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534A - Contents Recommending method - Google Patents

Contents Recommend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534A
KR20230168534A KR1020220069141A KR20220069141A KR20230168534A KR 20230168534 A KR20230168534 A KR 20230168534A KR 1020220069141 A KR1020220069141 A KR 1020220069141A KR 20220069141 A KR20220069141 A KR 20220069141A KR 20230168534 A KR20230168534 A KR 20230168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user terminal
hashtag
inte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철
남궁두삼
Original Assignee
크리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리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9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534A/en
Priority to PCT/KR2023/007570 priority patent/WO2023239116A1/en
Publication of KR20230168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534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58Details of hyperlinks; Management of linked anno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속하는 카테고리에 따라 제공되는 콘텐츠 이외에, 사용자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타인의 사용자 관심 정보 및 그에 따른 콘텐츠를 접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실제 관심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되는 콘텐츠 서버에서 수행되며, a)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 또는 소비되는 콘텐츠에 부여되는 제1해시태그 및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한 객체 분석을 통해 결정되는 제2해시태그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제1해시태그 및 상기 제2해시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매슬로우(maslow) 카테고리로 매핑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동일한 상기 매슬로우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타 사용자 단말기의 제1해시태그 및 제2해시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관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관심 정보에 대응하는 신규관심 콘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신규관심 콘텐츠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매슬로우 카테고리에 따른 기존 관심 콘텐츠를 포함하는 매칭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content provided according to the category to which the user belong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ntent recommendation that allows the user to access and utilize user interest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content of others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as the user,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access a wider range of actual interests. suggest a metho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a content server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and a network, and a) a first hashtag assigned to content created or consumed in the user terminal and an object analysis of the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are determined. Extracting a second hashtag; b) mapping the user terminal to a Maslow category using the first hashtag and the second hashtag; c) extracting user interest information about the user terminal by referring to at least one of a first hashtag and a second hashtag of another user terminal classified into the same Maslow category as the user terminal; and d) extracting new interes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terest information, generating matching content including the new interest content and existing interest content according to the Maslow category of the user terminal, and providing the matching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Description

콘텐츠 추천 방법{Contents Recommending method}Content Recommending Method {Contents Recommending method}

본 발명은 콘텐츠 추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시태그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추출 후, 동일한 매슬로우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타 사용자의 사용자 관심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신규 관심사와 그에 해당하는 신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콘텐츠와 경험에 접근하도록 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after extracting content based on hashtags, new interests and corresponding new content are provided to the user by referring to user interest information of other users classified in the same Maslow category. It concerns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that provides users with access to various content and experiences.

통상, 해시태그를 이용하는 콘텐츠 추출방법은 사용자가 콘텐츠, 예컨대 웹 페이지나 웹 이미지 및 텍스트에 부여한 해시태그를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해시태그에 해당하는 타 콘텐츠를 추출한다. 추출된 콘텐츠는 사용자의 관심 정보로 등록되고, 사용자 관심 정보를 기준으로 콘텐츠 서버(또는 웹 서버, 이하 생략함)가 사용자의 관심정보와 매칭되는 콘텐츠를 추출할 때, 콘텐츠 서버에서 추출되는 사용자 관심 정보는 그 카테고리가 거의 변하지 않고 일정한 경향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콘텐츠 서버로 보내는 해시태그들은 오랜 시간에 걸쳐 누적되므로 경향성이 잘 변하지 않을 수 있다. Typically, a content extraction method using a hashtag refers to a hashtag given by the user to content, such as a web page, web image, or text, and extracts oth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hashtag to the user. The extracted content is registered as the user's interest information, and when the content server (or web server, hereinafter omitted) extracts content that matches the user's interest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interest information, the user's interest is extracted from the content server. Information has the characteristic that its categories rarely change and have a certain tendency. Additionally, the hashtags that users send to the content server accumulate over a long period of time, so their trends may not change easily.

예컨대, 동호회에서 주로 활동하는 사용자의 경우, 올리는 게시글이나 올려진 게시글에 대한 댓글의 내용이 동호회에서 활동하는 내용에 집중되므로, 해당 사용자의 관심 정보는 대부분이 동호회와 관련된 것이 주(main) 관심 정보일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user who is mainly active in a club, the contents of the posts or comments on the posted posts are focused on the content of the user's activities in the club, so most of the user's interest information is related to the club. It can be.

또한,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플랫폼에서 미용과 관련된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화장품이나 옷과 같은 매우 협소한 콘텐츠를 주로 생성하거나 소비하므로, 페이스북과 같은 콘텐츠 서버측에서 볼 때, 미용과 관련된 사용자의 카테고리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볼 수 있다.In addition, users who upload beauty-related content on social platforms such as Facebook mainly create or consume very narrow content such as cosmetics or clothes, so when viewed from the content server side such as Facebook, there is no beauty-related content.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category remains almost constant.

사용자가 콘텐츠 서버로 업로드하거나, 또는 타 사용자의 콘텐츠를 통해 소통하는 활동량을 근거로 추출하는 사용자의 관심 정보는 일견 타당하다. 그러나, 동호회 활동을 하는 사용자가 동호회 활동 이외의 분야에 대해서는 일절 무관심할 리가 없고,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플랫폼에서 미용과 관련된 콘텐츠에 관심이 많은 여성이 미용 이외에 일절 무관심할 리는 없는 것이다. 예컨대, 미용과 관련된 사용자가 맛집에 관심이 있거나 애완동물에 관심과 애정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At first glance, the user's interest information extracted based on the amount of activity the user uploads to the content server or communicates through other users' content is reasonable. However, it is impossible for a user who is active in a club to be indifferent to anything other than club activities, and it is impossible for a woman who is interested in beauty-related content on a social platform such as Facebook to be indifferent to anything other than beauty. For example, a user related to beauty may be interested in good restaurants or may have interest and affection for pets.

이에 본 출원인은 비슷한 유형의 사용자들이 갖는 사용자 관심 정보를 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관심분야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관심 정보에 따른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안을 고려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considered a method of extracting various areas of interest desired by actual users by utilizing user interest information of similar types of users and providing content to users according to the extracted user interest inform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7504 (사용자별 맞춤형 콘텐츠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007504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information for each use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4371 (태그 첨부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게시 콘텐츠 제공방법)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754371 (Method of providing tagged social network service posting content)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 카테고리에 속하는 타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참조하여 일정한 경향성을 갖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사용자 관심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신규 콘텐츠를 접하도록 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that provides new user interest information to users with certain tendencies by referring to the interest information of other users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and allows users to encounter new content through th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관심 정보가 시간에 따라 누적 산출되어 사용자가 특정 유형으로 고정되지 않도록 신규 콘텐츠와 매칭 콘텐츠를 혼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반응을 토대로 사용자의 새로운 관심사를 찾는 콘텐츠 추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users with a mixture of new content and matching content so that user interest information is calculated cumulatively over time so that users are not fixed on a specific type, and content that finds new interests of users based on user responses to this. It provides recommended methods.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되는 콘텐츠 서버에서 수행되며, a)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 또는 소비되는 콘텐츠에 부여되는 제1해시태그 및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한 객체 분석을 통해 결정되는 제2해시태그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제1해시태그 및 상기 제2해시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매슬로우(maslow) 카테고리로 매핑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동일한 상기 매슬로우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타 사용자 단말기의 제1해시태그 및 제2해시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관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관심 정보에 대응하는 신규관심 콘텐츠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매슬로우 카테고리에 따른 매칭 콘텐츠에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purpose is performed in a content server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and a network, and a) object analysis of the first hashtag assigned to the content created or consumed in the user terminal and the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Extracting a second hashtag determined through; b) mapping the user terminal to a Maslow category using the first hashtag and the second hashtag; c) extracting user interest information about the user terminal by referring to at least one of a first hashtag and a second hashtag of another user terminal classified into the same Maslow category as the user terminal; and d) extracting new interes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terest information, including it in matching content according to the Maslow category,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terminal.

여기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신규관심 콘텐츠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어 생성 또는 소비될 경우 상기 신규관심 콘텐츠를 상기 매칭 콘텐츠로 재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step d) may further include reclassifying the new interest content into the matching content when the new interest content is repeatedly created or consumed in the user terminal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여기서, 상기 신규 콘텐츠가 상기 매칭 콘텐츠로 재 분류되는 단계 이후, 상기 a) 및 상기 b) 단계를 통해 새로운 신규 콘텐츠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after the step of reclassifying the new content into the matching content, the step of extracting new new content through steps a) and b)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신규 관심정보는, 상기 매슬로우 카테고리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매슬로우 카테고리와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 사용자 단말기에서 공통으로 포함되는 제1 및 제2해시태그를 참조하여 추출될 수 있다.Here, the new interest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by referring to the first and second hashtags commonly included in at least one other user terminal that matches the Maslow category of the user terminal among the Maslow categories.

여기서, 상기 신규 관심정보는, 상기 타 사용자 단말기들에서 추출된 제1해시태그 및 제2해시태그에 대해 동의어 비교를 통해 추출되는 것아 바람직하다.Here, the new interest information is preferably extracted through synonym comparison of the first and second hashtags extracted from the other user terminals.

여기서, 상기 매슬로우 카테고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브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aslow category may include at least one subcategory with reference to user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여기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나이, 성별, 및 활동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ge, gender, and activity area.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카테고리에 따라 제공되는 콘텐츠 이외에, 사용자와 유사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타인의 사용자 관심 정보 및 그에 따른 콘텐츠를 접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실제 관심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ontent provided according to the user's own category, the user accesses user interest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content of others belonging to a similar category to the user,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access a wider range of actual interests.

본 발명에 따르면, 신규 콘텐츠도 사용자에 의해 반복 선택되면 기존 관심 콘텐츠로 분류하고, 사용자의 새로운 관심 정보와 그에 해당하는 신규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추출 및 제공하여 사용자의 경험과 관심사를 지속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new content is repeatedly selected by the user, it is classified as existing content of interest, and the user's new interest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new content are continuously extracted and provided to continuously expand the user's experience and interests.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추천 방법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콘텐츠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토대로 제2 해시태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버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버에서 신규 콘텐츠를 리뉴얼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Figure 1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thod for generating a second hashtag based on an image included in content.
Figure 3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t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thod for renewing new content in a cont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를 비롯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면서 화면(또는 터치스크린)에 콘텐츠를 표시 및 재생 가능한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것 이외에도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며 영상과 음성의 재생이 가능한 기기라면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기기로 도시하고 설명하도록 한다.The user terminal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may refer to a device that is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including a smartphone, tablet, laptop, or personal computer, and that can display and play content on a screen (or touch screen). In addition to those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ny device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and playback of video and audio may be a user terminal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e user terminal is shown and explained as a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관심 정보는 문장 내 위치와 문맥에 따라 "사용자의 관심 정보" 또는 "사용자 관심 정보" 중 하나로 기재되며, 상호 혼용될 수 있다.User interest information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is described as either “user interest information” or “user interest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context in the sentence,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콘텐츠 서버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 Social Network Service) 서버, 포털 서버, 웹 서버, 웹 또는 앱 기반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서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콘텐츠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가 요청하는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는 유형의 서버가 모두 해당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링크 및 스트리밍 링크를 비롯 이들의 선택적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콘텐츠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콘텐츠 서버는 이러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유형의 서버가 모두 해당될 수 있으며, 따로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content server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server, a portal server, a web server, and a content provision server that provides web- or app-based image or video content. A content server refers to any type of server that can provide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The content desired by the user includes text, images, videos, links, and streaming links, and is created by selective combination of these. It could be content. Accordingly, the content server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any type of server that provides such content, and is not specifically limit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추천 방법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Figure 1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추천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와 네트워크 접속되는 콘텐츠 서버(100)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현되며, 콘텐츠 서버(1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가 어떤 콘텐츠를 생성하고 소비하는가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를 매슬로우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implement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user terminals 10a to 10n and a content server 100 connected to a network, and the content server 100 is a user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network. User terminals 10a to 10n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Maslow categories with reference to what content the terminals 10a to 10n generate and consume.

매슬로우(maslow) 카테고리는 인간의 욕구를 7가지로 구분한 것으로, 사용자는 매슬로우 카테고리 7가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Maslow's categories divide human needs into seven categories, and users can be classified into at least one or two of the seven Maslow categories.

매슬로우 카테고리는,Maslow's categories are:

1) 생물학적, 물리적 욕구1) Biological and physical needs

2) 안전의 욕구2) Need for safety

3) 소속감과 사랑의 욕구3) Need for belonging and love

4) 존경의 욕구4) Need for respect

5) 인지적 욕구5) Cognitive needs

6) 심미적 욕구6) Aesthetic needs

7) 자기실현의 욕구로 구획되는데, 콘텐츠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에서 소비되고 생성되는 콘텐츠를 통해 각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를 매슬로우 카테고리로 분류하게 된다.7) It is divided by the desire for self-actualization, and the content server 100 classifies each user terminal (10a to 10n) into Maslow categories through the content consumed and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중 어느 하나)에서 음식과 맛집에 대한 해시태그가 붙은 콘텐츠가 생성되고, 해당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댓글)과 피드백에 대한 응답(답글)이 활발하다고 가정할 때, 콘텐츠 서버(100)는 해당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를 매슬로우 카테고리 중 1) 생물학적, 물리적 욕구 및 3) 소속감과 사랑의 욕구로 분류할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content with hashtags about food and restaurants is created on a user terminal (any one of 10a to 10n), and that feedback (comments) for the content and responses to the feedback (replies) are active, The content server 100 may classify users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any one of 10a to 10n) into Maslow's categories: 1) biological and physical needs, and 3) needs for belonging and love.

음식이나 맛집에 대한 콘텐츠를 생성하고 콘텐츠 서버로 업로드하는 행위 및 업로드된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과 응답 행위는 음식이나 맛집에 대한 관심사가 유사한 타인과 상호 교감을 주고받는 행위에 해당하는 바, 항목 3)에 해당하며, 음식이나 맛집에 대한 콘텐츠 자체는 항목 1)에 해당한다. 여기에 더하여,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 중 어느 하나)를 통한 액션에 따라, 해당 콘텐츠는 나머지 매슬로우 카테고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콘텐츠 생성자와 콘텐츠 소비자(타인)간의 유대관계나 상호 존중(상대 콘텐츠에 대한 추천 행위)의 행위 및 그 행위의 빈도에 따라 매슬로우 카테고리 중 4)나 7)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콘텐츠 서버(100)는 각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를 복수의 매슬로우 카테고리에 맵핑한다. 맵핑된 이후, 콘텐츠 서버(100)는 매슬로우 카테고리 + 사용자 관심 정보를 조합하고 여기에, 각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별 활동 지역, 연령, 성별과 같은 사용자 정보로 필터링하여 사용자간 유사성을 추출할 수 있다.The act of creating content about food or restaurants and uploading it to the content server, as well as providing feedback and responses to the uploaded content, correspond to the act of interacting with others who have similar interests in food or restaurants, item 3) , and the content about food or restaurants itself falls under item 1).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action taken through the user terminal (any one of 10a to 10n), the content may further include the remaining Maslow categories. For example, 4) or 7) of Maslow's categories may be further included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creator and the content consumer (other person) or the act of mutual respect (recommendation of the other's content) and the frequency of the act.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content server 100 maps each user terminal (10a to 10n) to a plurality of Maslow categories. After mapping, the content server 100 combines Maslow categories + user interest information and filters it with user information such as activity area, age, and gender for each user terminal 10a to 10n to extract similarities between users. You can.

예컨대, 옷에 대한 관심이 많은 사용자라 하더라도 남성의 옷과 여성의 옷이 다르고, 동일한 여름옷이라도 연령대별로 관심을 가지는 옷의 형상이 다르며, 옷가게에 대한 관심이 동일하다 하더라도 서울과 부산에 위치하는 아울렛이나 매장의 위치 및 재고 상품이 차별되므로 서로 다른 사용자가 유사한 관심분야를 매칭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별로 유사성을 매칭하기 위한 필터링이 요구될 수 있다.For example, even for users who are very interested in clothes, men's clothes and women's clothes are different, even for the same summer clothes, the shapes of clothes people are interested in are different for each age group, and even if the interest in clothes stores is the same, there are two stores located in Seoul and Busan. Since the locations and inventory products of outlets or stores are differentiated, filtering to match similarities for each user terminal 10a to 10n may be required in order to match similar interests between different users.

이러한 필터링은 콘텐츠 서버(100)가 타인의 관심사에 따른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 중 어느 하나)로 제공할 때 요구되는 것으로서 추후 상술하도록 한다.This filtering is required when the content server 100 provides content according to other people's interests to the user terminal (any one of 10a to 10n)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상기한 매슬로우 카테고리 및 사용자 관심 정보는 사용자가 소비하는 콘텐츠 및 사용자가 생성하는 콘텐츠에 포함되는 해시태그를 통해 추출될 수 있다. 해시태그는 콘텐츠를 생성할 때, 부여되며, 본 발명에서 콘텐츠 생성 시 부여되는 해시태그를 제1 해시태그 또는 콘텐츠 해시태그라 지칭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The Maslow categories and user interest information described above can be extracted through hashtags included in content consumed by users and content created by users. Hashtags are given when creating content,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shtag given when creating content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hashtag or content hashtag and described.

콘텐츠에 부여되는 제1 해시태그는 콘텐츠의 주요 내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에서 사용자의 주관에 따라 부여된 제1 해시태그가 콘텐츠에 대한 모든 것을 담고 있다고 보기에는 곤란함이 있다. 제1 해시태그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부여되기 때문에 콘텐츠에 포함되는 다양한 정보들이 누락될 수 있고, 사용자가 생각한 것만이 등록되거나 누락될 가능성이 상존한다.The first hashtag assigned to the content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main content of the cont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view that the first hashtag assigned according to the user's subjectivity in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contains everything about the content. Since the first hashtag is assigned from the user's perspective, vario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may be omitted, and there is always a possibility that only what the user thought of will be registered or omitted.

이에, 본 출원인은 콘텐츠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통해 또 다른 해시태그를 추출하는 방안을 고려하게 되었다. 이미지를 통해 추출되는 해시태그를 제2 해시태그 또는 이미지 해시태그라 지칭하고 설명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considered a method of extracting another hashtag through images included in the content. Hashtags extracted through images are referred to as second hashtags or image hashtags and explained.

콘텐츠 서버(100)는 콘텐츠에 포함되는 이미지로부터 제2 해시태그를 추출하고 제1 해시태그와 제2 해시태그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를 매슬로우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The content server 100 may extract a second hashtag from an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and classify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according to Maslow categories by referring to the first and second hashtag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 서버(100)는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해시태그들을 학습 데이터로 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심리 테스트 결과 결정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매슬로우 카테고리를 상기 학습 데이터에 대한 라벨로 하여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켜 매슬로우 카테고리 분류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매슬로우 카테고리 분류 모델에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에 대해 추출되는 상기 제1 해시태그 및 상기 제2 해시태그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를 매슬로우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ent server 100 uses hashtags for a plurality of users as learning data, and determines the Maslow categor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as a result of a psychological tes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s trained using the training data as a label to create a Maslow category classification model, and the first and second hashtags are extracted for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from the created Maslow category classification model. By entering ,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Maslow categories.

따라서 콘텐츠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의 사용자 자신의 해시태그에 기반한 콘텐츠뿐만 아니라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타인의 해시태그에 기반하여 추출되는 신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또 다른 콘텐츠에 지속적으로 노출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content server 100 provides the user with new content extracted based on the hashtags of others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as well as content based on the user's own hashtags of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interest. You can continue to be exposed to other content worth having. This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콘텐츠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토대로 제2 해시태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Figure 2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thod for generating a second hashtag based on an image included in content.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콘텐츠에 포함되는 이미지(image 1 내지 image 3)는 사용자가 미처 인지하여 못하고 제1 해시태그로 등록하지 않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ogether, images (image 1 to image 3) included in the content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that the user is not aware of and has not registered as the first hashtag.

예컨대, 이미지(image 1)가 침대를 배경으로 아이폰을 촬영한 이미지이고, 이미지(image 1)에는 아이폰이 제1 해시태그로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콘텐츠 서버(100)는 이미지(image 1)에 대한 이미지 분석 작업을 통해 침대를 제2 해시태그로 추출할 수 있다. 제1 해시태그로서 아이폰이 선택되었다 하더라도, 사용자는 침대 가구점에서 종사하는 사람이거나, 또는 침대 구매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라고 판단할 수 있는 바, 콘텐츠 서버(100)는 "침대"를 제2 해시태그로 추출하고 이를 제1 해시태그와 결합하여 매슬로우 카테고리를 추정함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image (image 1) is an image taken of an iPhone with a bed in the background, and that the iPhone is registered as the first hashtag in the image (image 1), the content server 100 Through image analysis, the bed can be extracted as a second hashtag. Even if iPhone is selected as the first hashtag,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s a person who works at a bed furniture store or is a user interested in purchasing a bed, and the content server 100 uses “bed” as the second hashtag. It is desirable to estimate the Maslow category by extracting and combining it with the first hashtag.

이미지 추출은 이미지에 포함되는 객체(object)를 추출하는 과정에 의해 도출되며, 이러한 객체 추출 프로그램은 현재 상용화된 인공지능(AI) 객체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요지는 이미지(image 1 내지 image 3)에 부여된 제1 해시태그에 의존하여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특정 짓지 않고 이미지(image 1 내지 image 3)에 포함되는 객체들을 추출하여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추가적으로 추출하는데 있다. Image extraction is derived by the process of extracting objects included in the image, and this object extraction program can be implemented by a currently commercialized artificial intelligence (AI) object recognition program. The point is to extract the objects included in the images (image 1 to image 3) without specifying the user's interest information by relying on the first hashtag assigned to the image (image 1 to image 3) to additionally extract the user's interest information. I'm doing it.

만일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에서 콘텐츠 서버(100)로 제공되는 이미지에서 지속적으로 침대에 해당하는 객체가 추출되는 경우, 콘텐츠 서버(100)는 제2 해시태그인 "침대"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 중 어느 하나)가 가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가중치는 서로 다른 여러 시간대에서 동일한 객체(예컨대 침대)가 식별될 때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일한 객체(예컨대 침대)가 장시간에 걸쳐 반복되는 횟수에 비례하여 가중치의 값이 증가되는 형태로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bed is continuously extracted from images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to the content server 100, the content server 100 assigns weight to the second hashtag, “bed” an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any one of 10a to 10n) is closely related to the furniture.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weights are assigned when the same object (such as a bed) is identified at different times, and the weight value i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imes the same object (such as a bed) is repea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desirable to be

한편, 해시태그는 동의어 비교를 통해 동일한 단어로 인식될 수 있다. 예컨대, 제2해시태그를 통해 "침대"라는 해시태그를 얻었고,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m 중 어느 하나)에서 콘텐츠에 "가구"라는 해시태그를 부여하였다고 가정할 때, 사용자 콘텐츠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m 중 어느 하나)에서 부여한 제1해시태그(가구)와 제2해시태그(침대)를 등가인 것으로 인식하고 처리할 수도 있다. Meanwhile, hashtags can be recognized as the same word through synonym comparison.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hashtag “bed” is obtained through the second hashtag, and that the user terminal (any one of 10a to 10m) assigns the hashtag “furniture” to the content, the user content server 100 The first hashtag (furniture) and the second hashtag (bed) given by the user terminal (any one of 10a to 10m) may be recognized and processed as equivalent.

이러한 등가 비교에 의한 해시태그 비교는 자칫 다르게 식별될 수 있는 해시태그를 침대 대비 상위개념인 가구로 통일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자 관심 정보를 개별 침대가 아니라 가구라는 관점으로 전환하고 다른 가구(식탁, 의자, 책상 등)로 연관될 수 있도록 한다. Hashtag comparison through this equivalent comparison unifies hashtags that can be identified differently into furniture, which is a higher concept compared to beds, thereby converting the user's interest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furniture rather than individual beds and other furniture (tables, chairs, desk, etc.).

도 2에서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는 A 내지 I로 대변되는 사용자로 매핑되고, A 내지 D로 정의되는 사용자 단말기는 동일 카테고리(카테고리 1)에 속하는 것을 볼 수 있다.In FIG. 2, it can be seen that user terminals 10a to 10n are mapped to users represented by A to I, and user terminals defined by A to D belong to the same category (category 1).

동일 카테고리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기(A 내지 D) 중 사용자 단말기(A)는 강남, 떡볶이, 라면과 같은 해시태그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기(C)는 강남, 음식점, 맛집과 같은 해시태그를 포함한다.Among the user terminals (A to D)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the user terminal (A) includes hashtags such as Gangnam, tteokbokki, and ramen, and the user terminal (C) includes hashtags such as Gangnam, restaurant, and delicious restaurant.

사용자 단말기(A 내지 D)에 포함되는 해시태그는 제1 해시태그 및 제2 해시태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Hashtags included in user terminals (A to D) include at least one first hashtag and one second hashtag.

카테고리 1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기(A, C)는 활동 지역이 동일하고(강남), 음식에 대해 관심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만일 사용자 단말기(A)에 대해서만 사용자 관심 정보를 추출한다면, 강남 지역의 분식집 위주로 사용자 단말기(A)에 대한 콘텐츠를 추출하고 사용자 단말기(A)로 제공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s (A, C) included in category 1 have the same activity area (Gangnam) and can be seen as being interested in food. If user interest information is extracted only for the user terminal (A), the Gangnam area Content for the user terminal (A) may be extracted mainly from the snack restaurant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

그러나, 카테고리 1이라는 동일 카테고리 내에서 타 사용자 단말기(C)에서 추출된 해시태그에는 분식과는 조금 다른, 그러나 음식과 관련된 해시태그가 포함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hashtags extracted from other user terminals (C) within the same category, Category 1, include hashtags that are slightly different from snack foods but are related to food.

콘텐츠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C)가 사용자 단말기(A)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것에 착안하여, 사용자 단말기(C)에 포함되는 사용자 관심 정보를 사용자(A)의 관심정보에 일부 포함시킬 수 있다.Considering that the user terminal (C) is included in the same category as the user terminal (A), the content server 100 may include some of the user interes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C) in the interest information of the user (A). You can.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A)는 콘텐츠 서버(100)로부터 강남지역의 떡볶이나 라면과 같은 분식 관련 콘텐츠 이외에 강남지역의 맛집이나 음식점 정보를 콘텐츠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A) can receive from the content server 100 information on restaurants or restaurants in the Gangnam area in addition to snack-related content such as tteokbokki or ramen in the Gangnam area.

이는 사용자 단말기(A)의 해시태그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A)에서 콘텐츠 서버(100)로 요청하지 않았어도 사용자 단말기(A)로 제공되었을 때, 사용자 단말기(A)의 사용자가 충분히 관심을 가지고 접근할 여지가 있는 콘텐츠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신의 해시태그에 기반하지 않고 유사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타인의 사용자 관심 정보에 따른 콘텐츠를 획득하는 일을 콘텐츠 확장이라 지칭하도록 한다.This was not included in the hashtag of the user terminal (A), and even if the user terminal (A) did not request it from the content server 100, when it wa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A) was sufficiently interested. It can be viewed as accessible cont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acquiring content based on user interest information of others belonging to a similar category rather than based on one's own hashtag is referred to as content expansion.

상기한 콘텐츠 확장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에게 해당하는 해시태그(제1 해시태그 및 제2 해시태그) 이외에 자신과 유사한, 그래서 자신이 관심을 가질 만한 또 다른 콘텐츠에 노출될 가능성이 증가한다.By expanding the content described above, the possibility of being exposed to other content similar to the user and therefore of interest to the user increases in addition to the hashtags corresponding to the user (the first hashtag and the second hashtag).

이러한 그루핑 기법은 하나의 사용자 관심 정보가 그룹에 속하는 다양한 사용자 관심 정보와 영향을 주고받아 확장되어 사용자의 관심사가 지속적으로 확장되면서 사용자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is grouping technique expands one user's interest information by exchanging influence with various user interest information belonging to the group, allowing the user's interest to continuously expand and attract the user's attention. This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ure 3.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버(100)의 개념도를 도시한다.Figure 3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content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콘텐츠 서버(100)는 이미지 추출부(110), 해시태그 추출부(120) 및 카테고리 분류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ogether, the content server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mage extraction unit 110, a hashtag extraction unit 120, and a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140.

이미지 추출부(110)는 각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별로 수행되며, 각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생성되거나 소비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해 객체(object)를 추출할 수 있다. 객체 추출 후, 추출된 객체에는 명칭이 부여되며, 추출된 명칭은 제2 해시태그에 해당한다.The image extraction unit 110 is performed for each user terminal 10a to 10n and can extract an object from an image included in content created or consumed by each user terminal 100. After object extraction, a name is given to the extracted object, and the extracted name corresponds to the second hashtag.

해시태그 추출부(120)는 각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를 통해 각 사용자가 콘텐츠에 부여한 제1 해시태그를 추출하고, 이미지 추출부(110)에서 추출된 제2 해시태그를 획득한다. 해시태그 추출부(120)에서 추출된 제1 해시태그 및 제2 해시태그는 카테고리 분류부(140)에 제공되고, 카테고리 분류부(140)는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에 고유정보(A1 내지 N3)를 부여하여 사용자 및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에 대한 정보를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히든 상태로 관리될 수 있다.The hashtag extraction unit 120 extracts the first hashtag assigned to the content by each user through each user terminal (10a to 10n) and obtains the second hashtag extracted from the image extraction unit 110. The first and second hashtags extracted from the hashtag extraction unit 120 are provided to the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140, and the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140 provides unique information (A1 to A1) to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By assigning N3),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can be managed in a hidden state so that personal information is not exposed.

필터부(130)는 1차 해시태그, 2차 해시태그로 각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를 구획한 후, 각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의 사용자 정보, 예컨대, 나이, 성별, 행동 지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에 대한 카테고리 분류를 세분화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130 divides each user terminal (10a to 10n) into a primary hashtag and a secondary hashtag, and then divides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into user information, such as age, gender, and activity area. Accordingly, the category classification for user terminals 10a to 10n can be subdivided.

예컨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가 하나의 카테고리(P1)에 속한다 하더라도, 사용자 정보에 따라 그룹핑하여 P1, P1' 및 P1"과 같이 세분화할 수 있다. 즉, 카테고리(P1', P1")는 단일 카테고리(P1) 내에서 구성되는 서브 카테고리에 해당하는데, 서브 카테고리(P1', P1")는 본질상 상위 카테고리(P1)과 동일하되, 다만 동일한 집단 구성을 위해 확장된 유형에 해당한다.For example, even i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a to 10n belong to one category (P1), they can be grouped according to user information and subdivided into P1, P1', and P1". That is, the categories (P1', P1 ") corresponds to a subcategory comprised within a single category (P1). The subcategory (P1', P1") is essentially the same as the upper category (P1), but corresponds to an expanded type to form the same group. do.

카테고리 분류부(140)는 필터부(130)에 의해 필터링된 상위 카테고리 및 서브 카테고리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를 그룹핑하며, 이때 그룹핑 은 제1 해시태그와 제2 해시태그, 그리고 각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의 행동 패턴을 참조하여 처리되고, 각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에 고유정보(예컨대 참조부호 A1 내지 N3)를 부여받을 수 있다.The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140 groups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with reference to the upper category and sub-category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30. At this time, the grouping includes the first hashtag, the second hashtag, and each It is processed with reference to the behavior patterns of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and each user terminal 10a to 10n can be given unique information (for example, reference numerals A1 to N3).

각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는 고유정보(A1 내지 N3)가 부여되고, 각 고유정보는 상위 카테고리(P1 내지 Pn)로 분류되고,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상위 카테고리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Each user terminal (10a to 10n) is given unique information (A1 to N3), each unique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upper categories (P1 to Pn), an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user using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is provided. For reference, a higher-level category may include at least one sub-category.

상위 카테고리(P1 내지 Pn) 및 각 상위 카테고리(P1 내지 Pn)에 속하는 서브 카테고리에 속하는 각 사용자 단말기(10a 내지 10n)는 자신만의 고유한 해시태그 및 사용자 관심 정보를 포함한다.Each user terminal (10a to 10n) belonging to the upper category (P1 to Pn) and the subcategories belonging to each upper category (P1 to Pn) includes its own unique hashtag and user interest information.

동일한 카테고리(상위 카테고리 및 각 상위 카테고리에 대한 서브 카테고리)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A1 내지 A3)는 서로 유사한 관심을 가진 사용자 집단일 가능성이 높고, 이들의 집단의 유사점은 타인의 관심사가 곧 나의 관심사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User terminals (e.g., A1 to A3)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parent category and subcategories for each parent category) are likely to be a group of users with similar interests, and the similarity between these groups means that other people's interests are my interests. It means that it can be.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A1)의 사용자 관심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기(A2)에 제공하였을 때, 사용자 단말기(A2)에서 흥미를 가지고 소비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사용자 단말기(A1)의 사용자 관심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B3)에 제공하였을 경우, 사용자 단말기(B3)에서 소비될 가능성이 매우 적어진다. For example, when user interest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content of the user terminal A1 ar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2,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user terminal A2 will be interested in consuming them.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nterest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 of the user terminal A1 ar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B3, the possibility of them being consumed in the user terminal B3 is very low.

마찬가지로, 카테고리(P1)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기(A1)의 사용자 관심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카테고리(P1')나 카테고리(P1")에 제공하였을 때 카테고리(P1', P1")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해당 콘텐츠가 소비될 확률은 감소할 수 있다. 성별과 나이와 같은 차이는 동일한 주제에 대해서도 동일한 반응을 얻기 어려운데 따른다. Similarly, when user interest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content of a user terminal (A1) belonging to the category (P1) are provided to the category (P1') or category (P1"), the user terminal belonging to the category (P1', P1") The probability of the content being consumed may decrease. Differences such as gender and age make it difficult to obtain the same response to the same topic.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버에서 신규 콘텐츠를 리뉴얼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Figure 4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thod for renewing new content in a cont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버(100)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된 매슬로우 카테고리, 및 각 카테고리별 서브 카테고리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관심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매칭되는 신규관심 콘텐츠와 기존에 사용자 단말기(10a)의 기존 관심 콘텐츠를 결합하여 매칭 콘텐츠를 생성하고, 매칭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0a)로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content serv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extracts user interes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Maslow categories explained through FIGS. 1 to 3 and subcategories for each category, and creates new interests matching the Maslow categories. Matching content is created by combining content and existing content of interest of the user terminal 10a, and the matching content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a.

여기서, 매칭 콘텐츠(S0)는 일부만 신규관심 콘텐츠(S1)에 할당하고, 대부분은 매슬로우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된 것으로 할당되는데, 신규관심 콘텐츠(S1)는 사용자 단말기(10a)의 제1 해시태그 및 제2 해시태그에 의해 추출된 것이 아니라 동일한 카테고리(또는 서브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타 사용자의 사용자 관심 정보에 따라 추출된 것에 해당한다. 즉, 매칭 콘텐츠(S0)의 일부(S1)는 사용자 단말기(10a)의 해시태그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가 아니라는 점이다. Here, only a portion of the matching content (S0) is assigned to the new interest content (S1), and most of it is assigned as classified according to Maslow's categories. The new interest content (S1) is the first hashtag and the first hashtag of the user terminal (10a). 2 It is not extracted by hashtags, but by user interest information of other users included in the same category (or subcategory). In other words, part (S1) of the matching content (S0) is not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hashtag of the user terminal (10a).

사용자 단말기(10a)가 매칭 콘텐츠(S0)를 조회하고 참여하면서 신규관심 콘텐츠(S1)를 소비하면, 콘텐츠 서버(100)는 신규관심 콘텐츠(S1)가 사용자 단말기(10a)에서 소비된 횟수와 빈도를 카운트할 수 있다. When the user terminal (10a) views and participates in the matching content (S0) and consumes the new content of interest (S1), the content server 100 determines the number and frequency of the new content of interest (S1) consumed by the user terminal (10a). can be counted.

예컨대, 동일한 매슬로우 카테고리에 속하는 타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관심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신규관심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기(10a)로 제공되고, 사용자 단말기(10a)에서 해당 콘텐츠를 선택 및 소비하는 경우 콘텐츠 서버(100)는 신규관심 콘텐츠(S1)에 해당하는 사용자 관심 정보의 소비 횟수와 소비 빈도를 누적 카운트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횟수와 소비 빈도를 만족할 경우, 콘텐츠 서버(100)는 신규관심 콘텐츠(S1)를 기존관심 콘텐츠로 전환하며, 이후, 또 다른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관심 정보를 조회하여 새로운 신규관심 콘텐츠(S2)를 생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새로운 매칭 콘텐츠(S0)를 작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a)로 제공하게 된다. 즉, 매칭 콘텐츠(S0)는 일회성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며, 콘텐츠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10a)에서 소비되지 않은 새로운 콘텐츠와 사용자 관심 정보를 지속적으로 찾아서 새로운 매칭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갱신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For example, when user interest information of other user terminals belonging to the same Maslow category and a number of new interest contents corresponding thereto ar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a, and the user terminal 10a selects and consumes the content, the content server ( 100) may cumulatively count the consumption number and consumption frequency of user intere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new interest content (S1). If the preset number and consumption frequency are satisfied, the content server 100 converts the new content of interest (S1) into the existing content of interest, and then searches the user interest information of another user terminal to create a new content of new interest (S2). is created and new matching content (S0) including it is create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a). In other words, the matching content (S0) is not fixed once and the content server 100 continuously searches for new content and user interest information that has not been consumed in the user terminal (10a) and continuously updates new matching content. There is.

한편, 개인의 관심사는 특정 분야에서 다른 분야로 계속하여 변경될 수 있다. 즉, 과거에는 개인의 관심 정보였지만 현재에는 더 이상 관심 정보가 아닐 수 있고, 새로운 분야가 관심 정보일 수 있다.Meanwhile, an individual's interests may continuously change from one field to another. In other words, it was information of personal interest in the past, but may no longer be information of interest in the present, and a new field may be information of interest.

따라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 서버(100)는 매칭 콘텐츠(S0)에 포함되어 사용자 단말기(10a)에 제공된 신규관심 콘텐츠(S1) 중에서 사용자 단말기(10a)에 의해 선택되어 소비된 횟수 및 빈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임계치를 넘어서는 경우 해당 신규관심 콘텐츠(S1)를 기존관심 콘텐츠로 전환할 뿐만 아니라, 기존관심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 단말기(10a)에 의해 선택되어 소비된 횟수 및 빈도가 미리 설정된 제2 임계치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를 기존관심 콘텐츠로부터 삭제하고, 동일한 매슬로우 카테고리에 속한 다른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관심 정보를 조회하여 새로운 신규관심 콘텐츠(S2)를 생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새로운 매칭 콘텐츠(S0)를 작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a)로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in one embodiment, the content server 100 determines the number and frequency of new content of interest (S1) included in the matching content (S0)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a) selected and consumed by the user terminal (10a). If it exceeds the preset first threshold, the new content of interest (S1) is not only converted to content of existing interest, but also the number and frequency of being selected and consumed by the user terminal 10a among the existing content of interest is set to a second threshold. If it does not meet the requirements, delete the relevant content from the existing content of interest, search the user interest information of other user terminals belonging to the same Maslow category, create new new content of interest (S2), and create new matching content (S0) including it. This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a).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 과거의 관심 정보는 삭제하고 현재의 관심사에 집중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콘텐츠들을 추천하기 위해, 콘텐츠 서버(100)는 미리 정해진 일정 기간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10a)에 대해 생성된 제1 해시태그 및 제2 해시태그는 삭제하고 상기 일정 기간 이후에 사용자 단말기(10a)에 대해 생성된 제1 해시태그 및 제2 해시태그를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a)를 매슬로우 카테고리로 재맵핑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n order to recommend various contents to the user by deleting past interest information and focusing on current interests, the content server 100 may provide information generated for the user terminal 10a before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Deleting the first hashtag and the second hashtag and remapping the user terminal 10a to the Maslow category using the first hashtag and the second hashtag generated for the user terminal 10a after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operation can also be performed periodically.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추천 방법은 사용자가 현재 시점에서 관심이 있거나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높은 콘텐츠에 지속적으로 노출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경험과 관심사를 효과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expand the user's experience and interests by continuously exposing the user to content that the user is interested in or is likely to be interested in at the current time.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실제 관심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경험과 관심사를 지속적으로 확장시키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a content provision ser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to enable users to access a wider range of real-life interests and to continuously expand the user's experience and interest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modified and changed.

100 : 콘텐츠 서버 110 : 이미지 추출부
120 : 해시태그 추출부 130 : 필터부
140 : 카테고리 분류부
100: content server 110: image extraction unit
120: Hashtag extraction unit 130: Filter unit
140: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Claims (9)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되는 콘텐츠 서버에서 수행되며,
a)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 또는 소비되는 콘텐츠에 부여되는 제1해시태그 및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한 객체 분석을 통해 결정되는 제2해시태그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제1해시태그 및 상기 제2해시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매슬로우(maslow) 카테고리로 매핑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동일한 상기 매슬로우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타 사용자 단말기의 제1해시태그 및 제2해시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관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관심 정보에 대응하는 신규관심 콘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신규관심 콘텐츠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매슬로우 카테고리에 따른 기존 관심 콘텐츠를 포함하는 매칭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
It is performed on a content server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nd network.
a) extracting a first hashtag assigned to content created or consumed in the user terminal and a second hashtag determined through object analysis of an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b) mapping the user terminal to a Maslow category using the first hashtag and the second hashtag;
c) extracting user interest information about the user terminal by referring to at least one of a first hashtag and a second hashtag of another user terminal classified into the same Maslow category as the user terminal; and
d) extracting new interes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terest information, generating matching content including the new interest content and existing interest content according to the Maslow category of the user terminal, and providing the matching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신규관심 콘텐츠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어 생성 또는 소비될 경우 상기 신규관심 콘텐츠를 상기 기존 관심 콘텐츠로 재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reclassifying the new interest content into the existing interest content when the new interest content is repeatedly created or consumed in the user terminal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관심 콘텐츠가 상기 기존 관심 콘텐츠로 재 분류되는 단계 이후,
상기 a) 내지 상기 c) 단계를 통해 상기 사용자 관심 정보에 대응하는 새로운 신규 콘텐츠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2,
After the step of reclassifying the new content of interest to the existing content of interest,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extracting new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terest information through steps a) to c).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기존 관심 콘텐츠 중의 일부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최소 횟수 미만으로 생성 또는 소비될 경우 상기 기존 관심 콘텐츠 중의 상기 일부를 상기 기존 관심 콘텐츠로부터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2,
Conten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leting the part of the existing content of interest from the existing content of interest when the part of the content of existing interest is generated or consumed less than a minimum number of times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the user terminal. Recommended method.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일정 기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추출된 상기 제1해시태그 및 상기 제2해시태그는 삭제하고, 상기 일정 기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추출된 상기 제1해시태그 및 상기 제2해시태그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매슬로우(maslow) 카테고리로 재맵핑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hashtag and the second hashtag extracted for the user terminal before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re deleted, and the first hashtag and the second hashtag extracted for the user terminal after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re deleted.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periodically remapping the user terminal to Maslow categories using ta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심 정보는,
상기 매슬로우 카테고리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매슬로우 카테고리와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 사용자 단말기에서 공통으로 포함되는 제1해시태그 및 제2해시태그를 참조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ser interest information is,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is extracted with reference to a first hashtag and a second hashtag commonly included in at least one other user terminal that matches the Maslow category of the user terminal among the Maslow categori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심 정보는,
상기 타 사용자 단말기들에서 추출된 제1해시태그 및 제2해시태그에 대해 동의어 비교를 수행하여 동의어에 해당하는 해시태그를 서로 등가인 것으로 처리한 후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user interest information is,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synonym comparison is per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hashtags extracted from the other user terminals, and the hashtags corresponding to the synonyms are treated as equivalent to each other and then extra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슬로우 카테고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브 카테고리로 세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aslow categories are: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characterized by being subdivided into at least one sub-category with reference to user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나이, 성별, 및 활동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
According to clause 8,
The user information is,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f age, gender, and activity region.
KR1020220069141A 2022-06-07 2022-06-07 Contents Recommending method KR20230168534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141A KR20230168534A (en) 2022-06-07 2022-06-07 Contents Recommending method
PCT/KR2023/007570 WO2023239116A1 (en) 2022-06-07 2023-06-02 Contents recommend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141A KR20230168534A (en) 2022-06-07 2022-06-07 Contents Recommend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534A true KR20230168534A (en) 2023-12-14

Family

ID=89118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141A KR20230168534A (en) 2022-06-07 2022-06-07 Contents Recommending metho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8534A (en)
WO (1) WO2023239116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371B1 (en) 2016-11-25 2017-07-05 김기선 Method for providing SNS contents attached tag
KR102007504B1 (en) 2018-09-07 2019-08-06 주식회사 이노식스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information per us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1894A (en) * 2008-08-18 2010-02-26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are of welfare client using needs extraction algorithm
KR102196199B1 (en) * 2017-12-05 2020-12-30 라이브픽쳐스(주) Photograph shar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based on voice recognition
KR20190097879A (en) * 2018-02-13 2019-08-21 주식회사 미디어서클 System for providing marketing platform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ocial network based marketing using the same
KR102124800B1 (en) * 2018-06-08 2020-06-19 주식회사 데이터블 Method, server device and program for content recommendation based on user preferen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371B1 (en) 2016-11-25 2017-07-05 김기선 Method for providing SNS contents attached tag
KR102007504B1 (en) 2018-09-07 2019-08-06 주식회사 이노식스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information per u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9116A1 (en)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k et al. Living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Measuring temporal orientation with language
Teso et al. Application of text mining techniques to the analysis of discourse in eWOM communications from a gender perspective
Selke et al. Pushing the boundaries of crowd-enabled databases with query-driven schema expansion
Antypas et al. Twitter topic classification
Sachdeva et al. Depiction of wild food foraging practices in the media: Impact of the Great Recession
Sharma et al.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based approach for sentiment analysis of opinionated text
Okazaki et al. How to mine brand Tweets: Procedural guidelines and pretest
Hossain et al. Customer sentiment analysis and prediction of halal restaurants using machine learning approaches
Ahamed et al. An intelligent system to predict academic performance based on different factors during adolescence
Nguyen et al. Online social capital: Mood, topical and psycholinguistic analysis
Maheshwari et al. Recip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CN104050298A (en) User segmentation method based on LDA topic model algorithm
KR20230168534A (en) Contents Recommending method
JP695915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s
KR101754124B1 (en) The restaurant recommending system and the recommending method thereof
JP5782487B2 (en) Action purpose extraction method and apparatus
Sapra et al. An analysis for the prediction of human behaviour & observation level on social media using machine learning approaches
Radhika et al. Personalized language-independent music recommendation system
Setiawa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linary Recommendation System Using Sentiment Analysis and Simple Adaptive Weighting in Bengkulu, Indonesia
Stamoulis et al. Associations of Personality Traits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Social Network Consumers via Data Mining Techniques
Colombo et al. Will you like this place? a tag-based place representation approach
Lerttripinyo et al. Accommodation recommendation system from user reviews based on feature-based weighted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method
Alhassan et al. Investigating non-suicidal self-injury discussions on Twitter
Dimitrov et al. Topick: Accurate topic distillation for user streams
Utami et al. A Review on Social Media Based Profiling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