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9771A -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9771A
KR20230169771A KR1020220070322A KR20220070322A KR20230169771A KR 20230169771 A KR20230169771 A KR 20230169771A KR 1020220070322 A KR1020220070322 A KR 1020220070322A KR 20220070322 A KR20220070322 A KR 20220070322A KR 20230169771 A KR20230169771 A KR 20230169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radio waves
genes
cells
g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김재석
김진호
Original Assignee
김경수
김재석
김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수, 김재석, 김진호 filed Critical 김경수
Priority to KR1020220070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9771A/ko
Publication of KR20230169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9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2Cancer treatment, e.g. tumou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0Processes for the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DNA or RNA
    • C12N15/1003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nc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에서 추출한 혈액 샘플 세포의 악성 DNA 유전자나 활성화를 위한 순수 유전자에 다양한 전자기장의 전파를 단계별로 방사하여 그 중 상기 악성 DNA 유전자를 치료하거나 순수 유전자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전파를 찾을 수 있으며, 찾은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이용하여 활성화시킨 유전자의 양을 조절하고 조절된 유전자를 환자에게 주사하여 환자에게 부작용이 없는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유전자 치료를 위해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방법에 관한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혈액 내에서 암 등의 유해 세포를 추출하고 추출된 유해 세포에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사하여 상기 유해 세포를 사멸시키고, 해당 환자에게 유해 세포를 사멸시키는 상기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사하여 해당 환자의 체내 세포를 자극함으로써 환자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도록 세포 치료를 위해 개선된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방법{METHOD FOR TREATING PATIENTS USING THE RADIO WAVE}
본 발명은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의 신체에서 추출한 혈액 샘플 세포의 악성 DNA 유전자나 활성화를 위한 순수 유전자에 다양한 전자기장의 전파를 단계별로 방사하여 그 중 상기 악성 DNA 유전자를 치료하거나 순수 유전자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전파를 찾을 수 있으며, 찾은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이용하여 활성화시킨 유전자의 양을 조절하고 조절된 유전자를 환자에게 주사하여 환자에게 부작용이 없는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유전자 치료방식의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방법에 관한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혈액 내에서 암 등의 유해 세포를 추출하고 추출된 유해 세포에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사하여 상기 유해 세포를 사멸시키고, 해당 환자에게 유해 세포를 사멸시키는 상기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사하여 해당 환자의 체내 세포를 자극함으로써 환자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도록 세포 치료방식의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DNA 또는 RNA와 같은 유전자를 이용하여 유전병부터 암까지 다양한 종류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유전자를 질병 치료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유전자를 특정 세포의 내부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전자의 형태적 특성을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유전자는 일반적으로 relaxed circle 형태, linear 형태 및 supercoilded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relaxed circle 형태는 이중 나선으로 이루어진 유전자가 비틀려 닫힌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linear 형태는 유전자의 이중 나선이 꼬임없이 완전히 펼쳐져 있고 이중 나선 중 하나에 끊김(nick)이 존재하여 열린 상태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supercoilded 형태는 이중 나선으로 이루어진 유전자가 여러 차례 비틀려 꼬인 상태를 의미한다.
이 때, 전기 영동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supercoilded 형태의 유전자가 다른 형태의 유전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아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하여, 유전자를 전달하는 여러 메커니즘(mechanism)에서 적은 부피의 물질이 세포막을 상대적으로 쉽게 투과할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supercoilded 형태의 유전자가 다른 형태의 유전자보다 투과율과 전달 효과가 높음을 알 수 있으며, 실제 연구 결과에서도 supercoilded 형태의 유전자가 같은 조건에서 전달 효과가 다른 형태의 유전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비정상의 유전자를 정상 유전자로 대체시키는 방식 또는 유전자에 단백질 등의 재료를 주입하여 향상된 기능을 발현시키는 방식을 이용하여 유전적 결함이나 질병을 치료할 뿐, 유전자를 이용한 질병 치료에 상술한 유전자의 형태적 특성이 반영되지 않아 유전자의 세포 투과율 또는 전달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유전자를 이용하는 질병의 치료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기존 유전자 치료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34363호 "유방암 초음파 영상과 유전자 정보를 이용한 유방암 치료법 선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공개일자 : 2021.03.30)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암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유방암 치료법 선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초음파 영상을 이용하여 종양의 표현형을 결정하는 표현형 결정 단계; 종양의 표현형을 이용하여 유방암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 정보를 결정하는 유전자 정보 결정 단계; 및 결정된 유전자 정보를 유방암 치료법과 관련된 유전자 정보와 연관 지어 개인별 유방암 치료법을 결정하는 치료법 결정 단계를 구비한다.
기존 환자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45966호 "중추 신경계 장애의 치료" (공개일자 : 2017.08.2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중추 신경계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중추 신경계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광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광은 뇌에서의 염증을 감소시키는 제1 파장, 및 뇌에서의 혈관화를 증가시키는 제2 파장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인 것이다.
그런데, 기존 환자의 진단 및 치료 방법은 초음파 영상을 이용하여 유전자 정보를 결정하거나, 광을 이용하여 중추 신경계 장애를 치료하고 있으나, 헤이플릭 이론에 의하면 환자의 노화로 인한 세포의 수명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므로 노화로 인한 세포의 수명이 다하게 될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생명체의 생명이 마감된다.
기존 세포 활성화를 위한 신약성분을 개발하더라도 신약에 많은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생명체에게는 다양한 부작용 요인이 발생하게 되므로, 신약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일 예로 코로나 백신의 경우에도 많은 사람들이 백신 부작용으로 인해 사망하거나 장애 휴우증을 가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34363호 "유방암 초음파 영상과 유전자 정보를 이용한 유방암 치료법 선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공개일자 : 2021.03.30)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45966호 "중추 신경계 장애의 치료" (공개일자 : 2017.08.21)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신체에서 추출한 혈액 샘플 세포의 악성 DNA 유전자나 활성화를 위한 순수 유전자에 다양한 전자기장의 전파를 단계별로 방사하여 그 중 상기 악성 DNA 유전자를 치료하거나 순수 유전자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전파를 찾을 수 있으며, 찾은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이용하여 활성화시킨 유전자의 양을 조절하고 조절된 유전자를 환자에게 주사하여 환자에게 부작용이 없는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유전자 치료방식의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의 혈액 내에서 암 등의 유해 세포를 추출하고 추출된 유해 세포에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사하여 상기 유해 세포를 사멸시키고, 해당 환자에게 유해 세포를 사멸시키는 상기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사하여 해당 환자의 체내 세포를 자극함으로써 환자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도록 세포 치료방식의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에서 혈액 샘플을 채취하는 제1채취단계와; 상기 채취한 혈액 샘플 세포의 악성 DNA 유전자나 활성화를 위한 순수 유전자를 추출 및 분리하고 추출 및 분리된 유전자를 각각의 시료에 보관하는 제1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유전자에 다양한 전자기장의 전파를 단계별로 방사하고 상기 악성 DNA 유전자나 활성화를 위한 순수 유전자의 변화가 발생하는 전파를 찾기 위한 제1써치단계와; 상기 써치단계에서 찾은 적합한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여 상기 악성 DNA 유전자를 치료하여 복원하거나 순수 유전자를 활성화하는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각각 방사하여 상기 악성 DNA 유전자를 복원시키고 순수 유전자를 활성화시키는 복원 및 활성화단계; 및 상기 복원 및 활성화단계를 거쳐 복원된 유전자 또는 활성화시킨 유전자의 양을 조절하고 조절된 유전자를 환자에게 주사하는 주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써치단계에서는 전파 발생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전자기장의 전파를 단계별로 방사하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로는 환자의 신체에서 혈액 샘플을 채취하는 제2채취단계와; 상기 채취한 혈액의 유해 세포를 추출하는 제2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유해 세포를 사멸시키는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찾는 제2써치단계; 및 전파 치료기를 이용하여 상기 써칭된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상기 환자에게 방사하여 해당 환자의 체내 세포를 자극하여 유해 세포를 사멸시키도록 치료하는 치료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료단계에서는 전파 치료기를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환자에게 방사하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샘플으로부터 복원하고자 하는 세포의 악성 DNA 유전자와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순수 유전자를 추출 및 분리한 후에, 복원 및 활성화에 각각 필요한 전파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찾기 위해 상기 분리된 유전자에 다양한 주파수대의 전파를 방사하여 복원 및 활성화에 적합한 특정 주파수 대의 전파를 각각 찾아서 노화 세포의 유전자를 활성화시키고 질병으로 인해 손상된 세포의 유전자를 복원하여 활성화된 유전자 및 복원된 유전자를 환자에게 적절한 양으로 투입함으로써 환자에게 부작용을 최소화한 치료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손상되거나 변형된 세포의 유전물질에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사하여 유전자를 활성화시키거나 복원시킨 후에 환자에게 투입하는 유전자 치료방식이며, 다양한 주파수의 전파를 단계별로 방사하여 상기한 유전자의 교정(활성화, 복원)에 필요한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환자의 부담감없이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세포 치료방식으로서, 환자의 혈액을 채취하고 채취된 혈액으로부터 암이나 전염병 등의 유해 세포를 추출한 후에, 추출된 유해 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는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찾고, 전파 치료기를 이용하여 앞서 찾은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환자의 신체측으로 방사하여 신체 내 유해 세포를 자극하여 사멸시킴으로써, 환자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도록 치료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방법의 일 실시 예에 대한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방법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방법의 일 실시 예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환자의 신체에서 혈액 샘플을 채취하는 제1채취단계(S10)와; 상기 채취한 혈액 샘플 세포의 악성 DNA 유전자나 활성화를 위한 순수 유전자를 추출 및 분리하고 추출 및 분리된 유전자를 각각의 시료에 보관하는 제1추출단계(S20)와; 상기 추출된 유전자에 다양한 전자기장의 전파를 단계별로 방사하고 상기 악성 DNA 유전자나 활성화를 위한 순수 유전자의 변화가 발생하는 전파를 찾기 위한 제1써치단계(S30)와; 상기 제1써치단계(S30)에서 찾은 적합한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여 상기 악성 DNA 유전자를 치료하여 복원하거나 순수 유전자를 활성화하는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각각 방사하여 상기 악성 DNA 유전자를 복원시키고 순수 유전자를 활성화시키는 복원 및 활성화단계(S40); 및 상기 복원 및 활성화단계(S40)를 거쳐 복원된 유전자 또는 활성화시킨 유전자의 양을 조절하고 조절된 유전자를 환자에게 주사하는 주사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각각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의료진을 포함한 작업 인원이 이하에서 사용자라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채취단계(S10)에서 환자의 혈액을 별도의 채취도구(주사기)를 이용하여 일정량 샘플로 채취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제1추출단계(S20)에서 상기 채취된 혈액 샘플에서 악성 DNA 유전자나 활성화를 위한 순수 유전자를 추출 및 분리하고, 추출된 악성 DNA 유전자나 활성화를 위한 순수 유전자를 분리하여 각각의 시료에 보관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1써치단계(S30)에서 상기 시료에 보관된 악성 DNA 유전자를 사멸시키는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찾거나, 상기 추출된 순수 유전자를 사멸시키거나 활성화시키는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찾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1써치단계(S30)에서 다양한 대역별 주파수(현존하는 모든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단계별로 방사하여 상기 악성 DNA 유전자나 순수 유전자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특정 주파수 대의 전파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추출된 순수 유전자는 노화되는 세포의 유전자를 의미하며, 상기 악성 DNA 유전자는 신체에 고통을 주는 암, 전염병 등의 질병 세포의 유전자를 의미한다.
이후에, 사용자는 복원 및 활성화단계(S40)를 거치면서 전파 발생 기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악성 DNA 유전자측에 상기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사하여 손상된 악성 DNA 유전자를 복원시키거나, 전파 발생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순수 유전자측에 상기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사하여 순수 유전자를 사멸시키거나 활성화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복원된 DNA 유전자는 질병으로 인해 손상된 세포의 악성 DNA 유전자를 치료하여 복원하게 된 것이고, 상기 활성화된 순수 유전자는 특정 주파수의 전파가 전달됨에 따라 사멸되거나 노화 세포가 다시 새롭게 태어난 세포처럼 활성화된다.
이후에, 사용자는 상기 주사단계(S50)에서 상기 복원된 DNA 유전자 또는 활성화된 유전자를 환자에게 부담되지 않을 정도의 양으로 조절한 후에 환자에게 주사기를 이용하여 다시 환자의 신체 내에 재투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환자의 혈액 샘플을 채취하고, 채취된 혈액 세포 중 손상이 있는 세포의 악성 DNA 유전자측에 전파 발생 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사하게 되어 상기 악성 DNA 유전자를 치료하여 복원시키고, 혈액 세포의 순수 유전자측에 상기 전파 발생 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사하여 순수 유전자를 활성화시키게 된다.
이후에, 복원된 유전자와 활성화된 유전자를 각각 환자의 치료에 적합한 양으로 조절하여 주사기로 환자에게 투입함으로써, 환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샘플으로부터 복원하고자 하는 세포의 악성 DNA 유전자와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순수 유전자를 추출 및 분리한 후에, 복원 및 활성화에 각각 필요한 전파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찾기 위해 상기 분리된 유전자에 다양한 주파수대의 전파를 방사하여 복원 및 활성화에 적합한 특정 주파수 대의 전파를 각각 찾아서 노화 세포의 유전자를 활성화시키고 질병으로 인해 손상된 세포의 유전자를 복원하여 활성화된 유전자 및 복원된 유전자를 환자에게 적절한 양으로 투입함으로써 환자에게 부작용을 최소화한 치료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손상되거나 변형된 세포의 유전물질에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사하여 유전자를 활성화시키거나 복원시킨 후에 환자에게 투입하는 유전자 치료방식이며, 다양한 주파수의 전파를 단계별로 방사하여 상기한 유전자의 교정(활성화, 복원)에 필요한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환자의 부담감없이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2는 전파를 이용한 세포 치료방식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환자의 신체에서 혈액 샘플을 채취하는 제2채취단계(S100)와; 상기 채취한 혈액의 유해 세포를 추출하는 제2추출단계(S20)와; 상기 추출된 유해 세포를 사멸시키는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찾는 제2써치단계(S30); 및 전파 치료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써칭된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상기 환자에게 방사하여 해당 환자의 체내 세포를 자극하여 유해 세포를 사멸시키도록 치료하는 치료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추출단계(S200)는 사용자가 채취한 암이나 전염병에 해당하는 혈액의 유해 세포를 추출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2써치단계(S300)에서 다양한 주파수대의 전파를 상기 추출된 유해 세포측으로 방사하여 추출된 유해 세포를 사멸시키는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찾는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2써치단계(S300)에서 전파 발생 기기 또는 상기 전파 치료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단계별로 상기 추출된 유해 세포측으로 방사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제2써치단계(S300)에서는 방사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전파에 의해 추출된 유해 세포가 사멸시키는 전파의 특정 주파수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치료단계(S400)에서 상기 유해 세포를 교정하는 특정 주파수를 찾은 후에, 환자를 전파 치료기측으로 이송한 후에 전파 치료기에서 방사되는 전파의 주파수를 앞서 찾은 특정 주파수의 전파로 전환한 후에 환자의 신체측으로 방사한다.
상기 환자의 신체측으로 방사된 특정 주파수의 전파는 환자 신체의 유해 세포를 자극하여 사멸시킴으로써, 환자의 부담값없이 유해 세포를 치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유전자 치료방식)와는 달리 세포 치료방식으로서, 환자의 혈액을 채취하고 채취된 혈액으로부터 암이나 전염병 등의 유해 세포를 추출한 후에, 추출된 유해 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는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찾고, 전파 치료기를 이용하여 앞서 찾은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환자의 신체측으로 방사하여 신체 내 유해 세포를 자극하여 사멸시킴으로써, 환자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도록 치료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S10 : 제1채취단계 S20 : 제1추출단계
S30 : 제1써치단계 S40 : 복원 및 활성화단계
S50 : 주사단계 S100 : 제2채취단계
S200 : 제2추출단계 S300 : 제2써치단계
S400 : 치료단계

Claims (4)

  1. 환자의 신체에서 혈액 샘플을 채취하는 제1채취단계(S10)와;
    상기 채취한 혈액 샘플 세포의 악성 DNA 유전자나 활성화를 위한 순수 유전자를 추출 및 분리하고 추출 및 분리된 유전자를 각각의 시료에 보관하는 제1추출단계(S20)와;
    상기 추출된 유전자에 다양한 전자기장의 전파를 단계별로 방사하고 상기 악성 DNA 유전자나 활성화를 위한 순수 유전자의 변화가 발생하는 전파를 찾기 위한 제1써치단계(S30)와;
    상기 제1써치단계(S30)에서 찾은 적합한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여 상기 악성 DNA 유전자를 치료하여 복원하거나 순수 유전자를 활성화하는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각각 방사하여 상기 악성 DNA 유전자를 복원시키고 순수 유전자를 활성화시키는 복원 및 활성화단계(S40); 및
    상기 복원 및 활성화단계(S40)를 거쳐 복원된 유전자 또는 활성화시킨 유전자의 양을 조절하고 조절된 유전자를 환자에게 주사하는 주사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써치단계(S30)에서는 전파 발생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전자기장의 전파를 단계별로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방법.
  3. 환자의 신체에서 혈액 샘플을 채취하는 제2채취단계(S100)와;
    상기 채취한 혈액의 유해 세포를 추출하는 제2추출단계(S200)와;
    상기 추출된 유해 세포를 사멸시키는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찾는 제2써치단계(S300); 및
    상기 써칭된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상기 환자에게 방사하여 해당 환자의 체내 세포를 자극하여 유해 세포를 사멸시키도록 치료하는 치료단계(S4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치료단계(S400)에서는 전파 치료기를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환자에게 방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방법.
KR1020220070322A 2022-06-09 2022-06-09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20230169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322A KR20230169771A (ko) 2022-06-09 2022-06-09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322A KR20230169771A (ko) 2022-06-09 2022-06-09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771A true KR20230169771A (ko) 2023-12-18

Family

ID=8930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322A KR20230169771A (ko) 2022-06-09 2022-06-09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977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363A (ko) 2019-09-20 2021-03-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방암 초음파 영상과 유전자 정보를 이용한 유방암 치료법 선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20220045966A (ko) 2019-08-05 2022-04-13 케이엔오더블유 바이오, 엘엘씨 중추 신경계 장애의 치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966A (ko) 2019-08-05 2022-04-13 케이엔오더블유 바이오, 엘엘씨 중추 신경계 장애의 치료
KR20210034363A (ko) 2019-09-20 2021-03-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방암 초음파 영상과 유전자 정보를 이용한 유방암 치료법 선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eschke et al. Considering optogenetic stimulation for cochlear implants
US201202532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ogenetic modulation of cells within a patient
US7993640B2 (en) Enhancement of light activated therapy by immune augmentation using anti-CTLA-4 antibody
Dombrowski et al. Toward the optical cochlear implant
Rangel et al. Electrochemotherapy in the treatment of neoplasms in dogs and cats
Hellman et al. Advancing current treatments for cancer
Ambrosi et al. Optogenetics ‘promise: pacing and cardioversion by light?
Lin et al. Innervation of reconstructed bladder above the level of spinal cord injury for inducing micturition by contractions of the abdomen-to-bladder reflex arc
Koffler et al. Using templated agarose scaffolds to promote axon regeneration through sites of spinal cord injury
Deng et al. Optogenetic neuronal stimulation promotes functional recovery after spinal cord injury
Wheeler et al. Response of a rat brain tumor to fractionated therapy with low doses of BCNU and irradiation
KR20230169771A (ko) 전파를 이용한 환자 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20160230139A1 (en) Self-Contained Device and System to Produce Ex-Vivo Autologous Whole Cell Tumor Vaccines
Kooistra et al. Electrical stimulation: nonunions
US20230241422A1 (en) Methods to treat cancer, inflammations and tumors
RU2206277C2 (ru) Способ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го лечения злокачественных новообразований околоушной слюнной железы
US20230313197A1 (en) In vivo lymphovenous anastomosis
US20230210972A1 (en) Hakim pourcina's gand zoda-e
RU2677592C1 (ru)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летальности от радиационн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у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ых животных
Wells et al. Frontiers in optical stimulation of neural tissues: past, present, and future
Schilling Modified Poliovirus Effective Against Brain Cancer
Jalal Exploration of strategies to promote fracture healing and prevent atrophic non-union in a clinical relevant model
RU2645962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васкуляризированного надкостично-кортикального аутотрансплантата латерального надмыщелка плечевой кости
Iakovleva et al. Quality of life of patients undergoing surgical treatment of lower limb cancer
Young et al. 886 Stereotactic Radiosurgery Reprograms Macrophage, Microglia, and T Cell Populations in the Glioblastoma Immune Micro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