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415A - 신발용 장식구 및 이를 구비한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용 장식구 및 이를 구비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415A
KR20230170415A KR1020220070858A KR20220070858A KR20230170415A KR 20230170415 A KR20230170415 A KR 20230170415A KR 1020220070858 A KR1020220070858 A KR 1020220070858A KR 20220070858 A KR20220070858 A KR 20220070858A KR 20230170415 A KR20230170415 A KR 20230170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band
decoration
shoe
coupling portion
velcro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주
Original Assignee
김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주 filed Critical 김민주
Priority to KR1020220070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0415A/ko
Publication of KR20230170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4Ornamental buckles;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out fastening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Hooks or loops provided with means to reinforce the attachment, e.g. by adhes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5/00Fastening by use of touch and clos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용 장식구 및 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발의 체결을 위해 마련된 벨크로를 이용한 탈부착이 가능하여, 부착시 사용자의 개성을 살릴 수 있으며, 탈착시 신발 본연의 심미감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띠 형태를 이루면서 마주하게 접혀져 일면에 구비된 제1 벨크로부재 및 제2 벨크로부재가 상호 부착되어 신발의 발등 부위를 조이는 조임띠에 장착되는 장식구;를 포함하되, 상기 장식구는, 양면이 제1 벨크로부재 및 제2 벨크로부재에 각각 탈부착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와 조임띠 간의 부착시 조임띠의 외측편에 위치되게끔 결합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장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장식구 및 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용 장식구 및 이를 구비한 신발{Ornament for shoes and Shoe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발용 장식구 및 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벨크로를 통해 체결되는 신발에 용이하게 부착되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발용 장식구 및 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용자가 발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용도 및 기호 등에 따라 골프화, 러닝화 등과 같은 운동화, 구두, 샌들, 슬리퍼 등이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신발이 출시됨에도 불구하고, 근래 사용자들은 신발, 가방 등을 자신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는 수단으로 여겨, 이에 여러 가지 장식구를 장착하고 있다.
일 예로, 신발끈으로 체결되는 신발의 경우, 신발끈을 통해 장착할 수 있는 장식구가 있으며, 발등을 감싸는 신발 갑피에 다수의 홀이 뚤린 신발의 경우, 상기 홀에 억지끼워질 수 있는 장식구가 있다. 또한, 신발 갑피에 장식구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장착수단이 구비된 신발도 존재한다.
그러나, 벨크로로 체결되는 신발은, 갑피에 홀이 뚫려 있지 않는 이상 장식구를 장착하기 어려우며, 별도의 장착수단을 갑피에 마련할 경우 장식구를 장착하지 않을 시 장착수단에 의해 심미감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0246호 '장식덮개가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신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발의 체결을 위해 마련된 벨크로를 이용한 탈부착이 가능하여, 부착시 사용자의 개성을 살릴 수 있으며, 탈착시 신발 본연의 심미감을 유지시킬 수 있는 신발용 장식구 및 이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신발용 장식구는, 띠 형태를 이루면서 마주하게 접혀져 일면에 구비된 제1 벨크로부재 및 제2 벨크로부재가 상호 부착되어 신발의 발등 부위를 조이는 조임띠에 장착되는 장식구;를 포함하되, 상기 장식구는, 양면이 제1 벨크로부재 및 제2 벨크로부재에 각각 탈부착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와 조임띠 간의 부착시 조임띠의 외측편에 위치되게끔 결합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장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띠 형태를 이루되, 상기 장식부는 결합부의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장식구는, 조임띠의 접힘이 이루어지는 지점 부근에 결합부의 일단이 위치되게끔 조임띠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띠는, 외측에 위치되고 제1 벨크로부재가 구비된 제1 조임띠와, 제1 조임띠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 벨크로부재가 구비된 제2 조임띠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조임띠와 대응되는 폭을 가지면서 제1 벨크로부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신발용 장식구를 구비한 신발은, 발등 부위에 개방부가 형성된 메인갑피; 띠 형태를 이루면서 개방부의 일측편에 일단이 고정되고 개방부의 타측편을 지나 마주하게 접혀져 일면에 구비된 제1 벨크로부재 및 제2 벨크로부재가 상호 부착되어 발등 부위를 조이는 조임띠; 상기 조임띠에 장착되는 장식구;를 포함하되, 상기 장식구는, 양면이 제1 벨크로부재 및 제2 벨크로부재에 각각 탈부착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와 조임띠 간의 부착시 조임띠의 외측편에 위치되게끔 결합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장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임띠는, 외측에 위치되고 제1 벨크로부재가 구비된 제1 조임띠와, 제1 조임띠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 벨크로부재가 구비된 제2 조임띠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갑피에서 제2 조임띠의 일단이 고정되는 지점과 인접한 일측편에는, 제1 조임띠 및 결합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을 조이면서 체결하기 위해 마련된 조임띠의 제1 벨크로부재 및 제2 벨크로부재 사이에 부착되어 조임띠의 외측편으로 장식부가 위치되는바 장식구를 신발에 장착시 사용자의 개성을 살릴 수 있으며, 장식구의 장착을 위해 신발에 별도의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장착수단이 필요치 않아 장식구의 탈칙시 신발 본연의 심미감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가 신발과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의 전면과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가 신발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 및 이를 구비한 신발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가 신발과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가 신발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 및 이를 구비한 신발을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에서는 신발의 체결을 위해 마련된 벨크로를 이용한 탈부착이 가능하여, 부착시 사용자의 개성을 살릴 수 있으며, 탈착시 신발 본연의 심미감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띠 형태를 이루면서 마주하게 접혀져 일면에 구비된 제1 벨크로부재 및 제2 벨크로부재가 상호 부착되어 신발의 발등 부위를 조이는 조임띠에 장착되는 장식구;를 포함하되, 상기 장식구는, 양면이 제1 벨크로부재 및 제2 벨크로부재에 각각 탈부착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와 조임띠 간의 부착시 조임띠의 외측편에 위치되게끔 결합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장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장식구 및 이를 구비한 신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신발용 장식구 및 이를 구비한 신발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신발(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를 통해 조임과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일 예로, 신발(B)은, 발등보호갑피(30)에 의해 덮히는 발등 부위에 개방부가 형성되면서 발을 둘러싸게끔 밑창에 결합된 메인갑피(20)와, 띠 형태를 이루면서 개방부의 일측편에 일단이 고정되고 개방부의 타측편을 관통하며 지나 마주하게 접혀져 일면에 구비된 제1 벨크로부재(11) 및 제2 벨크로부재(12)가 상호 부착되어 발등 부위를 조이는 조임띠(10)를 포함할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구체적으로 조임띠(10)는, 외측에 위치되고 일면에 제1 벨크로부재(11)가 구비된 제1 조임띠(10a)와, 일단이 메인갑피(20)의 개방부 일측편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 조임띠(10a)와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되며 제1 조임띠(10a)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일면에 제2 벨크로부재(12)가 구비된 제2 조임띠(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임띠(10a) 및 제2 조임띠(10b)는,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사용자가 발등 부위를 조이는 정도에 따라 그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1 조임띠(10a)는 2차적인 고정 등 필요에 따라 제2 조임띠(10b)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벨크로부재(11) 및 제2 벨크로부재(12)는, 각각 제1 조임띠(10a) 및 제2 조임띠(10b)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벨크로부재(11) 및 제2 벨크로부재(12)의 길이는, 각각 제1 조임띠(10a) 및 제2 조임띠(10b)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조임띠(10)의 일면에는 제1 벨크로부재(11) 및 제2 벨크로부재(12) 사이에 조임띠(10)의 접힘이 이루어지는 비접착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벨크로부재(11) 및 제2 벨크로부재(12)는, 각각 제1 조임띠(10a) 및 제2 조임띠(10b)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벨크로부재(11) 및 제2 벨크로부재(12)는, 상호 결합되게끔 각각 암벨크로 및 수벨크로로 이루어진다.
신발(B)은, 상술한 바와 같은 조임띠(10)를 하나 또는 복수 개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조임띠(10)를 포함하는 경우, 상호 전후로 이격되고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신발용 장식구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B)의 발등 부위를 조이는 조임띠(10)에 장착되는 장식구(A)를 포함한다. 장식구(A)는, 조임띠(10)와 결합되는 결합부(100)와, 결합부(100)의 외측편으로 구비되어 심미감을 유발하는 장식부(200)를 포함한다.
결합부(100)는, 양면이 제1 벨크로부재(11) 및 제2 벨크로부재(12)에 각각 탈부착된다. 즉,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벨크로부재(11)가 암벨크로이면 결합부(100)의 일면은 수벨크로이고, 제2 벨크로부재(12)가 수벨크로이면 결합부(100)의 타면이 암벨크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0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판형의 조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태로 이루어진 결합부(100)는, 조임띠(10)와 대응되는 폭을 가지면서 제1 벨크로부재(11)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게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00)는 일면 전체가 제1 벨크로부재(11)에 견고히 부착되며, 타면이 최대한 많은 면적으로 제2 벨크로부재(12)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00)는 외측단이 제1 조임띠(10a)의 끝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끔 부착될 수도 있으나, 미감이 저해되지 않으면서도 강한 결합력을 가지도록 제1 조임띠(10a)의 끝단과 일치되게끔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 조각으로 이루어진 결합부(100)는, 조임띠(10)와 대응되는 폭을 가지면서 제1 벨크로부재(11)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게끔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부(100)는 제1 벨크로부재(11)의 1/5 내지 1/3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용이한 부착을 위하여 정사각형인 판형 조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식부(200)는, 결합부(100)와 조임띠(10) 간의 부착시 조임띠(10)의 외측편에 위치되게끔 결합부(100)와 일체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실크, 부직포 등과 같은 천 소재로 미감을 일으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태인 결합부(100)에는,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장식부(2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장식구(200)는 조임띠(10)의 접힘이 이루어지는 지점 부근에 결합부(100)의 일단이 위치되게끔 조임띠(10)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 조각으로 이루어진 결합부(100)에는, 전체 가장자리를 따라 장식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인 신발용 장식구를 구비한 신발(B)은, 상술한 메인갑피(20), 조임띠(10) 및 장식구(A)를 포함하며,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기재는 생략한다.
본 발명인 신발용 장식구를 구비한 신발(B)은, 제1 벨크로부재(11) 및 제2 벨크로부재(12)에 의해 부착되어 1차적으로 고정된 장식구(A)를 2차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21)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갑피(20)에서 제2 조임띠(10b)의 일단이 고정되는 지점과 인접한 일측편에 구비되어, 제1 조임띠(10a)에 부착된 장식구(A)의 결합부(100)와 제2 조임띠(10b) 간의 결합시 제2 조임띠(10b)의 일단보다 돌출되는 제1 조임띠(10a)의 외측단부 또는/및 결합부(100)의 외측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조임띠(10a)는 제2 조임띠(10b)의 길이와 동일하여 발등 부위를 조임에 따라 외측단부가 제2 조임띠(10b)의 일단보다 돌출될 수 있음은 물론, 제2 조임띠(10b)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외측단부가 제2 조임띠(10b)의 일단보다 돌출될 수도 있다.
고정부재(21)는 일 예로, 핀 형태를 이루면서 상단에 고정볼이 구비된 고정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조임띠(10a)의 외측단부 또는/및 결합부(100)의 외측단부에 고정볼이 관통되어 걸림에 따라 제1 조임띠(10a) 또는/및 결합부(100)가 2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조임띠(10a) 및 결합부(100)에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이 관통되어 걸림이 이루어지기 위해 고정볼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고정공(13,110)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발에 따라 2차적으로 고정되는 제1 조임띠(10a) 또는/및 결합부(100)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공(13,110)은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 이격되게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고정공(13,110)이 형성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고정공(13,110) 간을 연결하는 절개라인(14,120)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개라인(14,120)은 고정볼이 고정공(13,110)에 걸리도록 하는 과정에서 고정핀이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고정공(13,110)에의 걸림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위치에서 고정볼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신발(B)을 조이면서 체결하기 위해 마련된 조임띠(10)의 제1 벨크로부재(11) 및 제2 벨크로부재(12) 사이에 부착되어 조임띠(10)의 외측편으로 장식부(200)가 위치되는바 장식구(A)를 신발(B)에 장착시 사용자의 개성을 살릴 수 있으며, 장식구(A)의 장착을 위해 신발(B)에 별도의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장착수단이 필요치 않아 장식구(A)의 탈칙시 신발(B) 본연의 심미감을 유지시킬 수 있다.
A : 장식구 B : 신발
10 : 조임띠 10a : 제1 조임띠
10b : 제2 조임띠 11 : 제1 벨크로부재
12 : 제2 벨크로부재 13 : 고정공
14 : 절개라인
20 : 메인갑피 21 : 고정부재
30 : 발등보호갑피
100 : 결합부 110 : 고정공
120 : 절개라인
200 : 장식부

Claims (5)

  1. 띠 형태를 이루면서 마주하게 접혀져 일면에 구비된 제1 벨크로부재(11) 및 제2 벨크로부재(12)가 상호 부착되어 신발(B)의 발등 부위를 조이는 조임띠(10)에 장착되는 장식구(A);를 포함하되,
    상기 장식구(A)는, 양면이 제1 벨크로부재(11) 및 제2 벨크로부재(12)에 각각 탈부착되는 결합부(100)와, 결합부(100)와 조임띠(10) 간의 부착시 조임띠(10)의 외측편에 위치되게끔 결합부(100)와 일체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장식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장식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00)는 띠 형태를 이루되,
    상기 장식부(200)는 결합부(100)의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장식구(200)는, 조임띠(10)의 접힘이 이루어지는 지점 부근에 결합부(100)의 일단이 위치되게끔 조임띠(10)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신발용 장식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띠(10)는, 외측에 위치되고 제1 벨크로부재(11)가 구비된 제1 조임띠(10a)와, 제1 조임띠(10a)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 벨크로부재(12)가 구비된 제2 조임띠(10b)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100)는, 조임띠(10)와 대응되는 폭을 가지면서 제1 벨크로부재(11)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장식구.
  4. 발등 부위에 개방부가 형성된 메인갑피(20);
    띠 형태를 이루면서 개방부의 일측편에 일단이 고정되고 개방부의 타측편을 지나 마주하게 접혀져 일면에 구비된 제1 벨크로부재(11) 및 제2 벨크로부재(12)가 상호 부착되어 발등 부위를 조이는 조임띠(10);
    상기 조임띠(10)에 장착되는 장식구(A);를 포함하되,
    상기 장식구(A)는, 양면이 제1 벨크로부재(12) 및 제2 벨크로부재(12)에 각각 탈부착되는 결합부(100)와, 결합부(100)와 조임띠(10) 간의 부착시 조임띠(10)의 외측편에 위치되게끔 결합부(100)와 일체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장식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장식구를 구비한 신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띠(10)는, 외측에 위치되고 제1 벨크로부재(11)가 구비된 제1 조임띠(10a)와, 제1 조임띠(10a)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 벨크로부재(12)가 구비된 제2 조임띠(10b)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갑피(20)에서 제2 조임띠(10b)의 일단이 고정되는 지점과 인접한 일측편에는, 제1 조임띠(10a) 및 결합부(1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장식구를 구비한 신발.
KR1020220070858A 2022-06-10 2022-06-10 신발용 장식구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20230170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858A KR20230170415A (ko) 2022-06-10 2022-06-10 신발용 장식구 및 이를 구비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858A KR20230170415A (ko) 2022-06-10 2022-06-10 신발용 장식구 및 이를 구비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415A true KR20230170415A (ko) 2023-12-19

Family

ID=89385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858A KR20230170415A (ko) 2022-06-10 2022-06-10 신발용 장식구 및 이를 구비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041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246B1 (ko) 2006-08-23 2007-10-26 반고인터내셔널(주) 장식덮개가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신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246B1 (ko) 2006-08-23 2007-10-26 반고인터내셔널(주) 장식덮개가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8139B2 (en) Tightening mechanisms and applications including same
USD582654S1 (en) Footwear
EP2825074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tightening mechanis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5313719A (en) Shoe shield
JP5643420B2 (ja) 取り外し可能なラップを有する履物
US6823610B1 (en) Shoe lace fastener
US7552547B2 (en) Slip on athleisure shoe
KR100552073B1 (ko) 운동화 끈 조임 구조
US5117568A (en) Athletic shoe having structure for protecting ankle and shoe tongue therefor
WO2008015214A1 (en) Device for tying footwear
US20180352898A1 (en) Plantar Arch Support Shoe
US6094841A (en) Tongue for footwear
KR20230170415A (ko) 신발용 장식구 및 이를 구비한 신발
US20060075614A1 (en) Shoelace protector
KR100679466B1 (ko) 잠금구조를 갖는 신발끈
KR101684615B1 (ko) 신발 보호용 덮개
KR200453361Y1 (ko) 신발 고정구
KR200394422Y1 (ko) 신발
KR20010030933A (ko) 신발용의 개량된 혀
KR200436163Y1 (ko) 신발끈과 발등덮개를 연결하는 신발용 연결부재
KR200408632Y1 (ko) 잠금구조를 갖는 신발끈
KR101018057B1 (ko) 신발끈 액세서리
KR20000012530U (ko) 신발끈 풀림방지구
KR20160095831A (ko) 신발끈 매듭 고정구슬
KR200465516Y1 (ko) 장목형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