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077A -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077A
KR20230174077A KR1020220075131A KR20220075131A KR20230174077A KR 20230174077 A KR20230174077 A KR 20230174077A KR 1020220075131 A KR1020220075131 A KR 1020220075131A KR 20220075131 A KR20220075131 A KR 20220075131A KR 20230174077 A KR20230174077 A KR 20230174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ble
virtual currency
donation
listening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성
Original Assignee
이예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성 filed Critical 이예성
Priority to KR1020220075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077A/ko
Publication of KR20230174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성경을 재생하고, 성경이 재생된 시간에 대응하도록 채굴된 가상화폐를 이체받고, 채굴된 가상화폐의 기부처를 지정하여 기부하는 사용자 단말 및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성경을 재생한 시간에 대응하도록 가상화폐가 채굴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 사용자 단말에서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성경을 재생하는 경우, 성경이 재생된 시간에 대응하도록 가상화폐를 채굴하는 채굴부, 채굴된 가상화폐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전달부, 사용자 단말에서 기부한 가상화폐의 수가 많을수록 가상화폐의 채굴률을 증가시키는 채굴률변경부를 포함하는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BIBLE LISTENING BASED VIRTUAL CURRENCY DONATION SERVICE}
본 발명은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성경듣기를 한 시간에 기초하여 채굴된 가상화폐를 기부한 수량이 많을수록 채굴률을 증가시키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최근 목회자, 신학생 및 일반인도 성경책을 가지고 다니기보다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통하여 성경읽기를 한다. 대한성서공회에서 연구성경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한 이래로, 뉴 픽트리성경, 공동체 성경읽기, 바이블25, 성경찬송의 손 안에 성경, 오디오북이 담긴 드라마바이블, 스마트 성경과 찬송 및 갓피플 성경 등 수 많은 기업이나 기관에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성경 콘텐츠를 출시하고 있다. 두꺼운 성경을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되므로 휴대성이 좋고, 직접 읽지 않아도 성우가 낭독하는 성경을 음성으로 청취할 수 있어서 이동하거나 운전중에도 들을 수 있다는 장점으로 점차 종이 성경책을 대체해나가고 있다.
이때, 전자성경을 제공하는 플랫폼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2-0029668호(2012년03월27일 공개) 및 한국등록특허 제10-2179220호(2020년11월16일 공고)에는, 음성발화를 인식하여 성경을 검색한 후 성우가 기 녹음한 성경 콘텐츠를 추출 및 출력하도록 하는 구성과,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어를 입력받고, 사용자 명령어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추출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 및 후자의 경우 음성인식의 주지기술인 공지기술만 개시할 뿐 성경읽기를 도와주는 구성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뛰어남보다 어려운 것이 꾸준함인데 고어가 가득한 성경을 매일 또 꾸준히 읽는 것은 자기통제능력이 뛰어난 자라고 할지라도 쉬운 일이 아니다. 동기유발(Motivation)은 개인의 행동이 실제로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과정인데, 행동의 활성화(Energization of Behavior), 행동의 유도(Channeling of Behavior) 및 동기유발된 행동강화(Reinforcement of Motivated Behavior)의 세 가지 과정이 포함되어야 한다. 즉, 행동이 활성화되고 또 이를 유도와 강화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이에, 성경듣기의 행동을 활성화, 유도 및 강화할 수 있도록 동기유발을 하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성경듣기의 동기유발을 위하여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성경을 청취한 시간에 기반하여 가상화폐를 채굴할 자원을 대여해주거나 채굴한 가상화폐를 제공함으로써, 성경을 많이 들을수록 더 많은 가상화폐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취득한 가상화폐는 기부나 헌금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시 사회에 환원할 수 있는 채널을 마련하며, 기부를 많이할수록 채굴률(Mining Rate)을 증가시킴으로써 더 많은 기부를 할 수 있도록 기부행동을 강화시키고, 피추천인이 유입되어 플랫폼 내에서 구매 및 거래를 하는 경우 추천인인 사용자에게 추천수수료를 제공함으로써 플랫폼에 더 많은 신규 회원을 유치시킬 수 있으며, 성경듣기, 전도, 기부 및 헌금의 행동을 유도 및 선순환을 만들어내는,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성경을 재생하고, 성경이 재생된 시간에 대응하도록 채굴된 가상화폐를 이체받고, 채굴된 가상화폐의 기부처를 지정하여 기부하는 사용자 단말 및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성경을 재생한 시간에 대응하도록 가상화폐가 채굴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 사용자 단말에서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성경을 재생하는 경우, 성경이 재생된 시간에 대응하도록 가상화폐를 채굴하는 채굴부, 채굴된 가상화폐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전달부, 사용자 단말에서 기부한 가상화폐의 수가 많을수록 가상화폐의 채굴률을 증가시키는 채굴률변경부를 포함하는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성경듣기의 동기유발을 위하여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성경을 청취한 시간에 기반하여 가상화폐를 채굴할 자원을 대여해주거나 채굴한 가상화폐를 제공함으로써, 성경을 많이 들을수록 더 많은 가상화폐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취득한 가상화폐는 기부나 헌금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시 사회에 환원할 수 있는 채널을 마련하며, 기부를 많이할수록 채굴률(Mining Rate)을 증가시킴으로써 더 많은 기부를 할 수 있도록 기부행동을 강화시키고, 피추천인이 유입되어 플랫폼 내에서 구매 및 거래를 하는 경우 추천인인 사용자에게 추천수수료를 제공함으로써 플랫폼에 더 많은 신규 회원을 유치시킬 수 있으며, 성경듣기, 전도, 기부 및 헌금의 행동을 유도 및 선순환을 만들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피추천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피추천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피추천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성경을 재생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성경을 재생한다는 의미는, 성경 콘텐츠를 재생한다는 의미이고, 성경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채굴된 가상화폐를 이체받거나 채굴을 위한 자원에 엑세스권을 가지는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기부를 많이할수록 더 높은 채굴률(Mining Rate)을 가지는 단말일 수 있고, 피추천 단말(400)의 구매, 거래, 유입 등에 따라 추천수수료를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부여받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성경듣기한 시간에 기반하여 채굴된 가상화폐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는,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상화폐를 채굴하기 위한 자원을 사용자 단말(100)로 대여하기 위해 자원으로의 엑세스권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상화폐를 이용하여 헌금, 기부, 쇼핑 등을 할 수 있도록 연계하는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상화폐를 채굴한다는 의미는 두 가지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의 비트코인을 채굴하기 위하여 수학문제를 풀기 위해 컴퓨팅 자원, 네트워킹 자원 및 에너지 자원을 투입하는 것이 그 하나이고, 다른 하나는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포인트를 제공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피추천 단말(400)을 추천함으로써 피추천 단말(400)이 가상화폐 거래소, 쇼핑몰, NFT 마켓 등에 유입되거나, 구매를 하거나, 거래를 진행한 경우, 이에 대응하는 수수료를 지급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기부처를 등록하고, 기부를 많이할수록 채굴률을 높게 설정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피추천 단말(400)은,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성경듣기 플랫폼, 가상화폐 거래소, NFT 마켓, 쇼핑몰 등에 유입된 피추천인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피추천인이란, 사용자의 추천을 받은 자로 정의한다. 그리고, 피추천 단말(400)은 피추천인을 추천한 추천인, 즉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피추천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피추천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피추천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설정부(310), 채굴부(320), 전달부(330), 채굴률변경부(340), NFT마켓부(350), 추천유도부(360), 거래소제공부(370), 수수료제공부(380) 및 쇼핑몰연계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추천 단말(400)로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추천 단말(400)은,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추천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설명하기 이전에 가상화폐 중 비트코인의 채굴의 기본개념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된 개념은 도 2를 설명하면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가상화폐 중 비트코인은 중앙 기관이 존재하지 않는 대신 P2P 분산 네트워크 기반 타임스탬프 서버에 의해서 거래가 이뤄지고 공개키 암호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 비트코인의 거래는 블록체인에 의해 이뤄지는데, 블록체인의 안전성은 채굴자(Miner)들의 네트워크에 의해 암호 퍼즐을 푸는 것으로서 성립되어지고 통상적으로 다수의 사람들은 매우 안전하고 분산된 형식이라고 생각해왔다. 채굴자들은 더 많은 채굴 능력(Mining Power)이 있으면 가장 먼저 퍼즐을 풀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갖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 채굴 능력을 모으기 위해 풀(Pool)을 형성하여 더 많은 이익을 추구하고 있다.
<채굴>
가상화폐는 사용자간 거래를 체결하고 새로운 화폐를 발행하기 위해 컴퓨터 자원을 사용한다. 이 과정에서 CPU와 GPU 같은 컴퓨터 자원을 제공하는 사용자는 보상으로 거래 수수료의 일부나 가상화폐를 발급받게 되는데 이를 채굴이라 한다. 예를 들어, 가맹점과 사용자 간 거래(Transaction)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가맹점은 상품을 팔고, 사용자는 화폐, 예를 들어 가상화폐를 지불해야 하는데, 사용자가 가상화폐를 전자지갑(Wallet)에 얼마를 가지고 있으며, 상품을 살 정도의 가상화폐를 가지고 있는지, 또 그 가상화폐는 유효한지 등을 검증한 후, 그 거래, 즉 사용자-가맹점 간 거래를 기록하는 블록(Block)을 생성하여 기존 블록에 체인 형태로 새로운 블록을 연결해야 하고 분산저장해야 한다. 이렇게 블록을 생성하여 거래내용을 기록하는 것에 CPU 및 GPU와 같은 컴퓨터 자원과 전기 에너지가 이용되는데, 이러한 자원을 제공해주는 노드(Node)에게 그 보상으로 가상화폐를 지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채굴은 1 내지 4 세대로 구분해볼 수 있다. 초기 비트코인을 컴퓨터 1대만으로 채굴하던 시기를 1 세대라 한다면, GPU 기반 채굴기로 채굴하는 2세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CPU는 하나의 자원을 가지고 블록을 생성한다면, GPU는 GPU를 이루는 셀이 병렬로 이루어져 병렬 연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 NVIDIA의 GPU의 가격 및 주가가 치솟는 것이다. 그리고 컴퓨팅 자원을 투입해 다량의 가상화폐를 채굴하는 3세대와 GPU와 ASIC 채굴기 등을 이용해 채산성을 경쟁하는 4세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ASIC 채굴기는의 USB 형과, 오른쪽 의 전원공급 장치형의 다양한 모델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ASIC 채굴기로 채굴될 수 있는 대표적인 가상화폐들에는 비트코인(BTC)과 비트코인캐쉬(BCT), 라이트코인(LTC), 모네로(특), 대시(DASH) 등이 있다.
<채굴 시장>
채굴은 누구나 할 수 자유롭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또는 기업들이 가정이나 사무실 등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 가능하다. 그리고 채굴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량의 채굴기 사용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전문 채굴기업들이 등장하게 되었고, 가상화폐는 거래소를 통해 자연스럽게 시장을 형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다량의 채굴업자나 기업들에 의해 시장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이 보유한 화폐는 판매하지 않는 방식으로 시장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있다.
<비트코인>
비트코인의 가치가 증가함에 따라 그 수요도 증가하였는데 비트코인을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가상화폐 거래소 등을 통해 현금으로 비트코인을 구매하는 것과 채굴이라는 과정을 통해 새로이 생산된 비트코인을 얻는 방법이 있다. 비트코인의 신뢰성은 블록체인이라고 불리는 장부에 기반을 둔다. 블록체인의 기본 요소가 되는 블록의 생성에는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채굴을 담당하는 채굴자에게 보상으로 비트코인이 지급된다. 하나의 블록에는 다수의 거래, 즉 트랜잭션이 포함되는데, 비트코인 블록의 첫 번째 거래는 채굴자에게 블록 생성에 대한 보상을 주기 위해 할당된 것이다. 이를 코인베이스 거래라고 한다.
비트코인의 발행 총량은 21,000,000 BTC로 그 수가 정해져 있다. 채굴을 통해 블록이 생성될 때마다 보상으로 새 비트코인이 생성되는데, 이 보상값은 시간에 따라 줄어들도록 만들어져 있다. 이는 발행 총량을 제한하기 위한 방식이다. 2009년에 50 BTC 이었던 채굴 보상은 2012년에 25 BTC가 되었고 2016년에는 12.5 BTC가 되었다. 채굴 보상이 0이 되는 시점은 2140년이다. 채굴 보상이 0이 되더라도 채굴을 통해 비트코인을 얻을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비트코인의 이용자들이 자신의 거래가 블록에 빠르게 포함되도록 하기 위해 채굴자에게 거래마다 수수료를 지급하기 때문이다. 최근 블록 당 수수료는 블록당 보상인 12.5 BTC보다 적은 2.8 BTC 수준이다. 동시기 기준 1 BTC의 가격이 16,103,306원 이기 때문에 블록 하나를 채굴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익은 15.3 BTC, 한화로 약 246,380,581원이 된다.
채굴 보상 반감기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블록 하나를 채굴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실제 수익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반감기로 인해 줄어드는 보상보다 1 BTC의 가격 증가 폭이 크기 때문이다. 1 BTC당 924,000원이던 비트코인 가격은 2022년 4월 15일 기준 41,395.7 USD, 즉 50,675,581.05원에 달하고 있다. 채굴에는 많은 양의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정 수준의 자본 투자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각 컴퓨팅 자원을 제공할 노드를 모아서 풀(Pool)을 생성하거나 컴퓨팅 자원을 구축한 후,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을 진행한 시간에 따라 컴퓨팅 자원을 이용할 권한(Access Right)을 주거나, 또는 이에 대응하여 이미 채굴된 가상화폐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성경듣기를 유도하기로 한다.
상술한 기본개념을 기반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설정부(310)는,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성경을 재생한 시간에 대응하도록 가상화폐가 채굴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성경을 듣지는 않으면서 가상화폐를 얻으려고 하는 어뷰저(Abuser)가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뷰징(Abusing)이란 어떤 부정한 목적, 타인에게 손해를 가하거나 자식의 이익을 위한 목적을 가진 행위를 지칭하는 말인데, 리워드 앱, 특히 애플리케이션에서 어떠한 행위를 요구할 때, 그 행위를 하지 않고도 리워드를 얻어가는 사람을 어뷰저로, 다양한 행위유형은 어뷰징으로 지칭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성경을 매일 듣게 하는 것을 습관화시키기 위한 것인데, 틀어놓았지만 듣지는 않거나 프로그램적으로 자동구동되도록 하여 듣지도 않았는데 가상화폐를 얻어가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설정부(310)는 사용자 단말(100)을 디바이스 핑거프린팅(Device Fingerprinting)으로 식별한 후, 사용자 단말(100)에서 반복적으로 리워드를 획득하기 위해 가짜계정을 생성하거나 리워드를 얻는데 필요한 행위를 매크로봇(MacroBot)을 이용하여 반복하는 경우를 모니터링하여 탐지하고 사용자 계정을 어뷰저로 처리할 수 있다. 만약, 동일한 디바이스가 아니고 대량의 서로 다른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동일 또는 유사 GPS나 WIFI에 물려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함으로써 악의적 사용자로 모니터링 및 추출할 수 있다.
<디바이스 핑거프린팅을 위한 조건>
디바이스의 정보 중 브라우저의 속성이 비교적 일정하게 나타나고 디바이스 식별을 위한 의미있는 값을 분류하기 위하여 핵심적인 컴포넌트를 선정할 수 있고, 이러한 선정조건에는 국내의 인터넷 환경 적용, 구현의 용이성, 디바이스별 공통 식별 값 선정, 안티 핑거프린팅의 회피, 프라이버시 침해 최소화 등의 조건을 통하여 선정할 수 있다. 식별 값의 선정 조건과 디바이스 탐지방안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첫째, 국내의 인터넷 환경이 적용되어야 한다. 국내 사용자의 디바이스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인터넷 환경에 맞는 가중치를 부여할 필요성이 있다. 국내에서 사용하는 디바이스의 경우 Language, TimeZone 등의 정보는 일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방법 중에서 해당 속성 값의 가중치를 낮출 필요가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경우 접속하는 IP에 대한 가중치를 낮추는 등 유동적인 조건 값 변경이 필요할 수 있다. 이는 각 웹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둘째, 구현이 용이해야 할 것이다. 웹 서비스에서 자바스크립트나 플래시, 캔버스 핑거프린팅 등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최소한의 코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접근성과 웹 사이트 접근 시 속도저하 등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실제 방대한 자바스크립트를 구현함으로서 불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게 되거나, 스크립트의 구현에 따른 웹 사이트의 페이지 랜딩속도의 저하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됨에 따라, 이를 최소화하는 구현방법이 필요하다.
셋째, 디바이스 브러우저에 공통된 식별 값을 선정하여야 한다. 사용자 디바이스의 브라우저에는 식별이 가능한 값과 식별할 수 없는 값들이 존재한다. 사용되는 브라우저별로 수집될 수 있는 항목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와 식별이 될 수 있는 값을 선정하되, 모바일 디바이스를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넷째, 안티 핑거프린팅 기술을 회피할 수 있어야 한다. 헤더 값을 숨기는 브라우저, 트래킹을 숨길 수 있는 다양한 툴(Tool)들이 프라이버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토르 네트워크 및 토르 브라우저 등의 이용도 늘고 있는 추세여서 이러한 안티 트래킹 툴이나 프록시 등의 사용으로 디바이스의 속성 값이 지속적으로 변조되는 공격패턴을 감지하고 추가적인 보안절차를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수집되지 못하는 정보에 대해서 새롭게 추적하는 방법을 추가하거나 이를 검증하는 기술을 적용하여 안티 핑거프린팅을 회피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프라이버시 침해를 최소화 하여야 한다.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혹은 디바이스 자체만을 식별하는 것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수집하여야 한다. 수집되는 정보 자체가 개인정보침해의 논란이 될 수 있는 상황이 생길 수 있으므로, 법적인 수집내용의 고지와 함께 수집되는 정보를 해쉬(Hash)화 하여 저장함으로서 기본적인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조치가 있어야 한다.
<최적의 정보 수집 모델>
최적의 정보 수집 모델을 기반으로 실제 웹 서비스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 핑거프린팅을 위한 브라우저 수집 스크립트를 웹 서버에서 동작하게 하고 핑거프린팅 서버를 이용하여 특성 값을 조합하여 디바이스 핑거프린팅 ID를 생성한 후 디바이스 핑거프린팅 ID를 중심으로 행동을 추적하고 의심 디바이스에 대한 태깅(Tagging)이나 차단, 혹은 서비스의 형태에 따라 ARS인증이나 국내 본인인증과 같은 추가적인 인증을 요구하는 방법으로 관리될 수 있다.
<온라인 사기 예방을 위한 디바이스 스코어링>
기업의 웹서비스들은 온라인 사기와 같은 공격방법은 산업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계정을 이용하는 웹 서비스들은 동일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전통적인 방어수단을 강구하는 것은 물론 필요한 사항이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것은 웹 서비스에 미칠 수있는 위험을 인식하고 공격을 방어하는 중요한 기술로 평가될 수 있다. 디바이스 기반의 공격 예방은 온라인 환경에서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사용자에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격자의 디바이스는 하나의 웹 서비스만을 위해 설정되지 않는다. 장치에 대해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보유할수록 위험을 평가하고 공격을 중지하는 것이 더 쉬워진다.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것은 온라인 공격에 대한 첫 번째 방어선이며 위험성이 높은 행동 양식을 식별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디바이스 스코어링 모델>
디바이스 핑거프린팅 ID(이하, 디바이스 ID)를 식별하고 그 행동을 탐지하는 방법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인 쿠키를 이용하여 고유한 ID를 만들어 내고 이에 디바이스 핑거프린팅 ID를 결합한 형태의 식별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사이트에 따라서는 고유한 시리얼 번호나 사용자의 계정 아이디 등 웹 서비스 회사가 보유한 고유한 값들과 결합한다면 더 가치 있는 탐지 방안이 될 수 있다. 이 방법에는 두 개의 고유 키(Key)가 사용된다.
첫 번째로 사용되는 키는 쿠키 기반의 PUID(Product Unique Identifier)이다. 이는 사용자의 웹브라우저가 최초 웹 서비스에 접속시 쿠키를 기반으로 생성하는 값으로 UUID와 같은 개념이다. 이 키는 사용자의 브라우저가 해당 웹 사이트에 접속했는지에 대한 흔적을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사용되는 키는 브라우저의 고유한 값들을 이용해서 생성한 DFID(Device Fingerprint Unique Identifier)이다. 이 키는 최적의 정보 수집 모델의 각 값들을 해쉬화 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HA256으로 해쉬하는 경우에는 64자리의 고유한 키가 만들어 지게 된다. 이러한 키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브라우저 Cookies, Local Storage, HTML5 Web SQL 등 가용한 저장공간에 저장해 놓고 웹 사이트 접근 시 비교하는 프로세스를 적용한다. 이는 각 사이트의 탐지수준 및 정책에 따라 상이한 기준을 적용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이 웹 사이트에 처음 접근하게 되면 디바이스 핑거프린팅 프로세스가 시작되어 사용자 브라우저의 쿠키 값을 기준으로 PUID를 생성하게 된다. 이 PUID와는 별개로 시스템은 사용자의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통하여 DFID를 생성한다. 이 두 개의 키는 사용자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핑거프린팅 시스템 혹은 웹 서비스의 DB에 저장되어 다음비교 시 활용 된다. 사용자의 PUID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DFID가 없는 경우나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새롭게 생성하여 그 변경을 기록하고, 이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태깅이나 차단 등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서비스의 형태에 따라 ARS인증이나 국내 본인인증과 같은 추가적인 인증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다시 한번 더 식별하는 프로세스를 이용하면 효과적일 수 있다. 이 PUID와 DFID 두 개의 키를 이용하여 보안 관리를 위해 이미 사용 중인 디바이스의 접근 IP주소관리 나 로그인하는 계정의 이력관리와 연동하여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와 계정의 연결>
기업 내 웹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해 디바이스와 계정정보를 연결하고 이 연결을 추적하면 함께 작동하는 사이버 공격자를 발견하는 유용한 무기로 만들 수 있다. 조직되고 정교한 해킹단체의 경우 종종 여러 지역에 위치한 서로 다른 유형의 장치를 사용하는데, 동일한 계정에 로그인하면 이러한 연결정보를 추적관리 하면 IP 주소기반으로 탐지하는 현재의 방어방법 보다 훨씬 더 정교한 탐지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동일한 모바일 게이트웨이 IP를 사용하는 경우는 그 활동에 대한 탐지나 차단이 불가능하나, 하나의 디바이스가 여러 계정을 차례로 만들거나 여러 디바이스가 모두 동일한 계정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탐지가 가능하며 이러한 디바이스 및 사용자 계정은 별도의 스코어링 관리를 통하여 위험관리를 할 수 있다.
채굴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성경을 재생하는 경우, 성경이 재생된 시간에 대응하도록 가상화폐를 채굴할 수 있다. 이때, 각 사용자 단말(100)의 컴퓨팅 자원 및 네트워킹 자원은 가상화폐를 채굴하는데 부족하므로, 상술한 기본개념과 같이 이를 채굴할 수 있는 자원에 엑세스할 기회를 주거나, 채굴부(320)에서 기 보유한 컴퓨팅 자원으로 채굴한 가상화폐를 지급해주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기 보유한 컴퓨팅 자원은 클라우드 플랫폼 내 노드를 선정하여 부하를 분산하고 할당하는 방식일 수 있으며, 특히 엣지 클라우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엣지 컴퓨팅 기술은 클라우드 환경을 지리적으로 분산된 각 노드의 엑세스 근처로 배포하여 가상화망 기능 또는 응용 기능들에 대한 저지연 엑세스 및 코어 네트워크로의 트래픽을 분산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분산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채굴을 시작하거나 각 사용자 단말(100)에서 서비스에 대한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일반적인 방식은 물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의 엣지 클라우드 서버로의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달부(330)는, 채굴된 가상화폐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성경을 재생하고, 성경이 재생된 시간에 대응하도록 채굴된 가상화폐를 이체받을 수 있다.
채굴률변경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기부한 가상화폐의 수가 많을수록 가상화폐의 채굴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채굴률(Mining Rate)이란, 채굴 난이도에 기초한 개념일 수 있다. 채굴이란 부분 해시 충돌을 찾는 작업증명(Proof of Work) 과정이며, 먼저 채굴한 채굴자만이 생성된 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할 권한을 가지게 된다. 부분 해시 충돌을 찾기 위한 계산능력을 해시파워(Hash Power) 또는 마이닝 파워(Mining Power)라고 부르는데 채굴에 투입되는 해시파워가 클수록 채굴시간은 빨라지게 된다. 각 코인의 채굴이 시작된 이후 채굴에 투입되는 해시파워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는데, 블록이 생성되는 것은 코인 시스템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각 블록은 다수의 금융거래 정보를 지니게 되며 이 블록이 순조롭게 생성되어야만 코인을 이용한 거래를 완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블록 생성은 채굴 과정을 통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채굴을 위해 투입되는 해시파워는 블록생성 시간에 영향을 주게 된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에서는 10분에 한 개 씩 블록을 생성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해시파워의 변동성에 대처하기 위해 채굴 난이도란 개념을 사용한다. 즉 2016개의 블록 생성 후 평균 블록생성 시간이 10분에 못 미치는 경우 해시파워가 증가할 수 있다고 간주하여 그 비율만큼 채굴 난이도를 높여 채굴 속도를 조절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Meshkov의 채굴난이도 조정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선형 최소제곱법를 응용하여 계산하는 방법인데, 직전의 채굴 난이도들을 이용하여 현재 난이도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블록 생성시간의 안정성과 함께 코인호핑 공격을 약화시킬 수 있다.
NFT마켓부(350)는, 가상화폐를 이용하여 NFT(Non-Fungible Token) 마켓 내 NFT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매하는 거래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추천유도부(360)는, NFT 마켓으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추천한 후, 피추천 단말의 진입으로 NFT가 매매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기 설정된 추천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다. 거래소제공부(370)는, 가상화폐를 명목화폐로 환전하거나, 가상화폐를 매수 또는 매도하는 거래소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수수료제공부(370)는, 거래소 플랫폼으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추천한 후, 피추천 단말의 진입으로 가상화폐가 매매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기 설정된 추천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다. 쇼핑몰연계부(39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이체받은 가상화폐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쇼핑몰에서 결제가 되도록 연계할 수 있다.
상술한 NFT 마켓, 거래소 플랫폼 및 쇼핑몰로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피추천 단말(400)의 피추천인을 유입시키거나 구매, 이용 및 매매를 하게 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는데, 이때, 추천을 누가했는지의 여부는 중요하게 파악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A가 B에게 언급을 했지만 B가 추천은 되지 않았고, 그 후 C가 B에게 추천을 했지만 실패했고, 그 다음 D가 B에게 추천을 했는데 추천이 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는 A, C, D 모두 B가 추천되는데 기여를 한 사람들이다. B가 A의 설득에 바로 플랫폼을 이용하지는 않았지만, A에 의해 어느 정도 오픈마인드가 되어 있었기에 C의 말을 들을 수 있었고 D의 말까지 들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는 최근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제공하는 로그 수집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B가 A, C, D와 이야기 하기 위해서는 오프라인에서 만나거나 또는 온라인에서 이야기를 나누어야 한다. 오프라인에서 만나는 경우 GPS로 두 사람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고, 온라인에서 이야기를 나누는 것에 대해서는 각 단말 간 텍스트, 호(Call) 수발신 등을 파악하여 알 수 있다. 물론, D에게 가장 많은 퍼센테이지가 부여되겠지만, A 및 C에게도 전혀 각자의 추천에 따른 리워드를 인정할 수 있다.
<구글 애널리틱스>
로그분석을 위해 구글 애널리틱스 사이트를 이용하는 이유는 한 번의 로그 수집으로 여러 가지 분석을 제공하는 심화기능 때문이다. 또한 검증된 계산법을 이용한 데이터 확인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는데 브랜드 참여도 퍼센트나 페이지 이탈율, 페이지 참여율, 전환품질인덱스, 사이트 체류시간 및 방문당 페이지 뷰 등 비교적 정확한 값을 확인 가능하다. 구글 애널리틱스의 로그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을 살펴보면 SaaS(Software as a Service) 형태의 페이지 태그 서비스인 페이지 태그 기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태그가 원격에 있는 데이터 수집 서버에 정보를 보내면, 이를 통해 고객 분석 리포트 조회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리포트는 매 시간 생성되며 사용자는 3~4 시간 후라면 신규 데이터 리포트 확인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상화폐 채굴 악성코드인 크립토재킹(Cryptojacking)을 탐지하고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을 더 이용할 수도 있다. 최근 웹 기반 크립토재킹은 피해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만 하여도 피해자의 PC 자원을 사용해 가상화폐를 채굴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채굴 스크립트만 추가하면 되기 때문에 공격이 쉽고 성능 열화와 고장의 원인이 된다. 크립토재킹은 피해자가 피해 상황을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크립토재킹을 효율적으로 탐지하고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크립토재킹의 대표적인 감염 증상과 스크립트를 지표로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크립토재킹을 탐지하는 프레임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립토재킹 탐지 프레임워크에서 행위 기반 동적 분석 기법으로 컴퓨터 성능지표를 학습한 KNN(K-Nearest Neighbors) 모델을 이용할 수 있고, 스크립트 유사도 기반 정적 분석 기법은 악성 스크립트 단어 빈도수를 학습한 K-평균 모델을 크립토재킹 탐지에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데이터 수집 단계에서 프레임워크에 필요한 동적 및 정적 데이터를 수집한다. 동적 분석을 위해서는 크립토재킹 감염 시 나타나는 컴퓨터 성능지표들을 수집할 수 있다. 성능 모니터와 CPU ID HW Monitor Pro를 이용하여 필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Windows의 실시간 시스템 성능을 측정할수 있는 유틸리티인 성능모니터를 사용해 메모리의 Committed Bytes In Use, 프로세스의 ID_Process, PID(Creating Process ID)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하드웨어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HW Monitor Pro를 이용하여 코어 온도, TMPIN의 온도, CPU 이용률을 수집할 수 있다. 정적 분석을 위해서는 정상 데이터로 SRILAB의 자바스크립트 데이터셋을 이용할 수 있다. 해당 데이터셋은 정적 분석 중에서도 악성 문자열이 아닌, 일반 데이터셋으로 이용된다. 본 데이터셋은 프로그래밍을 위한 머신러닝 학습 데이터로 사용되는 자바스크립트 데이터셋이며, 자바스크립트 파일로 구성되어있다. 악성 데이터는 Queen's University Belfast의 크립토재킹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할 수 있다. 해당 자바스크립트 속 내용들은 마이너 스크립트들을 수동 분류한 내용이 포함된다.
동적 분석에서 수집한 각 지표가 서로 어떤 상관 관계를 보여주는지 히트맵(HeatMap)으로 시각적으로 표현해보면, 서로 같은 지표에 대응하는 대각선은 모두 1로 표현된다. 또한,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는 지표일수록 약 0.7에서 약 0.97에 이르는 높은 수치 및 진한 색상으로 나타난다. 히트맵을 통해 열(Column) 간 상관관계를 알 수 있다. 수집한 지표들이 감염과 얼마나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 수 있으며, 상위 지표들 중 일부를 선정하여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특징 추출>
특징 추출 단계에서는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적 및 동적 분석에 용이한 특징을 추출한다. 먼저 정적 분석의 경우 자바스크립트 파일의 소스 코드 내용을 읽어 들여 해당 부분에서 의미있는 단어를 추출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어의 빈도수를 기반으로 의미있는 단어를 선정한다. 예를들면 자바스크립트를 토큰화(Tokenization)한 뒤, TF-IDF(TermFrequency-Inverse DocumentFrequency)를 사용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정상 자바스크립트와 악성 자바스크립트에 모두 등장하는 단어의 가중치는 줄어들고, 악성 자바스크립트에 포함될 가능성이 큰 단어의 가중치는 높아진다. 동적 분석의 경우 수집한 데이터를 검토하여, 그 중 악성코드 노출시 명확한 변화가 보이는 데이터들을 추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특히 크립토재킹 감염 후수치가 높아지는 코어 온도와 CPU 이용률을 학습데이터로 선정할 수 있다. 이렇게 정적, 동적 분석에 대한 특징 추출 과정이 독립적으로 수행되어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는 데 이용된다.
<블랙리스트 필터링>
기 수집된 크립토재킹 URL과 스크립트로 블랙리스트를 작성하여 1차 필터를 거친다. 블랙리스트 필터링은 효율적인 크립토재킹 탐지를 위한 단계이며 머신러닝 기반 탐지 단계 이전에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 기존에 알려진 URL과 스크립트만을 사용하면, 추후 새롭게 탐지되는 생기는 URL 및 스크립트에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머신러닝 기반의 크립토재킹 탐지 모델과 학습 모듈을 사용하여 확장성 및 일반성을 확대할 수 있다.
<크립토재킹 탐지 모델링>
크립토재킹 탐지 모델에서는 수집된 데이터는 동적 분석 및 정적 분석으로 나뉘어각 단계의 특성에 맞게끔 분류한다. 동적 분석에서는 KNN(K-NearestNeighbors) 알고리즘을 사용해 코어 온도, CPU 이용률을 학습한다. 정적 분석에서는 K-평균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자바스크립트를 클러스터링한다. 해당 내용을 전체 통계를 바탕으로 빈도수 기반으로 분석을 하게 된다.
<학습 모듈>
학습 모듈 단계는 새로 들어오는 데이터를 학습하는 단계이다. 선행된 과정이 반복될수록, 더욱 정확한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PC 데이터를 내부에서 축적 및 학습하여 정보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행위 탐지 경고>
크립토재킹으로 인한 이상 행위가 탐지될 경우,사용자에게 경고하는 장치이다.
<크립토재킹 검출 모델>
효율적인 크립토재킹 동적 탐지를 위해 머신러닝 기반의 지도학습 중 분류 방법을 적용하여 데이터의 감염 여부를 분류한다. 지도학습은 정답이 있는 데이터를 학습하며, 분류(Classification)의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분류는 지도학습의 일종으로, 기존에 존재하는 데이터들을 학습하고 일정 카테고리별로 이를 분류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크립토재킹의 감염 여부를 기준으로 삼을 것이기 때문에, 각각 악성과 비악성(정상)이 카테고리에 해당한다. 이 과정에서, KN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결정하는 경우 K 개의 점을 선정해 많이 선택되는 범주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들은 KNN 알고리즘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 기법을 적용하면, 새로운 PID 관련 정보들을 받아왔을 때 인접한 타 PID를 찾아 데이터의 악성 여부를 결정한다. 기존 데이터들은 이미 정상, 악성으로 분류가 되어 있어 분류가 가능해진다. KNN 알고리즘 학습을 기반으로 한 분류를 통해, 위험 PID에 대한 자동화가 가능해진다. 기존의 크립토재킹의 경우, 일일이 CPU 등의장치 성능을 확인해야 하며 사용자가 위험에 노출이되어도 피해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대다수였지만, 머신러닝을 접목한 자동화를 통해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PID 및 자바스크립트들을 빠르게 종료할 수있다.
정적 분석은 자바스크립트 데이터셋을 비지도 학습할 수 있다. 비지도 학습은 입력 데이터의 정답을 알려주지 않고 학습을 진행하여 비슷한 데이터끼리 군집화한다. 크립토재킹 스크립트는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코드가 등장한다. 예를 들어 Miner, Anonymous, Coinhive 등이 있다. 따라서 크립토재킹 스크립트에 자주 등장하는 단어의 빈도를측정하여 악성 스크립트임을 판단할 수 있다. 먼저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과정을 거쳤다. 스크립트를 단어 단위로 토큰화하고, 불필요한 단어들은 제거할 수 있다. TF-IDF를 사용해 단어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단어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정상 스크립트와 악성 스크립트 모두에게 나타나는 단어의 가중치는 작게 설정된다. 정상 스크립트 또는 크립토재킹 스크립트에만 나타나는 단어는 가중치가 높게 설정된다. 물론, 상술한 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악성 크립토재킹을 검출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상화폐를 헌금이나 기부하는 경우, 블록체인 및 오픈뱅킹 API를 이용하여 공개 및 공유하는 방법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최근 핀테크 활성화 방안의 하나로써 오픈뱅킹 API가 공개되었는데, 이를 통해, 거래내역 조회, 잔액 조회, 입금이체 등 서비스 API와 사용자 인증 등의 인증/관리 API를 사용할 수 있어서 기부금 계정의 정보를 확인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오픈뱅킹 API를 통해 기존 기부금 계좌에 일어난 모든 트랜잭션을 수집하고,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스냅샷 형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이후의 모든 트랜잭션의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기부금 계좌의 트랜잭션은 크게 2 가지로 구분한다. 첫째로 외부의 기부자로부터 입금되는 경우로 이때는 기부금액과 온전한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먼저 트랜잭션이 안전하게 기록된 후 오픈뱅킹 API를 통해 실제 계좌에 필요할 때 전달될 수 있도록 중앙관리기관에 예치된다. 두 번째는 기부금을 받은 기관이 기부금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이때, 기관이 실제로 기부금을 사용하기 위해선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실제 현금화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때, 예치된 기부금에 대한 트랜잭션이 발생하므로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즉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에 기록하여 기부금 사용에 대한 고의 누락가능성을 배제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기록되는 수정 불가능한 블록체인 트랜잭션 정보를 통해 기부금 적립및 사용 기록이 신뢰성 있게 유지될 수 있으며, 중간 예치금의 형태로 기부금을 적립함으로써 기부금 총량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퍼블릭 블록체인 구조를 벗어나는 순간부터 중앙관리 주체가 존재하게 되는 한계점이 존재하지만, 공익에 관련된 기부금 관리에 관해선정부 기관 등의 참여로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는 기부금 관리의 신뢰성 훼손에 대응하여 오픈뱅킹 API와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구조를 도입해 기존 기부금 계정을 이용하는 기부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신뢰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인 기부금액 하락으로 인한 구호, 봉사 단체의 의존성 확대 등의 부작용을 막고 기존 시스템 대비 투명하고 신뢰성있는 기부금 관리 및 사용 내역 유지를 통해 국내 기부 문화의 확대에 기여 할 수 있다.
또,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판매자 단말(미도시)에서 쇼핑몰 또는 NFT 마켓에 상품 또는 NFT를 업로드하고, 판매자 단말에서 기부처 및 기부금 퍼센테이지를 지정하며, 판매자 단말에서 매출이 발생한 경우 기부처로 기부금 퍼센테이지에 대응하는 기부금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 쇼핑몰, NFT 마켓(마켓 플레이스) 플랫폼에 기부처 단체들이 등록을 하고, 판매자, 구매자 및 성경듣기로 채굴하는 사용자가 가상화폐를 기부단체를 지정하여 자동으로 기부할 수 있다. 누구나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 쇼핑몰, NFT 마켓(마켓 플레이스)에 기부처로 등록할 수도 있다.
또, 쇼핑몰 또는 NFT 마켓에서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플랫폼 사업자에게 주어지는 중개수수료에 대응하는 가상화폐는 자동으로 소각처리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배포하거나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서버 또는 플랫폼에서 배포되는 것을 확인하고, (b) 사용자 단말(100)에서 재생되는 성경의 시간을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성경을 들은 시간만큼 또는 성경의 재생 양(페이지)에 기초하여 채굴자원, 예를 들어 GTX1660 등과 같은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엑세스권을 부여하거나, 채굴기를 이용하여 채굴된 자원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리워드처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채굴된 가상화폐와 포인트 간의 환율은 기 설정되어 있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1 비트코인이 5 천만원 정도인데 채굴을 1 개 했다고 하여 1 개를 모두 줄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재생을 1 시간 정도 들었다면 100 원 정도의 리워드를 설정했다고 가정하면, 가상화폐는 100원/5천만원 만큼 지급될 수 있다. 또는 자체적인 가상화폐, 즉 포인트나 리워드 등으로 지급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c)와 같이 기부처를 지정하여 성경듣기를 시작할 수도 있고, (d)와 같이 기부를 많이할수록 채굴률을 높게 설정받을 수 있다.
또 도 4의 (a)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에서 추천을 한 경우 피추천인이 NFT 플랫폼, 가상화폐 거래소, 쇼핑몰 등을 이용하면 (b) 이에 따른 수수료를 사용자 단말(100)에서도 받을 수 있으며, (c)와 같이 쇼핑몰 연계를 통하여 가상화폐로 결제를 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성경을 재생한 시간에 대응하도록 가상화폐가 채굴되도록 설정한다(S5100).
그리고,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성경을 재생하는 경우, 성경이 재생된 시간에 대응하도록 가상화폐를 채굴하고(S5200), 채굴된 가상화폐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한다(S5300).
또,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기부한 가상화폐의 수가 많을수록 가상화폐의 채굴률을 증가시킨다(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성경을 재생하고, 상기 성경이 재생된 시간에 대응하도록 채굴된 가상화폐를 이체받고, 채굴된 가상화폐의 기부처를 지정하여 기부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성경을 재생한 시간에 대응하도록 가상화폐가 채굴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성경듣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성경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성경이 재생된 시간에 대응하도록 가상화폐를 채굴하는 채굴부, 채굴된 가상화폐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전달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기부한 가상화폐의 수가 많을수록 상기 가상화폐의 채굴률을 증가시키는 채굴률변경부를 포함하는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가상화폐를 이용하여 NFT(Non-Fungible Token) 마켓 내 상기 NFT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구매하는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NFT마켓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NFT 마켓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추천한 후, 피추천 단말의 진입으로 상기 NFT가 매매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기 설정된 추천수수료를 지급하는 추천유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가상화폐를 명목화폐로 환전하거나, 상기 가상화폐를 매수 또는 매도하는 거래소 플랫폼을 제공하는 거래소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거래소 플랫폼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추천한 후, 피추천 단말의 진입으로 상기 가상화폐가 매매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기 설정된 추천수수료를 지급하는 수수료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이체받은 가상화폐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쇼핑몰에서 결제가 되도록 연계하는 쇼핑몰연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는,
    판매자 단말에서 쇼핑몰 또는 NFT 마켓에 상품 또는 NFT를 업로드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에서 기부처 및 기부금 퍼센테이지를 지정하며, 상기 판매자 단말에서 매출이 발생한 경우 상기 기부처로 상기 기부금 퍼센테이지에 대응하는 기부금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서비스 제공 서버의 플랫폼 사업자에게 주어지는 중개수수료에 대응하는 가상화폐는 자동으로 소각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075131A 2022-06-20 2022-06-20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174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131A KR20230174077A (ko) 2022-06-20 2022-06-20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131A KR20230174077A (ko) 2022-06-20 2022-06-20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077A true KR20230174077A (ko) 2023-12-27

Family

ID=8937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131A KR20230174077A (ko) 2022-06-20 2022-06-20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40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5362B2 (en) Universal model scoring engine
US11900271B2 (en) Self learning data loading optimization for a rule engine
CN111201528B (zh) 整合网络欺诈情报和支付风险决策的系统和方法
Preibusch et al. Shopping for privacy: Purchase details leaked to PayPal
KR102024377B1 (ko) 블록체인 기반 그룹에 부여된 신용평가를 이용한 여신 서비스 제공 방법
CA3073714C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potential fraud activity in a tax return preparation system to trigger an identity verification challenge through the tax return preparation system
KR102157767B1 (ko) 사용자 이력 분석에 기반한 사용자 등급평가 시스템
KR101722017B1 (ko)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p2p 뱅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Pouwelse et al. Laws for creating trust in the blockchain age
US20240095766A1 (en) Merchant Advertisement Informed Item Level Data Predictions
US11227220B2 (en) Automatic discovery of data required by a rule engine
Chan et al. The “SMARTER” framework and real application cases of blockchain
Pranto et al. A blockchain, smart contract and data mining based approach toward the betterment of e-commerce
CA3233934A1 (en) Data compression techniques for machine learning models
KR20230174077A (ko)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Preibusch et al. Purchase details leaked to PayPal
KR102358156B1 (ko) 맞춤형 대출 중개 서비스의 제공 방법
CN113313600B (zh) 消息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存储介质、电子装置
KR102171398B1 (ko) 가상화폐 사용자를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
WO2023204433A1 (ko) 성경듣기 기반 가상화폐 채굴 및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Teichmann et al. How do cybercriminals launder the proceeds of their crimes?
KR102155365B1 (ko) 인메모리 기반의 개인 간 재정 거래 시스템
US12008009B2 (en) Pre-computation and memoization of simulations
US202401852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mutable user data in an non-fungible token (nft)
US20230137497A1 (en) Pre-computation and memoization of sim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