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581A - 무선 네트워크에서 위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에서 위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581A
KR20230172581A KR1020237039990A KR20237039990A KR20230172581A KR 20230172581 A KR20230172581 A KR 20230172581A KR 1020237039990 A KR1020237039990 A KR 1020237039990A KR 20237039990 A KR20237039990 A KR 20237039990A KR 20230172581 A KR20230172581 A KR 20230172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client
gateway terminal
re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룬프라사트 라마무르티
바사바라즈 자야왓트 파탄
키란 구루데프 카페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72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33Signallin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6G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MC 클라이언트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위치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MC 클라이언트가 위치 관리 서버(LMS)로부터 위치 보고 설정 요청 및 위치 정보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MC 클라이언트가 이벤트 트리거 위치 보고에 대한 상기 위치 보고 설정 요청에 기초한 MC 게이트웨이 위치 보고 설정 요청, 및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온디맨드 위치 보고에 대한 MC 게이트웨이 위치 정보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MC 게이트웨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MC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게이트웨이 위치 정보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에서 위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미션 크리티컬(MC: mission critical) 서비스들에 관한 것이며, 특히 (3GPP TR 23.700-79에 명시된 바와 같이) MC 게이트웨이 단말을 통해 MC 시스템에 액세스하는 비-3GPP(non-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장치들에 상주하는 MC 클라이언트들에 관한 것이다.
5G 이동통신 기술은 높은 전송률과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넓은 주파수 대역을 정의하고 있으며, 3.5 GHz와 같은 "Sub 6 GHz" 대역뿐만 아니라 28 GHz 및 39 GHz를 비롯하여 초고주파(mmWave)로 지칭되는 "Above 6 GHz" 대역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5G 이동통신 기술보다 50배 빠른 전송률 및 5G 이동통신 기술의 10분의 1 수준인 초저지연(ultra-low latency)을 달성하기 위하여 테라헤르츠 대역(예를 들어, 95 GHz 내지 3 THz 대역)에서 6G 이동통신 기술(Beyond 5G 시스템이라고 함)을 구현하는 것이 고려되어 왔다
5G 이동통신 기술의 개발 초기에는 서비스들을 지원하고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및 mMTC(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와 관련된 성능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하여, 다음에 관한 표준화가 진행되었다: mmWave에서 전파 경로 손실을 완화하고 전파 전송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빔포밍 및 대규모 MIMO, mmWave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슬롯 포맷들의 동적 운용을 위한 숫자학(numerology)(예: 여러 부반송파 간격들의 운용) 지원, 다중 빔 전송 및 광대역 지원을 위한 초기 접속 기술, 부분 대역폭(BWP: BandWidth Part) 정의 및 운용,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코드 및 제어 정보의 신뢰성 높은 전송을 위한 폴라(polar) 코드와 같은 새로운 채널 코딩 방법들, L2 전처리,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네트워크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현재는 5G 이동통신 기술이 지원할 서비스 측면에서 초기 5G 이동통신 기술의 개선 및 성능 향상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다음과 같은 기술들에 대한 물리 계층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차량이 전송하는 차량의 위치 및 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차의 주행 판단을 돕고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V2X(Vehicle-to-Everything), 비면허 대역들(unlicensed bands)에서 다양한 규제 관련 요구사항을 준수하는 시스템 운영을 목표로 하는 NR-U(New Radio Unlicensed), NR 단말의 절전, 지상망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위성 직접 통신인 NTN(Non-Terrestrial Network), 및 측위(positioning).
또한, 다음과 같은 기술들에 관한 무선 인터페이스 아키텍처/프로토콜의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다른 산업과의 연동 및 융합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무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를 통합 지원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 확장을 위한 노드를 제공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조건부 핸드오버 및 DAPS(Dual Active Protocol Stack) 핸드오버를 포함한 이동성 향상, 및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한 2단계 랜덤 액세스(NR용 2단계 RACH). 또한, 다음에 관한 시스템 아키텍처/서비스의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NFV(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및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 기술을 결합하기 위한 5G 기본 아키텍처(예: 서비스 기반 아키텍처 또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및 단말 위치 기반의 서비스들을 제공받기 위한 MEC(Mobile Edge Computing).
5G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됨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커넥티드(connected) 장치들이 통신망들에 연결될 것이며, 이에 따라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 향상과 커넥티드 장치들의 통합 운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관련된 새로운 연구가 예정되어 있다: AR(Augmented Reality), VR(Virtual Reality), MR(Mixed Reality)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XR(eXtended Reality),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을 활용한 5G 성능 향상 및 복잡도 감소, AI 서비스 지원, 메타버스 서비스 지원, 및 드론 통신.
또한, 이러한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다음 기술들에 대한 개발의 기반이 될 것이다: 6G 이동통신 기술의 테라헤르츠 대역 커버리지 제공을 위한 새로운 파형; FD-MIMO(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 대형 안테나 등의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 향상을 위한 메타물질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 및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를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6G 이동통신 기술의 주파수 효율을 높이고 시스템 네트워크를 개선하기 위한 전이중(full-duplex) 기술; 설계 단계부터 인공위성과 AI를 활용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구현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기 위한 AI 기반 통신 기술; 및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단말 운용 능력의 한계를 뛰어넘는 복잡도 수준의 서비스 구현을 위한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MC 게이트웨이 단말을 통해 MC 서비스 액세스를 얻는 MC 클라이언트들에 대하여, MC 게이트웨이 단말은 (수정되지 않은) 시그널링 및 미디어를 개별 MC 클라이언트들로부터 MC 서버로 또는 그 반대로 전달한다. MC 클라이언트들은 비-3GPP 장치들에 상주하기 때문에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보고할 수 없으며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위치 보고 트리거링 기준도 처리할 수 없다.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는 위치 보고 설정 요청[3GPP TS 23.280의 10.9.2절]은 언제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가 위치 보고를 전송할지 식별하는 트리거링 기준을 전달한다. 트리거링 기준은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파라미터들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식별자(ID)가 변경되거나 추적 영역(Tracking Area)이 변경되거나 MBMS SA(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 Standalone)가 변경되거나 MBMS FN 영역이 변경될 때마다 위치 보고를 보낸다. MC 클라이언트가 비-3GPP 장치들에 상주하면, 이들은 3GPP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정보를 추적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위치 보고 설정은 MC 클라이언트에게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공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전술한 단점들 또는 그 밖의 단점들을 해결하거나 적어도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주요 목적은 비-3GPP 장치들에 상주하는 MC 클라이언트들이 MC 게이트웨이 단말을 통해 위치 정보를 MC 시스템에 보고하면서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위치 트리거링 기준 및 위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을 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MC 게이트웨이 단말이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처리하고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트리거들을 포함하는 위치 보고 기준을 처리하는 것을 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MC 클라이언트가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트리거 기준을 포함하는 위치 보고 설정을 처리하기 위해 비-3GPP 장치에 상주하고 요청 시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절차들이 없으면 위치 관리 서버는 위치 트리거들을 설정할 수 있고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가져올 수 없을 것이다. 비-3GPP 장치들에 상주하는 MC 클라이언트들은 3GPP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가 없기 때문에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위치 정보 요청들과 위치 정보 트리거들을 처리할 수 없다. 또한, MC 네트워크는 투명할 수 있으며 배치(deployment)가 비-3GPP 장치들에 상주하는 MC 클라이언트들을 포함하면 특별한 고려사항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5세대(5G) 네트워크, 개방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O-RAN: Open Radio Access Network), 6세대(6G) 네트워크 등)에서 위치 관리를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미션 크리티컬(MC: Mission Critical) 클라이언트가 위치 관리 서버(LMS: Location Management Server)로부터 위치 보고 설정 요청 및 위치 정보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MC 클라이언트가 이벤트 트리거 위치 보고에 대한 상기 위치 보고 설정 요청에 기초한 MC 게이트웨이(GW: gateway) 위치 보고 설정 요청, 및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온디맨드 위치 보고에 대한 MC 게이트웨이 위치 정보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MC 게이트웨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MC 클라이언트가 상기 MC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MC 클라이언트가 국부적으로 이용가능한 위치 정보 및 상기 MC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보고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MC 클라이언트가 상기 MC 게이트웨이 단말을 통해 상기 위치 정보 보고를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MC 클라이언트가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상기 온디맨드 위치 보고에 대한 상기 MC 게이트웨이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MC 클라이언트가 MC 서비스 이용자에게 위치 정보를 공유하는 권한을 획득하도록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MC 클라이언트가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상기 온디맨드 위치 보고에 대한 상기 MC 게이트웨이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은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 변경에 대응하는 트리거링 기준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은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와 관련된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은 GW MC 서비스 식별자(ID), 요청된 위치 정보, 트리거링 기준, 및 위치 정보 보고들 간의 최소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MC GW 위치 정보 보고는 GW MC 서비스 ID, 트리거링 이벤트,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MC 게이트웨이 단말은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 트리거를 저장하고,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 트리거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작하며, 여기서 상기 MC 클라이언트는 비-3GPP 장치에 상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위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MC 게이트웨이 단말이 MC 클라이언트로부터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 및 MC GW 위치 정보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MC 클라이언트는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은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와 관련된 위치 트리거 이벤트들을 포함한다. 상기 MC 클라이언트는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MC 게이트웨이 단말이 상기 MC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MC 게이트웨이 단말은 설정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트리거될 때 및 상기 MC 클라이언트가 즉시 위치 보고를 요청할 때 상기 MC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위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MC 게이트웨이 단말이 MC 클라이언트로부터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은 상기 MC 게이트웨이 단말로부터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중단할 것을 통보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MC 게이트웨이 단말이 상기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에 기초하여 MC GW 위치 정보 보고의 준비를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MC 클라이언트를 제공한다. 상기 MC 클라이언트는 메모리와 프로세서에 연결된 위치 관리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관리 컨트롤러는 LMS로부터 위치 보고 설정 요청 및 위치 정보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위치 관리 컨트롤러는 이벤트 트리거 위치 보고에 대한 상기 위치 보고 설정 요청에 기초한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 및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온디맨드 위치 보고에 대한 MC 게이트웨이 위치 정보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MC 게이트웨이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위치 관리 컨트롤러는 상기 MC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MC 게이트웨이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MC 게이트웨이 단말은 메모리와 프로세서에 연결된 위치 관리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관리 컨트롤러는 MC 클라이언트로부터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 및 MC GW 위치 정보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MC 클라이언트는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은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와 관련된 위치 트리거 이벤트들을 포함한다. 상기 MC 클라이언트는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위치 관리 컨트롤러는 상기 MC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MC 게이트웨이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MC 게이트웨이 단말은 메모리와 프로세서에 연결된 위치 관리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관리 컨트롤러는 MC 클라이언트로부터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은 상기 MC 게이트웨이 단말로부터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중단할 것을 통보한다. 또한, 상기 위치 관리 컨트롤러는 상기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에 기초하여 MC GW 위치 정보 보고의 준비를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이러한 측면들 및 그 밖의 측면들은 다음의 설명 및 첨부 도면과 함께 고려될 때 더 잘 인식되고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다음의 설명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및 그에 대한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을 나타내지만, 이는 한정이 아닌 예시로서 제공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그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들과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모든 변경들과 수정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3GPP 장치들에 상주하는 MC 클라이언트들의 위치 보고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을 통틀어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대응 부분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MC 게이트웨이 단말이 이벤트 트리거 위치 보고 절차를 처리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MC 게이트웨이 단말이 이벤트 트리거 위치 보고 절차를 처리하는 다른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MC 게이트웨이 단말이 온디맨드 위치 보고 절차를 처리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LMS가 온디맨드 위치 보고 절차를 처리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LMS가 이벤트 트리거 위치 보고 절차를 처리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보고 취소 절차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MC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MC 게이트웨이 단말의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에서 위치 관리를 위해 MC 클라이언트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에서 위치 관리를 위해 MC 게이트웨이 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그 다양한 특징들 및 유리한 세부사항들은 첨부 도면에 도시되고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충분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불필요하게 모호해지지 않도록 잘 알려진 구성요소들과 처리 기술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실시될 수 있는 방식을 쉽게 이해하고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5세대 네트워크, 개방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O-RAN: Open Radio Access Network) 등)에서 위치 관리를 위한 방법들을 실현한다. 이 방법은 MC 클라이언트가 LMS로부터 위치 보고 설정 요청 및 위치 정보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MC 클라이언트가 이벤트 트리거 위치 보고에 대한 상기 위치 보고 설정 요청에 기초한 MC 게이트웨이(GW: gateway) 위치 보고 설정 요청, 및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온디맨드 위치 보고에 대한 MC 게이트웨이 위치 정보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MC 게이트웨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MC 클라이언트가 상기 MC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안된 방법은 비-3GPP 장치들에 상주하는 MC 클라이언트들이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위치 트리거링 기준 및 위치 정보를 처리하면서, MC 게이트웨이 단말을 통해 상기 위치 정보를 MC 시스템에 보고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경험이 향상되고 서비스 중단이 방지된다.
이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도 1a 내지 도 10을 참조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도면 전반에 걸쳐 일관되게 상응하는 특징들을 나타낸다.
3GPP TR 23.700-79에서는 비-3GPP 장치들에 상주하는 MC 클라이언트들(100)이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를 통해 MC 시스템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문제들과 해결방안들을 연구하고 있다.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3GPP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장치에 상주하며, 비-3GPP 장치의 MC 클라이언트들(100)과 MC 시스템 또는 무선 네트워크(500)를 연결하는 브리지 역할을 한다. 이하, 'MC 클라이언트'라는 용어는 비-3GPP 장치에 상주하는 MC 클라이언트를 의미한다. MC 시스템은 MC 클라이언트(100)의 위치 정보를 요구할 수 있고, 이 위치 정보는 다른 MC 클라이언트들 또는 MC 서비스 서버들에 의해 요청될 수 있다. 위치 관리 절차들은 3GPP TS 23.380에 기술되어 있으며, 위치 관리 서버(300)는 위치 보고 설정 및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MC 클라이언트들(100)에게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때로는 위치 보고 설정에 설정된 트리거 기준과 요청된 위치 정보가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될 수 있다. MC 클라이언트들(100)은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트리거링 기준 및 위치 정보를 처리할 수 없다. MC 클라이언트들(100)은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을 통해 MC 시스템에 연결되고,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3GPP 액세스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MC 클라이언트들(100)은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에 더 가깝게 존재하므로 MC 클라이언트들(100)의 위치 정보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의 위치 정보와 거의 동일할 것이다. MC 클라이언트들(100)은 필요할 때마다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부터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위치 정보(Cell ID, 추적 영역, 서빙 Ecgi, 인접 Ecgi, PLMN ID, MBMS 서비스 영역, MBMS FN 영역 등)를 가져올 수 있고 MC 시스템으로 위치 보고를 보내는 동안 이 정보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도시된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는 비-3GPP 장치에 상주하는 MC 클라이언트(100)의 일부이다.
이벤트 트리거 위치 보고 절차(Event Triggered Location Reporting Procedure): MC 클라이언트들(100)은 위치 관리 서버(300)로부터 위치 보고 설정을 수신하면 다음 사항을 확인한다.
1. 긴급 상황 및 비-긴급 상황에서의 트리거링 기준이 3GPP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와 관련된 트리거를 포함하는지 여부.
2. 긴급 상황 및 비-긴급 상황에 대한 요청된 위치 정보가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세부사항을 포함하는지 여부.
트리거링 기준이 3GPP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와 관련된 트리거를 포함하는 경우, MC 클라이언트(100)는 필요한 세부사항을 포함하여 MC GW 위치 보고 설정을 구성하고 이를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 전송한다.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MC GW 위치 보고 설정을 수신하면 MC GW 위치 보고 설정에 명시된 트리거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작한다. 트리거 이벤트들 중 하나가 발생하면,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요청된 위치 정보와 위치 보고의 전송을 트리거한 이벤트의 ID를 포함하는 MC GW 위치 보고를 MC 클라이언트(100)로 전송한다. MC 클라이언트(100)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부터 MC GW 위치 보고를 수신하면 이에 따라 위치 보고를 구성하고 이를 위치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도 1a 및 도 1b는 이벤트 트리거 위치 보고의 상위 레벨 절차의 순서도를 도시하며, 그 세부 단계들은 다음과 같다: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절차들 간의 차이점은 단계 1 및 단계 6에 있다. 도 1b에서는 단계 1과 6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 이 단계들에서 또는(OR) 조건으로 설명된다.
전제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MC 서비스 이용자는 비-3GPP 장치를 이용하여 MC 서비스들에 액세스하기를 원한다.
2. MC 클라이언트(100)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을 통해 서비스 승인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도 1a를 참조하면, 단계 1에서, MC 클라이언트(100)는 LMS(300)로부터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 변경의 트리거링 기준을 포함하는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 2에서, MC 클라이언트(100)는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 트리거들 및 요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GW 위치 보고 설정을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 전송한다.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위치 보고 설정을 저장하고, MC GW 위치 보고 설정에서 수신된 트리거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작한다. 다수의 MC 클라이언트들(100)로부터 수신되는 트리거링 기준들은 동일할 수 있다.
단계 3에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고, 단계 4를 트리거한다. 단계 4에서,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MC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요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전송한다.
단계 5에서, MC 클라이언트(100)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국부적으로 이용가능한(locally available)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단계 6에서,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도 3에 도시됨)는 위치 관리 서버(300)에 의해 식별되고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에 이용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보고를 위치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단계 1a에서, 위치 관리 서버(300)는 비-3GPP 장치에 상주하는 MC 클라이언트(100)를 대상으로 하는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1b에서,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MC 클라이언트(100)를 대상으로 하는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이를 MC 클라이언트(100)로 전달한다.
단계 2에서, MC 클라이언트(100)는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 트리거들 및 요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GW 위치 보고 설정을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 전송한다.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위치 보고 설정을 저장하고, MC GW 위치 보고 설정에서 수신된 트리거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작한다. 다수의 MC 클라이언트들(100)로부터 수신되는 트리거링 기준들은 동일할 수 있다.
단계 3에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고, 단계 4를 트리거한다. 단계 4에서,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MC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요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전송한다.
단계 5에서, MC 클라이언트(100)는 MC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국부적으로 이용가능한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단계 6a에서,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는 위치 관리 서버(300)에 의해 식별되고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에 이용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보고를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 전송한다. 단계 6b에서,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위치 정보 보고를 위치 관리 서버(300)로 전달한다.
단계 6a에서,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는 위치 관리 서버(300)로 어드레스된 위치 정보 보고를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 전송하고,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위치 정보 보고를 해당 위치 관리 서버(300)로 단지 전달하기만 한다.
온디맨드 위치 보고 절차(On-Demand Location reporting procedure): MC 클라이언트(100)는 아래의 경우들이나 MC 클라이언트(100)가 즉시 위치 관리 서버(300)로 위치 정보를 전송해야 하는 그 밖의 다른 경우들을 처리하기 위해 즉시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부터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가져와야 할 수 있다:
1. 초기 로그인,
2. 그룹 통화,
3. 사적 통화,
4. 위치 설정 수신,
5. 위치 요청 수신
도 2a 및 도 2b는 온디맨드 위치 보고 절차의 순서도를 도시하며, 그 세부 단계들은 아래와 같다. 전제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MC 서비스 이용자는 비-3GPP 장치를 이용하여 MC 서비스들에 접근하기를 원한다.
2. MC 클라이언트(100)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을 통해 서비스 승인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도 2a를 참조하면, 단계 1에서, MC 클라이언트(100)는 LMS(300)로부터 즉시 위치 정보를 전송하라는 위치 정보 요청 또는 초기 로그인, 그룹 통화 등과 같이 즉시 위치 관리 서버(300)로 위치 정보를 보내야 하는 그 밖의 이벤트들을 수신한다. 요청된 위치 정보는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2에서, MC 서비스 이용자에게 이를 알리고 위치 정보 공유에 대한 승낙을 요청한다. MC 서비스 이용자는 이 요청을 수락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단계 3에서, MC 클라이언트(100)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의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MC GW 위치 정보 요청을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 전송한다.
단계 4에서,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MC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요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전송한다. 단계 5에서, MC 클라이언트(100)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국부적으로 이용가능한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단계 6에서, MC 클라이언트(100)는 위치 관리 서버(300)에 의해 식별되고 MC 클라이언트(100)에 이용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보고를 위치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계 1a에서, 위치 관리 서버(300)는 즉시 위치 정보를 전송하라고 요청하는, 비-3GPP 장치에 상주하는 MC 클라이언트(100)를 대상으로 하는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하고, 요청된 위치 정보는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1b에서,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이를 타겟 MC 클라이언트(100)로 전달한다.
단계 2에서, MC 서비스 이용자에게 이를 알리고 위치 정보 공유에 대한 승낙을 요청한다. MC 서비스 이용자는 이 요청을 수락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단계 3에서, MC 클라이언트(100)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의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MC GW 위치 정보 요청을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 전송한다.
단계 4에서,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MC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요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전송한다. 단계 5에서, MC 클라이언트(100)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국부적으로 이용가능한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단계 6a에서, MC 클라이언트(100)는 위치 관리 서버(300)에 의해 식별되고 MC 클라이언트(100)에 이용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보고를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 전송한다. 단계 6b에서,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위치 정보 보고를 위치 관리 서버(300)로 전달한다.
단계 6a에서, MC 클라이언트(100)는 위치 관리 서버(300)로 어드레스된 위치 정보 보고를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 전송하고,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위치 정보 보고를 해당 위치 관리 서버(300)로 단지 전달하기만 한다.
MC GW 위치 보고 설정을 위한 정보 흐름(Information flow for the MC GW Location reporting configuration): 아래 표 1은 MC 클라이언트(100)로부터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의 MC GW 위치 보고 설정을 위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정보 요소 상태 설명
GW MC 서비스 ID M 요청하는 MC 서비스 이용자의 GW MC 서비스 ID
요청된 위치 정보 O(주 1 참조) 요청된 위치 정보를 식별함
트리거링 기준 O(주 1 참조) MC 게이트웨이 단말이 언제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에게 위치 보고를 보낼지 식별함
연속 보고들 간의 최소 시간 O(주 1 참조) 없는 경우 기본값은 0
주 1: 정보 요소가 하나도 없는 경우, 위치 보고의 취소를 나타냄(설정된 경우).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위한 정보 흐름(Information flow for the MC GW Location information report): 표 2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부터 MC 서비스 클라이언트(비-3GPP 장치들에 상주)로의 위치 정보 보고를 위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정보 요소 상태 설명
GW MC 서비스 ID M MC 서비스 이용자의 GW MC 서비스 ID
트리거링 이벤트 O 보고 전송을 트리거한 이벤트의 식별
위치 정보(주 1 참조) M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MC 게이트웨이 단말의 위치 정보
주 1: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다음 위치 정보 요소들이 존재해야 함(설정 가능): 서빙 및 인접 ECGI, MBMS SAI, MBMSfnArea, PLMN ID
MC GW 위치 정보 요청을 위한 정보 흐름(Information flow for the MC GW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표 3은 MC 서비스 클라이언트(비-3GPP 장치들에 상주)로부터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의 즉각적인 위치 정보 보고의 요청을 위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정보 요소 상태 설명
GW MC 서비스 ID M 요청하는 MC 서비스 이용자의 GW MC 서비스 ID
MC 게이트웨이 단말에 의해 처리될 메시지들에 대한 전용 채널(Dedicated channel for messages to be handled by MC gateway UE)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MC 클라이언트(100)와 대응하는 MC 서버 사이에서 사용자 시그널링 트래픽과 미디어 평면 트래픽을 개별적으로, 즉 MC 서비스 이용자별로, 인에이블하고 처리하는 MC 어플리케이션 연결 노드 역할을 한다.
MC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와 MC 게이트웨이 단말 클라이언트 사이에 존재하는 CSC-GW 기준 포인트는 비-3GPP 장치들과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의 연결 승인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MC 클라이언트들(100)과 MC 게이트웨이 단말(200) 사이에서 위치 정보 관련 요청들 및 응답들을 전송하기 위해 3GPP TR 23.700-79에서 제안된 CSW-GW 기준 포인트를 재사용하거나 위치 정보 관련 요청 및 응답이 전송될 수 있는 새로운 기준 포인트를 도입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식은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이 처리해야 하거나 MC 시스템으로 전달해야 하는 메시지들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MC 게이트웨이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얻는 위치 관리 서버(Location Management Server ge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MC Gateway UE)
위치 관리 서버(300)는 비-3GPP 장치들로부터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를 통해 MC 시스템에 액세스하는 MC 서비스 클라이언트들의 목록을 알고 있어야 한다. MC 게이트웨이 단말들(200)를 포함하는 정보와 특정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을 통해 MC 시스템에 액세스하는 MC 서비스 클라이언트들의 목록을 유지해야 한다. 위치 관리 서버(300)는 MC 클라이언트(100)와 위치 관리 서버(300)의 연결 승인이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을 통해 이루어질 때마다 이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위치 관리 서버(300)는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에게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을 보낼 때, 이러한 특정 MC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비-3GPP 장치에 상주하고 있는지 그리고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을 통해 MC 시스템에 액세스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요청된 위치 정보와 트리거링 기준이 3GPP 액세스 정보와 관련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그렇다면, 위치 관리 서버(300)는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트리거링 기준 및 요청된 위치 정보만을 포함하는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을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 전송한다. 위치 관리 서버(300)는 MC 서비스 클라이언트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그리고 3GPP 액세스 정보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포함할 필요가 있는 경우, MC 서비스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요청된 개체로 전송하기 전에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업데이트한다.
위치 관리 서버(300)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부터 위치 정보 보고를 받을 때마다 트리거링 이벤트에 기초하여 어떤 MC 클라이언트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할지 결정할 수 있도록, 위치 트리거들 및 그들과 연관된 MC 서비스 클라이언트들의 목록도 유지해야 한다. 위치 관리 서버(300)는 MC 클라이언트(100)의 위치 정보를 요청된 개체로 전송하기 전에 최신 위치 정보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위치 관리 서버(300)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부터 위치 정보 보고를 받을 때마다 MC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최신 위치 정보(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이 없는)를 가져오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위치 관리 서버(300)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와 MC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 보고를 병합하여 이를 MC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수신된 바과 같은 단일 위치 정보 보고로서 요청된 개체로 전송한다.
온디맨드 위치 보고 절차(On-Demand Location reporting procedure)
도 3은 온디맨드 위치 보고 절차를 도시하며, 그 세부 단계들은 다음과 같다. 전제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MC 서비스 이용자는 비-3GPP 장치를 이용하여 MC 서비스들에 액세스하기를 원한다.
2. MC 클라이언트(100)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을 통해 서비스 승인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3. 위치 관리 서버(300)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과 MC 클라이언트(100)로 MC 클라이언트 단말의 위치를 보고하기 위한 초기 설정(또는 후속 업데이트)을 포함하는 위치 보고 설정을 이미 전송하였다.
단계 1에서, MC 서비스 서버(400b) 또는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는 위치 관리 서버(300)로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2에서, 위치 관리 서버(300)는 MC 서비스 서버 또는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가 위치 정보를 요청하도록 승인되었는지 확인한다.
단계 3에서, 위치 관리 서버(300)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4에서, 위치 관리 서버(300)는 비-3GPP 장치에 상주하는 MC 클라이언트(100)로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5에서,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에 상주하는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는 위치 관리 서버(300)에 의해 식별되고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에 이용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보고를 이용하여 위치 관리 서버(300)에 즉시 응답한다. 이러한 위치 정보 보고는 주로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6a에서,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는 위치 관리 서버(300)에 의해 식별되고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에 이용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보고를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 전송한다.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는 위치 관리 서버(300)로 어드레스된 위치 정보 보고를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 전송하고,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위치 정보 보고를 해당 위치 관리 서버(300)로 단지 전달하기만 한다.
단계 6b에서,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위치 정보 보고를 위치 관리 서버(300)로 전달한다.
단계 7에서, 위치 관리 서버(300)는 보고를 수신하면 보고하는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의 위치를 업데이트한다. 위치 관리 서버(300)가 보고하는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의 위치 정보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 위치 관리 서버(300)는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가 보고하는 위치 정보를 단지 저장하기만 한다. 최종 저장된 위치 보고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과 MC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수신된 통합 보고가 될 것이다.
이후, 단계 8에서, 위치 관리 서버(300)는 MC 서비스 이용자들 중 하나 이상이 획득한 최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보고를 즉시 전송한다.
이벤트 트리거 위치 보고 절차(Event Triggered Location Reporting Procedure)
도 4는 이벤트 트리거 위치 보고 절차의 순서도를 도시하며, 그 세부 단계들은 아래와 같다. 전제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MC 서비스 이용자는 비-3GPP 장치를 이용하여 MC 서비스들에 액세스하기를 원한다.
2. MC 클라이언트(100)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을 통해 서비스 승인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단계 1에서, 위치 관리 서버(300)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 위치 보고 설정을 전송한다. 이 설정은 주로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와 관련된 트리거들을 포함한다. 단계 2에서, 위치 관리 서버(300)는 위치 보고 설정을 MC 클라이언트(100)로 전송하고, 이 설정은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관련된 트리거들이나 요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해서는 안 된다.
단계 3에서, 단계 4를 트리거하는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한다. 단계 4에서,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위치 관리 서버(300)에 의해 식별되고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에 이용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보고를 위치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단계 5에서, 위치 관리 서버(300)는 MC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수신된 최근 위치 정보 보고가 없는 경우, 최신 위치 정보를 가져오기 위해 MC 클라이언트(100)로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6a에서,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는 위치 관리 서버(300)에 의해 식별되고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에 이용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보고를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 전송한다.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는 위치 관리 서버(300)로 어드레스된 위치 정보 보고를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 전송하고,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위치 정보 보고를 해당 위치 관리 서버(300)로 단지 전달하기만 한다.
단계 6b에서,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위치 정보 보고를 위치 관리 서버(300)로 전달한다.
단계 7에서, 위치 관리 서버(300)는 보고를 수신하면 보고하는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의 위치를 업데이트한다. 위치 관리 서버(300)가 보고하는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의 위치 정보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 위치 관리 서버(300)는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가 보고하는 위치 정보를 단지 저장하기만 한다. 최종 저장된 위치 보고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과 MC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수신된 통합 보고가 될 것이다.
위치 보고 취소 절차(Location Reporting cancel procedure):
도 5는 MC 클라이언트(100)가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부터의 위치 보고를 취소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위치 보고 취소 절차는 위치 보고 설정의 정보 흐름을 재사용한다.
전제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MC 서비스 이용자는 비-3GPP 장치를 이용하여 MC 서비스들에 액세스하기를 원한다.
2. MC 클라이언트(100)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을 통해 서비스 승인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3. 위치 관리 클라이언트(400a)는 더 이상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부터 위치 정보 보고를 받을 필요가 없다.
단계 1에서, MC 클라이언트(100)는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부터의 위치 보고를 중단하기 위해 아무런 정보 요소 없이 MC GW 위치 보고 설정을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 전송한다. 단계 2에서,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MC 클라이언트(100)로의 위치 정보 보고 전송을 중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MC 클라이언트(100)의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MC 클라이언트(100)는 프로세서(110), 통신부(120), 메모리(130), 및 위치 관리 컨트롤러(1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20), 메모리(130), 및 위치 관리 컨트롤러(140)와 연결된다.
위치 관리 컨트롤러(140)는 위치 관리 서버(300)로부터 위치 보고 설정 요청 및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은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 변경에 대응하는 트리거링 기준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 정보 요청은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은 GW MC 서비스 ID, 요청된 위치 정보, 트리거링 기준, 및 위치 정보 보고들 간의 최소 시간을 포함한다.
또한, 위치 관리 컨트롤러(140)는 이벤트 트리거 위치 보고에 대한 위치 보고 설정 요청에 기초한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 및 위치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온디맨드 위치 보고에 대한 MC 게이트웨이 위치 정보 요청을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온디맨드 위치 보고에 대한 MC 게이트웨이 위치 정보 요청은 MC 서비스 이용자에게 위치 정보 공유에 대한 승낙을 얻도록 통지함으로써 전송된다. 위치 관리 컨트롤러(140)는 MC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요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MC GW 위치 정보 보고는 GW MC 서비스 ID, 트리거링 이벤트,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위치 관리 컨트롤러(140)는 국부적으로 이용가능한 위치 정보와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보고를 설정한다. 위치 관리 컨트롤러(140)는 위치 정보 보고를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을 통해 위치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위치 관리 컨트롤러(140)는 논리 게이트, 집적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메모리 회로, 수동 전자부품, 능동 전자부품, 광학부품, 하드와이어드 회로 등과 같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회로에 의해 물리적으로 구현되며, 선택적으로 펌웨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위치 관리 컨트롤러(140)는 프로세서(110)에 포함될 수 있다. 위치 관리 컨트롤러(140)가 프로세서(110)에 포함되는 경우, 전술한 위치 관리 컨트롤러(140)의 동작은 프로세서(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통신부(120)는 내부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간에 내부적으로 통신하고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될 명령들을 저장한다. 메모리(130)는 비휘발성 저장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휘발성 저장 소자들의 예들로 자기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또는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 가능한 메모리(EPROM: electrically programmable memories)나 전기적으로 삭제 및 프로그래밍 가능한 메모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memories)의 형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일부 예에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로 간주될 수 있다. "비-일시적(non-transitory)"이라는 용어는 저장 매체가 반송파 또는 전파된 신호로 구현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비-일시적"이라는 용어는 메모리(130)가 이동 불가능하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예들에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예를 들어,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캐시(cache)).
또한, 복수의 모듈들/컨트롤러들 중 적어도 하나가 데이터 구동 컨트롤러를 이용한 AI 모델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컨트롤러는 ML 모델 기반 컨트롤러 및 AI 모델 기반 컨트롤러가 될 수 있다. AI 모델과 연관된 기능은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및 프로세서(11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은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시각적 처리 장치(VPU: visual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그래픽 전용 처리 장치, 및/또는 신경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AI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미리 정의된 동작 규칙이나 AI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의 처리를 제어한다. 미리 정의된 동작 규칙이나 AI 모델은 훈련이나 학습을 통해 제공된다.
여기서, 학습을 통해 제공된다는 것은 학습 알고리즘을 복수의 학습 데이터에 적용하여 미리 정의된 동작 규칙이나 원하는 특성의 AI 모델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은 일 실시예에 따른 AI가 수행되는 장치 자체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별도의 서버/시스템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AI 모델은 복수의 신경망 계층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계층은 복수의 가중치 값들을 가지며, 이전 계층의 계산과 복수의 가중치들의 연산을 통해 계층 연산을 수행한다. 신경망의 예로는 컨볼루션 신경망(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순환 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 제한적 볼츠만 머신(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심층 신뢰망(DBN: deep belief network), 양방향 순환 심층 신경망(BRDNN: 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및 심층 Q-망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학습 알고리즘은 복수의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타겟 장치(예를 들어, 로봇)를 훈련시켜 타겟 장치가 판단 또는 예측을 하게 하거나, 허용하거나, 제어하는 방법이다. 학습 알고리즘의 예로는 지도 학습, 비지도 학습, 준지도 학습, 또는 강화 학습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MC 클라이언트(100)의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을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이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MC 클라이언트(100)는 더 적거나 더 많은 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예시의 목적으로만 사용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이 함께 결합되어 MC 클라이언트(100)에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의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프로세서(210), 통신부(220), 메모리(230), 및 위치 관리 컨트롤러(2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통신부(220), 메모리(230), 및 위치 관리 컨트롤러(240)와 연결된다.
위치 관리 컨트롤러(240)는 MC 클라이언트(100)로부터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 및 MC GW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은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와 관련된 위치 트리거 이벤트들을 포함한다. MC 클라이언트(100)는 위치 관리 서버(300)로부터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또한, 위치 관리 컨트롤러(240)는 MC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요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위치 관리 컨트롤러(240)는 설정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트리거되거나 MC 클라이언트가 즉시 위치 보고를 요청하는 경우 MC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요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위치 관리 컨트롤러(240)는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 트리거를 저장하고 이 트리거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작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MC 클라이언트(100)는 비-3GPP 장치에 상주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 관리 컨트롤러(240)는 MC 클라이언트(100)로부터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은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부터의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중단할 것을 통보한다.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에 기초하여, 위치 관리 컨트롤러(240)는 MC GW 위치 정보 보고의 준비를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위치 관리 컨트롤러(240)는 논리 게이트, 집적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메모리 회로, 수동 전자부품, 능동 전자부품, 광학부품, 하드와이어드 회로 등과 같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회로에 의해 물리적으로 구현되며, 선택적으로 펌웨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위치 관리 컨트롤러(240)는 프로세서(210)에 포함될 수 있다. 위치 관리 컨트롤러(240)가 프로세서(210)에 포함되는 경우, 전술한 위치 관리 컨트롤러(240)의 동작은 프로세서(2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통신부(220)는 내부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간에 내부적으로 통신하고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230)는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될 명령들을 저장한다. 메모리(230)는 비휘발성 저장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휘발성 저장 소자들의 예들로 자기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또는 EPROM이나 EEPROM의 형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일부 예에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로 간주될 수 있다. "비-일시적"이라는 용어는 저장 매체가 반송파 또는 전파된 신호로 구현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비-일시적"이라는 용어는 메모리(230)가 이동 불가능하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예들에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예를 들어, RAM 또는 캐시(cache)).
또한, 복수의 모듈들/컨트롤러들 중 적어도 하나가 데이터 구동 컨트롤러를 이용한 AI 모델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컨트롤러는 ML 모델 기반 컨트롤러 및 AI 모델 기반 컨트롤러가 될 수 있다. AI 모델과 연관된 기능은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및 프로세서(21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은 중앙 처리 장치(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GPU), 시각적 처리 장치(VPU) 등과 같은 그래픽 전용 처리 장치, 및/또는 신경 처리 장치(NPU)와 같은 AI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미리 정의된 동작 규칙이나 AI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의 처리를 제어한다. 미리 정의된 동작 규칙이나 AI 모델은 훈련이나 학습을 통해 제공된다.
여기서, 학습을 통해 제공된다는 것은 학습 알고리즘을 복수의 학습 데이터에 적용하여 미리 정의된 동작 규칙이나 원하는 특성의 AI 모델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은 일 실시예에 따른 AI가 수행되는 장치 자체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별도의 서버/시스템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AI 모델은 복수의 신경망 계층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계층은 복수의 가중치 값들을 가지며, 이전 계층의 계산과 복수의 가중치들의 연산을 통해 계층 연산을 수행한다. 신경망의 예로는 컨볼루션 신경망(CNN), 심층 신경망(DNN), 순환 신경망(RNN), 제한적 볼츠만 머신(RBM), 심층 신뢰망(DBN), 양방향 순환 심층 신경망(BRDNN),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및 심층 Q-망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학습 알고리즘은 복수의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타겟 장치(예를 들어, 로봇)를 훈련시켜 타겟 장치가 판단 또는 예측을 하게 하거나, 허용하거나, 제어하는 방법이다. 학습 알고리즘의 예로는 지도 학습, 비지도 학습, 준지도 학습, 또는 강화 학습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의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을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이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은 더 적거나 더 많은 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예시의 목적으로만 사용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이 함께 결합되어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에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500)(예를 들어, 5세대 네트워크, 개방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O-RAN: Open Radio Access Network) 등)에서 위치 관리를 위해 MC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800)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들(802-806)은 위치 관리 컨트롤러(140)에 의해 처리된다. 802에서, 방법은 위치 관리 서버(300)로부터 위치 보고 설정 요청 및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804에서, 방법은 이벤트 트리거 위치 보고에 대한 위치 보고 설정 요청에 기초한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 및 위치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온디맨드 위치 보고에 대한 MC 게이트웨이 위치 정보 요청을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806에서, 방법은 MC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요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500)에서 위치 관리를 위해 MC 게이트웨이 단말(200)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들(900 및 1000)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들(902, 904)은 위치 관리 컨트롤러(240)에 의해 처리된다. 902에서, 방법은 MC 클라이언트(100)로부터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 및 MC GW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MC 클라이언트(100)는 위치 관리 서버(300)로부터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을 수신한다.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은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와 관련된 위치 트리거 이벤트들을 포함한다. MC 클라이언트(100)는 위치 관리 서버(300)로부터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904에서, 방법은 MC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요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들(1002, 1004)은 위치 관리 컨트롤러(240)에 의해 처리된다. 1002에서, 방법은 MC 클라이언트(100)로부터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은 MC 게이트웨이 단말(200)로부터의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중단할 것을 통보한다. 1004에서, 방법은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에 기초하여 MC GW 위치 정보 보고의 준비를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에서 실행되고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 기능들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도 있고, 하드웨어 장치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일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상기 설명은 그 실시예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에 따라 현재 지식을 적용함으로써 일반적인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러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응용들에 대한 변형 및/또는 적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 및 적응은 개시된 실시예들의 균등물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 이해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내지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관점에서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의 범위 내에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16)

  1. 무선 네트워크에서 미션 크리티컬(MC: mission critical) 클라이언트의 위치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 변경의 트리거링 기준을 포함하는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을 위치 관리 서버(LMS: location management server)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게이트웨이(GW: gateway)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을 MC 게이트웨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MC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상기 MC 게이트웨이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MC 클라이언트는 비-3GPP 장치에 상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C 게이트웨이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업데이트된 국부적으로 이용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보고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 보고를 상기 MC 게이트웨이 단말을 통해 상기 LMS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은 GW MC 서비스 식별자(ID), 요청된 위치 정보, 트리거링 기준, 및 위치 정보 보고들 간의 최소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C GW 위치 정보 보고는 GW MC 서비스 ID, 트리거링 이벤트,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보고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경우, 어떤 정보 요소도 없이 상기 MC GW 위치 보고 설정을 상기 MC 게이트웨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무선 네트워크에서 미션 크리티컬(MC: mission critical) 게이트웨이 단말의 위치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게이트웨이(GW: gateway)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을 MC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에 기초하여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면 위치 정보를 상기 MC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위치 정보 보고를 상기 MC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보고를 위치 관리 서버(LMS: location management server)로 전송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고 설정을 저장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무선 네트워크의 미션 크리티컬(MC: mission critical) 클라이언트에 있어서,
    메모리;
    비-3GPP(non-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액세스 방식으로 MC 게이트웨이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와 상기 통신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 변경의 트리거링 기준을 포함하는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을 위치 관리 서버(LMS: location management server)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게이트웨이(GW: gateway)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을 MC 게이트웨이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MC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GW 위치 정보 보고를 상기 MC 게이트웨이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 클라이언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MC 게이트웨이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업데이트된 국부적으로 이용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보고를 설정하고,
    상기 위치 정보 보고를 상기 MC 게이트웨이 단말을 통해 상기 LMS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 클라이언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은 GW MC 서비스 식별자(ID), 요청된 위치 정보, 트리거링 기준, 및 위치 정보 보고들 간의 최소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 클라이언트.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MC GW 위치 정보 보고는 GW MC 서비스 ID, 트리거링 이벤트,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 클라이언트.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 정보 보고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경우, 어떤 정보 요소도 없이 상기 MC GW 위치 보고 설정을 상기 MC 게이트웨이 단말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 클라이언트.
  14. 무선 네트워크의 미션 크리티컬(MC: mission critical) 게이트웨이 단말에 있어서,
    메모리;
    비-3GPP(non-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액세스 방식으로 MC 클라이언트와 통신하고 3GPP 액세스 방식으로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와 상기 통신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관련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C 게이트웨이(GW: gateway) 위치 보고 설정 요청을 MC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MC GW 위치 보고 설정 요청에 기초하여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모니터링하고,
    상기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면 위치 정보를 상기 MC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 게이트웨이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위치 정보 보고를 상기 MC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보고를 위치 관리 서버(LMS: location management server)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 게이트웨이 단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 보고 설정을 저장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 게이트웨이 단말.
KR1020237039990A 2021-04-29 2022-04-21 무선 네트워크에서 위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725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2141019737 2021-04-29
IN202141019737??? 2021-04-29
IN202141019737 2022-03-21
PCT/KR2022/005718 WO2022231210A1 (en) 2021-04-29 2022-04-21 A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management in a wireless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581A true KR20230172581A (ko) 2023-12-22

Family

ID=8384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990A KR20230172581A (ko) 2021-04-29 2022-04-21 무선 네트워크에서 위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00782A1 (ko)
EP (1) EP4189983B1 (ko)
KR (1) KR20230172581A (ko)
WO (1) WO2022231210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157A1 (en) * 2014-06-30 2016-01-07 Lg Electronics Inc. A method and appartus for supporting a 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service in a wireless access system
CN109076308A (zh) * 2016-05-24 2018-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紧急任务用户与其用户设备的关联方法及相关设备
US11700517B2 (en) * 2021-04-07 2023-07-11 Tencent America LLC Location reporting for service enabler architecture layer (SE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89983A1 (en) 2023-06-07
WO2022231210A1 (en) 2022-11-03
EP4189983A4 (en) 2023-09-27
EP4189983B1 (en) 2024-06-05
US20230300782A1 (en)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6940951A (zh) 通信系统中用于支持机器学习或人工智能技术的方法和装置
KR2023014058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동의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401216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conditional handover (cho) for a group of user equipment’s connected to a moving node
KR20230172581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위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EP4250664A1 (en) Communication related to federated learning
KR20230147095A (ko) 오프-네트워크에서 위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단말
CN117280754A (zh) 用于支持在网络之间的ue移动性的方法和设备
US11943306B2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alternative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62622A1 (en)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exposure for group
KR20240022450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를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3039754A (zh) SigMesh网络中的监督式话务管理
KR20240028519A (ko) 통신 시스템에서 개선된 비공용 네트워크 운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44546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기능 간의 제한된 서비스액세스 방법 및 시스템
US2023035348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route selection policy
US20240196187A1 (en) Machine learn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transfer to ue using proximity services (prose)/sidelink wireless communication
US202400568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using tether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40004381A (ko) Ue의 rrc 비활성 상태에서 pdu 세션 복구를 수행하는 방법 및 ue
WO20232110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covering application services in federation of operators in wireless network
KR20230155471A (ko)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별 인증 권한부여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23031964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enhanced network slice allocation
CN117158049A (zh) 无线通信系统中支持替代网络切片的方法和设备
KR20230139557A (ko) 로밍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기능 제공 방법
KR2023013976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합 학습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240025510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 피드백을 사용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4012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