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902A - box with side openings - Google Patents

box with side open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902A
KR20230173902A KR1020220074723A KR20220074723A KR20230173902A KR 20230173902 A KR20230173902 A KR 20230173902A KR 1020220074723 A KR1020220074723 A KR 1020220074723A KR 20220074723 A KR20220074723 A KR 20220074723A KR 20230173902 A KR20230173902 A KR 20230173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main body
side opening
pai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7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세민
Original Assignee
박세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민 filed Critical 박세민
Priority to KR1020220074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3902A/en
Publication of KR20230173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902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3Corner, edge or end pro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loosely interengaged by integral complementary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 개방구를 가지는 상자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소재나 부품 등이 담겨진 상자를 다단 적층하더라도 측면 개방구를 통해 각각의 상자에 담겨진 소재나 부품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다단 적층된 상태의 상자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확인된 소재나 부품을 간편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box having a side op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boxes containing materials or parts are stacked in multiple stages, the materials or parts contained in each box can be easily confirmed through the side opening, and even if the boxes in a multi-stage stack are not separated, the identified materials or parts can be easily checked. Convenience in use has been improved, as parts can be easily removed and used.

Description

측면 개방구를 가지는 상자 {box with side openings}box with side openings}

본 발명은 소재나 부품 등의 제품을 보관하거나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나 부품 등이 담겨진 상자를 다단 적층시, 측면 개방구를 통해 상자에 담겨진 소재나 부품을 확인한 후 소재나 부품을 간편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 개방구를 가지는 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 used to store or transport products such as materials or parts. More specifically, when stacking boxes containing materials or parts in multiple stages, the materials or parts contained in the box can be checked through the side opening. This relates to a box with a side opening that allows materials or parts to be easily removed and used.

일반적으로, 단프라 상자는 물품을 운반하거나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과거에는 종이 골판지로 제작된 종이 상자가 이용되었으나, 이러한 종이 상자는 쉽게 손상되고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근래에는 종이 골판지보다 내구성, 내마멸성 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PP) 플라스틱 골판지로 제작된 상자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상자 본체의 상단에 테두리 바가 조립되고, 테두리 바의 모서리 부분에는 코너 조립구가 끼워진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Generally, danpla boxes are used to transport or store goods. In the past, paper boxes made of paper corrugated cardboard were used, but these paper boxes are easily damaged and cannot be reused, so in recent years, they have become more durable and wear-resistant than paper corrugated cardboard. Boxes made of polypropylene (PP) plastic corrugated cardboard, which has excellent backing, are widely used, and these boxes are assembled with a border bar assembled at the top of the box body and corner assemblies fitted into the corners of the border ba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상자는 상자 본체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자 본체의 측면에 손잡이 구멍만을 형성시키는 관계로, 상자 본체의 내부에 소재나 부품 등이 담겨진 상태에서 다단 적층시, 상자 본체의 내부 내용물을 전혀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box as described above, only a handle hol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ox body with the top of the box body open, so when the box body is stacked in multiple stages with materials or parts contained inside the box body, the inside of the box body i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ntents could not be confirmed at all.

이에 종래에는 상자를 다단 적층시킨 상태에서 필요로 하는 소재나 부품을 찾은 후 꺼내고자 할 때, 최상단에 적층된 상자부터 순차적으로 상자를 내려야만 각각의 소재나 부품을 확인하여 꺼낼 수 있는 불편함이 있었다.Accordingly, in the past, when boxes were stacked in multiple layers and one wanted to find and take out the required material or part, the inconvenience was that the boxes had to be lowered sequentially starting from the box stacked at the top to check and take out each material or part. there was.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4447호(공고일 2002.11.13.)Registered Utility Model Bulletin No. 20-0294447 (announcement date 2002.11.13.) 등록특허공보 제10-0940059호(공고일 2010.02.04.)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940059 (announcement date 2010.02.04.) 등록특허공보 제10-1787722호(공고일 2017.11.15.)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87722 (announcement date 2017.11.1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측면 개방구를 가지는 상자를 구성함으로써, 소재나 부품 등이 담겨진 상자를 다단 적층하더라도 측면 개방구를 통해 각각의 상자에 담겨진 소재나 부품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다단 적층된 상태의 상자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확인된 소재나 부품을 간편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 개방구를 가지는 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ruct a box with a side opening, so that even if boxes containing materials or parts are stacked in multiple stages, the materials or parts contained in each box can be easily checked through the side opening. In addition, the goal is to provide a box with a side opening that allows confirmed materials or parts to be easily removed and used even without separating the multi-stacked boxes.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측면 개방구를 가지는 상자는, 상부가 개구된 것으로 물품이 수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마주하는 제 1 및 제 2 벽면 상단 테두리 라인에 각각 끼움 조립되도록 끼움홈을 가지는 한 쌍의 제 1 보강바; 상기 본체부의 상단 코너 라인에 끼움 조립되도록 끼움홈을 가지며 상기 제 1 보강바의 양단과 연결되는 코너 조립구;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의 마주하는 제 3 및 제 4 벽면에는 각각 다단 적층되는 상기 본체부내 수용되는 물품 확인과 물품을 꺼낼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확장되는 U자형의 측면 개방구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 개방구의 수평 및 수직 테두리 라인과 상기 제 3 및 제 4 벽면의 상단 테두리 라인에는 각각 상기 코너 조립구에 양단이 연결되는 절곡 형태의 제 2 보강바가 끼움 조립되는 것이다.A box having a side opening, which i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with an open upper portion in which an article is accommodated; a pair of first reinforcing bars having fitting grooves to be fitted into upper edge lines of first and second walls facing each other of the main body; a corner assembly having a fitting groove to be fitted into the upper corner line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It includes, but on the third and fourth walls facing the main body, a U-shaped side opening exten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o enable identification of goods accommodated in the multi-stage main body and removal of the goods. A second reinforcing bar in a bent shape, both ends of which are connected to the corner assembly, is fitted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edge lines of the side opening and the upper edge lines of the third and fourth walls,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 2 보강바는, 상기 측면 개방구의 수평 테두리 라인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 1 끼움홈을 가지는 제 1 수평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 3 및 제 4 벽면의 상단 테두리 라인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 2 끼움홈을 가지는 한 쌍의 제 2 수평바; 상기 측면 개방구의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 테두리 라인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 3 끼움홈을 가지는 한 쌍의 수직바; 상기 제 1 수평바의 양단과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수직바의 일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 1 연결구; 및,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수직바의 타단과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 2 수평바의 일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 2 연결구; 를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reinforcement bar includes: a first horizontal bar having a first fitting groove to be fitted into the horizontal edge line of the side opening; a pair of second horizontal bars having second fitting grooves to be fitted into upper edge lines of the third and fourth walls of the main body; a pair of vertical bars having a third fitting groove to fit into a pair of opposing vertical edge lines of the side opening; a pair of first connectors respectively connecting both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bar and one end of the paired vertical bar; And, a pair of second connectors respectivel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vertical bars and one end of the pair of second horizontal bars; It includes.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는, 상기 제 1 수평바의 양단과 상기 수직바의 일단, 그리고 상기 수직바의 타단과 상기 제 2 수평바의 일단이 수용되는 수용홈을 각각 가지는 L자형 구조물인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L-shaped structures each having a receiving groove in which both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bar and one end of the vertical bar, and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bar and on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bar are accommodated. It i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측면 개방구를 가지는 상자를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소재나 부품 등이 담겨진 상자를 다단 적층하더라도 측면 개방구를 통해 각각의 상자에 담겨진 소재나 부품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다단 적층된 상태의 상자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확인된 소재나 부품을 간편하게 꺼내어 사용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box having a side opening, and through this, even if boxes containing materials or parts are stacked in multiple stages, the materials or parts contained in each box can be easily checked through the side opening. Of course, even if you do not separate the multi-stacked boxes, you can expec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such as easily taking out and using the identified materials or part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측면 개방구를 가지는 상자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에 대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측면 개방구로부터 보강바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측면 개방구를 가지는 상자가 다단 적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Figure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ox having a side opening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bar separated from the side op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boxes having side openings stacked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측면 개방구를 가지는 상자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에 대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측면 개방구로부터 제 2 보강바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ox with a side opening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side opening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reinforcement bar separated from the sphere.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개방구를 가지는 상자는, 본체부(10), 제 1 보강바(20), 코너 조립구(30), 측면 개방구(40), 제 1 보강바(50)를 포함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ures 1 to 3 attached, a box having a side op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first reinforcing bar 20, a corner assembly 30, and a side opening. (40), including the first reinforcement bar (50).

상기 본체부(10)는 상부가 개구되면서 물품이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박스 구조물인 것이다.The main body portion 10 is a box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art is opened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goods.

즉, 상기 본체부(10)는 합성수지재의 얇은 판지의 일종인 플라스틱 골판지를 제작한 후 상기 골판지를 제 1 내지 제 4 벽면(d1, d2, d3, d4)과 바닥면(d5)을 절곡한 상태로 구비하면서 상부가 개구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main body 10 is made of plastic corrugated cardboard, a type of thin cardboard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en the corrugated cardboard is bent on the first to fourth wall surfaces (d1, d2, d3, d4) and the bottom surface (d5). It can be manufactured so that the upper part maintains an open shape while being provided with.

여기서, 상기 본체부(10)는 종이 골판지 등을 통해 제작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벽면(d1, d2)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손잡이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main body 10 may be manufactured using cardboard, etc., and handle holes, no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walls d1 and d2.

상기 제 1 보강바(20)는 상기 본체부(10)의 마주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벽면(d1, d2) 상단 테두리 라인(미표시)에 각각 끼움 조립이 가능하도록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끼움홈을 가지는 직선 형태로서 ㄷ자형의 바 구조물인 것이다.The first reinforcement bar 20 has a fitting groov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edge lines (not shown) of the facing first and second walls d1 and d2 of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It is a U-shaped bar structure with a straight line shape.

상기 코너 조립구(3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단 코너 라인(미표시)에 끼움 조립되도록 끼움홈(31)을 가지며 상기 제 1 보강바(20)의 양단과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The corner assembly 30 has a fitting groove 31 to be fitted into the upper corner line (not shown) of the main body 10 and can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reinforcement bar 20.

즉, 상기 본체부(10)의 제 1 및 제 2 벽면(d1, d2)에 상기 제 1 보강바(20)를 끼움 조립한 후, 상기 제 1 보강바(20)의 양끝단을 덮도록 상기 코너 조립구(30)를 상기 본체부(10)의 상단 코너 라인에 끼움 조립하는 것이고, 이에따라 상기 제 1 보강바(20)는 상기 본체부(10)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것이다.That is, after assembling the first reinforcing bar 20 into the first and second walls d1 and d2 of the main body 10, both ends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20 are covered. The corner assembly tool 30 is inserted into the upper corner line of the main body 10, and as a result, the first reinforcement bar 20 does not separate from the main body 10.

여기서, 상기 코너 조립부(30)와 이에 겹쳐지는 상기 제 1 보강바(20)의 양단, 그리고 상기 본체부(1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나사 등의 체결을 통해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corner assembly portion 30, both ends of the first reinforcement bar 20 overlapping with it, and the main body portion 1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can be integrated so as not to be separated through fastening with screws, etc. will be.

상기 측면 개방구(40)는 상기 본체부(10)의 마주하는 제 3 및 제 4 벽면(d3, d4)에 U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부(10)가 다단 적층시 상기 본체부(10)내에 수용되는 물품 확인과 물품을 꺼낼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다.The side opening 40 is formed in a U shape on the opposing third and fourth walls d3 and d4 of the main body 10, and is formed in a U-shape, as shown in the attached FIG. 4. When stacked in multiple stages, it extend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to enable identification and removal of items accommodated within the main body 10.

상기 제 2 보강바(50)는 상기 측면 개방구(40)의 수평 및 수직 테두리 라인(L1, L2)과 상기 제 3 및 제 4 벽면(d3, d4)의 상단 테두리 라인(L3, L4)에 각각 끼움 조립되면서 상기 코너 조립구(30)에 양단이 연결되는 것으로, 이는 제 1 및 제 2 수평바(51, 52)와 수직바(53), 그리고 제 1 및 제 2 연결구(54, 55)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second reinforcing bar 50 is attached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border lines (L1, L2) of the side opening 40 and the upper edge lines (L3, L4) of the third and fourth wall surfaces (d3, d4).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corner assembly 30 when each is fitted and assembled, which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51 and 52, the vertical bar 53,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54 and 55. It includes.

상기 제 1 수평바(51)는 상기 측면 개방구(40)의 수평 테두리 라인(L1)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 1 끼움홈(51a)을 가지는 ㄷ자형의 바 구조물인 것이다.The first horizontal bar 51 is a U-shaped bar structure having a first fitting groove 51a to be fitted into the horizontal border line L1 of the side opening 40.

상기 제 2 수평바(52)는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제 3 및 제 4 벽면(d3, d4)의 상단 테두리 라인(L3, L4)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 2 끼움홈(52a)을 가지는 한 쌍의 구조물로서 이 또한 ㄷ자형의 바 구조물인 것이다.The second horizontal bar 52 has a second fitting groove 52a to be fitted into the upper edge lines L3 and L4 of the third and fourth walls d3 and d4 of the main body 10. As a pair of structures, this is also a U-shaped bar structure.

상기 수직바(53)는 상기 측면 개방구(40)의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 테두리 라인(L2)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 3 끼움홈(53a)을 가지는 ㄷ자형의 바 구조물인 것이다.The vertical bar 53 is a U-shaped bar structure having a third fitting groove 53a to be fitted into a pair of opposing vertical edge lines L2 of the side opening 40.

상기 제 1 연결구(54)는 상기 제 1 수평바(51)의 양단과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수직바(53)의 일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구조물로서, 이는 상기 제 1 수평바(51)의 일단과 상기 수직바(53)의 일단을 수용하는 수용홈(54a)을 가지는 L자형 구조물인 것이다.The first connector 54 is a pair of structure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bar 51 and one end of the paired vertical bar 53, respectively. It is an L-shaped structure having a receiving groove (54a) that accommodates one end of the vertical bar (53) and one end of the vertical bar (53).

상기 제 2 연결구(55)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수직바(53)의 타단과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 2 수평바(53)의 일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구조물로서, 이는 상기 제 1 수평바(51)의 타단과 상기 수직바(53)의 타단을 수용되는 수용홈(55a)을 가지는 L자형 구조물인 것이다.The second connector 55 is a pair of structures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bar 53 and on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bar 53,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horizontal bar 53. It is an L-shaped structure having a receiving groove (55a) that accommodates the other end of the bar 51 and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bar 53.

즉,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54, 55)는 동일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54 and 55 may have the same structure.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바(51, 52)와 상기 수직바(53),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54, 55)의 결합 부위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나사 등이 체결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바(51, 52)와 상기 수직바(53),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54, 55)는 상기 본체부(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화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screws, etc. may be fastened to the join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51 and 52, the vertical bars 53,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54 and 55.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51 and 52, the vertical bar 53,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54 and 55 are integrat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It can be done.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는 상자의 본체부(10)내에 물품을 수용한 상태에서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부(10)가 다단 적층시, 다단 적층된 상기 본체부(10)의 적층 상태를 해제하지 않더라도 상기 본체부(10)내에 수용되는 물품은 사용자가 측면 개방구(40)를 통해 육안 확인이 가능하고, 육안 확인된 물품은 사용자가 손을 투입하여 손쉽게 꺼낼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main body 10 is stacked in multiple stages as shown in FIG. 6 attached while an article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 of the box whose assembly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10 is stacked in multiple stages. Even if the laminated state is not released,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item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side opening 40, and the visually confirmed items can be easily taken out by the user inserting his/her hand. .

이상에서 본 발명의 측면 개방구를 가지는 상자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box having a side op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an illustrative description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본체부 20; 제 1 보강바
30; 코너 조립구 31; 끼움홈
40; 측면 개방구 50; 제 2 보강바
51; 제 1 수평바 51a; 제 1 끼움홈
52; 제 2 수평바 52a; 제 2 끼움홈
53; 수직바 53a; 제 3 끼움홈
54; 제 1 연결구 55; 제 2 연결구
54a, 55a; 수용홈
10; main body 20; 1st reinforcing bar
30; corner assembly 31; Fitting groove
40; side opening 50; 2nd reinforcement bar
51; first horizontal bar 51a; 1st fitting groove
52; second horizontal bar 52a; 2nd fitting groove
53; vertical bar 53a; 3rd fitting groove
54; first connector 55; 2nd connector
54a, 55a; Acceptance home

Claims (3)

상부가 개구된 것으로 물품이 수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마주하는 제 1 및 제 2 벽면 상단 테두리 라인에 각각 끼움 조립되도록 끼움홈을 가지는 한 쌍의 제 1 보강바; 상기 본체부의 상단 코너 라인에 끼움 조립되도록 끼움홈을 가지며 상기 제 1 보강바의 양단과 연결되는 코너 조립구;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의 마주하는 제 3 및 제 4 벽면에는 각각 다단 적층되는 상기 본체부내 수용되는 물품 확인과 물품을 꺼낼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확장되는 U자형의 측면 개방구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 개방구의 수평 및 수직 테두리 라인과 상기 제 3 및 제 4 벽면의 상단 테두리 라인에는 각각 상기 코너 조립구에 양단이 연결되는 절곡 형태의 제 2 보강바가 끼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개방구를 가지는 상자.
A main body portion with an open upper portion to accommodate the article; a pair of first reinforcing bars having fitting grooves to be fitted into upper edge lines of first and second walls facing each other of the main body; a corner assembly having a fitting groove to be fitted into the upper corner line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Including,
A U-shaped side opening exten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is formed on the third and fourth walls facing the main body, respectively, to enable identification and removal of items accommodated in the multi-stage main body,
A side opening,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reinforcing bar in a bent form with both ends connected to the corner assembly is fitted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edge lines of the side opening and the upper border lines of the third and fourth walls, respectively. It's a box.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강바는,
상기 측면 개방구의 수평 테두리 라인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 1 끼움홈을 가지는 제 1 수평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 3 및 제 4 벽면의 상단 테두리 라인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 2 끼움홈을 가지는 한 쌍의 제 2 수평바;
상기 측면 개방구의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 테두리 라인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 3 끼움홈을 가지는 한 쌍의 수직바;
상기 제 1 수평바의 양단과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수직바의 일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 1 연결구; 및,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수직바의 타단과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 2 수평바의 일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 2 연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개방구를 가지는 상자.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reinforcement bar is,
a first horizontal bar having a first fitting groove to be fitted into the horizontal edge line of the side opening;
a pair of second horizontal bars having second fitting grooves to be fitted into upper edge lines of the third and fourth walls of the main body;
a pair of vertical bars having a third fitting groove to fit into a pair of opposing vertical edge lines of the side opening;
a pair of first connectors respectively connecting both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bar and one end of the paired vertical bar; and,
a pair of second connectors respectivel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vertical bars and one end of the pair of second horizontal bars; A box having a side opening, compri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는, 상기 제 1 수평바의 양단과 상기 수직바의 일단, 그리고 상기 수직바의 타단과 상기 제 2 수평바의 일단이 수용되는 수용홈을 각각 가지는 L자형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개방구를 가지는 상자.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L-shaped structures each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both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bar, one end of the vertical bar, and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bar and on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bar. A box having a side opening as a feature.
KR1020220074723A 2022-06-20 2022-06-20 box with side openings KR202301739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723A KR20230173902A (en) 2022-06-20 2022-06-20 box with side open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723A KR20230173902A (en) 2022-06-20 2022-06-20 box with side openin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902A true KR20230173902A (en) 2023-12-27

Family

ID=8937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723A KR20230173902A (en) 2022-06-20 2022-06-20 box with side open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3902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447Y1 (en) 2002-07-25 2002-11-13 황도현 A plastic corrugated cardboard box
KR100940059B1 (en) 2008-01-16 2010-02-04 고광산업 주식회사 Frame member for danpla box
KR101787722B1 (en) 2016-09-26 2017-11-15 박종선 Receive box of Double one touch cli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447Y1 (en) 2002-07-25 2002-11-13 황도현 A plastic corrugated cardboard box
KR100940059B1 (en) 2008-01-16 2010-02-04 고광산업 주식회사 Frame member for danpla box
KR101787722B1 (en) 2016-09-26 2017-11-15 박종선 Receive box of Double one touch cl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3955A (en) Nesting and stacking storage container
EP0277919B1 (en) High capacity collapsible container
KR102184292B1 (en) Bottom structure of the packaging box and packaging box comprising the same
US4318505A (en) Disposable suitcase
KR20230173902A (en) box with side openings
KR100627177B1 (en) Hinge for folding type container and folding type container used the same
KR200360970Y1 (en) A paper drawer of fold type use for toy
KR100823656B1 (en) Box for multi heaping
WO2015079947A1 (en) Tray
KR200447491Y1 (en) The combined shopping and packing box
KR102286540B1 (en) Eco friendly packaging box having a double rocking structure
JPH0516941A (en) Storage container
JPH11105855A (en) Corrugated board box
KR101597738B1 (en) Storage Box
KR20110014300A (en) Integrated paper box
KR200450029Y1 (en) Packing box
KR100569111B1 (en) Packing box which can be used as bag
JP3003363U (en) Container
KR20070106350A (en) Paper box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533161Y2 (en) Storage case
JPH10297630A (en) Folding type housing box
KR200404762Y1 (en) Paper Box
JPS6025380Y2 (en) Goods storage case
JPH07148040A (en) Built-up type drawing box
KR200178624Y1 (en) A small piece storage bo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