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385A -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 개선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 개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385A
KR20230168385A KR1020220068777A KR20220068777A KR20230168385A KR 20230168385 A KR20230168385 A KR 20230168385A KR 1020220068777 A KR1020220068777 A KR 1020220068777A KR 20220068777 A KR20220068777 A KR 20220068777A KR 20230168385 A KR20230168385 A KR 20230168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content
data
upload
cou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화
Original Assignee
(주)아틀라스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틀라스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아틀라스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20068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385A/ko
Publication of KR20230168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5Conversion or adaptation of application format or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289Intermediate processing functionally located close to the data consumer application, e.g. in same machine, in same home or in same sub-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 H04L67/5682Policies or rules for updating, deleting or replacing the stor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로드된 데이터의 다운로드 속도를 개선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컨텐츠 등의 업로드 된 데이터가 국가 사이와 같이 원거리 다른 지역에서 다운로드 되는 경우에도 개선된 다운로드 속도를 제공하여 사용 불편이 없도록 개선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 개선 시스템{Improvement system for download speed using converting protocol}
본 발명은 업로드된 데이터의 다운로드 속도를 개선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컨텐츠 등의 업로드 된 데이터가 국가 사이와 같이 원거리 다른 지역에서 다운로드 되는 경우에도 개선된 다운로드 속도를 제공하여 사용 불편이 없도록 개선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들은 업로드 된 다음에 다양한 사용자가 해당 업로드된 영상을 보고자 다운로드받아 플레이 시켜 이용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인터넷 등의 발달과 함께 유투브(YouTube), V-Live, 넷플릭스 등과 같이 다양한 영상이 전세계 어디서든지 즐길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대체로 인터넷 등의 기반 환경은 국가나, 지역별로 서로 다른 여건에 처해있기 때문에, 즐기고 싶은 영상이나 컨텐츠가 있다고 하여도 실제로 안정적인 다운로드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게 된다면 충분히 즐기기 곤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업로드된 컨텐츠는 대체로 인터넷 등 IP 기반시설이 양호한 지역에 위치하지만, 이러한 컨텐츠는 지역이나 국가를 제한하지 않고 다운로드 요청하여 즐기려고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이나 국가에서는 인터넷 등 IP 기반 시설이 부족하거나 구축된 곳이라고 하여도 다운로드 속도를 제대로 지원하지 못하는 지역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업로드된 서버가 위치한 국가나 지역과 인터넷 등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연결구성이 평소에 없을 경우에는 더욱더 다운로드 여건이 제공되지 못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업로드 및 다운로드 등의 여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SMB 등과 같은 개선되는 기술의 제공도 있기는 하지만, 일관되게 업로드 및 다운로드 등에 통일되게 이용하기도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컨텐츠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 제안이 필요한 상황인 것이다.
등록특허번호 제10-1495923호(2015년 02월 25일 공고) 등록특허번호 제10-1486786호(2015년 02월 27일 공고) 공개특허번호 제10-2008-0003961호(2008년 01월 09일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업로드된 컨텐츠 등의 데이터를 업로드된 국가의 업로드 서버에서 바로 다운로드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고, 다운로드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에 별도의 다운로드 서버를 구성함으로써, 다운로드 사용자에게 빠른 다운로드가 이루어지게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운로드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의 다운로드 서버에서 제공함과 함께, 업로드 서버에 새로운 컨텐츠가 업로드된 상태에 대해 다운로드 서버와 업로드 서버 사이의 동기화를 이루어, 업로드된 컨텐츠 데이터가 다운로드 서버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운로드 서버가 위치한 사용자에게 바로 다운로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업로더 사용자가 업로드 서버에 전송하는 기술, 다운로드 서버에서 다운로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 및 업로드 서버와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 등에서 서로의 전송 여건에 맞는 프로토콜로 전환함으로서, 최적으로 다운로드 및 컨텐츠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개선 시스템은, 업로더(11) 컨텐츠를 업로드하여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하는 업로드 서버(20); 업로더(11)의 컨텐츠 정보가 업로드되어 저장되는 업로드 데이터 서버(30); 업로드 서버(20)의 컨텐츠 정보를 국가간 통신망(60)을 통하여 전송받아 이용국 데이터 서버(50)에 저장하는 이용국 서버(40); 및 이용국 서버(40)를 통하여 전송받은 업로더(11)의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는 이용국 데이터 서버(50)를 포함하며, 상기 업로드 서버(20)는 업로더(11)의 업로드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프로토콜 변환하여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하며, 상기 이용국 서버(40)는 업로드 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프로토콜 변환하여 이용국 데이터 서버(5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업로드 서버(20)는, 업로더(11)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업로드 과정의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컨텐츠 업로드 관리부(21); 업로드된 컨텐츠 정보에 대해 다운로드한 시청 정보를 처리하는 컨텐츠 시청 정보 처리부(22); 다운로더(12)가 위치한 국가의 이용국 서버(40)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이용국 서버 등록 관리부(23); 다운로더(12)가 위치한 국가의 이용국 서버(40)로부터, 신규 컨텐츠에 대한 동기화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된 업로드 데이터의 동기화 회신 정보를 이용국 서버(40)로 전송하는 이용국 서버 동기화 처리부(24); 및 이용국 서버(40)로부터 동기화 회신 정보에 의한 신규 컨텐츠의 전송 요청정보를 수신받고, 해당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이용국 서버 컨텐츠 전송관리부(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업로드 관리부(21)는, 업로더(11)로부터 업로드 받은 컨텐츠 데이터를 80 포트 프로토콜에서 445 포트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업로드 컨텐츠 프로토콜 변환부(211); 및 프로토콜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하는 프로토콜 변환 컨텐츠 저장관리부(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업로드 데이터 서버(30)는, 업로더(11)로부터 업로드된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 저장부(31); 업로드된 컨텐츠에 대해, 다운로드된 회수, 시청 시간을 포함한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 관련정보 저장부(32); 및 다운로더(12)가 위치한 국가의 이용국 서버(40)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용국 서버 정보 저장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용국 서버(40)는, 업로드 서버(20) 측으로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된 신규 컨텐츠에 대한 동기화를 요청하고, 업로드 서버(20) 측으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받는 컨텐츠 동기화 요청관리부(41); 업로드 서버(20)로부터 신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신규 컨텐츠에 대한 전송을 요청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받는 컨텐츠 수신부(42); 전송받은 신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455 포트 프로토콜에서 80 포트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컨텐츠 프로토콜 변환부(43); 및 프로토콜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국 데이터 서버(50)에 저장하는 수신 컨텐츠 저장관리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동기화 요청관리부(41)는,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된 업로드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 요청 정보를 업로드 서버(20) 측으로 전송하는 동기화 데이터 요청부(411); 업로드 서버(20) 측에서 전송받은 업로드 데이터에 대해 수신된 동기화 데이터와 이용국 데이터 서버(50)에 저장된 다운로드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 데이터를 비교 판별하여 동기화 상태를 판별하는 동기화 데이터 확인부(412); 및 업로드 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동기화 데이터와의 판별에 의하여 신규 데이터가 있을 경우 신규 데이터에 대한 전송요청 정보를 업로드 서버(20) 측으로 전송하는 신규 데이터 전송요청부(4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용국 데이터 서버(50)는, 이용국 서버(40)에서 프로토콜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변환 컨텐츠 정보 저장부(51); 및 업로드 서버(20) 요청으로 이용국 서버(40)에 의하여 다운로더(12) 측으로 전송된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회수, 시청 시간을 포함한 컨텐츠 다운로드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 다운로드 정보 저장부(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개선 방법은, 업로더(11)가 업로드 서버(20)에 컨텐츠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컨텐츠 데이터 업로드 단계(S1); 다운로더(12)가 위치한 이용국 서버(40)에서 업로드 서버(20) 측으로 신규 컨텐츠에 대한 동기화 데이터를 요청하여 신규 데이터가 있을 경우 동기화의 신규 데이터를 이용국 서버(40)에서 전송받는 이용국 켄텐츠 데이터 동기화 단계(S2); 상기 이용국 컨텐츠 데이터 동기화 단계(S2)에 의하여 전송받은 신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국 데이터 서버(50)에 저장하는 동기화 콘텐츠 이용국 서버 저장단계(S3); 다운로더(12)가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 정보를 업로드 서버(20)에서 수신받는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단계(S4); 업로드 서버(20)에서 다운로드 요청받은 다운로더(12)의 이용국 서버(40)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더(12) 측으로 전송하는 컨텐츠 이용국 서버 다운로드 단계(S5); 및 해당 다운로더(12)가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은 시간 정보, 회수 정보를 이용국 서버(40)에서 업로드 서버(20) 측으로 전송하고, 업로드 서버(20)에서 해당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정보를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하는 컨텐츠 다운로드 정보 저장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데이터 업로드 단계(S1)는, 업로더(11)의 컨텐츠 데이터를 80 포트 프로토콜에서 445 포트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업로드 컨텐츠 데이터 프로토콜 변환단계(S11); 및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하는 프로토콜 변환 컨텐츠 데이터 저장단계(S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용국 컨텐츠 데이터 동기화 단계(S2)는, 이용국 서버(40)에서 업로드 서버(20) 측으로 신규 컨텐츠와 관련한 동기화 데이터를 요청하여, 업로드 서버(20)에서 이용국 서버(40)로 동기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기화 요청단계(S21); 및 상기 동기화 요청단계(S21)에 의하여,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의 컨텐츠 데이터 중에서 신규 컨텐츠가 있는 경우, 이용국 서버(40)에서 업로드 서버(20) 측으로 저장된 신규 컨텐츠 데이터를 요청하여,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된 신규 데이터를 이용국 서버(40) 측으로 전송하는 동기화 컨텐츠 전송단계(S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기화 콘텐츠 이용국 서버 저장단계(S3)는, 상기 이용국 컨텐츠 데이터 동기화 단계(S2)에 의하여 전송받은 신규 컨텐츠 데이터를 445 포트 프로토콜에서 80 포트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이용국 수신 컨텐츠 데이터 프로토콜 변환단계(S31); 및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프로토콜 변환 이후 이용국 데이터 서버(50)에 저장하는 수신 변환 컨텐츠 데이터 저장단계(S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이용국 서버 다운로드 단계(S5)는, 업로드 서버(20)에서 다운로드 요청받은 다운로더(12)의 국가정보를 분석하고, 해당 국가의 이용국 서버(40) 측으로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이용국 서버 다운로드 요청 전송단계(S51); 및 다운로드 요청 정보를 전송받은 이용국 서버(40)에서 이용국 데이터 서버(50)에 저장된 해당 컨텐츠 정보를 리딩하여 다운로더(12) 측으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이용국 서버 다운로드 실행단계(S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업로드된 컨텐츠 등의 데이터를 업로드된 국가의 업로드 서버에서 바로 다운로드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고, 다운로드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에 별도의 다운로드 서버를 구성함으로써, 다운로드 사용자에게 빠른 다운로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다운로드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의 다운로드 서버에서 제공함과 함께, 업로드 서버에 새로운 컨텐츠가 업로드된 상태에 대해 다운로드 서버와 업로드 서버 사이의 동기화를 이루어, 업로드된 컨텐츠 데이터가 다운로드 서버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운로드 서버가 위치한 사용자에게 바로 다운로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업로더 사용자가 업로드 서버에 전송하는 기술, 다운로드 서버에서 다운로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 및 업로드 서버와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 등에서 서로의 전송 여건에 맞는 프로토콜로 전환함으로서, 최적으로 다운로드 및 컨텐츠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 개선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 개선 시스템이 적용된 데이터의 흐름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 개선 시스템에서 프로토콜 변환에 대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 개선 시스템을 적용하여 실제다운로드 적용 예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 개선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망 구성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 개선 시스템에 대한 구성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 개선 시스템에 의한 속도 개선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 개선 시스템 및 속도 개선 방법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7 등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국가 등에서 컨텐츠 등의 데이터가 업로드되고 다른 국가에서 다운로드되는 데이터 송수신 망 구성에 있어서, 데이터의 전송 및 다운로드 등의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도 1의 예에서와 같이 유투브(YouTube), 넷플릭스, V - Live 등과 같은 서비스 제공 플랫폼에서는 다양한 사용자들이 컨텐츠를 업로드시키면, 이를 확인한 다른 사용자들은 해당 컨텐츠를 즐기기 위하여 다운로드 신청을 하게 된다. 이럴 경우 대체로 해당 컨텐츠를 올린 국가의 DB 서버에서 다운로드 신청한 다른 국가의 사용자에게 다운로드를 실시하게 된다.
하지만 대체로 국각간 데이터 망 구성에서는 IDC 등과 같은 복잡한 데이터 전송 망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해당 컨텐츠 전체가 안정적으로 모두 전송되지 못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로써 SMB 등의 기술이 제안되곤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Amazon S3 객체 스토리지 서버용 드라이버인 MinFS를 이용하여 해외 국가 간 SMB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다운로드 속도를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SMB를 이용하는 국가 간 지점에 Minio를 활용, Http 프로토콜로 전환하여 다운로드로 속도를 가속하고 안정성을 높이며 MinFS로 재차 데이터를 SMB 프로토콜로 전환함으로써 보안 및 안정성, 속도 증진의 효과를 대폭 높이는 방법을 적용한 것이다.
이에 이러한 SMB는 OS에 있어서 강력한 네트워크 파일 공유 프로토콜이다. 본래 운영체제 간의 파일 공유를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졌으며, 현재까지도 넓은 OS 호환성, 공유 폴더 방식의 업로드, 다운로드 방식 등의 장점을 들여 널리 사용중인 프로토콜이다.
그러나 보안 취약점, 타 파일 공유 프로토콜 보다 느린 속도 등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었다. 해당 취약점에 대비하기 위해 국내망을 포함한 해외망은 SMB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트래픽을 차단하거나 우회를 시키기도 하였다. 이는 해당 트래픽의 속도와 안정성을 매우 저하시키며 작은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파일 손상률도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Windows, Linux 등에서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고 공유 폴더 방식의 업로드 다운로드 방법을 지원하는 등의 SMB프로토콜의 장점을 누리며 취약한 보안 등과 같은 기술들을 보완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SMB만을 사용하여 해외 망 구간에서의 다운로드 속도는 굉장히 느리다. 이러한 컨텐츠 등을 업로드 하고 다운로드하는 예를 들어보면, 한국 <-> 베트남 기준으로 100mb의 파일을 베트남 DB서버에서 다운로드 받는다고 했을 때, 164.4초의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위에서 기술한 것처럼 SMB 프로토콜을 차단하거나 우회하여 받기 때문에 굉장히 느린 속도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적용으로 인해, 서로 다른 나라에 있는 다운로드 Client와 DB Server인 업로드 서버(20) 사이에 Download Server인 이용국 서버(40)를 둠으로써 여기서 프로토콜 전환이 이루어진다. Minfs를 활용하여 MiniO, SMB사이의 전환을 이루어 내며 이에 대한 속도는 다음과 같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와 같은 구성일 때, 도 4의 예에서처럼 다운로드 받는 속도는 51.5초, miniO만 사용했을 때 보다 약 5배 정도 느려졌지만 기존 SMB만 이용했을 때 보다 약 3.2배 빨라졌으며 기존 SMB를 사용했을 때의 장점 (OS 호환성, 공유 폴더 방식)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기존 사용자들은 달라진 것이 없는 것처럼 체감되지만 사실 통신 과정 중 두 번의 프로토콜 전환이 이루어지며 가속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들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업로더(11) 컨텐츠를 업로드하여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하는 업로드 서버(20)를 구성한 것이다. 즉 예로서 베트남에 업로드 서버(20)를 구성하여, 업로드되는 업로더(11) 사용자가 속한 국가의 DB인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컨텐츠 등의 업로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즉 업로더(11)의 컨텐츠 정보가 업로드되어 저장되는 업로드 데이터 서버(30)를 구비하는 것이다.
아울러 업로드 서버(20)의 컨텐츠 정보를 국가간 통신망(60)을 통하여 전송받아 이용국 데이터 서버(50)에 저장하는 이용국 서버(40)를 구성하는 것이다.
즉 업로드된 컨텐츠 등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는 베트남과 다른 국가인 대한민국에 있는 사용자가 볼 수 있으며, 이에 이러한 다운로드 사용자(다운로더(12))가 있는 대한민국에 이용국 서버(40)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이용국 서버(40)를 통하여 전송받은 업로더(11)의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는 이용국 데이터 서버(50)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업로드 서버(20)는 업로더(11)의 업로드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프로토콜 변환하여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하며, 또한 상기 이용국 서버(40)는 업로드 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프로토콜 변환하여 이용국 데이터 서버(50)에 저장하는 것이다.
이에 최초 컨텐츠 등을 업로드 하는 업로더(11)가 이용하게 되는 업로드 서버(20)에 있어서는, 업로더(11)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업로드 과정의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컨텐츠 업로드 관리부(21)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컨텐츠 업로드 관리부(21)는, 업로더(11)로부터 업로드 받은 컨텐츠 데이터를 80 포트 프로토콜에서 445 포트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업로드 컨텐츠 프로토콜 변환부(211)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프로토콜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하는 프로토콜 변환 컨텐츠 저장관리부(212)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업로드된 컨텐츠 정보에 대해 다운로드한 시청 정보를 처리하는 컨텐츠 시청 정보 처리부(22)를 구비하는 것이다. 즉 다수 사용자들이 업로드된 데이터를 얼마나 이용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다운로더(12)가 위치한 국가의 이용국 서버(40)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이용국 서버 등록 관리부(23)가 마련된다. 즉 도 5의 예에서와 같이 전세계 사용자가 각각의 업로드 서버를 통하여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또한 사용하는 다운로드 사용자(다운로더(12)) 등도 또한 그만큼 전세계적으로 많은 나라의 사람들이 이용하게 될 것이다. 이에 각 업로드 서버(20)에서는 관련되는 다운로드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의 이용국 서버(40)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여, 콘텐츠 등의 데이터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국가의 정보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아울러 다운로더(12)가 위치한 국가의 이용국 서버(40)로부터, 신규 컨텐츠에 대한 동기화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된 업로드 데이터의 동기화 회신 정보를 이용국 서버(40)로 전송하는 이용국 서버 동기화 처리부(24)를 구비하는 것이다. 즉 대체로 많은 나라의 이용국 서버(40)로부터 동기화 요청 정보를 요청받게 되며, 이에 해당 업로드 서버(20)에서는 이용국 서버 동기화 처리부(24)의 처리에 의하여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된 컨텐츠 등의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 정보를 요청된 이용국 서버(40)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업로드 서버(20)에는, 이용국 서버(40)로부터 동기화 회신 정보에 의한 신규 컨텐츠의 전송 요청정보를 수신받고, 해당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이용국 서버 컨텐츠 전송관리부(25)를 포함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업로드 데이터 서버(30)는, 업로더(11)로부터 업로드된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 저장부(31)를 구비하는 것이다. 즉 새로이 업로드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아울러 업로드된 컨텐츠에 대해, 다운로드된 회수, 시청 시간을 포함한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 관련정보 저장부(32)를 구비하는 것이다. 즉 유투브나 넷플릭스 등과 같이 시청자가 다운로드받아 시청하거나, 실시간 시청, 스트리밍 서비스 등과 같이 해당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한 경우, 이용회수, 이용시간 등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또한 다운로더(12)가 위치한 국가의 이용국 서버(40)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용국 서버 정보 저장부(33)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해당 컨텐츠 데이터를 업로드한 업로드 서버(20)와 관련되어 있는 각국의 다운로드 서버(40) 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이후 해당 다운로드 서버(40)로부터의 정보제공 요청이 수신된 경우, 해당 서버는 인증된 서버로 판별하여, 요청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다운로드 서버(40)는 별도의 승인 과정을 거쳐 등록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다운로더(12) 등이 이용하는 국가에 위치한 상기 이용국 서버(40)는, 업로드 서버(20) 측으로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된 신규 컨텐츠에 대한 동기화를 요청하고, 업로드 서버(20) 측으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받는 컨텐츠 동기화 요청관리부(41)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항시 업로드된 데이터가 있는 동기화 과정을 통하여 판별하며, 신규 데이터가 있을 경우 업로드 서버(20) 측으로 신규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여 제공받게 된다.
이에 이러한 상기 컨텐츠 동기화 요청관리부(41)의 상세 구성을 보면,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된 업로드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 요청 정보를 업로드 서버(20) 측으로 전송하는 동기화 데이터 요청부(411)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업로드 서버(20) 측에서 전송받은 업로드 데이터에 대해 수신된 동기화 데이터와 이용국 데이터 서버(50)에 저장된 다운로드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 데이터를 비교 판별하여 동기화 상태를 판별하는 동기화 데이터 확인부(412)를 구비한다. 그리하여 판별한 경우,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된 데이터와, 이용국 데이터 서버(50)에 저장된 데이터 등을 비교하는 것이다.
나아가 업로드 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동기화 데이터와의 판별에 의하여 신규 데이터가 있을 경우 신규 데이터에 대한 전송요청 정보를 업로드 서버(20) 측으로 전송하는 신규 데이터 전송요청부(413)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양측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판별함으로써, 신규 데이터가 있을 경우, 이러한 신규 데이터에 대해서 업로드 서버(20) 측으로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용국 서버(40)에는, 업로드 서버(20)로부터 신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신규 컨텐츠에 대한 전송을 요청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받는 컨텐츠 수신부(42)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송받은 신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455 포트 프로토콜에서 80 포트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컨텐츠 프로토콜 변환부(43)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렇게 변환된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다운로드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아울러 프로토콜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국 데이터 서버(50)에 저장하는 수신 컨텐츠 저장관리부(44)를 포함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이용국 데이터 서버(50)는, 이용국 서버(40)에서 프로토콜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변환 컨텐츠 정보 저장부(51)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업로드 서버(20)로부터 다운로더(12)에게 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데이터를 다운로더(12) 측으로 바로 전송하게 된다. 즉 업로드 서버(20)에서 다운로더(12) 측으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다운로더(12)가 위치한 국가의 이용국 서버(40)에서 다운로더(12)에게 해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업로드 서버(20) 요청으로 이용국 서버(40)에 의하여 다운로더(12) 측으로 전송된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회수, 시청 시간을 포함한 컨텐츠 다운로드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 다운로드 정보 저장부(52)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처럼 컨텐츠 다운로드 정보 저장부(52)에 저장된 컨텐츠 다운로드 정보를 업로드 서버(20) 측으로 전송하며, 이후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된 콘텐츠 다운로드 정보와 자료 병합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후 업로더(11)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사용 정보를 요청하면 해당 자료를 업로더(11) 측으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비되는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 개선 시스템을 통하여, 베트남과 같이 다른 나라의 사용자인 업로더(11)가 해당 국가의 업로드 서버(20)를 통하여 컨텐츠 등의 데이터를 업로드 함으로써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되는 것이다. 이후 해당 컨텐츠 등의 데이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인 다운로더(12)는 해당 데이터가 업로드된 업로드 서버(20) 측으로 해당 컨텐츠 데이터를 요청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해당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더(12)가 위치한 국가를 분석하게 되고, 업로드 서버(20)는 해당 국가의 이용국 서버(40) 측으로 해당 다운로더(12)에게 신청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서 별도의 국가 간 망을 통하지 않고 바로 해당 국가의 서버에서 전송받기 때문에 빠른 다운로드 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각 업로드, 서버간 데이터 전송 및 다운로드 등의 상황별로 각각에 맞는 프로토콜로 변환함으로써, 다운로드 등의 전송 속도를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다른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 개선 시스템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과정에 대한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 개선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업로더(11)가 업로드 서버(20)에 컨텐츠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컨텐츠 데이터 업로드 단계(S1)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상기 컨텐츠 데이터 업로드 단계(S1)의 세부 단계를 살펴보면, 업로더(11)의 컨텐츠 데이터를 80 포트 프로토콜에서 445 포트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업로드 컨텐츠 데이터 프로토콜 변환단계(S11)를 수행한다. 즉 업로드된 데이터에 대해 국가간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준비를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하는 프로토콜 변환 컨텐츠 데이터 저장단계(S12)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각국의 이용국 서버(40)에서의 컨텐츠 등의 데이터 요청시 해당 프로토콜 변환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며, 프로토콜 변환으로 빠른 전송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다운로더(12)가 위치한 이용국 서버(40)에서 업로드 서버(20) 측으로 신규 컨텐츠에 대한 동기화 데이터를 요청하여 신규 데이터가 있을 경우 동기화의 신규 데이터를 이용국 서버(40)에서 전송받는 이용국 켄텐츠 데이터 동기화 단계(S2)를 수행하는 것이다. 즉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와 이용국 데이터 서버(50) 사이에 저장된 데이터가 동일한지 여부에 대해서 동기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이러한 상기 이용국 컨텐츠 데이터 동기화 단계(S2)에 대한 세부 단계에 대해서 살펴보면, 이용국 서버(40)에서 업로드 서버(20) 측으로 신규 컨텐츠와 관련한 동기화 데이터를 요청하여, 업로드 서버(20)에서 이용국 서버(40)로 동기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기화 요청단계(S21)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동기화 요청단계(S21)에 의하여,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의 컨텐츠 데이터 중에서 신규 컨텐츠가 있는 경우, 이용국 서버(40)에서 업로드 서버(20) 측으로 저장된 신규 컨텐츠 데이터를 요청하여,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된 신규 데이터를 이용국 서버(40) 측으로 전송하는 동기화 컨텐츠 전송단계(S22)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이용국 서버(40)에서는 동기화 데이터 확인부(412)를 통해서,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의 데이터와, 이용국 데이터 서버(50)의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 정보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용국 데이터 서버(50)에는 없는 데이터가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 해당 신규 데이터를 업로드 서버(20) 측으로 전송하여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이용국 컨텐츠 데이터 동기화 단계(S2)에 의하여 전송받은 신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국 데이터 서버(50)에 저장하는 동기화 콘텐츠 이용국 서버 저장단계(S3)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상기 동기화 콘텐츠 이용국 서버 저장단계(S3)는, 상기 이용국 컨텐츠 데이터 동기화 단계(S2)에 의하여 전송받은 신규 컨텐츠 데이터를 445 포트 프로토콜에서 80 포트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이용국 수신 컨텐츠 데이터 프로토콜 변환단계(S31)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프로토콜 변환 이후 이용국 데이터 서버(50)에 저장하는 수신 변환 컨텐츠 데이터 저장단계(S32)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로써 이용국 데이터 서버(50)에 저장된 콘텐츠 등의 데이터는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안전한 80 포트 프로토콜 데이터로 변환된 상태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다운로더(12)가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 정보를 업로드 서버(20)에서 수신받는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단계(S4)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후 업로드 서버(20)에서 다운로드 요청받은 다운로더(12)의 이용국 서버(40)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더(12) 측으로 전송하는 컨텐츠 이용국 서버 다운로드 단계(S5)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컨텐츠 이용국 서버 다운로드 단계(S5)는, 업로드 서버(20)에서 다운로드 요청받은 다운로더(12)의 국가정보를 분석하고, 해당 국가의 이용국 서버(40) 측으로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이용국 서버 다운로드 요청 전송단계(S51)를 수행하는 것이다. 즉 다운로더(12)가 위치한 국가의 정보를 분석하고, 해당 국가의 이용국 서버(40) 측으로, 이용국 데이터 서버(50)에 저장된 해당 다운로드용 데이터를, 요청한 다운로더(12) 측으로 전송하도록 요청정보를 업로드 서버(20)에서 이용국 서버(40) 측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여 다운로드 요청 정보를 전송받은 이용국 서버(40)에서 이용국 데이터 서버(50)에 저장된 해당 컨텐츠 정보를 리딩하여 다운로더(12) 측으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이용국 서버 다운로드 실행단계(S52)를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해당 다운로더(12)는 요청한 컨텐츠 등의 데이터를 다운받거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해당 다운로더(12)가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은 시간 정보, 회수 정보를 이용국 서버(40)에서 업로드 서버(20) 측으로 전송하고, 업로드 서버(20)에서 해당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정보를 업로드 데이터 서버(30)에 저장하는 컨텐츠 다운로드 정보 저장단계(S6)를 수행하는 것이다. 즉 해당 컨텐츠 등의 데이터를 업로더(11)가 업로드한 대상은 업로드 서버(20)이므로, 해당 데이터의 이용에 대한 관련 정보도 업로드 서버(20)에서 처리하여 업로더(11)에 제공하도록 실시하는 것이다. 즉 해당 데이터는 전세계 각국의 이용국 서버들로 제공된 상태이고, 다수의 국가들에 있는 각각의 이용국 서버(40)에서는 해당 데이터를 다운로드한 정보를 업로드 서버(20)로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해당 데이터에 대해서는 모든 다운로드 정보를 업로드 서버(20)에서 관리하게 되며, 이러한 정보를 업로더(11) 측으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개선 시스템 및 방법을 통하여, 컨텐츠 등의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업로드 서버, 해당 업로드 서버가 있는 국가와 다른 국가에 있는 이용국 서버(40) 등으로 나누어져 데이터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 등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데이터의 처리 중에 각 상황별로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전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지게 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1 : 업로더 12 : 다운로더
20 : 업로드 서버 21 : 컨텐츠 업로드 관리부
24 : 이용국 서버 동기화 처리부
30 : 업로드 데이터 서버 31 : 컨텐츠 데이터 저장부
40 : 이용국 서버 41 : 컨텐츠 동기화 요청관리부
42 : 컨텐츠 수신부 43 : 컨텐츠 프로토콜 변환부
50 : 이용국 데이터 서버 60 : 국가간 통신망

Claims (10)

  1. 업로더 컨텐츠를 업로드하여 업로드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업로드 서버;
    업로더의 컨텐츠 정보가 업로드되어 저장되는 업로드 데이터 서버;
    업로드 서버의 컨텐츠 정보를 국가간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받아 이용국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이용국 서버; 및
    이용국 서버를 통하여 전송받은 업로더의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는 이용국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업로드 서버는 업로더의 업로드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프로토콜 변환하여 업로드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며,
    상기 이용국 서버는 업로드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프로토콜 변환하여 이용국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개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 서버는,
    업로더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업로드 과정의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컨텐츠 업로드 관리부;
    업로드된 컨텐츠 정보에 대해 다운로드한 시청 정보를 처리하는 컨텐츠 시청 정보 처리부;
    다운로더가 위치한 국가의 이용국 서버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이용국 서버 등록 관리부;
    다운로더가 위치한 국가의 이용국 서버로부터, 신규 컨텐츠에 대한 동기화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업로드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업로드 데이터의 동기화 회신 정보를 이용국 서버로 전송하는 이용국 서버 동기화 처리부; 및
    이용국 서버로부터 동기화 회신 정보에 의한 신규 컨텐츠의 전송 요청정보를 수신받고, 해당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이용국 서버 컨텐츠 전송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개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업로드 관리부는,
    업로더로부터 업로드 받은 컨텐츠 데이터를 80 포트 프로토콜에서 445 포트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업로드 컨텐츠 프로토콜 변환부; 및
    프로토콜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업로드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프로토콜 변환 컨텐츠 저장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개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국 서버는,
    업로드 서버 측으로 업로드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신규 컨텐츠에 대한 동기화를 요청하고, 업로드 서버 측으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받는 컨텐츠 동기화 요청관리부;
    업로드 서버로부터 신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신규 컨텐츠에 대한 전송을 요청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받는 컨텐츠 수신부;
    전송받은 신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455 포트 프로토콜에서 80 포트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컨텐츠 프로토콜 변환부; 및
    프로토콜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국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수신 컨텐츠 저장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개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동기화 요청관리부는,
    업로드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업로드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 요청 정보를 업로드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동기화 데이터 요청부;
    업로드 서버 측에서 전송받은 업로드 데이터에 대해 수신된 동기화 데이터와 이용국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다운로드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 데이터를 비교 판별하여 동기화 상태를 판별하는 동기화 데이터 확인부; 및
    업로드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동기화 데이터와의 판별에 의하여 신규 데이터가 있을 경우 신규 데이터에 대한 전송요청 정보를 업로드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신규 데이터 전송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개선 시스템.
  6. 업로더가 업로드 서버에 컨텐츠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컨텐츠 데이터 업로드 단계;
    다운로더가 위치한 이용국 서버에서 업로드 서버 측으로 신규 컨텐츠에 대한 동기화 데이터를 요청하여 신규 데이터가 있을 경우 동기화의 신규 데이터를 이용국 서버에서 전송받는 이용국 켄텐츠 데이터 동기화 단계;
    상기 이용국 컨텐츠 데이터 동기화 단계에 의하여 전송받은 신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국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동기화 콘텐츠 이용국 서버 저장단계;
    다운로더가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 정보를 업로드 서버에서 수신받는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단계;
    업로드 서버에서 다운로드 요청받은 다운로더의 이용국 서버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더 측으로 전송하는 컨텐츠 이용국 서버 다운로드 단계; 및
    해당 다운로더가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은 시간 정보, 회수 정보를 이용국 서버에서 업로드 서버 측으로 전송하고, 업로드 서버에서 해당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정보를 업로드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컨텐츠 다운로드 정보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개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 업로드 단계는,
    업로더의 컨텐츠 데이터를 80 포트 프로토콜에서 445 포트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업로드 컨텐츠 데이터 프로토콜 변환단계; 및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업로드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프로토콜 변환 컨텐츠 데이터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개선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국 컨텐츠 데이터 동기화 단계는,
    이용국 서버에서 업로드 서버 측으로 신규 컨텐츠와 관련한 동기화 데이터를 요청하여, 업로드 서버에서 이용국 서버로 동기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기화 요청단계; 및
    상기 동기화 요청단계에 의하여, 업로드 데이터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중에서 신규 컨텐츠가 있는 경우, 이용국 서버에서 업로드 서버 측으로 저장된 신규 컨텐츠 데이터를 요청하여, 업로드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신규 데이터를 이용국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동기화 컨텐츠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개선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콘텐츠 이용국 서버 저장단계는,
    상기 이용국 컨텐츠 데이터 동기화 단계에 의하여 전송받은 신규 컨텐츠 데이터를 445 포트 프로토콜에서 80 포트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이용국 수신 컨텐츠 데이터 프로토콜 변환단계; 및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프로토콜 변환 이후 이용국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수신 변환 컨텐츠 데이터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개선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이용국 서버 다운로드 단계는,
    업로드 서버에서 다운로드 요청받은 다운로더의 국가정보를 분석하고, 해당 국가의 이용국 서버 측으로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이용국 서버 다운로드 요청 전송단계; 및
    다운로드 요청 정보를 전송받은 이용국 서버에서 이용국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해당 컨텐츠 정보를 리딩하여 다운로더 측으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이용국 서버 다운로드 실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개선 방법.
KR1020220068777A 2022-06-07 2022-06-07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 개선 시스템 KR202301683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777A KR20230168385A (ko) 2022-06-07 2022-06-07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 개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777A KR20230168385A (ko) 2022-06-07 2022-06-07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 개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385A true KR20230168385A (ko) 2023-12-14

Family

ID=89167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777A KR20230168385A (ko) 2022-06-07 2022-06-07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 개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38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961A (ko) 2006-07-04 2008-01-09 (주) 컨텐츠플러그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95923B1 (ko) 2006-07-28 2015-02-25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UPnP가 발견된 아이템들을 SMB 위치에 매핑하는 방법
KR101486786B1 (ko) 2012-12-27 2015-02-27 주식회사 이스타미디어 모바일 단말을 위한 동영상 다운로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961A (ko) 2006-07-04 2008-01-09 (주) 컨텐츠플러그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95923B1 (ko) 2006-07-28 2015-02-25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UPnP가 발견된 아이템들을 SMB 위치에 매핑하는 방법
KR101486786B1 (ko) 2012-12-27 2015-02-27 주식회사 이스타미디어 모바일 단말을 위한 동영상 다운로드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4311B2 (en) Hybrid HTTP and UDP content delivery
US108735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egated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CN102790808B (zh) 一种域名解析方法和系统、一种客户端
US8621655B2 (en) Enforcing single stream per sign-on from a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media server
JP2020528189A (ja) プロキシを用いてセキュアデバイスとアンセキュアデバイスとの間を通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401650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oss-screen experiences and companion device services in a video architecture
RU264765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оставки аудиовизуального контента в клиент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23035960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acketized data management and delivery in a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CN108418789B (zh) 一种基于WebRTC的通信系统及其通信方法、信令服务器
KR102299004B1 (ko) 메시지들을 대쉬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412055B2 (en) Enabling transmission encryption
US10616302B1 (en) Media relay
JP2011082977A (ja) P2p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データ送受信方法
CN107547517B (zh) 音视频节目录制方法和网络设备及计算机装置
US8171147B1 (en) System, method, and/or apparatus for establishing peer-to-peer communication
US201302387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ownloading real-time streaming media in peer-to-peer network
KR20230168385A (ko) 프로토콜 전환을 활용한 국가간 다운로드 속도 개선 시스템
US8412840B2 (en) Live media serving system and method
KR20140089035A (ko) 콘텐츠 서버와 정보 중심 네트워크 서버 간의 연동을 위한 가상 파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170085623A1 (en) Content downloading and network provisioning
EP2654316A1 (en) A system for enforcing an access policy for content item consumption
KR102362688B1 (ko) 이기종망을 통한 iptv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전송 서버 및 시스템
JP2024504885A (ja) ストリーミングデータアクセス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CN117240834A (zh) 基于国标协议媒体流负载均衡的系统、方法及设备
CN117640979A (zh) 一种直播视频的传输方法及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