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251A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251A
KR20230170251A KR1020220070532A KR20220070532A KR20230170251A KR 20230170251 A KR20230170251 A KR 20230170251A KR 1020220070532 A KR1020220070532 A KR 1020220070532A KR 20220070532 A KR20220070532 A KR 20220070532A KR 20230170251 A KR20230170251 A KR 20230170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shaped frame
hollow
module according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5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현섭
김병철
박민수
임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70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0251A/en
Publication of KR20230170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2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2Inorganic material
    • H01M50/224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3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01M50/273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76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복수의 셀이 적층되어 있는 셀 적층체; 상기 셀 적층체의 하면과 양쪽 측면을 감싸도록 바닥면과 2개의 측벽으로 구성되는 U자형 프레임; 상기 셀 적층체의 상면 상에 위치하여 상기 U자형 프레임과 결합되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셀 적층체의 전후방에서 상기 U자형 프레임과 결합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U자형 프레임과 탑 플레이트는 금속 플레이트 안에 일 방향으로 신장하며 양단이 오픈된 중공부가 서로 격리된 채로 다수 개 포함되어 있는 금속 중공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are stacked; A U-shaped frame composed of a bottom and two side walls to surround the low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cell stack; a top plat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ll stack and coupled to the U-shaped frame; and an end plate coupled to the U-shaped frame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cell stack, wherein the U-shaped frame and the top plate extend in one direction within the metal plate and have a plurality of hollow portions open at both ends isolated from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made of a metal hollow material included.

Description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적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모듈 케이스를 개선한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에도 관계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battery module with an improved module case to improve thermal safety.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battery packs and automobiles including such battery modules.

제품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력 저장 장치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Secondary batteries, which are easy to apply depending on the product group and have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igh energy density, are widely applied not only to portable devices, but also to electric vehicles or hybrid vehicles driven by an electrical drive source, and power storage devices. These secondary batteri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energy source for improving eco-friendliness and energy efficiency, not only because they have the primary advantage of being able to dramatically reduce the use of fossil fuels, but also because they do not generate any by-products due to energy use.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셀이 사용됨에 반해, 자동차 등과 같이 중대형 디바이스들에는 고출력 대용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복수의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셀 적층체를 구비하는 중대형 배터리 모듈이 사용된다. 중대형 배터리 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적층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셀, 파우치 타입 셀 등이 중대형 배터리 모듈의 단위 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셀은 모듈 케이스 내에 복수개가 구비되고 서로 전기적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을 구성한다. 이러한 배터리 모듈은 단위 모듈이 되어 한 개 이상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배터리 팩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While small mobile devices use one or two or three to four cells per device, mid- to large-sized devices such as automobiles require high output and large capacity. Therefore, a medium-to-large battery module is used that includes a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Since it is desirable for mid- to large-sized battery modules to be manufactured in as small a size and weight as possible, rectangular cells and pouch-type cells that can be stacked with high integration and have a small weight-to-capacity ratio are mainly used as unit cells for medium-to-large battery modules, and these cells A plurality of silver modules are provided in a module cas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battery module. These battery modules become unit modules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battery pack.

최근 전기 자동차 등에 적용되는 대용량의 배터리 모듈 및 팩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대용량의 배터리 모듈 및 팩은 다수의 셀을 구비하고 있어 안전성이 더욱 엄격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어느 하나의 배터리 모듈 내에서 일부 셀에 열폭주나, 발화, 폭발 등이 발생할 경우, 생성된 고열의 가스, 화염, 또는 고온의 내부 물질이 분사되어 인접한 다른 셀로 전달될 수 있고, 이것이 인접한 다른 배터리 모듈로도 전달됨에 따라 2차 열폭주, 2차 화재나 폭발 등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어, 복수의 셀들이 연쇄적으로 열폭주, 발화, 또는 폭발이 유발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열폭주와 같은 써멀 이벤트 발생시 배터리 모듈간 화염 전이를 억제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는 수단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Recently, demand for large-capacity battery modules and packs applied to electric vehicles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se large-capacity battery modules and packs contain a large number of cells, safety must be managed more strictly. If thermal runaway, ignition, or explosion occurs in some cells within one battery module, the generated high-temperature gas, flame, or high-temperature internal materials may be sprayed and transferred to other adjacent cells, which may then be transmitted to other adjacent cells. As it is transmitted to the module, secondary thermal runaway, secondary fire, or explosion may occur, and there is a risk of sequential thermal runaway, ignition, or explosion of multiple cells. Therefore, there is a great need for a means to suppress or delay flame transfer between battery modules when a thermal event such as thermal runaway occur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열폭주, 화재, 폭발 등에 대한 안전성, 즉 열적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with increased safety against thermal runaway, fire, explosion, etc., that is, thermal safety.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It could b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복수의 셀이 적층되어 있는 셀 적층체; 상기 셀 적층체의 하면과 양쪽 측면을 감싸도록 바닥면과 2개의 측벽으로 구성되는 U자형 프레임; 상기 셀 적층체의 상면 상에 위치하여 상기 U자형 프레임과 결합되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셀 적층체의 전후방에서 상기 U자형 프레임과 결합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U자형 프레임과 탑 플레이트는 금속 플레이트 안에 일 방향으로 신장하며 양단이 오픈된 중공부가 서로 격리된 채로 다수 개 포함되어 있는 금속 중공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cludes a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are stacked; a U-shaped frame composed of a bottom and two side walls to surround the low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cell stack; a top plat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ll stack and coupled to the U-shaped frame; and an end plate coupled to the U-shaped frame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cell stack, wherein the U-shaped frame and the top plate extend in one direction within the metal plate and have a plurality of hollow portions open at both ends isolated from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made of a metal hollow material included.

상기 셀 적층체는 길이 방향 적어도 일측에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셀이 면대면 적층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U자형 프레임은 상기 전극 리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양쪽 측면을 감싸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셀 적층체의 전극 리드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것일 수 있다.The cell stack is a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including electrode leads are stacked face-to-face on at least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shaped frame surrounds both sides on which the electrode leads are not formed, and the end plate is configured to cover the cells. It may be arranged to face the electrode lead of the laminate.

이 때, 상기 중공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llow portion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금속 중공 소재에서 상기 중공부가 단층으로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low portion may be included as a single layer in the hollow metal material.

이 때, 상기 금속 중공 소재에서 상기 중공부의 높이는 0.3-2mm이고 상기 중공부 위의 금속 층 두께와 상기 중공부 아래의 금속 층 두께는 0.3-1mm이며, 상기 중공부끼리의 간격이 0.3-2mm일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hollow metal material, the height of the hollow part is 0.3-2mm, the thickness of the metal layer above the hollow part and the thickness of the metal layer below the hollow part are 0.3-1mm, and the spacing between the hollow parts is 0.3-2mm. You ca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U자형 프레임과 상기 탑 플레이트는 외주변 상에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haped frame and the top plate may include a stepped portion on the outer periphery that is relatively thinner than other portions.

예를 들어, 상기 U자형 프레임과 상기 탑 플레이트는 외표면이 평탄하고 상기 단차부는 내측 함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haped frame and the top plate may have flat outer surfaces and the step portion may be formed by an inner depression.

바람직하기로, 상기 단차부는 상기 중공부를 압착한 구조이다. Preferably, the step por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ollow portion is compressed.

상기 단차부는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0.3-2mm 얇을 수 있다.The step portion may be 0.3-2 mm thicker than other portions.

다른 예로, 상기 단차부에는 상기 중공부가 없고 상기 금속 중공 소재를 직각으로 절삭 가공한 것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step portion may not have the hollow portion and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hollow metal material at a right ang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의 단차부가 상기 U자형 프레임의 단차부에 안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ped portion of the top plate may be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of the U-shaped frame.

상기 탑 플레이트의 단차부의 폭은 상기 U자형 프레임의 측벽 상단 두께보다 클 수 있다.The width of the step portion of the top plate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op of the side wall of the U-shaped frame.

상기 탑 플레이트의 단차부가 상기 U자형 프레임의 측벽 상단과 맞닿는 부분이 레이저 용접된 것일 수 있다.The stepped portion of the top plate may be laser welded at a portion that contacts the top of the side wall of the U-shaped fram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중공부 내에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plate may include a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이 때, 상기 돌기가 상기 중공부마다 삽입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가 상기 U자형 프레임과 탑 플레이트에 맞닿은 면이 레이저 용접된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each hollow portion, and the surface of the end plate in contact with the U-shaped frame and the top plate may be laser weld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에 의해 단열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sulating air layer can be formed by the hollow portion.

상기 금속 중공 소재는 압출 제조된 것일 수 있다.The hollow metal material may be manufactured by extrus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금속 중공 소재의 표면에 유기물 없이 무기소재로만 이루어진 세라믹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hollow metal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a ceramic coating layer made of only inorganic material without organic material.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및 자동차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battery pack an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 케이스 변경을 통해, 단위 모듈내 혹은 모듈 간의 열폭주 전이 이벤트 진행 억제 및 지연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module case, there is an effect of suppressing and delaying the progress of a thermal runaway transition event within a unit module or between modules.

본 발명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배터리 모듈 내에서 일부 셀에 열폭주나, 발화, 폭발 등이 발생하더라도 이것이 인접한 다른 배터리 모듈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복수의 셀들이 연쇄적으로 열폭주, 발화, 또는 폭발하는 일이 없어 2차 열폭주, 2차 화재나 폭발 등이 일어나지 않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rmal runaway, ignition, or explosion occurs in some cells within one battery module, this is not transmitted to other adjacent battery modules. Therefore, a plurality of cells do not thermally run away, ignite, or explode in succession, and secondary thermal runaway, secondary fire, or explosion does not occu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셀 중, 혹여 일부에서 열폭주, 또는 화재나 폭발이 발생되더라도, 인접한 다른 배터리 모듈로 열폭주나, 화재, 폭발이 전파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열폭주, 화재, 폭발 등에 대한 안전성, 즉 열적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팩과 자동차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rmal runaway, fire, or explosion occurs in some of the plurality of cells, the thermal runaway, fire, or explosion may not spread to other adjacent battery modul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safety against thermal runaway, fire, explosion, etc., that is, thermal safety, and a pack and vehicle contain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적용되는 배터리 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C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의 D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4의 C 부분의 다른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later, s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only .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battery module of FIG. 1 are combine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battery cell applied to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ure 2.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B of Figure 4.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ure 4.
Figure 7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D of Figure 2.
Figure 8 is another enlarged view of portion C of Figure 4.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definability.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som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options that can replace them are availab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variations may exi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적용되는 배터리 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battery module of FIG. 1 are combine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battery cell applied to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90)은, 셀 적층체(100)와 모듈 케이스(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3 , a battery module 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ll stack 100 and a module case 200.

셀 적층체(100)는 복수의 셀(110)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다. 모듈 케이스(200)는 U자형 프레임(210), 탑 플레이트(220) 및 엔드 플레이트(230)를 포함한다.The cell stack 100 is a stack of a plurality of cells 110. The module case 200 includes a U-shaped frame 210, a top plate 220, and an end plate 230.

셀 적층체(100)는 넓은 면이 서로 대면하게 적층된 파우치 타입 셀(110)들로 구성된 이차전지들의 집합체일 수 있다. 더 정확히 말하면, 셀 적층체(100)는 셀(110)들이 (Z축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세워져 (Y축 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모듈 케이스(200) 내에 수납되는 이차전지들의 집합체일 수 있다. 파우치 타입 셀(110)들은 크기와 중량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높으면서 적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90)에 포함되는 셀(110)은, 파우치 타입 셀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이차전지가 채용될 수 있다. The cell stack 100 may be a collection of secondary batteries composed of pouch-type cells 110 stacked with their wide sides facing each other. More precisely, the cell stack 100 is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cells 110 are stored vertically (along the Z-axis direction) and stacked horizontally (along the Y-axis direction) in the module case 200. It may be a collection of them. The pouch-type cells 110 have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stack while having a high energy density compared to their size and weight. However, the cells 110 included in the battery module 9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pouch-type cells, and various types of secondary batteries known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employed.

U자형 프레임(210)은 셀 적층체(100)의 하면과 양쪽 측면을 감싸도록 바닥면(212)과 2개의 측벽(214)으로 구성된다. U자형 프레임(210)은 셀 적층체(100)를 수용하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U자형 프레임(210)은 상부면,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셀 적층체(100)를 장착할 때에 취급이 용이하고, 배터리 모듈(90) 조립이 용이한 이점을 가진다.The U-shaped frame 210 is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212 and two side walls 214 to cover the low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cell stack 100. The U-shaped frame 210 accommodates the cell stack 100 and has an open top. The U-shaped frame 210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handle when mounting the cell stack 100 and assembling the battery module 90 because the top, front, and back are open.

탑 플레이트(220)는 셀 적층체(100)의 상면 상에 위치하여 U자형 프레임(210)과 결합된다. 결합은 용접, 접착 또는 볼트 체결 중 어느 하나에 의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220)는 U자형 프레임(210) 상부에서 셀 적층체(100)를 덮는다. The top plate 22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ll stack 100 and is coupled to the U-shaped frame 210. Joining may be by either welding, gluing, or bolting. The top plate 220 covers the cell stack 100 on the U-shaped frame 210.

엔드 플레이트(230)는 셀 적층체(100)의 전후방에서 U자형 프레임(210)과 결합된다. 엔드 플레이트(230)는 탑 플레이트(220)와도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의 결합도 용접, 접착 또는 볼트 체결 중 어느 하나에 의할 수 있다. 셀 적층체(100)의 전면과 후면에 엔드 플레이트(230)가 각각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모듈(90)은 셀 적층체(100)와 엔드 플레이트(230) 사이에 위치하는 버스바 프레임(24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end plate 230 is coupled to the U-shaped frame 210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cell stack 100. The end plate 230 may also be combined with the top plate 220. The joining here can also be done by any one of welding, adhesion, or bolting. End plates 230 may be position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ell stack 10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battery module 90 may further include a bus bar frame 240 located between the cell stack 100 and the end plate 230.

U자형 프레임(210)의 개방된 양측을 각각 제1 측과 제2 측이라고 할 때, U자형 프레임(210)은 상기 제1 측과 상기 제2 측에 대응하는 셀 적층체(100)의 면을 제외하고 나머지 외면들 중에서, 서로 인접한 전면, 하면 및 후면을 연속적으로 감싸도록 폴딩된 판상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판상의 부재의 양단을 수직으로 접어 올려 폴딩한 구조로 되어 있다. U자형 프레임(210)의 하면에 대응하는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U자형 프레임(210)의 바닥면(212)에는 열전도성 수지층(216)이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open sides of the U-shaped frame 210 are referred to as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respectively, the U-shaped frame 210 has the surfaces of the cell stack 100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Except for the remaining outer surfaces, it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structure folded to continuously cover the front, bottom, and rear surfaces adjacent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it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of a plate-shaped member are folded vertically. The upp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shaped frame 210 is open. A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216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212 of the U-shaped frame 210.

상부 플레이트(220)는 셀 적층체(100)가 U자형 프레임(210)에 의해 감싸지지 않는 상면을 감싸도록 하나의 판상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U자형 프레임(210)과 상부 플레이트(220)는 서로 대응하는 모서리 부위들이 접촉된 상태에서,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셀 적층체(100)를 감싸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U자형 프레임(210)과 상부 플레이트(220)는 서로 대응하는 모서리 부위에 레이저 용접 등의 결합 방법으로 결합되어 용접부(CP)를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즉, U자형 프레임(210)의 측벽(214) 상단과 상부 플레이트(220) 가장자리에 용접부(CP)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The upper plate 220 has a plate-shaped structure so as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cell stack 100 that is not surrounded by the U-shaped frame 210. The U-shaped frame 210 and the upper plate 220 may be joined by laser welding or the like, with their corresponding corners in contact, to form a structure surrounding the cell stack 100. That is, the U-shaped frame 210 and the upper plate 220 may be joined to each other at corresponding corners using a joining method such as laser welding to form a welded portion CP. That is, a welded portion CP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side wall 214 and the edge of the upper plate 220 of the U-shaped frame 210.

셀(110)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파우치 타입 셀이 적용될 수 있다. 셀(110)이 이처럼 파우치 타입 셀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110)은 전극 조립체(미도시), 파우치 케이스(111), 전극 리드(112) 및 실링 테이프(113)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s the cell 110, a pouch-type cell may be applied, as mentioned above. When the cell 110 is a pouch-type cell, as shown in FIG. 3, the cell 110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a pouch case 111, an electrode lead 112, and a sealing tape 113.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전극 조립체는, 교호적으로 반복 적층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시킨 형태를 가지며, 양측 최 외각에는 절연을 위해 세퍼레이터가 각각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electrode assembly has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lternately and repeatedly stacked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plates, and it is preferable that separators are located on the outermost surfaces of both sides for insulation.

상기 양극판은, 양극 집전체 및 그 일 면 상에 코팅되는 양극 활물질 층으로 이루어지며, 일 측 단부에는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양극 무지부 영역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양극 무지부 영역은 양극탭으로서 기능한다.The positive electrode plate consists of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oated on one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and a positive electrode uncoated area that is not coat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formed at one end. This positive electrode uncoated area functions as a positive electrode tab. do.

상기 음극판은, 음극 집전체 및 그 일 면 또는 양 면 상에 코팅되는 음극 활물질 층으로 이루어지며, 일 측 단부에는 음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음극 무지부 영역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음극 무지부 영역은 음극탭으로서 기능한다.The negative electrode plate consists of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oat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uncoated area that is not coat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formed at one end. This negative electrode non-coated area is a negative electrode non-coated area. Functions as a tab.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는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끼리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되,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서 전해질을 매개체로 하여 이온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plates to prevent direct contact between electrode plates with different polarities, but may be made of a porous material to enable the movement of ions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plates using the electrolyte as a medium. there is.

셀 케이스(111)는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수용부(111a) 및 수용부(111a)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극 리드(112)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로 열융착되어 실링됨으로써 셀 케이스(111)를 밀봉시키는 실링부(111b), 이렇게 두 영역을 포함한다. The cell case 111 includes an accommodating portion 111a that accommodates the electrode assembly and ext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11a and is heat-sealed and sealed with the electrode lead 112 drawn out. It includes two areas: a sealing portion 111b that seals the .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셀 케이스(111)는, 수지층/금속층/수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의 파우치 필름으로 이루어진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각각의 테두리 부분이 맞닿아 열융착됨으로써 밀봉된다.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는 서로 분리된 2매의 시트 혹은 분리되지 않은 1매의 시트를 접은 것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ell case 111 is sealed by heat-sealing the edge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cas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ich is made of a multi-layer pouch film in which a resin layer/metal layer/resin layer is sequentially laminated. The upper case and lower case may be made of two sheets separated from each other or one sheet that is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folded.

한 쌍의 전극 리드(112)는, 각각 양극탭(미도시) 및 음극탭(미도시)과 연결되어 셀 케이스(111)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한 쌍의 전극 리드(112)는 서로 대향하여, 셀(110)의 일단부와 다른 일단부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셀 케이스(111)에서 전극 리드(112)가 돌출되어 있는 양 단부 사이가 셀(110)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본 실시예에서는 X축 방향). 다른 종류의 파우치 타입 셀에서는 전극 리드가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셀(110)은 길이 방향 적어도 일측에 전극 리드(112)를 포함할 수 있다. A pair of electrode leads 112 are connected to a positive electrode tab (not shown)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not shown), respectively, and are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cell case 111. The pair of electrode leads 112 may have a structure that faces each other and protrudes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ell 110, respectively.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cell case 111 where the electrode leads 112 protrude may be def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ll 110 (X-axis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In other types of pouch-type cells, electrode leads may be formed on only one side. In this way, the cell 110 may include an electrode lead 112 on at least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실링 테이프(113)는, 전극 리드(112)의 둘레에 부착되며, 파우치 케이스(111)의 실링부(111b) 내측면과 전극 리드(112) 사이에 개재된다. 실링 테이프(113)는, 전극 리드(112)의 인출로 인해 실링부(111b)의 밀봉성이 취약해지지 않도록 한다.The sealing tape 113 is attach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electrode lead 112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 lead 11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111b of the pouch case 111. The sealing tape 113 prevents the sealing property of the sealing portion 111b from becoming vulnerable due to the withdrawal of the electrode lead 112.

복수의 셀(1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복수의 셀(110)은 면대면 적층될 수 있다. 셀 케이스(111) 표면이 미끄러운 경우 복수의 셀(110)을 적층할 때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미끄러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고 셀(110)들의 안정적인 적층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셀 케이스(111)의 표면에 양면 테이프 등의 점착식 접착제 또는 접착시 화학 반응에 의해 결합되는 화학 접착제 등의 접착 부재를 부착하여 셀 적층체(10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셀 적층체(100)는 Y축 방향으로 적층되고, Z축 방향으로 U자형 프레임(210) 내부에 수용되어 열전도성 수지층(216)에 의해 냉각이 진행될 수 있다. 셀이 카트리지 형태의 부품에 담겨 적층되는 구조에서는 카트리지 형태의 부품의 존재로 인해 냉각 작용이 거의 없거나 셀의 면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고, 배터리 모듈의 높이 방향으로는 냉각이 잘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90)은 배터리 모듈의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냉각이 잘 이루어진다. A plurality of cells 110 may be stacked in the Y-axis direction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cells 110 may be stacked face to face. If the surface of the cell case 111 is slippery, it tends to slip easily due to external impact when a plurality of cells 110 are stacked.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and maintain a stable stacked structure of the cells 110, an adhesive member such as an adhesive such as a double-sided tape or a chemical adhesive that is bonded by a chemical reaction during adhesion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ell case 111. Thus, the cell stack 100 can be 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cell stack 100 is stacked in the Y-axis direction and accommodated inside the U-shaped frame 210 in the Z-axis direction, so that cooling can occur by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216. In a structure in which cells are contained in cartridge-shaped components and stacked, due to the presence of cartridge-shaped components, cooling may be minimal or may proceed in the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cell, and cooling may not occur well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 The battery module 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ell cooled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

셀 적층체(100)가 U자형 프레임(210)의 바닥면(212)에 장착되기 전에, U자형 프레임(210)의 바닥면(212)에 열전도성 수지를 도포하고, 열전도성 수지를 경화하여 도 1에 도시한 열전도성 수지층(216)을 형성할 수 있다. 열전도성 수지층(216)을 형성하기 이전에, 즉 상기 도포한 열전도성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셀 적층체(100)가 U자형 프레임(210)의 바닥면(212)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U자형 프레임(210)의 바닥면(212)에 장착될 수 있다. 이후 열전도성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된 열전도성 수지층(216)은 U자형 프레임(210)의 바닥면(212)과 셀 적층체(100) 사이에 위치한다. 열전도성 수지층(216)은 셀(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터리 모듈(90) 바닥으로 전달하고 셀 적층체(1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열전도성 수지층(216)을 통해, 복수의 셀(110)로부터 발생한 열은 U자형 프레임(210)의 바닥면(212)을 통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열전도성 수지층(216)은 써멀 레진(thermal resin)을 포함할 수 있다. 열전도성 수지층(216)으로는 열전도성이 우수하고 접착성을 갖는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재료는 셀(110)들 사이 사이에 스며들어 공기층을 없애 열저항을 감소시키고 또한 접착력이 있어 셀(110)들의 유동을 저지하며 셀 적층체(100)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90)은 U자형 프레임(210)의 바닥면(212)이 히트싱크(미도시)에 접촉되게 히트싱크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충방전 과정에서 수반되는 셀(110)들의 열은 열전도성 수지층(216), U자형 프레임(210)의 바닥면(212) 그리고 히트싱크를 통해 신속하게 방열될 수 있다.Before the cell stack 100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212 of the U-shaped frame 210, a thermally conductive resin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212 of the U-shaped frame 210,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is cured.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216 shown in FIG. 1 can be formed. Before forming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216, that is, before the applied thermally conductive resin is cured, the cell stack 100 moves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212 of the U-shaped frame 210. It can b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212 of the U-shaped frame 210. Afterwards,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216 formed by curing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is position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212 of the U-shaped frame 210 and the cell stack 100.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216 may transfer heat generated from the cell 110 to the bottom of the battery module 90 and serve to secure the cell stack 100. Through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216, heat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cells 110 may be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ottom surface 212 of the U-shaped frame 210.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216 may include thermal resin. As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216, urethane resin, epoxy resin, or silicone resin, etc., which have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adhesiveness, may be used. This material permeates between the cells 110 and eliminates the air layer, thereby reducing thermal resistance, and also has adhesive properties to prevent the flow of the cells 110 and stably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cell stack 100. The battery module 90 may be placed on the heat sink so that the bottom surface 212 of the U-shaped frame 210 is in contact with the heat sink (not shown). The heat of the cells 110 involved in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process can be quickly dissipated through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216, the bottom surface 212 of the U-shaped frame 210, and the heat sink.

U자형 프레임(210)은 셀 적층체(100)에서 전극 리드(11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양쪽 측면과 셀 적층체(100)의 하면을 감싸게 된다. 엔드 플레이트(230)는 셀 적층체(100)의 전극 리드(112)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U자형 프레임(210), 탑 플레이트(220) 및 엔드 플레이트(230)를 포함하는 이러한 모듈 케이스(200)는 셀(110)들을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수납된 셀(110)들에 대한 기계적 지지력을 제공하고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90)은 특히 이러한 모듈 케이스(200) 부분이 개선된 것이다. The U-shaped frame 210 surrounds both sides of the cell stack 100 where the electrode leads 112 are not forme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ell stack 100. The end plate 230 is disposed to face the electrode lead 112 of the cell stack 100. This module case 200, which includes a U-shaped frame 210, a top plate 220, and an end plate 230, has an internal space for storing cells 110 therein, and the stored cells 110 It provides mechanical support and protects against external shocks. The battery module 9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improved in the module case 200 portion.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C 부분 확대도이다.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ure 2.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B of Figure 4.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ure 4.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90)에서, U자형 프레임(210)과 탑 플레이트(220)는 금속 플레이트(222) 안에 일 방향으로 신장하며 양단이 오픈된 중공부(224)가 서로 격리된 채로 다수 개 포함되어 있는 금속 중공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금속은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임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강도가 우수하고 가벼운 U자형 프레임(210)과 탑 플레이트(220)를 얻을 수 있다. 4 to 6, in the battery module 90, the U-shaped frame 210 and the top plate 220 have a hollow portion 224 that extends in one direction and is open at both ends within the metal plate 222.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made of a plurality of hollow metal materials that are isolated from each other. Here, the metal is preferably aluminum (Al) or aluminum alloy. In this case, a U-shaped frame 210 and top plate 220 with excellent strength and lightness can be obtained.

본 실시예에서, 중공부(224)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것이다. 중공부(224)는 한 쌍의 전극 리드(112)와 나란한 방향으로 신장하게 된다. 중공부(224)는 각 셀(110)에서 상대적으로 발열이 심한 전극 리드(112)의 돌출 방향을 따라 신장하게 되므로 각 셀(110)간의 열 전이를 차단하는 효과가 우수하다.In this embodiment, the hollow portion 224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ollow portion 224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air of electrode leads 112. Since the hollow portion 224 extends along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electrode lead 112, which generates relatively high heat in each cell 110, it is excellent in blocking heat transfer between each cell 110.

도 5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중공 소재에서 중공부(224)는 단층으로 포함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90)의 에너지 밀도를 더욱 증가시키려면 U자형 프레임(210)과 탑 플레이트(220)의 두께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U자형 프레임(210)과 탑 플레이트(220)의 필요 강도를 유지하면서 중공부(224)가 다층으로 포함이 되려면 U자형 프레임(210)과 탑 플레이트(220)의 두께가 증가되어야 하므로 단층으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중공부(224)에 의해 단열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중공부(224)는 별도의 냉매나 추가 부재가 채워지지 않는 것이다. 별도의 냉매 순환 수단이나 추가 부재가 필요없이 공기층의 높은 단열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중공부(224)에 의해 냉각을 꾀하는 것이 아니라 열 전이를 차단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배터리 모듈(90) 내부에서 온도 변화가 있는 경우에도 외부로의 전열을 차단하고, 그 결과, 이웃하는 배터리 모듈로의 열 전파를 차단하여 연쇄적인 열적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 배터리 모듈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As shown in detail in FIG. 5, the hollow portion 224 in the hollow metal material may be included as a single layer. To further increase the energy density of the battery module 90,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U-shaped frame 210 and the top plate 220. In order for the hollow portion 224 to be included as a multi-layer while maintaining the required strength of the U-shaped frame 210 and the top plate 220, the thickness of the U-shaped frame 210 and the top plate 220 must be increased, so they are included as a single layer. This is desirable. An insulating air layer may be formed by the hollow portion 224. That is, the hollow portion 224 is not filled with a separate refrigerant or additional member. It utilizes the high insulation properties of the air layer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refrigerant circulation means or additional members. The hollow part 224 does not attempt to cool, but rather blocks heat transfer. As a result, even when there is a temperature change inside the battery module 90, heat transfer to the outside is blocked, and as a result, heat propagation to neighboring battery modules is blocked to prevent chain thermal events from occurring in the battery module. Safety can be improved.

이러한 U자형 프레임(210)과 탑 플레이트(220)의 단면 구조는 직사각형 중공부(224)가 단층으로 금속 플레이트(222)의 중간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중공부(224)의 모양과 중공부(224)간의 간격이 일정하고, 중공부(224)의 높이(h)는 중공부(224) 위의 금속 층 두께(d1)와 중공부(224) 아래의 금속 층 두께(d2)와 같거나 그보다 크다. 이러한 높이(h)와 두께(d1, d2) 조건은 U자형 프레임(210)과 탑 플레이트(220)의 강성은 유지하면서 가능한 중공부(224)가 차지하는 부피를 크게 하여 열 전파 방지를 도모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U-shaped frame 210 and the top plate 220 is such that the rectangular hollow portion 224 is contained in a single layer in the middle of the metal plate 222, and the shape of the hollow portion 224 and the hollow portion ( The distance between the hollow portions 224 is constant, and the height h of the hollow portion 224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etal layer thickness d1 above the hollow portion 224 and the metal layer thickness d2 below the hollow portion 224. big. These height (h) and thickness (d1, d2) conditions maintain the rigidity of the U-shaped frame 210 and the top plate 220 while increasing the volume occupied by the hollow portion 224 as much as possible to prevent heat spread. It is suitable.

기존에 알려진 모듈 케이스는 그 단면 구조 전체가 Al이나 SUS 등의 금속으로 채워진 단순 구조(solid 타입)로, 외부 혹은 내부로 열 전도에 의해 이웃하는 배터리 모듈로 열폭주 확산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기존의 모듈 케이스는 열폭주 전파 등의 이벤트 발생시 열전도 및 복사를 막아 주지 못해, 이웃하는 배터리 모듈로 화염이 전이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90)에서는 모듈 케이스(200)의 단면 구조를 상기와 같이 변경함으로써 열폭주 전파 등의 이벤트 발생시 화염이 배터리 모듈간 전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viously known module case is a simple structure (solid type) in which the entire cross-sectional structure is filled with metal such as Al or SUS, and there is a problem of thermal runaway spreading to neighboring battery modules by external or internal heat conduction. In other words, the existing module case is unable to prevent heat conduction and radiation when an event such as thermal runaway propagation occurs, resulting in flames being transferred to neighboring battery modules. In the battery module 9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module case 200 as described above, flame can be prevented from transferring between battery modules when an event such as thermal runaway propagation occurs.

가장 바람직하게, U자형 프레임(210)과 탑 플레이트(220)는 Al 또는 Al 합금인 금속 플레이트(222) 안에 일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길이 방향, X축 방향)으로 신장하며 양단이 오픈된 중공부(224)가 서로 격리된 채로 다수 개 포함되어 있어 단열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는 중공 단면으로 열전도 및 열복사 등 열폭주를 최소화하도록 한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Most preferably, the U-shaped frame 210 and the top plate 220 extend in one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t can be defined as a hollow cross-section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parts 224 isolated from each other to form an insulating air layer to minimize thermal runaway such as heat conduction and heat radiation.

상기 금속 중공 소재는 압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압출 제조된 적당한 크기의 판상의 부재 혹은 적당한 크기로 재단한 것을 폴딩하여 U자형 프레임(210)을 제조할 수 있다. 압출 제조된 적당한 크기의 판상의 부재 혹은 적당한 크기로 재단한 것을 가지고 그 자체로 탑 플레이트(220)를 제조할 수 있다. 압출 방향을 따라 중공부(224)는 길쭉한 연장 형상을 가지게 되며, 이웃하는 중공부(224)끼리는 압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된다. 메탈 폼과 같이 중공 구조가 무질서하게 존재하는 경우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 이용하려는 상기 금속 중공 소재는 중공 구조의 규칙적인 배열을 가지게 되는 차이가 있고, 중공부(224)의 높이(h)와 중공부(224)끼리의 간격(p) 등을 제어하면서 중공부(224)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단열 효과의 정밀한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하다.The hollow metal material may be manufactured by extrusion. The U-shaped frame 210 can be manufactured by folding an extruded plate-shaped member of an appropriate size or a cut to an appropriate size. The top plate 220 can be manufactured by itself using a plate-shaped member of an appropriate size that has been extruded or cut to an appropriate size. The hollow portion 224 along the extrusion direction has an elongated extension shape, and neighboring hollow portions 224 are formed side by side along the extrusion direction. Compared to a case where the hollow structure exists in a disorderly manner, such as a metal foam, the hollow metal material to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ce in that it has a regular arrangement of the hollow structure, and the height (h) of the hollow portion 224 and the hollow structure are Since the hollow portion 224 can be provided while controlling the spacing (p) between the portions 224, etc., precise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insulation effect is possible.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중공 소재에서 중공부(224)의 높이(h)는 0.3-2mm이고 중공부(224) 위의 금속 층 두께(d1)와 중공부(224) 아래의 금속 층 두께(d2)는 0.3-1mm이며, 중공부(224)끼리의 간격(p)이 0.3-2mm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중공 소재의 두께(D)는 1.5-4mm일 수 있다. 중공부(224)의 높이(h)나 중공부(224)끼리의 간격(p)이 0.3mm보다 작으면 중공부(224)의 크기가 너무 작고 간격이 조밀해져 단열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어렵다. 중공부(224)의 높이(h)나 중공부(224)끼리의 간격(p)이 2mm보다 크면 주어진 공간 내에 중공부(224)를 최대한 많이 포함하기 위한 측면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중공부(224) 위의 금속 층 두께(d1)와 중공부(224) 아래의 금속 층 두께(d2)가 0.3mm보다 작으면 U자형 프레임(210)과 탑 플레이트(220)를 얇고 가볍게 하면서도 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중공부(224) 위의 금속 층 두께(d1)와 중공부(224) 아래의 금속 층 두께(d2)가 1mm보다 크면, 주어진 공간 내에 중공부(224)를 최대한 크게 포함하기 위한 측면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금속 중공 소재의 두께(D)가 1.5mm보다 작으면 U자형 프레임(210)과 탑 플레이트(220) 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상기 금속 중공 소재의 두께(D)가 4mm보다 크면 배터리 모듈(90)의 크기가 커지고 중량이 증가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xample, the height (h) of the hollow part 224 in the hollow metal material is 0.3-2 mm, the metal layer thickness (d1) above the hollow part 224 and the metal layer thickness below the hollow part 224 ( d2) is 0.3-1 mm, and the gap (p) between the hollow parts 224 may be 0.3-2 mm. The thickness (D) of the hollow metal material may be 1.5-4 mm. If the height (h) of the hollow portion 224 or the spacing (p) between the hollow portions 224 is less than 0.3 mm, the size of the hollow portion 224 becomes too small and the spacing becomes tight, making it difficult to sufficiently exert an insulating effect. If the height (h) of the hollow portion 224 or the spacing (p) between the hollow portions 224 is greater than 2 mm, it is not desirable in terms of including as many hollow portions 224 as possible in a given space. If the metal layer thickness (d1) above the hollow part 224 and the metal layer thickness (d2) below the hollow part 224 are less than 0.3 mm, the U-shaped frame 210 and the top plate 220 can be made thin and light while maintaining rigidity. is difficult to secure. If the metal layer thickness d1 above the hollow portion 224 and the metal layer thickness d2 below the hollow portion 224 are greater than 1 mm, it is not desirable in terms of containing the hollow portion 224 as large as possible within a given space. not. If the thickness (D) of the hollow metal material is less than 1.5 mm,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rigidity of the U-shaped frame 210 and the top plate 220. If the thickness (D) of the hollow metal material is greater than 4 mm, it is undesirable because the size and weight of the battery module 90 increase.

여기서의 높이(h), 두께(d1, d2, D), 간격(p)은 가변적이다. 높이(h), 두께(d1, d2, D), 간격(p)은 배터리 모듈(90)의 외관 크기가 수백 mm x 수백 mm에 달하는 점에 비하면 매우 작은 수치이다. 모듈 케이스 자체에 유로를 형성하는 경우의 스케일과는 다른 차원임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중공부(224)의 높이(h)와 중공부(224)끼리의 간격(p)이 0.3-2mm임을 감안하면 미세한 중공부(224)가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금속 중공 소재의 두께(D)를 1.5-4mm로 하면서 중공부(224)의 높이(h)와 중공부(224)끼리의 간격(p)이 0.3-2mm로 하면 U자형 프레임(210)과 탑 플레이트(220)를 얇고 가볍게 하면서도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주어진 공간 내에 중공부(224)를 가급적 많이 포함하게 되어 단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Here, the height (h), thickness (d1, d2, D), and spacing (p) are variable. The height (h), thickness (d1, d2, D), and gap (p) are very small values compared to the external size of the battery module 90, which is hundreds of mm x hundreds of m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ale is different from that of forming a flow path in the module case itself. Also, considering that the height (h) of the hollow portion 224 and the spacing (p) between the hollow portions 224 are 0.3-2 mm, it can be said that the fine hollow portions 224 are densely formed. If the thickness (D) of the hollow metal material is set to 1.5-4 mm and the height (h) of the hollow part 224 and the gap (p) between the hollow parts 224 are set to 0.3-2 mm, the U-shaped frame 210 and the tower Rigidity can be secured while making the plate 220 thin and light, and the insulation effect can be maximized by including as many hollow parts 224 as possible within a given space.

배터리 모듈(90)의 에너지 밀도를 더욱 증가시키려면 U자형 프레임(210)과 탑 플레이트(220)의 두께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지만, 얇은 두께의 금속 중공 소재를 압출 성형하는 경우, 성형 재료의 투입량 대비 인출되어 성형되는 양이 너무 적고, 금속 중공 소재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압출을 위해 인가되는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압출 금형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금속 중공 소재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성형품의 형태가 틀어지거나 두께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모두 고려하여 높이(h), 두께(d1, d2, D), 간격(p)을 정할 수 있다. 압출 제조시의 변수 조절을 통해, 중공부(224)의 높이(h)는 중공부(224) 위의 금속 층 두께(d1)와 중공부(224) 아래의 금속 층 두께(d2)와 같거나 그에 비하여 크게 형성할 수 있고, 중공부(224)끼리의 간격(p)도 매우 조밀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열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energy density of the battery module 90,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U-shaped frame 210 and the top plate 220, but when extruding a thin hollow metal material, the input amount of molding material Compared to this, the amount drawn out and molded is too small, and as the thickness of the hollow metal material becomes thinner, the pressure applied for extrusion increases, raising the risk of damage to the extrusion mold. Additionally, as the thickness of the hollow metal material becomes thinner, problems such as distorted shape of the molded product or uneven thickness may occur. Therefore, taking all of these issues into consideration, the height (h), thickness (d1, d2, D), and spacing (p) can be determined. Through variable control during extrusion manufacturing, the height (h) of the hollow portion 224 is equal to or equal to the metal layer thickness d1 above the hollow portion 224 and the metal layer thickness d2 below the hollow portion 224. In comparison, it can be formed large, and the gap p between the hollow parts 224 can be formed very densely.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is excellent.

배터리 모듈(90)에서, 셀 적층체(100)의 하면과 양쪽 측면, 그리고 상면에 모두 중공부(224)가 위치하게 된다. 셀 적층체(100)의 사방에 중공부(224)가 위치하므로 사방으로의 열 전파 차단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In the battery module 90, hollow portions 224 ar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both side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ell stack 100. Since the hollow portions 224 are located on all sides of the cell stack 100, the effect of blocking heat propagation in all directions can be maximized.

U자형 프레임(210)과 탑 플레이트(220)는 단순 맞대기 용접에 의해 용접부(CP)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 6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부(210a, 220a)를 형성한 다음에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shaped frame 210 and the top plate 220 may form a welded portion (CP) by simple butt welding, but as shown in detail in FIG. 6, the step portions 210a and 220a are formed and then welded. It is desirable.

도 6을 참조하면, U자형 프레임(210)은 외주변 상에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단차부(210a)를 포함하고 있다. 단차부(210a)는 U자형 프레임(210)의 측벽(214) 상단에 마련된다. 탑 플레이트(220)는 외주변 상에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단차부(220a)를 포함하고 있다. 단차부(220a)는 탑 플레이트(220)의 가장자리에 마련된다. U자형 프레임(210)과 탑 플레이트(220)는 외표면이 평탄하고 단차부(210a, 220a)는 내측 함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U-shaped frame 210 includes a step portion 210a on the outer periphery that is relatively thinner than other portions. The step portion 210a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side wall 214 of the U-shaped frame 210. The top plate 220 includes a step portion 220a on the outer periphery that is relatively thinner than other portions. The step portion 220a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top plate 220. The U-shaped frame 210 and the top plate 220 have flat outer surfaces, and the step portions 210a and 220a may be formed by inner depressions.

바람직하기로, 단차부(210a, 220a)는 중공부(224)를 압착한 구조이다. 그러한 경우, 단차부(210a, 220a)는 상기 금속 중공 소재에서 중공부(224)의 높이(h)만큼을 제한 두께를 가지게 됨에 따라, 단차부(210a, 220a)는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중공부(224)의 높이(h)인 0.3-2mm 만큼 얇을 수 있다. 중공부(224)는 찌그러뜨리는 힘이 크지 않아도 쉽게 찌그러뜨릴 수 있기 때문에 압착 가공을 통하여 단차부(210a, 220a)를 쉽고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tep portions 210a and 220a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hollow portion 224 is compressed. In such a case, the step portions 210a and 220a have a thickness limited to the height h of the hollow portion 224 in the hollow metal material, so the step portions 210a and 220a have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other portions of the hollow portion. It can be as thin as 0.3-2 mm, which is the height (h) of (224). Since the hollow portion 224 can be easily crushed even if the crushing force is not large, the step portions 210a and 220a can be easily and precisely formed through compression processing.

다른 예로, 단차부(210a, 220a)에는 중공부(224)가 없고 상기 금속 중공 소재를 직각으로 절삭 가공한 것일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step portions 210a and 220a may not have a hollow portion 224 and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hollow metal material at a right angle.

탑 플레이트(220)의 단차부(220a)는 U자형 프레임(210)의 단차부(210a)에 안착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220)의 단차부(220a)가 U자형 프레임(210)의 측벽(214) 상단과 맞닿는 부분이 레이저 용접될 수 있다. 즉, 중공부를 압착해 찌그러뜨린 다음에 해당 부분을 용접해 용접부(CP)를 형성할 수가 있다. 단차부(210a, 220a)를 적용함으로써 용접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용접에 따른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얇은 두께의 U자형 프레임(210)과 탑 플레이트(220)를 적용하더라도 적절한 강성 확보가 가능하기에, 제품 수율 증대 및 에너지 밀도가 향상된 배터리 모듈(90)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tep portion 220a of the top plate 220 may be seated on the step portion 210a of the U-shaped frame 210. The portion where the step portion 220a of the top plate 220 contacts the top of the side wall 214 of the U-shaped frame 210 may be laser welded. In other words, the hollow part can be compressed and crushed, and then the part can be welded to form a welded portion (CP). By applying the step portions 210a and 220a, the welding area can be increased, and thus the bonding force due to welding can be increased. Even if the thin U-shaped frame 210 and top plate 220 are applied, appropriate rigidity can be secured, so the battery module 90 with increased product yield and improved energy density can be provided.

탑 플레이트(220)의 단차부(220a)의 폭(W)은 U자형 프레임(210)의 측벽(214) 상단 두께(L)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으며, 레이저 용접시 레이저 빔의 내부 침투 차단 등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레이저 빔이 U자형 프레임(210)의 측벽(214)을 지나 내부로 투과되는 경우, 셀 적층체(100) 및 기타 내부 구조물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차부(210a, 220a)를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레이저 빔이 내부로 투과되는 것을 차단해, 배터리 모듈(90)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width (W) of the step portion 220a of the top plate 220 may be greater than the upper thickness (L) of the side wall 214 of the U-shaped frame 210. Accordingly, durability against external forces can be strengthened, and effects such as blocking internal penetration of the laser beam during laser welding can be achieved. When the laser beam passes through the side wall 214 of the U-shaped frame 210 and penetrates the inside, the cell stack 100 and other internal structures may be dama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ropriately designing the step portions 210a and 220a, the laser beam can be blocked from penetrating inside,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battery module 90.

도 7은 도 2의 D 부분 확대도이다. Figure 7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D of Figure 2.

엔드 플레이트(230)는 U자형 프레임(210)의 중공부(224) 내에 삽입되는 돌기(232)를 포함하고 있다. 돌기(232)는 중공부(224)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공부(224)가 단면이 직사각형이면, 돌기(232)는 직육면체 기둥 모양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중공부(2240가 단면이 원형이면, 돌기(232)는 원기둥 모양일 수 있다. 돌기(232)가 중공부(224)마다 삽입되고 엔드 플레이트(230)가 U자형 프레임(210)과 탑 플레이트(220)에 맞닿은 면이 레이저 용접될 수 있다. U자형 프레임(210)과 탑 플레이트(220)는 중공부(224)를 가진 것이다. 이러한 중공부(224) 주변의 살 두께 보완을 위해 엔드 플레이트(230) 용접부에 돌기(232)를 추가하여, 중공부(224)에 돌기(232)를 매칭해 용접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U자형 프레임(210)과 탑 플레이트(220)에 포함되어 있는 양단이 오픈된 중공부(224)는, 이러한 엔드 플레이트(230)에 의해 양단이 폐쇄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중공부(224)에는 단열 공기층이 유지되고, 외부에서 중공부(224) 내로의 이물 침입은 차단될 수 있다. The end plate 230 includes a protrusion 232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224 of the U-shaped frame 210. The protrusion 232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llow portion 224. For example, if the hollow portion 224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 the protrusion 232 may be shaped lik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pillar. As another example, if the hollow portion 2240 has a circular cross-section, the protrusion 232 may be cylindrical. The protrusion 232 is inserted into each hollow portion 224 and the end plate 230 is connected to the U-shaped frame 210.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op plate 220 may be laser welded. The U-shaped frame 210 and the top plate 220 have a hollow portion 224. To supplement the thickness of the flesh around the hollow portion 224. By adding protrusions 232 to the welded portion of the end plate 230, welding rigidity can be secured by matching the protrusions 232 to the hollow portion 224. Included in the U-shaped frame 210 and the top plate 220. The hollow part 224, which is open at both ends, may be closed at both ends by the end plate 230. Therefore, an insulating air layer is maintained in the hollow part 224, and the hollow part 224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intrusion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interior can be blocked.

도 8은 도 4의 C 부분의 다른 확대도이다.Figure 8 is another enlarged view of portion C of Figure 4.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금속 중공 소재의 표면에 유기물 없이 무기소재로만 이루어진 세라믹 코팅층(2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라믹 코팅층(226)은 상기 금속 중공 소재의 일 표면, 예를 들면 외측에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양 표면, 예를 들면 외측과 내측 모두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hollow metal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a ceramic coating layer 226 made of only inorganic material without organic material. The ceramic coating layer 226 may be formed on only one surface of the hollow metal material, for example, on the outer side, or on both surfaces, for example, on both the outer and inner sides.

세라믹 코팅층(226)은 내화 코팅이다. 기존에 알려진 세라믹 코팅은 유기물(예를 들어 불소수지)에 세라믹이 일부 첨가제 형태로 들어가는 것을 코팅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기물이 없고 세라믹이 주원료라서 친환경이고 고성능인 세라믹 코팅층(226)을 이용하도록 한다. 세라믹 코팅층(226)은 세라믹 분말이 포함된 코팅제를 도포하여 자연 경화 혹은 200℃ 내외 저온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90)의 모듈 케이스(200) 외벽 또는 내벽에 내화 코팅층을 더 포함하게 되며, 이러한 내화 코팅층은 도포 경화된 친환경 세라믹 코팅층(226)이라는 것이다.The ceramic coating layer 226 is a refractory coating. The previously known ceramic coating is an organic material (for example, fluoropolymer) that is coated with ceramic in the form of some additives.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co-friendly and high-performance ceramic coating layer 226 is used because it contains no organic matter and ceramics are the main raw material. The ceramic coating layer 226 can be formed by applying a coating containing ceramic powder and curing it naturally or at a low temperature of around 200°C. In other words, the battery module 9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re-resistant coating layer on the outer or inner wall of the module case 200, and this fire-resistant coating layer is an eco-friendly ceramic coating layer 226 that has been applied and hardened.

코팅제는 알루미나, 실리카 등의 세라믹 미분말과 물, 무기 분산제 등을 배합하여 슬러리화한 것일 수 있다. 유리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무기산화물(K2O, BaO 등)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슬러리는 유기용제 및 유기결합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유기용제 및 유기결합제를 함유하는 경우 내열성이 낮고, 코팅 형성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질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슬러리 타입 코팅제를 금속 중공 소재의 표면에 도포하고 경화시켜 세라믹 코팅층(226)을 형성할 수 있다. 도포는 딥코팅법(dip coating), 스핀 코팅법(spin coating), 스프레이 용사 코팅법(spray coating), 브러시법(brushing) 등 어떠한 방법으로 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슬러리 타입 코팅제는 금속에 직접 코팅하여 저온 융착이 가능하며,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며, 내부식성, 내마모성 및 부착성이 우수하다. The coating agent may be a slurry obtained by mixing fine ceramic powders such as alumina and silica with water and an inorganic dispersant. It may further include inorganic oxides (K 2 O, BaO, etc.) that enable the formation of glass. However, this slurry does not contain organic solvents or organic binders. If it contains organic solvents and organic binders, heat resistance is low and the coating deteriorates over time after 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slurry-type coating agent can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a hollow metal material and cured to form the ceramic coating layer 226. Applic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ny method such as dip coating, spin coating, spray coating, or brushing. This slurry-type coating agent can be coated directly on metal to achieve low-temperature fusion, is environmentally friendly,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ha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wear resistance, and adhesion.

세라믹 코팅층(226)은 1000℃ 이상의 화염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배터리 모듈로의 화염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세라믹 코팅층(226)은 배터리 모듈(90)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The ceramic coating layer 226 can block flames of over 1000°C. Accordingly, flame spread to neighboring battery modules can be blocked. Additionally, the ceramic coating layer 226 can further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attery module 9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및 자동차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 Meanwhile, the battery pack an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에서 설명한 배터리 모듈(90)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300)은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운송 수단이 대표적이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배터리 팩(300)은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으로 활용되기 적합하다. 또한, 전력 저장 장치(ESS)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The battery module 90 described above and the battery pack 300 including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These devices are typically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electric bicycles, electric cars, and hybrid car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is battery pack 300 is suitable for use as a battery pack for electric vehicles. Additionally, it can be used as an energy source for an electric power storage device (ESS).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배터리 팩(300)은 앞선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9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90)을 패키징하는 팩 케이스(310)를 포함할 수 있다. 9 and 10, the battery pack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battery module 90 according to the previous embodiment and a pack case 310 packaging the at least one battery module 90. there is.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300)은, 이러한 배터리 모듈(90)과 팩 케이스(310) 이외에 배터리 모듈(90)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장치, 이를테면 BMS(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전류 센서, 퓨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battery module 90 and the pack case 310, the battery pack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devices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module 90, such as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and a current Additional sensors, fuses, etc. may be included.

배터리 모듈(90)은, 거의 직육면체 상태를 이루어, 배터리 팩 케이스(310) 안에 정연하게 늘어놓을 수 있고 각 배터리 모듈(90)은, 자동차(400)의 주행에 필요한 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다. The battery modules 90 form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can be arranged in an orderly manner within the battery pack case 310, and each battery module 90 is connected to secure the power necessary for running the vehicle 400. there is.

배터리 팩 케이스(310)는 배터리 모듈(90)들을 고정 수납하는 용기이며, 직육면체 상태의 상자이다. 그리고, 이 배터리 팩 케이스(310)는 자동차(400) 내의 소정의 위치에 배설될 수 있다. The battery pack case 310 is a container that fixedly stores the battery modules 90 and is a box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is battery pack case 310 can be plac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within the vehicle 400.

바람직하게, 자동차(400)는 전기 자동차일 수 있다. 배터리 팩(300)은 전기 자동차의 모터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자동차(400)를 구동시키는 전기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팩(300)은 100V 이상의 높은 공칭 전압을 가진다. Preferably, the vehicle 400 may be an electric vehicle. The battery pack 300 can be used as an electrical energy source to drive the vehicle 400 by providing driving force to the motor of the electric vehicle. In this case, the battery pack 300 has a high nominal voltage of 100V or more.

배터리 팩(300)은 모터 및/또는 내연 기관의 구동에 따라 인버터에 의해 충전되거나 방전될 수 있다. 배터리 팩(300)은 브레이크(brake)와 결합된 회생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 팩(300)은 인버터를 통해 자동차(400)의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팩(300)은 상기 자동차 이외에도 이차전지를 이용하는 전력 저장 장치(ESS) 등 기타 다른 장치나 기구 및 설비 등에도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battery pack 300 may be charged or discharged by an inverte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and/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battery pack 300 can be charged by a regenerative charging device combined with a brake. The battery pack 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of the vehicle 400 through an inverter. In addition, of course, the battery pack 300 may be installed in other devices, instruments, and facilities, such as an electric power storage system (ESS) using secondary batteries,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automobile.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300)과 자동차(400)와 같은 상기 배터리 팩(300)을 구비하는 장치나 기구 및 설비는 전술한 상기 배터리 모듈(90)을 포함하는 바, 전술한 배터리 모듈(90)로 인한 장점을 모두 갖는 배터리 팩(300) 및 이러한 배터리 팩(300)을 구비하는 자동차(400) 등의 장치나 기구 및 설비 등을 구현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battery pack 300 and the device, mechanism, and equipment provided with the battery pack 300, such as the car 4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 the battery module 90 described above, and the battery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devices, mechanisms, and equipment such as a battery pack 300 that has all the advantages of the module 90 and a car 400 equipped with the battery pack 300.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 하,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Meanwhil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 up, down, front, and back are used, but these terms are on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object or the location of the observer. It is obvious to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ology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such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90: 배터리 모듈 100: 셀 적층체
110: 셀 111: 셀 케이스
111a: 수용부 111b: 실링부
112: 전극 리드 113: 실링 테이프
200: 모듈 케이스 210: U자형 프레임
210a, 220a: 단차부 212: 바닥면
214: 측벽 216: 열전도성 수지층
220: 상부 플레이트 222: 금속 플레이트
224: 중공부 230: 엔드 플레이트
232: 돌기 240: 버스바 프레임
CP: 용접부 300: 배터리 팩
90: Battery module 100: Cell stack
110: cell 111: cell case
111a: receiving part 111b: sealing part
112: electrode lead 113: sealing tape
200: module case 210: U-shaped frame
210a, 220a: step portion 212: bottom surface
214: side wall 216: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220: upper plate 222: metal plate
224: hollow part 230: end plate
232: Protrusion 240: Busbar frame
CP: welding area 300: battery pack

Claims (20)

복수의 셀이 적층되어 있는 셀 적층체;
상기 셀 적층체의 하면과 양쪽 측면을 감싸도록 바닥면과 2개의 측벽으로 구성되는 U자형 프레임;
상기 셀 적층체의 상면 상에 위치하여 상기 U자형 프레임과 결합되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셀 적층체의 전후방에서 상기 U자형 프레임과 결합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U자형 프레임과 탑 플레이트는 금속 플레이트 안에 일 방향으로 신장하며 양단이 오픈된 중공부가 서로 격리된 채로 다수 개 포함되어 있는 금속 중공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A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are stacked;
a U-shaped frame composed of a bottom and two side walls to surround the low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cell stack;
a top plat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ll stack and coupled to the U-shaped frame; and
It includes an end plate coupled to the U-shaped frame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cell stack,
A battery module, wherein the U-shaped frame and the top plate are made of a hollow metal material that extends in one direction within the metal plat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hollow portions that are open at both ends and are isolated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적층체는 길이 방향 적어도 일측에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셀이 면대면 적층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U자형 프레임은 상기 전극 리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양쪽 측면을 감싸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셀 적층체의 전극 리드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cell st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cells including electrode leads are stacked face to face on at least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shaped frame surrounds both sides on which the electrode leads are not formed,
A battery module, wherein the end plate is disposed to face the electrode lead of the cell stac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battery module of claim 2, wherein the hollow portion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중공 소재에서 상기 중공부가 단층으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low portion is included as a single layer in the hollow metal materi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중공 소재에서 상기 중공부의 높이는 0.3-2mm이고 상기 중공부 위의 금속 층 두께와 상기 중공부 아래의 금속 층 두께는 0.3-1mm이며, 상기 중공부끼리의 간격이 0.3-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the hollow metal material, the height of the hollow portion is 0.3-2 mm, the thickness of the metal layer above the hollow por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metal layer below the hollow portion are 0.3-1 mm, and the spacing between the hollow portions is 0.3 mm.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2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프레임과 상기 탑 플레이트는 외주변 상에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haped frame and the top plate include a stepped portion on an outer periphery that is relatively thinner than other portion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프레임과 상기 탑 플레이트는 외표면이 평탄하고 상기 단차부는 내측 함몰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U-shaped frame and the top plate have flat outer surfaces and the step portion is formed by an inner depress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중공부를 압착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epped por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ollow portion is compress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0.3-2mm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battery module of claim 8, wherein the stepped portion is 0.3-2 mm thinner than other portion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에는 상기 중공부가 없고 상기 금속 중공 소재를 직각으로 절삭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epped portion does not have the hollow portion and the hollow metal material is cut at a right ang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의 단차부가 상기 U자형 프레임의 단차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epped portion of the top plate is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of the U-shaped fr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의 단차부의 폭은 상기 U자형 프레임의 측벽 상단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battery module of claim 6, wherein the width of the stepped portion of the top plate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op of the side wall of the U-shaped fr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의 단차부가 상기 U자형 프레임의 측벽 상단과 맞닿는 부분이 레이저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epped portion of the top plate is laser welded at a portion that contacts the top of the side wall of the U-shaped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중공부 내에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The battery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end plate includes a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상기 중공부마다 삽입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가 상기 U자형 프레임과 탑 플레이트에 맞닿은 면이 레이저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each hollow portion and the surface of the end plate in contact with the U-shaped frame and the top plate is laser wel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에 의해 단열 공기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sulating air layer is formed by the hollow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중공 소재는 압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low metal material is manufactured by ex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중공 소재의 표면에 유기물 없이 무기소재로만 이루어진 세라믹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eramic coating layer made of only inorganic material without organic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hollow metal material.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A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8.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A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8.
KR1020220070532A 2022-06-10 2022-06-10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202301702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532A KR20230170251A (en) 2022-06-10 2022-06-10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532A KR20230170251A (en) 2022-06-10 2022-06-10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251A true KR20230170251A (en) 2023-12-19

Family

ID=8938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532A KR20230170251A (en) 2022-06-10 2022-06-10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025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2502B1 (en) Battery pack case having efficient cooling structure
JP7034419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ntaining the battery modul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JP6014752B2 (en)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stability and high cooling efficiency
KR102619201B1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JP7037720B2 (en) How to manufacture an assembled battery and a cell used for the assembled battery
JP6650472B2 (en) Battery pack containing edge-cooled members
KR20180005456A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JP2013069417A (en) Secondary battery
WO2019107560A1 (en) Partition member and battery pack
JPWO2019187940A1 (en) Solid-state battery and solid-state battery module
JP7055203B2 (en)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cooling efficiency and battery pack containing it
KR20140033585A (en) Secondary battery
JP2023537015A (en) Battery modules and battery packs containing the same
JP6956258B2 (en) Solid state battery module
KR20230170251A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20240012224A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102480735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40016117A (en)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20230151433A (en) Battery module, ba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EP4293800A1 (en) Battery module, ba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JP2024521611A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automobile including same
CN117581413A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EP4376200A1 (en) Battery pack,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same
US20230411760A1 (en) Battery module including compression pad having improved insulation and assembly,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EP4270597A1 (en) Battery, electr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