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841A -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상 풍력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상 풍력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841A
KR20230168841A KR1020220069611A KR20220069611A KR20230168841A KR 20230168841 A KR20230168841 A KR 20230168841A KR 1020220069611 A KR1020220069611 A KR 1020220069611A KR 20220069611 A KR20220069611 A KR 20220069611A KR 20230168841 A KR20230168841 A KR 20230168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hase
core
wind
transmis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범
Original Assignee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69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841A/ko
Publication of KR20230168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80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 F03D80/82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of electric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10Composite arrangements of magnetic circuits
    • H01F3/14Constrictions; Gaps, e.g. air-ga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요잉 구동부를 지지하는 풍력타워가 고정되어 있음으로 인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이 반복될 경우 전력 케이블이 꼬이거나 끊어져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3상 풍력발전 시스템들의 문제점 및 고주파 파워앰프와 직류정류기를 포함하고 교류/직류 및 직류/교류의 2번의 전력변환이 요구됨으로 인해 전체적인 구성 및 처리과정이 상대적으로 매우 복잡한 단점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 장치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 케이블 대신에 요잉 구동부에 무선전력전송 기법을 적용하여 전력 케이블의 꼬임이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데 더하여, 파워앰프와 직류정류기가 필요없이 송전코어와 송전코일 및 수전코어와 수전코일만을 이용하여 기존의 코어리스 방식에 비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무선전력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발전기에서 생산된 상용주파수(예를 들면, 저주파수(60Hz 등))의 교류전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상 풍력발전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상 풍력발전 시스템{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for three-phase power applicable to yawing driving part and three-phase powe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풍력발전기나 로봇 암 등과 같이, 요잉(yawing) 운동과 전력전달이 동시에 수행되는 장치나 시스템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3상 풍력발전기에 있어서, 바람의 이동방향에 따라 너셀이 회전하면 요잉 구동부도 함께 회전하게 되나 요잉 구동부를 지지하는 풍력타워는 고정되어 있음으로 인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이 반복될 경우 발전기에 연결되어 있는 전력 케이블이 꼬이거나 끊어져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3상 풍력발전기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력 케이블 대신에 요잉 구동부에 무선전력전송 기법을 적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요잉 구동부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전력 케이블이 꼬이거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력 케이블 대신에 무선전력전송 기법을 적용하여 전력 케이블의 꼬임이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데 더하여, 일반적으로, 고주파 파워앰프와 직류정류기를 포함하고 교류/직류 및 직류/교류의 2번의 전력변환이 요구됨으로 인해 전체적인 구성 및 처리과정이 상대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각각의 교류전원의 위상에 왜곡을 야기하여 정확한 위상제어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 장치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파워앰프와 직류정류기가 필요없이 송전코어와 송전코일 및 수전코어와 수전코일만을 이용하여 전력전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존의 코어리스 방식에 비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무선전력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발전기에서 생산된 교류전력을 변환하지 않고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전력 케이블 대신에 무선전력전송 기법을 적용하여 전력 케이블의 꼬임이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파워앰프와 직류정류기가 필요없이 송전코어와 송전코일 및 수전코어와 수전코일만을 이용하여 기존의 코어리스 방식에 비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무선전력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발전기에서 생산된 상용주파수(예를 들면, 저주파수(60Hz 등))의 교류전력을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3상 풍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 문제가 전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오염물질을 생성하지 않는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친환경 에너지의 하나로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는 풍력발전 시스템의 설치 및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즉, 풍력발전은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므로 무공해 및 무한정으로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바람을 이용하는 특성상 지역에 따른 편차가 크므로 설치가능한 지역이 한정적이며, 소음발생 및 초기 투자비용이 높은 등의 단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한 풍력발전과 같은 친환경 에너지들은 대부분 에너지 변환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으므로, 풍력발전 시스템의 성능 및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술에 대한 수요 및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풍력발전 시스템의 성능 및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종래기술의 예로는, 먼저, 예를 들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9393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인버터가 채용된 풍력발전 시스템"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9393호는, 병렬형 인버터가 채용된 풍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블레이드의 회전으로부터 3상 AC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 발생된 3상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 1 및 제 2 컨버터; DC 전력을 계통에 공급하기 위한 AC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 1 및 제 2 인버터; 제 1 및 제 2 컨버터를 각각 제어하는 제 1 및 제 2 컨버터 제어부; 제 1 및 제 2 인버터를 각각 제어하는 제 1 및 제 2 인버터 제어부; 및 제 1 인버터 제어부에 의하여 제 1 인버터에 인가되는 PWM 신호의 기준이 되는 제어신호보다 소정 시간만큼 지연된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제 2 인버터 제어부 및 제 2 컨버터 제어부에 각각 전달하고, 제어신호와 시지연을 갖지 않는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제 1 컨버터 제어부에 전달하는 동기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버터 제어부, 제 2 컨버터 제어부 및 제 1 컨버터 제어부는 각각 동기신호 생성부로부터 전달받은 각 동기신호에 따라서 PWM 신호를 출력하여 제 2 인버터, 제 2 컨버터 및 제 1 컨버터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발전기의 전류리플과 토크리플 그리고 계통전류의 리플을 감소시켜 효율과 신뢰도를 높이고 발전된 전력의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풍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풍력발전기의 성능 및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는,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6824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전력효율을 높인 풍력발전시스템"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6824호는, 블레이드의 회전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와, 발전기의 전력값인 발전전력을 검출하는 제 1 검출부와,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력을 제어하여 최대전류 지령치를 결정하는 메인제어부로 이루어지는 전력변환부; 메인제어부에 의해 제어된 전력인 가공전력의 잉여전력을 충전하는 축전부; 전력을 공급받으면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블레이드 구동부; 제 1 검출부에서 검출된 발전전력이 '0'인지를 비교하는 제 1 비교모듈과, 제 1 비교모듈에 의해 발전전력이 '0'일 때 구동되어 블레이드가 정지상태에서 회전하는데 소요되는 최소전력값인 기동전력이 축전부에서 블레이드 구동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제 1 비교모듈에 의해 발전전력이 '0'일 때 구동되어 축전부의 축전전력이 기동전력 이상인지를 비교하는 제 2 비교모듈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제어부의 제어모듈은 제 2 비교모듈에 의해 축전전력이 기동전력 이상일 때 기 설정된 설정시간(TH1) 동안 기동전력이 블레이드 구동부로 공급되되, 제 2 비교모듈에 의해 축전전력이 기동전력 미만일 때 블레이드 공급부로 축전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에 의해, 풍속을 검출하기 위한 고가의 풍속감지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최대전력점추정(Maximun Power Point Tracker ; MPPT) 제어를 통해 블레이드에 의해 발전된 전력을 극대화하여 계통이나 부하로 전달하는 동시에, 약한 풍속에서도 블레이드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력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풍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풍력발전 시스템의 성능 및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이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내용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즉, 일반적으로, 풍력발전기는, 바람에 의해 블레이드가 회전하면 너셀에 설치되어 있는 발전기에서 전력이 생산되고, 생산된 전력은 전력 케이블을 통해 요잉 구동부와 풍력타워를 지나 전력변환장치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풍력발전기는, 바람의 방향에 따라 너셀이 회전하면 너셀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요잉 구동부도 함께 회전되는 반면 요잉 구동부를 지지하는 풍력타워는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으므로, 요잉 구동부가 한쪽 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하게 되면 발전기와 전력변환장치를 연결하는 전력 케이블이 꼬이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전력 케이블이 끊어져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여기서, 예를 들면, 풍력발전기에 무선전력전송 기술을 적용하여,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을 전력 케이블 대신 무선으로 전송한다면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내용들에는 이와 같이 풍력발전기에 무선전력전송 기술을 적용하는 내용에 대하여는 제시된 바 없었다.
아울러, 기존의 무선전력전송 장치는, 일반적으로,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방식으로 구성되어, 교류전원(60Hz 등)을 직류로 변환한 후에 고주파 파워앰프로 주파수를 고주파수(수십 kHz ~ 수십 MHz)로 높여서 송전코일을 통해 수전코일로 전송하고, 수전코일에서 수신한 고주파 전력을 직류 정류기를 통해 직류로 변환한 후에 다시 직류/교류 변환기(인버터)를 통해 원하는 상용 전압 또는 주파수로 변환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코어리스 방식의 무선전력전송 장치들은 고주파 파워앰프 및 정류기를 포함하므로 전체적인 장치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는데 더하여, 교류/직류 전력변환 및 직류/교류 전력변환을 2번 수행해야 하므로 전력전송 과정 또한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풍력발전기의 문제 해결을 위해 적용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한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더욱이, 3상 전력을 사용하는 종래의 3상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장치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A상, B상, C상의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는 제 1, 제 2, 제 3 교류전원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무선전력전송 구조를 구성하고 있고, 그로 인해, 무선전력전송으로 전송된 각각의 A상, B상, C상의 교류전원을 정확히 120도의 위상차를 가지도록 결합하여 사용해야 하나, 교류전원이 교류/직류 변환기와 고주파 파워앰프를 거치면서 위상이 왜곡될 수 있고, 직류정류기 및 직류/교류 변환기를 거치면서 왜곡이 더욱 심해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위상 제어가 매우 어려운 문제도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3상 풍력발전 시스템 및 무선전력전송 장치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전력 케이블 대신에 무선전력전송 기법을 적용하여 전력 케이블의 꼬임이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기존의 코어리스 방식에 비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무선전력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구성의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장치나 방법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9393호 (2009.04.2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6824호 (2016.01.2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3상 풍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바람의 이동방향에 따라 너셀이 회전하면 요잉 구동부도 함께 회전하게 되나 요잉 구동부를 지지하는 풍력타워는 고정되어 있음으로 인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이 반복될 경우 발전기에 연결되어 있는 전력 케이블이 꼬이거나 끊어져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3상 풍력발전 시스템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력 케이블 대신에 요잉 구동부에 무선전력전송 기법을 적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요잉 구동부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전력 케이블이 꼬이거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력 케이블 대신에 무선전력전송 기법을 적용하여 전력 케이블의 꼬임이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데 더하여, 일반적으로, 고주파 파워앰프와 직류정류기를 포함하고 교류/직류 및 직류/교류의 2번의 전력변환이 요구됨으로 인해 전체적인 구성 및 처리과정이 상대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각각의 교류전원의 위상에 왜곡을 야기하여 정확한 위상제어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 장치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파워앰프와 직류정류기가 필요없이 송전코어와 송전코일 및 수전코어와 수전코일만을 이용하여 전력전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존의 코어리스 방식에 비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무선전력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발전기에서 생산된 교류전력을 변환하지 않고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전력 케이블 대신에 무선전력전송 기법을 적용하여 전력 케이블의 꼬임이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파워앰프와 직류정류기가 필요없이 송전코어와 송전코일 및 수전코어와 수전코일만을 이용하여 기존의 코어리스 방식에 비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무선전력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발전기에서 생산된 상용주파수(예를 들면, 저주파수(60Hz 등))의 교류전력을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3상 풍력발전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요잉(yawing)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는 제 1 교류전원, 제 2 교류전원 및 제 3 교류전원에 대하여 각각의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송전코어; 상기 송전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제 1 교류전원, 상기 제 2 교류전원 및 상기 제 3 교류전원에 각각 직접 연결되는 송전코일; 상기 송전코어로부터 전송되는 각각의 교류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전코어; 및 상기 수전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제 1 교류전원, 상기 제 2 교류전원 및 상기 제 3 교류전원으로부터 상기 송전코일을 통해 수신된 각각의 전력이 출력되는 수전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송전코어 및 상기 수전코어는, 규소강판, 퍼멀로이(permalloy), 아몰퍼스(amorphous) 및 페라이트(ferrite)를 포함하는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전코어 및 상기 수전코어는,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송전코어 및 상기 수전코어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송전코어는, 중공형의 속이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 1 교류전원에 연결되는 제 1 송전코일이 감겨지는 제 1 내부원통과, 상기 제 2 교류전원에 연결되는 제 2 송전코일이 감겨지는 제 2 내부원통과, 상기 제 3 교류전원에 연결되는 제 3 송전코일이 감겨지는 제 3 내부원통이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동심원 형태로 각각 배치되어 다중 원통 구조로 형성되는 코어부; 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코어부의 양 측면에 각각 연결되는 외경 바; 및 상기 송전코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의 상기 코어부의 중공 부분은 개방되어 상기 코어부에 대응되는 중공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경 바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코어부의 상단의 양 측면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코어부의 측면을 따라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코어부의 측면과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코어부를 제작하기 위한 재료의 사용량을 절감하여 상기 무선전력전송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소화 및 소형화하는 동시에, 재료비 및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상부케이스는, 하단의 공극 부분이 절연재질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전코어는, 중공형의 속이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 1 교류전원으로부터 수신된 전력이 출력되는 제 1 수전코일이 감겨지는 제 1 내부원통과, 상기 제 2 교류전원으로부터 수신된 전력이 출력되는 제 2 수전코일이 감겨지는 제 2 내부원통과, 상기 제 3 교류전원으로부터 수신된 전력이 출력되는 제 3 수전코일이 감겨지는 제 3 내부원통이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동심원 형태로 각각 배치되어 다중 원통 구조로 형성되는 코어부; 상기 코어부와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고 하단이 상기 코어부와 연결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외경원통; 및 상기 수전코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의 상기 코어부의 중공 부분은 개방되어 상기 코어부에 대응되는 중공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단의 공극 부분이 절연재질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는, 상기 송전코어의 코어부 내측에 3상 풍력발전기의 요잉 구동부가 삽입되고 상기 수전코어의 코어부 내측에 3상 풍력발전기의 풍력타워가 삽입되는 형태로 3상 풍력발전기에 설치되며, 상기 송전코어의 바 형태의 상기 외경 바와 상기 수전코어의 상기 외경원통이 정렬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요잉 구동부의 회전에 관계없이 상기 요잉 구동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송전코일에서 발생된 자기장이 상기 풍력타워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수전코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무선전력전송 장치는, 상기 수전코어가 3상 풍력발전기의 요잉 구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전코어가 3상 풍력발전기의 풍력타워에 설치되어, 상기 송전코어와 상기 수전코어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3상 풍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는 3상 풍력발전기; 상기 3상 풍력발전기를 지지하기 위해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풍력타워; 및 상기 3상 풍력발전기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풍력타워로 전송하기 위한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는, 상기에 기재된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됨으로써, 3상 풍력발전기의 요잉 구동부의 회전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꼬임이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전력전송을 위한 구성을 보다 간소화하고 소형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풍력발전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케이블 대신에 요잉 구동부에 무선전력전송 기법을 적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것에 의해 요잉 구동부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전력 케이블이 꼬이거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가 제공됨으로써, 바람의 이동방향에 따라 너셀이 회전하면 요잉 구동부도 함께 회전하게 되나 요잉 구동부를 지지하는 풍력타워는 고정되어 있음으로 인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이 반복될 경우 발전기에 연결되어 있는 전력 케이블이 꼬이거나 끊어져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3상 풍력발전 시스템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전력 케이블 대신에 무선전력전송 기법을 적용하여 전력 케이블의 꼬임이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데 더하여, 파워앰프와 직류정류기가 필요없이 송전코어와 송전코일 및 수전코어와 수전코일만을 이용하여 전력전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가 제공됨으로써, 기존의 코어리스 방식에 비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무선전력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발전기에서 생산된 교류전력을 변환하지 않고 전달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고주파 파워앰프와 직류정류기를 포함하고 교류/직류 및 직류/교류의 2번의 전력변환이 요구됨으로 인해 전체적인 구성 및 처리과정이 상대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각각의 교류전원의 위상에 왜곡을 야기하여 정확한 위상제어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 장치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를 이용하여, 전력 케이블 대신에 무선전력전송 기법을 적용하여 전력 케이블의 꼬임이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데 더하여, 파워앰프와 직류정류기가 필요없이 송전코어와 송전코일 및 수전코어와 수전코일만을 이용하여 기존의 코어리스 방식에 비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무선전력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발전기에서 생산된 상용주파수(예를 들면, 저주파수(60Hz 등))의 교류전력을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3상 풍력발전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3상 풍력발전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3상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의 송전코어와 수전코어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의 송전코어와 수전코어의 배면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의 송전코어와 수전코어의 측면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장치가 적용된 3상 풍력발전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상 풍력발전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3상 풍력발전기에 있어서, 바람의 이동방향에 따라 너셀이 회전하면 요잉 구동부도 함께 회전하게 되나 요잉 구동부를 지지하는 풍력타워는 고정되어 있음으로 인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이 반복될 경우 발전기에 연결되어 있는 전력 케이블이 꼬이거나 끊어져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3상 풍력발전 시스템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력 케이블 대신에 요잉 구동부에 무선전력전송 기법을 적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요잉 구동부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전력 케이블이 꼬이거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력 케이블 대신에 무선전력전송 기법을 적용하여 전력 케이블의 꼬임이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데 더하여, 일반적으로, 고주파 파워앰프와 직류정류기를 포함하고 교류/직류 및 직류/교류의 2번의 전력변환이 요구됨으로 인해 전체적인 구성 및 처리과정이 상대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각각의 교류전원의 위상에 왜곡을 야기하여 정확한 위상제어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 장치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파워앰프와 직류정류기가 필요없이 송전코어와 송전코일 및 수전코어와 수전코일만을 이용하여 전력전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존의 코어리스 방식에 비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무선전력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발전기에서 생산된 교류전력을 변환하지 않고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전력 케이블 대신에 무선전력전송 기법을 적용하여 전력 케이블의 꼬임이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파워앰프와 직류정류기가 필요없이 송전코어와 송전코일 및 수전코어와 수전코일만을 이용하여 기존의 코어리스 방식에 비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무선전력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발전기에서 생산된 상용주파수(예를 들면, 저주파수(60Hz 등))의 교류전력을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3상 풍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계속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상 풍력발전 시스템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종래기술의 3상 풍력발전기(1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의 3상 풍력발전기(10)는, 바람에 의해 허브(11)에 설치된 블레이드(12)가 회전하면 너셀(13)에 설치되어 있는 3상 발전기(14)에서 3상 교류전력이 생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블레이드(12)가 바람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바람의 방향에 따라 너셀(13)과 요잉 구동부(15)가 함께 일체로 회전(즉, 요잉)되도록 구성되고, 요잉 구동부(15)는 지면에 고정되어 풍력발전기(10)를 지지하는 고정축의 역할을 하는 풍력타워(1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3상 발전기(14)에서 생성된 전력은 전력 케이블(17)을 통하여 전력변환장치(18)로 전달되며, 이를 위해, 전력 케이블(17)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상 발전기(14)로부터 요잉 구동부(15)와 풍력타워(16)를 지나서 전력변환장치(18)까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바람에 의해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존의 3상 풍력발전기(10)는, 너셀(13)이 회전하면 요잉 구동부(15)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 반면 풍력타워(16)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므로, 바람의 방향에 따라 요잉 구동부(15)가 한쪽 방향으로만 반복하여 회전하게 되면 3상 발전기(14)와 전력변환장치(18)를 연결하는 전력 케이블(17)이 꼬이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전력 케이블(17)이 끊어져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요잉 구동부(15)와 풍력타워(16) 사이에서 전력 케이블(17) 대신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면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종래기술의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더 상세하게는,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종래기술의 3상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 장치(2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의 3상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장치(20)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A상, B상, C상의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는 제 1 교류전원, 제 2 교류전원 및 제 3 교류전원에 대하여 무선전력전송 구조가 각각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선전력전송으로 전송된 각각의 제 1 교류전원(A상), 제 2 교류전원(B상) 및 제 3 교류전원(C상)이 각각 120도의 위상차를 가지도록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서로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이나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었음에 유념해야 한다.
더 상세하게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상, B상, C상의 각각의 위상에 대한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은, 송전코일(23) 및 수전코일(24)로 에어 코일을 사용하고 있고, 20kHz 이상의 고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다.
즉, 예를 들면, 전기차 무선충전의 경우 20kHz, 60kHz, 85kHz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고, 스마트폰 충전의 경우에는 100kHz ~ 140kHz 및 6.78MHz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기 위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상, B상, C상의 각 교류전원(60Hz)을 각각의 교류/직류 변환기(21)를 이용하여 직류로 변환한 후 각각의 고주파 파워앰프(22)를 통해 주파수를 수십 kHz로 높여서 송전코일(23)로 보내고, 각각의 송전코일(23)은 자기장을 발생하여 무선으로 수전코일(24)에 전력을 전달한다.
이어서, 각각의 수전코일(24)에 수신된 고주파 전력을 각각의 직류 정류기(25)를 통해 직류로 변환한 후 각각의 직류/교류 변환기(26)에서 다시 사용자가 원하는 상용전압 또는 주파수인 A상, B상 C상 교류전원(60Hz)으로 변환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에, 상기한 직류/교류 변환기(26)는 다른 표현으로 인버터(Invertor)라고 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한 3상 풍력발전기(10) 및 3상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 장치(20)의 구성 및 동작 등의 보다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는 종래기술의 풍력발전기 및 무선전력전송 장치의 구성을 참조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문헌 등을 참조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일반적인 3상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 장치(20)를 도 1에 나타낸 3상 풍력발전기(10)의 요잉 구동부(15)에 적용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으나, 기존의 3상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 장치(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주파 파워앰프(22) 및 직류 정류기(25)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 인해 3상 풍력발전기(10)에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 방식을 적용할 경우 3상 풍력발전기(10)의 전체적인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기존의 3상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 장치(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위상에 대하여 교류/직류 변환기(21) 및 직류/교류 변환기(26)를 각각 포함하여 전력변환이 각각 2번이나 수행되어야 하므로, 3상 풍력발전기(10)에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3상 풍력발전기(10)의 전체적인 전력전송 과정도 그만큼 복잡해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더욱이, 기존의 3상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 장치(20)는, 최종적으로 3상 교류전원을 얻기 위해 A상의 제 1 교류전원, B상의 제 2 교류전원 및 C상의 제 3 교류전원의 위상차가 정확히 120도가 되도록 결합하여 사용해야 하나, 이러한 정확하고 정밀한 위상제어가 매우 어려운 한계도 있는 것이었다.
즉, 3상 풍력발전기(10)에 구비되는 3상 발전기(14)는 A상 교류전원, B상 교류전원 및 C상 교류전원이 120도의 위상차를 가지도록 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나, 각각의 A상 교류전원, B상 교류전원 및 C상 교류전원이 교류/직류 변환기(21)와 고주파 파워앰프(22)를 각각 거치면서 위상이 왜곡될 수 있고, 또한, 직류 정류기(25)와 직류/교류 변환기(26)를 거치면서 이러한 위상 왜곡이 더욱더 심해질 수 있으므로, 무선전력전송으로 전송된 각각의 A상 교류전원, B상 교류전원 및 C상 교류전원이 항상 정확하게 120도의 위상차를 가지도록 제어하기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어를 적용하여 기존의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 방식에 비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구현 가능한 동시에, 3상 발전기에서 생성되는 3상 교류전원을 변환과정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3상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 장치(20)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구성의 무선전력전송 장치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코어를 적용한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를 이용하여, 3상 풍력발전기의 3상 발전기와 전력변환장치를 연결하고 있는 전력 케이블을 요잉 구동부에서 절단하고 그 사이에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를 삽입하여 구성됨으로써, 요잉 구동부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을 반복하면 전력 케이블이 끊어지거나 요잉 구동부에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종래기술의 3상 풍력발전기(10)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구성의 3상 풍력발전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3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30)는, 크게 나누어, A상 B상, C상의 각각의 교류전원에 대하여 송전코일(31)이 감겨진 송전코어(32)와 수전코일(33)이 감겨진 수전코어(34)를 각각 포함하여, 3쌍의 송전코일(31)과 수전코일(33) 사이에서 각각 무선으로 전력전송이 이루어지는 코어적용 무선전력전송 장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송전코어(32)에 감겨 있는 송전코일(31)에 A상, B상 C상의 각 교류전원(60Hz 등)이 바로 연결되고, 수전코어(34)에 감겨 있는 수전코일(33)은 송전코일(31)을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수전하여 3상 교류전원으로 그대로 사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 2에 나타낸 기존의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 장치(20)와 같이 고주파 파워앰프 및 변환기가 필요 없으므로 전체적인 구성이 매우 간소화되고 규모가 크게 축소될 수 있다.
아울러, 송전코어(32)의 재질은, 예를 들면, 규소강판, 퍼멀로이(permalloy), 아몰퍼스(amorphous) 또는 페라이트(ferrite)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즉, 저주파의 경우는 규소강판 등을 사용하고, 고주파의 경우는 페라이트 소재를 이용하여 코어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송전코어(32)와 수전코어(34)는 정확하게 정렬되어야 하고, 코어 사이의 간격이 가까울수록 전력전송 효율이 좋아지나, 3상 풍력발전기의 요잉 구동부가 회전하는데 필요한 유격을 고려하여 수 mm에서 수 c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수전코어(34)의 재질 또한 송전코어(32)와 동일하게 규소강판, 퍼멀로이, 아몰퍼스, 페라이트 등을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코어는 동일 재질의 코어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A상 교류전원, B상 교류전원, C상 교류전원의 3상 교류전원을 각각의 송전코일(31)에서 수전코일(33)로 바로 전달함으로써, A상 교류전원, B상 교류전원, C상 교류전원의 3상 교류전원을 위상지연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30)의 송전코어(32)와 수전코어(34)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송전코어(32)와 수전코어(34)의 배면에 대한 횡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송전코어(32)와 수전코어(34)의 측면에 대한 종단면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30)를 구현하기 위해 기존의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에서 사용하지 않고 있는 송전코어(32) 및 수전코어(34)를 적용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코어적용 무선전력전송 장치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코어 구조를 구성하였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송전코어(32) 및 수전코어(34)가 각각 규소강판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구성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즉, 상기한 송전코어(32) 및 수전코어(34)는, 예를 들면, 퍼멀로이나 아몰퍼스, 페라이트 등과 같이, 상기한 규소강판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른 자성체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아울러,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요잉 구동부(15)에 적용되는 송전코어(32)를 상부코어라 하고 풍력타워(16)에 적용되는 수전코어(34)를 하부코어라 칭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시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더 상세하게는, 먼저, 상부코어(즉, 송전코어(32))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3상 풍력발전기(10)의 요잉 구동부(15)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중공형의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제 1(A상) 송전코일(41)이 감겨지는 제 1 내부원통(42)과, 제 2(B상) 송전코일(43)이 감겨지는 제 2 내부원통(44)과, 제 3(C상) 송전코일(45)이 감겨지는 제 3 내부원통(46)이 동심원 형태로 각각 배치되어 다중 원통 구조로 형성되는 코어부(47)와, 바 형태로 형성되어 코어부(47)의 양 측면에 각각 연결되는 외경 바(48) 및 코어를 보호하기 위해 상부코어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의 코어부(47)의 중공 부분은 개방되어 코어부(47)에 대응되는 중공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케이스(4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중 원통형 코어 구조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부코어(즉, 송전코어(32))의 상단 일부가 열려 있는 상태로 본 발명을 나타내었으나, 실제로는 상부코어의 상단은 전체가 막혀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하부코어(즉, 수전코어(34))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3상 풍력발전기(10)의 풍력타워(16)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중공형의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제 1(A상) 수전코일(51)이 감겨지는 제 1 내부원통(52)과, 제 2(B상) 수전코일(53)이 감겨지는 제 2 내부원통(54)과, 제 3(C상) 수전코일(55)이 감겨지는 제 3 내부원통(56)이 동심원 형태로 각각 배치되어 다중 원통 구조로 형성되는 코어부(57)와, 하단이 코어부(57)와 연결되고 코어부(57)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코어부(57)를 둘러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외경원통(58) 및 코어를 보호하기 위해 하부코어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의 코어부(57)의 중공 부분은 개방되어 코어부(57)에 대응되는 중공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케이스(5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외경 바(48)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부(47)의 측면을 따라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코어부(47)의 측면과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도록,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코어부(47)의 상단의 양 측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하부코어의 경우와 같이 측면 전체에 대하여 외경원통(58)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예를 들면, 규소강판과 같이, 코어를 제작하기 위한 원재료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코어 및 무선전력전송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소화 및 소형화하는 동시에, 재료비 및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상부케이스(49) 및 하부케이스(59)는, 예를 들면, 철판이나 알루미늄 등과 같이 도체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도체가 아닌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그 재질에 있어서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자기장의 전달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부케이스(49) 및 하부케이스(59)의 공극 부분만은 반드시 도체가 아닌 절연재질로 형성되어야 함에 유념해야 한다.
여기서, 이러한 절연재질은, 예를 들면, 테프론, 아크릴, PVC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상부코어 및 하부코어는, 코어부(47)의 내측에 요잉 구동부(15)가 삽입되고, 코어부(57) 내측에는 풍력타워(16)가 삽입되는 형태로 풍력발전기(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도 6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요잉 구동부(15)에 설치되어 있는 송전코일(31)(즉, 제 1(A상) 송전코일(41), 제 2(B상) 송전코일(43), 제 3(C상) 송전코일(45))에서 발생된 자기장이 풍력타워(16)에 설치되어 있는 수전코일(33)(즉, 제 1(A상) 수전코일(51), 제 2(B상) 수전코일(53), 제 3(C상) 수전코일(55))로 전달되며, 이때, 자기장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코어와 하부코어가 정확하게 정렬되어야 한다.
더 상세하게는, 각각의 내부원통(42, 44, 46)과 외경 바(48) 사이의 간격 및 각각의 내부원통(52, 54, 56)과 외경원통(58) 사이의 간격과 각 부분의 치수가 일치하도록 형성하여, 상부코어(즉, 송전코어(32))의 양쪽 외경 바(48)가 하부코어(즉, 수전코어(34))의 외경원통(58)과 정확하게 정렬되어 회전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요잉 구동부(15)가 회전하더라도 요잉 구동부(15)에 설치된 상부코어에서 발생한 자기장(즉, 무선전력)이 하부코어로 정확하고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아울러,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코어는 풍력타워(16)에 고정되어 있고 상부코어는 요잉 구동부(15)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하부코어의 외경원통(58)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원통형 구조를 가지고, 상부코어는 회전하므로 바 형태의 외경 바(4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코어와 하부코어는 직접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극은 간격이 작을수록 자기장이 잘 전달되므로, 일반적으로 공극의 간격은 수 mm에서 수 cm까지의 거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상부코어가 회전하더라도 외경 바(48)를 통해 하부코어의 외경원통(58)으로 자기장이 지속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이때, 상부코어와 하부코어를 상호 교환하여 설치하더라도 요잉 구동부(15)의 회전에 관계없이 자기장이 지속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부코어와 하부코어의 구조는 상호 교환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부코어의 구조를 하부코어에 그대로 사용할 수는 없으며, 이는, 상부코어의 구조를 하부코어에도 그대로 적용할 경우 요잉 구동부(15)가 회전하면 외경 바(48)의 정렬이 어긋나게 되어 자기장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구간이 발생함으로 인해 무선전력전송의 효율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반면, 하부코어의 구조를 상부코어에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나, 이 경우 자기장 전달에는 문제가 없으나 상부코어의 구조에 비해 코어의 전체 면적이 증가하므로, 규소강판과 같은 소재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코어에 대한 부품 단가가 높아지고, 그만큼 전체적인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부(47)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된 외경 바(48)를 가지는 상부코어와 다중 원통형 코어구조를 가지는 하부코어의 구성을 적용하여 무선전력전송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는 송전코어(32)와 수전코어(34)를 도 1에 나타낸 3상 풍력발전기(10)의 요잉 구동부(15) 및 풍력타워(16)에 각각 적용함으로써 바람에 의해 3상 발전기(14)에서 생성된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전력 케이블(17)이 꼬이거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기존의 방식에 비해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구성을 보다 간소화 및 소형화할 수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30)가 적용된 3상 풍력발전 시스템(7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7에 나타낸 3상 풍력발전 시스템(70)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종래기술의 3상 풍력발전기(10) 및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30)와 동일 내지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적용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30)를 3상 풍력발전기에 적용한 3상 풍력발전 시스템(70)의 전체적인 동작은, 바람에 의해 블레이드(12)가 회전하면 블레이드(12)의 샤프트에 연결된 3상 발전기(14)를 통하여 3상 전력이 생산되고, 생산된 3상 전력은 상부코어(송전코어(32))에 감겨있는 각각의 송전코일(제 1(A상) 송전코일(41), 제 2(B상) 송전코일(43), 제 3(C상) 송전코일(45))로 전달된다.
이어서, 각각의 송전코일(제 1(A상) 송전코일(41), 제 2(B상) 송전코일(43), 제 3(C상) 송전코일(45))은 자기장을 발생하고 상부코어는 자기장을 잘 가두어 상호 정렬되어 있는 하부코어로 전달하며, 이때, 공극의 간격이 작을수록 자기장의 전달이 잘 이루어질 수 있고, 하부코어로 전달된 자기장은 하부코어(즉, 수전코어(34))에 감겨진 수전코일(제 1(A상) 수전코일(51), 제 2(B상) 수전코일(53), 제 3(C상) 수전코일(55))에 의해 자기유도 현상이 발생하여 전력이 전달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무선으로 전달된 전력은 전력변환장치(18)로 전달되고 변압기(19)를 거쳐 상용 전원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요잉 구동부(15)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요잉 구동부(15)와 풍력타워(16) 사이에서 무선으로 전력이 전달되고 있으므로 전력 케이블(17)이 꼬이거나 끊어지는 문제점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풍력발전기의 요잉 구동부(15) 및 풍력타워(16)에 제 1(A상) 송전코일(41), 제 2(B상) 송전코일(43), 제 3(C상) 송전코일(45)이 각각 감겨진 송전코어(32)와, 제 1(A상) 수전코일(51), 제 2(B상) 수전코일(53), 제 3(C상) 수전코일(55)이 각각 감겨진 수전코어(34)를 각각 배치함으로써, 발전기(14)로부터 생성되는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여 요잉 구동부(15)의 회전에 따른 전력 케이블(17)의 꼬임이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그러한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구성을 보다 간소화하고 소형화하여 정확한 위상제어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 장치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동시에, 발전기에서 생산된 상용주파수(예를 들면, 저주파수(60Hz 등))의 교류전력을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3상 풍력발전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30)가 3상 풍력발전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즉, 본 발명에 따른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30)는, 상기한 3상 풍력발전기 이외에, 예를 들면, 로봇 암 등과 같이, 요잉 운동과 전력전달이 동시에 수행되는 장치나 시스템에서 전력 케이블 대신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해 적용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상 풍력발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케이블 대신에 요잉 구동부에 무선전력전송 기법을 적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것에 의해 요잉 구동부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전력 케이블이 꼬이거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가 제공됨으로써, 바람의 이동방향에 따라 너셀이 회전하면 요잉 구동부도 함께 회전하게 되나 요잉 구동부를 지지하는 풍력타워는 고정되어 있음으로 인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이 반복될 경우 발전기에 연결되어 있는 전력 케이블이 꼬이거나 끊어져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3상 풍력발전 시스템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전력 케이블 대신에 무선전력전송 기법을 적용하여 전력 케이블의 꼬임이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데 더하여, 파워앰프와 직류정류기가 필요없이 송전코어와 송전코일 및 수전코어와 수전코일만을 이용하여 전력전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가 제공됨으로써, 기존의 코어리스 방식에 비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무선전력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발전기에서 생산된 교류전력을 변환하지 않고 전달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고주파 파워앰프와 직류정류기를 포함하고 교류/직류 및 직류/교류의 2번의 전력변환이 요구됨으로 인해 전체적인 구성 및 처리과정이 상대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각각의 교류전원의 위상에 왜곡을 야기하여 정확한 위상제어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 장치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를 이용하여, 전력 케이블 대신에 무선전력전송 기법을 적용하여 전력 케이블의 꼬임이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데 더하여, 파워앰프와 직류정류기가 필요없이 송전코어와 송전코일 및 수전코어와 수전코일만을 이용하여 기존의 코어리스 방식에 비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무선전력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발전기에서 생산된 상용주파수(예를 들면, 저주파수(60Hz 등))의 교류전력을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3상 풍력발전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상 풍력발전 시스템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변경, 결합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10. 3상 풍력발전기 11. 허브
12. 블레이드 13. 너셀
14. 3상 발전기 15. 요잉 구동부
16. 풍력타워 17. 전력 케이블
18. 전력변환장치 19. 변압기
20. 3상 코어리스 무선전력전송 장치 21. 교류/직류 변환기
22. 고주파 파워앰프 23. 송전코일
24. 수전코일 25. 직류 정류기
26. 직류/교류 변환기
30.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
31. 송전코일 32. 송전코어
33. 수전코일 34. 수전코어
41. 제 1 송전코일 42. 제 1 내부원통
43. 제 2 송전코일 44. 제 2 내부원통
45. 제 3 송전코일 46. 제 3 내부원통
47. 코어부 48. 외경 바
49. 상부케이스 51. 제 1 수전코일
52. 제 1 내부원통 53. 제 2 수전코일
54. 제 2 내부원통 55. 제 3 수전코일
56. 제 3 내부원통 57. 코어부
58. 외경원통 59. 하부케이스
70. 3상 풍력발전 시스템

Claims (11)

  1. 요잉(yawing)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는 제 1 교류전원, 제 2 교류전원 및 제 3 교류전원에 대하여 각각의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송전코어;
    상기 송전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제 1 교류전원, 상기 제 2 교류전원 및 상기 제 3 교류전원에 각각 직접 연결되는 송전코일;
    상기 송전코어로부터 전송되는 각각의 교류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전코어; 및
    상기 수전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제 1 교류전원, 상기 제 2 교류전원 및 상기 제 3 교류전원으로부터 상기 송전코일을 통해 수신된 각각의 전력이 출력되는 수전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코어 및 상기 수전코어는,
    규소강판, 퍼멀로이(permalloy), 아몰퍼스(amorphous) 및 페라이트(ferrite)를 포함하는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코어 및 상기 수전코어는,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송전코어 및 상기 수전코어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코어는,
    중공형의 속이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 1 교류전원에 연결되는 제 1 송전코일이 감겨지는 제 1 내부원통과, 상기 제 2 교류전원에 연결되는 제 2 송전코일이 감겨지는 제 2 내부원통과, 상기 제 3 교류전원에 연결되는 제 3 송전코일이 감겨지는 제 3 내부원통이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동심원 형태로 각각 배치되어 다중 원통 구조로 형성되는 코어부;
    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코어부의 양 측면에 각각 연결되는 외경 바; 및
    상기 송전코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의 상기 코어부의 중공 부분은 개방되어 상기 코어부에 대응되는 중공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경 바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코어부의 상단의 양 측면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코어부의 측면을 따라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코어부의 측면과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코어부를 제작하기 위한 재료의 사용량을 절감하여 상기 무선전력전송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소화 및 소형화하는 동시에, 재료비 및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하단의 공극 부분이 절연재질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코어는,
    중공형의 속이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 1 교류전원으로부터 수신된 전력이 출력되는 제 1 수전코일이 감겨지는 제 1 내부원통과, 상기 제 2 교류전원으로부터 수신된 전력이 출력되는 제 2 수전코일이 감겨지는 제 2 내부원통과, 상기 제 3 교류전원으로부터 수신된 전력이 출력되는 제 3 수전코일이 감겨지는 제 3 내부원통이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동심원 형태로 각각 배치되어 다중 원통 구조로 형성되는 코어부;
    상기 코어부와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고 하단이 상기 코어부와 서로 연결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외경원통; 및
    상기 수전코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의 상기 코어부의 중공 부분은 개방되어 상기 코어부에 대응되는 중공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단의 공극 부분이 절연재질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는,
    상기 송전코어의 코어부 내측에 3상 풍력발전기의 요잉 구동부가 삽입되고 상기 수전코어의 코어부 내측에 3상 풍력발전기의 풍력타워가 삽입되는 형태로 풍력발전기에 설치되며,
    상기 송전코어의 바 형태의 상기 외경 바와 상기 수전코어의 상기 외경원통이 정렬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요잉 구동부의 회전에 관계없이 상기 요잉 구동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송전코일에서 발생된 자기장이 상기 풍력타워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수전코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는,
    상기 수전코어가 3상 풍력발전기의 요잉 구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전코어가 3상 풍력발전기의 풍력타워에 설치되어, 상기 송전코어와 상기 수전코어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
  11. 3상 풍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는 3상 풍력발전기;
    상기 3상 풍력발전기를 지지하기 위해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풍력타워; 및
    상기 3상 풍력발전기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풍력타워로 전송하기 위한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는,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3상 무선전력전송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됨으로써,
    풍력발전기의 요잉 구동부의 회전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꼬임이나 끊어짐으로 인한 고장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전력전송을 위한 구성을 보다 간소화하고 소형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풍력발전 시스템.
KR1020220069611A 2022-06-08 2022-06-08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상 풍력발전 시스템 KR20230168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611A KR20230168841A (ko) 2022-06-08 2022-06-08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상 풍력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611A KR20230168841A (ko) 2022-06-08 2022-06-08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상 풍력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841A true KR20230168841A (ko) 2023-12-15

Family

ID=89125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611A KR20230168841A (ko) 2022-06-08 2022-06-08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상 풍력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84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9393A (ko) 2007-10-18 2009-04-22 주식회사 플라스포 병렬형 인버터가 채용된 풍력발전 시스템
KR101586824B1 (ko) 2014-05-20 2016-01-21 유에프엠시스템즈 주식회사 전력효율을 높인 풍력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9393A (ko) 2007-10-18 2009-04-22 주식회사 플라스포 병렬형 인버터가 채용된 풍력발전 시스템
KR101586824B1 (ko) 2014-05-20 2016-01-21 유에프엠시스템즈 주식회사 전력효율을 높인 풍력발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61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otary machines
US80180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wind turbine
EP2492501B1 (en) Wind turbine
AU2013307405B2 (en) Wind farm with DC voltage network
EP2570661B1 (en) Inrush current protection for wind turbines and wind farms
US78430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ower in a wind turbine
US81217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nd turbine electric power generation
US20120136494A1 (en) Method of controlling reactive power in a wind farm
EP2503146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n electric energy production facility during a disconnection to a utility grid.
US20130147201A1 (en) Contactless power transfer device and method
US9178357B2 (en) Power generation and low frequency alternating current transmission system
EP2806159A1 (en) Wind power generating system
CN102904517A (zh) 励磁同步发电机最大功率追踪控制方法
CN102315811A (zh) 发电机的非正弦电流波形激励的系统和方法
KR20230168841A (ko)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3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상 풍력발전 시스템
CN102163850A (zh) 风力发电并网的切换系统及方法
WO2014021066A1 (ja) 発電システム
KR20100009387A (ko) 풍력 발전 시스템 시뮬레이터
CN101483371A (zh) 调速恒频发电机
CN103780194A (zh) 一种双馈电机的调速控制方法
EP3503381B1 (en) Methods for providing electrical power to wind turbine components
CN102377194A (zh) 风力发电并网的切换系统及方法
CN201138776Y (zh) 调速恒频发电机
KR102492225B1 (ko) 요잉 구동부에 적용 가능한 단상 전원의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KR20160002140U (ko) 풍력 발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