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032A -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032A
KR20230168032A KR1020220068445A KR20220068445A KR20230168032A KR 20230168032 A KR20230168032 A KR 20230168032A KR 1020220068445 A KR1020220068445 A KR 1020220068445A KR 20220068445 A KR20220068445 A KR 20220068445A KR 20230168032 A KR20230168032 A KR 20230168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unit
capsule
housing
driving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4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준범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8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032A/en
Priority to PCT/KR2023/007624 priority patent/WO2023234745A1/en
Publication of KR20230168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032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Im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5Cartridge perforating means for creating the hot water in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이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베이스(10)상에 추출부(30)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추출부(30)의 위치 이동을 위해 레그구동유닛(28)이 있고,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의 구동에 의해 추출부(30)의 높이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30)는 상기 베이스(10) 상에 지지레그(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30)의 높이는 상기 레그구동유닛(28) 자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레그(20)를 구성하는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의 연결각도도 동시에 조절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everage device using capsules.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base 1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extraction unit 30 is moved. There is a leg driving unit 28 to move the position of the extraction unit 30, and the height or inclination of the extraction unit 30 can be adjusted by driving the leg driving unit 28. The extraction unit 30 may be supported by a support leg 20 on the base 10. The height of the extraction unit 30 can be adjusted by the leg driving unit 28 itself, and the connection angle of the support link 22 and the connection link 24 constituting the support leg 20 can also be adjusted at the same time. You can.

Description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캡슐에 들어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device that extracts beverages using ingredients contained in a capsu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를 내부에 밀봉 포장한 캡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캡슐은 음료의 원료를 내부에 밀봉 상태로 보관하고 있는데, 사용자는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캡슐 내부로 물을 통과시켜 음료를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의 대표적인 것으로 커피머신이 있다. 최근에는 커피 뿐 아니라 다양한 음료 및 음료재료를 캡슐에 제공하여 음료를 만들어 음용하도록 하고 있다.Capsules with sealed packaging inside the raw materials for manufacturing beverages are widely used. These capsules store the raw materials of the beverage in a sealed state inside, and the user can make the beverage by passing water through the capsule using a mechanical devic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beverage device that uses capsules is a coffee machine. Recently, in addition to coffee, various beverages and beverage ingredients are provided in capsules for use in making beverages.

이와 같이 캡슐을 사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중 하나가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17541호인 선행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1에서는 하나의 캡슐만을 사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므로, 다양한 음료의 추출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는 부분이 고정되어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컵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One of the devices for extracting beverages using capsules in this way is disclosed in Prior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17541. In Prior Literature 1, because the beverage is extracted using only one capsul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xtract various beverages, and the part where the extracted beverage is discharged is fixed, so various types of cups cannot be used.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40026호인 선행문헌2에는 캡슐에 통공을 형성하여 물을 주입하기 위한 구성이 매우 복잡하게 되어 있고,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해서 캡슐에 통공을 천공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Prior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40026, has a very complicated configuration for forming a hole in the capsule and injecting water,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user has to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to drill a hole in the capsule. .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119263호인 선행문헌3에는 복수개의 캡슐을 장착하여 음료를 추출하지만, 복수개의 캡슐에서 동시에 음료를 추출할 수는 없고, 여기서도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는 부분이 고정되어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컵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Prior Document 3, which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19263, a beverage is extracte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capsules, but the beverage cannot be extracted from multiple capsules at the same time, and the part where the extracted beverage is discharged is fixed here as well. There is a problem with not being able to use various types of cups.

한국 등록특허 제10-0924447호인 선행문헌4에는 커피추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여기서는 커피를 추출하는 기능에만 집중되어 있어서, 캡슐을 장착한 후에 커피가 배출될 때까지 사용자가 아무런 정보없이 기다려야 하고, 컵과 배출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Prior Document 4, Korean Patent No. 10-0924447, discloses a coffee extraction device. However, here, the focus is only on the function of extracting coffee, so the user has to wait without any information until the coffee is discharged after installing the capsul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up and the outlet cannot be adjusted.

다음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260504호인 선행문헌5에도 캡슐을 사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도 음료를 추출하는 기능에만 집중되어 있고, 컵과 배출구 사이의 거리조절이나 사용자에 대한 정보제공 등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Next, Korean Patent No. 10-1260504, Prior Document 5, also discloses a device for extracting beverages using a capsule. Here, too, it focuses only on the function of extracting beverages, and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cup and the outlet or controls the us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formation is not provided.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00496호인 선행문헌6에는 캡슐을 사용하는 커피머신이 개시되어 있는데, 본체의 외부에 물통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커피머신의 외관이 상대적으로 미려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물통 내부의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Prior Document 6,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00496, discloses a coffee machine using a capsule, and a water tank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terior of the coffee machine is relatively unattractive,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lean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그리고, 위에 제시된 선행문헌들에서는 추출된 음료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컵 사이의 거리 조절을 할 수 없을 뿐아니라 배출구의 토출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없어서 음료 추출을 다양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literature present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t only can the distance between the outlet through which the extracted beverage is discharged and the cup not be adjusted, bu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outlet cannot be adjusted in various ways, making it impossible to extract the beverage in various ways.

(선행문헌 00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17541호(Prior document 00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17541 (선행문헌 002)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40026호(Prior document 00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40026 (선행문헌 003)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119263호(Prior document 00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19263 (선행문헌 004) 한국 등록특허 제10-0924447호(Prior document 004) Korean Patent No. 10-0924447 (선행문헌 005) 한국 등록특허 제10-1260504호(Prior document 005) Korean Patent No. 10-1260504 (선행문헌 006)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00496호(Prior document 006)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00496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부가 베이스에 대해서 위치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extraction unit to be positioned relative to the base.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되는 컵의 높이에 따라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는 높이를 달리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vary the height at which the extracted beverage is discharged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cup used.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부가 베이스 추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레그구동유닛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extraction unit is supported by a leg driving unit that adjusts the position of the base extraction unit.

본 발명의 목적은 레그구동유닛의 길이가 가변됨에 의해 지지링크와 연결링크 사이의 연결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connection angle between the support link and the connection link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leg drive unit.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부를 지지하는 베이스에 무게중심을 두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lace the center of gravity on the base supporting the extraction unit.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 내부에 물공급부를 두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lace a water supply unit inside the base.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의 표면에 디스플레이를 두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lace a display on the surface of the base.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부에 캡슐을 다수개 장착하여 캡슐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plurality of capsules in the extraction unit so that beverages can be extracted from the capsul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부 내에 캡슐을 장착하고 커버를 닫음에 의해 캡슐에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inject water into the capsule by mounting the capsule in the extraction unit and closing the cover.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의 개폐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is performed stably.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부에 광원을 두어 동작상태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the operating state by placing a light source in the extraction unit.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부의 위치 조절을 위한 레그구동유닛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a leg driving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extraction unit.

본 발명의 목적은 레그구동유닛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maintenance of the leg drive unit.

본 발명의 목적은 레그구동유닛 주변의 공간활용성을 높이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space utilization around the leg driving unit.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의 높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height of the base.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에서 외부로의 열전달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heat transfer from the piping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noise generated inside the beverage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가 최소화된 베이스 내부에 물통을 설치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water tank inside a base with a minimized height.

본 발명의 목적은 물통으로의 물공급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smooth supply of water to the water tank.

본 발명의 목적은 물통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maintenance of the water tank.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동작명령을 입력하면 음료장치가 자동으로 동작하여 캡슐을 이용한 음료의 추출이 가능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beverage extraction using capsules by automatically operating the beverage device when a simple operation command is input.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부가 수평인지를 확인하고 수평이 아니면 수평이 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eck whether the extraction unit is horizontal and, if not, operate to make it horizontal.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장치가 동작되면 추출부가 상승하여 하부에 컵이 놓일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when the beverage device is operated, the extraction unit rises to secure space for a cup to be placed at the bottom.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캡슐이 안착되고 복수개의 캡슐 중 선택된 캡슐에 따른 추출 레시피에 따라 음료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plurality of capsules to be seated and a beverage to be discharged according to an extraction recipe according to a capsule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apsules.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부의 기울기 방향 및 각도를 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inclin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extraction unit.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가 추출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로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안내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the process of extracting a beverage on a display and guide the us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지지레그가 베이스 상에 추출부를 지지하는데, 상기 지지레그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어서 추출부의 베이스 상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leg supports the extractor on the base, and the support leg has a variable length, so that the position of the extractor on the base can be adjusted.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레그에 의해 베이스에 대한 추출부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어서 컵의 높이에 따라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는 높이를 달리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extractor relative to the base can be adjusted by the support leg, so that the height at which the extracted beverage is discharged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cup.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레그는 길이가 가변되는 레그구동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그구동유닛에 의해 추출부가 베이스 상에 지지되어 레그구동유닛의 길이가 가변됨에 의해 추출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leg may be composed of a leg driving unit whose length is variable. Accordingly, the extractor is supported on the base by the leg drive unit, and the position of the extractor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leg drive unit.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레그에 지지링크와 연결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링크와 연결링크 사이의 연결각도가 상기 레그구동유닛에 의해 달리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leg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link and a connection link. The connection angle between the support link and the connection link may be changed by the leg driving unit.

본 발명에서는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에 물공급부가 위치될 수 있어서 전체 장치의 무게중심이 베이스에 있을 수 있다. 특히 물통이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위치됨에 의해 베이스가 보다 안정적으로 바닥에 지지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unit can be located on a base supported on the floor,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ntire device can be at the base. In particular, by placing the water tank inside the base, the base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on the floor.

본 발명에서는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를 둘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베이스상판에 있는 강화유리 하면에 설치된 터치디스플레이 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can be placed on a base supported on the floor. The display may be a touch displa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tempered glass on the base top.

본 발명에서는 추출부에 복수개의 캡슐을 장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캡슐안착공간을 둘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캡슐을 물을 별도로 공급하도록 밸브와 펌프를 둘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캡슐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apsule seating spaces can be provided in the extraction unit so that a plurality of capsules can be mounted. A valve and a pump may be provided to separately supply water to each capsule. Therefore, beverages can be extracted in various forms from a plurality of capsul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본 발명에서는 추출부의 캡슐안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에 캡슐을 눌러주는 캡이 위치되고, 상기 캡에 캡슐에 통공을 형성하는 천공구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커버가 닫히는 동작에 의해 캡슐에 통공이 형성되어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ap that presses the capsule is placed on a cover that opens and closes the capsule seating space of the extraction unit, and the cap may have a perforation hole that forms a hole in the capsule. Therefore, when the cover is closed, a hole is formed in the capsule, allowing water to be injected.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의 개폐동작을 위해 추출부의 프레임에 설치된 이동안내대의 랙기어에 상기 커버에 설치된 이동구의 구동기어가 연동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커버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cover, the drive gear of the moving tool installed on the cover is linked to the rack gear of the moving guide installed on the frame of the extractor. Therefor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can be performed smoothly.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에는 이동가이드가 있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이동가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고정가이드가 있어서 커버의 이동이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has a moving guide and the frame has a fixed guide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moving guid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cover can be accurately guided.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에는 광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다수개가 설치되어 음료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발광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 source may be installed on the cover. A plurality of the light sources are installed so that they can emit light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beverage device.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레그구동유닛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를 추출부에 장착하기 위해 다수개의 조각인 프레임몸체가 결합된 연결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레그구동유닛을 추출부에 고정되는 연결프레임에 설치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쉽게 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eg drive units can be used, and a connection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 bodies are combined can be used to mount the leg drive unit to the extractor. Therefore, it can be easy to install and separate the leg drive unit from the connection frame fixed to the extractor.

본 발명에서 레그구동유닛의 구동원은 브라켓에 의해 고정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레그구동유닛에서 구동원을 분리하고 설치하는 작업이 간소하게 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source of the leg driving unit can be mounted on the fixed frame by a bracket. This configuration simplifies the work of separating and installing the drive source from the leg drive unit.

본 발명에서 레그구동유닛을 구성하는 구동원은 이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이나 리드스크류가 관통되는 고정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이 추출부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고정프레임을 회전축이나 리드스크류와 같은 위치에 있게 되어 구동원 주변 공간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게 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source constituting the leg drive unit is installed on a fixed frame through which a rotating shaft or lead screw rotated by the drive source passes, and the fixed frame may be connected to the extraction unit. In this configuration, the fixed frame can be locat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rotation axis or lead screw, allowing better use of the space around the drive source.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를 판형상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베이스가 판형상으로 됨에 의해 전체 장치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is configured in a plate shape. Since the base has a plate shape, the height of the entire device can be lowered.

본 발명에서는 내부배관이나 연결관을 단열층이 있는 이중관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al piping or connecting pipe can be a double pipe with an insulating layer. With this configuration, heat transfer to the outside can be minimized.

본 발명에서는 물공급부에서의 물공급을 위해 원심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entrifugal pump can be used to supply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본 발명에서는 판형상으로 된 베이스 내에 판형상으로 된 물통이 베이스의 측면으로 입출되게 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ate-shaped water container can be configured to enter and exit a plate-shaped base from the side of the base.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물통의 상면을 구성하는 커버판에 물통 내부의 저장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통입구를 둘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tank inlet that supplies water to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water tank can be placed on the cover plate that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판은 물통몸체에서 분리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late is detachable from the water tank body.

본 발명에서 다수개의 레그구동유닛이 추출부를 베이스에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레그구동유닛의 길이를 일정하게 가변시켜 추출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eg driving units support the extraction unit to the base, and the height of the extraction unit can be adjusted by constantly varying the length of the leg driving units.

본 발명에서 다수개의 레그구동유닛의 길이를 다르게 가변시켜서 추출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of the extraction unit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leg driving units.

본 발명에서는 캡슐이 안착되고 캡슐에 물을 공급하여 해당 캡슐에 대응하는 음료가 추출되는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프레임의 하부에 하우징이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sule may be seated and an extraction unit may be included in which water is supplied to the capsule to extract the beverage corresponding to the capsule. The extractor may have a housing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rame and a cover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rame.

상기 추출부는 복수개의 지지레그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지레그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추출부를 구성하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레그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이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는 제1구동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The extractor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upport legs and can be lifted up and down by driving the support legs. Specifically, the support leg is coupled to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extractor, and the housing can be lifted and lowered by driving the support leg. The support leg may be driven by a first driving source.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캡슐이 안착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개폐하도록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커버가 상승하면 상기 상면을 개방되고 상기 커버가 하강하면 상기 상면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이동구에 의해 승강될 수 있고 상기 이동구는 제2구동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The capsule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cover can be lifted up and down to open and close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When the cover rises, the upper surface may be opened, and when the cover descends, the upper surface may be closed. The cover can be lifted and lowered by a moving tool, and the moving tool can be driven by a second driving source.

상기 음료장치는, 캡슐에 물을 주입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를 지지하며 상기 추출부를 승강시키는 지지레그와, 상기 추출부의 승강을 위해 상기 지지레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원와, 상기 추출부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추출부의 하부에 있는 컵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와, 상기 제1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컵까지의 측정거리를 기초로 상기 제1구동원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레그의 구동에 의해 상기 추출부가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The beverage device includes an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a beverage by injecting water into a capsule, a support leg that supports the extraction unit and raises and lowers the extraction unit, and a first driving source that provides driving force to the support leg to elevate the extraction unit. , a distance sensor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or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cup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extractor,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irst driving source, wherein the control unit measures the distance from the distance sensor to the cup measured.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the first driving source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extraction unit is raised and lowered by driving the support leg.

상기 음료장치에 동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지지레그 및 상기 커버에 연결된 이동구가 구동되어 상기 하우징 및 커버가 상승된다. 이후에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캡슐의 안착이 감지되면 상기 이동구가 구동되어 상기 커버가 하강된다. 상기 커버가 하강된 후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컵이 인식되면 상기 지지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하우징이 상기 컵과의 설정거리까지 하강된다. 상기 하우징이 하강되면 상기 캡슐에 물을 공급하여 음료가 상기 컵으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음료의 추출이 완료되면 상기 지지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하우징이 상승할 수 있다.When an operation command is input to the beverage device, the support leg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the moving tool connected to the cover are driven to raise the housing and cover. Afterwards, when the seating of the capsu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is detected, the moving mechanism is driven to lower the cover. After the cover is lowered and a cup is recognized below the housing, the support leg is driven to lower the housing to a set distance from the cup. When the housing is lowered,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capsule and beverage can be extracted into the cup. When extraction of the beverage is completed, the support leg is driven so that the housing can rise.

상기 동작명령의 입력을 보면, 상기 커버의 일면에 설치된 터치센서가 터치되거나 또는 음성인식부에서 동작명령에 대한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동작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When looking at the input of the operation command, the operation command may be input when the touch sens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ver is touched or the voice for the operation command is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상기 동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하우징은 설정된 최대높이까지 상승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컵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command is input, the housing rises to the set maximum height, thereby securing as much space as possible to place a cup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상기 커버의 하강 후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컵이 인식되면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설치된 거리센서에서 상기 컵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되는 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지지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하우징이 하강된다. 상기 측정되는 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되면 상기 지지레그의 구동이 정지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강이 완료된다. When the cup is recogniz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after the cover is lowered, the distance to the cup is measured by a distance sensor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support leg is driven until the measured distance becomes the set distance. The housing is lowered. When the measured distance reaches the set distance, the driving of the support leg is stopped and the lowering of the housing is completed.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보다 크면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하우징은 하강되고, 반대로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하우징은 상승한다.If the measurement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set distance, the housing is lowered until the measurement distance becomes the set distance. Conversely, if the measurement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set distance, the housing is lowered until the measurement distance becomes the set distance. rises.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캡슐의 안착이 감지되어 상기 커버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캡슐의 안착을 감지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커버가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캡슐을 수동으로 안착하는 경우 상기 커버의 하강시 손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정시간은 1~3초가 바람직하다.When the seating of the capsu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is detected and the cover lowers, the cover may be lowered when a set time elapses after detecting the seating of the capsule. This can prevent the user from hitting the hand when the cover is lowered when the capsule is manually placed. The setting time is preferably 1 to 3 seconds.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추출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추출부에 설치된 기울기센서에서 상기 추출부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기울기를 기초로 상기 지지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가 수평이 되도록 한다. 상기 추출부의 기울기 방향 및 기울기 각도에 따라 상기 지지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가 수평이 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unit is kept horizontal. The tilt sensor installed in the extractor measures the inclination of the extractor, and the support leg is driven based on the measured inclination to make the extractor horizontal. The support leg may be driven according to the tilt direction and tilt angle of the extraction unit so that the extraction unit becomes horizontal.

상기 음료장치는, 캡슐에 물을 주입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를 지지하며 상기 추출부를 승강시키는 지지레그와, 상기 추출부의 승강을 위해 상기 지지레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원과, 상기 추출부에 설치되어 상기 추출부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와,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센서에서 측정된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부의 수평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제1구동원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레그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beverage device includes an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a beverage by injecting water into a capsule, a support leg that supports the extraction unit and elevates the extraction unit, and a first drive source that provides driving force to the support leg to elevate the extraction unit. And, a tilt sensor installed in the extraction unit to measure the tilt of the extrac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ource,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extraction unit is horizontal based on the tilt measured by the tilt sensor.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first driving source can be controlled to drive the support leg.

상기 추출에 설치된 기울기센서에서 상기 추출부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부가 수평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가 수평이면 상기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추출부가 수평이 아니면 상기 추출부를 지지하면서 승강시키는 지리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가 수평이 되도록 할 수 있다. The tilt sensor installed in the extraction can measure the tilt of the extraction unit, and determine whether the extraction unit is horizontal based on the measured tilt. If the extraction unit is horizontal, the horizontal state is maintained, and if the extraction unit is not horizontal, a geo-leg that supports and lifts the extraction unit is driven to make the extraction unit horizontal.

상기 복수개의 지지레그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추출부의 기울기 방향 및 기울기 각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추출부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이 설정된 패턴을 그리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부의 기울기를 조정하여 상기 추출부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이 나선형 또는 원이 될 수 있다.The tilt direction and tilt angle of the extractor can be arbitrarily adjusted by independently driving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raw a pattern in which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or faces is set. For example,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extraction unit,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ion unit faces may be spiral or circular.

본 발명에 의한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The beverage device using the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추출부의 위치를 지지레그를 제어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를 베이스 상에 지지하는 지지레그의 동작에 의해 상기 추출부가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대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In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extraction unit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support le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extractor with respect to the base may be changed by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leg that supports the extractor on the base.

본 발명에서는 컵의 높이를 감지하여 추출부의 베이스에 대한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서 추출된 음료가 컵으로 배출되는 위치를 컵에 따라 달리하여 컵 내부로 음료가 보다 정확하게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cup can be sensed and the position of the base of the extraction unit can be adjusted, so the position at which the extracted beverage is discharged into the cup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cup, allowing the beverage to enter the cup more accurately.

본 발명에서는 추출부를 베이스에 대해 길이가 가변되는 레그구동유닛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레그구동유닛은 길이가 가변되는 특성을 가져서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추출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레그구동유닛을 사용하고 이들 레그구동유닛의 길이를 달리 조절함에 의해 추출부의 기울기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unit can be supported by a leg drive unit whose length is vari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The leg driving unit has a variable length characteristic, so that the position of the extractor can be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base. By using a plurality of leg driving units and adjusting the lengths of these leg driving units, the inclination of the extractor can be freely adjusted. You can.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레그구동유닛에 지지링크와 연결링크를 서로 상대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레그구동유닛의 길이가변에 따라 상기 지지링크와 연결링크의 연결각도를 달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추출부의 위치에 따라 지지링크와 연결링크의 연결상태가 달라지면서 음료장치의 외관이 보다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어 사용자의 감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link and the connection link are connected to the leg drive unit so that they can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angle of the support link and the connection link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length variation of the leg drive unit.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upport link and the connection link chang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extraction unit, allowing the beverage device to have a more diverse appearance, thereby satisfying the user's sensibilities.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에 물공급부와 제어부 등의 구성을 두었다. 특히, 베이스의 내부에 물공급부를 구성하는 물통, 메인펌프, 보일러 등을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음료장치의 무게중심이 베이스 또는 베이스에 인접한 위치에 있도록 하여 음료장치의 설치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is equipped with a water supply unit and a control unit. In particular, by installing the water tank, main pump, boiler, etc. that make up the water supply unit inside the base, the overall center of gravity of the beverage device is positioned at the base or adjacent to the base, which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installation stability of the beverage device.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의 상면에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을 가지므로, 상면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게 확보될 수 있고, 이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므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를 둘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많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를 터치입력이 가능한 것으로 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음료장치를 조작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ince the base has a flat hexahedral shape, a relatively large upper surface area can be secured, and since the display is installed on it, a display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can be installed.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lot of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In particular,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the user to operate the beverage device more easily by making the display capable of touch input.

본 발명에서는 추출부에 캡슐안착공간을 복수개 둘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슐안착공간에 안착된 캡슐들로 각각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밸브와 펌프를 사용하는데, 이에 의해 복수개의 캡슐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음료를 다양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음료를 다수 잔 동시에 만들거나, 동일한 음료의 양을 늘여서 만들거나, 다른 종류의 음료를 동시에 만들거나, 다른 종류의 음료를 섞은 혼합음료를 만들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음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apsule seating spaces may be provided in the extraction unit. In addition, a valve and a pump are used to supply water to each of the capsules seated in the capsule seating space, which has the effect of making a variety of drinks by extracting a plurality of capsul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For example, drinks can be serv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making multiple cups of the same drink at the same time, making an increased amount of the same drink, making different types of drinks at the same time, or making mixed drinks by mixing different types of drink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본 발명에서는 추출부의 프레임에 대해 커버가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커버에는 천공구를 가진 캡이 있어서, 캡슐안착공간에 있는 캡슐을 커버가 닫히는 동작에서 눌러 천공구로 통공을 캡슐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캡슐에 통공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힘을 제공하지 않아도 되고, 커버가 닫히는 동작을 이용하여 캡슐에 통공을 형성할 수 있어서 별도로 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를 채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체적으로 음료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can be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rame of the extraction unit. The cover has a cap with a perforation hole, and the capsule in the capsule seating space is pressed in the operation of closing the cover to form a hole in the capsule with the perforation hole. can do. Therefore, the user does not need to provide additional force to form a hole in the capsule, and since the hole can be formed in the capsule using the operation of closing the cover, there is no need to adopt a separate structure for forming the hole, so the beverage device as a whole This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본 발명에서는 추출부에 캡슐을 장착하고 사용된 캡슐을 빼내기 위해서 커버가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에는 펌프와 밸브 등 물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과 캡슐을 눌러주는 캡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커버의 개폐동작을 안내하기 위해 고정가이드와 이동가이드를 두어서 서로 안내되도록 하고, 랙기어를 따라 구동기어가 연동되어 이동하면서 커버가 개폐동작을 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커버의 개폐동작이 일정한 궤적을 따라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sule can be mounted on the extraction unit and the cover can be opened and closed to remove the used capsule. The cover may be equipped with components for controlling water supply, such as pumps and valves, and a cap that presses the capsule. A fixed guide and a moving guide are provided to guid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including such components. The cover was designed to open and close as the drive gear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rack gear.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is performed accurately along a certain trajectory.

본 발명에서는 커버 내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을 두고 있다. 상기 광원에서는 음료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추출부의 동작 시에 광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는 광을 통해 사용자가 동작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 source that provides light is placed within the cover. The light source may provide light depending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beverage devic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in that the user can determine the operating state through light provided in various ways from the light source when the extraction unit operates.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추출부를 베이스에 지지하면서 추출부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레그구동유닛을 추출부에 연결하기 위해 다수개의 프레임몸체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연결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프레임몸체와 레그구동유닛을 차례로 조립하고 분해함에 의해 레그구동유닛의 설치와 분해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 bodies are connected can be used to connect a plurality of leg driving units that support the extractor to the base and adjust the position of the extractor to the extractor. Therefor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leg drive unit can be made more easily by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se frame bodies and the leg drive unit in turn.

본 발명에서는 추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레그구동유닛에서 구동원을 고정프레임에 브라켓으로 고정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레그구동유닛을 분해,조립하는 과정에서 구동원을 고정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분해하고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으로 레그구동유닛의 유지보수가 보다 용이하게 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g drive unit that adjusts the position of the extractor is configured to fix the drive source to the fixed frame with a bracket. With this configuration, the drive source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from the fixed frame during the process of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the leg driving unit, making overall maintenance of the leg driving unit easier.

본 발명에서는 추출부를 다수개의 레그구동유닛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데, 이 레그구동유닛에서 사용되는 구동원의 고정을 위한 구성인 고정프레임이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리드스크류가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원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성을 둘러 있어서, 구동원의 고정에 사용되는 구조가 구동원 주변공간을 최소로 차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레그구동유닛이 설치되는 추출부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or can be movably supported by a plurality of leg drive units, and the fixed frame, which is a structure for fixing the drive source used in the leg drive unit,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rotating shaft rotated by the drive source and the lead screw. . Accordingly, since the structure for fixing the drive source surrounds the structure rotated by the drive source, the structure used to fix the drive source can occupy the space around the drive source to a minimum. This configuration can have the effect of using the space inside the extraction unit where the leg driving unit is installed more efficiently.

본 발명에서는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를 판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를 판형상으로 구성함에 의해 베이스의 높이가 최소화되면서 베이스 상에 위치되는 지지레그와 추출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upported on the floor can be configured in a plate shape. In this way, by configuring the base in a plate shape, the height of the base is minimized and the support legs and extractor located on the base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본 발명에서는 물공급부에 사용되는 내부배관이나 물공급부에서 추출부로 물을 공급하는 연결관을 내부관체와 외부관체의 사이에 단열층이 있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내부배관이나 연결관의 외부로 열이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음료의 온도를 최적화할 수 있고, 열에 의해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al pipe used in the water supply unit or the connection pipe that supplies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extraction unit can be structured with an insulating layer between the inner pipe body and the outer pipe body. This structure can minimize heat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internal piping or connecting pipe, optimizing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and preventing injury to the user due to heat.

본 발명에서는 메인펌프로서 원심펌프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베이스의 물공급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entrifugal pump was used as the main pump.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noise generated from the water supply part of the base can be minimized.

본 발명에서는 판형상으로 된 베이스 내에 역시 판형상으로 된 물통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물통이 베이스 내에 위치되면서 베이스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베이스의 설계자유도가 높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tank, also in the shape of a plate, is installed in a base that is in the shape of a plate. Therefore, as the water tank is located within the base, it does not affect the appearance of the base, thereby increasing the design freedom of the base.

본 발명에서는 판형상으로 된 물통을 베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물통입출구를 통해 입출시키고,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판에 물통 내부의 저장공간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통입구가 있다. 따라서, 물통의 저장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용이한 이점이 있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ate-shaped water tank is entered and exited through a water tank inlet and outlet formed on the side of the base, and a cover plate forming a relatively large upper surface has a water tank inlet through which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water tank. Therefore, there may be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supply water to the storage space of the water tank.

그리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물통몸체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내부의 저장공간으로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저장공간의 청소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Additionally, the cover plate may be detachable from the water tank body.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internal storage space, which also has the effect of facilitating cleaning of the storage space.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레그구동유닛으로 베이스에 추출부가 지지되도록 하는데, 다수개의 레그구동유닛의 길이를 일정하게 가변시키면 상기 추출부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어, 컵의 높이에 따라 추출부의 높이를 달리하여 보다 정확하게 컵으로 음료가 전달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unit is supported on the base by a plurality of leg driving units. The height of the extraction unit can be adjusted by constantly varying the length of the plurality of leg driving units, and the height of the extraction uni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up. Beverages can be delivered to the cup more accurately.

본 발명에서 다수개의 레그구동유닛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하면 상기 추출부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부의 기울기를 조절함에 의해, 예를 들어 커피추출시에 라떼 아트기능을 수행하거나 추출부 기울기에 의해 추출부 회전효과를 주어 다양한 음료 추출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leg driving uni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inclination of the extraction unit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extraction unit in this way, for example, a latte art function can be performed when extracting coffee, or a rotation effect of the extraction unit can be provided by the inclination of the extraction unit, making it possible to extract various beverages.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터치 또는 음성인식으로 음료장치의 동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동작명령이 입력되면 음료장치가 자동으로 동작되어 음료의 추출까지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간단한 동작에 의해 음료장치에서 음료가 추출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beverage device can be input through a simple touch or voice recognition, and when the operation command is input, the beverage device is automatically operated and can proceed to extraction of the beverage. Accordingly, the beverage can be extracted from the beverage device by a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본 발명에서는 음료가 추출되는 추출부에 기울기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기울기센서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기초로 상기 추출부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음료장치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음료를 안전하게 추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tilt sensor is provided in the extraction part where the beverage is extracted, so that the extraction part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based on the slope measured by the tilt sensor. Therefore, the beverage device can be used stably and beverages can be extracted safely.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지지레그를 별개로 구동시켜 상기 추출부의 기울기 방향 및 기울기 각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음료를 임의의 방향으로 추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음료에 데코레이션을 추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lt direction and tilt angle of the extractor can be arbitrarily adjusted by separately driv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s. Therefore, the beverage can be extracted in any direction, and decorations can be added to the beverage through thi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에서 레그구동유닛에 의해 추출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지지레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지지레그의 구성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레그구동유닛의 길이가 가장 짧은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레그구동유닛의 길이가 가장 긴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연결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레그구동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레그구동유닛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레그구동유닛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레그구동유닛에서 외측부재를 제거하고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레그구동유닛의 조립과 분해를 위한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연결프레임에 연결링크와 레그구동유닛이 동심으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보인 단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추출부의 커버를 제거하고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추출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추출부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추출부에서 고정판에 설치되는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 실시례의 추출부에서 사용되는 고정판과 캡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 실시례의 추출부를 구성하는 캡과 천공구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 실시례의 추출부에서 사용되는 천공구의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 실시례의 추출부에서 사용되는 캡슐시트를 보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커버를 개폐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커버가 개방되고, 캡슐시트에 캡슐이 안착된 후에 커버가 닫히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2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캡슐시트의 캡슐안착공간에 캡슐이 설치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2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을 보이기 위해 베이스상판을 제거하고 보인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을 베이스상판을 제거하고 보인 평면도.
도 2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물통입출구를 통해 물통이 돌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물통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물통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1은 도 29의 31-31'선 단면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내부배관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를 구성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와 연결된 구성들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35는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에서 추출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에서 추출부의 수평을 맞추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7은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에서 추출부의 기울기에 따른 음료의 배출위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8은 일례로 3개의 지지레그의 배치 및 구동에 따른 상기 추출부의 기울기 방향을 도식화한 도면.
도 39는 상기 3개의 지지레그의 구동에 의해 상기 추출부가 기울어지는 방향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도 40은 도 39에 도시된 단계별 기울기 방향과 기울기 정도를 나타낸 표.
도 41은 상기 단계별 추출부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의 궤적을 도시한 도면.
도 42는 도 41의 일례로 상기 궤적이 나선형인 일례를 도시한 도면.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height of the extraction unit is adjusted by the leg driving unit in the beverage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upport leg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upport leg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ortest length of the leg driving uni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ongest length of the leg drive uni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fram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eg driving unit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g driving unit shown in Figure 9.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eg driving unit shown in Figure 9.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g driving unit shown in Figure 9 with the outer member removed.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for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leg drive unit shown in Figure 9.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link and the leg drive unit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frame so as to be concentrically rotatab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extractor with the cover remov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ion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n extraction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xtraction uni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fixing plate.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plate and cap used in the extraction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p and drilling hole constituting the extraction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lling hole used in the extraction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psule sheet used in the extraction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pow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4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sequentially the cover being opened and the cover being closed after the capsule is seated on the capsule sea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5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installation of capsules in the capsule seating space of the capsule shee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6 is a perspective view with the base top plate removed to show the parts installed inside the bas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7 is a plan view showing the parts installed inside the bas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base top plate removed.
Figure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tank protruding through the water tank inlet and outlet of the bas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tank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container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31-31' of Figure 29.
Figure 3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internal piping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control unit and component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constituting the beverage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5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extraction unit in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 of leveling the extraction unit in the beverage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beverag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extraction unit in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8 is a diagram illustrating, as an example,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d driving of the three support legs.
Figure 39 is a diagram showing step by step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ractor is tilted by driving the three support legs.
Figure 40 is a table showing the slope direction and degree of slope for each stage shown in Figure 39.
Figure 41 is a diagram showing the trajectory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ion unit for each stage faces.
FIG. 4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FIG. 41 in which the trajectory is in a spiral shape.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를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10)는 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베이스(10)가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다. 하지만, 상기 베이스(10)는 납작한 형태라면 원판형상, 다각판형상 등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A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can be seen in FIGS. 1 and 2, the base 10 may be seated on the ground. The base 10 may have a plate shap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base 10 has a flat hexahedral shape. However, if the base 10 is flat, it can be made in various shapes, such as a disk shape or a polygonal plate shape.

상기 베이스(10)는 베이스몸체(12)와 베이스상판(1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몸체(12)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물공급부(82)와 제어부(80)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상판(14)은 베이스몸체(12) 내부의 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상판(14)에는 디스플레이(16)가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추출부(30) 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1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트(16)는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을 구성하는 강화유리 내면에 OCA필름으로 터치디스플레이모듈이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강화유리는 베이스상판(14)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강화유리가 실질적으로 베이스상판(14)이 되면서 베이스(1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base 10 may be composed of a base body 12 and a base top plate 14. Inside the base body 12, a space may be formed where the water supply unit 82 and the control unit 8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re installed. The base top plate 14 can shield the space inside the base body 12 and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A display 16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top plate 14.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display 16 may be installed in an area including the lower part of the extraction unit 3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display 16 may be configured, for example, by attaching a touch display module with an OCA film to the inner surface of tempered glass constitu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The tempered glass may form part of the base top plate 14. The tempered glass can substantially become the base top plate 14 and form the top surface of the base 10.

상기 디스플레이(16)는 상기 베이스상판(14)의 전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일부분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16)는 상기 베이스상판(14)의 전체에 설치되고 부분적으로 출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16)는 터치 조작을 통해 화면을 터치함으로서 상기 음료장치의 설정 및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16)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이 조작부로 기능될 수도 있다.The display 16 may be installed on the entire base plate 14 or only on a portion of it. Of course, the display 16 may be installed on the entire base plate 14 and may be partially output. The display 16 allows settings and commands of the beverage device to be input by touching the screen through touch manipulation. Accordingly, the screen output through the display 16 may function as a control panel.

상기 디스플레이(16)는 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는 사용자에게 여러가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음료의 추출동작을 디스플레이(16)를 통한 터치입력에 의해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에서 추출부(30)의 동작을 위한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display 16 can display the operating status of the device. The display 16 can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The display 16 may be one capable of touch input. In this case, the extraction operation of the beverage can be controlled by touch input through the display 16. A manipulation for operating the extraction unit 30 can be input from the display 16.

상기 베이스(10)의 베이스상판(14) 일측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 장착영역(17)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착영역(17)의 돌기 자체나 돌기 사이에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장식물을 끼워 장착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base top plate 14 of the base 10, there may be a mounting area 17 formed by protrud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A decorat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can be installed by inserting the protrusion itself or between the protrusions of the mounting area 17.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서는 전원선(18)과 연결관(19)이 연장되어 나올 수 있다. 상기 전원선(18)은 상기 베이스(10) 내에 있는 제어부(80)에서 추출부(30) 내에 있는 구성을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관(19)은 상기 베이스(10) 내에 있는 물공급부(82)에서 추출부(3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A power line 18 and a connector 19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base 10. The power line 18 provides signals for operating components within the extractor 30 from the control unit 80 within the base 10. The connection pipe 19 is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82 within the base 10 to the extraction unit 30.

상기 전원선(18)과 연결관(19)은 아래에서 설명될 추출부(30) 및 커버(34)의 이동을 보장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원선(18)와 연결관(19)이 베이스(10)에서 나와서 추출부(30)의 외면 일측을 통해 추출부(30)의 내부로 들어간다. 다르게는, 상기 전원선(18)과 연결관(19)은 추출부(30)의 하부를 통해 추출부(3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즉, 상기 전원선(18)과 연결관(19)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상기 지지레그(20)를 따라 전원선(18) 및/또는 연결관(19)이 연장되어 추출부(30) 내부로 들어갈 수도 있다. 이때 지지레그(20)를 통과하는 전원선(18) 및/또는 연결관(19)의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될 수 있다.The power line 18 and the connector 19 have a length that can ensure the movement of the extractor 30 and the cover 34,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ower line 18 and the connector 19 come out of the base 10 and enter the interior of the extraction unit 30 through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xtraction unit 30. Alternatively, the power line 18 and the connector 19 may enter the interior of the extraction unit 30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extraction unit 30. That is, the portion of the power line 18 and the connector 19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minimized. Alternatively, the power line 18 and/or the connector 19 may extend along the support leg 20 and enter the inside of the extraction unit 30. At this time, the portion of the power line 18 and/or the connector 19 passing through the support leg 20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연결관(19)을 통과하는 물의 온도유지를 위해 상기 연결관(19)을 둘러 단열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9)은 베이스(10)와 추출부(3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는 것을 흡수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와 연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열층은 상기 연결관(19)의 연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층으로 될 수도 있다.In orde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9, an insulating layer (not shown) may be formed around the connection pipe 19. The connector 19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flexibility to absorb changes in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10 and the extraction unit 30. The insulating layer may be made up of multiple layers as long as it does not impair the ductility of the connecting pipe 19.

상기 베이스상판(14) 상에는 지지레그(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20)는 추출부(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20)는 추출부(30)의 움직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20)는 추출부(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20)는 추출부(30)의 설치상태, 예를 들면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A support leg 20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top plate 14. The support leg 20 may serve to support the extraction unit 30. The support leg 20 can produce movement of the extraction unit 30. The support leg 20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extraction unit 30. The support leg 20 can adjust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extraction unit 30, for example, the inclination.

도 3에는 상기 지지레그(20)에 의해 추출부(30)의 높이가 달리 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a)에는 추출부(30)가 베이스(10)에 인접하여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의 (b)에는 추출부(30)가 베이스(10)에서 상대적으로 떨어져 있는, 다시 말하면 상대적으로 상승된 위치에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extractor 30 is changed by the support leg 20. In Figure 3 (a), the extraction unit 30 is shown adjacent to the base 10, and in Figure 3 (b), the extraction unit 30 is relatively distant from the base 10. In other words, it is shown in a relatively elevated position.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지지레그(20)가 3개가 사용된다. 3개의 상기 지지레그(20)는 추출부(30)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서로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20)의 개수는 추출부(30)의 크기와 추출부(30)의 동작형태 등에 따라서 달리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ree support legs 20 are used. The three support legs 20 may be arranged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xtraction unit 30. For example, they may be arranged at equal an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The number of support legs 20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extraction unit 30 and the operation type of the extraction unit 30.

상기 지지레그(20)에는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20)는 상기 베이스(10) 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링크(24)를 통해 추출부(30)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는 링크핀(221)(도 7 참고)을 통해 서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링크(24)는 일측이 상기 지지링크(22)와 연결되고 타측은 추출부(30) 측에 연결되는데, 추출부(30) 내부에 있는 연결프레임(26)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support leg 20 may include a support link 22 and a connection link 24. One side of the support leg 20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10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extraction unit 30 through the connecting link 24. The support link 22 and the connection link 2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through a link pin 221 (see FIG. 7). One side of the connecting link 24 is connected to the support link 22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extraction unit 30, and can be relative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frame 26 inside the extraction unit 30. there is.

상기 연결프레임(26)은 전체적으로 대략 링형상으로 된다. 상기 연결프레임(26)은 다수개로 나누어진 프레임몸체(260)가 서로 결합되어 링형상으로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프레임몸체(260) 조각이 결합되어 링형상의 연결프레임(26)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프레임(2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프레임(31)에의 고정을 위한 고정보스(261)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보스(261)는 다수개가 상기 연결프레임(26)에 구비되어 전체 링형상의 연결프레임(26)을 프레임(31)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The connection frame 26 is generally roughly ring-shaped. The connection frame 26 may be formed into a ring shape by combining a plurality of divided frame bodies 260 with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three pieces of frame body 260 are combined to form a ring-shaped connecting frame 26. The connection frame 26 may have a fixing boss 261 for fixing to the frame 31,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 plurality of the fixing bosses 261 are provided on the connection frame 26, so that the entire ring-shaped connection frame 26 can be firmly fixed to the frame 31.

상기 연결프레임(26)에는 레그연결부(263)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레그연결부(263)에는 각각 지지레그(20)가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레그연결부(263)에 상기 연결링크(24)와 아래에서 설명될 레그구동유닛(28)이 동시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레그연결부(263)는 링형상으로 되는 연결프레임(26)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이다.The connection frame 26 may have a leg connection portion 263. Each support leg 20 may be connected to the leg connection portion 263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More precisely, the connecting link 24 and the leg driving unit 28,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can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leg connecting portion 263 to enable relative rotation. The leg connection portion 263 is concav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ring-shaped connection frame 26.

상기 레그연결부(263)의 내부 양측에 각각 제1회전중심핀(265)이 서로 마주보게 돌출된다. 상기 제1회전중심핀(265)은 상기 연결링크(24)와 레그구동유닛(28)의 회전중심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중심핀(265)과 동심으로 제2회전중심핀(267)이 있을 수 있다.(도 8 및 도 14 참고) 상기 제2회전중심핀(267)은 아래에서 설명될 레그구동유닛(28)의 회전중심이 될 수 있다.First rotation center pins 265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leg connection portion 263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rotation center pin 265 may be the rotation center of the connection link 24 and the leg driving unit 28. There may be a second rotation center pin 267 concentric with the first rotation center pin 265 (see FIGS. 8 and 14). The second rotation center pin 267 is a leg drive unit to be described below. It can be the center of rotation of (28).

상기 프레임몸체(260)는 상기 레그연결부(263)의 일측 끝부분에서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제1회전중심핀(265)이 각각 서로 분리된 프레임몸체(260)에 있고, 이들 프레임몸체(260)가 결합됨에 의해 제1회전중심핀(265)이 서로 마주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몸체(260)를 상기 지지레그(20)의 갯수만큼으로 분리하여 형성하게 되면, 전체 장치 조립 시에 상기 프레임몸체(260)와 지지레그(20)를 차례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몸체(260) 하나를 프레임(31)에 설치하고, 상기 지지레그(20)와 레그구동유닛(28)을 조립하고, 다음으로 프레임몸체(260)를 조립한다. 그리고 마지막 하나의 프레임몸체(260)와 남은 2개의 지지레그(20)와 레그구동유닛(28)을 동시에 조립하면, 연결프레임(26)과 지지레그(20) 및 레그구동유닛(28)의 조립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The frame body 260 is coupled to each other at one end of the leg connection portion 263. The first rotation center pins 265 are located in separate frame bodies 260, and when these frame bodies 260 are combined, the first rotation center pins 265 face each other. If the frame body 260 is formed by dividing the frame body 260 into pieces equal to the number of support legs 20, the frame body 260 and the support legs 20 can be sequentially combined when assembling the entire device. That is, one frame body 260 is installed on the frame 31, the support leg 20 and the leg driving unit 28 are assembled, and then the frame body 260 is assembled. And when the last frame body 260 and the remaining two support legs 20 and the leg driving unit 28 are assembled simultaneously, the connection frame 26, the support leg 20, and the leg driving unit 28 are assembled. This can be made easy.

상기 연결프레임(26)의 일측에는 기울기센서(26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울기센서(269)는 상기 연결프레임(26)의 기울기, 다시 말해 상기 추출부(30)의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A tilt sensor 269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frame 26. The tilt sensor 269 can detect the tilt of the connection frame 26, that is, the tilt of the extraction unit 30.

상기 지지링크(22)에서 상기 연결링크(24)와 연결된 반대쪽에는 상기 베이스(10) 상에 지지되는 조인트(27)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조인트(27)에 의해 상기 지지링크(22)가 상기 베이스(10)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27)는 일종의 유니버셜조인트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조인트(27)에는 소켓베이스(270)가 있다. 상기 소켓베이스(270)는 상기 베이스상판(14)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소켓베이스(270) 상에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소켓(272)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소켓(272) 내부의 공간에는 볼(274)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볼(274)의 직경은 상기 소켓(272)에 형성된 공간의 입구 폭보다 큰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볼(274)은 상기 소켓(272) 내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볼(275)과 일체로 연결바아(276)가 있다. 상기 연결바아(276)는 상기 지지링크(22)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소켓(272)의 입구 형상에 의해 상기 연결바아(276)의 회동궤적이 정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소켓(272)의 입구가 일방향으로 긴 슬롯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슬롯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연결바아(276)가 왕복운동될 수 있다.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pport link 22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k 24, there may be a joint 27 supported on the base 10. The support link 22 can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10 by the joint 27. The joint 27 can be viewed as a type of universal joint. The joint 27 has a socket base 270. The socket base 270 may be fixed to the base top plate 14. On the socket base 270, there may be a socket 272 with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A ball 274 may be located in the space inside the socket 272. The diameter of the ball 274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entrance to the space formed in the socket 272. The ball 274 can be rotated in various directions within the socket 272. There is a connecting bar 276 integral with the ball 275. The connecting bar 276 is connected to the support link 22. Here, the rotation trajectory of the connecting bar 276 can be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inlet of the socket 272.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entrance of the socket 272 is shaped like a long slot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connecting bar 276 can reciproc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지지링크(22)는 상기 조인트(27)에 의해 상기 베이스(10)에 대해 직립되거나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동작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소켓(272)의 입구 형상을 달리함에 의해 상기 지지링크(22)는 보다 다양하게 동작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upport link 22 can be operated to be upright or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10 by the joint 27. Of course, the support link 22 can be operated in more diverse ways by varying the shape of the inlet of the socket 272.

상기 지지레그(20)를 구성하는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가 연결된 각도를 조절하는 것은 레그구동유닛(2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은 일측이 상기 지지링크(22)에 링크핀(222)(도 7 참고)에 의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링크(24) 및 연결프레임(26)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은 상기 지지링크(22)에 연결된 쪽과 상기 연결링크(24)에 연결된 쪽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의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 사이의 연결각도가 달라진다. 이와 같이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 사이의 연결각도가 달라짐에 의해 상기 연결프레임(26)의 위치가 이동되고, 상기 연결프레임(26)은 추출부(30)의 프레임(31)에 연결되어 있어, 추출부(30)의 위치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Adjusting the angle at which the support link 22 and the connection link 24 constituting the support leg 20 are connected can be performed by the leg driving unit 28. One side of the leg driving unit 28 is relative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link 22 by a link pin 222 (see FIG. 7),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k 24 and the connection frame 26. It is connected so that it can be rotated relative to. Here, the length of the leg driving unit 28 can be varied so that the side connected to the support link 22 and the sid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k 24 are closer or farther away from each other. As the length of the leg driving unit 28 changes in this way, the connection angle between the support link 22 and the connection link 24 changes. As the connection angle between the support link 22 and the connection link 24 changes,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frame 26 is moved, and the connection frame 26 is connected to the frame 31 of the extraction unit 30. Since it is connected to , the position of the extraction unit 30 can be moved.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지지레그(20)가 3개가 있는데, 이들 지지레그(20)의 레그구동유닛(28)의 길이가 동일하게 길어지고 짧아지면, 각각의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의 연결각도가 동일하게 변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연결프레임(26)은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승강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4,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re are three support legs 20. If the lengths of the leg driving units 28 of these support legs 20 are equally long and short, each The connection angle of the support link 22 and the connection link 24 changes to be the same, and accordingly, the connection frame 26 can be lifted and lowered equally as a whole.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의 구성을 도 9에서 도 13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레그구동유닛(28)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 사이의 연결 각도를 변경시키면서 연결프레임(26)의 이동을 만들어 낸다.The configuration of the leg driving unit 28 will be examin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3. As described above, the leg drive unit 28 has a variable length and changes the connection angle between the support link 22 and the connection link 24 to move the connection frame 26.

따라서,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은 양단의 상대 위치가 달라져서, 길이가 가변되는 구성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의 다른 예로서 실린더 내에 있는 피스톤이 이동함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실린더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 사이의 연동에 의해 랙기어의 직선운동을 이용하는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leg driving unit 28 may be of any configuration as long as the relative positions of both ends are different and the length is variable. For example, as another example of the leg driving unit 28,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iston rod moves in and out of the cylinder as the piston in the cylinder moves may be used. Alternatively, a configuration that utilizes the linear motion of the rack gear by interlocking between the rack gear and the pinion gear may be used.

도시된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구동원(280)이 있다. 상기 제1구동원(280)은 지지레그(20)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원(280)에는 외부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축(280')이 있다. 상기 회전축(280')은 상기 제1구동원(280)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280')에는 리드스크류(28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81)는 상기 회전축(28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leg driving unit 28 us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re is a first driving source 280. The first driving source 280 may provide driving force to vary the length of the support leg 20. The first drive source 280 has a rotation shaft 280'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to the outside. The rotation axis 280' extends outward from the first drive source 280. A lead screw 281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280'. The lead screw 281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280'.

상기 제1구동원(280)은 브라켓(28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82)은 상기 제1구동원(280)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축(280')은 상기 브라켓(282)을 관통한다. 상기 브라켓(282)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83)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83)은 상기 브라켓(282)과 별개이고 조립 시에 서로 결합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83)을 상기 회전축(280')이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프레임(283)과 브라켓(282)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결프레임(26)에 설치됨에 의해, 상기 제1구동원(280)을 상기 연결프레임(26)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driving source 280 may be installed on the bracket 282. The bracket 282 is for fixing the first driving source 280. The rotation axis 280' passes through the bracket 282. There may be a fixing frame 283 to which the bracket 282 is fixed. The fixing frame 283 is separate from the bracket 282 and is coupled to each other during assembly. The rotating shaft 280' passes through the fixed frame 283. Accordingly, the fixing frame 283 and the bracket 282 are installed on the connection frame 26 in a coupled state, thereby enabling the first drive source 280 to be installed on the connection frame 26.

상기 고정프레임(283)은 상기 제1구동원(280)의 장착을 위한 구조인데, 상기 제1구동원(280)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스크류(281) 쪽에 위치된다. 즉, 제1구동원(280)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스크류(281)가 고정프레임(283)과 브라켓(282)을 관통하여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구동원(280)을 장착하기 위한 구성과 제1구동원(280)에 의해 동작되는 구성이 같은 공간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원(280)을 중심으로 상기 공간 반대쪽의 공간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The fixed frame 283 is a structure for mounting the first driving source 280, and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lead screw 281 rotated by the first driving source 280. That is, the lead screw 281 rotated by the first drive source 280 penetrates the fixed frame 283 and the bracket 282. Therefore, since the configuration for mounting the first driving source 280 and the configuration operating by the first driving source 280 are in the same space, the space opposite to the space centered on the first driving source 280 can be freely used. You can.

상기 리드스크류(281)는 상기 회전축(28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81)를 둘러싸도록 내측부재(285)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내측부재(285)는 원통형상으로 되고, 내부에 상기 리드스크류(281)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81)의 외경은 상기 내측부재(285)의 내경과 같거나 약간 작을 수 있다. 상기 내측부재(285)의 일측에는 연결링(28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링(286)은 상기 지지링크(22)의 일측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286)이 상기 지지링크(22)에 있는 조인트(27)의 연결바아(276)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lead screw 281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280'. There may be an inner member 285 surrounding the lead screw 281. The inner member 285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lead screw 281 can be located inside. The outer diameter of the lead screw 281 may be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member 285. There may be a connecting ring 286 on one side of the inner member 285. The connecting ring 286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link 22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The connecting ring 286 may be relative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ar 276 of the joint 27 on the support link 22.

상기 내측부재(285)를 둘러싸도록 외측부재(287)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내측부재(285)와 외측부재(287)는 서로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상대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부재(285)를 기준으로 하면, 상기 외측부재(287)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전체 레그구동유닛(28)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There may be an outer member 287 surrounding the inner member 285. The inner member 285 and the outer member 287 may be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ly, based on the inner member 285, the outer member 287 moves relatively so that the entire length of the leg driving unit 28 can be varied.

이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상기 내측부재(275)에 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281)와 연동되는 연동블럭(288)이 있다. 상기 연동블럭(288)의 내면에는 상기 리드스크류(281)의 나사부와 연동되는 나사부가 있다. 상기 연동블럭(288)은 상기 내측부재(285)와 결합되어 있어 회전되거나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동블럭(288)에는 연결키이(288')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내측부재(285)에는 연결키이홈(285')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키이(288')와 상기 연결키이홈(285')은 서로 반대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동블럭(288)에 연결키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키이가 상기 내측부재(285)에 형성되는 것이다.In order to perform this operation, there is an interlocking block 288 that is coupled to the inner member 275 and interlocks with the lead screw 281.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locking block 288, there is a threaded portion interlocked with the threaded portion of the lead screw 281. The interlocking block 288 is coupled to the inner member 285 and may not be rotated or moved. For this purpose, a connection key 288' may protrude from the interlocking block 288, and a connection key groove 285'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member 285. The connection key 288' and the connection key home 285' may be located in opposite positions. For example, a connection key groove is formed in the interlocking block 288 and the connection key is formed in the inner member 285.

따라서 상기 리드스크류(281)가 상기 제1구동원(280)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리드스크류(261)가 상기 연동블럭(288)에 대해 회전하고, 상기 연동블럭(288)이 상기 내측부재(285)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리드스크류(261)가 상기 연동블럭(288)에 대해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61)의 이동은 상기 리드스크류(261)가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280')을 통해 제1구동원(280)의 이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원(280)의 이동은 상기 브라켓(282), 고정프레임(283)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283)에 연결되어 있는 외측부재(287)의 이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원(280)과 고정프레임(283) 등의 이동은 상기 연결프레임(26)의 이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lead screw 281 is rotated by the first driving source 280, the lead screw 261 rotates with respect to the interlocking block 288, and the interlocking block 288 moves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285. Since it is fixed so as not to rotate, the lead screw 261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terlocking block 288. Movement of the lead screw 261 may produce movement of the first drive source 280 through the rotation axis 280' to which the lead screw 261 is coupled. Movement of the first driving source 280 can cause movement of the bracket 282, the fixed frame 283, and the outer member 287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283. Movement of the first driving source 280 and the fixed frame 283 may cause the connection frame 26 to move.

상기 지지레그(20)에 지지되어 추출부(3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추출부(30) 내에서는 캡슐(1)에 물을 주입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30)의 외관과 골격을 프레임(31), 하우징(32), 커버(34)가 형성할 수 있다.There may be an extraction unit 30 supported by the support leg 20. Within the extraction unit 30, a beverage can be extracted by injecting water into the capsule 1. A frame 31, a housing 32, and a cover 34 may form the exterior and framework of the extraction unit 30.

상기 프레임(31)은 원형상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3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1)의 하부에는 하우징(32)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는 추출된 음료가 전달되는 구성이 있을 수 있다.The frame 31 may be made in a circular shap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mounted on the frame 31. A housing 32 may be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frame 31. The housing 32 may be approximately cylindrical. Inside the housing 32, there may be a configuration through which the extracted beverage is delivered.

상기 프레임(31)에서 상기 하우징(32)의 반대쪽에는 커버(34)가 있다. 상기 커버(34)는 상기 프레임(31)에 대해서 승강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하우징(32)과 커버(34)가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하우징(32)과 커버(34)의 형상은 다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re is a cover 34 on the frame 31 opposite to the housing 32. The cover 34 can be raised and lowered relative to the frame 31 .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housing 32 and the cover 34 have a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housing 32 and the cover 34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al pillar shape.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및 제2 배출관(57,57')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은 상기 프레임(31)에 장착된 상태이고, 상기 프레임(31)에 고정된 연결프레임(26)이 상기 지지레그(20)에 의해 지지됨에 의해 실질적으로 상기 하우징(32)은 지지레그(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First and second discharge pipes 57 and 57',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located inside the housing 32. The housing 32 is mounted on the frame 31, and the connection frame 26 fixed to the frame 3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leg 20, so that the housing 32 is substantially It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 leg 20.

상기 커버(34)는 그 내부에 있는 부품들과 함께 상기 프레임(31)에 안착되고, 제2구동원(78)의 구동에 의해 프레임(31)에서 분리되어 소정 거리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34)는 상기 프레임(31)에 대해서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커버(34)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아래에서 설명될 캡슐시트(54)가 노출되면서 캡슐(1)을 캡슐안착공간(540)에 위치시킬 수 있다.The cover 34 is seated on the frame 31 together with the parts therein,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frame 3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driving the second driving source 78. The cover 34 may be moved upward relative to the frame 31 based on the drawing. When the cover 34 moves upward, the capsule sheet 54,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exposed and the capsule 1 can be placed in the capsule seating space 540.

상기 커버(34)는 상하로 관통된 통형상의 커버측벽(340)과 상기 커버측벽(340)의 상부를 형성하는 커버상판(3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측벽(340)과 커버상판(342)은 일체이다. 하지만, 상기 커버측벽(340)과 커버상판(342)은 별도로 만들어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측벽(340)의 일측에는 윈도우(34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윈도우(344)는 투명한 재질로 되어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cover 34 may include a cylindrical cover side wall 340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and a cover top plate 342 forming an upper part of the cover side wall 340. The cover side wall 340 and the cover top plate 342 are integrated. However, the cover side wall 340 and the cover top plate 342 may be made separately and combined. There may be a window 344 on one side of the cover side wall 340. The window 344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상기 커버(34)의 내부, 보다 정확하게는 내부 천정에는 커버보스(34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커버보스(346)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판(36)을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상판(342)에는 터치센서(34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348)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터치센서(348)는 상기 커버상판(342) 외에도 다양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348)는 사용자가 상기 커버(34)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입력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There may be a cover boss 346 inside the cover 34, more precisely, on the inside ceiling. The cover boss 346 fixes the fixing plate 36,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cover top plate 342 may have a touch sensor 348. The touch sensor 348 detects when the user touches the finger or the like. The touch sensor 348 may be located in various locations other than the cover top plate 342. The touch sensor 348 can be used by a user to input a signal that drives the cover 34.

상기 커버(34)의 내부에는 고정판(3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36)은 상기 커버(34)의 커버측벽(340)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고정판(36)은 원판형상이다. 상기 고정판(36)에는 상기 커버보스(346)와 결합되는 고정보스(36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보스(360)는 상기 커버보스(346)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갯수가 있을 수 있다.A fixing plate 36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over 34. The fixing plate 36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ver side wall 340 of the cover 34.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xing plate 36 has a disk shape. The fixing plate 36 may have a fixing boss 360 coupled to the cover boss 346. The number of fixed bosses 360 may correspond to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ver boss 346.

상기 고정판(36)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이동가이드(3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38)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가이드(58)에 대해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38)는 고정가이드(58)의 내부에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38)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상기 커버(34)의 승강동작을 위한 구성이 위치될 수 있다.There may be a moving guide 38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36. The moving guide 38 can be moved by being guided by the fixed guide 58,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moving guide 38 can be lifted and lowered inside the fixed guide 58. A component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over 34 may be located in the space formed inside the moving guide 38.

상기 고정판(36) 상에는 상기 연결관(19)에서 분지된 제1분지관(191)과 제2분지관(192)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분지관(191)에 연결되어서는 제1밸브(41)와 제1펌프(43)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분지관(192)에 연결되어서는 제2밸브(41')와 제2펌프(4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41)와 제1펌프(43), 제2밸브(41')와 제2펌프(43')는 상기 고정판(36) 상에 안착될 수 있다.A first branch pipe 191 and a second branch pipe 192 branched from the connection pipe 19 may be located on the fixing plate 36. A first valve 41 and a first pump 43 may be installed when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pipe 191, and a second valve 41' may be installed when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pipe 192. and a second pump 43' can be installed. The first valve 41 and the first pump 43, the second valve 41' and the second pump 43' may be seated on the fixing plate 36.

상기 제1펌프(43)에 제1공급관(45)이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공급관(4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캡연결관(48)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펌프(43')에는 제2공급관(45')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관(4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캡연결관(48')이 연결될 수 있다.A first supply pipe 45 is connected to the first pump 43 and installed. A first cap connection pipe 48,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ly pipe 45. A second supply pipe 45'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pump 43'. A second cap connection pipe 48',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upply pipe 45'.

여기서, 상기 제1밸브(41)는 제1분지관(191)에서 상기 제1공급관(45)으로의 물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분지관(32)에 연결된 제2밸브(41')는 제2분지관(192)에서 상기 제2공급관(45')으로의 물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펌프(43)와 제2펌프(43')는 제1공급관(45)과 제2공급관(45')으로의 물유동을 위한 원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first valve 41 can control the flow of water from the first branch pipe 191 to the first supply pipe 45. The second valve 41'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pipe 32 can control the flow of water from the second branch pipe 192 to the second supply pipe 45'. The first pump 43 and the second pump 43' can provide a driving force for water flow to the first supply pipe 45 and the second supply pipe 45'.

여기서, 상기 제1공급관(45)과 제2공급관(45') 모두를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펌프(43)를 구동하고 제1밸브(41)를 개방하며, 제2펌프(43')도 구동하고 제2밸브(41')도 개방한다. 만약, 제1공급관(45)을 통해서만 물이 공급되도록 하려면, 상기 제1펌프(43)를 구동하고 제1밸브(41)는 개방하고, 상기 제2펌프(43')는 구동하지 않고 제2밸브(41')는 폐쇄한다.Here, in order to supply water through both the first supply pipe 45 and the second supply pipe 45', the first pump 43 is driven, the first valve 41 is opened, and the second pump ( 43') is also driven and the second valve (41') is also opened. If water is to be supplied only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45, the first pump 43 is driven, the first valve 41 is opened, the second pump 43' is not driven, and the second pump 43' is not driven. The valve 41' is closed.

상기 고정판(36)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광원(4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47)은 음료의 추출과정을 빛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47)은 상기 캡슐(1)에서 음료가 추출되는 과정동안 발광할 수 있다. 상기 광원(47)은 LED가 사용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47 may be installed surrounding the edge of the fixing plate 36. The light source 47 can express the beverage extraction process with light.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47 may emit light during the process of extracting a beverage from the capsule 1. The light source 47 may be an LED.

한편, 상기 고정판(36)에서 하부로 연장되게 제1캡연결관(48)과 제2캡연결관(48')이 있다. 상기 제1캡연결관(48)과 제2캡연결관(48')의 내부에는 연결유로(49)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49)를 통해서는 상기 공급관(45,45')을 통해 전달된 물이 공급될 수 있다.Meanwhile, a first cap connector 48 and a second cap connector 48' extend downward from the fixing plate 36. There may be a connection passage 49 inside the first cap connection pipe 48 and the second cap connection pipe 48'. Water delivered through the supply pipes 45 and 45' can be supplied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49.

상기 제1캡연결관(48)과 제2캡연결관(48')의 끝부분에는 각각 캡(5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캡(50)은 상기 제1캡연결관(48)이나 제2캡연결관(48')과 별개로 만들어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50)은 캡슐(1)을 눌러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캡(50)의 형상은 상기 캡슐(1)의 종류에 따라 달리될 수 있다.There may be caps 50 at the ends of the first cap connector 48 and the second cap connector 48', respectively. The cap 50 may be made separately from the first cap connection pipe 48 or the second cap connection pipe 48'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first cap connection pipe 48. The cap 50 presses and secures the capsule 1. The shape of the cap 50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apsule 1.

상기 캡(50)에는 천공구(5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천공구(52)는 상기 연결유로(49)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천공구(52)는 도 2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유로(49)의 출구에 설치될 수 있다. The cap 50 may have a perforation hole 52. The drill hole 52 may be installe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49. As can be seen in FIG. 20, the drill hole 52 may be installed at the outlet of the connection passage 49.

상기 천공구(52)의 구조는 도 21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천공구(52)는 캡슐(1)에 물을 주입할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천공구(52)는 캡슐(1)의 해당되는 부분을 관통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재질로 천공구(52)가 만들어질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drill hole 52 is well shown in FIG. 21. The perforation hole 52 forms a hole through which water can be injected into the capsule 1. The perforation hole 52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penetrate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capsule 1. For example, the drill hole 52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상기 천공구(52)에는 몸체판(520)이 있다. 상기 몸체판(520)은 링형상의 판모양이다. 상기 몸체판(520)에는 유로관(522)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유로관(522)에는 상기 공급관(45,4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유로관(522)의 내부에는 주입유로(5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관(522)의 끝부분에는 천공날(5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공날(524)은 전체적으로 타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천공날(524)의 형성을 위해 상기 유로관(522)의 끝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유로관(522)의 길이는 상기 몸체판(520)에서 시작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점차 길어졌다가 다시 타측에서 일측으로 가면서 점차 짧아진다.The drill hole 52 has a body plate 520. The body plate 520 is shaped like a ring-shaped plate. A flow pipe 522 protrudes from the body plate 520. Wat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s 45 and 45' may flow through the flow pipe 522. An injection passage 523 may be formed inside the flow pipe 522. A perforation blade 524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flow pipe 522. The perforation blade 524 may have an overall oval shape. This is because the end of the flow pipe 522 is inclined to form the perforation blade 524.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flow pipe 522 starts from the body plate 520 and gradually becomes longer as it go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then gradually becomes shorter as it goes from the other side to one side.

상기 몸체판(520)에는 다수개의 고정편(52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편(526)은 상기 몸체판(520)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편(528)은 캡슐(1)이 캡슐안착공간(540)에 장착되고 상기 캡(50)이 상기 캡슐(1)을 눌러줄 때, 캡슐(1)의 고정을 위해서 캡슐(1)의 대응되는 부분을 눌러주거나 파고들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528)의 선단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528)의 일측은 날카로운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528)은 캡슐(1)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body plate 520 may have a plurality of fixing pieces 526. The fixing pieces 526 may be located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at the edge of the body plate 520. The fixing piece 528 is used to fix the capsule 1 when the capsule 1 is mounted in the capsule seating space 540 and the cap 50 presses the capsule 1. It can be inserted by pressing or digging into the corresponding part. The tip of the fixing piece 528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One side of the fixing piece 528 may be sharp. The fixing piece 528 may serve to fix the capsule 1.

도 22에는 캡슐시트(54)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캡슐시트(54)는 상기 프레임(3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캡슐시트(54)에는 다수개의 캡슐안착공간(540)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의 캡슐안착공간(5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돌기(542)가 열을 지어 있다. 상기 돌기(542)에 인접하여서는 추출된 음료로 통과하는 토출공(5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공(543)도 다수개가 열을 지어 형성될 수 있다.Figure 22 shows the capsule sheet 54. The capsule sheet 54 may be installed on the frame 31. A plurality of capsule seating spaces 540 may be formed in the capsule sheet 54.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wo capsule seating spaces 540 are formed. A plurality of protrusions 542 are arranged in a row at the bottom of the capsule seating space 540. Adjacent to the protrusion 542, a discharge hole 543 through which the extracted beverage passes is formed. A plurality of the discharge holes 543 may also be formed in a row.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에 상기 캡슐(1)이 안착된 것을 캡슐감지부(59)가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캡슐감지부(59)는 상기 고정가이드(5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캡슐감지부(59)는 예컨대 초음파센서, 레이저센서, 카메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캡슐(1)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듈이나 장치라면 적용가능할 것이다. 상기 캡슐감지부(59)의 감지동작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아래에서 설명될 안내판(546)은 투명한 재질로 될 수 있다.The capsule detection unit 59 can detect that the capsule 1 is seated in the capsule seating space 540. The capsule detection unit 59 may be installed on the fixed guide 58. The capsule detection unit 59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n ultrasonic sensor, a laser sensor, a camera, etc., and any module or device capable of detecting the capsule 1 may be applied. In order not to interfere with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capsule detection unit 59, the guide plate 546,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의 일측을 둘러서는 설치슬롯(5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슬롯(545)은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의 바닥을 통해 캡슐시트(54)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슬롯(545)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설치슬롯(545)에는 안내판(546)(도 15 참고)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판(546)은 캡슐(1)을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안내판(546)의 반대쪽에는 가드(54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드(547)는 상기 캡슐안착공간(540)들의 앞쪽 부분을 둘러서 있다. 상기 가드(547)는 상기 캡슐(1)이 설치되는 영역을 다른 영역과 구획하고, 외력이 캡슐(1)에 임의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가드(547)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An installation slot 545 may be formed surrounding one side of the capsule seating space 540. The installation slot 545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capsule seat 54 through the bottom of the capsule seating space 540. The installation slot 545 may have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 guide plate 546 (see FIG. 15) may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lot 545. The guide plate 546 can guide the capsule 1 to the capsule seating space 540. A guard 547 may be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uide plate 546. The guard 547 surrounds the front portion of the capsule seating spaces 540. The guard 547 divides the area where the capsule 1 is installed from other areas and can prevent external forces from arbitrarily acting on the capsule 1. However, the guard 547 is not necessarily necessary.

도 1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캡슐시트(54)의 하부에는 호퍼(5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호퍼(56)는 상기 토출공(543)을 통과한 음료를 모으는 것이다. 상기 호퍼(56)는 각각의 캡슐안착공간(540)에 해당되는 위치마다 있을 수 있다. 상기 호퍼(56)에는 배출관(57,57')이 있다. 제1배출관(57)은 상기 제1공급관(45)을 통해 공급된 물에 의해 추출된 음료가 유동되는 곳이고, 제2배출관(57')은 상기 제2공급관(45')을 통해 공급된 물에 의해 추출된 음료가 유동되는 곳이다.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을 통과한 음료는 컵으로 전달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17, a hopper 56 may be installed below the capsule sheet 54. The hopper 56 collects the beverag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543. The hopper 56 may be located at each location corresponding to each capsule seating space 540. The hopper 56 has discharge pipes 57 and 57'. The first discharge pipe 57 is where the beverage extracted by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45 flows,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57' is where the beverage supplied through the second supply pipe 45' flows. This is where the beverage extracted by water flows. The beverag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ipe 57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57' can be delivered to a cup.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의 끝부분에는 차폐판(57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은 상기 차폐판(570)을 관통한다. 상기 차폐판(570)은 상기 하우징(32)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폐하는 부분이다. 참고로, 상기 차폐판(570)없이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이 직접 상기 하우징(32)을 관통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32)에 상기 차폐판(570)에 의해 차폐되어야 할 관통부가 없다.There may be a shielding plate 570 at the ends of the first discharge pipe 57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57'. The first discharge pipe 57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57' pass through the shield plate 570. The shielding plate 570 is a part that shields the opening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32. For reference, the first discharge pipe 57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57' may directly penetrate the housing 32 without the shielding plate 570. In this case, there is no penetration part in the housing 32 that must be shielded by the shielding plate 570.

상기 차폐판(570)을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이 관통하여 이들의 출구가 외부로 노출되게 하거나,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이 상기 차폐판(570)을 관통하지 않고 이들의 출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고, 상기 차폐판(570)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추출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first discharge pipe 57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57' penetrate the shielding plate 570 so that their outlets are exposed to the outside, or the first discharge pipe 57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57' These outlets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penetrating the shielding plate 570, and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shielding plate 570 to allow the extracted beverag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차폐판(570)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차폐판(570)이 설치되는 하우징(32)의 개구부 가장자리에는 도 1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거리센서(57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572)는 상기 추출부(30) 하부에 위치되는 컵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Meanwhile, as can be seen in FIG. 17, a distance sensor 572 may be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shielding plate 570 or at the edge of the opening of the housing 32 where the shielding plate 570 is installed. The distance sensor 572 can measure the distance to the cup located below the extractor 30.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은 상기 하우징(32)의 하부를 관통하여 컵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의 출구는 소정의 간격을 둘 수 있다.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의 출구 사이의 간격은 하나의 컵에 동시에 음료를 전달할 수 있는 간격으로 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컵의 입구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의 출구 사이의 간격이 설정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컵으로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에서 나오는 음료를 동시에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first discharge pipe 57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57' may extend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32 toward the cup. The outlets of the first discharge pipe 57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57'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istance between the outlets of the first discharge pipe 57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57' can be an interval that allows beverages to be delivered to one cup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gap between the outlets of the first discharge pipe 57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57' can be set to be smaller than the inlet diameter of a typical cup. This is to allow one cup to receive the beverage coming out of the first discharge pipe 57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57' at the same time.

그리고,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의 출구 사이의 간격은 컵의 벽체의 두께값의 2배 보다는 더 큰 값을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에서 나오는 음료를 별도의 컵으로 받을 수 있다. Additionally, the gap between the outlets of the first discharge pipe 57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57' must be greater than twice the thickness of the cup wall. According to this structure, beverages coming out of the first discharge pipe 57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57' can be received in separate cups.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슐시트(54)에는 고정가이드(58)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58)는 상기 캡슐시트(54)의 표면에 직립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58)를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가이드(58) 내부의 공간에는 상기 이동가이드(38)가 이동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2, a fixing guide 58 protrudes from the capsule sheet 54. The fixing guide 58 may be formed to stand upright on the surface of the capsule sheet 54.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side the fixed guide 58 by passing up and down, and the movable guide 38 can be movably positioned in the space inside the fixed guide 58.

상기 프레임(31)이나 상기 캡슐시트(54)의 고정가이드(58) 내에는 이동안내대(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대(60)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구(7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대(60)의 구성은 도 2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안내대(60)는 상기 프레임(31)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가이드(58) 내부에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A moving guide 60 may be installed within the frame 31 or the fixing guide 58 of the capsule sheet 54. The movement guide 60 may serv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tool 7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configuration of the moving guide 60 is clearly shown in FIG. 23. The moving guide 60 is installed on the frame 31 and may extend long in one direction within the fixed guide 58.

상기 이동안내대(60)의 일측면을 따라서는 랙기어(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랙기어(62)는 상기 이동안내대(60)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다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랙기어(62)가 상기 이동안내대(60)를 따라 2줄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A rack gear 62 may be formed along one side of the moving guide 60. The rack gear 62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rows lo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oving guide 60. In this embodiment, the rack gear 62 is formed in two rows side by side along the moving guide 60.

상기 이동안내대(60)의 하부에는 고정편(6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64)은 상기 프레임(31)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편(64)에는 결합공(6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64')에는 상기 프레임(21)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가 관통될 수 있다. A fixing piece 64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guide 60. The fixing piece 64 is a part coupled to the frame 31. A coupling hole 64' may be formed in the fixing piece 64. A fastener for fastening to the frame 21 may pass through the coupling hole 64'.

상기 이동안내대(60)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관(19)이나 전원선(18)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배관간섭회피부(66)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관간섭회피부(66)를 둠에 의해 상기 분지관(191,192)과 연결관(19)의 폭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A pipe interference avoidance portion 66 may be forme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guide 60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connection pipe 19 or the power line 18. By providing the pipe interference avoidance portion 66, it is possible to prevent flo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anch pipes 191 and 192 and the connection pipe 19.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안내대(60)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구(7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이동구(70)는 상기 커버(34)와 결합되어 있어 상기 이동구(7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커버(34)와 그 내부의 부품들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구(70)가 상기 이동안내대(60)를 따라 상기 프레임(31)에 대해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프레임(31)에 대해 상기 이동구(70)가 상기 이동안내대(60)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3, there may be a moving tool 70 that moves along the moving guide 60. The moving tool 70 is coupled to the cover 34, so that the cover 34 and its internal parts can be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moving tool 70. The moving tool 70 may move in a direction toward or away from the frame 31 along the moving guide 60. 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tool 70 can be lifted and lowered relative to the frame 31 along the moving guide 60.

상기 이동구(70)의 골격을 이동구몸체(72)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구몸체(72)에는 관통부(74)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부(74)에는 상기 이동안내대(60)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이동구몸체(72)는 상기 고정판(36)의 이동가이드(38) 일측과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구몸체(72)에는 상기 이동가이드(38) 측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7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이동구몸체(72)가 상기 이동가이드(38)와 체결되는 것은 반드시 체결공(76)을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이동구몸체(72)와 상기 이동가이드(38)가 접촉되는 부분 어디에서라도 체결될 수 있다. The moving tool body 72 may form the skeleton of the moving tool 70. A penetrating portion 74 is formed through the moving tool body 7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moving guide 60 may penetrate the penetrating portion 74. The moving tool body 72 may be fastened to one side of the moving guide 38 of the fixing plate 36. The moving tool body 72 may have a fastening hole 76 for fastening to the moving guide 38 side. The fastening of the moving tool body 72 with the moving guide 38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the use of a fastening hole 76, but rather the part where the moving tool body 72 and the moving guide 38 come into contact. It can be concluded at any time.

상기 이동구몸체(72)에는 구동원안착부(7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안착부(77)에는 상기 이동구(7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원(7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원(78)으로는 기어드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원(78)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기어(79)가 상기 이동구몸체(72) 양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79)는 상기 제2구동원(7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랙기어(62)와 연동된다. 상기 랙기어(62)가 형성된 이동안내대(60)가 상기 프레임(3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랙기어(62)와 맞물려 회전되는 상기 구동기어(79)는 상기 랙기어(62)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79)가 상기 랙기어(62)를 따라 승강됨에 의해 상기 커버(34)가 이동될 수 있다.A drive source seating portion 77 may be formed on the moving tool body 72. A second driving source 78 that provides driving force for movement of the moving tool 70 may be installed on the driving source seating portion 77. A geared motor may be used as the second driving source 78. Drive gears 79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e source 78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tool body 72. The driving gear 79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driving source 78 and interlocked with the rack gear 62. Since the moving guide 60 on which the rack gear 62 is formed is fixed to the frame 31, the drive gear 79, which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rack gear 62, follows the rack gear 62. Can be elevated. The cover 34 may be moved as the drive gear 79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rack gear 62.

다음으로, 도 26에서 도 32를 참고하여, 상기 베이스(10) 내에 있는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10) 내에는 제어부(8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음료장치의 동작을 위한 제어와 베이스(10)에 있는 디스플레이(16)의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각종 소자가 실장되고 회로가 구성된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26 to 32, the configuration within the base 10 will be described. There may be a control unit 80 within the base 10. The control unit 8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device and control the display 16 on the base 10. The control unit 80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various elements are mounted and a circuit is configured.

상기 베이스(10) 내에는 물공급부(8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82)는 상기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할 때 사용되는 물을 공급한다. 상기 물공급부(82)에는 물통(8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물통(84)에는 음료추출에 필요한 물을 저장한다. 상기 물통(84)은 상기 베이스(10)에서 분리하여 물을 채울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음료장치를 고정식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물통(84)에 외부 물공급원을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물통(84) 없이 외부 물공급원으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A water supply unit 82 may be installed within the base 10. The water supply unit 82 supplies water used when extracting a beverage from the capsule 1. The water supply unit 82 may include a water tank 84. The water tank 84 stores water needed for beverage extraction. The water tank 84 can be separated from the base 10 and filled with water. However, when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can b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84. Alternatively, water can be supplied directly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without the water tank 84.

상기 물통(84)은 상기 제어부(80)와 구획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몸체(12) 내에 구획벽(12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구획벽(120)에 의해 상기 물통(84)이 설치되는 영역이 주변과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일측면에는 물통입출구(12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물통입출구(126)를 통해서 상기 물통(84)이 베이스(10)의 내외부로 서랍식으로 입출될 수 있다.The water tank 84 may be located in a separate location from the control unit 80. A partition wall 120 is formed within the base body 12, so that the area where the water tank 84 is installed can be separated from the surrounding area by the partition wall 120. There may be a water tank inlet and outlet 126 on one side of the base 10. The water tank 84 can be moved in and out of the base 10 in a drawer manner through the water tank inlet and outlet 126.

상기 물통(84)의 골격을 물통몸체(840)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물통몸체(840)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로 될 수 있다. 상기 물통몸체(840)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840')이 있다. 상기 물통몸체(840)의 상면을 커버판(841)이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판(841)이 형성하는 상면은 납작한 육면체 모양에서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외면이다. 상기 커버판(841)은 상기 물통몸체(840)의 개방된 입구를 차폐하여 상기 저장공간(840')을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커버판(841)없이 상기 물통몸체(840) 내부의 저장공간(840')이 외부와 차폐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커버판(841)을 둠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840')에 대한 청소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판(841)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물통몸체(840)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시일(도시되지 않음)이 위치되어, 상기 커버판(841)의 가장자리와 상기 물통몸체(840)의 대응되는 위치를 통한 누수를 차단할 수 있다. A water container body 840 may form the skeleton of the water container 84. The water bottle body 840 may be roughly a flat hexahedron. Inside the water tank body 840, there is a storage space 840' where water is stored. A cover plate 841 may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bottle body 840. Here, the upper surface formed by the cover plate 841 is an outer surface with a relatively large area in the shape of a flat hexahedron. The cover plate 841 shields the open inlet of the water bottle body 840, allowing the storage space 840' to be easily opened and closed. Of course, the storage space 840' inside the water bottle body 840 may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without the cover plate 841. However, by providing the cover plate 841, cleaning of the storage space 840'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A seal (not shown) is located at the edge of the cover plate 841 or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bucket body 840, so that the edge of the cover plate 841 and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bucket body 840 are positioned. Water leakage can be blocked.

상기 물통몸체(840)의 일측 외면에는 물통도어(842)가 있다. 상기 물통도어(842)는 상기 물통입출구(126)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물통도어(842)는 상기 물통몸체(840)의 일측 외면보다 그 면적과 크기가 더 넓고 크게 만들어져, 상기 물통입출구(126)를 차폐한다.There is a water container door 842 on one outer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body 840. The water tank door 842 can open and close the water tank inlet and outlet 126. The bucket door 842 is made larger in area and size than one outer surface of the bucket body 840, so as to shield the bucket inlet and outlet 126.

상기 물통몸체(840)에는 물통입구(84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물통입구(844)는 상기 커버판(841)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물통입구(844)를 개방함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840')으로 물을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84)을 일부 베이스(10)의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물통입구(844)를 통해 저장공간(840')에 물을 주입할 수 있다.The water tank body 840 may have a water tank inlet 844. The water tank inlet 844 may be located in the cover plate 841. By opening the water tank inlet 844, water can be injected into the storage space 840'. Therefore, as shown in FIG. 28, water can be injected into the storage space 840' through the water tank inlet 844 with the water tank 84 partially protruding outside of the base 10.

상기 물통몸체(840)의 일측에는 배출연결구(84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배출연결구(846)는 상기 물통도어(842)의 반대쪽 외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배출연결구(84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내부배관(86)이 결합될 수 있다.There may be a discharge connector 846 on one side of the water tank body 840. The discharge connector 846 may be located on an outer surface opposite to the water tank door 842. The internal pipe 86,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coupled to the discharge connection port 846.

한편, 상기 물통(84)의 저장공간(840') 바닥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배출연결구(846)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공간(840')의 바닥이 배출연결구(846)를 향해 하향 경사지면, 저장된 물이 상기 배출연결구(846)를 향해 잘 유동될 수 있고, 저장공간(840')의 바닥에 남는 물이 없이 될 수 있다.Meanwhile,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840' of the water tank 84 may be formed to slope downwar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Here, i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ischarge connector 846. In this way, if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840') slopes downward toward the discharge connection port (846), the stored water can easily flow toward the discharge connection port (846), and the water remaining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840') You can do without this.

상기 물통몸체(840)의 뒷부분에는 결합바(84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결합바(848)의 자유단부에는 결합볼(849)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결합볼(849)은 상기 결합바(848)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볼형상이다. 상기 결합볼(849)은 푸시푸시 타입(Push-Push type) 잠금/배출기구(85)와 연동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볼(849)이 상기 잠금/배출기구(85)의 내부로 삽입되어 내부의 구조를 밀어주면 상기 결합볼(849)이 상기 잠금/배출기구(85)에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다시 상기 결합볼(849)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물통(84)을 밀어주면 상기 푸시푸시 타입 잠금/배출기구(85)가 상기 결합볼(849)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결합볼(849)을 반대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물통(84)이 상기 베이스(10)의 내부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상기 푸시푸시 타입 잠금/배출기구(65)의 구체적인 구조는 편의상 생략한다.There may be a coupling bar 848 at the rear of the water bottle body 840. There may be a coupling ball 849 at the free end of the coupling bar 848. The coupling ball 849 has a ball shape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bar 848. The coupling ball 849 is linked with a push-push type locking/ejection mechanism 85. When the coupling ball 849 is inserted into the locking/discharging mechanism 85 and pushes the internal structure, the coupling ball 849 is coupled to the locking/discharging mechanism 85, and in this state, the coupling ball 849 is again connected to the locking/discharging mechanism 85. When the water container 84 is push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ball 849 moves forward, the push-push type locking/ejection mechanism 85 releases the coupling state of the coupling ball 849 and moves the coupling ball 849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is pushed to . Through this operation, the water container 84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inside of the base 10.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push-push type locking/ejection mechanism 65 is omitted for convenience.

상기 물통(84)의 배출연결구(846)에는 내부배관(86)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내부배관(86)을 통해서는 상기 베이스(10) 내에서 상기 물통(84) 내의 물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내부배관(86)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관체(860)의 내부에는 물이 유동되는 유로(861)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관체(860)의 외면을 둘러서는 단열층(862)이 형성된다. 상기 단열층(862)에 의해 상기 유로(861)를 흐르는 물은 외부로의 열전달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단열층(862)을 둘러서는 외부관체(864)가 있다.An internal pipe 86 is coupled to the discharge connection port 846 of the water tank 84. Water in the water tank 84 may flow within the base 10 through the internal pipe 86. As shown in FIG. 32, the internal pipe 86 has a flow path 861 through which water flows inside the inner pipe body 860, and an insulating layer 862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ipe body 860. This is formed. Heat transfer to the outside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861 may be blocked by the heat insulating layer 862. There is an external pipe body 864 surrounding the heat insulating layer 862.

다시 말해, 상기 내부배관(86)은 내부관체(860)와 외부관체(864)로 된 이중관이고, 상기 내부관체(860)와 외부관체(864)의 사이에 단열층(862)이 있어서, 물의 열을 외부로 빼앗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배관(86)에 사용자가 접촉하더라도 열에 의해 위험을 입지 않도록 된다. 참고로, 상기 연결관(19)도 상기 내부배관(86)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inner pipe 86 is a double pipe made of an inner pipe body 860 and an outer pipe body 864, and there is an insulating layer 862 between the inner pipe body 860 and the outer pipe body 864, so that the heat of water You can prevent it from being stolen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touches the internal pipe 86, he or she will not be at risk from heat. For reference, the connection pipe 19 may also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internal pipe 86.

상기 물통(84)의 출구에 해당되는 내부배관(86)에는 센서(8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센서(88)는 상기 물통(84)에서 취출되는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88)를 통과해서 물이 유동되는 내부배관(86)에는 메인펌프(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펌프(90)는 상기 물통(84)의 물을 유동시키는 원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펌프(90)는 소형의 원심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There may be a sensor 88 in the internal pipe 86 corresponding to the outlet of the water tank 84. The sensor 88 can measure the amount of water taken out of the water tank 84. A main pump 90 may be installed in the internal pipe 86 through which water flows through the sensor 88. The main pump 90 may provide a driving force for flowing water in the water tank 84. The main pump 90 may use a small centrifugal pump.

상기 물공급부(82)에는 보일러(92)가 있다. 상기 보일러(92)는 상기 메인펌프(90)를 통과한 물에 열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보일러(92)는 내부에 씨스히터나 카트리지히터와 같은 히터가 있어서 전달된 물을 원하는 값으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92)에서 물을 가열하는 방식은 히터 외에도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일러 내부에 설치되어 물이 통과하는 관에 발열수단을 두어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92)에서 나가는 물의 온도는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일러(92)에는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있어서 상기 보일러(92)에서 가열되어 나가는 물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92)에서 배출되는 물은 연결관(19)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82 has a boiler 92. The boiler 92 supplies heat to water passing through the main pump 90. The boiler 92 has a heater such as a sheath heater or a cartridge heater inside, so it can heat the delivered water to a desired value.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of heating water in the boiler 92 other than heaters. For example, water can be heated by placing a heating means in a pipe installed inside the boiler through which water passe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leaving the boiler 92 can be set to a value desired by the user. For this purpose, the boiler 92 has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water heated in the boiler 92. Water discharged from the boiler 92 may be delivered to the connection pipe 19.

상기 베이스(10)의 일측면에는 외부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포트(94)와 상기 전원포트(94)로 들어온 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스위치(9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원포트(94)와 전원스위치(96)는 상기 베이스(10)의 뒷부분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base 10, there may be a power port 94 for connecting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power switch 96 for us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port 94. The power port 94 and power switch 96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rear portion of the base 10.

상기 연결관(19)의 연결을 위해 상기 베이스(10)에는 관연결구(124)가 있다. 상기 관연결구(124)에는 상기 연결관(19)이 연결되어 상기 물공급부(82)에서 전달되는 물을 상기 추출부(3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관연결구(124)에 인접하여 전원선연결구(122)가 있다. 상기 전원선연결구(122)에는 상기 전원선(18)이 연결될 수 있다.There is a pipe connector 124 in the base 10 to connect the connector 19. The connection pipe 19 is connected to the pipe connector 124 so that water deliver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82 can be delivered to the extraction unit 30. There is a power line connector 122 adjacent to the pipe connector 124. The power line 18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line connector 122.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실시례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10) 상에 설치된 지지레그(20)에 의해 추출부(30)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에 대해서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도 3의 (a)에는 상기 추출부(30)가 상기 베이스(10)에 상대적으로 가까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의 (b)에는 상기 추출부(30)가 상기 베이스(10)에 대해 상대적으로 멀리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unit 30 can be moved by the support leg 20 installed on the base 10. As shown in FIG. 3, the extractor 30 can be lift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se 10. In Figure 3 (a), the extraction unit 30 is shown relatively close to the base 10, and in Figure 3 (b), the extraction unit 30 is shown in a state relatively close to the base 10. A state that is relatively far away is shown.

상기 추출부(30)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은 기본적으로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의 길이가 달라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지지레그(22)와 연결레그(24) 사이의 연결각도가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면서, 추출부(30)의 위치 조정 동작이 이루어진다.The position of the extraction unit 30 can be adjusted basically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leg driving unit 28.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nection angle between the support leg 22 and the connection leg 24 varies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leg driving unit 28, there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extractor 30.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의 길이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어지면, 상기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가 거의 직각을 이루고, 상기 연결링크(24)에 연결된 연결프레임(26)의 위치가 높아지게 된다.When the length of the leg driving unit 28 is increased as shown in FIG. 7, the support link 22 and the connection link 24 form almost a right angle, and the connection frame 26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k 24 )'s position increases.

반대로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의 길이가 도 7에 비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되면 상기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는 예각을 이루게 되고, 상기 연결링크(24)에 연결된 연결프레임(26)의 위치가 낮아지게 된다.Conversely, when the length of the leg driving unit 28 is relatively short as shown in FIG. 6 compared to FIG. 7, the support link 22 and the connection link 24 form an acute angle, and the connection link 24 )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frame 26 connected to ) is lowered.

상기 추출부(30)의 높이를 전체적으로 높이고 낮추는 것은 상기 레그구동유닛(28)들이 동일하게 길이가 조절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레그구동유닛(28)들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조절되면, 상기 연결프레임(26)의 베이스(10)에 대한 각도가 달리되면서, 상기 추출부(30)가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 질 수 있다.Increasing and lower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extraction unit 30 can be achiev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eg driving units 28 to be the same. However, when the lengths of the leg driving units 28 are adjusted differently, the angle of the connecting frame 26 with respect to the base 10 changes, and the extractor 30 may be tilted in various directions.

참고로,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 없이,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이 상기 조인트(26)와 연결프레임(26) 사이를 연결한 상태로 구성될 수 도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의 길이가 가변되면, 상기 연결프레임(26)의 위치, 즉 추출부(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인트(26)는 상기 베이스(10)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회동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g drive unit 28 can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joint 26 and the connection frame 26 without the support link 22 and the connection link 24. There is also. In this state, if the length of the leg driving unit 28 is varied,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frame 26, that is, the height of the extraction unit 30, can be adjusted. At this time, the joint 26 may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10.

한편, 본 발명의 장치에서 캡슐(1)에 있는 음료가 추출되는 것을 설명한다. 음료 추출을 위한 캡슐(1)을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캡슐시트((54)의 캡슐안착공간(540)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커버(34)가 상기 프레임(31)에 대해 상승하면 된다.Meanwhile, it will be explained that the beverage in the capsule 1 is extracted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unt the capsule 1 for beverage extraction into the capsule seating space 540, the capsule seating space 540 of the capsule seat 54 must be exposed to the outside. For this, the cover 34 must be installed in the capsule seating space 540. All you need to do is rise relative to the frame (31).

상기 커버(34)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구동원(78)이 구동되어야 한다. 상기 제2구동원(78)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79)가 회전하고, 상기 구동기어(79)가 상기 랙기어(62)와 연동된다. 상기 구동기어(79)는 상기 랙기어(62)를 따라 이동안내대(60)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구동기어(79)에 의해 상기 이동구(70)가 함께 상기 이동안내대(60)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이동구(70)는 상기 커버(34)에 고정된 고정판(36)의 이동가이드(38)에 결합되어 있어서, 결과적으로 상기 커버(34)가 상승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커버(34)가 상승된 상태가 도 24의 (a)에 도시되어 있다.In order for the cover 34 to rise, the second drive source 78 must be driven. The driving gear 79 rotates by driving the second driving source 78, and the driving gear 79 is interlocked with the rack gear 62. The driving gear 79 moves to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guide 60 along the rack gear 62, and the moving tool 70 moves the moving guide 60 together by the driving gear 79. moves along. The moving tool 70 is coupled to the moving guide 38 of the fixing plate 36 fixed to the cover 34, and as a result, the cover 34 rises. The state in which the cover 34 is raised in this way is shown in (a) of FIG. 24.

상기 커버(34)가 상기 프레임(31)에 대해 상승하여 상기 캡슐시트(54)의 캡슐안착공간(540)이 노출된다. 도 25의 (a)에는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이 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The cover 34 rises with respect to the frame 31 to expose the capsule seating space 540 of the capsule sheet 54. Figure 25(a) shows the capsule seating space 540 in an exposed state.

사용자가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에 캡슐(1)을 안착시킨 상태가 도 24의 (b)와 도 25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캡슐안착공간(540) 모두에 상기 캡슐(1)을 안착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2개의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하는 경우에는 캡슐안착공간(540) 모두에 캡슐(1)을 안착시킨다.The state in which the user places the capsule 1 in the capsule seating space 540 is shown in FIGS. 24(b) and 25(b). The capsule 1 does not have to be seated in all of the capsule seating spaces 540. However, when extracting a beverage from two capsules (1), the capsules (1) are seated in all of the capsule seating spaces (540).

다음으로, 상기 커버(34)를 위에서와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2구동원(78)을 반대로 구동하면 상기 구동기어(79)와 랙기어(62)의 연동에 의해 상기 이동구(70)가 이동안내대(60)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커버(34)도 상기 프레임(31)을 향해 이동한다.Next, the cover 34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above. When the second drive source 78 is driven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moving tool 70 moves downward along the moving guide 60 by interlocking the driving gear 79 and the rack gear 62 and moves the cover 34. ) also moves toward the frame 31.

상기 커버(34)가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판(36)도 함께 이동하고, 상기 고정판(36)에 구비된 상기 캡(50)도 함께 하강한다. 도 24의 (c)에는 상기 커버(34)가 상기 프레임(31)에 안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캡(50)도 하강하여 상기 캡슐(1)을 눌러주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천공구(52)에 의해 상기 캡슐(50)에 통공이 형성된다. 도 24의 (c)의 상태는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상태이다.As the cover 34 moves, the fixing plate 36 also moves, and the cap 50 provided on the fixing plate 36 also descends. Figure 24(c) shows the cover 34 seated on the frame 31. In this process, the cap 50 also descends and presses the capsule 1, and in this process, a hole is formed in the capsule 50 by the perforation hole 52. The state in (c) of Figure 24 is a state in which beverage can be extracted from the capsule 1.

이 상태에서는 상기 캡슐(1)의 알루미늄캡이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의 바닥에 있는 돌기(542)에 밀착되어 있고, 물의 주입에 의한 강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알루미늄캡이 찢어져서 음료가 토출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aluminum cap of the capsule 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sion 542 at the bottom of the capsule seating space 540, and when strong pressure is applied by injection of water, the aluminum cap is torn and the beverage is ejected. You can.

다음으로, 상기 물공급부(82)에서 상기 연결관(19)을 통해 물을 공급한다. 상기 캡슐(1)로의 물공급은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물공급을 위해, 상기 메인펌프(90)를 가동하여 상기 물통(84)의 물을 상기 보일러(92)로 공급한다. 상기 보일러(92)에서는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물온도가 소정의 값으로 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커피가 들어 있는 캡슐(1)인 경우에는, 캡슐(1) 내에서의 온도가 섭씨 80~90도 사이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일러(92)에서는 이에 맞추어 물을 가열하게 된다.Next,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82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9. The supply of water to the capsule 1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80. For water supply, the main pump 90 is operated to supply water from the water tank 84 to the boiler 92. In the boiler 92, the water temperature is controlled to a predetermined value by the control unit 80.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apsule 1 containing coffee, the temperature within the capsule 1 is generally between 80 and 90 degrees Celsius. The boiler 92 heats water accordingly.

이와 같이 보일러(92)에서 소정의 온도로 된 물은 상기 연결관(19)의 제1분지관(191)과 제2분지관(192)을 통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분지관(191)과 제2분지관(192)을 통한 물공급은 상기 제1밸브(41)와 제1펌프(43) 그리고 제2밸브(41')와 제2펌프(43')가 사용된다.In this way, wate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the boiler 92 can flow through the first branch pipe 191 and the second branch pipe 192 of the connection pipe 19.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branch pipe 191 and the second branch pipe 192 through the first valve 41, the first pump 43, and the second valve 41' and the second pump 43'. ) is used.

만약, 상기 제1공급관(45)과 제2공급관(45') 모두를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2개의 캡슐(1)에서 동시에 음료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펌프(43)를 구동하고 제1밸브(41)를 개방하며, 제2펌프(43')도 구동하고 제2밸브(41')도 개방한다.If water is supplied through both the first supply pipe 45 and the second supply pipe 45' to extract beverages from the two capsules 1 simultaneously, the first pump 43 must be driven. The first valve 41 is opened, the second pump 43' is also driven, and the second valve 41' is also opened.

일측 캡슐(1)에서만 음료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상기 제1공급관(45)을 통해서만 물이 공급되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펌프(43)를 구동하고 제1밸브(41)는 개방하고, 상기 제2펌프(43')는 구동하지 않고 제2밸브(41')는 폐쇄한다.In order to ensure that the beverage is extracted only from one side of the capsule 1, for example, water may be supplied only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45. In this case, the first pump 43 is driven and the first valve 41 is opened, and the second pump 43' is not driven and the second valve 41' is closed.

반대로, 타측 캡슐(1)에서만 음료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공급관(45')을 통해서만 물이 공급되도록 하면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펌프(43')를 구동하고 상기 제2밸브(41')는 개방하고, 상기 제1펌프(43)는 구동하지 않고 제1밸브(41)는 폐쇄한다. 이와 같이, 캡슐(1) 들에서 음료를 추출하는 다양한 방식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어부(80)의 제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Conversely, in order to ensure that the beverage is extracted only from the other capsule 1, water needs to be supplied only through the second supply pipe 45'. To this end, the second pump 43' is driven and the second valve 41' is opened, and the first pump 43 is not driven and the first valve 41 is closed. In this way, various methods of extracting beverages from the capsules 1 are performed through control of the control unit 8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한편, 상기 캡슐(1)에서 추출된 음료는 상기 호퍼(56)를 통과해서 상기 배출관(57,57')을 통해 컵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료 추출의 시작 전에 미리 컵을 상기 베이스(10)상에 위치시킨다. 2개의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하는 경우에는 2개의 컵이 위치될 수 있다. 이는 2개의 캡슐(1)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별도로 각각의 컵에 받는 경우이다.Meanwhile, the beverage extracted from the capsule 1 may pass through the hopper 56 and be discharged into a cup through the discharge pipes 57 and 57'. For this purpose, the cup is placed on the base 10 in advance before the start of beverage extraction. When extracting a beverage from two capsules (1), two cups can be positioned. This is a case where the beverage extracted from two capsules (1) is received separately in each cup.

만약, 2개의 캡슐(1)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섞으려면 상기 배출관(57,57')에서 나오는 음료를 동시에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컵을 두면 된다. 이때에는 컵의 입구 직경이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의 출구 사이의 거리보다는 큰 것이어야 한다. 물론,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에서 나오는 음료를 별도의 컵에 받아서 섞어도 상관없다.If you want to mix the drinks extracted from two capsules 1, place the cup in a position to receive the drinks coming out of the discharge pipes 57 and 57'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the inlet diameter of the cup must be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outlets of the first discharge pipe 57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57'. Of course, it does not matter if the drinks coming out of the first discharge pipe 57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57' are mixed in separate cups.

음료의 추출이 완료되고 나면, 상기 커버(34)를 개방한다. 즉, 도 24에 도시된 순서와 역순으로 진행하여, 상기 커버(34)를 개방하고, 상기 캡슐(1)을 캡슐시트(54)에서 빼낸다.After extraction of the beverage is completed, the cover 34 is opened. That is, in the reverse order to that shown in FIG. 24, the cover 34 is opened and the capsule 1 is removed from the capsule sheet 54.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 실시례에 의한 음료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를 구성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와 연결된 구성들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5는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에서 추출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에서 추출부의 수평을 맞추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3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control unit and the component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constituting the beverage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5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extraction unit in the beverage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Figure 3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 of leveling the extraction section in the beverage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음료장치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을 이루는 베이스상판(14)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상판(14)에는 디스플레이(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음료장치의 동작에 대한 설정과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16)는 상기 음료장치의 동작단계에 대한 화면들을 표시할 수 있다. The beverage device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top plate 14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The base top plate 14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16. The display 16 can input settings and commands for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device through a user's touch operation. Additionally, the display 16 can display screens about operation steps of the beverage device.

상기 음료장치는 캡슐(1)에 물을 주입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부(30)와 상기 추출부(30)를 지지하며 상기 추출부(30)를 승강시키는 복수개의 지지레그(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everage device includes an extraction unit 30 that extracts a beverage by injecting water into the capsule 1 and a plurality of support legs 20 that support the extraction unit 30 and elevate the extraction unit 30. can do.

상기 추출부(30)는 프레임(31)을 기준으로 하부에 하우징(32)이 위치되고 상부에 커버(34)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의 상면에는 캡슐(1)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34)는 상하의 승강에 의해 상기 하우징(332)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의 상면에는 캡슐안착공간(540)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캡슐(1)은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에 안착될 수 있다.The extraction unit 30 may have a housing 32 positioned at the lower part and a cover 34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based on the frame 31. The capsule 1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2. The cover 34 can open and close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32 by moving up and down. A capsule seating space 54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2, so that the capsule 1 can be seated in the capsule seating space 540.

캡슐감지부(59)는 상기 캡슐(1)이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에 안착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캡슐감지부(59)는 예컨대 초음파센서, 레이저센서, 카메라, 스캐너 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 캡슐(1)에 기재된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 분석을 통해 캡슐과 관련된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캡슐의 브랜드, 캡슐의 종류(차, 커피 등), 캡슐의 맛 등의 정보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캡슐 관련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16)에 화면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예컨대, 캡슐의 종류나 맛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애니메이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캡슐이 안착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6)에 각 캡슐별로 다른 색상이 표시될 수도 있다.The capsule detection unit 59 can detect that the capsule 1 is seated in the capsule seating space 540. The capsule detection unit 59 may be, for example, an ultrasonic sensor, a laser sensor, a camera, a scanner, etc. In this embodiment, when using a camera, the image described in the capsule 1 can be captured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psule can be obtained through image analysis.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the brand of the capsule, the type of capsule (tea, coffee, etc.), and the taste of the capsule can be confirmed in advance. Additionally, capsule-relat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6. For example, animations of different color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6 depending on the type or taste of the capsule. Additionally, when a plurality of capsules are seated, a different color may be displayed for each capsule on the display 16.

상기 지지레그(20)는 상기 하우징(32)을 지지하면서 상기 하우징(32)을 승강시킬 수 있다. 제1구동원(280)은 상기 지지레그(20)를 구동시켜 상기 하우징(32)이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구(70)는 상기 커버(34)를 승강시킬 수 있다. 제2구동원(78)은 상기 이동구(70)를 구동시켜 상기 커버(34)가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The support leg 20 supports the housing 32 and can lift the housing 32 up and down. The first driving source 280 can drive the support leg 20 to elevate the housing 32. And, the moving tool 70 can lift and lower the cover 34. The second driving source 78 can drive the moving tool 70 to raise and lower the cover 34.

음료장치는 제어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1구동원(280)과 제2구동원(78)을 각각 제어하여 상기 지지레그(20) 및 이동구(7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beverage device may include a control unit 80. The control unit 80 can control the first driving source 280 and the second driving source 78, respectively, to drive the support leg 20 and the moving tool 70.

상기 커버(34)의 일면에 설치된 터치센서(348)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348)는 상기 커버(34)의 상부면, 즉 커버상판(342)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터치센서(348)는 상기 커버(34)의 정면이나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터치센서(348)에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음료장치의 동작명령으로 인식하여 음료의 추출을 위한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The touch sensor 348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ver 34 can detect the user's touch operation. The touch sensor 348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34, that is, the cover top plate 342. Of course, the touch sensor 348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or side of the cover 34. When the user's touch is detected by the touch sensor 348, the control unit 80 can recognize it as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beverage device and start an operation for extracting a beverage.

상기 추출부(30)의 내부에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3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음성인식부(350)에서 사용자로부터 동작명령에 대응하는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음료장치에서 음료의 추출을 위한 동작을 시작할 수도 있다.A voice recognition unit 350 that recognizes the user's voice may be provided inside the extraction unit 30. The control unit 80 may start an operation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device when the voice recognition unit 350 recognizes a voice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command from the user.

상기 추출부(30)의 내부에 설치된 기울기센서(269)는 상기 추출부(30)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울기센서(269)는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32)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The tilt sensor 269 installed inside the extraction unit 30 can measure the tilt of the extraction unit 30. Preferably, the tilt sensor 269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32 to measure the tilt of the housing 32.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기울기센서(269)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기초로 상기 추출부(30)의 수평 여부를 판단하고 수평이 아닌 경우에 상기 제1구동원(280)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레그(20)가 구동되도록 하여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80 determines whether the extractor 30 is horizontal based on the inclination measured by the tilt sensor 269, and if it is not horizontal, controls the first drive source 280 to control the support leg ( 20) can be driven so that the extraction unit 30 is horizontal.

상기 추출부(30)의 하면에 설치된 거리센서(572)는 상기 추출부(30)의 하부에 위치한 용기, 예컨대 컵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센서(572)는 상기 하우징(32)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distance sensor 572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ion unit 30 can measure the distance to a container, such as a cup, located below the extraction unit 30. Preferably, the distance sensor 572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32.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거리센서(572)에서 측정된 컵까지의 측정거리를 기초로 상기 제2구동원(78)을 제어하여 상기 이동구(70)가 구동되도록 하여 상기 추출부(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부(30)에서 상기 컵까지의 거리가 설정거리가 되도록 상기 추출부(3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80 controls the second driving source 78 to drive the moving tool 70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from the distance sensor 572 to the cup, thereby driving the extraction unit 30. Height can be adjusted.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extraction unit 30 may be adjusted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extraction unit 30 to the cup is a set distance.

예컨대, 상기 추출부(30)에서 상기 컵까지의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보다 크면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추출부(30)가 하강되도록 하고, 반대로 상기 설정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추출부(30)가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30)는 상기 설정거리에 도달하면 승강이 정지된다.For example, if the measured distance from the extractor 30 to the cup is greater than the set distance, the extractor 30 is lowered until it reaches the set distance, and conversely, if it is smaller than the set distance, the set distance is lowered. The extraction unit 30 may be allowed to rise until the extraction unit 30 rises. The extraction unit 30 stops lifting when it reaches the set distance.

도 34를 참조하면, 상기 음료장치는 전원이 인가되면(S101), 예열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S102). 예열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16)에 예열중임을 알리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예열동작이 완료되면(S103) 상기 디스플레이(16)에는 예열완료임을 알리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4,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beverage device (S101), a preheat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S102). While the preheating operation is in progress, a screen notifying that preheating is in progres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6. Additionally, when the preheating operation is completed (S103), a screen notifying that preheating is complet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6.

상기 예열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센서(348)를 터치하거나 또는 상기 음성인식부(350)에서 음성인식을 통해 상기 음료장치의 동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음료장치에서 음료의 추출과정이 시작될 수 있다. When the preheating operation is completed and the touch sensor 348 is touched or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beverage device is input through voice recognition in the voice recognition unit 350, the extraction process of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device can begin. .

상기 동작명령이 입력되면(S104), 상기 지지레그(20)와 이동구(70)를 구동시켜 상기 하우징(32)과 상기 커버(34)가 상승된다(S105).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32)은 설정된 최대높이까지 상승될 수 있다. When the operation command is input (S104), the support leg 20 and the moving tool 70 are driven to raise the housing 32 and the cover 34 (S105). At this time, preferably, the housing 32 can be raised to a set maximum height.

상기 커버(34)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캡슐(1)이 상기 하우징(32)의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캡슐감지부(59)에서 상기 캡슐(1)의 안착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캡슐감지부(59)에서 상기 캡슐(1)의 안착이 감지되면(S106), 상기 커버(34)가 하강될 수 있다(S107). When the capsule 1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2 with the cover 34 raised, the capsule detection unit 59 can detect the seating of the capsule 1. When the capsule detection unit 59 detects the seating of the capsule 1 (S106), the cover 34 may be lowered (S107).

이때, 상기 캡슐감지부(59)에서 상기 캡슐(1)이 감지되면 상기 커버(34)가 바로 하강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설정시간이 경과 후 상기 커버(34)가 하강할 수도 있다. 상기 설정시간은 타이머(98)에 의해 카운트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1~3초가 바람직하다. 이로써 사용자가 캡슐(1)을 안착시킨 후 상기 커버(34)가 즉시 하강하여 사용자의 손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34)가 하강하는 도중에 일정량 이상의 저항이 발생하면 상기 커버(34)의 하강이 정지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when the capsule 1 is detected by the capsule detection unit 59, the cover 34 may be lowered immediately, but preferably, the cover 34 may be lowered after a set time has elapsed. The set time can be counted by a timer 98. In this embodiment, 1 to 3 seconds is preferable. This can prevent the cover 34 from immediately descending and colliding with the user's hand after the user places the capsule 1. If a certain amount of resistance or more occurs while the cover 34 is lowering, the lowering of the cover 34 may be stopped.

상기 커버(34)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추출부(30)의 하부에 컵이 놓여지면 상기 추출부(30)의 하부에 설치된 거리센서(572)에서 하부에 놓인 상기 컵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572)에서 상기 컵이 감지되면(S108), 상기 컵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S109). 그리고, 상기 컵까지의 측정거리가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하우징(32)이 승강될 수 있다(S110).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설정거리는 1~3㎝가 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30)를 상기 컵에 가깝게 접근한 후 음료를 추출하게 함으로써 음료 추출과정에서 음료가 컵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a cup is placed below the extractor 30 with the cover 34 lowered, the distance sensor 572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extractor 30 can detect the cup placed below. When the cup is detected by the distance sensor 572 (S108), the distance to the cup is measured (S109). Then, the housing 32 can be raised and lowered until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cup becomes the set distance (S110). In this embodiment, the set distance may be 1 to 3 cm. By bringing the extraction unit 30 close to the cup and then extracting the bevera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splashing out of the cup during the beverage extraction process.

상기 하우징(32)이 상기 설정거리에 도달하면 상기 캡슐(1)로 물을 공급하여 음료가 상기 컵으로 추출될 수 있다(S111). 상기 음료의 추출이 완료되면 상기 하우징(32)은 상승할 수 있다(S112).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컵을 빼낼 때 상기 하우징(32)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When the housing 32 reaches the set distance,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capsule 1 and the beverage can be extracted into the cup (S111). When extraction of the beverage is completed, the housing 32 can rise (S112). This allows the user to avoid collision with the housing 32 when removing the cup.

상기 S111 단계에서, 다른 실시례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16)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료를 추출할 캡슐(1)이 선택될 수 있고, 상기 선택된 캡슐(1)에 물이 공급되어 해당 음료가 추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캡슐안착공간(540)이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캡슐(1)을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캡슐(1)이 안착되면 사용자는 추출할 음료에 대응하는 캡슐(1)을 선택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례에서 음료를 추출할 캡슐(1)이 선택되면 상기 캡슐(1)에 대응하는 추출 레시피대로 음료의 추출이 진행될 수 있다.In step S111, in another embodiment, a capsule 1 from which to extract a beverage may b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16, and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selected capsule 1 to extract the corresponding beverage. . A plurality of capsule seating spaces 54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2, and a user may seat one or more capsules 1 therein. When the capsule 1 is seated, the user can extract the beverage by selecting the capsule 1 corresponding to the beverage to be extracted. 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capsule 1 from which to extract the beverage is selected, the beverage may be extracted according to the extraction recipe corresponding to the capsule 1.

도 35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캡슐이 감지되어 상기 커버(34)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거리센서(572)에서 상기 하우징(32)의 하부에 상기 컵을 감지하면(S201), 상기 거리센서(572)에서 상기 컵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S202). Referring to FIG. 35,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psule is detected and the cover 34 is lowered and the distance sensor 572 detects the cup at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32 (S201), The distance from the distance sensor 572 to the cup is measured in real time (S202).

상기 컵까지의 측정거리가 설정거리이면(S203), 상기 하우징(32)을 현재 높이로 유지한다(S204). 그러나,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아니라면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하우징(32)은 승강이 이루어진다. If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cup is the set distance (S203), the housing 32 is maintained at the current height (S204). However, if the measured distance is not the set distance, the housing 32 is raised and lowered until the measured distance becomes the set distance.

즉,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보다 크면(S205), 상기 하우징(32)은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하강된다(S206). 반대로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보다 작으면(S207), 상기 하우징(32)은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승된다(S208).That is, if the measured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set distance (S205), the housing 32 is lowered until the measured distance becomes the set distance (S206). Conversely, if the measurement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set distance (S207), the housing 32 is raised until the measurement distance becomes the set distance (S208).

상기 S206 단계 및 상기 S208 단계에서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되면 다시 상기 S202 단계로 진행하여 이후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If the measured distance becomes the set distance in steps S206 and S208, the process may proceed again to step S202 and the subsequent process may be repeated.

상기 음료장치의 추출부(30)는 수평을 이루도록 동작될 수도 있다.The extraction unit 30 of the beverage device may be operated to be horizontal.

도 36을 참조하면, 상기 추출부(30)의 내부에 설치된 기울기센서(269)에서 상기 추출부(30)의 기울기를 측정한다(S301).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측정된 기울기를 기초로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인지를 판단한다(S302). 상기 기울기센서(269)에서 측정되는 기울기는 기울어진 방향과 각도가 포함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6, the tilt sensor 269 installed inside the extraction unit 30 measures the tilt of the extraction unit 30 (S301). The control unit 80 determines whether the extraction unit 30 is horizontal based on the measured inclination (S302). The tilt measured by the tilt sensor 269 includes the tilt direction and angle.

상기 판단결과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면 상기 추출부(30)를 현재 수평상태로 유지하고(S303), 수평이 아니면 복수의 지지레그(2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켜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지지레그(20) 중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는 지지레그를 구동시켜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extraction unit 30 is horizontal, the extraction unit 30 is maintained in the current horizontal state (S303). If it is not horizontal,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20 is driven to operate the extraction unit 30. ) can be made to be horizontal. At this time, the support leg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20 can be driven to make the extractor 30 horizontal.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음료장치가 3개의 지지레그(30)를 갖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3개의 지지레그(20)의 중앙지점에서 상기 3개의 지지레그(20)의 방향을 각각 Z1,Z2,Z3라고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beverage device is described as having three support legs 30. The directions of the three support legs 20 at the central point of the three support legs 20 are referred to as Z1, Z2, and Z3, respectively.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아닌 경우 Z1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판단하여 Z1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면(S304), 3개의 지지레그(20) 중 Z1 방향의 지지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한다(S305). 이때, 다른 실시례에서는 3개의 지지레그(20) 중 Z1 방향의 지지레그는 감속하여 구동되고 나머지 Z2 방향 및 Z3 방향의 지지레그는 가속하여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If the extraction unit 30 is not horizontal,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inclined in the Z1 direction, and if it is inclined in the Z1 direction (S304), the support leg in the Z1 direction among the three support legs 20 is driven to extract the extraction unit ( 30) is horizontal (S305). At this time, in another embodiment, among the three support legs 20, the support leg in the Z1 direction is driven at reduced speed, and the remaining support legs in the Z2 direction and Z3 direction are driven at acceleration so that the extractor 30 is horizontal. there is.

Z1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지 않다면 Z2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판단하여 Z2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면(S306), 3개의 지지레그(20) 중 Z2 방향의 지지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한다(S307). 이때, 다른 실시례에서는 3개의 지지레그(20) 중 Z2 방향의 지지레그는 감속하여 구동되고 나머지 Z1 방향 및 Z3 방향의 지지레그는 가속하여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If it is not tilted in the Z1 direc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tilted in the Z2 direction. If it is tilted in the Z2 direction (S306), the support leg in the Z2 direction among the three support legs 20 is driven so that the extractor 30 is horizontal. Make sure this happens (S307). At this time, in another embodiment, among the three support legs 20, the support leg in the Z2 direction is driven at reduced speed, and the remaining support legs in the Z1 direction and Z3 direction are driven at acceleration so that the extractor 30 is horizontal. there is.

Z2 방향으로도 기울어져 있지 않다면 Z3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판단하여 Z3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면(S308), 3개의 지지레그(20) 중 Z3 방향의 지지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한다(S309). 이때, 다른 실시례에서는 3개의 지지레그(20) 중 Z3 방향의 지지레그는 감속하여 구동되고 나머지 Z1 방향 및 Z2 방향의 지지레그는 가속하여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If it is not tilted in the Z2 direc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tilted in the Z3 direction. If it is tilted in the Z3 direction (S308), the support leg in the Z3 direction among the three support legs 20 is driven so that the extractor 30 Make sure it is horizontal (S309). At this time, in another embodiment, among the three support legs 20, the support leg in the Z3 direction is driven at reduced speed, and the remaining support legs in the Z1 direction and Z2 direction are driven at acceleration so that the extractor 30 is horizontal. there is.

한편, 상기 음료장치는 복수개의 지지레그(20)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추출부(30)의 기울기를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지지레그(30)를 각각 구동하여 상기 추출부(30)가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지지레그(30)를 구성하는 레그구동유닛(28)의 가변 길이를 조정한다면 상기 추출부(30)의 기울기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30)의 기울기가 조정되면 상기 추출부(30)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이 조정되는 것이다. Meanwhile, the beverage device can adjust the tilt of the extraction unit 30 in real time by independently driving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20. For example, the extraction unit 30 can be tilted at an arbitrary angle by driving each of the three support legs 30. Additionally, if the variable length of the leg driving unit 28 constituting the three support legs 30 is adjuste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extractor 30 can be adjusted. When the inclination of the extraction unit 30 is adjust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ion unit 30 faces is adjusted.

도 37은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에서 추출부의 기울기에 따른 음료의 배출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7의 (a)에는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어 상기 추출부(30)의 하면이 직하방을 향하는 상태가 도시된다. 도 37의 (b)에는 상기 추출부(30)가 좌측으로 기울어져 상기 추출부(30)의 하면이 좌측방향으로 향하는 상태가 도시된다. 도 37의 (c)에는 상기 추출부(30)가 우측방향으로 기울여져 상기 추출부(30)의 하면이 우측방향으로 향하는 상태가 도시된다.Figure 3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beverag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extraction unit in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of FIG. 37, the extraction unit 30 is horizontal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ion unit 30 is shown directly downward. In (b) of FIG. 37, the extraction unit 30 is tilted to the lef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ion unit 30 is shown toward the left. Figure 37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extraction unit 30 is tilted to the righ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ion unit 30 is directed to the right.

도 38은 일례로 3개의 지지레그(20)의 배치 및 구동에 따른 상기 추출부(30)의 기울기 방향을 도식화한 도면이고, 도 39는 상기 3개의 지지레그(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추출부(30)가 기울어지는 방향, 즉 상기 추출부(30)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38 is a diagram illustrating, for example, the tilt direction of the extraction unit 30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d driving of the three support legs 20, and FIG. 39 shows the extraction by driving the three support legs 20. This is a diagram showing step by step the direction in which the unit 30 is inclined,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ion unit 30 faces.

도 38을 보면, 3개의 지지레그(20)는 각각의 제1구동원(78)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각 지지레그(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추출부(30)는 Z1,Z2,Z3 방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서 3개의 지지레그(20) 중 제1지지레그를 M1, 제2지지레그를 M2, 제3지지레그를 M3라고 하고, 이들 3개의 지지레그의 구동에 의해 기울어지는 방향을 Z1,Z2,Z3라 한다. Referring to FIG. 38, the three support legs 20 are driven by respective first driving sources 78, and the extraction unit 30 is driven in the Z1, Z2, and Z3 directions by driving each of the support legs 20. It can be tilted in a direction based on a combination of these. In the drawing, among the three support legs 20, the first support leg is called M1, the second support leg is called M2, and the third support leg is called M3, and the directions in which these three support legs are tilted by driving are Z1 and Z2. ,It is called Z3.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된 상태에서 제1지지레그(M1)이 구동하면 상기 추출부(30)는 Z1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제2지지레그(M2)가 구동되면 상기 추출부(30)는 Z2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제3지지레그(M3)가 구동되면 상기 추출부(30)는 Z3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3 지지레그 중 어느 지지레그가 구동되느냐에 따라 상기 추출부(30)는 기울어지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3 지지레그가 구동되는 길이에 따라 기울어지는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When the first support leg (M1) is driven while the extractor 30 is horizontal, the extractor 30 is tilted in the Z1 direction, and when the second support leg (M2) is driven, the extractor 30 ) is inclined in the Z2 direction. When the third support leg M3 is driven, the extractor 30 is tilted in the Z3 direction. In this way,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extractor 30 may vary depending on whi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 legs is driven. Additionally, the tilt angle may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at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 legs are driven.

도 39를 보면, 일례로 3개의 지지레그(20)가 1단계부터 10단까지 단계별로 구동될 때 상기 추출부(20)의 기울기 방향과 기울기 정도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ure 39, for example, when the three support legs 20 are driven step by step from stage 1 to stage 10, the tilt direction and degree of tilt of the extraction unit 20 are shown.

1단계에서는 Z1,Z2,Z3 방향으로 기울기가 모두 0으로서 상기 추출부(30)는 수평상태가 된다. 이 경우, 상기 추출부(30)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D)은 중앙이 될 수 있다. In the first stage, the slopes in the Z1, Z2, and Z3 directions are all 0, and the extraction unit 30 is in a horizontal state. In this case, the direction D toward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ion unit 30 faces may be the center.

2단계에서는 Z3 방향은 기울기가 0을 유지하여 기울어지지 않으나, Z1와 Z2 방향으로 1만큼 기울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2단계에서는 D가 Z1과 Z2 방향으로 동시에 기울어지므로 Z1과 Z2 방향의 중간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으로 나타난다. In stage 2, the Z3 direction maintains a slope of 0 and is not tilted, but the Z1 and Z2 directions are tilted by 1. Therefore, in step 2, D is tilted in the Z1 and Z2 directions simultaneously, so it appears to be tilted in the middle direction between the Z1 and Z2 directions.

3단계에서는 Z1 방향의 기울기가 2가 되어 Z1 방향으로 더 기울어지게 된다. 이 경우 D는 Z1 방향에 나타날 수 있다.In step 3, the slope in the Z1 direction becomes 2, making it tilt further in the Z1 direction. In this case, D may appear in the Z1 direction.

이와 같이 4단계에서 10단계로 가면서 각 단계별로 Z1,Z2,Z3 방향의 기울기가 변경되면서 상기 추출부(30)의 기울기 방향과 기울기 정도가 변경되는 것이다.In this way, as the slope in the Z1, Z2, and Z3 directions changes at each stage from stage 4 to stage 10, the slope direction and degree of slope of the extraction unit 30 change.

상기 기울기 정도를 나타내는 숫자는 서로 상대적인 값으로 기울기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낸다.The numbers representing the degree of slope are relative values and indicate the relative size of the slope.

도 39에 도시된 상기 1단계부터 10단계까지의 기울기 방향과 기울기 정도는 도 4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he direction and degree of inclination from steps 1 to 10 shown in FIG. 39 can be expressed as shown in FIG. 40.

도 41은 상기 1단계부터 10단계까지 진행하는 동안 상기 추출부(30)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의 궤적을 도시한다. 각각의 단계가 진행되면서 기울이의 방향과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궤적은 나선형이 될 수 있다. 물론, 기울기의 방향과 각도를 다르게 조정하여 임의의 궤적이 되도록 할 수도 있고 설정된 패턴을 그리도록 할 수도 있다.Figure 41 shows the trajectory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ion unit 30 faces during steps 1 to 10. The trajectory can become a spiral by adjusting the direction and angle of tilt as each step progresses. Of course,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slope can be adjusted differently to create a random trajectory, or a set pattern can be drawn.

도 42는 도 41과 같이 상기 추출부(30)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D)이 나선형이 되는 일례가 도시된다. 상기 기울기센서(269)에서 상기 추출부(30)의 기울기를 측정하고(S401),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측정된 기울기를 기초로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인지를 판단한다(S402).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아니면 도 36에서 설명된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한다(S403).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면 상기 추출부(30)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D)은 아래 직하방이 된다.Figure 4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direction D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ion unit 30 is spiral, as shown in Figure 41. The tilt sensor 269 measures the tilt of the extractor 30 (S401), and the control unit 80 determines whether the extractor 30 is horizontal based on the measured tilt (S402) . If the extraction unit 30 is not horizontal, the operation described in FIG. 36 is performed to make the extraction unit 30 horizontal (S403). When the extraction unit 30 is horizontal, the direction D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ion unit 30 faces is directly downward.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인 상태에서 도 41에 도시된 각 단계별 기울기의 방향 및 각도가 되도록 각 단계별로 지지레그(20)가 순차적으로 구동된다(S404). 최종단계까지 실행되면(S405), 종료된다.With the extractor 30 in a horizontal state, the support legs 20 are sequentially driven at each stage to achieve the direction and angle of inclination at each stage shown in FIG. 41 (S404). When it runs to the final step (S405), it ends.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thus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캡슐(1)이 2개가 장착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더 많은 갯수의 캡슐(1)이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캡슐시트(54)에는 캡슐안착공간(540)을 추가로 두고, 각각의 캡슐안착공간(450)으로 물을 공급하는 구성과 추출된 음료를 배출하는 구성이 캡슐안착공간(450)의 갯수에 대응하여 추가로 필요하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wo capsules 1 are installed, but a larger number of capsules 1 may be installed. For this purpose, a capsule seating space 540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capsule seat 54, and the configuration for supplying water to each capsule seating space 450 and discharging the extracted beverage are determined by the number of capsule seating spaces 450. Additional needs are required in response to this.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다수개의 지지레그(20), 즉 상기 연결링크(24)와 레그구동유닛(28)들이 연결프레임(26)에 연결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연결프레임(26) 없이 프레임(31)이나 하우징(32)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레그연결부(263)와 같은 구성이 프레임(31)이나 하우징(32)에 구비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plurality of support legs 20, that is, the connecting link 24 and the leg driving unit 28,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frame 26,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and the frame is formed without the connecting frame 26. It may be connected to (31) or housing 32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For this purpose, a configuration such as the leg connection portion 263 may be provided in the frame 31 or the housing 32.

또한, 도시된 실시례에서 상기 추출부(30)를 베이스(10)에 지지하는 상기 지지레그(20)가 지지링크(22), 연결링크(24) 그리고 레그구동유닛(28)을 포함하는데,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지지레그(20)는 상기 레그구동유닛(28)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은 상기 추출부(30)의 프레임(31)이나 하우징(32)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된 상기 조인트(27)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레그구동유닛(28)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pport leg 20 supporting the extraction unit 30 on the base 10 includes a support link 22, a connection link 24, and a leg driving unit 28, This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case, and the support leg 20 may be composed of the leg driving unit 28. In this case, the leg driving unit 28 can be relative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ame 31 or housing 32 of the extractor 30 and at the same time relative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For example, one side of the leg driving unit 28 may be connected to the joint 27 installed on the base 10 to enable relative rotation.

1: 캡슐 10: 베이스
12: 베이스몸체
120: 구획벽 122: 전원선연결구
124: 관연결구 126: 물통입출구
14: 베이스상판 16: 디스플레이
17: 장식장착영역 18: 전원선
19: 연결관
191: 제1분지관 192: 제2분지관
20: 지지레그 22: 지지링크
24: 연결링크
26: 연결프레임
260: 프레임몸체 261: 고정보스
263: 레그연결부 265: 제1회전중심핀
267: 제2회전중심핀 269: 기울기센서
27: 조인트
270: 소켓베이스 272: 소켓
274: 볼 276: 연결바아
28: 레그구동유닛
280: 제1구동원 280': 회전축
281: 리드스크류 282: 브라켓
283: 고정프레임 284: 중심핀공
285: 내측부재 286: 연결링
287: 외측부재 288: 연동블럭
30: 추출부 31: 프레임
32: 하우징
34: 커버
340: 커버측벽 342: 커버상판
344: 윈도우 346: 커버보스
348: 터치센서
36: 고정판 38: 이동가이드
41: 제1밸브 41': 제2밸브
43: 제1펌프 43': 제2펌프
45: 제1공급관 45': 제2공급관
47: 광원 48: 제1캡연결관
48': 제2캡연결관 50: 캡
52: 천공구
520: 몸체판 522: 유로관
523: 주입유로 524: 천공날
526: 고정편
54: 캡슐시트
540: 캡슐안착공간 542: 돌기
543: 토출공 545: 설치슬롯
56: 호퍼 57: 제1배출관
57': 제2배출관 58: 고정가이드
60: 이동안내대 62: 랙기어
64: 고정편 64': 결합공
66: 배관간섭회피부 70: 이동구
72: 이동구몸체 74: 관통부
76: 체결공 77; 구동원장착부
78: 제2구동원 79: 구동기어
80: 제어부 82: 물공급부
84: 물통
840: 물통몸체 840': 저장공간
841: 커버판 842: 물통도어
844: 물통입구 846: 배출연결구
848: 결합바 849: 결합볼
85: 푸시푸시 잠금배출기구
86: 내부배관
860: 내부관체 861: 유로
862: 단열층 864: 외부관체
88: 센서 90: 메인펌프
92: 보일러 94: 전원연결포트
96: 전원스위치
1: Capsule 10: Base
12: Base body
120: partition wall 122: power line connector
124: Pipe connection 126: Water tank inlet and outlet
14: Base top 16: Display
17: Decorative mounting area 18: Power line
19: Connector
191: First Branch Hall 192: Second Branch Hall
20: Support leg 22: Support link
24: Connection link
26: Connection frame
260: Frame body 261: Fixed boss
263: Leg connection 265: First rotation center pin
267: Second rotation center pin 269: Tilt sensor
27: joint
270: socket base 272: socket
274: ball 276: connecting bar
28: Leg drive unit
280: first driving source 280': rotation axis
281: Leadscrew 282: Bracket
283: Fixed frame 284: Center pin hole
285: inner member 286: connecting ring
287: External member 288: Interlocking block
30: extraction unit 31: frame
32: housing
34: cover
340: Cover side wall 342: Cover top plate
344: Windows 346: Cover Boss
348: Touch sensor
36: Fixing plate 38: Movement guide
41: first valve 41': second valve
43: first pump 43': second pump
45: first supply pipe 45': second supply pipe
47: Light source 48: First cap connector
48': second cap connector 50: cap
52: drill hole
520: body plate 522: flow pipe
523: Injection passage 524: Perforation blade
526: Batten
54: Capsule seat
540: Capsule seating space 542: Protrusion
543: discharge hole 545: installation slot
56: Hopper 57: First discharge pipe
57': Second discharge pipe 58: Fixed guide
60: Movement guide 62: Rack gear
64: fixed piece 64': coupling hole
66: Piping interference avoidance section 70: Moving section
72: Moving body 74: Penetrating part
76: Fastener 77; Drive source attachment part
78: second driving source 79: driving gear
80: control unit 82: water supply unit
84: water bucket
840: Water bottle body 840': Storage space
841: Cover plate 842: Water bottle door
844: Water tank inlet 846: Discharge connection port
848: Combination bar 849: Combination ball
85: Push-push locking discharge mechanism
86: Internal piping
860: inner tube 861: flow path
862: Insulating layer 864: External pipe body
88: Sensor 90: Main pump
92: Boiler 94: Power connection port
96: Power switch

Claims (21)

캡슐에 물을 주입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를 지지하며 상기 추출부를 승강시키는 지지레그;
상기 추출부의 승강을 위해 상기 지지레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원;
상기 추출부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추출부의 하부에 있는 컵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 및
상기 제1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컵까지의 측정거리를 기초로 상기 제1구동원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레그의 구동에 의해 상기 추출부가 승강되도록 하는 음료장치.
An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a beverage by injecting water into the capsule;
A support leg that supports the extraction unit and elevates the extraction unit;
a first driving source that provides driving force to the support leg to elevate the extractor;
A distance sensor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ion unit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cup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extraction unit;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irst driving sourc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driving source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cup measured by the distance sensor to raise and lower the extraction unit by driving the support le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제1구동원을 제어하여 상기 추출부가 승강되도록 하는 음료장치.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driving source to raise and lower the extraction unit until the measured distance becomes the set distan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보다 크면 상기 제1구동원을 제어하여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추출부가 하강되도록 하고,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제1구동원을 제어하여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추출부가 상승하도록 하는 음료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measurement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set distanc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driving source to lower the extractor until the measurement distance becomes the set distance, and the control unit lowers the extractor until the measurement distance becomes the set distance. If it is small, the beverage device controls the first drive source to cause the extraction unit to rise until the measured distance becomes the set distan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추출부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간격 및 길이로 복수개로 설치되는 음료장치.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legs are installed in plural numbers at equal intervals and length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xtraction uni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이 승강되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레그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원은 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레그구동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음료장치.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upport leg is coupled to the housing and includes a leg driving unit whose length is variable so that the housing is raised and lowered, and wherein the first driving source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leg driving unit such that the length is variab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캡슐이 상면에 안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승강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커버를 승강시키는 이동구; 및
상기 커버의 승강을 위해 상기 이동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제1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승강시키는 음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ion unit,
A housing in which the capsule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a cover that opens and closes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by lifting and low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 moving tool that elevates the cover; and
It includes a second driving source that provides driving force to the moving tool to raise and lower the cover,
The support leg is coupled to the housing and raises and lowers the housing by driving the first driving sour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2구동원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레그 및 이동구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커버가 상승되도록 하는 음료장치.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when an operation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sources to raise the housing and the cover by driving the support leg and the moving tool. 캡슐에 물을 주입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를 지지하며 상기 추출부를 승강시키는 지지레그;
상기 추출부의 승강을 위해 상기 지지레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원;
상기 추출부에 설치되어 상기 추출부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센서에서 측정된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부의 수평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제1구동원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레그가 구동되도록 하는 음료장치.
An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a beverage by injecting water into the capsule;
A support leg that supports the extraction unit and elevates the extraction unit;
a first driving source that provides driving force to the support leg to elevate the extractor;
A tilt sensor installed in the extraction unit to measure the tilt of the extraction unit;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riving sourc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extractor is horizontal based on the inclination measured by the inclination sensor, and controls the first drive sour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o drive the support leg.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추출부의 둘레를 따라 동일간격으로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추출부가 수평이 아니면 상기 복수개의 지지레그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레그의 제1구동원을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레그의 구동에 의해 상기 추출부가 수평이 되도록 하는 음료장치의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support legs are installed in plural numbers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xtrac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extraction unit is not horizontal, the first driving source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A method of controlling a beverage device to control the extraction unit to be horizontal by driving the at least one support leg.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레그 중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는 지그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가 수평이 되도록 하는 음료장치.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a zigleg corresponding to an inclined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is driven to make the extraction unit horizontal.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레그 중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는 지지레그는 감속으로 구동되고 나머지 지지레그는 가속으로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가 수평이 되도록 하는 음료장치.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among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a support leg corresponding to an inclined direction is driven at deceleration and the remaining support legs are driven at acceleration so that the extraction unit is horizontal.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추출부의 둘레를 따라 동일간격으로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추출부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이 나선형 또는 원을 그리도록 상기 복수의 지지레그가 구동되는 음료장치.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 plurality of support legs are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xtraction unit,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are driven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ion unit faces is spiral or circula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캡슐이 상면에 안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승강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커버를 승강시키는 이동구; 및
상기 커버의 승강을 위해 상기 이동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제1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승강시키는 음료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xtraction unit,
A housing in which the capsule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a cover that opens and closes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by lifting and low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 moving tool that elevates the cover; and
It includes a second driving source that provides driving force to the moving tool to raise and lower the cover,
The support leg is coupled to the housing and raises and lowers the housing by driving the first driving source.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2구동원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레그 및 이동구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커버가 상승되도록 하는 음료장치.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when an operation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drive sources to raise the housing and cover by driving the support leg and the moving tool. 음료장치의 동작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단계;
상기 동작명령에 따라 추출부에 연결된 지지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가 상승되는 제1상승단계;
상기 추출부에 설치된 거리센서에서 상기 추출부 하부의 컵을 인식하는 인식단계;
상기 거리센서에서 상기 컵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단계;
상기 측정된 거리와 설정거리를 기초로 상기 지그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하우징이 승강되는 승강단계; 및
상기 하우징의 승강이 완료되면 상기 캡슐의 내용물이 포함된 음료가 상기 컵으로 추출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음료장치의 제어방법.
An input step in which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beverage device is input;
A first raising step in which the support leg connected to the extraction unit is driv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to raise the extraction unit;
A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the cup below the extraction unit by a distance sensor installed in the extraction unit;
A distanc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distance sensor to the cup;
A lifting step in which the zigeg is driven to raise and lower the housing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and the set distan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beverage device comprising a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 beverage containing the contents of the capsule into the cup when the lifting of the housing is completed.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지지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가 승강되도록 하는 음료장치의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support leg is driven to raise and lower the extraction unit until the measured distance becomes the set distance.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승강단계는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설정거리보다 크면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지지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가 하강되고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지지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가 상승하도록 하는 음료장치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in the lifting step, if the measured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set distance, the support leg is driven until the measured distance becomes the set distance, so that the extraction unit is lowered and the measured distance is less than the set distance. A control method of a beverage device in which the support leg is driven until the measured distance becomes the set distance to cause the extraction unit to rise. 추출부에 설치된 기울기센서에서 상기 추출부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부가 수평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추출부가 수평이면 상기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추출부가 수평이 아니면 상기 추출부를 지지하면서 승강시키는 지리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가 수평이 되도록 하는 음료장치의 제어방법.
Measuring the tilt of the extraction unit using a tilt sensor installed in the extrac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extraction unit is horizontal based on the measured inclination;
If the extraction unit is horizontal, the horizontal state is maintained, and if the extraction unit is not horizontal, a geo-leg that supports and raises the extraction unit is driven to make the extraction unit horizontal.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추출부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측정된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지지레그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가 수평이 되도록 하는 음료장치의 제어방법.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support legs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 legs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xtraction unit,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is driven based on the measured inclination to make the extraction unit horizontal. control method.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레그 중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는 지지레그는 감속으로 구동되고 나머지 지지레그는 가속으로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가 수평이 되도록 하는 음료장치의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9, wherein among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the support leg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direction is driven at deceleration and the remaining support legs are driven at acceleration so that the extraction unit is horizontal.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추출부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추출부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이 나선형 또는 원을 그리도록 상기 복수개의 지지레그가 구동되는 음료장치의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support legs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 legs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xtraction unit,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are driven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ion unit faces is spiral or circular. .
KR1020220068445A 2022-06-03 2022-06-03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6803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445A KR20230168032A (en) 2022-06-03 2022-06-03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23/007624 WO2023234745A1 (en) 2022-06-03 2023-06-02 Beverage apparatus using caps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445A KR20230168032A (en) 2022-06-03 2022-06-03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032A true KR20230168032A (en) 2023-12-12

Family

ID=89159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445A KR20230168032A (en) 2022-06-03 2022-06-03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032A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447B1 (en) 2009-03-13 2009-11-03 이재한 Espresso coffee extractor
KR101260504B1 (en) 2011-12-13 2013-05-06 컨벡스코리아(주) Universal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KR20150017541A (en) 2013-08-07 2015-02-17 컨벡스코리아(주) Beverage maker for all cartridge
KR20170040026A (en) 2015-10-02 2017-04-12 코웨이 주식회사 Capsul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KR20180000496A (en) 2016-06-23 2018-01-03 (주)쿠첸 Apparatus for mounting water tank of capsule coffee machine
KR20180119263A (en) 2017-04-25 2018-11-02 정우연 Beverage mak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447B1 (en) 2009-03-13 2009-11-03 이재한 Espresso coffee extractor
KR101260504B1 (en) 2011-12-13 2013-05-06 컨벡스코리아(주) Universal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KR20150017541A (en) 2013-08-07 2015-02-17 컨벡스코리아(주) Beverage maker for all cartridge
KR20170040026A (en) 2015-10-02 2017-04-12 코웨이 주식회사 Capsul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KR20180000496A (en) 2016-06-23 2018-01-03 (주)쿠첸 Apparatus for mounting water tank of capsule coffee machine
KR20180119263A (en) 2017-04-25 2018-11-02 정우연 Beverage ma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9518B1 (en) Brewing module, capsule recognition module, and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JP7192000B2 (en)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nd beverage preparation method
EP2228633B1 (en) Optical level detector for a beverage machine
JP5450152B2 (en) Beverage production equipment
US20210002117A1 (en) Water ejecting apparatus
KR102598224B1 (en) Refigerator having microphone module
US11230468B2 (en) Water ejecting apparatus
US20210001368A1 (en) Water ejecting apparatus
KR20180088426A (en) Beverage maker
US20210001367A1 (en) Water ejecting apparatus
KR20230168032A (en)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68033A (en)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68030A (en)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KR20230168029A (en)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KR20230168031A (en)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KR20230168028A (en)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KR20050033015A (en) A small size automatic rice cooker system
US20190290049A1 (en) Capsule System For Producing A Beverage
KR101510871B1 (en) Dispenser for spout pouch
KR20240020576A (en)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KR20170141835A (en) Game vending machine
JP5537987B2 (en) Milk former and beverage production equipment
JP5595752B2 (en) Beverage production equipment
KR100759998B1 (en) A vending machine combined with table
CN111520771A (en) Lifting type gas stove and lif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