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837A - Food wast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Food wast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837A
KR20230166837A KR1020220138436A KR20220138436A KR20230166837A KR 20230166837 A KR20230166837 A KR 20230166837A KR 1020220138436 A KR1020220138436 A KR 1020220138436A KR 20220138436 A KR20220138436 A KR 20220138436A KR 20230166837 A KR20230166837 A KR 20230166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evice
ball
control unit
food waste
signal log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승현
김연근
권구대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66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83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01R31/343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i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8Stirring or kn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7/00Measuring arrangements involving comparison with a reference value, e.g. bridge
    • G01R17/02Arrangements in which the value to be measured is automatically compared with a reference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38Circuits for comparing several input signal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of this comparison, e.g. equal, different, greater, smalle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according to amplitu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0Kitchen refuse; Food was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와,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된 상기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교반 또는 분쇄하기 위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처리기의 입력전압에 따른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을 마련하는 (a) 단계,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 중 초기 선택된 어느 하나와 상기 구동장치의 전기적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하는 (b)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한 경우,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 해제 후 상기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 중 다른 신호논리테이블을 재수립하는 (c)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수립된 신호논리테이블과 상기 구동장치의 전기적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하는 (d)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er comprising a ball receiving unit provided therein with a ball for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treated, and a driving device provid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to stir or pulverize the object to be treated inside the ball provided in the ball receiving unit. In the control method, in the step (a) of preparing a plurality of signal logic tables according to the input voltage of the food waste disposer, the control unit compares an electrical signal of the driving device with one initially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signal logic tables. In the step (b) of determining whether the driving device is constrained, the control unit, when determining that the driving device is constrained, re-establishes another signal logical table among the plurality of signal logical tables after releasing the con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 A control method for a food waste disposer,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re-established signal logic table with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drive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 device is locked. provides.

Description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FOOD WAST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Food waste disposer and control method of the food waste disposer {FOOD WAST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처리 가능한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ntrol method of a food waste disposer capable of processing food waste so that it can be easily disposed of.

통상 음식물쓰레기는 분리수거를 위해 음식물쓰레기 저장통에 일정기간 소정의 양만큼 모아두었다가 배출하여야 하는 실정이다.Normally, food waste must be collected in a certain amount in a food waste storage bi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discharged for separate collection.

그러함에도 가정이나 식당 등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악취를 풍기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However, because food waste discharged from homes and restaurants contains a lot of moisture and emits a foul odor, it is difficult to dispose of it.

이러한 실정에 따라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등장하였지만, 대부분 부피가 크고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아 실생활에까지는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In response to this situation, food waste treatment devices that can process food waste have appeared, but most of them are bulky and inconvenient in use, so they are not used in real life.

이에 따라, 최근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607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4110호 등에서는 음식물처리기를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전제품의 형태로 개발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음식물처리기는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bowl)과,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하는 날개와, 볼 내부의 피처리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가열장치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Accordingly, recen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56076,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44110, etc. are developing food waste disposers in the form of home appliances that can be used at home, and these food waste disposers are generally Components include a bowl that accommodates materials such as food waste, wings that crush and/or stir the materials inside the bowl, and a heating device that applies heat to dry the materials inside the bowl. It includes.

이러한 음식물처리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볼 내부에 분쇄가 불가능한 뼈, 숟가락, 젓가락 등과 같은 이물질이 투입되는 경우, 날개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에 무리를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the process of using such a food waste disposer, if foreign substances such as bones, spoons, chopsticks, etc. that cannot be pulverized are inserted into the bowl, there is a problem that it may put a strain on the driving device for rotating the blades.

따라서, 구동장치의 구속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구동장치의 고장이나 파손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vent failure or damage of the driving device in advance by detecting the restrained state of the driving device.

통상적으로 음식물처리기의 구동장치의 구속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구동장치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기준 전류값보다 낮은 전류값이 측정될 때에는 구속으로 판단하지만, 저전압 상황에서는 실제로 구속상태가 아닌 정상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기준 전류값보다 낮은 전류값이 측정되어 구속으로 오판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Normally,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ing device of a food waste disposer is locked, the current value output from the driving device is used, and when a current value lower than the preset reference current value is measured, it is judged to be locked, but in a low voltage situation, it is actually locked. Even though it is in a normal state, there may be cases where a current value lower than the reference current value is measured and misjudged as a restraint.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필요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necessary technologies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KRKR 10-2011-0056076 10-2011-0056076 A1A1 KRKR 10-2016-0044110 10-2016-0044110 A1A1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의 볼 내 피처리물을 교반 또는 분쇄하기 위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의 구속여부를 다양한 전원환경에서 판단할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food waste dispos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determine in various power environments whether a driving device that provides rotational driving force for stirring or pulverizing the object to be treated in the bowl of the food waste disposer is constrain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와,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된 상기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교반 또는 분쇄하기 위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처리기의 입력전압에 따른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을 마련하는 (a) 단계,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 중 초기 선택된 어느 하나와 상기 구동장치의 전기적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하는 (b)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한 경우,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 해제 후 상기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 중 다른 신호논리테이블을 재수립하는 (c)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수립된 신호논리테이블과 상기 구동장치의 전기적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하는 (d)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ll receiving portion in which a ball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treated is provided therein, and a drive that provid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to agitate or pulverize the object to be treated inside the ball provided in the ball receiving part. A control method of a food waste disposer including a device, comprising: step (a) of preparing a plurality of signal logic tables according to an input voltage of the food waste disposer, wherein a control unit initially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signal logic tables and Step (b) of determining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by comparing electrical signals of the devices,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riving device is restrained, another signal logic among the plurality of signal logic tables after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Step (c) of re-establishing the table, and (d) wher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by comparing the re-established signal logic table with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driving device. Provides a control method for a food waste disposer.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한 경우, 외부로 구속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a restraint alarm to the outside when determining that the driving device is restrain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재수립된 신호논리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한 경우, 상기 (c) 단계 및 (d)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riving device is constrained based on the re-established signal logic table, steps (c) and (d) may be repeat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어느 한 상기 재수립된 신호논리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 판단 없이 소정의 동작모드에 따른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을 중단 없이 완료한 경우, 현재 상기 신호논리테이블을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control unit complete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mode without interruption without determining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based on the re-established signal logic table, the current signal Logical tables can be fix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처리기에 신규 전원 인가시 상기 고정된 신호논리테이블을 해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release the fixed signal logic table when new power is applied to the food waste disposer.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입력전압별 상기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 중 재수립시마다 순차적으로 그리고 단계적으로 저전압의 상기 신호논리테이블을 재수립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step (c), the control unit may sequentially and step-by-step re-establish the low-voltage signal logic table each time it re-establishes one of the plurality of signal logic tables for each input voltag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볼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의 개방 후 상기 볼이 상기 볼수납부에서 이탈하였을 때,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 해제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step (c),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release of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when the ball leaves the ball storage unit after opening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ball storage unit.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 해제를 판단한 이후, 상기 볼수납부에 상기 볼의 장착시 상기 신호논리테이블을 재수립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step (c), the control unit may re-establish the signal logic table when the ball is installed in the ball storage unit after determining release of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장치의 전기적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파손여부를 판단하는 (b-1)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장치의 파손을 판단하지 않은 경우, 상기 구동장치의 상기 전기적신호를 수집하는 (b-2)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전기적신호를 상기 선택된 신호논리테이블의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하는 (b-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b) is a step (b-1) wher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driving device is damaged us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driving device,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driving device is damaged. If damage is not determined, (b-2) collecting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driving device, and the control unit, if the collected electrical signal is outside the normal range of the selected signal logical table, the driving device It may include step (b-3) of determining restraint.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b-2)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장치의 파손을 판단하지 않은 경우, 상기 구동장치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장치의 상기 전기적신호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b-2) includes, when the control unit does not determine that the driving device is damaged, driving the driving devic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the controll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llecting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driv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된 상기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교반 또는 분쇄하기 위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 및 상기 음식물처리기의 입력전압에 따라 기 마련된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을 중 초기 선택된 어느 하나와 상기 구동장치의 전기적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한 경우,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 해제 후 상기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 중 다른 신호논리테이블을 재수립한 다음, 상기 재수립된 신호논리테이블과 상기 구동장치의 전기적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 receiving unit in which a ball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treated is provided therein, a driving device that provid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to stir or pulverize the object to be treated inside the ball provided in the ball receiving part, and the foo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restraint of the drive device by comparing an electrical signal of the drive device with one initially selected among a plurality of signal logic tables prepared according to the input voltage of the processor,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restraint of the drive device. When restraint is determined, after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another signal logic table among the plurality of signal logic tables is re-established, and then the re-established signal logic table is compared with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driving device to determine the driving device's A food waste disposer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restrai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처리기의 볼 내 피처리물을 교반 또는 분쇄하기 위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의 구속여부를 다양한 전원환경에서 오판없이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ithout misjudgment in various power environments whether a driving device that provides rotational driving force for stirring or pulverizing objects in the bowl of a food waste disposer is restr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이 음식물처리기 본체에 수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생략된 음식물처리기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기계실 내 냉동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순환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의 차단부가 처리구를 막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본체용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본체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와 구동장치 간의 관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신호논리테이블을 재수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하는 과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신호논리테이블을 재수립하는 과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food waste dispo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food waste disposer with the door o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ball stored in the main body of a food waste dispo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a food waste disposer with the door omit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refrigeration cycle in the machine room of a food waste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air flow inside a food waste dispo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irculation system of a food waste dispo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a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view showing the blocking portion of the ball blocking the treatment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main container of the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body container of the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relationship diagram between a control unit and a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food waste dispo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control unit re-establishes a signal logic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 process in which the control unit determines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 process in which the control unit re-establishes a signal logic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unit”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and of themselve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음식물처리기food waste process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이 음식물처리기 본체에 수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food waste dispo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food waste disposer with an open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food waste disposer with an open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howing a ball being stored in the main body of a food waste dispo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내부에 볼(bowl)(50)이 수납되는 본체(10)와, 본체(10)에 마련되어 본체(10) 내 볼(50)이 수용되는 볼수납부(12)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food waste dispos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10 in which a bowl 50 is stored, and a main body 10 ( 10) It may include a door 20 that opens and closes the ball storage portion 12 where the inner ball 50 is accommodated.

여기서 볼(50)은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사용자는 볼(50) 내부에 피처리물을 담은 다음, 볼(50)을 본체(10) 내 볼수납부(12)에 장착시키면, 본체(10) 내 마련된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은 건조되고, 또 본체(10) 내 마련된 구동장치(34)에 의해 커플링된 볼(50) 내부의 가동날개는 회동함으로써, 볼(50) 내부의 고정날개와의 상호작용으로 피건조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시킬 수 있다.Here, the ball 50 is a container that accommodates the object to be treated, such as food waste. The user puts the object to be treated inside the ball 50 and then places the ball 50 in the ball storage unit 12 of the main body 10. When mounted, the object to be treated inside the ball 50 is dried by the heating plate 13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nd the ball 50 is coupled by the driving device 34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By rotating the internal movable blades, the object to be dried can be pulverized and/or stirred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fixed blades inside the ball 50.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Below, we will look at each component.

본체(10)는 음식물처리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볼(50)이 수용되는 볼수납부(12)와,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처리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 forms the exterior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and is provided with a ball receiving portion 12 in which the balls 50 are accommodated, and various devices for processing the objects inside the balls 50. It may include a machine room.

본체(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측에 개폐가능한 도어(2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본체(10)의 도어(20)가 마련된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n openable door 2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preferably on the front side. In this specification, for easy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20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is assumed to be forward.

도어(20)의 개방시 볼수납부(12)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도어(20)를 개방하고 볼(50)을 볼수납부(12)에 장착한 다음, 도어(20)를 폐쇄함으로써 음식물처리기(1)에 의해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처리케할 수 있다.When the door 20 is opened, 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user opens the door 20, installs the ball 50 into 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and then closes the door 20. By doing so, the material to be treated inside the bowl 50 can be treated by the food waste processor 1.

볼수납부(12)는 도어(20) 폐쇄시 외부와 격리되어, 피처리물을 처리할 때 볼(50) 내부의 피처리물로부터 유발되는 악취 등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체(10)와 도어(20)가 마주 접하는 부분에는 씰링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도어(20) 폐쇄시 볼수납부(12)는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when the door 20 is closed, and in order to prevent odors caused by the object inside the ball 50 from leaking out when processing the object, the main body 10 ) and the door 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ealing member (not shown) is provided so that 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maintains airtightness when the door 20 is closed.

볼수납부(12)의 저면에는 히팅플레이트(13)가 마련될 수 있다.A heating plate 13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히팅플레이트(13)는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수단으로서, 전기를 이용하여 볼(50) 및/또는 그 내부의 피처리물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볼(50) 및/또는 그 내부의 피처리물을 가열하는 방식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히팅플레이트(13)는 피가열물을 전기히터 따위의 발열체를 이용하여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도 있고, 유도가열을 이용한 인덕션방식으로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도 있다.The heating plate 13 is a means of heating the object to be heated, and can apply heat to the ball 50 and/or the object to be treated therein using electricity.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pecifically limit the method of heating the ball 50 and/or the object to be treated therein, but the heating plate 13 heats the object to be heated using a heating element such as an electric heater. Alternatively, the object to be heated can be heated using an induction method using induction heating.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해진 열에 의해,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은 가열되어 건조될 수 있다.By the heat applied by the heating plate 13, the object to be treated inside the ball 50 mounted on 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can be heated and dried.

구체적으로,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볼(50)의 내부는 젖은 피처리물로부터 고온의 습증기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피처리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습증기를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등은 본체(10) 내 기계실에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high-temperature wet steam can be generated from a wet object to be treated inside the ball 50 by the heating plate 13, and a device for removing moisture by condensing the wet steam to dry the object to be treated is used. It may be provided in a machine room within the main body 1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생략된 음식물처리기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기계실 내 냉동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a food waste disposer with the door omit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refrigeration cycle in the machine room of the food waste dispo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기계실에는 볼(50) 내부의 습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해 압축기(48)와, 응축기(47)와, 증발기(45)와, 유량조절밸브(46)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기계실은 고장 발생 등에 사용자가 아닌 작업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볼수납부(12)와 구획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0)의 외피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수리 등을 위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machine room of the main body 10 includes a compressor 48, a condenser 47, an evaporator 45, and a flow control valve ( 46) can be provided.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hat the machine room is separated from the ball storage portion 12 so that only workers, not users, can access it in the event of a malfunction, and at least some areas of the outer shell of the main body 10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repairs, etc.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i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10)의 내부에는 볼수납부(12)를 형성하는 볼수용하우징(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볼(50)이 볼수납부(12)에 장착시 볼수용하우징(14)은 도어(20)와 함께 볼(50)을 감쌀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ball receiving housing 14 forming 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and when the ball 50 is mounted on 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The ball receiving housing 14 can surround the ball 50 together with the door 20.

볼수용하우징(14)은 측면이 원통형의 볼(50) 또는 용기본체(51)의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볼(50) 또는 용기본체(51)의 측면과 상응하는 둥글게 굽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ball receiving housing 14 may have a round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ball 50 or the container body 51 so that the side can surround the side of the cylindrical ball 50 or the container body 51. .

볼수용하우징(14)에 의해, 그 내부에 형성되는 볼수납부(12)는 그 외부의 본체(10) 내 기계실과 구획될 수 있으나, 다만, 볼수용하우징(14)의 내부에 볼(50)이 장착되었을 때, 볼(50)의 내부와 기계실 내 일 장치 간에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볼수용하우징(14)은 일측에 관통형성된 연통구(141)를 가질 수 있다.By the ball receiving housing 14, 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formed inside the ball receiving housing 14 may be separated from the machine room inside the main body 10 outside the ball receiving housing 14. However, the balls 50 are placed inside the ball receiving housing 14. When mounted, the ball receiving housing 14 may have a communication hole 141 formed through one side so that the inside of the ball 50 and a device in the machine room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볼수용하우징(14)에 관통형성된 연통구(141)는 볼수용하우징(14) 내 장착된 볼(50)의 통기구(미도시)와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통구(141)는 전방측, 즉 도어(20)측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도 4 참조), 볼(50)의 내외부를 서로 연통하는 볼(50)의 통기구는 볼(50)이 볼수납부(12)에 장착시 상기 연통구(141)와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hole 141 formed through the ball-receiving housing 14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ventilation hole (not shown) of the ball 50 mounted in the ball-receiving housing 14. As an example, the communication hole 141 may be located toward the front side, that is, towards the door 20 (see FIG. 4), and the ventilation hole of the ball 50 that communicate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all 50 with each other is the ball ( 50)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communication port 141 when mounted on 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이에 따라, 볼수용하우징(14) 내 볼(50)이 장착되면, 볼(50)의 통기구는 기계실 내 일 장치(일 예로, 증발기)와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를 통해 서로 연통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all 50 is mounted in the ball receiving housing 14, the ventilation hole of the ball 50 is connected to a device in the machine room (for example, an evaporato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141 of the ball receiving housing 14. They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 볼수용하우징(14)의 일측, 즉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의 후방 외측에는, 내부에 증발기(45)가 수용된 증발기함(451)이 마련될 수 있고, 이때, 증발기함(451)의 일측(일 예로 전방측)에 형성된 개구부가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와 마주하도록 마련됨으로써, 볼수용하우징(14) 내 볼(50) 장착시, 볼(50)의 내부는 볼(50)의 통기구와,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내부에 마련된 증발기(45)와 연통될 수 있다.Specifically, on one side of the ball-receiving housing 14, that is, on the rear outer side of the communication port 141 of the ball-receiving housing 14, an evaporator box 451 containing the evaporator 45 may be provided, and at this time, , the opening formed on one side (for example, the front side) of the evaporator box 451 is provided to face the communication opening 141 of the ball receiving housing 14, so that when the ball 50 is installed in the ball receiving housing 14, The inside of the ball 5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evaporator 45 provided inside the evaporator box 451 through the vent hole of the ball 50 and the communication hole 141 of the ball receiving housing 14.

이렇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5)와 응축기(47)는 증발기함(451)에 의해 분리되어 구획된 서로 다른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함(451)은, 내부에 응축기(47)를 제외한 증발기(45)만을 수용하는 함체일 수 있고, 응축기(47)는 증발기함(451) 외부의 기계실 내 마련될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food waste dispos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porator 45 and the condenser 47, which are heat exchangers, may be provided in different spaces separated by the evaporator box 451. That is, the evaporator box 45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housing that accommodates only the evaporator 45 excluding the condenser 47 inside, and the condenser 47 is located in the machine room outside the evaporator box 451. It can be arranged within me.

증발기함(45)은 내부 수용공간에 증발기(45)를 수용하되, 다만 냉매가 증발기함(45) 외부에 마련된 기계실의 압축기(48) 및 응축기(47)와 순환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evaporator box 45 accommodates the evaporator 45 in an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but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refrigerant can circulate with the compressor 48 and the condenser 47 in the machine room provided outside the evaporator box 45.

냉동사이클의 구동으로, 냉매는 압축기(48)와, 응축기(47)와, 유량조절밸브(46)와, 증발기(45)를 순차로 순환하는 순환냉매유로(Fr)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도 6 및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팬(44)에 의해 볼(50)의 내부에서 인출된 고온고습의 증기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5)를 통과함으로써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고, 이는 다시 볼(50)의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By driving the refrigeration cycle, the refrigerant can form a circulating refrigerant flow path (Fr) that sequentially circulates through the compressor 48, the condenser 47, the flow control valve 46, and the evaporator 45. 6 and 7, the high-temperature, high-humidity vapor drawn from the inside of the ball 50 by the circulation fan 44 changes into low-temperature, low-humidity vapor by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45, which is a heat exchanger, which A circulating air flow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ball 50 can be formed again.

여기서, 압축기(48)는 냉매순환유로(Fr) 상 증발기(45)와 응축기(47) 사이에 위치하여, 냉매가 냉매순환유로(Fr)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냉매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압축기(48)는 증발기(45)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47)로 이송시킬 수 있다.Here, the compressor 48 is located between the evaporator 45 and the condenser 47 o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assage (Fr) and can pressurize the refrigerant so that it can circulate along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assage (Fr). That is, the compressor 48 can compress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45 and transfer it to the condenser 47.

또한, 응축기(47)는 압축기(48)에서 이송되어 온 냉매와 외기 간 열교환을 시키는 수단으로, 응축기(47)를 통과하는 냉매는 외부로 열을 방출하여 응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enser 47 is a means of exchanging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transferred from the compressor 48 and the outside air, and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47 can be condensed by releasing heat to the outside.

이에 따라, 도 1 내지 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후측방에는 응축기(47)로부터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다수 타공 형성된 통기공(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 도 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 내부에 있는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기 위해 응축기(47)의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팬(49)이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1 to 3, etc.,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erforated ventilation holes 11 to discharge heat generated from the condenser 47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6, etc., at least one heat radiation fan 49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denser 47 to forcibly exhaust high temperature air inside the machine room to the outsid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증발기(45)를 통과한 볼(50) 내부의 증기가 응축기(47)로 유도되지 않도록 증발기함(45)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ood waste dispos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vaporator box 45 so that the vapor inside the balls 50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45 is not guided to the condenser 47. You may be blocked.

한편, 볼수용하우징(14)의 후방측에 마련된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는 순환팬(44)이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a circulation fan 44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evaporator box 451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ball receiving housing 14.

도 5 및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수용하우징(14) 내 볼(50)과, 증발기함(451)과, 순환팬(44)은 직렬로 배치될 수 있고,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 내부의 증기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5)를 통과한 다음, 다시 볼(50) 내부로 순환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5 and 6, the ball 50 in the ball receiving housing 14, the evaporator box 451, and the circulation fan 44 can be arranged in series, and the circulation fan 44 is driven. As a result, the vapor inside the ball 50 can pass through the evaporator 45, which is a heat exchanger, and then form an airflow that circulates inside the ball 50 again.

여기서, 순환팬(44)은 순환기류를 형성하는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순환팬(44)은 원심팬일 수 있다. 도면부호 441은 순환팬의 팬모터를 가리키고, 도면부호 442는 팬모터가 장착되되 내부에 임펠러가 수용된 팬하우징을 가리킨다.Here, the type of the circulation fan 4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forms a circulating air flow,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lation fan 44 may be a centrifugal fan. Reference numeral 441 refers to the fan motor of the circulation fan, and reference numeral 442 refers to the fan housing in which the fan motor is mounted and the impeller is accommodated inside.

이러한 순환팬(44)은 회전축이 전방측, 즉 증발기(45) 또는 볼(5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순환팬(44) 회전축의 축방향 전방에 마련된 증발기함(451)의 흡기구를 통해, 증발기(45)를 통과한 저온저습의 증기는 흡기될 수 있다.This circulation fan 44 may be arranged so that the rotation axis faces the front side, that is, the evaporator 45 or the ball 50, and accordingly, the evaporator box 451 provided axially forward of the rotation axis of the circulation fan 44 Through the intake port, low-temperature, low-humidity vapo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45 can be inhaled.

이렇게 흡기된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에 원주를 따라 다수의 블레이드가 마련된 임펠러의 회전으로, 순환팬(44)의 원심방향에 연결된 배기덕트(미도시)로 배기될 수 있다.The vapor thus sucked in is exhausted through an exhaust duct (not shown) connected to the centrifugal direction of the circulation fan 44 by rotating an impell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lades along the circumferenc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circulation fan 44. It can be.

즉,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한 가열로 볼(50) 내부에 습기를 함유한 고온고습의 증기는,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의 통기구 및 증발기함(451)의 유입구를 통해, 증발기함(451) 내부의 증발기(45)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고온고습의 증기는 증발기(45)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되고, 이는 다시 순환팬(44)을 지나 배기덕트 및 증발기함(451)을 거쳐 다시 볼(50)의 통기구를 통해 볼(50)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공기유로(Fa)를 형성할 수 있다(도 6 및 7 참조).That is, the high-temperature, high-humidity vapor containing moisture inside the ball 50 due to heating by the heating plate 13 is driven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of the ball 50 and the inlet of the evaporator box 451 by driving the circulation fan 44. Through it, it can flow into the evaporator 45 inside the evaporator box 451, and the high-temperature, high-humidity vapor changes into low-temperature, low-humidity vapor as it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45, which in turn passes through the circulation fan 44. It is possible to form a circulating air flow path Fa that flows into the ball 50 through the exhaust duct and the evaporator box 451 and then again through the vent hole of the ball 50 (see FIGS. 6 and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5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통기구는 공기가 유입하는 경로와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가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관통구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 formed on one side of the ball 50 may be a single through hole in which the air inflow path and the air discharge path are integrated.

이에 상응하여, 증발기함(451)은 전방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출입구가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함(451)의 유출입구는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통기구와 마주하여 상호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증발기함(451)의 유입구는 볼(50)의 내부공기가 증발기함(451)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마련하고, 증발기함(451)의 배출구는 유입구와 반대로 증발기함(451)의 내부공기가 볼(50)의 내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마련할 수 있다.Correspondingly, the evaporator box 451 may be provided with an outlet and inlet through which air flows at the front, and accordingly, the outlet and inlet of the evaporator box 451 is the vent hole of the ball 50 mounted on the ball storage portion 12. It can be arranged to face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Here, the inlet of the evaporator box 451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internal air of the ball 50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evaporator box 451, and the outlet of the evaporator box 451 is opposite to the inlet of the evaporator box 451. A passage through which internal air is discharged into the inside of the ball 50 may be provided.

증발기함(451)의 유입구 및/또는 배출구는,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통기구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전방측, 즉 도어(20) 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 and/or outlet of the evaporator box 451 may be formed to exten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side, that is, toward the door 20, so as to be interconnected with the vent hole of the ball 50 mounted on 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there is.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12)에 볼(50)의 장착시, 증발기함(451)의 유입구 및 배출구는 볼(50)의 통기구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볼수납부(12)에 볼(50)의 장착시, 볼(50)의 통기구 내주면에는, 증발기함(451)의 유입구 및 배출구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ll 50 is mounted on 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the inlet and outlet of the evaporator box 451 may be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hole of the ball 50. 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ball 50 is mounted on the ball storage unit 12, the inlet and outlet of the evaporator box 451 may be inserted and fit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entilation hole of the ball 50.

이때 볼(50)과 증발기함(451) 사이에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통기구의 내주면에는 고무나 실리콘재 따위의 패킹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maintain airtightness between the ball 50 and the evaporator box 451, a packing member such as rubber or silicone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ent hole.

한편, 증발기함(451)의 유입구(미도시)와 배출구(미도시)는, 볼(50)의 통기구와 마찬가지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일 실시예에 따라, 유입구와 배출구 각각은, 별개로 나누어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inlet (not shown) and outlet (not shown) of the evaporator box 45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vent of the ball 50, bu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each of the inlet and outlet i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to be divided separately.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증발기함(451)의 유입구는 배출구 보다 그 구멍 면적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볼(50)에서 증발기함(451)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볼(50)의 내부에서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열되어 열팽창된 공기이지만, 증발기함(451)에서 볼(50)로 유동하는 공기는, 증발기(45)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된 공기이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of the evaporator box 451 has a larger hole area than the outlet. This is because the air flowing from the ball 50 to the evaporator box 451 is air heated by the heating plate 13 inside the ball 50 and thermally expanded, but it flows from the evaporator box 451 to the ball 50. This is because the flowing air is air cooled and condensed by the evaporator 45.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함(451)은 후방에 관통 형성된 흡기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evaporator box 451 may be provided with an intake port (not shown) formed through a rear portion.

내부에 순환팬(44)을 수용한 팬하우징(442)은, 일측(일 예로 전방측)에 개구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되, 팬하우징(442)의 개구부는 증발기함(451)의 흡기구와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an housing 442, which accommodates the circulation fan 44 therein, includes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for example, the front side), and the opening of the fan housing 442 faces the intake port of the evaporator box 451. It can be provided.

즉, 증발기함(451)의 흡기구가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 마련된 순환팬(44)의 회전축과 마주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팬하우징(442) 내 순환팬(44)의 구동으로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흡기구를 통해 순환팬(44)으로 흡입될 수 있다.That is, the intake port of the evaporator box 451 is formed to face the rotation axis of the circulation fan 44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evaporator box 451, so that the evaporator box is driven by the circulation fan 44 in the fan housing 442 ( 451) Air cooled by the internal evaporator 45 can be sucked into the circulation fan 44 through the intake port.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45)를 통과한 저온저습의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의 축방향 전방으로부터 흡입되고, 이렇게 흡기된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에 원주를 따라 다수의 블레이드가 마련된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순환팬(44)의 원심방향에 연결된 배기덕트로 배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w-temperature, low-humidity vapo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45 is sucked in from the axial front of the rotation axis of the circulation fan 44, and the thus sucked vapor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circulation fan 44. The air can be exhausted through an exhaust duct connected to the centrifugal direction of the circulation fan 44 by rotation of an impell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lades along the circumference.

구체적으로, 내부에 순환팬(44)을 수용한 팬하우징(442)은, 임펠러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판이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임펠러의 회전구동으로 회전축의 전방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원심력이 부여되고, 원심력을 가진 공기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 유동할 때 가이드판은 그 공기 흐름을 가이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an housing 442, which accommodates the circulation fan 44 therein,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mpeller and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plat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ccordingly, the fan housing 442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plat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rotating the impeller. The sucked air is given a centrifugal force, and when the air with the centrifugal force rotates in one direction around the rotation axis, the guide plate can guide the air flow.

이때, 가이드판의 일측, 일 예로 상측의 일부는 개구 형성되어, 가이드판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유동하는 공기는 원심력에 의해 가이드판의 개구부를 통해 원심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가이드판의 개구부에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된 배기덕트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guide plate,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upper side, is formed with an opening, so that the air rotating and flowing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plate can exit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through the opening of the guide plate by centrifugal force, which allows the guide plate to exit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It can flow along an exhaust duct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팬하우징(442)의 내측에 격벽 형태로 가이드판과, 일측 개구부에서 연장 형성된 배기덕트가 마련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guide plate in the form of a partition may be provided inside the fan housing 442 and an exhaust duct extending from one opening.

결국, 배기덕트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그 전방에 마련된, 즉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Ultimately, the air flowing along the exhaust duct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evaporator box 451 through an exhaust port provided in front of it, that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evaporator box 451.

다시말해,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는 순환팬(44)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가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이 이외에 순환팬(44)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an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to the circulation fan 44 may be formed through the rear side of the evaporator box 451, and in addition, an exhaust por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circulation fan 44 may be formed through.

증발기함(451)의 흡기구는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를 통과한 공기가 순환팬(44)으로 유동하는 통로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지만, 배기구는 순환팬(4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볼(50)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증발기함(451)은 후방측의 배기구로부터 유입된 저온저습의 증기가 볼(50)의 내부로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증발기함(451)은 후방측의 배기구와 전방측의 배출구를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배관(456)을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조).The intake port of the evaporator box 451 is intended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45 in the evaporator box 451 flows to the circulation fan 44, but the exhaust port is used to provide a passage for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irculation fan 44. To supply the inside of the ball 50, the evaporator box 451 is located at the rear so that the low-temperature, low-humidity vapor flowing in from the exhaust port on the rear side can be supplied directly to the inside of the ball 50. It may include a connecting pipe 456 that connects the exhaust port on the side and the exhaust port on the front side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ee FIG. 4).

즉, 연결배관(456)은 증발기함(451)의 전후방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증발기함(451)의 배기구와 배출구를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순환팬(4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볼(50)의 내부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ion pipe 456 is provided to cross the front and rear of the evaporator box 451, so that the exhaust port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evaporator box 451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us, the discharged air from the circulation fan 44 Air can be supplied directly into the ball 50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evaporator 45 in the evaporator box 451.

여기서 연결배관은 증발기함(451)의 배기구와 배출구를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이면 그 형태 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Here, the shape of the connecting pi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used to connect the exhaust port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evaporator box 451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한편, 볼(50) 내부의 고온고습의 습증기는, 증발기함(45) 내부의 증발기(45)를 지나면서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며, 이때 냉각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수는, 증발기함(45)의 내부에 저류할 수 있다.Meanwhile, the high-temperature, high-humidity wet steam inside the ball 50 changes into low-temperature, low-humidity steam as it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45 inside the evaporator box 45. At this time, condensate generated by cooling is stored in the evaporator box 45. It can be stored inside.

이때, 증발기함(45)은 내부에 저류하고 있는 응축수가 자연적으로 또는 강제로 증발기함(45) 외부의 기계실이나 본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응축수배출구(452)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vaporator box 45 may include a condensate discharge port 452 so that the condensate stored inside can be discharged naturally or forcibly to the machine room outside the evaporator box 45 or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즉, 증발기(45)는 순환공기유로(Fa)를 따라 볼(50) 내부로부터 인출된 고온고습의 증기와 순환냉매유로(Fr)를 따라 유동하는 냉매 간에 열교환을 시키는 수단으로, 증발기(45)를 통과하는 증기는 냉각되고, 증발기(45)를 통과할 때 증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제거될 수 있다.That is, the evaporator 45 is a means of heat exchange between the high-temperature, high-humidity vapor drawn from the inside of the ball 50 along the circulating air passage Fa and the refrigerant flowing along the circulating refrigerant passage Fr. The vapor passing through is cooled, and moisture contained in the vapor when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45 can be rem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45)는 통과하는 공기와 접촉면을 넓히기 위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앤튜브(pin&tube) 타입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The evaporator 4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f the pin&tube type, as shown in FIG. 4, in order to expand the contact surface with passing air, bu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pecifically limit the type. .

이렇게 제거된 수분에는 피처리물로부터 유래된 악취가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순환팬(44)을 소정의 구동속도로 지속 구동하여,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열된 볼(50)의 내부공기, 즉 고온고습의 습증기를 증발기(45)에 반복 공급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45)가 고온고습의 습증기를 반복 응축함으로써, 증발기함(451) 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에 악취를 농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odor derived from the object to be treated is dissolved in the moisture removed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es to drive the circulation fan 44 at a predetermined driving speed to generate heat by the heating plate 13. The internal air of the heated ball 50, that is, high-temperature, high-humidity wet steam, can be repeatedly supplied to the evaporator 45, and accordingly, the evaporator 45 repeatedly condenses the high-temperature, high-humidity wet steam, thereby forming the inside of the evaporator box 451. It is desirable to concentrate the odor in the condensate generated from the .

여기서, 제어부는 음식물처리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음식물처리기(1)의 각 구성요소와 연동하여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음식물처리기(1)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출력되는 각종 신호나 데이터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가열시키거나, 냉동사이클의 구동으로 상기 피처리물의 습기를 제거하는 등 다양한 구현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1)의 각종 동작을 수행 또는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is a means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and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executing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in conjunction with each component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and performing operations related thereto. there is.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heats the object to be processed inside the bowl 50 by processing various signals or data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components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or by runn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Various operations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can be performed or controll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such as removing moisture from the object to be treated by driving a refrigeration cyc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볼(50)의 내부에 대하여 건조행정을 완료한 이후라고 하더라도, 순환팬(44)의 구동을 계속하여 증발기(45)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볼(50)의 내부로 공급하여 냉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es to operate the circulation fan 44 even after the drying process for the inside of the ball 50 is completed to supply air cooled by the evaporator 45. It is desirable to supply it to the inside of the ball 50 to cool it.

왜냐하면, 볼(50)의 내부가 건조되었다고 하더라도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한 가열로 볼(50)의 내부는 여전히 고온의 분위기를 가질 수 있고, 이는 볼(50)을 본체(10)로부터 인출하는 사용자에게 화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even if the inside of the ball 50 is dried, the inside of the ball 50 may still have a high temperature atmosphere due to heating by the heating plate 13, which causes the ball 50 to be pulled out from the main body 10. This is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at may cause burns to the user.

따라서, 제어부는 볼(50)의 내부에 대한 건조가 완료된 이후라고 하더라도, 순환팬(44)의 구동은 물론, 바람직하게는 냉동사이클의 구동을 계속하여, 볼(50)의 내부를 냉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even after drying of the inside of the ball 50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continues to operate the circulation fan 44 as well as preferably the refrigeration cycle to cool the inside of the ball 50. It is desirable to do so.

다만, 사용자가 볼(50) 내부에 처리가 완료된 잔여 피처리물을 단시간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는 볼(50) 내부에 대한 건조가 완료된 이후, 오히려 순환팬(44)의 구동속도를 건조행정에서의 구동속도 보다 더 높일 수 있고, 또 압축기(48)의 구동속도 역시 건조행정에서의 구동속도 보다 더 높일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process the remaining treated material that has been completed inside the ball 50 in a short tim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speed of the circulation fan 44 after drying of the inside of the ball 50 is completed. can be higher than the driving speed in the drying stroke, and the driving speed of the compressor 48 can also be higher than the driving speed in the drying strok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45)를 내부에 수용한 증발기함(451)의 내부에는, 순환팬(44)에 의해 인입된 볼(50) 내부의 고온고습의 습증기가 응축되어, 응축수가 저류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high-temperature, high-humidity wet steam inside the ball 50 drawn by the circulation fan 44 condenses inside the evaporator box 451 containing the evaporator 45, and the condensed water It can be stored.

증발기함(451) 내부에 발생된 응축수를 증발기함(45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함(451)의 저면에는 응축수배출구(미도시)가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함(451)의 내부에 발생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해 응축수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자연배수될 수 있다.In order to discharge condensate generated inside the evaporator box 451 to the outside of the evaporator box 451, a condensate discharge port (not shown) may be formed through the bottom of the evaporator box 45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condensate generated inside the evaporator box 451 can be naturally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densate discharge port by its own weight.

증발기함(451)의 저면에는 응축수배출구(452)가 마련되되, 증발기함(451)의 저면은 상기 응축수배출구(452)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향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함(45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바닥으로 낙하한 경우, 이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따라 응축수배출구(452)로 유도됨으로써, 증발기함(451)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A condensate discharge port 452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evaporator box 45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evaporator box 451 may have at least one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around the position of the condensate discharge port 452. Accordingly, When condensate generated inside the evaporator box 451 falls to the floor, it is guided to the condensate discharge port 452 along at least one slope and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evaporator box 451.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의 내부 고온고습의 증기는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를 거쳐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고, 저온저습의 증기는 팬하우징(442)의 배기덕트와, 증발기함(451) 내 연결배관을 통해 다시 볼(50)의 내부로 유동하는 순환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by driving the circulation fan 44, the high-temperature, high-humidity vapor inside the ball 50 changes into low-temperature, low-humidity vapor through the evaporator 45 in the evaporator box 451. Steam may form a circulating airflow that flows back into the ball 50 through the exhaust duct of the fan housing 442 and the connection pipe in the evaporator box 451.

순환기류를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볼(50) 내부의 수분과 악취는 증발기함(451) 내 응축수 형태로 변환될 수 있고, 증발기(45)에 의해 수분과 악취가 제거된 공기는 다시 볼(5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flowing along the circulating air flow, the moisture and odor inside the ball 50 can be converted into condensate in the evaporator box 451, and the air from which moisture and odor have been removed by the evaporator 45 is returned to the ball 50. ) can be supplied inside.

증발기함(45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 즉 악취가 용해되어 있는 응축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응축수배출구(452)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외부로 배수되되, 이때 증발기함(451)의 응축수배출구(452)는 응축수탱크(80)의 내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어, 증발기함(451) 내 응축수는 자연적으로 응축수탱크(80)로 유입되어 응축수탱크(80) 내 저장될 수 있다.The condensate generated inside the evaporator box 451, that is, the condensate in which the odor is dissolved, is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evaporator box 451 through the condensate discharge port 452, as described above. The condensate outlet 452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ondensate tank 80, so the condensate in the evaporator box 451 naturally flows into the condensate tank 80 and can be stored in the condensate tank 80. .

이때, 응축수탱크(80) 또는 응축수탱크유입구는, 증발기함(451) 또는 증발기함(451)의 응축수배출구(452)의 하부, 즉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마련되어, 증발기함(451) 내 발생된 응축수가 응축수탱크(80)로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ndensate tank 80 or the condensate tank inlet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box 451 or the condensate discharge port 452 of the evaporator box 451, that is, at a relatively low position, so that th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evaporator box 451 It is desirable to allow natural drainage into the condensate tank (80).

한편, 응축수탱크(80)의 상부에는, 응축수탱크(80) 내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통로로서 제1 통기공이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a first ventilation hole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condensate tank 80 a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n the condensate tank 80 is exhaust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제1 통기공은 응축수탱크(80)의 상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응축수탱크(80)의 탱크커버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first ventilation hole may be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densate tank 80, and specifically, may be formed through the tank cover of the condensate tank 80.

이때, 제1 통기공은 응축수탱크(80) 내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통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기(일 예로, 본체(10) 내 기계실 또는 본체(10)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ventilation hole not only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in the condensate tank 80 is exhausted to the outside, but also allows external air (for example, the machine room within the main body 10 or air outside the main body 10) to flow in. It can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is can happen.

이에 따라, 응축수탱크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는 응축수탱크(80)의 내부에 저장되지만, 이와 함께 응축수탱크유입구는 증발기함(451)의 응축수배출구(452)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응축수탱크유입구는 제1 통기공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순환기류(볼(50) - 증발기함(451) - 순환팬(44)) 내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densate flowing in through the condensate tank inlet is stored inside the condensate tank 80, but the condensate tank inlet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densate outlet 452 of the evaporator box 451, and the condensate tank 80 is connected to the condensate tank 80. Since the inlet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ventilation hole, the pressure in the circulating air flow (ball 50 - evaporator box 451 - circulation fan 44) generated by driving the circulation fan 44 can be removed. there is.

즉, 증발기함(451)의 내부는 응축수탱크(80)의 내부와 연결되고, 응축수탱크(80)에 관통 형성된 제1 통기공을 매개로, 외부 공기가 응축수탱크(80)나 증발기함(451)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이와 반대로 순환기류 내 공기 일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폐쇄된 순환기류 내 압력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그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That is, the inside of the evaporator box 451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densate tank 80, and external air flows into the condensate tank 80 or the evaporator box 451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hole formed through the condensate tank 80. ) or, conversely, some of the air in the circulatory airflow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if a pressure change occurs in the closed circulatory airflow, the pressure can be removed.

한편, 피처리물로부터 발생된 악취는 응축수에 농축되어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통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순환기류 내 일부 공기에서는 악취 유발 물질이 적다.Meanwhile, since the odor generated from the object to be treated is concentrated and dissolved in the condensate, there are few odor-causing substances in some of the air in the circulating air flow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hole.

다만, 적은 양이더라도 악취 유발 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통기공에는 탈취필터(90)가 연결될 수 있다.However, even if the air containing odor-causing substances is exhausted to the outside, even in a small amount, it may cause discomfort to the user.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odorizing filter 9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ventilation ho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필터(90)는 공기 내 악취를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활성탄 소재의 흡착제를 포함한 필터일 수 있고, 또 충진형(분말형 또는 가루형 등)이나 블럭형 등일 수 있으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터가 조합된 것일 수 있다.The type of deodorizing filter 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adsorb and remove bad odors in the air, but for example, it may be a filter containing an adsorbent made of activated carbon, or a filled type ( It may be in powder type or powder type, etc.) or block type, but may be a combination of one or two or more types of filters.

다만, 블럭형 필터는 분말형태의 필터가 열과 압력 등에 의해 압축되어 형성된 것으로, 분말사이로 공기가 빠져나가 필터기능이 저하되는 충진형 필터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필터(90)는, 블럭형 필터일 수 있다.However, the block-type filter is formed by compressing a powder-type filter by heat and pressure. Rather than a filled filter in which air escapes between the powders and the filter function deteriorates, the deodorizing filter 9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s a block-type filter. It could be a type filter.

왜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탈취필터(9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은 작기 때문에 여과 성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블럭형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through the deodorizing filter 90 is small, so it is desirable to use a block-type filter with relatively excellent filtration performance.

이러한 탈취필터(90)는 탈취능력이 저하되거나 사용기한을 도과한 경우 등에는 교체 가능하도록 탈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본체(10) 내 사용자나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 일 예로 본체(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This deodorizing filter 90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and replaceable in cases where the deodorizing ability is reduced or the expiration date has expired, but is located in a position within the main body 10 that can be easily accessed by a user or worker, for example, the main body ( It can be located in front of 10).

이에 따라, 사용자나 작업자는 본체(10)의 외피 중 탈취필터(90)와 상응하는 부분을 탈거하여, 기존 탈취필터(90)를 탈착하고 새로운 탈취필터(90)를 장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or worker can remove the part of the outer shell of the main body 10 that corresponds to the deodorizing filter 90, remove the existing deodorizing filter 90, and install a new deodorizing filter 90.

이를 위해,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과 전방의 탈취필터(90)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배기관(91)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배기관(91)의 일단은 제1 통기공에 연결되고, 배기관(91)의 타단은 탈취필터(90)에 연결될 수 있다.To this end, an exhaust pipe 91 may be provided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between the first ventilation hole of the condensate tank 80 and the front deodorizing filter 90. That is, one end of the exhaust pipe 9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ventilation hole, and the other end of the exhaust pipe 91 may be connected to the deodorizing filter 90.

결국, 볼(50), 증발기함(451), 그리고 순환팬(44) 간에 순환하는 순환기류 내 공기 일부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함(451)으로부터 응축수탱크(80)로, 그리고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을 거쳐 배기관(91)을 따라 외부로 배기되되, 이때 배기관(91)의 말단에 위치한 탈취필터(90)를 거쳐 외부로 배기됨으로써, 배기되는 공기 내 악취 유발 물질이 흡착 제거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폐쇄된 순환유로에서 발생하는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Ultimately, some of the air in the circulating airflow circulating between the ball 50, the evaporator box 451, and the circulation fan 44 is transferred from the evaporator box 451 to the condensate tank 80, as shown in FIG. And the condensat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exhaust pipe 91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hole of the exhaust tank 80. At this time,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eodorizing filter 90 located at the end of the exhaust pipe 91, thereby eliminating the odor in the discharged air. Not only can the causing substances be adsorbed and removed, but the pressure generated in the closed circulation passage can thereby be removed.

구체적으로, 볼(50)의 내부 공기는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열되는 경우 순환기류 내 양압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순환기류 내 일부 공기는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에 연결된 배기관(91)과 탈취필터(90)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순환유로 내 양압은 제거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air inside the ball 50 is heated by the heating plate 13, a positive pressure atmosphere can be formed in the circulating air flow, and accordingly, some of the air in the circulating air flow flows into the first ventilation hole of the condensate tank 80. By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exhaust pipe 91 and the deodorizing filter 90 connected to , the positive pressure in the circulation passage can be removed.

이와 반대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는 탈취필터(90)를 통해 배기관(91)을 따라 제1 통기공을 거쳐 응축수탱크(80) 또는 증발기함(451)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폐쇄된 순환유로 내 음압발생시 그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6, outside air may be provided to the condensate tank 80 or the evaporator box 451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hole along the exhaust pipe 91 through the deodorizing filter 90. When negative pressure occurs in a closed circulation passage, that pressure can be removed.

즉, 증발기(45)에 의해 순환유로 내 공기가 냉각 응축되어 폐쇄된 순환유로 내 음압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고, 또 배출모터(85)의 구동으로 응축수탱크(80)의 내부 역시 음압의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외기는 탈취필터(90)를 통해 도입될 수 있다. 탈취필터(90)로 도입된 외기는 이에 연결된 배기관(91) 및 제1 통기공을 통해 증발기함(451) 또는 응축수탱크(80)로 유입됨으로써, 순환유로 내 음압은 제거될 수 있다.That is, the air in the circulation passage is cooled and condensed by the evaporator 45 to form a negative pressure atmosphere in the closed circulation passage, and the interior of the condensate tank 80 is also created with a negative pressure atmosphere by driving the discharge motor 85. may be formed, and as a result, outside air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deodorizing filter 90. The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deodorizing filter 90 flows into the evaporator box 451 or the condensate tank 80 through the exhaust pipe 91 and the first ventilation hole connected thereto, so that the negative pressure in the circulation passage can be remov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응축수탱크(80)와 탈취필터(90) 사이에 마련되어, 응축수탱크(80)에서 배출되는 공기 내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팽창탱크(81)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ansion tank 81 is provided between the condensate tank 80 and the deodorizing filter 90 to remove moisture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ndensate tank 80. .

구체적으로, 팽창탱크(81)는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연통공을 포함할 수 있고, 또 팽창탱크(81)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 통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xpansion tank 81 may include a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air flows in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may also include a second ventilation hole through which air within the expansion tank 8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여기서, 팽창탱크(81)의 연통공은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팽창탱크(81)의 제2 통기공은 배기관(91)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응축수탱크(80) 내 공기는 제1 통기공, 연통공, 그리고 제2 통기공을 순차로 통과하고 배기관(91)과 탈취필터(9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expansion tank 81 can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ventilation hole of the condensate tank 80, and the second ventilation hole of the expansion tank 81 can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exhaust pipe 91, The air in the condensate tank 80 may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hole, the communication hole, and the second ventilation hole,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ipe 91 and the deodorizing filter 90.

팽창탱크(81)는 응축수탱크(80)의 상부, 구체적으로 팽창탱크(81)의 연통공이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되,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응축수탱크(80)로부터 습기를 포함하지 않은 공기가 팽창탱크(81)로 자연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pansion tank 81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condensate tank 80, specifically at a position where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expansion tank 81 is higher than the first ventilation hole of the condensate tank 80, and are connected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ndensate tank 81 It is desirable to allow air that does not contain moisture to naturally flow from (80) into the expansion tank (81).

또한, 팽창탱크(81)의 제2 통기공은, 연통공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ventilation hole of the expansion tank 81 may discharge air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from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팽창탱크(81)의 제2 통기공을 통해 습기를 함유하지 않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통기공은 팽창탱크(8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통공은 팽창탱크(8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ventilation hole is an expansion tank so that air that does not contain moisture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ventilation hole of the expansion tank 81. It may be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81), and on the contrary, the communication hole connected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ventilation hole of the condensate tank (80) may be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expansion tank (81).

즉, 팽창탱크(81)를 중심으로 하부의 연통공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습기가 제거되어, 그 상부의 제2 통기공으로 배기될 수 있으며, 이때 팽창탱크(81)가 연통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팽창탱크(81)의 내부에는 탈습을 위한 부재가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팽창탱크하우징(80)의 내부에는 탈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격벽(미도시)을 마련함으로써, 팽창탱크(8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내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That is, the air flowing in from the communication hole at the bottom centered on the expansion tank 81 has its moisture removed and can be exhausted through the second ventilation hole at the top, and at this time, the expansion tank 81 removes the air flowing in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In order to remove heavy moisture, a member for dehumidification may be provided inside the expansion tank 81,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partition for dehumidification is provided inside the expansion tank housing 80. By providing (not shown), moisture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expansion tank 81 can be removed.

구체적으로, 격벽은 팽창탱크(81) 내 연통공에서 제2 통기공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 상에 마련되되, 그 유로 중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artition wall is provided on the flow path of air flowing from the communication hole in the expansion tank 81 to the second ventilation hole, and may block part of the flow path.

일 실시예에 따라, 팽창탱크(81)의 하측에 마련된 연통공과, 상측에 마련된 제2 통기공의 위치는, 팽창탱크(81)의 종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이때, 연통공과 제2 통기공 사이에, 팽창탱크(81)의 내상벽에는 하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격벽에 의해, 연통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2 통기공을 통해 배출될 때, 그 유로 중 일부는 차단될 수 있고, 이때 그 과정에서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격벽에 충돌함으로써, 공기 내 수분은 분리되어 탈습된 다음, 제2 통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sitions of the communication hol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expansion tank 81 and the second ventilation hole provided on the upper side are arranged to be stagger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expansion tank 81, and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hole is Between the hole and the second ventilation hole, at least one partition formed downward on the inner upper wall of the expansion tank 81 blocks some of the flow paths whe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ventilation hole. In this case, the moisture-containing air collides with the partition wall in the process, and the moisture in the air can be separated, dehumidifi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ventilation hole.

결국, 팽창탱크(81)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유동할 때, 공기 내 수분은 제거되어 탈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팽창탱크(81)를 통해 탈취필터(90)로 인가되는 공기가 제습되어 건조된 상태이기 때문에 탈취필터(9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Ultimately, wh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expansion tank 81 flows, the moisture in the air can be removed and dehumidified, and the air applied to the deodorizing filter 90 through the expansion tank 81 is dehumidified accordingly. Because it is in a dried state, the lifespan of the deodorizing filter 90 can be improv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의 전방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20)가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an openable door 20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어(20)가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만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의 개방을 위한 사용자입력을 받기 위해 도어열림버튼(60)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the door 20 from being opened only by a user's physical manipulation, the food waste dispos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has a door ( A door open button 60 may be included to receive user input for opening 20).

즉, 사용자는 음식물처리기(1)의 도어(20)를 개방시키기 위해, 사전적으로 도어열림버튼(60)을 터치하거나 눌러 조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가 구속상태에서 해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도어열림버튼(60)에 대한 사용자 조작 없이 도어(20)가 물리적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open the door 20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the user may touch or press the door open button 60 in advance, thereby releasing the door 20 from the restrained state. You can. That is, the food waste dispos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door 20 from being physically opened without user manipulation of the door open button 60.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도어(20)가 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되어 있어, 도어열림버튼(60)은 본체(10)의 상부 외면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방측, 도어(20)와 근접하도록 위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since the door 20 is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the door open button 60 may be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preferably on the front side. , It is desirable to be located close to the door 20 to promote user convenience.

본체(10)의 상부 내측에는 회로기판이 마련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어열림버튼(60)을 통하여 전자적으로 사용자 입력을 받거나, 그에 따라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A circuit board is provided on the upper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a user input can be received electronically through an electrically connected door open button 60, or a driv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can be operated accordingly.

결국, 도어열림버튼(60)에 대한 사용자 조작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는 도어열림모듈의 구동장치를 작동시켜, 도어열림모듈의 걸쇠가 도어(20)와의 체결을 해제토록 함으로써, 도어(20)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 즉 구속 해제 상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Ultimately, when there is a user input to the door open button 60,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driving device of the door open module to release the latch of the door open module from the door 20, so that the door 20 is opened. It can be made to have a state in which it can be opened, that is, a state in which it can be released.

볼(bowl)bowl

한편, 본체(10) 내 볼수납부(12)에는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볼(50)이 수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ball 50 containing the object to be treated can be accommodated in 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of the main body 1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50)은 피처리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본체(51)와, 용기본체(51)의 개구부를 덮는 용기뚜껑(5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ball 50 may include a container body 51 that accommodates the object to be treated therein, and a container lid 52 that covers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51.

용기본체(51)는 내부에 피처리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함체 형상으로서, 본 발명은 그 형상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원통형일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51 is a box shape that forms a receiving space to accommodate the object to be treated, and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pecifically limit its shape, but for example, it may be cylindrical.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볼(50) 또는 용기본체(51)를 용이하게 옮기거나 본체(10)에 탈장착할 수 있도록 볼(50) 또는 용기본체(51)의 일측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볼손잡이(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ne side of the ball 50 or the container body 51 is provided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ball 50 or the container body 51 or attach or detach it from the body 10. It may further include a ball handle 55 that can be gripped.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손잡이(55)는 용기본체(51)의 일측에 돌출형성될 수 있고,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ball handle 5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51, and may preferably be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용기뚜껑(52)은 피처리물이 인출입되는 용기본체(51)의 개구부를 덮어 용기본체(51)의 내부를 폐쇄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한 용기본체(51)의 개구부(51a)에 용기뚜껑(52)이 덮어짐으로써, 용기본체(51) 내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풍기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The container lid 52 can close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51 by covering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51 through which the object to be treated is taken in and out. By covering the opening 51a of the container body 51 containing food waste with the container lid 52, bad odors generated from food waste in the container body 51 can be blocked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이를 위해, 용기뚜껑(52)은 본체용기(51)의 개구부(51a)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본체용기(51)의 개구부(51a)에 용기뚜껑(52)은 안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container lid 52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51a of the main container 51, and accordingly the container lid 52 is seated or coupled to the opening 51a of the main container 51. It can be.

이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용기본체(51)의 개구부(51a)와 이를 덮는 용기뚜껑(52) 사이에 기밀성을 가질 수 있도록, 용기본체(51)의 개구부(51a)의 내주면 및/또는 용기뚜껑(52)의 저면에는 패킹부재(535)가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51a of the container body 51 and/or the container so as to have airtightness between the opening 51a of the container body 51 and the container lid 52 covering it. A packing member 535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lid 52.

즉, 용기본체(51)의 개구부(51a)와 용기뚜껑(52) 사이에 패킹부재(535)가 개재되어, 용기본체(51)의 습증기가 순환팬(44)에 의해 순환공기유로(Fa)를 따라 순환할 때 용기본체(51) 내 악취 등이 용기본체(51)의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packing member 535 is interposed between the opening 51a of the container body 51 and the container lid 52, so that the wet vapor of the container body 51 flows through the circulating air passage Fa by the circulation fan 44. When circulating along, odors, etc. within the container body 51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out of the container body 51.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의 일측에는, 볼(50)의 내외부를 연통하는 통기구(54)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ball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entilation hole 54 that communicate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all 50.

통기구(54)는 용기본체(51)의 내부와 그 외부를 연통하는 경로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볼(50)이 음식물처리기(1)의 볼수용하우징(14) 내 볼수납부(12)에 장착될 때, 통기구(54)는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를 통해 기계실 내 일 장치, 구체적인 일 예로, 증발기함(451)의 유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The vent 54 may provide a path that communicate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51, and accordingly the balls 50 are stored in 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of the ball receiving housing 14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When mounted, the ventilation hole 54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of a device in the machine room, for example, the evaporator box 451,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41 of the ball-receiving housing 14.

이에 따라, 통기구(54)에 의해 볼(50)의 내부는 음식물처리기(1), 구체적으로 압축기, 응축기 그리고 증발기 등을 포함한 냉동사이클과 연결될 수 있고, 냉동사이클 내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순환팬(44)의 구동으로 용기본체(51) 내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습증기는 흡입되어, 냉동사이클의 구동으로 응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습기가 제거된 건증기는 다시 용기본체(51)로 공급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side of the ball 50 can be connected to the food waste processor 1, specifically the refrigeration cycle including a compressor, condenser, and evaporator,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54, and a circulation fan ( Wet steam generated from food waste in the container body 51 can be sucked in by the operation of 44) and condensed by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cycle, and the dry steam from which the moisture has been removed can be supplied back to the container body 51. there is.

여기서, 통기구(54)는 내부의 습증기가 외부, 즉 음식물처리기(1)로 배출되는 배출구와, 외부의 건증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분되어 나누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증기 및 건증기가 하나의 유출입구, 즉 하나의 통기구로 통합될 수도 있다.Here, the ventilation hole 54 may be divided into an outlet through which internal wet steam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at is, to the food waste disposer 1, and an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dry steam flows into the insi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 As shown in the drawing, wet steam and dry steam may be integrated into one outlet, that is, one vent.

이렇게 볼(50)의 통기구(54)를 통해 용기본체(51) 내부의 습증기는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로부터 건증기가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볼(50) 내 음식물쓰레기는 건조 처리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wet steam inside the container body 5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54 of the ball 50, and the dry steam flows in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food waste in the ball 50 can be dried.

여기서, 통기구(54)가 증발기함(451), 구체적으로 유입구 및 배출구와 연결될 때 기밀을 유지하며 연결될 수 있도록, 통기구(54)의 내주면 및/또는 외주면에는, 통기구(54)를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나 실리콘재 따위의 패킹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ventilation hole 54 is connected to the evaporator box 451, specifically the inlet and outlet, air flowing in and out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54 is placed on the inner and/o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entilation hole 54 so that it can be connected while maintaining airtightness. In order to prevent leakage,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packing member such as rubber or silicone.

또한, 볼(50)의 일측에 형성된 통기구(54)는 그 위치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용기뚜껑(52)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기구(54)는, 볼(50)이 음식물처리기(1)의 볼수납부(12)에 인입될 때 그 볼수납부(12)를 마주하도록, 볼(50)에 마련된 볼손잡이(55)와 반대방향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vent 54 formed on one side of the ball 5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lid 52.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vent 54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ball 50 is provi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all handle 55 provided on the ball 50 so that it faces the ball receiving part 12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ball receiving part 12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

또한,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볼(50)이 음식물처리기(1)의 볼수납부(12)에 인입될 때,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유입구와의 연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통기구(54)는 용기뚜껑(52)의 일 측에 돌출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when the balls 50 are introduced into 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the evaporator box 451 passes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141 of the ball receiving housing 14. ), the vent hole 54 may be formed to extend outward so as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container lid 52 to ensure reliability of connection with the inlet.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볼(50), 구체적으로 용기본체(51)의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볼(50) 또는 용기본체(51)를 용이하게 옮기거나 음식물처리기(1)의 볼수납부(12)에 용이하게 탈장착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볼손잡이(5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볼(50)은, 상기 볼손잡이(55) 이외에, 접이식손잡이(5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on one side of the ball 50, specifically the container body 51,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ball 50 or the container body 51 or the ball receiving portion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 12), it may further include a ball handle 55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so that it can be easily mounted and removed, and the ball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 addition to the ball handle 55, A folding handle 512 may be further included.

접이식손잡이(512)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하되, 볼(50)의 좌우양측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볼(50) 또는 용기본체(51)를 위에서 용이하게 들어, 싱크대 상판 위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folding handle 512 can be held by the user and is rotatably coupled arou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ll 5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lift the ball 50 or the container body 51 from above and place it on the sink top. It can be done so that it can be installed.

구체적으로, 상기 접이식손잡이(512)는 용기본체(51)의 양측에 삽입되어, 삽입 위치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가동부가 하방으로 젖혀졌을 때 볼손잡이(55)에 결합되거나 볼손잡이(55) 위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olding handle 512 i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container body 51 and includes a movable part rotatably coupled about the insertion position, and a ball handle when the movable part is tilted downward at approximately the middle position of the movable part. It may be coupled to (55) or include a fixing part provided to be seated on the ball handle (55).

다시말해, 가동부와 고정부를 포함한 접이식손잡이(512)는 대략 'ㄷ'자 또는 '⊂'자로 형성되되, 양단부는 용기본체(51)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젖힘시 고정부는 볼손잡이(55)에 결합되거나 안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olding handle 512, including the movable part and the fixed part, is roughly shaped like a 'ㄷ' or '⊂' shape, and both ends can be rotatably fitted to both sides of the container body 51 and bent downward. The city fixture may be coupled to or seated on the ball handle (55).

이와 달리, 볼손잡이(55)는, 상기 접이식손잡이(512)와 다르게, 사용자가 측면에서 볼(50)을 파지하여 음식물처리기(1)의 볼수납부(12)를 향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입하거나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용기본체(51)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볼손잡이(55)와 접이식손잡이(512)는 용도 및 형상에 서로 차이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ll handle 55, unlike the foldable handle 512, allows the user to hold the ball 50 from the side and slide it forward toward 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It is provided to facilitate withdrawal, and is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51. The ball handle 55 and the folding handle 512 have different uses and shapes.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Meanwhile,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bottom of a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 또는 용기본체(51)는, 저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볼커플링(56)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ball 50 or the container body 5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ll coupling 56 rotatably provided on the bottom.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볼커플링(56)은, 본체(10)의 볼수납부(12) 저면에 마련된 본체커플링(미도시)과 결합 가능하며, 본체(10)의 구동장치(34)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의 구동에 따라 이에 결합된 본체커플링을 매개로 볼커플링(56)은 회전 구동될 수 있다.The ball coupling 56, which is provided to rotate around the rotation axis, can be combined with the main body coupling (not shown)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of the main body 10, and the driving device 34 of the main body 10 ) The ball coupling 56 may be rotationally driven via the main body coupling coupled thereto as the drive shaft rotates.

본 발명은, 본체커플링과 볼커플링 사이의 결합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체커플링과 볼커플링 각각은 상호 대향하는 면에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와 함몰 형성된 함몰부가 교번 배치되어, 본체커플링과 볼커플링이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pecifically limit the form of coupling between the main body coupling and the ball coupling, but each of the main coupling and the ball coupling has protruding protrusions and recessed depressions arranged alternately on opposing surfaces so that they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 the body coupling and the ball coupling can be provid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이에 따라, 본체커플링과 볼커플링은 서로 이물림 결합할 수 있으며, 본체커플링의 구동축을 중심으로 자전하는 회전 구동력은 볼커플링에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in body coupling and the ball coupling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rotating around the drive shaft of the main coupling can be transmitted to the ball coupling.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본체용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본체용기의 종단면도이다.Figure 11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ball mai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ll mai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용기본체(51) 내부에 중심에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전부(57)와,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에 바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동날개(58a~58c)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1 and 12, the ball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ng part 57 that rotates around a rotating axis provided at the center inside the container body 51,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It may include at least one movable wing (58a to 58c) extending in an outward direction.

여기서, 회전부(57)는 볼커플링(56)과 상호 연동하도록 마련되어, 본체(10)의 구동장치(34)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은 회전 구동력을 본체커플링과 볼커플링(56)을 매개로, 회전부(57)에 전달될 수 있다.Here, the rotating part 57 is provided to interoperate with the ball coupling 56, and the drive shaft rotated by the driving device 34 of the main body 10 transfers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main body coupling and the ball coupling 56. Through a medium,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rotating part 57.

이 이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용기본체(51)의 내측벽에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날개(59a, 59b)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 ball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fixed wing (59a, 59b) extending in the central direction on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51.

결국,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가동날개(58a~58c)와, 용기본체(51)의 내측벽에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날개(59a, 59b)는 상호 작용에 의해, 볼(50) 내부에 수용된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시킬 수 있다.In the end, the movable wings 58a to 58c rotating around the rotation axis and the fixed wings 59a and 59b extending in the central direction on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51 interact to form a space inside the ball 50. The received object to be treated may be pulverized and/or stirred.

다만, 본 발명은, 가동날개와, 고정날개(59a, 59b)의 형상이나 개수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pecifically limit the shape or number of the movable blades and the fixed blades 59a and 59b.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용기뚜껑(52)에 마련된 통기구(54)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용기뚜껑(52)의 내측에 차단부(53)가 인접 또는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ball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locking portion o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lid 52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ventilation hole 54 provided in the container lid 52. (53) may be arranged to be adjacent or adjacent.

즉, 차단부(53)는 통기구(54)의 어느 일측에서 다른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이동에 따라 통기구(54)는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That is, the blocking portion 53 can slide from one side of the vent 54 to the other side, and the vent 54 can be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is movement.

차단부(53)는 용기뚜껑(52)의 내측에 인접 또는 접하여 마련되도록 다양한 형태의 판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53)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부(53)의 외측면이 대략 용기뚜껑(52)의 내측면과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blocking portion 53 may be plate-shaped in various shapes so as to be provided adjacent to or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container lid 52. However, the blocking portion 5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ing portion 53 may have a shape that approximately correspond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lid 52.

일 예로, 용기뚜껑(52)이 일측이 막힌 원통형인 경우, 차단부(53) 역시 일측이 막힌 원통형으로서 용기뚜껑(52)의 내측면에 인접 또는 접하게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tainer lid 52 is cylindrical with one side closed, the blocking portion 53 is also cylindrical with one side closed and can be provided to be rotatable adjacent to or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lid 52.

이때, 용기뚜껑(52)의 내측에 마련된 차단부(53)는 중심에 마련된 회전축(534)을 중심으로 자전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되, 일측면에는 관통형성된 관통구(531)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locking portion 53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lid 52 is provided to rotate around the rotation axis 534 provided at the center, and may include a through hole 531 formed on one side. .

이에 따라, 용기뚜껑(52)의 내측에서 회전하는 차단부(53)의 경우, 상기 관통구(531)가 용기뚜껑(52)의 통기구(54)의 위치와 적어도 일부가 일치하여 정렬되는 경우, 볼(50)의 내부는 외부와 연통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관통구(531)의 위치가 통기구(54)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볼(50)의 내부는 외부와 차단되고, 볼(50)의 내부는 밀폐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blocking portion 53 rotating inside the container lid 52, when the through hole 531 is aligned at least in part with the position of the vent hole 54 of the container lid 52, The inside of the ball 5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Conversely, if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531 does not match the position of the ventilation hole 54, the inside of the ball 50 is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ball 50 is blocked from the outside. The interior of (50) can be sealed.

이때, 차단부(53)는 중심에 마련된 회전축(534)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외력에 의해 자전 회동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단부(53)의 중심 회전축에는 개폐손잡이(521)의 회전축 또는 자전축과 축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locking unit 53 rotates around the rotation axis 534 provided at the center, and an opening/closing handle is provided on the central rotation axis of the blocking unit 53 so that it can be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It can be axially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r rotation axis of (521).

개폐손잡이(521)는 볼(50) 또는 용기뚜껑(52)의 외부에 노출되되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차단부(53)의 중심 회전축(534)과 축결합될 수 있고, 결국 개폐손잡이(521)의 회동에 따라, 차단부(53)는 자전 회동하여 용기뚜껑(52)의 통기구(54)는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handle 52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ll 50 or the container lid 52 and is rotatable, and can be axially coupled to the central rotation axis 534 of the blocking portion 53, and eventually opens and closing handle 521. ), the blocking portion 53 rotates so that the ventilation hole 54 of the container lid 52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즉,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뚜껑(52)의 상부에 마련된 개폐손잡이(521)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차단부(53) 또는 관통구(531)는, 통기구(54)를 중심으로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통기구(54)를 개폐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0, as the opening and closing handle 521 provid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lid 52 rotates to the left or right, the blocking portion 53 or the through hole 531 becomes the vent hole 54. The ventilation hole 54 can b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center.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개폐손잡이(521)를 이용하여 통기구(54)를 폐쇄한 상태에서, 싱크대 상판 위에 안착된 볼(50)의 용기뚜껑(52)을 열고 용기본체(51)에 소량의 음식물쓰레기를 반복하여 투입할 수 있고, 또 볼(50) 내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음식물처리기(1)의 볼수납부(12)에 투입할 때에는 개폐손잡이(521)를 이용하여 통기구(54)를 개방하고 음식물처리기(1)의 볼수납부(12)에 인입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loses the ventilation hole 54 using the opening/closing handle 521, opens the container lid 52 of the bowl 50 seated on the sink top, and places a small amount of food waste in the container body 51. It can be repeatedly put in, and when putting food waste in the bowl 50 into the ball storage part 12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to dispose of the food waste, open the ventilation hole 54 using the opening/closing handle 521. It can be inserted into the ball receiving part 12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차단부(53)는 용기뚜껑(52)에 마련된 개폐손잡이(521)에 대한 사용자조작으로 회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통기구(54)는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볼(50)이 인입되는 음식물처리기(1) 내 마련된 구동장치(34)에 의해 통기구(54)가 개폐될 수도 있다.The blocking portion 53 can be rotated by user manipul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handle 521 provided on the container lid 52, and the ventilation hole 54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l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ventilation hole 54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riving device 34 provided in the food waste processor 1 into which the balls 50 are inserted.

구체적인 일 예로, 통기구(54)가 폐쇄된 상태에서 볼(50)이 음식물처리기(1)의 볼수납부(12)에 인입되더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차단부(53)의 회전축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여 자동으로 통기구(54)를 개방하고, 볼(50) 내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거나 분쇄 및/또는 교반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even if the ball 50 is inserted into 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in a state in which the ventilation hole 54 is closed, the food waste dispos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locking portion ( By provid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rotation shaft of 53), the ventilation hole 54 can be automatically opened, and the food waste in the bowl 50 can be dried, pulverized, and/or stirred.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food waste processor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Figure 14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food waste dispo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의 제어방법은, 음식물처리기(1)의 입력전압에 따른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을 마련하는 단계(S10)와, 제어부(110)가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구동장치(120)의 전기적신호를 비교하여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하는 단계(S20)와, 제어부(110)는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한 경우 구동장치(120)의 구속해제 후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 중 다른 신호논리테이블을 재수립하는 단계(S30)와, 제어부(110)는 상기 재수립된 신호논리테이블과 구동장치(120)의 전기적신호를 비교하여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하는 단계(S40)를 포함함으로써, 제어부(110)는 구동장치(120)의 구속여부를 판단하되 다양한 전원환경에서 판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control method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eparing a plurality of signal logic tables according to the input voltage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S10), A step (S20) in which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by comparing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driving device 120 with one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signal logic tables (S20), and the controlling unit 110 determines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 120), a step of re-establishing another signal logic table among the plurality of signal logic tables after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S30), and the control unit 110 operates with the re-established signal logic table. By including a step (S40) of determining whether the driving device 120 is constrained by comparing the electrical signals of the device 120,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driving device 120 is constrained, and can determine whether the driving device 120 is constrained in various power environments. You can.

다만, 도 14에 도시된 단계 또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단계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단계들을 갖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steps shown in FIG. 14 or the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essential, and a control method of a food waste disposer may be implemented having more or fewer steps.

이하, 각 단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Below, we will look at each step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음식물처리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음식물처리기(1)의 각 구성요소와 연동하여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and execute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in conjunction with each component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and related thereto. The action can be performed.

제어부(110)는 음식물처리기(1)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출력되는 각종 신호나 데이터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볼(bowl)(50) 내부의 피처리물을 가열하거나, 냉동사이클의 구동으로 상기 피처리물의 습기를 제거하거나, 볼(50)의 내부를 세척하는 등 다양한 구현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1)의 각종 동작을 수행 또는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processes various signals or data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components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or runs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not shown), thereby removing the blood inside the bowl 50. Various operations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can be performed or controll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such as heating the object to be treated, removing moisture from the object to be treated by driving a refrigeration cycle, or cleaning the inside of the ball 50. .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회전부(57) 및 가동날개(58)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장치(120)를 동작(S10)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교반하거나 분쇄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장치(120)는 볼(50)의 볼커플링(56)과 결합하는 본체커플링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로서, 도 5 및 6에 도시한 도면부호 34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the driving device 120 (S10) to rotate the rotating part 57 and the movable wing 58, and accordingly, the ball 50 ) The object to be treated inside can be stirred or pulverized. Here, the driving device 120 is a driving device for rotating the main body coupling coupled to the ball coupling 56 of the ball 50, and may be reference numeral 34 shown in FIGS. 5 and 6.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제어부(110)는 히팅플레이트(13)를 함께 작동하여, 볼(50) 내부를 가열하여 피처리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control unit 110 operates the heating plate 13 together to heat the inside of the ball 50 to dry the object to be treated.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소정의 동작모드에 따라 구동장치(120)를 소정의 회전속도로 소정의 시간 동안,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제어지령을 생성하여 구동장치(120)에 전송할 수 있다(도 13 참조). 그리고 제어부(110)가 구동장치(120)에 제어지령을 인가한 이후, 제어부(110)는 구동장치(120)로부터 측정된 전기적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즉, 구동장치(120)가 작동한 이후, 제어부(110)는 구동장치(120)의 전류값이나 전압값 등과 같은 전기적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10 generates a control command and sends it to the driving device 120 in order to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operate the driving device 120 at a predetermined rotation speed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mode. Can be transmitted (see Figure 13). And after the control unit 110 applies a control command to the driving device 120, the control unit 110 can obtain the electrical signal measured from the driving device 120. That is, after the driving device 120 operates, the control unit 110 can measure electrical signals such as the current value or voltage value of the driving device 120.

여기서, 전기적신호는 구동장치(120)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측정된 값이거나, 또는 측정된 전기적신호가 다른 값으로 변환된 값이거나, 또는 논리적인 값으로 전환된 것일 수 있다.Here, the electrical signal may be a value directly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evice 120, or a measured electrical signal may be converted to another value, or may be converted to a logical value.

구체적인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신호는 구동장치(120)로부터 전류측정부(115)에 의해 측정된 전류값이 정량화(quantification) 및 정규화(normalization)된 0 이상의 양수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전류측정부(115)는 구동장치(120)에 인가되거나 구동장치(120)로부터 출력된 전류값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류측정부(115)의 그 측정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As a specific example, the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ositive value of 0 or more where the current value measured by the current measurement unit 115 from the driving device 120 is quantified and normalized. there is. Here, the current measuring unit 115 is a means for measuring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or output from the driving device 120. Regarding the measuring method of the current measuring unit 11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는 음식물처리기(1)의 입력전압에 따른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을 준비하여 마련할 수 있다(S10).Meanwhile,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pare a plurality of signal logic tables according to the input voltage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S10).

음식물처리기(1)는 외부로부터 상용의 전원이 인가되되, 일반적으로 AC 220V/60Hz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지만, 음식물처리기(1)에 인가되는 전원환경은 설치장소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The food waste disposer 1 is supplied with commercial power from the outside, and generally AC 220V/60Hz power can be applied, but the power environment supplied to the food waste disposer 1 may vary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따라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부는 입력전압별로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5, the storage unit can store a plurality of signal logic tables for each input voltage.

여기서, 신호논리테이블은 해당 입력전압에서 구동장치(120)로부터 출력될 수 있는 하나의 전기적신호 또는 이들의 집합으로서, 구동장치(120)가 해당 입력전압 하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구동장치(120)로부터 출력되는 정상범위 내 전기적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ignal logic table is one electrical signal or a set of these that can be output from the driving device 120 at the corresponding input voltage, and is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device 120 when the driving device 120 operates normally under the corresponding input voltage. It may include electrical signals within the output normal range.

이렇게, 기 마련된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을 이용하여, 제어부(110)는 음식물처리기(1)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에 맞는 구속조건을 설정하고, 이를 근거로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할 수 있다.In this way, using a plurality of previously prepared signal logic tables, the control unit 110 can set constraint conditions suitable for the input voltage applied to the food waste disposer 1 and determine the con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based on this. there is.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먼저, 초기에 선택된 또는 설정된 어느 하나의 신호논리테이블을 이용하여, 구동장치(120)로부터 측정된 전기적신호와 비교함으로써 측정된 전기적신호가 정상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로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할 수 있다(S20).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0 first compares the electrical signal measured from the driving device 120 using any one initially selected or set signal logic table to ensure that the measured electrical signal is within the normal rang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can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or not it exists (S20).

일반적으로 구동장치(120)가 동작할 때 토크변화 또는 부하변화에 상관없이 구동장치(12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 또는 전기적신호는 일정할 수 있지만, 구동장치(120)에 구속이 발생한 경우 구동장치(12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 또는 전기적신호는 정상값 또는 정상범위보다 낮을 수 있다.In general, when the driving device 120 operates, the current value or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driving device 120 may be constant regardless of torque change or load change, but when the driving device 120 is constrained, the driving device 120 The current value or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120) may be lower than the normal value or normal rang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구동장치(120)로부터 측정된 전기적신호가 초기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신호논리테이블의 정상범위 내 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구동장치(120)에 구속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driving device 120 when the electrical signal measured from the driving device 120 is lower than the value within the normal range of any one initially selected signal logic table. It can be determined that restraint has occurred.

만약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가 구동장치(120)에 구속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하였을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외부로 구속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If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a restraint has occurred in the driving device 120,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a restraint alarm to the outside. there is.

즉, 제어부(110)는 각종의 알람수단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구동장치(120)의 구속상태를 외부로 알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에 대하여 구속원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control unit 110 can notify the outside of the restraint state of the driving device 120 visually or audibly using various alarm means, and accordingly, the user can respond to the object to be treated inside the ball 50.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eliminate the cause of detention.

다만, 초기에 선택된 또는 설정된 어느 하나의 신호논리테이블보다 낮은 전압 환경에서는 실제로 구동장치(120)의 구속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즉 정상작동 중임에도 불구하고, 초기 선택된 신호논리테이블의 정상값 또는 정상범위보다 구동장치(120)로부터 측정되는 전류값 또는 전기적신호이 낮아 제어부(110)는 구동장치(120)에 구속이 발생하였다고 오판할 수 있다.However, in a voltage environment lower than any one of the initially selected or set signal logic tables, even though the driving device 120 is not actually locked, that is, during normal operation, the normal value of the initially selected signal logic table is Alternatively, the current value or electrical signal measured from the driving device 120 is lower than the normal range, so the control unit 110 may mistakenly determine that the driving device 120 is constrained.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하였을 때, 구속이 해제된 이후 현재 선택된 신호논리테이블이 아닌 또 다른 신호논리테이블로 재수립할 수 있고(S30), 이후 재수립된 신호논리테이블을 기준으로 구동장치(120)로부터 측정된 전류값 또는 전기적신호를 이용하여 구동장치(120)의 구속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S40).Therefore, when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the driving device 120 is restrained, after the restraint is released, it can re-establish a signal logic table other than the currently selected signal logical table. (S30), it is possible to re-determine whether the driving device 120 is restrained using the current value or electrical signal measured from the driving device 120 based on the re-established signal logic table (S40).

여기서, 제어부(110)가 신호논리테이블의 재수립을 하기 위해 구동장치(120)의 구속이 해제되어야 하며, 제어부(110)가 구동장치(120)의 구속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볼(50)이 볼수납부(12)로부터 이탈된 다음, 볼(50)이 다시 볼수납부(12)로 인입되었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Here, in order for the control unit 110 to re-establish the signal logic table,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must be released, and in order for the control unit 110 to determine whether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has been released, After 50 is separated from the ball receiving unit 12, it can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ball 50 has been re-entered into the ball receiving unit 12.

통상 사용자는 구동장치(120)의 구속이 발생한 경우, 도어(20)를 개방하고 볼(50)을 이탈시킨 다음, 볼(50) 내부에 구속의 원인이 된 이물질을 처리 또는 제거한 다음, 다시 볼수납부(12)에 장착하게 된다.Normally, when the driving device 120 is restricted, the user opens the door 20, removes the ball 50, and then disposes of or removes the foreign matter inside the ball 50 that caused the restriction, and then sees it again. It is installed in payment (12).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구동장치(120)의 구속이 발생한 이후, 구속이 해제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볼(50)이 볼수납부(12)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구동장치(120)의 구속이 해제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이후, 볼(50)이 볼수납부(12)로부터 이탈된 다음 다시 볼수납부(12)에 장착되었을 때 제어부(110)는 신호논리테이블을 재수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각종 수단을 이용하여 볼수납부(12) 내 볼(50)의 장착여부 또는 탈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restraint has been released after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occurs when the ball 50 is separated from 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restraint of the device 120 has been released, and then, when the ball 50 is separated from 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and then mounted again on the ball receiving portion 12, the control unit 110 rereads the signal logic table. can be established.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ct whether the ball 50 in the ball storage unit 12 is mounted or detached using various means.

구체적으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한 경우, 먼저 구동장치(120)를 정지할 수 있다(S31).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7, when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the driving device 120 is restrained, it can first stop the driving device 120 (S31).

그 다음 제어부(110)는 도어(20)가 개방되어 볼(50)이 볼수납부(12)에서 이탈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고(S32), 만약 볼(50)이 볼수납부(12)에서 탈착되었다고 판단한 이후 구동장치(120)가 재동작(S33)할 때에는 현재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신호논리테이블과 다른 신호논리테이블로 재수립할 수 있다(S34).Next,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door 20 is opened and the ball 50 has separated from the ball receiving unit 12 (S32),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all 50 has been detached from the ball receiving unit 12, Afterwards, when the driving device 120 is restarted (S33), it can be re-established with a signal logic table different from any currently selected signal logic table (S34).

여기서, 제어부(110)에 의해 재수립되는 또 다른 신호논리테이블은 현재 선택된 신호논리테이블과 다른 임의의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재수립되는 또 다른 신호논리테이블은 현재 신호논리테이블에 대응하는 입력전압보다 낮은 저전압의 신호논리테이블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제어부(110)는 신호논리테이블을 재수립시마다 순차적으로 그리고 단계적으로 저전압의 신호논리테이블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nother signal logic table re-established by the control unit 110 may be any other than the currently selected signal logic table, but another signal logic table re-establis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urrent signal logic table. It may be a low-voltage signal logic table lower than the input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table, and more preferably, the control unit 110 sequentially and stepwise selects a low-voltage signal logic table each time the signal logic table is re-established.

왜냐하면, 실제 구동장치(120)의 구속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저전압환경에서 구동장치(120)로부터 측정되는 전기적신호가 상대적으로 낮아 구속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에, 구동장치(120)로부터 측정되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적신호가 정상범위로 만들기 위해 저전압의 신호논리테이블로 재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is because, although the actual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did not occur, it was determined that restraint occurred because the electrical signal measured from the driving device 120 in a low-voltage environment was relatively low, and the relatively low voltage measured from the driving device 120 In order to bring low electrical signals into the normal range, it is desirable to re-establish a low-voltage signal logic table.

일 예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가 초기에 선택한 신호논리테이블이 230V의 D 신호논리테이블인 경우,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한 이후 제어부(110)에 의해 1차적으로 재수립되는 신호논리테이블은 220V의 C 신호논리테이블일 수 있고, 여전히 제어부(110)에 의해 구동장치(120)의 구속이 판단된 경우 차순위로 재수립되는 신호논리테이블은 210V의 B 신호논리테이블로서, 제어부(110)가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하였을 때 재수립되는 신호논리테이블은 순차적으로 그리고 단계적으로 저전압의 신호논리테이블일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when the signal logic table initially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110 is the D signal logic table of 230V, the primary The signal logic table re-established may be the C signal logic table of 220V, and if the control unit 110 still determines that the driving device 120 is constrained, the signal logic table re-established in the next priority may be the B signal logic of 210V. As a table, the signal logic table that is re-established when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driving device 120 is constrained may be a low-voltage signal logic table sequentially and step by step.

다만, 제어부(110)가 재수립한 신호논리테이블이 기 준비하여 마련된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 중 가장 낮은 입력전압에 대응하는 신호논리테이블이고, 이때에도 제어부(110)가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하였을 때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loop)에 따라 가장 높은 입력전압에 대응하는 신호논리테이블로 재수립하거나, 구동장치(120)에 대한 고장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However, the signal logic table re-established by the control unit 110 is a signal logic table corresponding to the lowest input voltage among the plurality of previously prepared signal logic tables, and even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restrains the driving device 120. When it is determined, the signal logic table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input voltage can be re-established according to the loop, as shown in FIG. 15, or a failure alarm for the driving device 120 can be output.

물론, 제어부(110)는 상기 루프에 따라 신호논리테이블을 1회 또는 2회 이상 반복하여 재수립할 수도 있으나, 기 설정된 소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재수립하였음에도 여전히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여전히 판단한 경우 그 이후에 구동장치(120)에 대한 고장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Of course, the control unit 110 may re-establish the signal logic table by repeating it once or twice or more according to the loop, but it still determines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even though it is re-established by repeating i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this case, a failure alarm for the driving device 120 can be output after that.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구동장치(120)로부터 측정된 전기적신호를 초기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신호논리테이블과 비교하여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한 경우, 또 다른 신호논리테이블을 재수립하고(S30), 이후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재판단(S40)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Ultimately, when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by comparing the electrical signal measured from the driving device 120 with any one initially selected signal logic table, or The process of re-establishing another signal logic table (S30) and then re-determining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S40) can be repeated.

한편, 제어부(110)는 실제 구동장치(120)의 구속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구동장치(120)의 구속이 발생하였음으로 잘못 판단하였을 때, 즉 저전압환경 등에 의해 구속을 판단하였을 때 신호논리테이블을 재수립할 수 있지만, 실제 구동장치(120)의 구속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신호논리테이블을 재수립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unit 110 erroneously determines that the driving device 120 is locked even though it has not actually been locked, that is, when it determines that the driving device 120 is locked due to a low voltage environment, etc., it re-reads the signal logic table. Although it can be established, it is preferable not to re-establish the signal logic table when the actual driving device 120 is locked.

제어부(110)가 정상적으로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한 경우에도 신호논리테이블을 재수립하는 경우에는, 이후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지속하여 오판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구동장치(120)의 구동시 신호논리테이블을 고정할 필요가 있다.Even if the control unit 110 normally determines that the driving device 120 is constrained, if the signal logic table is re-established, the subsequent con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may continue to be misjudged, so the normal driving device 120 It is necessary to fix the signal logic table when driving.

따라서, 제어부(110)가 어느 한 신호논리테이블을 근거로 소정의 동작모드, 일 예로 피처리물 처리모드에 따라 구동장치(120)를 구동하였고, 구동장치(120)가 중단 없이 해당 동작모드에 따른 동작을 완료하였을 때에는, 현재 선택된 해당 신호논리테이블을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10 drives the driving device 12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mode, for example, an object processing mode, based on a signal logic table, and the driving device 120 operates in the corresponding operating mode without interruption. When the following operations are completed, the currently selected signal logic table can be fixed.

다만, 음식물처리기(1)의 설치장소 변경 등으로 음식물처리기(1)에 인가되는 전원환경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110)는 음식물처리기(1)에 인가된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신규 전원이 재인가시 상기 고정된 신호논리테이블을 해제할 수 있고,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 중 어느 하나, 일 예로 초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선택한 다음, 다시 도 14의 S10 내지 S50 단계에 따라 초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신호논리테이블을 수립 및/또는 재수립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power environment applied to the food waste disposer 1 may change due to changes i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food waste disposer 1, etc., the control unit 110 blocks the power supply applied to the food waste disposer 1 and turns on a new power source. Upon reapplying, the fixed signal logic table can be released, and one of the plurality of signal logic tables, for example, one initially selected, is selected, and then any one initially selected signal logic is again processed according to steps S10 to S50 of FIG. 14. Tables can be established and/or re-establish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장치(120)로부터 측정되는 전기적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the electrical signal measured from the driving device 120, as described above, to determin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제어부(110)가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살펴보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먼저 구동장치(120)로부터의 전기적신호를 측정하여 구동장치(120)의 부하를 감지할 수 있다(S21). 물론, 여기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구동장치(120)는 현재 동작 중일 수 있다.Looking at the specific process by which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as shown in FIG. 16,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determines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The load of the driving device 120 can be detected by measuring the electrical signal (S21).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driving device 120 may be currently operating.

만약, 제어부(110)가 구동장치(120)로부터 측정된 전기적신호가 없어 구동장치(120)의 미동작을 판단한 경우, 다시말해 제어부(110)는 구동장치(120)에 동작하도록 제어지령을 인가하였음에도 구동장치(120)로부터 측정된 전기적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구동장치(120)의 파손을 판단할 수 있다(S26). 즉, 제어부(110)는 구동장치(120)의 전기적신호를 이용하여 구동장치(120)의 파손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f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driving device 120 is not in operation because there is no electrical signal measured from the driving device 120,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110 applies a control command to the driving device 120 to operate. However, if there is no electrical signal measured from the driving device 120, damage to the driving device 120 can be determined (S26). That is,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rmine whether the driving device 120 is damaged by using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driving device 120.

제어부(110)가 구동장치(120)의 파손이 아님을 판단한 경우에는, 구동장치(120)의 전기적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현재의 신호논리테이블과 비교하여, 상기 수집된 전기적신호가 신호논리테이블의 정상범위를 벗어났을 때에는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driving device 120 is not damaged, it collects the electrical signals of the driving device 120, compares them with the current signal logic table, and determines that the collected electrical signals are included in the signal logic table. When it is outside the normal rang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can be determined.

여기서,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제어부(110)가 전기적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수집할 수 있고, 소정 시간동안 수집된 전기적신호를 산술평균 또는 가중평균(일 예로, 구동장치(120)에 제어지령 인가 초기시 가중치는 다른 시간의 가중치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하고, 이를 근거로 현재의 신호논리테이블과 비교함으로써,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control unit 110 may collect electrical signal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control the electrical signals coll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performing an arithmetic average or weighted average (for example, the driving device 120). The weight at the beginning of command application may be relatively lower than the weight at other times), and by comparing this with the current signal logic table, the con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can be determin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구동장치(120)의 전기적신호를 수집(S24)할 때, 그 전에 구동장치(120)를 시계방향(CW) 또는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제어지령을 인가할 수 있고(S23), 그에 따른 구동장치(120)의 전기적신호를 수집(S24)한 다음,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구동장치(12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케한 다음, 어느 한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장치(120)로부터 측정된 전기적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부(110)는 구동장치(120)의 구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collecting the electrical signals of the driving device 120 (S24),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driving device 120 clockwise (CW) or counterclockwise (S24). A control command can be applied to rotate in CCW (S23), and the resulting electrical signal of the driving device 120 can be collected (S24), and then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can be determined. That is,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driving device 120 in one direction and then uses the electrical signal measured from the driving device 120 to drive in one direction.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rmine whether the driving device 120 is restrained.

만약, 제어부(110)에 의해 인가된 제어지령에 따라 구동장치(120)가 구동하지 않는다면, 즉 구동장치(120)로부터 측정된 전기적신호가 없으면 구동장치(120)는 파손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S26), 파손을 판단하지 않은 경우에는 구동장치(120)의 전기적신호를 수집하여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할 수 있다.If the driving device 120 does not driv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applied by the control unit 110, that is, if there is no electrical signal measured from the driving device 120, the driving device 120 may be determined to be damaged. (S26), if damage is not determined,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can be determined by collecting the electrical signals of the driving device 120.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구동장치(120)의 파손을 먼저 감지할 수 있고, 구동장치(120)의 파손을 판단하지 않은 경우에는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irst detect damage to the driving device 120, and if it does not determine that the driving device 120 is damaged, it restrains the driving device 120. You can judge.

구동장치(120)은 파손 판단은, 구동장치(120)로부터 측정된 전기적신호가 없거나, 또는 구동장치(120)로부터 측정된 전기적신호가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하는 구속범위를 벗어난 경우로서, 여기서 구속범위는 신호논리테이블의 정상범위를 기준으로 소정의 마진폭이 가해진 범위일 수 있다.The driving device 120 is judged to be damaged when there is no electrical signal measured from the driving device 120 or when the electrical signal measured from the driving device 120 is outside the restraint range for determining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As, here, the constraint range may be a range in which a predetermined margin is applied based on the normal range of the signal logic table.

이렇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판단할 수 있으며, 구속을 판단한 경우에는 다른 신호논리테이블을 재수립하여 구동장치(120)의 구속을 재판단하는 과정을 1회 이상 반복함으로써, 현재 전압환경에 맞는 구동장치(120)의 구속여부 판단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and when determining the restraint, re-establishes another signal logic table to re-determine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120. By repeating the process one or more times, a standar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riving device 120 is constrained according to the current voltage environment can be established.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method for controlling a food waste dispo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perform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cre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interpreted.

1: 음식물처리기 10: 본체
11: 통기공 12: 볼수납부
13: 히팅플레이트 14: 볼수용하우징
141: 연통구 20: 도어
34: 구동장치 44: 순환팬
45: 증발기 451: 증발기함
46: 유량조절밸브 47: 응축기
48: 압축기 49: 방열팬
50: 볼 51: 용기본체
511: 가이드돌기 512: 접이식손잡이
52: 용기커버 521: 개폐손잡이
53: 차단부 535: 패킹부재
54: 제1 통기구 55: 볼손잡이
56: 볼커플링 57: 회전부
58a~58c: 가동날개 59a: 제1 고정날개
59b: 제2 고정날개 60: 도어열림버튼
70: 도어열림모듈 80: 응축수탱크
81: 팽창탱크 85: 배출모터
90: 탈취필터 91: 배기관
110: 제어부 115: 전류측정부
120: 구동장치
1: Food waste processor 10: Main body
11: Ventilation hole 12: Ball storage unit
13: Heating plate 14: Ball receiving housing
141: communication port 20: door
34: driving device 44: circulation fan
45: Evaporator 451: Evaporator box
46: flow control valve 47: condenser
48: Compressor 49: Heat dissipation fan
50: Ball 51: Container body
511: Guide projection 512: Folding handle
52: Container cover 521: Opening and closing handle
53: blocking part 535: packing member
54: first vent 55: ball handle
56: Ball coupling 57: Rotating part
58a~58c: Movable wing 59a: First fixed wing
59b: Second fixed wing 60: Door open button
70: Door opening module 80: Condensate tank
81: expansion tank 85: discharge motor
90: Deodorizing filter 91: Exhaust pipe
110: Control unit 115: Current measurement unit
120: driving device

Claims (11)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와,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된 상기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교반 또는 분쇄하기 위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처리기의 입력전압에 따른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을 마련하는 (a) 단계;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 중 초기 선택된 어느 하나와 상기 구동장치의 전기적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하는 (b)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한 경우,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 해제 후 상기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 중 다른 신호논리테이블을 재수립하는 (c)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수립된 신호논리테이블과 상기 구동장치의 전기적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하는 (d)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A control method for a food waste disposer comprising a ball receiving unit provided therein with a ball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treated, and a driving device providing rotational driving force to agitate or pulverize the object to be treated inside the ball provided in the ball receiving unit. Because,
Step (a) of preparing a plurality of signal logic tables according to the input voltage of the food waste disposer;
(b)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by comparing an electrical signal of the driving device with one initially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signal logic tables;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riving device is restrained, (c) re-establishing another signal logic table among the plurality of signal logical tables after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and
(d)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by comparing the re-established signal logic table with an electrical signal of the driving device;
A control method for a food waste processo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한 경우, 외부로 구속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riving device is restrained, outputting a restraint alarm to the outside;
A control method for a food waste processor,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재수립된 신호논리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한 경우, 상기 (c) 단계 및 (d)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control method for a food waste disposer, wherein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riving device is constrained based on the re-established signal logic table, steps (c) and (d) are repe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어느 한 상기 재수립된 신호논리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 판단 없이 소정의 동작모드에 따른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을 중단 없이 완료한 경우, 현재 상기 신호논리테이블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ontrol unit complete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mode without interruption without determining the con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based on any of the re-established signal logic tables, it currently fixes the signal logic table. Characterized by a control method for a food waste processo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처리기에 신규 전원 인가시 상기 고정된 신호논리테이블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rol method of a food waste disposer, wherein the control unit releases the fixed signal logic table when new power is applied to the food waste dispo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입력전압별 상기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 중 재수립시마다 순차적으로 그리고 단계적으로 저전압의 상기 신호논리테이블을 재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c),
The control method of a food waste disposer, wherein the control unit re-establishes the signal logic table of a low voltage sequentially and stepwise each time one of the plurality of signal logic tables for each input voltage is re-establish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볼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의 개방 후 상기 볼이 상기 볼수납부에서 이탈하였을 때,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 해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c), the control unit determines release of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when the ball leaves the ball storage unit after opening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ball storage uni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 해제를 판단한 이후, 상기 볼수납부에 상기 볼의 장착시 상기 신호논리테이블을 재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7,
In step (c), the control unit re-establishes the signal logic table when the ball is installed in the ball storage unit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driving device has been released from restrai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장치의 전기적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파손여부를 판단하는 (b-1)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장치의 파손을 판단하지 않은 경우, 상기 구동장치의 상기 전기적신호를 수집하는 (b-2)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전기적신호를 상기 선택된 신호논리테이블의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하는 (b-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b),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driving device is damaged us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driving device (b-1);
If the control unit does not determine that the driving device is damaged, (b-2) collecting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driving device; and
(b-3),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when the collected electrical signal is outside the normal range of the selected signal logic table;
A control method for a food waste processor comprising: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장치의 파손을 판단하지 않은 경우, 상기 구동장치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장치의 상기 전기적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9,
In step (b-2),
If the control unit does not determine that the driving device is damaged, driving the driving devic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The control unit collects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driving device;
A control method for a food waste processor, further comprising: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된 상기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교반 또는 분쇄하기 위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 및
상기 음식물처리기의 입력전압에 따라 기 마련된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을 중 초기 선택된 어느 하나와 상기 구동장치의 전기적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한 경우,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 해제 후 상기 복수의 신호논리테이블 중 다른 신호논리테이블을 재수립한 다음, 상기 재수립된 신호논리테이블과 상기 구동장치의 전기적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구속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A ball receiving portion in which a ball accommodating the object to be treated is provided therein;
a driving device that provides rotational driving force to agitate or pulverize the object to be treated inside the ball provided in the ball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by comparing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driving device with one initially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signal logic tables prepared according to the input voltage of the food waste disposer;
Including,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riving device is restrained, the control unit re-establishes another signal logic table among the plurality of signal logic tables after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and then combines the re-established signal logic table with the electric power of the driving device. A food waste disposer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the restraint of the driving device by comparing red signals.
KR1020220138436A 2022-05-31 2022-10-25 Food wast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KR2023016683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169 2022-05-31
KR20220067169 2022-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837A true KR20230166837A (en) 2023-12-07

Family

ID=89163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436A KR20230166837A (en) 2022-05-31 2022-10-25 Food wast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6837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076A (en) 2009-11-20 2011-05-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Heat exchange module and food waste disposing apparatus
KR20160044110A (en)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Foods waste process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076A (en) 2009-11-20 2011-05-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Heat exchange module and food waste disposing apparatus
KR20160044110A (en)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Foods waste process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6115B2 (en) Dryer and condenser assembly structure of the dryer
US20060080974A1 (en) Drying apparatus, washing/dry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s of the apparatuses
JP6185010B2 (en) Clothing washing machine
KR20150018201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11072497A (en) Washing-drying machine and drying machine
KR20230166837A (en) Food wast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KR20230166838A (en) Food wast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KR20230167286A (en) Food wast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KR20230167287A (en) Food waste disposer
KR20230165620A (en) Food waste disposer
KR20230166828A (en) Food wast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KR20230166833A (en) Food wast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KR20230166843A (en) Food wast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KR20230165619A (en) Food waste disposer
KR20230166842A (en) Food waste disposer and bowl of the same
KR20230165618A (en) Food waste disposer
KR20230148929A (en) Food wast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KR20230166829A (en) Food wast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KR20230166849A (en) Food waste disposer and bowl of the same
KR20230167283A (en) Food waste disposer
KR20230167282A (en) Food waste disposer
KR20230166841A (en) Food waste disposer
KR20230166857A (en) Food waste disposer
KR20230165617A (en) Food waste disposer
KR20230165616A (en) Food waste dispo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