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9034A - Handle For Furniture - Google Patents

Handle For Furni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9034A
KR20230169034A KR1020230171957A KR20230171957A KR20230169034A KR 20230169034 A KR20230169034 A KR 20230169034A KR 1020230171957 A KR1020230171957 A KR 1020230171957A KR 20230171957 A KR20230171957 A KR 20230171957A KR 20230169034 A KR20230169034 A KR 20230169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urniture
pin
external for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19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태순
Original Assignee
(주)동화엠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2401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118787A/en
Application filed by (주)동화엠피에스 filed Critical (주)동화엠피에스
Priority to KR1020230171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9034A/en
Publication of KR20230169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9034A/en
Priority to KR1020230195985A priority patent/KR20240005666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47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05B2001/0023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being movable into a non-operating position, e.g. foldable towards the mounting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는 체결부재에 의해 가구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가구에 고정되는 본체부;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 상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되며 손가락에 의해 당겨지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회전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본체부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접촉될 수 있다.A handle for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furniture by a fastening member, and includes a main body part that forms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and is fixed to the furniture; a handle portion rotated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on the main body portion by an external force and pulled by a finger; and a torsion spring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handle to rotate the handle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wherein the torsion spring has one end attach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handle.

Description

가구용 손잡이{Handle For Furniture}{Handle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부재에 의해 가구에 고정되는 가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rniture hand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furniture handle that is fixed to furniture by a fastening member.

일반적으로 책상에 갖추어진 서랍이나, 캐비넷의 개폐문 등에는 각각 손잡이를 갖추어 편리하게 열고 닫아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drawers on desks and cabinet doors are equipped with handles so that they can be opened and closed conveniently.

종래의 서랍 등의 가구용 손잡이는, 서랍 등의 가구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의 두께가 두꺼운 사람의 경우, 손잡이에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아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있었다.Conventional furniture handles such as drawers are fixed to furniture such as drawers, so people with thick fingers have difficulty using them because their fingers cannot fit into the handl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국공개특허 10-2017-0108644호(2017.09.27 공개)는 손가락의 두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구용 손잡이를 개시하고 있다.To solve this problem,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08644 (published on September 27, 2017) discloses a furniture handle that can be used regardless of finger thickness.

여기서, 회동손잡이부(200)는 회전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230)에 의해 다시 제자리로 복원될 수 있다.Here, the rotating handle 200 can be rotated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member 230.

그러나, 탄성부재(230)의 일면이 회전하는 회동손잡이부(200)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음으로 인해, 탄성부재(230)의 일부분에 대해 과대히 찌그러지며 수축됨으로 인해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급히 저감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as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230 receives external force from the rotating rotating handle 200, a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230 is excessively distorted and contracted, ca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o rapidly decrease. There wa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가락의 두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고, 손잡이부의 복원 내구성을 향상 시키는 가구용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intended to provide a furniture handle that can be used regardless of finger thickness and improves the restoration durability of the handle por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ttached drawing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는 체결부재에 의해 가구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가구에 고정되는 본체부;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 상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되며 손가락에 의해 당겨지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회전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본체부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접촉될 수 있다.A handle for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furniture by a fastening member, and includes a main body part that forms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and is fixed to the furniture; a handle portion rotated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on the main body portion by an external force and pulled by a finger; and a torsion spring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handle to rotate the handle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wherein the torsion spring has one end attach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hand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에 의하면 손가락의 두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고, 손잡이부의 복원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The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finger and that the restoration durability of the handle portion is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본체부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손잡이부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개략 확대 사시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a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portion of a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hange, or delete other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or create other degenerative inventions or this invention. Other embodiments that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can be easily proposed,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는 체결부재에 의해 가구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가구에 고정되는 본체부;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 상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되며 손가락에 의해 당겨지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회전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본체부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접촉될 수 있다.A handle for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furniture by a fastening member, and includes a main body part that forms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and is fixed to the furniture; a handle portion rotated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on the main body portion by an external force and pulled by a finger; and a torsion spring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handle to rotate the handle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wherein the torsion spring has one end attach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handle.

또,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핀, 상기 핀의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핀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손가락에 의해 당겨지는 파지부, 상기 핀의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핀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핀결합부와 상기 핀장착부 사이의 상기 핀 상에 배치되어 상기 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ncludes a body part forming the insertion space, a pin preventing the handle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part, and a pin coupling part forming a space into which a part of the pin is inserted, and the handle part is attached to the finger. It has a grip part pulled by a pin mounting part that forms a space into which a part of the pin is inserted, and the torsion spring is disposed on the pin between the pin engaging part and the pin mounting part to prevent 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in. It can be.

또, 상기 본체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손잡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 방향으로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part 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and the fastening part extends from the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to limit the rotation range of the handle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can do.

또, 상기 본체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체결부 간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도록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소음 저감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noise reduction portion disposed at the top of the fastening portion to reduce noise generated due to contact between the handle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또, 상기 본체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손잡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 방향으로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부의 상기 일단은 상기 체결부와 상기 제한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limiter extending from the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to limit the rotation range of the handl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is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limiting portion.

또, 상기 본체부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제한부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체결부와 상기 제한부 간의 외력을 전달하는 외력 전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art that transmits an external force between the fastening part and the limiting part to increase durability of the fastening part and the limiting part.

또,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핀장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한부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andl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pin mounting portion and contacting the limiting portion.

또,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핀장착부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핀장착부가 상기 파지부와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면적증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area increasing portion that increases the area where the pin mount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grip portion to increase durability of the pin mounting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는 상기 가구용 손잡이가 설치된 가구일 수 있다.Furni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niture equipped with the furniture handle.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Components with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ar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를 하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Figure 1(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top, and Figure 1(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botto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본체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본체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Figure 3(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a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top, and Figure 3(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a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bottom. am.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손잡이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손잡이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Figure 4(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portion of a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top, and Figure 4(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portion of a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am.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손잡이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손잡이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Figure 5(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handle portion of the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and Figure 5(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andle portion of the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it is located in position 2.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개략 확대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In order to more clearly expres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ed drawings simplify or omit parts that are less relevant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at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10)는 체결부(140)재에 의해 가구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6 , the furniture hand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ixed to the furniture by the fastening part 140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일례로, 상기 체결부(140)재는 가구에 상기 가구용 손잡이(10)를 고정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나사, 볼트 또는 앵커 등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For example, the fastening part 140 is a component that secures the furniture handle 10 to furniture, and may be a screw, bolt, or anch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from the perspective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일례로, 상기 가구는 책상 또는 서랍 등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전제품일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furniture may be a desk or draw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also be a home appliance.

여기서, 일례로, 상기 가구용 손잡이(10)는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S)을 형성하며 가구에 고정되는 본체부(100) 및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 상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되며 손가락에 의해 당겨지는 손잡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furniture handle 10 forms an insertion space S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and is moved from a first position on the main body 100 by an external force and a main body 100 fixed to the furniture. It may include a handle portion 200 that is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and pulled by a finger.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체결부(140)재에 의해 상기 가구에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body 100 may be fixed to the furniture by the fastening part 140 material.

일례로,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삽입공간(S)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handle unit 200 may be placed on the insertion space S, and may be rotated while fixed to the main body unit 100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일례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손잡이부(2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손잡이부(200)가 위치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손잡이부(200)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손잡이부(2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위치와 달라진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position may mean a position at which the handle part 200 is located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part 200, and the second position may mean that the handle part 20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art 200, the handle part 20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which may mean a posi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

즉,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다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위치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제2 위치로 위치변화 될 수 있다.That is, the handle portion 200 may be positioned in the first position and rotat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여기서, 상기 가구용 손잡이(10)는 상기 손잡이부(2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200)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회전되도록 상기 손잡이부(200)에 탄성력을 가하는 비틀림 스프링(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urniture handle 10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handle portion 200 so that the handle portion 200 rotates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portion 200. It may further include a torsion spring 300 that applies the force.

일례로,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은 상기 손잡이부(20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손잡이부(200)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더 이상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이 인가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rsion spring 300 is a component that applies elastic force to the handle portion 200,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no longer applied while the handle portion 200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due to an external force. , the handle portion 200 may be restor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applied by the torsion spring 300.

일례로,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은 상기 본체부(100)에 접촉되는 일단(310), 상기 손잡이부(200)에 접촉되는 타단(320) 및 상기 일단(310)과 상기 타단(320)을 잇는 중간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rsion spring 300 has one end 310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100, the other end 320 in contact with the handle 200, and the one end 310 and the other end 320. A connecting middle part 330 may be provided.

상기 중간부(330)는 코일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일단(310) 및 상기 타단(320)은 상기 중간부(33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The middle portion 330 may have a coil shape, and the one end 310 and the other end 320 may extend from the middle portion 330 .

상기 손잡이부(200)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은 상기 손잡이부(20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외력을 전달받아 비틀림되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는 탄성력이 커질 수 있다.When the handle part 200 changes posi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torsion spring 300 receives an external force due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handle part 200 and is twisted to its original shape. The elasticity to go back may increase.

이러한,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의 탄성력은 상기 일단(310), 상기 타단(320) 및 상기 중간부(330) 중 어느 일부의 비틀림에 의해 발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 전체의 비틀림 변형에 의해 발현된다는 점에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의 내구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300 is not expressed by the twisting of any part of the one end 310, the other end 320, and the middle part 330, but by the twisting of the entire torsion spring 3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urability of the torsion spring 300 is increased in that it is developed by deformation.

또한,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삽입공간(S)을 형성하는 몸체부(110), 상기 손잡이부(200)가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핀(120) 및 상기 핀(120)의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핀결합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body 110 forming the insertion space S, and a pin 120 that prevents the handle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And it may be provided with a pin coupling portion 130 that forms a space into which a portion of the pin 120 is inserted.

일례로, 상기 핀(1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핀결합부(130)에 결합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pin 120 may be coupled to the pin coupling portion 130 and fixed in position.

일례로, 상기 핀결합부(130)는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상기 삽입공간(S)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in coupl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body portion 110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space (S).

여기서, 일례로, 상기 손잡이부(200)는 손가락에 의해 당겨지는 파지부(210) 및 상기 핀(120)의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핀장착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handle portion 200 may include a grip portion 210 that is pulled by a finger and a pin mounting portion 220 that forms a space into which a portion of the pin 120 is inserted.

일례로, 상기 핀장착부(220)는 상기 파지부(21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in mounting portion 220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gripping portion 210.

일례로, 상기 핀(120)은 일부가 상기 핀결합부(130)에 결합될 수 있고, 다른 일부가 상기 핀장착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a portion of the pin 120 may be coupled to the pin coupling portion 130, and another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pin mounting portion 220.

그 결과, 상기 핀장착부(220)는 상기 핀(12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핀(120)을 기준으로 외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pin mounting portion 220 can be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with respect to the pin 120 while coupled to the pin 120.

여기서, 일례로,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은 상기 핀결합부(130)와 상기 핀장착부(220) 사이의 상기 핀(120) 상에 배치되어 상기 핀(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torsion spring 300 is disposed on the pin 120 between the pin coupling portion 130 and the pin mounting portion 220 to prevent 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in 120. .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핀결합부(130)와 상기 핀장착부(220)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핀결합부(130)와 상기 핀장착부(220)에 결합된 상기 핀(1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핀결합부(130)와 상기 핀장착부(220) 사이 공간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pin coupling portion 130 and the pin mounting portion 22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pin coupled to the pin coupling portion 130 and the pin mounting portion 220 ( At least a portion of 1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space between the pin coupling portion 130 and the pin mounting portion 220.

여기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은 상기 핀결합부(130)와 상기 핀장착부(220)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 상의 상기 핀(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torsion spring 300 may be disposed on the pin 120 in a space formed by the pin coupling portion 130 and the pin mounting portion 220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일례로,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의 상기 중간부(330) 상에 상기 핀(120)이 관통되어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중간부(330)의 양측에는 상기 핀결합부(130)와 상기 핀장착부(220)가 배치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은 상기 핀(120)에 의해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고, 상기 핀결합부(130)와 상기 핀장착부(220)에 의해 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어 상기 핀(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in 120 may be positioned through the middle portion 330 of the torsion spring 300, and the pin coupling portion 130 and the pin may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middle portion 330. Since the mounting portion 220 is disposed, as a result, the torsion spring 300 is restricted from moving in the height direction by the pin 120, and is restricted by the pin engaging portion 130 and the pin mounting portion 220. Movement in the lateral direction is limited and separation from the pin 120 can be prevented.

또한,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체결부(140)재가 체결되는 체결부(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as an example, the main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art 140 to which the fastening part 140 material is fastened.

일례로,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상기 손잡이부(200) 방향으로, 즉 상기 삽입공간(S)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astening portion 14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body portion 110 toward the handle portion 200, that is, into the insertion space (S).

여기서, 일례로,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 방향으로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fastening part 140 may limit the rotation range of the handle part 200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상기 손잡이부(200)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200)가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손잡이부(200)의 상기 파지부(210)가 상기 체결부(140)와 접촉함으로 인해 더 이상 상기 손잡이부(200)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손잡이부(20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fastening part 140 extends from the body part 110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part 200, so that the handle part 200 is adjusted to the first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300. When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position, the grip portion 210 of the handle portion 200 contacts the fastening portion 140, so that the handle portion 200 is no longer in contact with the first position. The rotation range of the handle portion 200 may be limited to prevent it from moving from the second position toward the first position.

여기서,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손잡이부(200)와 상기 체결부(140) 간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도록 상기 체결부(140)의 상단에 배치되는 소음 저감부(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main body portion 100 has a noise reduction portion disposed at the top of the fastening portion 140 to reduce noise generated due to contact between the handle portion 200 and the fastening portion 140 ( 150) can be further provided.

즉, 상기 손잡이부(200)가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체결부(140)에 접촉되기 전 상기 소음 저감부(150)에 먼저 접촉됨으로 인해 상기 손잡이부(200)와 상기 체결부(140)간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That is, the handle portion 200 is rot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300 and first contacts the noise reduction portion 150 before contacting the fastening portion 140, thereby causing the handle portion 200 and Noise generated due to contact between the fastening parts 140 can be reduced.

일례로, 상기 소음 저감부(150)는 탄성재질일 수 있으며, 고무 또는 스펀지 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noise reduction unit 15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ponge.

또한,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상기 손잡이부(200)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200)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 방향으로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부(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body portion 100 extends from the body portion 110 toward the handle portion 200 and has a rotation range from the first position of the handle portion 200 toward the second position. A limiting portion 160 that limits may be further provided.

일례로, 상기 제한부(160)는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상기 손잡이부(200) 방향으로, 즉 상기 삽입공간(S)으로 연장되며 상기 체결부(140)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miting portion 160 extends from the body portion 110 toward the handle portion 200, that is, into the insertion space S, and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astening portion 140.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한부(160)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 방향으로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limiting part 160 may limit the rotation range of the handle part 200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한부(160)는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상기 손잡이부(200)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200)가 외력에 의해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손잡이부(200)가 상기 제한부(160)와 접촉함으로 인해 더 이상 상기 손잡이부(200)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손잡이부(20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limiting portion 160 extends from the body portion 110 toward the handle portion 200 so that the handle portion 200 absorbs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300 by external force. When the handle portion 200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ward the second position, the handle portion 200 no longer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due to contact with the limiting portion 160. The rotation range of the handle portion 200 may be limited to prevent it from moving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econd position.

여기서, 일례로,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부의 상기 일단(310)은 상기 체결부(140)와 상기 제한부(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one end 310 of the torsion spring 3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astening part 140 and the limiting part 160.

즉,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의 상기 일단(310)은 상기 체결부(140)와 상기 제한부(160)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140) 및 상기 제한부(160)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That is, the one end 310 of the torsion spring 300 is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the fastening part 140 and the limiting part 16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astening part 140 and the limiting part 160 Location movement may be restricted.

그 결과,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의 상기 일단(310)은 상기 체결부(140)와 상기 제한부(16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위치 고정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one end 310 of the torsion spring 300 can be fixed in position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space between the fastening part 140 and the limiting part 160.

여기서,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체결부(140)와 상기 제한부(160)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체결부(140)와 상기 제한부(160) 간의 외력을 전달하는 외력 전달부(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main body portion 100 transmits an external force between the fastening portion 140 and the limiting portion 160 to increase durability of the fastening portion 140 and the limiting portion 160. A transmission unit 170 may be further provided.

일례로, 상기 외력 전달부(170)는 상기 체결부(14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체결부(140)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한부(160)로 외력을 전달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제한부(16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한부(160)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체결부(140)로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astening part 140,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170 may receive the external force from the fastening part 140 and transmit the external force to the limiting part 160, and conversely, the limiting part 160 may transmit the external force to the limiting part 16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art 160, the external force can be received from the limiting part 160 and transmitted to the fastening part 140.

그 결과, 상기 체결부(140) 및 상기 제한부(160)는 상기 외력 전달부(170)에 의해 강한 외력이 가해져도 쉽게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As a result, the fastening part 140 and the limiting part 160 may not be easily damaged even when a strong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art 170.

또한, 일례로,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핀장착부(22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한부(160)와 접촉되는 접촉부(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as an example, the handle portion 200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portion 230 that extends from the pin mounting portion 220 and contacts the limiting portion 160.

일례로, 상기 핀장착부(220)가 상기 제한부(160)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 상기 핀장착부(220)가 파손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접촉부(230)가 상기 제한부(160)와 접촉하여 상기 핀장착부(2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at the pin mounting part 220 may be damaged when the pin mounting part 220 directly contacts the limiting part 160, the contact part 230 is in contact with the limiting part 16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in mounting portion 220 from being damaged.

또한,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핀장착부(220)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핀장착부(220)가 상기 파지부(210)와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면적증가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200 further includes an area increasing portion 240 that increases the area where the pin mounting portion 220 is in contact with the gripping portion 210 to increase durability of the pin mounting portion 220. can do.

그 결과, 상기 핀장착부(22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면적증가부(240)는 상기 핀(120)장칙부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파지부(210)로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in mounting portion 220, the area increasing portion 240 can receive the external force from the pin 120 lengthening portion and transmit the external force to the gripping portion 210.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는 상기 가구용 손잡이(10)를 포함할 수 있다.Furni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urniture handle 10.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it is stated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patent claims.

100: 본체부
200: 손잡이부
300: 비틀림 스프링
100: main body
200: handle part
300: Torsion spring

Claims (1)

체결부재에 의해 가구에 고정되는 가구용 손잡이.A furniture handle that is fixed to the furniture by a fastening member.
KR1020230171957A 2021-09-16 2023-12-01 Handle For Furniture KR20230169034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1957A KR20230169034A (en) 2021-09-16 2023-12-01 Handle For Furniture
KR1020230195985A KR20240005666A (en) 2021-09-16 2023-12-29 Handle For Furni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016A KR20210118787A (en) 2021-04-28 2021-09-16 Handle For Furniture
KR1020210176975A KR20210154790A (en) 2021-09-16 2021-12-10 Handle For Furniture
KR1020230150656A KR20230157907A (en) 2021-09-16 2023-11-03 Handle For Furniture
KR1020230171957A KR20230169034A (en) 2021-09-16 2023-12-01 Handle For Furnitur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0656A Division KR20230157907A (en) 2021-09-16 2023-11-03 Handle For Furnitur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5985A Division KR20240005666A (en) 2021-04-28 2023-12-29 Handle For Furni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034A true KR20230169034A (en) 2023-12-15

Family

ID=80496138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975A KR20210154790A (en) 2021-04-28 2021-12-10 Handle For Furniture
KR1020230105229A KR20230121983A (en) 2021-09-16 2023-08-11 Handle For Furniture
KR1020230119382A KR20230132428A (en) 2021-09-16 2023-09-08 Handle For Furniture
KR1020230133007A KR20230143997A (en) 2021-09-16 2023-10-06 Handle For Furniture
KR1020230150656A KR20230157907A (en) 2021-09-16 2023-11-03 Handle For Furniture
KR1020230171957A KR20230169034A (en) 2021-09-16 2023-12-01 Handle For Furniture
KR1020230195985A KR20240005666A (en) 2021-04-28 2023-12-29 Handle For Furniture

Family Applications Before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975A KR20210154790A (en) 2021-04-28 2021-12-10 Handle For Furniture
KR1020230105229A KR20230121983A (en) 2021-09-16 2023-08-11 Handle For Furniture
KR1020230119382A KR20230132428A (en) 2021-09-16 2023-09-08 Handle For Furniture
KR1020230133007A KR20230143997A (en) 2021-09-16 2023-10-06 Handle For Furniture
KR1020230150656A KR20230157907A (en) 2021-09-16 2023-11-03 Handle For Furnitur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5985A KR20240005666A (en) 2021-04-28 2023-12-29 Handle For Furni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20210154790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997A (en) 2023-10-13
KR20240005666A (en) 2024-01-12
KR20210154790A (en) 2021-12-21
KR20230132428A (en) 2023-09-15
KR20230157907A (en) 2023-11-17
KR20230121983A (en)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0662B2 (en) Safety door lock using door handle
KR20240041308A (en) Handle For Furniture
KR20240005666A (en) Handle For Furniture
KR101987281B1 (en) Handle For Furniture
KR20230092856A (en) Handle For Furniture
KR20210095106A (en) Handle For Furniture
KR20210128964A (en) Handle For Furniture
KR20210040902A (en) Handle For Furniture
KR20210030313A (en) Handle For Furniture
KR20210019037A (en) Handle For Furniture
KR20210007004A (en) Handle For Furniture
KR20190084001A (en) Handle For Furniture
CN211511428U (en) Handle and cooking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