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882A - Filter apparatus and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ilter apparatus and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882A
KR20230173882A KR1020220074667A KR20220074667A KR20230173882A KR 20230173882 A KR20230173882 A KR 20230173882A KR 1020220074667 A KR1020220074667 A KR 1020220074667A KR 20220074667 A KR20220074667 A KR 20220074667A KR 20230173882 A KR20230173882 A KR 20230173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erminal
signal source
current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6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남균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4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3882A/en
Publication of KR20230173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882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는: 신호원의 일단 및 부하부의 일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단부를 갖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과 전자기 유도로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원의 타단은 상기 부하부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신호원 및 상기 부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신호원 또는 상기 부하부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il having both end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a signal source and one end of a load, respectively; and a second coil arrang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il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signal sour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oad unit, and the second coil is connected to the signal source and the load unit. It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bu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nsor unit that senses the state of the signal source or the load unit.

Description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제어 시스템{FILTER APPARATUS AND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Filter device and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FILTER APPARATUS AND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동 모드 노이즈를 필터링하면서, 신호원 또는 부하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device and a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filter device that can detect the state of a signal source or load while filtering differential mode noise, and a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조향 시스템은 차량의 운전자가 조향 휠(steering wheel)에 가한 조향력(또는 회전력)을 바탕으로 바퀴의 조향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최근에는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상대적으로 높은 연비를 갖는 전동식 파워 조향(Electric Power Steer; EPS)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조향 모터 제어 신호에 따라 필터링된 전기 에너지를 변환하여 어시스트 조향력를 생성하며, 어시스트 조향력에 기반하여 조향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In general, a steering system may refer to a system that can change the steering angle of a wheel based on the steering force (or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steering wheel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Recently, an electric power steering (EPS) system that uses an electric motor and is more stable and has relatively higher fuel efficiency has been used. For example, a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filtered electrical energy may be converted according to the steering motor control signal to generate assist steering force, and the steering motor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assist steering force.

조향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원 라인을 흐르는 전기 신호에 포함된 전기 노이즈를 저감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조향 시스템은 전원 라인을 흐르는 전류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teering system,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ways to reduce electrical noise contained in electrical signals flowing through power lines. Additionally, the steering system requires research on how to measure the current signal flowing through the power line.

또한, EPS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원 라인의 전류 측정 및 EPS 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한 요구사항이 있다.Additionally, in order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EPS system, there are requirements for measuring current in the power line and determining the status of the EPS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동 모드 노이즈를 필터링하면서, 신호원 또는 부하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filter device that can determine the state of a signal source or load while filtering differential mode noise, and a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는: 신호원의 일단 및 부하부의 일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단부를 포함하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과 전자기 유도로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원의 타단은 상기 부하부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신호원 및 상기 부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신호원 또는 상기 부하부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il including both end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a signal source and one end of a load, respectively; and a second coil arrang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il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signal sour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oad unit, and the second coil is connected to the signal source and the load unit. It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bu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nsor unit that senses the state of the signal source or the load unit.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 장치는 상기 신호원에서 인가되어,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부하부를 통해 흐르는 제1 전류의 노이즈를 필터링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 filter device may be applied from the signal source to filter noise of the first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coil and the load unit.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원으로부터의 제1 전류가 상기 제1 코일을 통해 흐를 때, 상기 제2 코일에 제2 전류가 유도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2 전류를 기초로 상기 신호원 또는 상기 부하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when the first current from the signal source flows through the first coil, a second current is induced in the second coil, and the sensor unit detects the signal source or the The status of the load can be determ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는: 신호원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 부하부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3 단자 및 제4 단자;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3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단부를 포함하는 제1 코일; 상기 제1 코일과 전자기 유도로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신호원 또는 상기 부하부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4 단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단자, 상기 제2 단자, 상기 제3 단자 및 상기 제4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a signal source; a third terminal and a fourth terminal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oad unit; a first coil including both end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respectively; a second coil arrang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il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a sensor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il and sensing the state of the signal source or the load, wherei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fourth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coil is connected to the first coil. It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the third terminal, and the fourth terminal.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 장치는, 상기 신호원에서 인가되어, 상기 제1 단자, 상기 제1 코일, 상기 제3 단자, 상기 부하부, 상기 제4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를 통해 흐르는 제1 전류의 노이즈를 필터링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lter device includes a first signal applied from the signal source and flowing through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coil, the third terminal, the load, the fourth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urrent noise can be filtered.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원으로부터의 제1 전류가 상기 제1 코일을 통해 흐를 때, 상기 제2 코일에 제2 전류가 유도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2 전류를 기초로 상기 신호원 또는 상기 부하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when the first current from the signal source flows through the first coil, a second current is induced in the second coil, and the sensor unit detects the signal source or the The status of the load can be determined.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 장치는, 상기 제2 단자 및 상기 제4 단자를 포함하는 제1 시트; 상기 제1 시트 상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부의 패턴을 포함하는 제2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3 단자를 포함하는 제3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lter device includes: a first sheet including the second terminal and the fourth terminal; a second sheet disposed on the first sheet and including a pattern of the sensor unit; and a third sheet disposed on the second sheet and includ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 장치는,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이 감기는 코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코어에 동일한 방향으로 감길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lter device further includes a core around which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are wound, and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may be wound around the core in the same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제어 시스템은: 신호원; 상기 신호원으로부터의 전기 에너지의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필터 부재; 및 상기 필터링된 전기 에너지를 인가받아 조향 모터를 제어하는 조향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부재는 상기 신호원의 일단 및 상기 조향 모터 구동부의 일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단부를 갖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과 전자기 유도로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원의 타단은 상기 조향 모터 구동부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신호원 및 상기 조향 모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신호원 또는 상기 조향 모터 구동부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필터 부재는, 상기 신호원에서 인가되어,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조향 모터 구동부를 통해 흐르는 제1 전류의 노이즈를 필터링한다.A steer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source; a filter member that filters noise of electrical energy from the signal source; and a steering motor driver that receives the filtered electrical energy and controls a steering motor, wherein the filter member includes: a first coil having both end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ignal source and one end of the steering motor driver, respectively; and a second coil arrang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il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signal sour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teering motor drive unit, and the second coil is connected to the signal source and the steering. It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drive unit, bu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source or a sensor unit that senses the state of the steering motor drive unit, and the filter member is applied from the signal source to the first coil and the steering motor. Noise of the first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river is filtered.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원으로부터의 제1 전류가 상기 제1 코일을 통해 흐를 때, 상기 제2 코일에 제2 전류가 유도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2 전류를 기초로 상기 신호원의 상태 또는 상기 상기 조향 모터 구동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when a first current from the signal source flows through the first coil, a second current is induced in the second coil, and the sensor unit determines the state of the signal source based on the second current. Alternatively, the status of the steering motor driving unit may be determ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제어 시스템은 차동 모드 노이즈를 필터링하면서, 신호원 또는 부하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can determine the state of a signal source or load while filtering differential mode noise.

도 1은 종래의 공통 모드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 7b 및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의 제1 시트, 제2 시트 및 제3 시트를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전압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common mode filter.
Figure 2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eer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7B, and 7C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sheet, a second sheet, and a third sheet, respectively, of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eer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graph showing the voltage waveform of each component of the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Please note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not drawn to scale. The relative dimensions and proportions of parts in the drawing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drawings, and any dimensions are illustrative only and are not limiting. And for identical structures, elements, or parts that appear in two or mor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similar feature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1 구성 요소가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or third component, etc., and similarly, the second or thir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lternately.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represent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diagram are expected. Accordingly,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illustrated area and also includes changes in shape due to manufacturing, for example.

도 1은 종래의 공통 모드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common mode filter.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공통 모드 필터는 신호원(예를 들어, 전원)(미도시)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1 공통모드 코일(Ccom1) 및 제2 공통모드 코일(Ccom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공통모드 코일(Ccom1, Ccom2)은 하나의 코어에 예를 들어 동일한 방향으로 감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공통모드 코일(Ccom1, Ccom2)은 등가적으로 2개의 인덕터부(Lcom1, Lcom2)가 예를 들어 전자기 유도로 결합된 결합 인덕터일 수 있다. 일 예에서, 공통 모드 노이즈(Icom, Icom')는 신호원(미도시)으로부터 제1 및 제2 공통모드 코일(Ccom1, Ccom2)의 각각에 동일한 방향으로 인가되므로, 동일한 방향으로 자속이 강해져서 저항이 커진다. 따라서 공통 모드 노이즈는 공통 모드 필터를 통과하지 못하고 필터링 될 수 있다.The conventional common mode filter shown in Figure 1 includes a first common mode coil (Ccom 1 ) and a second common mode coil (Ccom 2 )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a signal source (e.g., power supply) (not shown). can do. The first and second common mode coils Ccom 1 and Ccom 2 may be wound around one core, for example, in the same direction.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common mode coils Ccom 1 and Ccom 2 may be equivalently coupled inductors in which two inductor units L com1 and L com2 are coupled, for example, through electromagnetic induction. In one example, the common mode noise (I com , I com' ) is applied from a signal source (not shown)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mmon mode coils (Ccom 1 , Ccom 2 ) in the same direction, so As the magnetic flux becomes stronger, resistance increases. Therefore, common mode noise cannot pass through the common mode filter and can be filtered.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공통 모드 필터를 부분적으로 변형하여 노이즈의 필터링, 전원 라인의 전류의 측정, 및 전원부 또는 부하부의 상태 파악을 가능하게 하는 필터 장치를 제공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device is provided that partially modifies the common mode filter as described above to enable filtering of noise, measurement of current in a power line, and identification of the state of the power supply or loa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는 조향 제어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제어 시스템은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전동식 파워 조향(Electric Power Steer; EPS)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는 조향 제어 장치로 인가되는 신호원 또는 전압원의 신호의 노이즈를 필터링할 수 있다.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teering control system. In one embodiment, the steer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utilize an Electric Power Steer (EPS) system that uses an electric motor.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ilter noise in a signal of a signal source or voltage source applied to the steering control device.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는 신호의 노이즈를 필터링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필터 장치가 입력 전원과 전원 변환기(예를 들어, 인버터 등)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입력 전원의 전기 에너지(예를 들어, (교류 및/또는 직류) 전압 및/또는 전류 등)를 필터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 변환기(예를 들어, 인버터 등)로부터 유입되는 스위칭 노이즈를 필터링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devices for filtering signal noise. For example, if the filt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between an input power source and a power converter (e.g., an inverter, etc.), the electrical energy of the input power source (e.g., (alternating current and/or direct current) voltage and/or Current, etc.) can be filtered, as well as switching noise coming from a power converter (e.g., inverter, etc.).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eer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제어 시스템은 신호원(1), 필터 장치(2), 및 부하부(5)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the steer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ignal source 1, a filter device 2, and a load unit 5.

일 실시예에서, 신호원(1)은 배터리 등의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원(1)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입력 신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원(1)은 부하부(5)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ignal source 1 may include a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In one embodiment, the signal source 1 may include an input unit that can receive a signal input from a user and output a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In one embodiment, the signal source 1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oad unit 5.

일 실시예에서, 부하부(5)는 예를 들어 조향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전기 에너지를 인가받아 조향 모터를 제어하는 조향 모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부(도 2의 5)는 신호원(도 2의 1)으로부터 인가되어 필터링된 전기 에너지(예를 들어, 전류, 전압 등)를 변환하여 어시스트 조향력를 생성하며, 어시스트 조향력에 기반하여 조향 모터(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하부(도 2의 5)는 필터링된 신호를 이용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load 5 may comprise, for example, a steering control device. The steer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for example, a steering motor driver that receives electrical energy to control the steering motor. For example, the load unit (5 in FIG. 2) converts the electrical energy (e.g., current, voltage, etc.) applied and filtered from the signal source (1 in FIG. 2) to generate assist steering force, and based on the assist steering force Thus, the steering motor (not shown) can be controlled.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load unit (5 in FIG. 2) may include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at use the filtered signal.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필터 장치(2)는 필터부(10) 및 센서부(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in one embodiment, the filter device 2 may include a filter unit 10 and a sensor unit 20.

일 실시예에서, 필터부(10)는 신호원(1)과 부하부(5)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필터부(10)는 신호원(1)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코일(L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일(L1)의 일단은 신호원(1)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1 코일(L1)의 타단은 부하부(5)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원(1)의 타단은 부하부(5)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0)는 제1 코일(L1) 외에도 제1 코일(L1)이 감기는 코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기생 커패시터, 저항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lter unit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ignal source 1 and the load unit 5. In one embodiment, the filter unit 10 may include a first coil (L 1 )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ignal source (1). For example, one end of the first coil (L 1 )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ignal source (1),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L 1 )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oad unit (5). In one embodiment, the other end of the signal source 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oad unit 5. 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filter unit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re around which the first coil (L 1 ) is wound in addition to the first coil (L 1 ), and may include parasitic capacitors, resistors, etc. It may also include mor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신호원(1)에서 인가되는 신호, 예를 들어 제1 전류(I1)는 제1 코일(L1) 및 부하부(5)를 거쳐 신호원(1)으로 돌아오는 폐루프를 따라 흐를 수 있다. 제1 전류(I1)의 방향은 도 2의 화살표 방향에 한정되지 않으며,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흐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하부(50)의 타단은 기준 전원(예를 들어, 접지 전원)에 연결될 수 있고, 신호부(1)의 타단도 이 기준 전원에 연결되어 제1 전류(I1)가 흐르는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류(I1)는 신호원(1)의 양단의 전원 라인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다른 차동 모드 전류(Idiff)일 수 있다. 제1 전류(I1)가 흐르는 폐루프의 경로에, 노이즈원(N)이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노이즈원(N)의 위치가 도 2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in one embodiment, a signal applied from the signal source 1, for example, the first current (I 1 ), passes through the first coil (L 1 ) and the load unit 5. It can flow along a closed loop returning to the signal source (1). The direction of the first current (I 1 ) is not limited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2 and may flow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rrow. For example, the other end of the load unit 50 may be connected to a reference power source (for example, a ground power source), and the other end of the signal unit 1 may also be connected to this reference power source so that the first current (I 1 ) flows. A closed loop can be formed. For example, the first current (I 1 ) may be a differential mode current (I diff ) in which currents flowing in power lines at both ends of the signal source 1 have different directions. A noise source (N) may be located in the path of the closed loop through which the first current (I 1 ) flows. However, the location of the noise source 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2.

일 실시예에서, 차동 모드 전류(Idiff)인 제1 전류(I1)가 필터부(10)로 인가되면, 제1 코일(L1)에 의해 차동 모드 노이즈가 필터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류(I1)에 포함된 특정 주파수 영역의 신호가 통과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즉, 필터부(10)는 차동 모드 필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류(I1)는 설명의 편의상 전류라고 설명되었지만, 전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 신호, 전압 등을 포함하는 전기 에너지를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first current (I 1 ), which is the differential mode current (I diff ), is applied to the filter unit 10 , differential mode noise may be filtered by the first coil (L 1 ). For example, a signal in a specific frequency range included in the first current (I 1 ) may be passed or blocked. That is, the filter unit 10 can function as a differential mode filter. Here, the first current (I 1 ) is described as a curr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is not limited to current and may mean electrical energy including an electrical signal, voltage, etc.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필터부(10)의 제1 코일(L1)의 인덕턴스 값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the inductance value of the first coil (L 1 ) of the filter unit 10 can be expressed as follows.

[식 1][Equation 1]

여기서, L은 제1 코일(L1)의 인덕턴스 값, R은 코어(예를 들어, 자로)의 평균 반지름, μ는 코어(예를 들어, 자로)의 투자율, S는 코어의 단면적, N은 제1 코일(L1)의 권수(turn), ι는 코어의 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필터부(10)의 제1 코일(L1)은 인덕턴스 값(L)에 따라 제1 전류(I1)를 필터링할 수 있다.Here, L is the inductance value of the first coil (L 1 ), R is the average radius of the core (e.g., Jaro), μ is the permeability of the core (e.g., Jaro), S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and N is The number of turns of the first coil (L 1 ), ι, refers to the length of the core. Accordingly, the first coil (L 1 ) of the filter unit 10 may filter the first current (I 1 ) according to the inductance value (L).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20)는 제2 코일(L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코일(L2)의 양단은 픽업 센서부(21)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코일(L2)를 통해 흐르는 제2 전류(L2)는 제2 코일(L2) 및 픽업 센서부(21)를 거치는 폐루프를 따라 흐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코일(L2)은 신호원(1) 및 부하부(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20 may include a second coil (L 2 ). In one embodiment, both ends of the second coil (L 2 ) may be connected to the pickup sensor unit 21.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urrent (L 2 ) flowing through the second coil (L 2 ) may flow along a closed loop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il (L 2 ) and the pickup sensor unit 21.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il L2 may no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source 1 and the load 5.

일 실시예에서, 픽업 센서부(21)는, 제2 전류(L2)에 유도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신호원(1) 및 부하부(5)의 상태(예를 들어, 전류/전압값 또는 on/off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 전원,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 칩, 회로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센서부(20)는, 센서부(20)를 구동하는 센서 제어부, 신호원(1) 또는 부하부(5)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알람부, 신호원(1) 또는 부하부(5)의 상태를 사용자 또는 부하부(5)로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 신호원(1) 또는 부하부(5)의 상태를 기초로 부하부(5)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부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0)는 부하부(5)가 턴온 상태인지 턴오프 상태인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고, 신호원(1) 또는 부하부(5)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부하부(5)를 멈추는 제어 신호를 부하부(5)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0)의 센서 제어부는 부하부(5)의 조향 모터 구동부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ickup sensor unit 21 determines the status of the signal source 1 and the load unit 5 (e.g., current/voltage value or It may include separate devices, power sources, resistors, inductors, capacitors, integrated circuit (IC) chips, circuit networks, etc. to determine on/off status). In one embodiment, although not shown, the sensor unit 20 includes a sensor control unit that drives the sensor unit 20, a display unit that informs the user of the status of the signal source 1 or the load unit 5, or Alarm unit, signal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status of the signal source (1) or load unit (5) to the user or load unit (5), load unit ( 5) may further include a load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example, the sensor unit 20 can inform the user whether the load unit 5 is turned on or turned off, and when overcurrent flows in the signal source 1 or the load unit 5, the load unit ( A control signal to stop 5) can also be transmitted to the load unit (5). For example, the sensor control unit of the sensor unit 20 ma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the steering motor driving unit of the load unit 5.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코일(L1, L2)은 하나의 코어(미도시)에 예를 들어 동일한 방향으로 감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코일(L1, L2)은 하나의 코어에 상이한 방향으로 감길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코일(L1, L2)은 각각 등가적으로 인덕터부이며, 제1 및 제2 코일(L1, L2)은 2개의 인덕터부가 결합된 결합 인덕터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코일(L1, L2)은 전자기 유도로 연결된 임의의 결합 인덕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코일(L1, L2)은 복수의 단자 시트를 감싸는 코일이거나, 인덕터 패턴을 포함하는 복수의 시트 적층체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coils L 1 and L 2 may be wound around one core (not shown), for example, in the same dir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and second coils L 1 and L 2 may be wound around one core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coils L 1 and L2 may each be equivalently inductor units, and the first and second coils L 1 and L2 may be a combined inductor in which two inductor units are combined.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and second coils L 1 and L 2 may be any combination inductor connecte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coils L 1 and L 2 may be coils surrounding a plurality of terminal sheets, or may be a plurality of sheet stacks including an inductor pattern.

이와 같이 제1 코일(L1) 및 제2 코일(L2)이 전자기 유도로 연결됨에 따라, 제1 코일(L1)에 제1 전류(I1)가 흐르는 경우, 제2 코일(L2)에 제2 전류(I2)가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코일(L2)에는 제1 코일(L1)과의 상호 인덕턴스 성분 값에 따라 유도되는 제2 전류(I2)가 흐를 수 있다. 픽업 센서부(21)는 이와 같은 제2 전류(I2)를 기초로, 신호원(1)의 전류/전압, 제1 전류(I1)의 전류/전압, 부하부(5)의 전류/전압, 신호원(1) 또는 부하부(5)의 상태(예를 들어, 신호원(1) 또는 부하부(5)가 온/오프 상태인지 여부)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0)는 제2 코일(L2)을 마그네틱 픽업 방식을 이용한 픽업 코일로 이용하여 자기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원(1), 제1 전류(I1), 및 부하부(5)의 전류/전압과 신호원(1) 및 부하부(5)의 상태 등을 기초로, 부하부(5)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0)는, 신호원(1)이 인가하는 전류/전압을 기초로 신호원(1)이 인가하는 신호의 크기를 파악하고, 부하부(5)가 포함하는 조향 모터 구동부의 on/off 여부를 파악하고, 신호원(1) 또는 부하부(5)의 누설 전류 등의 이상 전류를 감지하는 등 다양한 센싱 작업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효율적으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As the first coil (L 1 ) and the second coil (L 2 ) are connected through electromagnetic induction, when the first current (I 1 ) flows in the first coil (L 1 ), the second coil (L 2 ) A second current (I 2 ) may be induced. For example, a second current (I 2 ) induced according to a mutual inductance component value with the first coil (L 1 ) may flow in the second coil (L 2 ). Based on this second current (I 2 ), the pickup sensor unit 21 detects the current/voltage of the signal source 1, the current/voltage of the first current (I 1 ), and the current/voltage of the load unit 5. The voltage, the state of the signal source 1 or the load 5 (for example, whether the signal source 1 or the load 5 is in an on/off state), etc. can be measured. For example, the sensor unit 20 may convert a magnetic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by using the second coil (L 2 ) as a pickup coil using a magnetic pickup method.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voltage of the signal source 1, the first current (I 1 ), and the load unit 5, the states of the signal source 1 and the load unit 5, etc. Based on this, the load unit 5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For example, the sensor unit 20 determines the size of the signal applied by the signal source 1 based on the current/voltage applied by the signal source 1, and the steering motor included in the load unit 5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sensing tasks, such as determining whether the driving unit is on/off and detecting abnormal currents such as leakage current of the signal source (1) or load unit (5), and thereby perform efficient control.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공통 모드 필터를 이용하여, 차동 모드 노이즈를 필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호원 및 부하부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넓은 면적 및 고비용을 필요로 하는 별도의 소자(예를 들어, 션트, 홀 센서 등)을 추가하지 않고, 저항, 커패시터 등만 이용하여 센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differential mode noise be filtered using an existing common mode filter, but also a separate separate device that requires a large area and high cos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status of the signal source and load. The sensor function can be performed using only resistors and capacitors without adding additional elements (e.g., shunts, Hall sensors, etc.),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more stable and economica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2)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2)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 7b 및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2)의 제1 시트(210), 제2 시트(220) 및 제3 시트(230)를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ilter devic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ilter devic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7B, and 7C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first sheet 210, the second sheet 220, and the third sheet 230, respectively, of the filter devic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서, 필터 장치(2)는 예를 들어 복수의 절연성 시트 상에 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적층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필터 장치(2)는 제1 단자(231), 제2 단자(232), 제3 단자(233), 제4 단자(234), 및 제1 단자(231)와 제3 단자(233)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코일(L1), 제1 코일(L1)과 전자기 유도로 연결된 제2 코일(L2), 및 제2 코일(L2)의 양단에 연결된 픽업 센서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코일(L2)은 제1 단자(231), 제2 단자(232), 제3 단자(233) 및 제4 단자(2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제2 단자(232) 및 제4 단자(234)는 서로 연결되어 쇼트되며, 예를 들어 제1 도전 패턴(215)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lter device 2 may be, for example, a laminate in which a conductive pattern is formed on a plurality of insulating sheets. For example, referring to Figure 5, the filter device 2 includes a first terminal 231, a second terminal 232, a third terminal 233, a fourth terminal 234, and a first terminal 231. ) of the first coil (L 1 )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oil (L 1 ) and the third terminal 233, the second coil (L 2 ) connected to the first coil (L 1 ) and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the second coil (L 2 ). It may include a pickup sensor unit 21 connected to both ends.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il (L 2 ) may no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231, the second terminal 232, the third terminal 233, and the fourth terminal 234. At this time, the second terminal 232 and the fourth terminal 23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shorted,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215, for example.

도 6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필터 장치(2)는 제1 시트(210), 제1 시트(210) 상에 배치된 제2 시트(220) 및 제2 시트(220) 상에 배치된 제3 시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시트(210, 220, 230)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절연성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6 to 7C, in one embodiment, the filter device 2 includes a first sheet 210, a second sheet 220 disposed on the first sheet 210, and a second sheet 220. It may include a third sheet 230 disposed on the top. The first to third sheets 210, 220, and 230 may be conventional insulating sheets known in the art.

도 7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트(210)는 신호원(도 2의 1)의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211) 및 제2 단자(212), 그리고 부하부(도 2의 5)의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단자(213) 및 제4 단자(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단자(211) 및 제2 단자(212)는 제1 시트(210)의 일측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3 단자(213) 및 제4 단자(214)는 상기 제1 시트(210)의 일측과 마주하는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단자(211)는 관통홀(Th1)과 접촉하고, 제3 단자(213)는 관통홀(Th3)과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단자(212) 및 제4 단자(214)는 관통홀(Th2, Th4)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도전 패턴(215)은 제2 단자(212) 및 제4 단자(214)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단자(212), 제1 도전 패턴(215) 및 제4 단자(21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시트(210)의 일 영역에는 센서부(도 2의 20)의 단자(217)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in one embodiment, the first sheet 210 has a first terminal 211 and a second terminal 212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ignal source (1 in FIG. 2), respectively, and a load. It may include a third terminal 213 and a fourth terminal 214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unit (5 in FIG. 2), respectively. In one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211 and the second terminal 212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first sheet 210, and the third terminal 213 and the fourth terminal 214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heet 210. 1 They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n one side of the sheet 210 and on the other side facing each other. The first terminal 211 may be in contact with the through hole (Th1), and the third terminal 213 may be in contact with the through hole (Th3).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terminal 212 and the fourth terminal 214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hrough holes Th2 and Th4. In one embodiment,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215 electrically connects the second terminal 212 and the fourth terminal 214 to each other.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terminal 212,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215, and the fourth terminal 214 may be formed as one body. The terminal 217 of the sensor unit (20 in FIG. 2) may be disposed in one area of the first sheet 210.

도 7b를 참조하면, 제2 시트(220)는 신호원(도 2의 1)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221) 및 부하부(도 2의 5)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단자(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221)는 관통홀(Th5)과 접촉하고, 제3 단자(223)는 관통홀(Th7)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시트(220)의 일 영역에는 센서부(도 2의 20)의 센서 패턴(227)이 배치될 수 있다. 센서 패턴(227)이 관통홀들(Th6, Th7)과 각각 연결되도록, 제2 시트(220)는 하나 이상의 제2 도전 패턴(22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 패턴(227)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형성하도록, 제2 시트(22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시트(220)는 복수의 시트에 걸쳐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도전 패턴을 포함하는 센서 패턴(227)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7b, the second sheet 2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221,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ignal source (1 in Figure 2) and one end of the load unit (5 in Figure 2). It may include a third terminal 223. The first terminal 221 may contact the through hole Th5, and the third terminal 223 may contact the through hole Th7. The sensor pattern 227 of the sensor unit (20 in FIG. 2) may be disposed in one area of the second sheet 220. The second sheet 220 may include one or more second conductive patterns 225 so that the sensor pattern 227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s Th6 and Th7, respectively.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sheet 220 may be formed in plural numbers to stably and efficiently form the sensor pattern 227. That is, the second sheet 220 may include a sensor pattern 227 including conductive patterns that are differently formed across a plurality of sheets.

도 7c를 참조하면, 제3 시트(230)는 신호원(도 2의 1)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231) 및 부하부(도 2의 5)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단자(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231)는 관통홀(Th9)과 접촉하고, 제3 단자(233)는 관통홀(Th11)과 접촉할 수 있다. 제3 시트(230)의 일 영역에는 센서부(도 2의 20)의 단자(237)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7c에는 제3 시트(230)가 관통홀(Th10, Th12)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2 단자(232) 및 제4 단자(23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2 단자(232) 및 제4 단자(234)는 설계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7C, the third sheet 2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231,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ignal source (1 in FIG. 2) and one end of the load unit (5 in FIG. 2). It may include a third terminal 233. The first terminal 231 may contact the through hole Th9, and the third terminal 233 may contact the through hole Th11. The terminal 237 of the sensor unit (20 in FIG. 2) may be disposed in one area of the third sheet 230. In one embodiment, the third sheet 230 is shown in FIG. 7C as including a second terminal 232 and a fourth terminal 234 spaced apart from the through holes Th10 and Th12, but the second The terminal 232 and the fourth terminal 234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design.

일 실시예에서, 제1 코일(L1)이 제1 단자(231) 및 제3 단자(2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3 시트(2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일(L1)의 양단은, 제3 시트(230)의 관통홀(Th9, Th11), 제2 시트(220)의 관통홀(Th5, Th7), 및 제1 시트(210)의 관통홀(Th1, Th3)을 통해 제1 내지 제3 시트(210, 220, 230)의 제1 단자(211, 221, 231) 및 제3 단자(213, 223, 233)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코일(L2)의 양단이 관통홀(Th10, Th12)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3 시트(2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코일(L2)의 양단은 제3 시트(230)의 관통홀(Th10, Th12), 제2 시트(220)의 관통홀(Th6, Th8), 및 제2 도전 패턴(225)을 통해 센서 패턴(227)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coil (L 1 ) may be disposed on the third sheet 23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231 and the third terminal 233. For example, both ends of the first coil (L 1 ) have through holes (Th9, Th11) of the third sheet 230, through holes (Th5, Th7) of the second sheet 220, and the first sheet ( 210) ar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s (211, 221, 231) and the third terminals (213, 223, 233) of the first to third sheets (210, 220, 230) through the through holes (Th1, Th3), respectively. You can. In one embodiment, both ends of the second coil L 2 may be disposed on the third sheet 230 so that both end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s Th10 and Th12, respectively. For example, both ends of the second coil (L 2 ) have through holes (Th10, Th12) of the third sheet 230, through holes (Th6, Th8) of the second sheet 220, and a second conductive pattern (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pattern 227 through 225).

일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단자(211, 221, 231) 및 제2 단자(212, 232)는 신호원(도 2의 1)의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3 단자(213, 223, 243) 및 제4 단자(214, 234)는 부하부(도 2의 5)의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각각의 제1 단자(211, 221, 231), 제2 단자(212, 232), 제3 단자(213, 223, 233) 및 제4 단자(214, 234)는 각각 전기적으로 도통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terminals 211, 221, 231 and the second terminals 212, 23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ignal source (1 in FIG. 2), respectively, and the third terminal ( The fourth terminals 213, 223, and 243) and the fourth terminals 214 and 23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oad unit (5 in FIG. 2), respectively. In one example, each of the first terminals 211, 221, 231, the second terminals 212, 232, the third terminals 213, 223, 233, and the fourth terminals 214, 234 are electrically connected. It can be.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 시트(210, 220, 230)는 복수로 형성되고, 각각의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시트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시트(210, 220, 230)는 각각 복수의 시트를 포함하고, 복수의 시트에 걸쳐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도전 패턴이 각각의 시트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시트(210, 220, 230)는 역순으로 배치되어, 제2 시트(220)가 제3 시트(230) 상에 배치되고, 제1 시트(210)가 제2 시트(220) 상에 배치되고, 제1 코일(L1) 및 제2 코일(L2)이 제1 시트(210)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if necessary, each sheet 210, 220, and 230 is formed in plural, and each component is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implement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n another sheet. The first to third sheets 210, 220, and 230 each include a plurality of sheets, and conductive patterns formed differently across the plurality of sheets may be form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each sheet. In one embodiment, the first to third sheets 210, 220, and 230 are arranged in reverse order, so that the second sheet 220 is placed on the third sheet 230, and the first sheet 210 is placed on the third sheet 230. 2 may be disposed on the sheet 220 , and the first coil (L 1 ) and the second coil (L 2 )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heet 210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2)의 각 구성 요소의 전압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ure 8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eer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graph showing the voltage waveform of each component of the filter devic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회로도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회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본 발명의 조향 제어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복수의 수동 소자, 능동 소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it diagram of FIG. 8 exemplarily show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a steer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steering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assive elements, active elements, etc., as needed.

도 8의 조향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어 신호원(1); 및 필터부(10)와 센서부(20)를 포함하는 필터 장치(2)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향 제어 시스템은 부하부(도 2의 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원(1)은 전압(V1)을 출력하며, 필터부(10)의 제1 코일(L1)에는 입력 전압(Vin)이 인가된다. 센서부(20)의 제2 코일(L2)에는 전압(L2_V)이 인가된다. 센서부(20)는 제2 코일(L2)을 포함하는 픽업 센서부(도 2의 21) 및 픽업 센서부 후단의 적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적분기에서 전압(Vad)이 출력된다. 출력되는 전압(Vad)의 전달함수는 픽업 센서부의 전달함수와 적분기의 전달함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The steering control system of Figure 8 includes, for example, a signal source 1; and a filter device 2 including a filter unit 10 and a sensor unit 20. Although not shown, the steering control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load unit (5 in FIG. 2). For example, the signal source 1 outputs a voltage V1, and the input voltage Vin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L 1 of the filter unit 10. Voltage (L 2 _V) is applied to the second coil (L 2 ) of the sensor unit 20. The sensor unit 20 may include a pickup sensor unit (21 in FIG. 2) including a second coil (L 2 ) and an integrator at a rear end of the pickup sensor unit. Voltage (Vad) is output from the integrator. The transfer function of the output voltage (Vad) can be expressed as the product of the transfer function of the pickup sensor unit and the transfer function of the integrator.

도 9를 참조하면, 신호원(1)에서 제1 코일(L1)에 인가되는 입력 전압(Vin)이 약 -5 V 내지 5 V의 범위이고, 제2 코일(L2)에 인가되는 전압(L2_V)은 약 -3.1 mV 내지 3.1 mV의 범위이고, 센서부(20)가 출력하는 전압(Vad)은 약 -31 mV 내지 31 mV의 범위이다. 도 9의 파형도를 참조하면, 입력 전압(Vin)이 인가됨에 따라 제2 코일(L2)에 인가되는 전압(L2_V) 및 센서부(20)가 출력하는 전압(Vad)은 입력 전압(Vin)의 파형을 따르며, 이로써 입력 전압(Vin)의 전압/전류 및 on/off 상태를 센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ferring to FIG. 9, the input voltage (Vin) applied to the first coil (L 1 ) from the signal source 1 is in the range of about -5 V to 5 V, and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coil (L 2 ) (L2_V) is in the range of about -3.1 mV to 3.1 mV, and the voltage (Vad) output by the sensor unit 20 is in the range of about -31 mV to 31 mV. Referring to the waveform diagram of FIG. 9, as the input voltage (V in ) is applied, the voltage (L2_V) applied to the second coil (L2) and the voltage (Vad) output by the sensor unit 20 are the input voltage (Vin). ),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voltage/current and on/off state of the input voltage (V in ) could be sens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신호원
2: 필터 장치
5: 부하부
10: 필터부
20: 센서부
21: 픽업 센서부
210, 220, 230: 제1, 제2, 제3 시트
211, 221, 231: 제1 단자
212, 232: 제2 단자
213, 223, 233: 제3 단자
214, 234: 제4 단자
1: signal source
2: Filter device
5: subordinate part
10: Filter part
20: sensor unit
21: Pickup sensor unit
210, 220, 230: 1st, 2nd, 3rd sheets
211, 221, 231: 1st terminal
212, 232: second terminal
213, 223, 233: Third terminal
214, 234: 4th terminal

Claims (10)

신호원의 일단 및 부하부의 일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단부를 포함하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과 전자기 유도로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원의 타단은 상기 부하부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신호원 및 상기 부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신호원 또는 상기 부하부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필터 장치.
a first coil including both end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ignal source and one end of the load unit, respectively; and
It includes a second coil arrang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il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The other end of the signal sour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oad unit,
The second coil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source and the load, bu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nsor unit that senses the state of the signal source or the lo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원에서 인가되어,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부하부를 통해 흐르는 제1 전류의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필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filter device for filtering noise of the first current applied from the signal source and flowing through the first coil and the load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원으로부터의 제1 전류가 상기 제1 코일을 통해 흐를 때, 상기 제2 코일에 제2 전류가 유도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2 전류를 기초로 상기 신호원 또는 상기 부하부의 상태를 파악하는 필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a first current from the signal source flows through the first coil, a second current is induced in the second coil,
The sensor unit is a filter device that determines the state of the signal source or the load unit based on the second current.
신호원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
부하부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3 단자 및 제4 단자;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3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단부를 포함하는 제1 코일;
상기 제1 코일과 전자기 유도로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신호원 또는 상기 부하부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4 단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단자, 상기 제2 단자, 상기 제3 단자 및 상기 제4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필터 장치.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ignal source;
a third terminal and a fourth terminal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oad unit;
a first coil including both end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respectively;
a second coil arrang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il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il and includes a sensor unit that senses the state of the signal source or the load unit,
The second terminal and the fourth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econd coil is a filter device that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the third terminal, and the fourth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원에서 인가되어, 상기 제1 단자, 상기 제1 코일, 상기 제3 단자, 상기 부하부, 상기 제4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를 통해 흐르는 제1 전류의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필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A filter device for filtering noise of a first current applied from the signal source and flowing through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coil, the third terminal, the load, the fourth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원으로부터의 제1 전류가 상기 제1 코일을 통해 흐를 때, 상기 제2 코일에 제2 전류가 유도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2 전류를 기초로 상기 신호원 또는 상기 부하부의 상태를 파악하는 필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When a first current from the signal source flows through the first coil, a second current is induced in the second coil,
The sensor unit is a filter device that determines the state of the signal source or the load unit based on the second curr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및 상기 제4 단자를 포함하는 제1 시트;
상기 제1 시트 상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부의 패턴을 포함하는 제2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3 단자를 포함하는 제3 시트를 더 포함하는 필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a first sheet including the second terminal and the fourth terminal;
a second sheet disposed on the first sheet and including a pattern of the sensor unit; and
A filter device disposed on the second sheet and further comprising a third sheet includ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이 감기는 코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코어에 동일한 방향으로 감기는 필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Further comprising a core around which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are wound,
A filter device wherein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are wound around the core in the same direction.
신호원;
상기 신호원으로부터의 전기 에너지의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필터 부재; 및
상기 필터링된 전기 에너지를 인가받아 조향 모터를 제어하는 조향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부재는
상기 신호원의 일단 및 상기 조향 모터 구동부의 일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단부를 갖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과 전자기 유도로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원의 타단은 상기 조향 모터 구동부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신호원 및 상기 조향 모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신호원 또는 상기 조향 모터 구동부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필터 부재는, 상기 신호원,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조향 모터 구동부를 통해 흐르는 제1 전류의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조향 제어 시스템.
signalman;
a filter member that filters noise of electrical energy from the signal source; and
A steering motor driving unit that receives the filtered electrical energy and controls the steering motor,
The filter member is
a first coil having both end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ignal source and one end of the steering motor drive unit, respectively; and
It includes a second coil arrang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il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The other end of the signal sour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teering motor drive unit,
The second coil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source and the steering motor drive unit, bu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nsor unit that senses the state of the signal source or the steering motor drive unit,
The filter member filters noise of the first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ignal source, the first coil, and the steering motor drive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원으로부터의 제1 전류가 상기 제1 코일을 통해 흐를 때, 상기 제2 코일에 제2 전류가 유도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2 전류를 기초로 상기 신호원의 상태 또는 상기 상기 조향 모터 구동부의 상태를 파악하는 조향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When a first current from the signal source flows through the first coil, a second current is induced in the second coil,
A steering control system in which the sensor unit determines the state of the signal source or the state of the steering motor driver based on the second current.
KR1020220074667A 2022-06-20 2022-06-20 Filter apparatus and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3017388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667A KR20230173882A (en) 2022-06-20 2022-06-20 Filter apparatus and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667A KR20230173882A (en) 2022-06-20 2022-06-20 Filter apparatus and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882A true KR20230173882A (en) 2023-12-27

Family

ID=8937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667A KR20230173882A (en) 2022-06-20 2022-06-20 Filter apparatus and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388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9202B2 (en) Reverse winding induction power supply
JP6406245B2 (en) Magnetic sensor
EP2937719A1 (en) Foreign-object detecting device, wireless electric-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wireless electric-power transmission system
EP2610627A1 (en) Current sensor
CN110867296B (en) Inductor device, filter device and steering system
EP3550311B1 (en) Direct-current electricity leakage detection device and electricity leakage detection device
WO2007061832A1 (en) Closed-loop magnetic sensor system
US20100007335A1 (en) Measuring Apparatus
US10388450B2 (en) Inductor module and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ystem
CN107531266B (en) Steering wheel holds detection device
US6429639B1 (en) Combined filter inductor and hall current sensor
EP2797199B1 (en) Power transfer system
JP5067574B2 (en) Current sensor
CN105452879A (en) Apparatus for detecting ac components in a dc circuit and use of the apparatus
EP0818021B1 (en) Inductive joystick and signal processing circuit therefor
CN105264389A (en) Current measurement device and current calculation method
KR20230173882A (en) Filter apparatus and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US7739024B2 (en) Controller for operating at least one fuel injecto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1082537A (en) Foreign matter detection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CN109415084A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CN104604090A (en) Non-contact power supply device
CN113196614A (en) Antenna device and working method thereof
JP6808989B2 (en) Inverter module
KR20180109069A (en) sensor
CN116209907A (en) Current detection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