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799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799A
KR20230172799A KR1020220073422A KR20220073422A KR20230172799A KR 20230172799 A KR20230172799 A KR 20230172799A KR 1020220073422 A KR1020220073422 A KR 1020220073422A KR 20220073422 A KR20220073422 A KR 20220073422A KR 20230172799 A KR20230172799 A KR 20230172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leg
processing device
top panel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현수
이준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3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799A/ko
Priority to PCT/KR2023/008290 priority patent/WO2023244034A1/ko
Publication of KR20230172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1Arrangements for transporting, moving, or setting washing machines; Protective arrangements for use during transpor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캐비닛는 상기 제1처리장치의 상면을 정의하며 상기 제2캐비닛을 지지하는 탑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캐비닛은 상기 탑패널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탑패널에 의해 지지되는 레그부를 포함하며, 상기 탑패널은 상기 제2캐비닛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함입되고 상기 레그부가 안착 및 지지되는 레그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의 내부에는 상기 레그안착부를 향해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측의 제1처리장치와 상측의 제2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의 세탁물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거나 건조시키는 등, 상기 세탁물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가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하도록 마련된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세제를 드럼 내부에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세탁물은 드럼 및 세탁수와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는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세제 공급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세제란 섬유 세제, 섬유 유연제 및 섬유 표백제 등 세탁 효과를 증진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세제는 가루(분말) 형태의 세제, 액체(액상) 형태의 세제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가 세탁물을 건조시키도록 마련된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한 공기를 세탁물에 제공하여 상기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드럼 및 세탁물에 제공되는 공기를 가열하거나 건조하게 하는 가열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건조한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세탁물에 존재하는 수분이 상기 건조한 공기에 의해 증발되어 제거되고 세탁물의 물기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관련문헌 KR 10-2008-0021921 A1에는 복수의 처리장치가 함께 구비된 의류처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하측에 제1처리장치가 마련되고, 상측에 제2처리장치가 마련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는 큰 하중을 가질 수 있고, 제조과정이나 사용공간에서의 설치과정에서 제2처리장치는 제1처리장치의 위에 안착되어 상기 제1처리장치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제2처리장치는 제1처리장치상에 적층되는 경우에만 사용 가능한 지지 구조를 가지며, 독립적으로 지면상에 위치되어 사용되기 위한 지지 구조를 가지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제2처리장치는 반드시 제1처리장치에 적층된 상태로 사용될 것은 아니며, 따라서 제2처리장치가 지면상에 놓여진 상태로 독립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구조가 고려될 필요가 있다.
관련하여, 제2처리장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레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그부는 지면상에 직접 위치되거나, 제1처리장치 위에 얹혀진 상태 모두에서 효과적으로 제2처리장치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해진다.
또한, 제2처리장치가 지면상에 위치되는 경우 및 제1처리장치상에 적층되는 경우 각각에 대한 지지구조를 별개로 설계하는 것은 제품의 생산 공정에 대한 효율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경우에 적용되는 지지 구조가 다른 하나의 경우에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제2처리장치가 지면상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 및 제1처리장치와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경우 모두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나아가 위와 같이 다양한 배치 환경에 대해 효과적으로 전환이 가능하며 효율적인 제조 공정이 적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개발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처리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처리장치가 안정적인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처리장치 위에 안착되는 제2처리장치가 독립적으로 활용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지지 구조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처리장치 각각이 다양한 배치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지지 구조를 가지며 효율적인 생산 공정이 적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처리장치 각각의 내부공간을 효과적으로 확장하며 상기 복수의 처리장치의 적층 구조가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2처리장치는 제1처리장치에 의해 지지되기 위한 레그부를 포함한다. 레그부는 제1처리장치를 향해 개방되는 공간을 포함한다.
레그부는 그 자체로 제1처리장치 위에 얹혀져 지지되기 유리한 구조를 가지며, 나아가 레그부는 지면상에 직접 지지되기 위해 강도를 보강하고 지지 면적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레그부가 결합될 수 있다.
추가레그부는 레그부의 개방된 공간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어 레그부와 결합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노출되는 부분은 레그부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짐으로써 지지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는 제2처리장치를 향해는 일면상에 탑패널이 마련될 수 있고, 탑패널에는 제2처리장치의 레그부가 삽입 및 안착되는 레그안착부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제2처리장치가 안정적으로 안착 및 지지될 수 있다.
탑패널에는 제1캐비닛의 내부공간을 확장하거나 제2캐비닛의 베이스부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그안착부는 위와 같은 복수의 면이 형성되더라도 구조적인 간섭이 최소화된 상태로 탑패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그안착부는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복수의 면 중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제1면 및 제2면의 경계상에 마련되어 상기 제1면 및 제2면의 형성에 대한 간섭이 최소화되면서 레그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효과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제1캐비닛 및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을 포함하는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1캐비닛 위에 배치되는 제2캐비닛 및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을 포함하는 제2처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캐비닛는 상기 제1처리장치의 상면을 정의하며 상기 제2캐비닛을 지지하는 탑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캐비닛은 상기 탑패널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탑패널에 의해 지지되는 레그부를 포함한다.
상기 탑패널은 상기 제2캐비닛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함입되고 상기 레그부가 안착 및 지지되는 레그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의 내부에는 상기 레그안착부를 향해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레그부는 중공 타입의 기둥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레그부는 상기 레그부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 가능한 추가레그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캐비닛은 상기 제2처리장치의 하면을 정의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레그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레그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레그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패널은 지면과 나란하되 높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패널은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다른 높이를 가지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레그안착부는 복수로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경계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그안착부는 상기 레그부의 하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레그안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면의 높이는 상기 제1면의 높이보다 더 높고,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면 아래에 위치되는 내부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제1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구성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의류처리코스를 수행하는 제1제어부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탑패널은 하방으로 함입되고 접지선이 연결되는 접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탑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고, 지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탑패널의 외측으로 개방되며,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선이 연결되는 접지면 및 상기 접지면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접지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지부의 연장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탑패널은 상기 제2캐비닛을 마주보는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면에는 상기 제2캐비닛을 향해 돌출되고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2캐비닛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1가이드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의류처리코스를 수행하기 위한 제1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패널은 상기 가이드면보다 더 높게 위치되고 아래에 상기 제1제어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제어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1드럼이 구비되며 물이 수용되는 터브 및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세제가 저장되어 상기 터브 내부로 상기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패널은 상기 가이드면보다 더 높게 위치되고 아래에 상기 세제공급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세제공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캐비닛은 상기 제1처리장치의 전면을 정의하는 프론트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면은 상기 프론트패널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레그안착부는 복수로 마련되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세제공급면과 상기 프론트패널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닛은 제1처리장치의 후면을 정의하는 리어패널 및 제1측면을 정의하는 제1사이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레그안착부는 복수로 마련되고 그 중 어느 하나는 후방에 상기 리어패널이 위치되고, 제1측방에 상기 제1사이드패널이 위치되며, 전방 및 제2측방에 상기 세제공급면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탑패널은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면보다 더 낮게 위치되는 함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캐비닛은 상기 제2처리장치의 하면을 정의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함몰면을 마주보며 상기 함몰면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는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돌출면에 배치되고 유체가 순환하며 공기 중으로 열을 공급하거나 공급받는 유체순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면은 상기 가이드면보다 더 낮게 위치되는 제1함몰면 및 상기 제1함몰면보다 더 낮게 위치되는 제2함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그안착부는 복수로 마련되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함몰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면은 상기 제1함몰면 위에 위치되는 제1돌출면 및 상기 제2함몰면 위에 위치되며 상기 제1함몰면보다 더 돌출되는 제2돌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순환부는 상기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를 쿨링하는 쿨링팬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상기 제1돌출면 위에 위치되고, 상기 쿨링팬은 상기 제2돌출면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처리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처리장치가 안정적인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처리장치 위에 안착되는 제2처리장치가 독립적으로 활용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지지 구조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처리장치 각각이 다양한 배치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지지 구조를 가지며 효율적인 생산 공정이 적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처리장치 각각의 내부공간을 효과적으로 확장하며 상기 복수의 처리장치의 적층 구조가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전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후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1처리장치와 제2처리장치를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1캐비닛의 탑패널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1캐비닛의 탑패널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2캐비닛의 베이스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1캐비닛의 탑패널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2캐비닛의 베이스부를 나타낸 하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캐비닛의 베이스부에 마련되는 레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캐비닛의 탑패널에 마련되는 레그안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캐비닛의 탑패널상에 안착된 제2캐비닛의 베이스부를 측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캐비닛의 탑패널에 마련되는 접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캐비닛의 탑패널에 마련되는 제1가이드리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캐비닛의 베이스부에 마련되는 제2가이드리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가이드리브 및 제2가이드리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캐비닛의 프론트패널과 후방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캐비닛의 탑패널에 마련되는 융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캐비닛의 베이스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융기부의 아래에 위치되는 세제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공급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8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8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캐비닛의 탑패널에 마련되는 함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캐비닛의 베이스부에 마련되는 돌출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캐비닛의 베이스부에 마련되는 유체순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제1처리장치(100) 및 제2처리장치(200)를 포함한다.
제1처리장치(100) 및 제2처리장치(200)는 각각 의류의 처리를 위한 장치이며,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이 가능하다. 제1처리장치(100) 및 제2처리장치(200)는 서로 연계되어 작동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의류의 처리는 의류의 세탁, 건조, 케어 등 다양한 과정일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0) 및 제2처리장치(200)는 각각 필요에 따라 건조기, 세탁기, 건조/세탁기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0)는 제1캐비닛(110) 및 상기 제1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캐비닛(110)은 제1처리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각종 구성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캐비닛(110)은 복수의 패널 등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캐비닛(110)은 전방에 배치되어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112), 후방에 배치되어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패널(119), 측방에 배치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패널(115), 상방에 배치되어 상면을 형성하는 탑패널(300) 및 하방에 배치되어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부(400) 또는 바텀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패널(112)에는 제1캐비닛(110)의 내부로 의류가 투입되기 위한 의류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패널(112)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의류도어(102)가 구비되어 상기 의류개구가 개폐될 수 있다.
제1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제1드럼(12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드럼(120)은 구동부(13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의류개구를 마주보는 드럼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개구를 통해 투입되는 의류는 드럼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제1드럼(12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0)가 의류의 세탁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경우, 제1처리장치(100)는 제1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수용되는 터브(12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드럼(120)은 상기 터브(125)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제를 상기 터브(125)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경우, 제1처리장치(100)는 제1드럼(120) 내부에 건조 및 가열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공기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처리장치(200)는 상기 제1캐비닛(110) 위에 배치되는 제2캐비닛(210) 및 상기 제2캐비닛(210)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캐비닛(210), 제2의류도어(202) 및 제2드럼(220) 등의 구체적인 특징은 전술한 제1캐비닛(110), 제1의류도어(102) 및 제1드럼(120)에 대한 내용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서 제2처리장치(200)는 제1처리장치(100)의 위에 얹혀질 수 있다. 즉, 제1처리장치(100) 및 제2처리장치(200)는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처리장치(200)의 제2캐비닛(210)은 제1처리장치(100)의 제1캐비닛(110)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캐비닛(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처리장치(100) 및 제2처리장치(200)를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컨트롤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은 제1처리장치(100) 및 제2처리장치(200)에 대해 별도로 마련되거나,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제1캐비닛(110) 및 제2캐비닛(210) 중 어느 하나에 단일개로 마련되어 제1처리장치(100) 및 제2처리장치(200) 각각의 작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캐비닛(210)은 제1캐비닛(110)상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처리장치(100)는 의류의 세탁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터브(125)를 포함하고, 제2처리장치(200)는 상기 제1처리장치(100)상에 배치되어 의류의 처리를 위한 제2드럼(220)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1)가 개시되어 있다.
제1처리장치(100)는 컨트롤패널 등으로부터 명령을 전달받아 제1드럼(120)의 회전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제1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처리장치(200)는 컨트롤패널 등으로부터 명령을 전달받아 제2드럼(220)의 회전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제2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140) 및 상기 제2제어부(240)는 각각 필요에 따라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부(140) 및 제2제어부(240)가 통합된 통합제어부가 제1캐비닛(110) 또는 제2캐비닛(21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2캐비닛(210)은 제1캐비닛(110) 위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제1캐비닛(110) 및 제2캐비닛(210)을 연결하는 후방브라켓(190)이 마련될 수 있다. 후방브라켓(190)은 제1캐비닛(110)의 리어패널(119)과 제2캐비닛(210)에 함께 결합되어 제2캐비닛(210)이 제1캐비닛(110) 상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처리장치(100) 및 제2처리장치(200)의 이동 시 사용자가 쥘 수 있는 핸들부에 해당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처리장치(100) 및 제2처리장치(200)를 분리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제2처리장치(200)는 제1처리장치(100)로부터 위로 분리된 상태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캐비닛(110)는 상기 제1처리장치(100)의 상면을 정의하며 상기 제2캐비닛(210)을 지지하는 탑패널(300)을 포함할 수 있다. 탑패널(300)은 제1캐비닛(110)의 상부에서 제1캐비닛(110)의 내부를 차폐할 수 있고, 위에 얹혀지는 제2캐비닛(210)을 상방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캐비닛(210)은 제2처리장치(200)의 하면을 정의하며 탑패널(300)상에 지지될 수 있는 베이스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400)는 탑패널(300)상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고, 제2캐비닛(210)의 내부에서 다양한 구성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부(400)는 탑패널(300)과 직접 접촉되며 탑패널(300)상에 안착되거나 중간 매개가 되는 부재를 통해 상기 탑패널(300)상에 얹혀질 수도 있다. 제2처리장치(200)는 제조공정 또는 실사용을 위한 거주공간 등에서 제1처리장치(100)가 상에 적층되도록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캐비닛(110)의 탑패널(300)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탑패널(300)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탑패널(300)은 제1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내부구성이나 제2캐비닛(210)의 베이스부(400) 형상 등을 고려하여 제2캐비닛(210)의 안착 및 지지를 위한 효율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탑패널(300)은 제2캐비닛(210)이 직접 지지되는 레그안착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안착부(31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탑패널(300)에 제1레그안착부(310a), 제2레그안착부(310b), 제3레그안착부(310c) 및 제4레그안착부(310d)가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레그안착부(310)는 제1캐비닛(110)의 일부가 제2캐비닛(210)의 베이스부(400)로부터 멀어지도록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그안착부(310)는 제2캐비닛(210)의 베이스부(400)가 지지되기 위한 레그안착면(31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탑패널(300)은 제2캐비닛(210)의 베이스부(400)를 설치 위치로 안내하고 불필요한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1가이드리브(3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리브(370)는 탑패널(300)에 정의되는 가이드면(322)에 마련될 수 있다.
탑패널(300)은 제1캐비닛(110) 내부에 마련되는 제1제어부(140)의 위에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면(322)보다 위로 융기되는 제어면(3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면(332)은 탑패널(300)의 일부가 위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면(322)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제어면(332)은 제1캐비닛(110) 내부와 연통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제1제어부(1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어면(33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어면(332)은 컨트롤패널과의 이격거리가 감소되도록 가이드면(32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탑패널(300)은 상기 가이드면(322)보다 위로 융기된 형태의 융기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융기부(340)는 탑패널(300)의 일부가 위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융기부(340)는 내부에 제1캐비닛(1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0)는 의류의 세탁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1캐비닛(110)의 내부에는 터브(125)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부(15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세제공급부(150)는 상기 융기부(340)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부(150)의 적어도 일부는 융기부(34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융기부(340)의 내부에는 세제공급부(15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으며, 융기부(340)에서 정의되는 융기면(342)은 세제공급부(150)를 위해 공간이 형성되도록 융기된 점에서 세제공급면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탑패널(300)은 함몰면(352)을 포함할 수 있다. 함몰면(352)은 가이드면(322)보다 아래에 위치되도록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함몰면(352)은 탑패널(300)의 일부가 가이드면(322)보다 아래에 위치되도록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면(352)은 제1함몰면(353) 및 제2함몰면(354)을 포함할 수 있고, 제2함몰면(354)은 제1함몰면(353)보다 더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함몰면(354)은 제1함몰면(353)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캐비닛(210)의 베이스부(400)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부(400)는 탑패널(300)상에 효과적으로 안착되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캐비닛(210)은 상기 탑패널(300)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탑패널(300)에 의해 지지되는 레그부(4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레그부(410)는 상기 베이스부(400)에 마련될 수 있다.
레그부(41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7에는 단면의 형상이 대략 사각형에 해당하는 베이스부(400)의 각 모서리 영역에 제1레그부(410a), 제2레그부(410b), 제3레그부(410c) 및 제4레그부(410d)가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부(400)는 제2캐비닛(210)이 제1캐비닛(110)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탑패널(300)의 제1가이드리브(370)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가이드리브(4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이드리브(470)는 베이스부(40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부(400)는 탑패널(300)의 융기부(340)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42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공간(420)은 융기부(340)의 위에 위치될 수 있고, 융기부(340) 이상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융기부(34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420)은 베이스부(400)의 일부가 탑패널(300)로부터 멀어지도록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400)의 일부는 탑패널(300)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면(430)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부(400)는 상기 돌출면(430)상에 다양한 구성이 수용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400)는 제2캐비닛(210)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면(430)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처리장치(200)는 의류의 건조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의류의 건조를 위해 제2드럼(220) 내부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공기순환부(44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순환부(440)에 존재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유체순환부(45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캐비닛(210) 내부에서 베이스부(400)상에는 상기 공기순환부(440) 및 유체순환부(45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순환부(440) 및 유체순환부(450)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돌출면(43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돌출면(430)은 제2캐비닛(210) 내부에서 베이스부(400)상에 상기 공기순환부(440) 및 유체순환부(450) 중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패널(300)의 상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탑패널(300)은 전술한 가이드면(322), 제어면(332), 융기면(342) 및 함몰면(352)을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부(400)의 레그부(410)가 안착되는 레그안착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안착부(310)는 하중 분산의 효율성을 위해 탑패널(300)의 각 꼭지점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탑패널(300)의 일부에는 제1가이드리브(370)가 위치되는 가이드면(322)이 정의될 수 있고, 가이드면(322)의 전방측에는 가이드면(322)보다 위로 돌출되어 위치되는 제어면(332)이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면(322)은 측방향 일측에 편향되어 위치될 수 있고, 타측에는 전술한 융기부(340)의 융기면(342)이 배치될 수 있다. 융기부(340) 또는 융기면(342)은 대략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면(322)의 후방에는 함몰면(352)이 배치될 수 있다. 함몰면(352)은 제1함몰면(353) 내에 제2함몰면(354)이 배치될 수 있다. 탑패널(300)의 측방향 일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융기면(342)이 배치될 수 있고, 타측에는 가이드면(322) 및 함몰면(352)이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400)의 하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탑패널(300)의 가이드면(322), 제어면(332), 융기면(342) 및 함몰면(352)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가 점선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베이스부(400)에서 탑패널(300)의 가이드면(322)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가이드리브(4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리브(470)의 전방에는 탑패널(300)의 제어면(332)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함몰 형성될 수 있고, 융기면(342)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기 융기면(342)이 수용되는 수용공간(420)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면(322)의 후방에는 돌출면(4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면(430)은 탑패널(300)의 제1함몰면(353) 내에 위치되는 제1돌출면(431)과, 탑패널(300)의 제2함몰면(354) 내에 위치되는 제2돌출면(43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탑패널(300)에서 각 영역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면(332)이 가이드면(322)보다 후방에 위치되거나, 함몰면(352)이 가이드면(322)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베이스부(400)는 탑패널(300)의 구조에 대응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 제2캐비닛(210)에 마련되는 레그부(410)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의 레그부(410)가 안착되기 위한 탑패널(300)의 레그안착부(310)가 도시되어 있다.
탑패널(300)은 상기 제2캐비닛(21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함입되고 상기 레그부(410)가 안착 및 지지되는 레그안착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안착부(310)는 탑패널(300)의 일부가 제1캐비닛(110)의 내부를 향해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그안착부(310)는 하방으로 함입된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레그안착부(310)는 레그부(410)의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레그안착부(310)의 단면적은 레그부(410)의 단면적 이상일 수 있다. 제2캐비닛(210)의 레그부(410)는 상기 레그안착부(31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2캐비닛(210)은 제1캐비닛(110)상에 안착되면서 상기 레그부(410)가 레그안착부(310)에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즉, 제2캐비닛(210)은 레그안착부(310)에 수용되는 레그부(410)에 의해 제1캐비닛(110)상에 지지될 수 있다.
레그부(41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형 단면을 가지는 레그부(410)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레그부(410)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레그부(410)는 제2캐비닛(21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레그부(410)는 프론트패널(112), 리어패널(119), 사이드패널(115) 및 베이스부(40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부(40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레그부(4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레그부(410)의 내부에는 상기 레그안착부(310)를 향해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레그부(410)는 파이프 또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레그부(410)에 형성되는 공간은 탑패널(300)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즉, 레그부(410)는 아래로 개방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레그부(410)는 하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을 포함함으로써, 레그부(410)의 성형 과정이 개선될 수 있고, 살빼기 효과에 의해 성형된 레그부(410)의 제품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나아가 후술할 내용과 같이 추가레그부(412) 등을 필요에 따라 설치 가능하게 됨으로써 레그부(410)의 다양한 활용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캐비닛(210)은 상기 제2처리장치(200)의 하면을 정의하는 베이스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410)는 상기 베이스부(40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그부(410)는 베이스부(400)에 마련되고, 제2캐비닛(210)은 베이스부(400)에 구비된 레그부(410)를 통해 탑패널(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레그부(410)는 베이스부(40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 제조되어 베이스부(4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레그부(410)는 중공 타입의 기둥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레그부(410)는 파이프 형상이나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레그부(410)에 결합되는 추가레그부(412)가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그부(410)는 상기 레그부(410)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 가능한 추가레그부(412)와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추가레그부(412)는 레그부(410)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레그부(410)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레그부(412)는 상기 레그부(410)로부터 추가로 연장되거나 지면 등으로부터 지지받기에 유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처리장치(200)는 제1처리장치(100)의 위에 얹혀져 함께 취급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2처리장치(200)만 독립적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캐비닛(210)은 제1캐비닛(110)의 탑패널(300)이 아닌 지면 등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그부(410)는 추가레그부(412)가 결합됨으로써 길이가 연장되거나 강성이 보강될 수 있으며, 나아가 지면 등에 의해 지지되기 용이하도록 지면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2처리장치(200)는 단독 사용을 고려하여 레그부(410)에 추가레그부(412)가 결합된 상태로 제조될 수 있고, 제1처리장치(100)와 함께 이용되는 경우 상기 추가레그부(412)를 제거함으로써 간단하게 제1처리장치(100) 및 제2처리장치(200)의 적층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레그부(410)가 중공 형태로 마련되어 추가레그부(412)가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제2처리장치(200)의 단독 사용이나 제1처리장치(100)와의 적층 구조 구현이 용이해지고, 나아가 단독 사용 및 적층 사용에 모두 편리하게 적용되도록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유리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400)는 상기 레그부(410)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레그부(410)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레그보강리브(4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그보강리브(414)는 레그부(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레그부(410)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추가레그부(412)의 결합 등 활용성 향상 등을 위해 레그부(410)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 레그부(410)의 강성이 낮아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레그부(410)로부터 연장되는 레그보강리브(414)를 통해 레그부(410)가 제2캐비닛(210)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레그보강리브(414)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레그부(410)에는 복수의 레그보강리브(414)가 제공될 수 있다. 레그보강리브(414)는 레그부(410)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레그보강리브(414)는 베이스부(400)에서 레그부(410)와 타 부분을 연결함으로써 레그부(410)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탑패널(300)은 지면과 나란하되 높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이드면(322), 융기면(342) 등 지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탑패널(300)은 아래에 제1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내부구성이 존재할 수 있으며, 위에 베이스부(400)가 안착될 수 있다. 즉, 탑패널(300)은 제1캐비닛(110) 내부에서 다양한 내부구성의 설치공간 확보를 고려하고, 나아가 베이스부(400)의 하면 형상을 고려하여 베이스부(400)의 안정적인 안착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탑패널(300) 중 아래에 제1캐비닛(110)의 내부구성이 배치되는 부분은 상기 내부구성의 배치공간이 확보되도록 위로 융기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400)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은 상기 베이스부(400)의 수용이 용이하도록 하방으로 함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탑패널(300)에서 정의되는 복수의 면이 각각 높이 차이 등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즉, 서로 이웃하는 면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경우, 상기 서로 이웃하는 면은 서로 다른 면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탑패널(300)의 면들은 대체로 지면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경사진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탑패널(300)의 면들은 개수 및 형상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탑패널(300)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면이 형성됨으로써, 제1캐비닛(110)의 내부구성이 배치되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하면서 베이스부(400)의 효율적인 안착이 가능하여 공간 활용적 측면과 의류처리장치(1)의 총 높이를 감소시키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패널(300)은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다른 높이를 가지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레그안착부(310)는 복수로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경계상에 형성될 수 있다.
탑패널(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면(322), 제어면(332), 융기면(342), 함몰면(352) 등 다양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면 및 제2면은 각각 탑패널(300)에 형성되는 다양한 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면과 제2면은 서로 이웃하는 면일 수 있다. 즉, 제1면과 제2면 사이에는 제1면과 제2면의 경계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높이의 제1면 및 제2면 사이의 경계는 높이가 변화되는 단차진 부분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제1면과 제2면의 높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400)의 형상이나 제1캐비닛(110)의 내부구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면은 아래에 제1캐비닛(110)의 내부구성이 배치될 수 있도록 제1면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1면 및 제2면의 높이 결정과 별개로 제2캐비닛(21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레그안착부(310)의 형성은 중요하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의 제1면과 제2면이 형성되더라도 필요에 의해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경계에 걸쳐 레그안착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구성의 효율적인 배치 또는 베이스부(400)의 안정적인 안착을 위해 제1면 및 제2면이 형성된 경우, 제1면 및 제2면의 위치 변경을 최소화하고 베이스부(400)의 레그부(4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레그안착부(3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부(400)의 레그부(4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레그안착부(310)가 배치되고, 상기 레그안착부(310)를 반드시 회피하지 않더라도 필요에 따라 제1면 및 제2면이 효과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탑패널(300)에 복수의 레그부(410)가 형성되고, 서로 높이가 다른 제1면 및 제2면의 경계에 형성되는 제1레그부(410a)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패널(300)상에 안착된 베이스부(400)를 측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그안착부(310)는 상기 레그부(410)의 하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레그안착면(31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레그부(410)는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탑패널(300)에 마련되는 복수의 레그안착부(310)는 상호간의 위치 차이에 의해 서로 함몰되는 깊이는 상이할 수 있으나, 레그부(410)가 지지되는 레그안착면(312)은 모두 지면에 대한 높이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면 및 제2면의 경계에 형성되는 제1레그부(410a) 또한 제2레그부(410b) 등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레그안착면(31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레그안착면(312)은 제1면 및 제2면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면 및 제2면의 경계에 형성되는 레그부(410)는 제1면 및 제2면보다 낮은 깊이까지 함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면이 탑패널(300)의 테두리에서 정의되고, 제2면이 전술한 제어면(332)으로서 정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레그안착부(310) 중 제1레그안착부(310a)가 제1면 및 제2면의 경계상에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제1면보다 상승된 높이를 가지는 제2면은 레그안착부(310)에 의해 일부가 침범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면은 레그안착부(310)와의 경계를 가질 수 있고, 레그안착부(310)는 제2면의 내측으로 침범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도 11에서 제1레그안착부(310a)의 레그안착면(312)은 제1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므로, 제1면 또한 제1레그안착부(310a)와의 경계를 가질 수 있다. 제1면과 레그안착부(310)와의 경계는 제2면과 레그안착부(310)와의 경계와 함께 상기 레그안착부(310)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면에서 레그안착부(310)의 둘레는 제2면의 테두리에 곡선 또는 절곡된 직선의 형태로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1에는 제2면에 원주의 일부 형태로 레그안착부(310)에 대한 경계가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경계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면의 높이는 상기 제1면의 높이보다 더 높고, 상기 제1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면 아래에 위치되는 내부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패널(300)은 다양한 높이의 면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면 중 일부는 제1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구성의 배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승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면은 제1면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며, 그 아래에는 제1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는 어느 하나의 내부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구성의 적어도 일부는 제2면의 상승에 의해 발생되는 공간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드럼(12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구성은 상기 구동부(130)를 제어하며 의류처리코스를 수행하는 제1제어부(140)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면은 전술한 제어면(332)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드럼(12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30)를 제어하여 의류처리코스를 수행하기 위한 제1제어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탑패널(300)은 상기 가이드면(322)보다 더 높게 위치되고 아래에 상기 제1제어부(14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제어면(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면(332)은 제1캐비닛(110)에서 컨트롤패널로부터 명령신호를 전달받고 구동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부(140)의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탑패널(300)은 제어면(332)으로 정의되는 영역이 그 주변 영역보다 융기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면(332)의 아래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캐비닛(110)의 내부에서 바라볼 때, 제1캐비닛(110)의 공간은 상기 제어면(332)이 융기되어 형성됨에 따라 추가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도 4에는 제어면(332)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1제어부(140)가 개념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1제어부(140)는 제어면(332)의 아래에 위치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어면(332)의 높이 증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면(332)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제어면(332)은 제1제어부(140)와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그 주변, 예컨대 제1면 등과의 관계에서 더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4 등에는 제어면(332)이 제1캐비닛(110)의 측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제어면(332)은 전술한 가이드면(322) 및/또는 융기면(342)과 이웃하게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면(322) 및/또는 융기면(342)에 대한 경계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 등에는 탑패널(300)의 전방으로서 프론트패널(112)의 후방측에 제어면(332)이 위치되고 제1제어부(140)가 상기 제어면(332)의 하방에 위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제어면(332)은 탑패널(300)의 측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편향되어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캐비닛(110)의 사이드패널(115)은 측방향 일측에 위치되는 제1사이드패널(116)과 타측에 위치되는 제2사이드패널(117)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면(332)은 제1사이드패널(116)보다 제2사이드패널(117)과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탑패널(300)에서 제어면(332)과 제1사이드패널(116) 사이에는 복수의 레그안착부(310)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 등에는 제4레그안착부(310d)가 상기 제어면(332)과 제2사이드패널(117) 사이에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제2면이 상기 제어면(332)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면(332)의 일부는 레그안착부(310)에 의해 함몰될 수 있다. 즉, 제어면(332)의 둘레는 레그안착부(310)의 둘레 일부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도 4 등에는 제1레그안착부(310a)의 둘레 일부가 제어면(332)의 둘레 일부에 해당하여 양자간의 경계가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1제어부(140)는 레그안착부(310)와 간섭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제어부(140)의 제어면(332)의 하방에 위치되되 제1레그안착부(310a)의 하방에는 위치되지 않거나, 제1레그안착부(310a)의 하방에 위치된 부분은 제1레그안착부(310a)의 레그안착면(312)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1면 및 제2면이 반드시 제어면(332)과 그 주변의 일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레그안착부(310)와 탑패널(300)의 다양한 면이 가지는 배치 관계에 따라 상기 제1면 및 제2면은 제어면(332) 등과 다른 면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도 4 등에는 탑패널(300)의 융기부(340)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처리장치(200)의 레그부(410)는 상기 탑패널(300)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탑패널(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탑패널(300)은 상기 레그부(410)가 안착되는 레그안착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캐비닛(110)은 상기 제1처리장치(100)의 전면을 정의하는 프론트패널(112)을 포함하고, 융기부(340)는 상기 프론트패널(11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레그안착부(310)는 상기 융기부(340)와 상기 프론트패널(1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패널(300)은 일부가 그 주변보다 위로 융기된 융기부(340)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융기부(340)는 프론트패널(11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레그안착부(310)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융기부(340)는 전술한 제어면(332)에 해당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면(332)과 다른 면으로서 마련될 수도 있다. 예컨대, 융기부(340)는 제어면(332)과 상이한 높이를 가지는 융기면(342)을 포함할 수 있다.
융기부(340) 또한 제1캐비닛(110)의 내부공간을 확장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융기부(340)의 내부, 즉 융기면(342)의 아래에는 제1캐비닛(110)의 다양한 내부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패널(300)은 철,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탑패널(300)은 드로잉 공법, 프레스 공법 등을 통해 서로 다른 높이의 면을 포함하도록 성형되기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 및 성형되는 탑패널(300)은 잔류 전류 등을 제거하기 위한 접지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400)는 플라스틱 등과 같이 성형성이 우수한 중합체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 사출 성형, 인서트 사출 성형 등을 통해 비교적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형상을 갖추도록 성형되기 유리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부(400)는 유체순환부(450) 및 공기순환부(440)의 각 구성들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각 구성들이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데에 유리할 수 있고, 내부의 공간이 하방으로 개방되는 레그부(410) 등이 베이스부(400)와 일체로 성형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면 등과의 관계에서 더 높은 높이를 가지는 제2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레그안착부(310)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상기 제2면의 아래에 배치되는 내부구성과의 간섭 관계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며, 이러한 제한을 피하기 위해 융기부(340)는 프론트패널(11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레그안착부(310)의 배치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 등에는 탑패널(300)의 측방향 타측에 편향되어 위치된 융기부(340)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융기부(340)가 탑패널(300)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융기부(340)와 탑패널(300)의 전단, 즉 프론트패널(112)과의 사이에 제4레그안착부(310d)가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융기부(340)의 아래에는 제1캐비닛(110)의 내부구성 중 세제공급부(150)가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융기부(340)의 융기면(342)은 세제공급면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공급면은 상기 프론트패널(11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레그안착부(310)는 복수로 마련되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세제공급면과 상기 프론트패널(1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세제공급면과 프론트패널(112)의 사이란 제1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 것으로서, 상기 레그안착부(310)가 반드시 전방으로 프론트패널(112)을 마주보는 위치라거나 후방으로 세제공급면을 마주보는 위치에 해당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레그안착부(310) 중 전술한 제1레그안착부(310a) 및 제4레그안착부(310d)는 각각 탑패널(300)의 전방측에 위치될 수 있고, 제2레그안착부(310b) 및 제3레그안착부(310c)는 각각 탑패널(300)의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탑패널(300)의 전방측 및 후방측은 경우에 따라 달리 정의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탑패널(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융기부(340) 또는 가이드면(322) 등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캐비닛(110)은 제1처리장치(100)의 후면을 정의하는 리어패널(119) 및 제1측면을 정의하는 제1사이드패널(116)을 포함하고, 상기 레그안착부(310)는 후방에 상기 리어패널(119)이 위치되고, 제1측방에 상기 제1사이드패널(116)이 위치되며, 전방 및 제2측방에 상기 융기부(340)가 위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레그안착부(310) 중 어느 하나는 전, 후, 좌, 우를 기준으로 상기 리어패널(119), 제1사이드패널(116) 및 융기부(34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3레그안착부(310c)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융기부(340)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일 수 있고, 리어패널(119)의 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레그안착부(310)는 각각 제2캐비닛(210)의 안정적인 지지 및 하중의 효과적인 분산을 위해 탑패널(300)의 각 꼭지점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3레그안착부(310c)는 제1사이드패널(116)과 리어패널(119)이 만나서 형성되는 꼭지점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레그안착부(310c)의 후방에는 리어패널(119)이 위치될 수 있고, 제1측방에는 제1사이드패널(116)이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융기부(340)의 적어도 일부는 제3레그안착부(310c)의 주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레그안착부(310c)의 전방과 제2측방에는 융기부(340)가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레그안착부(310c)의 배치 위치를 고려하여, 융기부(340)는 모서리 일부가 함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융기부(340)에서 상기 리어패널(119)과 제1사이드패널(116)에 의해 정의되는 꼭지점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은 융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융기부(340)는 상기 꼭지점 영역을 제외하고 융기될 수 있다.
도 8에는 제3레그안착부(310c)의 배치를 위해 제3레그안착부(310c) 주변에서 절곡된 둘레 형상을 가지는 융기부(340)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융기부(340)는 탑패널(300)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융기측면 및 상기 융기측면에 연결되는 융기면(34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융기측면의 일부는 제3레그안착부(310c)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융기측면은 제3레그안착부(310c)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융기측면(346) 및 제3레그안착부(310c)의 제2측방에 위치되는 제2융기측면(34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융기측면(346)과 제2융기측면(347)은 서로 연결되며 융기부(340)의 둘레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융기부(340)는 제1융기측면(346) 및 제2융기측면(347)에 의해 모서리 일부가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융기부(340)의 융기면(342)은 제3레그안착부(310c)를 마주보는 부분이 상기 제3레그안착부(310c)로부터 멀어지도록 함입된 둘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융기부(340)의 아래에 세제공급부(150)가 위치되는 경우 상기 융기부(340)의 융기면(342)은 세제공급면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그안착부(310)는 복수로 마련되고 그 중 어느 하나는 후방에 상기 리어패널(119)이 위치되고, 제1측방에 상기 제1사이드패널(116)이 위치되며, 전방 및 제2측방에 상기 세제공급면이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제공급부(150) 또한 제3레그안착부(310c)와의 구조적 간섭을 회피하도록 배치되거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융기부(340)의 일부가 리어패널(119)과 제1사이드패널(116)에 의해 정의되는 꼭지점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함입된 둘레 형상을 가짐으로써, 융기부(340)의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되 레그안착부(310)를 상기 꼭지점 영역에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융기면(342)은 가이드면(322)과의 관계에서 더 높게 위치될 수 있고, 제어면(332) 또한 가이드면(322)보다 더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융기면(342)과 제어면(332)간의 높이 관계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기면(342)은 제어면(332)보다 더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융기면(342)은 제1캐비닛(110)의 사이드패널(115)의 상단보다 더 높게 위치될 수 있으며, 제1캐비닛(110)의 프론트패널(112)의 상단보다 더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캐비닛(110)의 프론트패널(112)의 상단은 상기 제1처리장치(100) 중 가장 높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면(322)보다 더 낮게 위치되는 함몰면(352)을 포함하고, 상기 제2캐비닛(210)은 상기 제2처리장치(200)의 하면을 정의하는 베이스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400)는 상기 함몰면(352)을 마주보며 상기 함몰면(352)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면(4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9를 참고하여 함몰면(352)과 돌출면(43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패널(300)은 함몰면(352)을 포함할 수 있고, 함몰면(352)은 가이드면(322)보다 더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함몰면(352)의 위에는 베이스부(400)의 돌출면(430)이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400)의 돌출면(430)은 베이스부(400)에서 상기 탑패널(300)을 향해 돌출된 면일 수 있으며, 제2캐비닛(210) 내부에서 상기 돌출면(430) 위에는 전술한 유체순환부(450) 등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탑패널(300)의 함몰면(352)은 베이스부(400)의 돌출면(43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베이스부(400)의 돌출면(43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함몰면(352)에 의해 제1캐비닛(110) 위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탑패널(300)의 일부가 함몰되어 함몰면(352)이 형성됨으로써, 베이스부(400)에서 돌출되는 돌출면(430)이 발생하더라도 베이스부(400)가 탑패널(300)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함몰면(352)과 돌출면(430)은 서로 대응되는 둘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함몰면(352)은 적어도 돌출면(430)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돌출면(43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에는 탑패널(300)의 함몰면(352)과 대응되는 영역이 점선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함몰면(352)은 상기 가이드면(322)보다 더 낮게 위치되는 제1함몰면(353) 및 상기 제1함몰면(353)보다 더 낮게 위치되는 제2함몰면(35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탑패널(300)은 다단식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복수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함몰면(353)은 제2함몰면(354)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8에는 제2함몰면(354)이 후방측으로 리어패널(119)을 마주보고, 상기 후방측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가 제1함몰면(353)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제1함몰면(353)은 탑패널(300)에 형성되는 복수의 꼭지점 영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레그안착부(31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함몰면(353)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함몰면(353)은 리어패널(119)과 제2사이드패널(117)에 의해 정의되는 꼭지점 영역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꼭지점 영역에 배치되는 제2레그안착부(310b)는 제1함몰면(353)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2레그안착부(310b)는 제2함몰면(354)과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함몰면(354)은 제2레그안착부(310b)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면(430)은 상기 제1함몰면(353)의 위에 위치되는 제1돌출면(431) 및 상기 제2함몰면(354) 위에 위치되며 상기 제1함몰면(353)보다 더 돌출되는 제2돌출면(43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베이스부(400)에 형성되는 돌출면(430)은 제1돌출면(431) 및 제2돌출면(432)을 포함할 수 있고, 이와 대응되도록 탑패널(300)의 함몰면(352) 또한 제1함몰면(353) 및 제2함몰면(35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400)의 돌출면(430)은 탑패널(300)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제2캐비닛(210) 내부의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캐비닛(210) 내부의 구성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돌출면(430) 위에 복수의 구성이 설치되는 경우, 각 구성에 따라 공간의 추가 확보량이 상이하게 요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부(400)의 돌출면(430)이 서로 다른 돌출량을 가지는 복수의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면(430)은 제1돌출면(431)과 상기 제1돌출면(431)보다 더 돌출되는 제2돌출면(432)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면(432)에 배치되는 제2캐비닛(210) 내부의 구성은 상기 제1돌출면(431)상에 위치되는 구성보다 높이가 더 높은 구성일 수 있다.
한편, 함몰면(352) 또한 제1돌출면(431)의 돌출량을 허용하기 위한 제1함몰면(353)을 포함할 수 있고, 제2돌출면(432)의 돌출량을 허용하기 위한 제2함몰면(3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함몰면(353)의 함몰 깊이는 제1돌출면(431)의 돌출량에 대응될 수 있고, 제2함몰면(354)의 함몰 깊이는 제2돌출면(432)의 돌출량에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함몰면(353)의 함몰 깊이는 제1돌출면(431)의 돌출량 이상이며, 제2함몰면(354)의 함몰 깊이는 제2돌출면(432)의 돌출량 이상일 수 있다.
또한, 함몰면(352)은 돌출면(430) 이상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함몰면(352)은 돌출면(43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적어도 돌출면(430)의 둘레보다 확장된 둘레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함몰면(353)은 제1돌출면(431) 이상의 면적을 가질 수 있고, 제1함몰면(353)은 제1돌출면(4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적어도 제1돌출면(431)의 둘레보다 확장된 둘레를 가질 수 있다.
제2함몰면(354)은 제2돌출면(432) 이상의 면적을 가질 수 있고, 제2함몰면(354)은 제2돌출면(43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적어도 제1돌출면(431)의 둘레보다 확장된 둘레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4 등에는 탑패널(300)에 마련되는 접지부(360)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상기 접지부(360)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탑패널(300)은 하방으로 함입되고 접지선(362)이 연결되는 접지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캐비닛(110)의 내부에는 다양한 내부구성이 존재할 수 있고, 상기 내부구성들 중 일부는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즉, 제1처리장치(100)는 전력을 소비하며 작동될 수 있고, 잔류하는 전류를 해소하기 위해 접지부(36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360)는 제1캐비닛(110)상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360)는 제1캐비닛(110)의 탑패널(300)에 마련될 수 있다. 접지부(360)에는 접지선(362)이 연결될 수 있다. 접지선(362)은 일단이 탑패널(300)의 접지부(360)상에 위치되어 상기 접지부(360)에 접촉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지부(360)는 상기 탑패널(30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접지부(360)는 탑패널(300)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지부(360)는 지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탑패널(300)의 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예컨대, 접지부(360)는 탑패널(300)의 테두리상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탑패널(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접지부(360)가 위와 같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접지부(360)에 연결되는 접지선(362)이 접지부(36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360)는 상기 접지선(362)이 연결되는 접지면 및 상기 접지면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접지측면(36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접지부(360)는 탑패널(300)로부터 함몰된 바닥면이 접지면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접지면의 둘레에 위치되는 접지측면(3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측면(36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지부(360)의 연장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접지측면(365)의 적어도 일부는 탑패널(300)의 테두리가 가지는 연장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접지측면(365)의 적어도 일부는 탑패널(300)의 전후방향 또는 측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접지측면(365)은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일단이 탑패널(300)의 최외곽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에는 탑패널(300)에서 제2사이드패널(117)을 마주보는 테두리 일부에 상기 접지부(360)가 마련되고, 접지부(360)가 제2측방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2측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이 도시되어 있다.
접지부(360)에 연결되는 접지선(362)은 상기 경사면에 인접한 위치에서 접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접지선(362)은 볼트 등과 같이 회전하며 접지선(362) 및 접지면을 관통하는 관통부재에 의해 접지부(360)에 결합될 수 있다.
접지측면(365) 중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은 접지선(36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통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접지선(362)이 상기 경사면에 접촉되어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지선(362)의 연장방향은 대략 경사면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어 접지선(362)의 꺽임 등이 최소화되며 접지부(36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탑패널(300)에 위치되는 제1가이드리브(37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패널(300)은 베이스부(400)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1가이드리브(3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가이드리브(370)는 상기 탑패널(300)에서 상기 제2캐비닛(210)을 향해 돌출되고, 제1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캐비닛(210)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1가이드리브(370)는 탑패널(300)의 가이드면(322)상에 위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가이드리브(370)는 상기 제1캐비닛(110)의 상면 및 상기 제2캐비닛(210)의 하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제1캐비닛(110)의 상면 및 상기 제2캐비닛(210)의 하면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며, 제1방향(D1)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방향(D1)을 가로지르는 제2방향(D2)을 따라 상기 다른 하나가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가이드리브(370)는 탑패널(300)에서 베이스부(400)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베이스부(400)와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베이스부(400)는 탑패널(300)상에서 상기 제1가이드리브(370)와의 접촉 관계를 통해 결합 과정이 유도되거나 결합 위치로 유도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위치를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제1처리장치(100)의 위에 제2처리장치(200)가 안착될 수 있고, 제2처리장치(200)는 제1처리장치(100)의 위에서 아래로 이동되며 안착되거나, 안착 이후 슬라이딩 과정 등을 더 포함하여 상호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나아가, 제1처리장치(100) 위에 얹혀진 제2처리장치(200)는 의류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제1처리장치(100)상에서 제2처리장치(200)의 의도치 않은 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제2처리장치(200)가 제1처리장치(100) 위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정확한 결합 위치를 벗어나거나, 제2처리장치(200)가 상기 정확한 결합 위치에 위치되더라도 의도치 않은 이동이 발생되는 경우, 제2처리장치(200)가 제1처리장치(100)에 의해 온전히 지지되지 않거나 불특정한 파손이 야기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패널(300)에는 제1가이드리브(370)가 돌출되어 마련되고, 베이스부(400)는 상기 제1가이드리브(370)와의 구조적 간섭 관계에 의해 결합 위치가 가이드되거나 의도치 않은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제1가이드리브(370)는 경우에 따라 베이스부(400)에서 탑패널(300)을 향해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탑패널(300)은 상기 제2캐비닛(210)을 마주보며 상기 제1가이드리브(370)가 구비되는 가이드면(32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면(322)은 상기 제1가이드리브(370)가 위치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며, 지면과 나란한 면에 해당할 수 있다. 제1가이드리브(370)는 가이드면(322)보다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면(322)은 전술한 제어면(332), 융기면(342) 및 함몰면(352)과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면(322)은 제어면(332) 등과 상이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면(322)의 전방에는 제어면(332)이 위치될 수 있고, 측방향에는 융기면(342)이 위치될 수 있으며, 후방에는 함몰면(352)이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면(322), 제어면(332), 융기면(342) 및 함몰면(352)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가이드리브(370)는 상기 제2캐비닛(210)을 향해 돌출되고 제1방향(D1)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2캐비닛(210)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리브(370)는 가이드면(322)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방향(D1)으로 연장되는 리브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방향(D1)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14에는 제1방향(D1)이 대략 제1캐비닛(110)의 전후방향과 나란하게 결정된 제1가이드리브(370)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가이드리브(370)는 상기 제2캐비닛(210)이 상기 제1방향(D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리브(370)는 제1방향(D1)을 따라 연장되고, 베이스부(400)가 상기 제1방향(D1)을 가로지르는 제2방향(D2)으로 제1가이드리브(370)를 넘어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가이드리브(370)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베이스부(400)는 구조적 간섭 관계, 즉 제1가이드리브(370)와의 접촉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처리장치(200)가 제1처리장치(100) 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과정을 거쳐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1가이드리브(370)의 연장방향에 해당하는 제1방향(D1)은 상기 제2처리장치(200)의 슬라이딩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탑패널(300)에 제1가이드리브(370)가 형성되더라도 제2처리장치(200)의 베이스부(400)는 탑패널(300)상에서 제1방향(D1)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200)가 슬라이딩 과정 없이 제1처리장치(100)에 결합되더라도, 제1가이드리브(370)는 측방향을 기준으로 제2처리장치(200)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가이드리브(370)는 상기 탑패널(300)의 테두리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200)가 상기 제1처리장치(100)상에 결합되면 제1가이드리브(370)는 베이스부(400)에 수용될 수 있고, 제2캐비닛(210)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려질 수 있다.
한편,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부(400)에 마련되는 제2가이드리브(47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제2캐비닛(210)은 상기 탑패널(300)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1방향(D1)을 따라 연장되는 제2가이드리브(47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리브(370)는 상기 제2가이드리브(470)와 이웃하게 위치되어 상기 제2캐비닛(210)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가이드리브(470)는 베이스부(40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2가이드리브(470)는 베이스부(400)에서 탑패널(300)의 가이드면(322)까지 돌출될 수 있다. 제2가이드리브(470)는 제2방향(D2)을 따라 제1가이드리브(370)와 이웃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리브(470)는 제1가이드리브(370)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가이드리브(470)는 제1가이드리브(370)와 마찬가지로 제1방향(D1)을 따라 연장된 리브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가이드리브(470)는 제1가이드리브(370)와 이웃하게 위치됨으로써, 제1가이드리브(370)와의 접촉 관계를 통해 제2방향(D2)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제2가이드리브(470)는 제1가이드리브(370)에 의해 제2방향(D2)으로 이동이 제한되고, 이에 따라 베이스부(400) 및 제2캐비닛(210)의 제2방향(D2)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가이드리브(370)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제1방향(D1)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2가이드리브(470)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제1방향(D1)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리브(37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6에는 탑패널(300) 위에 베이스부(400)가 안착되고 제1가이드리브(370) 및 제2가이드리브(470)가 서로 이웃하게 위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제1가이드리브(370)는 가이드면(322)에 마련될 수 있고, 제2가이드리브(470) 또한 베이스부(400)에서 상기 가이드면(322)의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리브(370)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2방향(D2)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16에는 제1가이드리브(370)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제1방향(D1)을 따라 연장되며, 제2방향(D2)을 따라 이격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제1가이드리브(370)의 개수나 배치 방식은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제2가이드리브(470)는 복수의 제1가이드리브(37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제2가이드리브(470)는 한 쌍의 제1가이드리브(37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가이드리브(470)는 제2방향(D2)에 따른 양측으로의 이동이 모두 제한될 수 있다. 즉, 제2가이드리브(470)는 구조적 간섭에 의해 제2방향(D2)을 따라 한 쌍의 제1가이드리브(370) 사이에서의 이탈이 제한될 수 있다.
제2가이드리브(470)는 제1가이드리브(370)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제1가이드리브(370) 사이에는 한 쌍의 제2가이드리브(470)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2가이드리브(470)는 각각 어느 하나의 제1가이드리브(370)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2가이드리브(470)는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리브(370) 사이에서 서로 다른 제1가이드리브(370)를 마주보며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제2가이드리브(470)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리브(470)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는 중앙을 기준으로 볼 때, 외측으로 제1가이드리브(370)를 마주보며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방향(D2)을 기준으로 베이스부(400)가 일측으로 이동하려는 경우, 한 쌍의 제2가이드리브(470) 중 어느 하나의 제2가이드리브(470)가 외측의 제1가이드리브(370)와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되고, 베이스부(400)가 타측으로 이동하려는 경우 다른 하나의 제2가이드리브(470)가 그 외측에 위치된 제1가이드리브(370)와 접촉되면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가이드리브(370) 및 상기 제2가이드리브(470)는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리브(470)는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리브(37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방향(D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1가이드리브(370)는 제1방향(D1)을 가로지르는 제2방향(D2)을 따라 배열될 수 있고, 제2방향(D2)을 기준으로 복수의 제1가이드리브(370)가 이루는 중심은 제1사이드패널(116) 또는 제2사이드패널(117)에 편향되게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제1가이드리브(370)는 제2방향(D2)을 기준으로 최외곽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리브(370)의 중심이 제1사이드패널(116)보다 제2사이드패널(117)에 더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2가이드리브(47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가이드리브(370)의 상기 제1방향(D1)에 따른 연장길이(L1)는 상기 탑패널(300)의 상기 제1방향(D1)에 따른 길이(LA)보다 짧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리브(370)는 탑패널(300)의 가이드면(322)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면(322)의 전방이나 후방에는 제어면(332) 또는 함몰면(352) 등 높이가 다른 면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가이드리브(370)는 가이드면(322)과 다른 높이의 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탑패널(300)의 길이(LA)보다 짧은 연장길이(L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리브(370)는 상기 레그안착부(310)와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가이드리브(370)는 레그부(410)가 레그안착부(310)에 안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며 베이스브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1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서 제2캐비닛(210)의 전방에 위치되는 프론트패널(112)의 상단과 후방브라켓(19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프론트패널(112)은 상기 탑패널(300)의 전단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캐비닛(21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가이드리브(370) 및 제2가이드리브(470)는 제1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1방향(D1)은 제1캐비닛(110)의 전후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또한, 제1가이드리브(370) 및 제2가이드리브(470)는 복수로 마련되어 제1방향(D1)을 가로지르는 제2방향(D2)을 따라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방향(D2)은 제1캐비닛(110)의 측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리브(370) 및/또는 제2가이드리브(47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스부(400)의 측방향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1캐비닛(110)의 프론트패널(112)은 상기 제1캐비닛(110)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프론트패널(112)의 상단은 탑패널(300) 또는 사이드패널(115)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론트패널(112)의 상단은 베이스부(40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베이스부(400)가 온전한 결합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가이드리브(370) 및/또는 제2가이드리브(470)를 이용하여 제2캐비닛(210), 즉 베이스부(400)의 측방향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프론트패널(112)을 이용하여 베이스부(40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여 안정적인 결합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캐비닛(110)의 후방에서 상기 제2캐비닛(210)에 결합되는 후방브라켓(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브라켓(190)은 상기 탑패널(300)의 후단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캐비닛(210)의 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후방브라켓(190)은 제1캐비닛(110)의 리어패널(119)과 제2캐비닛(210)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즉, 후방브라켓(190)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부(4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후방브라켓(190)은 구조적 간섭을 통해 제2캐비닛(21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후방브라켓(190)은 하부가 제1캐비닛(110)의 후방에서 상기 제1캐비닛(110)에 결합될 수 있고, 상부가 제2캐비닛(210)의 후방에서 상기 제2캐비닛(210)에 결합될 수 있다. 후방브라켓(190)은 제1캐비닛(110)의 측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연장되는 제1가이드리브(370) 및/또는 제2가이드리브(470)를 통해 제2캐비닛(210)의 전후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프론트패널(112)을 통해 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고, 후방브라켓(190)을 통해 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400)를 포함하는 제2캐비닛(210)은 전, 후, 좌 및 우 방향으로의 의도치 않은 이동이 효과적으로 제한될 수 있고, 결합 위치 또한 효과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탑패널(300)에서 상기 융기부(340)를 제외한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융기부(340)의 융기면(342)보다 더 낮은 높이를 가지는 가이드면(32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322)에는 상기 제2캐비닛(210)을 향해 돌출되고 제1방향(D1)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2캐비닛(210)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1가이드리브(37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융기면(34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면(322)의 측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리브(370)는 상기 가이드면(322)상에서 상기 측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 1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패널(300)에 마련되는 융기부(34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탑패널(300)은 상기 제2캐비닛(210)을 향해 융기되어 내부에 상기 제1캐비닛(110) 내부와 연통되는 융기공간이 형성되는 융기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융기공간에 위치되는 내부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융기부(34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제1처리장치(100)의 내부구성 중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캐비닛(110)의 상면 중 일부는 나머지보다 상방으로 융기되어 상기 제1처리장치(100)의 내부구성이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캐비닛(210)의 하면 중 일부는 상기 제1캐비닛(110)의 상기 상면 중 융기된 상기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융기부(340)는 상기 융기공간 위에 위치되는 융기면(342)을 포함하고, 상기 탑패널(300)은 상기 융기면(342)을 제외한 나머지가 상기 융기면(342)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융기면(342) 아래에 위치되는 내부구성은 세제공급부(150)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1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1드럼(120)이 구비되며 물이 수용되는 터브(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구성은 세제가 저장되어 상기 터브(125)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150)에 해당할 수 있다. 세제공급부(150)는 상기 제1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고, 세제가 저장되어 상기 터브(125)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1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융기면(342)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융기면(342) 아래에 세제공급부(15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경우, 상기 융기면(342)은 세제공급면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가이드면(322)보다 더 높게 위치되고 아래에 상기 세제공급부(15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세제공급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부(400)에 형성되는 수용공간(420)이 도시되어 있다.
수용공간(420)은 베이스부(400)에서 융기면(342)을 마주보는 부분이 위로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고, 융기면(342)이 수용될 수 있다. 도 19에는 융기면(342)의 형상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수용공간(420)은 융기면(34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상기 융기면(342)보다 확장된 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탑패널(300)에 융기부(340)가 형성됨으로써 세제공급부(150) 등 제1처리자치의 내부구성이 배치되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베이스부(400)에 수용공간(420)이 형성됨으로써 융기부(340)가 형성된 탑패널(300)상에 베이스부(400)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도 2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는 세제공급부(15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에는 융기면(342)의 형상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상기 제1캐비닛(110)은 상기 제1처리장치(100)의 제1측면을 정의하는 제1사이드패널(116) 및 제2측면을 정의하는 제2사이드패널(117)을 포함하고, 상기 융기부(340) 및 상기 세제공급부(150)는 상기 제2사이드패널(117)보다 상기 제1사이드패널(116)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부(150)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1캐비닛(110)의 상부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대략 중심축이 전방을 향하는 원통 형상의 터브(125)와 구조적인 간섭을 피하기 위해, 세제공급부(150)는 측방향 일측으로 편향되어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세제공급부(150)는 제1캐비닛(110)의 상부에서 제1사이드패널(116)에 이웃하게 위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부(150)는 제1사이드패널(116)과 접촉될 수도 있다. 세제공급부(150)의 위치에 따라 융기부(340) 또한 탑패널(300)에서 제1사이드패널(116)과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공급부(150)는 상기 융기부(340)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융기공간 내에 위치되는 돌출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공급부(150)는 상기 융기공간 외부에 위치되는 비돌출부(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제공급부(150)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세제와 함께 섞여 터브(125)를 공급되는 물의 유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세제공급부(150)는 세제의 저장공간 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부(150)는 융기부(340)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51)는 물의 유로에 해당할 수도 있고, 세제의 저장공간에 해당할 수도 있다.
다만, 세제공급부(150)는 돌출부(151)와 구분되며 융기공간 외부에 위치되는 비돌출부(15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세제공급부(150)의 돌출부(151)는 융기부(340)의 융기공간에 삽입되고 비돌출부(152)는 융기공간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융기공간이란 융기부(34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융기면(342)의 아래에 위치되고 융기측면에 의해 둘러싸이며 제1캐비닛(110) 내부로 개방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공급부(150)는 그 일부만이 돌출 확장되어 융기부(340)의 융기공간을 이용함으로써 세제의 저장공간 등으로 활용할 수 있고, 그 밖의 부분은 돌출 확장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융기면(342)적의 증가 등을 피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융기부(340)는 상기 프론트패널(11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비돌출부(15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돌출부(151)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프론트패널(112)과 상기 융기부(340) 사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51)는 세제공급부(150)에서 위로 돌출되어 부피가 확장되는 영역이며, 융기부(340)의 융기공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비돌출부(152)는 돌출부(151)와 달리 위로 돌출되지 않고, 프론트패널(112)과 돌출부(15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비돌출부(152)의 위에는 레그안착부(310)가 위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공급부(150)의 특정 부분만을 돌출시켜 융기공간에 수용하고, 나머지는 탑패널(300)의 다양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도록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부(150)를 분해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1을 참고하면, 세제공급부(150)는 급수유닛(157), 세제저장부(155) 및 세제케이스(156)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유닛(157)은 세제케이스(156) 위에 위치되어 상기 세제케이스(156)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0)가 의류의 세탁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경우, 제1처리장치(100)는 제1캐비닛(110)의 외부에서 물을 공급하는 외부급수원과 연결될 수 있다.
급수밸브(161)는 외부급수원과 연결되어 물의 유동을 단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유닛(157)은 급수호스(162)를 통해 급수밸브(161)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급수유닛(157)은 그 아래에 위치되는 세제케이스(156)의 내부 또는 세제저장부(155)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세제케이스(156)는 급수유닛(157)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내부에 상기 세제저장부(155)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세제케이스(156)는 내부에 세제저장부(155)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세제저장부(155)는 세제가 저장될 수 있다. 세제저장부(155)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세제케이스(156) 내부에서 제1캐비닛(110)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제저장부(155)를 제1캐비닛(110) 외부로 인출시켜 그 내부에 세제를 저장한 뒤 다시 제1캐비닛(110) 내부이자 세제케이스(156)의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의류의 세탁과정이 수행되면, 급수밸브(161)가 개방되어 급수유닛(157)으로 물이 공급되고, 급수유닛(157)은 세제저장부(155) 및/또는 세제케이스(156) 내부로 물을 배출하며, 세제저장부(155)에 저장된 세제는 급수유닛(157)에서 배출되는 물과 섞여 세제케이스(156) 내부로부터 터브(125)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유닛(157)의 적어도 일부는 융기부(340)의 융기공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세제공급부(150)는 상기 급수유닛(157)에서 위로 돌출되어 상기 융기공간 내부에 위치되고, 내부에 물의 유로가 형성되는 돌출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돌출부(151)는 급수유닛(157)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급수유닛(157)은 급수호스(162)를 통해 공급된 물이 유동하기 위한 물의 유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로가 형성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세제의 저장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결국 세제저장부(155)의 사이즈가 증가될 필요가 있으며, 세제저장부(155)의 부피 증가 또는 급수유닛(157)의 유로 형성은 결국 세제공급부(150)의 상부에 위치되는 급수유닛(157)의 상단 높이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즉, 세제공급부(150)는 급수유닛(157)의 적어도 일부가 위로 돌출되어 돌출부(15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151)는 융기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돌출부(151)는 급수유닛(157)의 유로가 형성되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2에는 도 18의 A-A선을 절개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2에는 융기공간에 수용되는 급수유닛(157)의 돌출부(151)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급수유닛(157)의 적어도 일부가 위로 돌출되어 융기공간에 수용됨으로써, 세제공급부(150)와 터브(125)간의 이격거리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융기부(340)는 상기 프론트패널(11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급수유닛(157)은 상기 돌출부(151)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융기공간 외부에 배치되는 비돌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급수유닛(157)의 전단부는 비돌출부(152)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비돌출부(152)의 후방으로서 물의 유로가 형성되는 부분이 돌출부(151)로 정의될 수 있다. 세제공급부(150)는 프론트패널(112)과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될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급수유닛(157)에서 확장이 요구되지 않는 부분은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따라서 융기부(340)의 형성 면적이 감소되어 불필요한 공간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제공급부(150)는 상기 급수유닛(157)에 연결되어 상기 세제저장부(155)의 세제를 상기 돌출부(151)로 전달하는 세제호스(159)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151)의 상면에는 상기 세제호스(159)가 삽입 및 연장되는 호스삽입홈(153)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0을 다시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저장부(155)에 저장된 세제는 세제호스(159)를 통해 급수유닛(157)을 경유한 이후 세제케이스(156)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제공급부(150)는 세제저장부(155)와 연결되어 세제를 펌핑하는 세제펌프(158)를 포함할 수 있고, 세제펌프(158)는 세제호스(159)와 연결되어 세제를 상기 세제호스(159)를 통해 급수유닛(157)으로 전달할 수 있다.
급수유닛(157)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51) 내에 물이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151)에 세제호스(159)가 연결되어 돌출부(151) 내부로 세제가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유닛(157)은 돌출부(151) 내부에서 물과 세제가 유동할 수 있고, 물과 세제를 함께 세제케이스(156) 내부로 배출하여 터브(125)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캐비닛(110) 내부의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탑패널(300)에 융기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급수유닛(157)의 돌출부(151)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호스(159)가 돌출부(151)로부터 위로 돌출되는 경우, 세제공급부(150) 전체를 기준으로 불필요한 높이 증가가 발생되어 불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유닛(157)은 돌출부(151)에 상기 세제호스(159)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연장될 수 있는 호스삽입홈(15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유닛(157) 위에서 연장되는 세제호스(159)의 상방 돌출량이 최소화되어 융기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51)에서 세제호스(159)가 연결되는 호스연결부(154) 또한 세제호스(159)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돌출부(151)에서 아래로 함입되어 위치됨으로써, 세제호스(159)에 의한 돌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151)는 상기 세제호스(159)와 연결되는 호스연결부(15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스연결부(154)는 상기 호스삽입홈(153) 내부에서 상기 융기부(340)의 융기면(342)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세제호스(159)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제공급부(150)는 상기 세제케이스(156)의 외측에서 상기 세제케이스(156)에 결합되어 상기 세제저장부(155)의 세제를 펌핑하는 세제펌프(1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제펌프(158)는 세제저장부(155)와 연결되어 세제저장부(155)에 저장된 세제를 펌핑할 수 있다. 세제저장부(155)는 세제케이스(156)의 내부에 수용되고, 세제저장부(155)의 저장용량을 확장하기 용이하도록 세제펌프(158)는 세제케이스(156)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제펌프(158)는 세제케이스(156)의 후방에서 세제케이스(156)와 결합되어 세제저장부(15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세제펌프(158)는 상기 융기부(340)의 융기면(342)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융기면(342)은 급수유닛(157)보다 더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캐비닛(110) 내부에서 세제펌프(158)가 위치되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23에는 도 18의 B-B선을 절개한 단면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3을 참고하면, 상기 제1처리장치(100)는 외부 급수원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세제공급부(150)로 전달하는 급수호스(162) 및 상기 급수호스(162)와 연결되어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급수밸브(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161)는 상기 융기부(340)의 융기면(342)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융기부(340)는 세제공급부(150) 뿐만 아니라 급수밸브(161) 등의 배치공간까지 확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밸브(161)는 제1캐비닛(110) 내부에서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급수밸브(161)는 리어패널(119)과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급수밸브(161)는 세제공급부(150)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급수밸브(161)는 세제펌프(158) 및 세제호스(159)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세제펌프(158)보다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융기부(340)는 급수밸브(161)의 적어도 일부가 융기공간 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후방측 일부가 나머지보다 측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융기부(340)는 제1캐비닛(110)의 측방향을 기준으로 제1폭을 가지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보다 더 넓은 제2폭을 가지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보다 후방에서 제1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융기부(340)의 제1융기측면(346) 및 제2융기측면(347)은 제2부분의 둘레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2부분에서 제1부분보다 폭이 확장된 부분의 아래에는 급수밸브(161)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탑패널(300)의 일부를 더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융기시켜 융기부(340)를 형성하고, 융기부(340)의 융기공간을 통해 세제공급부(150)는 물론 이와 관련되는 세제펌프(158) 및 급수밸브(161) 등의 내부구성이 배치되기 위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2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몰면(352)이 도시되어 있다. 도 2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패널(300)은 상기 가이드면(322)보다 더 낮게 위치되는 함몰면(35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리브(370)는 상기 함몰면(352)을 제외하고 상기 가이드면(322)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탑패널(300)은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면(322)보다 더 낮게 위치되는 함몰면(352)을 포함하고, 상기 제2캐비닛(210)은 상기 제2처리장치(200)의 하면을 정의하는 베이스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400)는 상기 함몰면(352)을 마주보며 상기 함몰면(352)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면(430)을 포함할 수 있다.
함몰면(352)은 탑패널(300)의 일부가 아래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함몰면(352)은 가이드면(322)보다 더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함몰면(352)의 깊이는 베이스부(400)의 돌출면(430)이 가지는 돌출량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4를 참고하면, 상기 함몰면(352)의 적어도 일부는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면(322)과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함몰면(352)은 가이드면(322)과의 관계에서 단차진 면에 해당할 수 있다.
함몰면(352)의 측방향에는 융기면(342)이 위치될 수 있다. 즉, 융기면(34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폭을 가지는 제1부분과 제2폭을 가지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융기면(342)은 제1사이드패널(116)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융기면(342)의 제1부분과 제2사이드패널(117) 사이에는 가이드면(322)이 위치될 수 있으며, 융기면(342)의 제2부분과 제2사이드패널(117) 사이에는 함몰면(352)이 위치될 수 있다. 융기면(342), 가이드면(322) 및 함몰면(352)은 각각 서로에 대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함몰면(352)은 상기 가이드면(322)보다 더 낮게 위치되는 제1함몰면(353) 및 상기 제1함몰면(353)보다 더 낮게 위치되는 제2함몰면(3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함몰면(353) 및 제2함몰면(354)의 형성은 베이스부(400)의 돌출면(430)과의 관계에서 결정될 수 있다.
도 2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400)의 돌출면(430)이 도시되어 있다. 도 25에는 탑패널(300)의 함몰면(352)에 대응되는 영역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5를 참고하면, 베이스부(400)의 돌출면(4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함몰면(353) 위에 위치되는 제1돌출면(431) 및 상기 제2함몰면(354) 위에 위치되고 상기 제1함몰면(353)보다 더 돌출되는 제2돌출면(43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400)의 하면은 지면과 편평한 면 뿐만 아니라 리브 등 다양한 돌출 형태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400)의 돌출면(430)은 대략 지면과 편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400)를 제2캐비닛(210) 내부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6을 참고하면, 상기 제2처리장치(200)는 상기 제2캐비닛(210) 내부에서 상기 돌출면(430)에 배치되고 유체가 순환하며 공기 중으로 열을 공급하거나 공급받는 유체순환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처리장치(200)는 의류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드럼(220) 내부로 고온 건조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공기를 가열하는 수단으로서 유체순환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순환부(450)는 히트펌프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유체순환부(450)는 유체가 응축기, 압축기(452), 팽창밸브 및 증발기 등을 순환하며 외부, 즉 공기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장치에 해당한다.
제2처리장치(200)는 상기 유체순환부(450)에 의해 제습되고 가열되는 공기순환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순환부(450)의 일부는 상기 공기순환부(440)에 형성되는 공기유로상에 노출되어 공기와 유체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순환부(440)는 융기부(340)의 위에 위치될 수 있고, 유체순환부(450)의 적어도 일부는 함몰면(352)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례일 뿐 다양한 배치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체순환부(450)는 상기 베이스부(400)상에 배치되고 유체가 순환하며 공기 중으로 열을 공급하거나 공급받을 수 있고, 상기 유체순환부(4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함몰면(352)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400)는 유체순환부(450)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아래로 돌출되어 베이스부(400)의 돌출면(4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탑패널(300)은 상기 돌출면(430)이 수용되어 베이스부(400)가 온전히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면(3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순환부(450)는 상기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기(452) 및 상기 압축기(452)를 쿨링하는 쿨링팬(454)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452)는 상기 제1돌출면(431) 위에 위치되고, 상기 쿨링팬(454)은 상기 제2돌출면(432)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압축기(452)는 작동 효율상 비교적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압축기(452)의 설치공간은 비교적 높은 공간적 여유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부(400)에 돌출면(430)이 형성되고, 돌출면(430) 위에 상기 압축기(45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유체순환부(450)는 압축기(452)의 작동상 발생하는 열을 감소시키기 위한 쿨링팬(454)을 포함할 수 있다. 쿨링팬(454) 또한 압축기(452)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압축기(452)와 대응되어 높은 높이를 가지는 설치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부(400)에서 압축기(452) 및 쿨링팬(454)이 설치되는 영역의 바닥을 하방으로 돌출시켜 압축기(452) 및 쿨링팬(454)의 설치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452)는 제1돌출면(431)에 위치될 수 있고, 쿨링팬(454)은 제2돌출면(432)에 위치될 수 있다. 제1돌출면(431)과 제2돌출면(432)의 돌출량은 서로 같거나 제2돌출면(432)의 돌출량이 제1돌출면(431)보다 더 클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돌출면(430) 위에 배치되는 구성이 반드시 압축기(452)나 쿨링팬(454)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돌출면(430)의 위에는 공기순환부(440)의 일부가 배치될 수도 있고, 유체순환부(450)에서 압축기(452) 등을 제외한 나머지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캐비닛(110)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거나 베이스부(400)의 돌출된 부분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탑패널(300)에 다양한 높이의 면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캐비닛(210)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거나 탑패널(300)의 돌출된 부분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400)의 하면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캐비닛(210)은 추가레그부(412) 등이 편리하게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는 레그부(410)를 포함할 수 있고, 탑패널(300)은 상기 레그부(410)를 효율적으로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는 레그안착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가이드리브(370) 및 제2가이드리브(470)를 통해 제2캐비닛(210)의 제2방향(D2)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 프론트패널(112)과 후방브라켓(190)을 이용하여 제2캐비닛(210)의 제1방향(D1)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캐비닛(110)의 세제공급부(150) 등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융기부(340)가 형성될 수 있고, 세제공급부(150)는 돌출부(151)와 비돌출부(152)가 구분되어 효율적으로 상기 융기공간을 활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의류처리장치 : 1 제1처리장치 : 100
제1의류도어 : 102 제1캐비닛 : 110
프론트패널 : 112 사이드패널 : 115
제1사이드패널 : 116 제2사이드패널 : 117
리어패널 : 119 제1드럼 : 120
터브 : 125 구동부 : 130
제1제어부 : 140 세제공급부 : 150
돌출부 : 151 비돌출부 : 152
호스삽입홈 : 153 호스연결부 : 154
세제저장부 : 155 세제케이스 : 156
급수유닛 : 157 세제펌프 : 158
세제호스 : 159 급수밸브 : 161
급수호스 : 162 후방브라켓 : 190
제2처리장치 : 200 제2의류도어 : 202
제2캐비닛 : 210 제2드럼 : 220
제2제어부 : 240 탑패널 : 300
레그안착부 : 310 레그안착면 : 312
가이드면 : 322 제어면 : 332
융기부 : 340 융기면 : 342
제1융기측면 : 346 제2융기측면 : 347
함몰면 : 352 제1함몰면 : 353
제2함몰면 : 354 접지부 : 360
접지선 : 362 접지측면 : 365
제1가이드리브 : 370 베이스부 : 400
레그부 : 410 추가레그부 : 412
레그보강리브 : 414 수용공간 : 420
돌출면 : 430 제1돌출면 : 431
제2돌출면 : 432 공기순환부 : 440
유체순환부 : 450 압축기 : 452
쿨링팬 : 454 제2가이드리브 : 470

Claims (23)

  1. 제1캐비닛 및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을 포함하는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1캐비닛 위에 배치되는 제2캐비닛 및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을 포함하는 제2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캐비닛는 상기 제1처리장치의 상면을 정의하며 상기 제2캐비닛을 지지하는 탑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캐비닛은 상기 탑패널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탑패널에 의해 지지되는 레그부를 포함하며,
    상기 탑패널은 상기 제2캐비닛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함입되고 상기 레그부가 안착 및 지지되는 레그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의 내부는 상기 레그안착부를 향해 개방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중공 타입의 기둥 형태로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상기 레그부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 가능한 추가레그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캐비닛은 상기 제2처리장치의 하면을 정의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레그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레그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레그보강리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패널은 지면과 나란하되 높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면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패널은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다른 높이를 가지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레그안착부는 복수로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경계상에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안착부는 상기 레그부의 하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레그안착면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의 높이는 상기 제1면의 높이보다 더 높고,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면 아래에 위치되는 내부구성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제1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구성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의류처리코스를 수행하는 제1제어부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패널은 하방으로 함입되고 접지선이 연결되는 접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탑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고, 지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탑패널의 외측으로 개방되며,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선이 연결되는 접지면 및 상기 접지면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접지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지부의 연장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패널은 상기 제2캐비닛을 마주보는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면에는 상기 제2캐비닛을 향해 돌출되고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2캐비닛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1가이드리브가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의류처리코스를 수행하기 위한 제1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패널은 상기 가이드면보다 더 높게 위치되고 아래에 상기 제1제어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제어면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1드럼이 구비되며 물이 수용되는 터브; 및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세제가 저장되어 상기 터브 내부로 상기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패널은 상기 가이드면보다 더 높게 위치되고 아래에 상기 세제공급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세제공급면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캐비닛은 상기 제1처리장치의 전면을 정의하는 프론트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면은 상기 프론트패널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레그안착부는 복수로 마련되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세제공급면과 상기 프론트패널 사이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비닛은 제1처리장치의 후면을 정의하는 리어패널 및 제1측면을 정의하는 제1사이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레그안착부는 복수로 마련되고 그 중 어느 하나는 후방에 상기 리어패널이 위치되고, 제1측방에 상기 제1사이드패널이 위치되며, 전방 및 제2측방에 상기 세제공급면이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탑패널은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면보다 더 낮게 위치되는 함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캐비닛은 상기 제2처리장치의 하면을 정의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함몰면을 마주보며 상기 함몰면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면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장치는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돌출면에 배치되고 유체가 순환하며 공기 중으로 열을 공급하거나 공급받는 유체순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면은 상기 가이드면보다 더 낮게 위치되는 제1함몰면 및 상기 제1함몰면보다 더 낮게 위치되는 제2함몰면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안착부는 복수로 마련되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함몰면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면은 상기 제1함몰면 위에 위치되는 제1돌출면 및 상기 제2함몰면 위에 위치되며 상기 제1함몰면보다 더 돌출되는 제2돌출면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순환부는 상기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를 쿨링하는 쿨링팬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상기 제1돌출면 위에 위치되고, 상기 쿨링팬은 상기 제2돌출면 위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0073422A 2022-06-16 2022-06-16 의류처리장치 KR20230172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422A KR20230172799A (ko) 2022-06-16 2022-06-16 의류처리장치
PCT/KR2023/008290 WO2023244034A1 (ko) 2022-06-16 2023-06-15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422A KR20230172799A (ko) 2022-06-16 2022-06-16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799A true KR20230172799A (ko) 2023-12-26

Family

ID=8919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422A KR20230172799A (ko) 2022-06-16 2022-06-16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72799A (ko)
WO (1) WO202324403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483B1 (ko) * 2005-06-29 2012-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정장치의 세제공급기구
KR20070066606A (ko) * 2005-12-22 2007-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접지전선 조립구조
KR20100020628A (ko) * 2008-08-13 2010-02-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가전제품용 적층 브래킷
KR20110110660A (ko) * 2010-04-01 2011-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택 구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KR102493056B1 (ko) * 2020-03-06 202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4034A1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541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50659B1 (ko) 의류처리장치
EP2065505B1 (en) Laundry treating device
EP3875656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160772A (ko) 의류처리장치
KR100710315B1 (ko) 보조 의류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의류 처리장치
EP2155948B1 (en) Laundry machine
KR2021010568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36545A (ko)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CA3049388A1 (en) Clothing drying apparatus
US2023003726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1944401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4003200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7279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7281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72810A (ko) 의류처리장치
US11540695B2 (en) Dishwash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improve drying performance
KR102536870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7281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72812A (ko) 의류처리장치
KR10266928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7279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7280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7279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73846A (ko) 의류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