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486A - 분산된 오피스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된 오피스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486A
KR20230173486A KR1020220074299A KR20220074299A KR20230173486A KR 20230173486 A KR20230173486 A KR 20230173486A KR 1020220074299 A KR1020220074299 A KR 1020220074299A KR 20220074299 A KR20220074299 A KR 20220074299A KR 20230173486 A KR20230173486 A KR 20230173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user
distributed
office
authent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응태
김동희
유재형
김영석
조민희
Original Assignee
알리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리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리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4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3486A/ko
Publication of KR20230173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48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07C1/1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together with the recording, indicating or registering of other data, e.g. of signs of identit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xic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시스템은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스마트 기기내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전용 출입 시스템을 연동하여 해당 기업(기관) 구성원들에게 다양한 분산된 오피스 공간의 출입 권한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를 통해 원격 공간을 포함하는 넓고 다양한 공간의 이용 권한을 온라인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를 통해 하이브리드 워크 기업 구성원들은 상호간 누가 어디서에서 근무중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직원의 상태 정보까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분산된 오피스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DISTRIBUTED OFFICE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개시는 분산된 오피스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분산된 오피스 내 회사 전용임대 공간에 접근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분산된 오피스 접속현황을 갱신하여 분산된 오피스 출입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 출입시스템의 근간은 직원별로 출입증 형태의 IC카드를 발행하고, 개별 출입문별로 등록한 후, 이를 이용하게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다. 최근에는 지문이나 홍채 등의 생체정보도 일부 활용 중이지만, 개인 생체 정보 등록 자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IC 카드에 의한 입출입(또는 출퇴근) 기록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IC카드를 이용한 출입 체크의 경우 IC 카드 발급의 번거로움과 퇴직자 발생시 미회수, 분실, 대리 체크 등 다양한 문제가 있다. 또한, 회사에서 여러 공간을 운영하는 경우, 권한 관리의 번거로움이 있으며, IC 카드를 발급할 때마다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IC 카드는 폐기시 환경비용이 발생하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출입시스템은 출입자 권한 제어만을 제공할 뿐, 동일한 공간에 입실 중 인 사용자들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최근 주요 사무 환경 흐름 중 하나로 자유좌석 제도를 운영하는 스마트 오피스가 증가하고 있지만, 종래의 출입관리 시스템으로는 직원 각각이 어디서 일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사무공간에 입실 중인 사용자들의 위치와 신원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 업무 협업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1. 한국 특허출원 제10-2020-0138335호 (2020.10.23) 2. 한국 특허등록 제10-1857621호 (2018.05.08)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스마트 기기내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전용 출입 시스템을 연동하여 해당 기업(기관) 구성원들에게 다양한 분산된 오피스 공간의 출입 권한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를 통해 원격 공간을 포함하는 넓고 다양한 공간의 이용 권한을 온라인으로 관리하여, 분산된 여러 사무 공간을 하나의 공간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를 통해 하이브리드 워크 기업 구성원들은 상호간 누가 어디서에서 근무중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직원의 상태 정보까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분산된 오피스를 방문하는 방문객에게 오피스 출입구 및 오피스 내부공간에 대한 출입권한을 승인하여 외부 방문객 관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시스템은 출입제어 장치와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출입하는 오피스에 근무중인 팀원과 팀원들의 근무 위치를 사용자가가 이용하는 오피스에 따라 실시간으로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오피스의 출입 관리 시스템은 원격으로 분할된 복수의 사무공간인 분산된 오피스 각각에 대한 사용자 출입권한에 따라 출입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출입인증코드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출입관리서버; 및 복수의 분산된 오피스에 각각 설치되어 각 분산된 오피스에 출입하려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입인증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된 출입인증 코드를 출입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출입제어장치; 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출입관리서버는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출입인증코드를 출입권한에 따라 생성된 출입인증코드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판단하고, 출입여부 판단 결과를 출입제어장치로 전송한 후 각 분산된 오피스의 각각의 사용자 출입현황을 실시간으로 갱신하고,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출입현황에 기초하여, 각 분산된 오피스에 입장한 사용자를 연락가능한 사용자로 설정하며,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연락가능한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오피스 출입 관리 방법은 (A) 출입관리서버에서 원격으로 분할된 복수의 사무공간인 분산된 오피스 각각에 대한 사용자 출입권한에 따라 출입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출입인증코드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출입제어장치에서 복수의 분산된 오피스에 각각 설치되어 분산된 오피스에 출입하려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입인증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된 출입인증 코드를 출입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A)의 단계; 는 (A-1) 출입관리서버에서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출입인증코드를 출입권한에 따라 생성된 출입인증코드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A-2) 출입여부 판단 결과를 출입제어장치로 전송한 후 분산된 오피스 각각의 사용자 출입현황을 실시간으로 갱신하는 단계; 및 (A-3)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출입현황에 기초하여, 각 분산된 오피스에 입장한 사용자를 연락가능한 사용자로 설정하며,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연락가능한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와 같은 개인 스마트 단말을 통해, 별도의 출입용 IC카드 발급이나 지문, 홍채 정보와 같은 개인 생체 정보 등록없이 온라인으로 연결된 지정 장소의 출입 허용 여부 관리를 지원한다. 또한, 다양한 공간에 분산 근무시에도 현재 어떤 구성원이 어디에서 근무하는 지를 스마트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기업(기관) 사용자 간의 하이브리드 워크(분산 근무) 편의를 향상시킨다.
또한, 신규 입사자와 같은 인원 변동 시 온라인 상에서 손쉽게 해당 인원을 등록하여, 해당 인원이 직접 인증한 스마트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입출입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분산된 오피스를 운영하는 회사에서 실시예를 통해 분산 근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산 근무 시대에 다양한 지역 및 공간에서 일하는 구성원들이 전용 앱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어디에서 근무중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분산 근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시로, 본 발명에 따라 분산된 여러 공간을 하나의 공간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하드웨어를 묶어 운영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분산된 오피스를 방문하는 방문객에게 오피스 출입구(제1공간) 및 회의실 등의 오피스 내부공간(제2공간)에 대한 출입권한을 승인하여 방문객의 수동적인 관리로 인한 불편함을 줄이고 사무공간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시스템은 출입제어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사용자가 출입하는 오피스에 근무중인 팀원과 팀원들의 근무 위치를 사용자가 출입하는 분산된 오피스에 따라 실시간으로 전환하여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분산 근무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 서버(100)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출입제어장치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출입제어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는 출입관리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 서버의 출입권한 갱신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9 내지 11은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시스템은 관리자 단말(400), 출입관리서버(100), 출입제어장치(200), 사용자 단말기(300) 및 IoT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출입관리 서버(100)은 원격으로 분할된 복수의 사무공간인 분산된 오피스 각각에 대한 사용자 출입권한에 따라 출입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출입인증코드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출입제어 장치(200)는 복수의 분산된 오피스에 각각 설치되어 각 분산된 오피스에 출입하려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출입인증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된 출입인증 코드를 출입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출입관리서버(100)는 출입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출입인증코드를 출입권한에 따라 생성된 출입인증코드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판단하고, 출입여부 판단 결과를 출입제어장치로 전송한 후 각 분산된 오피스의 각각의 사용자 출입현황을 실시간으로 갱신한다. 이후, 출입관리서버(100)는 출입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출입현황에 기초하여, 각 분산된 오피스에 입장한 사용자를 연락가능한 사용자로 설정하며,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연락가능한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출입관리 서버(100)는 실시간으로 갱신된 분산된 오피스 각각의 사용자 출입현황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에 우선적으로 노출되는 사용자가 변화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전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 1, 2, 3, 4 사용자가 각각 단말기 사용자, 그룹 내에 속하는 사용자, 외출 중인 사용자, 그룹 외 사용자로 각각 대응되는 경우, 제 1,2,3,4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우선순위 정보를 모두 다르게 설정할 수 있고, 제 1,2,3,4 사용자의 위치 변화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출입관리 서버(100)는 제 1 사용자가 위치한 분산된 오피스 위치를 탐지하고 탐지된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하며, 분산된 오피스에 출입하는 사용자들은 복수의 그룹 중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속하고, 제 1 사용자와 동일한 그룹에 속한 제 2 사용자가 존재하고, 제 1 사용자가 복수의 분산된 오피스 중 제 1 분산된 오피스에 입장하는 경우, 제 1 분산된 오피스에 위치한 제 2 사용자의 정보가 우선적으로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노출되도록 사용자 단말기 인터페이스가 전환되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출입관리 서버(100)는 제 1 사용자가 분산된 오피스에 입장하지 않은 상태일 때, 제 1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제 1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 1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제 1 사용자 단말기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분산 오피스에 입장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가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우선적으로 노출되도록 제 1 사용자 단말기 인터페이스가 전환되도록 한다.
또한, 출입관리 서버(100)는 갱신된 분산된 오피스 각각의 사용자 출입현황에 따라 해당 분산된 오피스를 벗어난 제 3 사용자를 외출 중인 사용자로 설정하고, 출입제어장치(200)를 통해 제 3 사용자가 해당 분산된 오피스에서 퇴장하는 것이 수신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는 제 3 사용자를 연락가능한 사용자로 여전히 유지한다. 이때, 외출 중인 제 3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다른 사용자 정보들보다 낮은 우선순위로 표시되도록 사용자 단말기의 인터페이스가 전환되도록 한다.
또한, 출입관리 서버(100)는 제 3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신된 제 3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제3 사용자가 퇴장한 분산된 오피스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벗어날 시 해당 분산된 오피스의 이용을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 3 사용자 정보는 이용 종료 판단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다른 사용자 정보들보다 더 낮은 우선순위로 표시되도록 사용자 단말기의 인터페이스가 전환되도록 한다.
또한, 출입관리 서버(100)는 제 1 사용자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지 않은 그룹 외사용자인 제 4 사용자가 존재하고, 제 4 사용자가 복수의 분산된 오피스 중 제 1 분산된 오피스에 입장하는 경우, 출입관리 서버(100)가 임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검색하여 제 4 사용자와 관련된 직무, 소속부서 등의 인적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실시예에서 인적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분산된 오피스에 위치한 제 4 사용자의 정보가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노출 시, 수집된 인적 정보가 제 4 사용자의 정보에 포함되어 노출되도록 사용자 단말기(300) 인터페이스가 전환되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관리자 단말(400)은 분산된 오피스 등 사무공간의 공간 별 사용자 출입권한을 설정하고, 설정된 출입권한 정보를 출입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관리자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이용할 공간 위치, 이용시간을 포함하는 공간이용정보를 전송받아 출입권한을 설정하거나, 출입관리서버(100)로부터 사무공간에 대한 사용자 이용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출입권한을 갱신할 수 있다.
출입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사무공간 각각의 출입권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별 출입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출입인증 코드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출입제어장치(200)는 복수의 사무공간 각각에 설치되어 사무공간에 출입하려는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로부터 출입인증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된 출입인증 코드를 출입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출입관리서버(100)는 출입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출입인증코드를 출입권한에 따라 출입인증코드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출입여부 판단 결과를 출입제어장치(200)로 전송하고, 사무공간 각각의 사용자 출입현황을 실시간으로 갱신한다.
실시예에서 IoT 기기는 사무공간에 설치되는 냉난방 기기, 커피포트 등의 전자기기를 포함하고, 출입관리 서버 또는 스마트 단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시스템은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스마트 기기내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출입 관리 시스템을 연동하여 해당 기업(기관) 구성원들에게 다양한 분산된 오피스 공간의 출입 권한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원격 공간을 포함하는 넓고 다양한 공간의 이용 권한을 온라인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분산된 여러 사무공간을 하나의 공간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를 통해 하이브리드 워크 기업 구성원들은 상호간 누가 어디서에서 근무중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직원의 상태 정보까지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 서버(100)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 서버(100)는 출입권한정보 수집모듈(110), 출입인증코드 생성모듈(120), 통신모듈(130), 판단모듈(140), 부적합 사용자 대응 모듈(150) 및 입출입 기록 모듈(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출입권한정보 수집모듈(110)은 사용자들이 이용예정인 사무공간 및 예상 이용 시간을 포함하는 공간이용정보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공간 별 출입권한 정보를 수집한다. 출입인증코드 생성모듈(120)는 수집된 출입권한에 따라 QR 코드, NFC, BLE, UWB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통신방식으로 인증하는 출입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모듈(130)은 출입인증코드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출입제어장치에서 스캔된 출입인증코드를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통신모듈(130)은 사용자 단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로 출입 인증 코드(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 인증은 관리자 단말에서 등록한 스마트 단말로 인증 키를 전송한 후 해당 스마트 단말로부터 인증키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통신모듈(140)은 사용자 단말기가 디스플레이의 인터페이스를 전환할 수 있도록, 제 1 사용자가 위치한 분산된 오피스 위치 탐지 결과 및 분산된 오피스 각각의 사용자 출입현황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연락가능한 사용자 정보를 전달한다.
판단모듈(140)은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출입인증코드와 출입인증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출입인증 코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 출입여부를 판단한다.
실시예에서 판단모듈(140)은 출입제어장치부터 전달받은 출입인증코드와 생성된 출입인증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출입이 허용된 경우, 이를 출입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사무공간 출입현황을 갱신한다.
부적합 사용자 대응모듈(150)은 사무공간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이상 사용자 검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이상 사용자가 검출된 건물의 보안 관리자에게 이상 사용자 발생을 알리고, 대응요청을 전송한다.
입출입 기록 모듈(160)은 사용자 별로 배포된 출입인증 코드의 스캔 여부에 따라 입출입 기록을 업데이트하고, 사용자 별 업무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입출입 기록 모듈(160)은 사용자 단말의 GPS 데이터를 통해 입출입 기록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입출입 기록 모듈(160)은 출입제어장치의 카메라로부터 전달된 영상 정보를 통해 사용자 별 업무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입출입 기록 모듈(160)은 출입인증 코드 스캔 이후, 영상정보를 통해 해당 사용자가 사무공간을 벗어난 것을 파악한 경우, 사용자가 사무 공간을 벗어나 있는 시간은 제외하여 사용자의 업무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출입제어장치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출입제어장치(200)는 스캐너(210)(스캐너로 표현되었으나 본 구성요소는 다양한 코드나 신호를 식별하는 '인식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PoE 모듈(220), 제어모듈(230), 카메라(240) 및 분석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oE 모듈(220)은 이더넷 전원 장치로서, IEEE 802.3af 및 802.3at 표준에 의해 정의된 네트워킹 기능을 제공한다. 실시예에서는 PoE 모듈(220)을 통해 기존 데이터 연결 상태에서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네트워크 장치 및 출입문 제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에서 스캔한 출입 인증 코드(또는 신호)를 출입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출입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수신하여 제어모듈(230)을 통해 사용자의 사무공간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스캐너(210)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출입인증코드를 스캔한다.
제어모듈(230)은 출입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출입여부에 따라 사무공간의 출입장치를 제어한다. 실시예에서는 출입제어장치에서 전송한 출입인증코드와 출입관리서버에서 생성한 출입인증 코드를 출입관리서버에서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출입제어장치로 전송한다. 출입제어 장치의 제어모듈(230)은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출입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사무공간 출입문을 제어한다. 실시예서 출입관리서버는 출입인증코드와 사용자별 출입권한에 포함된 개인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출입을 허용하고 불일치하는 경우, 에러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카메라(240)는 사용자의 출입을 영상정보로 기록한다. 분석모듈(250)은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이상 사용자를 검출한다. 실시예에서 분석모듈(250)은 인공지능 머신러닝을 통한 이미지 인식(image recognition)과정을 통해 출입제어장치의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이상 사용자를 검출할 수 있다. 인공지능 이미지 인식은 기계가 마치 사람처럼 사진으로부터 사물을 인식하고 장면을 이해하는 것으로, 컴퓨터 비전 기술 중 하나에 해당한다.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인식을 위해, 이미지에 포함된 사용자 객체 분류(classification), 검출(detection) 및 객체를 픽셀 단위로 식별하여 분할(segmentation)하는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분석모듈(250)은 노이즈 대응 외 학습하지 못한 패턴 처리를 위해 학습 외 분포 데이터 탐지(out of distribution detection)과정을 수행한다. 학습 외 분포 데이터 탐지는 인공지능에 입력된 이미지가 학습된 확률분포 데이터 인지 아닌지 식별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는 학습 외 분포 데이터 탐지를 통해 인공 신경망이 판단하기 어려운 이미지를 걸러내거나 예외 처리하여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서는 학습 외 분포 데이터 탐지를 위해서 딥러닝 판정에 대해 얼마나 확신(confidence)하는지를 나타내는 확률 값을 보정(calibration)하거나 학습 외 분포 데이터를 생성적 대립 신경망(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으로 생성하고 학습하여 탐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인식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모델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연산을 간소화하는 경량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영상정보에 포함된 이상 사용자를 확정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인식을 위해 콘볼루션 신경망(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에서 콘볼루션 필터를 변형하여 연산 차원을 축소(Reduction)하거나 큰 영향이 없는 신경망의 가중치(weight)를 삭제하는 가지치기, 가중치 값의 부동 소수점을 줄여 연산을 간소화하는 양자화 과정을 수행하여 데이터 경량화를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미리 학습시킨 큰 신경망의 출력을 작은 신경망에서 모방 학습하도록 하여 연산을 간소화하며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출입제어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출입제어장치는 RF 수신기, 출입문 제어보드, 출입문 연결 릴레이, 2D 바코드 스캐너, LED 인디케이터, RF 트랜스미터, UTP 케이블, PoE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NFC, BLE, UWB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케이블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출입제어장치(Main device)는 UTP 케이블, LED 인디케이터, 2D 바코드 스캐너, PoE 케이블 및 출입문 제어보드와 연결되어 사무공간의 출입문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메인 디바이스가 출입문의 외부 및 내부에 각각 배치된 2D 바코드 및 QR 코드를 포함하는 출입인증코드 스캐너와 연결되어 출입문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퇴실시에도 출입인증 코드를 스캔하여 입실 및 퇴실을 모두 체크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는 출입관리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출입관리서버로부터 분산방식으로 배포되어 스마트 단말에 설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는 출입관리 어플리케이션(300)은 정보수집모듈(310), 통신모듈(320), 인증코드 디스플레이모듈(330) 및 상태정보 디스플레이모듈(3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보수집모듈(310)은 이용예정인 사무공간, 예상 이용 시간을 포함하는 공간이용정보 및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다. 통신모듈(320)은 공간이용정보를 출입관리 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고, 출입관리 서버로부터 QR 코드를 포함하는 출입인증코드를 전송받는다. 인증코드 디스플레이모듈(330)은 출입인증코드를 일정시간 동안 출력한다. 실시예에서 인증코드 디스플레이 모듈(330)은 출입 제어장치의 코드 스캔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출입인증 코드가 스마트 단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면, 스마트 단말의 조도를 최대로 상승시켜 출입제어장치의 코드 스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출입인증 코드가 디스플레이 되는 모드를 전체화면 모드로 자동 변경하여 출입인증코드가 출입제어장치에서 쉽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한다. 상태정보 디스플레이 모듈(340)은 사용자들의 업무 상태, 근무지, 근무시간, 최근 연락처 등의 정보를 카테고리화 하여 출력한다. 실시예에서 상태정보 디스플레이 모듈(340)은 사용자가 이용중인 사무공간 위치 및 요일 별 근무시간 그래프 등의 시각화 객체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태정보 디스플레이모듈(340)은 QR로 인증 후 사용자가 공간에 들어가면, 들어가기 전과 후에 스마트 단말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오피스에 들어가기 전에는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의 팀원들이 어느 오피스에 분산되어 근무하는 지를 전체적으로 출력하다가, 사용자가 분산된 오피스 중 특정 오피스에 입장하는 경우에는 해당 오피스 지점에서 근무하고 있는 팀원들을 우선적으로 출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시스템은 출입을 관리하는 제1공간 내의 특정공간인 제2공간에 대한 출입 승인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공간은 회사 로비, 회사 메인 출입구가 될 수 있고, 제2공간은 제1공간에 포함되는 공간으로서, 회의실 및 회사 내부 등이 될 수 있다. 분산된 오피스 사용시 오피스내에 특정영역을 회사가 임대하여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특정 회사가 직원에게 출입권한을 승인하거나 직원이 게스트를 초대하는 경우,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 서버는 직원 및 게스트가 오피스 입구에 해당하는 제1공간 및 오피스 내부 공간에 해당하는 제2공간에 출입 가능하도록 출입권한을 갱신할 수 있다. 예컨대, 출입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등록되거나 직접 출입관리서버에 등록한 게스트에게 분산된 오피스에 입장하는 제1공간에 대한 출입 승인과 회의실 등 제2공간에 입장 출입권한을 승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사무공간으로 게스트 출입 시 게스트에 대한 제1공간 및 제2공간에 대한 출입권한을 승인하여 게스트 출입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외부 방문자의 수동관리로 인한 불편함을 줄이고 사무 공간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10 단계에서는 출입관리서버에서 원격으로 분할된 복수의 사무공간인 분산된 오피스 각각에 대한 사용자 출입권한에 따라 출입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출입인증코드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S10 단계는 출입권한 정보수집모듈에서 사용자들이 이용예정인 사무공간 및 예상 이용 시간을 포함하는 공간이용정보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공간 별 출입권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출입인증코드 생성모듈에서 수집된 출입권한에 따라 QR 코드, NFC, BLE, UWB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통신방식으로 인증하는 출입인증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통신모듈에서 상기 출입인증코드를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고, 출입제어장치에서 스캔된 출입인증코드를 상기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판단모듈에서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출입인증코드와 출입인증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출입인증 코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 출입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에서 출입인증코드를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고, 출입제어장치에서 스캔된 출입인증코드를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기가 디스플레이의 인터페이스를 전환할 수 있도록, 제 1 사용자가 위치한 분산된 오피스 위치 탐지 결과 및 분산된 오피스 각각의 사용자 출입현황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연락가능한 사용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S20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에서 출입인증 코드를 수신하고 S30 단계에서는 복수의 분산된 오피스 각각에 설치된 출입제어장치에서 분산된 오피스에 출입하려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입인증 코드를 스캔한다. S40 단계에서는 스캔된 출입인증 코드를 출입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S40 단계는 카메라에서 사용자의 출입을 영상정보로 기록하는 단계 및 분석 모듈에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이상 사용자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50 단계예서는 출입관리서버에서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출입인증코드를 출입권한에 따라 생성된 출입인증코드와 비교하고 S60 단계에서는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판단한다. S70 단계예서는 출입여부 판단 결과를 출입제어장치로 전송하고, S75 단계에서는 출입제어 장치에서 출입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출입장치를 제어한다. S78 단계에서 사용자 출입현황을 출입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S80 단계에서는 출입관리 서버에서 분산된 오피스 각각의 사용자 출입현황을 실시간으로 갱신한다. S90 단계에서는 출입관리서버에서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출입현황에 기초하여, 각 분산된 오피스에 입장한 사용자를 연락가능한 사용자로 설정한다. S100 단계에서는 출입관리 서버에서 연락 가능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실시예에서는 제 1, 2, 3, 4 사용자가 각각 단말기 사용자, 그룹 내에 속하는 사용자, 외출 중인 사용자, 그룹 외 사용자로 각각 대응되는 경우, 제 1,2,3,4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우선순위 정보를 모두 다르게 설정할 수 있고, 제 1,2,3,4 사용자의 위치 변화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S110 단계에서는 출입관리 서버의 제어에 따라 제 1사용자 단말기의 인터페이스가 전환되어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연락가능한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표시된다.
실시예에서 S110 단계는 출입관리 서버가 제 1 사용자가 위치한 분산된 오피스 위치를 탐지하고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분산된 오피스에 출입하는 사용자들은 복수의 그룹 중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속하며, 제 1 사용자와 동일한 그룹에 속한 제 2 사용자가 존재하고, 제 1 사용자가 복수의 분산된 오피스 중 제 1 분산된 오피스에 입장하는 경우, 제 1 분산된 오피스에 위치한 제 2 사용자의 정보가 우선적으로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노출되도록 사용자 단말기 인터페이스가 전환된다.
또한, 실시예에서 S110 단계는 제 1 사용자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지 않은 제 4 사용자가 존재하고, 제 4 사용자가 복수의 분산된 오피스 중 제 1 분산된 오피스에 입장하는 경우, 출입관리 임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검색하여 제 4 사용자와 관련된 직무, 소속부서 등의 인적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실시예에서 인적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분산된 오피스에 위치한 제 4 사용자의 정보가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노출 시, 수집된 인적 정보가 제 4 사용자의 정보에 포함되어 노출되도록 사용자 단말기의 인터페이스가 전환되도록 한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610 단계에서는 관리자 단말에서 공간별 사용자 출입권한을 생성하고, S620 단계에서는 출입관리 서버에서 관리자 단말에 의해 설정된 공간 별 출입권한 정보를 수집한다. S630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에서 제1공간에 대한 출입요청을 생성하여 출입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S640 단계에서는 출입관리서버에서 스마트 단말로부터 복수개의 사무 공간 중 제1공간에 대한 출입요청을 수신하고 출입권한 확인후 제1공간에 대한 출입 인증코드를 생성한다. S640 단계에서는 출입인증 코드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고, S660 단계에서는 스마트 단말에서 제1공간에 대한 출입인증코드를 출력한다. S670 단계에서는 출입제어 장치에서 스마트 단말로부터 출입인증코드를 스캔하고, S680 단계에서는 출입제어장치에서 스캔된 출입인증코드를 출입관리서버로 전송한다. S690단계에서는 출입관리 서버에서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출입인증코드와 생성된 사용자 별 출입인증 코드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판단하고, S700 단계에서는 출입관리서버에서 출입제어장치로 사용자에 대한 출입여부 판단 결과를 전송한다. S710 단계에서는 출입제어장치에서 출입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출입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출입문을 제어하고, S720 단계에서는 출입관리서버에서 사무공간의 출입현황을 갱신한다.
실시예에서 S720 단계에서는 출입여부 판단 결과를 출입제어장치로 전송한 후 분산된 오피스 각각의 사용자 출입현황을 실시간으로 갱신하고,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출입현황에 기초하여, 각 분산된 오피스에 입장한 사용자를 연락가능한 사용자로 설정한다. 이후,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연락가능한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표시되는 단계;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 서버의 출입권한 갱신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S810 단계에서는 스마트 단말에서 여러 사무공간 중 하나인 제1공간에 대한 출입 요청을 출입관리서버로 전송한다. S820 단계에서 출입관리 서버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제1공간에 대한 출입요청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1공간에 대한 출입요청을 관리자 단말로 전송한다. S830 단계에서는 관리자 단말에서 출입관리 서버로부터 제1공간에 대한 출입요청을 수신하고, 출입승인을 판단한 후 판단 결과를 출입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S840 단계에서는 출입관리서버에서 관리자 단말로부터 출입승인 판단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출입승인 판단 정보에 따라 출입권한을 갱신한다.
도 9 내지 11은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 단말에 출입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출입패스, 팔로잉 직원 정보, 최근연락처, 사무 공간별 근무 직원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디스플레이 한다.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단말 사용자의 업무시간, 사용자가 근무중인 사무공간의 온습도, 대기질 정보, BGM 정보 등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일정 기간 별 근무 시간과 근무지 정보를 그래프로 시각화 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QR로 인증 후 사용자가 공간에 들어가면, 들어가기 전과 후에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가 변화된다. 예컨대, 특정 분산된 오피스에 들어가기 전에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팀원들이 어느 오피스에 분산되어 근무하는 지를 전체적으로 출력하다가, 사용자가 특정 분산된 오피스에 입장하는 경우에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분산된 오피스 지점에서 근무하고 있는 팀원들을 우선적으로 출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변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시스템은 출입제어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이 연동하여 사용자가 출입하는 오피스에 근무중인 팀원과 팀원들의 근무 위치를 사용자가 이용하는 분산된 오피스에 따라 실시간으로 전환하여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분산 근무를 가능하게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별 직무와 사무공간 위치를 직원의 사진과 함께 표시할 수 있고, 직원 별 연락 횟수, 최근 연락 시점 등을 상세보기 화면에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직원에게 회의, 미팅 등을 위한 집무실 초대 요청을 전달할 수 있고, 사무공간의 회의실 사용을 예약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출입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출입인증코드를 터치하여 출입제어장치에 코드 스캔 후 사무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에 사무공간 사용 예약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예약정보에 포함된 사용자들에게 예약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시스템은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와 같은 개인 스마트 단말을 통해, 별도의 출입용 IC카드 발급이나 지문, 홍채 정보와 같은 개인 생체 정보 등록없이 온라인으로 연결된 지정 장소의 출입 허용 여부 관리를 지원한다. 또한, 다양한 공간에 분산 근무시에도 현재 어떤 구성원이 어디에서 근무하는 지를 스마트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기업(기관) 사용자 간의 하이브리드 워크(분산 근무) 편의를 향상시킨다.
또한, 신규 입사자와 같은 인원 변동 시 온라인 상에서 손쉽게 해당 인원을 등록하여, 해당 인원이 직접 인증한 스마트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입출입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분산된 오피스를 운영하는 회사에서 실시예를 통해 분산 근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산 근무 시대에 다양한 지역 및 공간에서 일하는 구성원들이 전용 앱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어디에서 근무중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분산 근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4)

  1. 분산된 오피스의 출입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원격으로 분할된 복수의 사무공간인 분산된 오피스 각각에 대한 사용자 출입권한에 따라 출입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출입인증코드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출입관리서버; 및
    복수의 분산된 오피스에 각각 설치되어 각 분산된 오피스에 출입하려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입인증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된 출입인증 코드를 출입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출입제어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관리서버는
    상기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출입인증코드를 출입권한에 따라 생성된 출입인증코드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판단하고, 출입여부 판단 결과를 출입제어장치로 전송한 후 각 분산된 오피스의 각각의 사용자 출입현황을 실시간으로 갱신하고, 상기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출입현황에 기초하여, 각 분산된 오피스에 입장한 사용자를 연락가능한 사용자로 설정하며,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연락가능한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된 오피스 출입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리 서버; 는
    제 1 사용자가 위치한 분산된 오피스 위치를 탐지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분산된 오피스에 출입하는 사용자들은 복수의 그룹 중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속하며, 제 1 사용자와 동일한 그룹에 속한 제 2 사용자가 존재하고, 제 1 사용자가 복수의 분산된 오피스 중 제 1 분산된 오피스에 입장하는 경우, 제 1 분산된 오피스에 위치한 제 2 사용자의 정보가 우선적으로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노출되도록 사용자 단말기 인터페이스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된 오피스 출입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리 서버; 는
    제 1 사용자가 분산된 오피스에 입장하지 않은 상태일 때, 제 1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제 1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상기 제 1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제 1 사용자 단말기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분산 오피스에 입장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가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우선적으로 노출되도록 제 1 사용자 단말기 인터페이스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리 서버; 는
    갱신된 분산된 오피스 각각의 사용자 출입현황에 따라 해당 분산된 오피스를 벗어난 제 3 사용자를 외출 중인 사용자로 설정하되, 출입제어장치를 통해 제 3 사용자가 해당 분산된 오피스에서 퇴장하는 것이 수신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는 제 3 사용자를 연락가능한 사용자로 여전히 유지하며,
    외출 중인 제 3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다른 사용자 정보들보다 낮은 우선순위로 표시되도록 사용자 단말기의 인터페이스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리 서버; 는
    제 3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신된 제 3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제3 사용자가 퇴장한 분산된 오피스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벗어날 시 해당 분산된 오피스의 이용을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제 3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다른 사용자 정보들보다 더 낮은 우선순위로 표시되도록 사용자 단말기의 인터페이스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리 서버; 는
    사용자들이 이용예정인 사무공간 및 예상 이용 시간을 포함하는 공간이용정보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공간 별 출입권한 정보를 수집하는 출입권한 정보수집모듈;
    상기 수집된 출입권한에 따라 QR 코드, NFC, BLE, UWB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통신방식으로 인증하는 출입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출입인증코드 생성모듈;
    상기 출입인증코드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출입제어장치에서 스캔된 출입인증코드를 상기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출입인증코드와 상기 출입인증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출입인증 코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 출입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 은
    사용자 단말기가 디스플레이의 인터페이스를 전환할 수 있도록,
    제 1 사용자가 위치한 분산된 오피스 위치 탐지 결과 및 분산된 오피스 각각의 사용자 출입현황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연락가능한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된 오피스 출입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제어장치; 는
    출입인증코드를 스캔하는 스캐너;
    전원을 공급하는 PoE 모듈;
    스캔된 출입인증코드를 출입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
    출입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출입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분산된 오피스의 출입문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된 오피스 출입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제어장치; 는
    사용자의 출입을 영상정보로 기록하는 카메라; 및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이상 사용자를 검출하는 분석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리서버; 는
    사용자 별로 배포된 출입인증코드의 스캔 여부에 따라 입출입 기록을 업데이트하고, 사용자 별 업무 시간을 산출하는 입출입 기록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시스템.
  10. 분산된 오피스 출입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출입관리서버에서 원격으로 분할된 복수의 사무공간인 분산된 오피스 각각에 대한 사용자 출입권한에 따라 출입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출입인증코드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출입제어장치에서 복수의 분산된 오피스에 각각 설치되어 분산된 오피스에 출입하려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입인증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된 출입인증 코드를 출입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A)의 단계; 는
    (A-1) 출입관리서버에서 상기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출입인증코드를 출입권한에 따라 생성된 출입인증코드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A-2) 출입여부 판단 결과를 출입제어장치로 전송한 후 분산된 오피스 각각의 사용자 출입현황을 실시간으로 갱신하는 단계; 및
    (A-3) 상기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출입현황에 기초하여, 각 분산된 오피스에 입장한 사용자를 연락가능한 사용자로 설정하며,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연락가능한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표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된 오피스 출입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3)의 단계; 는
    상기 출입관리 서버가 제 1 사용자가 위치한 분산된 오피스 위치를 탐지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분산된 오피스에 출입하는 사용자들은 복수의 그룹 중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속하며, 제 1 사용자와 동일한 그룹에 속한 제 2 사용자가 존재하고, 제 1 사용자가 복수의 분산된 오피스 중 제 1 분산된 오피스에 입장하는 경우, 제 1 분산된 오피스에 위치한 제 2 사용자의 정보가 우선적으로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노출되도록 사용자 단말기 인터페이스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의 단계; 는
    출입권한 정보수집모듈에서 사용자들이 이용예정인 사무공간 및 예상 이용 시간을 포함하는 공간이용정보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공간 별 출입권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출입인증코드 생성모듈에서 상기 수집된 출입권한에 따라 QR 코드, NFC, BLE, UWB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통신방식으로 인증하는 출입인증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통신모듈에서 상기 출입인증코드를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고, 출입제어장치에서 스캔된 출입인증코드를 상기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판단모듈에서 상기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출입인증코드와 상기 출입인증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출입인증 코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 출입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에서 상기 출입인증코드를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고, 출입제어장치에서 스캔된 출입인증코드를 상기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는
    사용자 단말기가 디스플레이의 인터페이스를 전환할 수 있도록, 제 1 사용자가 위치한 분산된 오피스 위치 탐지 결과 및 분산된 오피스 각각의 사용자 출입현황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연락가능한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된 오피스 출입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의 단계; 는
    카메라에서 사용자의 출입을 영상정보로 기록하는 단계; 및
    분석 모듈에서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이상 사용자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된 오피스 출입관리 방법.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리 서버; 는
    제 1 사용자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지 않은 제 4 사용자가 존재하고, 제 4 사용자가 복수의 분산된 오피스 중 제 1 분산된 오피스에 입장하는 경우, 상기 출입관리 서버가 임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검색하여 제 4 사용자와 관련된 인적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며,
    상기 인적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분산된 오피스에 위치한 제 4 사용자의 정보가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노출 시, 상기 수집된 인적 정보가 제 4 사용자의 정보에 포함되어 노출되도록 사용자 단말기 인터페이스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된 오피스 출입 관리 시스템.
KR1020220074299A 2022-06-17 2022-06-17 분산된 오피스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734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299A KR20230173486A (ko) 2022-06-17 2022-06-17 분산된 오피스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299A KR20230173486A (ko) 2022-06-17 2022-06-17 분산된 오피스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486A true KR20230173486A (ko) 2023-12-27

Family

ID=89377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299A KR20230173486A (ko) 2022-06-17 2022-06-17 분산된 오피스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348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621B1 (ko) 2015-12-29 2018-05-16 (주)에이텐시스템 스마트오피스 출입 관리시스템
KR20200138335A (ko) 2018-03-28 2020-12-09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빔 실패에 대한 구성 방법 및 단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621B1 (ko) 2015-12-29 2018-05-16 (주)에이텐시스템 스마트오피스 출입 관리시스템
KR20200138335A (ko) 2018-03-28 2020-12-09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빔 실패에 대한 구성 방법 및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628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erson recognition in video streams
US7454041B2 (en) Person recognition apparatus
US1125695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erson recognition in video streams
JP2020520511A (ja) アクセス制御方法及び装置、システム、電子デバイス、プログラムならびに媒体
KR101852599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US11776308B2 (en) Frictionless access control system embodying satellite cameras for facial recognition
US11145151B2 (en) Frictionless access control system for a building
KR101855494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및 방법
US11134228B1 (en) Point-to-point visual communications in a security monitoring system
US20210049847A1 (en) Access control system having radio and facial recognition
WO20182223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 recognition data management
JP2024056872A (ja) 滞在管理装置、滞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038903A1 (en) Human-machine interface device for building systems
KR20230173486A (ko) 분산된 오피스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45072A (ko)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 및 무인 매장 관리 방법
KR102501646B1 (ko) 입장 고객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US2020040168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0400454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AU2020408805B2 (en) Building system for private user communication
US20230012098A1 (en) Building system for private user communication
EP4016480A1 (en) Access control system screen capture facial detection and recognition
US11850759B2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robot
TWI624810B (zh) Access control management system and remote authorization method thereof
KR200329564Y1 (ko) 실시간 화상 통화 및 디브이알 기능을 갖춘 다중 인증출입 통제 시스템과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