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116A - 양수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양수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116A
KR20230168116A KR1020230018369A KR20230018369A KR20230168116A KR 20230168116 A KR20230168116 A KR 20230168116A KR 1020230018369 A KR1020230018369 A KR 1020230018369A KR 20230018369 A KR20230018369 A KR 20230018369A KR 20230168116 A KR20230168116 A KR 20230168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otating body
space
air
turbi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8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택
Original Assignee
임용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택 filed Critical 임용택
Publication of KR20230168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11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6Stations or aggregates of water-storage type, e.g. comprising a turbine and a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00Engines of impulse type, i.e. turbines with jets of high-velocity liquid impinging on blades or like rotors, e.g. Pelton wheels;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1/02Buckets; Bucket-carrying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00Engines of impulse type, i.e. turbines with jets of high-velocity liquid impinging on blades or like rotors, e.g. Pelton wheels;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1/04Nozzles; Nozzle-carry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4Rotors for turbines
    • F05B2240/241Rotors for turbines of impulse type
    • F05B2240/2411Pelton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상에 형성되는,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공압과 수압이 발생되는 밀폐된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내에 형성되며,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저수조 물을 양수순환시켜 회전동력이 발생되는 터빈부와; 상기 터빈부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로 구성되는 양수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수발전장치{PUMPED STORAGE}
본 발명은 양수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공압과 수압이 공유될 수 있도록 지하 또는, 지지부상에 형성되는 밀폐된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내에 형성되며,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저수조의 물을 양수 순환시켜 발생되는 터빈부의 회전동력을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양수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곳에 형성되는 상부저수지에 하천물을 양수하여 배출되는 물의 낙하중력과 수압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고 있다.
그러나, 높은 곳에 형성되는 상부저수지는 자연환경파괴 및 막대한 자금과 민원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공압과 수압이 공유될 수 있도록 지하 또는, 지지부상에 형성되는 밀폐된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내에 형성되며,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저수조 물을 양수순환시켜 회전동력이 발생되는 터빈부와; 상기 터빈부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발전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공압과 수압이 공유될 수 있도록 지하 또는, 지지부상에 형성되는 밀폐된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내에 형성되며,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저수조 물을 양수순환시켜 회전동력이 발생되는 터빈부와; 상기 터빈부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발전시킬 수 있는 양수발전장치를 제공함에 있 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수발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양수발전장치의 실시예 제일은, 지하 또는, 지지부상에 형성되는,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공압과 수압이 공유될 수 있도록 밀폐된 제1저수조와; 상기 제1저수조내에 형성되며,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저수조 물을 양수순환시켜 회전동력이 발생되는 제1터빈부와; 상기 제1터빈부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발전시키는 제1발전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저수조는, 지하 또는, 제1지지부상에 형성되는 박스형상의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내 저면에서 상방을 향해 하면에 물이 맏닿으며 상면에 제1공간이 형성되는 수평형상의 제1칸막이와; 상기 제1공간에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공기주입구와; 상기 제1칸막이 하면에 물을 주입하고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물주입구와; 상기 제1몸체 상단에 구비되는 제1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제1몸체는, 철강재 및 시멘트 등 다수 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제1칸막이는, 상기 제1터빈부 제1회전체를 중심으로 구비되는 제1내통과 제1수중펌프 제1토출관을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천공을 이루고 상기 제1공간에 물 유입을 차단토록 구비되며,
상기 제1공기주입구는, 공기주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압력계측기와 벨브등 다수부재로 구비되는 제1콤프레서와 연계되며,
상기 제1물주입구는, 물 주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부재로 구비되는 제1물주입장치와 연계되며,
상기 제1덮개는, 상기 제1터빈부의 제1축과, 상기 제1공기주입구 및 제1센서 등을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천공과, 상측에 제1발전부를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터빈부는, 상기 제1저수조와; 상기 제1저수조 중심에 구비되는 제1기둥과; 상기 제1기둥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구비되는 수평형상의 제1지지판과; 상기 제1기둥상단에 연계구비되는 제1축과;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구비되는 제1회전체와; 상기 제1회전체 원주단과 설정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제1내통과;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저수조 물을 양수순환시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제1수중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판은, 중심부위상에 상기 제1회전체내부와 공유될 수 있도록 제2공간을 이루며, 상기 제2공간에 공기를 주입시키고 관찰될 수 있도록 제2공기주입구와 제2센서 등이 구비되며, 상기 제2공간에 물 유입을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판 원주부위를 따라 원통형상의 제1차단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회전체는,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규격이 서로 다른 제1충돌통과 연계구비되는 원통형상의 제1회전몸체와; 상기 제1회전몸체를 중심으로 상단에 구비되는 원반형상의 제1방지판과; 상기 제1회전몸체내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원반형상의 제1천공판 및 제1압력판과; 상기 제1방지판하부와 상기 제1충돌통 원주를 따라 수직으로 배치되며, 순환되는 물을 공급받아 상기 제1회전체에 직시시켜 상기 제1회전체의 회전력을 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제1충돌판과; 상기 제1회전몸체 원주 하단부위를 향해 설정된 각도와 위치에 따라 스쿠루형상으로 다단과 다수로 구비되는 제1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방지판은, 상기 제1충돌판에 직사되는 물의 분산을 방지토록 구비되며,
상기 제1천공판은, 상기 제1회전몸체내에 공급되는 유동체의 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1압력판은, 상기 제1회전몸체내에 공급되는 공기로 부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회전체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제1회전몸체내 상측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제1수중펌프는, 상기 제1저수조의 물을 상기 제1회전체를 향해 양수순환시킬 수 있도록 제1토출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1토출관 단에는, 상기 제1충돌판을 향해 순환되는 물이 직사될 수 있도록 직사각관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제1토출구를 구비되며, 상기 제1수중펌프 케이싱내 모터부위 공간에 물 유입을 차단토록 공기를 주입시키고 관찰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 상단 또는, 상기 케이싱원주를 따라 설정위치에 펌프전용공기주입구 및 펌프전용센서 등이 구비되며, 상기 펌프전용공기주입구 및 펌프전용센서와 상기 펌프의 모든 전선은 전용호스를 통해 상기 제1저수조몸체외부에 구비되는 제1공기주입장치와 컨트롤박스에 연계되며,
상기 제1발전부는, 제1증속기와 제1원심기 및 제1발전기 순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증속기는, 상기 제1터빈부의 회전동력을 수평형상 또는, 수직형상으로 전달받아 상기 제1발전기 사양에 따라 전력을 생산될 수 있도록 회전동력을 변환시켜 상기 제1원심기에 전달될 수 있도록 다종과 다수의 기어 또는, 다종의 풀리 및 다수의 벨트등 다양한 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제1원심기는, 상기 제1증속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원심동력 발생 및 회전동력을 조절시켜 상기 제1발전기에 전달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제1발전기는, 상기 제1원심기의 회전동력을 수직형상 또는, 수평형상으로 전달받아 발전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수발전장치의 실시예 제이는, 사각판형상의 제1호지지부상에 연계형성되는,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공압과 수압이 공유될 수 있도록 각각 축을 중심으로 구비되는 밀폐된 제1호내지 제4호저수조와; 상기 제1호저수조내에 형성되며,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호저수조 물을 양수순환시켜 회전동력이 발생되는 제1호터빈부와;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저수조내에 형성되며, 상기 제1호터빈부에서 배출되는 유동체에 의해 회전동력이 발생되는 제2호내지 제4호터빈부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터빈부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발전시키는 제1호내지 제4호발전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저수조는, 박스형상의 제1호내지 제4호몸체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몸체내 저면에서 상방을 향해 하면에 물이 맏닿으며 상면에 제1호내지 제4호공간이 각각 형성되는 수평형상의 제1호내지 제4호칸막이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공간에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될 수 있도록 각각 구비되는 제1호공기주입구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칸막이 하면에 물을 주입하고 배출될 수 있도록 각각 구비되는 제1호물주입구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몸체상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호내지 제4호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몸체는, 철강재 및 다수 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제1호칸막이는, 상기 제1호터빈부의 제1호회전체를 중심으로 구비되는 제1호내통과 제1호육상펌프 제1호토출관을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천공을 이루고, 상기 제1호공간에 물 유입을 차단토록 구비되며,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칸막이는, 상기 제2호내지 제4호터빈부의 제2호내지 제4호회전체를 중심으로 상기 제2호내지 제4호내통을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천공을 각각 이루고, 상기 제2호내지 제4호공간에 물 유입을 차단토록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호내지 제4호공기주입구는, 공기주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압력계측기와 벨브 등 다수부재로 구비되는 제1호콤프레서와 연계되며,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물주입구는, 물 주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부재로 구비되는 제1호물주입장치와 연계되며,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덮개는,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터빈부의 제1호내지 제4호축과, 상기 제1호내지 제4호공기주입구 및 제1호내지 제4호센서 등을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천공과, 상측에 제1호내지 제4호발전부를 설치될 수 있도록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호터빈부는, 상기 제1호저수조와; 상기 제1호저수조 중심에 구비되는 제1호기둥과; 상기 제1호기둥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구비되는 수평형상의 제1호지지판과; 상기 제1호기둥상단에 연계구비되는 제1호축과; 상기 제1호축을 중심으로 구비되는 제1호회전체와; 상기 제1호회전체 원주단과 설정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제1호내통과;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호저수조 물을 양수순환시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제1호육상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제1호터빈부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제2호내지 제4호터빈부로 순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호몸체 일측 하부에서 상기 제2호몸체 일측 상방을 향한 사이와; 상기 제2몸체 일측 하부에서 상기 제3몸체 일측 상방을 향한 사이와; 상기 제3몸체 일측 하부에서 상기 제4몸체 일측 상방을 향한 사이에 수로를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호내지 제4호터빈부는,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저수조와;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저수조 중심에 구비되는 제2호내지 제4호기둥과; 상기 제2호내지 제4호기둥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구비되는 수평형상의 제2호내지 제4호지지판과; 상기 제2호내지 제4호기둥상단에 연계되는 제2호내지 제4호축과;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축을 중심으로 구비되는 제2호내지 제4호회전체와; 상기 제2호내지 제4호회전체 원주단과 설정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제2호내지 제4호내통과; 상기 제1호터빈부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제2호내지 제4호터빈부의 제2호내지 제4호회전체를 향해 순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호내지 제4호몸체 상측부위에 각각 구비되는 나팔관형상의 제2호내지 제4호유동관을 포함한다.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지지판은, 중심부위상에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체 내부와 공유될 수 있도록 제2호공간을 각각 이루며, 상기 제2호공간들에 공기를 주입시키고 관찰될 수 있도록 제2호내지 제4호공기주입구와 제2호내지 제4호센서 등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2호공간들에 물 유입을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지지판 원주부위를 따라 원통형상의 제1호내지 제4호차단관이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체는,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축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규격이 서로 다른 제1호내지 제4호충돌통과 연계되는 원통형상의 제1호내지 제4호회전몸체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몸체를 중심으로 상단에 연계구비되는 원반형상의 제1호내지 제4호방지판과;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몸체내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원반형상의 제1호내지 제4호천공판 및 제1호내지 제4호압력판과;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방지판하부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충돌통 원주를 따라 수직으로 배치되며, 순환되는 물을 공급받아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체에 직사시켜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체의 회전동력을 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다수로 각각 구비되는 제1호내지 제4호충돌판과;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몸체 원주 하단부위를 향해 설정된 각도와 위치에 따라 스크루형상으로 다단과 다수로 각각 구비되는 제1호내지 제4호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방지판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충돌판에 직사되는 물의 분산을 방지토록 구비되며,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천공판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몸체내에 공급되는 유동체의 홀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압력판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몸체내에 공급되는 공기로 부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체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제1회내지 제4호전몸체내 상측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유동관 단에는,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충돌판을 향해 순환되는 물이 직사될 수 있도록 직사각관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제2호내지 제4호토출구를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호육상펌프는, 펌프를 이루는 케이싱은 상기 제1호저수조내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 중심에 연계구비되는 모터는 상기 제1호저수조몸체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호저수조의 물을 상기 제1호회전체를 향해 양수순환시킬 수 있도록 제1호토출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1호토출관 단에는, 상기 제1호충돌판을 향해 순환되는 물이 직사될 수 있도록 직사각관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제1호토출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발전부는, 상기 제1발전부와 같이 제1호내지 제4호증속기와, 제1호내지 제4호원심기 및 제1호내지 제4호발전기 순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전장치의 실시예 제삼은, 원반형상의 제3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상에 형성되는,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수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밀폐된 제3저수조와; 상기 제3저수조내에 형성되며,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3저수조물을 양수순환시켜 회전동력이 발생되는 제3터빈부와; 상기 제3터빈부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발전시키는 제3발전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3저수조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제3몸체와; 상기 제3몸체내에 물을 주입하고 배출될 수 있도록 압력계측기 및 벨브등이 구비되는 제3펌프와; 상기 제3몸체 상단에 구비되는 제3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제3터빈부는, 상기 제3저수조와; 상기 제3저수조 중심에 구비되는 제3기둥과; 상기 제3기둥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구비되는 원반형상의 제3지지판과; 상기 제3기둥상단에 연계구비되는 제3축과; 상기 제3축을 중심으로 구비되는 제3회전체와; 상기 제3회전체 원주단과 설정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제3내통과;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3저수조 물을 양수순환시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제3육상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제3지지판은, 중심부위상에 상기 제3회전체내부와 공유될 수 있도록 제6공간을 이루며, 상기 제6공간에 공기를 주입시키고 관찰될 수 있도록 제6공기주입구와 제6센서 등이 구비되며, 상기 제6공간에 물 유입을 방지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제6차단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회전체는, 상기 제3축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규격이 서로 다른 제3충돌통과 연계구비되는 원통형상의 제3회전몸체와; 상기 제3회전몸체내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원반형상의 제3천공판 및 제3압력판과; 상기 제3회전몸체 원주 하단부위를 향해 설정된 각도와 위치에 따라 스크루형상으로 다단과 다수로 구비되는 제3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3압력판은, 상기 제3회전몸체내에 공급되는 공기로 부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3회전체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회전몸체내 상측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제3육상펌프는, 케이싱은 상기 제3저수조내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과 연계되는 모터는 상기 제3저수조몸체 외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발전부는, 상기 제3증속기와 제3원심기 및 제3발전기 순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저수조의 물을 양수 순환시켜 발생되는 터빈부의 회전동력을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양수발전장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부상에 형성되는 제1양수발전장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1양수발전장치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1양수발전장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각판형상 지지부상에 제1호내지 제4호로 연계형성되는 제2양수발전장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2양수발전장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2양수발전장치의 수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2양수발전장치 제1호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2양수발전장치 제2호 단면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2양수발전장치 제3호 단면도이다.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2양수발전장치 제4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원반형상의 지지부상에 설치되는 제3양수발전장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3양수발전장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3양수발전장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블레이드 형상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충돌판 형상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발전부 배치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수발전장치를 설명한다.
도1a는 본 발명의 제1양수발전장치 사시도이며, 도1b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부상에 형성되는 제1양수발전장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1양수발전장치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1양수발전장치 평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사각판형상 지지부상에 제1호내지 제4호로 연계형성되는 제2양수발전장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2양수발전장치 평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2양수발전장치의 수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7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2양수발전장치 제1호 단면도이며, 도7b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2양수발전장치 제2호 단면도이며, 도7c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2양수발전장치 제3호 단면도이고, 도7d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2양수발전장치 제4호 단면도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원반형상의 지지부상에 설치되는 제3양수발전장치 사시도이며, 도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3양수발전장치 단면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3양수발전장치 평면도이며, 도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블레이드 형상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충돌판 형상도이며, 도13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발전부 배치도이다.
도1a내지 도3과, 도11내지 도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수발전장치(1a)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1양수발전장치(1a)는, 지하(100) 또는, 지지부상(100a)에 형성되는,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공압과 수압이 공유될 수 있도록 밀폐된 제1저수조(110)와; 상기 제1저수조내에 형성되며,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저수조 물을 양수순환시켜 회전동력이 발생되는 제1터빈부(200)와; 상기 제1터빈부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발전시키는 제1발전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저수조(110)는, 지하 또는, 지지부상에 형성되는 박스형상의 제1몸체(111)와; 상기 제1몸체내 저면에서 상방을 향해 하면에 물이 맏닿으며 상면에 제1공간(350b)이 형성되는 수평형상의 제1칸막이(242a)와; 상기 제1공간에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공기주입구(290b)와; 상기 제1칸막이 하면에 물을 주입하고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물주입구(291a)와; 상기 제1몸체 상단에 형성되는 제1덮개(310a)를 포함한다.
상기 제1몸체(111a)는, 철강재 및 시멘트 등 다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칸막이(242a)는, 상기 제1터빈부(200a) 제1회전체(210a)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제1내통(240a)과 제1수중펌프(360a) 제1토출관(380a)을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천공을 이루고 상기 제1공간(350b)에 물 유입을 차단토록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기주입구(290b)는, 공기주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압력계측기와 벨브 등 다수부재로 형성되는 제1콤프레서(미도시)와 연계되며,
상기 제1물주입구(291a)는, 물 주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부재로 형성되는 제1물주입장치(미도시)와 연계되며,
상기 제1덮개(310a)는, 상기 제1터빈부(200a)의 제1축(130a)과, 상기 제1공기주입구(290b)및 제1센서(280b)등을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천공과, 상측에 제1발전부(500a)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터빈부(200a)는, 상기 제1저수조(110a)와; 상기 제1저수조 중심에 형성되는 제1기둥(120a)과; 상기 제1기둥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수평형상의 제1지지판(140a)과; 상기 제1기둥상단에 연계형성되는 제1축(130a)과;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제1회전체(210a)와; 상기 제1회전체 원주단과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1내통(240a)과;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저수조(110a) 물을 양수순환시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수중펌프(360a)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판(140a)은, 중심부위상에 상기 제1회전체내부와 공유될 수 있도록 제2공간(350a)을 이루며, 상기 제2공간에 공기를 주입시키고 관찰될 수 있도록 제2공기주입구(290a)와 제2센서(280a) 등이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350a)에 물 유입을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판 원주부위를 따라 원통형상의 제1차단관(15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체(210a)는,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규격이 서로 다른 제1충돌통(미도시)과 연계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1회전몸체(211a)와; 상기 제1회전몸체를 중심으로 상단에 형성되는 원반형상의 제1방지판(160a)과; 상기 제1회전몸체내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원반형상의 제1천공판(220a) 및 제1압력판(220b)과; 상기 제1방지판하부와 상기 제1충돌통(261a) 원주를 따라 수직으로 배치되며, 직사 순환되는 물을 공급받아 상기 제1회전체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충돌판(260a)과; 상기 제1회전몸체(211a) 원주 하단부위를 향해 설정된 각도와 위치에 따라 스크루형상으로 다단과 다수로 형성되는 제1블레이드(250a)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방지판(160a)은, 상기 제1충돌판(260a)에 직사되는 물의 분산을 방지토록 형성되며,
상기 제1천공판(220a)은, 상기 제1회전몸체내에 공급되는 유동체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압력판(220b)은, 상기 제1회전몸체내(211a)에 공급되는 공기로 부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회전체(210a)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제1회전몸체내 상측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1수중펌프(360a)는, 상기 제1저수조(110a)의 물을 상기 제1회전체 (210a)를 향해 양수순환시킬 수 있도록 제1토출관(380a)이 형성되며, 상기 제1토출관 단에는, 상기 제1충돌판(260a)을 향해 순환되는 물이 직사될 수 있도록 직사각관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제1토출구(390a)를 형성되며, 상기 제1수중펌프 케이싱 모터부위(미도시) 공간(미도시)에 물 유입을 차단토록 상기 공간에 공기를 주입시키고 관찰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 상단 또는, 상기 케이싱원주를 따라 설정위치에 펌프전용공기주입구(미도시)및 펌프전용센서(미도시)등이 형성되며, 상기 펌프전용공기주입구 및 상기 펌프전용센서와 상기 펌프의 모든 전선은 전용호스(미도시)를 통해 상기 제1저수조몸체외부(미도시)에 형성되는 제1공기주입장치(미도시)와 컨트롤박스(미도시)에 연계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발전부(500)는, 제1증속기(510)와 제1원심기(520) 및 제1발전기 (530)순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증속기(510)는, 상기 제1터빈부(200)의 회전동력을 수평형상 또는, 수직형상으로 전달받아 상기 제1발전기(530) 사양에 따라 전력을 생산될 수 있도록 회전동력을 변환시켜 상기 제1원심기에 전달될 수 있도록 다종과 다수의 기어(미도시) 또는, 다종의 풀리 및 다수의 벨트(미도시)등 다양한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원심기(520)는, 상기 제1증속기(51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원심동력 발생 및 회전동력을 조절시켜 상기 제1발전기(530)에 전달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발전기(530)는, 상기 제1원심기의 회전동력을 수직형상 또는, 수평형상으로 전달받아 발전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4내지 도7과, 도11내지 도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수발전장치(1b)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양수발전장치(1b)는, 사각판형상의 제2지지부상(100c)에 연계형성되는,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공압과 수압이 공유될 수 있도록 각각 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밀폐된 제1호내지 제4호저수조(110f)와; 상기 제1호저수조내(110c)에 형성되며,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호저수조 물을 양수순환시켜 회전동력이 발생되는 제1호터빈부(200c)와;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저수조내에 형성되며, 상기 제1호터빈부에서 배출되고 순환되는 물에 의해 회전동력이 발생되는 제2호내지 제4호터빈부 (200f)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터빈부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발전시키는 제1호내지 제4호발전부(500f)로 구성된다.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저수조(110f)는, 박스형상의 제1호내지 제4호몸체 (111f)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몸체내 저면에서 상방을 향해 하면에 물이 맏닿으며 상면에 제1호내지 제4호공간(350k)이 각각 형성되는 수평형상의 제1호내지 제4호칸막이(242f)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공간에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될 수 있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1호내지 제4호공기주입구(290k)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칸막이 하면에 물을 주입하고 배출될 수 있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1호내지 제4호물주입구(291f)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몸체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호내지 제4호덮개(310f)를 포함한다.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몸체(111f)는, 철강재 및 다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호칸막이(242f)는, 상기 제1호터빈부의 제1호회전체(210f)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제1호내통(240c)과 제1호육상펌프(370c) 제1호토출관(380c)을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천공을 이루고, 상기 제1호공간(350d)에 물 유입을 차단토록 형성되며,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칸막이(242f)는, 상기 제2호내지 제4호터빈부(200f)의 제2호내지 제4호회전체(210f)를 중심으로 상기 제2호내지 제4호내통(240f)을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천공을 각각 이루고, 상기 제2호내지 제4호공간(350k)에 물 유입을 차단토록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호내지 제4호공기주입구(290k)는, 공기주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압력계측기와 벨브 등 다수부재로 형성되는 제1호콤프레서(미도시)와 연계되며,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물주입구(291f)는, 물 주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부재로 형성되는 제1호물주입장치(미도시)와 연계되며,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덮개(310f)는,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터빈부(200f)의 제1호내지 제4호축(130f)과, 상기 제1호내지 제4호공기주입구(290k) 및 제1호내지 제4호센서(280k) 등을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천공과, 상측에 제1호내지 제4호발전부(500f)를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호터빈부(200c)는, 상기 제1호저수조(110c)와; 상기 제1호저수조 중심에 형성되는 제1호기둥(120c)과; 상기 제1호기둥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수평형상의 제1호지지판(140c)과; 상기 제1호기둥상단에 연계형성되는 제1호축(130c)과; 상기 제1호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제1호회전체(210c)와; 상기 제1호회전체 원주단과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1호내통(240c)과;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호저수조(110c) 물을 양수순환시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호육상펌프(3701c)를 포함한다.
상기 제1호터빈부(200c)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제2호내지 제4호터빈부 (200f)로 순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호몸체(111c) 일측 하부에서 상기 제2호몸체 (111d) 일측 상방을 향한 사이와; 상기 제2몸체 일측 하부에서 상기 제3몸체(111e) 일측 상방을 향한 사이와; 상기 제3몸체 일측 하부에서 상기 제4몸체(111f) 일측 상방을 향한 사이에 수로(170)를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호내지 제4호터빈부(200f)는,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저수조(110f)와;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저수조 중심에 형성되는 제2호내지 제4호기둥(120f)과; 상기 제2호내지 제4호기둥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수평형상의 제2호내지 제4호지지판(140c)과; 상기 제2호내지 제4호기둥상단에 연계형성되는 제2호내지 제4호축(130f)과;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제2호내지 제4호회전체(210f)와; 상기 제2호내지 제4호회전체 원주단과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2호내지 제4호내통(240f)과; 상기 제1호터빈부(200c)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제2호내지 제4호터빈부(200f)의 제2호내지 제4호회전체(210f)를 향해 순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호내지 제4호몸체 상측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나팔관형상의 제2호내지 제4호유동관(320d)을 포함한다.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지지판(140f)은, 중심부위상에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체(210f) 내부와 공유될 수 있도록 제2호공간(350d)을 각각 이루며, 상기 제2호공간들에 공기를 주입시키고 관찰될 수 있도록 제2호내지 제4호공기주입구(290j)와 제2호내지 제4호센서(280j) 등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호공간들에 물 유입을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지지판(140f) 원주부위를 따라 원통형상의 제1호내지 제4호차단관(150f)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체(210f)는,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축(130f)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규격이 서로 다른 제1호내지 제4호충돌통(261f)과 연계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1호내지 제4호회전몸체(211f)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몸체를 중심으로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원반형상의 제1호내지 제4호방지판(160f)과;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몸체내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는 원반형상의 제1호내지 제4호천공판(220j) 및 제1호내지 제4호압력판(220k)과;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방지판하부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충돌통(261f) 원주를 따라 수직형상으로 형성되며, 순환되는 물을 공급받아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체()에 직사시켜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체의 회전동력을 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다수로 각각 형성되는 제1호내지 제4호충돌판(260f)과;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몸체 원주 하단부위를 향해 설정된 각도와 위치에 따라 스크루형상으로 다단과 다수로 각각 형성되는 제1호내지 제4호블레이드(250f)를 포함한다.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방지판(160f)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충돌판(260f)에 직사되는 물의 분산을 방지토록 형성되며,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천공판(220j)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몸체내 (211f)에 공급되는 유동체의 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압력판(220k)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몸체내에 공급되는 공기로 부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체(210f)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제1회내지 제4호전몸체내 상측부위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유동관(320f) 단에는,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충돌판 (260f)을 향해 순환되는 물이 직사될 수 있도록 직사각관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제2호내지 제4호토출구(390f)를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호육상펌프(370n)는, 펌프를 이루는 케이싱(372n)은 상기 제1호저수조내(110n)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 중심에 연계형성되는 모터(371n)는 상기 제1호저수조몸체(111n)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호저수조의 물을 상기 제1호회전체를 향해 양수순환시킬 수 있도록 제1호토출관(380n)이 형성되며, 상기 제1호토출관 단에는, 상기 제1호충돌판을 향해 순환되는 물이 직사될 수 있도록 직사각관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제1호토출구(390n)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발전부(500f)는,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증속기(510f)와, 제1호내지 제4호원심기(520f) 및 제1호내지 제4호발전기(530f) 순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8내지 도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수발전장치(1c)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발명의 양수발전장치(1c)는, 원반형상의 제3지지부(100n)와; 상기 제3지지부상에 형성되는,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수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밀폐된 제3저수조(110n)와; 상기 제3저수조내에 형성되며,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3저수조물을 양수순환시켜 회전동력이 발생되는 제3터빈부(200n)와; 상기 제3터빈부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발전시키는 제3발전부(500n)로 구성된다.
상기 제3저수조(110n)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몸체(111n)와; 상기 제3몸체내에 물을 주입하고 배출될 수 있도록 압력계측기 및 벨브등이 형성되는 제3펌프(미도시)와; 상기 제3몸체 상단에 형성되는 제3덮개(310n)를 포함한다.
상기 제3터빈부(200n)는, 상기 제3저수조(110n)와; 상기 제3저수조 중심에 형성되는 제3기둥(120n)과; 상기 제3기둥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원반형상의 제3지지판(140n)과; 상기 제3기둥상단에 연계형성되는 제3축(130n)과; 상기 제3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제3회전체(210n)와; 상기 제3회전체 원주단과 설정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제3내통(240n)과;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3저수조 물을 양수순환시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제3육상펌프(370n)를 포함한다.
상기 제3지지판(140n)은, 중심부위상에 상기 제3회전체내부(210n)와 공유될 수 있도록 제6공간(350p)을 이루며, 상기 제6공간에 공기를 주입시키고 관찰될 수 있도록 제6공기주입구(290n)와 제6센서(280n) 등이 형성되며, 상기 제6공간에 물 유입을 방지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제6차단관(150n)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회전체(210n)는, 상기 제3축(130n)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규격이 서로 다른 제3충돌통(261n)과 연계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3회전몸체(211n)와; 상기 제3회전몸체내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원반형상의 제3천공판(220n) 및 제3압력판(220p)과; 상기 제3회전몸체 원주 하단부위를 향해 설정된 각도와 위치에 따라 스크루형상으로 다단과 다수로 형성되는 제3블레이드(250n)를 포함한다.
상기 제3압력판(220p)은, 상기 제3회전몸체내(211n)에 공급되는 공기로 부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3회전체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회전몸체내 상측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3육상펌프(370n)는, 케이싱(372n)은 상기 제3저수조내(110n)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과 연계형성되는 모터(371n)는 상기 제3저수조몸체(111n)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발전부(500n)는, 상기 제3증속기(510n)와 제3원심기(520n) 및 제3발전기(530n) 순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발전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양수발전장치 100. 지지부 110. 저수조 111. 몸체
120. 기둥 130. 축 140. 지지판 150. 차단관
160. 방지판 170. 수로 180. 배수구 190. 강관
200. 터빈부 210. 회전체 211. 회전몸체 220a. 천공판
220b. 압력판 221. 지지대 222. 보강재 230. 회전몸체
240. 내통 241. 공간통 242. 칸막이 250. 블레이드 260. 충돌판 261.충돌통 270. 흡수관 280. 센서
290. 공기주입구 291. 물주입구 310. 덮개 320. 유동관
330. 유입구 340. 배수구 350. 공간 360. 수중펌프
370. 육상펌프 371. 모터 372. 케이싱 380. 토출관
390. 토출구
500. 발전부 510. 증속기 520. 원심기 530. 발전기

Claims (5)

  1.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상에 형성되는,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공압과 수압이 공유될 수 있도록 밀폐된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내에 형성되며,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저수조물을 양수순환시켜 회전동력이 발생되는 터빈부와;
    상기 터빈부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지하에 형성되는 제1지지부와;
    다수의 저수조를 연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사각판형상의 제2지지부와;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발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상기 제1지지부상에 형성되는 제1저수조와; 상기 제2지지부상에 형성되는 제2저수조와; 상기 제3지지부상에 제3저수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저수조는, 박스형상의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내 저면에서 상방을 향해 하면에 물이 맏닿으며 상면에 제1공간이 형성되는 수평형상의 제1칸막이와; 상기 제1공간에 공기를 주입토록 형성되는 제1공기주입구와; 상기 제1저수조에 물을 주입토록 형성되는 제1물주입구와; 상기 제1몸체상단에 형성되는 제1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는; 철강재 및 시멘트 등 다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칸막이는; 상기 제1터빈부 제1회전체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제1내통과 제1수중펌프 제1토출관을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천공을 이루고 상기 제1공간에 물 유입을 차단토록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기주입구는; 상기 제1공간에 공기주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압력계측기와 벨브 등 다수부재로 형성되는 제1콤프레서와 연계되며,
    상기 제1물주입구는; 상기 제1칸막이 하측에 물 주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부재로 형성되는 제1물주입장치와 연계되며,
    상기 제1덮개는; 상기 제1터빈부의 제1축과, 상기 제1공기주입구 및 제1센서 등을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천공과, 상측에 제1발전부를 형성되며,
    상기 제2저수조는, 박스형상으로 연계형성되는 제1호내지 제4호몸체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몸체내 저면에서 상방을 향해 하면에 물이 맏닿으며 상면에 제1호내지 제4호공간이 각각 형성되는 수평형상의 제1호내지 제4호칸막이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공간에 공기를 주입토록 각각 형성되는 제1호내지 제4호공기주입구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칸막이 하면에 물을 주입토록 각각 형성되는 제1호내지 제4호물주입구와;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상기 제1지지부상에 형성되는 제1저수조와; 상기 제2지지부상에 형성되는 제2저수조와; 상기 제3지지부상에 제3저수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저수조는, 박스형상의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내 저면에서 상방을 향해 하면에 물이 맏닿으며 상면에 제1공간이 형성되는 수평형상의 제1칸막이와; 상기 제1공간에 공기를 주입토록 형성되는 제1공기주입구와; 상기 제1저수조에 물을 주입토록 형성되는 제1물주입구와; 상기 제1몸체상단에 형성되는 제1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는; 철강재 및 시멘트 등 다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칸막이는; 상기 제1터빈부 제1회전체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제1내통과 제1수중펌프 제1토출관을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천공을 이루고 상기 제1공간에 물 유입을 차단토록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기주입구는; 상기 제1공간에 공기주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압력계측기와 벨브 등 다수부재로 형성되는 제1콤프레서와 연계되며,
    상기 제1물주입구는; 상기 제1칸막이 하측에 물 주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부재로 형성되는 제1물주입장치와 연계되며,
    상기 제1덮개는; 상기 제1터빈부의 제1축과, 상기 제1공기주입구 및 제1센서 등을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천공과, 상측에 제1발전부를 형성되며,
    상기 제2저수조는, 박스형상으로 연계형성되는 제1호내지 제4호몸체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몸체내 저면에서 상방을 향해 하면에 물이 맏닿으며 상면에 제1호내지 제4호공간이 각각 형성되는 수평형상의 제1호내지 제4호칸막이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공간에 공기를 주입토록 각각 형성되는 제1호내지 제4호공기주입구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칸막이 하면에 물을 주입토록 각각 형성되는 제1호내지 제4호물주입구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몸체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호내지 제4호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몸체는; 철강재 및 다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호칸막이는; 상기 제1호터빈부의 제1호회전체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제1호내통과 제1호육상펌프 제1호토출관을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천공을 이루고, 상기 제1호공간에 물 유입을 차단토록 형성되며,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칸막이는; 상기 제2호내지 제4호터빈부의 제2호내지 제4호회전체를 중심으로 상기 제2호내지 제4호내통을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천공을 각각 이루고, 상기 제2호내지 제4호공간에 물 유입을 차단토록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호내지 제4호공기주입구는; 공기주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압력계측기와 벨브 등 다수부재로 형성되는 제1호콤프레서와 연계되며,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물주입구는; 물 주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부재로 형성되는 제1호물주입장치와 연계되며,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덮개는,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터빈부의 제1호내지 제4호축과, 상기 제1호내지 제4호공기주입구 및 제1호내지 제4호센서 등을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천공과, 상측에 제1호내지 제4호발전부를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3저수조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몸체와; 상기 제3몸체내에 물을 주입하고 배출될 수 있도록 압력계측기 및 벨브등이 형성되는 제3펌프와; 상기 제3몸체 상단에 형성되는 제3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발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부는, 상기 제1저수조내에 형성되는 제1터빈부와; 상기 제2저수조내에 형성되는 제1내지 제4터빈부와; 상기 제3저수조내에 제3터빈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1터빈부는; 상기 제1저수조와; 상기 제1저수조 중심에 형성되는 제1기둥과; 상기 제1기둥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수평형상의 제1지지판과; 상기 제1기둥상단에 연계형성되는 제1축과;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제1회전체와; 상기 제1회전체 원주단과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1내통과;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저수조 물을 양수순환시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수중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판은; 중심부위상에 상기 제1회전체내부와 공유될 수 있도록 제2공간을 이루며, 상기 제2공간에 공기를 주입시키고 관찰될 수 있도록 제2공기주입구와 제2센서 등이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에 물 유입을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판 원주부위를 따라 원통형상의 제1차단관이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체는,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규격이 서로 다른 제1충돌통과 연계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1회전몸체와; 상기 제1회전몸체를 중심으로 상단에 형성되는 원반형상의 제1방지판과; 상기 제1회전몸체내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원반형상의 제1천공판 및 제1압력판과; 상기 제1방지판하부와 상기 제1충돌통 원주를 따라 수직으로 배치되며, 순환되는 물을 공급받아 상기 제1회전체를 향해 직사시켜 상기 제1회전체의 회전동력을 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충돌판과; 상기 제1회전몸체 원주 하단부위를 향해 설정된 각도와 위치에 따라 스크루형상으로 다단과 다수로 형성되는 제1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방지판은; 상기 제1충돌판에 직사되는 물의 분산을 방지토록 형성되며, 상기 제1천공판은; 상기 제1회전몸체내에 공급되는 유동체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압력판은; 상기 제1회전몸체내에 공급되는 공기로 부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회전체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제1회전몸체내 상측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1수중펌프는; 상기 제1저수조의 물을 상기 제1회전체를 향해 양수순환시킬 수 있도록 제1토출관이 형성되며, 상기 제1토출관 단에는, 상기 제1충돌판을 향해 순환되는 물이 직사될 수 있도록 직사각관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제1토출구를 형성되며, 상기 제1수중펌프 케이싱내 모터부위 공간에 물 유입을 차단토록 상기 공간에 공기를 주입시키고 관찰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 상단 또는, 상기 케이싱원주를 따라 설정위치에 펌프전용공기주입구 및 펌프전용센서 등이 형성되며, 상기 펌프전용공기주입구 및 펌프전용센서와 상기 펌프의 모든전선은 전용호스를 통해 상기 제1저수조몸체외부에 형성되는 제1공기주입장치와 컨트롤박스에 연계형성되며,
    상기 제1호터빈부는; 상기 제1호저수조와; 상기 제1호저수조 중심에 형성되는 제1호기둥과; 상기 제1호기둥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수평형상의 제1호지지판과; 상기 제1호기둥상단에 연계형성되는 제1호축과; 상기 제1호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제1호회전체와; 상기 제1호회전체 원주단과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1호내통과;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호저수조 물을 양수순환시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호육상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호터빈부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제2호내지 제4호터빈부로 순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호몸체 일측 하부에서 상기 제2호몸체 일측 상방을 향한 사이와; 상기 제2몸체 일측 하부에서 상기 제3몸체 일측 상방을 향한 사이와; 상기 제3몸체 일측 하부에서 상기 제4몸체 일측 상방을 향한 사이에 수로를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호내지 제4호터빈부는;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저수조와;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저수조 중심에 형성되는 제2호내지 제4호기둥과; 상기 제2호내지 제4호기둥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수평형상의 제2호내지 제4호지지판과; 상기 제2호내지 제4호기둥상단에 연계형성되는 제2호내지 제4호축과;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제2호내지 제4호회전체와; 상기 제2호내지 제4호회전체 원주단과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2호내지 제4호내통과; 상기 제1호터빈부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제2호내지 제4호터빈부의 제2호내지 제4호회전체를 향해 순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호내지 제4호몸체 상측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나팔관형상의 제2호내지 제4호유동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지지판은; 중심부위상에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체 내부와 공유될 수 있도록 제2호공간을 각각 이루며, 상기 제2호공간들에 공기를 주입시키고 관찰될 수 있도록 제2호내지 제4호공기주입구와 제2호내지 제4호센서 등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호공간들에 물 유입을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지지판 원주부위를 따라 원통형상의 제1호내지 제4호차단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체는,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축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규격이 서로 다른 제1호내지 제4호충돌통과 연계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1호내지 제4호회전몸체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몸체를 중심으로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원반형상의 제1호내지 제4호방지판과;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몸체내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는 원반형상의 제1호내지 제4호천공판 및 제1호내지 제4호압력판과;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방지판하부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충돌통 원주를 따라 수직형상으로 형성되며, 순환되는 물을 공급받아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체에 직사시켜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체의 회전동력을 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다수로 각각 형성되는 제1호내지 제4호충돌판과;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몸체 원주 하단부위를 향해 설정된 각도와 위치에 따라 스크루형상으로 다단과 다수로 각각 형성되는 제1호내지 제4호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호내지 제4호방지판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충돌판에 직사되는 물의 분산을 방지토록 형성되며,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천공판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몸체내에 공급되는 유동체의 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호내지 제4호압력판은;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몸체내에 공급되는 공기로 부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호내지 제4호회전체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제1회내지 제4호전몸체내 상측부위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유동관 단에는; 상기 제2호내지 제4호충돌판을 향해 순환되는 물이 직사될 수 있도록 직사각관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제2호내지 제4호토출구를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호육상펌프는; 펌프를 이루는 케이싱은 상기 제1호저수조내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 중심에 연계형성되는 모터는 상기 제1호저수조몸체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호저수조의 물을 상기 제1호회전체를 향해 양수순환시킬 수 있도록 제1호토출관이 형성되며, 상기 제1호토출관 단에는 상기 제1호충돌판을 향해 순환되는 물이 직사될 수 있도록 직사각관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제1호토출구를 형성되며,
    상기 제3터빈부는, 상기 제3저수조와; 상기 제3저수조 중심에 형성되는 제3기둥과; 상기 제3기둥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원반형상의 제3지지판과; 상기 제3기둥상단에 연계형성되는 제3축과; 상기 제3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제3회전체와; 상기 제3회전체 원주단과 설정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제3내통과; 외부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3저수조 물을 양수순환시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토록 형성되는 제3육상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3지지판은; 중심부위상에 상기 제3회전체내부와 공유될 수 있도록 제6공간을 이루며, 상기 제6공간에 공기를 주입시키고 관찰될 수 있도록 제6공기주입구와 제6센서 등이 형성되며, 상기 제6공간에 물 유입을 방지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제6차단관이 형성되며,
    상기 제3회전체는; 상기 제3축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규격이 서로 다른 제3충돌통과 연계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3회전몸체와; 상기 제3회전몸체내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원반형상의 제3천공판 및 제3압력판과; 상기 제3회전몸체 원주 하단부위를 향해 설정된 각도와 위치에 따라 스크루형상으로 다단과 다수로 형성되는 제3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3압력판은, 상기 제3회전몸체내에 공급되는 공기로 부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3회전체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회전몸체내 상측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3육상펌프는; 케이싱은 상기 제3저수조내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과 연계형성되는 모터는 상기 제3저수조몸체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발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는; 제1증속기와 제1원심기 및 제1발전기 순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증속기는; 상기 제1터빈부의 회전동력을 수평형상 또는, 수직형상으로 전달받아 상기 제1발전기 사양에 따라 전력을 생산될 수 있도록 회전동력을 변환시켜 상기 제1원심기에 전달될 수 있도록 다종과 다수의 기어 또는, 다종의 풀리 및 다수의 벨트등 다양한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원심기는; 상기 제1증속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원심동력 발생 및 회전동력을 조절시켜 상기 제1발전기에 전달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발전기는; 상기 제1원심기의 회전동력을 수직형상 또는, 수평형상으로 전달받아 발전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발전발전장치.
KR1020230018369A 2022-06-03 2023-02-11 양수발전장치 KR202301681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917 2022-06-03
KR20220067917 2022-06-03
KR20220146579 2022-11-05
KR1020220146579 2022-11-05
KR20220181202 2022-12-22
KR1020220181202 2022-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116A true KR20230168116A (ko) 2023-12-12

Family

ID=89159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8369A KR20230168116A (ko) 2022-06-03 2023-02-11 양수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1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056B1 (ko) 구심력 동작형 수차
RU2020112192A (ru) Генератор с воздушным приводом
US20220136479A1 (en) The impeller assembly for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KR20130011881A (ko) 나선형 유로를 가진 수력 발전 장치
CN108771945A (zh) 一种用于废气净化的填料塔
KR20230168116A (ko) 양수발전장치
KR20130055723A (ko) 구심력 동작형 수차
KR101597538B1 (ko) 발전기용 터빈 장치
US10393087B2 (en) Fluid driven turbine apparatus
CN109821434B (zh) 一种低速状态下微气泡产生装置
CN110168215A (zh) 发电装置
KR20110107139A (ko) 구심력 동작형 수차
US20160215798A1 (en) Hydraulic pump
KR101844363B1 (ko) 수직감속기관류형 터빈 및 이를 이용한 수력발전시스템
KR102025224B1 (ko) 볼 밸브
RU235484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ботки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CN106337775A (zh) 一种多维度浮块式海浪发电装置
EP3679242B1 (en) An energy generating arrangement powered by tidal water
WO2000023708A1 (en) Hydraulic turbine assembly
KR20170081767A (ko) 수차를 이용한 회전력 발생장치
CN105422481A (zh) 水驱无电排风机排风总成
JP6358805B2 (ja) 風力発電装置及びそのメンテナンス方法
KR101388138B1 (ko) 수력 발전장치
KR102637477B1 (ko) 양식장 배출수 유량변화 대응 소수력발전 시스템
US3936224A (en) Power turb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