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487A - 진공 전기 포트 - Google Patents

진공 전기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487A
KR20230168487A KR1020220069004A KR20220069004A KR20230168487A KR 20230168487 A KR20230168487 A KR 20230168487A KR 1020220069004 A KR1020220069004 A KR 1020220069004A KR 20220069004 A KR20220069004 A KR 20220069004A KR 20230168487 A KR20230168487 A KR 20230168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vacuum
water
port
electric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김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현 filed Critical 김수현
Priority to KR1020220069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487A/ko
Publication of KR20230168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47J27/2105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of the cordless type, i.e. whereby the water vessel can be plugged into an electrically-powered bas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A47J41/0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vacuum space
    • A47J41/028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vacuum space made of metal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바디 및 내측바디의 사이에 진공상태의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보온 및 단열에 의해 물의 온도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진공 전기 포트에 관한 것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베이스의 상측에 접속되어 물을 끓이는 전기 포트에 있어서, 간격을 이루며 결합된 금속재질의 외측바디 및 내측바디를 포함하여 포트를 구성하고, 상기 외측바디와 내측바디의 사이에는 진공상태를 이룸으로써 물의 온도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보온 및 단열을 행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전기 포트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외측바디 및 내측바디 사이에 형성된 진공상태의 공간부가 보온 및 단열을 행하게 되어 끓인 물이 빠르게 식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최대한 높은 온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일정한 온도로 보온을 할 수 있어 사용이 더욱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찻잎을 우려낼 수 있는 금속 재질의 거름망을 내측바디의 내측에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함으로써 청소 및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포트손잡이 및 뚜껑손잡이가 목재로 이루어져 있어 외관이 수려하고 사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트가 베이스의 오목부에 삽입되어 안착됨으로써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포트의 하측에 받침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수분 차단 및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진공 전기 포트{vacuum electric pot}
본 발명은 전기를 이용하여 물을 끓일 수 있는 전기 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측바디 및 내측바디의 사이에 진공상태의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보온 및 단열에 의해 물의 온도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진공 전기 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전자는 여러 가지 액체를 담아서 보관하며 용기나 그릇 등에 손쉽게 따르도록 하는 도구로써, 내부가 빈 형태인 본체가 있고, 본체 상면에는 뚜껑이 존재하여 먼지나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며, 본체 측면에 연통된 주둥이가 물을 배출하는 주둥이와 본체를 손으로 쥐고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한 손잡이를 주로 포함해서 제작된다.
근대에 들어서는 상기한 재래식 주전자를 대신하여 전기포트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불로 가열하는 대신 전기로 가열하는 방식의 전기 포트는 가스레인지와 같은 시설을 갖추기 번거로운 장소에서도 물을 끓이기 용이하며 화재의 위험성이 낮다는 장점을 갖추고 있다.
전기에 의해 물을 가열하는 전기포트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8342호(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에는 상부에 투입구가 구비된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저수조의 내측에 외부와의 열방출 및 흡수를 차단하는 내벽을 형성하고, 상기 저수조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로 구성된 전기포트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투입구에는 이탈방지요홈을 갖는 밀폐부를 구비하여 이에 삽입설치되는 뚜껑의 걸림돌기가 요홈에 삽지된 상태에서 밀폐판이 탄성체에 탄지된 상태로 투입구를 밀폐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포트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0095호(이하, '선행기술2'라 함)에는 전기포트의 유출꼭지 가장자리에 세목망휠터체를 끼우고 빼낼 수 있게 하되 휠터체의 내면을 전기포트의 유출구멍 외면에 밀접되는 곡면으로 형성하며 테두리의 외면 끝을 뾰족한 날면으로 형성하고 테두리의 상단에는 손잡이를 돌출 형성하여서 된 망휠터를 가진 전기포트가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1,2를 포함하는 종래의 전기 포트는 물을 끓이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나, 끓인 물이 포트에서 금방 식는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녹차나 둥글레차와 같은 추출물을 우려낸 후에 포트에서 추출물의 뒤처리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포트에 진공상태의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끓인 물이 빠르게 식는 것을 방지하여 최대한 고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한 진공 전기 포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트의 내측에 착탈할 수 있는 거름망을 결합함으로써 찻잎을 우려낼 수 있으며, 청소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진공 전기 포트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전기 포트는 전원을 공급하는 베이스의 상측에 접속되어 물을 끓이는 전기 포트에 있어서, 간격을 이루며 결합된 금속재질의 외측바디 및 내측바디를 포함하여 포트를 구성하고, 상기 외측바디와 내측바디의 사이에는 진공상태를 이룸으로써 물의 온도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보온 및 단열을 행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전기 포트에 의하면, 금속으로 이루어진 외측바디 및 내측바디가 간격을 이루며 결합됨으로써 사이에 형성된 진공상태의 공간부가 보온 및 단열을 행하게 되어 끓인 물이 빠르게 식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최대한 높은 온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일정한 온도로 보온을 할 수 있어 사용이 더욱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찻잎을 우려낼 수 있는 금속 재질의 거름망을 내측바디의 내측에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함으로써 청소 및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포트손잡이 및 뚜껑손잡이가 목재로 이루어져 있어 외관이 수려하고 사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트가 베이스의 오목부에 삽입되어 안착됨으로써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포트의 하측에 받침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수분 차단 및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전기 포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포트 및 베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포트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 선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뚜껑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받침부재의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진공 전기 포트는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부에 열선이 내장되어 물을 끓일 수 있는 포트(100)와, 상기 포트(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베이스(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도면 미표시)가 전선에 연결된 것으로서, 콘센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포트(100)를 상측에 안착시키면 열선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베이스(10)의 전면에는 가열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레버(11)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12)는 내측 테두리 부분이 포트(100)의 하측 테두리 부분과 대응하는 형상의 곡선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포트(100)가 베이스(10)에 안착되면 오목부(12)에 긴밀히 삽입됨으로써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포트(100)의 외측에는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외측바디(20)가 형성되어 있으며, 포트(100)의 상측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연결부(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30)의 배면 측에는 포트손잡이(40)가 결합되는 지지부(3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0)의 상측에는 개폐할 수 있는 뚜껑(5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50)의 상측에는 뚜껑손잡이(5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포트손잡이(40) 및 뚜껑손잡이(51)는 열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도록 목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포트(100)의 내측에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바디(20)의 내측에 간격을 이루며 금속으로 이루어진 내측바디(21)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바디(20)와 내측바디(21)의 사이에는 공간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22)는 진공상태를 이룸으로써 보온 및 단열을 행하게 되며, 이는 내측바디(21)에 채워져 가열에 의해 끓은 물이 빠르게 식는 것을 방지하여 최대한 장시간에 걸쳐 높은 수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외측바디(20)의 외측에는 균일한 간격으로 복수의 수직 돌기부(20a)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수직 돌기부(20a)는 내부의 공간부(22)에 진동상태를 형성할 때, 진공 압력에 의한 변형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내측바디(21)의 내측에는 금속의 철망으로 이루어진 거름망(60)이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거름망(60)의 상측에는 안착부(6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61)는 연결부(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32)에 안착됨으로써 간단히 착탈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름망(60)은 녹차, 홍차, 둥글레차와 같이 찻잎을 건조하여 생성한 추출물을 우려내기 위한 것으로서, 거름망(60)이 내측바디(21)에 채워진 물속에 잠긴 상태에서 물을 끓임으로써 찻잎을 우려내고, 남은 추출물은 거름망(60)을 들어냄으로써 간단히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물을 가열하여 찻잎을 우려내는 기능 뿐만 아니라, 우려낸 차가 식지 않도록 일정한 온도로 보온을 유지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전면에 구비된 레버(11)가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다양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베이스(10)에는 포트(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오프 스위치(13), 설정된 시간동안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제1보온 스위치(14) 및 제2보 온스위치(15), 100℃로 물을 끊이는 가열스위치(16)가 가로방향으로 순차 배열되고, 레버(11)의 위치에 해당하는 스위치의 엘이디가 점등하여 현재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레버(11)가 전원오프 스위치(13)에 위치하게 되면 포트(100)에 전원을 차단하게 되고, 가열 스위치(16)는 100℃ 로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제1보온 스위치(14)는 우려낸 차를 10시간 동안 45℃ 로 보온하게 되고, 제2보온 스위치는 4시간 동안 70℃ 로 보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보온 스위치(14) 및 제2보온 스위치(15)는 상술한 온도 및 시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설정값을 미리 지정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뚜껑(50)에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포트(100)의 연결부(30)입구 내주면에 밀착되는 부위에 복수의 제1돌기부(52) 및 제2돌기부(53)가 방사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긴밀한 밀폐에 의해 가열시 또는 운반시 물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부(52)는 띠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돌기부(53)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되나,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개수 및 형상을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트(100)는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시 하측에 받침부재(70)를 결합함으로써 세척시 베이스(10)와 접속되는 부위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식탁이나 탁자에 포트(100)를 내려 놓을 때 충격 및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받침부재(70)는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받침부재(70)에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손잡이(7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진공 전기 포트(100)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외측바디(20) 및 내측바디(21)가 간격을 이루며 결합됨으로써 사이에 형성된 진공상태의 공간부(22)가 보온 및 단열을 행하게 되어 끓인 물이 빠르게 식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최대한 높은 온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일정한 온도로 보온을 할 수 있어 사용이 더욱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찻잎을 우려낼 수 있는 금속 재질의 거름망(60)을 내측바디(21)의 내측에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함으로써 청소 및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포트손잡이(40) 및 뚜껑손잡이(51)가 목재로 이루어져 있어 외관이 수려하고 사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트(100)가 베이스(10)의 오목부(12)에 삽입되어 안착됨으로써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포트(100)의 하측에 받침부재(70)를 결합함으로써 수분 차단 및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베이스 11 : 레버
12 : 오목부 13 : 전원오프 스위치
14 : 제1보온 스위치 15 : 제2보온 스위치
16 : 가열 스위치
20 : 외측바디 20a: 수직 돌기부
21 : 내측바디 22 : 공간부
30 : 연결부 31 : 지지부
32 : 단턱 40 : 포트손잡이
50 : 뚜껑 51 : 뚜껑손잡이
52 : 제1돌기부 53 : 제2돌기부
60 : 거름망 61 : 안착부
70 : 받침부재 71 : 받침손잡이
100 : 포트

Claims (6)

  1. 전원을 공급하는 베이스의 상측에 접속되어 물을 끓이는 전기 포트에 있어서,
    간격을 이루며 결합된 금속재질의 외측바디(20) 및 내측바디(21)를 포함하여 포트(100)를 구성하고,
    상기 외측바디(20)와 내측바디(21)의 사이에는 진공상태를 이룸으로써 물의 온도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보온 및 단열을 행하는 공간부(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전기 포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100)의 상측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연결부(3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0)의 상측에는 개폐할 수 있는 뚜껑(50)이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30)의 내주면에는 찻잎을 우려내기 위한 거름망(60)이 안착되는 단턱(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전기 포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100) 및 뚜껑(50)에는 열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도록 목재로 이루어진 포트손잡이(40) 및 뚜껑손잡이(51)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뚜껑(50)에는 긴밀한 밀폐를 위한 복수의 제1돌기부(52) 및 제2돌기부(53)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전기 포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바디(20)의 외측에는 진공 압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균일한 간격으로 복수의 수직 돌기부(20a)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0)에는 포트(100)의 하측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삽입에 의해 유동을 방지하는 오목부(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전기 포트.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전면에는 레버(11)의 이동에 의해 동작하는 전원오프 스위치(13), 설정된 시간동안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제1보온 스위치(14) 및 제2보 온스위치(15), 100℃로 물을 끊이는 가열스위치(16)가 가로방향으로 순차 배열되고, 현재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레버(11)가 스위치의 엘이디가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전기 포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100)의 하측에는 수분 차단 및 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받침부재(7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재(70)의 일측에는 받침손잡이(71)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전기 포트.

KR1020220069004A 2022-06-07 2022-06-07 진공 전기 포트 KR20230168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004A KR20230168487A (ko) 2022-06-07 2022-06-07 진공 전기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004A KR20230168487A (ko) 2022-06-07 2022-06-07 진공 전기 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487A true KR20230168487A (ko) 2023-12-14

Family

ID=89167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004A KR20230168487A (ko) 2022-06-07 2022-06-07 진공 전기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4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2724B1 (en) Tea making appliance with filter assembly
US7104185B2 (en) Vacuum coffee maker
JPH0464687B2 (ko)
EP3855992A1 (en) Blender
CA2520543A1 (en) A jug, an electrothermal jug and an electrothermal jug without wire for cooking beverage
KR100649510B1 (ko) 다용도 추출 포트
KR20230168487A (ko) 진공 전기 포트
JPS6348531B2 (ko)
WO2020211414A1 (zh) 一种虹吸式咖啡机
US20050279218A1 (en) Coffee-maker
KR200472073Y1 (ko)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CN208769520U (zh) 一种节能摩卡壶
KR101152777B1 (ko) 전기 압력 조리기
CN206080105U (zh) 一种防止锅盖上水滴滴落的可视汤锅
CN205197740U (zh) 高效聚热节能锅
CN213155231U (zh) 一种新型盖碗
CN215016130U (zh) 一种双层真空电热水壶
CN204105735U (zh) 一种养生壶
CN211049114U (zh) 一体式咖啡壶
CN215838398U (zh) 一种冲泡壶
CN215077604U (zh) 一种具有保温隔热功能的双层不锈钢咖啡壶
CN210433308U (zh) 一种带有防喷溅机构的厨房用煲汤罐
CN210823700U (zh) 一种方便面餐盒
CN209984081U (zh) 一种保温壶
CN210018992U (zh) 一种泡茶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