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9520A -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 그 제조방법 및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 그 제조방법 및 감지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69520A KR20230169520A KR1020220069589A KR20220069589A KR20230169520A KR 20230169520 A KR20230169520 A KR 20230169520A KR 1020220069589 A KR1020220069589 A KR 1020220069589A KR 20220069589 A KR20220069589 A KR 20220069589A KR 20230169520 A KR20230169520 A KR 202301695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lf
- film
- dimensional structure
- sensor
- electr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WYTGDNHDOZPMIW-RCBQFDQVSA-N alstonine Natural products C1=CC2=C3C=CC=CC3=NC2=C2N1C[C@H]1[C@H](C)OC=C(C(=O)OC)[C@H]1C2 WYTGDNHDOZPMIW-RCBQFDQV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205 dimethyl polysilox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870 dimethyl polysiloxa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CXQXSVUQTKDNFP-UHFFFAOYSA-N octamethyltrisiloxane Chemical compound C[Si](C)(C)O[Si](C)(C)O[Si](C)(C)C CXQXSVUQTKDNF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987 plasma desorption mass spectroscop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435 poly(dimethyl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 and the shap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1124569 Lycae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38 self-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 H10N30/302—Sens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6—Influence generators
- H02N1/08—Influence generators with conductive charge carrier, i.e. capacitor machin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02N2/186—Vibration harvest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 H10N30/1051—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7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based on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films or coating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의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를 이용한 다축 감지방법의 흐름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평면방향으로 인장력이 인가된 신축성 기판의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기판과 2D 패턴구조(2D 전구체)와 음전자 대전필름의 분해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기판에 2D 패턴구조가 부착된 사시도,
도 3d는 도 3c에서 인장력을 해제하여 형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의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D 패턴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렛 제조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렛 제조장치의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방향 변위에 대한 센싱메커니즘과 제1전극필름 각각에 대한 예상출력,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방향 변위에 대한 센싱메커니즘과 제1전극필름 각각에 대한 예상출력,
도 9a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센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와 측면도,
도 9b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수평방향변위, 수직방향변위, 복합적인 변위에 대한 각 제1전극필름 각각의 출력 거동을 나타낸 것이다.
2:탄성구조
3:중단측
4:외측부
10:신축성 기판
11:접합부
12:제1전극필름
12-1:1번 전극
12-2:2번 전극
12-3:3번 전극
12-4:4번 전극
20:제2전극필름
21:전극단
22:외측단
23:연결단
30:유전체필름
31:중단부
32:접착부
33:연결부
40:음전하 대전필름
41:고전압발생기
42:핀
43:전극
50:보호필름
60:스페이서
70:3D 구조
100: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
Claims (14)
- 자가 발전형 센서로서,
기판;
상기 기판과 특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된 음전하로 대전된 음전하 대전필름;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며 상기 음전자 대전필름을 기준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전극필름; 및
상기 음전하 대전필름을 상기 기판 상에서 이격시키며 탄성구조를 갖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
- 제 1항에 잇어서,
외부 힘에 의해 상기 음전하 대전필름의 위치가 변화되며 상기 제1전극필름 각각의 출력변화에 기반하여 인가된 힘의 방향과 변위와 크기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구불구불한 다리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전하 대전필름 상면에 부착되는 유전체 필름;
상기 유전체 필름 상면에 부착되는 제2전극필름; 및
상기 제2전극필름 상면에 부착되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필름과 상기 유전체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중단측과, 상기 중단측의 외측에 위치되는 복수의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 각각을 상기 중단측에 연결하는 탄성구조를 갖는 낮은 강성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부는 상기 기판에 접착되는 부분이고, 상기 연결부가 탄성구조를 갖는 낮은 강성의 스페이서를 구성하게 되며, 상기 중단측은 상기 음전하 대전필름과 접합되는 위치이고,
상기 제1전극필름은 상기 중단측과 외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외측부 간 사이공간 각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불구불한 다리형태에서 장변의 길이방향은 상기 음전하 대전필름과 상기 외측부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에 대해 특정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음전하 대전필름은,
음전하 주입 피가공재료를 전극판 하에서, 고전압이 인가되는 고전압 핀에 의해 상기 피가공재료 주위의 유체를 이온화하여, 생성된 이온들이 전기장에 의해 상기 피가공재료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신축성 기판인 PDMS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전극필름은 알루미늄, 상기 제2전극필름은 전도성 테이프로 구성되며, 상기 유전체 필름과 상기 보호필름은 PI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
- 자가 발전형 유닛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2전극필름과 유전체필름을 부착한 후 커팅기를 통해, 중단측과, 복수의 외측부와, 중단측과 외측부를 연결하는 탄성구조를 갖는 2D패턴 구조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중단측 하면에 음전하로 대전된 음전하 대전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인장력 만큼 인장된 신축성 기판의 접합부 각각에 상기 외측부 각각을 접착하고, 상기 기 설정된 인장력을 해제하여 상기 2D패턴 구조에 압축력이 가해지면서 기계적 좌굴에 의해 상기 탄성구조가 낮은 강성의 스페이서가 되어 3D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음전하 대전필름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며 서로 원주방향으로 특정각도 이격되도록 복수의 제1전극필름을 상기 기판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의 제조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인장력의 크기, 상기 신축성 기판의 탄성력, 상기 탄성구조를 갖는 스페이서의 형상, 재료, 두께, 너비, 및 길이에 따라 상기 센싱 성능 특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의 제조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음전하 대전필름은,
음전하 주입 피가공재료를 전극판 하에서, 고전압이 인가되는 고전압 핀에 의해 상기 피가공재료 주위의 유체를 이온화하여, 생성된 이온들이 전기장에 의해 상기 피가공재료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의 제조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기판의 접합부와 상기 2D패턴의 외측부는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의 제조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2D패턴 구조를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전극필름의 상면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의 제조방법.
- 자가발전센서를 이용한 다축 감지방법으로서,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가발전센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자가발전센서의 3D 구조의 중단측에 외부 힘이 인가되는 단계;
복수의 제1전극필름 각각의 출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복수의 제1전극필름 각각의 출력의 크기, 출력 차이, 출력 양상을 기반으로 상기 힘의 방향, 크기, 변위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자가발전센서를 이용한 다축 감지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9589A KR102707297B1 (ko) | 2022-06-08 | 2022-06-08 |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 그 제조방법 및 감지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9589A KR102707297B1 (ko) | 2022-06-08 | 2022-06-08 |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 그 제조방법 및 감지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69520A true KR20230169520A (ko) | 2023-12-18 |
KR102707297B1 KR102707297B1 (ko) | 2024-09-19 |
Family
ID=8930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69589A Active KR102707297B1 (ko) | 2022-06-08 | 2022-06-08 |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 그 제조방법 및 감지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729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9704702A (zh) * | 2025-02-24 | 2025-03-28 | 中国科学技术大学 | 基于可编程模量控制屈曲成型的三维力传感器的制备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37961B1 (ko) | 1968-08-30 | 1975-12-06 | ||
KR101658308B1 (ko) | 2015-03-20 | 2016-09-20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압전 에너지 수확소자가 집적된 자가발전형 정전용량 직물 센서 |
KR101984866B1 (ko) | 2018-03-19 | 2019-05-31 | 울산과학기술원 | 자가 동력원 이용 센서 및 그 센서의 제조 방법 |
KR102085295B1 (ko) | 2018-06-19 | 2020-03-05 | 한국과학기술원 | 자가발전형 압저항 센서 모듈 |
KR20230073765A (ko) * | 2021-11-19 | 2023-05-26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일렉트렛 기반의 자가 발전형 정전용량 센서 및 그 제조방법 |
-
2022
- 2022-06-08 KR KR1020220069589A patent/KR10270729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37961B1 (ko) | 1968-08-30 | 1975-12-06 | ||
KR101658308B1 (ko) | 2015-03-20 | 2016-09-20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압전 에너지 수확소자가 집적된 자가발전형 정전용량 직물 센서 |
KR101984866B1 (ko) | 2018-03-19 | 2019-05-31 | 울산과학기술원 | 자가 동력원 이용 센서 및 그 센서의 제조 방법 |
KR102085295B1 (ko) | 2018-06-19 | 2020-03-05 | 한국과학기술원 | 자가발전형 압저항 센서 모듈 |
KR20230073765A (ko) * | 2021-11-19 | 2023-05-26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일렉트렛 기반의 자가 발전형 정전용량 센서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9704702A (zh) * | 2025-02-24 | 2025-03-28 | 中国科学技术大学 | 基于可编程模量控制屈曲成型的三维力传感器的制备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07297B1 (ko) | 2024-09-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171502A1 (en) | Flexible capacitive tactil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tactile sensing system | |
RU2413336C2 (ru) | Пакетный пьезоэлемент и пьез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привод с таким пакетным пьезоэлементом | |
TWI575232B (zh) | 感測裝置 | |
JP7560031B2 (ja) | 3軸力センサ | |
TW200811427A (en) | Arrayed electrostatic capacitance sensor | |
Vidal et al. | An efficient finite shell element for the static response of piezoelectric laminates | |
JP7588372B2 (ja) | 静電容量型センサ | |
US20150212109A1 (en) | Mems sensor | |
KR20230169520A (ko) | 3차원 구조를 이용한 다축 감지용 자가발전센서, 그 제조방법 및 감지방법 | |
US11906372B2 (en) | Capacitance sensor and measurement device | |
KR102805815B1 (ko) | 일렉트렛 기반의 자가 발전형 정전용량 센서 및 그 제조방법 | |
JP6353162B2 (ja) | 変形可能な装置および方法 | |
WO2021065177A1 (ja) | 静電容量型検知センサ、静電容量型検知セ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静電容量型検知センサを用いた状態判定方法 | |
Kadooka et al. | Tactile sensor integrated dielectric elastomer actuator for simultaneous actuation and sensing | |
KR102711042B1 (ko) | 낮은 강성을 갖는 3차원 구조와 정전하 유도 기반 자가 발전형 유닛, 그 제조방법 및 진동에너지 하베스터 | |
Lang et al. | Function scale integration–embedding sensors in materials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 |
KR102291610B1 (ko) | 힘 센서 및 상기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 | |
KR20240072400A (ko) | 하이브리드 에너지 하베스터 및 그 제조방법 | |
US10217928B2 (en) | Curved piezoelectric device | |
US20240410744A1 (en) | Vibra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CN113465790B (zh) | 一种触觉传感器、压力测量装置以及制作方法 | |
JPH02291901A (ja) | 触覚アレイセンサ | |
KR20130046020A (ko) | 폴리머 구조의 3축 방향 힘 센서 장치 | |
Massad et al. | Orthotropic deflection model for corner-supported plates with segmented in-plane actuators | |
Pan'kov et al. | Modal Analysis of Tactile Mechanoluminescent Fiber Optic Coating at Hard Balls Indent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