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111A -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111A
KR20230170111A KR1020237041136A KR20237041136A KR20230170111A KR 20230170111 A KR20230170111 A KR 20230170111A KR 1020237041136 A KR1020237041136 A KR 1020237041136A KR 20237041136 A KR20237041136 A KR 20237041136A KR 20230170111 A KR20230170111 A KR 20230170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lor resistor
light
display panel
touch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1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춘옌 우
치 저우
빙 탄
페이 셰
슈젠 주
Original Assignee
허페이 비젼녹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210726487.6A external-priority patent/CN115172626A/zh
Application filed by 허페이 비젼녹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허페이 비젼녹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70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1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며, 발광 영역과 발광 영역의 바깥 둘레에 위치하는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두께 방향을 따라 대향되게 설치된 출광측과 배광측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층과 터치층 내에 위치하는 광여과층을 포함하고, 광여과층은 색저항을 포함하고, 터치층은 제1 터치 라인과 제2 터치 라인을 포함하고, 제2 터치 라인은 제1 터치 라인의 출광측에 가깝게 위치하고; 색저항은 제1 색저항과 제2 색저항을 포함하고, 제1 색저항은 발광 영역에 위치하고, 제2 색저항, 제1 터치 라인 및 제2 터치 라인은 모두 비발광 영역에 위치하고, 제2 색저항은 제1 터치 라인과 제2 터치 라인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색저항과 제1 색저항은 동일층에 동일한 재료로 설치된다. 광여과층이 터치층에 통합되고, 한편, 제1 색저항과 제2 색저항은 동시에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2년 06월 24일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가 202210726487.6이고, 출원의 명칭이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결합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로 약칭)는 능동적 발광, 높은 콘트라스트, 초경량, 내저온, 빠른 응답 속도, 낮은 전력 소비, 넓은 시야각, 강한 내진동 능력 등의 특성을 구비하므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관련 기술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 영역과 발광 영역의 외주에 위치하는 비발광 영역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층과 터치층 위에 위치한 광여과층을 포함하고, 광여과층은 색저항층과 차광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색저항층은 발광 영역에 위치하고, 차광층은 비발광 영역에 위치한다.
그러나,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공정이 보다 복잡하다.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기술문제를 감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며,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기술방안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 영역과 발광 영역의 바깥 둘레에 위치하는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두께 방향을 따라 대향되게 설치된 출광측과 배광측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층과 터치층 내에 위치하는 광여과층을 포함하고, 광여과층은 색저항을 포함하고, 터치층은 제1 터치 라인과 제2 터치 라인을 포함하고, 제2 터치 라인은 제1 터치 라인의 출광측에 가깝게 위치하고; 색저항은 제1 색저항과 제2 색저항을 포함하고, 제1 색저항은 발광 영역에 위치하고, 제2 색저항, 제1 터치 라인 및 제2 터치 라인은 모두 비발광 영역에 위치하고, 제2 색저항은 제1 터치 라인과 제2 터치 라인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색저항과 제1 색저항은 동일층에 동일한 재료로 설치되고, 제1 색저항과 제2 색저항 사이에 갭이 존재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 영역과 발광 영역의 바깥 둘레에 위치하는 비발광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두께 방향을 따라 대향되게 설치된 출광측과 배광측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층과 터치층 내에 위치하는 광여과층을 포함할 수 있고, 광여과층은 환경광의 반사를 줄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광여과층을 터치층에 통합하므로, 터치층과 광여과층의 전체 구조층의 수량을 줄일 수 있으며(예를 들어, 광여과층을 사용하여 터치층 내의 제1 절연층 및/또는 제2 절연층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대체할 수 있음), 이에 따라 터치층과 광여과층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광여과층은 색저항을 포함할 수 있고, 터치층은 제1 터치 라인과 제2 터치 라인을 포함하고, 제2 터치 라인은 제1 터치 라인의 출광측에 가깝게 위치하고; 색저항은 제1 색저항과 제2 색저항을 포함하고, 제1 색저항은 발광 영역에 위치하고, 제1 색저항은 환경광 중 자체의 색상과 다른 광을 필터링하여, 광을 필터링하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색저항, 제1 터치 라인 및 제2 터치 라인은 모두 비발광 영역에 위치하고, 제2 색저항은 제1 터치 라인과 제2 터치 라인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색저항은 제1 터치 라인과 제2 터치 라인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색저항과 적어도 부분 제1 색저항은 동일층에 동일한 재료로 설치되며, 이에 따라 제1 색저항과 제2 색저항을 동시에 제조하여, 제1 색저항과 제2 색저항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있고,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제1 색저항은 여러가지 색상이 다르며 이격되게 설치된 서브 색저항을 포함하고, 제2 색저항과 적어도 하나의 색상의 서브 색저항은 동일층에 동일한 재료로 설치되고;
구현할 수 있는 점은, 제1 색저항의 두께 범위는 0.5μm-5μm이고; 및/또는, 제2 색저항의 두께 범위는 0.5μm-15μm이고; 및/또는, 색저항의 유전율은 10보다 작거나 같고; 및/또는, 색저항의 표면 임피던스는 1011Ω/제곱보다 크거나 같다.
이렇게, 제1 색저항과 제2 색저항은 동시에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제2 색저항에는 두께 방향을 따라 제2 색저항을 관통하는 비아홀이 구비되고, 제2 터치 라인은 비아홀의 홀 벽면 위에 커버되고 제1 터치 라인과 연결되며;
배광측으로부터 출광측으로의 방향을 따라, 비아홀의 개구가 점차적으로 커진다.
이렇게, 제2 터치 라인과 비아홀의 홀 벽면 사이에 틈이 쉽게 생기지 않고, 둘 사이의 연결이 보다 안정적이다.
일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광여과층은 차광층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부분 차광층은 제2 터치 라인의 출광측에 가깝게 위치하고,
구현할 수 있는 점은, 차광층은 제1 터치 라인이 위치한 평면 상에서의 정투영이 제1 터치 라인을 커버하고; 및/또는, 차광층은 제2 터치 라인이 위치한 평면 상에서의 정투영이 제2 터치 라인을 커버한다.
이렇게, 차광층은 환경광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확보한다.
일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적어도 부분 제1 색저항은 비발광 영역까지 연장되고, 차광층은 제1 색저항의 출광측에 가깝게 위치하고, 비발광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색저항은 차광층이 위치한 평면 상에서의 정투영이 차광층과 부분적으로 오버랩되고;
구현할 수 있는 점은, 제2 터치 라인은 제2 색저항이 위치한 평면 상에서의 정투영이, 제2 색저항의 바깥 가장자리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렇게, 공정 오차에 의해 제1 색저항과 차광층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해당 틈 지점에는 제1 색저항이 없어 광을 필터링할 수 없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효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제1 색저항과 제2 색저항 사이에 갭이 존재하고, 차광층은 갭 내에 위치하고;
구현할 수 있는 점은, 배광측으로부터 출광측으로의 방향을 따라, 제1 색저항과 제2 색저항 사이의 간격은 점차적으로 커진다.
이렇게, 차광층은 제1 터치 라인, 제2 터치 라인 및 제2 색저항에 대해 보호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터치층에는 보호층이 설치되어 있고, 적어도 부분 보호층은 제1 색저항의 출광측에 가깝게 위치한다.
이렇게, 보호층은 터치층 내의 기타 구조층을 보호할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보호층은 제1 보호층을 포함하고, 제1 보호층은 제1 색저항의 출광측에 가까운 면 상에 커버되고;
구현할 수 있는 점은, 제1 색저항의 굴절율은 제1 보호층의 굴절율보다 작고;
구현할 수 있는 점은, 디스플레이 패널은 접착층을 포함하고, 접착층은 터치층의 출광측에 가깝게 위치하고, 접착층의 굴절율은 제1 보호층의 굴절율보다 작다.
이렇게, 제1 보호층은 제1 색저항을 보호할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보호층은 제2 보호층을 포함하고, 제2 보호층은 차광층의 출광측 및/또는 배광측에 가까운 면 상에 위치하고; 구현할 수 있는 점은, 제1 보호층과 제2 보호층은 일체형 부재이다.
이렇게, 제2 보호층은 제1 터치 라인, 제2 터치 라인 및 제2 색저항을 보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며, 상술한 제1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 영역과 발광 영역의 바깥 둘레에 위치하는 비발광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두께 방향을 따라 대향되게 설치된 출광측과 배광측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층과 터치층 내에 위치하는 광여과층을 포함할 수 있고, 광여과층은 환경광의 반사를 줄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광여과층을 터치층에 통합하므로, 터치층과 광여과층의 전체 구조층의 수량을 줄일 수 있고(예를 들어, 광여과층을 사용하여 터치층 중의 제1 절연층 및/또는 제2 절연층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대체 가능), 이에 따라 터치층과 광여과층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광여과층은 색저항을 포함할 수 있고, 터치층은 제1 터치 라인과 제2 터치 라인을 포함하고, 제2 터치 라인은 제1 터치 라인의 출광측에 가깝게 위치하고; 색저항은 제1 색저항과 제2 색저항을 포함하고, 제1 색저항은 발광 영역에 위치하고, 제1 색저항은 환경광 중 자체의 색상과 다른 광을 필터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광을 필터링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제2 색저항, 제1 터치 라인 및 제2 터치 라인은 모두 비발광 영역에 위치하고, 제2 색저항은 제1 터치 라인과 제2 터치 라인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색저항은 제1 터치 라인과 제2 터치 라인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색저항과 적어도 부분 제1 색저항은 동일층에 동일한 재료로 설치되고, 이에 따라 제1 색저항과 제2 색저항을 동시에 제조하여, 제1 색저항과 제2 색저항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조와 이의 기타 발명의 목적 및 유리한 효과는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술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첨부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이러한 첨부 도면을 기초로 기타 첨부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층의 부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층의 다른 부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층의 다른 부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층의 다른 부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관련기술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 영역과 발광 영역의 외주에 위치하는 비발광 영역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층과 터치층 위에 위치하는 광여과층을 포함하고, 광여과층은 색저항층과 차광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색저항층은 발광 영역에 위치하고, 차광층은 비발광 영역에 위치한다. 터치층은 순차적으로 적층 설치된 제1 터치 라인, 제1 절연층, 제2 터치 라인과 제2 절연층을 포함하고, 제1 터치 라인과 제2 터치 라인은 비발광 영역에 위치하고,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은 모두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에 위치한다.
그러나, 상술한 터치층과 광여과층 내의 전체 구조층이 보다 많고, 각종 구조층은 모두 별도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라인, 제1 절연층, 제2 터치 라인, 제2 절연층, 차광층과 색저항층을 순차적으로 제조하여야 하므로, 터치층과 광여과층의 제조 공정이 보다 복잡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이 보다 복잡하다.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기술문제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며,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 영역과 발광 영역의 바깥 둘레에 위치하는 비발광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두께 방향을 따라 대향되게 설치된 출광측과 배광측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층과 터치층 내에 위치하는 광여과층을 포함할 수 있고, 광여과층은 환경광의 반사를 줄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광여과층을 터치층에 통합하므로, 터치층과 광여과층의 전체 구조층의 수량을 줄일 수 있고(예를 들어, 광여과층을 사용하여 터치층 중의 제1 절연층 및/또는 제2 절연층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대체할 수 있음), 이에 따라 터치층과 광여과층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박화에도 유리하다. 광여과층은 색저항을 포함할 수 있고, 터치층은 제1 터치 라인과 제2 터치 라인을 포함하고, 제2 터치 라인은 제1 터치 라인의 출광측에 가깝게 위치하고; 색저항은 제1 색저항과 제2 색저항을 포함하고, 제1 색저항은 발광 영역에 위치하고, 제1 색저항은 환경광 중 자체의 색상과 다른 광을 필터링하여, 광을 필터링하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색저항, 제1 터치 라인 및 제2 터치 라인은 모두 비발광 영역에 위치하고, 제2 색저항은 제1 터치 라인과 제2 터치 라인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색저항은 제1 터치 라인과 제2 터치 라인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색저항과 적어도 부분 제1 색저항은 동일층에 동일한 재료로 설치되고, 이에 따라 제1 색저항과 제2 색저항을 동시에 제조하여, 제1 색저항과 제2 색저항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방안 및 이점이 더욱 명확하도록, 아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충분하게 설명한다. 물론,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는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초 상에서,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들이지 않고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전부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종이, 휴대폰, 태블릿 PC, TV, 모니터, 노트북, 디지털 액자, 스마트 팔찌, 스마트 와치, 슈퍼 퍼스널 컴퓨터, 네비게이션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구비하는 이동 또는 고정 단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로 약칭) 디스플레이 패널,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Micro Light Emitting Diode, Micro LED 또는 μLED로 약칭)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액정(Liquid Crystal Display, LCD로 약칭)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OLED디스플레이 패널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제공하며, 해당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두께 방향을 따라 대향되게 설치되는 출광측과 배광측을 포함할 수 있다. 출광측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일측이고, 배광측은 출광측과 디스플레이 패널(100) 두께 방향을 따라 등지게 설치된 타측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어레이 기판(110), 및 어레이 기판(110) 위에 위치하는 발광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레이 기판(110)에 복수의 구동유닛이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구동유닛은 어레이 형태로 배열 분포될 수 있고, 구동유닛은 발광층(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구동유닛은 발광층(120)에 구동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동유닛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로 약칭) 및 커패시터 구조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는 금속산화물(Metal Oxide, MO로 약칭) 박막 트랜지스터와 저온 다결정 실리콘(Low Temperature Poly-silicon, LTPS로 약칭) 박막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발광층(120)에 대해 설명한다.
발광층(120)은 애노드층과 캐소드층을 포함할 수 있고, 애노드층은 캐소드층의 어레이 기판(110)을 향하는 일측에 위치한다. 애노드층은 픽셀 전극일 수 있고, 캐소드층은 공통전극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층(120)은 픽셀층(121)과 픽셀 제한층(122)을 포함할 수 있고, 픽셀층(121)은 발광 재료로 형성되고, 픽셀층(121)은 애노드층과 캐소드층 사이에 위치한다. 픽셀층(121)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픽셀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픽셀은 어레이 형태로 배열 분포될 수 있고, 복수의 픽셀은 레드 픽섹,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부 예시에서, 복수의 픽셀은 화이트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픽셀 제한층(122)은 인접하는 두 개의 픽셀 사이에 위치하고, 픽셀 제한층(122)은 픽셀의 바깥 둘레를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발광층(120)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차단층, 정공차단층, 전자수송층, 전자 주입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발광 영역(100a)과 비발광 영역(100b)을 포함하고, 발광 영역(100a)은 픽셀과 대응되고, 발광 영역(100a)은 픽셀과 오버랩될 수 있고; 한편, 인접하는 발광 영역(100a) 사이에 비발광 영역(100b)이 설치되어 있고, 비발광 영역(100b)은 발광 영역(100a)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고, 비발광 영역(100b)은 적어도 부분 픽셀 제한층(122)과 대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봉지층(130), 터치층(170) 및 커버 플레이트(160)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봉지층(13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봉지층(130)은 발광층(120)의 어레이 기판(110)과 등진 일측에 위치하고, 봉지층(130)은 발광층(120)을 밀폐하여, 외계의 물, 산소가 발광층(120) 및 구동유닛에 침투 진입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봉지층(130)은 박막 트랜지스터 인캡슐레이션 기술(Thin Film Encapsulation,TFE로 약칭)을 사용할 수 있고, TFE 봉지층(130)은 복수의 봉지 서브 막층을 포함할 수 있고, TFE는 무기층/유기층/무기층이 교대로 적층된 다층 스택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무기층은 물과 산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고, 유기층은 무기층 내의 응력을 완충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터치층(17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터치층(170)은 봉지층(130)의 어레이 기판(110)과 등진 일측에 위치하고, 터치층(170)은 터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커버 플레이트(160)를 포함할 수 있고, 커버 플레이트(160)는 터치층(170)의 어레이 기판(110)과 등진 일측에 위치하고, 커버 플레이트(16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보호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사용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긁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터치층(170)은 커버 플레이트(160)와 봉지층(130) 사이에 위치한다.
예시적으로, 터치층(170)과 봉지층(130) 사이에 버퍼층(140)이 설치될 수 있고, 버퍼층(140)은 무기 재료(예를 들어, 질화규소, 산화규소 등) 또는 유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버퍼층(140)을 설치하지 않고, 터치층(170)을 바로 봉지층(130) 위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경박화에 유리하다.
예시적으로, 커버 플레이트(160)와 터치층(170) 사이에 접착층(150)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접착층(150)은 커버 플레이트(160)와 터치층(170)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한편, 접착층(150)은 또한, 커버 플레이트(160)와 터치층(170) 사이의 연결의 편의를 위해, 평탄한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150)은 광학 투명 접착제, 광학 투명 수지 또는 감압 접착제 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층(17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층(170)은 제1 터치 라인(171)과 제2 터치 라인(17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터치 라인(172)은 제1 터치 라인(171)의 출광측에 가깝게 위치하고, 즉 제2 터치 라인(172)은 제1 터치 라인(171)의 발광층(120)과 등진 일측에 위치한다.
터치층(170)에서, 제1 터치 라인(171)과 제2 터치 라인(172) 중의 하나는 브리징층을 형성하고, 제1 터치 라인(171)과 제2 터치 라인(172) 중의 다른 하나는 터치 기능층을 형성할 수 있다. 터치 기능층은 복수의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터치 전극, 및 복수의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다른 바, 예를 들어, 제1 방향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길이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폭 방향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길이, 폭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사이즈에 대한 그 어떤 한정도 나타내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길이는 폭보다 크거나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 중의 하나는 구동전극이고,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 중의 다른 하나는 감지전극이다. 설명하여야 할 점은, 비록 구동전극과 감지전극이 모두 제2 터치 라인(172)으로 형성되지만, 둘 사이에 절연된다. 구동전극과 감지전극 중 하나는 제1 방향(또는 제2 방향)을 따라 끊김없이 연속되는 구조이고, 구동전극과 감지전극 중 다른 하나는 제2 방향(또는 제1 방향)을 따라 복수의 이격된 서브 구조를 포함하고, 브리징층을 통해 브릿지를 형성하여 서로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제1 터치 라인(171)과 제2 터치 라인(172)은 모두 비발광 영역(100b)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 개구율에 대한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터치 라인(171)과 제2 터치 라인(172)은 단일층 도전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층의 도전층의 스택 구조일 수도 있다.
터치층(170)에는 광여과층이 통합되어 있을 수 있고, 광여과층은 터치층(170) 중의 제1 터치 라인(171)과 제2 터치 라인(172) 이외의 기타 절연 재료층의 적어도 일부분을 대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체 두께가 보다 작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경박화에 유리하고; 한편, 박형화된 후의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굽힘 성능이 보다 우수하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광여과층에 대해 설명한다.
광여과층은 환경광의 반사를 줄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광여과층은 색저항(182)을 포함할 수 있고, 색저항(182)은 환경광 중 자체의 색상과 다른 광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색저항(182)은 유기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그 유연성이 보다 높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굽힘 성능에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저항(182)은 제1 색저항(183)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색저항(183)은 발광 영역(100a)에 위치한다. 제1 색저항(183)은 픽셀과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되고, 제1 색저항(183)은 발광층(120) 상에서의 정투영이 픽셀을 커버하고, 커버되는 픽셀의 색상과 동일하여, 혼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레드 픽셀에 대응되게 설치된 제1 색저항(183)은 레드 서브 색저항이고, 레드 서브 색저항은 블루 픽셀과 그린 픽셀로부터 방출된 광선을 차단하고, 레드 픽셀 또는 화이트 픽셀로부터 방출되는 적색광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점은, 제1 색저항(183)은 여러가지 색상이 다르고 이격되게 설치된 서브 색저항, 예를 들어, 레드 서브 색저항, 그린 서브 색저항, 블루 서브 색저항, 화이트 서브 색저항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원리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색저항(182)은 제2 색저항(185)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색저항(185)은 제1 터치 라인(171)과 제2 터치 라인(172)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색저항(185)은 제1 터치 라인(171)과 제2 터치 라인(172)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색저항(185)은 유전율이 보다 낮은 유기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터치 라인(172) 상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줄여, 터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색저항(182)의 유전율은 10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고, 예를 들어, 색저항(182)의 유전율은 1, 3, 5, 7, 10 또는 10 이하의 임의의 수치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터치 라인(172) 상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줄여, 터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색저항(182)의 표면 임피던스는 1011Ω/제곱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고, 예를 들어, 색저항(182)의 표면 임피던스는 1011Ω/제곱, 1012Ω/제곱, 1013Ω/제곱 또는 1014Ω/제곱 등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우수하게 제1 터치 라인(171)과 제2 터치 라인(172)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색저항(185)에는 두께 방향을 따라 제2 색저항(185)을 관통하는 복수의 비아홀(186)이 구비될 수 있고, 제1 터치 라인(171)과 제2 터치 라인(172) 사이에 비아홀(186)을 통해 브릿지를 형성하여 서로 연결된다. 제2 터치 라인(172)은 제2 색저항(185)의 발광층(120)과 등진 일측의 면 위에 커버되고, 제2 터치 라인(172)은 비아홀(186) 내부까지 연장되고 비아홀(186)의 홀 벽면 위에 커버되며, 이에 따라 비아홀(186)을 통해 제1 터치 라인(17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배광측으로부터 출광측으로의 방향을 따라, 즉 발광층(120)으로부터 터치층(170)으로의 방향을 따라, 비아홀(186)의 개구가 점차적으로 커진다. 이때, 비아홀(186)의 단면은 역사다리꼴 형상이고, 비아홀(186)의 홀 벽면은 경사지게 설치되고, 비아홀(186)의 홀 벽면은 커버 플레이트(160)에 가까운 제1 단과 발광층(120)에 가까운 제2 단을 포함하고, 비아홀(186)이 설치된 제2 색저항(185)에서, 제1 단은 제2 단에 비해 해당 제2 색저항(185)의 가장자리에 더 가깝고, 즉 제1 단은 제2 단에 비해 해당 제2 색저항(185)의 가장자리를 향해 경사진다. 이에 따라 제2 터치 라인(172)이 비아홀(186)의 홀 벽면 위에 보다 잘 커버되고, 제2 터치 라인(172)과 비아홀(186)의 홀 벽면 사이에 틈이 쉽게 생기지 않고, 제2 터치 라인(172)의 부착이 보다 안정적이고, 쉽게 파단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제2 터치 라인(172)은 제2 색저항(185)이 위치하는 평면 상에서의 정투영이, 제2 색저항(185)의 바깥 가장자리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색저항(185)(비아홀(186)을 포함)의 사이즈는 제2 터치 라인(172)보다 클 수 있고, 제2 색저항(185)의 가장자리는 제2 터치 라인(172)의 가장자리보다 돌출되고, 제2 색저항(185)은 제2 터치 라인(172)에 대한 지지 효과가 보다 우수하고; 한편, 제2 터치 라인(172)의 가장자리는 발광층(120) 중의 캐소드층과 보다 멀므로, 기생 커패시턴스를 낮추고, 터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색저항(185)은 제1 색저항(183)의 적어도 일부분과 동일층에 동일한 재료로 설치될 수 있고, 해당 부분 제1 색저항(183)과 제2 색저항(185)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으며, 즉 별도로 해당 부분 제1 색저항(183)과 제2 색저항(185)을 각각 제조할 필요가 없는 바, 제1 색저항(183)과 제2 색저항(185)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색저항(185)은 제1 색저항(183) 중의 여러가지 색상의 서브 색저항 중의 적어도 하나의 색상과 동일할 수 있고, 색상이 동일한 제2 색저항(185)과 해당 서브 색저항은 동일층에 동일한 재료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색저항(185)은 그 중 하나의 색상의 서브 색저항과 동시에 제조될 수 있고, 이때, 제1 색저항(183)의 두께는 제2 색저항(185)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제2 색저항(185)은 그중 두가지 (도 5) 또는 세가지 색상(도 6)의 서브 색저항과 동시에 제조될 수 있다. 제2 색저항(185)과 여러가지 색상의 서브 색저항이 동시에 제조될 때, 제2 색저항(185)의 두께는 제1 색저항(183)의 두께보다 클 수 있고, 제2 색저항(185)의 두께는 해당 여러가지 색상의 서브 색저항의 두께의 합보다 작을 수 있고, 이때 제2 색저항(185)의 두께가 보다 크고, 이에 따라 제2 터치 라인(172)과 발광층(120) 중의 캐소드층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터치 라인(172)과 캐소드층 사이의 기생커패시턴스를 줄여, 터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동일층에 동일한 재질"이라 함은 동일한 재료로 베이스 막층을 형성하고, 베이스 막층에 대해 패턴화 및/또는 기타 처리 공정을 수행한 후, 베이스 막층의 상이한 부분을 각각 여러가지 구조 막층으로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해당 베이스 막층으로 형성된 상이한 구조 막층의 처리 공정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형성된 상이한 구조 막층은 동일하거나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동일한 수평면 또는 다른 수평면에 있을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색저항(183)의 두께 범위는 0.5μm-5μm일 수 있고; 한편, 제2 색저항(185)의 두께 범위는 0.5μm-15μ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색저항(183)의 두께는 0.5μm, 1μm, 2μm, 3μm, 5μm 또는 0.5μm-5μm 사이의 임의의 두께일 수 있다. 제2 색저항(185)의 두께는 0.5μm, 2μm, 5μm, 10μm, 15μm 또는 0.5μm-15μm 사이의 임의의 두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색저항(182)의 두께가 지나치게 작은 것을 방지하고, 제2 터치 라인(172)의 기생 커패시턴스가 보다 큰 것을 방지하여, 터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색저항(182)의 두께가 지니치게 큰 것을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두께에 대해 보다 큰 영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경박화에 유리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제1 색저항(183)과 제2 색저항(185) 사이에 갭(187)이 구비될 수 있고, 즉 인접하는 제1 색저항(183)과 제2 색저항(185) 사이에 연결되지 않고 독립되게 설치되며, 이에 따라 갭(187)이 존재한다. 또는, 인접하는 제1 색저항(183)과 제2 색저항(185) 사이에 서로 접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인접하는 제1 색저항(183)과 제2 색저항(185) 간에 일체형 부재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접하는 제1 색저항(183)과 제2 색저항(185)은 동시에 제조될 수 있으며, 인접하는 제1 색저항(183)과 제2 색저항(185)의 전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인접하는 제1 색저항(183)과 제2 색저항(185) 사이에 갭(187)이 구비되는 실시형태에서, 배광측으로부터 출광측으로의 방향을 따라, 제1 색저항(183)과 제2 색저항(185) 사이의 갭(187)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커진다. 이때, 제1 색저항(183)의 제2 색저항(185)에 가까운 일측의 측벽면은 경사지게 설치되고, 해당 경사지게 설치된 측벽면은 그 위에 부착된 기타 구조층에 대해 보다 우수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측벽면 위에 부착된 기타 구조층과 해당 측벽면 사이의 부착이 보다 안정적이고, 틈이 쉽게 발생하지 않으며, 그 원리는 비아홀(186)의 홀 벽면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과 유사하므로, 더 이상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제2 색저항(185)의 제1 색저항(183)에 가까운 측벽면은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원리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여과층은 차광층(181)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차광층(181)은 광을 차단할 수 있는 제료로 형성될 수 있고, 차광층(181) 상에 조사된 광선을 흡수할 수 있다. 차광층(181)의 광 밀도가 보다 크고, 광 밀도가 큰 재료일수록 광 흡수 효과가 더욱 우수한 바, 예를 들어 차광층(181)의 광 밀도는 1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환경 반사광을 줄이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편광 시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차광층(181)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 차광층(181)이 제2 터치 라인(172)의 출광측에 가깝게 위치하고, 즉 적어도 부분 차광층(181)은 제2 터치 라인(172)의 발광층(120)과 등진 일측에 위치한다.
예시적으로, 차광층(181)은 제1 터치 라인(171)이 위치한 평면 상에서의 정투영이 제1 터치 라인(171)을 커버할 수 있고, 즉 차광층(181)의 사이즈는 제1 터치 라인(171)의 사이즈보다 크거나 같고, 차광층(181)은 발광층(120) 상에서의 정투영이 제1 터치 라인(171)의 발광층(120) 상에서의 정투영을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경광이 제1 터치 라인(171) 상에 조사되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터치 라인(171)이 위치한 평면이란 제1 터치 라인(171)이 전체적으로 대체적으로 위치한 평면을 의미하고, 제1 터치 라인(171)의 길이 연장 방향과 폭 연장 방향은 모두 해당 평면 내에 위치한다.
예시적으로, 차광층(181)은 제2 터치 라인(172)이 위치한 평면 상에서의 정투영이 제2 터치 라인(172)을 커버할 수 있다. 즉 차광층(181)의 사이즈는 제2 터치 라인(172)의 사이즈보다 크거나 같고, 차광층(181)은 발광층(120) 상에서의 정투영이 제2 터치 라인(172)의 발광층(120) 상에서의 정투영을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경광이 제2 터치 라인(172) 상에 조사되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 제1 색저항(183)은 비발광 영역(100b)까지 연장되고, 이에 따라 제1 색저항(183)의 면적이 보다 크게 형성되어, 환경광이 제1 색저항(183) 상에 더 많이 조사되도록 하고, 환경광에 대한 필터링 효과가 더욱 우수하고, 환경광의 반사를 더욱 효과적으로 줄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차광층(181)은 또한 제1 색저항(183)의 출광측에 가깝게 위치할 수도 있고, 차광층(181)은 제1 색저항(183)의 가장자리에 커버될 수 있다. 비발광 영역(100b)에서, 제1 색저항(183)은 차광층(181)이 위치한 평면 상에서의 정투영이 차광층(181)과 부분적으로 오버랩된다. 예를 들어, 차광층(181)을 제조할 때, 제조 공정 오차가 존재하여, 차광층(181)이 소정의 위치를 벗어날 수 있지만, 차광층(181)이 제1 색저항(183)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므로, 차광층(181)이 소정의 위치를 벗어난 후 제1 색저항(183)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해당 틈 지점은 제1 색저항(183)이 없으므로 광을 필터링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디스플레이 효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시적으로, 차광층(181)의 두께는 1μm-5μm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환경광의 반사를 보다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차광층(181)의 표면 임피던스는 1011Ω/제곱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고, 차광층(181)의 절연성이 보다 우수하다.
제1 색저항(183)과 제2 색저항(185) 사이에 갭(187)이 구비되는 실시형태에서, 차광층(181)은 제1 색저항(183)과 제2 색저항(185) 사이의 갭(187)에도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차광층(181)은 제1 터치 라인(171), 제2 터치 라인(172) 및 제2 색저항(185)을 모두 차광층(181)으로 둘러싸여 형성된 수용 영역 내에 둘러싼다. 차광층(181)의 커버 면적이 보다 크므로, 환경광의 반사를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인접하는 픽셀 사이의 혼광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차광층(181)의 투수율이 보다 낮으므로, 물, 산소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용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 터치 라인(171), 제2 터치 라인(172) 및 제2 색저항(185)에 대해 보호 작용을 수행하고, 터치층(170)에 대해 물, 산소 등을 차단하는 구조층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경박화에 유리하다.
물론, 터치층(170)에 보호층을 설치하여, 터치층(170) 중의 구조층을 더욱 보호하여, 물, 산소 등이 터치층(170)에 침입하여 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때, 차광층(181)이 이미 보호 작용을 수행하므로, 보호층은 보다 얇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호층이 너무 두꺼워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두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보호층에 대해 설명한다.
적어도 부분 보호층은 제1 색저항(183)의 출광측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즉 적어도 부분 보호층은 제1 색저항(183)의 발광층(120)과 등진 일측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색저항(183)에 대해 보호 작용을 수행한다.
예시적으로,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은 제1 보호층(174)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보호층(174)은 제1 색저항(183)의 발광층(120)과 등진 일측의 면 위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제1 색저항(183)에 대해 보호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보호층(174)은 제1 색저항(183)의 부분 면적 또는 전체 면적을 커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보호층은 제2 보호층(175)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보호층(175)은 차광층(181)의 출광측에 가까운 면 위에 위치할 수 있고, 한편, 제2 보호층(175)은 차광층(181)의 배광측에 가까운 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보호층(175)은 차광층(181)의 두께 방향을 따라 마주하는 양측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보호층(175)은 제2 색저항(185), 제1 터치 라인(171)과 제2 터치 라인(172)을 보호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제2 보호층(175)은 차광층(181)의 발광층(120)과 등진 일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보호층(175)은 차광층(181)을 보호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제2 보호층(175)은 차광층(181)의 발광층(120)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보호층(175)은 갭(187)에 위치할 수 있다. 갭(187)에는 제2 보호층(175)만 설치될 수 있고, 또는, 갭(187)에는 제2 보호층(175)과 차광층(181)이 모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갭(187)에는 기타 충진재가 충진될 수도 있다.
이해할 수 있는 점은, 제1 보호층(174)만 설치할 수 있고, 제1 보호층(174)과 제2 보호층(175)을 모두 설치할 수도 있다. 제1 보호층(174)과 제2 보호층(175)이 모두 설치되는 실시형태에서, 제1 보호층(174)과 제2 보호층(175)은 일체형 부재일 수 있고, 그 보호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 물론, 제1 보호층(174)과 제2 보호층(175)은 두 개의 별도의 구조층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보호층의 두께는 곳곳마다 동일할 수 있고, 보호층은 발광층(120)에 등진 일측의 면이 가지런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보호층은 박막 상태로 차광층(181) 및/또는 제1 색저항(183) 상에 커버될 수 있다. 보호층의 높이는 기복되어 굴곡진 상태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굽힘 시 보다 큰 형상 변형 공간을 제공하여, 굽힘 응력을 분산시키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대해 보호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색저항(183)의 굴절율은 제1 보호층(174)의 굴절율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광층(120)의 광의 제1 색저항(183)과 제1 보호층(174) 사이의 경계면 상에서의 전방사를 줄여, 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접착층(150)의 굴절율은 제1 보호층(174)의 굴절율보다 작을 수 있고, 픽셀로부터 출사된 광선이 접착층(150)을 통과한 후 과도하게 집중되어 발광 영역의 밝기 차이가 보다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큰 시야각의 색 편차 현상을 경감시킨다. 한편, 제1 보호층(174)의 두께를 조정하여, 픽셀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제1 보호층(174)의 두께 방향을 따른 마주하는 두 개의 표면 상에서의 반사광이 파괴성 간섭이 발생하여 서로 상쇄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써 픽셀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투과율을 증가시켜, 출광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해할 수 있는 점은, 제1 보호층(174)과 제2 보호층(175)이 일체형 부재일 때, 제2 보호층(175)과 제1 보호층(174)의 굴절율이 동일하다. 제1 보호층(174)과 제2 보호층(175)이 두 개의 독립된 구조층일 때, 제2 보호층(175)과 제1 보호층(174)의 굴절율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제2 보호층(175)의 굴절율은 색저항(182) 및/또는 접착층(150)의 굴절율보다 크거나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점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수치와 수치 범위는 근사값으로서, 제조 공정의 영향을 받으며, 일정한 범위의 오차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부분의 오차는 당업자가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설명하여야 할 점은,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출원의 기술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대해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비록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여전히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방안에 대해 수정하거나, 그 중 일부 또는 모든 기술특징에 대해 동등한 치환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며; 이러한 수정 또는 치환에 의해, 상응한 기술방안의 본질이 본 출원의 각각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100: 디스플레이 패널 100a: 발광 영역
100b: 비발광 영역 110: 어레이 기판
120: 발광층 121: 픽셀층
122: 픽셀 제한층 130: 봉지층
140: 버퍼층 150: 접착층
160: 커버 플레이트 170: 터치층
171: 제1 터치 라인 172: 제2 터치 라인
174: 제1 보호층 175: 제2 보호층
181: 차광층 182: 색저항
183: 제1 색저항 185: 제2 색저항
186: 비아홀 187: 갭

Claims (19)

  1.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발광 영역과 발광 영역의 바깥 둘레에 위치하는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두께 방향을 따라 대향되게 설치된 출광측과 배광측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층과 상기 터치층 내에 위치하는 광여과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여과층은 색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층은 제1 터치 라인과 제2 터치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 라인은 상기 제1 터치 라인의 상기 출광측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색저항은 제1 색저항과 제2 색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색저항은 상기 발광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색저항, 상기 제1 터치 라인 및 상기 제2 터치 라인은 모두 상기 비발광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색저항은 상기 제1 터치 라인와 상기 제2 터치 라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색저항과 적어도 부분 상기 제1 색저항은 동일층에 동일한 재료로 설치되고, 상기 제1 색저항과 상기 제2 색저항 사이에 갭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저항은 여러가지 색상이 다르며 이격되게 설치된 서브 색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색저항과 적어도 하나의 색상의 상기 서브 색저항은 동일층에 동일한 재료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색저항은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색저항을 관통하는 비아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터치 라인이 상기 비아홀의 홀 벽면 위에 커버되고 상기 제1 터치 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배광측으로부터 상기 출광측으로의 방향을 따라, 상기 비아홀의 개구 사이즈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여과층은 차광층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부분 상기 차광층은 상기 제2 터치 라인의 상기 출광측에 가깝게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은 상기 제1 터치 라인이 위치한 평면 상에서의 정투영이 상기 제1 터치 라인을 커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은 상기 제2 터치 라인이 위치한 평면 상에서의 정투영이 상기 제2 터치 라인을 커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7.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 상기 제1 색저항은 상기 비발광 영역까지 연장되고, 상기 차광층은 상기 제1 색저항의 상기 출광측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비발광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색저항은 상기 차광층이 위치한 평면 상에서의 정투영이 상기 차광층과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라인은 상기 제2 색저항이 위치한 평면 상에서의 정투영이, 상기 제2 색저항의 바깥 가장자리의 내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은 상기 갭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측으로부터 상기 출광측으로의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색저항과 상기 제2 색저항 사이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층에는 보호층이 설치되어 있고, 적어도 부분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1 색저항의 상기 출광측에 가깝게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제1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층은 상기 제1 색저항의상기 출광측에 가까운 면 상에 커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저항의 굴절율은 상기 제1 보호층의 굴절율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터치층의 상기 출광측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접착층의 굴절율은 상기 제1 보호층의 굴절율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패널.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제2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층은 상기 차광층의 상기 출광측에 가까운 면과 상기 배광측에 가까운 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층과 상기 제2 보호층은 일체형 부재인, 디스플레이 패널.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저항의 두께 범위는 0.5μm-5μm이고; 및/또는, 상기 제2 색저항의 두께 범위는 0.5μm-15μm인, 디스플레이 패널.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저항의 유전율은 10보다 작거나 같고; 및/또는, 상기 색저항의 표면 임피던스는 1011Ω/제곱보다 크거나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
  19. 상술한 제1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37041136A 2022-06-24 2022-11-08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701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10726487.6A CN115172626A (zh) 2022-06-24 2022-06-24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202210726487.6 2022-06-24
PCT/CN2022/130699 WO2023245959A1 (zh) 2022-06-24 2022-11-08 显示面板及显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111A true KR20230170111A (ko) 2023-12-18

Family

ID=89324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1136A KR20230170111A (ko) 2022-06-24 2022-11-08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07848A1 (ko)
EP (1) EP4340570A1 (ko)
KR (1) KR20230170111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07848A1 (en) 2024-03-28
EP4340570A1 (en) 202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47931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TWI785611B (zh) 顯示裝置及電子裝置
CN111697039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EP3739631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1450838B2 (en)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10522602B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1063706A (zh) 有机发光显示设备
CN112331712B (zh) 显示面板
CN111475042A (zh) 显示装置
CN110828698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WO2023245959A1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703075B (zh) 显示模组以及显示装置
CN113678094A (zh) 显示装置
WO2020098151A1 (zh) 显示面板及移动设备
CN110246873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218831212U (zh) 显示装置
KR20210100796A (ko)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245899A1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220140283A1 (en) Display device
US11605679B2 (en) Display device
KR20230170111A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164648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219288077U (zh) 显示面板和电子装置
CN110323262B (zh) 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7979764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