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014A - 중이 상태의 자기 치료를 위한 의료 카트 - Google Patents

중이 상태의 자기 치료를 위한 의료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014A
KR20230167014A KR1020237024121A KR20237024121A KR20230167014A KR 20230167014 A KR20230167014 A KR 20230167014A KR 1020237024121 A KR1020237024121 A KR 1020237024121A KR 20237024121 A KR20237024121 A KR 20237024121A KR 20230167014 A KR20230167014 A KR 20230167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atient
ear
administration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벤자민 샤피로
Original Assignee
오토마그네틱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마그네틱스, 인크. filed Critical 오토마그네틱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167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61G12/001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food, linen, nursing supp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0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G13/121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52Thermotherapy; Hyperthermia; Magnetic induction; Induction heating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62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62Ears
    • A61M2210/0668Middle e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투여하기 위한 의료 카트(350)가 개시된다. 의료 카트는 환자 귀의 중이 공간 내로 자성제를 유도하도록 구성된 자석 조립체 어레이(336)를 포함한다. 자석 조립체는 또한, 두 번째 투여 귀로 자성제를 유도하며 첫 번째 투여 귀 내에 자성제를 유지하기 위해 중력에 반대로 작용하는 자기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중이 질환의 자기 치료를 위한 의료 카트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 출원은 35 U.S.C.§119(e)에 의거 2020년 12월 15일에 출원된 "자기 치료를 위한 의료 카트(MEDICAL CART FOR MAGNETIC TREATMENT)"를 명칭으로 하는 미국 특허 가출원 제 63/125,825 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개시 내용이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개시는 자기 치료 물질을 투여하기 위한 의료용 치료 카트 또는 침대에 관한 것이다. 치료 물질(예를 들어, 약물, 단백질, 또는 유전자)을 환자의 신체 내의 물리적 표적으로 자기력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해당 치료 물질을 운반하는 자성 나노입자에 작용하는 자기력이 특정 방향으로 위치되어야 한다. 특히, 자기력은 자성 나노입자를 처음 배치된 위치(예를 들어, 점적기(dropper), 주사기, 피펫, 겔(gel) 또는 면봉을 통해, 또는 기타 방법에 의해)로부터 원하는 표적으로 전달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환자의 중이염을 치료하는 맥락에서, 임상의는 점적기를 사용하여 자성 나노입자를 외이(이도) 내에 배치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자기력이 입자를 외이로부터 고막(귀막)을 통해 중이 공간 내로 밀어내어 운반한다. 자기력은 외이로부터 중이를 향한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특정 방향으로 자기력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자기력의 결과적인 배향이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와 투여 위치로부터 영역 치료 물질 표적 위치로의 방향 모두와 일치하는 방식으로 자석이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자기장은, 치료 효과를 가진 전달 물질과 함께, 자성 나노입자를 투여 위치로부터 중간 조직을 통해 원하는 표적 위치로 전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강해야 한다. 예를 들어, 투여 위치는 외이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 약제는 고막을 통해 유도되어 중이 공간과 같은 원하는 표적 위치에 도달한다. 본 예에서, 중간 조직은 강한 장벽(피부와 유사, 고막은 인체 내의 보호 장벽이다)이며, 조직 장벽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강한 자기력이 필요하다. 추가적으로, 자석으로부터 나노입자까지의 거리가 상당할 수도 있으므로(자성이 외이로부터 중이까지의 올바른 정렬을 위한 충분한 잡아당김 힘을 생성하려면 자석이 머리 뒤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유형의 힘을 생성하기 위해 자석의 크기가 상당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적어도 머리의 폭에 상당할 수도 있다). 강한 자기력은 강한 자석을 필요로 할 수도 있으며, 더 큰 자석이나 다수의 자석으로 이루어진 큰 조립체가 이러한 강한 힘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자석이 크면 무겁기 때문에, 강하고 무거운 자석 또는 자석 조립체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용할 수 있는 장치 또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카트에 자석 또는 자석 조립체를 내장하는 것이 가능한 해결책이다.
또한, 환자의 배향 및 자성 입자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방향과 관련하여, 해부학 및 물리학 모두에 기초하여 기타 제약을 고려하여야 할 수도 있다. 특히, 중이염을 치료하는 맥락에서, 자성 나노입자는 액상 용액에 배치되어 액상 제형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해당 제형은 점적기를 통해 액체로서 외이로 투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자성 전달 치료 동안에는 액상 용액이 외이 내에 남아 있어야 한다. 따라서, 환자의 머리가 자기력에 의한 투여 동안 중력으로 인해 자성 나노입자의 액상 제형이 외이도 밖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배향되어야 한다. 더욱이, 자성 입자가 중력에 의해 고막(귀막)에 대해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귀를 귀지로 막는 것으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것이다). 이러한 필요로 인해 환자가 배향될 수도 있는 방식에 제약이 가해지며, 특히, 환자의 머리는 이도가 아래를 향하지 않도록(아래를 향할 경우 액체가 이도 밖으로 배출될 것이다) 배향되어야 한다.
또한, 치료 물질을 투여하는 의사나 임상의의 사용 용이성과 마찬가지로 환자의 편안함도 중요하다. 이로 인해 또한, 환자가 배치될 수도 있는 방식, 임상의가 환자에게 접근하는 방식에 제약과 구속이 가해지며, 이것은 결국 시스템 설계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환자에게 편안함을 주며, 임상의가 사용하기 쉬우며, 치료 물질을 자기력을 이용하여 전달하기 위한 필요를 충족시키도록 구성된 의료 카트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또한, 중이염을 치료할 때, 양쪽 귀를 모두 치료하여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나의 세션에서 양쪽 귀를 모두 치료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의 좌측 귀를 먼저 치료한다고 가정한다. 즉, 아래에 개시된 카트는 좌측 이도에 배치된 자성 입자에 자기력을 인가하여 자성 입자를 좌측 고막(좌측 귀막)을 통해 좌측 중이 공간 내로 전달하였다. 이어서, 우측 귀를 치료한다. 우측 귀의 치료 동안 인가되는 자기력이 자성 입자를 좌측 중이 밖으로 역으로 끌어내는 역할을 해서는 안 된다(즉, 방금 완료된 좌측 귀의 치료를 부분적으로라도 뒤집는 역할을 해서는 안 된다). 이것은 환자가 치료받고 있는 동안 자성 입자에 인가될 수 있는 자기력의 방향에 또 다른 제약을 부과한다.
본 발명은 환자의 중이 공간으로 치료 물질을 자기력으로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카트 시스템은 환자의 머리 정렬 및 자기력의 매칭 정렬을 가능하게 하여, 이러한 힘에 의해 치료 물질(약물, 단백질, 또는 유전자)이 부착된 자성 나노입자가 외이로부터 고막을 통해 중이 공간 내로 운반될 수 있다. 카트에 동봉된 자석 조립체는 충분한 자기력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크다. 또한, 시스템은 두 번째 귀의 치료가 첫 번째 귀의 이전 치료를 방해하지 않는 방식으로 양쪽 귀가 치료될 수 있도록 한다. 시스템은 의사나 임상의가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자성제 전달 카트는 상부 침대 플랫폼; 상기 상부 침대 플랫폼 아래에 위치한 자성 조립체로서, 상기 상부 침대 플랫폼의 길이 방향 축선 아래에 중심이 맞춰지며 자성제 전달 카트의 기단부에 정렬되는 자석 조립체; 상기 자성 조립체를 숨기도록 구성되며, 제거 가능한 하나 이상의 측면 페어링; 상기 상부 침대 플랫폼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자석 조립체의 중심 위에 위치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레스트는 제1 투여 위치에 있는 환자용으로 구성된 제1 머리 윤곽선 및 제2 투여 위치에 있는 환자용으로 구성된 제2 머리 윤곽선; 및 상기 제1 및 제2 투여 위치 및 상기 자석 조립체의 위치에 따라 구성된 정렬 그리드로서, 상기 제1 투여 위치에서 환자의 시상면에 대응하는 제1 위치 수직선, 상기 제2 투여 위치에서 환자의 시상면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수직선, 및 환자의 눈을 따라 횡방향 평면에 대응하는 수평선을 포함하는 정렬 그리드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서,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은 치료 물질에 부착된 자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자기 치료제; 상부 침대 플랫폼, 상기 상부 침대 플랫폼 아래에 위치한 자성 조립체로서, 상기 상부 침대 플랫폼의 길이 방향 축선 아래에 중심이 맞춰지며 자성제 전달 카트의 기단부에 정렬되는 자석 조립체, 상기 자성 조립체를 숨기도록 구성되며 제거 가능한 하나 이상의 측면 페어링, 상기 상부 침대 플랫폼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자석 조립체의 중심 위에 위치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는 의료 카트로서, 상기 헤드레스트는 제1 투여 위치에 있는 환자용으로 구성된 제1 머리 윤곽선 및 제2 투여 위치에 있는 환자용으로 구성된 제2 머리 윤곽선 및 상기 제1 및 제2 투여 위치 및 상기 자석 조립체의 위치에 따라 구성된 정렬 그리드로서, 상기 제1 투여 위치에서 환자의 시상면에 대응하는 제1 위치 수직선, 제2 투여 위치에서 환자의 시상면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수직선, 및 환자의 눈을 따라 횡방향 평면에 대응하는 수평선을 포함하는 정렬 그리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의료 카트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서,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은, 의료 카트 상의 제1 투여 위치에 환자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의료 카트는 자석 조립체 및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레스트는 제1 머리 윤곽선 및 제2 머리 윤곽선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레스트는 수평 정렬선, 제1 위치 수직 정렬선 및 제2 위치 수직 정렬선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환자의 콧등을 수직 제1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수평면 내의 환자의 눈을 수평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첫 번째 투여 귀가 수평면 위에 있도록 환자의 머리를 회전시키는 단계, 첫 번째 투여 귀에 자기 치료제를 투여하는 단계, 상기 자석 조립체에 의해, 환자의 첫 번째 귀의 중이 공간으로 자기 치료제를 밀어넣는 단계, 환자를 상기 의료 카트 상의 제2 투여 위치에 재배치하는 단계, 환자의 콧등을 수직 제2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수평면 내의 환자의 눈을 수평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두 번째 투여 귀가 수평면 위에 있도록 환자의 머리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자기 치료제를 두 번째 투여 귀에 투여하는 단계, 상기 자석 조립체에 의해, 상기 자기 치료제를 환자의 두 번째 귀의 중이 공간으로 밀어넣는 단계, 및 상기 자석 조립체에 의해, 첫 번째 투여 귀의 상기 자기 치료제를 환자의 두 번째 귀의 중이 공간에 남아 있도록 밀어넣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서,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은, 환자의 머리에 맞춘 헤드레스트를 환자의 머리 직경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헤드레스트는 제1 머리 윤곽선 및 제2 머리 윤곽선을 포함하며, 수평 정렬선, 제1 위치 수직 정렬선, 및 제2 위치 수직 정렬선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자석 조립체에 대해 상대적인 하나 이상의 정렬 표식에 기초하여 의료 카트 상에 상기 헤드레스트를 정렬하는 단계, 자석 조립체 및 상기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의료 카트 상의 제1 투여 위치에 환자를 배치하는 단계, 환자의 콧등을 수직 제1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수평면 내의 환자의 눈을 수평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첫 번째 투여 귀가 수평면 위에 있도록 환자의 머리를 회전시키는 단계, 자기 치료제를 첫 번째 투여 귀에 투여하는 단계, 상기 자석 조립체에 의해, 자기 치료제를 환자의 첫 번째 귀의 중이 공간으로 밀어넣는 단계, 환자를 상기 의료 카트 상의 제2 투여 위치에 재배치하는 단계, 환자의 콧등을 수직 제2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수평면 내의 환자의 눈을 수평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두 번째 투여 귀가 수평면 위에 있도록 환자의 머리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자기 치료제를 두 번째 투여 귀에 투여하는 단계, 상기 자석 조립체에 의해, 상기 자기 치료제를 환자의 두 번째 귀의 중이 공간으로 밀어넣는 단계, 및 상기 자석 조립체에 의해, 첫 번째 투여 귀의 상기 자기 치료제를 환자의 두 번째 귀의 중이 공간에 남아 있도록 밀어넣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 따른, 환자의 머리 및 좌측 귀와 우측 귀의 해부학적 구조를 단면도로 보여준다.
도 2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 따른, 의료 카트 상의 제1 및 제2 약제 전달 위치에 있는 환자를 단면도로 보여준다.
도 3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 따른, 의료 카트를 포함하는, 소아 환자에게 약제를 투여하기 위한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 따른, 자성 어레이의 자석을 포함하는 자성 조립체의 3차원 도면 및 프로파일 도면을 예시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표면에 있는 투명 정렬 그리드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 따른, 안전 바 또는 가드 레일을 포함하는 의료 카트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7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 따른, 위로 또는 아래로 접힐 수도 있는 캔틸레버 다리를 포함하는 의료 카트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도 8a 내지 도 8n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 따른,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기 치료제를 투여하기 위한 치료 절차를 예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 따른, 의료 카트 상의 환자에게 자기 치료제를 투여하기 위한 흐름도를 보여준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 따른, 의료 카트를 구성하며 의료 카트 상의 환자에게 자기 치료제를 투여하기 위한 흐름도를 보여준다.
본 개시는 자성제를 표적 위치로 밀어내도록 자기력을 사용하여, 환자의 중이에 영향을 미치는 의학적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료 카트를 설명한다. 다양한 양태에서, 환자(예를 들어, 어린이 또는 성인)는 의료 카트 또는 침대에 눕거나 앉아서 자성제를 이용한 의료 치료 절차를 거칠 수도 있다. 자성제는 약물, 단백질 또는 유전자와 같은 치료 물질이 부착된 자성 입자를 포함하며, 이러한 자성제는,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인용된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 2020/0146995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자기력으로 환자의 중이 또는 양쪽 귀로 유도된다. 일 양태에서, 의료 카트는 침대 플랫폼, 헤드레스트, 하나 이상의 가드 레일, 의사 또는 임상의가 환자의 머리를 정렬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정렬 그리드(grid), 및 환자를 편안하게 유지하기 위한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어, 덮개, 쿠션 등)를 포함한다. 의료 카트는 침대 플랫폼 아래에 위치한 자석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자성 입자를 환자의 중이 내로 끌어당기도록 구성된다. 자성 어레이는 환자에게 덜 위협적인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제거 가능한 측면 덮개 또는 페어링(fairing)으로 숨겨질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의료 카트는 환자의 한쪽 귀 또는 양쪽 귀를 치료하도록 구성되며, 치료 절차 동안 환자의 체형에 맞춰 최적화된다. 추가적으로, 의료 카트는 의사나 임상의가 효과적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 임상 환경에 맞춰질 수 있다(안전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관될 수 있는 등). 일 양태에서, 헤드레스트는 의료 카트 상에 환자를 배치하도록 임상의를 안내하며 의사나 임상의에 의한 자기 치료제의 투여를 돕는 정렬 그리드를 포함한다. 헤드레스트의 형상 및 정렬 그리드의 위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 조립체의 위치 및 근접성에 따라 그리고 물리학의 원리(예를 들어, 중력 또는 자기력) 및 좌우 귀의 인체 해부학적 제약을 고려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환자의 머리(102)와 좌측 귀(104) 및 우측 귀(106)의 해부학적 구조를 단면도로 보여준다. 단면도는 환자의 머리 위에서 아래를 바라본 모습(횡단면)으로서, 코(108)가 상측 위치로 배향되며 후두부(110)가 하측 위치로 배향되어 있다. 우측 이도(112)(외이)의 배향 각도가 원추형 표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우측 고막(114)(우측 귀막)의 배향은 화살표 "우측 고막을 통한 방향"으로 표시되어 있다. 좌측 이도 배향(118) 및 좌측 고막(120)은 점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1은 환자의 대략적이거나 대표적인 해부학적 배향을 예시하며, 정확한 배향은 환자마다 다를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 예시된 이러한 해부학적 특징은 좌우 귀에 치료제를 투여하기 위한 환자의 최적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된다. 치료 절차 동안, 자기 치료제는 외이를 통해 이도 내로 투여되며, 중력과 자기력의 조합을 통해 중이로 유도된다. 자기 치료제는 복수의 치료용 자성 입자를 포함하며, 액상 조성물 또는 제형의 형태로 점적기 또는 주사기에 의해 외이를 통해 투여될 수도 있다.
도 2는 의료 카트 상의 제1 및 제2 약제 전달 위치에 있는 환자를 단면도로 예시한다. 제1 위치(222)는 환자의 우측 귀에 치료제를 투여하는 것과 연관되며, 제2 위치(224)는 환자의 좌측 귀에 치료제를 투여하는 것과 연관된다. 제1 위치(222) 및 제2 위치(224)는 액상 제형의 치료제가 외이에 머물면서 중력으로 인해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에 최적의 위치이다. 이러한 투여 위치(222, 224)는 개개의 외이도를 수평면 위의 위치에 배향하므로, 이도가 하향 각도를 가리키고 있지는 않다. 헤드레스트(226)의 형상은, 자기력 및 중력이 자기 치료제에 작용하여 치료제를 중이로 보내는 동안 환자가 제1 위치(222)에 편안하게 머물 수 있도록, 제1 위치(222)에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제1 머리 윤곽선(228)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헤드레스트(226)의 형상은 환자가 자신의 머리를 제2 위치(224)에 놓기 위한 제2 머리 윤곽선(230)을 포함한다. 헤드레스트(226)의 프로파일 도면은 제1 위치(222) 및 제2 위치(224)에서 환자의 머리를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가장자리(예를 들어, 정규 분포의 1번째 백분위수 및 99번째 백분위수)에 웨지(232, 234)를 갖는 정규 분포 곡선과 유사하다. 헤드레스트(226)는 발포재 또는 매우 단단한 메모리 폼과 같은 조밀한 지지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자기장을 생성하며 자기 치료제에 작용하는 헤드레스트(226)의 아래에 위치한 자석 조립체(236)를 추가로 보여준다. 다양한 양태에서, 자석 조립체(236)는 자석 조립체(236)가 환자에게 보이는 것을 방지하는 제거 가능한 페어링에 의해 덮일 수도 있다. 중이의 질환은 모든 연령대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지만, 중이염은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만연하다. 어린 아이의 경우, 부모나 자녀에게 위협이 될 수도 있는 임의의 다른 특징을 환자에게는 보여주지 않으면서 단순히 침대와 같은 치료 시스템을 친숙하게 보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 가능한 페어링은 자성 조립체를 숨기고 의료 카트가 통상적인 침대처럼 보이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환자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환자를 편안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환자가 안정되면, 움직임이 줄어들고, 환자의 귀가 수평면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이 줄어든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환자가 더 오랜 기간 동안 최적의 전달 위치에 머물 수 있게 하며, 치료제가 의도하지 않게 투여된 귀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 어레이(236)는 침대 플랫폼(238) 아래에 위치하며 헤드레스트(226)의 아래에 위치되어, 환자는 자성 어레이(236)를 볼 수 없다.
도 2는 자성 어레이(236)에 의해 생성된 지향성 자기력을 추가로 예시한다. 자기력(240a-n)은 자기력의 방향도 나타내는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자석 조립체(236)의 위치, 크기, 형상 및 자화는 자기력(240a, 240c)이 실질적으로 환자의 고막(귀막)(214, 220)을 통해 겨누어지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어, 자기력(240a)은 우측 고막(214)을 통해 겨누어지는 반면, 우측 이도 배향(212)은 수평면 위에 유지된다.
다양한 양태에서, 우측 귀와 좌측 귀 모두 단일 투여 세션에서 치료될 수도 있다. 단일 세션에서 양쪽 귀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 귀를 치료하고 나면 두 번째 귀를 치료해도 첫 번째 귀에 대해 방금 완료된 치료를 뒤집거나 부분적으로 뒤집지 않을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우측 귀(206)가 제1 치료 위치(222)에서 먼저 치료되어, 자기 치료제가 환자의 우측 중이 공간으로 끌어당겨 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환자의 좌측 귀가 우측 귀 이후에 나중에 치료될 수도 있다. 제2 치료 위치(224)에서 좌측 귀(204)를 치료하는 동안, "스트레이(stray)" 자기력이 우측 귀(206) 밖으로 자성 입자를 끌어당기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제1 치료 위치(222) 및 제2 치료 위치(224)는 자기력(240b, 240n)이 앞서 치료된 귀 내에 자기 치료제를 유지하도록 특별히 설계된다. 예를 들어, 환자가 제2 치료 위치(224)에 있을 때, 우측 귀(206')에 작용하는 자기력(240n)은 실질적으로 우측 고막을 통해 배향되지만, 좌측 귀(204)에 작용하는 자기력(240c)도 여전히 좌측 고막을 통해 배향되며 좌측 중이 공간 밖으로 입자를 역으로 끌어당기는 방식으로 배향되지는 않는다.
의료 카트는 환자의 머리를 자연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머리가 자성 조립체에 의해 생성된 자기력에 따라 배향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시스템은 첫 번째와 두 번째 귀 투여를 위해 중력 및 자기력에 따라 환자의 머리를 구체적으로 위치 결정하는 소정의 헤드레스트 형상을 개시한다. 또한, 임상의가 환자의 머리를 투여 위치에 빠르고 정확하게 배치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투명한 정렬 그리드가 가시적일 수도 있으며, 또는 헤드레스트에 새겨질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헤드레스트의 형상, 제1 및 제2 헤드레스트 윤곽선의 위치, 및 정렬 그리드의 위치는 자성 조립체에 대해 상대 위치 및 자성 조립체에 의해 생성된 힘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따라, 자성 조립체는 환자 이도 내의 치료제에 원하는 자기력(예를 들어, 투여 귀의 이도에서 경험하는 1 테슬라의 힘)을 생성하기 위해 자석의 위치, 크기, 형상 및 자화에 따라 구성된다. 자기장과 동일하지도 않으며 동등하지도 않은 자기력은 제1 투여 위치(222) 및 제2 투여 위치(224)에서 좌우 귀에 대한 방향성 힘(벡터)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벡터 자기장이 B로 표시되면(여기서 B=[Bx(x, y, z), By(x, y, z), Bz(x, y, z)]는 공간을 가로질러 변하는 3차원 벡터 X=(x, y, z)이다), 자성 나노입자에 작용하는 힘은
Figure pct00001
로 주어지며, 자체로 또한 공간을 가로질러 변하는 3차원 벡터, 즉, F=[Fx(x, y, z), Fy(x, y, z), FZ(x, y, z)]이다. 여기서,
Figure pct00002
는 자코비안 행렬이며, k는 자성 나노입자의 크기와 재료 매개 변수에 기초하여 달라지는 속성을 갖는 계수이다. 대안으로서 그리고 등가로, 자기력(F)은 또한
Figure pct00003
로 쓰여질 수 있다(여기서 grad는 기울기이며, ||B||는 B의 노름(norm)이다). 개시된 바와 같이, 자기력(F=[Fx(x,y,z), Fy(x, y, z), Fz(x, y, z)])이 원하는 방향으로 겨누어지도록, 즉, 도 3에 도시된 방향과 일치하도록 자석 조립체의 선택 요건을 선택하였다. 이 선택은 양쪽 귀에 대해 의도된 환자 머리 배향을 위해 올바른 방향으로 힘을 생성하는 가능한 자석 배치를 찾기 위해 자석 요소 배치에 대한 수학적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도 3은 의료 카트(350)를 포함하는 소아 환자(302)에게 자기 치료제를 투여하기 위한 시스템(300)을 보여준다. 본 양태에서, 자기 치료제 조성물은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는 치료 성분에 부착된 철과 같은 자성 나노입자 입자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자성 조립체(336)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348)의 결과인 자기력에 의해 이들 약제를 환자의 중이 내로 끌어당기도록 구성된다. 일 양태에서, 시스템(300)은 생후 6개월 정도의 어린 환자(302)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환자의 머리용 헤드레스트(326)는 환자 머리 직경에 기초하여 선택 또는 구성될 수도 있다. 자석은 시스템 내부의 헤드레스트 아래에서 볼 수 있으며, 환자 또는 환자 주변의 다른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시스템 또는 카트의 구조는 소형일 수 있으며, 바퀴가 장착될 수 있어,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다 쉽게 보관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헤드레스트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화될 수 있으며, 자석은 카트 내부의 헤드레스트 아래에 있다. 환자의 자연스러운 머리 위치는 헤드레스트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으며, 자기력이 외이도로부터 고막을 통해 중이로 향하도록 귀를 배향할 수 있다. 의료 카트는 자석 조립체로 앞서 치료한 귀가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 일 없이 한 번에 한쪽 귀를 치료하도록 구성된다.
도 4a 및 도 4b는 자성 어레이를 포함하는 자성 조립체(400)의 3차원 도면 및 프로파일 도면을 예시한다. 자성 조립체(400)는 치료제가 고막을 가로질러 유도되도록 자성 나노입자에 소정의 자기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해당 환자는, 자기장의 방향과 상이하며 구별되는 양쪽 고막과 동일한 방향으로 자기력의 방향이 배향되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자성 조립체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머리 배향에 대해, 즉, 제1 위치(222) 및 제2 위치(224) 모두에 대해 설계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성 조립체는 제조 비용, 용이성, 및 안전성에 기초하여 설계 및 구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자성 조립체(400)는 전자석, 영구 자석 또는 영구 자석 어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하나의 더 크고 더 강한 자석이 아닌, 다수의 강력하지만 더 작은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자성 조립체의 양태를 예시한다. 자석이 작을수록 하나의 큰 자석보다 구하기 더 쉬울 수 있으며, 제조 공정 동안 취급이 더 안전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의 자성 조립체(400)는 7개의 행(404)과 7개의 열(406)에 따라 배열된 복수의 기둥(402)으로 이루어진 자성 어레이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자성 어레이는 또한, 유사한 N 행 x N 열의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어, 이러한 N x N 구조는 자성제가 고막을 가로지르도록 하기에 충분한 소정의 자기력을 자성 나노입자에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자석 조립체는 투여 귀의 이도 내의 자기 치료제에 1 테슬라의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일 양태에서, 자석 조립체(400)의 기둥(402)은 네오디뮴 N42 디스크 자석과 같은 복수의 작은 디스크 자석(408)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디스크는 직경이 2인치이며 높이가 1인치이고 중간에 지지 봉이 지나가기 위한 1인치 홀이 있다. 복수의 디스크 자석은 지지 봉(410)과 함께 접합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복수의 디스크 각각은, 반대 극성의 단부가 서로 끌어 당겨지는 상태로, 동일한 수직 방향으로 자화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어레이의 각각의 기둥(402)에 대해 10개의 자성 디스크(408)가 있을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자석 조립체는 대략 폭이 14인치 ±1인치이며, 깊이가 14인치 ±1인치이며, 높이가 10인치 ±1인치일 수도 있다.
복수의 디스크의 자기장은 조합되어 각각의 기둥에 대한 결과적인 자기장을 생성한다. 유사하게, 복수의 기둥의 자기장은 조합되어 자성 조립체에 대한 결과적인 자기장을 생성한다. 이 때문에, 다양한 자성 조립체 기둥과 디스크의 조합에 의해 동일한 결과적인 자기장이 생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과적인 자기장은 자성 나노입자에 작용하는 산출 자기력에 따라 결정된다.
도 5a 내지 도 5d는 헤드레스트(325)의 표면 상의 투명한 정렬 그리드(346)에 따라 위치된 의료용 시뮬레이션 마네킹을 보여준다. 정렬 그리드(346)는 임상의가 자성 조립체에 의해 생성된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 자기력에 따라 환자의 머리를 쉽게 정렬할 수 있게 한다. 정렬 그리드가 높은 대비로 도시되도록 정렬 그리드가 헤드레스트의 어두운 색상과 대비되는 밝은 색상의 표시기일 수도 있으며 보호 덮개를 통해 보일 수 있다. 보호 또는 위생 덮개가 정렬 그리드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으며, 환자가 헤드레스트에 직접 접촉하는 일 없이, 임상의가 보호 커버를 통해 정렬 그리드를 볼 수 있게 한다. 다른 양태에서, 정렬 그리드(346)는 헤드레스트(326)의 표면에 새겨질 수도 있다. 유사하게, 이와 같이 물리적으로 새긴 것도 보호 덮개를 통해 인지될 수도 있다.
헤드레스트(326)는 또한 제거 가능할 수도 있으며, 정렬 그리드가 상부 침대 플랫폼(338) 아래의 자석 조립체와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헤드레스트를 부착하거나 정렬하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헤드레스트 표식을 필요로 할 것이다. 임상의는 환자의 뒤에 또는 옆에 서서 환자가 머리를 헤드레스트(326)의 정렬 그리드(346)와 정렬하는 것을 도울 것으로 예상된다. 추가적으로, 헤드레스트(326)는 다양한 환자 머리 직경에 맞춰 다양한 크기일 수도 있으며, 헤드레스트의 형상에 맞춰 고유하게 보정될 정렬 그리드를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헤드레스트의 제1 및 제2 머리 윤곽선의 형상 및 크기는 더 큰 크기나 더 작은 크기의 환자를 충족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이다. 이에 따라, 자기력이 자기 치료제에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 환자의 머리가 원하는 위치에 있도록 정렬 그리드가 보정된다.
도 5c는 우측 귀(306)가 치료를 위한 위치에 있는 제1 투여 위치(322)의 의료 시뮬레이션 마네킹을 보여준다. 정렬 그리드(346)는 수직 제1 위치 표시기(352), 수직 제2 위치 표시기(354), 및 수평 위치 표시기(356)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임상의는 수평 위치 표시기(356)에 따라 환자의 눈을 정렬하며 수직 제1 위치 표시기(352)에 따라 환자의 콧등을 정렬한다. 추가적으로, 임상의는 우측 외이(306)가 수평 위에 있도록 환자의 머리를 정렬한다.
도 5d는 선택적으로 상부 침대 플랫폼(338)의 상부에 위치된 매트리스(358), 조정 가능한 보안 벨트(360), 및 환자를 제자리에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가드 레일(370)을 포함하는 의료 카트를 보여준다. 도 6은 안전 바 또는 가드 레일(370)을 포함하는 의료 카트(350)의 평면도를 추가로 보여준다. 환자가 조정 가능한 보안 벨트(360)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긴 하지만, 가드 레일(370)로 의료 카트(350)의 측면을 추가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료 카트는 환자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가드 레일은 위치 전환 중에 환자가 카트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7은 위로 또는 아래로 접힐 수도 있는 캔틸레버 다리(366)를 포함하는 의료 카트(350)의 프로파일 도면을 보여준다. 일 양태에서, 의료 카트(350)는 전용 보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기존 검사실에 맞춰질 수도 있도록 소형 디자인일 수도 있다. 의료 카트(350)는 더 작은 보관 크기로 접히도록 상부 침대 플랫폼(338) 상에 접힘 힌지(37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의료 카트(350)는 의료 카트(350)의 위치 결정 및 재배치를 위한 하나 이상의 캐스터(362)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캐스터(362) 중 적어도 하나는 의료 카트(350)가 지면에 수직인 선회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게 하도록 지면을 따른 횡방향 운동에 대해 잠금 가능할 수도 있다. 위치가 선택되면, 의료 카트(350)는 캔틸레버 다리(366) 및 하나 이상의 캐스터 브레이크(364)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 후에는 카트를 접어 보관 영역에 넣을 수 있다. 도 7은 환자의 시야로부터 자석 조립체(336)를 가리는 제거 가능한 측면 페어링(368)을 추가로 보여준다. 자석 조립체(336)는 카트의 기단부(378)에 위치하며, 카트의 길이 방향 축선의 중심에 정렬된다.
도 8a 내지 도 8n은 의료 카트(350) 상에서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기 치료제를 투여하기 위한 치료 절차를 예시한다. 도 8a는 힌지형 상부 침대 플랫폼(338)을 위로 젖히고, 캔틸레버 다리(366)를 전개하고, 캐스터 브레이크(364)를 잠금으로써 제 위치에 고정된 의료 카트(350)를 보여준다. 도 8b는 환자의 머리가 헤드레스트(326) 위에 있도록 임상의가 의료 카트에 환자를 눕히고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8c는 임상의가 좌측 귀 투여 위치(324)에 환자의 머리를 정렬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8d는 수직 제2 위치 표시기(354)에 따라 정렬된 환자의 머리를 보여주며, 여기서 환자의 콧등이 수직 제2 위치 표시기(354)와 수직으로 정렬된다. 도 8e는 수평/횡방향 위치 표시기(356)에 따라 정렬된 환자의 머리를 보여주며, 여기서 환자의 눈이 수평/횡방향 위치 표시기(356)와 정렬된다. 도 8f는 좌측 귀(306)가 수평면 위에 위치되도록 대략 15도 내지 20도 회전된 환자의 머리를 보여준다. 환자의 머리가 투여 위치로 회전된 후, 임상의가 자기 치료제를 환자에게 투여한다. 도 8g는 임상의가 보안 하니스(360)로 환자를 고정하여 환자를 소정의 치료 기간 동안 투여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 보장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8h는 임상의가 환자를 우측 귀 투여 위치(322)로 조심스럽게 옮기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 8i는 수직 제1 위치 표시기(352)에 따라 정렬된 환자의 머리를 보여주며(우측 귀), 여기서 환자의 콧등이 수직 제1 위치 표시기(352)와 수직으로 정렬된다. 도 8j는 수평/횡방향 위치 표시기(356)에 따라 정렬된 환자의 머리를 보여주며, 여기서 환자의 눈이 수평/횡방향 위치 표시기(356)와 정렬된다. 도 8k는 우측 귀(304)가 수평면 위에 위치하도록 대략 15도 내지 20도 회전된 환자의 머리를 보여준다. 환자의 머리가 투여 위치로 회전된 후, 임상의가 자기 치료제를 환자에게 투여한다. 도 8l은 임상의가 보안 하니스(360)로 환자를 고정하여 환자를 소정의 치료 기간 동안 투여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 보장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8m은 환자가 의료 카트에서 내려가는 임상의가 것을 돕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 8n은 힌지형 상부 침대 플랫폼(338)이 보관 위치로 접히고 캔틸레버 다리(366)가 집어 넣어진 의료 카트의 보관 위치를 보여준다. 캐스터 브레이크(364)는 해제될 수도 있으며, 카트는 보관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는 의료 카트 상의 환자에게 자기 치료제를 투여하기 위한 흐름도를 보여준다. 환자가 의료 카트 상의 제1 투여 위치에 위치된다(502). 환자의 머리가 헤드레스트의 제1 머리 윤곽선에 위치된다. 환자의 콧등이 헤드레스트의 제1 위치 수직 표시기와 정렬된다(504). 환자의 눈이 헤드레스트의 수평 표시기와 정렬된다(506). 환자의 머리가 대략 15도 내지 20도 회전되어(508), 첫 번째 투여 귀가 수평면 위에 있다. 자기 치료제가 임상의에 의해 첫 번째 투여 귀 내로 투여된다(510). 치료제가 소정의 대기 기간 동안 첫 번째 투여 귀의 중이 공간 내로 자성 조립체에 의해 생성된 자기력에 의해 밀어넣어 진다(512). 소정의 대기 기간 후에, 환자가 두 번째 투여 귀에 대한 제2 투여 위치로 이동되거나 재배치된다(514). 환자의 콧등이 헤드레스트의 제2 위치 수직 표시기와 정렬된다(516). 환자의 눈이 헤드레스트의 수평 표시기와 재정렬된다(518). 환자의 머리가 대략 15도 내지 20도 회전되어(520), 두 번째 투여 귀가 수평면 위에 있다. 자기 치료제가 임상의에 의해 두 번째 투여 귀 내로 투여된다(522). 치료제가 소정의 대기 기간 동안 두 번째 투여 귀의 중이 공간 내로 자성 조립체에 의해 생성된 자기력에 의해 밀어넣어 진다(524). 환자가 제2 투여 위치에 있는 동안 내내, 첫 번째 귀에 투여된 치료제는 자성 조립체에 의해 생성된 자기력에 의해 밀어넣어져 첫 번째 귀의 표적 중이 공간에 유지된다(526).
도 10은 의료 카트를 구성하며 의료 카트 상의 환자에게 자기 치료제를 투여하기 위한 흐름도를 보여준다. 환자 머리 직경이 임상의에 의해 측정된다(602). 환자 머리 직경은 환자의 머리가 헤드레스트의 머리 윤곽선 위치에 꼭 맞도록 적절한 크기의 헤드레스트를 결정 및 선택하는 데 사용된다(604). 헤드레스트가 헤드레스트 상의 위치 표식에 따라 의료 카트 상의 상보형 표식과 정렬된다(606). 위치 표식에 의해 헤드레스트의 정렬 그리드가 원하는 환자 정렬 위치를 올바르게 나타내는 것이 보장된다. 환자가 의료 카트 상의 제1 투여 위치에 위치된다(608). 환자의 머리가 헤드레스트의 제1 머리 윤곽선에 위치된다. 환자의 콧등이 헤드레스트의 제1 위치 수직 표시기와 정렬된다(610). 환자의 눈이 헤드레스트의 수평 표시기와 정렬된다(612). 환자의 머리가 대략 15도 내지 20도 회전되어(614), 첫 번째 투여 귀가 수평면 위에 있다. 자기 치료제가 임상의에 의해 첫 번째 투여 귀 내로 투여된다(616). 소정의 대기 기간 동안 치료제가 자성 조립체에 의해 생성된 자기력에 의해 첫 번째 투여 귀의 중이 공간 내로 밀어넣어 진다(618). 소정의 대기 기간 후에, 환자가 두 번째 투여 귀에 대한 제2 투여 위치로 이동되거나 재배치된다(620). 환자의 콧등이 헤드레스트의 제2 위치 수직 표시기와 정렬된다(622). 환자의 눈이 헤드레스트의 수평 표시기와 재정렬된다(624). 환자의 머리가 대략 15도 내지 20도 회전되어(626), 두 번째 투여 귀가 수평면 위에 있다. 자기 치료제가 임상의에 의해 두 번째 투여 귀 내로 투여된다(628). 소정의 대기 기간 동안 치료제가 자성 조립체에 의해 생성된 자기력에 의해 두 번째 투여 귀의 중이 공간 내로 밀어넣어 진다(630). 환자가 제2 투여 위치에 있는 동안 내내, 첫 번째 귀에 투여된 치료제는 자성 조립체에 의해 생성된 자기력에 의해 밀어넣어져, 첫 번째 귀의 표적 중이 공간에 유지된다(632).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의 다양한 양태가 이하의 번호가 매겨진 예에 제시된다.
예 1: 상부 침대 플랫폼; 상기 상부 침대 플랫폼 아래에 위치한 자성 조립체로서, 상기 상부 침대 플랫폼의 길이 방향 축선 아래에 중심이 맞춰지며 자성제 전달 카트의 기단부에 정렬되는 자석 조립체; 상기 자성 조립체를 숨기도록 구성되며, 제거 가능한 하나 이상의 측면 페어링; 상기 상부 침대 플랫폼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자석 조립체의 중심 위에 위치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레스트는 제1 투여 위치에 있는 환자용으로 구성된 제1 머리 윤곽선 및 제2 투여 위치에 있는 환자용으로 구성된 제2 머리 윤곽선; 및 상기 제1 및 제2 투여 위치 및 상기 자석 조립체의 위치에 따라 구성된 정렬 그리드로서, 상기 제1 투여 위치에서 환자의 시상면에 대응하는 제1 위치 수직선, 상기 제2 투여 위치에서 환자의 시상면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수직선, 및 환자의 눈을 따라 횡방향 평면에 대응하는 수평선을 포함하는 정렬 그리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자성제 전달 카트.
예 2: 상기 자성 조립체는 복수의 자석 기둥의 자석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기둥은 미리 정해진 개수의 행 및 열을 갖는 행과 열의 격자 구조로 위치되는 것인, 예 1에 따른 자성제 전달 카트.
예 3: 상기 행과 열의 미리 정해진 개수는 자기 치료제에 가해지는 복수의 자기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예 2에 따른 자성제 전달 카트.
예 4: 제1 자기력은 상기 제1 투여 위치에서의 우측 귀에 기초하며, 제2 자기력은 상기 제1 투여 위치에서의 좌측 귀에 기초하며, 제3 자기력은 상기 제2 투여 위치에서의 우측 귀에 기초하며, 제4 자기력은 상기 제2 투여 위치에서의 좌측 귀에 기초하는 것인, 예 3에 따른 자성제 전달 카트.
예 5: 상기 복수의 기둥 각각은 복수의 자성 디스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자성 디스크는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접합되어 자화되는 것인, 예 2 내지 예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자성제 전달 카트.
예 6: 상기 복수의 기둥 각각은 동일한 개수의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인, 예 5에 따른 자성제 전달 카트.
예 7: 환자 고정 하니스; 캐스터를 제자리에 잠그기 위한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캐스터; 및 제1 보관 위치로부터, 자성제 전달 카트를 제자리에 고정하는, 제2 위치로 접히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 다리를 추가로 포함하는, 예 1 내지 예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자성제 전달 카트.
예 8: 상기 헤드레스트는 상기 자석 조립체에 따라 상기 헤드레스트를 배치하거나 부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정렬 표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예 1 내지 예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자성제 전달 카트.
예 9: 상기 헤드레스트는 제거 가능하며, 상이한 머리 직경에 윤곽이 맞춰지는 복수의 헤드레스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예 1 내지 예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자성제 전달 카트.
예 10: 치료 물질에 부착된 자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자기 치료제; 상부 침대 플랫폼, 상기 상부 침대 플랫폼 아래에 위치한 자성 조립체로서, 상기 상부 침대 플랫폼의 길이 방향 축선 아래에 중심이 맞춰지며 자성제 전달 카트의 기단부에 정렬되는 자석 조립체, 상기 자성 조립체를 숨기도록 구성되며 제거 가능한 하나 이상의 측면 페어링, 상기 상부 침대 플랫폼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자석 조립체의 중심 위에 위치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는 의료 카트로서, 상기 헤드레스트는 제1 투여 위치에 있는 환자용으로 구성된 제1 머리 윤곽선 및 제2 투여 위치에 있는 환자용으로 구성된 제2 머리 윤곽선 및 상기 제1 및 제2 투여 위치 및 상기 자석 조립체의 위치에 따라 구성된 정렬 그리드로서, 상기 제1 투여 위치에서 환자의 시상면에 대응하는 제1 위치 수직선, 제2 투여 위치에서 환자의 시상면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수직선, 및 환자의 눈을 따라 횡방향 평면에 대응하는 수평선을 포함하는 정렬 그리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의료 카트를 포함하는,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예 11: 상기 자성 조립체는 복수의 자석 기둥의 자석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기둥은 미리 정해진 개수의 행 및 열을 갖는 행과 열의 격자 구조로 위치되는 것인, 예 10에 따른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예 12: 상기 행과 열의 미리 정해진 개수는 자기 치료제에 가해지는 복수의 자기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예 11에 따른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예 13: 제1 자기력은 상기 제1 투여 위치에서의 우측 귀에 기초하며, 제2 자기력은 상기 제1 투여 위치에서의 좌측 귀에 기초하며, 제3 자기력은 상기 제2 투여 위치에서의 우측 귀에 기초하며, 제4 자기력은 상기 제2 투여 위치에서의 좌측 귀에 기초하는 것인, 예 12에 따른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예 14: 상기 복수의 기둥 각각은 복수의 자성 디스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자성 디스크는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접합되어 자화되는 것인, 예 10 내지 예 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예 15: 상기 복수의 기둥 각각은 동일한 개수의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인, 예 14에 따른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예 16: 환자 고정 하니스; 캐스터를 제자리에 잠그기 위한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캐스터; 및 제1 보관 위치로부터, 자성제 전달 카트를 제자리에 고정하는, 제2 위치로 접히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 다리를 추가로 포함하는, 예 10 내지 예 1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예 17: 상기 헤드레스트는 상기 자석 조립체에 따라 상기 헤드레스트를 배치하거나 부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정렬 표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예 10 내지 예 1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예 18: 상기 헤드레스트는 제거 가능하며, 상이한 헤드 직경에 윤곽이 맞춰지는 복수의 헤드레스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예 10 내지 예 1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예 19: 의료 카트 상의 제1 투여 위치에 환자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의료 카트는 자석 조립체 및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레스트는 제1 머리 윤곽선 및 제2 머리 윤곽선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레스트는 수평 정렬선, 제1 위치 수직 정렬선 및 제2 위치 수직 정렬선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환자의 콧등을 수직 제1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수평면 내의 환자의 눈을 수평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첫 번째 투여 귀가 수평면 위에 있도록 환자의 머리를 회전시키는 단계; 첫 번째 투여 귀에 자기 치료제를 투여하는 단계; 상기 자석 조립체에 의해, 환자의 첫 번째 귀의 중이 공간으로 자기 치료제를 밀어넣는 단계; 환자를 상기 의료 카트 상의 제2 투여 위치에 재배치하는 단계; 환자의 콧등을 수직 제2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수평면 내의 환자의 눈을 수평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두 번째 투여 귀가 수평면 위에 있도록 환자의 머리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자기 치료제를 두 번째 투여 귀에 투여하는 단계; 상기 자석 조립체에 의해, 상기 자기 치료제를 환자의 두 번째 귀의 중이 공간으로 밀어넣는 단계; 및 상기 자석 조립체에 의해, 첫 번째 투여 귀의 상기 자기 치료제를 환자의 두 번째 귀의 중이 공간에 남아 있도록 밀어넣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예 20: 환자의 머리에 맞춘 헤드레스트를 환자의 머리 직경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헤드레스트는 제1 머리 윤곽선 및 제2 머리 윤곽선을 포함하며, 수평 정렬선, 제1 위치 수직 정렬선, 및 제2 위치 수직 정렬선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자석 조립체에 대해 상대적인 하나 이상의 정렬 표식에 기초하여 의료 카트 상에 상기 헤드레스트를 정렬하는 단계; 자석 조립체 및 상기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의료 카트 상의 제1 투여 위치에 환자를 배치하는 단계; 환자의 콧등을 수직 제1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수평면 내의 환자의 눈을 수평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첫 번째 투여 귀가 수평면 위에 있도록 환자의 머리를 회전시키는 단계; 자기 치료제를 첫 번째 투여 귀에 투여하는 단계; 상기 자석 조립체에 의해, 자기 치료제를 환자의 첫 번째 귀의 중이 공간으로 밀어넣는 단계; 환자를 상기 의료 카트 상의 제2 투여 위치에 재배치하는 단계; 환자의 콧등을 수직 제2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수평면 내의 환자의 눈을 수평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두 번째 투여 귀가 수평면 위에 있도록 환자의 머리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자기 치료제를 두 번째 투여 귀에 투여하는 단계; 상기 자석 조립체에 의해, 상기 자기 치료제를 환자의 두 번째 귀의 중이 공간으로 밀어넣는 단계; 및 상기 자석 조립체에 의해, 첫 번째 투여 귀의 상기 자기 치료제를 환자의 두 번째 귀의 중이 공간에 남아 있도록 밀어넣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특정 양태가 위에서 상세히 개시되었지만, 설명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수의 양태는 위에서 단지 예로서 설명되었으며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필요한 또는 필수적인 요소로서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전술한 바에 추가하여, 예시적인 양태의 개시된 양태의 수정 및 대응하는 등가의 단계가, 이하의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개시의 이득을 포함하도록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범위는 이러한 수정 및 등가의 구조를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의미로 해셕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여러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특허, 특허 출원, 공보, 또는 기타 공개 자료는, 각각의 개별 참조가 각각 참조로서 명시적으로 인용되었던 것처럼,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인용된다.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인용된다고 하는 모든 참조 및 임의의 자료 또는 그 일부는 인용된 자료가 기존 정의, 진술 또는 본 개시에 제시된 다른 개시 자료와 충돌하지 않는 범위까지만 본 명세서에 인용된다. 이와 같이, 그리고 필요한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제시된 바와 같은 개시 내용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인용된 임의의 상충하는 자료를 대체하며 본 출원서에 명시적으로 설명된 개시 내용이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본 개시는 다양한 예 및 예시적 양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태는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양태의 다양한 세부 사항의 예시적인 특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해된다; 따라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가능한 한 개시된 양태의 하나 이상의 특징, 요소, 구성 요소, 성분, 구성 재료, 구조, 모듈, 및/또는 양태가 개시된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개시된 양태의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요소, 구성 요소, 성분, 구성 재료, 구조, 모듈, 및/또는 양태와 조합, 분리, 교환, 및/또는 재배열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예시적 양태 중 어느 하나의 다양한 대체, 수정 또는 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또한, 당업자는 본 개시 내용을 검토할 때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단지 일상적인 실험을 사용하여 인식하거나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다양한 양태의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 및 특히 첨부된 청구범위(예를 들어, 첨부된 청구범위의 본문)에 사용된 용어가 일반적으로 "개방형" 용어(예를 들어, "포함하는(including)"이라는 용어는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구비하는(having)"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구비하는"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포함한다(includes)"라는 용어는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등)로서 의도된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인식할 것이다. 만약 소개된 청구 항목의 특정 개수가 의도된다면, 이러한 의도는 청구범위에 명시적으로 나열될 것이며, 이러한 항목이 없을 경우에는 이러한 의도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추가로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첨부된 청구범위가 청구 항목을 소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이라는 소개용 문구의 사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동일한 청구항이 "하나 이상" 또는 "적어도 하나"라는 소개용 문구와 "a" 또는 "an"과 같은 부정 관사(예를 들어, "a" 및/또는 "an"은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문구의 사용이 부정 관사 "a" 또는 "an"에 의한 청구 항목의 소개가 이러한 소개된 청구 항목을 내포하는 임의의 특정 청구항을 이러한 항목을 하나만 내포하는 청구항으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것은 청구 항목을 소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관사의 사용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소개된 청구 항목의 특정 개수가 명시적으로 나열된다 하더라도, 이러한 항목은 전형적으로 적어도 나열된 개수를 의미하는(예를 들어, 다른 수식어 없이 "2개의 항목" 그대로의 항목은 전형적으로 적어도 2개의 항목, 또는 2개 이상의 항목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인식할 것이다. 또한, "A, B, 및 C 등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규약이 사용되는 이들 예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가 이러한 규약을 이해할 것이라는 의미로 의도된다(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시스템"은 A를 단독으로, B를 단독으로, C를 단독으로, A와 B를 함께, A와 C를 함께, B와 C를 함께, 및/또는 A, B, C를 함께 구비하는 등의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 B, 또는 C 등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규약이 사용되는 이들 예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가 이러한 규약을 이해할 것이라는 의미로 의도된다(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시스템"은 A를 단독으로, B를 단독으로, C를 단독으로, A와 B를 함께, A와 C를 함께, B와 C를 함께, 및/또는 A, B, C를 함께 구비하는 등의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설명, 청구범위 또는 도면이든지 간에 2개 이상의 대체 용어를 제시하는 이접 단어 및/또는 문구는 문맥이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용어 중 하나, 각각의 용어, 또는 두 용어 모두를 포함할 가능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 당업자라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A 또는 B"라는 문구는 전형적으로 "A" 또는 "B" 또는 "A와 B"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당업자는 청구범위에 나열된 동작이 일반적으로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청구 항목이 순서(들)로 제시되지만, 다양한 동작이 도시된 순서가 아닌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대체 순서 지정의 예에는, 문맥이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중첩, 삽입, 중단, 재정렬, 증분, 준비, 보충, 동시, 역방향, 또는 다른 변형 순서 지정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에 반응하는", "~에 관한" 또는 기타 과거 시제 형용사와 같은 용어는 일반적으로, 문맥이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이러한 변형을 배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일 양태", "양태", "예시", "일 예시" 등에 대한 모든 참조는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 주목할 가치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 내용 전반에 걸쳐 다양한 위치에서 "일 양태에서", "양태에서", "예시에서" 및 "일 예시에서"라는 문구의 등장이 반드시 모두 동일한 양태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하나 이상의 양태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 "a", "an" 및 "the"는 문맥이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참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한 없이 상단, 저부, 좌측, 우측, 하부, 상부, 전방, 후방 및 이들의 변형어와 같은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방향성 문구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요소의 배향과 관련될 것이며,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청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약" 또는 "대략"이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당업자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특정 값에 대한 허용 가능한 오차를 의미하며, 이것은 부분적으로 값이 측정되거나 결정되는 방식에 좌우된다. 특정 양태에서, 용어 "약" 또는 "대략"은 1, 2, 3, 또는 4 표준 편차 이내를 의미한다. 특정 양태에서, 용어 "약" 또는 "대략"은 주어진 값 또는 범위의 50%, 200%, 105%, 100%, 9%, 8%, 7%, 6%, 5%, 4%, 3%, 2%, 1%, 0.5% 또는 0.05% 이내를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모든 수치 매개 변수는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로 시작되고 수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여기서 수치 매개 변수는 매개 변수의 수치 값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 기본 측정 기술의 고유한 가변성 특성을 갖는다. 최소한도로서, 그리고 청구 범위에 대한 등가 원칙의 적용을 제한하려는 시도는 아닌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각의 수치 매개 변수는 적어도 보고된 유효 자릿수의 관점에서 일반적인 반올림 기술을 적용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임의의 수치 범위는 인용된 범위 내에 포함된 모든 하위 범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1 내지 100"의 범위는 인용된 최소값 1과 인용된 최대값 100 사이의(및 이를 포함하는), 즉, 최소값이 1 이상이고 최대값은 100 이하인 모든 하위 범위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 인용된 모든 범위는 인용된 범위의 끝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1 내지 100"의 범위에는 끝점 1과 100이 포함된다. 본 개시에 인용된 임의의 최대 수치 제한은 포함된 모든 하위 수치 제한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며, 본 개시에 인용된 임의의 최소 수치 제한은 포함된 모든 상위 수치 제한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이에 따라, 출원인은 명시적으로 인용된 범위 내에 포함된 임의의 하위 범위를 명시적으로 인용하기 위해 청구범위를 포함하여 본 개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한다. 이러한 모든 범위는 본 개시에 본질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본 개시에 언급되며 및/또는 임의의 출원 데이터 시트에 열거된 임의의 특허 출원, 특허, 비특허 간행물 또는 기타 공개 자료는 인용된 자료가 본 명세서와 불일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이와 같이, 그리고 필요한 범위 내에서, 본원에 명시적으로 설명된 개시 내용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상충 자료를 대체한다.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인용되었다고 말하지만 본 명세서에 명시된 기존 정의, 진술, 또는 기타 공개 자료와 충돌하는 모든 자료 또는 그 일부는 해당 인용 자료와 기존 개시 자료 간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까지만 인용될 것이다.
용어 "포함하는(comprise)"(및 "포함하는(comprises)" 및 "포함하는(comprising)"과 같은 포함하는 의 모든 형태), "구비하는(have)"(및 "구비하는(has)" 및 "구비하는(having)"과 같은 구비하는 의 모든 형태), "포함하는(include)" (및 "포함하는(includes)" 및 "포함하는(including)"과 같은 포함하는 의 모든 형태) 및 "내포하는(contain)"(및 "내포하는(contains)" 및 "내포하는(containing)"과 같은 내포하는 의 모든 형태)는 개방형 연결 동사이다. 결과적으로,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포함하는" 또는 "내포하는" 시스템은 이러한 하나 이상의 요소를 소유하지만, 이러한 하나 이상의 요소만을 소유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구비하는", "포함하는" 또는 "내포하는" 시스템, 장치 또는 장치의 요소는 이러한 하나 이상의 특징을 소유하지만, 이러한 하나 이상의 특징만을 소유하는 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요약하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개념을 채용한 결과인 많은 이점이 설명되었다. 하나 이상의 형태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이것은 철저히 개시된 정확한 형태이거나 이러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위의 가르침에 비추어 수정 또는 변형이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형태가 원리 및 그 실제 용례를 예시함으로써 당업자로 하여금 고려되는 특정 사용에 적합한 바와 같은 다양한 수정과 함께 다양한 형태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택 및 설명되었다. 본 명세서와 함께 제출된 청구범위가 전체 범위를 정의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자성제 전달 카트로서,
    상부 침대 플랫폼;
    상기 상부 침대 플랫폼 아래에 위치한 자성 조립체로서, 상기 상부 침대 플랫폼의 길이 방향 축선 아래에 중심이 맞춰지며 자성제 전달 카트의 기단부에 정렬되는 자성 조립체;
    상기 자성 조립체를 숨기도록 구성되며, 제거 가능한 하나 이상의 측면 페어링; 및
    상기 상부 침대 플랫폼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자성 조립체의 중심 위에 위치되는 헤드레스트
    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레스트는,
    제1 투여 위치에 있는 환자용으로 구성된 제1 머리 윤곽선 및 제2 투여 위치에 있는 환자용으로 구성된 제2 머리 윤곽선; 및
    상기 제1 및 제2 투여 위치 및 상기 자성 조립체의 위치에 따라 구성된 정렬 그리드로서, 상기 제1 투여 위치에서 환자의 시상면에 대응하는 제1 위치 수직선, 상기 제2 투여 위치에서 환자의 시상면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수직선, 및 환자의 눈을 따라 횡방향 평면에 대응하는 수평선을 포함하는 정렬 그리드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자성제 전달 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조립체는 복수의 자석 기둥의 자석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자석 기둥은 미리 정해진 개수의 행 및 열을 갖는 행과 열의 격자 구조로 위치되는 것인, 자성제 전달 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행과 열의 미리 정해진 개수는 자기 치료제에 가해지는 복수의 자기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자성제 전달 카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제1 자기력은 상기 제1 투여 위치에서의 우측 귀에 기초하며, 제2 자기력은 상기 제1 투여 위치에서의 좌측 귀에 기초하며, 제3 자기력은 상기 제2 투여 위치에서의 우측 귀에 기초하며, 제4 자기력은 상기 제2 투여 위치에서의 좌측 귀에 기초하는 것인, 자성제 전달 카트.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석 기둥 각각은 복수의 자성 디스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자성 디스크는 함께 접합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자화되는 것인, 자성제 전달 카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석 기둥 각각은 동일한 개수의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인, 자성제 전달 카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 고정 하니스;
    캐스터(caster)를 제자리에 잠그기 위한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캐스터; 및
    제1 보관 위치로부터, 자성제 전달 카트를 제자리에 고정하는, 제2 위치로 접히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 다리
    를 추가로 포함하는 자성제 전달 카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는 상기 자성 조립체에 따라 상기 헤드레스트를 배치하거나 부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정렬 표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자성제 전달 카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는 제거 가능하며, 상이한 머리 직경에 윤곽이 맞춰지는 복수의 헤드레스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자성제 전달 카트.
  10.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치료 물질에 부착된 자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자기 치료제; 및
    의료 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 카트는
    상부 침대 플랫폼;
    상기 상부 침대 플랫폼 아래에 위치한 자성 조립체로서, 상기 상부 침대 플랫폼의 길이 방향 축선 아래에 중심이 맞춰지며 자성제 전달 카트의 기단부에 정렬되는 자성 조립체;
    상기 자성 조립체를 숨기도록 구성되며 제거 가능한 하나 이상의 측면 페어링; 및
    상기 상부 침대 플랫폼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자성 조립체의 중심 위에 위치되는 헤드레스트
    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레스트는,
    제1 투여 위치에 있는 환자용으로 구성된 제1 머리 윤곽선 및 제2 투여 위치에 있는 환자용으로 구성된 제2 머리 윤곽선; 및
    상기 제1 및 제2 투여 위치 및 상기 자성 조립체의 위치에 따라 구성된 정렬 그리드로서, 상기 제1 투여 위치에서 환자의 시상면에 대응하는 제1 위치 수직선, 제2 투여 위치에서 환자의 시상면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수직선, 및 환자의 눈을 따라 횡방향 평면에 대응하는 수평선을 포함하는 정렬 그리드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조립체는 복수의 자석 기둥의 자석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자석 기둥은 미리 정해진 개수의 행 및 열을 갖는 행과 열의 격자 구조로 위치되는 것인,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과 열의 미리 정해진 개수는 자기 치료제에 가해지는 복수의 자기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1 자기력은 상기 제1 투여 위치에서의 우측 귀에 기초하며, 제2 자기력은 상기 제1 투여 위치에서의 좌측 귀에 기초하며, 제3 자기력은 상기 제2 투여 위치에서의 우측 귀에 기초하며, 제4 자기력은 상기 제2 투여 위치에서의 좌측 귀에 기초하는 것인,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석 기둥 각각은 복수의 자성 디스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자성 디스크는 함께 접합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자화되는 것인,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석 기둥 각각은 동일한 개수의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인,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 고정 하니스;
    캐스터를 제자리에 잠그기 위한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캐스터; 및
    제1 보관 위치로부터, 자성제 전달 카트를 제자리에 고정하는, 제2 위치로 접히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 다리
    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7. 제 10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는 상기 자성 조립체에 따라 상기 헤드레스트를 배치하거나 부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정렬 표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8. 제 10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는 제거 가능하며, 상이한 헤드 직경에 윤곽이 맞춰지는 복수의 헤드레스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9.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의료 카트 상의 제1 투여 위치에 환자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의료 카트는 자석 조립체 및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레스트는 제1 머리 윤곽선 및 제2 머리 윤곽선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레스트는 수평 정렬선, 제1 위치 수직 정렬선 및 제2 위치 수직 정렬선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환자의 콧등을 수직 제1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수평면 내의 환자의 눈을 수평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첫 번째 투여 귀가 수평면 위에 있도록 환자의 머리를 회전시키는 단계;
    첫 번째 투여 귀에 자기 치료제를 투여하는 단계;
    상기 자석 조립체에 의해, 환자의 첫 번째 귀의 중이 공간으로 자기 치료제를 밀어넣는 단계;
    환자를 상기 의료 카트 상의 제2 투여 위치에 재배치하는 단계;
    환자의 콧등을 수직 제2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수평면 내의 환자의 눈을 수평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두 번째 투여 귀가 수평면 위에 있도록 환자의 머리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자기 치료제를 두 번째 투여 귀에 투여하는 단계;
    상기 자석 조립체에 의해, 상기 자기 치료제를 환자의 두 번째 귀의 중이 공간으로 밀어넣는 단계; 및
    상기 자석 조립체에 의해, 첫 번째 투여 귀의 상기 자기 치료제를 환자의 두 번째 귀의 중이 공간에 남아 있도록 밀어넣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20.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환자의 머리에 맞춘 헤드레스트를 환자의 머리 직경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헤드레스트는 제1 머리 윤곽선 및 제2 머리 윤곽선을 포함하며, 수평 정렬선, 제1 위치 수직 정렬선, 및 제2 위치 수직 정렬선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자석 조립체에 대해 상대적인 하나 이상의 정렬 표식에 기초하여 의료 카트 상에 상기 헤드레스트를 정렬하는 단계;
    자석 조립체 및 상기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의료 카트 상의 제1 투여 위치에 환자를 배치하는 단계;
    환자의 콧등을 수직 제1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수평면 내의 환자의 눈을 수평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첫 번째 투여 귀가 수평면 위에 있도록 환자의 머리를 회전시키는 단계;
    자기 치료제를 첫 번째 투여 귀에 투여하는 단계;
    상기 자석 조립체에 의해, 자기 치료제를 환자의 첫 번째 귀의 중이 공간으로 밀어넣는 단계;
    환자를 상기 의료 카트 상의 제2 투여 위치에 재배치하는 단계;
    환자의 콧등을 수직 제2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수평면 내의 환자의 눈을 수평 위치 표시기와 정렬하는 단계;
    두 번째 투여 귀가 수평면 위에 있도록 환자의 머리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자기 치료제를 두 번째 투여 귀에 투여하는 단계;
    상기 자석 조립체에 의해, 상기 자기 치료제를 환자의 두 번째 귀의 중이 공간으로 밀어넣는 단계; 및
    상기 자석 조립체에 의해, 첫 번째 투여 귀의 상기 자기 치료제를 환자의 두 번째 귀의 중이 공간에 남아 있도록 밀어넣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도를 통해 환자에게 자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KR1020237024121A 2020-12-15 2021-12-15 중이 상태의 자기 치료를 위한 의료 카트 KR202301670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125825P 2020-12-15 2020-12-15
US63/125,825 2020-12-15
PCT/US2021/072938 WO2022133459A1 (en) 2020-12-15 2021-12-15 Medical cart for magnetic treatment of middle ear cond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014A true KR20230167014A (ko) 2023-12-07

Family

ID=8021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4121A KR20230167014A (ko) 2020-12-15 2021-12-15 중이 상태의 자기 치료를 위한 의료 카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40156660A1 (ko)
EP (1) EP4262959A1 (ko)
JP (1) JP2023554373A (ko)
KR (1) KR20230167014A (ko)
CN (1) CN117062644A (ko)
AU (1) AU2021403179A1 (ko)
CA (1) CA3202343A1 (ko)
IL (1) IL303715A (ko)
MX (1) MX2023007105A (ko)
TW (1) TW202245719A (ko)
WO (1) WO202213345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86125C (en) * 2001-03-29 2010-05-04 Kci Licensing, Inc. Prone positioning therapeutic bed
EP2224994B1 (en) * 2007-12-20 2019-10-23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Systems for magnetic-assisted therapeutic agent delivery
US9883878B2 (en) * 2012-05-15 2018-02-06 Pulse Therapeutics, Inc. Magnetic-bas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ipulation of magnetic particles
WO2018164755A1 (en) * 2017-03-06 2018-09-13 Neural Analytics, Inc. Headset system
CA3069671A1 (en) 2017-06-30 2019-01-03 Otomagnetics, Inc. Magnetic nanoparticles for targeted deli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403179A1 (en) 2023-08-03
JP2023554373A (ja) 2023-12-27
MX2023007105A (es) 2023-08-14
CN117062644A (zh) 2023-11-14
IL303715A (en) 2023-08-01
EP4262959A1 (en) 2023-10-25
CA3202343A1 (en) 2022-06-23
US20240156660A1 (en) 2024-05-16
WO2022133459A1 (en) 2022-06-23
TW202245719A (zh)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8925T3 (es) Aparato para el posicionamiento de bobinas para estudios de emt.
DK2252367T3 (en) Device for coil positioning for tms study
Parker et al. Standard and nonstandard craniospinal radiotherapy using helical TomoTherapy
EP3122256B1 (en) Radiotherapy board and couch
Weber et al. Proton beam radiotherapy versus fractionated stereotactic radiotherapy for uveal melanomas: A comparative study
Fukunaga-Johnson et al. The use of 3D conformal radiotherapy (3D CRT) to spare the cochlea in patients with medulloblastoma
Nuttin et al. Targeting bed nucleus of the stria terminalis for severe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more unexpected lead placement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than in surgery for movement disorders
Chen et al. Personalized dynamic transport of magnetic nanorobots inside the brain vasculature
Georg et al. Impact of a micromultileaf collimator on stereotactic radiotherapy of uveal melanoma
EP3581240B1 (en) Immobilisation device for radiotherapy
Samoudi et al. Deep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improved coil design and assessment of the induced fields using MIDA model
US20130254991A1 (en) Patient support platform system for breast therapy
Saw et al. Immobilization devices for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KR20230167014A (ko) 중이 상태의 자기 치료를 위한 의료 카트
US20150374543A1 (en) Device and methods for directing agents into an eye
CN108042533A (zh) 右美托米定在制备用于预防和/或抑制创伤性脑损伤后的神经元死亡的药物组合物中的用途
CN202605278U (zh) 一种位置可调的头枕
Olch et al. Reproducibility and treatment planning advantages of a carbon fiber relocatable head fixation system
EP3013287A1 (en) Device and methods for directing agents into an eye
US2024013953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haping magnetics fields to align forces on magnetic particles for patient anatomy and motion
CN208785269U (zh) 一种药灸保健床
Pfeiffer et al. OCTOPUS, a planning tool for proton therapy of eye tumours
Phillips Keeping depression at bay helps patients with Parkinson disease
CA3235025A1 (en) Treatment device
Siddiqui The development of a platform for hyperthermia induction in small animal cancer models using MRI guided Focused Ultrasound to test drug delivery of thermosensitive lipos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