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419A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grouped virtual classroom object in a virtual tutorial world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grouped virtual classroom object in a virtual tutorial worl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419A
KR20230166419A KR1020220066388A KR20220066388A KR20230166419A KR 20230166419 A KR20230166419 A KR 20230166419A KR 1020220066388 A KR1020220066388 A KR 1020220066388A KR 20220066388 A KR20220066388 A KR 20220066388A KR 20230166419 A KR20230166419 A KR 20230166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avatar
classroom
virtual classroom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3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듀앤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듀앤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듀앤워크
Priority to KR1020220066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6419A/en
Publication of KR20230166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4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은,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메인 가상 강의실 및 제1 내지 제N 서브 가상 강의실(N은 2이상의 자연수)을 포함하는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제1 권한을 갖는 제1 유저(user)의 제1 아바타(avatar) 및 제2 권한을 갖는 제2 유저의 제2 아바타에 대한 아바타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제1 아바타 및 제2 아바타를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는 단계, 및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가상 강의실에 입장된 상기 제2 아바타를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메인 가상 강의실과 서브 가상 강의실로 이루어진 그룹형 가상 강의실에 대한 아바타 입장, 그룹형 가상 강의실에서의 이동 및 소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including a main virtual classroom and first to Nth sub-virtual classroom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Preparing virtual classroom object attribute data for creation, based on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attribute data, creating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 first user having first authority Preparing avatar attribute data for a first avatar and a second avatar of a second user with second authority, the first avatar and the second avatar generated based on the avatar attribute data It includes associating with a classroom object, and moving the second avatar entered into one virtual classroom included in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to another virtual classroom. According to the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vatar entry into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consisting of a main virtual classroom and a sub-virtual classroom, movement and summoning in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are facilitated. can do.

Description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GROUPED VIRTUAL CLASSROOM OBJECT IN A VIRTUAL TUTORIAL WORLD}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virtual tutorial worl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GROUPED VIRTUAL CLASSROOM OBJECT IN A VIRTUAL TUTORIAL WORLD}

본 발명은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가상 강의실이 연결된 그룹형 가상 강의실에서의 아바타 이동 및 소환을 가능하게 하는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nd more specifically, a method for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that enables movement and summoning of avatars in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where multiple virtual classrooms are connected. and devices.

가상 세계(virtual world)는 컴퓨터 기반의 시뮬레이션 환경으로, 유저(user)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avatar)가 현실 세계에서와 같이 독립적으로 사회·경제·문화·정치적 활동을 수행하고, 교류하고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다. A virtual world is a computer-based simulation environment in which avatars created by users can independently perform social, economic, cultural, and political activities, interact, and communicate as in the real world. It is a space where you can

전자, 통신 기술의 발달에 더하여,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혼합현실(Mixed Reality),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이 접목됨으로써, 가상 세계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된 단순한 3차원 공간이 아니라, 가상 공간과 현실 세계가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는 공간이자 제2의 현실 세계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tificial intelligence,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mixed reality, eXtended reality, and block-chain ) With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y, the virtual world is not a simple three-dimensional space implemented by a computer, but has come to be recognized as a space where virtual space and the real world closely interact and a second real world.

특히, 메타버스(Metaverse)는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기술이 융합된 것으로,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우주,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한층 몰입감 있는 가상 세계를 구현한다. 현재, 메타버스는 게임, 엔터테인먼트, 여행, 헬스케어, 스포츠, 건설,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가상 세계가 활용되고 있으며, 그와 관련된 다양한 플랫폼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In particular, Metaverse is a fusion of the various technologies mentioned above, and is a compound word of 'meta', meaning processing and abstraction, and 'universe', meaning space and world, creating a more immersive virtual world. Realize the world. Currently, Metaverse is a virtual world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games, entertainment, travel, healthcare, sports, construction, and defense, and various platforms related to it are being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한편, 교육 분야에 있어서도 가상 세계를 접목한 서비스가 등장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65751호는 '3차원 인터넷 공간에서 아바타를 이용한 교육방법' 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에 의해 구축된 가상 공간 내에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68616호는 '메타버스에서의 학습을 위한 가상의 강의공간 생성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개특허에 비하여 보다 향상된 학습 공간을 가상 환경에서 제공한다. 이는 1회성 강의를 위하여 가상 강의공간을 생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Meanwhile, in the field of education, services incorporating the virtual world have emerge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1-0065751 relates to 'Education method using avatar in 3D Internet space' and discloses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within a virtual space constructed by a compute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368616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 virtual lecture space for learning in Metaverse', and provides a more improved learning space in a virtual environment compared to the above published patent. This discloses a method of creating a virtual lecture space for a one-time lecture.

위에서 언급한 선행기술은 강사와 학생의 아바타를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현해 양자 간 커뮤니케이션이나 단순한 문서교환을 가능케 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거나, 일회성 강의를 위한 가상 강의공간 생성 방법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다. 즉,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동시간에 가상 환경에 접속한 강사와 학생 사이에서만 강의가 이루어질 수 있고, 해당 강의는 일회성에 그쳐 이후 다른 학생에 제공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사에 의하여 이루어진 강의와 그에 이용된 강의 컨텐츠가 저작물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해당 저작물에 대한 고유의 IP(Intellectual Property)를 창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only discloses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avatars of instructors and students in computer graphics to enable communication or simple document exchange between the two, or a method of creating a virtual lecture space for one-time lectures.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abov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lectures can only be given between an instructor and a student who access the virtual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and the lecture is only a one-time lecture and cannot be provided to other students afterwards. In addition, although the lecture given by the instructor and the lecture content used therein have copyright propertie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reate a unique IP (Intellectual Property) for the work.

또한, 가상 강의실에서 적절한 강의를 듣기 위해서는 강사의 권한이나 학생의 요청으로 강의실을 이동할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 기술에서는 유저가 직접 강의실에서 퇴장한 뒤 원하는 강의실에 입장하는 방법 외에는 강의실간 이동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listen to an appropriate lecture in a virtual classroom,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move between classrooms with the instructor's permission or at the student's request.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he user cannot move between classrooms except by directly leaving the classroom and entering the desired classroom. There was this.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65751호 (2001년 07월 11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1-0065751 (published on July 11, 200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68616호 (2022년 03월 02일 등록)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368616 (registered on March 2, 202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가상 강의실과 서브 가상 강의실로 이루어진 그룹형 가상 강의실에 대한 아바타 입장, 그룹형 가상 강의실에서의 이동 및 소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avatar entry into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consisting of a main virtual classroom and a sub-virtual classroom, movement and summoning in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The aim is to provide 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은,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메인 가상 강의실 및 제1 내지 제N 서브 가상 강의실(N은 2이상의 자연수)을 포함하는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제1 권한을 갖는 제1 유저(user)의 제1 아바타(avatar) 및 제2 권한을 갖는 제2 유저의 제2 아바타에 대한 아바타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제1 아바타 및 제2 아바타를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는 단계; 및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가상 강의실에 입장된 상기 제2 아바타를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ain virtual classroom and first to Nth sub-virtual classroom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Preparing virtual classroom object attribute data to create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generating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based on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attribute data; preparing avatar attribute data for a first avatar of a first user with first authority and a second avatar of a second user with second authority; associating the first avatar and the second avatar created based on the avatar attribute data with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and moving the second avatar, which has entered one virtual classroom included in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to another virtual classroom.

그리고,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아바타의 이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저의 상기 제1 권한이 상기 제2 아바타에 대한 이동 권한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아바타를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moving step includes receiving a movement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avatar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authority of the first user includes movement authority for the second avatar; and moving the second avatar to the other virtual classroom.

그리고,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아바타의 이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저의 상기 제2 권한이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에 대한 입장 권한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아바타를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moving step includes receiving a movement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avatar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second user;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permission of the second user includes permission to enter the other virtual classroom; and moving the second avatar to the other virtual classroom.

또한, 상기 메인 가상 강의실과, 상기 제1 내지 제N 서브 가상 강의실(N은 2이상의 자연수)은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 소속 캠퍼스, 소속 건물, 강의과목, 강사, 강의시간, 강의지역, 국가, 사용언어, 유저 연령 및 유저 소속 중 적어도 하나의 공통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virtual classroom and the first to Nth sub-virtual classroom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include affiliated campus, affiliated building, lecture subject, instructor, lecture time, lecture area, country, and language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 may include at least one common attribute among user age and user affiliation.

그리고, 상기 연관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유저의 로그인시, 상기 제1 아바타 및 제2 아바타를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의 상기 메인 가상 강의실에 연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ssociating step may associate the first avatar and the second avatar with the main virtual classroom of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when the first and second users log in.

또한, 상기 아바타 속성 데이터는 수강 강의 속성을 포함하고, 상기 연관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유저의 로그인시, 상기 제2 아바타의 수강 강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아바타를 상기 제1 내지 제N 서브 가상 강의실 중 어느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연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vatar attribute data includes lecture attributes, and the associating step includes, when the second user logs in, linking the second avatar to the first to first avatars based on the lecture attributes of the second avatar. It can be associated with any one of the N sub virtual classrooms.

그리고,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에 포함된 아바타의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아바타의 개수가 기설정된 수용 인원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제2 아바타를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moving step includes determining the number of avatars included in the other virtual classroom; and moving the second avatar to the other virtual classroom only when the number of avatars is less than a preset capacity.

또한, 상기 서브 가상 강의실은, 상기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 및 상기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음성, 화상, 채팅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유저간 커뮤니케이션을 허용하는 가상 공간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sub-virtual classroom may be a virtual space that allows communication between users through at least one of voice, video, and chat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그리고, 상기 메인 가상 강의실은 상기 제1 아바타 및 제2 아바타 모두에 엑세스가 허용된 하나 이상의 강의 자료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ain virtual classroom may include one or more lecture material objects to which both the first avatar and the second avatar are permitted to access.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장치는,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저장부,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 및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저장부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Virtual Tutorial World) 내에, 메인 가상 강의실 및 제1 내지 제N 서브 가상 강의실(N은 2이상의 자연수)을 포함하는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및 제1 권한을 갖는 제1 유저(user)의 제1 아바타(avatar) 및 제2 권한을 갖는 제2 유저의 제2 아바타에 대한 아바타 속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는,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아바타 및 제2 아바타를 생성하며, 상기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는, 상기 제1 아바타 및 제2 아바타를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고, 상기 제1 유저 및 제2 유저 중 적어도 하나의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가상 강의실에 입장된 상기 제2 아바타를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킨다.Meanwhile,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object attribute data storage unit, a virtual object creation unit, and an avatar/object relationship processing unit, and the object attribute data The storage unit includes virtual classroom object attribute data for creat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including the main virtual classroom and the first to Nth sub-virtual classroom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nd stores avatar attribute data for a first avatar of a first user with first authority and a second avatar of a second user with second authority, and the virtual object creation unit stores the virtual classroom. Based on the object attribute data,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is generated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nd the first avatar and the second avatar are generated based on the avatar attribute data, and the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Associating the first avatar and the second avatar with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and based on interac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any one included in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The second avatar entered into the virtual classroom is moved to another virtual classroom.

또한, 상기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는, 상기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아바타의 이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유저의 상기 제1 권한이 상기 제2 아바타에 대한 이동 권한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한 뒤, 상기 제2 아바타를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receives a movement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avatar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and determines the first authority of the first user for the second avatar. After determining whether movement rights are included, the second avatar can be moved to the other virtual classroom.

그리고, 상기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는, 상기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아바타의 이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유저의 상기 제2 권한이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에 대한 입장 권한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한 뒤, 상기 제2 아바타를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킬 수 있다.And, the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receives a movement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avatar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second user, and the second authority of the second user is granted to the other virtual classroom.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avatar has permission to enter, the second avatar can be moved to the other virtual classroom.

또한, 상기 메인 가상 강의실과, 상기 제1 내지 제N 서브 가상 강의실(N은 2이상의 자연수)은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 소속 캠퍼스, 소속 건물, 강의과목, 강사, 강의시간, 강의지역, 국가, 사용언어, 유저 연령 및 유저 소속 중 적어도 하나의 공통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virtual classroom and the first to Nth sub-virtual classroom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include affiliated campus, affiliated building, lecture subject, instructor, lecture time, lecture area, country, and language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 may include at least one common attribute among user age and user affiliation.

그리고, 상기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유저의 로그인시, 상기 제1 아바타 및 제2 아바타를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의 상기 메인 가상 강의실에 연관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may associate the first avatar and the second avatar with the main virtual classroom of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when the first and second users log in.

또한, 상기 아바타 속성 데이터는 수강 강의 속성을 포함하고, 상기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는, 상기 제2 유저의 로그인시, 상기 제2 아바타의 수강 강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아바타를 상기 제1 내지 제N 서브 가상 강의실 중 어느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연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vatar attribute data includes lecture attributes, and the avatar/object relationship processing unit, when the second user logs in, matches the second avatar to the first avatar based on the lecture attributes of the second avatar. It can be associated with any one of the 1st to Nth sub virtual classrooms.

그리고, 상기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는,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에 포함된 아바타의 개수를 판단한 뒤, 상기 아바타의 개수가 기설정된 수용 인원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제2 아바타를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n, the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e number of avatars included in the other virtual classroom, and then assigns the second avatar to the other virtual classroom only if the number of avatars is less than the preset capacity. It can be moved to .

또한, 상기 서브 가상 강의실은, 상기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 및 상기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음성, 화상, 채팅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유저간 커뮤니케이션을 허용하는 가상 공간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sub-virtual classroom may be a virtual space that allows communication between users through at least one of voice, video, and chat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그리고, 상기 메인 가상 강의실은 상기 제1 아바타 및 제2 아바타 모두에 엑세스가 허용된 하나 이상의 강의 자료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ain virtual classroom may include one or more lecture material objects to which both the first avatar and the second avatar are permitted to access.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메인 가상 강의실과 서브 가상 강의실로 이루어진 그룹형 가상 강의실에 대한 아바타 입장, 그룹형 가상 강의실에서의 이동 및 소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vatar entry into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consisting of a main virtual classroom and a sub-virtual classroom, movement and summoning in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are facilitated. can d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이 실행되는 네트워크 환경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이 실행되는 클라우드 환경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계정 정책을 정의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 각종 공간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요소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의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의 커스터마이징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강의실의 커스터마이징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의 아바타 및 마이룸의 속성 데이터 계층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의 아바타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가상 강의가 활성화되는 방식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이루어지는 가상 강의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의 수업용 오브젝트 생성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그룹형 가상 강의실의 공통 속성을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그룹형 가상 강의실에 대한 입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그룹형 가상 강의실의 개념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이동 방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이동 방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이동 방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a method for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loud environment in which a method for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Figure 3 defines the account policy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customizing elements for various spaces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reation process of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method for customizing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customizing a virtual class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the attribute data hierarchy of the avatar and my room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shows the process of setting and managing an avatar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shows an example of how a virtual lecture is activated with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shows an example of a virtual lecture screen held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reating a class object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shows common properties of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nter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oving an avata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oving an avata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oving an avata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이하의 설명에서 오브젝트(object)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존재하는 주체(아바타 등), 객체(책상, 의자, 칠판 등), 환경(월드, 캠퍼스, 공간, 강의실, 각종 공간 등) 등을 포괄적으로 아우르는 의미로 해석된다. 오브젝트는 렌더링된 이미지를 갖는 물체뿐만 아니라 레이아웃 등의 추상적인 대상까지 포함한다. 또한, 오브젝트는 복수의 하위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는 가상 강의실에 배치되는 각종 가구, 강의 도구 등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강의/수강 내용 자체가 새로운 오브젝트로 창출될 수 있으며, 해당 오브젝트는 강의/수강 내용(화상 강의 내용, 질의/응답, 강의자료, 채팅 등)을 강의 오브젝트로써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유저가 즐길 수 있는 각종 게임과 아이템(무기, 도구 등)도 오브젝트에 해당하며, 마이룸에 포함되는 각종 인테리어 도구, 펫(pet) 등도 오브젝트에 해당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bject comprehensively encompasses subjects (avatars, etc.), objects (desks, chairs, blackboards, etc.), and environments (world, campus, spaces, classrooms, various spaces, etc.) that exist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interpreted as meaning. Objects include not only objects with rendered images but also abstract objects such as layouts. Additionally, an object may include multiple sub-objects. That is,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may include objects such as various furniture and lecture tools placed in the virtual classroom. In addition, the lecture/course content itself can be created as a new object, and the object includes the lecture/course content (video lecture content, questions/answers, lecture materials, chat, etc.) as a lecture object. In addition, various games and items (weapons, tools, etc.) that users can enjoy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lso correspond to objects, and various interior tools and pets included in My Room can also correspond to objec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이 실행되는 네트워크 환경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환경에 포함될 수 있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a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he device for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the network environment shown in FIG.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유저가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생성에 관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유저는, 교육 컨텐츠 제공자(provider)와 교육 컨텐츠 수혜자(beneficiary)로 구분될 수 있다. 교육 컨텐츠 제공자는 각종 교육기관(대학교, 학교, 학원 등), 교육자(선생님, 교수, 전문강사, 프리랜서 강사, 원어민 강사 등) 등일 수 있고, 교육 컨텐츠 수혜자는 학생, 학부모 등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 one or more users may be involved in creating virtual classroom objects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One or more users may be divided into an education content provider and an education content beneficiary. Educational content providers may be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universities, schools, academies, etc.) and educators (teachers, professors, professional instructors, freelance instructors, native speaker instructors, etc.), and beneficiaries of educational content may be students, parents, etc.

하나 이상의 유저는 각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 인터랙션(interaction)할 수 있다. 인터랙션은 유저의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 행위, 입력 행위, 유저에 대한 각종 디바이스의 출력 행위, 표시 행위, 서버(장치)의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신호 송수신,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서버(장치)의 신호 송수신 등,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아바타를 통해 수행되는 모든 활동의 기초가 된다. One or more users can interact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using various devices. Interactions include the user's manipulation actions on various devices, input actions, output actions of various devices toward the user, display actions,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erver (device) to various devices, and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erver (device) to various devices, etc. , which becomes the basis for all activities performed through an avatar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여기서, 각종 디바이스는 PC(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Laptop computer), 스마트폰(Smartphone),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스마트안경(Smart Glass), 각종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전자북 리더(E-book Reader), 키오스크(Kiosk), 통신기능을 구비한 각종 가전기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 미러(Smart Mirro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스마트 TV, 홈 오토메이션 컨트롤 패널, 게임 콘솔(Game Console), 셋톱 박스(Set-top Box), 프로젝터(projector)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 various devices include personal computers (PCs), tablet PCs, laptops, smartphones, mobile phones, video phones, smart glasses, and various wearable devices. (Wearable Device), E-book Reader, Kiosk, various home appliances with communication functions, Navigation, Smart Mirror, Workstation, PDA (Personal Device)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smart TV, 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game console, set-top box, projector, etc. .

특히,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인터랙션을 위한 디바이스는 메타버스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이는 VR(Virtual Reality) 기어, AR(Augmented Reality) 기어, MR(Mixed Reality) 기어 및 XR(eXtended Reality)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메타버스 기어는, HMD(Head-Mounted Display), 포스 피드백 기어, VR/AR 슈트, VR/AR 외골격(skeleton) 장치, VIST(visual-inertial skeleton tracking) 장치, HMI(Human-Machine interface), BMI(Brain-Machine Interface), 모션 컨트롤러, VR 리스트 밴드(wrist band) 등일 수 있다.In particular, devices for interaction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may be metaverse devices, which may include VR (Virtual Reality) gear, AR (Augmented Reality) gear, MR (Mixed Reality) gear, and XR (eXtended Reality) gear. You can. The above-mentioned metaverse gear includes HMD (Head-Mounted Display), force feedback gear, VR/AR suit, VR/AR exoskeleton device, VIST (visual-inertial skeleton tracking) device, and HMI (Human-Machine interface). , BMI (Brain-Machine Interface), motion controller, VR wrist band, etc.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장치는 가상 월드에서의 가상 오브젝트 생성 플랫폼, 강의 컨텐츠 플랫폼, 교육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측 서버, 로컬 컴퓨팅 시스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device for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virtual object creation platform in the virtual world, a lecture content platform, a service provider side server that provides an education service platform, a local computing system, etc. It is not limited to this.

서비스 제공자측 서버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임의의 펌웨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는 프로그램 명령을 판독, 실행 및 기록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회로, 다양한 형태의 IC(Integrated Circuit), 스테이트 머신(state machin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ervice provider-side server may be implemented with any firmware, hardware, software, circuitry,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ecuting the method of providing a group virtual classroom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nd the hardware reads, executes, and records program instructions. It may include a processor. Processors include general-purpose processor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ne or more microprocessors associated with a DSP core,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various other types of circuits. It may be implemented with an integrated circuit (IC), a state machine, etc., but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하드웨어는 프로세서로부터 입출력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입출력 인터페이스(I/O interface),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드를 통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싱 통신을 관리하는 통신 네트워크(communication network),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Nand Flash Memory, 이동식 메모리, 메모리 스틱, SD(secure digital) 메모리,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등의 메모리와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rdware includes an input/output interface (I/O interface) configured to receive input/output requests from the processor,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manages network interfacing communication through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modes, and a ROM (Read-Only Memory). ,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Nand Flash Memory, removable memory, memory stick, SD (secure digital) memory,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etc. You ca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이 실행되는 클라우드 환경의 개념도이다. 클라우드 환경에는 하나 이상의 로컬 서버들이 포함될 수 있고, 해당 로컬 서버는 다시 하위 서버와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유저와 인터랙션할 수 있다. 클라우드 환경을 이용함으로써 전세계 어디에서든 본 발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loud environment in which a method for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 cloud environment may include one or more local servers, and the local server may be connected to a lower level server and interact with one or more users. By using a cloud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nywhere in the world.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는 계정 시스템, 권한 관리 시스템, 캐릭터 시스템, 장비 시스템, 성장 시스템, 월드 관리 시스템, 커리큘럼 시스템, 수업 관리 시스템, 결제 시스템, 사용자 수업 참여 시스템, 교사 수업 진행 시스템, 월드 홍보 및 참관 시스템, 상담 시스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학생 수업 복습 시스템, 과제 부여·수행 시스템, 학부모·학생 관리 시스템, 월드내 인력 관리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나의 서버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복수의 서버에 분산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count system, authori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 system, equipment system, growth system, world management system, curriculum system, class management system, payment system, user class participation system, teacher class progress system, and world promotion. and observation system, counseling system, communication system, student class review system, assignment/performance system, parent/student management system, world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etc., some or all of which may be included in one server. It may also be distributed and included in multiple server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계정 정책을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는 다양한 계정이 수직적인 혹은 수평적인 계층 구조를 이룬다. Figure 3 defines the account policy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accounts form a vertical or horizontal hierarchy.

제1 계층(10.1)에 해당하는 관리자 계정(11)은 시스템 관리자가 사용하는 계정으로, 슈퍼 관리자, 관리자, CS 관리자, 월드 관리자 등으로 구분되고, 각 계정에 대한 정책을 정의한다. 슈퍼 관리자 계정과 관리자 계정은 이력 관리(수정, 회원 목록 정의 등), 내부 업무 프로세스 진행 관리, 회원 정보 관리, 수업이 진행되는 가상 강의실의 점검 및 관리(고스트 기능) 등에 대한 권한을 가질 수 있다. CS 관리자는 유저의 문의 대응을 위하여, 회원 정보 검색, 회원 이력 정보 검색, 결제 확인 등의 다양한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월드 관리자는 월드 관리, 브랜드 관리, 커리튤럼 관리, 강의 관리, 커뮤니티 관리, 수업 참관 고스트 권한과 같은 기타 기능 관리 등에 대한 권한을 가질 수 있다.The administrator account 11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yer (10.1) is an account used by the system administrator and is divided into super administrator, administrator, CS administrator, world administrator, etc., and defines policies for each account. Super administrator accounts and administrator accounts can have the authority to manage history (edit, define member list, etc.), manage internal business processes, manage member information, and inspect and manage virtual classrooms where classes are held (ghost function). In order to respond to user inquiries, the CS administrator may have various rights such as searching member information, searching member history information, and confirming payment. World administrators can have authority over world management, brand management, curriculum management, course management, community management, and other function management such as class observation ghost privileges.

제2 계층(10.2)에 해당하는 강사(교사) 계정(12)은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의 가상 강의실에서 학생 유저에게 교육을 진행하는 유저에 대한 정책을 정의한다. 강사(교사) 계정(12)은 가상 강의실 개설, 강의에 대한 관리(학생 관리, 수업 관리, 커리큘럼 관리 등), 아이템 사용, 가상 강의실에 대한 커스터마이징(교실 디자인, 수업 구조, 수업 구성 등)에 대한 권한을 갖는다. 제2 계층(10.2)의 권한은 제1 계층(10.1)에 의하여 부여될 수 있다. The instructor (teacher) account 1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ayer (10.2) defines a policy for users who provide education to student users in a virtual classroom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The instructor (teacher) account (12) is responsible for creating a virtual classroom, managing lectures (student management, class management, curriculum management, etc.), using items, and customizing the virtual classroom (classroom design, class structure, class composition, etc.). have authority. The authority of the second layer (10.2) may be granted by the first layer (10.1).

제3 계층(10.3)은 학생 계정(13)으로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의 가상 강의실에서 교육을 받는 학생 유저에 대한 정책을 정의하고, 제4 계층(10.4)은 학부모 계정(14)으로 학생 유저의 학부모에 대한 정책을 정의한다. 제3 계층(10.3)과 제4 계층(10.4)은 병렬적 계층 구조를 취할 수 있으나, 서로 다른 권한을 가질 수 있다. 학생 계정(13)은 마이룸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및 관리, 수업 컨텐츠 업로드 및 다운로드, 아이템의 구입 및 사용 등에 대한 권한을 갖는다. 학부모 계정(14)은 학생 계정(13)과 연계되어 제1 계층(10.1) 또는 제2 계층(10.2)에서 생성된 공지사항 등에 대한 확인, 성적 확인 등에 대한 권한을 가질 수 있다.The third layer (10.3) defines the policy for student users receiving education in a virtual classroom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with a student account (13), and the fourth layer (10.4) defines the policy for student users' parents with a parent account (14). Define policies for The third layer (10.3) and the fourth layer (10.4) may have a parallel hierarchical structure, but may have different authorities. The student account (13) has the authority to customize and manage My Room, upload and download class content, and purchase and use items. The parent account 14 is linked to the student account 13 and can have the authority to check announcements created in the first layer (10.1) or the second layer (10.2), check grades, etc.

도 3에 도시된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계정 정책은 어디까지나 실시예에 불과하고, 각 계정에 대한 정책 및 권한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및 설정될 수 있다.The account policy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shown in FIG. 3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olicy and permissions for each account can be changed and set in various way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다. 도 4에서는 1개의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계층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의 가상 튜토리얼 월드가 설정되거나, 유저의 요청에 의하여 개설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가상 튜토리얼 월드는 동일한 계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복수의 가상 튜토리얼 월드 사이에 적절한 수준의 계층 구조가 설정되어도 무방하다.Figure 4 shows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FIG. 4 shows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one virtual tutorial world, multiple virtual tutorial worlds may be set or opened upon user request, and the multiple virtual tutorial worlds may have the same hierarchical structure. However, if necessary, an appropriate level of hierarchy may be established between multiple virtual tutorial worlds.

모든 가상 튜토리얼 월드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상 튜토리얼 월드는 다양한 템플릿(template)으로 고정될 수 있지만, 유저가 다양한 방식으로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All virtual tutorial worlds may have essentially the same size, but are not limited to this. The virtual tutorial world can be fixed with various templates, but users can customize it in various ways.

가상 튜토리얼 월드는 하나 이상의 캠퍼스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캠퍼스는 하나 이상의 건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건물은 하나 이상의 가상 강의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virtual tutorial world may contain one or more campuses, each campus may contain one or more buildings, and each building may contain one or more virtual classrooms.

가상 튜토리얼 월드, 캠퍼스 및 가상 강의실은 월드 내 소정 권한을 갖는 계정에 의하여 네이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설교육기관 유저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를 개설하면서, 해당 사설교육기관의 브랜드명, 지점명 등을 가상 튜토리얼 월드명으로 수정할 수 있고, 과목에 따라 각 가상 강의실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Virtual tutorial world, campus, and virtual classroom can be named by an account with certain authority within the world. For example, when a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 user opens a virtual tutorial world, he or she can modify the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brand name, branch name, etc. to the virtual tutorial world name, and change the name of each virtual classroom according to the subject.

유저가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 접속하면,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해당 유저에 대응하는 아바타가 표시되고, 유저는 각종 디바이스를 조작하여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아바타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PC에 연결된 키보드를 통한 입력,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조작, VR 기어에 의한 조작 등을 통해 아바타가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활동할 수 있다. 유저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아바타를 움직여 소정 캠퍼스로, 소정 건물로, 소정 강의실로 입장할 수 있다. 다만, 해당 단계를 거치지 않고, 다이렉트로 소정 캠퍼스, 소정 건물 또는 소정 강의실에 입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a user accesses the virtual tutorial world, an avatar corresponding to the user is displayed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nd the user operates various devices to move the avatar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For example, the avatar can be active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through input through a keyboard connected to a PC, touch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or operation using VR gear. Users can move their avatar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to enter a given campus, a certain building, or a certain classroom.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enter a given campus, a certain building, or a certain classroom without go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steps.

유저는 다양한 방식으로 가상 튜토리얼 월드, 캠퍼스, 건물, 강의실 및 기타 공간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도 5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 각종 공간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요소를 도시한다. Users can customize the virtual tutorial world, campus, buildings, classrooms, and other spaces in a variety of ways. Figure 5 shows customizing elements for various spaces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상 튜토리얼 월드는 제1 계층(20.1)의 월드, 제2 계층(20.2)의 캠퍼스(22), 제3 계층(20.3), 제4 계층(20.4)의 강의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계층 구조를 갖거나, 갖지 않는 제5 계층(20.5)의 기타 공간(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irtual tutorial worl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world of the first layer (20.1), the campus 22 of the second layer (20.2), the third layer (20.3), and the classroom of the fourth layer (20.4). You can.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spaces 25 of the fifth layer 20.5 that may or may not have a hierarchical structure.

가상 튜토리얼 월드, 캠퍼스, 건물, 강의실 및 기타 공간은 2D 혹은 3D 이미지로 렌더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3D 디스플레이, HMD 등을 통해 양안시차에 의한 깊이감을 갖는 입체 영상을 구현하도록 모델링 및 렌더링될 수도 있다. 나아가, 가상 튜토리얼 월드, 캠퍼스, 건물, 강의실 및 기타 공간은 홀로그램으로 구현되도록 모델링될 수도 있다. 따라서, 3D 모델링을 위한 모델링 데이터가 준비될 수 있고, 3D 모델링 데이터는 모델이 인스톨되는 추상화된 표면(surface), 레이어의 깊이(layer depth), 로테이션 오프셋(ratation offset), 높이 오프셋(height offset), 지향 방향(facing direction), 수평 차수(horizontal order), 수직 차수(vertical ord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 및 이에 포함되는 캠퍼스, 건물, 강의실 및 기타 공간의 3D 모델링뿐만 아니라, 유저의 아바타 3D 모델링에 이용될 수도 있다. Virtual tutorial worlds, campuses, buildings, classrooms and other spaces can be rendered as 2D or 3D images. In addition, it can be modeled and rendered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image with a sense of depth due to binocular disparity through a 3D display, HMD, etc. Furthermore, virtual tutorial worlds, campuses, buildings, classrooms, and other spaces may be modeled to be implemented as holograms. Therefore, modeling data for 3D modeling can be prepared, and the 3D modeling data includes the abstracted surface on which the model is installed, layer depth, rotation offset, and height offset. , facing direction, horizontal order, vertical order,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is can be used for 3D modeling of the virtual tutorial world and the campus, buildings, classrooms, and other spaces included therein, as well as 3D modeling of the user's avatar.

본 발명은 가상 튜토리얼 월드를 구성하는 각 공간을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한 다양한 속성을 준비한다. 다양한 속성은 각 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레이아웃, 각 공간의 위치, 경계, 구조, 색상, 텍스처, 템플릿 등을 포함한다. 유저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템플릿을 선택함으로써 각 공간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도 있고, 개별적으로 위치, 색상, 디자인 등을 선택, 수정하는 방식으로 각 공간을 커스터마이징할 수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s various properties for customizing each space that makes up the virtual tutorial world. Various properties include the layout for configuring each space, the location of each space, border, structure, color, texture, template, etc. Users can customize each space by selecting various template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can also customize each space by individually selecting and modifying location, color, design, etc.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의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유저(U)는 각종 디바이스(D)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가상 튜토리얼 월드 관리부(141)는 입력된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권한을 판단하며, 권한이 인정되면 가상 튜토리얼 월드를 생성한다. 유저는 서버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템플릿의 가상 튜토리얼 월드를 선택할 수 있고, 원하는 디자인으로 가상 튜토리얼 월드를 설계할 수 있다. 유저 입력이 완료되면, 생성된 가상 튜토리얼 월드를 저장부(170)에 기록한다.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reation process of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U) can access the server using various devices (D), and the virtual tutorial world management unit 141 determines the user authority based on the input user information, and creates a virtual tutorial world when the authority is approved. . Users can select a virtual tutorial world from various templates provided by the server and design the virtual tutorial world with the desired design. Once the user input is completed, the created virtual tutorial world is recorded in the storage unit 170.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의 커스터마이징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유저(U)는 각종 디바이스(D)에 표시된 이미지를 확인하면서 가상 튜토리얼 월드를 꾸밀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각종 건물을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HMD(Head-mounted Display)에 표시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의 이미지를 보면서, VR 기어를 조작하여 각종 건물을 배치하거나, 월드 및 건물에 대한 템플릿을 선택하거나, 그의 색상, 디자인, 위치를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7 and 8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method for customizing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s (U) can create a virtual tutorial world while checking images displayed on various devices (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various buildings can be placed by drag and drop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 another embodiment, while viewing an image of a virtual tutorial world displayed on a head-mounted display (HMD), the VR gear can be manipulated to place various buildings, select templates for the world and buildings, or change their color, design, and location. You will be able to edit .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U)는, 디바이스(D)를 이용하여 월드 디자인, 건물 관리, 건물 생성과 관련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I/O 인터페이스(120)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각 속성(이름, 소속, 위치, 과목, 개설자 등)을 저장부(17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유저(U)는 디바이스(D)를 이용하여 월드 확장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I/O 인터페이스(120)는 월드 확장 요청 신호를 가상 튜토리얼 월드 관리부(141)에 전달하며, 가상 튜토리얼 월드 관리부(141)는 유저의 권한을 판단하여, 새로운 가상 튜토리얼 월드를 생성하여 저장부(170)에 기록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8, the user (U) uses the device (D) to generate input signals related to world design, building management, and building creation, and the I/O interface 120 responds to the input signals. Based on this, each attribute (name, affiliation, location, subject, creator, etc.)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In addition, the user (U) generates a world expansion request signal using the device (D), and the I/O interface 120 transmits the world expansion request signal to the virtual tutorial world management unit 141. 141 may determine the user's authority, create a new virtual tutorial world, and record it in the storage unit 170.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강의실의 커스터마이징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유저(U)는 가상 강의실 내의 인테리어 디자인, 가구 배치, 구조 등을 꾸밀 수 있으며, 서버는 가상 강의실의 커스터마이징과 관련한 다양한 템플릿을 저장할 수 있고, 유저(U)는 가상 강의와 관련된 각종 오브젝트를 가상 강의실 내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업 스케줄 관련 오브젝트, 학생 관리 오브젝트, 커리큘럼 관리 오브젝트 등을 가상 강의실 내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유저(U)는 해당 디바이스(D) 와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터치하여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customizing a virtual class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U) can decorate the interior design, furniture arrangement, and structure within the virtual classroom. The server can store various templates related to customizing the virtual classroom, and the user (U) can store various objects related to virtual lectures in the virtual classroom. I can place it in an appropriate location. For example, class schedule-related objects, student management objects, curriculum management objects, etc. can be placed in appropriate locations in the virtual classroom, and the user (U) can check related content by touching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device (D). You can.

이때, 가상 강의실에 배치된 각종 오브젝트는, 가상 강의실에 입장한 아바타(avatar)에 의하여 발생한 트리거 이벤트에 의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트리거 이벤트는 오브젝트와 아바타 사이의 거리 조건, 아바타에 의한 제스처 조건,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조건, 아바타의 위치 조건, 아바타에 의한 메뉴 선택 조건, 아바타에 의한 텍스트 생성 조건, 아바타에 의한 보이스 생성 조건, 아바타에 의한 미션 수행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 충족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At this time, various objects placed in the virtual classroom may be activated by a trigger event generated by an avatar entering the virtual classroom. At this time, the trigger event is the distance condition between the object and the avatar, the gesture condition by the avatar, the touch condition for the object, the avatar's position condition, the menu selection condition by the avatar, the text creation condition by the avatar, and the voice creation condition by the avatar. , This can occur when any one of the mission performance conditions by the avatar is met.

구체적으로,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강사 유저(U)가 수업 시간표와 관련된 오브젝트를 가상 강의실 내 기둥벽에 배치시킨 경우, 학생 유저(U)의 아바타가 기둥벽에 접촉하면 수업 시간표를 학생 유저(U)의 디바이스(D)에 표시시킬 수 있다. 혹은, 학생 유저(U)의 아바타가 "수업 시간표"라는 텍스트 말풍선을 생성하면 수업 시간표를 학생 유저(U)의 디바이스(D)에 표시시킬 수 있다. 오브젝트의 활성화는 아바타에 대한 다양한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느 특정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ally, referring again to FIG. 9, when the instructor user (U) places an object related to the class schedule on the pillar wall in the virtual classroom, when the student user's (U) avatar contacts the pillar wall, the class schedule is transferred to the student user. It can be displayed on the device (D) of (U). Alternatively, if the student user's (U) avatar creates a text bubble saying "class schedule", the class schedule can be displayed on the student user's (U) device (D). Activating an object can be accomplished through various manipulations of the avatar, and is not limited to any specific method.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의 아바타 및 마이룸의 속성 데이터 계층을 도시한다. Figure 10 shows the attribute data hierarchy of the avatar and my room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바타 속성 데이터는 제1 계층(30.1)의 아바타 유형(31), 제2 계층(30.2)의 아바타 외모(32), 제3 계층(30.3)의 아바타 의상/신발(33), 제4 계층(30.4)의 아바타 액세서리(34), 제5 계층(30.5)의 아바타 아이템(35)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룸 속성 데이터는 제1 계층(30.6)의 마이룸 유형(36), 제2 계층(30.7)의 마이룸 아이템(3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아바타 및 마이룸의 속성 데이터 계층은 어디까지나 실시예에 불과하고, 이와 다른 속성 데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vatar attribute data includes avatar type (31) in the first layer (30.1), avatar appearance (32) in the second layer (30.2), avatar clothes/shoes (33) in the third layer (30.3), and avatar clothing/shoes (33) in the fourth layer (30.4). ) of the avatar accessory 34, and the avatar item 35 of the fifth layer (30.5). My Room attribute data may include the My Room type 36 of the first layer (30.6) and the My Room item 37 of the second layer (30.7). The attribute data layers of the avatar and my room shown in FIG. 10 are merely examples, and of course may be composed of other attribute data.

제1 계층(30.1)의 아바타 유형(31)은 유저(U)의 계층과 관련한 것으로, 교사, 학생, 학부모 등으로 렌더링된 이미지를 포함한다. 제2 계층(30.2)의 아바타 외모(32)는 아바타의 성별(남/여)을 비롯하여, 얼굴, 피부, 눈, 코, 입, 헤어, 체형, 표정, 자세 등에 대한 렌더링 이미지를 포함한다. 제3 계층(30.3)의 아바타 의상/신발(33)은 아바타에 착용 가능한 상의, 하의, 양말, 신발, 모자 등의 렌더링 이미지를 포함한다. 제4 계층(30.4)의 아바타 액세서리(34)는 가방, 안경, 목걸이, 귀걸이, 반지, 스카프 등의 렌더링 이미지를 포함한다. 제5 계층(30.5)의 아바타 아이템(35)은 강의도구, 인게임 아이템, 애플리케이션 아이템 등을 포함한다.The avatar type 31 of the first layer 30.1 is related to the class of the user U and includes images rendered as teachers, students, parents, etc. The avatar appearance 32 of the second layer 30.2 includes rendered images of the avatar's gender (male/female), face, skin, eyes, nose, mouth, hair, body type, expression, posture, etc. The avatar clothes/shoes 33 of the third layer 30.3 include rendered images of tops, bottoms, socks, shoes, hats, etc. that can be worn on the avatar. The avatar accessories 34 of the fourth layer 30.4 include rendered images of bags, glasses, necklaces, earrings, rings, scarves, etc. The avatar items 35 of the fifth layer 30.5 include lecture tools, in-game items, application items, etc.

한편, 제1 계층(30.6)의 마이룸 유형(36)은 유저(U)의 각종 정보를 저장, 표시하고 있는 공간인 마이룸의 기본적인 외형에 관한 것으로, 방, 교실, 도서관, 자연, 구조물, 거실 등의 렌더링 이미지를 포함한다. 제2 계층(30.7)의 마이룸 아이템(37)은 마이룸에 배치되는 책상, 의자, 책장, 조명, 침대, PC, 거울 등의 렌더링 이미지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My Room type (36) of the first layer (30.6) relates to the basic appearance of My Room, a space that stores and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of the user (U), including rooms, classrooms, libraries, nature, structures, etc. Includes rendered images of living rooms, etc. The My Room item 37 in the second layer (30.7) includes rendered images of desks, chairs, bookshelf, lighting, bed, PC, mirror, etc. placed in My Room.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의 아바타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서버(S)는 아바타 속성/템플릿을 제공한다. 유저(U)는 디바이스(D)를 조작하여 아바타 속성 데이터의 계층별 속성을 선택한다. 아바타 관리부(143)는 유저(U)에 의하여 설정된 아바타를 상기 유저(U)와 연관시켜 저장부(170)에 저장한다. 다시, 서버(S)는 마이룸 속성/템플릿을 제공한다. 유저(U)는 디바이스(D)를 조작하여 마이룸 속성 데이터의 계층별 속성을 선택한다. 마이룸 관리부(145)는 유저(U)에 의하여 설정된 마이룸을 상기 유저(U)와 연관시켜 저장부(170)에 저장한다.Figure 11 shows the process of setting and managing an avatar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S) provides avatar properties/templates. The user (U) operates the device (D) to select attributes for each layer of avatar attribute data. The avatar management unit 143 stores the avatar set by the user (U) in the storage unit 170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U). Again, the server (S) provides My Room properties/templates. The user (U) operates the device (D) to select attributes for each layer of My Room attribute data. The My Room management unit 145 stores the My Room set by the user (U) in the storage unit 170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U).

유저(U)의 아바타 및 마이룸이 설정되면, 유저(U)에 접속에 의하여 해당 아바타가 마이룸에 표시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는, 마이룸이 아닌 가상 튜토리얼 월드, 캠퍼스, 건물, 강의실 중 어느 하나에 다이렉트로 입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저(U)는 보유하고 있는 각종 아이템, 도구 등을 마이룸에 배치시킬 수 있고, 강의를 하거나 들을 때 해당 아이템,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Once the user (U)'s avatar and My Room are set, the avatar is displayed in My Room when the user (U) connects. Of course, in another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enter any one of the virtual tutorial world, campus, building, and classroom rather than My Room. Users (U) can place various items and tools they own in My Room and use the items and tools when giving or listening to lectures.

유저의 아바타는 애니메이션화된 2D 혹은 3D 이미지를 이용해 생성할 수도 있지만, 유저의 실제 모습을 3D 이미지로 렌더링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저의 실공간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획득된 유저의 스틸 이미지 혹은 동영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역기구화(inverse kinematics) 및 모션 트래킹(motion tracking)을 이용해 전방향 렌더링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유저의 모습과 흡사한 아바타를 생성할 수도 있다. The user's avatar can be created using an animated 2D or 3D image, but it can also be created by rendering the user's actual appearance as a 3D image. For example, based on the user's still image or video image acquired through the user's real-space image sensor (not shown), omnidirectional rendering is performed using inverse kinematics and motion tracking. You can also create an avatar that resembles the actual user.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가상 강의가 활성화되는 방식의 일례를 도시한다. 각 유저(U)는 각종 디바이스를 통하여 인터랙션하며, 각 유저(U)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각 아바타가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된다.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유저(U)의 조작에 의하여, 아바타는 가상 강의실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고 타 아바타들과 소통할 수 있다. Figure 12 shows an example of how a virtual lecture is activated with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user (U) interacts through various devices, and each avatar is associated with a virtual classroom object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each user (U). By the user's (U) manipulation of various devices, the avatar can freely move within the virtual classroom and communicate with other avatars.

각 가상 강의실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드(grid) 형태로 영역화되고, 서버는 좌표를 통해 각 아바타의 현재 위치 및 이동을 파악할 수 있다. 가상 강의실 내에서의 가상 강의는 다양한 방식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그리드 상의 강사 책상 배치 좌표에 강사 아바타가 위치(혹은 근접)하고, 학생 책상 배치 좌표에 학생 아바타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혹은 근접)하는 경우, 가상 강의가 개시되는 것을 도시한다. 이는 어디까지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특정 시간이 되면 바로 가상 강의가 활성화되거나, 혹은 가상 강의의 요청이 있는 경우 가상 강의가 활성화되는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Each virtual classroom is divided into a grid format as shown in FIG. 12, and the server can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and movement of each avatar through coordinates. Virtual lectures within a virtual classroom can be activated in a variety of ways. FIG. 12 shows that a virtual lecture starts when an instructor avatar is located (or close to) the instructor desk arrangement coordinates on the grid and at least one of the student avatars is located (or close to) the student desk arrangement coordinates. This is just one embodiment, and in other embodiments, various methods may be used, such as activating the virtual lecture immediately at a specific time, or activating the virtual lecture when a request for a virtual lecture is made.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이루어지는 가상 강의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강사(교사) 유저의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화면의 레이아웃을 도시한다.Figure 13 shows an example of a virtual lecture screen held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ure 13 shows the layout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instructor (teacher) user's device.

가상 강의가 실행되면, 다시 말해,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가 활성화되면, 도 12에 도시된 화면에서 도 13에 도시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가상 강의 내에서는 강사 유저 및 학생 유저의 실공간 모습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아바타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가상 강의실 내에서 강사 유저는 수업 자료, 커리큘럼 등을 공유하며 수업을 진행할 수 있고, 유저 사이에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강의용 화면은 다양한 레이아웃을 가질 수 있으며, 해당 레이아웃은 각 유저의 계정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When a virtual lecture is executed, that is, when a virtual classroom object is activated, the screen shown in FIG. 12 may be switched to the screen shown in FIG. 13. Within a virtual lecture, the real-time images of instructor users and student user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course, the avatar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Within the virtual classroom, instructor users can conduct classes by sharing class materials and curriculum, and two-way communication is possible between users. The lecture screen may have various layouts, and the layout may differ depending on each user's account.

강사 유저는 학생 유저 화면 보기, 학생 유저 정보 보기, 학생 유저 퇴장, 학생 유저 음성 소거 등의 권한을 가질 수 있다. 학생 유저는 가상 강의실 내에서 과제 제출, 테스트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학생 유저의 인터랙션을 통해 과제나 테스트 답안지가 제출되고, 강사 유저의 인터랙션을 통해 과제 점수나 테스트 결과가 학생 유저(또는 학부모 유저)에 전달될 수 있다. The instructor user can have the authority to view the student user screen, view student user information, leave the student user, and mute the student user's voice. Student users can submit assignments and perform tests within the virtual classroom. Assignments or test answer sheets are submitted through the student user's interaction, and assignment scores or test results are sent to the student user (or parent user) through the instructor user's interaction. ) can be passed on.

이때, 강사 유저는 가상 강의실 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수업용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의 수업용 오브젝트 생성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At this time, the instructor user can create various class objects for use within the virtual classroom. Figure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reating a class object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실공간에서 강사의 강의자료는 다양한 확장자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는 실공간에서 작성된 강의자료를 가상 강의실에서 이용할 수 있는 수업용 오브젝트로 변환한다. 실공간에서 작성된 강의자료는 문자로 이루어진 데이터(txt, cap, doc, hwp, rtf, pdf 등), 음성으로 이루어진 데이터(wav, mp3, ogg, aac, wma, mid 등), 그림 이미지로 이루어진 데이터(gif, jpg, png, bmp, tif 등),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데이터(mp4, avi, mpeg, wmv rm, mov, divx 등)의 형식을 취할 수 있다. 실공간 강의자료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업로드되고, 서버는 업로드된 실공간 강의자료를 그대로 혹은 적절한 형태로 변환하여 가상 강의실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f의 확장자를 가진 수업 계획서는 플랫폼 내 형식에 맞게 변환되고, 수업 계획서의 각 항목은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수업 편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예: 링크 부가, 가상 강의실 입장 버튼, 샘플 동영상 링크 등)되어 수업용 오브젝트로 생성된 뒤, 가상 강의실에 배치된다. 다른 예로, 강사 유저가 제작한 동영상 강의자료는 수업용 오브젝트로 생성되어, 강사 유저의 강의 아이템으로 저장(강사 유저의 마이룸에 저장 가능)되거나, 강사 유저들 사이에서 공유시킴으로써, 가상 강의실에서 해당 강의 아이템을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사용가능한 형태로 변환된 수업용 오브젝트는 가상 튜토리월 월드 고유의 저작물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가상 튜토리얼 월드는 강의 자료 저작물을 통한 고유의 IP를 창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의와 관련된 다양한 오브젝트를 통해 강의 내용으로의 접근이 가능하다. 또한, 강의를 구성하기 위한 도구, 참고자료의 리소스 등도 강의 오브젝트로 생성될 수 있다. In real space, an instructor's lecture materials can have various extensions.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cture materials created in real space are converted into teaching objects that can be used in a virtual classroom. Lecture materials created in real space consist of text data (txt, cap, doc, hwp, rtf, pdf, etc.), audio data (wav, mp3, ogg, aac, wma, mid, etc.), and graphic image data. It can take the form of (gif, jpg, png, bmp, tif, etc.) or video data (mp4, avi, mpeg, wmv rm, mov, divx, etc.). Real-space lecture materials are uploaded into the virtual tutorial world, and the server can convert the uploaded real-space lecture materials as is or into an appropriate form and place them in the virtual classroom. For example, a lesson plan with a pdf extension is converted to fit the format within the platform, and each item in the lesson plan is converted to use the lesson convenience features provided by the platform (e.g., adding a link, a virtual classroom entry button, and samples). video link, etc.) is created as a class object, and then placed in the virtual classroom. As another example, video lecture materials produced by the instructor user are created as class objects and saved as the instructor user's lecture item (can be saved in the instructor user's My Room), or shared among instructor users, so that they can be used in the virtual classroom. You can use lecture items at any time. In this way, class objects converted into a usable form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correspond to works unique to the virtual tutorial wall world. Through this, Virtual Tutorial World will be able to create its own IP through lecture material wor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ess lecture content through various objects related to the lecture. Additionally, tools for organizing lectures and resources for reference materials can also be created as lecture objects.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장치는 프로세서(110), I/O 인터페이스부(120), 통신부(130), 관리부(140),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150),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160), 저장부(170), NFT 민팅부(180)를 포함한다. Figure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5, the device for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110, an I/O interface unit 120, a communication unit 130, a management unit 140, and a virtual object. It includes a creation unit 150, an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160, a storage unit 170, and an NFT minting unit 180.

프로세서(110)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생성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processor 110 reads and executes programs stored in memory and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creation device.

I/O 인터페이스부(120)는 통신 링크를 사용하여 유저가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인터랙션할 수 있게 한다. 유저는 실공간에서 각종 디바이스(예: HMD를 포함하는 VR 기어 등)를 통해 입력 신호를 생성하며, I/O 인터페이스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해당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I/O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수신된 입력 신호에 의하여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아바타가 임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I/O interface unit 120 uses a communication link to allow users to interact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The user generates an input signal through various devices (e.g., VR gear including HMD, etc.) in real space, and the I/O interface unit 120 receives the corresponding input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The avatar can perform arbitrary actions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by the in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O interface unit 120.

통신부(130)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유저로부터 각종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유선 통신망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universal serial bus)등의 유선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망은 지웨이브(Z-wave),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e), LTE-M, 로라(LoRa, long Range),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망은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5G, 6G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has the function of receiving various signals from the user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using wired cables such as 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and USB (universal serial b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Z-wave, zigbee, wifi, Bluetooth (ble), LTE-M, LoRa (long range),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IoT), and infrared communication. It may includ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In additio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wireless LAN (Wireless LAN, WLAN), Wibro (Wireless Broadband, Wibro), Wifi (wireless fidelity),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or CDMA (code division). 2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multiple access), 3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r CDMA2000, 3.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or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4G, 5G, and 6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long term evolution) networks or LTE-Advanced networks.

관리부(140)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 관리부(141), 유저 계정 관리부(142), 아바타 관리부(143), 오브젝트 관리부(144), 마이룸 관리부(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하위 구성은 관리부(140)의 기능을 관리대상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하고, 반드시 하위 구성으로 구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가상 튜토리얼 월드 관리부(141)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의 생성, 기록, 갱신, 수정, 삭제 등을 관리한다. 유저 계정 관리부(142)는 도 2의 계정 정책에 따라 유저의 가입, 설정, 탈퇴 등을 관리한다. 아바타 관리부(143)는 계정에 대응하는 아바타의 설정, 변경, 삭제 등을 관리한다. 오브젝트 관리부(144)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포함된 각 오브젝트를 관리한다. 마이룸 관리부(145)는 각 유저에 계정에 대응하는 마이룸의 신설, 설정, 수정, 삭제 등을 관리한다.The management unit 140 may include a virtual tutorial world management unit 141, a user account management unit 142, an avatar management unit 143, an object management unit 144, and a my room management unit 145. Each sub-configuration merely divides the functions of the management unit 140 by management target, and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divided into sub-configurations. The virtual tutorial world management unit 141 manages the creation, recording, update, modification, deletion, etc. of the virtual tutorial world. The user account management unit 142 manages user registration, settings, withdrawal, etc. according to the account policy of FIG. 2. The avatar management unit 143 manages the setting, change, and deletion of the avatar corresponding to the account. The object management unit 144 manages each object included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The My Room management unit 145 manages the creation, setting, modification, and deletion of My Room corresponding to the account for each user.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150)는 가상 월드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등을 생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오브젝트 관리부(144)에 통합되어도 무방하다. The virtual object generator 150 creates various objects included in the virtual world. For example, create a virtual curriculum object, virtual lecture material object, virtual classroom object, new virtual classroom object, etc. In another embodiment, it may be integrated into the object management unit 144.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160)는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아바타를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킨다. 즉, 유저의 실공간 디바이스 조작에 의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유저의 계정에 대응되는 아바타를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내로 입장시킨다. The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160 associates the avatar with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user. That is, based on the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real-space device, the avatar corresponding to the user's account is entered into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저장부(170)는 유저 계정 저장부(171),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저장부(172), 가상 오브젝트 저장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저장 대상에 따라 저장부의 기능을 분류한 것에 불과하고, 단일의 통합 저장부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유저 계정 저장부(171)는 유저 계정 관리부(142)에서 관리되는 유저 계정을 저장하고,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저장부(172)는 아바타 관리부(143)에서 관리되는 아바타의 속성 데이터, 마이룸 관리부(145)에서 관리되는 마이룸의 속성 데이터, 오브젝트 관리부(144)에서 관리되는 각종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가상 오브젝트 저장부(173)는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각종 오브젝트, 커리큘럼 오브젝트,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또는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등 가상 환경 내 다양한 오브젝트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70 may include a user account storage unit 171, an object attribute data storage unit 172, and a virtual object storage unit 173. However, this is only a classific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storage object,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integrated storage unit. The user account storage unit 171 stores the user account managed in the user account management unit 142, and the object attribute data storage unit 172 stores avatar attribute data managed in the avatar management unit 143 and the My Room management unit 145. Stores the attribute data of My Room managed in ) and the attribute data of various objects managed in the object management unit 144. Additionally, the virtual object storage unit 173 stores various objects in the virtual environment, such as various objects created in the virtual object creation unit 150, curriculum objects, virtual lecture material objects, virtual classroom objects, or new virtual classroom objects.

NFT 민팅부(180)는 생성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또는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NFT(Non-Fungible Token)로 민팅(minting)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디지털 콘텐츠에 해당하는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또는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대체불가능한 고유 자산 정보를 부여해 가치를 창출한다.The NFT minting unit 180 has the function of minting the created virtual classroom object or new virtual classroom object with an NFT (Non-Fungible Token). In other words, value is created by giving non-replaceable unique asset information to virtual classroom objects or new virtual classroom objects corresponding to digital content using blockchain technology.

위에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각 기능별로 블록화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체 또는 일부의 구성이 단일 프로세서, 혹은, 단일 컨트롤러(controller)로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 위주로 구체적으로 설명을 이어가기로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for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divided into blocks for each function, but in other embodiments, all or part of the configuration is integrated into a single processor or a single controller. It could be.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device for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저장부(172)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Virtual Tutorial World) 내에, 메인 가상 강의실 및 제1 내지 제N 서브 가상 강의실(N은 2이상의 자연수)을 포함하는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object attribute data storage unit 172 is used to create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including the main virtual classroom and the first to Nth sub-virtual classroom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Stores virtual classroom object attribute data.

또한,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저장부(172)는 제1 권한을 갖는 제1 유저(user)의 제1 아바타(avatar)의 제1 아바타 속성 데이터 및 제2 권한을 갖는 제2 유저의 제2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아바타 속성 데이터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object attribute data storage unit 172 generates first avatar attribute data of a first avatar of a first user with first authority and a second avatar of a second user with second authority. Store the second avatar attribute data to do this.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150)는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저장부(172)에 저장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하나 이상의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한다.The virtual object creation unit 150 creates one or more virtual classroom objects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based on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attribute data stored in the object attribute data storage unit 172.

또한,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150)는 제1 및 제2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아바타를 생성한다.Additionally, the virtual object generator 150 creates first and second avatars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avatar attribute data.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160)는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1 아바타를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고,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2 아바타를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킨다. 이에 의하여, 제1 및 제2 유저는 각종 디바이스를 조작하여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내에서 아바타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되며, 가상 강의실 내에서 가상 강의가 이루어지게 된다.The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160 associates a first avatar with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and associates the second avatar with the group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second user. Associates it with the 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users can operate avatars within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by operating various devices, and virtual lectures are held within the virtual classroom.

여기서, 제1 유저는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강의를 제공하는 강사(교사, 선생님 등)이고, 제1 인터랙션은 강사의 실공간 강의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 유저는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강의를 제공받는 학생(또는 그의 학부모)이고, 제2 인터랙션은 상기 학생의 실공간 수강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유저는 세미나, 컨퍼런스 등의 강연자 및 참석자, 원격 진료에 있어서의 의사 및 환자, 화상 회의에서의 회의 참석자, 화상 면접에서의 인터뷰어(interviewer) 및 인터뷰이(interviewee)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 강의실은 가상 컨퍼런스룸, 세미나실, 강연장, 회의실, 면접실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Here, the first user is an instructor (teacher, teacher, etc.) who provides a lecture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nd the first interaction may include the instructor's real-space lecture behavior. Correspondingly, the second user is a student (or his/her parent) who receives a lecture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nd the second interaction may include the student's real-time course taking behavior.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users may be speakers and attendees at seminars, conferences, etc., doctors and patients in telemedicine, meeting attendees in video conferences, and interviewers and interviewees in video interviews. This may apply, etc. Therefore, a virtual classroom can be interpreted to include a virtual conference room, seminar room, lecture hall, conference room, interview room, etc.

이때, 제1 유저 또는 제2 유저의 인터랙션은, 실공간에서 제1 또는 제2 유저와 각종 디바이스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터랙션은 유저의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 행위, 입력 행위, 유저에 대한 각종 디바이스의 출력 행위, 표시 행위, 서버(장치)의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신호 송수신,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서버(장치)의 신호 송수신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아바타를 통해 수행되는 모든 활동의 기초가 된다. At this time,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user or the second user may occur between the first or second user and various devices in real space. As mentioned above, interactions include the user's manipulation behavior on various devices, input behavior, output behavior of various devices to the user, display behavior,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erver (device) to various devices, and server (device) response to various devices. It is interpreted to includ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from devices, etc., and is the basis for all activities performed through an avatar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이때, 상기 디바이스는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전자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메타버스에서 주로 활용되는 메타버스 디바이스일 수 있고, 메타버스 디바이스는 VR(Virtual Reality) 기어, AR(Augmented Reality) 기어, MR(Mixed Reality) 기어 또는 XR(eXtended Reality) 기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the device may be any of the various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mentioned above. In addition, the device may be a metaverse device mainly used in the metaverse, and the metaverse device may be VR (Virtual Reality) gear, AR (Augmented Reality) gear, MR (Mixed Reality) gear, or XR (eXtended Reality) gear. It may be possible,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이때,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160)는, 제1 유저 및 제2 유저 중 적어도 하나의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가상 강의실에 입장된 상기 제2 아바타를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160,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enters any one of the virtual classrooms included in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The second avatar can be moved to another virtual classroom.

이때,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는, 메인 가상 강의실과 제1 내지 제N 서브 가상 강의실을 포함하며, 메인 가상 강의실과 서브 가상 강의실은 서로 연관되고, 복수의 서브 가상 강의실은 서로 연관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강의실이 연관되어 있다는 의미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 소속 캠퍼스, 소속 건물, 강의과목, 강사, 강의시간, 강의지역, 국가, 사용언어, 유저 연령 및 유저 소속 중 적어도 하나의 공통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includes a main virtual classroom and first to Nth sub-virtual classrooms, the main virtual classroom and sub-virtual classrooms are relat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ub-virtual classrooms may be related to each other. Here, the meaning that the virtual classrooms are related includes at least one common attribute among affiliated campus, affiliated building, course subject, instructor, class time, course region, country, language used, user age, and user affiliation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It means to do.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그룹형 가상 강의실의 공통 속성을 나타낸다. Figure 16 shows common properties of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강의실1 내지 4는 그룹형 가상 강의실로 연관되어 있고, 그룹형 가상 강의실은 사용국가(KR), 사용언어(한글), 강의지역(서울), 유저 소속(A랭귀지스쿨), 유저연령(초5), 가상 튜토리얼 월드1, 캠퍼스B, 건물d, 과목, 강사 중 적어도 하나의 공통 속성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6, virtual classrooms 1 to 4 are related to group-type virtual classrooms, and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cludes country of use (KR), language of use (Korean), teaching area (Seoul), and user affiliation (A). It may have at least one common attribute among language school), user age (5th grade), virtual tutorial world 1, campus B, building d, subject, and instructor.

이때,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160)에 의한, 제2 아바타의 다른 가상 강의실로의 이동은 공통 속성을 갖는 그룹형 가상 강의실 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제1 내지 제n 그룹형 가상 강의실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그룹형 가상 강의실간 이동 및 소환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제1 유저의 제1 권한이 그룹형 가상 강의실간 이동 및 소환까지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second avatar to another virtual classroom by the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160 may be set to occur only within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with common attributes. However, when the first to nth group-type virtual classrooms are set, movement and summoning between group-type virtual classrooms may be possible. In that case, the first authority of the first user may be set to allow movement between group-type virtual classrooms and even summoning.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그룹형 가상 강의실에 대한 입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nter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160)는 제1 유저 및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아바타를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의 메인 가상 강의실에 연관시킬 수 있다(도 17의 ①의 경우). 먼저, 아바타가 메인 가상 강의실로 입장한 뒤, 메인 가상 강의실 내에서 제1 내지 제N 강의실 중 어느 하나로 입장할 수 있다.The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160 may associate the first and second avatars with the main virtual classroom of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① in FIG. 17 In the case of). First, the avatar enters the main virtual classroom and then can enter any one of the first to Nth classrooms within the main virtual classroom.

이와 달리,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160)는 제1 유저 및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아바타를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중 소정의 서브 가상 강의실에 연관시킬 수 있다(도 17의 ②의 경우). 이 경우, 제2 아바타의 속성 데이터는 수강 강의 속성을 포함하고, 제2 아바타의 수강 강의 속성을 판단한 뒤, 제2 아바타를 해당 수강 강의에 대응하는 서브 강의실로 바로 연관시킨다. 그 경우, 메인 가상 강의실을 경유할 필요 없이, 바로 서브 가상 강의실로 입장하여 강의를 들을 수 있게 된다.In contrast, the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160 may associate the first and second avatars with a predetermined sub-virtual classroom among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s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In case ② of Figure 17). In this case, the attribute data of the second avatar includes the attributes of the lecture taken, and after determining the attributes of the lecture taken by the second avatar, the second avatar i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sub-classroom corresponding to the lecture taken. In that case, you can directly enter the sub-virtual classroom and listen to the lecture without having to go through the main virtual classroom.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서 그룹형 가상 강의실의 개념도이다. Figure 1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가상 강의실(MAIN)은 제1 아바타 및 제2 아바타 모두에게 엑세스가 허용된 공간이며, 메인 가상 강의실(MAIN) 내에 포함된 강의 자료 오브젝트, 커리큘럼 오브젝트 등은 제1 아바타 및 제2 아바타 모두가 열람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복수의 서브 가상 강의실(SUB1 내지 3)은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 및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음성, 화상, 채팅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유저간 커뮤니케이션을 허용하는 가상 공간으로, 서브 가상 강의실 내에서 각 유저는 도 13에 예시된 화면을 보면서 강의 활동 및 수강 활동을 이룰 수 있다. As shown in FIG. 18, the main virtual classroom (MAIN) is a space where access is allowed to both the first avatar and the second avatar, and the lecture material objects, curriculum objects, etc. included in the main virtual classroom (MAIN) are the first avatar and the second avatar. Both the avatar and the second avatar can view it.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ub virtual classrooms (SUB1 to 3) are virtual spaces that allow communication between users through at least one of voice, video, and chat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and interaction with the second user. Within the virtual classroom, each user can perform lecture and course activities while viewing the screen illustrated in FIG. 13.

한편,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160)는,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2 아바타의 이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유저의 제1 권한이 상기 제2 아바타에 대한 이동 권한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한 뒤, 제2 아바타를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강사인 제1 유저의 판단에 의하여 제2 유저를 다른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유용하다.Meanwhile, the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160 receives a movement request signal for the second avatar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and determines that the first user's first authority is the movement authority for the second avatar. After determining whether it includes the second avatar, the second avatar can be moved to the other virtual classroom. This is useful when the second user is moved to another virtual classroom based on the judgment of the first user, who is an instructor.

이와 달리,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160)는,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2 아바타의 이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유저의 상기 제2 권한이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에 대한 입장 권한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한 뒤, 제2 아바타를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학생인 제2 유저의 요청에 의하여 제2 유저가 다른 가상 강의실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하다.In contrast, the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160 receives a movement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avatar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second user, and the second user's second authority is granted to the other virtual classroom. After determining whether it includes the right to enter, the second avatar can be moved to the other virtual classroom. This is useful when the second user, who is a student, wants to move to another virtual classroom at the request of the second user.

이때,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160)는,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에 포함된 아바타의 개수를 판단한 뒤, 아바타의 개수가 기설정된 수용 인원 미만인 경우에만 제2 아바타를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160 determines the number of avatars included in another virtual classroom, and then transfers the second avatar to the other virtual classroom only when the number of avatars is less than the preset capacity. It can be moved.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ure 19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가상 튜토리얼 월드(Virtual Tutorial World) 내에, 메인 가상 강의실 및 제1 내지 제N 서브 가상 강의실(N은 2이상의 자연수)을 포함하는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를 준비한다(S201). 이후,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한다(S202).First, prepare virtual classroom object attribute data to create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including the main virtual classroom and the first to Nth sub-virtual classroom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Do it (S201). Thereafter, based on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attribute data,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is created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S202).

그리고, 제1 권한을 갖는 제1 유저(user)의 제1 아바타(avatar) 및 제2 권한을 갖는 제2 유저의 제2 아바타에 대한 아바타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고(S211), 제 및 제2 아바타를 생성한다(S212).Then, prepare avatar attribute data for the first avatar of the first user with first authority and the second avatar of the second user with second authority (S211), and prepare the first and second avatars. Create (S212).

이후,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아바타 및 제2 아바타를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킨다(S220). Thereafter, the first avatar and the second avatar created based on the avatar attribute data are associated with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S220).

마지막으로,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가상 강의실에 입장된 상기 제2 아바타를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킨다(S230).Finally, the second avatar entered into one virtual classroom included in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is moved to another virtual classroom (S230).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이동 방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Figure 20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oving an avata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1 아바타가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관되며, 이는 제1 강의실에 대한 제1 아바타의 입장으로 표현된다(S300). 이후,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2 아바타가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관되며, 이는 제1 강의실에 대한 제2 아바타의 입장으로 표현된다(S310).First,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the first avatar is associated with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which is expressed as the first avatar's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lassroom (S300). Thereafter,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second user, the second avatar is associated with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which is expressed as the second avatar's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lassroom (S310).

이때, 제2 아바타를 다른 강의실로 이동시켜야할 필요가 생긴 경우(예: 다른 강의의 추천, 보충 수업 필요, 보충 자료 제공 등), 제1 유저는 제2 아바타의 이동을 요청할 수 있다(S320). 서버는 제1 유저의 제1 권한을 판단하고(S330), 제1 유저가 제2 아바타에 대한 이동 권한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2 아바타를 다른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340). 해당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아바타는 제2 가상 강의실로 이동하게 된다(S350). At this time, if there is a need to move the second avatar to another classroom (e.g., recommendation of another lecture, need for supplementary classes, provision of supplementary materials, etc.), the first user may request movement of the second avatar (S320) . The server determines the first authority of the first user (S330), and if the first user includes the authority to move the second avatar, it can generate a signal to move the second avatar to another virtual classroom. (S340). Based on the signal, the second avatar moves to the second virtual classroom (S350).

정리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이동 방법은,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아바타의 이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유저의 상기 제1 권한이 상기 제2 아바타에 대한 이동 권한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아바타를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summary, the avatar mov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movement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avatar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and the first authority of the first user is granted to the second avatar. It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movement rights are included for , and moving the second avatar to the other virtual classroom.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이동 방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Figure 21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oving an avata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1 아바타가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관되며, 이는 제1 강의실에 대한 제1 아바타의 입장으로 표현된다(S400). 이후,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2 아바타가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관되며, 이는 제2 강의실에 대한 제2 아바타의 입장으로 표현된다(S410).First,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the first avatar is associated with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which is expressed as the first avatar's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lassroom (S400). Thereafter,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second user, the second avatar is associated with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which is expressed as the second avatar's stance toward the second classroom (S410).

이때, 다른 강의실에 입장한 제2 아바타를 현재 강의실로 소환해야할 필요가 생긴 경우, 제1 유저는 제2 아바타의 소환을 요청할 수 있다(S420). 서버는 제1 유저의 제1 권한을 판단하고(S430), 제1 유저가 제2 아바타에 대한 소환 권한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2 가상 강의실에 있는 제2 아바타를 제1 가상 강의실로 소환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440). 해당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아바타는 제1 가상 강의실로 소환된다(S450).At this time, if there is a need to summon a second avatar who entered another classroom to the current classroom, the first user can request the summoning of the second avatar (S420). The server determines the first authority of the first user (S430), and if the first user includes the authority to summon the second avatar, summons the second avatar from the second virtual classroom to the first virtual classroom. A signal can be generated (S440). Based on the signal, the second avatar is summoned to the first virtual classroom (S450).

정리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이동 방법은,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아바타의 소환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유저의 상기 제1 권한이 상기 제2 아바타에 대한 소환 권한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아바타를 제1 아바타가 위치한 가상 강의실로 소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summary, the avatar mov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summon request signal for the second avatar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and the first authority of the first user is granted to the second avatar. It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summoning authority is included, and a step of summoning the second avatar to a virtual classroom where the first avatar is located.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이동 방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Figure 22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oving an avata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1 아바타가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관되며, 이는 제1 강의실에 대한 제1 아바타의 입장으로 표현된다(S500). 이후,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2 아바타가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관되며, 이는 제1 강의실에 대한 제2 아바타의 입장으로 표현된다(S510).First,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the first avatar is associated with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which is expressed as the position of the first avatar with respect to the first classroom (S500). Thereafter,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second user, the second avatar is associated with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which is expressed as the second avatar's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lassroom (S510).

이때, 제2 유저가 다른 강의실로 이동할 필요가 생긴 경우(예: 강의실 입장 오류, 다른 강의의 필요, 보충 수업 필요, 보충 자료 필요 등), 제2 유저는 자신의 제2 아바타 이동을 요청할 수 있다(S520). 이때, 제2 유저의 제2 권한을 판단하고(S530), 제2 유저가 제2 가상 강의실로의 이동 권한이나 입장 권한을 포함하면, 제2 아바타를 제2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540). 해당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아바타는 제1 가상 강의실에서 제2 가상 강의실로 이동하게 된다(S550).At this time, if the second user needs to move to another classroom (e.g., error in classroom entry, need for another lecture, need for supplementary class, need for supplementary materials, etc.), the second user may request to move his or her second avatar. (S520). At this time, the second user's second authority is determined (S530), and if the second user includes the right to move or enter the second virtual classroom, a signal is generated to move the second avatar to the second virtual classroom. You can do it (S540). Based on the signal, the second avatar moves from the first virtual classroom to the second virtual classroom (S550).

정리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이동 방법은,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아바타의 이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저의 상기 제2 권한이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에 대한 입장 권한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아바타를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summary, the avatar mov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movement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avatar based on interaction with a second user, and the second permission of the second user is determined by the other one. It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access rights to the virtual classroom, and moving the second avatar to the other virtual classroom.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 메인 가상 강의실과, 상기 제1 내지 제N 서브 가상 강의실(N은 2이상의 자연수)은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 소속 캠퍼스, 소속 건물, 강의과목, 강사, 강의시간, 강의지역, 국가, 사용언어, 유저 연령 및 유저 소속 중 적어도 하나의 공통 속성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유저의 로그인시, 다시 말해, 제1 및 제2 아바타의 최초 입장시, 제1 및 제2 아바타를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의 메인 가상 강의실에 연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저의 로그인시, 제2 아바타의 수강 강의 속성에 기초하여 제2 아바타를 제1 내지 제N 서브 가상 강의실 중 어느 하나의 가상 강의실(수강 강의에 대응하는 가상 강의실)로 직접 연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메인 가상 강의실은 모든 아바타에 엑세스가 허용된 오브젝트(강의 자료 오브젝트, 커리큘럼 오브젝트 등)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인 반면, 서브 가상 강의실은 제1 및 상기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음성, 화상, 채팅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유저간 커뮤니케이션을 허용하는 가상 공간일 수 있다.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main virtual classroom and the first to Nth sub-virtual classroom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include affiliated campuses, affiliated buildings, lecture subjects, instructors, lecture times, and lectures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Contains at least one common attribute among region, country, language, user age, and user affiliation. Additionally, when the first and second users log in, that is, when the first and second avatars first enter, the first and second avatars may be associated with the main virtual classroom of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And, when the second user logs in, the second avatar is directly associated with one of the first to Nth sub-virtual classrooms (a virtual classroom corresponding to the course) based on the lecture attributes of the second avatar. It is also possible. At this time, the main virtual classroom is a virtual space containing objects (lecture material objects, curriculum objects, etc.) to which all avatars are permitted to access, while the sub-virtual classroom is a virtual space that contains audio and video content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 first and second users. , It may be a virtual space that allows communication between users through at least one of chat.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Figure 2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1 유저 및/또는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그룹형 가상 강의실 중 제1 가상 강의실로부터 제2 가상 강의실로 제2 아바타의 이동이 요청된 경우(S610), 제2 가상 강의실의 수용 인원을 판단할 수 있다(S620).First, when the movement of the second avatar from the first virtual classroom to the second virtual classroom in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s requested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and/or the second user (S610), the second virtual classroom The capacity can be determined (S620).

만약, 제2 가상 강의실에 기입장한 아바타 개수가 수용인원 미만이면(S630-YES), 제2 아바타를 제2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킨다(S640). 반면, 제2 가상 강의실에 기입장한 아바타 개수가 수용인원 이상이면(S660-NO), 제2 아바타를 제2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제2 유저에 이동 불허 통지를 보낸다(S650).If the number of avatars registered in the second virtual classroom is less than the capacity (S630-YES), the second avatar is moved to the second virtual classroom (S640). 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of avatars registered in the second virtual classroom is more than the capacity (S660-NO), the second avatar cannot be moved to the second virtual classroom, and a notification of movement disallowance is sent to the second user (S650).

상술한 설명에서는, 1개의 아바타의 입장, 이동, 소환 등에 대해서만 설명되었으나, 1개의 아바타가 아닌 그룹핑된 아바타의 입장, 이동, 소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없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 교사 유저는 가상 강의실 내의 1개 이상의 아바타를 이동시키거나, 소환시키거나, 퇴실시키는 등의 막강한 권한을 가질 수 있다. 그룹핑된 아바타들은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 소속 캠퍼스, 소속 건물, 강의과목, 강사, 강의시간, 강의지역, 국가, 사용언어, 유저 연령 및 유저 소속 등 적어도 하나의 공통 속성을 가질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entry, movement, and summoning of one avatar has been described, but the same cannot be applied to the entry, movement, and summoning of grouped avatars rather than one avatar. That is,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acher user can have great authority, such as moving, summoning, or expelling one or more avatars in the virtual classroom. Grouped avatars may have at least one common attribute, such as affiliated campus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ffiliated building, course subject, instructor, course time, course region, country, language used, user age, and user affiliation.

구체적으로,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1 아바타가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관되며, 이는 제1 강의실에 대한 제1 아바타의 입장으로 표현된다. 이후,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2 아바타가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관되며, 이는 제1 강의실에 대한 제2 아바타의 입장으로 표현된다. 복수의 제2 아바타들은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 소속 캠퍼스, 소속 건물, 강의과목, 강사, 강의시간, 강의지역, 국가, 사용언어, 유저 연령 및 유저 소속 등 적어도 하나의 공통 속성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the first avatar is associated with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which is expressed as the first avatar's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lassroom. Thereafter,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second user, a plurality of second avatars are associated with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which is expressed as the position of the second avatar with respect to the first classroom. The plurality of second avatars may have at least one common attribute, such as affiliated campus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ffiliated building, lecture subject, instructor, lecture time, lecture area, country, language used, user age, and user affiliation.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1 아바타가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관되며, 이는 제1 강의실에 대한 제1 아바타의 입장으로 표현된다. 이후, 복수의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그룹핑된 제2 아바타가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관되며, 이는 제1 강의실에 대한 제2 아바타의 입장으로 표현된다.In one embodiment, a first avatar is associated with a grouped virtual classroom object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which is represented by the first avatar's entrance to the first classroom. Thereafter, the second avatar grouped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users is associated with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which is expressed as the position of the second avatar with respect to the first classroom.

이때, 그룹핑된 제2 아바타를 다른 강의실로 이동시켜야할 필요가 생긴 경우(예: 다른 강의의 추천, 보충 수업 필요, 보충 자료 제공 등), 제1 유저는 그룹핑된 제2 아바타의 이동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제1 유저의 제1 권한을 판단하고, 제1 유저가 그룹핑된 제2 아바타에 대한 이동 권한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2 아바타를 다른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해당 신호에 기초하여, 그룹핑된 제2 아바타는 제2 가상 강의실로 이동하게 된다. At this time, if there is a need to move the grouped second avatar to another classroom (e.g., recommendation of another lecture, need for supplementary classes, provision of supplementary materials, etc.), the first user may request movement of the grouped second avatar. there is. The server determines the first authority of the first user, and if the first user includes the authority to move the grouped second avatar, it may generate a signal to move the second avatar to another virtual classroom. Based on the signal, the grouped second avatar moves to the second virtual classroom.

정리하면,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그룹핑된 제2 아바타의 이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유저의 상기 제1 권한이 상기 그룹핑된 제2 아바타에 대한 이동 권한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핑된 제2 아바타를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summary, receiving a movement request signal of a grouped second avatar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authority of the first user includes movement authority for the grouped second avatar It may include the step of moving the grouped second avatar to the other virtual classroom.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1 아바타가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관되며, 이는 제1 강의실에 대한 제1 아바타의 입장으로 표현된다. 이후, 복수의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그룹핑된 복수의 제2 아바타가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관되며, 이는 제2 강의실에 대한 제2 아바타의 입장으로 표현된다.In another embodiment, a first avatar is associated with a grouped virtual classroom object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which is represented by the first avatar's entrance to the first classroom. Thereafter, a plurality of second avatars grouped based on interactions with a plurality of second users are associated with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which is expressed as the position of the second avatar with respect to the second classroom.

이때, 다른 강의실에 입장한 그룹핑된 제2 아바타를 현재 강의실로 소환해야할 필요가 생긴 경우, 제1 유저는 그룹핑된 제2 아바타 전체의 소환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제1 유저의 제1 권한을 판단하고(S430), 제1 유저가 제2 아바타에 대한 소환 권한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2 가상 강의실에 있는 그룹핑된 제2 아바타 전체를 제1 가상 강의실로 소환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해당 신호에 기초하여, 그룹핑된 제2 아바타는 제1 가상 강의실로 소환된다.At this time, if it becomes necessary to summon a grouped second avatar that has entered another classroom to the current classroom, the first user may request to summon all of the grouped second avatars. The server determines the first authority of the first user (S430), and if the first user includes the right to summon the second avatar, all of the grouped second avatars in the second virtual classroom are sent to the first virtual classroom. You can generate a signal to summon. Based on the signal, the grouped second avatar is summoned to the first virtual classroom.

정리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이동 방법은,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그룹핑된 복수의 제2 아바타의 소환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유저의 상기 제1 권한이 상기 그룹핑된 제2 아바타에 대한 소환 권한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핑된 제2 아바타를 제1 아바타가 위치한 가상 강의실로 소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summary, the avatar mov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summon request signal for a plurality of grouped second avatars based on interaction with a first user, the first user's first authority being It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summoning authority for the grouped second avatar is included, and summoning the grouped second avatar to a virtual classroom where the first avatar is located.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교사 유저는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자체를 이동, 소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교사 유저의 아바타 및 하나 이상의 학생 유저의 아바타(들)은 현재 가상 강의실이 다른 (소환된) 가상 강의실로 순식간에 교체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teacher user can move and summon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itself. Accordingly, the teacher user's avatar and one or more student user's avatar(s) can experience the current virtual classroom being instantly replaced by another (summoned) virtual classroom.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1 아바타가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관되며, 이는 제1 강의실에 대한 제1 아바타의 입장으로 표현된다. 이후, 복수의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그룹핑된 제2 아바타가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관되며, 이는 제1 강의실에 대한 제2 아바타의 입장으로 표현된다.In one embodiment, a first avatar is associated with a grouped virtual classroom object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which is represented by the first avatar's entrance to the first classroom. Thereafter, the second avatar grouped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users is associated with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which is expressed as the position of the second avatar with respect to the first classroom.

이때,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교체시켜야할 필요가 생긴 경우, 제1 유저는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의 이동, 변경, 소환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제1 유저의 제1 권한을 판단하고, 제1 유저가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대한 변경, 이동, 소환 권한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현재의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다른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해당 신호에 기초하여,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은 다른 가상 강의실로 이동, 교체, 소환된다.At this time, if there is a need to replace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the first user may request movement, change, or summoning of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The server determines the first authority of the first user, and if the first user includes the authority to change, move, or summon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generates a signal to move the current virtual classroom object to another virtual classroom. can do. Based on the signal,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is moved, replaced, or summoned to another virtual classroom.

정리하면,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의 이동, 교체, 소환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유저의 상기 제1 권한이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대한 이동, 교체, 소환 권한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현재의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상기 다른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로 이동, 교체, 소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summary,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receiving a signal requesting movement, replacement, or summoning of a virtual classroom object, the first authority of the first user is the movement, replacement, or summoning authority for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It may includ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virtual classroom object is included, and a step of moving, replacing, or summoning the current virtual classroom object with the other virtual classroom object.

뿐만 아니라, 위에서는 아바타의 이동, 소환에 대해 설명했으나, 가상 커리큘럼 오브젝트, 가상 강의자료 오브젝트, 강의 도구 오브젝트 등 강의에 필요한 각종 오브젝트도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 소환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movement and summoning of avatars was explained above, various objects necessary for lectures, such as virtual curriculum objects, virtual lecture material objects, and lecture tool objects, can also be moved and summoned in the same way.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1 아바타가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관되며, 이는 제1 강의실에 대한 제1 아바타의 입장으로 표현된다. 이후, 복수의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그룹핑된 제2 아바타가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연관되며, 이는 제1 강의실에 대한 제2 아바타의 입장으로 표현된다.In one embodiment, a first avatar is associated with a grouped virtual classroom object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which is represented by the first avatar's entrance to the first classroom. Thereafter, the second avatar grouped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users is associated with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which is expressed as the position of the second avatar with respect to the first classroom.

이때, 가상 오브젝트(가상 강의자료, 가상 커리큘럼, 가상 강의도구 등)를 이동, 교체, 소환시켜야할 필요가 생긴 경우, 제1 유저는 가상 오브젝트(가상 강의자료, 가상 커리큘럼, 가상 강의도구 등)의 이동, 변경, 소환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제1 유저의 제1 권한을 판단하고, 제1 유저가 가상 오브젝트(가상 강의자료, 가상 커리큘럼, 가상 강의도구 등)에 대한 변경, 이동, 소환 권한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현재의 가상 강의실에 포함된 가상 오브젝트(가상 강의자료, 가상 커리큘럼, 가상 강의도구 등)를 다른 가상 오브젝트(가상 강의자료, 가상 커리큘럼, 가상 강의도구 등)로 변경, 이동, 소환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해당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가상 강의실에 포함된 가상 오브젝트(가상 강의자료, 가상 커리큘럼, 가상 강의도구 등)는 가상 오브젝트(가상 강의자료, 가상 커리큘럼, 가상 강의도구 등)로 이동, 교체, 소환된다.At this time, if there is a need to move, replace, or summon a virtual object (virtual lecture materials, virtual curriculum, virtual lecture tools, etc.), the first user can use the virtual object (virtual lecture materials, virtual curriculum, virtual lecture tools, etc.) You can request movement, change, or summoning. The server determines the first authority of the first user, and if the first user includes the authority to change, move, or summon virtual objects (virtual lecture materials, virtual curriculum, virtual lecture tools, etc.), the current virtual classroom A signal can be generated to change, move, or summon virtual objects (virtual lecture materials, virtual curriculum, virtual lecture tools, etc.) included in to other virtual objects (virtual lecture materials, virtual curriculum, virtual lecture tools, etc.). Based on the signal, virtual objects (virtual lecture materials, virtual curriculum, virtual lecture tools, etc.) currently included in the virtual classroom are moved, replaced, or summoned as virtual objects (virtual lecture materials, virtual curriculum, virtual lecture tools, etc.) .

정리하면,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가상 오브젝트(가상 강의자료, 가상 커리큘럼, 가상 강의도구 등)의 이동, 교체, 소환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유저의 상기 제1 권한이 상기 가상 오브젝트(가상 강의자료, 가상 커리큘럼, 가상 강의도구 등)에 대한 이동, 교체, 소환 권한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현재 가상 강의실에 포함된 가상 오브젝트(가상 강의자료, 가상 커리큘럼, 가상 강의도구 등) 중 어느 하나를 다른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거나, 현재 가상 강의실에 포함된 가상 오브젝트(가상 강의자료, 가상 커리큘럼, 가상 강의도구 등) 중 어느 하나를 다른 가상 오브젝트(가상 강의자료, 가상 커리큘럼, 가상 강의도구 등)로 변경하거나, 다른 가상 강의실에 포함된 가상 오브젝트(가상 강의자료, 가상 커리큘럼, 가상 강의도구 등) 중 어느 하나를 현재 가상 강의실로 소환할 수 있다.In summary, receiving a signal requesting movement, replacement, or summoning of a virtual object (virtual lecture material, virtual curriculum, virtual lecture tool, etc.)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the first authority of the first user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virtual object (virtual lecture material, virtual curriculum, virtual lecture tool, etc.) includes the right to move, replace, or summon the virtual object (virtual lecture material, virtual curriculum, virtual lecture, etc.) included in the current virtual classroom. tools, etc.) to another virtual classroom, or moving one of the virtual objects (virtual lecture materials, virtual curriculum, virtual lecture tools, etc.) currently included in the virtual classroom to another virtual object (virtual lecture materials, virtual curriculum, etc.) , virtual lecture tools, etc.), or you can summon one of the virtual objects (virtual lecture materials, virtual curriculum, virtual lecture tools, etc.) included in another virtual classroom to the current virtual classroom.

한편, 본 발명의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는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Virtual Tutorial World) 내에 하나 이상의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Virtual Classroom Object)를 생성하기 위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제1 권한을 갖는 제1 유저(user)의 제1 아바타(avatar) 및 제2 권한을 갖는 제2 유저의 제2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아바타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하나 이상의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제1 및 제2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아바타를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고,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2 아바타를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1 및 제2 유저의 제1 및 제2 아바타 조작에 기초하여, 가상 강의실 내에서 강의 및 수강 행위가 이루어지고,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된 상기 제1 유저와의 제1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1 인터랙션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제1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된 제2 유저와의 제2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2 인터랙션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제2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1 가상 오브젝트 및 제2 가상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가 생성된 시간 정보와 연관시켜, 상기 제1 가상 오브젝트와 상기 제2 가상 오브젝트를 기록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기록된 시간 정보,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상기 제1 가상 오브젝트 및 상기 제2 가상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베이스로 하여,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 및 저장한다.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는 해당 가상 강의가 이루어진 제1 시점에서 제2 시점 사이의 강의/수강 행위, 가상 강의실 내에 존재하는 모든 가상 오브젝트를 그대로 포함한다. 따라서,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가 활성화되는 시점에 구애받지 않고, 제1 시점에서 제2 시점 사이에 기록된 공간, 오브젝트, 강의 등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rtual classroom object can also be created. This includes preparing virtual classroom object attribute data to create one or more virtual classroom objects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 first user with first authority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 preparing first and second avatar attribute data for creating a first avatar of a user and a second avatar of a second user with second authority, based on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attribute data, Creating one or more virtual classroom objects within a tutorial world, creating first and second avatars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based on avatar attribute data, and creating the first avatar based on interaction with a first user. Associating with a virtual classroom object and associating a second avatar with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based on an interaction with a second user. Thereafter, based on the manipul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vatars by the first and second users, lectures and course taking actions are performed within the virtual classroom, and based on the first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associated with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Create a first virtual object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corresponding to a first interaction, and based on a second interaction with a second user associated with a virtual classroom object, create a first virtual object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corresponding to a second interaction. 2 Virtual objects can be created. In addition, the first virtual object and the second virtual object are recorded in association with information on the time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virtual object and the second virtual object was created. Finally, a new virtual classroom object is created and stor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recorded time information,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the first virtual object, and the second virtual object. The new virtual classroom object includes all virtual objects existing in the virtual classroom and lecture/taking action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imes when the virtual lecture took pla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ccess spaces, objects, lectures, etc. recor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viewpoints, regardless of the point in time at which the new virtual classroom object is activated.

신규 가상 강의 오브젝트가 생성되면, 추후에 제3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아바타를 상기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고, 가상 강의실 내 강의 및 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된 상기 제3 유저와의 제3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제3 인터랙션에 대응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제3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제3 가상 오브젝트가 생성된 시간 정보와 연관시켜 제3 가상 오브젝트를 기록한 뒤 제3 가상 오브젝트의 시간 정보,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및 제3 가상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베이스로 하여, 다시 새롭게 제2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강사인 제1 유저를 호출하여, 다시 가상 강의실 내에서 강의 및 수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즉, 제3 유저는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접속하고, 제3 유저가 제1 유저의 호출을 요청하면, 제1 유저의 제1 아바타를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다시 연관시키며, 제1 및 제3 유저 사이의 강의/수강 행위가 이루어지고,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된 제3 유저와의 제3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3 가상 오브젝트, 그의 시간 정보 등에 기초하여, 위에서 언급한 제2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가 생성 및 저장된다.When a new virtual lecture object is created, the third avatar can be later associated with the new virtual classroom object based on interaction with a third user, and lectures and attendance in the virtual classroom can be performed. Again, based on the third interaction with the third user associated with the new virtual classroom object, a third virtual object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corresponding to the third interaction is created, and information on the time when the third virtual object was created and After recording the third virtual object in association, a second new virtual classroom object can be created and stored agai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ime information of the third virtual object, the new virtual classroom object, and the third virtual object. In this case, the first user, who is an instructor, may be called and lectures and classes may be resumed within the virtual classroom. That is, the third user connects to the new virtual classroom object, and when the third user requests a call from the first user, the first avatar of the first user is re-associated with the new virtual classroom object, and the first and third users A third virtual object is created based on a third interaction with a third user associated with the new virtual classroom object, and based on its time information, etc., the second new virtual classroom object mentioned above is generated. is created and saved.

한편, 가상 오브젝트 저장부(173)는 NFT로 민팅할 컨텐츠인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제2 내지 제n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저장한다. NFT 민팅부(180)는 통신부(130)를 이용하여 NFT 민팅을 수행할 각종 플랫폼에 접속한다. 이때, 각종 플랫폼에 접속하는 계정은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계정 또는 유저로부터 입력된 계정으로 NFT의 소유권이 귀속될 수 있다. 따라서, NFT 민팅을 위한 플랫폼의 접속 계정은,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대한 소유권 귀속 정책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유저 중 하나에 해당 소유권을 귀속시키는 경우에는, 유저로부터 각 플랫폼(레저/민팅/리스팅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을 위한 계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의 민팅은 레저(ledger) 플랫폼에 접속하는 단계, 특정 계정의 디지털 원장을 연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블록체인은 분산 원장을 이용하고 서버간 개별적인 연결을 통해 Peer to Peer 방식의 거래를 수행한다. 메타마스크™나 카이카스™ 등의 레저 플랫폼은 가상화폐인 이더리움(Ethereum)이나 클레이튼(Klaytn) 등을 거래 토큰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플랫폼에서 설정된 가상화폐를 거래 토큰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오픈씨(opensea)™, 크래프터 스페이스(Krafter Space)™ 등의 민팅(minting) 플랫폼을 오픈하는 단계, 가상화폐를 이용하여, 가상 오브젝트,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또는, 제2 신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NFT(Non-Fungible Token)로 민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민팅된 NFT를 거래하고자 하는 경우, 오픈씨(opensea)™ 등의 리스팅(listing) 플랫폼에 접속하는 단계를 ㄷ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virtual object storage unit 173 stores new virtual classroom objects and second to nth new virtual classroom objects that are content to be minted as NFT. The NFT minting unit 180 uses the communication unit 130 to connect to various platforms to perform NFT minting. At this time, the account accessing various platforms may have ownership of the NFT attributed to an account set by an administrator or an account entered by a user. Therefore, the access account of the platform for NFT minting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ownership attribution policy for new virtual classroom objects. If the ownership is assigned to one of the users, a step of receiving account information for accessing each platform (at least one of leisure/minting/listing platforms) from the user may be further included. Minting an object includes the steps of connecting to the ledger platform and linking the digital ledger of a specific account. Blockchain uses a distributed ledger and performs peer-to-peer transactions through individual connections between servers. Leisure platforms such as Metamask™ or Kaikas™ may use virtual currencies such as Ethereum or Klaytn as transaction tokens, but are not limited to this, and are not limited to this, and are not limited to group-type virtual currency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currency set on the platform that provides the classroom provision method can be used as a transaction token. Afterwards, the step of opening a minting platform such as Opensea™ or Crafter Space™, using virtual currency to create a virtual object, a new virtual classroom object, or a second new virtual classroom object. It may include the step of minting as a Non-Fungible Token (NFT). If you wish to trade a minted NFT, you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accessing a listing platform such as Opensea™.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Includes optical media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focusing on the examples,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abov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You will be able to se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xample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these variations and differences in applica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장치
110: 프로세서
120: I/O 인터페이스부
130: 통신부
140: 관리부
150: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
160: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
170: 저장부
180: 민팅부
100: Device for providing group virtual classrooms
110: processor
120: I/O interface unit
130: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140: Management Department
150: Virtual object creation unit
160: Avatar/object relationship processing unit
170: storage unit
180: Minting Department

Claims (18)

가상 튜토리얼 월드(Virtual Tutorial World) 내에, 메인 가상 강의실 및 제1 내지 제N 서브 가상 강의실(N은 2이상의 자연수)을 포함하는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제1 권한을 갖는 제1 유저(user)의 제1 아바타(avatar) 및 제2 권한을 갖는 제2 유저의 제2 아바타에 대한 아바타 속성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제1 아바타 및 제2 아바타를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는 단계; 및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가상 강의실에 입장된 상기 제2 아바타를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
Preparing virtual classroom object attribute data to create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including the main virtual classroom and the first to Nth sub-virtual classroom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
generating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based on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attribute data;
preparing avatar attribute data for a first avatar of a first user with first authority and a second avatar of a second user with second authority;
associating the first avatar and the second avatar created based on the avatar attribute data with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and
A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comprising: moving the second avatar entered into one virtual classroom included in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to another virtual classroo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아바타의 이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저의 상기 제1 권한이 상기 제2 아바타에 대한 이동 권한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아바타를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ving step is,
Receiving a movement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avatar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authority of the first user includes movement authority for the second avatar; and
A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comprising: moving the second avatar to the other virtual classroo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아바타의 이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저의 상기 제2 권한이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에 대한 입장 권한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아바타를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ving step is,
Receiving a movement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avatar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second user;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permission of the second user includes permission to enter the other virtual classroom; and
A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comprising: moving the second avatar to the other virtual classroo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상 강의실과, 상기 제1 내지 제N 서브 가상 강의실(N은 2이상의 자연수)은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 소속 캠퍼스, 소속 건물, 강의과목, 강사, 강의시간, 강의지역, 국가, 사용언어, 유저 연령 및 유저 소속 중 적어도 하나의 공통 속성을 포함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ain virtual classroom and the first to Nth sub-virtual classroom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re affiliated campuses, affiliated buildings, lecture subjects, instructors, lecture hours, lecture areas, countries, languages, and users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including at least one common attribute of age and user affili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유저의 로그인시, 상기 제1 아바타 및 제2 아바타를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의 상기 메인 가상 강의실에 연관시키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inking step is,
A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wherein when the first and second users log in, the first avatar and the second avatar are associated with the main virtual classroom of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속성 데이터는 수강 강의 속성을 포함하고,
상기 연관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유저의 로그인시, 상기 제2 아바타의 수강 강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아바타를 상기 제1 내지 제N 서브 가상 강의실 중 어느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연관시키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vatar attribute data includes lecture attributes,
The associating step includes, when the second user logs in, associating the second avatar with any one of the first to Nth sub-virtual classrooms based on lecture attributes of the second avatar. How to provide a group virtual classroom in Virtual Tutorial Wor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에 포함된 아바타의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아바타의 개수가 기설정된 수용 인원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제2 아바타를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ving step is,
determining the number of avatars included in the other virtual classroom; and
A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comprising: moving the second avatar to the other virtual classroom only when the number of avatars is less than a preset capac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가상 강의실은, 상기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 및 상기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음성, 화상, 채팅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유저간 커뮤니케이션을 허용하는 가상 공간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ub-virtual classroom is a group type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which is a virtual space that allows communication between users through at least one of voice, video, and chat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and interaction with the second user. How to deliver a virtual classroo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상 강의실은 상기 제1 아바타 및 제2 아바타 모두에 엑세스가 허용된 하나 이상의 강의 자료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ethod of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wherein the main virtual classroom includes one or more lecture material objects to which both the first avatar and the second avatar are permitted to access.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저장부,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 및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저장부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Virtual Tutorial World) 내에, 메인 가상 강의실 및 제1 내지 제N 서브 가상 강의실(N은 2이상의 자연수)을 포함하는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 및 제1 권한을 갖는 제1 유저(user)의 제1 아바타(avatar) 및 제2 권한을 갖는 제2 유저의 제2 아바타에 대한 아바타 속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가상 오브젝트 생성부는,
상기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에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아바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아바타 및 제2 아바타를 생성하며,
상기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는,
상기 제1 아바타 및 제2 아바타를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와 연관시키고, 상기 제1 유저 및 제2 유저 중 적어도 하나의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가상 강의실에 입장된 상기 제2 아바타를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장치.
Includes an object attribute data storage unit, a virtual object creation unit, and an avatar/object relationship processing unit,
The object attribute data storage unit,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virtual classroom object attribute data for creat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including a main virtual classroom and first to Nth sub-virtual classroom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nd a first Store avatar attribute data for a first avatar of a first user with authority and a second avatar of a second user with second authority,
The virtual object creation unit,
Based on the virtual classroom object attribute data,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is created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nd the first avatar and the second avatar are generated based on the avatar attribute data,
The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Associating the first avatar and the second avatar with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and based on interac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any one included in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A device for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which moves the second avatar entered into the virtual classroom to another virtual classroo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는,
상기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아바타의 이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유저의 상기 제1 권한이 상기 제2 아바타에 대한 이동 권한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한 뒤, 상기 제2 아바타를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a movement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avatar is received, and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authority of the first user includes movement authority for the second avatar, the second avatar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providing device in a virtual tutorial world that moves an avatar to the other virtual classroo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는,
상기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아바타의 이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유저의 상기 제2 권한이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에 대한 입장 권한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한 뒤, 상기 제2 아바타를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second user, a movement request signal from the second avatar is receiv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right of the second user includes the right to enter the other virtual classroom, and then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providing device in a virtual tutorial world that moves a second avatar to the other virtual classroo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상 강의실과, 상기 제1 내지 제N 서브 가상 강의실(N은 2이상의 자연수)은 가상 튜토리얼 월드 내 소속 캠퍼스, 소속 건물, 강의과목, 강사, 강의시간, 강의지역, 국가, 사용언어, 유저 연령 및 유저 소속 중 적어도 하나의 공통 속성을 포함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main virtual classroom and the first to Nth sub-virtual classroom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re affiliated campuses, affiliated buildings, lecture subjects, instructors, lecture hours, lecture areas, countries, languages, and users with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A device for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including at least one common attribute of age and user affili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유저의 로그인시, 상기 제1 아바타 및 제2 아바타를 상기 그룹형 가상 강의실 오브젝트의 상기 메인 가상 강의실에 연관시키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group-type virtual classroom in a virtual tutorial world, wherein when the first and second users log in, the first avatar and the second avatar are associated with the main virtual classroom of the group-type virtual classroom objec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속성 데이터는 수강 강의 속성을 포함하고,
상기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는,
상기 제2 유저의 로그인 시, 상기 제2 아바타의 수강 강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아바타를 상기 제1 내지 제N 서브 가상 강의실 중 어느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연관시키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avatar attribute data includes lecture attributes,
The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When the second user logs in, a group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that associates the second avatar with one of the first to Nth sub-virtual classrooms based on the lecture attributes of the second avatar. type virtual classroom delivery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오브젝트 연관관계 처리부는,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에 포함된 아바타의 개수를 판단한 뒤, 상기 아바타의 개수가 기설정된 수용 인원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제2 아바타를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 강의실로 이동시키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avatar/object association processing unit,
A group type in a virtual tutorial world that determines the number of avatars included in the other virtual classroom and then moves the second avatar to the other virtual classroom only when the number of avatars is less than a preset capacity. Virtual classroom delivery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가상 강의실은, 상기 제1 유저와의 인터랙션 및 상기 제2 유저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음성, 화상, 채팅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유저간 커뮤니케이션을 허용하는 가상 공간인,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sub-virtual classroom is a group type in the virtual tutorial world, which is a virtual space that allows communication between users through at least one of voice, video, and chat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first user and interaction with the second user. Virtual classroom delivery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상 강의실은 상기 제1 아바타 및 제2 아바타 모두에 엑세스가 허용된 하나 이상의 강의 자료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가상 튜토리얼 월드에서의 그룹형 가상 강의실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main virtual classroom includes one or more lecture material objects to which both the first avatar and the second avatar are permitted to access.
KR1020220066388A 2022-05-30 2022-05-30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grouped virtual classroom object in a virtual tutorial world KR202301664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388A KR20230166419A (en) 2022-05-30 2022-05-30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grouped virtual classroom object in a virtual tutorial wor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388A KR20230166419A (en) 2022-05-30 2022-05-30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grouped virtual classroom object in a virtual tutorial worl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419A true KR20230166419A (en) 2023-12-07

Family

ID=89163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388A KR20230166419A (en) 2022-05-30 2022-05-30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grouped virtual classroom object in a virtual tutorial worl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6419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751A (en) 1999-12-30 2001-07-11 박영신 An education method,which makes use of AVATA,in 3D internet space
KR102368616B1 (en) 2021-09-01 2022-03-02 (주)유밥 Method for generating lecturer room of metaverse space and apparatus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751A (en) 1999-12-30 2001-07-11 박영신 An education method,which makes use of AVATA,in 3D internet space
KR102368616B1 (en) 2021-09-01 2022-03-02 (주)유밥 Method for generating lecturer room of metaverse space and apparatu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ye et al. Educational applications of metavers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McHaney The new digital shoreline: How Web 2.0 and millennials are revolutionizing higher education
Cook et al. Challenges and strategies for educational virtual reality: Results of an expert-led forum on 3D/VR technologies across academic institutions
Adelsberger et al. Handbook on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training
Johnson et al. Technology outlook for Australian tertiary education 2012-2017: An NMC Horizon Report regional analysis
Volkow et al. The case for mixed reality to improve performance
Brown et al. Employing Mozilla Hubs as an Alternative Tool for Student Outreach: A Design Challenge Use Case
Sutopo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based on Metaverse
Song et al. Developing ‘Learningverse’-a 3D Metaverse Platform to Support Teaching, Social and Cognitive Presences
Morgado et al. Integration scenarios of virtual worlds in learning management systems using the MULTIS approach
Winkler et al. The mobile learning exploration system (MoLES) in semantically modeled ambient learning spaces
Arenas et al. A platform for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mixed reality environments for educational games
Fonariuk et al. Expanded reality: Just a Trend of our time or do we need Technology?
Yang Handbook of research on practices and outcomes in virtual worlds and environments
KR20230166419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grouped virtual classroom object in a virtual tutorial world
KR20230166418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virtual classroom object in a virtual tutorial world
KR20230166420A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lecture materials in a virtual tutorial world
Scacchi Virtual Meetings.
Mills et al. Smart glasses for 3D multimodal composition
Chang The Cognitive Study of Immersive Experience in Science and Art Exhibition
Johnson et al. Technology Outlook for Australian Tertiary Education 2012-2017: An NMC Horizon Report Regional Analysis. Austin, Texas: The New Media Consortium
Hall et al. Challenges and Strategies for Educational Virtual Reality: Results of an Expert-led Forum on 3D/VR Technologies across Academic Institutions
Checa et al. A Framework for Developing Multi-user Immersive Virtual Reality Learning Environments
Rive et al. Face to face with the white rabbit-sharing ideas in second life
Salvetti et al. Extended Reality and Medical Simulation: Cooperation into the Metaverse to Boost Diversity and I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