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712A - 화재진압 관창 - Google Patents

화재진압 관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712A
KR20230168712A KR1020220069336A KR20220069336A KR20230168712A KR 20230168712 A KR20230168712 A KR 20230168712A KR 1020220069336 A KR1020220069336 A KR 1020220069336A KR 20220069336 A KR20220069336 A KR 20220069336A KR 20230168712 A KR20230168712 A KR 20230168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suppression
panel
pip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여운
Original Assignee
김여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여운 filed Critical 김여운
Priority to KR1020220069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712A/ko
Publication of KR20230168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71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iercing walls, heaped materia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warehouses, storage areas or other installations for storing goo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05B15/656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whereby the flow conduit length is chang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재진압 관창을 제공한다. 타격부재 및 뾰족하게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여 창고의 패널을 파괴하여 창고 내부로 투입시킨 후, 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살수홀을 통해 물을 방사하여 패널 내부 및 화재실에 대한 냉각, 질식, 희석 및 소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연소확대를 방지 가능하여, 대형창고 화재 시 창고 내부로 소방대원이 진입할 필요 없이 화재 진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화재진압 관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진압 관창{Fire-fighting nozzle}
본 발명은 화재진압 관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고 화재 시, 타격부재 및 뾰족하게 형성된 삽입부를 통해 창고의 패널을 파괴 후 창고 내부로 투입시킨 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인 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살수홀을 통해 물을 방사하여 창고 화재 발생 시 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인력 투입 없이 화재 진압을 용이하게 하는 화재진압 관창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 쇼핑 등의 활성화에 따라 물류이동이 급증함에 따라서 전국 곳곳에 대형 물류창고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대형 물류창고는 안전보다는 빠른 배송과 효율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화재에 취약한 구조로, 화재 발생 시에 많은 재산 및 인적피해 발생을 초래한다.
특히, 물류창고의 외장패널은 급속한 연소확대를 유발하는데, 외장패널을 이루고 있는 우레탄 등의 재질이 유독성 가스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패널 내부의 우레탄 연소가 창고 전체로 연소가 확대되는 통로 역할을 하여 단시간 내에 많은 인명피해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현재는 물류창고 화재 발생 시에 무인방수파괴차 및 굴절차를 활용하고 있지만 이는 소방서 별 1대, 권역 별 1대 보유 중인 고가의 장비로 현장에 다수를 동원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창고외부에는 방수가 이루어져 있어 창고 내부로 불길이 확산되는 창고 화재에는 효과성이 떨어지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8602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타격부재 및 뾰족하게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여 창고의 패널을 파괴 후 창고 내부로의 투입이 가능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인 연장부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통해 투입된 패널 내에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살수홀을 통해 물을 방사하여 패널 내부 및 화재실에 대한 냉각, 질식, 희석 및 소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화재 시 패널을 통한 연소의 확대를 방지하고, 인력 투입 없이도 넓은 면적을 가진 창고의 화재 진압도 용이하도록 하는 화재진압 관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창고형 건물의 화재진압 시 패널 내로 투입하여 화재진압을 용이하도록 하는 화재진압 관창에 있어서, 상기 화재진압 관창은, 일측이 개방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인 본체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으로, 상기 본체부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본체부의 설정된 위치에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인 연결부; 및 상기 패널 내로 투입된 상기 화재진압 관창이 상기 패널 내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연장부의 설정된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원형 또는 다면체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타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부재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상기 패널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패널을 파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패널 내부로의 관통이 용이하도록 경사진 단부를 가지는 삽입부; 내부의 물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인 살수홀; 및 상기 연장부 내부로 물이 지나갈 수 있도록 형성되는 통로로, 상기 살수홀과 연결되는 수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살수홀은, 상기 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개가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살수홀 각각의 직경이 동일한 형태, 점차 좁아지는 형태, 점차 넓어지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로는, 상기 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직경이 점차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복수개의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이 다단 형성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연장부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측에 소방호스와 연결 가능하고, 개폐가 가능한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재진압 관창은 타격부재 및 뾰족하게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여 창고의 패널을 파괴 후 창고 내부로 투입이 가능하여 인력 투입 없이 넓은 면적의 창고도 화재진압 관창을 직렬로 연장하는 방법으로 진압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형창고 화재 시 창고 내부로 소방대원이 진입할 필요가 없어 소방대원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창고의 내부 및 외부에 다수의 화재진압 관창을 직렬 연결 후 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살수홀을 통해 물을 방사하여 패널 내부 및 화재실에 대한 냉각, 질식, 희석 및 소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연소확대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방법이 간단하여 별도의 조작요원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부를 통해 투입된 패널 내에서 화재진압 관창이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으며, 본체부와 연장부가 분리 가능하여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고, 복수개 살수홀 각각의 직경 차이를 주거나 수로의 직경 차이를 주어 화재진압 관창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관창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관창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의 다단 형성 예시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관창의 패널 투입 모습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관창의 사용 예시를 건물 외부에서 본 이미지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관창의 사용 예시를 건물 내부에서 본 이미지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관창(100)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관창(100)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130)의 다단 형성 예시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 관창(100)은 일측이 개방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인 본체부(110),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으로, 상기 본체부(110)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130), 상기 본체부(110)의 설정된 위치에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인 연결부(150) 및 건물의 패널 내로 투입되는 경우 상기 패널 내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연장부(130)의 설정된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2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연장부(130)는 도 1에 표시된 A지점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여 보관, 사용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70)는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패턴을 포함하여, 패널 내부에서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150)는 일측에 소방호스와 연결 가능하고, 개폐가 가능한 마개(15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화재진압 관창(100)은 상기 연결부(150)를 통해 연결된 소방호스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에 원형 또는 다면체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타격부재(11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타격부재(111)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상기 패널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패널을 파괴할 수 있다. 상기 타격부재(111)를 이루는 재질로 금속이 사용될 수 있으며, 건물의 외벽을 이루는 패널을 파괴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다양한 재료가 상기 타격부재(111)의 재질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130)는, 상기 패널 내부로의 관통이 용이하도록 경사진 단부를 가지는 삽입부(131), 내부의 물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130)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인 살수홀(132) 및 상기 연장부(130) 내부로 물이 지나갈 수 있도록 형성되는 통로로, 상기 살수홀(132)과 연결되는 수로(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살수홀(132)은, 상기 연장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개가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살수홀(132) 각각의 직경이 동일한 형태, 점차 좁아지는 형태, 점차 넓어지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수홀(132) 주변에 상기 고정부(170)가 위치하여 살수 부분이 패널 내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상기 살수홀(132) 각각의 간격을 동일하게 하거나 차이를 두어 압력을 조절 가능하다.
상기 수로(133)는, 상기 연장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직경이 점차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살수홀(132) 및 수로(133)의 직경을 변화시킨 상기 화재진압 관창(100)을 화재 현장 상황에 알맞게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상기 살수홀(132) 각각의 직경이 일정하고 상기 수로(133)의 직경이 상기 삽입부(131)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경우, 복수개의 상기 살수홀(132) 각각의 직경이 점차 좁아지고 상기 수로(133)의 직경이 상기 삽입부(131)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경우, 복수개의 상기 살수홀(132) 각각의 직경이 점차 넓어지고 상기 수로(133)의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등 다양하게 교차 적용하여 창고 내부가 좁은 공간인 경우, 넓은 공간인 경우, 잔불이 많은 경우 등의 화재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형태의 상기 화재진압 관창(100)으로 대응 할 수 있다.
도 3의 a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도 1에 표시된 B지점으로부터 상기 연장부(130)는, 복수개의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이 다단 형성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연장부(13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이처럼 다단으로 형성된 상기 연장부(130)는 화재 현장에 알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예시로 물류창고 이외에 쓰레기장 화재 등 가연물이 많이 쌓여 있는 경우에 상기 화재진압 관창(100)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여 깊은 화점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30)가 다단 형성 되는 경우 복수개의 연장부(130)가 각각 체결되는 방법으로는 일측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암수나사 체결형태로 체결되는 방법, 브라켓을 이용하는 방법, 복수개의 홈에 돌려 끼워 맞춤 체결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설정된 깊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집게 형태의 장치 등을 이용하여 패널 내로 투입된 상기 화재진압 관창(100)을 쉽게 패널로부터 분리하여 수거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관창(100)의 패널 투입 모습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관창(100)의 사용 예시를 건물 외부에서 본 이미지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관창(100)의 사용 예시를 건물 내부에서 본 이미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h는 수관을 나타내며, 상기 연결부(150)와 연결되어 상기 수로(133)로 물을 공급한다. A로 표시된 부분은 외부, B로 표시된 부분은 스티로폼, 글라스울,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진 패널, C로 표시된 부분은 창고형 건물 등의 내부로 화재가 발생한 구역, W로 표시된 부분은 분사되는 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창고형 건물 등의 외부를 상기 타격부재(111)를 이용하거나 굴절차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파괴 후에 상기 화재진압 관창(100)을 패널 내로 통과시켜 건물 내부의 화재실까지 투입함으로써, 패널내부 및 화재실에 대한 냉각, 질식, 희석, 소화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백드래프트 및 연기폭발 등의 연소 차단이 가능하여 화재 시 패널을 통한 연소 확대를 방지하고, 사고 위험이 높은 인력 투입을 필요로 하지 않아 소방대원의 순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화재진압 관창(100)의 활용 예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표시된 h는 수관으로 소방차의 소방호스를 나타내며, 화재 초기에 외장 패널을 뚫고, 상기 화재진압 관창(100)을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다수 직렬 설치하여 창고 외부로부터 설치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또한, 화재진압 관창(100)을 화재공간의 위, 좌우공간 등 전방위에 설치한 후 스프링쿨러처럼 일시에 살수하여 화재를 막을 수 있다.
도 6에 표시된 h 또한 수관으로 소방차의 소방호스를 나타내며, 건물 내부에서 상기 화재진압 관창(100)을 활용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화재 시에 방화셔터가 내려오면 화재실의 반대편 상부에 다수의 상기 화재진압 관창(100)을 직렬 설치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기존의 소방관창은 관창 1개당 관창수, 관창보조 등 1명 이상의 소방관이 동원되어 조작해야 할 뿐만 아니라 기존 관창에서 소방차까지 수관이 연결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과 수관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으며, 창고 화재시에는 소방관이 도끼 등으로 패널을 파괴하는 부분에 있어 어려움이 존재하고, 파괴된 패널을 통해서 창고 내부로 소화수를 방수하기 때문에 많이 시간이 소요되므로 화재현장에 인력, 수관, 소방차 등의 소방장비가 다수 필요하다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창고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 현재 화재진압 방식은 화재진압이 일부분에만 이루어지고 있고, 창고에 사용되는 패널은 철판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소화수의 침투가 어려워 화재 진압이 쉽지 않기 때문에 면적이 큰 대형 물류창고는 연소확대를 막을 특별한 방안이 없어 연소확대가 쉽게 이루어지고, 연소확대가 쉽게 이루어짐에 따라 투입된 소방관이 고립되고 최악의 상황 시 순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화재 연소확대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진압방법은 화재 및 연소확대가 예상되는 지점에 가능한 많은 소화수를 방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재진압 관창(100)은, 창고 길이에 맞는 적정길이만큼 다수의 상기 연장부(130) 및 수관을 연결한 상태에서 소방관이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창고 외벽 등에 해머를 이용하여 상기 타격부재(111)를 가격하면 뾰족하게 이루어진 상기 삽입부(131)가 빠른 시간 내에 패널을 뚫고 패널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패널 내부와 화재실에 동시 방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재 및 연소확대가 예상되는 창고 외벽과 내벽, 지붕 등에 다수의 화재진압 관창(100)을 직렬로 설치하여 일시에 물의 장막을 수직적, 수평적으로 형성하여 화재실을 둘러싸서 진압함으로써, 물의 기화열(539cal/g)로 화재 온도를 냉각하여 연기 폭발 온도를 낮추어 폭발현상을 방지하고, 화재 연소확대 속도를 낮추는 냉각효과를 줄 수 있으며, 물 입자가 수증기가 되면서 부피가 약 1700배로 팽창(1리터의 물이 1700리터로 부피 팽창하여 1.7톤의 소화수를 방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하여 화재실에 수증기가 가득 차면서 산소농도를 떨어뜨려 질식효과가 발생하고, 부피 팽창된 수증기가 패널내부 등에 가득 차게 되어 이상적인 방화벽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화재로 발생된 가연성 가스에 수증기가 포함되어 가스의 농도를 낮추는 희석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재진압 관창(100)은, 물 입자가 수증기가 되는 것으로 얻을 수 있는 냉각, 희석, 질식 효과를 이용하여 화재에 효과적이며 현재 물류창고에 사용되는 고가의 무인방수파괴차, 굴절차, 고가사다리차에 비교하여 매우 경제적이고 현장에서 신속한 장비 배치 후 별도 소방인력을 현장 내부로 투입할 필요가 없어 매우 안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화재진압 관창
110: 본체부
111: 타격부재
130: 연장부
131: 삽입부
132: 살수홀
133: 수로
150: 연결부
151: 마개
170: 고정부

Claims (7)

  1. 창고형 건물의 화재진압 시 패널 내로 투입하여 화재진압을 용이하도록 하는 화재진압 관창에 있어서,
    상기 화재진압 관창은,
    일측이 개방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인 본체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으로, 상기 본체부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본체부의 설정된 위치에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인 연결부; 및
    상기 패널 내로 투입된 상기 화재진압 관창이 상기 패널 내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연장부의 설정된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 관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원형 또는 다면체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타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부재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상기 패널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패널을 파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 관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패널 내부로의 관통이 용이하도록 경사진 단부를 가지는 삽입부;
    내부의 물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인 살수홀; 및
    상기 연장부 내부로 물이 지나갈 수 있도록 형성되는 통로로, 상기 살수홀과 연결되는 수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 관창.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살수홀은,
    상기 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개가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살수홀 각각의 직경이 동일한 형태, 점차 좁아지는 형태, 점차 넓어지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 관창.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로는,
    상기 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직경이 점차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 관창.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복수개의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이 다단 형성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연장부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 관창.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측에 소방호스와 연결 가능하고, 개폐가 가능한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 관창.
KR1020220069336A 2022-06-08 2022-06-08 화재진압 관창 KR20230168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336A KR20230168712A (ko) 2022-06-08 2022-06-08 화재진압 관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336A KR20230168712A (ko) 2022-06-08 2022-06-08 화재진압 관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712A true KR20230168712A (ko) 2023-12-15

Family

ID=89125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336A KR20230168712A (ko) 2022-06-08 2022-06-08 화재진압 관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71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229B1 (ko) 2016-11-25 2018-06-29 주식회사 파이어시스 미분무 및 분사 기능을 가진 소화용 관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229B1 (ko) 2016-11-25 2018-06-29 주식회사 파이어시스 미분무 및 분사 기능을 가진 소화용 관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13753A (en) Fog nozzle
KR20160130100A (ko) 화재 진압용 장비 및 화재진압 방법
EP1192973A1 (en) Usmanov's protection enclosure
CN215537956U (zh) 一种电动车充电站火灾自动报警灭火系统
Log et al. ‘Water mist’for fire protection of historic buildings and museums
KR20230168712A (ko) 화재진압 관창
CN107715353A (zh) 一种适用于多种火灾的智能启动消防柜
US11559714B1 (en) Piercing pipe fire suppression system
KR20110096461A (ko) 타격겸용 소방장치
KR100589038B1 (ko)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HK1044300A1 (en) Method for attenuating a heat flow and device for realising the same.
US6719214B1 (en) Fire-extinguishing device
Grimwood Flashover and nozzle techniques
US11844975B2 (en) Fire suppressant
US9314654B2 (en) Grantham mechanical ventilator for use in preventing flashover when fighting fires
US7748469B1 (en) Firefighting system
Ngo et al. Research and application of fire fighting techniques using hand-held nozzles
KR102156266B1 (ko) 건축물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
Tuśnio et al. New techniques and a new approach to the effective extinguishing of fully developed fires in enclosed spaces
JP3226843U (ja) 消火用ノズル
CN215136201U (zh) 一种野外大面积消防防火墙
KR20040090364A (ko) 수 방호막 형성용 분무장치
Menon et al. Handbook on Building Fire Codes
CN210488933U (zh) 一种大型造船厂的消防实训装置
RU189618U1 (ru) Пожарный переносной ство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