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407A - 내외부 가스투입이 가능한 적재함 및 적재함 가스농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내외부 가스투입이 가능한 적재함 및 적재함 가스농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407A
KR20230173407A KR1020220074131A KR20220074131A KR20230173407A KR 20230173407 A KR20230173407 A KR 20230173407A KR 1020220074131 A KR1020220074131 A KR 1020220074131A KR 20220074131 A KR20220074131 A KR 20220074131A KR 20230173407 A KR20230173407 A KR 20230173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unit
internal space
internal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주
이석
김영훈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74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3407A/ko
Publication of KR20230173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6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 B65D88/70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using fluid jets
    • B65D88/706Aerating means, e.g. one-way check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in a special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내외부 가스투입이 가능한 적재함 및 적재함 가스농도 제어방법에서, 상기 적재함은 챔버부, 외부 가스투입 유닛, 내부 가스투입 유닛 및 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부는 내부공간에 곡물이 적재된다.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은 상기 챔버부와 분리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챔버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한다.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은 상기 챔버부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과는 별도로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Description

내외부 가스투입이 가능한 적재함 및 적재함 가스농도 제어방법{CONTAINER HAVING INTERNAL AND EXTERNAL GAS INPUT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S INPUT OF THE SAME}
본 발명은 내외부 가스투입이 가능한 적재함 및 적재함 가스농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함 내부 및 외부에서 적재함 내부로의 가스 투입이 가능하여 적재함 내부의 가스의 농도 또는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내외부 가스투입이 가능한 적재함 및 적재함 가스농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곡물 등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적재함의 경우, 곡물의 품질관리를 위해서는 적재함 내부의 산소, 질소 등의 가스나 습도의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즉, 수확된 곡물은 수확지로부터 유통되기까지 장시간 운송되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적재함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적재함 내부의 환경을 장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이에, 이러한 곡물을 수송하는 적재함의 내부의 가스나 습도 등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술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2080호의 경우, 저장탱크에 질소를 공급하되, 초기 농도로 공기를 배기하며 1차 충진하고, 기준 농도보다 높은 농도로 2차 충진을 하여 목표 농도에 도달하는 충진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3-189790호는 밀폐용기에 대한 질소 충전에서,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되, 외부로 유출되는 곡물의 양을 고려하여 충진을 수행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되는 적재함 내의 가스 충진 기술의 경우, 초기에서 적재함에 곡물 등을 적재하는 과정에서 충진을 수행하는 기술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적재함의 이동 과정에서 적재함에 대한 추가 충진을 수행하는 기술은 개발이 미흡한 상황이다.
나아가, 적재함의 가스 충진을 수행하는 경우, 대부분 가스 충진 스테이션(station)에서 일괄적으로 가스를 충진하기 위한 기술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을 뿐, 다양한 적재함 이송 상황을 고려한 충진 기술의 개발은 미흡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2080호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3-189790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함 내부 및 외부에서 적재함 내부로의 가스 투입이 가능하여 적재함 내부의 가스의 농도 또는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내외부 가스투입이 가능한 적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적재함 가스농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적재함은 챔버부, 외부 가스투입 유닛, 내부 가스투입 유닛 및 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부는 내부공간에 곡물이 적재된다.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은 상기 챔버부와 분리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챔버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한다.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은 상기 챔버부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과는 별도로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부는,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곡물을 투입하는 투입부, 및 측면 또는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곡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반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인 경우, 외부로 가스를 제거하는 밸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가스농도, 습도, 압력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상부 센서, 및 상기 내부공간의 하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하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의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 또는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초기상태에서 상기 내부공간의 가스가 기 설정된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을 동작시키고,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에 의한 가스 투입과는 별도로, 상기 내부공간의 가스가 기 설정된 농도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은, 가스투입 밸브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하며, 상기 가스투입 밸브는 상부 배출구 및 하부 배출구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 및 하부로 각각 가스를 투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은, 상기 가스투입 밸브와 연결되는 외부투입 밸브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은, 상기 가스투입 밸브와 구분되는 별도의 독립투입밸브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는 질소가스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적재함 가스농도 제어방법에서, 챔버부의 내부공간에 곡물을 적재한다. 상기 챔버부와 분리되도록 위치한 외부 가스투입 유닛을 상기 챔버부에 연결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한다.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을 분리하고, 센서부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내부공간에 가스 투입이 필요한 경우, 상기 챔버부에 구비되는 내부 가스투입 유닛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으로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내부공간의 가스가 기 설정된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센서부는 일정한 주기로 동작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을 단속적으로 동작시키며, 투입되는 가스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확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공간에 적재되는 곡물의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가스투입 위치를 선택하여 가스를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초기 상태에서는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 가스투입 유닛을 이용하여 가스 충전을 급속하고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적재함이 이동하는 상태 또는 외부 가스투입 유닛을 연결하기 어려운 상태에서는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가스투입 유닛을 이용하여 매 상황에 부합하도록 가스 충전을 수행하므로, 챔버부 내부의 가스 농도 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운송 과정에서의 곡물 등의 손상이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운송 과정 중에 가스투입을 수행할 수 있는 정류장 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가스 투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센서부를 통해 챔버부 내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가스투입을 수행하므로, 챔버부 내부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센서부는 가스 농도 외에도 습도, 압력, 온도 등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챔버부 내부의 상태 및 곡물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를 통해 챔버부 내부에서 곡물이 적재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 또는 내부 가스투입 유닛을 통한 가스 투입 위치나 방향을 최적화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가스투입 유닛의 경우, 내부 가스투입 유닛이 사용하는 밸브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하나의 밸브를 통해 외부 가스투입 및 내부 가스투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외부 가스투입 유닛은 별도의 밸브를 통해 가스를 투입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어, 설계의 다변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적재함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적재함의 가스 투입의 제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적재함에서, 내부 가스투입 유닛을 이용한 가스 투입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적재함에서, 외부 가스투입 유닛을 이용한 가스 투입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4b는 도 1의 적재함에서, 외부 가스투입 유닛을 이용한 가스 투입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적재함의 가스농도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적재함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적재함(10)은 챔버부(100),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 센서부(400) 및 제어유닛(500)을 포함한다.
상기 챔버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101)이 형성되는 컨테이너 박스와 같은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상기 챔버부(100)가 컨테이너 박스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내부공간(101)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곡물이 투입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챔버부(100)는 별도의 운송수단을 통해 소정 위치까지 이동된다.
즉, 상기 챔버부(100)로 투입되어 위치하는 곡물은 소정 위치까지 이동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적재함(10)은 이러한 상기 챔버부(100) 내부의 곡물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챔버부(100)는 밸브부(130), 투입부(111) 및 반출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부(13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소정의 가스가 투입되는 경우, 상기 내부공간(101)에 위치하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밸브부(130)는 가스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 상기 챔버부(100)의 상면(11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을 통해서는 1개가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나아가, 상기 밸브부(130)는 원웨이(one-way) 밸브로서, 상기 내부공간(101)으로부터 외부로의 유동만 가능하여, 외부로부터의 가스의 유입은 차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밸브부(130)는 수동형 밸브로서, 후술되는 상기 센서부(400)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01)의 압력 측정 결과,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의 압력이 측정되는 경우 스스로 개방되어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상기 투입부(111)는 상기 상면(110) 상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곡물을 투입하는 경우 개방되고, 투입이 종료되면 밀폐된다. 일반적으로 곡물의 투입은 상부에서 챔버부(100)의 내부공간(101)으로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상기 투입부(111)는 상기 상면(110) 상에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반출부(121)는 상기 챔버부(100)의 측면(120)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101)에 저장되던 곡물이 상기 반출부(1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일반적으로 곡물의 배출은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공간(101)으로부터 측부로 배출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상기 반출부(121)는 상기 측면(120) 상에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반출부(121)는 반드시 상기 측면(120)에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은 상기 챔버부(100)의 외부에 위치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챔버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가스를 투입(201)시킨다.
즉, 정류장과 같이 상기 적재함(10)이 정류하는 장소에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정류장과 같은 장소에서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공간(101)으로 소정의 가스가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을 통해 투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이 설치되는 장소는 정류장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이동식 가스 운송 차량 등에도 설치될 수 있고, 이에 이동식 가스 운송 차량을 통해서도 소정의 가스를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투입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이 상기 챔버부(100)와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상태 등에 대하여는 후술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은 상기 챔버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공간(101)으로 가스를 투입한다(301).
도 1을 통해서는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은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공간(101) 상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챔버부(100) 상에 부착되는 구조물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별도의 블록을 통해 상기 챔버부(100)에 인접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은 상기 챔버부(100)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게 되며, 상기 챔버부(100)에 항상 연결된 상태로 위치하여야 하며, 필요에 따라 후술되는 밸브의 개방을 통해서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공간(101)으로 언제라도 가스를 투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 상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표시부(350)가 구비되어,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의 동작 상태는 물론, 필요하다면 후술되는 상기 센서부(400)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내부공간(101)의 다양한 상태나, 상기 내부공간(101)의 가스 투입 등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 및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투입되는 가스는, 예를 들어, 질소 가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내부공간(101)의 곡물의 상태를 변질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는 가스이면 충분하다.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내부공간(101)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이렇게 모니터링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 및 사이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센서부(400)의 모니터링 결과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350)를 통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내부공간(101)의 다양한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내부공간(101)의 가스 농도, 습도, 압력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농도는 질소 농도는 물론 산소 농도를 측정할 수도 있고, 다양한 가스의 농도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400)에서 측정한 결과는 상기 제어유닛(500)으로 제공된다.
상기 제어유닛(500)은 상기 센서부(400)에서 측정한 결과를 제공받으며,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 및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유닛(50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은 후술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적재함의 가스 투입의 제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적재함(10)에서,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공간(101)으로 가스 투입이 수행되는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500)은 전체적으로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 및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은 가스가 저장되는 외부탱크(210), 상기 외부탱크(210)에 저장된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외부 밸브(220), 및 상기 외부탱크(210)로부터 상기 외부 밸브(220)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외부탱크(210)의 가스를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공간(101)으로 제공하는 외부 배출라인(230)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도 가스가 저장되는 내부탱크(310), 상기 내부탱크(310)에 저장된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내부 밸브(320), 및 상기 내부탱크(310)로부터 상기 내부 밸브(320)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내부탱크(210)의 가스를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공간(101)으로 제공하는 내부 배출라인(33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유닛(5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400)에서 모니터링된 상기 내부공간(101)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밸브(220) 및 상기 내부밸브(3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초기 상태에서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50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외부 밸브(220)는 개방된다. 이 후, 가스의 공급에 따라, 상기 센서부(400)에서 측정되는 상기 내부공간(101)의 가스의 농도가 기 설정된 값(기준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50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외부 밸브(220)는 폐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을 통한 가스 투입은 중단된다.
또한,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을 통한 가스 투입이 종료된 후, 상기 센서부(400)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내부공간(101)의 가스의 농도가 기 설정된 값(기준치)보다 낮아지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500)은 상기 내부 밸브(320)를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가스가 투입되도록 한다.
이 후, 상기 내부공간(101)의 가스의 농도가 기 설정된 값(기준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500)은 상기 내부 밸브(320)를 폐쇄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을 통한 가스 공급을 중단시킨다.
이러한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의 가스 공급의 재개 또는 중단은 상기 센서부(400)의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유닛(500)의 제어에 의해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배출라인(230) 및 상기 내부 배출라인(3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부(100)에 구비되는 가스투입 밸브(16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배출라인(230)이 상기 가스투입 밸브(16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외부탱크(210)에 저장된 가스가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공간(101)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내부 배출라인(330)이 상기 가스투입 밸브(16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내부탱크(310)에 저장된 가스가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공간(101)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부 배출라인(230)의 경우, 상기 챔버부(100)와는 분리된 상태에서 장착되는 것으로, 상세한 실시예는 후술하겠으나, 상기 가스투입 밸브(16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가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배출라인(330)의 경우, 도 2에서는 상기 챔버부(100)와 분리되도록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챔버부(100)와 인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내부 배출라인(330)은 상기 가스투입 밸브(160)에 항상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물론, 상기 내부 배출라인(330)이 상기 가스투입 밸브(160)에 항상 연결된 상태이더라도, 상기 가스투입 밸브(160)의 개방 또는 폐쇄를 통해 상기 내부 배출라인(330)을 통한 가스 공급은 제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내부 배출라인(330) 역시, 상기 가스투입 밸브(160)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외부 배출라인(230)이 상기 가스투입 밸브(160)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내부 배출라인(330)이 상기 가스투입 밸브(16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투입 밸브(160)로부터 상기 내부공간(101)에서 연장되는 배관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배출라인(113) 및 하부 배출라인(143)으로 분기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공간(101)으로 연결되는 가스 공급 라인은, 상기 내부공간(101)의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 배출라인(113)과 상기 내부공간(101)의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 배출라인(14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상부 배출라인(113)을 통해 제공되는 가스는, 상기 내부공간(101)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배출구(112)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공급되며, 상기 하부 배출라인(143)을 통해 제공되는 가스는, 상기 내부공간(101)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배출구(142)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공급된다.
나아가, 도면에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배출구는 한 개가 임의의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2개가 도시된 위치 외의 위치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은 물론, 3개 이상이 역시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위치에 상기 배출구들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101)에 보다 균일하게 가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내부공간(101)에는 곡물이 적재되는 것으로, 상기 곡물의 적재 위치에 따라 가스를 공급하기 유리한 위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가스 공급이 유리한 위치로의 효과적인 가스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후술되는 상기 센서부(400)에서 상기 내부 공간(101)의 곡물의 적재 위치에 대한 정보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렇게 모니터링된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유닛(500)에서는 가스 공급이 유리한 위치, 예를 들어, 곡물이 적재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이 형성되는 위치로 가스를 공급하도록 상기 공급되는 배출구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하여, 가스가 공급되는 배출구가 선택된다면, 해당 배출구와 연결되는 배출라인이 개방되도록 상기 가스투입 밸브(160)의 동작, 즉 개방 또는 폐쇄가 제어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최적의 위치로의 가스 공급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500)은 센서 제어유닛(510)을 포함하여, 상기 센서부(400)에 대한 제어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 제어유닛(510)은 조작부(511), 센서 제어부(512) 및 전원부(513)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511)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센서 제어부(512)나 상기 전원부(513)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유닛(500)이나 상기 센서부(400)의 설정값, 예를 들어, 상기 내부공간(101)의 농도나 습도 등의 기 설정된 기준값을 상기 조작부(511)를 통해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 제어부(512)는 상기 센서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전원부(513)는 상기 센서부(400)에 전원을 제공한다.
상기 센서부(400)의 경우,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많은 전원이 소모되므로 항상 동작되어 상기 내부공간(101)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어렵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1시간에 1번 정도씩 상기 센서부(400)를 동작시켜 상기 내부공간(101)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이러한 센서부(400)의 동작은 상기 센서 제어부(512)를 통해 제어된다.
또한, 상기 센서 제어부(512)에서는, 상기 센서부(400)에서의 주기적인 모니터링 결과를 상기 제어유닛(500)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어유닛(500)에서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 및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400)도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공간(101)에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공간(101)의 상부에 상부 센서(410)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101)의 하부에 하부 센서(4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센서(410)는 상기 센서 제어유닛(510)과 상부 센서 라인(411)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센서(420)는 상기 센서 제어유닛(510)과 하부 센서 라인(42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센서(410) 및 상기 하부 센서(420)가 센서 라인들(411, 421)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나아가, 상기 센서부(400)는 상부 또는 하부 외에도 상기 내부공간(101)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부공간의 다양한 위치에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보다 정확한 상기 내부공간(101)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센서부(400)의 경우, 한 개가 상기 내부공간 상에 최적의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서도 상기 내부공간(101)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면 충분하다.
도 3은 도 1의 적재함에서, 내부 가스투입 유닛을 이용한 가스 투입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의 가스 투입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은 상기 센서 제어부(512)를 통해 획득되는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제어된다.
상기 상부 센서(410) 또는 상기 하부 센서(420)가 상기 내부공간(101)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는 상기 센서 제어부(512)를 통해 상기 제어유닛(500)으로 제공되며, 이에 상기 제어유닛(500)은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을 통한 가스 투입을 제어한다.
이 경우, 상기 센서 제어부(512)의 제어 상태, 상기 상부 센서(410) 또는 상기 하부 센서(420)의 센싱 결과 등은 앞서 설명한 상기 표시부(350)를 통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500)에서는, 상기 내부공간(101)의 가스 농도가 기 설정된 농도보다 작다고 센싱되는 경우, 또는 상기 내부공간(101)의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보다 작다고(또는 크다고) 센싱되는 경우,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가스를 투입시킨다.
즉, 상기 제어유닛(500)은 상기 내부 제어밸브(320)를 개방시켜, 상기 내부 탱크(310)에 저장된 가스를 상기 내부 배출라인(330)을 통해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 공간(101)으로 제공한다. 이 후, 상기 내부공간(101)의 가스 농도가 기 설정된 농도에 도달한다고 센싱되거나, 또는 상기 내부공간(101)의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에 도달한다고 센싱되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500)은 상기 내부 제어밸브(320)를 폐쇄하여 상기 가스의 제공을 중단시킨다.
다만, 일반적으로 가스는 순간적으로 공급된 후, 전체적으로 내부 공간(101)에 분산되며 퍼지므로, 상기 제어유닛(500)에서는 상기 내부 제어밸브(320)를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동안 개방시킨 후 폐쇄하여, 상기 내부공간(101)에 가스가 골고루 분산될 때까지 기다린다.
이후, 상기 센서부(400)에서의 센싱 결과, 즉 내부공간의 가스 또는 습도의 농도를 센싱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적으로 상기 내부 제어밸브(320)를 개방한 후 폐쇄하는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내부공간(101)의 농도나 습도가 기 설정된 농도에 이를 때까지 이러한 개방 후 폐쇄의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상기 제어유닛(400)의 제어동작은, 앞선 상기 조작부(511)를 통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선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배출라인(330)은 상기 가스 투입밸브(160)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가스가 투입(301)될 수 있으며, 추가로 필터부(161)가 구비되어, 상기 투입되는 가스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a는 도 1의 적재함에서, 외부 가스투입 유닛을 이용한 가스 투입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4b는 도 1의 적재함에서, 외부 가스투입 유닛을 이용한 가스 투입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우선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은,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을 통해 가스가 투입되는 상기 가스 투입밸브(160)를 그대로 사용하여 가스를 투입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에서는, 상기 내부탱크(310)로부터 제공되는 가스가 상기 내부 배출라인(330)을 통해 제공되며, 상기 가스투입 밸브(160)를 통과하여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제공된다.
이 경우, 앞선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의 외부 배출라인(230)도 상기 가스투입 밸브(16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외부탱크(210)로부터 상기 외부 배출라인(230)을 통해 제공되는 가스도 상기 가스투입 밸브(160)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외부 배출라인(230)을 상기 가스투입 밸브(160)에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외부 배출라인(230)에는 외부 투입밸브(17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투입밸브(170)는 상기 가스투입 밸브(160)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가스투입 밸브(160)를 통해 외부 가스 및 내부 가스가 모두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제공될 수 있어, 가스 공급 라인을 일원화하여 관리나 제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가스가 투입되는 경우와 상기 내부 가스가 투입되는 경우는 서로 다른 상황이므로,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을 통해 외부로부터 가스가 투입되는 경우(201),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으로부터 제공되는 가스는 차단되어야 하며, 반대로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을 통해 내부로부터 가스가 투입되는 경우(301),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400)으로부터 제공되는 가스는 차단되어야 한다.
이와 달리,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은 별도의 독립 투입밸브(180)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가스를 투입할 수도 있다(201).
즉,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가스투입밸브(160)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가스를 투입하며,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은 상기 가스투입밸브(160)와는 별도로 상기 독립 투입밸브(180)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01)에 연결되어 가스를 투입할 수 있다(201).
이 경우,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은 초기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챔버부(100)에 장착되어 가스를 공급한 후, 상기 챔버부(100)에서 분리되는 것으로, 상기 독립 투입밸브(180)가 상기 챔버부(100)에 장착 또는 분리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챔버부(100) 상에 상기 독립 투입밸브(180)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적재함의 가스농도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가스농도 제어방법에서는, 우선,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공간(101)으로 곡물을 적재한다(단계 S10).
상기 곡물의 적재는 상기 상면(110)에 형성되는 상기 투입부(111)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101)에 가스를 투입한다(단계 S20).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은 상기 챔버부(100)와는 분리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가스 투입을 위해 상기 챔버부(100)에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의 상기 챔버부(100)와의 연결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이 연결되는 상기 가스투입 밸브(160)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고, 별도의 독립 가스투입 밸브(180)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이 상기 챔버부(100)와 연결된 후,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가스를 투입한다(201).
다만, 초기 상태에서 상기 내부공간(101)에는 다양한 가스들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을 통해 가스를 투입하는 경우, 상기 상면(110)에 설치된 상기 밸브부(130)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01)에 존재하던 불순물이나 기타 가스는 상기 밸브부(130)를 통해 외부로 제거되면서,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곡물의 상태 유지에 필요한 가스, 예를 들어 질소 가스를 투입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공간(101)으로의 가스 투입시, 내부공간에 적재되는 곡물의 적재 위치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위치로 가스를 투입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러한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을 통한 가스 투입 과정에서,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내부공간(101)의 상태, 즉 가스 농도, 습도, 온도, 압력 등의 상태를 센싱하게 되며, 특히, 상기 내부공간(101)의 가스 농도 또는 습도가 기 설정된 값(기준치)에 도달하는 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0).
그리하여, 상기 내부공간(101)의 가스 농도 또는 습도가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하는 경우(단계 S30),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을 통한 가스 투입(201)은 중단된다(단계 S40).
즉,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은 상기 챔버부(100)로부터 분리되고, 향후 상기 내부공간(101)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의 동작을 준비시킨다(단계 S40).
이와 같이,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200)이 분리된 후, 상기 적재함(10)은 운송 수단 등을 통해 이송되기 시작하며, 이러한 이송 상태에서는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을 통한 상태 제어가 수행된다.
즉, 상기 센서부(400)에서는, 상기 챔버부(100) 내부공간(101)의 상태, 즉 가스 농도, 습도, 온도, 압력 등의 상태를 센싱하게 되며(단계 S50), 특히 내부공간(101)의 가스 농도 또는 습도가 기 설정된 값(기준치)을 유지하는 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0).
이 경우, 상기 센서부(400)를 통한 상태 모니터링은 전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하여, 상기 내부공간(101)의 가스 농도 또는 습도가 기 설정된 값(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실시예에 따라 습도는 기 설정된 값보다 높은 경우일 수 있음), 상기 제어유닛(500)을 통해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이 동작된다(단계 S60).
즉,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가스가 투입되며(301)(단계 S60), 이러한 가스 투입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101)의 가스 또는 습도가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하였는가의 여부는 상기 센서부(400)를 통해 확인된다(단계 S70).
그리하여, 상기 내부공간(101)의 가스 또는 습도가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의 동작은 중단된다(단계 S80).
이러한 상기 내부공간(101)으로의 가스 투입시, 내부공간에 적재되는 곡물의 적재 위치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위치로 가스를 투입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나아가, 가스 투입의 경우, 일시적으로 투입된 가스가 내부공간(101)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분산되어 골고루 퍼지게 되므로,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을 통해 가스를 투입하는 경우, 순간적으로 가스를 투입한 후, 일정 시간 동안 가스가 분산되도록 기다린 후, 상기 센서부(400)를 통해 가스 또는 습도의 농도를 센싱하여야 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과 같이,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300)을 통한 상기 내부공간(101)으로의 가스 투입은, 상기 센서부(400)와의 피드백을 통해 상기 곡물이 최종 목적지까지 운반되는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초기 상태에서는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 가스투입 유닛을 이용하여 가스 충전을 급속하고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적재함이 이동하는 상태 또는 외부 가스투입 유닛을 연결하기 어려운 상태에서는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가스투입 유닛을 이용하여 매 상황에 부합하도록 가스 충전을 수행하므로, 챔버부 내부의 가스 농도 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운송 과정에서의 곡물 등의 손상이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운송 과정 중에 가스투입을 수행할 수 있는 정류장 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가스 투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센서부를 통해 챔버부 내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가스투입을 수행하므로, 챔버부 내부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센서부는 가스 농도 외에도 습도, 압력, 온도 등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챔버부 내부의 상태 및 곡물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를 통해 챔버부 내부에서 곡물이 적재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 또는 내부 가스투입 유닛을 통한 가스 투입 위치나 방향을 최적화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가스투입 유닛의 경우, 내부 가스투입 유닛이 사용하는 밸브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하나의 밸브를 통해 외부 가스투입 및 내부 가스투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외부 가스투입 유닛은 별도의 밸브를 통해 가스를 투입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어, 설계의 다변화가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적재함 100 : 챔버부
101 : 내부공간 111 : 투입부
112 : 상부 배출구 113 : 상부 배출라인
121 : 반출부 130 : 밸브부
142 : 하부 배출구 143 : 하부 배출라인
160 : 가스투입밸브 161 : 필터부
170 : 외부투입밸브 180 : 독립투입밸브
200 : 외부 가스투입 유닛 210 : 외부탱크
220 : 외부제어밸브 230 : 외부배출라인
300 : 내부 가스투입 유닛 310 : 내부탱크
320 : 내부제어밸브 330 : 내부배출라인
400 : 센서부 410 : 상부센서
420 : 하부센서 500 : 제어유닛
510 : 센서제어유닛 511 : 조작부
512 : 센서제어부 513 : 전원부

Claims (16)

  1. 내부공간에 곡물이 적재되는 챔버부;
    상기 챔버부와 분리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챔버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하는 외부 가스투입 유닛;
    상기 챔버부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과는 별도로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하는 내부 가스투입 유닛; 및
    상기 내부공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적재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는,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곡물을 투입하는 투입부; 및
    측면 또는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곡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반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인 경우, 외부로 가스를 제거하는 밸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가스농도, 습도, 압력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상부 센서; 및
    상기 내부공간의 하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하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 또는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적재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초기상태에서 상기 내부공간의 가스가 기 설정된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을 동작시키고,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에 의한 가스 투입과는 별도로, 상기 내부공간의 가스가 기 설정된 농도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은,
    가스투입 밸브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하며,
    상기 가스투입 밸브는 상부 배출구 및 하부 배출구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 및 하부로 각각 가스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은,
    상기 가스투입 밸브와 연결되는 외부투입 밸브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은,
    상기 가스투입 밸브와 구분되는 별도의 독립투입밸브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는 질소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12. 챔버부의 내부공간에 곡물을 적재하는 단계;
    상기 챔버부와 분리되도록 위치한 외부 가스투입 유닛을 상기 챔버부에 연결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을 분리하고, 센서부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공간에 가스 투입이 필요한 경우, 상기 챔버부에 구비되는 내부 가스투입 유닛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재함 가스농도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가스투입 유닛으로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내부공간의 가스가 기 설정된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가스농도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센서부는 일정한 주기로 동작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가스농도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투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내부 가스투입 유닛을 단속적으로 동작시키며, 투입되는 가스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확산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가스농도 제어방법.
  16. 제13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 적재되는 곡물의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가스투입 위치를 선택하여 가스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가스농도 제어방법.
KR1020220074131A 2022-06-17 2022-06-17 내외부 가스투입이 가능한 적재함 및 적재함 가스농도 제어방법 KR20230173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131A KR20230173407A (ko) 2022-06-17 2022-06-17 내외부 가스투입이 가능한 적재함 및 적재함 가스농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131A KR20230173407A (ko) 2022-06-17 2022-06-17 내외부 가스투입이 가능한 적재함 및 적재함 가스농도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407A true KR20230173407A (ko) 2023-12-27

Family

ID=89378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131A KR20230173407A (ko) 2022-06-17 2022-06-17 내외부 가스투입이 가능한 적재함 및 적재함 가스농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340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790A (ja) 2001-12-25 2003-07-08 Fuji Acetylene Kogyo Kk 穀物の保存装置
KR101722080B1 (ko) 2014-11-18 2017-03-31 플로우테크 주식회사 저장탱크 질소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790A (ja) 2001-12-25 2003-07-08 Fuji Acetylene Kogyo Kk 穀物の保存装置
KR101722080B1 (ko) 2014-11-18 2017-03-31 플로우테크 주식회사 저장탱크 질소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872B1 (ko) 물품 보관 설비 및 물품 보관 방법
CN106461160B (zh) 燃料气体填充系统以及燃料气体填充方法
JP5236518B2 (ja) 保管システムおよび保管方法
KR101973136B1 (ko) 불활성 가스 주입 설비 및 불활성 가스 주입 방법
US9230845B2 (en) Article storage facility and article storage method
KR102155616B1 (ko) 불활성 가스 주입 장치 및 불활성 가스 주입 방법
US9524893B2 (en) Inactive gas introducing facility and inactive gas introducing method
US8942844B2 (en) Article storage facility and article storage method
JP6075461B2 (ja) ウェハパージ可能な天井保管装置(apparatus for stocking and purging wafer at ceiling)
US20150000759A1 (en) Storage Facility and Storage Method
KR100863941B1 (ko) 가스공급 장치의 퍼지 시스템 및 방법
CN110957237B (zh) 晶片吹扫型搁架组件以及具有该组件的缓冲模块
KR20230173407A (ko) 내외부 가스투입이 가능한 적재함 및 적재함 가스농도 제어방법
JP6217281B2 (ja) 自動倉庫、及びガス供給方法
US20160184873A1 (en) Apparatus of inhalation type for stocking wafer at ceiling and inhaling type wafer stock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0941424B1 (ko) 가스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WO2016022792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 controlling combustion and flammability, or oxidation of materials during storage or transport
EP3440396B1 (en) System with remotely controlled, pressure actuated tank valve
US20240167631A1 (en) Storage module
KR100261567B1 (ko) 반도체 유기금속 화학증착장비용 엘디에스의 자동 리필장치
JP6562052B2 (ja) 冷凍保存システムおよび液体窒素管理方法
KR19980018415A (ko) 가스 충전 방법 및 장치
KR20240074220A (ko) 저장용기 내부 환경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내부 환경 제어방법
IL305986A (en) High pressure processing device
JPH0781981A (ja) 樹脂連続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