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391A - The flag that wraps around the flagpole - Google Patents

The flag that wraps around the flagp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391A
KR20230166391A KR1020220066321A KR20220066321A KR20230166391A KR 20230166391 A KR20230166391 A KR 20230166391A KR 1020220066321 A KR1020220066321 A KR 1020220066321A KR 20220066321 A KR20220066321 A KR 20220066321A KR 20230166391 A KR20230166391 A KR 20230166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pole
flag
surrounding
zone
vel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3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명순
임정빈
Original Assignee
임명순
임정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명순, 임정빈 filed Critical 임명순
Priority to KR1020220066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6391A/en
Publication of KR20230166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3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깃대를 감싸는 기에 관한 것으로서 기가 원기둥 형태의 깃대를 감싸는 형태로 밀착됨으로써, 기를 깃대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 및 게양할 수 있는 동시에 별도의 보관함 없이도 보관이 가능한 깃대를 감싸는 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면의 일단 및 타단이 서로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 1 구역을 포함하고, 제 1 구역이 깃대 및 견인줄의 외주면을 따라 깃대 및 견인줄을 감싸는 형태로 깃대에 고정됨으로써, 강풍 등에 의해 기가 엉키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바람에 의해 기가 흔들리는 과정에서 기 또는 깃대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위험이 없다.
또한, 제 1 구역 일면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지퍼가 구비되어 지퍼를 일면 방향으로 서로 체결함으로써 깃대를 감싸는 공간(a)을 형성할 수 있고, 깃대를 감싸는 공간(a)의 크기는 제 1 구역 일면에 형성되는 벨크로를 통해 조절이 가능하므로, 깃대의 직경이 상이하더라도 기를 깃대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깃발을 제 1 구역의 타면으로 포개어 위치시킨 다음, 지퍼를 타면 방향으로 서로 체결시킴으로써 깃발이 제 1 구역에 수용된 형태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g surrounding a flagpole, and the flag is in close contact with a cylindrical flagpole, so that the flag can be more firmly fixed and hoisted on the flagpole, and at the same tim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lag surrounding the flagpole that can be stored without a separate storage box.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ction wher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one side can be fasten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section is fixed to the flagpole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flagpole and the towlin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gpole and the towline, so that the flag can be blown by strong winds, etc. It can prevent tangles or separation, and furthermore, there is no risk of the flag or flagpole being deformed or damaged in the process of being shaken by the wind.
In additi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zone are each provided with a zipper, and the space (a) surrounding the flagpole can be formed by fastening the zippers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one side, and the size of the space (a) surrounding the flagpole is equal to that of the first zone. Since it can be adjusted through Velcro formed on one side, the flag can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gpole even if the diameter of the flagpole is different. In addition, the flags can be stored in the first zone by placing them on top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zone and then fastening the zipper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ide, making it easy to store and carry.

Description

깃대를 감싸는 기{THE FLAG THAT WRAPS AROUND THE FLAGPOLE}THE FLAG THAT WRAPS AROUND THE FLAGPOLE}

본 발명은 깃대를 감싸는 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게양대의 원기둥 형상의 깃대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어 게양됨으로써 강풍 등에 의해 엉키거나 이탈되지 않고, 탈부착 및 보관이 용이한 깃대를 감싸는 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g surrounding a flagpole. In detail, it relates to a flag that is fixed and hoisted in a form surrounding the cylindrical flagpole of the flagpole, so that it does not become entangled or dislodged by strong winds, etc., and is easy to attach, detach, and store.

일반적으로 깃발은 국가, 기업, 스포츠 구단, 학교 및 기타 단체 등을 상징하는 글씨 또는 그림이 인쇄된 천이나 종이를 말하며, 각종 행사 기간 동안 게양하게 된다. 깃발에는 국기, 군기, 사기, 구단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의미 및 목적에 따라 게양법과 시기가 상이하다. 특히, 국기는 한 국가를 상징하는 기로서, 우리나라에서는 국기법에 따라 31절, 광복절, 개천절 등과 같은 국경일에는 국기를 게양하여야 하며,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의 청사, 학교 및 대형건물 등은 국기를 항시 게양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깃발을 게양하는 방법은, 깃발 일측면에 구비된 줄을 깃대에 구비된 줄에 고정 후 도르래를 이용해 깃봉 근처까지 올리는 방식으로, 깃대와 깃발이 밀착되지 않고 줄에 의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에 의해 깃발이 엉키거나 깃대로부터 이탈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깃발에 가해지는 풍력에 의해 깃발이 심하게 요동치는 과정에서 깃발 또는 깃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general, a flag refers to a piece of cloth or paper printed with letters or pictures symbolizing a country, company, sports club, school, or other organization, and is hoisted during various events. There are various types of flags, including national flags, military flags, military flags, and club flags, and the method and timing of hoisting differs depending on the meaning and purpose. In particular, the national flag is a symbol of a country, and in Korea, according to the National Flag Act, the national flag must be flown on national holidays such as the 31st Independence Movement Day, Liberation Day, and Foundation Day, and the national flag must be flown at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schools, and large buildings. It is always hoisted. Meanwhile, the conventional method of hoisting a flag is to fix the strin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lag to the string provided on the flagpole and then raise it near the flagpole using a pulley. The flagpole and the flag are not closely attached but are separated by the string. Therefore, accidents may occur where the flag becomes tangled or falls off the flagpole due to the wind. Furthermore, problems may arise where the flag or flagpole is deformed or damaged when the flag is violently shaken by wind power applied to the flag.

따라서, 깃발을 깃대에 보다 쉽고 견고하게 고정하는 위한 방안으로 특허문헌1 (제10-0343508) 및 특허문헌2 (제10-1024207)와 같은 깃발 및 고정장치에 관한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technologies related to flags and fixing devices, such as Patent Document 1 (No. 10-0343508) and Patent Document 2 (No. 10-1024207), are being developed as a way to more easily and firmly fix the flag to the flagpole.

특허문헌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3508호)은 깃발의 일측 상하 모서리부분을 질긴 재질의 보강부를 부착하고 보강부에 형성되는 둥근 형태의 연결링을 깃대의 깃발 걸이구에 걸음으로써, 깃대에 깃발을 쉽게 고정 및 해체할 수 있는 고리가 달린 깃발에 관한 것이다.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0343508) attaches a reinforcement made of a tough material to the upper and lower corners of one side of the flag and attaches a round-shaped connecting ring formed on the reinforcement to the flag hanger of the flagpole, thereby attaching a reinforcement to the flagpole. It concerns a flag with a loop that allows the flag to be easily fixed and dismantled.

하지만, 풍향에 따라 깃발이 상하 방향으로 심하게 움직이는 경우에는 연결링이 걸이구로부터 이탈되어 깃발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f the flag moves sharply up and down depending on the wind direction, the connecting ring may be separated from the hanger and the flag may fall.

또한, 연결링의 크기가 고정됨에 따라 깃발과 깃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깃발과 깃대 사이의 간격 조절이 필요할 때마다 연결링을 교체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므로 비효율적이다. 더 나아가, 연결링이 끝부분이 없는 O링 일 경우에는 보강부를 절단하여 연결링을 교체한 뒤 보강부를 봉합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적인 면에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size of the connecting ring is fixed,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flag and the flagpole, and a separate operation of replacing the connecting ring is required each time the gap between the flag and the flagpole needs to be adjusted, which is inefficient. Furthermore, if the connecting ring is an O-ring without an end, the reinforcing portion must be cut, the connecting ring replaced, and then the reinforcing portion must be sewn, which may result in loss in terms of time and cost.

한편, 특허문헌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4207호)은 깃발의 상하변과 일측변을 접고 봉제하여 형성된 튜브상의 삽입대에 지지대를 끼워 고정함으로써, 바람이 불어도 깃발이 휘감기거나 펄럭이지 않게 하는 깃발펼침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Meanwhile, 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No. 10-1024207)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the flag from being wrapped or fluttering even when the wind blows by fixing the support to a tube-shaped insert formed by folding and sewing the top and bottom sides and one side of the flag. This is about the flag unfurling fixture.

하지만, 깃발을 게양 또는 하기 할 때마다 삽입대에 지지대를 삽입 또는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깃발을 깃대에 탈부착하는데 있어 효율성이 떨어진다.However, since it is necessary to insert or remove the support from the insertion pole each time the flag is hoisted or lowered, the efficiency of attaching or detaching the flag to the flagpole is low.

또한, 삽입대를 형성하기 위한 작업으로써 깃발을 접고 봉제하는 과정에서 깃발이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Additionally, during the process of folding and sewing the flag to form the insertion base, problems may arise in which the flag may be deformed or damaged.

또한, 깃발을 게양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깃발 외에도 복수개의 지지대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저장공간 또는 수단이 필요하므로 효율성이 떨어진다.In addition, in normal times when the flag is not hoisted, a separate storage space or means is required to store a plurality of supports in addition to the flag, which reduces efficiency.

특허문헌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343508호 (등록일:2002.06.25)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343508 (registration date: 2002.06.25) 특허문헌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24207호 (등록일:2011.03.16)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024207 (Registration Date: 2011.03.16)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깃발을 보다 용이하게 깃대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to more easily fix the flag to the flagpole.

상세하게, 깃발의 일측면에 끈을 연결하여 깃대에 구비된 줄에 매듭짓거나 푸는 방식이 아닌 깃발의 일측면이 깃대와 줄을 감싸는 방식으로써, 깃발이 바람의 영향을 덜 받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detail, rather than connecting a string to one side of the flag and tying or untying it to the line provided on the flagpole, one side of the flag wraps around the flagpole and the line, which is intended to make the flag less affected by the wind.

또한, 깃발이 깃대를 감싸는 방식으로 깃대에 고정됨으로써 강풍 등에 의해 깃발이 엉키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풍력에 의해 깃발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깃발 또는 깃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flag is fixed to the flagpole by wrapping it around the flagpole to prevent the flag from being tangled or separated by strong winds, etc., and further to prevent the flag or flagpole from being deformed or damaged while the flag is moved by wind power.

또한, 깃발과 깃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줄을 매듭짓거나 푸는 작업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시간적 손실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reduce time loss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repeatedly tying or untying the line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flag and the flagpole.

또한, 하기한 깃발을 보관하는데 있어 별도의 보관함을 구비하거나 보관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is is to resol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rovide a separate storage box or secure storage space to store the flag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은 소정의 크기를 가진 면 형상의 깃발 및 깃발 일단에 깃대의 외주면을 따라 깃대를 감싸는 공간(a)이 형성되도록 제 1 구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lane-shaped flag with a predetermined size and a flag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zone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lag to form a space (a) surrounding the flagpol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gpole.

또한, 기는 깃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ag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for fixing it to the flagpole.

또한, 깃대는 깃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기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견인줄 및 견인줄에 형성되어 고정수단이 체결되는 체결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agpole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tow lin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gp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move the fla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a fastening part formed on the tow line to fasten the fixing means.

또한, 기는 제 1 구역의 일면이 깃대 및 견인줄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lag may be fixed in such a way that one side of the first section surrounds the flagpole and the tow line.

또한, 제 1 구역 일면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지퍼, 버튼, 단추 또는 후크가 구비되어 양 단이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section are each provided with a zipper, button, button, or hook so that both ends can be fastened or separated.

또한, 제 1 구역 일면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지퍼가 구비되고, 지퍼를 일면 방향으로 서로 체결함으로써 깃대를 감싸는 공간(a)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section are each provided with a zipper, and a space (a) surrounding the flagpole can be formed by fastening the zippers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one side.

또한, 깃발은 제 1 구역 일면의 양단에 구비된 지퍼를 체결함으로써 제 1 구역의 일면 및 타면 사이에 수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lag can be accommodated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zone by fastening zippers provided at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first zone.

또한, 제 1 구역의 일면에 벨크로가 더 구비되어, 게양대의 깃대의 직경에 따라 깃대를 감싸는 공간(a)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Velcro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zone, so that the space (a) surrounding the flagpole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flagpole.

또한, 벨크로는 제 1 구역의 일면에 암벨크로 및 수벨크로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암벨크로 및 수벨크로가 결합하여 제 1 구역의 너비를 축소함으로써 깃대와 기를 밀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Velcro has arm Velcro and male Velcro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one side of the first zone, and the female Velcro and male Velcro are combined to reduce the width of the first zone, thereby allowing the flagpole and the flag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본 발명에 따르면, 게양대에서 기와 줄을 깃대에 쉽게 감쌀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g and rope can be easily wrapped around the flagpol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너비를 조절할 수 있는 깃대의 일면을 감싸는 제 1 구역이 구비된 탈부착 및 보관이 용이한 기를 제공함으로써, 기를 깃대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고, 깃대의 직경에 따라 제 1 구역의 너비를 조절함으로써 기를 깃대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으며, 게양된 기가 강풍 등에 의해 흔들리는 과정에서 줄로 연결된 기 또는 깃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기를 게양대의 깃대에 고정 및 게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 및 시간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flag tha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and store with a first zone surrounding one side of the flagpole whose width is adjustable, the flag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flagpole, and the first zone is divid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flagpole.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flag, the flag can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gpole, and the flag or flagpole connected to the string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or damaged when the hoisted flag is shaken by strong winds, etc. This is the process of fixing and hoisting the flag to the flagpole of the hoisting stand. Cost and time loss arising from can be prevented.

또한, 하기한 기는 보관함 없이도 보관이 가능함으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상세하게, 깃발을 제 1 구역의 타면으로 포개어 위치시킨 다음, 지퍼를 타면 방향으로 서로 체결시켜 깃발을 제 1 구역에 수용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다.In addition, the flags listed below can be stored without a storage box, so there are no space restrictions. In detail, the flag can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zone by placing the flag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zone and then fastening the zipper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ide, making it easy to store and carry.

도 1은 종래의 깃발이 깃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대를 감싸는 기가 깃대에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대를 감싸는 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에 의해 제 1 구역의 너비가 축소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에 의해 깃대를 감싸는 공간(a)이 축소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lag fixed to a flagpol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flag surrounding a flagpole is fixed to the flag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flag surrounding a flag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idth of the first section being reduced by Velcr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ace (a) surrounding the flagpole is reduced by Velcr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isclos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identical or similar symbols in the drawings indicate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고안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urpose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naturally understood or become clearer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purpose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깃발(F)이 깃대(P)에 설치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깃발(F)이 깃대(P)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Before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installing a conventional flag (F) on a flagpole (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lag (F) fixed to a flagpole (P).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깃발(F)을 높은 위치에 게양하기 위해서는 깃대(P)에 구비된 로프(L)에 깃발(F)을 연결한 후, 도르래를 이용하여 깃발(F)을 높은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때, 깃발(F)의 일측을 줄 등을 이용하여 깃대(P)에 구비된 로프(L)에 연결하여 깃발(F)을 고정하는데, 게양된 상태에서 바람에 의해 깃발(F)이 심하게 요동치는 경우, 깃발(F)에 줄이 연결된 부분에 집중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므로 깃발(F)의 일측이 훼손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생길 있다. 또한, 깃발(F)이 풍력에 의해 펄럭이는 과정에서 줄의 매듭이 풀어짐에 따라 깃발(F)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없으며, 더 나아가 깃발(F)이 로프(L)에 엉키거나 깃대(P)로부터 이탈되어 분실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대(200)를 감싸는 기(100)를 사용 시, 기(100)가 보다 견고하게 깃대(200)에 고정됨으로써, 기(100)가 엉키거나 깃대(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ure 1, in order to hoist a conventional flag (F) at a high position, connect the flag (F) to the rope (L) provided on the flagpole (P), and then use a pulley to raise the flag (F) high. A method of moving to a location was used.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flag (F) is connected to the rope (L) provided on the flagpole (P) using a rope, etc. to secure the flag (F). However, the flag (F) is violently shaken by the wind while being hoisted. When striking, shock is concentrated on the area where the string is connected to the flag (F), which may cause one side of the flag (F) to be damaged or damaged. In addition, as the flag (F) flutters due to wind power, the knot in the rope becomes untied, making it impossible to securely fix the flag (F). Furthermore, the flag (F) may become tangled in the rope (L) or fall on the flagpole ( There may be cases where it breaks away from P) and is lost.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flag 100 surrounding the flagpo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g 100 is more firmly fixed to the flagpole 200, thereby preventing the flag 100 from becoming tangled or the flagpole 200 ) can be prevented from leaving.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purpos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clearer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iqu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대(200)를 감싸는 기(100)는 깃발(110) 및 제 1 구역(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정,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의 청사, 학교 및 대형건물 등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더욱 견고한 고정이 필요한 게양대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게양대의 깃대(200)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깃대(200)를 감싸를 기(10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게양대의 깃대(2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깃대(20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2 to 5, the flag 100 surrounding the flagpo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lag 110 and a first section 120.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for use in homes, local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 buildings, schools, and large buildings. In detail, it is desirable to apply it to a hoisting pole that requires more robust fixa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lag 100 that surrounds the flagpole 200 that is used by being mounted on the flagpole 200 of the hoisting stand. However,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e flagpole 200 of the hoisting stand, and of course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flagpole 200.

깃발(110)은 소정의 크기를 가진 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글씨 또는 그림을 인쇄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깃발(110)은 천 또는 면 등의 직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면에 국가, 기업, 스포츠 구단, 학교 및 기타 단체 등을 상징하는 글씨 또는 그림을 인쇄하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 깃발(110)의 일면에 인쇄되는 글씨 또는 그림에 따라 본 발명의 기(100)는 국가를 상징하는 국기, 기업을 상징하는 사기, 군대를 상징하는 군기 등이 될 수 있으며, 깃발(110)의 크기 또는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The flag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urface with a predetermined size and is configured to print letters or pictures. In detail, the flag 110 may be formed of fabric such as cloth or cotton, and is configured to print letters or pictures symbolizing a country, company, sports team, school, or other organization on one side. In more detail, depending on the text or picture printed on one side of the flag 110, the flag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 flag symbolizing a country, a flag symbolizing a company, a military flag symbolizing the military, etc., a flag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size or shape of (110).

제 1 구역(120)은 깃발(110)의 일단에 구비되어 깃대(200)의 외주면을 따라 깃대(200)를 감싸는 공간(a)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 1 구역(120)은 소정의 너비를 가지는 면 또는 천 등의 직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구역(120)이 깃대(200) 외주면을 따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됨으로써 깃대(200)를 감싸는 공간(a)을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구역(120) 일면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지퍼, 버튼, 단추 또는 후크가 구비되어 양 단이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제 1 구역 일면의 일단이 깃대(200)의 외주면을 따라 깃대(200)를 감싼 후 타단과 체결함으로써, 깃대(200)의 외주면과 제 1 구역(120)의 일면 사이에 깃대(200)를 감싸는 공간(a)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구역(120) 일면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지퍼(zipper)(121)가 구비되는 것을 기준으로 더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구역(120)은 일면 일단에 형성되는 제 1 지퍼레일(121a), 제 1 지퍼레일(121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면 타단에 형성되는 제 2 지퍼레일(121b), 제 1 지퍼레일(121a) 및 제 2 지퍼레일(121b) 사이에 위치하여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제 1 지퍼레일(121a) 및 제 2 지퍼레일(121b)을 체결 및 분리하는 슬라이더(12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zone 12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lag 110 and is configured to form a space (a) surrounding the flagpole 200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gpole 200. In detail, the first section 120 may be formed of a fabric such as cotton or cloth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first section 120 is fixed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gpole 200. Forms a space (a) surrounding . In more detail,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section 120 are each provided with a zipper, button, button, or hook so that both ends can be fastened or separated, and one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section 120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gpole 200. By wrapping the flagpole 200 along and fastening it with the other end, a space (a) surrounding the flagpole 200 is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gpole 200 and one side of the first section 120. I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explanation will be made based on the fact that zippers 121 are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section 120, respectively. The first zone 120 includes a first zipper rail 121a formed at one end of one side, a second zipper rail 121b formed at the other end of one sid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zipper rail 121a, and a first zipper rail ( It may further include a slider 121c that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zipper rail 121a) and the second zipper rail 121b and moves to fasten and separate the first zipper rail 121a and the second zipper rail 121b.

상세하게, 제 1 지퍼레일(121a)이 형성된 제 1 구역(120) 일면의 일단이 깃대(200)의 외주면을 따라 깃대(200)를 감싼 후 제 2 지퍼레일(121b)이 위치한 일면의 타단과 접하게 되면, 슬라이더(121c)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제 1 지퍼레일(121a)과 제 2 지퍼레일(121b)을 체결함으로써, 제 1 구역(120)은 깃대(200)의 외주면을 따라 깃대(200)를 감싸는 형태가 된다. 즉, 제 1 구역(120) 일면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구비된 지퍼(zipper)(121)를 일면 방향으로 서로 체결함으로써 깃대(200)를 감싸는 공간(a)을 형성할 수 있다.In detail, one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zone 120 where the first zipper rail 121a is formed wraps the flagpole 200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gpole 200, and then the other end of one side where the second zipper rail 121b is located. When they come into contact, the slider 121c is moved to fasten the first zipper rail 121a and the second zipper rail 121b, so that the first zone 120 moves the flagpole 200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gpole 200. It becomes an enveloping form. That is, the space (a) surrounding the flagpole 200 can be formed by fastening zippers 121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section 120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one side.

또한, 제 1 구역(120)의 일면에 깃대(200)를 감싸는 공간(a)을 조절하는 벨크로(122)가 더 구비되어, 깃대(200)의 형상에 따라 깃대(200)를 감싸는 공간(a)을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 벨크로(122)는 깃대(200)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직경이 상이한 경우 깃대(200)를 감싸는 공간(a)을 조절함으로써, 기(100)를 깃대(200)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구역(120)의 일면에 암벨크로(122a) 및 수벨크로(122b)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암벨크로(122a) 및 수벨크로(122b)가 결합함으로써 제 1 구역(120)의 너비를 축소할 수 있다. 보다 더 상세하게, 제 1 지퍼레일(121a) 및 제 2 지퍼레일(121b) 사이에 암벨크로(122a) 및 수벨크로(122b)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암벨크로(122a) 및 수벨크로(122b)가 결합됨에 따라 제 1 지퍼레일(121a) 및 제 2 지퍼레일(121b)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즉, 암벨크로(122a) 및 수벨크로(122b)를 체결하여 제 1 구역(12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간격을 좁히고, 제 1 구역(120)의 일단이 깃대(200)를 감싼 후 타단과 체결하여 형성되는 깃대(200)를 감싸는 공간(a)을 축소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깃대(200)의 직경 또는 형상에 따라 깃대(200)를 감싸는 공간(a)을 조절함으로써 깃발(110)을 깃대(200)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Velcro 122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area 120 to adjust the space (a) surrounding the flagpole 200, so that the space (a) surrounding the flagpole 20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lagpole 200. ) can be adjusted. In detail, Velcro 122 serves to fix the flag 100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gpole 200 by adjusting the space (a) surrounding the flagpole 200 when the diameter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lagpole 200 are different. Do it. In more detail, arm Velcro (122a) and sub Velcro (122b)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one side of the first zone 120, and the arm Velcro (122a) and sub Velcro (122b) are combined to form the first zone ( 120) can be reduced in width. In more detail, arm Velcro (122a) and male Velcro (122b)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tween the first zipper rail (121a) and the second zipper rail (121b), and the female Velcro (122a) and male Velcro ( As 122b) is combined, the gap between the first zipper rail 121a and the second zipper rail 121b can be narrowed. That is, the arm Velcro (122a) and the female Velcro (122b) are fastened to narrow the gap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ection 120, and one end of the first section 120 wraps the flagpole 200 and connects it to the other end. The space (a) surrounding the flagpole 200 formed by fastening can be reduced. As a result, the flag 110 can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gpole 200 by adjusting the space a surrounding the flagpole 200 according to the diameter or shape of the flagpole 200.

한편, 깃대(200)는 깃대(20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기(1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견인줄(21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기(100)는 깃대(20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lagpole 2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tow line 210 that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gpole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move the flag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lag 100 is attached to the flagpole 200. A fixing means 123 for fixing may be further provided.

상세하게, 견인줄(210)에는 고정수단(123)이 체결되는 체결부(미도시)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수단(123)을 체결부에 체결시킴으로써 기(100)를 견인줄(2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견인줄(210)에 고정된 기(100)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높은 위치에 게양하거나 하기할 수 있다.In detail, the tow line 21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fastening part (not shown) to which the fixing means 123 is fastened, and the machine 100 is connected to the tow line 210 by fastening the fixing means 123 to the fastening part. ) can be fixed to. Additionally, the flag 100 fixed to the tow line 210 can be raised or lowered in a high position by moving it up and down.

고정수단(123)은 끈 또는 링 형태의 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견인줄(210)에 구비되는 체결부에 체결하거나 또는 견인줄(210)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기(100)를 깃대(200)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123)이 제 1 구역(120) 일면에 형성되고, 견인줄(210)에 구비되는 체결부에 각각 체결됨으로써 기(100)를 견인줄(2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기(100)는 제 1 구역(120)의 일면이 깃대(200) 및 견인줄(2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깃대(200)에 밀착되어 고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123)을 체결부에 각각 체결하여 기(100)와 견인줄(210)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구역(120) 일면의 일단이 깃대(200) 및 견인줄(210)을 감싼 후 일면의 타단과 체결됨으로써, 제 1 구역(120)의 일면이 깃대(200) 및 견인줄(210)을 감싼 형태로 기(100)가 깃대(200)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The fixing means 123 may be formed as a string or a ring-shaped ring, and the flag 100 is fixed to the flagpole 200 by fastening to a fastening part provided on the tow line 210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tow line 210. It is configured to do this. In detail, at least one fixing means 12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ection 120, and is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fastening portion provided on the tow line 210, so that the machine 100 can be fixed to the tow line 210. . At this time, the flag 100 can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gpole 200 in such a way that one side of the first section 120 surroun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gpole 200 and the tow line 210. In detail, in a state where the flag 100 and the tow line 210 are connected by fastening at least one fixing means 123 to the fastening portion, one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area 120 is connected to the flagpole 200 and the tow line 210. ) is wrapped and then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one side, so that one side of the first section 120 wraps the flagpole 200 and the tow line 210, and the flag 100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gpole 200.

한편, 깃발(110)은 제 1 구역(120)에 수용 및 보관할 수 있다. 상세하게, 깃발(110)을 제 1 구역(120)의 타면으로 포개어 위치시킨 다음, 지퍼(zipper)(121)를 타면 방향으로 서로 체결 시킴으로써 깃발(110)이 제 1 구역(120)에 수용 및 보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깃발(110)을 깃발(1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구역(120)의 타면으로 말거나 접어 포갠 상태로 위치시킨 다음, 제 1 지퍼레일(121a)이 형성된 제 1 구역(120) 일면의 일단이 깃발(110)을 감싸고 제 2 지퍼레일(121b)이 형성된 일면의 타단과 접하도록 한 후, 제 1 지퍼레일(121a) 및 제 2 지퍼레일(121b)을 슬라이더(121c)를 통해 체결시킴으로써, 제 1 구역(120)이 깃발(110)을 감싸는 형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때, 글씨 또는 그림이 인쇄된 깃발(110)이 제 1 구역(120)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단되기 때문에 오염의 위험이 적고,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다.Meanwhile, the flag 110 can be accommodated and stored in the first area 120. In detail, the flags 110 are placed on top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rea 120, and then fastened with a zipper 121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ide, so that the flag 11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rea 120. It can be stored. In more detail, the flag 110 is placed in a rolled or folded state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zone 120 formed on one side of the flag 110, and then the first zone 120 where the first zipper rail 121a is formed. ) After one end of one side surrounds the flag 11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one side where the second zipper rail (121b) is formed, the first zipper rail (121a) and the second zipper rail (121b) are connected to the slider (121c). By fastening through, the first section 120 can be stored in a form surrounding the flag 110. At this time, since the flag 110 on which letters or pictures are printed is blocked from the outside by the first zone 120, the risk of contamination is low and it is easy to store and carry.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ll be possible. should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above patent claims.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ot limited by

100: 기 110: 깃발
120: 제 1 구역 121: 지퍼(zipper)
121a: 제 1 지퍼레일 121b: 제 2 지퍼레일
121c: 슬라이더 122: 벨크로
122a: 암벨크로 122b: 수벨크로
123: 고정수단 200: 깃대
210: 견인줄 a: 깃대를 감싸는 공간
100: flag 110: flag
120: first section 121: zipper
121a: first zipper rail 121b: second zipper rail
121c: Slider 122: Velcro
122a: Female Velcro 122b: Female Velcro
123: fixing means 200: flagpole
210: Tow line a: Space surrounding the flagpole

Claims (9)

게양대의 깃대에 설치되는 기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크기를 가진 면 형상의 깃발; 및
상기 깃발 일단에 상기 깃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깃대를 감싸는 공간(a)이 형성되도록 제 1 구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대를 감싸는 기.
Regarding the flag installed on the flagpole,
A flag in the shape of a plane with a predetermined size; and
A flag surrounding a flagpole,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zone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lag to form a space (a) surrounding the flagpol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gpo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는 깃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대를 감싸는 기.
According to clause 1,
A flag surrounding a flagp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g is further provided with fixing means for fixing it to the flagpol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깃대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기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견인줄; 및
상기 견인줄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수단이 체결되는 체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대를 감싸는 기.
According to clause 2,
The flagpole is
A tow rop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move the fla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device surrounding a flagpo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fastening part formed on the tow line and fastened to the fixing mean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는 상기 제 1 구역의 일면이 상기 깃대 및 견인줄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대를 감싸는 기.
According to clause 3,
The flag is a flag surrounding a flagpole,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of the first section is fixed in a form surrounding the flagpole and the tow l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역 일면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지퍼, 버튼, 단추 또는 후크가 구비되어 양 단이 서로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대를 감싸는 기.
According to clause 1,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section are each provided with a zipper, button, button, or hook so that both ends can be fastened to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역 일면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지퍼가 구비되고, 상기 지퍼를 일면 방향으로 서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깃대를 감싸는 공간(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대를 감싸는 기.
According to clause 1,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section are each provided with a zipper, and the zippers are fastened together in one side direction to form a space (a) surrounding the flagpol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깃발을 상기 제 1 구역의 타면으로 포개어 위치시킨 다음, 상기 지퍼를 타면 방향으로 서로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깃발이 상기 제 1 구역에 수용 및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깃대를 감싸는 기.
According to clause 6,
A flag surrounding a flagpole, wherein the flag is accommodated and stored in the first zone by placing the flag over the other side of the first zone and then fastening the zipper to the other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zo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역의 일면에 상기 깃대를 감싸는 공간(a)을 조절하는 벨크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대를 감싸는 기.
According to clause 1,
A flag surrounding a flagpole, characterized in that Velcro for adjusting the space (a) surrounding the flagpole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zon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벨크로는,
상기 제 1 구역의 일면에 암벨크로 및 수벨크로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암벨크로 및 수벨크로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 1 구역의 너비를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대를 감싸는 기.
According to clause 8,
The Velcro is,
Female Velcro and sub Velcro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one side of the first zone,
A flag surrounding a flagp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first zone is reduced by combining the arm Velcro and the male Velcro.
KR1020220066321A 2022-05-30 2022-05-30 The flag that wraps around the flagpole KR202301663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321A KR20230166391A (en) 2022-05-30 2022-05-30 The flag that wraps around the flagp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321A KR20230166391A (en) 2022-05-30 2022-05-30 The flag that wraps around the flagpo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391A true KR20230166391A (en) 2023-12-07

Family

ID=8916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321A KR20230166391A (en) 2022-05-30 2022-05-30 The flag that wraps around the flagp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6391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508B1 (en) 2000-10-14 2002-07-18 윤광열 A Flag with Rings
KR101024207B1 (en) 2009-07-03 2011-03-23 권혁준 Flag hol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508B1 (en) 2000-10-14 2002-07-18 윤광열 A Flag with Rings
KR101024207B1 (en) 2009-07-03 2011-03-23 권혁준 Flag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3221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banner unfurled
US5291849A (en) Flag support with furl preventer
US8813674B2 (en) Flag protection device
KR102644632B1 (en) The flag that wraps around the flagpole
KR20230166391A (en) The flag that wraps around the flagpole
US2225103A (en) Flag holder
JP5264138B2 (en) Raft flag raising device
KR20190012342A (en) Banner Stand with Elastic Hook
US10557284B2 (en) Fastening a portable shade apparatus to a fence to provide shade
KR20100005277U (en) Banner of prevent tangling
US7513073B1 (en) Kit for signage suspension
US20060207494A1 (en) Staff-mounted banner
US3680526A (en) Tangle free flag rigging
KR20150137880A (en) A folding lotus lamp for fix by with wire and cable tie
KR20100006439A (en) A banner rack
JP2008083695A (en) Flag including elastic member
US1631567A (en) Flag support and actuating device therefor
JP3089391U (en) No wind dripping prevention flag
US6899320B1 (en) Chain link fence tightening assembly
US6739080B2 (en) Skein label
JP6114342B2 (en) Flag body structure.
US11574565B2 (en) Flag pole mechanism
JPS6347901Y2 (en)
KR100343508B1 (en) A Flag with Rings
KR102643623B1 (en) A flag type surveying point indicat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