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153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153A
KR20230173153A KR1020237039574A KR20237039574A KR20230173153A KR 20230173153 A KR20230173153 A KR 20230173153A KR 1020237039574 A KR1020237039574 A KR 1020237039574A KR 20237039574 A KR20237039574 A KR 20237039574A KR 20230173153 A KR20230173153 A KR 20230173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ing device
aerosol generating
heat transfer
transfer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이시아 위
중리 쉬
용하이 리
Original Assignee
센젠 퍼스트 유니온 테크놀러지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젠 퍼스트 유니온 테크놀러지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센젠 퍼스트 유니온 테크놀러지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73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15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85Maintenance, e.g. cleaning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흡입가능한 재료를 함유한 에어로졸 생성 제품의 적어도 일부가 착탈가능하게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되게 하는 입구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제품 내의 흡입가능한 재료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히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입구와 상기 히터 사이에 구비되는 열전달 소자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열전달 소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제품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될 때, 상기 에어로졸 생성 제품의 적어도 일부 표면과 열전도 접촉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제품의 일부 열량을 전이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은 열전달 소자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제품의 일부 열량을 전이시켜, 흡입자가 흡입 시 또는 첫모금을 흡입할 때 쉽게 작열통을 느끼는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의 흡입 체험을 향상시켰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시스템
본 출원은 2021년 04월 30일 금요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되고 출원번호가 2021104782722이며, 명칭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시스템”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당해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에 통합된다.
본 출원은 흡연 세트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담배와 시가 등 흡연 제품은 사용 기간에 연초를 연소시켜 연무를 발생시킨다. 이미 비연소 상황에서 화합물을 방출하는 제품을 통하여 이러한 연초를 연소하는 물품을 위하여 대체품을 제공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제품의 예시는 소위 말하는 가열 비연소 제품이고, 이것은 연초를 연소하는 것이 아니라 연초를 가열하는 것을 통하여 화합물을 방출한다.
출원 공개번호가 CN109068748A인 문헌은 흡입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는 장치를 공개하며; 소모품이 장치에 삽입될 때, 중공 캐비티와 소모품 사이에 에어 갭 존재하고, 차가운 공기가 장치의 외부로부터 통풍 경로를 통하여 캐비티로 진입할 수 있으며; 나아가 온도를 낮추고 흡입가능한 재료로부터의 가열 휘발 성분이 방출하는 수증기 성분의 함량을 낮추는데 유리하다.
해당 스모킹 세트는 장치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사용하여 담배에 대하여 냉각을 진행하기 때문에 냉각 효과가 썩 이상적이지 못하고, 흡입자는 흡입 시 쉽게 작열통을 느끼며; 특히 첫모금을 흡입할 때, 담배 중의 수분 함량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열을 받아 증발 후 열량이 비교적 높은 수증기를 함유하기 때문에 흡입자의 감각이 더욱 선명하다.
본 출원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여, 종래의 스모킹 세트가 쉽게 흡입자로 하여금 흡입 시 작열통을 느끼게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일 양태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바,
흡입가능한 재료를 함유한 에어로졸 생성 제품의 적어도 일부가 착탈가능하게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되게 하는 입구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제품 내의 흡입가능한 재료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히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입구와 상기 히터 사이에 구비되는 열전달 소자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열전달 소자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제품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될 때, 상기 에어로졸 생성 제품의 적어도 일부 표면과 열전도 접촉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제품의 일부 열량을 전이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다른 일 양태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에어로졸 생성 제품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시스템은, 열전달 소자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제품의 일부 열량을 제거하여, 흡입자가 흡입 시 또는 첫모금을 흡입할 때 쉽게 작열통을 느끼는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의 흡입 체험을 향상시켰다.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는 이것과 대응되는 도면 중의 그림을 통하여 예시적 설명을 진행하지만, 이러한 예시적 설명은 실시예를 한정하지 않고,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표시하고, 특수하게 설명한 것을 제외하고 도면 중의 그림은 비례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5은 도 4의 다른 일 시각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히터의 도면이다.
본 출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아래, 첨부된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하여 나아가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한 요소가 다른 한 요소에 "고정되었다"할 때, 이는 직접 다른 요소 상에 있거나 또는 그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한 요소가 다른 한 요소에 "연결되었다"할 때, 이는 직접 다른 요소에 연결되거나 또는 그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상”, “하”, “좌”, “우”, “내”, “외” 및 이와 유사한 기술은 설명을 위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별도의 정의가 있지 않는 한, 본 명세서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출원의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들이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뜻과 같다. 본 명세서 중의 본 출원의 설명에 사용된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지 본 출원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 사용된 “및/또는”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련 나열된 항목의 임의의 및 모든 조합이 포함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방식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을 제공하는 바, 하기 구성을 포함한다.
하우징(13)은 상부 커버, 본체 및 하부 커버(미도시) 등 여러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3) 내부에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히터(131), 셀(132), 회로(133) 등을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3)은 반대편의 제1단과 제2단을 구비하며, 제1단은 입구(13a)를 구비하고, 제2단은 청결구(13b)를 구비한다. 적어도 일부 에어로졸 생성 제품(20)이 입구(13a)를 통하여 착탈가능하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삽입된다. 제1단 상에는 순차적으로 열전달 소자(12)와 커버링 어셈블리(11)를 구비하고, 커버링 어셈블리(11)는 하우징(13)에 대하여 좌우로 슬라이딩가능한 슬라이딩 커버 및 입구(13a)와 대응되는 통공을 구비하며, 슬라이딩 커버의 이동을 통하여 입구(13a)를 열거나 가릴 수 있다. 제2단 상에는 청결 마개(14)를 구비하고, 청결 마개(14)는 착탈가능하게 청결구(13b)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삽입된다. 에어로졸 생성 제품(2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삽입될 때, 청결 마개(14)는 단부 스톱을 구현하여 에어로졸 생성 제품(20)의 가열 구간(23)을 가열 영역에 유지시킬 수 있다. 청결 마개(14)는 또한 입기 통로를 구비하고, 외부 차가운 공기가 해당 입기 통로로부터 유입되어 히터(131)를 거쳐 입구(13a)로 유출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화살표를 참조할 수 있다.
히터(131)는 에어로졸 생성 제품(20) 내의 흡입가능한 재료를 가열하여 흡입가능한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도6은 본 출원의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히터(131)로서, 히터(131)는,
캐비티(11)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캐비티(11)를 에워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 기저체(1311)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기저체(1311)는 제1단과 제2단을 포함하고,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표면으로 연장된다. 기저체(1311)는 실린더 형상, 각뿔대 형상 또는 기타 기둥체 형상일 수 있다. 기저체(1311)는 실린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기저체(1311) 중부를 관통하는 실린더 형상의 홀이 가열 캐비티를 형성하며, 홀의 내경은 에어로졸 형성 제품(20)의 외경보다 조금 커, 에어로졸 생성 제품(20)을 가열 캐비티 내에 넣고 가열을 진행하기 유리하다. 가열 캐비티는 입구(13a), 청결구(13b)과 대체로 직선으로 연통된다. 기저체(1311)는 석영 유리, 도자기 또는 옴도 등 내고온이고 투명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또한 비교적 높은 적외선 투과율을 갖는 기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적외선 투과율이 95% 이상인 내고온 재료이고, 구체적으로는 여기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적외선 전열 코팅층(1312)은 기저체(1311)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적외선 전열 코팅층(1312)은 기저체(1311)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고, 또한 기저체(1311)의 내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적외선 전열 코팅층(1312)은 전기 전력이 생성하는 열량을 접수하고, 나아가 일정한 파장의 적외선을 생성하는 바, 예를 들면 8μm ~ 15μm의 원적외선이다. 적외선의 파장과 흡입가능한 재료의 흡수 파장이 매칭될 때, 적외선의 에너지는 쉽게 흡입가능한 재료에 흡수될 수 있다. 적외선의 파장은 한정하지 않는 바, 0.75μm ~ 1000μm의 적외선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μm ~ 400μm의 원적외선이다.
전도 소자는 기저체(1311) 상에 이격 구비되는 제1 전극(1313)과 제2 전극(1314)을 포함하여, 상기 전기 전력을 적외선 전열 코팅층(1312)으로 피딩한다. 제1 전극(1313)과 제2 전극(1314)은 모두 적어도 일부 적외선 전열 코팅층(13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가 적외선 전열 코팅층(1312)을 거쳐 그 중의 한 전극으로부터 다른 한 전극으로 흐르게 한다.
제1 전극(1313)과 제2 전극(1314)은 기저체(1311)의 중심축을 따라 대칭 구비된다. 제1 전극(1313)은 기저체(1311)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플링 전극(1313b) 및 커플링 전극(1313b)로부터 기저체(1311)의 제1단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바형 전극(1313a)을 포함하고, 커플링 전극(1313b)은 적외선 전열 코팅층(1312)과 접촉하지 않고, 바형 전극(1313a)의 적어도 일부는 적외선 전열 코팅층(1312)과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을 형성한다. 제2 전극(1314)은 기저체(1311)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플링 전극(1314b) 및 커플링 전극(1314b)로부터 기저체(1311)의 제1단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바형 전극(1314a)을 포함하고, 커플링 전극(1314b)은 적외선 전열 코팅층(1312)과 접촉하지 않고, 바형 전극(1314a)의 적어도 일부는 적외선 전열 코팅층(1312)과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을 형성한다.
본 예시에서, 제1 전극(1313)과 제2 전극(1314)은 모두 전도 코팅층이고, 전도 코팅층은 전도 코팅층은 금속 코팅층 또는 전기 전도 테이프 등일 수 있으며, 금속 코팅층은 은, 금, 팔라듐, 백금, 구리, 니켈, 몰리브덴, 텅스텐, 니오븀 또는 상기 금속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기저체(1311) 외부에 슬리브 구비되는 단열관을 더 포함한다. 단열관은 반경 방향으로 구비되는 내부관과 외부관을 포함하고,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며, 밀폐 공간 내에는 진공을 형성하거나 또는 기체를 충전시키거나 또는 단열 재료를 충전시킬 수 있는 등이다. 기체는 불활성 기체, 공기, 이산화탄소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단열 재료는 에어로겔, 운모편, 운모관, 산화알루미늄 미세공 세라믹, 근청석, 암면판 또는 암면 펠트 등 낮은 열전도율의 재료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적외선 전열 코팅층(1312), 제1 전극(1313)과 제2 전극(1314)이 구성하는 적외선 방출기는 도 3에 도시된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타 예시에서, 적외선 방출기는 열 왈성화의 적외선 복사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기저체(1311) 상에 권취되는 박막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등이다.
또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상기 예시에서 히터(131)는 적외선 가열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기타 예시에서, 히터(131)의 가열 방식은 또한 저항 가열, 전자기 가열 등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히터(131)의 수량도 여기에서 제한하지 않는 바,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예시에서, 열전달 소자(12)는 파이프 케이스 및 파이프 케이스 내에 위치하는 모세 흡액심을 포함하고, 파이프 케이스 내부에 일정한 음압을 형성한 후 적당량의 작동 액체를 충전시켜, 파이프 케이스 내벽에 밀착된 흡액심 모세 다공 재료에 액체가 충분하게 충전된 후 다시 파이프 케이스를 밀폐시킨다. 이로써 열전달 소자(12)의 일단이 열을 받을 때, 파이프 케이스 내의 작동 액체가 빠르게 기화되고, 증기가 열확산 동력 하에서 타단으로 흐르며, 냉각단에서 응결되어 열량을 방출하고, 작동 액체는 다시 모세 흡액심을 따라 모세 작용에 의해 증발단으로 흘러 복귀하며, 이렇게 열전달 소자(12) 양단 온도가 같아질 때까지 순환 반복한다.
파이프 케이스는 예를 들면 구리, 알루미늄, 탄소강, 스테인리스강, 합금강 등 높은 열전도율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작동 액체는 예를 들면 물, 액체 암모니아, 액체 수소, 아세트산, 파라핀 등 비열이 비교적 높은 재료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시에서, 열전달 소자(12)는 삽입부(121)와 연장부(122)를 포함한다.
삽입부(121)는 입구(13a)와 히터(131) 사이에 구비되고, 반대편의 근위 단부(121a)와 원위 단부(121b)를 구비한다. 근위 단부(121a)는 입구(13a)에 근접하여 구비되건, 또는 입구(13a)와 나란히 구비되며, 원위 단부(121b)는 입구(13a)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연장 삽입되는 바, 즉 히터(131)를 향하여 연장된다.
본 예시에서, 삽입부(121)는 에어로졸 생성 제품(20)의 일부를 에워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는 바, 에어로졸 생성 제품(20)은 삽입부(121)의 관강을 관통하고 나아가 적어도 일부 히터(131) 내에 삽입된다. 선택가능한 실시로서, 상기 삽입부(121)의 내부 표면은 하나 또는 복수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 구비된 돌출 불럭(미도시)을 구비하며; 이로써 에어로졸 생성 제품(2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삽입될 때, 상기 돌출 블럭은 에어로졸 생성 제품(20)과 접촉을 유지한다.
기타 예시에서, 삽입부(121)가 에어로졸 생성 제품(20)의 일부를 에워싸는 형상, 예를 들면 반관 형상(단면이 아크형)이 가능하며; 삽입부(121)는 또한 에어로졸 생성 제품(20)의 적어도 일부 표면과 열전도 접촉되는 편상, 바형, 기타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형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가능한 실시로서, 삽입부(121)의 수량은 하나 또는 복수이다.
연장부(122)는 근위 단부(121a)로부터 삽입부(121)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그 형상은 하우징(13) 상단의 형상과 대체로 매칭된다. 연장부(122)는 하우징(13) 상에 유지되고, 접착 재료를 통하여 하우징(13) 상에 고정되거나, 또는 고정 연결 부재를 통하여 하우징(13)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도 3을 결부시켜 이해하면, 에어로졸 생성 제품(20)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구성하고, 에어로졸 생성 제품(20)은 필터 구간(21), 흡입가능한 재료를 함유하는 가열 구간(23), 필터 구간(21)과 가열 구간(23)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 구간(22)을 포함한다.
흡입가능한 재료는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의 기질이다. 이러한 휘발성 화합물은 해당 흡입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는 것을 통하여 방출할 수 있다. 흡입가능한 재료는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거나 또는 고체와 액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가능한 재료는 흡착, 코팅, 침지 또는 기타 방식을 통하여 캐리어 또는 지지 부품에 적재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제품(2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삽입될 때, 가열 구간(23)은 기저체(1311)의 가열 캐비티에 위치하고, 열전달 소자(12)는 연결 구간(22)과 열전도 접촉된다. 이로써 흡입 시, 연결 구간(22)의 일부 열량은 열전달 소자(12) 내의 작동 액체의 상 변환을 통하여 흡수 전이되어, 연결 구간(22) 또는 필터 구간(21) 위치의 온도를 낮추어, 흡입자가 흡입 시 또는 첫모금을 흡입할 때 쉽게 작열통을 느끼는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의 흡입 체험을 향상시켰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열전달 소자(12)는 필터 구간(21) 및 연결 구간(22)과 열전도 접촉(직접 접촉 또는 간접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다. 에어로졸 생성 제품(20) 중의 연결 구간(22)은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기타 예시에서, 에어로졸 생성 제품(20)은 또한 연결 구간(22)이 없을 수 있는 바, 즉 에어로졸 생성 제품(20)은 단지 필터 구간(21), 흡입가능한 재료를 함유하는 가열 구간(23)만 포함하며; 이때, 에어로졸 생성 제품(2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삽입될 때, 가열 구간(23)은 기저체(1311)의 가열 캐비티에 위치하고, 열전달 소자(12)는 필터 구간(21)의 일부와 열전도 접촉된다. 선택가능한 실시로서, 에어로졸 생성 제품(20)이 가열 캐비티에 접촉될 때, 열전달 소자(12)는 필터 구간(21) 외부 표면의 일부에 둘러싸이고, 해당 부분은 필터 구간(21) 말단과 멀리 떨어진 일부 표면 영역일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에어로졸 생성 제품(20) 하유의 일부 열량을 전이시켜, 필터 구간(21) 특히 입술과 접촉하는 필터 구간(21) 말단 온도를 낮추는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열전달 소자(12)가 히터(131)의 열량을 전이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 방면으로 열전달 소자(12)와 히터(131)가 비접촉을 유지하고, 다른 일 방면으로 삽입부(121)의 원위 단부(121b)와 히터(131)의 이격 거리(h1)가 원위 단부(121b)와 입구(13a) 사이의 이격 거리(h2)보다 큰 바, 바람직하게는 h1≥2*h2이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기타 예시에서, 열전달 소자(12)가 모세 흡액심을 포함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작동 액체는 중력 또는 기타 작용력을 통하여 증발단으로 흘러 복귀할 수 있다.
또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기타 예시에서, 열전달 소자(12)는 비열이 높은 재료를 포함하지 않는 것도 가능한 바, 그 구체적인 구조는 도 4 내지 도 5 및 전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열전달 소자(12)는 내부에 작동 액체를 충전시킬 필요가 없으며, 실심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일 예시에서, 열전달 소자(12)의 일부가 높은 열전도율 재료를 포함하고, 다른 일부가 높은 비열 재료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상기 예시에서는 모두 작동 액체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는 바, 즉 작동 액체의 액상으로부터 기상으로의 변환을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제품(20)의 일부 열량을 전이시킨다. 쉽게 연상할 수 있는 것은, 기타 예시에서, 기타 상 변환 재료, 예를 들면, 밀랍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 바, 밀랍의 고상으로부터 액상으로의 변환을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제품(20)의 일부 열량을 전이시킨다.
셀(132)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전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셀(132)은 전력을 제공하여 히터(131)에 대하여 가열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셀(132)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기타 소자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셀(132)은 재충전 가능 전지 또는 1 회용 전지일 수 있다. 셀(132)은 인산철리튬(LiFePO4) 전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셀(132)은 코발트산리튬(LiCoO2) 전지 또는 티탄산리튬 전지일 수 있다.
회로(133)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전반적인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회로(133)는 셀(132)과 히터(131)의 조작을 제어할 뿐 아니라, 또한 에어로졸 제어 장치(100) 중의 기타 소자의 조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회로(133)는 온도 센서가 검출한 히터(131)의 온도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정보에 의하여 셀(132)이 히터(131)로 제공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지만, 본 출원은 많은 서로 다른 형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실시예는 본 출원의 내용에 대한 추가적인 제한이 아니며, 이러한 실시예를 제공하는 목적은 본 출원이 공개하는 내용이 더욱 투철하게 전면적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기술적 특징이 계속하여 상호 조합되어 형성하는 위에서 예시하지 않은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모두 본 출원의 명세서의 기재 범위에 속하며, 나아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있어서, 상기 설명에 의하여 개선 또는 변환을 진행할 수 있으며, 모든 이러한 개선과 변환은 모드 본 출원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7)

  1.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흡입가능한 재료를 함유한 에어로졸 생성 제품의 적어도 일부가 착탈가능하게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되게 하는 입구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제품 내의 흡입가능한 재료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히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입구와 상기 히터 사이에 구비되는 열전달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 소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제품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될 때, 상기 에어로졸 생성 제품의 적어도 일부 표면과 열전도 접촉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제품의 일부 열량을 전이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소자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대향되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근위 단부는 상기 입구에 근접하여 구비되고, 상기 원위 단부는 상기 히터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제품의 일부 표면을 에워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내부 표면은 돌출 블럭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 블럭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제품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될 때, 상기 에어로졸 생성 제품과 접촉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블럭의 수량은 복수 개이고, 복수 개의 돌출 블럭은 상기 삽입부의 내부 표면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원위 단부는 상기 히터와 비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단부와 상기 히터의 이격 거리는 상기 원위 단부와 상기 입구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단부와 상기 히터의 이격 거리는 상기 원위 단부와 상기 입구 사이의 거리의 2 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소자는 상기 하우징 상에 유지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삽입부의 근위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소자의 재료는 구리, 알루미늄, 탄소강, 스테인리스강, 합금강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소자는 상 변환 재료를 더 포함하여, 상기 상 변환 재료의 상 변환을 통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제품의 일부 열량을 전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소자는 파이프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 변환 재료가 상기 파이프 케이스 내에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 변환 재료는 물, 액체 암모니아, 액체 수소, 아세트산, 파라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5.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제품 및 제1항 내지 제14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제품은 필터 구간, 흡입가능한 재료를 함유하는 가열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 소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필터 구간 표면과 열전도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제품은 필터 구간, 흡입가능한 재료를 함유하는 가열 구간, 상기 필터 구간과 상기 가열 구간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 소자는 상기 연결 구간의 표면과 열전도 접촉하거나, 또는 상기 열전달 소자는 상기 필터 구간의 표면 및 상기 연결 구간의 표면과 모두 열전도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0237039574A 2021-04-30 2022-04-15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시스템 KR202301731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478272.2A CN115251469A (zh) 2021-04-30 2021-04-30 气溶胶生成装置及系统
CN202110478272.2 2021-04-30
PCT/CN2022/087138 WO2022228154A1 (zh) 2021-04-30 2022-04-15 气溶胶生成装置及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153A true KR20230173153A (ko) 2023-12-26

Family

ID=83744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574A KR20230173153A (ko) 2021-04-30 2022-04-15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31407A1 (ko)
JP (1) JP2024516644A (ko)
KR (1) KR20230173153A (ko)
CN (1) CN115251469A (ko)
WO (1) WO2022228154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0113B (zh) * 2015-01-29 2018-05-04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加热不燃烧烟草制品
TW201742556A (zh) 2016-05-13 2017-12-1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用以加熱可吸菸材料之裝置(一)
CN110074467B (zh) * 2019-05-27 2021-03-26 江南大学 一种安装在香烟加热器上的制冷模块
CN110063526B (zh) * 2019-05-27 2020-12-01 江南大学 一种具有可拆卸制冷装置的香烟加热器
CN110063528B (zh) * 2019-05-27 2020-09-04 江南大学 一种香烟加热器
CN112205669B (zh) * 2019-06-25 2024-05-17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具有冷却构件的低温烟具
CN215958353U (zh) * 2021-04-30 2022-03-08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气溶胶生成装置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31407A1 (en) 2024-03-06
JP2024516644A (ja) 2024-04-16
CN115251469A (zh) 2022-11-01
WO2022228154A1 (zh)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2894B2 (en) Aerosol-generating system including a cartridge containing a gel
US8430106B2 (en) Volatilization device
EP3876770B1 (en) Vaporizer device with more than one heating element
KR20230050400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적외선 히터
KR102661609B1 (ko) 불연성 흡연 장치 및 그의 요소들
CN215347057U (zh) 气雾生成装置及用于气雾生成装置的电阻加热器
KR20230158106A (ko) 가열 기구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20240122248A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infrared heater
CN215958353U (zh) 气溶胶生成装置及系统
CN213604399U (zh) 气溶胶生成装置以及红外加热器
WO2023208105A1 (zh) 气溶胶制品加热组件及气溶胶生成装置
WO2023030412A1 (zh) 气溶胶生成装置
KR2023017315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시스템
CN214962640U (zh) 气溶胶生成装置
KR20230038554A (ko) 히터 및 해당 히터를 포함하는 담배 도구
RU28178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с нагревателем с холодной зоной
CN110584221A (zh) 内插式加热系统和加热不燃烧型烟草装置
CN220545828U (zh) 气雾生成装置及用于气雾生成装置的加热器
RU2817680C1 (ru)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с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ым нагревателем
RU2804621C2 (ru)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и способ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RU2799825C1 (ru)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CN212088097U (zh) 烟草加热装置
CN117981929A (zh) 加热器、气溶胶生成装置及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