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420A -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420A
KR20230166420A KR1020220066389A KR20220066389A KR20230166420A KR 20230166420 A KR20230166420 A KR 20230166420A KR 1020220066389 A KR1020220066389 A KR 1020220066389A KR 20220066389 A KR20220066389 A KR 20220066389A KR 20230166420 A KR20230166420 A KR 20230166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lecture
world
tutori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듀앤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듀앤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듀앤워크
Priority to KR1020220066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6420A/ko
Publication of KR20230166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은,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제1 권한을 갖는 복수의 제1 유저(user)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가상 강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 커리큘럼 내의 하나 이상의 항목에 연관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가상 환경 내의 강사와 학생 사이, 강사와 강사 사이에서 강의자료를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되며, 가상 공간에서 생성된 강의자료에 대한 고유의 IP(Intellectual Property)를 창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LECTURE MATERIALS IN A VIRTUAL TUTORIAL WORLD}
본 발명은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 환경 내의 강사와 학생 사이, 강사와 강사 사이에서 강의자료를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상 세계(virtual world)는 컴퓨터 기반의 시뮬레이션 환경으로, 유저(user)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avatar)가 현실 세계에서와 같이 독립적으로 사회·경제·문화·정치적 활동을 수행하고, 교류하고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다.
전자, 통신 기술의 발달에 더하여,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혼합현실(Mixed Reality),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이 접목됨으로써, 가상 세계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된 단순한 3차원 공간이 아니라, 가상 공간과 현실 세계가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는 공간이자 제2의 현실 세계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특히, 메타버스(Metaverse)는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기술이 융합된 것으로,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우주,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한층 몰입감 있는 가상 세계를 구현한다. 현재, 메타버스는 게임, 엔터테인먼트, 여행, 헬스케어, 스포츠, 건설,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가상 세계가 활용되고 있으며, 그와 관련된 다양한 플랫폼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한편, 교육 분야에 있어서도 가상 세계를 접목한 서비스가 등장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65751호는 '3차원 인터넷 공간에서 아바타를 이용한 교육방법' 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에 의해 구축된 가상 공간 내에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68616호는 '메타버스에서의 학습을 위한 가상의 강의공간 생성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개특허에 비하여 보다 향상된 학습 공간을 가상 환경에서 제공한다. 이는 1회성 강의를 위하여 가상 강의공간을 생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선행기술은 강사와 학생의 아바타를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현해 양자 간 커뮤니케이션이나 단순한 문서교환을 가능케 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거나, 일회성 강의를 위한 가상 강의공간 생성 방법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다. 즉,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동시간에 가상 환경에 접속한 강사와 학생 사이에서만 강의가 이루어질 수 있고, 해당 강의는 일회성에 그쳐 이후 다른 학생에 제공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사에 의하여 이루어진 강의와 그에 이용된 강의 컨텐츠가 저작물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해당 저작물에 대한 고유의 IP(Intellectual Property)를 창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가상 공간 내에서는 다양한 유저에 의하여 방대한 양의 강의 오브젝트가 생성될 수 있는데, 종래 플랫폼은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강의 오브젝트를 강사-학생간, 강사-강사간에 공유할 수 있는 수단도 제공된 바가 없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65751호 (2001년 07월 11일 공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68616호 (2022년 03월 02일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 환경 내의 강사와 학생 사이, 강사와 강사 사이에서 강의자료를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 공간에서 생성된 강의자료에 대한 고유의 IP(Intellectual Property)를 창출할 수 있는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은,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제1 권한을 갖는 복수의 제1 유저(user)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가상 강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 커리큘럼 내의 하나 이상의 항목에 연관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로부터 상기 가상 커리큘럼 내의 소정 항목에 연관된 강의자료 오브젝트에 대한 엑세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엑세스 요청을 송신한 제1 유저에게 상기 소정 항목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아바타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권한을 갖는 복수의 제1 유저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저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유저의 아바타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제2 권한을 갖는 제2 유저의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아바타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저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저의 아바타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아바타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유저로부터 실공간 강의자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공간 강의자료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적용 가능한 포맷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커리큘럼 내의 항목과 연관된 상기 강의자료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정, 변경 또는 삭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을 송신한 유저의 권한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된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수정, 변경 또는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및 상기 강의자료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NFT(Non-Fungible Token)로 민팅(mint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은, 상기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 메타버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메타버스 디바이스는 VR(Virtual Reality) 기어, AR(Augmented Reality) 기어, MR(Mixed Reality) 기어 및 XR(eXtended Reality)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유저는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강의를 제공하는 강사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장치는,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저장부,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 가상 오브젝트 관리부, 가상 오브젝트 저장부 및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저장부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Virtual Tutorial World) 내에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및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아바타 속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는,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를 생성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 오브젝트 저장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 커리큘럼 내의 하나 이상의 항목에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 오브젝트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로부터 상기 가상 커리큘럼 내의 소정 항목에 연관된 강의자료 오브젝에 대한 엑세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엑세스 요청을 송신한 제1 유저에게 상기 소정 항목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는, 상기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권한을 갖는 복수의 제1 유저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저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유저의 아바타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는, 상기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권한을 갖는 제2 유저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저의 아바타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오브젝트 관리부는, 상기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아바타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유저로부터 실공간 강의자료를 수신하고, 상기 실공간 강의자료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적용 가능한 포맷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로 변환한 뒤, 상기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오브젝트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커리큘럼 내의 항목과 연관된 상기 강의자료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정, 변경 또는 삭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을 송신한 유저의 권한을 판단한 뒤, 상기 요청된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수정, 변경 또는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및 상기 강의자료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NFT(Non-Fungible Token)로 민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은, 상기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 메타버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메타버스 디바이스는 VR(Virtual Reality) 기어, AR(Augmented Reality) 기어, MR(Mixed Reality) 기어 및 XR(eXtended Reality)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유저는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강의를 제공하는 강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가상 환경 내의 강사와 학생 사이, 강사와 강사 사이에서 강의자료를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되며, 가상 공간에서 생성된 강의자료에 대한 고유의 IP(Intellectual Property)를 창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이 실행되는 네트워크 환경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이 실행되는 클라우드 환경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계정 정책을 정의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 각종 공간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요소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의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의 커스터마이징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강의실의 커스터마이징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의 아바타 및 마이룸의 속성 데이터 계층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의 아바타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가상 강의가 활성화되는 방식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이루어지는 가상 강의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및 장치에서 가상 커리큘럼의 관리 방식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커리큘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및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의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내 항목에 연관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의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의 수업용 오브젝트 생성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하여 생성된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및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의 NFT 민팅에 관여하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생성된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및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의 NFT 민팅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오브젝트(object)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존재하는 주체(아바타 등), 객체(책상, 의자, 칠판 등), 환경(월드, 캠퍼스, 공간, 강의실, 각종 공간 등) 등을 포괄적으로 아우르는 의미로 해석된다. 오브젝트는 렌더링된 이미지를 갖는 물체뿐만 아니라 레이아웃 등의 추상적인 대상까지 포함한다. 또한, 오브젝트는 복수의 하위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는 가상 강의실에 배치되는 각종 가구, 강의 도구 등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강의/수강 내용 자체가 새로운 오브젝트로 창출될 수 있으며, 해당 오브젝트는 강의/수강 내용(화상 강의 내용, 질의/응답, 강의자료, 채팅 등)을 강의 오브젝트로써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유저가 즐길 수 있는 각종 게임과 아이템(무기, 도구 등)도 오브젝트에 해당하며, 마이룸에 포함되는 각종 인테리어 도구, 펫(pet) 등도 오브젝트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이 실행되는 네트워크 환경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환경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유저가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생성에 관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유저는, 교육 컨텐츠 제공자(provider)와 교육 컨텐츠 수혜자(beneficiary)로 구분될 수 있다. 교육 컨텐츠 제공자는 각종 교육기관(대학교, 학교, 학원 등), 교육자(선생님, 교수, 전문강사, 프리랜서 강사, 원어민 강사 등) 등일 수 있고, 교육 컨텐츠 수혜자는 학생, 학부모 등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유저는 각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 인터랙션(interaction)할 수 있다. 인터랙션은 유저의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 행위, 입력 행위, 유저에 대한 각종 디바이스의 출력 행위, 표시 행위, 서버(장치)의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신호 송수신,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서버(장치)의 신호 송수신 등,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아바타를 통해 수행되는 모든 활동의 기초가 된다.
여기서, 각종 디바이스는 PC(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Laptop computer), 스마트폰(Smartphone),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스마트안경(Smart Glass), 각종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전자북 리더(E-book Reader), 키오스크(Kiosk), 통신기능을 구비한 각종 가전기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 미러(Smart Mirro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스마트 TV, 홈 오토메이션 컨트롤 패널, 게임 콘솔(Game Console), 셋톱 박스(Set-top Box), 프로젝터(projector)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인터랙션을 위한 디바이스는 메타버스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이는 VR(Virtual Reality) 기어, AR(Augmented Reality) 기어, MR(Mixed Reality) 기어 및 XR(eXtended Reality)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메타버스 기어는, HMD(Head-Mounted Display), 포스 피드백 기어, VR/AR 슈트, VR/AR 외골격(skeleton) 장치, VIST(visual-inertial skeleton tracking) 장치, HMI(Human-Machine interface), BMI(Brain-Machine Interface), 모션 컨트롤러, VR 리스트 밴드(wrist band)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장치는 가상 월드에서의 가상 오브젝트 생성 플랫폼, 강의 컨텐츠 플랫폼, 교육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측 서버, 로컬 컴퓨팅 시스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비스 제공자측 서버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임의의 펌웨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는 프로그램 명령을 판독, 실행 및 기록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회로, 다양한 형태의 IC(Integrated Circuit), 스테이트 머신(state machin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드웨어는 프로세서로부터 입출력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입출력 인터페이스(I/O interface),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드를 통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싱 통신을 관리하는 통신 네트워크(communication network),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Nand Flash Memory, 이동식 메모리, 메모리 스틱, SD(secure digital) 메모리,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등의 메모리와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이 실행되는 클라우드 환경의 개념도이다. 클라우드 환경에는 하나 이상의 로컬 서버들이 포함될 수 있고, 해당 로컬 서버는 다시 하위 서버와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유저와 인터랙션할 수 있다. 클라우드 환경을 이용함으로써 전세계 어디에서든 본 발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는 계정 시스템, 권한 관리 시스템, 캐릭터 시스템, 장비 시스템, 성장 시스템, 월드 관리 시스템, 커리큘럼 시스템, 수업 관리 시스템, 결제 시스템, 사용자 수업 참여 시스템, 교사 수업 진행 시스템, 월드 홍보 및 참관 시스템, 상담 시스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학생 수업 복습 시스템, 과제 부여·수행 시스템, 학부모·학생 관리 시스템, 월드내 인력 관리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나의 서버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복수의 서버에 분산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계정 정책을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는 다양한 계정이 수직적인 혹은 수평적인 계층 구조를 이룬다.
제1 계층(10.1)에 해당하는 관리자 계정(11)은 시스템 관리자가 사용하는 계정으로, 슈퍼 관리자, 관리자, CS 관리자, 월드 관리자 등으로 구분되고, 각 계정에 대한 정책을 정의한다. 슈퍼 관리자 계정과 관리자 계정은 이력 관리(수정, 회원 목록 정의 등), 내부 업무 프로세스 진행 관리, 회원 정보 관리, 수업이 진행되는 가상 강의실의 점검 및 관리(고스트 기능) 등에 대한 권한을 가질 수 있다. CS 관리자는 유저의 문의 대응을 위하여, 회원 정보 검색, 회원 이력 정보 검색, 결제 확인 등의 다양한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월드 관리자는 월드 관리, 브랜드 관리, 커리튤럼 관리, 강의 관리, 커뮤니티 관리, 수업 참관 고스트 권한과 같은 기타 기능 관리 등에 대한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제2 계층(10.2)에 해당하는 강사(교사) 계정(12)은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의 가상 강의실에서 학생 유저에게 교육을 진행하는 유저에 대한 정책을 정의한다. 강사(교사) 계정(12)은 가상 강의실 개설, 강의에 대한 관리(학생 관리, 수업 관리, 커리큘럼 관리 등), 아이템 사용, 가상 강의실에 대한 커스터마이징(교실 디자인, 수업 구조, 수업 구성 등)에 대한 권한을 갖는다. 제2 계층(10.2)의 권한은 제1 계층(10.1)에 의하여 부여될 수 있다.
제3 계층(10.3)은 학생 계정(13)으로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의 가상 강의실에서 교육을 받는 학생 유저에 대한 정책을 정의하고, 제4 계층(10.4)은 학부모 계정(14)으로 학생 유저의 학부모에 대한 정책을 정의한다. 제3 계층(10.3)과 제4 계층(10.4)은 병렬적 계층 구조를 취할 수 있으나, 서로 다른 권한을 가질 수 있다. 학생 계정(13)은 마이룸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및 관리, 수업 컨텐츠 업로드 및 다운로드, 아이템의 구입 및 사용 등에 대한 권한을 갖는다. 학부모 계정(14)은 학생 계정(13)과 연계되어 제1 계층(10.1) 또는 제2 계층(10.2)에서 생성된 공지사항 등에 대한 확인, 성적 확인 등에 대한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계정 정책은 어디까지나 실시예에 불과하고, 각 계정에 대한 정책 및 권한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및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다. 도 4에서는 1개의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계층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의 가상 튜토리얼 월드가 설정되거나, 유저의 요청에 의하여 개설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가상 튜토리얼 월드는 동일한 계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복수의 가상 튜토리얼 월드 사이에 적절한 수준의 계층 구조가 설정되어도 무방하다.
모든 가상 튜토리얼 월드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상 튜토리얼 월드는 다양한 템플릿(template)으로 고정될 수 있지만, 유저가 다양한 방식으로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가상 튜토리얼 월드는 하나 이상의 캠퍼스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캠퍼스는 하나 이상의 건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건물은 하나 이상의 가상 강의실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튜토리얼 월드, 캠퍼스 및 가상 강의실은 월드 내 소정 권한을 갖는 계정에 의하여 네이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설교육기관 유저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를 개설하면서, 해당 사설교육기관의 브랜드명, 지점명 등을 가상 튜토리얼 월드명으로 수정할 수 있고, 과목에 따라 각 가상 강의실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유저가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 접속하면,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해당 유저에 대응하는 아바타가 표시되고, 유저는 각종 디바이스를 조작하여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아바타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PC에 연결된 키보드를 통한 입력,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조작, VR 기어에 의한 조작 등을 통해 아바타가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활동할 수 있다. 유저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아바타를 움직여 소정 캠퍼스로, 소정 건물로, 소정 강의실로 입장할 수 있다. 다만, 해당 단계를 거치지 않고, 다이렉트로 소정 캠퍼스, 소정 건물 또는 소정 강의실에 입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저는 다양한 방식으로 가상 튜토리얼 월드, 캠퍼스, 건물, 강의실 및 기타 공간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도 5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 각종 공간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요소를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상 튜토리얼 월드는 제1 계층(20.1)의 월드, 제2 계층(20.2)의 캠퍼스(22), 제3 계층(20.3), 제4 계층(20.4)의 강의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계층 구조를 갖거나, 갖지 않는 제5 계층(20.5)의 기타 공간(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상 튜토리얼 월드, 캠퍼스, 건물, 강의실 및 기타 공간은 2D 혹은 3D 이미지로 렌더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3D 디스플레이, HMD 등을 통해 양안시차에 의한 깊이감을 갖는 입체 영상을 구현하도록 모델링 및 렌더링될 수도 있다. 나아가, 가상 튜토리얼 월드, 캠퍼스, 건물, 강의실 및 기타 공간은 홀로그램으로 구현되도록 모델링될 수도 있다. 따라서, 3D 모델링을 위한 모델링 데이터가 준비될 수 있고, 3D 모델링 데이터는 모델이 인스톨되는 추상화된 표면(surface), 레이어의 깊이(layer depth), 로테이션 오프셋(ratation offset), 높이 오프셋(height offset), 지향 방향(facing direction), 수평 차수(horizontal order), 수직 차수(vertical ord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 및 이에 포함되는 캠퍼스, 건물, 강의실 및 기타 공간의 3D 모델링뿐만 아니라, 유저의 아바타 3D 모델링에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가상 튜토리얼 월드를 구성하는 각 공간을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한 다양한 속성을 준비한다. 다양한 속성은 각 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레이아웃, 각 공간의 위치, 경계, 구조, 색상, 텍스처, 템플릿 등을 포함한다. 유저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템플릿을 선택함으로써 각 공간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도 있고, 개별적으로 위치, 색상, 디자인 등을 선택, 수정하는 방식으로 각 공간을 커스터마이징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의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유저(U)는 각종 디바이스(D)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가상 튜토리얼 월드 관리부(141)는 입력된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권한을 판단하며, 권한이 인정되면 가상 튜토리얼 월드를 생성한다. 유저는 서버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템플릿의 가상 튜토리얼 월드를 선택할 수 있고, 원하는 디자인으로 가상 튜토리얼 월드를 설계할 수 있다. 유저 입력이 완료되면, 생성된 가상 튜토리얼 월드를 저장부(170)에 기록한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의 커스터마이징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유저(U)는 각종 디바이스(D)에 표시된 이미지를 확인하면서 가상 튜토리얼 월드를 꾸밀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각종 건물을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HMD(Head-mounted Display)에 표시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의 이미지를 보면서, VR 기어를 조작하여 각종 건물을 배치하거나, 월드 및 건물에 대한 템플릿을 선택하거나, 그의 색상, 디자인, 위치를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U)는, 디바이스(D)를 이용하여 월드 디자인, 건물 관리, 건물 생성과 관련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I/O 인터페이스(120)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각 속성(이름, 소속, 위치, 과목, 개설자 등)을 저장부(17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유저(U)는 디바이스(D)를 이용하여 월드 확장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I/O 인터페이스(120)는 월드 확장 요청 신호를 가상 튜토리얼 월드 관리부(141)에 전달하며, 가상 튜토리얼 월드 관리부(141)는 유저의 권한을 판단하여, 새로운 가상 튜토리얼 월드를 생성하여 저장부(170)에 기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강의실의 커스터마이징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유저(U)는 가상 강의실 내의 인테리어 디자인, 가구 배치, 구조 등을 꾸밀 수 있으며, 서버는 가상 강의실의 커스터마이징과 관련한 다양한 템플릿을 저장할 수 있고, 유저(U)는 가상 강의와 관련된 각종 오브젝트를 가상 강의실 내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업 스케줄 관련 오브젝트, 학생 관리 오브젝트, 커리큘럼 관리 오브젝트 등을 가상 강의실 내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유저(U)는 해당 디바이스(D) 와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터치하여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가상 강의실에 배치된 각종 오브젝트는, 가상 강의실에 입장한 아바타(avatar)에 의하여 발생한 트리거 이벤트에 의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트리거 이벤트는 오브젝트와 아바타 사이의 거리 조건, 아바타에 의한 제스처 조건,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조건, 아바타의 위치 조건, 아바타에 의한 메뉴 선택 조건, 아바타에 의한 텍스트 생성 조건, 아바타에 의한 보이스 생성 조건, 아바타에 의한 미션 수행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 충족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강사 유저(U)가 수업 시간표와 관련된 오브젝트를 가상 강의실 내 기둥벽에 배치시킨 경우, 학생 유저(U)의 아바타가 기둥벽에 접촉하면 수업 시간표를 학생 유저(U)의 디바이스(D)에 표시시킬 수 있다. 혹은, 학생 유저(U)의 아바타가 "수업 시간표"라는 텍스트 말풍선을 생성하면 수업 시간표를 학생 유저(U)의 디바이스(D)에 표시시킬 수 있다. 오브젝트의 활성화는 아바타에 대한 다양한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느 특정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의 아바타 및 마이룸의 속성 데이터 계층을 도시한다.
아바타 속성 데이터는 제1 계층(30.1)의 아바타 유형(31), 제2 계층(30.2)의 아바타 외모(32), 제3 계층(30.3)의 아바타 의상/신발(33), 제4 계층(30.4)의 아바타 액세서리(34), 제5 계층(30.5)의 아바타 아이템(35)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룸 속성 데이터는 제1 계층(30.6)의 마이룸 유형(36), 제2 계층(30.7)의 마이룸 아이템(3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아바타 및 마이룸의 속성 데이터 계층은 어디까지나 실시예에 불과하고, 이와 다른 속성 데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계층(30.1)의 아바타 유형(31)은 유저(U)의 계층과 관련한 것으로, 교사, 학생, 학부모 등으로 렌더링된 이미지를 포함한다. 제2 계층(30.2)의 아바타 외모(32)는 아바타의 성별(남/여)을 비롯하여, 얼굴, 피부, 눈, 코, 입, 헤어, 체형, 표정, 자세 등에 대한 렌더링 이미지를 포함한다. 제3 계층(30.3)의 아바타 의상/신발(33)은 아바타에 착용 가능한 상의, 하의, 양말, 신발, 모자 등의 렌더링 이미지를 포함한다. 제4 계층(30.4)의 아바타 액세서리(34)는 가방, 안경, 목걸이, 귀걸이, 반지, 스카프 등의 렌더링 이미지를 포함한다. 제5 계층(30.5)의 아바타 아이템(35)은 강의도구, 인게임 아이템, 애플리케이션 아이템 등을 포함한다.
한편, 제1 계층(30.6)의 마이룸 유형(36)은 유저(U)의 각종 정보를 저장, 표시하고 있는 공간인 마이룸의 기본적인 외형에 관한 것으로, 방, 교실, 도서관, 자연, 구조물, 거실 등의 렌더링 이미지를 포함한다. 제2 계층(30.7)의 마이룸 아이템(37)은 마이룸에 배치되는 책상, 의자, 책장, 조명, 침대, PC, 거울 등의 렌더링 이미지를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의 아바타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서버(S)는 아바타 속성/템플릿을 제공한다. 유저(U)는 디바이스(D)를 조작하여 아바타 속성 데이터의 계층별 속성을 선택한다. 아바타 관리부(143)는 유저(U)에 의하여 설정된 아바타를 상기 유저(U)와 연관시켜 저장부(170)에 저장한다. 다시, 서버(S)는 마이룸 속성/템플릿을 제공한다. 유저(U)는 디바이스(D)를 조작하여 마이룸 속성 데이터의 계층별 속성을 선택한다. 마이룸 관리부(145)는 유저(U)에 의하여 설정된 마이룸을 상기 유저(U)와 연관시켜 저장부(170)에 저장한다.
유저(U)의 아바타 및 마이룸이 설정되면, 유저(U)에 접속에 의하여 해당 아바타가 마이룸에 표시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는, 마이룸이 아닌 가상 튜토리얼 월드, 캠퍼스, 건물, 강의실 중 어느 하나에 다이렉트로 입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저(U)는 보유하고 있는 각종 아이템, 도구 등을 마이룸에 배치시킬 수 있고, 강의를 하거나 들을 때 해당 아이템,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
유저의 아바타는 애니메이션화된 2D 혹은 3D 이미지를 이용해 생성할 수도 있지만, 유저의 실제 모습을 3D 이미지로 렌더링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저의 실공간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획득된 유저의 스틸 이미지 혹은 동영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역기구화(inverse kinematics) 및 모션 트래킹(motion tracking)을 이용해 전방향 렌더링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유저의 모습과 흡사한 아바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가상 강의가 활성화되는 방식의 일례를 도시한다. 각 유저(U)는 각종 디바이스를 통하여 인터랙션하며, 각 유저(U)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각 아바타가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된다.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유저(U)의 조작에 의하여, 아바타는 가상 강의실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고 타 아바타들과 소통할 수 있다.
각 가상 강의실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드(grid) 형태로 영역화되고, 서버는 좌표를 통해 각 아바타의 현재 위치 및 이동을 파악할 수 있다. 가상 강의실 내에서의 가상 강의는 다양한 방식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그리드 상의 강사 책상 배치 좌표에 강사 아바타가 위치(혹은 근접)하고, 학생 책상 배치 좌표에 학생 아바타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혹은 근접)하는 경우, 가상 강의가 개시되는 것을 도시한다. 이는 어디까지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특정 시간이 되면 바로 가상 강의가 활성화되거나, 혹은 가상 강의의 요청이 있는 경우 가상 강의가 활성화되는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이루어지는 가상 강의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강사(교사) 유저의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화면의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가상 강의가 실행되면, 다시 말해,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가 활성화되면, 도 12에 도시된 화면에서 도 13에 도시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가상 강의 내에서는 강사 유저 및 학생 유저의 실공간 모습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아바타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가상 강의실 내에서 강사 유저는 수업 자료, 커리큘럼 등을 공유하며 수업을 진행할 수 있고, 유저 사이에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강의용 화면은 다양한 레이아웃을 가질 수 있으며, 해당 레이아웃은 각 유저의 계정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강사 유저는 학생 유저 화면 보기, 학생 유저 정보 보기, 학생 유저 퇴장, 학생 유저 음성 소거 등의 권한을 가질 수 있다. 학생 유저는 가상 강의실 내에서 과제 제출, 테스트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학생 유저의 인터랙션을 통해 과제나 테스트 답안지가 제출되고, 강사 유저의 인터랙션을 통해 과제 점수나 테스트 결과가 학생 유저(또는 학부모 유저)에 전달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장치는 프로세서(110), I/O 인터페이스부(120), 통신부(130), 관리부(140),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150),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160), 저장부(170), NFT 민팅부(18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생성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I/O 인터페이스부(120)는 통신 링크를 사용하여 유저가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인터랙션할 수 있게 한다. 유저는 실공간에서 각종 디바이스(예: HMD를 포함하는 VR 기어 등)를 통해 입력 신호를 생성하며, I/O 인터페이스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해당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I/O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수신된 입력 신호에 의하여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아바타가 임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통신부(130)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유저로부터 각종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유선 통신망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universal serial bus)등의 유선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망은 지웨이브(Z-wave),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e), LTE-M, 로라(LoRa, long Range),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망은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5G, 6G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관리부(140)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 관리부(141), 유저 계정 관리부(142), 아바타 관리부(143), 오브젝트 관리부(144), 마이룸 관리부(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하위 구성은 관리부(140)의 기능을 관리대상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하고, 반드시 하위 구성으로 구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가상 튜토리얼 월드 관리부(141)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의 생성, 기록, 갱신, 수정, 삭제 등을 관리한다. 유저 계정 관리부(142)는 도 2의 계정 정책에 따라 유저의 가입, 설정, 탈퇴 등을 관리한다. 아바타 관리부(143)는 계정에 대응하는 아바타의 설정, 변경, 삭제 등을 관리한다. 오브젝트 관리부(144)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포함된 각 오브젝트를 관리한다. 마이룸 관리부(145)는 각 유저에 계정에 대응하는 마이룸의 신설, 설정, 수정, 삭제 등을 관리한다.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150)는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강의자료 오브젝트,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포함된 각 오브젝트 등을 생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오브젝트 관리부(144)에 통합되어도 무방하다.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160)는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아바타를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킨다. 즉, 유저의 실공간 디바이스 조작에 의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유저의 계정에 대응되는 아바타를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내로 입장시킨다.
저장부(170)는 유저 계정 저장부(171),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저장부(172), 가상 오브젝트 저장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저장 대상에 따라 저장부의 기능을 분류한 것에 불과하고, 단일의 통합 저장부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유저 계정 저장부(171)는 유저 계정 관리부(142)에서 관리되는 유저 계정을 저장하고,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저장부(172)는 아바타 관리부(143)에서 관리되는 아바타의 속성 데이터, 마이룸 관리부(145)에서 관리되는 마이룸의 속성 데이터, 오브젝트 관리부(144)에서 관리되는 각종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가상 오브젝트 저장부(173)는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등을 저장한다.
NFT 민팅부(180)는 생성된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강의자료 오브젝트,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등을 NFT(Non-Fungible Token)로 민팅(minting)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디지털 콘텐츠에 해당하는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또는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대체불가능한 고유 자산 정보를 부여해 가치를 창출한다.
위에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장치의 구성을 각 기능별로 블록화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체 또는 일부의 구성이 단일 프로세서, 혹은, 단일 컨트롤러(controller)로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 위주로 구체적으로 설명을 이어가기로 한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저장부(172)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Virtual Tutorial World) 내에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및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아바타 속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저장부(172)는 제1 권한을 갖는 제1 유저(user)의 제1 아바타(avatar)의 제1 아바타 속성 데이터 및 제2 권한을 갖는 제2 유저의 제2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아바타 속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150)는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저장부(172)에 저장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하나 이상의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또한,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150)는 제1 및 제2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아바타를 생성한다.
특히,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150)는, 제1 권한을 갖는 복수의 제1 유저(user)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가상 강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와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유저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가상 오브젝트 저장부(173)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 커리큘럼 내의 하나 이상의 항목에 연관시켜 저장한다.
한편, 가상 오브젝트 관리부(144)는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로부터 상기 가상 커리큘럼 내의 소정 항목에 대한 엑세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엑세스 요청을 송신한 제1 유저에게 상기 소정 항목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제공할 수 있다.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160)는,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권한을 갖는 복수의 제1 유저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저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유저의 아바타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고,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권한을 갖는 제2 유저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저의 아바타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저는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강의를 제공하는 강사(교사, 선생님 등)이고, 제1 인터랙션은 강사의 실공간 조작 활동, 강의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 유저는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강의를 제공받는 학생(또는 그의 학부모)이고, 제2 인터랙션은 상기 학생의 실공간 조작 활동, 수강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유저는 세미나, 컨퍼런스 등의 강연자 및 참석자, 원격 진료에 있어서의 의사 및 환자, 화상 회의에서의 회의 참석자, 화상 면접에서의 인터뷰어(interviewer) 및 인터뷰이(interviewee)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 강의실은 가상 컨퍼런스룸, 세미나실, 강연장, 회의실, 면접실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때, 제1 유저 및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은, 실공간에서 제1 또는 제2 유저와 각종 디바이스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터랙션은 유저의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 행위, 입력 행위, 유저에 대한 각종 디바이스의 출력 행위, 표시 행위, 서버(장치)의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신호 송수신,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서버(장치)의 신호 송수신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아바타를 통해 수행되는 모든 활동의 기초가 된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는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전자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메타버스에서 주로 활용되는 메타버스 디바이스일 수 있고, 메타버스 디바이스는 VR(Virtual Reality) 기어, AR(Augmented Reality) 기어, MR(Mixed Reality) 기어 또는 XR(eXtended Reality) 기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상 오브젝트 관리부(144)는,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아바타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학생인 제2 유저는 강의에 관한 가상 커리큘럼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160)는,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유저로부터 실공간 강의자료를 수신하고, 상기 실공간 강의자료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적용 가능한 포맷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로 변환한 뒤,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가상 오브젝트 관리부(144)는,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커리큘럼 내의 항목과 연관된 상기 강의자료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정, 변경 또는 삭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을 송신한 유저의 권한을 판단한 뒤, 요청된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수정, 변경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및 장치에서 가상 커리큘럼의 관리 방식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①은 강의 제공자(예: 학교, 학원 등)가 보유한 가상 커리큘럼이 관리되는 페이지를 나타낸다. ②는 자료실을 카테고리의 폴더별 관리 방식을 나타낸다. ③은 정책상 특정 강의 제공자만 커리큘럼 폴더를 보유하고 운영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즉, 제1 유저의 제1 권한은 커리큘럼 생성, 보유, 관리 권한을 포함한다. ④는 기초 수업 자료에 활용되는 다양한 형식의 자료(PPT, PDF, 영상 등)가 저장되는 자료실이다. ⑤는 실질적인 교육 자료로 기초 수업 자료를 이용하여 강의실 내 제공되는 교육 기능을 조합하여 만든 실질적인 교육 커리큘럼인 강의 설정 자료를 나타낸다. ⑥해당 소속 강사(제1 유저 중 하나)의 개별 저장 공간으로 강사가 관리할 수 있는 권한이 제공되며, 강사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자동 생성되게 설정 가능하다. ⑦은 카테고리명을 나타내고, 해당 카테고리나 폴더를 선택하면 우측에 관리창이 오픈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⑧은 카테고리명의 표시, ⑨는 폴더명의 표시(수정 가능), ⑩은 과목 등의 주제 분류(수정 가능), ⑪은 해당 폴더에 등록된 자료 표시를 나타낸다. ⑫와 같이 각각의 자료는 파일의 이름으로 노출되며, ⑬의 탭을 클릭(탭, 터치)하면 내용 검토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파일 관리가 이루어진다. ⑭의 관리를 통해서 내용 변경이나 새로운 파일의 업로드 등이 가능하다. ⑮변경 내용을 삭제, 저장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커리큘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의 디바이스 화면(모니터, 스크린, HMD 디스플레이 등)에는 강사인 제1-1 유저에 의하여 생성된 가상 커리큘럼이 제공된다. 또 다른 강사인 제1-2 유저는 동료 강사가 생성한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다. 즉, 강사 간에는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는 가상 커리큘럼 내의 하나 이상의 항목에 연관시켜 저장되며, 다른 강사인 제1-2 유저는 각 항목에 따라 다른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1 유저가 생성한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 모두에 대한 엑세스 권한이 제1-2 유저에게 부여될 수도 있지만, 제1-1 유저와 제2-2 유저가 서로 소속이 다른 경우, 과목이 다른 경우, 강의 레벨이 다른 경우에는 제1-1 유저가 생성한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 중 일부에 대해서만 엑세스 권한이 제1-2 유저에게 부여될 수도 있다.
한편, 가상 커리큘럼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갖는 제2 유저(학생)는 가상 커리큘럼 내 항목을 클릭(탭, 터치)하여 해당 항목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서버는 가상 커리큘럼 내 항목에 대한 클릭(탭, 터치)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항목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항목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해당 유저의 디바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및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의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제1 권한을 갖는 유저는 디바이스(D)를 이용해서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권한을 갖는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150)는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는 과목에 대한 수업명, 수업 형태, 수업 시간, 수업 대상, 수업 인원, 강의 상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는 가상 오브젝트 저장부(173)에 저장된다.
이후, 제1 권한을 갖는 동일한 유저 혹은 상이한 유저에 의하여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권한을 갖느 동일한 유저 혹은 상이한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150)는 해당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는 가상 오브젝트 저장부(173)에 저장된다.
이때, 가상 오브젝트 저장부(173)는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가상 커리큘럼 내의 각 항목에 연관시킬 수 있다. 각 항목에 대한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의 연관은 상기 제1 권한을 갖느 동일한 유저 혹은 상이한 유저에 의하여 수신된 지정신호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에 포함된 속성(과목, 강사, 시간 등)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내 각 항목에 연관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내 항목에 연관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제1 권한을 갖는 유저(U1~U4)에 의하여 다양한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가 생성될 수 있고, 생성된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는 각각 고유의 속성을 포함한다. 고유의 속성은 소속, 과목, 시간, 강의레벨, 자료형태, 확장자, 자료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내의 각 항목(항목1 내지 항목N)도 각각 고유의 속성을 포함한다. 고유의 속성은 소속, 과목, 시간, 강의레벨, 자료형태, 확장자, 자료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권한을 갖는 유저(U1~U4)에 의하여 다양한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가 생성되는 즉시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내의 각 항목의 고유의 속성을 판단하여, 공통 속성을 갖는 항목으로 연관될 수 있다.
이때,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내의 각 항목과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의 연관 관계는 유저 디바이스에 표시되지 않고, 도 15의 ⑥의 개별교사 자료실 폴더에 공통 저장될 수 있다. 다만, ⑥의 개별교사 자료실 폴더 내에 포함된 복수의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에 대한 권한은 각 유저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내의 각 항목과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의 연관 관계는 유저 디바이스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에게 엑세스 가능한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는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거나, 아이콘으로 식별될 수 있다. 혹은, 유저에게 엑세스 권한이 있는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만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 생성된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가 가상 커리큘럼 내 각 항목에 연관되어 저장되고,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에 대한 접근 권한을 다르게 함으로써, 동일 소속 내의 유저에 대해서만 자료를 공유할 수 있고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가 무분별하게 공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가상 튜토리얼 월드(Virtual Tutorial World) 내에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고(S201),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한다(S202).
제1 권한을 갖는 복수의 제1 유저(user)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를 생성한다(S220). 그리고,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가상 강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생성한다(S230). 마지막으로,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 커리큘럼 내의 하나 이상의 항목에 연관시켜 저장한다(S240).
상기 흐름에 있어서, 제1 및 제2 유저의 아바타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고(S211), 제1 및 제2 아바타를 생성(S212)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아바타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권한을 갖는 복수의 제1 유저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저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유저의 아바타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제2 권한을 갖는 제2 유저의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아바타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저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저의 아바타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0에서 제1 권한을 갖는 제1-1 내지 제1-5 유저는 강사 유저이며,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또는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 생성 권한을 갖는다. 다만, 타 유저가 생성한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에 대한 엑세스 권한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1 유저에 의하여 1개 이상의 항목을 갖는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가 생성된다(S300). 이후, 제1-2 내지 1-4 유저에 의하여 제1 내지 제3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가 생성된다(S310 내지 S330). 이후, 제1 내지 제3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는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의 각 항목에 각각 연결되어 저장된다(S340).
이때, 제1-5 유저에 의하여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에 대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면(S350), 제1-5 유저의 권한을 판단한 뒤(S360), 엑세스 권한이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제공한다(S370).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은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로부터 상기 가상 커리큘럼 내의 소정 항목에 대한 엑세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엑세스 요청을 송신한 제1 유저에게 상기 소정 항목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의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1에서 제1 권한을 갖는 제1-1 내지 제1-4 유저는 강사 유저이며, 제2 유저는 학생 유저일 수 있다. 제1-1 내지 제1-4 유저는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또는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 생성 권한을 갖지만, 제2 유저는 해당 권한을 갖지 않는다. 또한, 제1-1 내지 제1-4 유저, 제2 유저는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에 대한 엑세스 권한은 서로 상이하다.
제1-1 유저에 의하여 1개 이상의 항목을 갖는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가 생성된다(S400). 이후, 제1-2 내지 1-4 유저에 의하여 제1 내지 제3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가 생성된다(S410 내지 S430). 이후, 제1 내지 제3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는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의 각 항목에 각각 연결되어 저장된다(S440).
이때, 제2 유저로부터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에 대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면(S450),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를 제2 유저에 제공한다(S460).
또한, 제2 유저로부터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에 대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면(S470), 제2 유저의 권한을 판단한 뒤(S480), 엑세스 권한이 없다고 판단되면 해당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에 대한 액세스를 불허한다(S490). 반대로, 엑세스 권한이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제2 유저에 제공할 수 있다(S490).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은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아바타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권한을 갖는 제1 유저는 가상 강의실 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수업용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의 수업용 오브젝트 생성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공간에서 강사의 강의자료는 다양한 확장자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는 실공간에서 작성된 강의자료를 가상 강의실에서 이용할 수 있는 수업용 오브젝트로 변환한다. 실공간에서 작성된 강의자료는 문자로 이루어진 데이터(txt, cap, doc, hwp, rtf, pdf 등), 음성으로 이루어진 데이터(wav, mp3, ogg, aac, wma, mid 등), 그림 이미지로 이루어진 데이터(gif, jpg, png, bmp, tif 등),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데이터(mp4, avi, mpeg, wmv rm, mov, divx 등)의 형식을 취할 수 있다. 실공간 강의자료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업로드되고, 서버는 업로드된 실공간 강의자료를 그대로 혹은 적절한 형태로 변환하여 가상 강의실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f의 확장자를 가진 수업 계획서는 플랫폼 내 형식에 맞게 변환되고, 수업 계획서의 각 항목은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수업 편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예: 링크 부가, 가상 강의실 입장 버튼, 샘플 동영상 링크 등)되어 수업용 오브젝트로 생성된 뒤, 가상 강의실에 배치된다. 다른 예로, 강사 유저가 제작한 동영상 강의자료는 수업용 오브젝트로 생성되어, 강사 유저의 강의 아이템으로 저장(강사 유저의 마이룸에 저장 가능)되거나, 강사 유저들 사이에서 공유시킴으로써, 가상 강의실에서 해당 강의 아이템을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사용가능한 형태로 변환된 수업용 오브젝트는 가상 튜토리월 월드 고유의 저작물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가상 튜토리얼 월드는 강의자료 저작물을 통한 고유의 IP를 창출할 수 있게 된다. 강의와 관련된 다양한 오브젝트를 통해 유저는 강의 내용으로 접근이 가능하며, 강의를 구성하기 위한 도구, 참고자료의 리소스 등도 강의 오브젝트로 생성될 수 있다.
특히, 가상 강의실의 전자칠판에 작성된 판서 내용은 위의 방식에 따라 강의 오브젝트로 생성될 수 있다. 즉, 교사 유저가 가상 강의실의 전자칠판을 이용하여 작성한 강의 내용(강의 컨텐츠)은 플랫폼 내 형식에 맞게 변환되고, 수업 계획서의 각 항목은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수업 편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예: 링크 부가, 가상 강의실 입장 버튼, 샘플 동영상 링크 등)되어 수업용 오브젝트로 생성된 뒤, 가상 강의실에 배치되어, 다른 유저에 의하여 엑세스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상 강의실에 이루어진 음성 강의도 위의 방식에 따라 강의 오브젝트로 생성될 수 있다. 즉, 교사 유저에 의하여 가상 강의실의 음성 통화 등을 통해 이루어진 강의 내용(강의 컨텐츠)은 플랫폼 내 형식에 맞게 변환되고, 수업 계획서의 각 항목은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수업 편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예: 링크 부가, 가상 강의실 입장 버튼, 샘플 동영상 링크 등)되어 수업용 오브젝트로 생성된 뒤, 가상 강의실에 배치되어, 다른 유저에 의하여 엑세스될 수 있다. 나아가, 가상 강의실에 이루어진 화상 강의도 위의 방식에 따라 강의 오브젝트로 생성될 수 있다. 즉, 교사 유저에 의하여 가상 강의실의 비디오챗(video chat), Zoom™, Skype™ 등의 화상통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이루어진 강의 내용(강의 컨텐츠)은 플랫폼 내 형식에 맞게 변환되고, 수업 계획서의 각 항목은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수업 편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예: 링크 부가, 가상 강의실 입장 버튼, 샘플 동영상 링크 등)되어 수업용 오브젝트로 생성된 뒤, 가상 강의실에 배치되어, 다른 유저에 의하여 엑세스될 수 있다. 물론, 화상 강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자체적으로 제공되는 화상 강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의 생성은,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유저로부터 실공간 강의자료를 수신하는 단계(S500), 실공간 강의자료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적용 가능한 포맷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단계(S510), 및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결시키는 단계(S52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은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커리큘럼 내의 항목과 연관된 상기 강의자료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정, 변경 또는 삭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을 송신한 유저의 권한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된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수정, 변경 또는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유저가 강의자료 오브젝트에 대한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는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Virtual Tutorial World) 내에 하나 이상의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Virtual Classroom Object)를 생성하기 위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제1 권한을 갖는 제1 유저(user)의 제1 아바타(avatar) 및 제2 권한을 갖는 제2 유저의 제2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아바타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하나 이상의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제1 및 제2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아바타를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고,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2 아바타를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1 및 제2 유저의 제1 및 제2 아바타 조작에 기초하여, 가상 강의실 내에서 강의 및 수강 행위가 이루어지고,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된 상기 제1 유저와의 제1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1 인터랙션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제1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된 제2 유저와의 제2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2 인터랙션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제2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1 가상 오브젝트 및 제2 가상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가 생성된 시간 정보와 연관시켜, 상기 제1 가상 오브젝트와 상기 제2 가상 오브젝트를 기록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기록된 시간 정보,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상기 제1 가상 오브젝트 및 상기 제2 가상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베이스로 하여,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 및 저장한다.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는 해당 가상 강의가 이루어진 제1 시점에서 제2 시점 사이의 강의/수강 행위, 가상 강의실 내에 존재하는 모든 가상 오브젝트를 그대로 포함한다. 따라서,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가 활성화되는 시점에 구애받지 않고, 제1 시점에서 제2 시점 사이에 기록된 공간, 오브젝트, 강의 등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신규 가상 강의 오브젝트가 생성되면, 추후에 제3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아바타를 상기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고, 가상 강의실 내 강의 및 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된 상기 제3 유저와의 제3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3 인터랙션에 대응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제3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제3 가상 오브젝트가 생성된 시간 정보와 연관시켜 제3 가상 오브젝트를 기록한 뒤 제3 가상 오브젝트의 시간 정보,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및 제3 가상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베이스로 하여, 다시 새롭게 제2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강사인 제1 유저를 호출하여, 다시 가상 강의실 내에서 강의 및 수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즉, 제3 유저는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접속하고, 제3 유저가 제1 유저의 호출을 요청하면, 제1 유저의 제1 아바타를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다시 연관시키며, 제1 및 제3 유저 사이의 강의/수강 행위가 이루어지고,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된 제3 유저와의 제3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3 가상 오브젝트, 그의 시간 정보 등에 기초하여, 위에서 언급한 제2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가 생성 및 저장된다.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하여 생성된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및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의 NFT 민팅에 관여하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블록도에서, 가상 오브젝트 저장부(173)는 NFT로 민팅할 컨텐츠인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제2 내지 제n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저장한다. NFT 민팅부(180)는 통신부(130)를 이용하여 NFT 민팅을 수행할 각종 플랫폼에 접속한다. 이때, 각종 플랫폼에 접속하는 계정은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계정 또는 유저로부터 입력된 계정으로 NFT의 소유권이 귀속될 수 있다. 따라서, NFT 민팅을 위한 플랫폼의 접속 계정은,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대한 소유권 귀속 정책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유저 중 하나에 해당 소유권을 귀속시키는 경우에는, 유저로부터 각 플랫폼(레저/민팅/리스팅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을 위한 계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해당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각 플랫폼에 접속하여 도 25에 도시된 각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생성된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및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의 NFT 민팅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먼저, 레저(ledger) 플랫폼에 접속하여(S600), 특정 계정의 디지털 원장을 연동시킨다(S610). 블록체인은 분산 원장을 이용하고 서버간 개별적인 연결을 통해 Peer to Peer 방식의 거래를 수행한다. 메타마스크™나 카이카스™ 등의 레저 플랫폼은 가상화폐인 이더리움(Ethereum)이나 클레이튼(Klaytn) 등을 거래 토큰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을 채용하는 플랫폼에서 설정된 가상화폐를 거래 토큰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오픈씨(opensea)™, 크래프터 스페이스(Krafter Space)™ 등의 민팅(minting) 플랫폼을 오픈하고(S620), 가상화폐를 이용하여,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제2 내지 제n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NFT(Non-Fungible Token)로 민팅한다. 만약, 민팅된 NFT를 거래하고자 하는 경우, 오픈씨(opensea)™ 등의 리스팅(listing) 플랫폼에 접속하여(S640), 해당 NFT를 판매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가상 강의자료 공유 장치
110: 프로세서
120: I/O 인터페이스부
130: 통신부
140: 관리부
150: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
160: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
170: 저장부
180: 민팅부

Claims (20)

  1. 가상 튜토리얼 월드(Virtual Tutorial World) 내에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제1 권한을 갖는 복수의 제1 유저(user)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가상 강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 커리큘럼 내의 하나 이상의 항목에 연관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로부터 상기 가상 커리큘럼 내의 소정 항목에 연관된 강의자료 오브젝트에 대한 엑세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엑세스 요청을 송신한 제1 유저에게 상기 소정 항목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상기 복수의 제1 유저의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아바타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권한을 갖는 복수의 제1 유저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저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유저의 아바타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제2 권한을 갖는 제2 유저의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아바타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저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저의 아바타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아바타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유저로부터 실공간 강의자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공간 강의자료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적용 가능한 포맷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커리큘럼 내의 항목과 연관된 상기 강의자료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정, 변경 또는 삭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을 송신한 유저의 권한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된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수정, 변경 또는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및 상기 강의자료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NFT(Non-Fungible Token)로 민팅(mint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은, 상기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 메타버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메타버스 디바이스는 VR(Virtual Reality) 기어, AR(Augmented Reality) 기어, MR(Mixed Reality) 기어 및 XR(eXtended Reality) 기어를 포함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는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강의를 제공하는 강사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11.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저장부,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 가상 오브젝트 관리부, 가상 오브젝트 저장부 및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저장부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Virtual Tutorial World) 내에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및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아바타 속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는,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를 생성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 오브젝트 저장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 커리큘럼 내의 하나 이상의 항목에 연관시켜 저장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오브젝트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로부터 상기 가상 커리큘럼 내의 소정 항목에 연관된 강의자료 오브젝에 대한 엑세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엑세스 요청을 송신한 제1 유저에게 상기 소정 항목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는,
    상기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권한을 갖는 복수의 제1 유저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저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유저의 아바타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는,
    상기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권한을 갖는 제2 유저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저의 아바타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오브젝트 관리부는,
    상기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아바타에 제공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유저로부터 실공간 강의자료를 수신하고, 상기 실공간 강의자료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적용 가능한 포맷의 강의자료 오브젝트로 변환한 뒤, 상기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결시키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오브젝트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커리큘럼 내의 항목과 연관된 상기 강의자료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정, 변경 또는 삭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을 송신한 유저의 권한을 판단한 뒤, 상기 요청된 강의자료 오브젝트를 수정, 변경 또는 삭제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및 상기 강의자료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NFT(Non-Fungible Token)로 민팅부;를 더 포함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중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은, 상기 어느 하나의 제1 유저와 메타버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메타버스 디바이스는 VR(Virtual Reality) 기어, AR(Augmented Reality) 기어, MR(Mixed Reality) 기어 및 XR(eXtended Reality) 기어를 포함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유저는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강의를 제공하는 강사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장치.
KR1020220066389A 2022-05-30 2022-05-30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230166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389A KR20230166420A (ko) 2022-05-30 2022-05-30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389A KR20230166420A (ko) 2022-05-30 2022-05-30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420A true KR20230166420A (ko) 2023-12-07

Family

ID=89163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389A KR20230166420A (ko) 2022-05-30 2022-05-30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642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751A (ko) 1999-12-30 2001-07-11 박영신 3차원 인터넷 공간에서 아바타를 이용한 교육방법
KR102368616B1 (ko) 2021-09-01 2022-03-02 (주)유밥 메타버스에서의 학습을 위한 가상의 강의공간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751A (ko) 1999-12-30 2001-07-11 박영신 3차원 인터넷 공간에서 아바타를 이용한 교육방법
KR102368616B1 (ko) 2021-09-01 2022-03-02 (주)유밥 메타버스에서의 학습을 위한 가상의 강의공간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ye et al. Educational applications of metavers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Cook et al. Challenges and strategies for educational virtual reality: Results of an expert-led forum on 3D/VR technologies across academic institutions
Adelsberger et al. Handbook on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training
Johnson et al. Technology outlook for Australian tertiary education 2012-2017: An NMC Horizon Report regional analysis
US20180063205A1 (en) Mixed reality collaboration
Volkow et al. The case for mixed reality to improve performance
Kohls Hybrid learning spaces
Whitlock et al. MRCAT: In situ prototyping of interactive AR environments
Chang et al. The role of digital literacy in augmented, virtual, and mixed reality in popular science education: a review study and an educational framework development
Chatwattana et al. The Virtual Laboratory Learning Environment: VLLE on Metaverse for University in Thailand.
Brown et al. Employing Mozilla Hubs as an Alternative Tool for Student Outreach: A Design Challenge Use Case
Song et al. Developing ‘Learningverse’-a 3D Metaverse Platform to Support Teaching, Social and Cognitive Presences
Morgado et al. Integration scenarios of virtual worlds in learning management systems using the MULTIS approach
Saraubon et al. System Design of Mobile Augmented Book.
Fonariuk et al. Expanded reality: Just a Trend of our time or do we need Technology?
Huang et al. Learning Space Design
KR20230166420A (ko)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자료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230166419A (ko)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 및 장치
Okada et al. Formative assessment of inquiry skills for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using 3D virtual reality glasses and face recognition
KR20230166418A (ko)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생성 방법 및 장치
Bidgoli E‐collaboration: new productivity tool for the twenty‐first century and beyond
Kyza et al. The impact of materiality on the design of mobile, augmented reality learning environments in non-formal, outdoors settings
Mills et al. Smart glasses for 3D multimodal composition
Chu et al. ARtist: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for Curating Children's Artworks
Johnson et al. Technology Outlook for Australian Tertiary Education 2012-2017: An NMC Horizon Report Regional Analysis. Austin, Texas: The New Media Consort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