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318A -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318A
KR20230173318A KR1020220073914A KR20220073914A KR20230173318A KR 20230173318 A KR20230173318 A KR 20230173318A KR 1020220073914 A KR1020220073914 A KR 1020220073914A KR 20220073914 A KR20220073914 A KR 20220073914A KR 20230173318 A KR20230173318 A KR 20230173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assembly
cid gasket
region
secondary battery
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9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지우
권태현
김형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73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3318A/en
Publication of KR20230173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318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7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9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 케이스의 개구부 상단에 결합되고, 탑 캡, 안전 벤트, 전류차단소자 및 CID 가스켓을 포함하는 캡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CID 가스켓은 서로 성질이 상이한 2 이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캡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 assembly that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opening of a secondary battery case and includes a top cap, a safety vent, a current blocking element, and a CID gasket, wherein the CID gasket includes two or more parts with different properties. It's about assembly.

Description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차 전지 내부 온도 증가하여도 CID 가스켓의 형태가 유지되는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 assembly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 assembly in which the shape of a CID gasket is maintained even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battery increases,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최근, 화석연료의 고갈에 의한 에너지원의 가격 상승, 환경 오염의 관심이 증폭되며, 친환경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요구가 미래생활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원자력, 태양광, 풍력, 조력 등 다양한 전력 생산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렇게 생산된 에너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력저장장치 또한 지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Recently, the price of energy sources has risen due to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and interest in environmental pollution has increased, and the demand for eco-friendly alternative energy sources has become an essential factor for future life. Accordingly, research continues on various power production technologies such as nuclear power, solar power, wind power, and tidal power, and there is also great interest in power storage devices to use the energy produced in this way more efficiently.

특히,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In particular, 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increase,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an energy source is rapidly increasing, and accordingly, much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batteries that can meet various needs.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의미하며, 휴대폰, 캠코더, 노트북 등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 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리튬 이차전지는 전자 장비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는 니켈 카드뮴 전지나 니켈 수소 전지보다 3배 이상의 용량을 가지며,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활용 정도가 급속도로 증가되고 있다.In general, secondary batteries refer to batteries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primary batteries, which cannot be recharged. They are widely used in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camcorders, laptops, and electric vehicles. In particula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used as a power source for electronic equipment. It has a capacity more than three times that of the widely used nickel cadmium batteries or nickel hydrogen batteries, and its use is rapidly increasing because it has excellent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이차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attery case, secondary batteries are classified into cylindrical batteries and square batteries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housed in a cylindrical or square metal can, and pouch-type batteries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housed in a pouch-shaped case of aluminum laminate sheet. .

원통형 이차전지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캔과, 원통형 캔 내부에 수납되는 전극 조립체와, 원통형 캔 상부에 결합되는 캡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 어셈블리는 원통형 캔의 개구부의 상부 개구부에 위치하며, 탑 캡, 안전벤트 등을 포함한다.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generally includes a cylindrical can, an electrode assembly stored inside the cylindrical can, and a cap assembly coupled to the top of the cylindrical can. The cap assembly is located in the upper opening of the cylindrical can and includes a top cap, safety vent, etc.

종래의 원통형 이차전지는 과충전 등과 같은 원인에 의해 전지 캔 내부로부터 가스가 발생하여 내압이 증가하게 되면, 안전벤트는 그 형상이 변형되면서 상향 돌출되며, 이때, 안전벤트는 전류차단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전류가 차단된다.In a conventional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when gas is gen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battery can due to causes such as overcharging and the internal pressure increases, the safety vent deforms its shape and protrudes upward. At this time, the safety vent is separated from the current blocking member to block the current. is blocked.

이에 따라, 충방전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으므로 이차전지의 안전성이 확보되며, 더욱이, 전지 내부의 압력이 일정값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안전벤트가 파열되고, 가압 가스는 이러한 파열 부위를 경유하여 탑 캡의 가스 구멍을 통해 배기됨으로써 전지의 폭발이 방지된다. Accordingly, the safety of the secondary battery is ensured because charging and discharging no longer proceeds. Furthermore,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battery increases above a certain value, the safety vent ruptures, and the pressurized gas flows through the rupture area into the tower. Explosion of the battery is prevented by exhaustion through the gas hole in the cap.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 하에서, 원통형 이차전지의 외부 단락 발생 시 전류차단부재를 감싸는 CID 가스켓이 고온에 의하여 녹아 변형되기가 용이하다. 이에 따라 전류차단부재와 안전 벤트가 접촉하여 서로 붙어버릴 위험이 높으며, 전류차단부재와 안전 벤트가 접촉할 경우, 전류차단부재와 안전 벤트가 전류를 차단하지 못하여 전지가 폭발할 위험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under the above structure, when an external short circuit occurs in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the CID gasket surrounding the current blocking member is easily melted and deformed by high temperature. Accordingly, there is a high risk that the current blocking member and the safety vent come into contact and become stuck together, and when the current blocking member and the safety vent come into contact, there is a risk of the battery exploding because the current blocking member and the safety vent cannot block the current. there was.

따라서, CID 가스켓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여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very high need for technology that can improve the safety of secondary batteries by preventing shape deformation of the CID gasket.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3980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39803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은 단락 시 이차 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CID 가스켓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Focusing on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cap assembly that prevents the CID gasket from being deformed by heat generated from the secondary battery during a short circuit,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이차전지 케이스의 개구부 상단에 결합되고, 탑 캡, 안전 벤트, 전류차단소자(CID, Current Interruptive Device) 및 CID 가스켓을 포함하는 캡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CID 가스켓은 서로 성질이 상이한 2 이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캡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p assembly that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opening of a secondary battery case and includes a top cap, a safety vent, a current interruptive device (CID), and a CID gasket, wherein the CID gasket has properties of each other. A cap assembly comprising two or more different parts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CID 가스켓은 상기 전류차단소자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1 영역, 상기 안전 벤트와 마주보는 상기 전류차단소자의 일면에 위치된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캡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D gasket includes a first area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an end of the current blocking element, a second area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current blocking element facing the safety vent, and the first area. and a third region connecting the second region.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CID 가스켓의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영역의 표면에 열경화성 수지가 코팅되는 것인 캡 어셈블리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third regions of the CID gasket include a thermoplastic resin, and the surface of the third region is coated with a thermosetting resin.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CID 가스켓의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CID 가스켓 표면 전체에 열경화성 수지가 코팅되는 것인 캡 어셈블리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third regions of the CID gasket include a thermoplastic resin,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CID gasket is coated with a thermosetting resin.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CID 가스켓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영역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캡 어셈블리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the CID gasket include a thermoplastic resin, and the third region includes a thermosetting resin.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영역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캡 어셈블리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nclude a thermoplastic resin and a thermosetting resin, and the third region includes a thermosetting resin.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CID 가스켓은 본체 및 상기 본체 표면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와 성질이 상이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본체의 전체 표면적에 대해 30% 내지 100%의 표면에 위치되는 것인 캡 어셈블리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D gasket includes a main body and a coating layer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different properties from the main body, and the coating layer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30% to 100% of the total surface area of the main body. Provided is a cap assembly that is positioned.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CID 가스켓은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CID 가스켓은 전체 부피에 대하여,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부피비는 10:90 내지 70:30인 것인 캡 어셈블리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D gasket includes a thermoplastic resin and a thermosetting resin, and the volume ratio of the thermoplastic resin and the thermosetting resin is 10:90 to 70:30 with respect to the total volume of the CID gasket. Provides an in-cap assemb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는 일면에 개구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케이스; 상기 캡 어셈블리 및 상기 이차전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전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ary battery case including an opening on one side;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cap assembly and a battery assembly accommodated within the secondary battery case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상태에 따른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는 고온 및 고압의 환경에서도 CID 가스켓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The cap assembly and th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shape of the CID gasket even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캡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CID 가스켓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에 따른 CID 가스켓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cap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ID gaske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ID gas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하거나, 어떤 구조와 형상을 “특징”으로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거나 다른 구조와 형상을 배제한다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 구조 및 형상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or is “characterized” by a certain structure and shape, this means excluding other components or excluding other structures and shape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does not mean that it does, but that it can include other components, structures, and shapes.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제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의 의한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presented and explain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content of the invention by example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도면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drawings are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캡 어셈블리(10)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1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100 including a cap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전극 조립체(20), 케이스(30) 및 캡 어셈블리(10, Cap 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ectrode assembly 20, a case 30, and a cap assembly 10.

전극 조립체(20)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de assembly 20 is a power generation element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consisting of a stacked structure of an anode/separator/cathode, and may include a jelly-roll type structure woun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 long sheet-like anode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and a cathode. there is.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전극 조립체(20)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제1 절연판(미도시) 및 제2 절연판(미도시)이 위치될 수 있다. 제1 절연판은 전극 조립체(20)와 캡 어셈블리(10) 사이를 절연할 수 있고, 제2 절연판은 전극 조립체(20)와 케이스(30)의 하부 사이를 절연할 수 있다. In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insulating plate (not shown) and a second insulating plate (not shown)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ctrode assembly 20, respectively. The first insulating plate may insulate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20 and the cap assembly 10, and the second insulating plate may insulate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2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30.

전극 조립체(20)는 케이스(30)의 바닥면과 마주보는 면과 그 반대면에 각각 전극탭(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의 바닥면과 마주보는 면에 돌출 구비되는 전극탭이 음극탭이면, 그 반대면, 즉, 캡 어셈블리(10)가 위치된 방향의 면에 돌출 구비되는 전극 탭은 양극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양극탭은 캡 어셈블리(10)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The electrode assembly 20 may be provided with electrode tabs (not shown) on a surface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30 an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30 . For example, if the electrode tab protruding on the side facing the bottom of the case is a negative electrode tab, the electrode tab protruding on the opposite side, that is, the s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p assembly 10 is located, is a positive electrode tab. It can be. Additionally, the positive electrode tab may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ap assembly 10.

그리고, 전극 조립체(20)는 중심에 센터핀(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터핀은 젤리-롤 형태로 권취된 전극 조립체(2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이차 전지(100) 내부의 가스의 이동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electrode assembly 20 may further include a center pin (not shown) at the center. The center pin prevents the electrode assembly 20 wound in a jelly-roll shape from being unwound and can serve as a passage for gas to move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100.

케이스(3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기둥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30)은 내부 공간에 전극과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20) 및 전해액(미도시)이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30)는 일측이 개구(이하, 개구부)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타측은 밀봉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30)의 일측 및 타측은 중력 방향 또는 케이스(30)의 중심축을 따라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된 단부를 의미한다. The case 30 may have a pillar structure with a space formed therein. The case 30 may accommodate an electrode assembly 20 including an electrode and a separator and an electrolyte solution (not shown) in its internal space. The case 3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is op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pening) and the other side can be sealed. Her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ase 30 refer to ends located at the top and bottom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or the central axis of the case 30.

개구된 케이스(30)의 상부 측면은 이차 전지(100)의 중심 방향으로 폴딩된 비딩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30)은 비딩부(31) 상측에 크림핑부(3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크림핑부(32)는 케이스(30)의 최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는 케이스(30)의 중심에서 개구부 방향의 영역을 의미한다. The upper side of the opened case 30 may be provided with a beading portion 31 folded toward the center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In addition, the case 30 may be provided with a crimping portion 32 on the upper side of the beading portion 31. That is, the crimping portion 32 may be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case 30. Here, the upper part refers to the area from the center of the case 30 toward the opening.

케이스(30)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경량의 전도성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Case 30 may be made of a lightweight conductive metal such as aluminum or aluminum alloy.

캡 어셈블리(10)는 케이스(30)의 개구부 상단에 결합되고, 탑 캡(11), 안전 벤트(12), 전류차단소자(13), CID 가스켓(14) 및 밀봉 가스켓(1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p assembly 10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opening of the case 30 and includes a top cap 11, a safety vent 12, a current blocking element 13, a CID gasket 14, and a sealing gasket 15. You can.

탑 캡(11)은 캡 어셈블리(10)의 가장 상부에 위치되고, 케이스(30)의 중심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탑 캡(11)은 돌출된 부분이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전극 단자 역할을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탑 캡(11)은 양극 단자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top cap 11 is located at the very top of the cap assembly 10 and may protru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er of the case 30. The top cap 11 may serve as an electrode terminal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top cap 11 may serve as an anode terminal.

탑 캡(11)은 탑 캡(11)의 가장자리와 밀봉 가스켓(15)이 결합될 수 있는데, 밀봉 가스켓(15)은 케이스(30)의 크림핑부(3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밀봉 가스켓(15)은 탑 캡(11)과 케이스(30) 사이의 밀폐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top cap 11 may be coupled to an edge of the top cap 11 with a sealing gasket 15, and the sealing gasket 15 may be located inside the crimping portion 32 of the case 30. The sealing gasket 15 can increase the sealing force between the top cap 11 and the case 30.

탑 캡(11)은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 밀봉 가스켓(15)과 접촉 및 결합되는 테두리부 및 돌출부와 테두리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op cap 11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an edge portion that contacts and is coupled to the sealing gasket 15,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protrusion and the edge portion.

안전 벤트(12)는 탑 캡(11)의 하부에 위치되고, 탑 캡(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안전 벤트(12)는 탑 캡(11)과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일부가 탑 캡(11)과 접촉될 수 있다. 안전 벤트(12)는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탑 캡(11)과 접촉되고, 접촉 길이를 제외한 부분은 탑 캡(11)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벤트(12)는 탑 캡(11)과 접촉되는 부분이 밀봉 가스켓(15)과 결합될 수 있다. The safety vent 12 is located below the top cap 11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p cap 11.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safety vent 12 facing the top cap 11 may be in contact with the top cap 11 . The safety vent 12 is in contact with the top cap 11 for a certain length from its end, and the portion excluding the contact length may be positioned at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top cap 11. Additionally, the portion of the safety vent 12 that is in contact with the top cap 11 may be combined with the sealing gasket 15.

안전 벤트(12)는 탑 캡(11)과 접촉되는 영역에서 안전 벤트(12)의 중앙으로 갈수록 탑 캡(11)과의 이격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afety vent 12 and the top cap 11 may increase as it moves from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top cap 11 to the center of the safety vent 12.

안전 벤트(12)는 탑 캡(11)과 접촉되는 접촉부, 안전 벤트(12) 중심에 위치되고 전류차단소자와 접촉되는 중앙부 및 접촉부와 중앙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벤트(12)는 접촉부와 제2 연결부, 제2 연결부와 중앙부가 접촉되는 부분에 절곡부(또는 노치)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afety vent 12 may include a contact part in contact with the top cap 11, a central part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afety vent 12 and in contact with the current blocking elemen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contact part and the central part. In addition, the safety vent 12 may be provided with a bent portion (or notch) at a portion where the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are in contact.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케이스(30) 내부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20)와 전해액이 반응함에 따라 가스가 발생되거나 발열이 일어나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In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electrode assembly 20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30 reacts with the electrolyte, gas is generated or heat is generated, thereby increasing the internal pressure.

안전 벤트(12)는 이차 전지(10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면 탑 캡(11) 방향으로 힘을 받게되고, 절곡부가 파열되면서 이차 전지(100) 내부 가스가 배출되게 된다.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100 increases, the safety vent 12 receives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top cap 11, and the bent portion ruptures, causing gas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100 to be discharged.

전류차단소자(Current Interruptive Device, CID)(13)는 안전 벤트(12)의 하부에 위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안전 벤트(12)와 연결될 수 있다. The current interruptive device (CID) 13 is located below the safety vent 12, and at least a portion of it may be connected to the safety vent 12.

전류차단소자(13)는 이차 전지(100) 내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안전 벤트(12)가 파열되면 안전 벤트(12)와 분리되어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When the safety vent 12 ruptures a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increases, the current blocking element 13 is separated from the safety vent 12 and blocks the current.

좀 더 상세하게는, 전류차단소자(13)는 중앙 부분이 안전 벤트(12)와 연결되고, 안전 벤트(12)가 위치된 방향으로 돌출된 연결부, 연결부를 제외한 가장자리부와 연결부와 가장자리부를 이어주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복수개의 결합부는 각각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urrent blocking element 13 has a central portion connected to the safety vent 12, a connecting port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afety vent 12 is located, an edge portion excluding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It may include a coupling part. A plurality of coupling parts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coupling parts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안전 벤트(12)가 탑 캡(11)이 위치된 방향으로 변형될 때, 결합부가 끊어져 연결부는 가장자리부와 분리될 수 있다. 즉, 연결부는 안전 벤트(12)와 연결된 상태로 탑 캡(11) 방향으로 분리된다. When the safety vent 12 is de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p cap 11 is positioned, the joint may break and the joint may be separated from the edge portion. That is, the connection part is sepa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top cap 11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afety vent 12.

CID 가스켓(14)은 전류차단소자(13)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것으로, 전류차단소자(13)의 연결부 이외의 가장자리부 및 결합부와 안전 벤트(12)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The CID gasket 14 surrounds the edge of the current blocking element 13 and can electrically separate the safety vent 12 from the edges and coupling parts other than the connection part of the current blocking element 13.

CID 가스켓(14)은 전류차단소자(13)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1 영역(1), 안전 벤트(12)와 마주보는 전류차단소자의 일면에 위치된 제2 영역(2) 및 제1 영역(1)과 제2 영역(2)을 연결하는 제3 영역(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ID gasket 14 includes a first region 1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end of the current blocking device 13, a second region 2 located on one side of the current blocking device facing the safety vent 12, and a first region 1. It may include a third region (3) connecting the region (1) and the second region (2).

또는, 제1 영역(1)은 전류차단소자(13)의 단부의 일부에서 전류차단소자(13)의 타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전류차단소자(13)의 타면은 제2 영역(2)이 위치된 일면의 반대면을 의미한다. Alternatively, the first region 1 may extend from a portion of the end of the current blocking element 13 to the other surface of the current blocking element 13. Here, the other side of the current blocking element 13 refers to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second region 2 is located.

제3 영역(3)은 전류차단소자(13)의 단부에서 전류차단소자(13)의 일면까지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third area 3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surrounds from the end of the current blocking element 13 to one surface of the current blocking element 13.

CID 가스켓(14)은 서로 성질이 상이한 2 이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CID 가스켓(14)은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1, 2, 3)이 각각 성질이 상이하거나, 하나 또는 두 개의 영역만 성질이 상이할 수 있다. 또는, CID 가스켓(14)의 표면과 내부가 성질이 상이할 수 있다. The CID gasket 14 may include two or more parts with different properties. The first to third regions 1, 2, and 3 of the CID gasket 14 may have different properties, or only one or two areas may have different properties. Alternatively, the surface and interior properties of the CID gasket 14 may be different.

CID 가스켓(14)은 고분자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고분자 수지는 성형성 및 연성이 있어 사출 성형이 용이하고,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CID 가스켓(14)은 전류차단소자(13)와의 접촉성이 증가될 수 있다. The CID gasket 14 can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using polymer resin. Polymer resin has moldability and ductility, making injection molding easy, and the CID gasket 14 containing polymer resin can increase contact with the current blocking element 13.

서로 성질이 상이하다는 것은 서로 열적거동이 상이하다는 의미이다. Different properties mean that their thermal behavior is different.

일 실시예에 있어서, CID 가스켓(14)은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상이한 고분자 수지를 2이상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CID 가스켓(14)은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상대적으로 높은 부분과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상대적으로 낮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ID gasket 14 may include two or more polymer resins having different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s (Tg). In other words, the CID gasket 14 may include a portion where the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is relatively high and a portion where the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is relatively low.

예를 들어, 외부 단락으로 인해 전극 조립체(20)가 발열하여 이차 전지(100) 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CID 가스켓(14)이 녹을 수 있다. 이차 전지(100) 내부 온도가 200℃ 내지 250℃로 상승하면, CID 가스켓(14)은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200℃이하인 부분과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250℃를 초과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electrode assembly 20 generates heat due to an external short circuit and the temperature within the secondary battery 100 increases, the CID gasket 14 may melt.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rises to 200°C to 250°C, the CID gasket 14 has a portion where the glass transition start temperature (Tg) is 200°C or less and a portion where the glass transition start temperature (Tg) exceeds 250°C. may include.

그리고, 유리전이개시온도(Tg)는 가교제에 의한 중합도 및 분자량의 차이에 의해 달라지거나, 중합도, 분자량 또는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상이한 물질의 혼합 비율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may vary depending on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and molecular weight caused by the crosslinking agent, or may vary depending on the mixing ratio of materials with different degrees of polymerization, molecular weight, or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예를 들어, 제3 영역(3)은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300℃인 물질과 200℃인 물질의 혼합 질량 비율이 9:1이고, 제1 영역(1)과 제2 영역(2)은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300℃인 물질과 200℃인 물질의 혼합 질량 비율이 5:5일 수 있다. 이때, 제3 영역(3)은 제1 영역(1)과 제2 영역(2) 보다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높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third region (3) has a mixed mass ratio of a material with a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of 300°C and a material with a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of 200°C of 9:1, and the first region (1) and the second region (2) ) may have a mixed mass ratio of a material with a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of 300°C and a material with a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of 200°C of 5:5. At this time, the third region 3 may have a higher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than the first region 1 and the second region 2.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CID 가스켓(14)은 성질이 상이한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CID gasket 14 may include thermoplastic resin and thermoset resin with different properties.

열가소성 수지는 당업계에 공지된 고분자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PP), 폴리프로필렌-무수말레인산(PP-MAH),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TPEE), 테트라플루오라이드-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공중합체(PFA),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일 수 있다. The thermoplastic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polymer resin known in the art, but specifically include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P), polypropylene-maleic anhydride (PP-MAH),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and tetrafluoroethylene.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ide-perfluoroalkyl vinyl ether copolymer (PFA)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an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열경화성 수지는 폴리이미드, 페놀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 우레탄 수지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thermosetting resin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polyimide, phenol resin, polyester resin, and polyurethane resin, but is not limited to these alone.

CID 가스켓(14)은 서로 성질이 상이한 2 이상의 부분이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거나, 성질이 상이한 물질이 코팅되는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ID gasket 14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parts with different properties bonded to each other with an adhesive or coated with materials with different propertie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CID 가스켓(14)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상태에 따른 코팅층(5)이 본체(4)의 일부에만 코팅된 CID 가스켓(14)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b)는 일 실시상태에 따른 코팅층(5)이 본체(4)의 외면 전체에 코팅된 CID 가스켓(14)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에 따른 CID 가스켓(14)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코팅층이 제3 영역(3)의 외표면에만 코팅되는 코팅층이 코팅되는 영역이 표시된 CID 가스켓(14)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코팅층이 제3 영역(3)에서 제1 영역(1)과 제2 영역(2)까지 코팅되는 코팅층이 코팅되는 영역이 표시된 CID 가스켓(14)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ID gasket 14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ID gasket 14 with the coating layer 5 coated only on a portion of the body 4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ating layer 5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ID gasket 14 coated on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4.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ID gasket 1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ID gasket 14 showing the area where the coating layer is coated on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area (3), and Figure 3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ating layer on the third area (3).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ID gasket 14 showing the area where the coating layer is coated from 3) to the first area 1 and the second area 2.

일 실시예에 있어서, CID 가스켓(14)은 CID 가스켓(14)의 형태를 결정하는 본체(4) 및 본체 표면에 코팅된 코팅층(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체(4)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코팅층(5)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250℃ 초과인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ID gasket 14 may include a body 4 that determines the shape of the CID gasket 14 and a coating layer 5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At this time, the main body 4 may include a thermoplastic resin, and the coating layer 5 may include a thermosetting resin or a 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of more than 250°C.

코팅층(5)은 본체(4)의 표면적 전체 100%를 기준으로 50% 내지 100% 코팅될 수 있다. The coating layer 5 may be coated 50% to 100% of the total surface area of the main body 4.

그리고, CID 가스켓(14)이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1, 2, 3)을 포함할 경우, 코팅층(5)의 위치는 제3 영역(3)의 표면에 위치되거나, 제3 영역(3)에서 제1 및 제2 영역(1, 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코팅층(5)은 제1 내지 제3 영역(1, 2, 3) 전체의 표면에 위치될 수 있다. And, when the CID gasket 14 includes the first to third regions (1, 2, and 3), the position of the coating layer 5 i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third region (3), or the third region ( 3) may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reas (1, 2). And, the coating layer 5 may be loca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to third regions 1, 2, and 3.

코팅층(5)이 CID 가스켓(14)의 전체 표면적 중 상술한 수치 범위만큼 코팅될 경우, 이차전지의 내부 온도 상승에 따라 CID 가스켓(14)의 본체가 녹아도 CID 가스켓(14)의 전체 형태를 유지하여 전류차단소자(13)가 케이스(30) 또는 전극 조립체(20)와 접촉하여 쇼트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If the coating layer 5 is coated within the above-mentioned numerical range out of the total surface area of the CID gasket 14, the overall shape of the CID gasket 14 will be maintained even if the main body of the CID gasket 14 melts a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battery rises. By maintaining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hort circuit occurring when the current blocking element 1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ase 30 or the electrode assembly 20.

CID 가스켓(14)은 열변형 온도(softenign point)는 200℃ 이상이고, 융점(melting point)은 250℃ 이상일 수 있다. The CID gasket 14 may have a softening point of 200°C or higher and a melting point of 250°C or higher.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CID 가스켓(14)의 본체(4)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영역과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CID 가스켓(14)의 본체(4)는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200℃이하인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영역과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250℃ 초과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body 4 of the CID gasket 14 may be composed of an area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and an area containing a thermosetting resin. Alternatively, the main body 4 of the CID gasket 14 has a region containing a polymer resin with a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of 200°C or less and a region containing a polymer resin with a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exceeding 250°C. It can be included.

예를 들어, CID 가스켓(14)은 전체 부피에 대하여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를 10:90 내지 70:30의 부피비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CID 가스켓(14)은 전체 부피에 대하여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200℃이하인 고분자 수지와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250℃ 초과하는 고분자 수지를 10:90 내지 70:30의 부피비로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ID gasket 14 may be composed of thermoplastic resin and thermosetting resin in a volume ratio of 10:90 to 70:30 with respect to the total volume. Alternatively, the CID gasket 14 contains a 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of 200°C or lower and a 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exceeding 250°C in a volume ratio of 10:90 to 70:30 with respect to the entire volume. It can be included as .

그리고, CID 가스켓(14)은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1, 2, 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열경화성 수지 또는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250℃ 초과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CID 가스켓(14)은 제3 영역(3)이 열경화성 수지 또는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250℃ 초과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제1 영역(1) 및 제2 영역(2)이 열가소성 수지 또는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200℃이하인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regions 1, 2, and 3 of the CID gasket 14 may include a thermosetting resin or a 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of more than 250°C. In one embodiment, the third region 3 of the CID gasket 14 includes a thermosetting resin or a 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exceeding 250° C., and the first region 1 and the second region (2) This may include a thermoplastic resin or a 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of 200°C or lower.

또는, 제1 영역(1)과 제2 영역(2)은 열경화성 수지와 열가소성 수지를 모두 포함하거나,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250℃ 초과하는 고분자 수지와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200℃이하인 고분자 수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first region (1) and the second region (2) contain both a thermosetting resin and a thermoplastic resin, or a polymer resin with a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exceeding 250°C and a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of 200°C. It can include all polymer resins with a temperature of ℃ or lower.

예를 들어, 제1 영역(1)과 제2 영역(2)은 제3 영역(3)과 접촉 경계에서 제1 영역(1) 및 제2 영역(2)의 1/2 내지 2/3 지점까지 열경화성 수지가 위치되고, 나머지는 열가소성 수지가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region (1) and the second region (2) are at a contact boundary with the third region (3) at a point of 1/2 to 2/3 of the first region (1) and the second region (2). A thermosetting resin may be placed up to, and a thermoplastic resin may be placed in the remainder.

CID 가스켓(14)에서 열경화성 수지 또는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250℃ 초과하는 고분자 수지가 차지하는 부피가 상술한 수치 범위를 만족할 경우, CID 가스켓(14) 중 열가소성 수지 또는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200℃이하인 고분자 수지가 포함된 영역이 멜팅되어도, 열경화성 수지 또는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250℃ 초과하는 고분자 수지가 포함된 영역에 의해 CID 가스켓(14)은 전류차단소자(13)와 안전 벤트(12) 사이를 절연할 수 있다. If the volume occupied by the thermosetting resin or the polymer resin whose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exceeds 250°C in the CID gasket (14) satisfies the above-mentioned numerical range, the thermoplastic resin or the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of the CID gasket (14) satisfies the above-mentioned numerical range. ) Even if the area containing the polymer resin with a temperature of 200°C or lower melts, the CID gasket 14 is blocked by the current blocking element 13 due to the area containing the thermosetting resin or the polymer resin with a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exceeding 250°C. It is possible to insulate between and the safety vent (12).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CID 가스켓(14)은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CID 가스켓(14) 형태를 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CID gasket 14 may be configured by mixing the CID gasket 14 shapes of one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예를 들어, CID 가스켓(14)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4) 및 코팅층(5)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4)는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1, 2, 3)을 포함할 수 있고, 코팅층(5)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250℃ 초과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영역(3)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250℃ 초과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제1 영역(1) 및 제2 영역(2)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유리전이개시온도(Tg)가 200℃이하인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코팅층(5)은 제1 영역(1) 및 제2 영역(2)의 표면에만 위치될 수 있고, 코팅층(5)은 제1 영역(1) 및 제2 영역(2)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ID gasket 14 may include a body 4 and a coating layer 5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4 may include first to third regions 1, 2, and 3, and the coating layer 5 may include a thermosetting resin or a polymer resin whose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exceeds 250°C. You can. At this time, the third region (3) contains a thermosetting resin or a polymer resin whose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exceeds 250°C, and the first region (1) and second region (2) contain a thermoplastic resin or a polymer resin whose glass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g) exceeds 250°C. (Tg) may include a polymer resin of 200°C or lower. And, the coating layer 5 may be located only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region 1 and the second region 2, and the coating layer 5 may be located on at least the surfaces of the first region 1 and the second region 2. It can be located in some places.

열가소성 수지는 성형성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용이한 반면 열에 의해 변형되고, 열경화성 수지는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으나 가공이 용이하지 않다. Thermoplastic resins have excellent moldability and are easy to process, but are deformed by heat, and thermosetting resins are not deformed by heat, but are not easy to process.

따라서, CID 가스켓(14)이 열가소성 수지만 포함할 경우, 이차 전지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CID 가스켓(14)의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CID 가스켓(14)이 열경화성 수지만 포함할 경우, 성형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herefore, if the CID gasket 14 contains only thermoplastic resin, a problem occurs in which the shape of the CID gasket 14 is deformed by heat generated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and if the CID gasket 14 contains only thermosetting resin, a problem occurs. , problems that make molding difficult may occur.

본 발명에 따른 CID 가스켓(14)은 성형성이 우수하여 가공성이 용이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본체(4)를 형성하고, 이차 전지 내부에서 열이 발생되어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본체(4)가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팅층(5)은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ID gasket 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main body 4 using a thermoplastic resin that has excellent moldability and is easy to process, and heat is generated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to form the main body 4 containing the thermoplastic resin. To prevent deformation by heat, the coating layer 5 may include a thermosetting resin that is not deformable by hea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100: 이차 전지
10: 캡 어셈블리
11: 탑 캡
12: 안전 벤트
13: 전류차단소자
14: CID 가스켓
15: 밀봉 가스켓
20: 전극 조립체
30: 케이스
31: 비딩부
32: 크림핑부
1: 제1 영역
2: 제2 영역
3: 제3 영역
4: 본체
5: 코팅층
100: secondary battery
10: Cap assembly
11: Top cap
12: Safety vent
13: Current blocking element
14: CID gasket
15: Sealing gasket
20: Electrode assembly
30: case
31: Beading part
32: Crimping part
1: First region
2: Second area
3: Third area
4: Body
5: Coating layer

Claims (10)

이차전지 케이스의 개구부 상단에 결합되고, 탑 캡, 안전 벤트, 전류차단소자(CID, Current Interruptive Device) 및 CID 가스켓을 포함하는 캡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CID 가스켓은 서로 성질이 상이한 2 이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캡 어셈블리.
In the cap assembly coupled to the top of the opening of the secondary battery case and including a top cap, a safety vent, a current interruptive device (CID), and a CID gasket,
A cap assembly wherein the CID gasket includes two or more parts with different properti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ID 가스켓은 상기 전류차단소자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1 영역, 상기 안전 벤트와 마주보는 상기 전류차단소자의 일면에 위치된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캡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ID gasket includes a first area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an end of the current blocking element, a second area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current blocking element facing the safety vent, and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 cap assembly comprising a third region connecting the region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CID 가스켓의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영역의 표면에 열경화성 수지가 코팅되는 것인 캡 어셈블리. The cap assembly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to third regions of the CID gasket include a thermoplastic resin, and a surface of the third region is coated with a thermosetting resi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CID 가스켓의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CID 가스켓 표면 전체에 열경화성 수지가 코팅되는 것인 캡 어셈블리. The cap assembly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to third regions of the CID gasket include a thermoplastic resin,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CID gasket is coated with a thermosetting resi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영역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캡 어셈블리. The cap assembly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include a thermoplastic resin, and the third region includes a thermosetting resi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영역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캡 어셈블리. The cap assembly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nclude a thermoplastic resin and a thermosetting resin, and the third region includes a thermosetting resi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ID 가스켓은 본체 및 상기 본체 표면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와 성질이 상이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본체의 전체 표면적에 대해 30% 내지 100%의 표면에 위치되는 것인 캡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ID gasket includes a main body and a coating layer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different properties from the main body,
The cap assembly wherein the coating layer is located on a surface of 30% to 100% of the total surface area of the main body.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캡 어셈블리. The cap assembly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coating layer includes a thermosetting resi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ID 가스켓은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CID 가스켓은 전체 부피에 대하여,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부피비는 10:90 내지 70:30인 것인 캡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ID gasket includes a thermoplastic resin and a thermosetting resin,
The CID gasket is a cap assembly wherein a volume ratio of the thermoplastic resin and the thermosetting resin is 10:90 to 70:30 with respect to the total volume.
일면에 개구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케이스;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캡 어셈블리 및
상기 이차전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전지 조립체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A secondary battery case including an opening on one side;
A cap assembl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nd
Battery assembly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case
A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a.
KR1020220073914A 2022-06-17 2022-06-17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2301733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914A KR20230173318A (en) 2022-06-17 2022-06-17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914A KR20230173318A (en) 2022-06-17 2022-06-17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318A true KR20230173318A (en) 2023-12-27

Family

ID=89378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914A KR20230173318A (en) 2022-06-17 2022-06-17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331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803A (en) 2014-10-02 2016-04-12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Top Cap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803A (en) 2014-10-02 2016-04-12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Top Cap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7532B2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gas discharge means
US11329348B2 (en) Cylindrical battery cell comprising metal can having groove
KR101201746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0551887B1 (en) Secondary battery
KR100833745B1 (en) Rechageable battery
US9118071B2 (en) Rechargeable battery
US20110070466A1 (en) Secondary battery pack providing excellent productivity and structural stability
US20070160904A1 (en)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673029B2 (en) High power secondary battery
US20090263703A1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0399783B1 (en) Secondary battery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of
US20100136421A1 (en) Cell cap assembly with recessed terminal and enlarged insulating gasket
JP7146335B2 (en) venting device
KR20120064172A (en)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CN113851687A (en) Rechargeable battery
US20230087398A1 (en) Secondary Battery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050306B1 (en) Secondary battery
KR101764466B1 (en) Secondary battery
KR20230173318A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N115312877A (en) Secondary battery
KR100760786B1 (en) Secondary battery and the same using method
KR100696787B1 (en) Cap Assembl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ith the same
KR102265207B1 (en) Gasket of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KR20080036737A (en) Secondary battery
KR20140136245A (en) Washer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