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925A -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therefor - Google Patents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925A
KR20230168925A KR1020220069826A KR20220069826A KR20230168925A KR 20230168925 A KR20230168925 A KR 20230168925A KR 1020220069826 A KR1020220069826 A KR 1020220069826A KR 20220069826 A KR20220069826 A KR 20220069826A KR 20230168925 A KR20230168925 A KR 20230168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or
stopper
operator
variabl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8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6913B1 (en
Inventor
강현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모
Priority to KR1020220069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913B1/en
Priority to KR1020230180924A priority patent/KR20230172449A/en
Publication of KR20230168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9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9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63C2009/0041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ctivated by presence of water
    • B63C2009/0052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ctivated by presence of water by water pressure

Abstract

부력 발생 장치는 일부 개방 가능한 하우징, 하우징 내에 내장된 팽창 튜브 및 팽창 튜브에 팽창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플레이터는 외부와 연통된 수용 공간, 수용 공간 내부에 수용된 가변 포켓, 가변 포켓에 연결된 스토퍼, 스토퍼에 의해서 작동이 제한된 작동자 및 작동자의 작동에 따라 팽창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부를 포함하며, 가변 포켓이 대기압 이상의 환경에서 수용 공간 내에서 수축되면, 스토퍼가 작동자로부터 해제되고, 해제된 작동자가 작동하여 가스 발생부는 팽창 가스의 발생을 시작할 수 있다.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partially openable housing, an expansion tube built into the housing, and an inflator for supplying expansion gas to the expansion tube, wherein the inflator includes an accommodating space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 variable pocket accommod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 variable pocket. It includes a stopper connected to the stopper, an operator whose operation is restricted by the stopper, and a gas generator that generates expanding ga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When the variable pocket is contracted within the accommodation space in an environment above atmospheric pressure, the stopper is released from the operator. , the released operator operates and the gas generator can begin generating expansion gas.

Description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THEREFOR}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THEREFOR}

본 발명은 수상 또는 수중에서 인명 구조 및 부력 발생에 가능한 부력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심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부력 발생 장치 및 이를 위한 인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ancy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rescuing people and generating buoyancy on the water or underwater, and to a buoyancy generating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operate depending on the water depth and an inflator for the same.

한국등록특허 제10-2351443호는 인명 구조용 투척식 튜브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투척식 튜브는 수분을 감지하여 튜브 팽창장치가 물과의 접촉을 감지하면, 가스를 팽창시켜 튜브를 충전하는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Korean Patent No. 10-2351443 discloses a throwing tube for lifesaving. The throw-type tube detects moisture, and when the tube expansion device detects contact with water, it expands gas to fill the tube.

한국등록특허 제10-0348189호는 사용자의 자가 의지 또는 수압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는 수중 자가구명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자가구명기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수압센서를 이용하여 위급상황에 즉각 자가 구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No. 10-0348189 discloses an underwater self-rescue device that operates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user's will or water pressure. The self-rescue device uses a battery-powered water pressure sensor to immediately perform self-rescue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characterized by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1641호도 구명 손목 밴드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구명 손목 밴드는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수압 이상에서 가스발생기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Korean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8-0001641 also discloses a lifesaving wristband, and explains that the lifesaving wristband has a function of operating a gas generator above a certain water pressure using a pressure sensor.

한국등록특허 제10-2120728호는 자동팽창형 구명조끼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구명조끼의 작동제어장치는 수압이 아닌 수분 감지를 통해서 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Korean Patent No. 10-2120728 discloses an automatically inflatable life jacket, and explains that the operation control device of the life jacket operates the inflator through moisture detection rather than water pressure.

상기 구명 장비들은 수압 또는 수분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작동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가스를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수압센서 및 수분센서는 모두 배터리 등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충분한 전압을 형성하지 못한다면 작동이 안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The above life-saving equipment automatically detects water pressure or moisture and automatically generates gas without the user having to manually operate it. However, since both the water pressure sensor and the moisture sensor use batteries,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y do not work if the battery is discharged or does not generate sufficient voltage.

본 발명은 수중 또는 수상에서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이 배터리나 전원에 의지 않는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that can operate automatically underwater or on the water, and whose operation does not depend on batteries or power sources.

본 발명은 투척 또는 발사를 통해 원거리 전송이 가능한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that can be transmitted over a long distance through throwing or launching.

본 발명은 자동 작동 외에도 수동 작동이 가능한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참고로, 센서 등을 이용한 자동 구명 장비는 수동으로 작동하는 방식과 분리되어 있어 위급한 상황에서 1차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capable of manual operation in addition to automatic operation. For reference, automatic life-saving equipment using sensors, etc. is separate from manual operation, so if it does not operate first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can lead to fatal results.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력 발생 장치는 일부 개방 가능한 하우징, 하우징 내에 내장된 팽창 튜브 및 팽창 튜브에 팽창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플레이터는 외부와 연통된 수용 공간, 수용 공간 내부에 수용된 가변 포켓, 가변 포켓에 연결된 스토퍼, 스토퍼에 의해서 작동이 제한된 작동자 및 작동자의 작동에 따라 팽창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부를 포함하며, 가변 포켓이 대기압 이상의 환경에서 수용 공간 내에서 수축되면, 스토퍼가 작동자로부터 해제되고, 해제된 작동자가 작동하여 가스 발생부는 팽창 가스의 발생을 시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partially openable housing, an expansion tube built into the housing, and an inflator for supplying expansion gas to the expansion tube, wherein the inflator has an accommodating space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 a variable pocket accommodat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a stopper connected to the variable pocket, an operator whose operation is restricted by the stopper, and a gas generator that generates expansion ga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and the variable pocket is stor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in an environment above atmospheric pressure. When contracted, the stopper is released from the actuator, and the released actuator operates so that the gas generating unit can start generating expansion gas.

인플레이터의 수용 공간은 외부의 기압과 동일 또는 비례하는 기압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변 포켓은 대기압 이하에서는 팽창하여 스토퍼의 해제와 무관하게 움직일 수 있으나, 대기압 이하에서는 수축하여 스토퍼와 함께 이동하거나 스토퍼를 자유 상태로 해제할 수 있다.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inflator may form an air pressure that is equal to or proportional to the external air pressure. Accordingly, the variable pocket expands below atmospheric pressure and can move independently of the release of the stopper, but contracts below atmospheric pressure and moves with the stopper or can freely release the stopper.

스토퍼가 이동하거나 자유 상태로 되면, 작동자(operation trigger)가 해제되어 가스 발생부의 팽창 가스 발생을 시작하게 할 수 있다. 가스 발생부는 화학 반응에 의한 가스 발생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압축 가스 또는 액화 가스를 충전할 수도 있다. 물론, 이들의 하이브리드식도 가능하다. When the stopper moves or becomes free, an operation trigger may be released to cause the gas generator to begin generating expansion gas. The gas generator may contain a gas-generating material resulting from a chemical reaction, and in some cases, may be filled with compressed gas or liquefied gas. Of course, a hybrid version of these is also possible.

가스 발생물질로는 고온, 고압 가스를 발생할 수 있는 종래의 인플레이터의 화학물질을 참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를 생성하기 위해서 부스터 화약 또는 작동 점화약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화약 또는 점화약의 발열 반응을 통해서 가스 발생제(gas generant)를 연소시킬 수 있다. Gas generating materials can refer to the chemicals of conventional inflators that can generat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gas. For example, booster gunpowder or operating ignition can be used to generate carbon dioxide, and the exothermic reaction of gunpowder or ignition agent can be used. Through this, the gas generator can be burned.

인플레이터에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외부의 기압 또는 수압에 대응하여 수용 공간의 압력도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비례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forming the receiving space in the inflator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pressure of the receiving space may be formed equally or in proportion to the external air pressure or water pressure.

이에 가변 포켓도 부피 변화를 할 수 있는데, 가변 포켓은 벨로우즈(bellows) 또는 주름관 형태로 제공되어 부피 변화가 1차원적인 길이 변화에 충분히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ariable pocket can also change volume, and the variable pocket is provided in the form of bellows or corrugated pipe so that the volume change can be sufficiently reflected in the one-dimensional change in length.

가변 포켓이 일정 길이 이상 수축되면 스토퍼를 잡아당기거나 같이 움직여 스토퍼를 작동자로부터 해방시킬 수 있다. 하지만, 반대로 가변 포켓이 팽창하는 경우, 즉 가변 포켓이 높은 상공에 있거나 대기압 이하의 환경에 노출된 경우에는 스토퍼를 움직이지 않도록 하거나 스토퍼의 해제와 무관하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variable pocket is contracted beyond a certain length, the stopper can be released from the operator by pulling or moving it together. However, on the contrary, when the variable pocket expands, that is, when the variable pocket is high in the air or exposed to an environment below atmospheric pressure, the stopper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or operated regardless of the release of the stopper.

일 예로, 스토퍼는 가변 포켓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된 차단판 및 차단판에 형성된 긴 슬릿 형상의 핀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단판은 작동자를 향해 연장되어 작동자를 일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stopper may include a fixing plate fixed to one side of the variable pocket, a blocking plate extending from the fixing plate, and a long slit-shaped pin hole formed in the blocking plate, and the blocking plate extends toward the operator to temporarily block the operator. You can.

따라서 고정판과 차단판이 작동자 쪽으로 움직여도 작동자는 해제되지 않고 차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가변 포켓이 급격히 수축되면 고정판과 차단판이 수용 공간 내부로 완전히 이동하고, 그와 동시에 작동자를 가리고 있던 차단판이 없어지면서 작동자의 스트라이커가 작동자를 타격하여 기폭이 시작될 수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fixing plate and blocking plate move toward the operator, the operator can remain in the blocking state without being released. Conversely, when the variable pocket is rapidly contracted, the fixing plate and the blocking plate move completely inside the receiving space, and at the same time, the blocking plate that was covering the operator disappears, and the operator's striker can hit the operator and start detonation.

핀 홀에는 인플레이터의 하우징을 통과한 안전 핀이 삽입될 수 있으며, 안전 핀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기압 또는 수압의 변화가 있어도 스토퍼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A safety pin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ousing of the inflator can be inserted into the pin hole, and if the safety pin is not removed, the movement of the stopper may be restricted even if there is a change in air or water pressure.

위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면, 가변 포켓을 이용한 자동 작동과 사용자의 수동 작동을 모두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인플레이터의 하우징은 절개 안내선을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찢어짐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수압이 일정 이상 도달하지 않거나 인플레이터가 작동하지 급히 작동하지 않아도, 사용자는 하우징을 찢어 가변 포켓이 수동적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변 포켓의 일면을 찢어지는 하우징의 일부에 고정시켜 찢어짐과 동시에 가변 포켓과 스토퍼가 같이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Using the above structure, both automatic operation using a variable pocket and manual operation by the user can be possible. For example, the housing of the inflator forming the receiving space may include a cutting guide line and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torn by external force. Therefore, even if the water pressure does not reach a certain level or the inflator does not operate in a hurry, the user can tear the housing and allow the variable pocket to move passively.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variable pocket may be fixed to the part of the housing that is torn so that the variable pocket and the stopper are separated at the same time as the tearing occurs.

다르게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통과하는 수동 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수동 핀은 가변 포켓 또는 스토퍼를 강제로 움직이도록 하여 스토퍼가 작동자로부터 해제되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동 핀을 잡아당겨 스토퍼를 강제로 잡아당길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가변 포켓이 부분적으로 찢어져 스토퍼가 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a manual pin may be provided that passes through the inflator housing defining a receiving space, and the manual pin may force the deformable pocket or stopper to move so that the stopper is released from the operator. The user can forcibly pull the stopper by pulling the manual pin, and in this process, the variable pocket may be partially torn, allowing the stopper to be easily separated.

작동자와 가스 발생부 사이에는 시간 지연을 위한 기폭부가 개재될 수 있으며, 가스 발생부는 복수의 가스 발생 챔버를 포함하여 다단계로 팽창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A detonator for time delay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gas generator, and the gas generator may generate expansion gas in multiple stages by including a plurality of gas generation chambers.

하우징에 팽창 튜브를 내장하고 있어서, 응급상황에서 구조자는 부력 발생 장치를 요구조자 또는 그 주변으로 던져 구조 활동을 할 수 있으며, 부력 발생 장치는 수면에서 일정 수심(ex. 1m 정도)에 가라앉으면서, 자동으로 팽창되도록 하여 요구조자가 빨리 부력 발생 장치를 확보하여 구조되도록 할 수 있다.An expansion tube is built into the housing, so in an emergency situation, a rescuer can carry out rescue activities by throwing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at or around the victim.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sinks to a certain depth (ex. about 1m) on the surface of the water, By automatically inflating, the rescuer can quickly secure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be rescued.

부력 발생 장치는 던지거나 별도의 발사 장비를 통해서 원거리 투척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may be provided to enable throwing or long-distance throwing through a separate launch devic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팽창 가스 발생을 통해 부력 발생 장치를 충진하는 인플레이터는, 외부와 연통된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수용 공간 내부에 수용된 가변 포켓, 가변 포켓에 연결된 스토퍼, 스토퍼에 의해서 작동이 제한된 작동자, 및 작동자의 작동에 따라 팽창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부를 포함하며, 가변 포켓이 대기압 이상의 환경에서 수용 공간 내에서 수축되면, 스토퍼가 작동자로부터 해제되고, 해제된 작동자가 작동하여 가스 발생부는 팽창 가스의 발생을 시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flator that fills a buoyancy generating device by generating inflation gas includes a housing providing an accommodating space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 variable pocket accommod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space, a stopper connected to the variable pocket, It includes an operator whose operation is restricted by the stopper, and a gas generator that generates expansion ga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When the variable pocket is contract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in an environment of atmospheric pressure or higher, the stopper is released from the operator, and the released When activated by an operator, the gas generator may begin generating expansion gas.

가변 포켓은 일방향으로 가변되며 부피가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일 예로, 가변 포켓은 벨로우즈나 주름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It may be desirable for the variable pocket to be variable in one direction and have a variable volume. For example, the variable pocke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ellows or corrugated pipe.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인플레이터의 하우징은 절개 안내선을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찢어짐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하우징이 찢어짐에 따라 가변 포켓이 수동적으로 움직여 스토퍼가 작동자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The housing of the inflator forming the receiving space may include a cutting guide line and be provided in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torn by an external force, and as the housing is torn, the variable pocket may move passively to release the stopper from the operator.

스토퍼는 가변 포켓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된 차단판 및 차단판에 형성된 긴 슬릿 형상의 핀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단판은 작동자의 작동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며, 인플레이터의 하우징을 통과한 안전 핀은 핀 홀을 통과하여 스토퍼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The stopper may include a fixed plate fixed to one side of the variable pocket, a blocking plate extending from the fixed plate, and a long slit-shaped pin hole formed in the blocking plate. The blocking plate physically blocks the operator's operation and blocks the housing of the inflator. The passed safety pin can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stopper by passing through the pin hole.

본 발명의 부력 발생 장치는 수중 또는 수상에서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이 배터리나 전원에 의지 않아 보관 기간이 길 수 있다. 또한, 투척이 가능하고, 활이나 기타 발사장비를 이용한 원거리 전송이 가능하여 인명 구조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automatically underwater or on the water, and the operation does not depend on batteries or power sources, so the storage period can be long. In addition, it can be thrown and transmitted over long distances using a bow or other launch equipment, so it can be useful in rescuing people.

본 발명의 인플레이터는 팽창 튜브 또는 기타 팽창 가능한 구명 장비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명조끼, 구명튜브는 물론 크기에 따라서 구명 보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부력을 형성하기 위한 장비의 인플레이터로도 사용될 수 있다.The inf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inflation tubes or other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For example, it can be applied to life jackets, life tubes, and even life boats depending on their siz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flator in equipment to create buoyancy.

또한, 본 발명의 부력 발생 장치는 구명 장치 외에도 해저 케이블, 해저 유물, 침몰선 등을 인양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자동차나 컨테이너 등이 물속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salvaging submarine cables, underwater artifacts, sunken ships, etc. in addition to life-saving devices, and can also be used to generate buoyancy to prevent cars or containers from sinking into the water. .

본 발명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는 자동 작동 외에도 수동 작동이 가능하다. 기존의 수분센서, 수압센서 등을 이용한 자동 구명 장비는 수동으로 작동하는 방식이 없거나 수동과 자동 작동이 분리되어 그 작동이 복잡하고 불안하였으나 본 발명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는 수동과 작동 작동이 서로 연계되어 수동 작동의 구현이 어렵지 않으며, 오작동의 염려도 줄어들 수 있다.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manually as well as automatically operated. Existing automatic life-saving equipment using moisture sensors, water pressure sensors, etc. did not have a manual operation method or manual and automatic operation were separated, making their operation complicated and unstable. However, the buoyancy generator and inf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manual and automatic operation. In conjunction, manual operation is not difficult to implement, and concerns about malfunction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가 대기압 이하에 노출되었을 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의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an inf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when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of FIG. 1 are exposed to atmospheric pressure or lower.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opper of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of FIG. 1.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of FIG. 1.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of FIG. 1.
Figures 6 and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an inf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an inf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in this description, the same numbers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under these rules, the description can be made by citing the content shown in other drawings, and content that is judged to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at is repeated can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가 대기압 이하에 노출되었을 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의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an inf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when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of Figure 1 are exposed to atmospheric pressure or less, and 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opper of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of FIG. 1,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of FIG. 1, and FIG. 5 is a diagram of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of FIG. 1. This is a drawing to explain the operating process.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발생 장치(100)는 구조가 필요한 상황에 부력 발생 장치(100)를 요구조자의 근처로 던지고, 장비가 수중으로 가라앉다가 약 1미터 정도의 수심에서 자동으로 가스 발생이 시작되어 팽창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5,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rows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100 near the person in need of rescue, and the equipment sinks into the water and falls by about 1 meter. It can have a function to automatically start generating gas and expand at a depth of .

이를 위해 부력 발생 장치(100)는 하부가 개방 가능한 하우징(110), 하우징(110) 내에 내장된 팽창 튜브(120) 및 팽창 튜브(120)에 팽창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인플레이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housing 110 whose lower part is openable, an expansion tube 120 built into the housing 110, and an inflator 130 for supplying expansion gas to the expansion tube 120. You can.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하부 커버(112)가 고정되어 있으며, 소정의 힘에 의해서 쉽게 찢어지도록 절개선(11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우징(110) 내부에는 팽창 튜브(120)가 내장되어 있으며, 팽창 튜브(120)는 인플레이터(130)의 작동에 대응하여 팽창되고, 폭발하듯 팽창하면서 하부 커버(112)를 개방하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The lower cover 112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10, and a cut line 114 may be formed so that it can be easily torn by a predetermined force. An expansion tube 120 is built inside the housing 110. The expansion tube 120 expands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inflator 130, expands as if exploding,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opening the lower cover 112. You can.

팽창 튜브(120)의 팽창된 형상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긴 바 형태 또는 도우넛 형태 또는 플레이트 형상 등이 가능하다. 또한, 팽창 튜브(120)에는 압력 밸브가 추가될 수 있으며, 튜브의 허용 압력 이상의 압력이 발생하면 내부 가스를 부분적으로 배출하도록 하여 특정 압력 한계 이하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The expanded shape of the expansion tube 120 can be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a long bar shape, donut shape, or plate shape. Additionally, a pressure valve may be added to the expansion tube 120, and when a pressure exceeding the allowable pressure of the tube occurs, the internal gas may be partially discharged to maintain the pressure below a certain pressure limit.

인플레이터(130)는 하우징(110)에 나사 결합 등으로 결합이 가능하며, 밀봉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인플레이터(130)는 외부와 연통된 수용 공간(134)을 제공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32), 수용 공간(134) 내부에 수용된 가변 포켓(136), 가변 포켓(136)의 하부에 연결된 스토퍼(140), 스토퍼(140)에 의해서 작동이 제한된 작동자(160) 및 작동자(160)의 작동에 따라 팽창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부(172, 17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lator 130 can be coupled to the housing 110 by screwing, etc., and can be provided in a sealable manner. The inflator 130 includes an inflator housing 132 that provides an accommodating space 134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 variable pocket 136 accommod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space 134, and a stopper 140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variable pocket 136. , It may include an operator 160 whose operation is restricted by the stopper 140 and gas generators 172 and 174 that generate expansion ga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160.

가변 포켓(136)이 수용된 수용 공간(134)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인플레이터 하우징(132)이 대기압 보다 낮은 환경에 노출될 수 있으면 수용 공간(134)의 내부도 대기압 보다 낮거나 그에 준하는 환경이 될 수 있으며, 인플레이터 하우징(132)이 대기압 보다 높은 환경에 노출될 수 있으면, 예를 들어 수중으로 가라앉으면 수용 공간(134)의 내부도 대기압 보다 높거나 그에 준하는 환경이 될 수 있다.The receiving space 134 in which the variable pocket 136 is accommodated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erefore, if the inflator housing 132 can be exposed to an environment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4 can also be exposed to an environment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or an environment equivalent to it, and the inflator housing 132 can be exposed to an environment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If possible, for example, if it sinks underwater,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4 may also become an environment higher than or equivalent to atmospheric pressure.

가변 포켓(136)은 벨로우즈(bellows)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대기압 이상의 환경에서 수축될 수 있다. 또한, 벨로우즈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수축에 의한 변화는 1차원적으로 가변 포켓(136)의 길이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반영될 수 있다.The variable pocket 136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bellows and may be contracted in an environment above atmospheric pressure. In addition, because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ellows, changes due to shrinkage can be reflected one-dimensionally in a direction that shortens the length of the variable pocket 136.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포켓(136)이 짧아져서 스토퍼(140)는 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스토퍼(140)는 작동자(160)의 스트라이커(162)로부터 분리되고, 스트라이커(162)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서 작동자(160)를 타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variable pocket 136 is shortened so that the stopper 140 can move upward, the stopper 140 is separated from the striker 162 of the operator 160, and the striker 162 is The operator 160 can be struck by the force of the spring.

타격된 작동자(160)에 의해서 화약 등의 발열 반응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기폭제(164) 등을 통해서 기체 발생제가 내장된 제1 기체 발생 챔버(172) 및 제2 기체 발생 챔버(174)로 순차적으로 기체를 발생시킬 수 있다.An exothermic reaction such as gunpowder may occur due to the hit operator 160, and the gas generator may b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first gas generation chamber 172 and the second gas generation chamber 174, which have a built-in gas generator, through the detonator 164. Gas can be generated.

도 2와 같이, 인플레이터(130)가 노출된 환경이 대기압보다 낮으면, 가변 포켓(136)을 팽창되기만 할 뿐, 스토퍼(140)로부터 작동자(160) 또는 스트라이커(162)가 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if the environment to which the inflator 130 is exposed is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the variable pocket 136 may only be inflated and the operator 160 or striker 162 may not be released from the stopper 140. there is.

또한, 안전 핀(150)이 인플레이터 하우징(132)을 관통하여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스토퍼(140)가 작동자(160)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dditionally, since the safety pin 150 is mounted to penetrate the inflator housing 132, the stopper 1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perator 160 by a certain distance or more.

도 3을 보면, 스토퍼(140)는 고정판(142) 및 차단판(14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단판(144)에는 상하로 긴 슬롯 형상의 핀 홀(146)이 형성될 수 있다. 차단판(144)은 고정판(142)의 중앙 하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전체적을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stopper 140 may include a fixing plate 142 and a blocking plate 144, and a pin hole 146 having an elongated vertical slot shape may be formed in the blocking plate 144. The blocking plate 144 extends from the lower center of the fixing plate 142 downward, and may be formed overall in a T-shape.

또한, 핀 홀(146)이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도 1 및 도 2와 같이, 가변 포켓(136)이 정상 상태 또는 팽창 상태로 전환되어도 안전 핀(150)에 의해서 고정판(142) 등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고 어느 정도 자연스럽게 반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n hole 146 extends vertically, so that even when the variable pocket 136 is switched to the normal or expanded stat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xing plate 142, etc. can be moved by the safety pin 150. This is not limited and can be reflected naturally to some extent.

하지만, 안전 핀(150)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5와 같이, 인플레이터 하우징(130)이 대기압보다 높은 환경에 노출되어도, 즉 수중으로 가라앉아도 인플레이터(130)가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안전 핀(150)을 제거하거나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인플레이터(130)가 작동할 수 있다.However, without removing the safety pin 150, the inflator housing 130 may not operate even if the inflator housing 130 is exposed to an environment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that is, sinks into water, as shown in FIG. 5. Of course, the inflator 130 can operate without removing or supplying the safety pin 150.

도 4를 보면, 구조가 필요한 상황에서 구조자는 도 1의 부력 발생 장치(100)로부터 안전 핀(150)을 제거하고, 부력 발생 장치(100)를 요구조자의 근처로 던질 수 있다. 요구조자는 도 6에서와 같이, 인플레이터 하우징(132)을 고의로 훼손하여 인플레이터(130)를 작동시킬 수 있지만, 도 4의 (b)와 같이, 구조 장비가 물속으로 가라앉으면서 가변 포켓(136)이 수축되고, 일정 수심(d)에 도달하면 인플레이터가 작동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n a situation where rescue is necessary, a rescuer may remove the safety pin 150 from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100 of FIG. 1 and throw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100 near the requesting rescuer. As shown in FIG. 6, the rescuer may operate the inflator 130 by intentionally damaging the inflator housing 132, but as shown in (b) of FIG. 4, the variable pocket 136 may be damaged as the rescue equipment sinks into the water. When it is deflated and reaches a certain depth (d), the inflator can be started to operate.

이를 위해 투척식 구조 장비(100)의 비중을 물보다 크게 할 수 있고, 하우징(110)의 무제 중심이 아래를 향하도록 설계를 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specific gravity of the thrown rescue equipment 100 can be made larger than that of water, and the center of the housing 110 can be designed so that it faces downward.

도 5를 보면, 스토퍼(140)의 차단판(144)마저 상부로 이동하면, 작동자(160)의 스트라이커(162)가 해제되고, 해제된 스트라이커(162)가 작동자(160)를 타격하여 화약에 의한 발열 반응 및 그에 따른 가스 발생을 연쇄적으로 시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5, when the blocking plate 144 of the stopper 140 moves upward, the striker 162 of the operator 160 is released, and the released striker 162 strikes the operator 160. The exothermic reaction caused by gunpowder and the resulting gas generation can be started in a chain.

가스 발생부에 내장되는 가스 발생물질로는 고온, 고압 가스를 발생할 수 있는 종래의 인플레이터의 화학물질을 참조할 수 있으며, 화약 또는 점화약의 발열 반응을 통해서 가스 발생제(gas generant)를 연소시키는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The gas generating material built into the gas generating unit can refer to the chemicals of a conventional inflator that can generat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gas, and is a reaction that combusts the gas generating agent through an exothermic reaction of gunpowder or ignition agent. can cause

작동자(160)와 가스 발생부 사이에는 시간 지연을 위한 기폭부(164)가 개재될 수 있으며, 가스 발생부는 제1, 2 가스 발생 챔버(172, 174)를 포함하여 2단계 이상으로 팽창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A detonator 164 for time delay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operator 160 and the gas generator, and the gas generator may expand gas in two or more stages including first and second gas generation chambers 172 and 174. can occur.

다단 폭발에 의한 가스 발생은 1차 발생에 의해 급격히 상승한 온도가 수중에서 낮아지면 오히려 팽창 튜브(120)가 수축될 수 있기 때문에, 단계적인 추가 폭발을 통해서 팽창 튜브(120)의 가스의 온도 급격한 하강을 방지하고, 지속적으로 가스가 충진되도록 할 수 있다. Since gas generation by a multi-stage explosion may cause the expansion tube 120 to contract when the temperature that has risen rapidly due to the primary generation is lowered in the water, the temperature of the gas in the expansion tube 120 rapidly decreases through stepwise additional explosions. can be prevented and gas can be continuously filled.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가 일체형으로 제공되지만, 스토퍼는 와이어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가변 포켓이 팽창하였을 때는 와이어 또는 실이 늘어져 작동자의 작동과 무관하며, 가변 포켓이 수축하였을 때는 와이어 또는 실이 작동자를 가로막고 있던 차단 요소를 한쪽으로 당기거나 끊어지도록 하여 작동자를 작동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is provided as an integrated piece, but the stoppe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ire. When the variable pocket is expanded, the wire or thread is stretched and is unrelated to the operator's operation, and when the variable pocket is contracted, the wire or thread operates. The operator can be activated by pulling the blocking element blocking the ruler to one side or breaking it.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s 6 and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an inf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수용 공간(134)을 형성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32)은 절개 안내선(138)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플레이터(130)의 일측에 파지부(139)를 형성하여 요구조자가 쉽게 인플레이터 하우징(132)을 뜯어내도록 할 수 있다. 파지부(139)는 고리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inflator housing 132 forming the receiving space 134 may include a cutting guide line 138. Additionally, a gripping portion 139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flator 130 so that the requester can easily tear off the inflator housing 132. The gripping portion 139 may be provided in a ring shape.

요구조자가 파지부(139)를 잡고 수용 공간(134)의 벽을 찢으면, 수압이 일정 이상 도달하지 않거나 인플레이터(130)가 작동하지 급히 작동하지 않아도, 요구조자는 가변 포켓(136)을 수동적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인플레이터(130)를 즉각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requester holds the grip part 139 and tears the wall of the receiving space 134, the requester passively moves the variable pocket 136 even if the water pressure does not reach a certain level or the inflator 130 does not operate quickly. In this way, the inflator 130 can be operated immediately.

이때 가변 포켓(136)의 상면을 찢어지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32)의 상부에 고정시키고, 가변 포켓(136)의 저면을 스토퍼(140)의 고정판(142)에 고정할 수 있다. 인플레이터 하우징(132)의 찢어짐과 동시에 가변 포켓(136)과 스토퍼(140)가 같이 분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variable pocket 136 can b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torn inflator housing 13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variable pocket 136 can be fixed to the fixing plate 142 of the stopper 140. When the inflator housing 132 is torn, the variable pocket 136 and the stopper 140 may be separated.

도 7을 참조하면, 수용 공간(134)을 형성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32)의 외부에 수동 핀(139')이 제공될 수 있다. 수동 핀(139')은 와이어(138')를 통해서 스토퍼(140)의 고정판(142)에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a manual pin 139'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inflator housing 132 forming the receiving space 134. The manual pin 139' may be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142 of the stopper 140 through a wire 138'.

사용자가 인플레이터(130)의 일측에 형성된 수동 핀(139')을 잡아당기면, 수동 핀(139') 및 와이어(138')는 가변 포켓(136) 및 스토퍼(140)를 강제로 들어올려 인플레이터(130)를 즉각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user pulls the manual pin 139' formed on one side of the inflator 130, the manual pin 139' and the wire 138' forcibly lift the variable pocket 136 and the stopper 140 to inflate the inflator (139'). 130) can be activated immediately.

수동 핀 또는 와이어에 가변 포켓을 부분적으로 찢을 수 있는 구조를 부가할 수 있으며, 가변 포켓이 쉽게 찌그러지도록 할 수도 있다.A structure that can partially tear the variable pocket can be added to the manual pin or wire, and the variable pocket can also be easily crushed.

수동 핀 또는 파지부에 의해서 수동이 작동된 경우 바로 가스 발생이 시작될 수 있지만, 기폭부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가스 발생이 시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If the gas is manually operated by a manual pin or gripper, gas generation can begin immediately, but gas generation can also be start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using a detonator.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an inf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구명 튜브(220)에 장착되는 인플레이터(230)는 수용 공간(234)을 제공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232), 수용 공간(234) 내부에 수용되는 벨로우즈 형태의 가변 포켓(236), 가변 포켓(236)에 연결된 스토퍼(240), 스토퍼(240)와 연동하여 스트라이커(262)의 작동을 제한하는 작동자(260), 작동자(260)의 작동에 따라 팽창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inflator 230 mounted on the lifesaving tube 220 includes an inflator housing 232 that provides a receiving space 234, and a bellows-shaped variable pocket 236 accommodat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234. , a stopper 240 connected to the variable pocket 236, an operator 260 that restricts the operation of the striker 262 in conjunction with the stopper 240, and a gas that generates expansion ga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260. It may include a generator 270.

이전 실시예에서 인플레이터는 부력 발생 장치에 장착되었지만,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의 인플레이터(230)는 구명 튜브, 구명조끼, 구명 보트 등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구명의 목적이 아니더라도 부력을 형성하기 위한 장비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 형상의 구명 튜브(220)를 예시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inflator was mounted on a buoyancy generating device, but the inflator 230 of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 can also be used in lifesaving tubes, lifejackets, lifeboats, etc., and can also be used in equipment for creating buoyancy even if it is not for the purpose of lifesaving. You can. In this embodiment, the plate-shaped lifesaving tube 220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t may not be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는 투척 가능한 방식이어서 활이나 발사 장치를 통해서 원거리 전송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rowable, so they can be transmitted over long distances through a bow or launcher.

또한, 본 발명의 부력 발생 장치는 구명 장치 외에도 해저 케이블, 해저 유물, 침몰선 등을 인양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자동차나 컨테이너 등이 물속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부력 발생 장치를 원하는 대상이나 물체에 고정시키고, 안전 핀을 제거하면 바로 작동이 가능하며, 추가로 수동 핀이나 파지부를 잡아당겨 즉각 인플레이터가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salvaging submarine cables, underwater artifacts, sunken ships, etc. in addition to life-saving devices, and can also be used to generate buoyancy to prevent cars or containers from sinking into the water. . To achieve this,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can be fixed to the desired object or object and operated immediately by removing the safety pin. In addition, the inflator can be operated immediately by pulling the manual pin or gripp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100 : 부력 발생 장치 110 : 하우징
120 : 팽창 튜브 130 : 인플레이터
134 : 수용 공간 136 : 가변 포켓
140 : 스토퍼 150 : 안전 핀
160 : 작동자
100: Buoyancy generating device 110: Housing
120: expansion tube 130: inflator
134: accommodation space 136: variable pocket
140: stopper 150: safety pin
160: operator

Claims (17)

일부 개방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내장된 팽창 튜브; 및
상기 팽창 튜브에 팽창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플레이터는 외부와 연통된 수용 공간, 상기 수용 공간 내부에 수용된 가변 포켓, 상기 가변 포켓에 연결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에 의해서 작동이 제한된 작동자 및 상기 작동자의 작동에 따라 상기 팽창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포켓이 대기압 이상의 환경에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수축되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작동자로부터 해제되고, 해제된 상기 작동자가 작동하여 상기 가스 발생부는 상기 팽창 가스의 발생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발생 장치.
Partially openable housing;
an expansion tube housed within the housing; and
It includes an inflator for supplying expansion gas to the expansion tube,
The inflator includes an accommodating space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 variable pocket accommod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space, a stopper connected to the variable pocket, an operator whose operation is restricted by the stopper, and a gas generator that generates the inflation ga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includes wealth,
When the variable pocket is contract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in an environment of atmospheric pressure or higher, the stopper is released from the operator, and the released operator operates, so that the gas generator starts generating the expansion gas. Genera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포켓은 일방향으로 가변되며 부피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variable pocket is variable in one direction and has a variable volu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포켓은 벨로우즈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A buoyancy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 pocke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ellows.
제1항에 있어서,
대기압 이하에서의 상기 가변 포켓의 변화는 상기 스토퍼의 해제와 무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Buoyancy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nge in the variable pocket under atmospheric pressure is unrelated to the release of the stop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은 절개 안내선을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찢어짐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며,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이 찢어짐에 따라 상기 가변 포켓이 수동적으로 움직여 상기 스토퍼가 상기 작동자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flator housing forming the receiving space in the inflator includes a cutting guide line and is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torn by external force. As the inflator housing is torn, the variable pocket moves passively and the stopper is released from the operator. A buoyancy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통과하는 수동 핀이 제공되며, 상기 수동 핀은 상기 가변 포켓 또는 상기 스토퍼를 강제로 움직이도록 하여 상기 스토퍼가 상기 작동자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manual pin passing through an inflator housing forming the receiving space is provided in the inflator, and the manual pin forces the variable pocket or the stopper to move so that the stopper is released from the operator. Genera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변 포켓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된 차단판 및 상기 차단판에 형성된 긴 슬릿 형상의 핀 홀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판은 상기 작동자의 작동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며,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통과한 안전 핀은 상기 핀 홀을 통과하여 상기 스토퍼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opper includes a fixing plate fixed to one side of the variable pocket, a blocking plate extending from the fixing plate, and a long slit-shaped pin hole formed in the blocking plate,
The blocking plate physically blocks the operator's operation, and the safety pin passing through the inflator housing passes through the pin hol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top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자와 상기 가스 발생부 사이에 기폭부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buoyancy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deton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gas gene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부는 복수의 가스 발생 챔버를 포함하여, 다단계로 팽창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buoyancy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as genera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gas generating chambers and generates expansion gas in multiple stages.
팽창 가스 발생을 통해 부력 발생 장치를 충진하는 인플레이터에 있어서,
외부와 연통된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
상기 수용 공간 내부에 수용된 가변 포켓;
상기 가변 포켓에 연결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에 의해서 작동이 제한된 작동자; 및
상기 작동자의 작동에 따라 상기 팽창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포켓이 대기압 이상의 환경에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수축되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작동자로부터 해제되고, 해제된 상기 작동자가 작동하여 상기 가스 발생부는 상기 팽창 가스의 발생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In the inflator that fills the buoyancy generating device by generating expansion gas,
an inflator housing that provides an accommodating space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 variable pocket accommodat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A stopper connected to the variable pocket;
an operator whose operation is restricted by the stopper; and
It includes a gas generator that generates the expansion ga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An inflator wherein when the variable pocket is contract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in an environment of atmospheric pressure or higher, the stopper is released from the operator, and the released operator operates, so that the gas generator starts generating the inflation gas.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포켓은 일방향으로 가변되며 부피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According to clause 10,
The infl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 pocket is variable in one direction and has a variable volum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포켓은 벨로우즈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According to clause 11,
An inf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 pocke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ellow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은 절개 안내선을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찢어짐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며,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이 찢어짐에 따라 상기 가변 포켓이 수동적으로 움직여 상기 스토퍼가 상기 작동자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According to clause 10,
The inflator housing is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includes a cutting guide line and can be torn by external force, and as the inflator housing is torn, the variable pocket moves passively and the stopper is released from the operat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통과하는 수동 핀이 제공되며, 상기 수동 핀은 상기 가변 포켓 또는 상기 스토퍼를 강제로 움직이도록 하여 상기 스토퍼가 상기 작동자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According to clause 10,
An inflator, wherein a manual pin passing through the inflator housing is provided, and the manual pin forces the variable pocket or the stopper to move so that the stopper is released from the operat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변 포켓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된 차단판 및 상기 차단판에 형성된 긴 슬릿 형상의 핀 홀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판은 상기 작동자의 작동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며,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통과한 안전 핀은 상기 핀 홀을 통과하여 상기 스토퍼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According to clause 10,
The stopper includes a fixing plate fixed to one side of the variable pocket, a blocking plate extending from the fixing plate, and a long slit-shaped pin hole formed in the blocking plate,
The blocking plate physically blocks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and the safety pin passing through the inflator housing passes through the pin hol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topp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자와 상기 가스 발생부 사이에 기폭부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According to clause 10,
An inflator characterized in that a deton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gas generat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부는 복수의 가스 발생 챔버를 포함하여, 다단계로 팽창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According to clause 10,
An inflator wherein the gas generator includes a plurality of gas generation chambers and generates expansion gas in multiple stages.
KR1020220069826A 2022-06-08 2022-06-08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therefor KR1026169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826A KR102616913B1 (en) 2022-06-08 2022-06-08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therefor
KR1020230180924A KR20230172449A (en) 2022-06-08 2023-12-13 Buoyancy 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826A KR102616913B1 (en) 2022-06-08 2022-06-08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theref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0924A Division KR20230172449A (en) 2022-06-08 2023-12-13 Buoyancy genera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925A true KR20230168925A (en) 2023-12-15
KR102616913B1 KR102616913B1 (en) 2023-12-21

Family

ID=891250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826A KR102616913B1 (en) 2022-06-08 2022-06-08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therefor
KR1020230180924A KR20230172449A (en) 2022-06-08 2023-12-13 Buoyancy generating devic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0924A KR20230172449A (en) 2022-06-08 2023-12-13 Buoyancy genera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1691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2980A (en) * 1997-03-12 1998-09-16 崔庆安 Automatic-aid safety-device for persons falling in water
KR20140111460A (en) * 2013-03-11 2014-09-19 연승모 Apparatus for saving life on the water
KR20150057525A (en) * 2013-11-19 2015-05-28 정예찬 Life safe throwing device for resuing a person drown
CN204846327U (en) * 2015-08-28 2015-12-09 卢然 Drowned life saving equipment
CN204979192U (en) * 2015-07-01 2016-01-20 刘美婷 Lifesaving neckla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2980A (en) * 1997-03-12 1998-09-16 崔庆安 Automatic-aid safety-device for persons falling in water
KR20140111460A (en) * 2013-03-11 2014-09-19 연승모 Apparatus for saving life on the water
KR20150057525A (en) * 2013-11-19 2015-05-28 정예찬 Life safe throwing device for resuing a person drown
CN204979192U (en) * 2015-07-01 2016-01-20 刘美婷 Lifesaving necklace
CN204846327U (en) * 2015-08-28 2015-12-09 卢然 Drowned life sav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449A (en) 2023-12-22
KR102616913B1 (en)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8395B1 (en) Assembly for deploying a payload from a submarine
WO2018043116A1 (en) Small flying body provided with airbag device
CN111295334A (en) Safety device for aircraft and aircraft
AU2009326856A1 (en) A controllable buoyancy system
CN101817403A (en) Floatable black box with emergency gas bag
WO2002054895A3 (en) Inflatable safety vest with a cartridge actuation mechanism
KR102616913B1 (en)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therefor
KR101630737B1 (en) Airbag for preventing the sinking ship
KR20090055280A (en) Personal survival apparatus
US4309786A (en) Buoy flotation system
KR102162640B1 (en) Inflatable floats comprising inflater operated by operable switch
WO1998054539A1 (en) Launching apparatus and projectile
CN105799626A (en) Bladder device for rescue, floating device for emergency automobile rescue and rescue method
KR20180115649A (en) A portable apparatus for projecting a lifesaving tool
GB2429681A (en) Inflatable device with reduced compressed inflation gas requirement
US3874325A (en) Search and recovery device
JPH09183400A (en) Dropping launch type salvage rubber boat
JP2002137790A (en) Life-saving device and method for drowning person
EP3865391B1 (en) Buoyancy generator for vehicle occupant
KR20160077869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inking by inflating a flotation device
KR101285594B1 (en) Tube
RU177432U1 (en) DEVICE FOR DRAWING THE RESCUE OF AN INFLATABLE RAFT FROM THE BOARD
KR102117078B1 (en) Life buoy ring having expansion tube
RU2067946C1 (en) Launchable lifesaving appliance
KR100856789B1 (en) aircraft and ship's safet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