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622A - Display Device For High-Speed Driving And Driving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For High-Speed Driving And Driving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622A
KR20230166622A KR1020220066830A KR20220066830A KR20230166622A KR 20230166622 A KR20230166622 A KR 20230166622A KR 1020220066830 A KR1020220066830 A KR 1020220066830A KR 20220066830 A KR20220066830 A KR 20220066830A KR 20230166622 A KR20230166622 A KR 20230166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additional
data
output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8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정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6622A/en
Publication of KR20230166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622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복수의 픽셀들이 구비된 표시패널; 상기 픽셀들에 기입될 영상 데이터의 트랜지션 정도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타겟 데이터전압을 상기 픽셀들에 연결된 데이터 출력 채널들로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출력 버퍼들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버퍼들 각각은, 상기 타겟 데이터전압의 출력을 위해 미리 설정된 라이징 전류 또는 폴링 전류를 상기 데이터 출력 채널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출력 노드에 인가하는 앰프 출력부; 및 상기 타겟 데이터전압의 출력 슬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전류 제어정보에 따라 추가 라이징 전류 또는 추가 폴링 전류를 선택하여 상기 추가 라이징 전류 또는 추가 폴링 전류가 상기 출력 노드로 인가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슬루율 조정부를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xels; a timing controller that generates curren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a transition degree of image data to be written to the pixels; and a plurality of output buffers for outputting a target dat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to data output channels connected to the pixels, each of the output buffers having a preset rising voltage for output of the target data voltage. an amplifier output unit that applies current or polling current to an output node connected to one of the data output channels; and a slew rate adjuster that selects an additional rising current or an additional falling current according to the current control information to adjust the time at which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or an additional fall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output node in order to increase the output slew rate of the target data voltage. Includes.

Description

고속 구동용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Display Device For High-Speed Driving And Driving Method Therefor}Display device for high-speed driving and driving method therefor {Display Device For High-Speed Driving And Driving Method Therefor}

본 명세서는 고속 구동용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high-speed driving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최근, 고 해상도, 고속 구동에 적합하도록 고속 구동용 표시장치가 제안되고 있다.Recently, display devices for high-speed driving have been proposed to be suitable for high-resolution and high-speed driving.

고속 구동용 표시장치에서 요구되는 소비 전력 특성과 데이터 충방전 특성은 서로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에 있다. 기존의 고속 구동 표시장치의 경우, 소비 전력 특성과 데이터 충방전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기 어렵다.The powe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nd data charging/discharging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high-speed display devices are in a trade-off relationship. In the case of existing high-speed display devices, it is difficult to satisfy both powe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nd data charging and discharging characteristics.

따라서, 본 명세서는 소비 전력 특성과 데이터 충방전 특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is specifica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that can improve both powe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nd data charging/discharging characteristics.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복수의 픽셀들이 구비된 표시패널; 상기 픽셀들에 기입될 영상 데이터의 트랜지션 정도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타겟 데이터전압을 상기 픽셀들에 연결된 데이터 출력 채널들로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출력 버퍼들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버퍼들 각각은, 상기 타겟 데이터전압의 출력을 위해 미리 설정된 라이징 전류 또는 폴링 전류를 상기 데이터 출력 채널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출력 노드에 인가하는 앰프 출력부; 및 상기 타겟 데이터전압의 출력 슬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전류 제어정보에 따라 추가 라이징 전류 또는 추가 폴링 전류를 선택하여 상기 추가 라이징 전류 또는 추가 폴링 전류가 상기 출력 노드로 인가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슬루율 조정부를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xels; a timing controller that generates curren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a transition degree of image data to be written to the pixels; and a plurality of output buffers for outputting a target dat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to data output channels connected to the pixels, each of the output buffers having a preset rising voltage for output of the target data voltage. an amplifier output unit that applies current or polling current to an output node connected to one of the data output channels; and a slew rate adjuster that selects an additional rising current or an additional falling current according to the current control information to adjust the time at which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or an additional fall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output node in order to increase the output slew rate of the target data voltage. Includes.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픽셀들에 기입될 영상 데이터의 트랜지션 정도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타겟 데이터전압을 상기 픽셀들에 연결된 데이터 출력 채널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데이터전압을 상기 픽셀들에 연결된 데이터 출력 채널들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데이터전압의 출력을 위해 미리 설정된 라이징 전류 또는 폴링 전류를 상기 데이터 출력 채널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출력 노드에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데이터전압의 출력 슬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전류 제어정보에 따라 추가 라이징 전류 또는 추가 폴링 전류를 선택하여 상기 추가 라이징 전류 또는 추가 폴링 전류가 상기 출력 노드로 인가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generating curren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transition degree of image data to be written to pixels; and outputting a target dat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to data output channels connected to the pixels, wherein outputting the target data voltage to data output channels connected to the pixels includes: Applying a preset rising current or falling current to output a data voltage to an output node connected to one of the data output channels; And selecting an additional rising current or an additional falling current according to the current control information to increase the output slew rate of the target data voltage and adjusting the time at which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or additional fall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output node. do.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embodiments of this specifica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앰프 바이어스 전류(Isum)를 노멀 트랜지션 조건에 맞추어 설정하고, 데이터 트랜지션 정도가 큰 출력 채널에 대해 선택적으로 추가 전류원을 인에이블 시킴으로써 소비 전력 특성과 데이터 충방전 특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mproves both powe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nd data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by setting the amplifier bias current (Isum) according to normal transition conditions and selectively enabling additional current sources for output channels with a large degree of data transition. You can do it.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픽셀별 데이터 트랜지션의 방향에 따라 라이징(rising)용 추가 전류원 또는 폴링(falling)용 추가 전류원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키고, 데이터 트랜지션 정도에 따라 추가 전류원의 인에이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소비 전력 특성과 데이터 충방전 특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electively enables an additional current source for rising or an additional current source for falling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data transition for each pixel, and adjusts the enable time of the additional current sour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ta transition. By doing so, powe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nd data charging/discharging characteristics can be efficiently improved.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EPI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개별 출력 버퍼의 추가 전류원을 컨트롤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컨트롤러를 추가하지 않고 추가 전류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ince the additional current source of the individual output buffer can be controlled using the EPI protocol, the operation of the additional current source can be controlled without adding a separate controller.

본 명세서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further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데이터라인들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포함된 출력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출력 회로에 포함된 메인 바이어스부에서 파워 컨트롤 신호와 앰프 바이어스 전류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앰프 바이어스 전류와 트랜지션 타임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라이징용 추가 전류원의 동작에 따른 데이터전압의 출력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폴링용 추가 전류원의 동작에 따른 데이터전압의 출력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S30 단계에서 판단된 제1 제어정보를 설정하여 EPI 포맷터로 전송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S40 단계에서 결정된 제2 제어정보를 설정하여 EPI 포맷터로 전송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류 제어정보가 포함된 EPI 전송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EPI 전송데이터 포맷에 포함된 제1 전류 제어정보와 제2 전류 제어정보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의 EPI 전송데이터 포맷에 포함된 제1 전류 제어정보의 설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6의 EPI 전송데이터 포맷에 포함된 제2 전류 제어정보의 설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류 제어정보가 포함된 EPI 전송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는 도 20의 EPI 전송데이터 포맷에 포함된 제3 전류 제어정보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0의 EPI 전송데이터 포맷에 포함된 제3 전류 제어정보의 설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는 복수의 파워 컨트롤 모드들 각각에서, 본 발명의 적용 전후에 있어 트랜지션 타임 감소율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and data lines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output circuit included in a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power control signal and an amplifier bias current in the main bias unit included in the output circuit of FIG. 4.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mplifier bias current and transition time.
Figures 7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changes in output of data voltag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n additional current source for rising.
10 to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changes in the output of data voltag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n additional current source for polling.
Figure 1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setting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determined in step S30 of FIG. 13 and transmitting it to the EPI formatter.
FIG. 15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setting the second control information determined in step S40 of FIG. 13 and transmitting it to the EPI formatter.
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PI transmission data format including current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and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PI transmission data format of FIG. 16.
FIG. 1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PI transmission data format of FIG. 16.
FIG. 1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PI transmission data format of FIG. 16.
Figure 20 is a diagram showing the EPI transmission data format including current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s 21 and 22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ir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PI transmission data format of Figure 20.
FIG. 2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thir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PI transmission data format of FIG. 20.
Figures 24 and 25 are diagrams showing the transition time reduction rate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ach of a plurality of power control modes.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ut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specification pertains is provid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is specifica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 ~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The shape, size, ratio, angle, number,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e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to include the margin of error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 ~ 상에', ' ~ 상부에', ' ~ 하부에', ' ~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top', 'on top', 'at the bottom', 'next to ~', 'right next to' Alternatively, there may be one or more other parts plac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명세서와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substantially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데이터라인들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and data lines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PNL), 타이밍 컨트롤러(CONT), 데이터 구동회로(DDRV), 및 게이트 구동회로(GDRV)를 포함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또는 액정 표시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1 and 2,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PNL), a timing controller (CONT), a data driving circuit (DDRV), and a gate driving circuit (GDRV). It can be implemented as a display device 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표시패널(PNL)에는 다수의 데이터라인들(DL)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GL)이 구비되며, 이러한 신호 라인들(GL, DL)의 교차영역에 픽셀들(PIX)이 배치될 수 있다.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픽셀들(PIX)에 의해 표시패널(PNL)의 표시 영역에 픽셀 어레이가 형성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PN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ata lines (DL)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GL), and pixels (PIX) can be arranged in the intersection area of these signal lines (GL, DL). there is. A pixel array may be formed in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PNL by pixels PIX arranged in a matrix form.

픽셀 어레이에서, 픽셀들(PIX)은 수평 방향으로 이웃하여 수평 라인을 형성한다. 수평 라인의 개수는 표시패널(PNL)의 수직 해상도가 된다. 동일한 수평 라인을 구성하는 픽셀들(PIX)은 동일한 게이트라인(GL)에 연결됨과 아울러 서로 다른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된다. 픽셀들(PIX) 각각은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 발광셀로 구현되거나 또는, 액정층을 포함한 액정셀로 구현될 수 있다. In a pixel array, pixels (PIX)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horizontal line. The number of horizontal lines becomes the vertical resolution of the display panel (PNL). Pixels (PIX) constituting the same horizontal line are connected to the same gate line (GL) and are connected to different data lines (DL). Each pixel (PIX) may be implemented as a light-emitting cell including a light-emitting diode, or as a liquid crystal cell including a liquid crystal layer.

타이밍 컨트롤러(CONT)는 호스트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 등의 타이밍 신호들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회로(DDRV)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와, 게이트 구동회로(GDRV)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를 생성할 수 있다.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는 게이트 스타트 신호, 게이트 쉬프트 클럭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는 소스 스타트 펄스, 소스 샘플링 클럭, 및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 등을 포함한다. The timing controller (CONT) operates a data driving circuit (DDRV) based on timing signals such as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nd data enable signal (DE) input from the host system (not shown). A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and a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gate driving circuit (GDRV) can be generated. The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may include a gate start signal, gate shift clocks, etc.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includes a source start pulse, a source sampling clock, and a source output enable signal.

타이밍 컨트롤러(CONT)는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입력 받은 영상 데이터(DATA)를 내부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데이터 구동회로(DDRV)에 전송한다. 영상 데이터(DATA)는 픽셀들(PIX)에서의 화상 표시를 위한 것으로서, 데이터 구동회로(DDRV)에서 데이터전압으로 변환된 뒤에 픽셀들(PIX)에 기입된다. 내부 인터페이스 회로는 EPI(Embedded Panel Interface) 회로일 수 있다. The timing controller (CONT) transmits image data (DATA) input from the host system to the data driving circuit (DDRV) through an internal interface circuit. The image data (DATA) is for image display in the pixels (PIX), and is converted to a data voltage in the data driving circuit (DDRV) and then written to the pixels (PIX). The internal interface circuit may be an Embedded Panel Interface (EPI) circuit.

타이밍 컨트롤러(CONT)는 영상 데이터(DATA)를 수평 라인 단위로 비교하여 영상 데이터(DATA)의 트랜지션 정도를 픽셀 단위로 도출한 후에, 영상 데이터(DATA)의 트랜지션 정도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타이밍 컨트롤러(CONT)는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와 전류 제어정보와 영상 데이터(DATA)를 EPI 전송 포맷으로 구성한 후에 데이터 구동회로(DDRV)에 전송한다. The timing controller (CONT) compares the image data (DATA) in units of horizontal lines to derive the transition degree of the image data (DATA) in pixel units, and then generates curren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transition degree of the image data (DATA). do. The timing controller (CONT) configures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current control information, and video data (DATA) in EPI transmission format and then transmits them to the data driving circuit (DDRV).

게이트 구동회로(GDRV)는 타이밍 컨트롤러(CONT)로부터의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기초하여 스캔 신호(SCAN)를 생성하고, 이 스캔 신호(SCAN)를 게이트라인들(GL)에 공급한다. 스캔 신호(SCAN)에 의해 데이터전압이 기입될 수평 라인이 선택된다. 게이트 구동회로(GDRV)는 게이트 인 패널 방식(GIP)에 따라 표시패널(PNL)의 비 표시영역에 내장될 수 있다. 비 표시영역은 표시패널(PNL)에서 패널 어레이 바깥에 위치할 수 있다.The gate driving circuit (GDRV) generates a scan signal (SCAN) based on the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from the timing controller (CONT) and supplies this scan signal (SCAN) to the gate lines (GL). The horizontal line on which the data voltage will be written is selected by the scan signal (SCAN). The gate driving circuit (GDRV) may be built into the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PNL) according to the gate-in-panel (GIP) method. The non-display area may be located outside the panel array in the display panel (PNL).

데이터 구동회로(DDRV)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는 타이밍 컨트롤러(CONT)로부터 전송 받은 EPI 전송 포맷에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와 전류 제어정보와 영상 데이터(DATA)를 분리한다.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는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DATA)를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한 후, 이 데이터전압을 데이터 출력 채널들(CH1~CHn)을 통해 데이터라인들(DL1~DLn)로 공급한다. 이때,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는 데이터 출력 채널들(CH1~CHn)에서 데이터전압의 출력 슬루율을 전류 제어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 제어함으로써, 소비 전력 특성과 데이터 충방전 특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The data driving circuit (DDRV) may include at least on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SD-IC). Th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SD-IC) separates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current control information, and image data (DATA) in the EPI transmission format receiv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CONT). Th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SD-IC) converts image data (DATA) into data voltage based on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and then converts this data voltage to the data line through the data output channels (CH1 to CHn). It is supplied to fields (DL1~DLn). At this time, th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SD-IC) selectively additionally controls the output slew rate of the data voltage in the data output channels (CH1 to CHn) according to the current control information, thereby improving both powe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nd data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It can be improved.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showing a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SD-IC)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3을 참조하면,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는 컨트롤 로직 회로(300), 래치 회로(310), D/A 변환 회로(320), 및 출력 회로(3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SD-IC) may include a control logic circuit 300, a latch circuit 310, a D/A conversion circuit 320, and an output circuit 330.

컨트롤 로직 회로(300)는 EPI 전송 포맷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컨트롤 데이터의 비트(bit)를 내부 클럭 타이밍에 맞춰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컨트롤 데이터로부터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복원한다. The control logic circuit 300 samples bits of control data from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EPI transmission format according to the internal clock timing,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SD-IC) from the sampled control data. Restore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to do this.

컨트롤 로직 회로(300)는 시리얼 타입의 EPI 전송 포맷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내부 클럭 타이밍에 맞춰 샘플링한다. 컨트롤 로직 회로(300)는 EPI 전송 포맷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전류 제어정보(CON1~CONn)를 내부 클럭 타이밍에 맞춰 샘플링하여 복원한다. 전류 제어정보(CON1~CONn)는 각 데이터 출력 채널마다 독립적으로 설정 및 복원된다. 전류 제어정보(CON1~CONn)는 출력 회로(330) 내에서 추가 라이징 전류 또는 추가 폴링 전류를 선택하기 위한 트랜지션 방향 정보와, 선택된 추가 전류를 인에이블 상태로 유지하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온 타임(On time) 정보를 포함한다.The control logic circuit 300 samples image data from a signal received through a serial-type EPI transmission format according to the internal clock timing. The control logic circuit 300 samples and restores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ON1 to CONn) from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EPI transmission format according to the internal clock timing.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ON1~CONn) is set and restored independently for each data output channel.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ON1 to CONn) includes transition direction information for selecting additional rising current or additional falling current within the output circuit 330, and on time ( On time) information.

트랜지션 방향 정보는 데이터 전압의 트랜지션 방향을 의미하며, 상향 트랜지션을 지시하는 제1 논리값과 하향 트랜지션을 지시하는 제2 논리값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션 방향 정보는 출력 회로(330) 내에서 추가 라이징 전류 또는 추가 폴링 전류 중에서 인에이블 되는 추가 전류를 선택하는 기준이 된다. 출력 회로(330)에 상향 트랜지션을 지시하는 제1 논리값이 입력되면 추가 라이징 전류가 인에이블 되고, 하향 트랜지션을 지시하는 제2 논리값이 입력되면 추가 폴링 전류가 인에이블 되어 추가 전류가 공급된다. 출력 회로(330)에서 추가 라이징 전류가 인에이블되면 데이터전압의 상향 트랜지션 타임이 감소될 수 있고, 추가 폴링 전류가 인에이블되면 데이터전압의 하향 트랜지션 타임이 감소될 수 있다.The transition direction information refers to the transition direction of the data voltage and may include a first logic value indicating an upward transition and a second logic value indicating a downward transition. The transition direction information serves as a standard for selecting an enabled additional current from among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or the additional falling current within the output circuit 330. When a first logic value indicating an upward transition is input to the output circuit 330, additional rising current is enabled, and when a second logic value indicating a downward transition is input, an additional falling current is enabled and additional current is supplied. . If additional rising current is enabled in the output circuit 330, the upward transition time of the data voltage may be reduced, and if additional falling current is enabled, the downward transition time of the data voltage may be reduced.

온 타임(On time) 정보는 트랜지션 방향 정보에 의해 선택된 추가 전류의 인에이블 유지 시간을 설정하는 기준이 된다. 온 타임 정보는 데이터 전압의 트랜지션량이 클 수록 추가 전류의 인에이블 유지 시간이 증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회로(330)에 상향 트랜지션을 지시하는 제1 논리값이 입력되면 추가 라이징 전류가 인에이블 되고, 온 타임 정보에 따라 추가 라이징 전류의 인에이블 유지 시간이 결정된다. 데이터 전압의 상향 트랜지션량이 클 수록 추가 라이징 전류의 인에이블 유지 시간을 증가시켜 트랜지션 타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출력 회로(330)에 하향 트랜지션을 지시하는 제2 논리값이 입력되면 추가 폴링 전류가 인에이블 되고, 온 타임 정보에 따라 추가 폴링 전류의 인에이블 유지 시간이 결정된다. 데이터 전압의 하향 트랜지션량이 클 수록 추가 폴링 전류의 인에이블 유지 시간을 증가시켜 하향 트랜지션 타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전압의 트랜지션량이 기준 범위 이내로 작은 경우, 온 타임 정보는 추가 라이징 전류와 추가 폴링 전류가 모두 디스에이블되도록 설정된다.On time information serves as a standard for setting the enable maintenance time of the additional current selected by the transition direction information. The on-time information may be set so that the enable maintenance time of the additional current increases as the transition amount of the data voltage increases. For example, when a first logic value indicating an upward transition is input to the output circuit 330, additional rising current is enabled, and the enable maintenance time of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on-time information. As the upward transition amount of the data voltage increases, the transition time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enable maintenance time of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In the same way, when a second logic value indicating a downward transition is input to the output circuit 330, the additional polling current is enabled, and the enable maintenance time of the additional polling curre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n-time information. As the downward transition amount of the data voltage increases, the downward transition time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enable maintenance time of the additional polling current. Meanwhile, when the transition amount of the data voltage is small within the reference range, the on-time information is set to disable both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and the additional falling current.

액정 표시장치의 경우, 트랜지션 방향 정보는 수직 극성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극성 제어신호에 의해, 수평 라인 단위로 데이터전압의 극성이 반전된다. 데이터전압의 극성은 공통전압보다 높으면 정극성, 이와 반대로 공통전압보다 낮으면 부극성이 된다. 수직 극성 제어신호는 출력 회로(330) 내에서 추가 라이징 전류 또는 추가 폴링 전류 중에서 인에이블 되는 대상을 선택하는 데 기준이 된다. 출력 회로(330)에 상향 트랜지션을 지시하는 제1 논리값이 입력되면 추가 라이징 전류가 인에이블 되고, 하향 트랜지션을 지시하는 제2 논리값이 입력되면 추가 폴링 전류가 인에이블 되어 추가 전류가 공급된다. 출력 회로(330)에서 추가 라이징 전류가 인에이블되면 데이터전압의 상향 트랜지션 타임이 감소될 수 있고, 추가 폴링 전류가 인에이블되면 데이터전압의 하향 트랜지션 타임이 감소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transition dir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vertical polarity control signal. The polarity of the data voltage is inverted for each horizontal line by the vertical polarity control signal. If the polarity of the data voltage is higher than the common voltage, it becomes positive polarity. Conversely, if it is lower than the common voltage, it becomes negative polarity. The vertical polarity control signal serves as a standard for selecting whether to enable an additional rising current or an additional falling current within the output circuit 330. When a first logic value indicating an upward transition is input to the output circuit 330, additional rising current is enabled, and when a second logic value indicating a downward transition is input, an additional falling current is enabled and additional current is supplied. . If additional rising current is enabled in the output circuit 330, the upward transition time of the data voltage may be reduced, and if additional falling current is enabled, the downward transition time of the data voltage may be reduced.

온 타임 정보는 데이터 전압의 트랜지션 정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데이터 전압의 트랜지션량이 클 수록 추가 전류의 인에이블 상태를 길게 유지하여 트랜지션 타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데이터 전압의 트랜지션 량이 기준 범위 이내로 작은 경우, 트랜지션 방향과 무관하게 추가 라이징 전류와 추가 폴링 전류는 모두 디스에이블 된다.On-time information can be set according to the degree of transition of the data voltage. The larger the transition amount of the data voltage, the longer the enable state of the additional current can be maintained, thereby reducing the transition time. However, if the transition amount of the data voltage is small within the standard range, both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and the additional falling current are disabled regardless of the transition direction.

래치 회로(310)는 컨트롤 로직 회로(300)에서 샘플링된 영상 데이터의 비트들을 패러럴 타입의 데이터 체계로 변환한다. 래치 회로(310)는 컨트롤 로직 회로(300)에서 출력된 내부 클럭에 따라 동기된다. The latch circuit 310 converts the bits of image data sampled by the control logic circuit 300 into a parallel type data system. The latch circuit 310 is synchronized according to the internal clock output from the control logic circuit 300.

D/A 변환 회로(320)는 패러럴 타입의 데이터 체계로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감마 보상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전압을 생성한다.The D/A conversion circuit 320 generates a data voltage by converting image data converted into a parallel type data system into a gamma compensation voltage.

출력 회로(330)는 복수의 출력 버퍼들(330-1 내지 330-n)을 포함하여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타겟 데이터전압을 데이터 출력 채널들(CH1~CHn)로 출력한다. 출력 회로(330)는 출력 버퍼들(330-1 내지 330-n)에 공통으로 연결된 메인 바이어스부(MBB)를 더 포함한다. 출력 버퍼들(330-1 내지 330-n) 각각의 출력 슬루율은 컨트롤 로직 회로(300)로부터 개별적으로 입력되는 전류 제어정보(CON1~CONn)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The output circuit 330 includes a plurality of output buffers 330-1 to 330-n and outputs target data voltages corresponding to image data to data output channels CH1 to CHn. The output circuit 330 further includes a main bias unit (MBB) commonly connected to the output buffers 330-1 to 330-n. The output slew rate of each of the output buffers 330-1 to 330-n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ON1 to CONn) individually input from the control logic circuit 300.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포함된 출력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출력 회로에 포함된 메인 바이어스부에서 파워 컨트롤 신호와 앰프 바이어스 전류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앰프 바이어스 전류와 트랜지션 타임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output circuit included in a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power control signal and an amplifier bias current in the main bias unit included in the output circuit of FIG. 4.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mplifier bias current and transition time.

도 4를 참조하면, 출력 회로(330)는 메인 바이어스부(MBB)에 공통으로 연결된 출력 버퍼들(330-1 내지 330-n)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output circuit 330 includes output buffers 330-1 to 330-n commonly connected to the main bias unit MBB.

메인 바이어스부(MBB)는 미리 설정된 파워 컨트롤 신호(LLL, HHH)에 따라 앰프 바이어스 전류(Isum)의 크기를 결정하여 출력 버퍼들(330-1 내지 330-n)에 공통으로 인가한다.The main bias unit MBB determines the size of the amplifier bias current Isum according to the preset power control signals LLL and HHH and commonly applies it to the output buffers 330-1 to 330-n.

메인 바이어스부(MBB)는 고전위 전압원(NH)과 저전위 전압원(NL) 사이에 연결되어 기준 전류(Iref)를 생성하는 기준 전류원과, 기준 전류(Iref)에 기반한 앰프 바이어스 전류(Isum)를 출력하는 바이어스 회로부를 포함한다. 바이어스 회로부는 기준 전류(Iref)를 미러링하는 미러부(M1, M2)와, 파워 컨트롤 신호(PWRC)에 따라 바이어스 전류(Isum)의 크기를 결정하는 전류 조정부(A1~Ak) 등을 포함한다. 전류 조정부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A1~Ak)의 채널 용량은 다를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트랜지스터(A1)에 비해 제k 트랜지스터(Ak)의 채널 용량이 더 클 수 있다. The main bias unit (MBB) is connected between the high-potential voltage source (NH) and the low-potential voltage source (NL) to generate a reference current (Iref) and an amplifier bias current (Isum) based on the reference current (Iref). It includes a bias circuit unit that outputs. The bias circuit unit includes mirror units (M1, M2) that mirror the reference current (Iref) and current adjustment units (A1 to Ak) that determine the size of the bias current (Isum)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signal (PWRC). The channel capacitance of the transistors (A1 to Ak) constituting the current adjustment unit may be different, and for example, the channel capacitance of the kth transistor (Ak)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transistor (A1).

파워 컨트롤 신호(PWRC)는 일 예로서, 도 5와 같이 8개의 컨트롤 신호들(LLL~HHH)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컨트롤 신호들(LLL~HHH)은 8개의 파워 컨트롤 모드들에 각각 대응되어, 트랜지스터들(A1~A8) 중 어느 하나를 온 시킬 수 있다. 제1 파워 컨트롤 모드에서 컨트롤 신호(LLL)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A1)가 온 되고 앰프 바이어스 전류(Isum)는 기준 전류(Iref)가 된다. 제5 파워 컨트롤 모드에서 컨트롤 신호(HLL)에 따라 제5 트랜지스터(A5)가 온 되고 앰프 바이어스 전류(Isum)는 5*기준 전류(Iref)가 된다. 마찬가지로, 제8 파워 컨트롤 모드에서 컨트롤 신호(HHH)에 따라 제8 트랜지스터(A8)가 온 되고 앰프 바이어스 전류(Isum)는 8*기준 전류(Iref)가 된다.As an example, the power control signal (PWRC) may be composed of eight control signals (LLL to HHH) as shown in FIG. 5. These control signals (LLL to HHH) correspond to each of the eight power control modes and can turn on any one of the transistors (A1 to A8). In the first power control mode, the first transistor A1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LLL and the amplifier bias current Isum becomes the reference current Iref. In the fifth power control mode, the fifth transistor (A5)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HLL), and the amplifier bias current (Isum) becomes 5*reference current (Iref). Likewise, in the eighth power control mode, the eighth transistor (A8)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HHH) and the amplifier bias current (Isum) becomes 8*reference current (Iref).

파워 컨트롤 신호(PWRC)는 도 6과 같이 출력 버퍼들(330-1 내지 330-n)의 앰프 출력들이 타겟 전압 레벨(TL)까지 변하는 트랜지션 타임을 결정한다. 앰프 바이어스 전류(Isum)가 클수록 상기 트랜지션 타임이 짧아진다. 예를 들어, 상기 트랜지션 타임은 컨트롤 신호(HHH)에서 t1, 컨트롤 신호(HLL)에서 t2(t2>t1), 그리고 컨트롤 신호(LLL)에서 t3(t3>t2)가 된다. The power control signal PWRC determines the transition time at which the amplifier outputs of the output buffers 330-1 to 330-n change to the target voltage level TL, as shown in FIG. 6. The larger the amplifier bias current (Isum), the shorter the transition time. For example, the transition time is t1 in the control signal (HHH), t2 (t2>t1) in the control signal (HLL), and t3 (t3>t2) in the control signal (LLL).

출력 버퍼들(330-1 내지 330-n) 각각은, 입력 스테이지(ISTG)와 앰프 출력부를 갖는 앰프(AMP)와, 추가 라이징 전류(Iadd_R)와 추가 폴링 전류(Iadd_F)를 생성하는 슬루율 조정부(라이징 전류원, 폴링 전류원, SA, SB)를 포함한다. 여기서, TA는 TA1~TAn 중 어느 하나이고, TB는 TB1~TBn 중 어느 하나이고, AMP는 AMP1~AMPn 중 어느 하나이다. 그리고, Iadd_R는 Iadd_R1~Iadd_Rn 중 어느 하나이고, Iadd_F는 Iadd_F1~Iadd_Fn 중 어느 하나이고, SA는 SA1~SAn 중 어느 하나이고, SB는 SB1~SBn 중 어느 하나이다.Each of the output buffers 330-1 to 330-n includes an amplifier (AMP) having an input stage (ISTG) and an amplifier output section, and a slew rate adjustment section that generates an additional rising current (Iadd_R) and an additional falling current (Iadd_F). (Rising current source, falling current source, SA, SB). Here, TA is any one of TA1 to TAn, TB is any one of TB1 to TBn, and AMP is any one of AMP1 to AMPn. And, Iadd_R is any one of Iadd_R1 to Iadd_Rn, Iadd_F is any one of Iadd_F1 to Iadd_Fn, SA is any one of SA1 to SAn, and SB is any one of SB1 to SBn.

입력 스테이지(ISTG)는 바이어스 전류(Isum)를 싱킹한다. 입력 스테이지(ISTG)는 Single ended Differential Amp로 구현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앰프 출력부는 트랜지션 방향 정보 또는 수직 극성 제어신호에 따라 바이어스 전류(Isum)에 상당하는 라이징 전류 또는 폴링 전류를 데이터 출력 채널들(CH1~CHn)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출력 노드(NO)에 인가한다. 여기서, NO는 NO1~NOn 중 어느 하나이다.The input stage (ISTG) sinks the bias current (Isum). The input stage (ISTG)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ended Differential Amp,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mplifier output unit applies a rising current or falling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bias current (Isum) to the output node (NO) connected to one of the data output channels (CH1 to CHn) according to the transition direction information or the vertical polarity control signal. Here, NO is any one of NO1 to NOn.

앰프 출력부는 고전위 전압원(NH)으로부터 출력 노드(NO)로 라이징 전류를 소싱(sourcing)하기 위한 풀-업 트랜지스터(TA)와, 출력 노드(NO)로부터 저전위 전압원(NL)으로 폴링 전류를 싱킹(sinking)하기 위한 풀-다운 트랜지스터(TB)를 포함한다.The amplifier output unit includes a pull-up transistor (TA) for sourcing the rising current from the high-potential voltage source (NH) to the output node (NO), and a falling current from the output node (NO) to the low-potential voltage source (NL). Includes a pull-down transistor (TB) for sinking.

풀-업 트랜지스터(TA)는 데이터전압의 상향 트랜지션을 위해 온 되어 출력 노드(NO)로 라이징 전류를 소싱(sourcing)하고, 풀-다운 트랜지스터(TB)는 데이터전압의 상향 트랜지션을 위해 온 되어 저전위 전압원(NL)으로 폴링 전류를 싱킹(sinking)한다. The pull-up transistor (TA) is turned on for the upward transition of the data voltage and sources the rising current to the output node (NO), and the pull-down transistor (TB) is turned on for the upward transition of the data voltage. Sinking the polling current with the potential voltage source (NL).

슬루율 조정부는 컨트롤 로직 회로(300)로부터 전류 제어정보(CON)를 입력 받는다. 여기서, CON은 CON1~CONn 중에서 어느 하나이다. 슬루율 조정부는 전류 제어정보(CON)에 따라 추가 라이징 전류(Iadd_R) 또는 추가 폴링 전류(Iadd_F)를 출력 노드(NO)에 선택적으로 더 인가함으로써, 타겟 데이터전압의 출력 슬루율을 높인다. The slew rate adjustment unit receives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ON) from the control logic circuit 300. Here, CON is any one of CON1 to CONn. The slew rate adjuster increases the output slew rate of the target data voltage by selectively applying additional rising current (Iadd_R) or additional falling current (Iadd_F) to the output node (NO) according to the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ON).

슬루율 조정부는 추가 라이징 전류(Iadd_R)를 생성하는 제1 추가 전류원과, 전류 제어정보(CON)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되어 제1 추가 전류원과 출력 노드(NO) 간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추가 스위치(SA)와, 추가 폴링 전류(Iadd_F)를 생성하는 제2 추가 전류원과, 전류 제어정보(CON)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되어 제2 추가 전류원과 출력 노드(NO) 간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추가 스위치(SB)를 포함한다. The slew rate adjustment unit includes a first additional current source that generates an additional rising current (Iadd_R), and a first additional current source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ON) to control the current flow between the first additional current source and the output node (NO). A switch (SA), a second additional current source that generates an additional polling current (Iadd_F), and a second additional current source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ON) to control the current flow between the second additional current source and the output node (NO) 2 Includes additional switch (SB).

제1 추가 스위치(SA)와 제2 추가 스위치(SB)는 전류 제어정보(CON)의 트랜지션 방향 정보에 따라 선택되어, 온 타임 정보에 따라 온 상태를 유지한다. 다만, 트랜지션 방향 정보에 따라 제1 추가 스위치(SA) 또는 제2 추가 스위치(SB)가 선택되었더라도, 온 타임 정보가 추가 전류를 모두 디스에이블 하도록 설정된 경우 제1 추가 스위치(SA)와 제2 추가 스위치(SB)는 모두 오프 된다.The first additional switch (SA) and the second additional switch (SB)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ransition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ON) and remain in the on state according to the on-time information. However, even if the first additional switch (SA) or the second additional switch (SB)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transition direction information, if the on-time information is set to disable all additional current, the first additional switch (SA) and the second additional switch All switches (SB) are turned off.

도 7은 라이징용 추가 전류원의 동작 시 회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추가 라이징 전류 공급에 따른 데이터 전압의 출력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추가 라이징 전류의 공급 유지 시간에 따른 데이터 전압의 출력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ircuit operation when operating the additional current source for rising, Figure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utput change of the data voltage according to the supply of additional rising current, and Figure 9 is the supply maintenance time of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This is a diagram to explain the change in output of data voltage according to .

도 7과 같이, 제1 추가 스위치(SA)가 온 되는 동안, 제1 추가 전류원과 제1 추가 스위치(SA)는 고전위 전압원(NH)과 출력 노드(NO) 사이에서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이때, 제1 추가 전류원과 풀-업 트랜지스터(TA)는 고전위 전압원(NH)과 출력 노드(NO) 사이에서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그 결과 풀-업 트랜지스터(TA)에 의한 라이징 전류(IR)와 제1 추가 전류원에 의한 추가 라이징 전류(Iadd_R)가 더해진 토탈 라이징 전류(IR+Iadd_R)가 출력 노드(NO)에 인가된다. 토탈 라이징 전류(IR+Iadd_R)는 라이징 전류(IR)에 비해, 도 8과 같이 앰프 출력이 타겟 전압 레벨(TL_R)까지 변하는 트랜지션 타임을 △T만큼 앞당기고, 그 결과 데이터전압의 출력 슬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추가 라이징 전류(Iadd_R)가 인에이블되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앰프의 출력전압(Vout)의 크기에 따라 토탈 라이징 전류(IR+Iadd_R)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추가 스위치(SA)가 온 되어 추가 라이징 전류(Iadd_R)가 인에이블되는 시간이 100%, 120%, 150%로 증가하면, 토탈 라이징 전류(IR+Iadd_R)의 크기 또한 라이징 전류(Iadd_R)가 인에이블되는 시간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앰프의 출력전압(Vout)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토탈 라이징 전류(IR+Iadd_R)의 크기도 추가 라이징 전류(Iadd_R)의 인에이블 시간을 조절하여 TL1(Iadd_R 100%), TL2(Iadd_R 120%), TL3(Iadd_R 150%)로 증가시킬 수 있다. 앰프의 출력전압(Vout)이 클 수록 앰프 출력이 타겟 전압 레벨까지 변하는 트랜지션 타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이전 데이터 전압과 현재 데이터 전압 간의 트랜지션량이 클수록 추가 라이징 전류(Iadd_R)의 인에이블 시간을 증가시켜 트랜지션 타임을 단축할 수 있다. 반면, 이전 데이터 전압과 현재 데이터 전압 간의 트랜지션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토탈 라이징 전류(IR+Iadd_R)의 크기가 지나치게 크면 오버차징(over charging)으로 인해 앰프의 출력전압(Vout)이 타겟 전압 레벨보다 더 높은 전압으로 출력되는 오버슈트(overshoot)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전 데이터와 현재 데이터 간의 트랜지션량에 따라 추가 라이징 전류(Iadd_R)가 인에이블되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출력의 안정성을 보장하면서 슬루율(slew rate)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while the first additional switch (SA) is turned on, the first additional current source and the first additional switch (SA)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between the high potential voltage source (NH) and the output node (NO). At this time, the first additional current source and the pull-up transistor (TA)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between the high-potential voltage source (NH) and the output node (NO), and as a result, the rising current (IR) by the pull-up transistor (TA) ) and the total rising current (IR+Iadd_R) obtained by adding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Iadd_R) by the first additional current source is applied to the output node (NO). Compared to the rising current (IR), the total rising current (IR+Iadd_R) advances the transition time for the amplifier output to change to the target voltage level (TL_R) by △T, as shown in Figure 8, and as a result, the output slew rate of the data voltage is It can be improved. Additionally, by adjusting the time during which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Iadd_R) is enabled, as shown in FIG. 9, the size of the total rising current (IR+Iadd_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utput voltage (Vout) of the amplifier. For example, when the first additional switch (SA) is turned on and the time for enabling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Iadd_R) increases to 100%, 120%, and 150%, the size of the total rising current (IR+Iadd_R) also increases to the rising current ( It may increase depending on the time when Iadd_R) is enabled. As the size of the output voltage (Vout) of the amplifier increases, the size of the total rising current (IR+Iadd_R) also increases. By adjusting the enable time of the rising current (Iadd_R), TL1 (Iadd_R 100%), TL2 (Iadd_R 120%) , can be increased to TL3 (Iadd_R 150%). The larger the amplifier's output voltage (Vout), the shorter the transition time for the amplifier's output to change to the target voltage level. Therefore, the larger the transition amount between the previous data voltage and the current data voltage, the more the enable time of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Iadd_R) increases. Transition time can be shortened. On the other hand, if the amount of transition between the previous data voltage and the current data voltage is relatively small, and the size of the total rising current (IR+Iadd_R) is too large, the amplifier's output voltage (Vout) will be lower than the target voltage level due to overcharging. An overshoot phenomenon that outputs at a higher voltage may occur. Therefore, by adjusting the time when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Iadd_R) is enabl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ransition between previous data and current data, the slew rate can be improved while ensuring output stability, and power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ere is.

도 10은 폴링용 추가 전류원의 동작 시 회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추가 폴링 전류 공급에 따른 데이터 전압의 출력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추가 폴링 전류의 공급 유지 시간에 따른 데이터 전압의 출력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ircuit operation during operation of the additional polling current source,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hange in output of the data voltage according to the supply of additional polling current, and FIG. 12 is the supply maintenance time of the additional polling current. This is a diagram to explain the change in output of data voltage according to .

도 10과 같이, 제2 추가 스위치(SB)가 온 되는 동안, 제2 추가 전류원과 제2 추가 스위치(SB)는 저전위 전압원(NL)과 출력 노드(NO) 사이에서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이때, 제2 추가 전류원과 풀-다운 트랜지스터(TB)는 저전위 전압원(NL)과 출력 노드(NO) 사이에서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그 결과 풀-다운 트랜지스터(TB)에 의한 폴링 전류(IF)와 제2 추가 전류원에 의한 추가 폴링 전류(Iadd_F)가 더해진 토탈 폴링 전류(IF+(Iadd_F))가 출력 노드(NO)에 인가된다. 토탈 폴링 전류(IF+(Iadd_F))는 폴링 전류(IF)에 비해, 도 11과 같이 앰프 출력이 타겟 전압 레벨(TL_F)까지 변하는 트랜지션 타임을 △T만큼 앞당기고, 그 결과 데이터전압의 출력 슬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12와 같이 추가 폴링 전류(Iadd_R)가 인에이블되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앰프의 출력전압(Vout)의 크기에 따라, 토탈 폴링 전류(IR+Iadd_F)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추가 스위치(SB)가 온 되어 추가 폴링 전류(Iadd_F)가 인에이블되는 시간이 100%, 120%, 150%로 증가하면, 토탈 폴링 전류(IR+Iadd_F)의 크기 또한 증가할 수 있다. 앰프의 출력전압(Vout)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토탈 폴링 전류(IR+Iadd_F)의 크기도 추가 폴링 전류(Iadd_F)의 인에이블 시간을 조절하여 IF1(Iadd_F 100%), IF2(Iadd_F 120%), TF3(Iadd_F 150%)로 하락폭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전 데이터와 현재 데이터 간의 트랜지션량에 따라 추가 폴링 전류(Iadd_F)가 인에이블되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출력의 안정성을 보장하면서 출력 슬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while the second additional switch SB is turned on, the second additional current source and the second additional switch SB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low-potential voltage source NL and the output node NO. At this time, the second additional current source and the pull-down transistor (TB)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between the low-potential voltage source (NL) and the output node (NO), and as a result, the falling current (IF) by the pull-down transistor (TB) ) and the total polling current (IF+(Iadd_F)) obtained by adding the additional polling current (Iadd_F) by the second additional current source is applied to the output node (NO). Compared to the polling current (IF), the total polling current (IF+(Iadd_F)) advances the transition time for the amplifier output to change to the target voltage level (TL_F) by △T, as shown in Figure 11, and as a result, the output slew rate of the data voltage This can be improved.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time when the additional polling current (Iadd_R) is enabled as shown in FIG. 12, the size of the total polling current (IR+Iadd_F)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utput voltage (Vout) of the amplifier. For example, when the second additional switch (SB) is turned on and the time for enabling the additional polling current (Iadd_F) increases to 100%, 120%, and 150%, the size of the total polling current (IR+Iadd_F) may also increase. there is. As the size of the output voltage (Vout) of the amplifier increases, the size of the total polling current (IR+Iadd_F) also adjusts the enable time of the additional polling current (Iadd_F) to IF1 (Iadd_F 100%) and IF2 (Iadd_F 120%). , the decline may increase with TF3 (Iadd_F 150%). Therefore, by adjusting the time at which the additional polling current (Iadd_F) is enabl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ransition between previous data and current data, the output slew rate can be improved while ensuring output stability, and power efficiency can be improv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슬루율 조정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앰프 바이어스 전류(Isum)를 노멀 트랜지션 조건에 맞추어 설정하고, 트랜지션 조건에 따라 추가 전류원의 인에이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소비 전력 특성과 데이터 충방전 특성을 향상시키면서 출력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As such, since this embodiment includes a slew rate adjuster, the amplifier bias current (Isum) is set to match the normal transition condition, and the enable time of the additional current sourc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transition condition to improve powe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nd data charging/discharging. Stability of output can be guaranteed while improving characteristics.

도 1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의 흐름도로서, 영상 데이터의 트랜지션 정도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a timing controller that generates curren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transition degree of image data.

도 13을 참조하면, R(Red), G(Green), B(Blue)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S10), 타이밍 컨트롤러는 제N-1(N은 자연수) 라인 영상데이터와 제N 라인 영상데이터를 각 출력 채널의 R, G, B 서브 픽셀별로 비교하여 R, G, B 서브 픽셀별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을 산출한다(S20).Referring to FIG. 13, when R (Red), G (Green), and B (Blue) image data are input (S10), the timing controller outputs the N-1 (N is a natural number) line image data and the N-th line image data. is compared for each R, G, and B subpixel of each output channel to calculate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for each R, G, and B subpixel (S20).

타이밍 컨트롤러는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의 플러스(+)/마이너스(-) 부호에 따라, 추가 라이징 전류(Iadd_R) 또는 추가 폴링 전류(Iadd_F)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전류 제어정보를 설정한다(S30).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이 플러스(+)인 경우(DATA_△>0), 해당 서브 픽셀의 출력 데이터의 트랜지션 방향은 라이징(Rising)방향으로 판단할 수 있고,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이 마이너스(-)인 경우(DATA_△<0) 해당 서브 픽셀의 출력 데이터의 트랜지션 방향은 폴링(Falling)방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타이밍 컨트롤러는 출력 데이터의 트랜지션 방향을 의미하는 제1 전류 제어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며, 제1 전류 제어정보는 추가 라이징 전류(Iadd_R) 또는 추가 폴링 전류(Iadd_F)를 선택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The timing controller sets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to select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Iadd_R) or the additional falling current (Iadd_F) according to the plus (+)/minus (-) sign of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 S30). If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is positive (+) (DATA_△>0), the transition direction of the output data of the corresponding subpixel can be determined to be the rising direction, and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is In case of minus (-) (DATA_△<0), the transition direction of the output data of the corresponding subpixel can be determined to be a falling direction. Accordingly, the timing controller can set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indicating the transition direction of the output data, and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an be a standard for selecting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Iadd_R) or the additional falling current (Iadd_F). .

출력 데이터의 트랜지션 방향이 결정되면, 타이밍 컨트롤러는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의 크기에 따라 추가 전류의 온 타임을 결정하는 제2 전류 제어정보를 설정한다(S40).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이 클 수록 온 타임을 길게 설정하여 충방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타이밍 컨트롤러는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에 따라 추가 전류의 온 타임이 설정되도록 제2 전류 제어정보를 설정하며,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이 기준 범위 이내인 경우 추가 전류가 디스에이블 되도록 제2 전류 제어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Once the transition direction of the output data is determined, the timing controller sets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that determines the on time of the additional curren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S40). The larger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the longer the on time can be set to improve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timing controller sets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so that the on time of the additional current is set according to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and when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is within the standard range, the additional current is disabled.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an be set.

타이밍 컨트롤러는 서브 픽셀별 RGB 데이터의 제1 전류 제어정보 및 제2 전류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전류 제어정보(CON)를 EPI 전송데이터로 포맷팅한 후에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전송할 수 있다(S50).The timing controller may forma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ON)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of RGB data for each subpixel into EPI transmission data and then transmit it to th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S50).

도 14는 도 13의 S30 단계에서 판단된 제1 전류 제어정보를 설정하여 EPI 포맷터로 전송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setting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determined in step S30 of FIG. 13 and transmitting it to the EPI formatter.

도 14를 참조하면, 제N-1(N은 자연수) 라인 영상데이터와 제N 라인 영상데이터의 R, G, B 서브 픽셀별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을 산출한 후(S20),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의 플러스(+)/마이너스(-) 부호를 판단한다(S300).Referring to FIG. 14, after calculating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for each R, G, and B subpixel of the N-1 (N is a natural number) line image data and the N-th line image data (S20), the data transition Determine the plus (+)/minus (-) sign of the quantity (DATA_△) (S300).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이 플러스(+)인 경우(DATA_△>0), 제1 전류 제어정보(CTR_1)는 '01' 또는 '1'로 설정할 수 있다(S310).If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is positive (+) (DATA_△>0),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1) can be set to '01' or '1' (S310).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이 마이너스(-)인 경우(DATA_△<0), 제1 전류 제어정보(CTR_1)는 '10' 또는 '0'으로 설정할 수 있다(S320).When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is negative (-) (DATA_△<0),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1) can be set to '10' or '0' (S320).

제1 전류 제어정보(CTR_1)는 EPI 포맷터(formatter)로 출력되어, EPI 전송데이터에 반영될 수 있다(S50).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1) may be output to the EPI formatter and reflected in the EPI transmission data (S50).

이상과 같이, 제1 전류 제어정보(CTR_1)는 출력 데이터의 트랜지션 방향 정보를 포함하여, 추가 라이징 전류원 또는 추가 폴링 전류원을 선택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제1 전류 제어정보(CTR_1)를 1비트('1' or '0') 또는 2비트('01' or '10')의 논리값으로 표시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1) includes transition direction information of output data and can be a standard for selecting an additional rising current source or an additional falling current sour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llustrates the case where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1) is displayed as a 1-bit ('1' or '0') or 2-bit ('01' or '10') logical value. It is not limited.

도 15는 도 13의 S40 단계에서 결정된 제2 전류 제어정보(CTR_2)를 설정하여 EPI 포맷터로 전송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FIG. 15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setting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2) determined in step S40 of FIG. 13 and transmitting it to the EPI formatter.

타이밍 컨트롤러는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에 따라, 추가 전류원의 온 타임을 지시하는 제2 전류 제어정보(CTR_2)를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에 따른 제2 전류 제어정보(CTR_2)는 타이밍 컨트롤러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전류 제어정보(CTR_2) 설정을 위한 메모리에는,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해당 구간에 대응되는 논리값이 저장될 수 있다. 도 15의 흐름도는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을 제1 내지 제3 기준값(VTH 1~VTH 3)을 기준으로 4개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을 2비트(bit)의 논리값으로 표시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timing controller may set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2) indicating the on time of the additional current source according to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2) according to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may be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timing controller or may be stored in an external memory. In the memory for setting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2),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logical values corresponding to the sections may be stored. The flowchart of FIG. 15 divides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into four sections based on the first to third reference values (V TH 1 to V TH 3), and displays each section as a 2-bit logical value. The case is exemplified, but is not limited to this.

도 15를 참조하면, 제N-1(N은 자연수) 라인 영상데이터와 제N 라인 영상데이터의 R, G, B 서브 픽셀별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을 산출한 후(S20),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의 크기에 따라 추가 전류의 온 타임을 결정할 수 있다(S400~S420).Referring to FIG. 15, after calculating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for each R, G, and B subpixel of the N-1 (N is a natural number) line image data and the N-th line image data (S20), the data transitio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amount (DATA_△), the on time of the additional current can be determined (S400~S420).

타이밍 컨트롤러는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이 제1 기준값(VTH 1) 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400). 제1 기준값(VTH 1)은 3bit로 표시되는 그레이스케일 값으로 16~96 Gray 스케일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The timing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V TH 1) (S400). The first reference value (V TH 1) is a gray scale value expressed in 3 bits and can be set in the 16 to 96 Gray scale range.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이 제1기준값(VTH 1) 보다 작으면(DATA_△<VTH 1), 제2 전류 제어정보(CTR_2)를 '00'으로 설정할 수 있다(CTR_2=00)(S405). If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V TH 1) (DATA_△<V TH 1),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2) can be set to '00' (CTR_2=00)( S405).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이 제1기준값(VTH 1) 보다 크면,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이 제2 기준값(VTH 2) 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410). 제2 기준값(VTH 2)은 3bit로 표시되는 그레이스케일 값으로 104~160 Gray 스케일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If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V TH 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V TH 2) (S410). The second reference value (V TH 2) is a gray scale value expressed in 3 bits and can be set in the 104 to 160 Gray scale range.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이 제2 기준값(VTH 2) 보다 작으면(VTH 1<DATA_△<VTH 2), 제2 전류 제어정보(CTR_2)를 '01'으로 설정할 수 있다(CTR_2=01)(S415). If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V TH 2) (V TH 1<DATA_△<V TH 2),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2) can be set to '01' (CTR_2 =01)(S415).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이 제2 기준값(VTH 2) 보다 크면,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이 제3 기준값(VTH 3) 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420). 제3 기준값(VTH 2)은 3bit로 표시되는 그레이스케일 값으로 168~224 Gray 스케일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If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V TH 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is less than the third reference value (V TH 3) (S420). The third reference value (V TH 2) is a gray scale value expressed in 3 bits and can be set in the 168 to 224 Gray scale range.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이 제3 기준값(VTH 3) 보다 작으면(VTH 2<DATA_△<VTH 3), 제2 전류 제어정보(CTR_2)를 '10'으로 설정할 수 있다(CTR_2=10)(S425). If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is smaller than the third reference value (V TH 3) (V TH 2<DATA_△<V TH 3),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2) can be set to '10' (CTR_2 =10)(S425).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이 제3 기준값(VTH 3) 보다 크면, 제2 전류 제어정보(CTR_2)를 '11'로 설정할 수 있다(CTR_2=11)(S430). If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 is greater than the third reference value (V TH 3),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2) can be set to '11' (CTR_2 = 11) (S430).

제2 전류 제어정보(CTR_2)는 EPI 포맷터(formatter)로 출력되어, EPI 전송데이터에 반영될 수 있다(S50).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2) may be output to the EPI formatter and reflected in the EPI transmission data (S50).

타이밍 컨트롤러는 제1 전류 제어정보(CTR_1)와 제2 전류 제어정보(CTR_2)를 포함하는 전류 제어정보(CON)를 EPI 전송데이터로 포맷팅한 후에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전송할 수 있다. The timing controller may format the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ON) including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1) and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2) into EPI transmission data and then transmit it to th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R, G, B 서브 픽셀별 영상 데이터의 트랜지션량(DATA_△)을 산출하여, 추가 라이징 전류 또는 추가 폴링 전류와 해당 전류의 온 타임 정보를 포함하는 전류 제어정보를 설정한 후 EPI 전송데이터 포맷으로 전송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transition amount (DATA_△) of image data for each R, G, and B subpixel is calculated, and a current including additional rising current or additional falling current and on-tim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urrent is calculated. After setting the control information, it can be transmitted in EPI transmission data format.

도 16 내지 도 1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류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EPI 전송데이터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EPI 전송데이터 포맷의 개략적인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의 제1 전류 제어정보와 제2 전류 제어정보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제1 전류 제어정보의 설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9는 제2 전류 제어정보의 설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s 16 to 1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EPI transmission data format including current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data structure of the EPI transmission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s of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and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in FIG. 16. 1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and FIG. 1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PI 전송데이터 포맷은 1 패킷 데이터가 1 픽셀의 영상 데이터와 해당 픽셀 데이터의 제1 전류 제어정보(CTR_1) 및 제2 전류 제어정보(CTR_2)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in the EPI transmission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packet data includes image data of 1 pixel and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1) and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2) of the pixel data. ) can be composed of.

예를 들어, 1 패킷의 R 영상 데이터는 R 영상 데이터(R)와, R 영상 데이터(R)의 공급 시 출력 데이터의 트랜지션 방향을 의미하는 제1 전류 제어정보(R_CTR_1)와, 추가 전류원의 온 타임(Iadd on time)을 의미하는 제2 전류 제어정보(R_CTR_2)를 포함할 수 있다. 2비트의 제1 전류 제어정보(R_CTR_1)는 클럭 에지(CLK)에 할당하고(R_CTR_1, Bit[0:1]), 8비트의 R 영상 데이터(R, Bit[2:9])의 뒤에 2비트의 제2 전류 제어정보(R_CTR_2, Bit[10:11])를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1 packet of R video data includes R video data (R),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R_CTR_1) indicating the transition direction of output data when supplying R video data (R), and It may includ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R_CTR_2) indicating time (Iadd on time). The 2-bit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R_CTR_1) is allocated to the clock edge (CLK) (R_CTR_1, Bit[0:1]), and is placed 2 after the 8-bit R video data (R, Bit[2:9]).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R_CTR_2, Bit[10:11]) of the bit can be set.

1 패킷의 R 영상 데이터 다음에는, 1 패킷의 G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며, 1패킷의 G 영상 데이터 또한, 클럭 에지(CLK)에 제1 전류 제어정보(G_CTR_1)를 할당하고(G_CTR_1, Bit[0:1]), 8비트의 G 영상 데이터(G, Bit[2:9])의 뒤에 2비트의 제2 전류 제어정보(G_CTR_2, Bit[10:11])를 설정할 수 있다. Following 1 packet of R video data, 1 packet of G video data is transmitted, and 1 packet of G video data is also assigned to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G_CTR_1) to the clock edge (CLK) (G_CTR_1, Bit[0 :1]), 2 bits of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G_CTR_2, Bit[10:11]) can be set after 8 bits of G video data (G, Bit[2:9]).

1 패킷의 G 영상 데이터 다음에는, 1 패킷의 B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며, 1패킷의 B 영상 데이터 또한, 클럭 에지(CLK)에 제1 전류 제어정보(B_CTR_1)를 할당하고(B_CTR_1, Bit[0:1]), 8비트의 B 영상 데이터(B, Bit[2:9])의 뒤에 2비트의 제2 전류 제어정보(B_CTR_2, Bit[10:11])를 설정할 수 있다. Following 1 packet of G video data, 1 packet of B video data is transmitted, and 1 packet of B video data is also allocated to the clock edge (CLK) with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B_CTR_1) (B_CTR_1, Bit[0 :1]), 2 bits of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B_CTR_2, Bit[10:11]) can be set after 8 bits of B video data (B, Bit[2:9]).

도 17은 제1 전류 제어정보와 제2 전류 제어정보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제1 전류 제어정보의 설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9는 제2 전류 제어정보의 설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s of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and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FIG. 1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and FIG. 1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This is a drawing that shows.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영상 데이터의 출력을 위한 클럭 에지(CLK)에 R 영상 데이터의 트랜지션 방향을 의미하는 제1 전류 제어정보(R_CTR_1)가 "01"로 설정됨에 따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라이징 전류(Iadd_R)가 온 되고, 추가 폴링 전류(Iadd_F)는 오프된다. R 영상 데이터(R)의 뒤에 제2 전류 제어정보(R_CTR_2)가 "01"로 설정됨에 따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영상 데이터(R) 출력 시 추가 라이징 전류(Iadd_R)는 100%의 온 타임 기간 동안 인에이블된다.As shown in FIG. 17,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R_CTR_1) indicating the transition direction of the R video data is set to “01” at the clock edge (CLK) for output of the R video data, and as shown in FIG. 18 As shown,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Iadd_R) is turned on and the additional falling current (Iadd_F) is turned off. As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R_CTR_2) is set to “01” after the R video data (R), as shown in FIG. 19, when the R video data (R) is output,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Iadd_R) is 100%. It is enabled during the on-time period of .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G 영상 데이터의 출력을 위한 클럭 에지(CLK)에 G 영상 데이터의 트랜지션 방향을 의미하는 제1 전류 제어정보(G_CTR_1)가 "10"로 설정됨에 따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폴링 전류(Iadd_F)가 온 되고, 추가 라이징 전류(Iadd_R)는 오프된다. G 영상 데이터(G)의 뒤에 제2 전류 제어정보(G_CTR_2)가 "10"으로 설정됨에 따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G 영상 데이터(G) 출력 시 추가 폴링 전류(Iadd_F)는 120%의 온 타임 기간 동안 인에이블된다.As shown in FIG. 17,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G_CTR_1) indicating the transition direction of the G video data is set to “10” at the clock edge (CLK) for output of the G video data, and as shown in FIG. 18 As shown, the additional falling current (Iadd_F) is turned on and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Iadd_R) is turned off. As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G_CTR_2) is set to “10” after the G video data (G), as shown in FIG. 19, the additional polling current (Iadd_F) when outputting the G video data (G) is 120%. It is enabled during the on-time period of .

이상 제1 실시예 따른 EPI 전송데이터는 소스 드라이버 집적 회로로 전송되고,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EPI 전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전류 제어정보(CTR_1) 및 제2 전류 제어정보(CTR_2)를 복원한다.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제1 전류 제어정보(CTR_1)에 따라 선택된 추가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온 시키고, 제2 전류 제어정보(CTR_2)에 설정된 온 타임에 따라 스위치의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EPI transmission dat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transmitted to th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and th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receives the EPI transmission data and restores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1) and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2). Th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can selectively turn on the additional switch selected according to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1) and maintain the on state of the switch according to the on time set in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2).

한편, 도 19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트랜지션량(DATA_△)이 제1 기준값(VTH 1) 보다 작은 경우, 제2 전류 제어정보(CTR_2)는 "00"으로 설정된다. 이에,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제1 전류 제어정보(CTR_1)에 의해 선택된 추가 전류와는 관계 없이 추가 라이징 전류(Iadd_R)와 추가 폴링 전류(Iadd_F)는 모두 디스에이블(Iadd = 'Off')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제2 전류 제어정보(CTR_2)가 "00"으로 설정되는 경우 출력 버퍼 내의 추가 스위치들은 모두 오프 상태로 유지한다. 이에, 데이터 트랜지션량이 작은 채널에서 추가 전류로 인해 오버슈트(Overshoot)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the table of FIG. 19, when the data transition amount (DATA_Δ) is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V TH 1),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2) is set to “00”. Accordingly, th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disables both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Iadd_R) and the additional falling current (Iadd_F) regardless of the additional current selected by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1) (Iadd = 'Off'). maintain Accordingly, when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2) is set to “00”, all additional switches in the output buffer are kept in the off stat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overshoot phenomenon from occurring due to additional current in a channel with a small data transition amount.

도 20 내지 도 2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류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EPI 전송데이터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EPI 전송데이터 포맷의 개략적인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 및 도 22는 제3 전류 제어정보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제3 전류 제어정보의 설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s 20 to 2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EPI transmission data format including current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ure 20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data structure of the EPI transmission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ures 21 and 22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ir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and Figure 23 is a diagram showing the third current control This diagram shows an example of information settings.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EPI 전송데이터 포맷은, 클럭 에지에 트랜지션 방향 정보를 설정하고 영상 데이터의 뒤에 2비트를 추가 할당하여 추가 전류원의 온 타임 정보를 설정하였다. 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EPI 전송데이터 포맷은, 영상 데이터의 뒤에 3비트를 추가 할당하여 추가 트랜지션 방향 정보와 전류원의 온 타임 정보를 설정한다는 차이가 있다.In the EPI transmission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ransition direction information is set at the clock edge and additional 2 bits are allocated after the image data to set on-time information of an additional current source. On the other hand, the EPI transmission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in that 3 bits are additionally allocated after the video data to set additional transition direction information and current source on-time information.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PI 전송데이터 포맷은 1 패킷 데이터가, 클럭 에지(CLK)와, 1 픽셀의 영상 데이터와 제3 전류 제어정보(CTR_3)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전류 제어정보(R_CTR_3)는 출력 데이터의 트랜지션 방향 및 추가 전류원의 온 타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the EPI transmission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sist of 1 packet data, a clock edge (CLK), 1 pixel image data, and thir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3). there is. The thir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R_CTR_3) may include the transition direction of output data and on-time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current source.

예를 들어, 1 패킷의 R 영상 데이터는, 클럭 에지(CLK)와, R 영상 데이터(R)와, R 영상 데이터(R)의 공급 시 출력 데이터의 트랜지션 방향 및 추가 전류원의 온 타임(Iadd on time)을 의미하는 제3 전류 제어정보(R_CTR_3)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럭 에지(CLK)에는 2비트를 할당하고(CLK, Bit[0:1]), 8비트의 R 영상 데이터(R, Bit[2:9])의 뒤에 3비트의 제3 전류 제어정보(R_CTR_3, Bit[10:12])를 설정할 수 있다. 3비트의 제3 전류 제어정보(R_CTR_3)에서 맨 앞의 1비트(Bit[10])는 출력 데이터의 트랜지션 방향을 설정하는 비트로 '0' 또는 '1'이 설정될 수 있다. 이후 2 비트는 추가 전류원의 온 타임(Iadd on time)을 의미하는 2비트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제3 전류 제어정보(R_CTR_3)에 포함된 추가 전류원의 온 타임(Iadd on time) 정보는 도 19에 예시된 제2 전류 제어정보(CTR_2)와 같은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1 packet of R video data includes a clock edge (CLK), R video data (R), the transition direction of the output data when supplying the R video data (R), and the on time of the additional current source (Iadd on). It may include thir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R_CTR_3) meaning time). 2 bits are allocated to the clock edge (CLK) (CLK, Bit[0:1]), and 3 bits of thir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R_CTR_3) are assigned after 8 bits of R image data (R, Bit[2:9]). , Bit[10:12]) can be set. In the 3-bit thir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R_CTR_3), the first bit (Bit[10]) is a bit that sets the transition direction of the output data and can be set to '0' or '1'. Afterwards, 2 bits of information may be set, meaning the on time (Iadd on time) of the additional current source. The on-time information (Iadd on time) of the additional current source included in the thir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R_CTR_3) may be set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CTR_2) illustrated in FIG. 19.

1 패킷의 R 영상 데이터 다음에는, 1 패킷의 G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며, 1패킷의 G 영상 데이터 또한, 2비트의 클럭 에지(CLK, Bit[0:1])와, 8비트의 G 영상 데이터(G, Bit[2:9])와, 3비트의 제3 전류 제어정보(G_CTR_3, Bit[10:12])를 포함할 수 있다. Following 1 packet of R video data, 1 packet of G video data is transmitted, and 1 packet of G video data also includes 2 bits of clock edge (CLK, Bit[0:1]) and 8 bits of G video data. (G, Bit[2:9]) and 3 bits of thir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G_CTR_3, Bit[10:12]).

1 패킷의 G 영상 데이터 다음에는, 1 패킷의 B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며, 1패킷의 B 영상 데이터 또한, 2비트의 클럭 에지(CLK, Bit[0:1])와, 8비트의 B 영상 데이터(B, Bit[2:9])와, 3비트의 제3 전류 제어정보(B_CTR_3, Bit[10:12])를 포함할 수 있다. Following 1 packet of G video data, 1 packet of B video data is transmitted, and 1 packet of B video data is also transmitted, along with 2 bits of clock edge (CLK, Bit[0:1]) and 8 bits of B video data. (B, Bit[2:9]) and 3 bits of thir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B_CTR_3, Bit[10:12]).

도 21 및 도 22는 제3 전류 제어정보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제3 전류 제어정보(R_CTR_3)에서 맨 앞의 1비트(Bit[10])에 설정되는 출력 데이터의 트랜지션 방향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Figures 21 and 22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thir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and Figure 23 shows the transition direction of the output data set in the first bit (Bit[10]) in the thir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R_CTR_3). This is a drawing illustrating information.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 에지(CLK)와 R 영상 데이터 이후에, 출력 데이터의 트랜지션 방향 및 추가 전류원의 온 타임(Iadd on time)을 의미하는 제3 전류 제어정보(R_CTR_3)가 추가될 수 있다. 제3 전류 제어정보(R_CTR_3)의 맨 앞의 1비트(Bit[10])가 '1'로 설정됨에 따라,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라이징 전류(Iadd_R)가 온 되고, 추가 폴링 전류(Iadd_F)는 오프된다. 이후 추가 전류원의 온 타임(Iadd on time)을 의미하는 '01'이 설정됨에 따라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R 영상 데이터(R) 출력 시 추가 라이징 전류(Iadd_R)는 100%의 온 타임 기간 동안 인에이블된다.As shown in FIG. 21, after the clock edge (CLK) and the R image data, thir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R_CTR_3), which indicates the transition direction of the output data and the on time (Iadd on time) of the additional current source, is added. You can. As the first bit (Bit[10]) of the thir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R_CTR_3) is set to '1', as shown in FIG. 23,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Iadd_R) is turned on, and the additional falling current (Iadd_F) is turned off. Afterwards, as '01', meaning the on time (Iadd on time) of the additional current source, is set, as illustrated in FIG. 19, when R image data (R) is output,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Iadd_R) is 100% on time period. Enabled for a while.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 에지(CLK)와 G 영상 데이터 이후에, 제3 전류 제어정보(R_CTR_3)의 맨 앞의 1비트(Bit[10])가 '1'로 설정됨에 따라,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라이징 전류(Iadd_R)가 온 되고, 추가 폴링 전류(Iadd_F)는 오프된다. 이후 추가 전류원의 온 타임(Iadd on time)을 의미하는 '11'이 설정됨에 따라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R 영상 데이터(R) 출력 시 추가 라이징 전류(Iadd_R)는 150%의 온 타임 기간 동안 인에이블된다.As shown in FIG. 22, after the clock edge (CLK) and the G image data, the first bit (Bit[10]) of the thir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R_CTR_3) is set to '1', As shown in 23,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Iadd_R) is turned on and the additional falling current (Iadd_F) is turned off. Afterwards, as '11', meaning the on time (Iadd on time) of the additional current source, is set, as illustrated in FIG. 19, when R video data (R) is output,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Iadd_R) is 150% of the on time period. Enabled for a while.

도 24 및 도 25는 복수의 파워 컨트롤 모드들 각각에서, 본 발명의 적용 전후에 있어 트랜지션 타임 감소율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Figures 24 and 25 are diagrams showing the transition time reduction rate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ach of a plurality of power control modes.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데이터 트랜지션의 방향에 따라 추가 라이징 전류 또는 추가 폴링 전류를 선택하고 데이터 트랜지션량에 따라 추가 전류의 온 타임을 조절함으로써, 해당 출력 채널의 트랜지션 타임을 짧게 하여 타겟 데이터전압의 출력 슬루율을 높이면서, 소비 전류는 저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24 and 25, this embodiment selects additional rising current or additional falling curren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data transition and adjusts the on time of the additional curre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data transition, thereby adjusting the transition time of the corresponding output channel. By shortening it, the output slew rate of the target data voltage can be increased while the current consumption can be reduced.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ten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se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PNL : 표시패널 CONT : 타이밍 컨트롤러
DDRV : 데이터 구동회로 GDRV : 게이트 구동회로
SD-IC :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300 : 컨트롤 로직 회로
310 : 래치 회로 320 : D/A 변환 회로
330 : 출력 회로
PNL: Display panel CONT: Timing controller
DDRV: Data driving circuit GDRV: Gate driving circuit
SD-IC: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300: Control logic circuit
310: Latch circuit 320: D/A conversion circuit
330: output circuit

Claims (14)

복수의 픽셀들이 구비된 표시패널;
상기 픽셀들에 기입될 영상 데이터의 트랜지션 정도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타겟 데이터전압을 상기 픽셀들에 연결된 데이터 출력 채널들로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출력 버퍼들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버퍼들 각각은,
상기 타겟 데이터전압의 출력을 위해 미리 설정된 라이징 전류 또는 폴링 전류를 상기 데이터 출력 채널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출력 노드에 인가하는 앰프 출력부; 및
상기 타겟 데이터전압의 출력 슬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전류 제어정보에 따라 추가 라이징 전류 또는 추가 폴링 전류를 선택하여 상기 추가 라이징 전류 또는 추가 폴링 전류가 상기 출력 노드로 인가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슬루율 조정부를 포함한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xels;
a timing controller that generates curren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a transition degree of image data to be written to the pixels; and
A plurality of output buffers for outputting a target dat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to data output channels connected to the pixels,
Each of the output buffers is:
an amplifier output unit that applies a preset rising current or falling current to an output node connected to one of the data output channels to output the target data voltage;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output slew rate of the target data voltage, a slew rate adjuster selects an additional rising current or an additional falling current according to the current control information and adjusts the time at which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or additional fall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output node. Including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 출력부는,
고전위 전압원으로부터 상기 출력 노드로 상기 라이징 전류를 소싱(sourcing)하기 위한 풀-업 트랜지스터; 및
상기 출력 노드로부터 저전위 전압원으로 상기 폴링 전류를 싱킹(sinking)하기 위한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mplifier output unit,
a pull-up transistor for sourcing the rising current from a high potential voltage source to the output nod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pull-down transistor for sinking the polling current from the output node to a low-potential voltage sour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루율 조정부는,
상기 추가 라이징 전류를 생성하는 제1 추가 전류원;
상기 전류 제어정보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되어 상기 제1 추가 전류원과 상기 출력 노드 간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추가 스위치;
상기 추가 폴링 전류를 생성하는 제2 추가 전류원; 및
상기 전류 제어정보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되어 상기 제2 추가 전류원과 상기 출력 노드 간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추가 스위치를 포함한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lew rate adjustment unit,
a first additional current source generating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a first additional switch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current control information to control current flow between the first additional current source and the output node;
a second additional current source generating the additional polling current;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cond additional switch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current control information to control current flow between the second additional current source and the output no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전류원과 상기 제1 추가 스위치는 상기 고전위 전압원과 상기 출력 노드 사이에서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추가 전류원과 상기 제2 추가 스위치는 상기 출력 노드와 상기 저전위 전압원 사이에서 서로 직렬로 연결된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additional current source and the first additional switch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between the high potential voltage source and the output node,
The second additional current source and the second additional switch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output node and the low-potential voltage sour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스위치가 온 되는 동안,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추가 전류원은 상기 고전위 전압원과 상기 출력 노드 사이에서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라이징 전류와 상기 추가 라이징 전류가 더해진 토탈 라이징 전류가 상기 출력 노드에 인가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3,
While the first additional switch is turned on,
The pull-up transistor and the first additional current source ar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high potential voltage source and the output node,
A display device in which a total rising current obtained by adding the rising current and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output no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가 스위치가 온 되는 동안,
상기 풀-다운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추가 전류원은 상기 출력 노드와 상기 저전위 전압원 사이에서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폴링 전류와 상기 추가 폴링 전류가 더해진 토탈 폴링 전류가 상기 출력 노드에 인가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3,
While the second additional switch is turned on,
The pull-down transistor and the second additional current source ar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output node and the low-potential voltage source,
A display device in which a total polling current obtained by adding the polling current and the additional poll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output no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스위치와 상기 제2 추가 스위치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트랜지션 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제1 조건에서 선택적으로 온 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트랜지션 정도가 상기 임계값 이하인 제2 조건에서 모두 오프 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additional switch and the second additional switch are:
Selectively turned on under a first condition in which the transition degree of the image data exceeds a preset threshold,
A display device that is turned off in a second condition where the transition degree of the image dat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스위치와 상기 제2 추가 스위치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트랜지션 정도가 클 수록 온 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first additional switch and the second additional switch are: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turn-on time increases as the transition degree of the image data increas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제N-1(N은 자연수) 라인 영상데이터와 제N 라인 영상데이터를 데이터 출력 채널 단위로 픽셀별로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따른 픽셀별 데이터 트랜지션 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트랜지션 방향 정보를 의미하는 제1 전류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트랜지션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추가 스위치 또는 제2 추가 스위치를 온 상태로 유지하는 시간을 제2 전류 제어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제1 추가 스위치와 상기 제2 추가 스위치는, 상기 제1 전류 제어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 되고, 상기 제2 전류 제어정보에 따라 설정된 시간 동안 온 상태를 유지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timing controller is,
N-1 (N is a natural number) line image data and N-th line image data are compared pixel by data output channel, and transition is performed depending on whether the degree of data transition for each pixe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exceeds a preset threshold. Generat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indicating direction information, and generat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indicating the time for keeping the first additional switch or the second additional switch in the on stat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ta transition,
The first additional switch and the second additional switch are selectively turned on according to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and remain on for a time set according to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션 방향 정보는 상향 트랜지션을 지시하는 제1 상태 정보와 하향 트랜지션을 지시하는 제2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추가 스위치가 온 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추가 스위치가 오프 되고,
상기 제2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추가 스위치가 오프 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추가 스위치가 온 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transition direction information includes first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an upward transition and second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a downward transition,
In response to the first state information, the first additional switch is turned on and the second additional switch is turned off,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first additional switch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additional switch is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second status informa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력 버퍼들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전류 제어정보를 EPI 전송데이터 포맷을 통해 상기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전송하고,
상기 EPI 전송 데이터 포맷은,
상기 제1 전류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클럭 에지와, 영상 데이터 비트와, 상기 제2 전류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비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use 9,
Further comprising a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having the plurality of output buffers,
The timing controller transmits the current control information to th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through EPI transmission data format,
The EPI transmission data format i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lock edge including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an image data bit, and an additional bit including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력 버퍼들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전류 제어정보를 EPI 전송데이터 포맷을 통해 상기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전송하고,
상기 EPI 전송 데이터 포맷은,
클럭 에지와, 영상 데이터 비트와, 상기 제1 전류 제어정보와 상기 제2 전류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비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use 9,
Further comprising a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having the plurality of output buffers,
The timing controller transmits the current control information to th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through EPI transmission data format,
The EPI transmission data format i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lock edge, an image data bit, and additional bits including the first current control information and the second current control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파워 컨트롤 신호에 따라 앰프 바이어스 전류의 크기를 결정하는 메인 바이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이징 전류와 상기 폴링 전류의 크기는 상기 앰프 바이어스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main bias unit that determines the size of the amplifier bias current according to a preset power control signal,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magnitude of the rising current and the falling current is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amplifier bias current.
픽셀들에 기입될 영상 데이터의 트랜지션 정도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타겟 데이터전압을 상기 픽셀들에 연결된 데이터 출력 채널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데이터전압을 상기 픽셀들에 연결된 데이터 출력 채널들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데이터전압의 출력을 위해 미리 설정된 라이징 전류 또는 폴링 전류를 상기 데이터 출력 채널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출력 노드에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데이터전압의 출력 슬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전류 제어정보에 따라 추가 라이징 전류 또는 추가 폴링 전류를 선택하여 상기 추가 라이징 전류 또는 추가 폴링 전류가 상기 출력 노드로 인가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generating curren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transition degree of image data to be written to pixels; and
A step of outputting a target dat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to data output channels connected to the pixels,
The step of outputting the target data voltage to data output channels connected to the pixels includes:
applying a preset rising current or falling current to an output node connected to one of the data output channels to output the target data voltage; and
Display including the step of selecting an additional rising current or an additional falling current according to the current control inform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output slew rate of the target data voltage and adjusting the time at which the additional rising current or additional fall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output node. How to operate the device.
KR1020220066830A 2022-05-31 2022-05-31 Display Device For High-Speed Driving And Driving Method Therefor KR2023016662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830A KR20230166622A (en) 2022-05-31 2022-05-31 Display Device For High-Speed Driving And Driv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830A KR20230166622A (en) 2022-05-31 2022-05-31 Display Device For High-Speed Driving And Driving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622A true KR20230166622A (en) 2023-12-07

Family

ID=89163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830A KR20230166622A (en) 2022-05-31 2022-05-31 Display Device For High-Speed Driving And Driving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662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3860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782818B1 (en) Data processing method, data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983392B1 (en) Column data driving circuit,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586777B1 (en) Data driv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920763B1 (en) Display device
US1020454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20120133631A1 (en) Source driver output circuit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US1163679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20080079706A1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associated with high bias currents in systems that drive or otherwise control displays
WO2005055183A1 (en) Driving method of self-luminous type display unit, display control device of self-luminous type display unit, current output type drive circuit of self-luminous type display unit
KR20160083564A (en) Display Device
KR20220096871A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rerof
TWI797994B (en) Method for driv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driver circuit using the same
KR20190059674A (en) Method of sens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20220351661A1 (en) Source driver controlling bias current
US10891904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bas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device
US8605078B2 (en) Source driv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210079789A (en) Display device
KR20230166622A (en) Display Device For High-Speed Driving And Driving Method Therefor
KR102151058B1 (en) Circuit for modulation gate puls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063813A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luminance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11893953B2 (en) High-speed driving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770022B2 (en) Source driver and a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KR101865849B1 (en) Data integrated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700372B1 (en) Circuit for controlling data-dri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