등록/분석화면(310)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이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판독을 위해 판독 채널 정보 등록을 요청하면, 채널 판독부(210)는 판독 채널 정보 등록/분석화면(310)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the channel reading unit 210 may provide a reading channel information registration/analysis screen 310 to the user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quests registration of read channel information to read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channels, the channel reading unit 210 displays the read channel information registration/analysis screen 310 to the user terminal 100. It can be provided as .

채널 판독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채널정보입력 인터페이스(311)에 사용자가 판독하고 싶은 컨텐츠 제공 채널의 URL 주소를 입력하고 채널 등록 인터페이스(313)를 클릭함으로써, 판독할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등록할 수 있다.The channel reading unit 210 may receiv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channels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at is, the user inputs the URL address of the content providing channel that the user wants to read into the channel information input interface 311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and clicks on the channel registration interface 313 to create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channels to be read. can be registered.

또한, 채널 판독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게시된 컨텐츠의 게시일에 대한 기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 판독부(210)는 시작 날짜와 종료 날짜를 입력받을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hannel reading unit 210 may receive an input period for the posting date of content posted on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channels from the user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channel reading unit 210 may receive input of a start date and an end date.

채널 판독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분석 시작 버튼(315)이 선택되어 채널 분석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기간에 대해 등록된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게시된 컨텐츠를 분석할 수 있다.When the analysis start button 315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a channel analysis request is received, the channel reader 210 can analyze content posted on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channels registered for the corresponding period.

도 3b를 참조하면, 채널 판독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채널 분석 요청을 수신하면,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게시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제 1 조건에 부합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한 후 제 1 컨텐츠 리스트가 포함된 채널 판독 결과화면(320)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when receiving a channel analysis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channel reading unit 210 analyzes the content posted on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channels and provides a plurality of content that meets the first condition. After extracting the first content list, a channel reading result screen 320 including the first content lis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채널 판독 결과화면(320)은 평균 조회수보다 높은 조회수를 갖는 제 1 컨텐츠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 판독부(210)는 제 1 채널에 게시된 모든 컨텐츠에 대한 채널 평균 조회수가 50회인 경우, 제 1 채널에 게시된 모든 컨텐츠 중 조회수가 50회 이상인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The channel read result screen 320 may display a first content list with a higher number of views than the average number of views. For example, if the average number of channel views for all content posted on the first channel is 50, the channel reading unit 210 may output content with more than 50 views among all content posted on the first channel.

또한, 채널 판독부(210)는 추출한 제 1 컨텐츠 리스트를 최신순 또는 인기순으로 정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hannel reading unit 210 may provide an interface that can sort the extracted first content list in latest or most popular order.

다시 도 2로 돌아오면, 제목 및 썸네일 추천부(230)는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시청 성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제시된 컨텐츠 중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한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2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2, the title and thumbnail recommendation unit 230 selects a content title and thumbnail for growing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among the content presented in a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based on the user's viewing tendency of the content provision channel. A second content list containing a plurality of contents may be extracted.

일 실시예에서, 제목 및 썸네일 추천부(2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시청 성향을 분석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제목 및 썸네일 추천부(23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title and thumbnail recommendation unit 23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watches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on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You can analyze your tendencies. Hereinafter, the title and thumbnail recommendation unit 2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채널 등록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channel registra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목 및 썸네일 추천부(230)는 사용자 채널 등록화면(400)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title and thumbnail recommendation unit 230 may provide a user channel registration screen 400 to the user terminal 100 .

제목 및 썸네일 추천부(2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채널정보입력 인터페이스(401)를 통해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대한 정보(예컨대, URL)을 입력받고, 등록 인터페이스(413)가 클릭되면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등록할 수 있다.The title and thumbnail recommendation unit 230 receives information (e.g., URL) about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channel information input interface 401, and when the registration interface 413 is clicked, the user You can register content provision channels.

제목 및 썸네일 추천부(230)는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시청 성향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시청 성향은 성비, 나이대, 노출량, 클릭률 및 시청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시청 성향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다.The title and thumbnail recommendation unit 230 may analyze the viewing tendency of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Here, the user's viewing tendency of the content providing channe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gender ratio, age group, exposure amount, click-through rate, and viewing duration. The user's viewing tendency of the content providing channel may be directly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다시 도 2로 돌아오면, 조회수 예측부(250)는 제 2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컨텐츠 각각의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컨텐츠를 게시할 경우 예상되는 조회수 및 수익을 예측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조회수 예측부(25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Returning to FIG. 2, the number of views prediction unit 250 uses the content title and thumbnai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included in the second content list to predict the number of views and profit expected when posting the content on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It is predictable. Hereinafter, the view count prediction unit 2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회수 예측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view count predic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조회수 예측부(250)는 조회수 예측화면(500)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이 제 2 컨텐츠 리스트에서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컨텐츠를 게시할 경우 예상되는 조회수 및 수익을 포함하는 조회수 예측화면(500)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view count prediction unit 250 may provide a view count prediction screen 500 to the user terminal 100 . Specifically, when the user terminal 100 selects one content from the second content list, the content title and thumbnail of the selected content are used to post the content on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including the expected number of views and profits. The number of views prediction screen 500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여기서, 제 1 영역(501)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선택된 컨텐츠가 플레이어로 구현될 수 있다.Here, in the first area 501, content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player.

또한, 제 2 영역(503)은 선택된 컨텐츠가 게시된 컨텐츠 제공 채널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정보는 채널명, 구독자수, 해당 채널에 게시된 컨텐츠 수, 해당 채널에 게시된 모든 컨텐츠의 누적 조회수, 해당 채널의 오픈일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area 503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content providing channel where the selected content is posted. Here, the channel information may include the channel name, number of subscribers, number of content posted on the channel, cumulative number of views of all content posted on the channel, and open date of the channel.

제 3 영역(505)은 선택된 컨텐츠 의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컨텐츠를 게시할 경우 예상되는 조회수, 컨텐츠 예상 수익 및 내 채널 예상 조회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 area 505 may include the expected number of views, expected content profit, and expected number of views on my channel when posting the content to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using the content title and thumbnail of the selected content.

다시 도 2로 돌아오면, 트렌드 분석부(27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에 관한 복수의 컨텐츠를 제 2 조건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조건은 조회수, 게시자, 게시일 및 게시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트렌드 분석부(27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Returning to FIG. 2 , the trend analysis unit 270 may provide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the keyword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second condition. Here, the second condition may be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views, publisher, posting date, and posting platform. Hereinafter, the trend analysis unit 2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렌드 분석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rend analysis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트렌드 분석부(270)는 트렌드 분석화면(600)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렌드 분석부(27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키워드입력 인터페이스(601)를 통해 키워드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키워드에 관한 복수의 컨텐츠(603)가 포함된 트렌드 분석화면(600)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trend analysis unit 270 may provide a trend analysis screen 600 to the user terminal 100 . Specifically, when the trend analysis unit 270 receives a keywor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keyword input interface 601, it displays a trend analysis screen 600 containing a plurality of contents 603 related to the input keyword. can be provided.

여기서 트렌드 분석부(270)는 조회수, 게시자, 게시일 및 게시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603)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렌드 분석부(2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렌드 분석화면(600)을 통해 '조회수'가 높은 순서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603)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게시 플랫폼은 '유튜브', '네이버' 등 다양한 커뮤니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rend analysis unit 270 may provide a plurality of contents 603 according to at least one condition among the number of views, publisher, posting date, and posting platform. For example, the trend analysis unit 270 may display a plurality of contents 603 in order of highest number of views through the trend analysis screen 600 as shown in FIG. 5 . Additionally, the publishing platform may include various communities such as 'YouTube' and 'Nave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서버에서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해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추천하는 추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추천 서버(200)에서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해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추천하는 추천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추천 서버(200)에서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해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추천하는 추천 방법에도 적용된다.Figure 7 is a flowchart of a recommendation method in which a recommendation server recommends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to grow a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mmendation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to grow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in the recommendation server 200 shown in FIG. 7 includes steps processed in time seri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 to 6. do. Therefore, even if the content is omitted below, it is also applied to the recommendation method in which the recommendation server 200 recommends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to grow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6.

단계 S710에서 추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In step S710, the recommendation server 200 may receiv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from the user terminal 100.

단계 S730에서 추천 서버(200)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게시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제 1 조건에 부합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In step S730, the recommendation server 200 may analyze content posted on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channels and extract a first conten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that meets the first condition.

단계 S750에서 추천 서버(200)는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시청 성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제시된 컨텐츠 중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한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2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In step S750, the recommendation serve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contents including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for growing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among the content presented in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based on the user's viewing tendency of the content provision channel. The second content list can be extracted.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10 내지 S75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710 to S75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some steps may be omitted or the order between steps may be switched as needed.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된 추천 서버(200)에서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해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추천하는 추천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추천 서버(200)에서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해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추천하는 추천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The recommendation method of recommending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to grow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in the recommendation server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is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medium executed by a computer or a computer program executable by a computer. It can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In addition, the recommendation method of recommending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to grow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in the recommendation server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may also be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executed by a computer. It can be implemented.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unitar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사용자 단말
200: 추천 서버
210: 채널 판독부
230: 제목 및 썸네일 추천부
250: 조회수 예측부
270: 트렌드 분석부
100: user terminal
200: Recommended server
210: Channel reading unit
230: Title and thumbnail recommendation section
250: View count prediction unit
270: Trend analysis department

Claims (13)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해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추천하는 추천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게시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제 1 조건에 부합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채널 판독부; 및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시청 성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제시된 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한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2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제목 및 썸네일 추천부
를 포함하는 것인, 추천 서버.
In the recommendation server that recommends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to grow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a channel reading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from a user terminal, analyzes content posted on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and extracts a first conten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that meets a first condition; and
A second conten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including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for growing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among the content presented in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based on the user's viewing tendency of the content provision channel. Extracted title and thumbnail recommendations
A recommended server that inclu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채널의 정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인 것인, 추천 서버.
According to claim 1,
A recommendation server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provision channel is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건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게시된 컨텐츠 중 평균 조회수보다 높은 조회수를 갖는 조건인 것인, 추천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dition is a condition of having a higher number of views than the average number of views among the content posted on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channe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의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컨텐츠를 게시할 경우 예상되는 조회수 및 수익을 예측하는 조회수 예측부
를 포함하는 것인, 추천 서버.
According to claim 1,
A view prediction unit that predicts the expected number of views and profits when posting content on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using the content title and thumbnai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ncluded in the second content list.
A recommended server that inclu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에 관한 복수의 컨텐츠를 제 2 조건에 따라 제공하는 트렌트 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추천 서버.
According to claim 1,
A trend analysis unit that provides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the keyword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condition.
A recommended server that further includ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건은 조회수, 게시자, 게시일 및 게시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추천 서버.
According to claim 5,
A recommendation server wherein the second condition is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views, publisher, posting date, and posting platform.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해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추천하는 추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게시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제 1 조건에 부합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시청 성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제시된 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한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2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추천 방법.
In the recommendation method of recommending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to grow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Receiv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from a user terminal;
extracting a first conten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satisfying a first condition by analyzing content posted on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channels; and
A second conten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including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for growing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among the content presented in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based on the user's viewing tendency of the content provision channel. Extraction steps
A recommended method compris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채널의 정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인 것인, 추천 방법.
According to claim 7,
A recommendation method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provision channel is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건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게시된 컨텐츠 중 평균 조회수보다 높은 조회수를 갖는 조건인 것인, 추천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first condition is a condition of having a higher number of views than the average number of views among the content posted on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channel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의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컨텐츠를 게시할 경우 예상되는 조회수 및 수익을 예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추천 방법.
According to claim 7,
Predicting the expected number of views and profits when posting content on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using the content title and thumbnai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ncluded in the second content list
A recommended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에 관한 복수의 컨텐츠를 제 2 조건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추천 방법.
According to claim 7,
Providing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a keyword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condition
A recommended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건은 조회수, 게시자, 게시일 및 게시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추천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A recommendation method wherein the second condition is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views, publisher, posting date, and posting platform.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해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추천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게시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제 1 조건에 부합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의 시청 성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채널에 제시된 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한 컨텐츠 제목 및 썸네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2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sequence of instructions for recommending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to grow a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comprising:
When the computer program is executed by a computing device,
Receive information on multiple content provision channels from the user terminal,
Analyzing the content posted on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to extract a first conten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that meets the first condition,
A second conten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including content titles and thumbnails for growing the user's content provision channel among the content presented in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sion channels based on the user's viewing tendency of the content provision channel.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 sequence of instructions for extracting.
KR1020220075154A 2022-06-20 2022-06-20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ecommending content title and thumbnail KR202301740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154A KR20230174089A (en) 2022-06-20 2022-06-20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ecommending content title and thumbn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154A KR20230174089A (en) 2022-06-20 2022-06-20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ecommending content title and thumbna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089A true KR20230174089A (en) 2023-12-27

Family

ID=89378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154A KR20230174089A (en) 2022-06-20 2022-06-20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ecommending content title and thumbna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408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609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nalyzing and improving online engagement
US1043052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on of a translatable sentence syntax in a social networking system
US9659103B2 (en) Auto-aligning website elements by grouping elements based on a plurality of contextual indicators
US20150261760A1 (en) Providing recommendations on a social networking system page
Boase Implications of software-based mobile media for social research
US9710436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modified website
US20120324393A1 (en) Network based electronic book usage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115213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video quality based on objectives of video producer
US2015034757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auto-generating video from website elements
CA29893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alls to action for social networking system resources
US20210174234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rediction sets based on a known set of features
US20140229289A1 (en) Enhanced shared screen experiences for concurrent users
US9621678B1 (en) Delivering and displaying content feeds on smartwatch devices
US20140222701A1 (en) System and method of integrating various platfor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anter It’s not all cat videos: Moving beyond legacy media and tackling the challenges of mapping news values on digital native websites
Leong Mobile Myanmar: The development of a mobile app culture in Yangon
Sixto-García et al. Redefining journalism narratives, distribution strategies, and user involvement based on innovation in digital native media
US201700979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categorized content
Gilbert et al. A comparison of news databases’ coverage of digital-native news
US201801504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loading content
US201602773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based on subject subscription
US20140108619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201701859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presentation
KR20230174089A (en)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ecommending content title and thumbnail
AU20144140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selecting, presenting, and executing calls to 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