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450A - An open platform system for 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 Google Patents

An open platform system for 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450A
KR20230168450A KR1020220068913A KR20220068913A KR20230168450A KR 20230168450 A KR20230168450 A KR 20230168450A KR 1020220068913 A KR1020220068913 A KR 1020220068913A KR 20220068913 A KR20220068913 A KR 20220068913A KR 20230168450 A KR20230168450 A KR 20230168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unit
io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씨비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비더블유 filed Critical (주)씨비더블유
Priority to KR1020220068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450A/en
Publication of KR20230168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450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urge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rket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물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이 융합된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만물인터넷(IoE)이 운영되는 현실 세계의 모든 것을 연동연계 구현하게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구성된 플랫폼의 운영 주체(디바이스 운영 및 사용 주체)인 사용자와 기업, 기업과 기업, 사용자와 사용자, 사용자/기업과 IoE 디바이스, IoE 디바이스와 IoE 디바이스가 브라우저가 운영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연계 연동되어 다양한 콘텐츠를 구성하고, 구성된 콘텐츠가 플랫폼과 연계 연동되는 만물 인터넷(IoE)을 융합한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과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service platform that integrates the Internet of Everything (Internet of Everything), and various content service platforms can be configured to link and implement everything in the real world where the Internet of Everything (IoE) operates. Users and companies, companies and companies, users and users, users/companies and IoE devices, and IoE devices and IoE devices, which are the operators (device operators and users) of the platform configured above, are linked and linked through user terminals running browsers. It is about a content service platform that combines the Internet of Everything (IoE), which configures various content and the composed content is linked and linked with the platform, and its operation method.

Description

만물인터넷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AN OPEN PLATFORM SYSTEM FOR 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platform system {AN OPEN PLATFORM SYSTEM FOR 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본 발명은 만물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이 융합된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만물인터넷(IoE)이 운영되는 현실 세계의 모든 것을 연동연계 구현하게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구성된 플랫폼의 운영 주체(디바이스 운영 및 사용 주체)인 사용자와 기업, 기업과 기업, 사용자와 사용자, 사용자/기업과 IoE 디바이스, IoE 디바이스와 IoE 디바이스가 브라우저가 운영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연계 연동되어 다양한 콘텐츠를 구성하고, 구성된 콘텐츠가 플랫폼과 연계 연동되는 만물 인터넷(IoE)을 융합한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과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service platform that integrates the Internet of Everything (Internet of Everything), and various content service platforms can be configured to link and implement everything in the real world where the Internet of Everything (IoE) operates. Users and companies, companies and companies, users and users, users/companies and IoE devices, and IoE devices and IoE devices, which are the operators (device operators and users) of the platform configured above, are linked and linked through user terminals running browsers. It is about a content service platform that combines the Internet of Everything (IoE), which configures various content and the composed content is linked and linked with the platform, and its operation method.

COVID-19 팬더믹으로 촉발된 글로벌 환경변화로 우리사회의 비대면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원격 수업, 원격 진료 , 온라인 쇼핑 등 우리 삶의 비대면화는 이미 시작되었고, 4차 산업혁명 기술과의 융합으로 점점 더 빨라질 전망이다. 이러한 미래사회의 비대면화에 선제적으로 예방 대응 처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콘텐츠 디바이스 공급 플랫폼이 필요하다Due to global environmental changes triggered by the COVID-19 pandemic, the non-face-to-face process in our society is accelerating. The non-face-to-face transformation of our lives, such as social distancing, remote classes, remote medical treatment, and online shopping, has already begun and is expected to accelerate further with the converge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n order to preemptively prevent and respond to the non-face-to-face nature of this future society, a new content device supply platform is needed.

또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원격진료가 확대 시행되며, 특히 코로나 19와 같은 팬더믹 상황에서 급증하는 전염 환자, 일반환자들의 케어에도 필수적인 시스템이 요구된다.In addition, telemedicine is being expanded in most countries, and an essential system is required to care for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infectious patients and general patients, especially in pandemic situations such as COVID-19.

생애주기 전반의 맞춤형 의료를 위해 환자중심의 데이터 및 질환 관리가 가능한 융합형 디지털 의료 서비스 기술이 요구된다.For customized medical care throughout the life cycle, convergence digital medical service technology that enables patient-centered data and disease management is required.

현재 디지털 의료기술은 의료현장 중심의 진단 및 치료에 한정되어 장기적 질병 관리 및 예방을 위한 환자 중심 생활공간으로의 확장이 어려움, 진단, 치료, 예후 관리 등 질병 전 주기 관리를 위해 환자 생활공간으로 관리 환경을 확장하고 이질적 건강 데이터 및 의료 서비스를 통합하는 융합형 서비스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Currently, digital medical technology is limited to diagnosis and treatment centered on medical sites, making it difficult to expand into a patient-centered living space for long-term disease management and prevention. It is managed as a patient living space to manage the entire disease cycle, including diagnosis, treatment, and prognosis management. There is a need for convergence service technology that expands the environment and integrates heterogeneous health data and medical services.

최근 위키피디아(Wikipedia)나 핀터레스트(Pinterest) 등과 같이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를 공유하는 콘텐츠 서비스가 큰 인기를 얻고 있다.Recently, content services such as Wikipedia or Pinterest, where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voluntarily share information, have gained great popularity.

이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작성자 또는 편집자가 되어 특정 단어에 대한 내용(설명)을 완성해가거나 여러 이미지 중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만을 모아두는 시스템이다.This is a system in which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become writers or editors and complete the content (explanation) of a specific word or collect only the images they want among several images.

그러나 이러한 자발적 정보 공유 콘텐츠 서비스는 작성자 또는 편집자가 타인의 콘텐츠에서 내용을 단순 카피(copy)해온 경우에도 제재를 가할 수단이 없어 원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어렵고, 사용자들간에 공통된 인덱스를 공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se voluntary information sharing content services do not have the means to impose sanctions even if the author or editor simply copies content from another person's content, making it difficult to protect copyright on the original content and preventing the sharing of a common index between users. There is a problem.

또한, 현재까지의 콘텐츠 서비스는 단일화된 플랫폼에 단편적인 서비스만 제공되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어지지 못하는 것이 현재 콘텐츠 서비스의 한계이다.In addition, the limitation of current content services is that only fragmented services are provided on a unified platform and cannot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98722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298722

본 발명은 콘텐츠 서비스가 단일화된 플랫폼에 단편적인 서비스만 제공되는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어디서나 다양한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서 콘텐츠를 사용하고 공급할 수 있는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oviding only fragmented services on a unified content service platform and provide a content service platform that can use and provide various content anywhere and through various user devices.

상기 콘텐츠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하는 일상생활의 다양한 서비스 콘텐츠로 정의할 수 있다.The content can be defined as the content of various services used in daily life through various devices used by users.

예를 들면 피부미용에 있어서 피부샵에서 회원등록하며 회원 등록시 기본데이터(이름, 전화번호, 성별, 나이 등)와 고객얼굴 시술 전후 데이터를 기반으로 피부치료 및 피부케어를 받고 장소를 이동하거나 환경이 바뀌어도 피부샵에서 받는 피부정보 및 시술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정보 및 피부시술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이 원하는 정보(시술 제품, 방법, 기기)를 제공하고, 고객(회원)들간에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공급자는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피부케어 콘텐츠를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다.For example, in skin care, you register as a member at a skin shop and receive skin treatment and skin care based on basic data (name, phone number, gender, age, etc.) and data before and after the customer's facial treatment. When you register as a member, you can move from place to place or change the environment. Even if things change, you can exchange skin information and treat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kin shop. By analyzing user information and skin treatment data, we provide customers with the information they want (treatment products, methods, devices), and shar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mong customers (members). Providers can create and supply various skin care contents based on the analyzed data.

또한, 피부샵에서 시술 받은 내역을 집에서 시술 방법 제품 정보데이터를 받고 시술 후 데이터를 저장하고 온라인에서 현재 피부 상태에 맞는 제품을 추천 받아 구입 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에서 고객 등록이 공유 매장(피부샵 ,리테일 등)에 방문 하면 카메라가 고객 얼굴 데이터를 인식하고 매장의 제품 추천을 하는 방식입니다.In addition, you can receive product information data on the treatment method at home based on the details of the treatment you received at the skin shop, save the data after the treatment, and purchase products recommended for your current skin condition online. Customer registration can be done offline at shared stores (skin shop, When you visit a store (such as a retail store), the camera recognizes the customer's face data and recommends the store's products.

본 발명은 디바이스 연동 만물인터넷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최초 서비스 플랫폼 로그인시 사용자가 다양한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콘텐츠 서비스 목록에서 선택한 복수의 콘텐츠 서비스를 연동시키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서비스가 연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비스 플랫폼에 로그인하면 상기 복수의 콘텐츠 서비스의 인증을 요청하여 상기 인증된 복수의 콘텐츠 서비스의 화면을 통합적으로 표시하고 사용함으로서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에 연동된 모든 디바이스기기를 통해서 만물인터넷 콘텐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linked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platform. When logging in to the service platform for the first time, a user connects to various devices and links a plurality of content services selected from a content service list, and while the plurality of content services are linked, the user When you log in to the service platform, authentication of the plurality of content services is requested, and the screens of the plurality of certified content services are displayed and used in an integrated manner, allowing you to use 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through all devices linked to the content service platform. You can achieve certain effects.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획득할 수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사이의 연관성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인터넷 오브 미디어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Internet of Media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at can accurately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s using information that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device.

또한 제공되는 콘텐츠 사이의 연관성에 기초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능동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관련된 다른 미디어 콘텐츠 또는 미디어 객체를 검출할 수 있는 인터넷 오브 미디어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dditionally,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ternet of media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at can actively connect media contents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provided contents and detect other related media contents or media objects.

인터넷 오브 미디어 정보 생성 방법은 키오스크 등 디바이스의 사용에 있어서 생성되는 회원정보 및 사용자 정보들을 분석하고 분류하여 고객관계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운영할 수 있다The Internet of Media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alyzes and classifies member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generated when using devices such as kiosks, and operates a platform that can be used as a database for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통해서 매장방문 및 키오스크 로그인 하는 방문자 회원의 로그인정보를 기반으로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사용하고, 키오스크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키오스크 연동 만물인터넷 기반 O2O 플랫폼을 운영할 수 있다A smart kiosk-linked Internet-of-Things platform where users can use content services based on the login information of visitor members who visit stores and log in to kiosks, and can log in to multiple content services through kiosks in an integrated manner. Can operate an O2O platform

스마트 키오스크 연동 만물인터넷 기반 O2O(Online To Offline) 플랫폼 알고리즘은, 로그인하는 단계; 콘텐츠 서비스 목록에서 복수의 서비스를 연동시키는 단계; 복수의 서비스가 연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비스 플랫폼에 로그인하면 서버로 상기 복수의 콘텐츠 서비스의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된 복수의 클라우드 서비스의 화면을 통합적으로 표시하는 단계;The smart kiosk-linked Internet of Everything-based O2O (Online To Offline) platform algorithm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logging in; Linking a plurality of services in a content service list; When a user logs in to a service platform while a plurality of services are linked, requesting authentication of the plurality of content services from a server; and integratedly displaying screens of the plurality of authenticated cloud services;

키오스크 로그인시 사용자의 발열 및 사용자 정보 조회 및 조회된 사용자 정보의 분석을 통하여 원격의료 진료데이터에 활용하고, 인공지능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 빅데이터를 구축하여 데이터 서비스 활용에 활용할 수 있다When logging into the kiosk, the user's fever and user information can be checked and analyzed to use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an be used to build user big data and utilize it for data services.

또한 스마트 키오스크 카메라로 촬영한 눈동자 사진을 이용하여 딥러닝 기반의 안구정열 및 이미지분석을 통한 안구 질병 선별검사 및 진단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eye disease screening and diagnosis can be performed through deep learning-based eye alignment and image analysis using eye photos taken with a smart kiosk camera.

상기의 데이터들은 전 산업에 활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사용자 디바이스 콘텐츠에 연동/동기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above data can be used across all industries to provide customized content desired by users and linked/synchronized with user device content.

본 발명은 만물인터넷(IoE)이 융합되어 운영되는 실제 현실의 생활환경과 사람, 사물 등이 상호 구현되고, 운영되는 디바이스(스마트워치, 스마트밴드, IoE센서, IoE기기, 키오스크, 스마트 미러 , 뷰티 디바이스 ,운동 체형디바이스 , 스마트 체어 , 스마트 배게 , 스마트 침대 , 의료 진료 키호스크 등)가 사용자 콘텐츠 플랫폼과의 연계연동으로 헬스, 의료, 미용등, 사회, 문화, 다양한 산업 등에서 생성 운영되는 콘텐츠를 플랫폼에 구현하여 일상생활의 편의서비스가 제공되는 생활 밀착형 콘텐츠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smart watch, smart band, IoE sensor, IoE device, kiosk, smart mirror, beauty device, etc.) in which the real-life living environment, people, objects, etc. are mutually implemented and operated through the convergence of the Internet of Everything (IoE). Devices, exercise body devices, smart chairs, smart pillows, smart beds, medical treatment keyhosks, etc.) are linked with user content platforms to create and operate content in health, medical care, beauty, etc., society, culture, and various industries. It is about a life-friendly content platform that provides convenience services for daily life by implementing it in;

IoE(만물인터넷)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을 사용하고 체험하기 위한 정보수단인 스마트폰, IoE디바이스, PC/테블릿, 웨어러블, 스마트TV, 3D/4D디바이스, 모바일기기 스마트 미러 스마트 체어 스마트 베드 , 스마트배게 ,스마트 의자 , 스마트 헤어밴드 등이 포함된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Smartphones, IoE devices, PCs/tablets, wearables, smart TVs, 3D/4D devices, mobile devices that are information tools for using and experiencing the Io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platform, smart mirror, smart chair, smart bed, smart pillow, Includes user devices including smart chairs, smart hair bands, etc.;

상기 다양한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들을 호환연동하여 어떠한 운영채널로도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채널운영을 지원하고 웨어러블을 통해 느낌, 촉감, 감정 등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자 디바이스를 연계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고;Content that supports multi-channel operation so that the content can be used through any operating channel by interoperating with the information of the various user terminals, can realize feelings, tactile sensations, emotions, etc. through wearables, and can link user devices. Contains a service module;

상기 콘텐츠 서비스 모듈에서 매장내 키오스크를 통해서 유입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식별하고 발열 등 전염성이상 증상 데이터를 식별하여 방역기관으로 정보를 송출하고, 콘텐츠 서버로 보내기 위한 방역관리 서비스부를 포함하고;In the content service module, a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 unit is configured to identify users based on data received through in-store kiosks, identify data on contagious abnormalities such as fever, transmit the information to a quarantine agency, and send it to a content server;

상기 방역관리 서비스부에서 전염성이상 증상 데이터를 식별하여 IoE플랫폼에서 운영되는 원격의료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확보 및 사용자 생체정보를 전달하는 방역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It includes a quarantine management server that identifies infectious abnormality symptom data in the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 department, secures data to support remote medical services operated on an IoE platform, and delivers user biometric information;

병원 및 타 관련 기관 및 업소 장소 에서 방역 및 환자의 상태(안구)를 데이터를 받아 진료 및 처방이 원격의료서비스가 가능하다(본 키호스크는 사용자 측정시 얼굴 데이터 와 안구 데이터를 함께 측정 관리 저장이 가능하다).Remote medical services for treatment and prescriptions are possible by receiving data on quarantine and the patient's condition (eyes) from hospitals and other related institutions and business locations (this keyhosk measures, manages, and stores face data and eye data together when measuring the user). possible).

상기 실시간 상호작용 사용자 정보를 분류하여 IoE디바이스에서 도출된 콘텐츠 데이터 알고리즘과 콘텐츠 서비스 모듈에서 유입된 일반 데이터 알고리즘이 융합되어 IoE서비스 플랫폼에서 알고리즘을 합성하고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 구성에 필요한 알고리즘 영역을 생성하고 사람에 관한 생체 바이오 알고리즘과 상기 생체 바이오 알고리즘에 상호작용하여 반응해야 하는 IoE디바이스 도출 알고리즘에 감각, 느낌, 감정 등을 구현하게 하는 IoE 콘텐츠 매칭부를 포함하고;By classifying the real-time interaction user information, the content data algorithm derived from the IoE device and the general data algorithm derived from the content service module are fused to synthesize the algorithm on the IoE service platform and create the algorithm area necessary for configuring various content services and human It includes a biometric bio algorithm and an IoE content matching unit that implements senses, feelings, emotions, etc. in an IoE device derivation algorithm that must interact and respond to the biometric bio algorithm;

상기 IoE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부와 IoE 콘텐츠 매칭부에서 유입된 콘텐츠들을 서비스하기 위한 IoE콘텐츠 채널링 시스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IoE content channeling system for servicing content introduced from the IoE content service platform unit and the IoE content matching unit.

본 발명의 만물인터넷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은 사용자의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코로나 19시대에 필수적인 고객접점 디바이스인 매장내 키오스크 , 스마트 미러를 통하여 방역관리 및 질병 예측에 활용할 수 있는 의료정보의 원천 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지털 치료제 , 진료 처방 플랫폼에 활용할 수 있다.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users to use a variety of content through various devices, and further provides medical services that can be used for quarantine management and disease prediction through in-store kiosks and smart mirrors, which are essential customer contact devices in the COVID-19 era. Source data of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and used for digital treatment and treatment prescription platforms.

또한 매장내 키오스크 , 스마트 미러를 통하여 로그인한 사용자의 체온 , 안구 , 체형 , 헤어 ,두피 , 바디 , 다이어트등 의료 ,미용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스마트 의료 ,뷰티 ,헬스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in-store kiosks and smart mirrors, smart medical, beauty, and health solutions can be provided for application to the medical and beauty fields, such as temperature, eyes, body shape, hair, scalp, body, and diet of logged in users.

본 발명은 AI 기반기술을 접목하여 키오스크에 적용하는 등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들을 머신러닝 학습하여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ustomized content to users by applying machine learning to data collected through various devices, such as by applying AI-based technology to kiosks.

본 발명은 다양한 만물인터넷(IoE) 기기를 호환연동하여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고 체험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users to use and experience content by compatibility with various Internet of Everything (IoE) devices.

도 1은 본 발명의 만물인터넷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만물인터넷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을 사용하기 위한 콘텐츠 서비스 모듈부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만물인터넷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의 방역 관리 서비스부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만물인터넷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의 콘텐츠 서비스부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만물인터넷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의 API 서비스 모듈 구조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만물인터넷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의 콘텐츠 서비스 네트워크부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service module unit for using 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 unit of 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service unit of 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PI service module structure of 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service network unit of 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만물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은 사람, 사물, 센서, 공간, 생태, 산업, 데이터, 시스템 등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정보가 생성, 수집, 공유 활용되는 초연결 인터넷을 만물인터넷(IoE)이라고 정의한다.The Internet of Everything,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hyper-connected Internet in which everything including people, objects, sensors, space, ecology, industry, data, and systems are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information is created, collected, shared, and utilized. (IoE).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만물인터넷(IoE)에는 사물인터넷(IoT)도 포함되는 영역이며, 만물인터넷(IoE)은 사물인터넷(IoT)이 진화된 영역이다.Additionally, the Internet of Things (Io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rea that also includes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E) is an area in which the Internet of Things (IoT) has evolved.

또한 IoE 디바이스라 함은 만물인터넷(IoE)을 운영 및 사용하기 위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매개체를 말하며 정보소통이 가능한 단말기, 웨어러블,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배게 , 스마트침대 ,스마트 미러 , 스마트 뷰티기기, 스마트 의자 , 스마트 헤어밴드 , 사물센서, 시스템, IoE 센서가 내장된 스마트학습기기 등이 포함된다.In addition, IoE devices refer to a medium through which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to operate and use the Internet of Everything (IoE), including terminals, wearables, smart watches, smart bands, smart pillows, smart beds, smart mirrors, and smart devices that en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These include beauty devices, smart chairs, smart hair bands, object sensors, systems, and smart learning devices with built-in IoE sensors.

도 1은 만물인터넷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의 전체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platform.

본 발명은 만물인터넷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상기 플랫폼에 접속하고 사용자 데이터 입력을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10); 상기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를 콘텐츠 서비스부 또는 방역 관리 서비스부로 전송하는 콘텐츠 서비스 모듈부(20); 사용자의 발열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정보를 처리하는 방역관리 서비스부(30); 상기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와 매칭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IoE 콘텐츠 서비스부(40), 인공지능 기술 및 IoE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와 IoE 콘텐츠를 매칭하는 콘텐츠 서비스 네트워크(CSN)unit부(50) 및 다수의 콘텐츠를 단일 채널로 모으고 다채널로 콘텐츠를 공급하는 채널링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platform system, which includes a user device 10 for a user to access the platform and input user data; a content service module unit 20 that transmits the input user data to a content service unit or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 unit; A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 unit 30 that measures the user's fever information and processes the information; An IoE content service unit 40 that provides content matching the input user data, and a content service network (CSN) unit 50 that matches the user data and IoE conten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IoE network technology. and a channeling unit 60 that gathers multiple contents into a single channel and supplies the contents through multiple channels.

본 발명의 만물인터넷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은 사용자 디바이스(10), 콘텐츠 서비스 모듈부(20), 방역관리 서비스부(30), IoE 콘텐츠 서비스부(40), 콘텐츠 서비스 네트워크(CSN) unit부(50), IoE 콘텐츠 채널링부(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device (10), a content service module unit (20), a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 unit (30), an IoE content service unit (40), and a content service network (CSN) unit unit (50). ), may include an IoE content channeling unit 60.

도 2는 IoE 콘텐츠 서비스를 운영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각종 디바이스(웨어러블, PC, 모바일기기, 테블릿PC, 스마트 미러 , 스마트 배게 , 스마트 침대 , 스마트 뷰티기기 , 스마트 의자 , 스마트 헤어밴드 , 키오스크 등)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디바이스(10)를 통해서 만물인터넷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 호환성을 확보하여 디바이스를 호환할 수 있는 콘텐츠 서비스 모듈부(20)를 도시한다.Figure 2 shows that when operating an IoE content service, users use various devices (wearables, PCs, mobile devices, tablet PCs, smart mirrors, smart pillows, smart beds, smart beauty devices, smart chairs, smart hair bands, kiosks, etc.) In order to use 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platform through various types of user devices 10, a content service module unit 20 is shown that ensures user device compatibility and allows device compatibility.

도 2에서 콘텐츠 서비스 모듈부(20)은 디바이스 호환모듈(21)를 포함할 수 있다.In FIG. 2, the content service module unit 20 may include a device compatibility module 21.

상기 디바이스 호환모듈(21)은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전송된 다양한 사용자 데이터가 융합 호환되어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운영 채널을 구성하여 다채널 운영을 지원할 수 있도록 운용체제의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데이터는 IoE 디바이스(웨어러블, IoE 센서 등)에서 도출된 데이터와 플랫폼 운영 데이터(사용자 정보, 비즈니스 서비스주체, 영상 데이터 등)로 분류할 수 있다. The device compatibility module 21 is compatible with operating systems so that various user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can be converged and compatible to form various operating channels for using the content service platform system to support multi-channel operation. The data can be classified into data derived from IoE devices (wearables, IoE sensors, etc.) and platform operation data (user information, business service entities, video data, etc.).

호환 운영되어 분류된 데이터는 방역 관리 서비스부(30)의 발열정보 식별부(31)와 IoE 콘텐츠 서비스부(40)의 콘텐츠 서버(41)로 전송될 수 있다. Data classified through compatible oper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fev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31 of the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 unit 30 and the content server 41 of the IoE content service unit 40.

도 3은 본 발명의 만물인터넷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의 방역 관리 서비스부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방역 관리 서비스부(30)는 발열정보 식별부(31), 방역 관리 서버(32)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 unit of 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 unit 30 may include a fev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31 and a quarantine management server 32.

상기 발열정보 식별부(31)은 사용자 식별부(21)에서 유입된 사용자 데이터 중 매장내 키오스크 등에 포함되어 있는 발열 측정 디바이스를 통하여 유입된 데이터를 분류하여 발열 등 전염성이상 증상 데이터를 식별하여 방역기관으로 발열 정보를 전송하고, 콘텐츠 서버(41)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단계이다.The fev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31 classifies data flowing in through fever measurement devices included in in-store kiosks among the user data flowing in from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21, identifies data on symptoms of contagious abnormalities such as fever, and is used by quarantine authorities. This is a step of transmitting fever information and indicat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to the content server 41.

상기 발열정보 식별부(31)에서 사용자 개인별 식별이 완료가 되면 방역 관리 서버(32)로 발열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전송된다.When individual user identification is completed in the fev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31, data on fev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quarantine management server 32.

상기 방역 관리 서버(32)는 발열정보 식별부(31)에서 유입된 데이터들을 분류하여 발열 및 전염성 위험군 사용자 데이터들을 발열정보 기관으로 보내게 되고, 원격진료 DB(33)와 콘텐츠 서버(41)로 발열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quarantine management server 32 classifies the data flowing in from the fev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31 and sends the fever and infectious risk group user data to the fever information agency, and then to the telemedicine DB 33 and the content server 41. Transmits data on fever information.

원격진료DB(33)는 발열정보 식별부(31)의 데이터들이 자동으로 저장되어 사용자가 원격진료 및 질병진단 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콘텐츠 서버(41)로 데이터를 보내지게 된다.The telemedicine DB (33) automatically stores the data of the fev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31) and sends the data to the content server (41) so that the user can use it for telemedicine and disease diagnosis.

또한 스마트 키오스크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딥러닝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석, 간편한 선별 검사를 통한 질환 조기발견 및 이상 의심되는 경우의 안과 및 질병 검진을 권고한다In addition, photos taken with a smart kiosk camera are analyzed based on deep learning, and early detection of diseases through simple screening tests is recommended, as well as ophthalmological and disease examinations in cases where abnormalities are suspected.

도 4는 본 발명의 만물인터넷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의 콘텐츠 서비스부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IoE 콘텐츠 서비스부(40)는 콘텐츠 서버(41),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2), 콘텐츠 매칭 유닛(43), API 서비스 모듈(44)로 구성된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service unit of 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E content service unit 40 consists of a content server 41, a content database 42, a content matching unit 43, and an API service module 44.

상기 콘텐츠 서버(41)는 콘텐츠 서비스 모듈부(20)에서 전송받은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분류하고 사용자가 콘텐츠를 사용하는 항목과 콘텐츠를 등록하는 항목으로 분류하는 단계이다.The content server 41 classifies the user logi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ice module unit 20 and categorizes it into items for the user to use the content and items for registering the content.

상기 콘텐츠 서버(41)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2)로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고, 또한 방역 관리 서버(32)로부터 유입된 데이터들의 콘텐츠를 분류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2)로 보내지게 된다.The content server 41 transmits content information to the content database 42, and also classifies the content of the data flowing in from the quarantine management server 32 and sends it to the content database 42.

또한 상기 콘텐츠 서버(41)는 IoE관련 정보들을 분류하여 CSN(content service network) unit부(50)의 CSN unit IoE 모듈(52)로 전송한다.Additionally, the content server 41 classifies IoE-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SN unit IoE module 52 of the CSN (content service network) unit 50.

상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2)는 콘텐츠 서버(41)로부터 유입된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장치이다. 상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2)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요청된 콘텐츠 항목을 콘텐츠 매칭 유닛(43)으로 전송한다.The content database 42 is a device that stores and manages various contents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er 41. The content database 42 transmits the content item requested by the user to the content matching unit 43.

또한 공유 콘텐츠 등록에 의해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된 정보들이 분석과 가공 후 저장된 결과로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된 URL 주소의 단축 URL 주소, 하나 이상의 등록 키워드 및 해당 등록 키워드와 매칭되는 인덱스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ent database 42 through shared content registration is analyzed and processed and stored as a result, including a shortened URL address of the URL address stored in the content database 42, one or more registered keywords, and index information matching the registered keyword.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상기 콘텐츠 매칭 유닛(43)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공유 콘텐츠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서비스 서버는 공유 콘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검색 키워드와 매칭되는 인덱스 형태의 검색 결과를 다시 사용자 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content matching unit 43 receives a request for provision of shared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10, the service server returns search results in the form of an index matching the search keyword included in the request for provision of shar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0. can be provided.

한편, 사용자 단말기(10)는 인덱스, 계층적(예를 들어, 대·중·소) 분류 정보 및 해당 인덱스와 관련된 하나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인덱스 생성 요청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카테고리별로 다양한 인덱스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terminal 10 transmits an index creation request including an index, hierarchical (e.g., large, medium, small)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one or more keywords related to the index to the service server to create various indexes by category. can be created.

도 5는 본 발명의 만물인터넷 IoE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의 API 서비스 모듈(44)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PI 서비스 모듈(44)은 API 서비스 레이어(44-1), API 인증 모듈(44-2), API 권한 판단 모듈(44-3), 분석 레이어(44-4), API 생성 모듈(44-5)로 구성된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PI service module 44 of the Internet of Everything IoE content service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I service module 44 includes an API service layer 44-1 and an API authentication module 44-2. , It consists of an API permission judgment module (44-3), an analysis layer (44-4), and an API creation module (44-5).

상기 API 서비스 레이어(44-1)는 사용자의 각 요청에 따른 정보전달 및 정보 생성을 위한 API의 생성과 분류하는 단계로서 로그인된 사용자의 권한 및 정보전달 방식을 구현하는 단계이다.The API service layer 44-1 is a step of creating and classifying APIs for information delivery and information generation according to each user request, and is a step of implementing the logged in user's permissions and information delivery method.

상기 API 서비스 레이어(44-1)에서 취합된 사용자의 요청과 명령은 인증모듈(44-2)로 전송된다. The user's requests and commands collected in the API service layer (44-1) are transmitted to the authentication module (44-2).

상기 API 인증 모듈(44-2)은 사용자 정의 API 함수 생성모듈이 사용자 명령에 상호 대응되는 표준 API 함수 이름과 사용자 정의 API 함수 이름을 입력받아 사용자 인증을 위한 킷값을 호출하는 단계이다.The API authentication module 44-2 is a step in which the user-defined API function creation module receives a standard API function name and a user-defined API function name corresponding to a user command and calls a kit value for user authentication.

상기 API 인증 모듈(44-2)에서 호출된 킷값이 API 권한 판단 모듈(44-3)로 전송될 수 있다. The kit value called from the API authentication module 44-2 may be transmitted to the API authority determination module 44-3.

분석 레이어(44-4)는 사용자 정의 API 함수 생성은 상호 대응되는 표준 API 함수 이름과 사용자 정의 API 함수 이름을 입력받는 함수명입력부과, 상기 표준 API 함수를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 파일을 검색하여 상기 표준 API 함수의 후킹 영역의 실행 코드를 획득하는 메모리에 로드된 상기 표준 API 함수의 시작주소 값을 획득하는 시작주소값획득과 상기 표준 API 함수의 후킹 영역의 크기를 계산하고 상기 표준 API 함수의 시작주소 값과 상기 후킹 영역의 크기를 더하여 비후킹 영역의 시작주소를 계산하는 비후킹영역 시작주소 계산과, 상기 표준 API 함수의 후킹 영역의 실행 코드와 상기 비후킹 영역의 시작주소로 점프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의 API 함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 정의 API 함수를 상기 사용자 정의 API 함수 이름으로 상기 메모리에 로드하여 API 생성 값을 API 생성 모듈(44-5)로 보내는 단계이다.The analysis layer 44-4 generates a user-defined API function by inputting a function name that receives the corresponding standard API function name and a user-defined API function name, and searches a dynamic link library file for the standard API function. Obtaining the execution code of the hooking area, obtaining the starting address value of the standard API function loaded in the memory, calculating the size of the hooking area of the standard API function, and calculating the starting address value of the standard API function and The user includes a non-hooking area starting address calculation that calculates the starting address of the non-hooking area by adding the size of the hooking area, an execution code of the hooking area of the standard API function, and a code that jumps to the starting address of the non-hooking area. This is the step of creating a definition API function, loading the created user-defined API function into the memory with the name of the user-defined API function, and sending the API creation value to the API creation module 44-5.

API 생성 모듈(44-5)은 시작주소 값을 획득하는 통상적인 API 후킹시 사용되는 기술로서 콘텐츠 플랫폼에 사용되는 다양한 API를 생성하여 API 서비스 레이어(44-1)로 송출하는 장치이다.The API creation module 44-5 is a technology used in typical API hooking to obtain the starting address value, and is a device that generates various APIs used in the content platform and transmits them to the API service layer 44-1.

도 6은 본 발명의 만물인터넷 디바이스를 통해서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IoE 네트워크 연결모듈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CSN(Content Service Network) unit부(50)는 R-CRM(Real-time Customer management)시스템(51), CSN(Content Service Network)unit IoE 모듈(52), IoE 모바일 네트워크(53), 텍스트 향상 시스템(54),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관리부(55)로 구성된다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oE network connection module for content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of Everyt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SN (Content Service Network) unit unit 50 is a R-CRM (Real-time Customer management) system. (51), CSN (Content Service Network) unit consists of IoE module (52), IoE mobile network (53), text enhancement system (54), and user database management unit (55).

R-CRM 시스템(51)은 고객관계관리를 위한 시스템으로 모바일 미디어, 및 웹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품, 및 서비스 중 하나에 대한 고객의 평가가 반영되는 IoE 데이터를 참조하여 고객의 행동패턴, 및 제품사용패턴에 대한 고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고객정보를 CRM 영역, 및 IoE 콘텐츠 영역으로 구획하고 이를 토대로 기업 경영전략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를 토대로 유용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CRM 영역과 상기 IoE 영역에 대한 중점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점 항목에 따라 상기 CRM 영역과 상기 IoE 영역에 대한 데이터들이 정렬되어 분석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The R-CRM system 51 is a system for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that refers to IoE data that reflects the customer's evaluation of one of the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 either mobile media or the web, and determines the customer's behavior pattern and Extracting customer information about product usage patterns, dividing the customer information into CRM area and IoE content area and classifying data required for corporate management strategy based on this, extracting useful data based on the data , setting key items for the CRM area and the IoE area, and arranging and analyzing data for the CRM area and the IoE area according to the key items.

운영 CRM영역에서는 실질적인 CRM 운영이 되는 마케팅 자동화 시스템, 영업 자동화 시스템, 고객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그리고 기업내부 정보시스템의 구축으로 고객 맞춤형 최적화된 고객관계관리(CRM)의 전략이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operational CRM area includes the stages of implementing a customized and optimize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strateg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marketing automation system, a sales automation system, a customer service automation system, and an internal company information system that perform actual CRM operations.

R-CRM 시스템(51)의 데이터들은 IoE 모듈(52)과 테스트 향상 시스템(54)으로 전송된다.Data from the R-CRM system 51 are transmitted to the IoE module 52 and the test enhancement system 54.

상기 CSN(Content Service Network)unit IoE 모듈(52)은 만물인터넷 게이트웨이와 로컬망에 직접 연결되거나 로컬망을 직접 구성할 수 있으며, 바인딩된 만물인터넷 디바이스들과 다중입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 방식으로 영상, 사진 , 음향 ,빛 콘텐츠 및 대용량의 데이터 입출력 통신을 수행한다.The CSN (Content Service Network) unit IoE module 52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net of Everything gateway and local network or can directly configure the local network, and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of Everything devices bound to it an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This method performs video, photo, sound, light content and large-capacity data input/output communication.

기존의 무선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서비스 위주였으며, 채널의 열악성을 극복하기 위해 주로 채널 코딩을 이용하였지만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통신이 가능한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요구됨에 따라 기존의 음성 중심에서 데이터 위주로 그 중심이 이동하게 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더욱 빨리 그리고 오류가 적게 전송되는 기술의 요구에 따라 5G 서비스가 개시됨에 따라서 IoE디바이스 서비스에 다중입출력(MIMO) 방식을 적용한다. The existing wireles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as focused on voice services and mainly used channel coding to overcome the poor quality of the channel. However, as high-quality multimedia services that enable communication with anyone, anywhere, at any time were required, the existing voice-centered system was shifted from the existing voice-centered system to a data-centered one. The center of gravity is shifting, and to realize this, as 5G services are launched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technology that transmits larger amounts of data faster and with fewer errors, the multiple input/output (MIMO) method is applied to IoE device services.

또한,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는 IoT 로컬망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들 중 브로커를 구비한 만물인터넷 디바이스와는 피투피로 연결되어 피투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oT gateway can perform peer-to-peer communication by being connected peer-to-peer with an IoT device equipped with a broker among the IoT devices directly connected to the IoT local network.

이와 같이, 만물인터넷 게이트웨이는 로컬망에 직접 연결된 만물인터넷 디바이스와 일반적인 메세지 통신 또는 피투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외부로 트래픽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호환하여 연결하는 단계이다In this way, the Internet of Everything gateway is a step that connects and connects Internet of Everything devices directly connected to the local network to prevent external traffic by performing general message communication or peer-to-peer communication.

또한, 상기 CSN(Content Service Network)unit IoE 모듈(52)은 로컬망에 직접 연결된 사용자 디바이스(10)에 대한 아이피 주소를 할당 및 관리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SN (Content Service Network) unit IoE module 52 can allocate and manage an IP address for a user device 10 directly connected to the local network.

또한 CSN(Content Service Network)unit IoE 모듈(52)은 사용자가 콘텐츠를 통해서 미러링 기능을 체험하고 다양항 웨어러블기기를 통하여 체험 및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이다.Additionally, the CSN (Content Service Network) unit IoE module 52 is a stage where the user experiences the mirroring function through content and acquires experiences and information through various wearable devices.

상기 텍스트 향상 시스템(54)은 R-CRM 시스템(51)으로부터 유입된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Data Collection & Load 설정 값을 분석하고 데이터들을 인공신경망모형인 SVM 모형에 의해서 자동으로 추출된다. 인공신경망모형인 SVM 모형을 통하여 설정 값을 입력하면 출력결과물에 의해서 데이터가 추출된다.The text enhancement system 54 analyzes data flowing in from the R-CRM system 51, analyzes Data Collection & Load setting values to provide user-customized content, and automatically converts the data using the SVM model,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It is extracted as When setting values are input through the SVM model,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data is extracted based on the output results.

텍스트 향상 시스템(54)은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되어 다양한 사용자의 데이터를 학습하여 빅데이터를 제공하고 활용할 수 있는 단계이다.The text enhancement system 54 is a stage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applied to learn data from various users to provide and utilize big data.

텍스트 향상 시스템(54)의 데이터들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관리부(55)로 보내지게 되어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에 사용하게 된다.Data from the text enhancement system 54 are sent to the user database management unit 55 and used in the content service platform.

IoE 모바일 네트워크(53)는 만물인터넷 디바이스의 IP주소와 포트 번호를 조합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로 저장하거나 만물인터넷 디바이스의 IP 주소, 포트번호 및 제3 식별자(단수 또는 복수개)를 조합한 후 추상화하여 식별정보로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식별정보에 대한 추상화는 예를 들어, 해쉬함수를 이용하거나 공지된 다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상화할 수도 있다.The IoE mobile network 53 combines the IP address and port number of the 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stores it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device, or combines the IP address, port number, and third identifier (single or plural) of the Internet of Things device. It can also be abstracted and us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may be abstracted, for example, using a hash function or other known algorithms.

IoE 모바일 네트워크(53)의 데이터들은 채널링부(60)로 보내지게 된다. 상기 채널링부는 구체적으로 IoE콘텐츠 채널링 시스템일 수 있다. Data from the IoE mobile network 53 is sent to the channeling unit 60. The channeling unit may specifically be an IoE content channeling system.

IoE콘텐츠 채널링부(60)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를 의미하는 것으로 대용량의 콘텐츠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이며 콘텐츠 전송속도의 저하를 막고 플랫폼의 불안정성 문제를 해결한다.The IoE content channeling unit 60 refers to a content delivery network and is a service for quickly and reliably delivering large amounts of content, preventing a decrease in content transmission speed and solving platform instability problems.

IoE콘텐츠 채널링부(60)를 통하여 다양한 콘텐츠가 만물인터넷 디바이스에 원활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플랫폼을 운영하게 한다.Through the IoE content channeling unit 60, various contents smoothly transmit data to the Internet of Everything devices to operate the platform.

또한 플랫폼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URL를 전송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결제, 인증, 보안을 수행하고 모바일과 웹으로 데이터를 보내어 URL를 통하여 사용전환된다. 사용자 인증을 거친 사용자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와 콘텐츠 정보를 API를 통해서 받아온다In addition, in order to transmit and maintain a URL that identifies users using the platform, payment, authentication, and security are performed, and data is sent to mobile and web to change usage through the URL. Users who have completed user authentication receive user profile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through the API.

또한 본 발명의 IoE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은 IoE 객체와 상호작용하여 사용자의 콘텐츠를 실제 현실세계체험 실체화하는 증강현실 최적화환경이 구성되어 사용자의 성향 및 상황에 맞는 각종 행동모션에 맞는 주변환경 정보제공을 통해 사용자가 현실세계를 자유롭게 연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oE content service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augmented reality optimized environment that interacts with IoE objects to actualize the user's content as a real-world experience,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itable for various behavioral motions according to the user's inclination and situation. Through this, users can freely connect with the real world.

IoE-디바이스와 호환되어지는 플랫폼에서 생성된 생체 알고리즘으로 사용자 디바이스가 운영되는 인체에 착용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웨어러블(스마트워치, 스마트밴드,스마트 안경 인체착용한 스마트센서 등)에서 구현할 수 있다It is a biometric algorithm created on a platform compatible with IoE-devices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wearables (smart watches, smart bands, smart glasses, smart sensors worn on the body, etc.) that can be worn on the human body where the user device operates.

사용자 디바이스로(10)으로부터 유입된 알고리즘 중에 사람에 관한 생체알고리즘과 상기 생체 알고리즘에 상호작용으로 반응해야 하는 IoE디바이스 도출 알고리즘, 가상현실을 구성하는 공간, 환경, 사물 등 알고리즘이 유입되어 4D(감각, 촉감, 느낌, 감정 등)을 웨어러블을 통해 구현한다.Among the algorithms introduced from the user device 10, the biometric algorithm for people, the IoE device derivation algorithm that must respond interactively to the biometric algorithm, and the algorithm for space, environment, and objects that make up virtual reality are introduced to create 4D (sensory) algorithms. , touch, feeling, emotion, etc.) are implemented through wearables.

이러한 4D의 구현은 메타버스 서비스까지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다.This implementation of 4D can be expanded and applied to metaverse services.

Claims (6)

만물인터넷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으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상기 플랫폼에 접속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입력하고 사용자 디바이스 호환을 위한 콘텐츠 서비스 모듈;
상기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를 IoE 콘텐츠 서비스부 또는 방역 관리 서비스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식별부;
사용자의 발열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정보를 처리하는 방역관리 서비스부;
상기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와 매칭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부;및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와 만물인터넷 디바이스를 통해서 콘텐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하기 위하여 IoE 네트워크를 상호연결하게 하는 CSN unit부;및
다수의 콘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단일 채널로 모으는 IoE 콘텐츠 채널링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As an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platform system, the system is
a content service module for allowing a user to access the platform, input user data, and provide user device compatibility;
a user identification unit that transmits the input user data to the IoE content service unit or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 unit;
A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 department that measures the user's fever information and processes the information;
A content service unit that provides content matching the input user data; And
A CSN unit unit that interconnects IoE networks to enable content services to be used through the user data and Internet of Everything devic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A system that includes an IoE content channeling unit that collects multiple contents into a single channel desired by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모듈은 용자 디바이스에서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가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호환되도록 하는 디바이스 호환 모듈을 포함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ent service module is a system that includes a device compatibility module that ensures that user data input from a user device is compatible with various operating system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역관리 서비스부는
사용자의 발열 정보를 식별하는 발열정보 식별부;
상기 발열정보 식별부로부터 발열 정보를 수집 및 분류하여 상기 발열정보를 방역 기관 서버, 발열 정보 데이터베이스 또는 콘텐츠 서비스부의 콘텐츠 서버에 전송하는 방역관리 서버;및
상기 발열 정보를 저장하여 방역관리 및 질병 예측에 활용할 수 있는 의료정보의 원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원격진료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 department
A fev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that identifies the user's fever information;
A quarantine management server that collects and classifies fever information from the fev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and transmits the fever information to a quarantine agency server, fever information database, or content server of the content service department; And
A system including a telemedicine database that stores the fever information and extracts and stores source data of medical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for quarantine management and disease predi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E 콘텐츠 서비스부는
방역관리 서비스부의 방역관리 서버 및 사용자 식별부로부터 사용자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사용자가 콘텐츠를 요청하는 항목과 콘텐츠를 등록하는
항목으로 분류하고, IoE 관련 콘텐츠를 콘텐츠 서비스 네트워크(CSN)
unit부의 CSN unit IoE 모듈로 전송하는 콘텐츠 서버;
콘텐츠 서버에 의하여 분류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
사용자 데이터에 포함되는 사용자 요청 콘텐츠의 키워드와 콘텐츠를 매칭하는 콘텐츠 매칭 유닛;및
API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oE content service department
Receives user-related data from the quarantine management server and user identification department of the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 department and registers the items and content requested by the user.
Categorizes IoE-related content into Content Service Network (CSN)
A content server transmitting to the CSN unit IoE module of the unit unit;
a content database unit that stores content classified by the content server;
A content matching unit that matches the content with the keyword of the user requested content included in the user data; And
A system that includes an API service module.
제4항에 있어서,
API 서비스 모듈은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정보 전달 및 생성을 위한 API를 생성하고 분류하기 위한 API 서비스 레이어;
상기 API 서비스 레이어에서 취합된 사용자 요청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 인증을 위한 킷값을 호출하는 API 인증 모듈;
상기 API 인증 모듈에서 호출된 킷값을 전달 받아 API에 대한 권한을 판단하는 API 권한판단 모듈;
사용자 정의 API 함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정의 API 함수를 API 생성 모듈로 전송하는 분석 레이어;및
다양한 API를 생성하여 상기 API 서비스 레이어로 전송하는 API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API service module is
API service layer to create and classify APIs for delivering and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user requests;
an API authentication module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user requests collected from the API service layer and calls a kit value for user authentication;
an API authority determination module that receives the kit value called from the API authentication module and determines authority for the API;
An analysis layer that creates custom API functions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ustom API functions to the API creation module; and
A system including an API creation module that generates various APIs and transmits them to the API service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SN(Content Service Network) unit부는
실시간으로 고객에 최적화된 고객관계관리를 위한 R-CRM 시스템;
바인딩된 만물인터넷 디바이스들과 다중입출력 방식으로 영상콘텐츠 및 대용량의 데이터 입출력 통신을 수행하는 CSN(Content Service Network) unit IoE 모듈;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하여 R-CRM 시스템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분석하는 텍스트 향상 시스템;
상기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및
만물인터넷 디바이스의 IP주소와 포트 번호를 조합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로 저장하는 IoE 모바일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SN (Content Service Network) unit
R-CRM system for customer-optimize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in real time;
A CSN (Content Service Network) unit IoE module that performs video content and large-capacity data input/output communication with bound Internet of Things devices using a multiple input/output method;
A text enhancement system that use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 analyze data sent to the R-CRM system to analyze user-tailored content data;
a user database storing the user customized content data; and
A system that includes an IoE mobile network that combines the IP address and port number of an 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stores it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Internet of Things device.
KR1020220068913A 2022-06-07 2022-06-07 An open platform system for 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KR202301684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913A KR20230168450A (en) 2022-06-07 2022-06-07 An open platform system for 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913A KR20230168450A (en) 2022-06-07 2022-06-07 An open platform system for 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450A true KR20230168450A (en) 2023-12-14

Family

ID=8916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913A KR20230168450A (en) 2022-06-07 2022-06-07 An open platform system for 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45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722B1 (en) 2021-04-01 2021-09-06 주식회사 컴퍼니제이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tching and recommending human resour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video content platform ser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722B1 (en) 2021-04-01 2021-09-06 주식회사 컴퍼니제이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tching and recommending human resour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video content platform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97124B (en) Model multiterminal collaborative training method, medical risk prediction method and device
Zhang et al. Health-CPS: Healthcare cyber-physical system assisted by cloud and big data
Sanchez Bocanegra et al. HealthRecSys: A semantic content-based recommender system to complement health videos
KR102068451B1 (en) Synthetic genomic variant-based secure transa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Hannah et al. Blockchain-based deep learning to process IoT data acquisition in cognitive data
CN105389619B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connectivity within a healthcare ecosystem
Iranpak et al. Remote patient monitoring and classifying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platform combined with cloud computing
Håkansson et al. An infrastructure for individualised and intelligent decision-making and negotiation in cyber-physical systems
CN117238458B (en) Critical care cross-mechanism collaboration platform system based on cloud computing
Gubert et al. Context awareness in healthcar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Yang et al. Multimodal wearable intelligence for dementia care in healthcare 4.0: A survey
Al Mamun et al. A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approach towards inclusive healthcare provisioning in society 5.0: a perspective on brain disorder
Ahmad et al. IoT-fog-based healthcare 4.0 system using blockchain technology
Baktha et al. Social network analysis in healthcare
Jersak et al. A systematic review on mobile health care
Pergolizzi Jr et al. Brave New Healthcare: A Narrative Review of Digital Healthcare in American Medicine
Rajendran et al. Learning across diverse biomedical data modalities and cohort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innovation
Sharma et al. Gerontechnology—The study of alzheimer disease using cloud computing
KR20230168450A (en) An open platform system for the internet of everything content service
Alam et al. Intelligent context-based healthcare metadata aggregator in internet of medical things platform
Bick et al. Ambient intelligence
JP7154884B2 (en) Information anonymization method, information anonymization program, information anonymization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ulby et al. Frameworks: integration to digital networks and beyond
Ranjan et al. Review of Big Data, Internet of Things (IoT) and Real-time Analytics in Healthcare
Nguyen et al. Novel smart homecare IoT system with Edge-AI and Block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