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608A -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67608A KR20230167608A KR1020220067690A KR20220067690A KR20230167608A KR 20230167608 A KR20230167608 A KR 20230167608A KR 1020220067690 A KR1020220067690 A KR 1020220067690A KR 20220067690 A KR20220067690 A KR 20220067690A KR 20230167608 A KR20230167608 A KR 202301676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ient
- information
- smart diaper
- smart
- patient car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27939 micturi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13872 defec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5000012631 food intak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3715 nutritional stat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862 health statu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378 die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2100034618 Annexin A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538 Bacteriu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624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7241 Endog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201 Exanth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1001077417 Gallus gallus Potassium voltage-gated channel subfamily H member 6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102100041003 Glutamate carboxypeptidase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000924454 Homo sapiens Annexin A3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881679 Homo sapiens Endog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892862 Homo sapiens Glutamate carboxypeptidase 2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1010792 Homo sapiens Transcriptional regulator ERG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3388 Ketonu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976 Ket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2807 Potassium voltage-gated channel subfamily H member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0862 Prostate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236 Prostatic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718 Pyu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6543 Urinary incontin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668 atopic ecz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884 exanthe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81 poly(stear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844 ras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86 sensory perception of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80 skin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radio-opaque material or signalling means for residual material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60—Healthcare; Welfare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20—Analytics; Diagnosi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eth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보미 단말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스마트 기저귀에서의 감지 결과를 제공하는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바이오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정전용량센서 또는 가스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착용자의 배뇨 또는 배변 발생 및 대소변 포함 성분을 감지하는 복합센서가 탑재된 스마트 기저귀; 및 돌보미 단말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저귀 식별 정보와 환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스마트 기저귀 식별 정보와 환자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서 저장하는 매칭부, 상기 스마트 기저귀에 구비된 복합센서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하는 결과 수신부, 상기 결과 수신부에서 수신된 감지 결과를 환자 식별 정보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들을 환자 단말 또는 돌보미 단말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환자 종합 케어 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에 의해 병원, 요양기관 등 다수의 환자가 존재하는 곳에서 효율적으로 대소변 발생 여부 등을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기저귀 병원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돌보미 단말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스마트 기저귀에서의 감지 결과를 제공하는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저귀는 영유아, 중증환자, 치매환자 등 스스로 대소변을 처리할수 없는 착용자에 장착되어 대소변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착용자가 기저귀에 대소변을 배설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처리가 되지 않으면, 대소변으로 인해 착용자에게 발진이나 습진 등 건강 및 위생 상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기저귀는 신속한 교체가 필요하다.
하지만, 보호자, 간병인, 간호사 등이 기저귀 착용자의 대소변 배설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이를 처리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육안이나 후각, 촉각 등으로 기저귀를 확인하는 방식은 착용자와 보호자 쌍방 모두에 거부감이 있을 수도 있으며, 적은 양의 대소변은 확인이 쉽지 않아 비위생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착용자의 배뇨시 소변의 유무를 외부에 알려줄 수 있도록 변색이 되는 기능성 기저귀가 개발되어 왔으며, 감지 센서 등을 장착하여 대소변시 보호자에게 알람으로 알려줄 수 있는 스마트 기저귀도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종래 일반적인 스마트 기저귀는 도전성 검출선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기저귀에 내장되고, 검출선의 연장선이 밴드에 자성체로 이루어진 탈부착단자에 연결되며, 검출부가 탈부착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검출선의 전류 변화를 검출하여 배뇨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스피커로 전송하여 알람 멜로디를 발생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스마트 기저귀는 검출선이 동선으로 이루어지거나 도전성 도료를 도포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될 경우 피부 손상을 유발하고 착용감이 좋지 않으며 제조 단가가 비싸다는 문제점도 함께 가지고 있다.
아울러, 종래 스마트 기저귀는 대부분 영유아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므로 성인용 기저귀에 측정장치를 장착하는 방식 등에 대해서는 연구·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중증환자, 치매환자 등의 대소변 발생시기, 발생횟수, 발생주기 등은 중요한 의료 정보가 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를 병원에서 보호자 또는 간호사가 일일이 확인하여 기록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나아가, 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며 노인의 치매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바, 병원, 요양병원, 요양원 등에서 다수의 환자의 위치와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이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병원, 요양기관 등 다수의 환자가 존재하는 곳에서 효율적으로 대소변 발생 여부 등을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기저귀 병원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하여 모니터링된 환자 상태 정보를 통합적으로 의료기관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보다 세밀하고 정확한 환자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은 바이오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정전용량센서 또는 가스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착용자의 대소변 및 대소변 포함 성분을 감지하는 복합센서가 탑재된 스마트 기저귀 및 돌보미 단말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스마트 기저귀 식별 정보와 환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스마트 기저귀 식별 정보와 환자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서 저장하는 매칭부, 스마트 기저귀에 구비된 복합센서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하는 결과 수신부, 상기 결과 수신부에서 수신된 감지 결과를 환자 식별 정보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들을 환자 단말 또는 돌보미 단말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환자 종합 케어 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환자 종합 케어 방법은 매칭부가 돌보미 단말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스마트 기저귀 식별 정보와 환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스마트 기저귀 식별 정보와 환자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서 저장하는 단계, 결과 수신부가 스마트 기저귀에 구비된, 바이오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정전용량센서 또는 가스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착용자의 대소변을 감지하는 복합센서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부가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감지 결과를 환자 식별정보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정보 제공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들을 환자 단말 또는 돌보미 단말로 정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병원, 요양기관 등 다수의 환자가 존재하는 곳에서 효율적으로 대소변 발생 여부 등을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기저귀 병원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하여 모니터링된 환자 상태 정보를 통합적으로 의료기관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보다 세밀하고 정확한 환자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종합 케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종합 케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종합 케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종합 케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에서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착용자에 각각 장착되어 착용자의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는 다수의 스마트 기저귀(400-1, 400-2,...400-N), 다수의 스마트 기저귀(400-1, 400-2,...400-N)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공 및 표시하는 다수의 중계장치(300-1, 300-2, ... 300-N), 다수의 중계장치(300-1, 300-2, ... 300-N)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환자 종합 케어 장치(100)로 전송하는 라우터(200) 및 라우터(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 및 저장하며,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는 환자 종합 케어 장치(100)로 구성된다.
이때 중계장치(300-1, 300-2, ... 300-N)는 다수의 스마트 기저귀(400-1, 400-2,...400-N)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그룹핑하여 일정 구역에 있는 스마트 기저귀(400-1, 400-2,...400-N)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라우터(200)는 다수의 중계장치(300-1, 300-2, ... 300-N)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하여 환자 종합 케어 장치(100)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기저귀(400-1, 400-2,...400-N)는 흡수층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되,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고, 착용자의 배뇨를 흡수층으로 확산시키는 흡수확산층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안감층은, 흡수확산층의 외측에 배치되며, 흡수 확산층에 포함된 전도성 부재는, 흡수층, 안감층 및 방수층 중 적어도 일부가 대면하는 층에 포함된 전도성 부재와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안감층, 흡수확산층, 흡수층 및 방수층 각각에 포함된 전도성 부재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스마트 기저귀의 외면에 배치된 복합센서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합센서모듈은 스마트 기저귀의 내면에 착용자의 배뇨가 흡수될 경우, 전도성 부재를 통한 전류의 변화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배뇨 또는 배변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기저귀(400-1, 400-2,...400-N)는 환자에 착용되어 흡수층이 환자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을 흡수하며, 소변을 흡수하는 면의 반대편에 펄스를 전도할 수 있는 성분으로 구현된 전도체를 포함한다. 스마트 기저귀 및 스마트 기저귀 내 전도체로 펄스를 인가하고, 전도체로부터 유기되는 펄스를 센싱하며, 센싱결과를 분석하여 기저귀 내 배뇨 또는 배변 여부 및 배뇨량을 파악할 수도 있다.
복합센서 모듈은 배출된 소변 또는 대변에 포함된 질병의 원인이 되는 인자를 감지할 수 있는 초고감도 반도체 센서를 포함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종합 케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종합 케어 장치(100)는 스마트 기저귀를 도입하여 대소변을 이용함으로써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나 주요 질병의 체크 및 관리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환자 종합 케어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서 스마트 기저귀를 활용한 대소변 감지 데이터를 환자식의 조절에 활용함으로써 환자의 건강상태에 맞게 식이 조절이 가능하여 환자별 맞춤형 케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환자 종합 케어 장치(100)는 피요양자의 스마트 기저귀(400)에 스마트폰 앱과 연동이 가능한 소형칩을 내장하고 소형칩에 탑재되는 다양한 바이오 센서등으로부터 온도/습도 및 기타 관리변수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기저기 교환주기를 알리며, 축적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수의 피요양자를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기저귀(400)는 소형칩에 온도센서, 습도센서, 정전용량센서 또는 가스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 착용자의 대소변을 감지하는 복합센서,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각도레벨 데이터를 생성하는 움직임센서, 복합센서 및 움직임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중계장치(300-1, 300-2,... 300-N)로 무선 전송하는 근거리통신모듈, 인공위성과 통신하여 현재 측정장치의 위치좌표를 측정 및 연산하는 GPS모듈, 복합센서 및 움직임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근거리통신모듈 및 GPS모듈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스마트 기저귀(400)와 중계장치(300-1, 300-2,... 300-N) 사이의 신호 세기에 따라 착용자가 미리 설정된 구역을 벗어났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중계장치(300-1, 300-2,... 300-N)는 스마트 기저귀(4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착용자 대소변 주기, 착용자 수면 주기 또는 기저귀 교체 후 경과시간을 포함하는 가공데이터 정보로 연산하는 데이터가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종합 케어 장치(100)가 스마트 기저귀(400), 중계 장치(300-1, 300-2,... 300-N), 라우터(200)로부터의 신호를 모두 수신하여 분석하고 가공할 수 있다.
도 2 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피요양자 종합 케어 장치(100)는 통신부(110), 매칭부(120), 결과 수신부(130), 데이터베이스부(140), 정보 제공부(160), 알림부(150), 음식정보 입력부(170) 및 저장부(18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환자 단말(500) 및 돌보미 단말(6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환자 단말(500)은 스마트 기저귀(400)를 착용하는 환자를 포함한 피요양자가 소지하는 단말로 해석될 수 있다.
이때 피요양자는 영유아, 치매등 노인성 사용자, 요실금 환자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돌보미 단말(600)은 스마트 기저귀(400)를 착용하는 환자의 케어를 담당하는 보호자나 요양사, 환자가 입원중인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나 의사 등을 포함하도록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환자 즉 피요양자의 케어를 담당하는 누구라도 돌보미가 될 수 있다.
매칭부(120)는 돌보미 단말(600)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스마트 기저귀 식별 정보와 환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스마트 기저귀 식별 정보와 환자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서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매칭부(120)는 돌보미 단말(600)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스마트 기저귀에 인쇄된 바코드나 QR 코드를 인식하여 스마트 기저귀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다. 또는 돌보미 단말(600)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스마트 기저귀에 인쇄된 일련번호를 입력받는 것으로 기저귀 식별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돌보미 즉 요양사나 보호자는 자신이 소지하는 돌보미 단말(600)의 환자 케어 전용 앱을 실행시키고 교체할 스마트 기저귀에 인쇄된 QR 코드를 인식한다. 그리고 환자의 앱상에 미리 설정된 환자 정보를 선택하여 함께 입력하면 매칭부(120)는 환자 식별 정보와 그 환자가 착용한 스마트 기저귀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매칭부(120)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돌보미나 요양사가 케어중인 환자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피요양자 팔찌등에 인쇄된 해당 피요양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나 QR 코드를 스캔하는 것으로 환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환자 케어 전용 앱은 요양사나 보호자가 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요양자들 각각에 대해 전반적인 케어 상태를 입력하거나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환자 케어 전용 앱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저귀의 식별정보나 환자 식별 정보를 입력하고 등록, 수정, 삭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환자 케어 전용 앱은 요양사나 보호자가 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요양자들 각각에 대한 닉네임 또는 아이디를 표시하고 그들 중 하나를 선택받는 것으로 환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결과 수신부(130)는 스마트 기저귀(400)에 구비된, 바이오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정전용량센서 또는 가스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착용자의 대소변을 감지하는 복합센서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한다. 이때 결과 수신부(130)는 해당 스마트 기저귀(400)의 식별 정보와 함께 감지 결과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마트 기저귀(400)에는 감지된 감지 결과와 함께 해당 스마트기저귀의 식별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40)는 결과 수신부(130)에서 수신된 감지 결과를 환자 식별정보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부(140)는 결과 수신부(130)에서 감지 결과와 함께 수신된 기저귀 식별 정보를 파악하고, 매칭부(120)에서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 식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부(140)는, 환자별 대소변 감지 횟수 및 환자의 체온 정보를 일자별 또는 시간대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부(140)는 환자별로 대소변 감지 횟수 및 스마트 기저귀(400)에 탑재된 온도 센서로 측정된 환자의 체온 정보를 일자별 또는 시간대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즉, 일자별 대소변 횟수나 체온 변화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140)는 환자별로 구분하여 다양한 바이오 센서로 감지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부(140)는 스마트 기저귀(400)의 식별정보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바이오 센서가 탑재된 스마트 기저귀(400)임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식별정보의 특정 자리수에 표시되는 알파벳이나, 일련번호로 표시되는 스마트 기저귀(400)의 식별정보 범위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바이오 센서가 탑재된 것임을 구분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정보 제공부(160)는 데이터베이스부(140)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들을 환자 단말(500) 또는 돌보미 단말(600)로 제공한다. 정보 제공부(160)는 환자 단말(500) 또는 돌보미 단말(6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부(140)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제공부(160)는 데이터베이스부(140)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스마트 기저귀 정보에 매칭된 환자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제공부(160)는 환자마다 상이하게 설정된 제공 정보 종류를 더 파악할 수 있다. 예를들어 환자마다 어떤 환자는 대소변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도록 설정할 수 있고, 다른 환자는 체온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알림부(150)는 결과 수신부(130)에서 수신된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환자 식별 정보에 따라 환자마다 상이하게 기 설정된 알림 조건에 부합하면 환자 단말 또는 돌보미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송출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 기저귀를 도입하여 대소변을 이용함으로써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나 주요 질병의 체크 및 관리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알림 조건은 돌보미 단말(600)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이며, 대소변 감지, 바이오 센서의 반응여부, 설정 구역의 이탈여부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환자 단말(500) 또는 돌보미 단말(600)의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환자마다 상이하게 설정된 알림 조건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송출한다. 예를들어 대소변감지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피요양자의 경우에 대소변 감지에 따른 알림 메시지 송출을 설정하고, 설정 구역 이탈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피요양자의 경우에는 설정 구역 이탈 여부에 대한 알림 메시지 송출이 가능하다.
즉 다수의 피요양자를 관리해야 하는 경우에 돌보미 단말(600)을 통해 환자 개별적으로 각각의 거동 상태에 맞게 상이하게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환자 맞춤형 케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돌보미 단말(600)에서 동일한 환자나 피요양자의 케어가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즉, 환자 개별적으로 거동 상태에 맞게 적어도 둘 이상의 돌보미 단말(600)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바이오 센서의 반응여부는, 포도당, 산성도(pH), 단백질, 잠혈, 요비중, 세균뇨, 농뇨, 케톤뇨를 포함하는 인자들 중 하나에 대해 반응하고, 반응 여부에 따라 출력되는 상이한 전압값인 것으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결과 수신부(130)는 스마트 기저귀(400)에 구비되고, 기 설정된 질병의 원인이 되는 인자를 감지하는 초고감도 반도체 센서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이때 데이터베이스부(140)는 결과 수신부(130)로 수신된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소변 성분에 기초한 질병의 진단 정보 또는 영양상태 정보를 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즉 스마트 기저귀를 도입하여 대소변을 이용함으로써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나 주요 질병의 체크 및 관리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환자 종합 케어가 가능하다.
예를들어 스마트 기저귀(400)에 소변에 극미량 들어 있는 네 가지 전립선암 인자(PSMA, ENG, ERG, ANXA3)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초고감도 반도체 센서가 탑재될 수 있다. 즉 스마트 기저귀(400)에 탑재되는 바이오 센서는 소변 성분에 기초하여 질병의 진단이나 영양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싱 기술을 모두 포괄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피요양자를 관리해야하는 경우에 요양자는 환자 상태마다 상이한 바이오센서의 반응에 대한 알림메시지 송출 설정이 가능하여 피요양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맞춤형 케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정보 제공부(160)는 데이터베이스부(140)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환자별 감지 결과를 의료 기관 서버(700)로부터의 요청에 의하거나 주기적으로 환자가 선택한 의료 기관 서버(700)로 더 제공해준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제공부(160)는 피요양자의 주치 병원의 의료 기관 서버(700)로 피요양자의 대소변 상태 및 대소변에서 감지되는 소변 성분에 대한 바이오 센서의 감지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60)는 피요양자별로 스마트 기저귀(400)를 통해 감지된 축적된 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의료 기관 서버(700)로 제공하거나, 의료기관으로부터 특정 피요양자에 대한 정보 요청이 수신될 경우에 저장부(180)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 정보들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환자 즉 피요양자가 착용한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하여 감지된 축적된 데이터들을 환자 담당병원 또는 주치의에게 공유함으로써 병원의 치료 시스템과 연계하여 스마트 기저귀에서 수집 및 분석된 데이터를 통해 환자의 종합적이고 정확한 관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도출된다.
음식정보 입력부(170)는 돌보미 단말(600)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환자가 제공받은 식단 정보 및 음식 섭취량 정보를 입력받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환자 케어 전용 앱은 돌보미 즉 요양사 또는 보호자로부터 날짜별, 시간단위별로 피요양자의 음식 섭취 상태를 손쉽게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부(140)는 음식정보 입력부(170)로 입력받은 음식 섭취량 정보를 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부(140)는 환자별로 구분하여 날짜별, 시간 단위별 피요양자의 음식 섭취 상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정보 제공부(160)는 데이터베이스부(140)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들을 의료 기관 서버(700)로 더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정보 제공부(160)는 데이터베이스부(140)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날짜별, 시간별 환자의 음식 섭취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환자 단말(500) 또는 돌보미 단말(600)로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예를들어 요양병원과 같은 요양 시설에 환자가 입원한 경우에 그 보호자가 환자의 음식 섭취 상태나 대소변 상태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음식 섭취 상태와 대소변 상태를 함께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환자별 식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가 가능하여 건강상태 개선을 위해 효과적으로 식이조절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추가적으로 정보 제공부(160)는 돌보미 단말(600)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환자의 처방받은 약 종류나 주사, 복용량 정보 등을 더 입력받을 수 있다.
즉, 단순히 대소변 상태나 음식 섭취 상태 뿐 아니라 요양 병원과 같은 요양시설에서 환자가 처방받은 주사, 약종류 및 복용량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더 저장함으로써 요양 시설에 입원중인 환자의 보호자나, 타 병원이나 상급 병원 등에서 진료받을때 환자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확도 높은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장치에서 수행되는 환자 종합 케어 방법은 먼저 매칭부가 돌보미 단말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스마트 기저귀 식별 정보와 환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스마트 기저귀 식별 정보와 환자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서 저장한다(S300).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있어서 매칭시켜서 저장하는 단계는, 돌보미 단말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스마트 기저귀에 인쇄된 QR 코드를 인식하여 스마트 기저귀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다.
또는 돌보미 단말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스마트 기저귀에 인쇄된 일련번호를 입력받는 것으로 기저귀 식별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돌보미 즉 요양사나 보호자는 자신이 소지하는 돌보미 단말의 환자 케어 전용 앱을 실행시키고 교체할 스마트 기저귀에 인쇄된 QR 코드를 인식한다. 그리고 환자의 앱상에 미리 설정된 환자 정보를 선택하여 함께 입력하면 매칭부는 환자 식별 정보와 그 환자가 착용한 스마트 기저귀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그리고 결과 수신부가 스마트 기저귀에 구비된, 바이오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정전용량센서 또는 가스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착용자의 대소변을 감지하는 복합센서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한다(S310).
결과 수신부는 해당 스마트 기저귀의 식별 정보와 함께 감지 결과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마트 기저귀에는 감지된 감지 결과와 함께 해당 스마트기저귀의 식별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양상에 있어서, 알림부는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환자 식별 정보에 따라 환자마다 상이하게 기 설정된 알림 조건에 부합하면(S320) 환자 단말 또는 돌보미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송출한다(S325).
이때 기 설정된 알림 조건은 돌보미 단말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이며, 대소변 감지, 바이오 센서의 반응여부, 설정 구역의 이탈여부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알림부는 환자 단말 또는 돌보미 단말의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환자마다 상이하게 설정된 알림 조건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송출한다. 예를들어 대소변감지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피요양자의 경우에 대소변 감지에 따른 알림 메시지 송출을 설정하고, 설정 구역 이탈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피요양자의 경우에는 설정 구역 이탈 여부에 대한 알림 메시지 송출이 가능하다.
즉 다수의 피요양자를 관리해야 하는 경우에 돌보미 단말을 통해 환자 개별적으로 각각의 거동 상태에 맞게 상이하게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환자 맞춤형 케어가 가능해진다
이후에 데이터베이스부는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감지 결과를 환자 식별정보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S330).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부는 수신하는 단계에서 감지 결과와 함께 수신된 기저귀 식별 정보를 파악하고, 매칭부에서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 식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부는 환자별로 대소변 감지 횟수 및 스마트 기저귀에 탑재된 온도 센서로 측정된 환자의 체온 정보를 일자별 또는 시간대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즉, 일자별 대소변 횟수나 체온 변화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는 환자별로 구분하여 다양한 바이오 센서로 감지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부는 스마트 기저귀의 식별정보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바이오 센서가 탑재된 스마트 기저귀임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식별정보의 특정 자리수에 표시되는 알파벳이나, 일련번호로 표시되는 스마트 기저귀의 식별정보 범위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바이오 센서가 탑재된 것임을 구분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있어서, 음식정보 입력부는 돌보미 단말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환자가 제공받은 식단 정보 및 음식 섭취량 정보를 입력받는다(S340).
그리고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음식정보 입력부로 입력받은 음식 섭취량 정보를 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정보 제공부가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들을 환자 단말 또는 돌보미 단말로 정보를 제공한다(S350).
또한 정보 제공부는 환자마다 상이하게 설정된 제공 정보 종류를 더 파악할 수 있다. 예를들어 환자마다 어떤 환자는 대소변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도록 설정할 수 있고, 다른 환자는 체온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환자 케어 전용 앱은 돌보미 즉 요양사 또는 보호자로부터 날짜별, 시간단위별로 피요양자의 음식 섭취 상태를 손쉽게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예를들어 요양병원과 같은 요양 시설에 환자가 입원한 경우에 그 보호자가 환자의 음식 섭취 상태나 대소변 상태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정보 제공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환자별 감지 결과를 의료기관으로부터의 요청에 의하거나 주기적으로 환자가 선택한 의료기관 서버로 더 제공해준다(S360).
정보 제공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들을 의료기관 서버로 더 제공한다.
피요양자별로 스마트 기저귀를 통해 감지된 축적된 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의료 기관 서버로 제공하거나, 의료기관으로부터 특정 피요양자에 대한 정보 요청이 수신될 경우에 저장부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 정보들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환자 즉 피요양자가 착용한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하여 감지된 축적된 데이터들을 환자 담당병원 또는 주치의에게 공유함으로써 병원의 치료 시스템과 연계하여 스마트 기저귀에서 수집 및 분석된 데이터를 통해 환자의 종합적이고 정확한 관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도출된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환자 종합 케어 장치
110 : 통신부
120 : 매칭부 130 : 결과 수신부
140 : 데이터베이스부 150 : 알림부
160 : 정보 제공부 170 : 음식정보 입력부
180 : 저장부 400 : 스마트 기저귀
500 : 환자 단말 600 : 돌보미 단말
700 : 의료기관 서버
120 : 매칭부 130 : 결과 수신부
140 : 데이터베이스부 150 : 알림부
160 : 정보 제공부 170 : 음식정보 입력부
180 : 저장부 400 : 스마트 기저귀
500 : 환자 단말 600 : 돌보미 단말
700 : 의료기관 서버
Claims (12)
- 바이오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정전용량센서 또는 가스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착용자의 배뇨 또는 배변 발생 및 대소변 포함 성분을 감지하는 복합센서가 탑재된 스마트 기저귀; 및
돌보미 단말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저귀 식별 정보와 환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스마트 기저귀 식별 정보와 환자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서 저장하는 매칭부, 상기 스마트 기저귀에 구비된 복합센서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하는 결과 수신부, 상기 결과 수신부에서 수신된 감지 결과를 환자 식별 정보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들을 환자 단말 또는 돌보미 단말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환자 종합 케어 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종합 케어 장치는,
상기 결과 수신부에서 수신된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환자 식별 정보에 따라 환자마다 상이하게 기 설정된 알림 조건에 부합하면 환자 단말 또는 돌보미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송출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기 설정된 알림 조건은 상기 돌보미 단말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이며,
대소변 감지, 바이오 센서의 반응여부, 설정 구역의 이탈여부 중 하나인,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돌보미 단말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스마트 기저귀에 인쇄된 QR 코드를 인식하여 스마트 기저귀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환자별 감지 결과를 의료기관으로부터의 요청에 의하거나 주기적으로 환자가 선택한 의료기관 서버로 더 제공해주는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종합 케어 장치는,
돌보미 단말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환자가 제공받은 식단 정보 및 음식 섭취량 정보를 입력받는 음식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음식정보 입력부로 입력받은 음식 섭취량 정보를 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며,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들을 의료기관 서버로 더 제공하는,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수신부는,
스마트 기저귀에 구비되고, 기 설정된 질병의 원인이 되는 인자를 감지하는 초고감도 반도체 센서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결과 수신부로 수신된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소변 성분에 기초한 질병의 진단 정보 또는 영양상태 정보를 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환자별 대소변 감지 횟수 및 환자의 체온 정보를 일자별 또는 시간대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환자 종합 케어 방법에 있어서,
매칭부가 돌보미 단말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스마트 기저귀 식별 정보와 환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스마트 기저귀 식별 정보와 환자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서 저장하는 단계;
결과 수신부가 스마트 기저귀에 구비된, 바이오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정전용량센서 또는 가스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착용자의 대소변을 감지하는 복합센서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부가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감지 결과를 환자 식별정보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정보 제공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들을 환자 단말 또는 돌보미 단말로 정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알림부가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환자 식별 정보에 따라 환자마다 상이하게 기 설정된 알림 조건에 부합하면 환자 단말 또는 돌보미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기 설정된 알림 조건은 상기 돌보미 단말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이며,
대소변 감지, 바이오 센서의 반응여부, 설정 구역의 이탈여부 중 하나인,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시켜서 저장하는 단계는,
돌보미 단말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스마트 기저귀에 인쇄된 QR 코드를 인식하여 스마트 기저귀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환자별 감지 결과를 의료기관으로부터의 요청에 의하거나 주기적으로 환자가 선택한 의료기관 서버로 더 제공해주는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음식정보 입력부가 돌보미 단말에서 실행되는 환자 케어 전용 앱을 통해 환자가 제공받은 식단 정보 및 음식 섭취량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음식정보 입력부로 입력받은 음식 섭취량 정보를 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며,
상기 정보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들을 의료기관 서버로 더 제공하는,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7690A KR20230167608A (ko) | 2022-06-02 | 2022-06-02 |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및 방법 |
US17/863,476 US20230253102A1 (en) | 2022-02-06 | 2022-07-13 | System and method for caring for patients by using a smart diap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7690A KR20230167608A (ko) | 2022-06-02 | 2022-06-02 |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67608A true KR20230167608A (ko) | 2023-12-11 |
Family
ID=8752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67690A KR20230167608A (ko) | 2022-02-06 | 2022-06-02 |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253102A1 (ko) |
KR (1) | KR20230167608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66234A1 (ko) * | 2019-10-04 | 2021-04-08 | 주식회사 모닛 |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통합관리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9415B1 (ko) | 2014-12-16 | 2016-09-30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스마트 기저귀 |
KR20190086112A (ko) | 2018-01-12 | 2019-07-22 | 군장대학교산학협력단 | 환자의 상태 정보와 용변량에 따라 실시간 진단 기능을 갖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
KR102167761B1 (ko) | 2020-01-31 | 2020-10-19 | 강유림 | 환자 케어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53613B2 (en) * | 2007-01-03 | 2011-05-31 | Gizewski Theodore M | Health maintenance system |
US20100241094A1 (en) * | 2009-03-20 | 2010-09-23 | Sherron Mark | Smart diaper |
CN106510960B (zh) * | 2015-09-15 | 2020-02-28 | 华星科技股份有限公司 | 智能护理耗材及具有其的生理监控装置 |
US10722405B2 (en) * | 2016-10-13 | 2020-07-28 | Verily Life Sciences Llc | Smart diaper for detecting and differentiating feces and urine |
EP3936102A1 (en) * | 2020-07-07 | 2022-01-12 | Ontex BV | Monitoring device attachable to an absorbent article, and respective method and absorbent article |
-
2022
- 2022-06-02 KR KR1020220067690A patent/KR20230167608A/ko unknown
- 2022-07-13 US US17/863,476 patent/US20230253102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9415B1 (ko) | 2014-12-16 | 2016-09-30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스마트 기저귀 |
KR20190086112A (ko) | 2018-01-12 | 2019-07-22 | 군장대학교산학협력단 | 환자의 상태 정보와 용변량에 따라 실시간 진단 기능을 갖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
KR102167761B1 (ko) | 2020-01-31 | 2020-10-19 | 강유림 | 환자 케어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30253102A1 (en) | 2023-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ohammed et al. | Systems and WBANs for controlling obesity | |
Aldeer et al. | A review of medication adherence monitoring technologies | |
Atkinson et al. | Maternal sensitivity, child functional level, and attachment in Down syndrome | |
US20210057093A1 (en) | Remot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elderly and patient in-home and senior living facilities care | |
EP2890344B1 (en) | Method and mobile applications using cross-sharing database for monitoring use of hygiene products | |
KR101962308B1 (ko) |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과 스마트폰을 사용한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확인 시스템 | |
CN114096305A (zh) | 用于尿失禁管理的物联网(iot)解决方案 | |
Cho et al. | A smart diaper system using bluetooth and smartphones to automatically detect urination and volume of voiding: prospective observational pilot study in an acute care hospital | |
KR20170038552A (ko) | 배변 유무를 고지할 수 있는 기저귀 시스템 | |
Sahu et al. | Enabling remote patient monitoring through the use of smart thermostat data in canada: exploratory study | |
Sheikhtaheri et al. | Applications and outcomes of Internet of Things for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dementia: A scoping review | |
KR20230167608A (ko) |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종합 케어 시스템 및 방법 | |
Martini et al. | Data-driven continuous assessment of frailty in older people | |
JP6849266B2 (ja) | 尿検査装置及び健康補助システム | |
US11594328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eVa: senior's virtual assistant | |
Rose et al. | Correlates among nocturnal agitation, sleep, and urinary incontinence in dementia | |
Shahrestani et al. | Assistive iot: Deployment scenarios and challenges | |
Raepsaet et al. | Integrating sensor technology in disposable body-worn absorbent products: a qualitative study to define user profile,(technical) criteria, conditions, and potential benefits | |
Mohapatra et al. | Internet of medical things: applications and research issues in healthcare monitoring | |
Bouaziz et al. | Technological solutions for social isolation monitoring of the elderly: a survey of selected projects from academia and industry | |
García et al. | Physical wellbeing monitoring employing non-invasive low-cost and low-energy sensor socks | |
Zhu et al. | Modeling of smart watch and system construction method for the elderly based on big data | |
Li et al. | An empirical study on challenges faced by the elderly in care centres | |
Park et al. | Self-organizing iot device-based smart diagnosing assistance system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 |
CN113571204B (zh) | 信息交互方法、装置及系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