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042A - A full-length infectious clone of Zika virus or variants thereof and their uses - Google Patents

A full-length infectious clone of Zika virus or variants thereof and their us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042A
KR20230166042A KR1020230060438A KR20230060438A KR20230166042A KR 20230166042 A KR20230166042 A KR 20230166042A KR 1020230060438 A KR1020230060438 A KR 1020230060438A KR 20230060438 A KR20230060438 A KR 20230060438A KR 20230166042 A KR20230166042 A KR 20230166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ka virus
con1
clone
seq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04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종원
정해광
조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23/00726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29422A1/en
Publication of KR20230166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042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7/00Viruses; Bacteriophages; Compositions thereof;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7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rus or bacteriophag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7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positive-sense
    • C12N2770/00011Details
    • C12N2770/24011Flaviviridae
    • C12N2770/24111Flavivirus, e.g. yellow fever virus, dengue, JEV
    • C12N2770/24121Viruses as such, e.g. new isolates, mutants or their genomic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7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positive-sense
    • C12N2770/00011Details
    • C12N2770/24011Flaviviridae
    • C12N2770/24111Flavivirus, e.g. yellow fever virus, dengue, JEV
    • C12N2770/241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7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positive-sense
    • C12N2770/00011Details
    • C12N2770/24011Flaviviridae
    • C12N2770/24111Flavivirus, e.g. yellow fever virus, dengue, JEV
    • C12N2770/24161Methods of inactivation or attenu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일 양상은 지카바이러스 감염성 전장 클론 또는 이의 변이체 및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르면,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 또는 이의 유도체는 지카바이러스의 복제 기작, 생활사 및 병원성 분석에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론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스크리닝 및 진단 기술의 유효성 평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클론 또는 이의 유도체로부터 복원되는 지카바이러스의 유전 물질, 단백질 또는 이들의 단편은 지카바이러스 예방용 백신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One aspect relates to Zika virus infectious full-length clones or variants thereof and their uses. According to one aspect, a full-length Zika virus clone or derivative thereof containing the T7 bacterial phage promoter can be used to analyze the replication mechanism, life cycle, and pathogenicity of Zika virus. Therefore, the clone can be usefully used for screening of drugs for preventing or treating Zika virus infection and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diagnostic technology, and the genetic material, protein, or fragments thereof of the Zika virus recovered from the clone or a derivative thereof can be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Zika virus infection. It can be useful as a vaccine to prevent viruses.

Description

지카바이러스 감염성 전장 클론 또는 이의 변이체 및 이들의 용도 {A full-length infectious clone of Zika virus or variants thereof and their uses}{A full-length infectious clone of Zika virus or variants thereof and their uses}

지카바이러스 감염성 전장 클론 또는 이의 변이체 및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infectious full-length Zika virus clones or variants thereof and their uses.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ZIKV)는 플라비비리대과(Flaviviridae Family)의 플라비바이러스속(Flavivirus genus)에 속하는 10.8-kb 크기의 단일가닥 양성 RNA 게놈을 지닌 바이러스로서, 게놈의 5'과 3'말단에 위치한 비번역부위(untranslated region; 이하 “UTR”로 약칭함)와 그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단일 오픈 리딩 프레임(open reading frame; 이하 “ORF”로 약칭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ORF는 약 3,400 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다단백질(polyprotein)을 만들며 이 긴 단일 단백질은 3개의 구조 단백질(Capsid, prM, Envelope)과 7개의 비구조 단백질(NS1, NS2A, NS2B, NS3, NS4A, NS4B, NS5)로 이루어져 있다.Zika virus (ZIKV) is a virus with a 10.8-kb single-stranded positive RNA genome belonging to the Flavivirus genus of the Flaviviridae Family, with the 5' and 3' sides of the genome. It consists of an untranslated region (hereinafter abbreviated as “UTR”) located at the end and a single open reading frame (hereinafter abbreviated as “ORF”) located in between. This ORF creates a polyprotein consisting of approximately 3,400 amino acids, and this long single protein consists of three structural proteins (Capsid, prM, Envelope) and seven non-structural proteins (NS1, NS2A, NS2B, NS3, NS4A, and NS4B). , NS5).

1947년 아프리카 우간다에서 처음 발견된 지카바이러스는 2000년 초반까지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다른 플라비바이러스속 바이러스와 비교 시 상대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해 왔으나, 최근 남미/북미 지역과 아시아 및 아메리카에서 빠른 속도로 번지며 각국에서 제어기술 개발을 위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카바이러스 감염은 피부발진, 고열, 현기증, 신경성식욕부진, 관절통 등의 증상과 더불어 소두증, 뇌염 등과 같은 신경학적 장애를 일으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신생아 소두증 및 뇌 기능 저해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지카바이러스는 성행위를 통해 인간간 전파도 가능하여 무증상 잠복기간 중 인간간 전파로 확산이 가능하다. Zika virus, which was first discovered in Uganda, Africa in 1947,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compared to other flavivirus viruses transmitted by mosquitoes until the early 2000s, but has recently spread rapidly in South America, Asia, and the Americas. It is spreading rapidly, a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develop control technology in each country. Zika virus infection is reported to cause symptoms such as skin rash, high fever, dizziness, anorexia nervosa, and joint pain, as well as neurological disorders such as microcephaly and encephalitis. It can also cause neonatal microcephaly and brain function impairment. The Zika virus can also spread between humans through sexual intercourse, so it can spread between humans during the asymptomatic incubation period.

지카바이러스의 주요 매개체는 흰줄숲모기가 주요한 매개 종이고 이 모기는 국내 제주서 지구 온난화 등의 이유로 개체가 증가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개체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모기는 특히 거주지에 많이 서식하며 새벽과 황혼에 주로 먹이활동을 하는 다른 개체와 달리 주간에도 먹이활동을 하여 대도시 및 외국인 출입이 많은 곳에서 발병 시 사회적 문제가 될 수 있다.The main vector of the Zika virus is the Aedes mosquito, and the population of this mosquito is increasing in Jeju, Korea, due to global warming, etc. It is reported that the population is increasing worldwide. This mosquito is especially abundant in residential areas, and unlike other species that feed mainly at dawn and dusk, it also feeds during the day, so it can become a social problem in large cities and places with a lot of foreigners.

계통학적으로, 지카바이러스는 크게 아프리카, 아시아 두 가지 계통으로 나뉜다. 비록 두 계통은 유전학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지카바이러스는 오직 하나의 항원형(serotype)을 지닌다. 세포 기반 및 마우스를 이용한 감염실험에서 아프리카 계통은 아시아 계통보다 감염성 및 병원성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표현형(phenotype)의 차이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최근 보고되는 지카바이러스 인간 감염 사례는 아시아 계통에 속한다. 어떠한 유전학적 차이가 병원성에 기여하는지, 어떠한 이유로 인간 감염 사례가 아시아 계통 한정적인지는 현재까지도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역유전학 시스템 기반 지카바이러스 키메릭 재조합바이러스 제조 기술은 이러한 지카바이러스 계통별로 차이가 나는 병독성 인자를 규명하고 바이러스 단백질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재조합바이러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이 재조합바이러스는 안전성 확보가 중요한 약독화 백신 골격(backbone) 벡터 개발 및 항바이러스제 스크리닝에도 활용이 가능하다.Phylogenetically, Zika virus is largely divided into two strains: African and Asian. Although the two strains are genetically different, the Zika virus has only one serotype. In infection experiments using cell-based and mice, African strains are reported to be more infectious and pathogenic than Asian strains. Despite these differences in phenotype, recently reported cases of human infection with Zika virus belong to the Asian strain. . To date, it is not clear what genetic differences contribute to pathogenicity or why human infection cases are limited to Asian strains. The reverse genetics system-based Zika virus chimeric recombinant virus manufacturing technology can provide recombinant viruses that can be used to identify virulence factors that differ between Zika virus strain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iral proteins. Furthermore, this recombinant virus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attenuated vaccine backbone vectors, where safety is important, and in antiviral drug screening.

RNA 바이러스들은 복제에 핵심 요소인 RNA 중합효소가 error-proof reading 능력이 없다. 이로 인해 유전자를 복제하는 동안 빠르게 유전자 서열이 변화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생활사를 분자생물학 수준에서 연구하기 위해 동질(homogeneous)의 유전자를 지닌 바이러스의 사용이 필요하다. 역유전학 시스템은 이러한 바이러스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고 이를 활용하여 바이러스-숙주 상호작용 연구, 차세대 재조합 유전자 백신 및 항바이러스제 개발, 백신 및 진단 기술의 유효성 평가 및 동물모델을 사용한 지카바이러스의 병원성 인자 규명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기술로 얻은 바이러스 cDNA 클론은 mRNA 백신의 제작에 사용할 수 있는 항원 발현 유전자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항원의 발현에도 활용할 수 있다.RNA viruses do not have error-proof reading ability, such as RNA polymerase, which is a key element in replication. Because of this, the gene sequence changes rapidly during gene replication, so it is necessary to use viruses with homogeneous genes to study the virus life cycle at the molecular biology level. The reverse genetics system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these viruses and utilizes them to study virus-host interactions, develop next-generation recombinant gene vaccines and antivirals,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vaccines and diagnostic technologies, and study the identification of pathogenic factors of Zika virus using animal models. makes possible. In addition, the viral cDNA clone obtained by the above technique can not only provide an antigen expression gene that can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an mRNA vaccine, but can also be used for the expression of this antigen.

상기한 목적을 위해 다양한 지카바이러스 바이러스주들의 보존된 유전자 서열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재조합 지카바이러스 Con1을 제작하였다. 또한, 아프리카 우간다에서 분리된 지카바이러스 대표 바이러스인 MR766의 세포 적응 바이러스를 사용하여 감염성 전장 클론을 제작함으로써, 지난 70여년간 바이러스 유전자가 변화되며 병독성 인자가 어떻게 진화되었는지를 규명하는데 사용하였다. Con1은 아시아 바이러스주인 PRVABC59 보다 세포에서 약독화된 특성을 나타내었다. 상기한 Con1과 세포적응 MR766에 대한 감염성 전장 cDNA 클론을 이용해 키메릭 클론들을 제작하여 지카바이러스 병원성에 기여하는 인자를 발굴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ZIKV Con1 전장 클론에 병원성이 높은 MR766 바이러스주의 비구조 단백질(NS5 또는 NS1-NS5) 코딩 유전자를 치환시켜 얻은 키메릭 클론(ZIKV-Con1/MR_NS5 및 ZIKV-Con1/MR_NS1-5)을 제작하여 Con1 보다 복제능 및 병원성이 증가된 새로운 지카바이러스 Con1 유도체 클론을 제작하였다. 또한, 아프리카 계통과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 3’-UTR 말단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4 내지 5개 뉴클레오타이드(nucleotide, nt)의 유전자 서열의 기능을 분석하고, 이 유전정보를 활용한 재조합바이러스 제조와 활용법을 개발하였다.For the above purpose, a new recombinant Zika virus Con1 was created using the conserved gene sequence information of various Zika virus strains. In addition, by creating an infectious full-length clone using a cell-adapted virus of MR766, a representative Zika virus isolated in Uganda, Africa, it was used to identify how viral genes have changed and virulence factors have evolved over the past 70 years. Con1 showed more attenuated characteristics in cells than PRVABC59, an Asian virus strain. Chimeric clones were constructed using the infectious full-length cDNA clones for Con1 and cell-adapted MR766, and factors contributing to Zika virus pathogenicity were discovered. More specifically, chimeric clones (ZIKV-Con1/MR_NS5 and ZIKV-Con1/MR_NS1-5) obtained by substituting the gene encoding the non-structural protein (NS5 or NS1-NS5) of the highly pathogenic MR766 virus strain in the ZIKV Con1 full-length clone were created. Thus, a new Zika virus Con1 derivative clone with increased replication ability and pathogenicity than Con1 was produced. In addition, we analyzed the function of the 4 to 5 nucleotide (nt) gene sequence specifically present at the 3'-UTR end of African and Asian Zika viruses, and used this genetic information to produce and utilize recombinant viruses. was developed.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7471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74714

일 양상은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aspect is to provide a full-length clone of Zika virus containing the T7 bacterial phage promoter.

다른 양상은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 내 지카바이러스의 캡시드 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외피 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 및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을 포함하고,Another aspect is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capsid protein of the Zika virus,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envelope protein of the Zika virus, and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Zika virus in a full-length clone of the Zika virus containing the T7 bacterial phage promoter. Including,

CMV 프로모터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서브게노믹 레플리콘(subgenomic replicon)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aim is to provide a subgenomic replicon of Zika virus containing a base sequence encoding the CMV promoter.

또 다른 양상은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 내 지카바이러스의 캡시드 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미니게놈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Zika virus minigenome containing a base sequence encoding the capsid protein of the Zika virus within a full-length Zika virus clone containing the T7 bacterial phage promoter.

또 다른 양상은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 또는 이의 유도체를 세포에 도입하는 단계;Another aspect includes introducing into a cell a full-length clone of Zika virus or a derivative thereof comprising a T7 bacterial phage promoter;

후보 약제를 상기 세포에 처리하는 단계;treating the cells with a candidate agent;

상기 약제를 처리한 세포에서 지카바이러스의 역가를 측정하는 단계; 및Measuring the titer of Zika virus in cells treated with the drug; and

상기 역가가 상기 약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약제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o provide a screening method for a drug for preventing or treating Zika virus infection, including the step of selecting a drug whose titer is reduced compared to a control group not treated with the drug.

또 다른 양상은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 또는 이의 유도체로부터 복원되는 지카바이러스의 유전 물질, 상기 유전 물질이 발현하는 단백질 또는 이들의 단편을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 백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Zika virus vaccine composition comprising genetic material of the Zika virus reconstructed from a full-length clone of the Zika virus or a derivative thereof containing a T7 bacterial phage promoter, a protein expressed by the genetic material, or a fragment thereof. .

또 다른 양상은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 또는 이의 유도체로부터 복원되는 지카바이러스의 유전 물질, 상기 유전 물질이 발현하는 단백질 또는 이들의 단편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includes administering the genetic material of the Zika virus reconstructed from a full-length clone of the Zika virus or a derivative thereof containing a T7 bacterial phage promoter, a protein expressed by the genetic material, or a fragment thereof to an individual in need thereof.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Zika virus infection, including:

또 다른 양상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 또는 이의 유도체로부터 복원되는 지카바이러스의 유전 물질, 상기 유전 물질이 발현하는 단백질 또는 이들의 단편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is the genetic material of the Zika virus restored from a full-length clone of the Zika virus or a derivative thereof containing a T7 bacterial phage promoter for the production of a drug for preventing or treating Zika virus infection, the protein expressed by the genetic material, or these It is to provide the purpose of the fragment.

일 양상은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을 제공한다.One aspect provides a full-length clone of Zika virus containing a T7 bacterial phage promoter.

상기 "지카바이러스"는 플라비비리대과(Flaviviridae family)의 플라비바이러스속(Flavivirus genus)에 속하는 단일가닥 양성 RNA 게놈을 지닌 바이러스로서, 5'-UTR(untranslated region), 3’-UTR 및 ORF(open reading frame)로 구성된다. 상기 ORF는 약 3,400 개의 아미노산을 지닌 다단백질(polyprotein)로써, 3개의 구조 단백질(Capsid, prM, Envelope)과 7개의 비구조 단백질(NS1, NS2A, NS2B, NS3, NS4A, NS4B, NS5)로 구성된다.The "Zika virus" is a virus with a single-stranded positive RNA genome belonging to the Flavivirus genus of the Flaviviridae family, including 5'-UTR (untranslated region), 3'-UTR and ORF. It consists of an open reading frame. The ORF is a polyprotein with approximately 3,400 amino acids and consists of 3 structural proteins (Capsid, prM, Envelope) and 7 non-structural proteins (NS1, NS2A, NS2B, NS3, NS4A, NS4B, NS5). do.

상기 "프로모터"는 RNA 중합효소에 대한 인식 및 결합 부위를 제공함으로써, 전사체의 합성을 제어하는 핵산 서열을 의미한다. 상기 프로모터는 상기 유전자의 전사 조절에 관여하는 추가 인자에 대한 추가적인 인식 부위 또는 결합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moter” refers to a nucleic acid sequence that controls the synthesis of a transcript by providing a recognition and binding site for RNA polymerase. The promoter may contain additional recognition sites or binding sites for additional factors involved in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gene.

상기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는 T7 박테리아 파지에서 유래한 프로모터로, T7 박테리아 파지 유래 RNA 중합효소가 전사를 개시하기 위해 결합하는 DNA 서열을 의미한다.The “T7 bacterial phage promoter” is a promoter derived from the T7 bacterial phage, and refers to the DNA sequence to which the T7 bacterial phage-derived RNA polymerase binds to initiate transcription.

상기 "클론"은 동일한 유전자의 복제물을 의미하며, "전장 클론"은 ZIKV 전장(full-length) 유전자를 포함하는 클론을 의미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전장 클론은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유전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one” refers to a copy of the same gene, and the “full-length clone” refers to a clone containing the full-length ZIKV gene. In one aspect, the full-length clone may include the full-length Zika virus gene.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클론은 지카바이러스의 복제 기작, 생활사 및 병원성 분석에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론 및 이를 이용한 유도체는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스크리닝 및 진단 기술의 유효성 평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클론으로부터 복원되는 지카바이러스의 유전 물질, 단백질 또는 이들의 단편은 지카바이러스 예방용 백신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clone can be used to analyze the replication mechanism, life cycle, and pathogenicity of Zika virus. Therefore, the clones and derivatives using them can be usefully used in the screening of drugs for preventing or treating Zika virus infection and i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diagnostic technologies, and the genetic material, proteins, or fragments thereof of the Zika virus recovered from the clones It can be useful as a vaccine to prevent Zika virus.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클론은 HDVRz(hepatitis delta virus ribozyme) 및 SacI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에 의해 절단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론은 상기 절단되는 영역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효소에 의해 주형 DNA가 선형화될 수 있고, 상기 선형화된 주형 DNA는 T7 RNA 중합효소에 의한 in vitro 전사(transcription)를 종결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를 통해 생성된 RNA는 HDVr의 작용에 의해 정확한 3' 말단서열을 갖는 지카바이러스 게놈을 복원시킬 수 있다.In one aspect, the clone may include a region cleaved by one or more enzym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DVRz (hepatitis delta virus ribozyme) and SacII. Since the clone includes the cleaved region, the template DNA can be linearized by the enzyme, and the linearized template DNA can terminate in vitro transcription by T7 RNA polymerase. Furthermore, the RNA produced through this can restore the Zika virus genome with the correct 3' terminal sequence through the action of HDVr.

또한,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클론은 pBeloBAC11 벡터를 주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pBeloBAC11 벡터는 세균 인공 염색체(bacteria artificial chromosome)로서, 상기 세균 인공 염색체는 100 kb 이상의 거대한 유전체 클론을 플라스미드 형태로 대장균에서 안전하게 유지하고 증폭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인공적인 DNA 구조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세균 인공 염색체는 연구하고자 하는 생명체의 전체 유전자와 조절 프로모터를 안전하게 운반하고 유지하기 쉽기 때문에 유전자와 특정 프로모터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one aspect, the clone may be prepared using the pBeloBAC11 vector as a template. The pBeloBAC11 vector is a bacterial artificial chromosome, which refers to an artificial DNA structure used to safely maintain and amplify a large genome clone of 100 kb or more in the form of a plasmid in E. coli. These bacterial artificial chromosomes can be used as a means to provide genes and specific promoters because they are easy to safely transport and maintain the entire genes and regulatory promoters of the organism being studied.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지카바이러스는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 또는 상기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 및 상기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키메릭(chimeric) 바이러스일 수 있다.In one aspect, the Zika virus may be an Asian Zika virus, an African Zika virus, or a chimeric virus of the Asian Zika virus and the African Zika virus.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는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 서열 및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서열에서 공통적으로 보존되어 있는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약칭 Con1). 또한, 상기 Con1은 PRVABC59 지카바이러스(ATCC VR-1843)(GenBank number: KU501215.1)의 염기 서열(서열번호 34)과 95%, 96%, 97%, 98%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는 PRVABC59 지카바이러스의 캡시드 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부터 변이된 염기 서열 및 PRVABC59 지카바이러스의 복제효소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부터 변이된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aspect, the Asian Zika virus may include a sequence that is commonly conserved in the Asian Zika virus sequence and the African Zika virus sequence (abbreviated as Con1). In addition, the Con1 has more than 95%, 96%, 97%, 98% or 99% homology to the nucleotide sequence (SEQ ID NO: 34) of PRVABC59 Zika virus (ATCC VR-1843) (GenBank number: KU501215.1). It may be. Specifically, the Asian Zika virus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nucleotide sequence mutated from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capsid protein of the PRVABC59 Zika virus and a nucleotide sequence mutated from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replicase of the PRVABC59 Zika virus. It may include a base sequenc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PRVABC59 지카바이러스의 캡시드 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부터 변이된 염기 서열은 PRVABC59 지카바이러스의 염기 서열(서열번호 34)의 346번째 염기가 C에서 T로 치환된 염기 서열일 수 있고, 상기 PRVABC59 지카바이러스의 복제효소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부터 변이된 염기 서열은 PRVABC59 지카바이러스의 염기 서열(서열번호 34)의 7939번째 염기가 T에서 C로 치환된 염기 서열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PRVABC59 지카바이러스의 염기 서열(서열번호 34)의 346번째 염기가 C에서 T로 치환되고, 7939번째 염기가 T에서 C로 치환된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상기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은 서열번호 12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nucleotide sequence mutated from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capsid protein of the PRVABC59 Zika virus may be a nucleotide sequence in which the 346th base of the PRVABC59 Zika virus nucleotide sequence (SEQ ID NO: 34) is substituted from C to T, The nucleotide sequence mutated from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replication enzyme of the PRVABC59 Zika virus may be a nucleotide sequence in which the 7939th base of the PRVABC59 Zika virus nucleotide sequence (SEQ ID NO: 34) is substituted from T to C, for example, The full-length clone of the Asian Zika virus, which includes a nucleotide sequence in which the 346th base of the PRVABC59 Zika virus nucleotide sequence (SEQ ID NO: 34) is substituted from C to T, and the 7939th base is substituted from T to C, is SEQ ID NO: It may be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12 base sequences.

상기 “상동성(homology)”은 야생형 염기 서열과의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상동성의 비교는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비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서열간 상동성을 백분율(%)로 계산할 수 있다.The “homology” is intended to indicate the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wild-type base sequence. Comparison of such homology can be performed using a comparison program widely known in the art, and homology between two or more sequences can be determined. It can be calculated as a percentage (%).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Con1의 전장 클론으로부터 복원된 지카바이러스는 PRVABC59 지카바이러스 보다 약독화(attenuation)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용어 "약독화(attenuation)"는 바이러스의 증식력 및 병원성이 감소되는 현상을 의미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Zika virus restored from the full-length clone of Con1 may be attenuated than the PRVABC59 Zika virus. The term “attenuati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proliferative power and pathogenicity of a virus are reduced.

또한,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는 MR766 지카바이러스(ATCC VR-84)(GenBank number: KX830960)로부터 세포에서 계대배양을 통해 적응된 지카바이러스로서, MR766 지카바이러스(ATCC VR-84)(GenBank number: KX830960)의 염기 서열(서열번호 37)과 95%, 96%, 97%, 98%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는 MR766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NS3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부터 변이된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MR766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NS3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부터 변이된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상기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은 서열번호 36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aspect, the African Zika virus is a Zika virus adapted from MR766 Zika virus (ATCC VR-84) (GenBank number: KX830960) through subculture in cells, and MR766 Zika virus (ATCC VR-84) It may have more than 95%, 96%, 97%, 98%, or 99% homology with the nucleotide sequence (SEQ ID NO: 37) of (GenBank number: KX830960). Specifically, the African Zika virus may include a nucleotide sequence mutated from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non-structural protein NS3 of the MR766 Zika virus, for example,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non-structural protein NS3 of the MR766 Zika virus. The full-length clone of the African Zika virus containing a nucleotide sequence mutated from may be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6.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Con1 및 MR766 클론 내 지카바이러스는 3’말단 염기 서열이 변이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이는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3'말단 염기 서열이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3'말단 염기 서열로 치환되는 것이거나,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3’말단 염기 서열이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3’말단 염기 서열로 치환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이는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3’말단 염기 서열이 -GTCT-3’인 경우, -TTTCT-3’로 치환되는 것이거나,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3’말단 염기 서열이 -TTTCT-3’인 경우, -GTCT-3’로 치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3'말단 염기 서열을 치환시킴으로써, 모기 매개 감염 및 동물실험에서 다른 표현형을 나타낼 수 있다.In one aspect, the Zika virus in the Con1 and MR766 clones may have a 3' terminal base sequence mutated. Specifically, the mutation is one in which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Asian Zika virus is replaced with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African Zika virus, or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African Zika virus is replaced with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Asian Zika virus. 'It may be replaced by the terminal base sequence. More specifically, the mutation is when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Zika virus is -GTCT-3', it is substituted with -TTTCT-3', or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Zika virus is -TTTCT-3. In the case of ', it may be replaced with -GTCT-3'. By substituting the 3' terminal base sequence of the Zika virus, different phenotypes can be displayed in mosquito-borne infections and animal experiments.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Con1 클론의 3’말단 염기 서열이 -GTCT-3’에서 -TTTCT-3’로 치환된 경우, 상기 클론은 서열번호 13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고, 상기 MR766 클론의 3’말단 염기 서열이 -TTTCT-3’에서 -GTCT-3’로 치환된 경우, 상기 클론은 서열번호 95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In one aspect, when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Con1 clone is substituted from -GTCT-3' to -TTTCT-3', the clone may be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3, and the MR766 If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clone is substituted from -TTTCT-3' to -GTCT-3', the clone may be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95.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키메릭(chimeric) 바이러스는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염기 서열 일부가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염기 서열 일부로 치환된 바이러스이거나,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염기 서열 일부를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염기 서열 일부로 치환된 바이러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메릭 바이러스는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이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 치환된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이거나,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이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 치환된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일 수 있고, 상기 비구조단백질은 NS1, NS2A, NS2B, NS3, NS4A, NS4B 및 NS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메릭 바이러스는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NS5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이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NS5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 치환된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이거나,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전체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이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전체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 치환된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이거나,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전체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이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전체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 치환된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일 수 있다.In one aspect, the chimeric virus is a virus in which part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Asian Zika virus is replaced with a part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African Zika virus, or a part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African Zika virus is replaced with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Asian Zika virus. It may be a virus in which part of the sequence has been replaced. Specifically, the chimeric virus is an Asian Zika virus in which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Asian Zika virus has been replaced with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African Zika virus, or th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African Zika virus has been replaced. The coding nucleotide sequence may be an African Zika virus substituted with a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a non-structural protein of an Asian Zika virus, and the non-structural protei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S1, NS2A, NS2B, NS3, NS4A, NS4B, and NS5. There can be more than one. More specifically, the chimeric virus is an Asian Zika virus in which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non-structural protein NS5 of the Asian Zika virus is replaced with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non-structural protein NS5 of the African Zika virus, or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non-structural protein NS5 of the African Zika virus. It is an Asian Zika virus in which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entire non-structural protein is substituted with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entir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African Zika virus, or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entir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African Zika virus is substituted with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entir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African Zika virus. It may be an African Zika virus that has been replaced with a nucleotide sequence that encodes the entire non-structural protein.

일 양상에 따르면,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NS5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이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NS5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 치환된 키메릭 지카바이러스 및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전체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이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전체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 치환된 키메릭 지카바이러스는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 보다 지카바이러스의 복제능 또는 병원성이 증가된 것일 수 있고,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전체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이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전체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 치환된 키메릭 지카바이러스는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 보다 지카바이러스의 복제능 또는 병원성이 감소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a chimeric Zika virus in which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non-structural protein NS5 of the Asian Zika virus is replaced with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non-structural protein NS5 of the African Zika virus, and the entir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Asian Zika virus is encoded. Chimeric Zika virus, whose nucleotide sequence is substituted with a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entir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African Zika virus, may have increased replication ability or pathogenicity of the Zika virus compared to the Asian Zika virus, and the acetabular structure of the African Zika virus may be Chimeric Zika virus, in which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entire crude protein is replaced with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entir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Asian Zika virus, may have a reduced replication ability or pathogenicity of the Zika virus compared to the African Zika virus.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클론 내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NS5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이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NS5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 치환된 경우, 상기 클론은 서열번호 96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고, 상기 클론 내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전체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이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전체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 치환된 경우, 상기 클론은 서열번호 97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으며, 상기 클론 내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전체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이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전체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 치환된 경우, 상기 클론은 서열번호 98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In one aspect, when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non-structural protein NS5 of the Asian Zika virus in the clone is replaced with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non-structural protein NS5 of the African Zika virus, the clone has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96. It may be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and if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entir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Asian Zika virus in the clone is replaced with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entir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African Zika virus, the clone has the base of SEQ ID NO: 97. It may be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a sequence, and if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entir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African Zika virus in the clone is replaced with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entir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Asian Zika virus, the clone has SEQ ID NO: 98. It may be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a base sequen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카바이러스 Con1 전장클론을 제조하기 위해 ZIKV-Con1 염기 서열(서열번호 1) 중 3가지 DNA 절편(Con1-1, Con1-2 및 Con1-3)을 화학적으로 합성하였고, pMW119 벡터를 사용하여 pMW119-Con1-5’-3’중간 벡터(서열번호 2)를 제작하였다. 이후, 3가지 Con1의 DNA 절편들을 멀티 클로닝 사이트(MCS)에 맞는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넣어 pMW-T7-ZK-Con1 벡터(서열번호 3)를 제작하였고, 상기 pMW-T7-ZK-Con1 벡터(서열번호 3)를 싱글 카피 수의 pBeloBAC11 벡터에 서브클로닝하였다. 상기 pBeloBAC11 벡터에 T7, HDVRz 및 SacII 제한효소 위치를 포함하는 중간 벡터를 제작하였고, 상기와 같이 제작된 선형화된 중간 벡터에 pMW-T7-ZK-Con1 벡터(서열번호 3)를 주형으로 증폭시킨 전장 지카바이러스 유전자(T7-ZK-Con1)를 In-Fusion 방법으로 클로닝하여 최종적으로 pBAC-T7-ZK-Con1(서열번호 12) 및 말단 서열이 -TTTCT-3’로 치환된 pBAC-T7-ZK-Con1(TTTCT) 플라스미드(서열번호 13)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지카바이러스 전장 클론을 복원하기 위해 pBAC-T7-ZK-Con1 플라스미드(서열번호 12)를 선형화시키고 DNA를 정제하였고, 전사시킨 RNA를 정제한 뒤 Vero E6 세포에 형질도입 시켰다. 배양 3 내지 5일 후 얻은 상등액을 P0로 명명하였고, 상기 P0를 Vero E6 세포에 감염시키고 얻은 상등액을 P1, 상기 P1을 다시 Vero E6 세포에 감염시키고 얻은 상등액을 P2로 명명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얻은 P0, P1 및 P2 상등액의 바이러스 역가를 plaque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세포 내 바이러스 단백질 발현양을 웨스턴블랏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바이러스 역가 측정 결과, P0 상등액의 역가가 P1, P2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바이러스 단백질 발현 측정 결과, Con1에서 NS5, NS3 및 캡시드 단백질이 발현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참조).According to one example, to prepare a full-length Zika virus Con1 clone, three DNA fragments (Con1-1, Con1-2, and Con1-3) of the ZIKV-Con1 base sequence (SEQ ID NO: 1) were chemically synthesized, and pMW119 The pMW119-Con1-5'-3' intermediate vector (SEQ ID NO: 2) was constructed using the vector. Afterwards, the three DNA fragments of Con1 we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multi-cloning site (MCS) using restriction enzymes suitable for the pMW-T7-ZK-Con1 vector (SEQ ID NO: 3), and the pMW-T7-ZK-Con1 The vector (SEQ ID NO: 3) was subcloned into single copy pBeloBAC11 vector. An intermediate vector containing T7, HDVRz, and SacII restriction enzyme sites was constructed in the pBeloBAC11 vector, and the full-length pMW-T7-ZK-Con1 vector (SEQ ID NO: 3) was amplified using the linearized intermediate vector constructed as above as a template. The Zika virus gene (T7-ZK-Con1) was cloned using the In-Fusion method, resulting in pBAC-T7-ZK-Con1 (SEQ ID NO. 12) and pBAC-T7-ZK- whose terminal sequence was substituted with -TTTCT-3'. Con1(TTTCT) plasmid (SEQ ID NO: 13) was produced. To restore the produced full-length Zika virus clone, the pBAC-T7-ZK-Con1 plasmid (SEQ ID NO: 12) was linearized, the DNA was purified, and the transcribed RNA was purified and transduced into Vero E6 cells. The supernatant obtained after 3 to 5 days of culture was named P0, the supernatant obtained by infecting Vero E6 cells with P0 was named P1, and the supernatant obtained by infecting Vero E6 cells again with P1 was named P2. The viral titers of P0, P1, and P2 supernatants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were measured using plaque assay, and the amount of viral protein expression in cells was measured through Western blot analysi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viral titer, the titer of the P0 supernatan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1 and P2, and as a result of measuring viral protein expression, it was confirmed that NS5, NS3, and capsid proteins were expressed in Con1 (see Example 1).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작한 Con1과 아시아 계통인 reference PRVABC59 바이러스주(GenBank number: KU501215.1)(서열번호 34)와 뉴클레오티드 및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한 결과, Con1과 PRVABC59는 캡시드 단백질 부분(I80T; Con1 캡시드에 위치한 80번째 아미노산 아이소루신이 쓰레오닌으로 치환)과 복제효소 부분(A2611V; Con1 복제효소에 위치한 2611번째 아미노산 알라닌이 발린으로 치환)에서 차이가 있고 전체적으로 염기서열 상동성이 98.5%임을 확인하였다. 이후, 바이러스 역가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Vero E6 세포와 A549 세포에 복원한 P1의 Con1과 분양받은 P2의 PRVABC59를 각각 감염시킨 뒤 바이러스 역가 및 plaque 크기를 분석한 결과, Vero E6 세포 및 A549 세포 모두에서 ZIKV-Con1 전장 클론에서 복원된 바이러스가 PRVABC59 바이러스주보다 시간에 따른 바이러스 역가가 낮고, plaque 크기 또한 작아 재조합 바이러스 Con1이 같은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주인 PRVABC59에 비해 약독화되었음을 검증하였다(실시예 2 참조).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nucleotide and amino acid sequences with Con1 produced in Example 1 and the Asian reference PRVABC59 virus strain (GenBank number: KU501215.1) (SEQ ID NO: 34), Con1 and PRVABC59 were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apsid protein portion (I80T; the 80th amino acid isoleucine located in the Con1 capsid is substituted with threonine) and the replicase portion (A2611V; the 2611th amino acid alanine located in the Con1 replicase is substituted with valine) and the overall base sequ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homology was 98.5%. Afterwards,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virus titers, Vero E6 cells and A549 cells were infected with Con1 from restored P1 and PRVABC59 from transferred P2, respectively. Virus titer and plaque size were analyzed in both Vero E6 cells and A549 cells. The virus recovered from the ZIKV-Con1 full-length clone had a lower viral titer over time and a smaller plaque size than the PRVABC59 virus strain, confirming that the recombinant virus Con1 was attenuated compared to PRVABC59, the same Asian Zika virus strain (see Example 2) .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카바이러스 MR766 전장 클론의 제조를 위해 ZIKV-MR766 서열(서열번호 35) 중 3가지 DNA 절편(MR766-1, MR766-2 및 MR766-3)을 PCR을 통해 증폭하여 pBAC-T7-ZK-Con1 플라스미드를 주형으로 inverse PCR을 통해 T7, HDVRz 및 SacII 서열을 포함하는 선형화된 중간 벡터를 제작하였고, 증폭된 3가지 MR766 DNA 절편을 In-Fusion 방법으로 클로닝하여 최종적으로 pBAC-T7-ZK-MR766 플라스미드(서열번호 36)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재조합 MR766과 reference MR766 바이러스주(GenBank number: KX830960.1)(서열번호 37)의 뉴클레오티드 및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하였을 때, 총 5개의 뉴클레오티드와 2개의 아미노산 서열이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복원된 rMR766과 ATCC에서 분양받은 MR766의 바이러스 역가를 비교하기 위해 A549 세포에 두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후, 3일째 상등액을 이용하여 plaque 분석을 진행한 결과, 두 MR766의 바이러스 역가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참조).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o prepare a full-length Zika virus MR766 clone, three DNA fragments (MR766-1, MR766-2, and MR766-3) among the ZIKV-MR766 sequence (SEQ ID NO: 35) were amplified through PCR and produced as pBAC. -A linearized intermediate vector containing T7, HDVRz, and SacII sequences was constructed through inverse PCR using the T7-ZK-Con1 plasmid as a template, and the three amplified MR766 DNA fragments were cloned using the In-Fusion method, ultimately producing pBAC- T7-ZK-MR766 plasmid (SEQ ID NO: 36) was produced. When comparing the nucleotide and amino acid sequences of the produced recombinant MR766 and the reference MR766 virus strain (GenBank number: KX830960.1) (SEQ ID NO. 37), it was confirmed that a total of 5 nucleotides and 2 amino acid sequences were changed, and the restored rMR766 In order to compare the virus titers of MR766 distributed from ATCC, A549 cells were infected with the two viruses, and a plaqu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upernatant on the third day. As a resul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rus titers of the two MR766s. It was confirmed that this was not the case (see Example 3).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ZIKV-Con1 클론 및 ZIKV-MR766 클론을 기반으로 비구조단백질이 서로 치환된 변이체를 제작하여 상기 변이체의 바이러스 역가를 비교함으로써 비구조단백질이 바이러스 복제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pBAC-T7-ZK-Con1 전장 클론(서열번호 12)을 기반으로 MR766의 비구조단백질 중 복제효소(NS5) 또는 MR766의 비구조단백질 전체(NS1-5)를 가지는 pBAC-T7-ZK-Con1/MR_NS5(서열번호 96) 및 pBAC-T7-ZK-Con1/MR_NS1-5(서열번호 97)와, pBAC-T7-ZK-MR766 전장 클론(서열번호 36)을 기반으로 Con1의 비구조단백질 전체(NS1-5)를 가지는 pBAC-T7-ZK-MR766/Con1_NS1-5(서열번호 98)를 In-Fusion 클로닝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제작하였으며, 상기 클론들을 복원시키고, P1 상등액을 사용하여 바이러스 역가 비교 분석을 수행한 결과, MR766의 비구조단백질을 가지는 클론이 Con1의 비구조단백질을 가지는 클론에 비해 바이러스 역가가 높음을 확인함으로써, MR766의 비구조단백질, 즉 replicase 복합체가 Con1의 replicase 복합체보다 복제능이 우수함을 검증하였다(실시예 5 참조).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non-structural proteins on virus replication ability by constructing variants in which non-structural proteins were substituted for each other based on the ZIKV-Con1 clone and the ZIKV-MR766 clone and comparing the viral titers of the variants. was carried out. Specifically, pBAC-T7-ZK-Con1, which has the replication enzyme (NS5) among the non-structural proteins of MR766 or the entire non-structural protein (NS1-5) of MR766, based on the pBAC-T7-ZK-Con1 full-length clone (SEQ ID NO: 12). /MR_NS5 (SEQ ID NO: 96) and pBAC-T7-ZK-Con1/MR_NS1-5 (SEQ ID NO: 97), and the entire non-structural protein of Con1 (NS1) based on the pBAC-T7-ZK-MR766 full-length clone (SEQ ID NO: 36) pBAC-T7-ZK-MR766/Con1_NS1-5 (SEQ ID NO: 98) having -5) were each produced using the In-Fusion cloning method, the clones were restored, and comparative virus tite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P1 supernatan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lone with the non-structural protein of MR766 had a higher virus titer than the clone with the non-structural protein of Con1, confirming that the non-structural protein of MR766, i.e. the replicase complex, had a superior replication ability than the replicase complex of Con1 ( See Example 5).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ZIKV-Con1 클론 및 ZIKV-MR766 클론을 기반으로 비구조단백질이 서로 치환된 변이체를 제작하여 상기 변이체를 인터페론 α/β 결손마우스에 감염시켜 마우스의 무게 변화, 생존율, 임상적 증상, 혈청 내 바이러스 역가 및 장기 내 바이러스 역가를 비교함으로써 비구조단백질이 바이러스 병원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우스의 무게 변화, 생존율 및 임상적 증상을 관찰한 결과, pBAC-T7-ZK-MR766(서열번호 36)에서 복원한 rMR766 감염 마우스 및 pBAC-T7-ZK-Con1/MR_NS1-5(서열번호 97)에서 복원한 Con1/MR_NS1-5 감염 마우스는 모두 사망하였고, pBAC-T7-ZK-Con1/MR_NS5(서열번호 96)에서 복원한 Con1/MR_NS5 감염 마우스는 6마리 중 4마리가 사망하였으나, pBAC-T7-ZK-Con1(서열번호 12)에서 복원한 Con1 감염 마우스는 모두 특이 증상없이 생존하였다. 바이러스 역가 관찰 결과, Con1(서열번호 12), Con1/MR_NS5(서열번호 96)의 경우 역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Con1/MR_NS1-5(서열번호 97)의 경우 Con1(서열번호 12)에 비해 신장, 간, 3일차 혈청에서 바이러스 역가가 유의하게 높았고, rMR766(서열번호 36)의 경우 다른 바이러스주들에 비해 바이러스 역가가 유의하게 높았다. 상기 실험으로 마우스에서 Con1(서열번호 12)은 다른 바이러스주들에 비해 약독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아프리카 바이러스주인 MR766의 비구조단백질(NS5)이 복제능에는 크게 기여하지 않으나, 병원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데에 있어 크게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아프리카 바이러스주가 아시아 바이러스주로 진화하면서 지카바이러스 비구조단백질의 병원성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6 참조).According to another example, mutants in which non-structural proteins were substituted based on the ZIKV-Con1 clone and ZIKV-MR766 clone were created and the mutants were infected with interferon α/β deficient mice to determine weight change, survival rate, and clinical effects of the mic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non-structural proteins on viral pathogenicity by comparing symptoms, viral titers in serum, and viral titers in organs.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weight change, survival rate, and clinical symptoms of the mice, rMR766-infected mice restored from pBAC-T7-ZK-MR766 (SEQ ID NO: 36) and pBAC-T7-ZK-Con1/MR_NS1-5 (SEQ ID NO: 97) All of the Con1/MR_NS1-5-infected mice restored from pBAC-T7-ZK-Con1/MR_NS5 (SEQ ID NO: 96) died, and 4 out of 6 Con1/MR_NS5-infected mice restored from pBAC-T7-ZK-Con1/MR_NS5 died. All Con1-infected mice recovered from -ZK-Con1 (SEQ ID NO: 12) survived without any specific symptoms.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virus tit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iter in the case of Con1 (SEQ ID NO: 12) and Con1/MR_NS5 (SEQ ID NO: 96), but in the case of Con1/MR_NS1-5 (SEQ ID NO: 9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iter in Con1 (SEQ ID NO: 12). Compared to this, the virus tit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kidney, liver, and day 3 serum, and in the case of rMR766 (SEQ ID NO: 36), the virus tit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virus strains. Through the abov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Con1 (SEQ ID NO: 12) in mice was attenuated compared to other virus strains, and the non-structural protein (NS5) of the African virus strain MR766 did not significantly contribute to replication ability, but showed a difference in pathogenicity. It was confirmed that it contributed greatly to thi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athogenicity of the Zika virus non-structural protein decreased as the African virus strain evolved into the Asian virus strain (see Example 6).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ZIKV-Con1 클론 및 ZIKV-MR766 클론을 기반으로 비구조단백질이 서로 치환된 변이체를 제작하여 상기 변이체를 일반 마우스(C57BL/6)에 감염시켜 마우스의 체중 변화, 생존율, 임상적 증상, 혈청 내 바이러스 역가 및 장기 내 바이러스 역가를 비교함으로써 면역이 온전히 살아있는 마우스 모델에서 비구조단백질이 바이러스 병원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우스의 체중 변화, 생존율 및 임상적 증상을 관찰한 결과, Con1(서열번호 12) 감염 마우스 및 Con1/MR_NS5(서열번호 96) 감염 마우스는 모두 특이 증상없이 생존하였다. 이와 달리, Con1/MR_NS1-5(서열번호 97) 감염 마우스는 감염 7일 후부터 유의미한 체중 변화를 보였지만 15일까지 체중을 회복하면서 모두 생존하였다. rMR766(서열번호 36) 감염 마우스는 심각한 마비증상과 함께 5마리 모두 감염 7, 8일에 사망하였다. 바이러스 역가 관찰 결과, Con1(서열번호 12), Con1/MR_NS5(서열번호 96)의 경우 혈청 내 바이러스 RNA 수준 및 역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모든 장기에서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Con1/MR_NS1-5(서열번호 97)의 경우 정소를 제외하고 모든 장기 및 혈청에서 Con1(서열번호 12)과 Con1/MR_NS5(서열번호 96)에 비해 바이러스 역가가 유의하게 높았고, rMR766(서열번호 36)의 경우 다른 바이러스주들에 비해 바이러스 역가가 가장 높았다. 감염 7일 후, 마우스 뇌 내 대뇌 피질에서 병변을 확인한 결과, 장기 내 바이러스 RNA 수준과 연관성 있게, Con1(서열번호 12)과 Con1/MR_NS5(서열번호 96)는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Con1/MR_NS1-5(서열번호 97) 및 rMR766(서열번호 36) 감염 마우스의 경우 면역세포 침투로 인한 병변이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상기 실험으로 인터페론 α/β 결손마우스와 유사하게 Con1(서열번호 12)은 다른 바이러스주들에 비해 약독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아프리카 바이러스주인 MR766의 비구조단백질(NS1-5)이 복제능에 크게 기여하여, 병원성의 차이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실험을 통해 병원성의 차이에 있어 인터페론 시그널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실시예 7 참조).According to another example, based on the ZIKV-Con1 clone and the ZIKV-MR766 clone, mutants in which non-structural proteins were substituted were created and the mutants were infected with normal mice (C57BL/6) to determine the weight change, survival rate, and clinical symptoms of the mice.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non-structural proteins on viral pathogenicity in a mouse model with intact immunity by comparing symptoms, viral titers in serum, and viral titers in organs.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weight change, survival rate, and clinical symptoms of the mice, both Con1 (SEQ ID NO: 12) infected mice and Con1/MR_NS5 (SEQ ID NO: 96) infected mice survived without any specific symptoms. In contrast, Con1/MR_NS1-5 (SEQ ID NO: 97) infected mice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body weight starting 7 days after infection, but all survived while recovering their body weight by day 15. All five mice infected with rMR766 (SEQ ID NO: 36) showed severe paralysis and died on days 7 and 8 of infection.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virus tit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level and titer of viral RNA in serum for Con1 (SEQ ID NO: 12) and Con1/MR_NS5 (SEQ ID NO: 96), but no significance was found in all organs. In the case of Con1/MR_NS1-5 (SEQ ID NO: 97), the virus tit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1 (SEQ ID NO: 12) and Con1/MR_NS5 (SEQ ID NO: 96) in all organs and serum except testis, and rMR766 (SEQ ID NO: 36) ) had the highest virus titer compared to other virus strains. Seven days after infection, lesions were observed in the cerebral cortex of the mouse brain. In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viral RNA in the organ, no lesions were observed in Con1 (SEQ ID NO: 12) and Con1/MR_NS5 (SEQ ID NO: 96), but Con1/MR_NS1 In the case of mice infected with -5 (SEQ ID NO: 97) and rMR766 (SEQ ID NO: 36), lesions due to immune cell infiltration were clearly identified. Through the abov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similar to interferon α/β deficient mice, Con1 (SEQ ID NO: 12) was attenuated compared to other virus strains, and the non-structural protein (NS1-5) of MR766, an African virus strain,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replication ability.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pathogenicity. In addition, through the abov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feron signal acts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difference in pathogenicity (see Example 7).

다른 양상은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 내 지카바이러스의 캡시드 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외피 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 및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을 포함하고,Another aspect is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capsid protein of the Zika virus,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envelope protein of the Zika virus, and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Zika virus in a full-length clone of the Zika virus containing the T7 bacterial phage promoter. Including,

CMV 프로모터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서브게노믹 레플리콘(subgenomic replicon)을 제공한다.A subgenomic replicon of Zika virus containing a base sequence encoding a CMV promoter is provided.

상기 용어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 "지카바이러스", "전장 클론" 등은 전술한 범위 내일 수 있다.The terms “T7 bacterial phage promoter”, “Zika virus”, “full-length clone”, etc. may be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상기 "CMV 프로모터"는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cytomegalovirus)에서 유래한 프로모터로, 플라스미드 벡터에서 목적 유전자를 발현시키기 위한 DNA 서열을 의미하며, 상기 프로모터는 동물세포에서 전사를 개시할 수 있다.The “CMV promoter” is a promoter derived from cytomegalovirus and refers to a DNA sequence for expressing a target gene in a plasmid vector, and the promoter can initiate transcription in animal cells.

상기 "서브게노믹 레플리콘(subgenomic replicon)"은 바이러스의 구조 단백질 염기 서열의 일부만을 포함함으로써, 바이러스 감염성은 없으나 자가적으로 바이러스의 복제가 가능한 플라스미드를 의미한다.The “subgenomic replicon” refers to a plasmid that contains only a portion of the structural protein base sequence of a virus and thus has no viral infectivity but is capable of autonomous viral replication.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레플리콘은 리포터 유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포터 유전자는 루시퍼레이즈 유전자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포터 유전자는 레닐라(Renilla) 루시퍼레이즈 유전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레플리콘은 상기 리포터 유전자 대신 목적 단백질을 발현하는 유전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one aspect, the replicon may further include a reporter gene. Specifically, the reporter gene may be a luciferase gene, and more specifically, the reporter gene may be a Renilla luciferase gene. Additionally, the replicon may further include a gene expressing a target protein instead of the reporter gene.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서브게노믹 레플리콘은 루시퍼레이즈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루시퍼레이즈의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바이러스 복제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게노믹 레플리콘은 바이러스 복제능 측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subgenomic replicon contains a luciferase gene, and the degree of viral replication can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activity of the luciferase. Therefore, the subgenomic replicon can be usefully used to measure viral replication capacity.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레플리콘은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염기 서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12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플리콘 내 지카바이러스가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Con1)인 경우, 상기 레플리콘은 서열번호 55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In one aspect, the replicon may include part of the base sequence of the Asian Zika virus, and specifically may include part of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base sequence of SEQ ID NO: 12. More specifically, when the Zika virus in the replicon is the Asian Zika virus (Con1), the replicon may be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5.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레플리콘 내 지카바이러스는 3’말단 염기 서열이 변이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이는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3’말단 염기 서열이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3’ 말단 염기 서열로 치환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이는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3’말단 염기 서열이 -GTCT-3’인 경우, -TTTCT-3’로 치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레플리콘 내 지카바이러스의 3’말단 염기 서열을 치환시킴으로써, 상기 레플리콘으로부터 바이러스의 복제능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In one aspect, the Zika virus in the replicon may have a 3' terminal base sequence mutated. Specifically, the mutation may be a replacement of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Asian Zika virus with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African Zika virus. More specifically, the mutation may be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Zika virus. In the case of -GTCT-3', it may be substituted with -TTTCT-3'. By substituting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Zika virus in the replicon, changes in the replication ability of the virus from the replicon can be confirmed.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레플리콘 내 상기 지카바이러스가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이며,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3’말단 염기 서열이 -GTCT-3’에서 -TTTCT-3’로 치환된 경우, 상기 레플리콘은 서열번호 56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In one aspect, when the Zika virus in the replicon is an Asian Zika virus and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Zika virus is substituted from -GTCT-3' to -TTTCT-3', the replicon may be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base sequence of SEQ ID NO: 56.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3’-말단 서열과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3’-말단 서열을 치환할 경우, 지카바이러스의 복제, 번역, RNA 안정성 및 증식에 있어서 변화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pBAC-T7-ZK-Con1 전장 클론(서열번호 12)을 기반으로 서브게노믹 레플리콘(서열번호 55 또는 56) 및 미니게놈(서열번호 77 또는 78)을 제작하였고, decay 분석으로 RNA 안정성을 비교하였으며, plaque 분석으로 바이러스 증식능을 비교하였다. 제작된 서브게노믹 레플리콘으로 3’말단 서열의 치환에 따른 바이러스 복제능을 비교한 결과, NS5_GAA 서브게노믹 레플리콘의 경우, 복제효소의 활성이 상실된 형태로써 복제를 통해 발현되는 루시퍼레이즈 활성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제작된 미니게놈으로 3’말단 서열의 치환에 따른 바이러스 단백질 번역 정도를 비교한 결과, 루시퍼레이즈 활성에 큰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바이러스 RNA 안정성 및 바이러스 증식의 경우 3’말단 서열 치환에 따라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참조).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3'-terminal sequence of the Asian Zika virus is replaced with the 3'-terminal sequence of the African Zika virus, it is confirmed whether changes occur in the replication, translation, RNA stability and proliferation of the Zika virus. To this end, a subgenomic replicon (SEQ ID NO: 55 or 56) and minigenome (SEQ ID NO: 77 or 78)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pBAC-T7-ZK-Con1 full-length clone (SEQ ID NO: 12), and RNA was analyzed by decay analysis. Stability was compared, and virus proliferation ability was compared using plaque analysi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viral replic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substitution of the 3' terminal sequence with the created subgenomic replicon, in the case of the NS5_GAA subgenomic replicon, luciferase is expressed through replication in a form in which the activity of the replicase has been lost. Activ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egree of viral protein translation according to substitution of the 3' terminal sequence with the produced minigenom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luciferase activity. In the case of viral RNA stability and virus proliferation, it was confirmed that no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due to 3' terminal sequence substitution (see Example 4).

또 다른 양상은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 내 지카바이러스의 캡시드 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미니게놈(minigenome)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provides a minigenome of Zika virus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capsid protein of Zika virus in a full-length clone of Zika virus containing a T7 bacterial phage promoter.

상기 용어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 “지카바이러스”, “전장 클론” 등은 전술한 범위 내일 수 있다.The terms “T7 bacterial phage promoter,” “Zika virus,” “full-length clone,” etc. may be within the scope described above.

상기 “미니게놈(minigenome)”은 바이러스의 염기 서열의 일부만을 포함하는 유전체로서, 바이러스 감염성은 없으나 자가적으로 암호화하는 외부 단백질의 발현이 가능한 유전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니게놈은 바이러스 5'UTR과 캡시드 단백질 N말단 38개를 코딩하는 염기서열, 루시퍼레이즈, 그리고 3'UTR을 포함할 수 있다.The “minigenome” refers to a genome containing only a portion of the base sequence of a virus, which is non-viral infective but capable of expressing self-encoded foreign proteins. Specifically, the minigenome may include a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viral 5'UTR and the N-terminus 38 of the capsid protein, luciferase, and 3'UTR.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미니게놈은 리포터 유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포터 유전자는 루시퍼레이즈 유전자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포터 유전자는 레닐라(Renilla) 루시퍼레이즈 유전자일 수 있다.In one aspect, the minigenome may further include a reporter gene. Specifically, the reporter gene may be a luciferase gene, and more specifically, the reporter gene may be a Renilla luciferase gene.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미니게놈은 루시퍼레이즈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루시퍼레이즈의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바이러스 단백질 발현양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미니게놈은 바이러스 단백질 번역 정도 측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minigenome contains a luciferase gene, and the amount of viral protein expression can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activity of the luciferase. Therefore, the minigenome can be usefully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viral protein translation.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미니게놈은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염기 서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12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니게놈 내 지카바이러스가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인 경우, 상기 미니게놈은 서열번호 77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In one aspect, the minigenome may include part of the base sequence of the Asian Zika virus, and specifically may include part of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base sequence of SEQ ID NO: 12. More specifically, when the Zika virus in the minigenome is an Asian Zika virus, the minigenome may be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7.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미니게놈 내 지카바이러스는 3’말단 염기 서열이 변이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이는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3’말단 염기 서열이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3’ 말단 염기 서열로 치환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이는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3’말단 염기 서열이 -GTCT-3’인 경우, -TTTCT-3’로 치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미니게놈 내 3’말단 염기 서열을 치환시킴으로써, 상기 미니게놈으로부터 복원되는 지카바이러스의 번역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In one aspect, the Zika virus in the minigenome may have a 3' terminal base sequence mutated. Specifically, the mutation may be a replacement of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Asian Zika virus with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African Zika virus. More specifically, the mutation may be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Zika virus. In the case of -GTCT-3', it may be substituted with -TTTCT-3'. By substituting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in the minigenome, the degree of translation of the Zika virus restored from the minigenome can be changed.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미니게놈 내 상기 지카바이러스가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이며,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3’말단 염기 서열이 -GTCT-3’에서 -TTTCT-3’로 치환된 경우, 상기 미니게놈은 서열번호 78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In one aspect, when the Zika virus in the minigenome is an Asian Zika virus and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Zika virus is substituted from -GTCT-3' to -TTTCT-3', the minigenome has the sequence It may be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base sequence number 78.

또 다른 양상은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 또는 이의 유도체를 세포에 도입하는 단계;Another aspect includes introducing into a cell a full-length clone of Zika virus or a derivative thereof comprising a T7 bacterial phage promoter;

후보 약제를 상기 세포에 처리하는 단계;treating the cells with a candidate agent;

상기 약제를 처리한 세포에서 지카바이러스의 역가를 측정하는 단계; 및 Measuring the titer of Zika virus in cells treated with the drug; and

상기 역가가 상기 약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약제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screening method for a drug for preventing or treating Zika virus infection, comprising the step of selecting a drug whose titer is reduced compared to a control group not treated with the drug.

상기 용어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 “지카바이러스”, “전장 클론” 등은 전술한 범위 내일 수 있다.The terms “T7 bacterial phage promoter,” “Zika virus,” “full-length clone,” etc. may be within the scope described above.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 또는 이의 유도체가 도입된 세포에 후보 약제를 처리하였을 때 바이러스 역가가 후보 약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할 경우, 상기 후보 약제를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로 선별함으로써, 후보 약제 스크리닝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 또는 이의 유도체는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 또는 키메릭 지카바이러스의 염기 서열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크리닝 방법은 다양한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감염증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스크리닝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method involves treating cells into which the full-length clone of the Zika virus or a derivative thereof is introduced with a candidate drug, and if the virus titer decreases compared to a control group not treated with the candidate drug, the candidate drug is applied to the Zika virus. By selecting drugs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ectious diseases, they can be effectively used to screen candidate drugs. In addition, since the full-length clone of Zika virus or a derivative thereof may include the base sequence of an Asian Zika virus, an African Zika virus, or a chimeric Zika virus, the screening method can be used to prevent or treat infections caused by various Zika viruses. I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screening of pharmaceuticals.

상기 "이의 유도체"는 상기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으로부터 파생될 수 있는 모든 재조합 클론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도체는 서브게노믹 레플리콘 또는 미니게놈일 수 있다.The term “derivative thereof” refers to any recombinant clone that can be derived from a full-length clone of Zika virus containing the T7 bacterial phage promoter. Specifically, the derivative may be a subgenomic replicon or minigenome.

상기 "세포"는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는 모든 세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포는 동물 세포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포는 인간 세포일 수 있다.The “cell” refers to any cell that can be infected with Zika virus. Specifically, the cells may be animal cells, and more specifically, the cells may be human cells.

상기 "도입"은 상기 세포에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을 형질주입시켜 상기 세포를 감염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클론은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수단에 의해 세포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수단은 유전자 총(gene gun), 인산칼슘 침전, 리포펙션(Lipofection), 입자 폭격(particle bombardment), 미세주입, 전기천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적 수단은 콜로이드 분산액 시스템, 예컨대 거대분자 복합체, 나노 캡슐, 마이크로스피어, 비드, 및 수중유 에멀젼, 마이셀(micelle), 혼합된 마이셀 및 리포좀을 포함하는 지질-기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물학적 수단은 DNA 또는 RNA 벡터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입은 리포펙트아민(lipofectamine)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introduction” refers to the process of infecting the cell by transfecting the full-length clone of the Zika virus into the cell. The clone may be introduced into the cell by physical, chemical or biological means. The physical means may include gene guns, calcium phosphate precipitation, lipofection, particle bombardment, microinjection, electroporation, etc. The chemical means may include colloidal dispersion systems such as macromolecular complexes, nanocapsules, microspheres, beads, and lipid-based systems including oil-in-water emulsions, micelles, mixed micelles and liposomes. Additionally, the biological means may include the use of DNA or RNA vectors. Specifically, the introduction can be performed with lipofectamine.

상기 "역가"는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수준 또는 바이러스의 양을 의미한다. 상기 역가를 측정함으로써, 바이러스의 복제능 또는 병원성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역가의 측정은 plaque 분석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term “titer” refers to the level at which a virus proliferates or the amount of virus. By measuring the titer, the replicative ability or pathogenicity of the virus can be measured, and the titer can be measured using a plaque assay.

상기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은 지카바이러스에 감염에 의한 급성 감염 질환을 의미하며, 발열, 발진, 구토, 관절통, 관절염, 두통, 근육통, 안구통, 비화농성 결막염 및 결막충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또한, 임신부의 경우, 상기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은 신생아 소두증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Zika virus infection" refers to an acute infectious disease caused by infection with the Zika virus, and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ever, rash, vomiting, joint pain, arthritis, headache, muscle pain, eye pain, non-purulent conjunctivitis, and conjunctival injection. It may be accompanied by the above symptoms. Additionally, it is known that in pregnant women, Zika virus infection can cause neonatal microcephaly.

상기 용어 “예방"이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상기 용어 “치료"란 약제의 투여에 의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The term “prevention” refers to any action that suppresses or delays the onset of Zika virus infection, and the term “treatment” refers to any action that improves or beneficially changes Zika virus infection by administering medication.

상기 용어 “투여"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 및 전달 시스템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약제를 개체에게 물리적으로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term “administration” refers to the physical introduction of a medicament into a subject using any of a variety of methods and delivery system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용어 “개체"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체는 인간 또는 영장류, 생쥐, 쥐, 개, 고양이, 말, 돼지, 토끼 및 소 등의 포유류일 수 있다.The term “individual” refers to a subject in need of prevention or treatment of Zika virus infection. Specifically, the subject is a human or mammal such as a primate, mouse, rat, dog, cat, horse, pig, rabbit, or cow. It can be.

또 다른 양상은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 또는 이의 유도체로부터 복원되는 지카바이러스의 유전 물질, 상기 유전 물질이 발현하는 단백질 또는 이들의 단편을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provides a Zika virus vaccine composition comprising genetic material of the Zika virus reconstructed from a full-length clone of the Zika virus or a derivative thereof containing a T7 bacterial phage promoter, a protein expressed by the genetic material, or a fragment thereof.

상기 용어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 “지카바이러스”, “전장 클론”, "이의 유도체" 등은 전술한 범위 내일 수 있다.The terms “T7 bacterial phage promoter,” “Zika virus,” “full-length clone,” “derivative thereof,” etc. may be within the scope described above.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유전 물질, 상기 유전 물질이 발현하는 단백질 또는 이들의 단편은 개체의 면역 반응을 유도하여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백신 조성물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용 백신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genetic material of the Zika virus, the protein expressed by the genetic material, or fragments thereof can induce an immune response in an individual to generate immunity to the Zika virus. Therefore, the vaccine composition can be usefully used as a vaccine for preventing Zika virus infection.

상기 "유전 물질"은 생물체의 개개의 유전 형질을 발현시키는 원인이 되는 물질을 의미하며, DNA 및 RNA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전 물질은 지카바이러스의 유전 물질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전 물질은 지카바이러스의 RNA일 수 있다.The “genetic material” refers to a material that causes the expression of individual genetic traits in an organism and may include DNA and RNA. Specifically, the genetic material may be the genetic material of the Zika virus, and more specifically, the genetic material may be the RNA of the Zika virus.

상기 "백신"은 동물에서 면역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항원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의미하며, 항원이 유발하는 질환에 대해 면역성을 유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백신은 지카바이러스 항원을 포함할 수 있다.The “vaccine” refer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n antigen that induces an immunological response in animals and can induce immunity to a disease caused by the antigen. Specifically, the vaccine may contain Zika virus antigen.

상기 용어 “항원"은 숙주의 면역계를 자극하여 분비성, 체액성 또는 세포성 항원-특이적 반응을 일으키는 하나 이상의 에피토프를 갖는 분자를 의미하며, 완전한 단백질, 단백질의 일부, 펩티드, 융합 단백질, 당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핵산, 다당류, 알레르기 원인 물질, 조직, 세포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항원은 바이러스로부터 정제된 천연의 생산물일 수 있으며, 유전자 재조합 등의 방법으로 인위적으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원은 완전한 바이러스 입자인 비리온, 불완전 바이러스 입자, 바이러스 구조 단백질, 바이러스 비구조 단백질, 병원균의 전균체, 병원균 유래의 단백질 혹은 당 단백질, 감염 방어 항원, 중화 에피토프 등일 수 있고, 감염성을 갖는 것과 감염성을 소실시킨 것(불활화 항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활화 항원은, 물리적(X 선 조사, UV 조사, 열, 초음파), 화학적(포르말린, 베타프로피오락톤, 바이너리 에틸렌이민, 수은, 알코올, 염소) 등의 조작에 의해 불활화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항원은 지카바이러스의 항원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항원은 지카바이러스의 유전 물질, 상기 유전 물질이 발현하는 단백질 및 이들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term “antigen” refers to a molecule with one or more epitopes that stimulates the host's immune system to produce a secretory, humoral, or cellular antigen-specific response, and may include a complete protein, part of a protein, peptide, fusion protein, or sugar. It may be proteins, lipids, carbohydrates, nucleic acids, polysaccharides, allergenic substances, tissues, cells, and combinations thereof.The antigen may be a natural product purified from a virus, or may be artificially produced through methods such as genetic recombination. The antigen may be a virion, which is a complete virus particle, an incomplete virus particle, a viral structural protein, a viral non-structural protein, a whole pathogen, a protein or glycoprotein derived from a pathogen, an infection protection antigen, a neutralizing epitope, etc., and may be an infectious agent. It may include those that have and those that have lost their infectivity (inactivated antigens).The inactivated antigens can be physically (X-ray irradiation, UV irradiation, heat, ultrasound), chemically (formalin, betapropiolactone, binary ethylene). It may be inactivated by manipulation (imine, mercury, alcohol, chlorine), etc. Specifically, the antigen may be an antigen of the Zika virus, and more specifically, the antigen may be the genetic material of the Zika virus, the genetic material.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xpressed proteins and fragments thereof.

상기 “백신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및 면역 증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accin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diluent, and immunity enhancer.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은 의학적 또는 수의학적으로 과량의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또는 합병증 없이 인간 또는 동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상태를 의미한다.The term “pharmaceutically acceptable” means medically or veterinarily suitable for use in humans or animals without excessive toxicity, irritation, allergic reactions, or complications.

상기 담체는 예를 들어, 콜로이드 현탁액, 분말, 식염수, 지질, 리포좀, 미소구체(microspheres) 또는 나노 구형입자일 수 있다. 이들은 운반 수단과 복합체를 형성하거나 관련될 수 있고, 지질, 리포좀, 미세입자, 금, 나노입자, 폴리머, 축합 반응제, 다당류, 폴리아미노산, 덴드리머, 사포닌, 흡착 증진 물질 또는 지방산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운반 시스템을 사용하여 생체 내 운반될 수 있다.The carrier may be, for example, colloidal suspension, powder, saline solution, lipid, liposome, microsphere or nano-spherical particle. They may form complexes or associate with delivery vehicles and may be used in the art as lipids, liposomes, microparticles, gold, nanoparticles, polymers, condensation agents, polysaccharides, polyamino acids, dendrimers, saponins, adsorption enhancers or fatty acids. It can be transported in vivo using known delivery systems.

상기 면역 증진제는 개체의 면역 반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면역 반응은 대식세포에 의한 식세포 작용, 수지상 세포에 의한 항원 제시, B 세포에 의한 체액성 면역 반응 또는 T 세포에 의한 세포성 면역 반응일 수 있다.The immune enhancing agent refers to a substance that can enhance an individual's immune response. The immune response may be phagocytosis by macrophages, antigen presentation by dendritic cells, humoral immune response by B cells, or cellular immune response by T cells.

상기 백신 조성물이 제제화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윤활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백신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 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점안제 형태로 제조 시 공지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백신 조성물이 주사제로 제형화될 경우, 상기 주사제는 생리식염액, 링겔액 등의 수성 용제, 식물유, 고급 지방산 에스텔(예를 들어, 올레인산에칠 등), 알코올류(예를 들어, 에탄올, 벤질알코욜, 프로필렌글리콘, 글리세린 등) 등의 비수성 용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변질 방지를 위한 안정화제(예를 들어, 아스코르빈산,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BHA, 토코페롤, EDTA 등), 유화제, pH 조절을 위한 완충제, 미생물 발육을 저지하기 위한 보존제(예를 들어, 질산페닐수은, 치메로살, 염화벤잘코늄, 페놀, 크레솔, 벤질알코올 등) 등의 약제학적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vaccine composition is formulated, it can be prepared using commonly used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lubricants, sweeteners, flavoring agents, emulsifiers, suspending agents, preservatives,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and surfactants. there is.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etc., and such solid preparations may contain at least one excipient in the vaccine composition,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 It can be prepared by mixing sucrose, lactose, gelatin, etc.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can also be used.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use include suspensions, oral solutions, emulsions, and syrups. In addition to the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may be included. . Prepar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sions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s a base for suppositories,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laurin, glycerogeratin, etc. can be used, and when manufacturing in the form of eye drops, known diluents or excipients can be used. there is. When the vaccine composition is formulated as an injection, the injection may be an aqueous solvent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or Ringer's solution, vegetable oil, higher fatty acid ester (e.g., ethyl oleate, etc.), alcohol (e.g., ethanol, It can be manufactured using non-aqueous solvents such as benzyl alcohol, propylene glycol, glycerin, etc., and stabilizers to prevent deterioration (e.g. ascorbic acid, sodium bisulfite, sodium pyrosulfite, BHA, Pharmaceutical carriers such as tocopherol, EDTA, etc.), emulsifiers, buffers for pH adjustment, and preservatives to inhibit microbial growth (e.g., phenylmercuric nitrate, thimerosal, benzalkonium chloride, phenol, cresol, benzyl alcohol, etc.) may include.

상기 백신 조성물은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 주사, 직장내 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동맥내 주사, 골수내 주사, 심장내 주사, 경막내 주사, 경피주사, 비강내 주사, 장관내 주사, 국소주사, 설하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과 같은 비경구 투여 및 경구 투여가 가능할 수 있다.The vaccine composition is for external use on the skin or intraperitoneal injection, intrarectal injection, subcutaneous injection, intraven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intraarterial injection, intramedullary injection, intracardiac injection, intrathecal injection, transdermal injection, intranasal injection, and enteral injection. Parenteral and oral administration may be possible, such as by injection, topical injection, sublingual injection, or intrathoracic injection.

상기 백신 조성물은 약학적 유효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때, 용어 “약학적 유효량"이란 백신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양과 부작용이나 심각한 또는 과도한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한다. 정확한 투여 농도는 투여될 항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경로, 투여 방법 등 의학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1회 내지 수회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백신 조성물은 0.001 mg/kg 내지 1,000 mg/kg의 용량으로 매일 또는 격일 투여될 수 있고,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도 있다.The vaccine composition can be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At this time, the term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refers to an amount sufficient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the vaccine and an amount that does not cause side effects or a serious or excessive immune response. The exact administration concentr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antigen to be administered; It can be easily determ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depending on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such as the patient's age, weight, health, gender, patient's sensitivity to the drug, administration route, and administration method, and may be administered once to several times. For example, the vaccine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daily or every other day at a dose of 0.001 mg/kg to 1,000 mg/kg, and may be administered divided into 1 to 3 times per day.

또 다른 양상은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 또는 이의 유도체로부터 복원되는 지카바이러스의 유전 물질, 상기 유전 물질이 발현하는 단백질 또는 이들의 단편을 개체를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is administering the genetic material of the Zika virus, which is reconstructed from a full-length clone of the Zika virus or a derivative thereof containing the T7 bacterial phage promoter, the protein expressed by the genetic material, or a fragment thereof, to an individual in need thereof.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Zika virus infection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상기 용어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 “지카바이러스”, “전장 클론”, "이의 유도체", "유전 물질", "개체", "투여",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치료" 등은 전술한 범위 내일 수 있다.The terms “T7 bacterial phage promoter”, “Zika virus”, “full-length clone”, “derivative thereof”, “genetic material”, “individual”, “administration”, “Zika virus infection”, “prevention”, “treatment” etc. may be within the range described above.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유전 물질, 상기 유전 물질이 발현하는 단백질 또는 이들의 단편은 개체의 면역 반응을 유도하여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방법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genetic material of the Zika virus, the protein expressed by the genetic material, or fragments thereof can induce an immune response in an individual to generate immunity to the Zika virus. Therefore, the method can be useful for preventing or treating Zika virus infection.

또 다른 양상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 또는 이의 유도체로부터 복원되는 지카바이러스의 유전 물질, 상기 유전 물질이 발현하는 단백질 또는 이들의 단편의 용도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is the genetic material of the Zika virus restored from a full-length clone of the Zika virus or a derivative thereof containing a T7 bacterial phage promoter for the production of a drug for preventing or treating Zika virus infection, the protein expressed by the genetic material, or these Provides the use of fragments of .

상기 용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지카바이러스", "예방", "치료",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 “전장 클론”, "이의 유도체", “유전 물질” 등은 전술한 범위 내일 수 있다.The terms “Zika virus infection”, “Zika virus”, “prevention”, “treatment”, “T7 bacterial phage promoter”, “full-length clone”, “derivative thereof”, “genetic material”, etc. may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regoing. .

일 양상에 따르면,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 및 이의 유도체는 지카바이러스의 복제 기작, 생활사 및 병원성 분석에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론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스크리닝 및 진단 기술의 유효성 평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클론 또는 이의 유도체부터 복원되는 지카바이러스의 유전 물질, 단백질 또는 이들의 단편은 지카바이러스 예방용 백신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full-length Zika virus clones an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the T7 bacterial phage promoter can be used to analyze the replication mechanism, life cycle, and pathogenicity of Zika virus. Therefore, the clone can be usefully used in the screening of drugs for preventing or treating Zika virus infection and in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diagnostic technology, and the genetic material, protein, or fragments thereof of the Zika virus recovered from the clone or derivative thereof can be used to It can be useful as a vaccine to prevent viruses.

도 1은 아시아 및 아프리카 계통 간 보존 서열을 이용해 ZIKV-Con1 클론을 제작하기 위한 참조 바이러스주들 및 총 38개의 지카바이러스주 유전자를 사용하여 제작한 계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ZIKV-Con1의 게놈 구조 및 클로닝에 사용한 제한효소 위치, 유전자 절편, 사용 프로모터 및 말단 서열의 절단에 사용된 리보자임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3a는 Con1 전장 클론의 복원을 위해 Vero E6 세포에 in vitro 전사과정을 통해 얻은 RNA를 형질도입 시키고 나온 상등액(passage number 0, P0), 다시 새로운 Vero E6 세포에 P0를 감염시키고 나온 상등액(P1) 및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상등액(P2)에 대해 plaque 분석으로 측정한 지카바이러스 역가를 나타낸다(ND, 검출한계 이하로 미검출을 의미함).
도 3b는 복원된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 내 바이러스 단백질(NS5, NS3 및 캡시드)을 웨스턴블랏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ZIKV-Con1과 아시아 계통의 참조 지카바이러스주인 PRVABC59의 뉴클레오티드 및 아미노산 차이를 나타낸다.
도 5a는 Vero E6 세포 및 A549 세포에 PRVABC59 바이러스주(P2) 및 복원된 ZIKV-Con1(P1)을 각각 감염시켜 바이러스 역가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P <0.05; **는 P <0.01; ***는 P <0.001).
도 5b는 PRVABC59 바이러스주 및 ZIKV-Con1의 아미노산 차이가 바이러스 역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Con1 클론 기반으로 PRVABC59 쪽으로 두 가지 아미노산을 치환하여 바이러스 역가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P <0.001; ns는 통계적 유의성 없음).
도 5c는 PRVABC59 바이러스주 및 ZIKV-Con1의 plaque 크기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P <0.001).
도 6a는 아프리카 지카바이러스주 MR766을 Vero E6 세포에서 passage를 통해 P4까지 증폭시키고 P4 상등액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RNA를 이용하여 획득한 3조각의 DNA 절편을 기반으로 제작한 pBAC-T7-ZK-MR766 전장 클론을 나타낸다.
도 6b는 MR766(GenBank KX830960.1)과 제작된 rMR766의 뉴클레오티드 및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복원된 MR766과 분양받은 MR766의 역가 차이를 A549 세포에서 감염 후 72시간째에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n.s.는 통계적 유의성 없음).
도 8은 CMV 프로모터 기반으로 제작된 2개의 다른 3'-말단 서열을 각각 지닌 서브게노믹 레플리콘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서브게노믹 레플리콘을 검증하기 위해, 범용성 복제효소 억제제로 알려진 2'-CMA (2' C-methyl adenosine) 처리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Renilla 루시퍼레이즈 활성이 감소함으로써, 약물에 의해 복제가 억제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P <0.001).
도 10은 검증된 서브게노믹 레플리콘을 이용하여 3'-말단 서열이 복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P <0.05; ***는 P <0.001; ns는 통계적 유의성 없음).
도 11은 3'-말단 서열이 다른 각각의 T7 프로모터 기반 미니게놈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3’-말단 서열의 변화가 바이러스 단백질 번역에 미치는 영향을 루시퍼레이즈 활성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ns는 통계적 유의성 없음).
도 13a는 Vero E6 세포 lysate 내에서 동위원소로 표지된 3'-UTR (428 nt 및 429 nt)의 분해 속도를 동위원소 시그널 세기를 비교하여 분석한 것으로, 3'-말단 서열 변화에 따른 지카바이러스 유래 subgenomic flavivirus RNA (sfRNA) 1, 2, 3 (sfRNA1, sfRNA2, sfRNA3)의 생성 속도 차이 및 RNA 분해 패턴 차이 비교를 통해, 상기 두 말단서열이 3'-UTR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3b는 Vero E6 세포 lysate 내에서 동위원소로 표지된 3'-UTR의 마지막 stem-loop 부분(82 nt 및 83 nt)의 분해 속도를 동위원소 시그널 세기를 비교하여 분석한 것으로, 3'-말단 서열 4 내지 5개 nt 서열의 차이가 stem-loop RNA 분해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3c는 모기 유래 C6/36 세포 lysate 내에서 동위원소로 표지된 3'-UTR (428 nt 및 429 nt)의 분해 속도를 동위원소 시그널 세기를 비교하여 분석한 것으로, 3'-말단 서열 변화에 따른 지카바이러스 유래 sfRNA1 및 sfRNA2의 생성 속도 차이 및 RNA 분해 패턴 차이 비교를 통해, 상기 두 말단서열이 3'-UTR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3d는 모기 유래 C6/36 세포 lysate 내에서 동위원소로 표지된 3'-UTR의 마지막 stem-loop 부분(82 nt 및 83 nt)의 분해 속도를 동위원소 시그널 세기를 비교하여 분석한 것으로, 3'-말단 서열 4 내지 5개 nt 서열의 차이가 stem-loop RNA 분해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4a는 Vero E6 세포 및 A549 세포를 서로 다른 3'-UTR 말단 서열을 가지는 Con1 전장 클론의 복원을 통해 얻어진 P1 상등액으로 감염시킨 후, 시간별 바이러스 역가를 plaque 에세이로 비교 분석한 결과이다(ns는 통계적 유의성 없음).
도 14b는 Vero E6 세포 및 A549 세포를 서로 다른 3'-UTR 말단 서열을 가지는 rMR766 전장 클론의 복원을 통해 얻어진 P1 상등액으로 감염시킨 후, 시간별 바이러스 역가를 plaque 에세이로 비교 분석한 결과이다(ns는 통계적 유의성 없음).
도 15는 ZIKV-Con1 클론의 비구조단백질 중 복제효소(NS5) 또는 비구조단백질 전체(NS1-5)를 MR766의 복제효소 또는 비구조단백질로 치환한 클론(각각 Con1/MR_NS5 및 Con1/MR_NS1-5) 및 MR766 클론의 비구조단백질 전체를 Con1의 비구조단백질로 치환한 클론(rMR766/Con1_NS1-5)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6a는 Vero E6 세포주에서 Con1, Con1/MR_NS5, Con1/MR_NS1-5 및 rMR766의 바이러스 역가를 감염 후 3일차 바이러스의 역가를 plaque 에세이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P <0.01; ***는 P <0.001; ns는 통계적 유의성 없음).
도 16b는 Vero E6 세포주에서 rMR766 및 rMR766/Con1_NS1-5의 바이러스 역가를 감염 후 3일차에 plaque 에세이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P <0.001).
도 17은 Con1, Con1/MR_NS5, Con1/MR_NS1-5 및 rMR766의 병원성 비교 분석을 위한 마우스(인터페론 α/β 결손마우스, A129 마우스) 실험 스케쥴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8a는 Con1, Con1/MR_NS5, Con1/MR_NS1-5 및 rMR766을 각각 A129 마우스에 감염시킨 후, 마우스 체중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P <0.05; **는 P <0.01; ***는 P <0.001).
도 18b는 Con1, Con1/MR_NS5, Con1/MR_NS1-5 및 rMR766의 병원성 비교 분석을 위한 마우스(A129) 감염 실험 스케쥴 모식도로서, 각각의 바이러스를 A129 마우스에 감염시킨 후, 마우스의 마비 여부 및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P <0.05; **는 P <0.01).
도 19는 Con1, Con1/MR_NS5, Con1/MR_NS1-5 및 rMR766을 각각 A129 마우스에 감염시킨 후, 감염 후 3일 차(3 day-post-infection, dpi) 및 5일 차(5 dpi)에 채혈하여 plaque 에세이로 혈액 내 바이러스 역가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P <0.01; ***는 P <0.001; ns는 통계적 유의성 없음; LOD, 검출한계).
도 20a 및 20b는 Con1, Con1/MR_NS5, Con1/MR_NS1-5 및 rMR766을 각각 마우스에 감염시킨 후, 감염 후 5일 차에 장기(비장, 정소, 신장, 뇌 및 간)를 적출하여 적출한 장기 내 바이러스 RNA 카피수(도 20a)와 Con1 대비 상대적 RNA 카피수 수준(배수를 바 위에 표시함)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도 20b)(*는 P <0.05; **는 P <0.01; ***는 P <0.001; ns는 통계적 유의성 없음).
도 21은 Con1, Con1/MR_NS5, Con1/MR_NS1-5 및 rMR766의 병원성 비교 분석을 위한 마우스(C57BL/6) 감염 실험 스케쥴 모식도로서, F와 M은 각각 암수 마우스를 의미하고, Mab-5A3은 type I 인터페론 수용체에 결합하여 인터페론 신호전달을 차단하는 단일클론항체를 의미한다.
도 22a는 Con1, Con1/MR_NS5, Con1/MR_NS1-5 및 rMR766을 각각 C57BL/6 마우스에 감염시킨 후,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P <0.05; **는 P <0.01; ***는 P <0.001).
도 22b는 Con1, Con1/MR_NS5, Con1/MR_NS1-5 및 rMR766을 각각 C57BL/6 마우스에 감염시킨 후, 마우스의 생존율을(초기 체중 대비 20% 감소 시 사망판정)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P <0.01).
도 23은 Con1, Con1/MR_NS5, Con1/MR_NS1-5 및 rMR766을 각각 C57BL/6 마우스에 감염시킨 후, 마우스의 임상적 증상 정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Con1/MR_NS5 및 Con1/MR_NS1-5는 Con1과 유사한 증상을 보여 미표기).
도 24는 Con1, Con1/MR_NS5, Con1/MR_NS1-5 및 rMR766을 각각 C57BL/6 마우스에 감염시킨 후, 감염 후 4일 차(4 dpi) 및 7일 차(7 dpi)에 채혈하여 혈액 내 바이러스 RNA 카피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P <0.05; **는 P <0.01; ***는 P <0.001; ns는 통계적 유의성 없음; LOD, 검출한계.).
도 25a 및 25b는 Con1, Con1/MR_NS5, Con1/MR_NS1-5 및 rMR766을 각각 마우스에 감염시킨 후, 감염 후 7일 차에 장기(비장, 정소, 신장, 뇌 및 간)를 적출하여 적출한 장기 내 바이러스 RNA 카피수(도 25a)와 Con1 대비 상대적 RNA 카피수 수준(배수를 바 위에 표시함)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도 25b)(*는 P <0.05; **는 P <0.01; ***는 P <0.001; ns는 통계적 유의성 없음).
도 26은 Con1, Con1/MR_NS5, Con1/MR_NS1-5 및 rMR766을 각각 C57BL/6 마우스에 감염시킨 후, 감염 7일 차의 뇌를 적출하여 대뇌피질(cerebral cortex) 내 염증 세포의 침투 정도를 H&E 염색으로 분석한 것으로, 각각의 바이러스에 감염에 의한 뇌조직에서의 병변 차이를 나타낸다.
도 27a는 Con1의 안전성을 MR766과 비교 평가하기 위해 젖먹이 마우스(ICR 마우스)에 각각의 바이러스(104 PFU)를 뇌내주사(intracerebral injection, ic)하는 실험 스케쥴 모식도로써, 군당 마리수, 분석 항목 및 측정 기간을 나타낸다.
도 27b는 열처리로 불활성화 시킨 MR766(heat inactivated MR766), MR766 및 Con1을 도 27a에서와 같이 ICR 마우스에 ic 주입 후, 14일 동안 젖먹이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며, 데이터 포인트에 대한 심볼 표식은 도 27a와 동일하게 나타내었다(***는 P <0.001).
도 27c는 열처리로 불활성화 시킨 MR766, MR766 및 Con1을 도 27a에서와 같이 ICR 마우스에 ic 주입 후, 14일 동안의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망 판정은 초기 체중 25%이상 감소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데이터 포인트에 대한 심볼 표식은 도 27a와 동일하게 나타내었다(***는 P <0.001).
도 27d는 MR766 및 Con1을 도 27a에서와 같이 ICR 마우스에 뇌내주사 방법으로 바이러스를 주입하고 6일 및 7일 후, 뇌 조직내 바이러스 RNA 카피수 및 역가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 shows a genealogy created using reference virus strains and a total of 38 Zika virus strain genes for constructing ZIKV-Con1 clones using conserved sequences between Asian and African strains.
Figure 2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the genome structure of ZIKV-Con1, the restriction enzyme positions used for cloning, the gene fragment, the promoter used, and the ribozyme used to cut the terminal sequence.
Figure 3a shows the supernatant (passage number 0, P0) produced after transducing RNA obtained through an in vitro transcription process into Vero E6 cells to restore the Con1 full-length clone, and the supernatant produced after infecting new Vero E6 cells with P0 (P1). ) and the Zika virus titer measured by plaque analysis for the supernatant (P2) obtained through the same process (ND, meaning not detected below the detection limit).
Figure 3b shows the results of Western blot analysis of viral proteins (NS5, NS3, and capsid) in cells infected with the restored Zika virus.
Figure 4 shows the nucleotide and amino acid differences between ZIKV-Con1 and PRVABC59, a reference Zika virus strain of the Asian lineage.
Figure 5a shows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virus titers by infecting Vero E6 cells and A549 cells with PRVABC59 virus strain (P2) and restored ZIKV-Con1 (P1), respectively (* indicates P <0.05; ** indicates P <0.01; *** indicates P < 0.001).
Figure 5b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virus titer by substituting two amino acids toward PRVABC59 based on the Con1 clone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amino acid difference between the PRVABC59 virus strain and ZIKV-Con1 on the virus titer (*** indicates P <0.001; n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gure 5c shows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plaque sizes of PRVABC59 virus strain and ZIKV-Con1 (*** indicates P <0.001).
Figure 6a shows the full-length pBAC-T7-ZK-MR766 produced based on three pieces of DNA fragments obtained by amplifying the African Zika virus strain MR766 to P4 through passage in Vero E6 cells and using viral RNA present in the P4 supernatant. represents a clone.
Figure 6b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nucleotide and amino acid sequences of MR766 (GenBank KX830960.1) and the produced rMR766.
Figure 7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difference in titers between restored MR766 and purchased MR766 at 72 hours after infection in A549 cells (n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gure 8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subgenomic replicon each having two different 3'-terminal sequences constructed based on the CMV promoter.
Figure 9 shows 2'-CMA (2', known as a universal replicase inhibitor) to verify the subgenomic replicon. Renilla luciferase activity decreases over time after treatment with C-methyl adenosine), confirming that replication is inhibited by the drug (*** indicates P <0.001).
Figure 10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ffect of the 3'-end sequence on replication using a verified subgenomic replicon (* is P <0.05; *** is P <0.001; n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Figure 1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each T7 promoter-based minigenome with different 3'-terminal sequences.
Figure 12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3'-terminal sequence on viral protein translation through luciferase activity (n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gure 13a is an analysis of the decomposition rate of isotopically labeled 3'-UTR (428 nt and 429 nt) in Vero E6 cell lysate by comparing the isotope signal intensity, showing the Zika virus according to the 3'-terminal sequence change.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production rates and RNA decomposition patterns of derived subgenomic flavivirus RNA (sfRNA) 1, 2, and 3 (sfRNA1, sfRNA2, and sfRNA3), it was confirmed that the two terminal sequenc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3'-UTR stability. It is a result.
Figure 13b is an analysis of the degradation rate of the last stem-loop portion (82 nt and 83 nt) of the isotopically labeled 3'-UTR in Vero E6 cell lysate by comparing the isotope signal intensity, 3'-end This result confirms that differences in 4 to 5 nt sequences do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rate of stem-loop RNA degradation.
Figure 13c is an analysis of the degradation rate of isotopically labeled 3'-UTR (428 nt and 429 nt) in mosquito-derived C6/36 cell lysate by comparing the isotope signal intensity, which is related to the 3'-end sequence change.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production rates and RNA decomposition patterns of Zika virus-derived sfRNA1 and sfRNA2, it was confirmed that the two terminal sequenc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3'-UTR stability.
Figure 13d is an analysis of the degradation rate of the last stem-loop portion (82 nt and 83 nt) of the isotopically labeled 3'-UTR in mosquito-derived C6/36 cell lysate by comparing the isotope signal intensity, 3 This result confirms that differences in the 4 to 5 nt sequence of the '-terminal sequence do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rate of stem-loop RNA decomposition.
Figure 14a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virus titers over time using a plaque assay after infecting Vero E6 cells and A549 cells with P1 supernatant obtained through restoration of Con1 full-length clones with different 3'-UTR terminal sequences (ns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igure 14b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virus titers over time using a plaque assay after infecting Vero E6 cells and A549 cells with P1 supernatant obtained through restoration of rMR766 full-length clones with different 3'-UTR terminal sequences (ns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igure 15 shows a clone in which the replicase (NS5) or the entire non-structural protein (NS1-5) among the non-structural proteins of the ZIKV-Con1 clone was replaced with the replicase or non-structural protein of MR766 (Con1/MR_NS5 and Con1/MR_NS1-5, respectively) and A schematic diagram of a clone (rMR766/Con1_NS1-5) in which the entir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MR766 clone was replaced with the non-structural protein of Con1 is shown.
Figure 16a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viral titers of Con1, Con1/MR_NS5, Con1/MR_NS1-5, and rMR766 in the Vero E6 cell line on day 3 after infection by plaque assay (** indicates P <0.01; ** * indicates P <0.001; ns indicate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igure 16b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viral titers of rMR766 and rMR766/Con1_NS1-5 in Vero E6 cell line by plaque assay on the 3rd day after infection (*** indicates P <0.001).
Figure 17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the experimental schedule for mice (interferon α/β deficient mice, A129 mice) for comparative pathogenicity analysis of Con1, Con1/MR_NS5, Con1/MR_NS1-5, and rMR766.
Figure 18a shows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mouse body weight changes after infecting A129 mice with Con1, Con1/MR_NS5, Con1/MR_NS1-5, and rMR766, respectively (* is P <0.05; ** is P <0.01; * ** indicates P < 0.001).
Figure 18b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mouse (A129) infection experiment schedule for comparative analysis of pathogenicity of Con1, Con1/MR_NS5, Con1/MR_NS1-5, and rMR766. After infecting A129 mice with each virus, paralysis and survival rate of mice were measured. The comparison results are shown (* is P <0.05; ** is P <0.01).
Figure 19 shows blood samples collected on the 3rd day-post-infection (dpi) and 5th day (5 dpi) after infection of A129 mice with Con1, Con1/MR_NS5, Con1/MR_NS1-5, and rMR766, respectively.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virus titers in blood using plaque assay are shown (** is P <0.01; *** is P <0.001; n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OD, limit of detection).
Figures 20a and 20b show the organs (spleen, testis, kidney, brain, and liver) extracted after infecting mice with Con1, Con1/MR_NS5, Con1/MR_NS1-5, and rMR766, respectively, on the 5th day after infection.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iral RNA copy number (Figure 20a) and the relative RNA copy number level (fold indicated above the bar) compared to Con1 are shown (Figure 20b) (* indicates P <0.05; ** indicates P <0.01; *** indicates P <0.001; ns indicate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igure 2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mouse (C57BL/6) infection experiment schedule for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athogenicity of Con1, Con1/MR_NS5, Con1/MR_NS1-5, and rMR766, where F and M represent male and female mice, respectively, and Mab-5A3 is the type. I refers to a monoclonal antibody that binds to the interferon receptor and blocks interferon signaling.
Figure 22a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hange in body weight of the mouse after infecting C57BL/6 mice with Con1, Con1/MR_NS5, Con1/MR_NS1-5, and rMR766, respectively (* is P <0.05; ** is P <0.01 ;*** indicates P<0.001).
Figure 22b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survival rate (determination of death when 20% of the initial body weight is reduced) of the mice after infecting C57BL/6 mice with Con1, Con1/MR_NS5, Con1/MR_NS1-5, and rMR766, respectively (** is P < 0.01).
Figure 23 shows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gree of clinical symptoms of mice after infecting C57BL/6 mice with Con1, Con1/MR_NS5, Con1/MR_NS1-5, and rMR766, respectively (Con1/MR_NS5 and Con1/MR_NS1-5 shows similar symptoms to Con1 (not shown).
Figure 24 shows the virus in the blood after infecting C57BL/6 mice with Con1, Con1/MR_NS5, Con1/MR_NS1-5, and rMR766, respectively, and collecting blood on the 4th day (4 dpi) and 7th day (7 dpi) after infection.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RNA copy numbers are shown (* is P <0.05; ** is P <0.01; *** is P <0.001; n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OD, limit of detection.).
Figures 25a and 25b show the organs (spleen, testis, kidney, brain, and liver) extracted after infecting mice with Con1, Con1/MR_NS5, Con1/MR_NS1-5, and rMR766, respectively, on the 7th day after infection.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iral RNA copy number (Figure 25a) and the relative RNA copy number level (fold indicated above the bar) compared to Con1 are shown (Figure 25b) (* indicates P <0.05; ** indicates P <0.01; *** indicates P <0.001; ns indicate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igure 26 shows that after infecting C57BL/6 mice with Con1, Con1/MR_NS5, Con1/MR_NS1-5, and rMR766, the brain was removed on the 7th day of infection, and the degree of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 the cerebral cortex was measured by H&E. Analyzed by staining, it shows differences in lesions in brain tissue caused by infection with each virus.
Figure 27a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experimental schedule for intracerebral injection (ic) of each virus (10 4 PFU) into suckling mice (ICR mice) to compare and evaluate the safety of Con1 with MR766, showing the number of animals per group, analysis items, and Indicates the measurement period.
Figure 27b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hange in body weight of suckling mice for 14 days after ic injection of MR766 (heat inactivated MR766), MR766, and Con1 into ICR mice as shown in Figure 27a, and the symbols for data points The markings are the same as in Figure 27a (*** indicates P <0.001).
Figure 27c show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urvival rate for 14 days after ic injection of MR766, MR766, and Con1 inactivated by heat treatment into ICR mice as shown in Figure 27a. Death was determined based on a loss of more than 25% of the initial body weight. , and the symbol for the data point is shown in the same way as in Figure 27a (*** indicates P <0.001).
Figure 27d show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viral RNA copy number and titer in brain tissue 6 and 7 days after MR766 and Con1 were injected into ICR mice by intracerebral injection as in Figure 27a.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참조예Reference example

참조예 1. 지카바이러스 및 세포 배양Reference Example 1. Zika virus and cell culture

지카바이러스 MR766 바이러스주(VR-84)와 PRVABC59 바이러스주(VR-1843)는 ATCC에서 분양 받았다. 각 바이러스 스탁(stock)은 2% fetal bovine serum (FBS)을 첨가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서 배양된 Vero E6 세포(녹색원숭이의 신장 세포; 2 x 106 세포수/100-mm 플레이트)에서 증식시켰다.Zika virus MR766 virus strain (VR-84) and PRVABC59 virus strain (VR-1843) were distributed by ATCC. Each virus stock was cultured in Vero E6 cells (green monkey kidney cells; 2 x 10 6 cells/100-mm plate) cultured in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upplemented with 2% fetal bovine serum (FBS). It was propagated in

Vero E6, A549 및 Vero 세포는 10% FBS, 100 U/ml 페니실린 및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한 DMEM에서 5% CO2 존재 하에 37℃에서 계대 배양하였고, C6/36 세포는 10% FBS, 100 U/ml 페니실린 및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한 DMEM에서 5% CO2 존재 하에 28℃에서 계대 배양하였다.Vero E6, A549, and Vero cells were subcultured at 37°C in the presence of 5% CO 2 in DMEM supplemented with 10% FBS, 100 U/ml penicillin, and 100 μg/ml streptomycin, and C6/36 cells were subcultured with 10% FBS. , subcultured at 28°C in DMEM supplemented with 100 U/ml penicillin and 100 μg/ml streptomycin in the presence of 5% CO 2 .

참조예 2. 지카바이러스 계통도 제작Reference Example 2. Generation of Zika virus family tree

2016년 5월 기준,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264개의 지카바이러스 게놈 서열 중 대다수의 서열이 전장 서열로 보고되지 않아 UTR 부분과 ORF 부분을 나누어 보존 서열을 분석하였다. 이 중 12개의 서열이 완전한 게놈에 해당하여 양쪽 UTR의 제작에 사용하였고, 38개의 서열을 사용하여 보존된 ORF 서열을 제작하였다. UTR과 ORF의 보존된 서열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 특정한 뉴클레오티드가 주어지지 않은 경우, original 우간다 바이러스주(NC_012532.1)를 기반으로 뉴클레오티드를 결정하였다. 그리고 in/del이 있었던 5'-UTR과 3'-UTR 부분은 가장 긴 것을 기반으로 경우의 수가 제일 많은 서열을 채택하였다. 사용된 지카바이러스 게놈 중 ORF의 아미노산 서열을 기반으로 38개의 서열을 정렬하여 계통도를 제작하였다(도 1 참조).As of May 2016, the majority of the 264 Zika virus genome sequences stored in the GenBank database were not reported as full-length sequences, so the conserved sequence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UTR portion and ORF portion. Among these, 12 sequences corresponded to the complete genome and were used to construct both UTRs, and 38 sequences were used to construct the conserved ORF sequence. In determining the conserved sequences of UTR and ORF, if specific nucleotides were not given, nucleotide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original Ugandan virus strain (NC_012532.1). And for the 5'-UTR and 3'-UTR parts where in/del occurred, the sequence with the largest number of cases was selected based on the longest part. A family tree was created by aligning 38 sequences based on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ORF among the Zika virus genomes used (see Figure 1).

참조예 3. 바이러스 감염 방법Reference Example 3. Virus infection method

Vero E6 세포와 A549 세포를 60-mm-플레이트에 8 x 105 세포수로 씨딩 후 밤새 배양하였으며, 37℃에서 2시간 동안 MOI 0.01의 바이러스와 배양하여 감염시켰다. 감염된 세포는 PBS로 세척 후 일정기간 동안 2% FBS를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하였고, 감염된 세포 배양액은 바이러스 역가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보관하였다.Vero E6 cells and A549 cells were seeded in a 60-mm plate at a cell number of 8 Infected cells were washed with PBS and cultured in medium supplemented with 2% FB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infected cell culture was stored to analyze the virus titer level.

젖먹이 마우스 대뇌피질에 바이러스를 주입하기 위해, 3일령 ICR 마우스를 사용하였고, 두개 내 주입방법을 위해, 마우스 머리의 왼쪽 대뇌 피질에 인슐린 주사기를 사용하여 약 2 mm 깊이로 10-ul 용량의 바이러스를(104 PFU) 주입하였다. 감염된 마우스는 14일동안 체중 변화를 관찰하여 생존율(초기 체중 대비 25% 감소 시 사망 판정)을 분석하였다. 또한, 그룹간 차이 유의성 분석을 위해 체중 변화는 스튜던트 t-분석법, 생존율은 Log-rank (Mantel-Cox) 분석법으로 각각 통계 분석하였다.To inject the virus into the cerebral cortex of suckling mice, 3-day-old ICR mice were used, and for the intracranial injection method, a 10-ul dose of virus was injected into the left cerebral cortex of the mouse head at a depth of approximately 2 mm using an insulin syringe. (10 4 PFU) was injected. Infected mice were observed for 14 days to observe changes in body weight, and the survival rate (death was determined when the mouse lost 25% of its initial weight) was analyzed. In addition,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ight change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tudent's t -analysis, and survival rate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Log-rank (Mantel-Cox) analysis.

참조예 4. 바이러스 역가 분석 방법Reference Example 4. Virus titer analysis method

감염된 세포의 배양액은 무혈청 DMEM에 10배씩 단계적 희석을 진행하고 6-웰-플레이트(3 x 105/웰)에서 배양된 Vero 세포에 감염시켰다. 그 후 37℃에서 2시간 동안 바이러스와 배양하고 감염된 세포는 PBS로 세척 후 1% agarose, 2% FBS, 1%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한 DMEM에서 5% CO2 존재 하에 37℃에서 배양하였다. 감염 3일 후 10% 포름알데하이드로 세포 고정을 진행 후, 1%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을 이용하여 염색하였다.The culture medium of the infected cells was serially diluted 10-fold in serum-free DMEM and infected with Vero cells cultured in a 6-well plate (3 x 10 5 /well). Afterwards, the cells were incubated with the virus at 37°C for 2 hours, and the infected cells were washed with PBS and cultured at 37°C in DMEM supplemented with 1% agarose, 2% FBS, 1% penicillin, and streptomycin in the presence of 5% CO 2 . After 3 days of infection, cells were fixed with 10% formaldehyde and stained using 1% crystal violet solution.

참조예 5. 바이러스 병원성 분석 방법Reference Example 5. Virus pathogenicity analysis method

인터페론 α/β 수용체가 결손된 A129 마우스에 복원된 각 바이러스(P1, 100 PFU/100 μl)를 footpad 경로로 감염시키고 총 15일간 관찰하였다. 군당 12마리로 진행하여 각 군당 6마리는 생존율 및 임상적 증상을 관찰하였고, 각 군당 6마리는 감염 후 3일 및 5일 차에 채혈하였고 5일 차에 장기를 적출하였다. 체중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매일 마우스의 무게를 측정하였고, 체중이 비교군 대비 80% 이하로 감소 시 윤리적으로 사망 처리하였다.A129 mice lacking interferon α/β receptors were infected with each restored virus (P1, 100 PFU/100 μl) via the footpad route and observed for a total of 15 days. With 12 animals per group, survival rate and clinical symptoms were observed for 6 animals in each group. Blood was collected from 6 animals in each group on the 3rd and 5th days after infection, and organs were removed on the 5th day. To observe changes in body weight, the weight of the mice was measured every day, and when the body weight decreased to less than 80% of the comparison group, they were ethically killed.

또한, 일반 마우스 C57BL/6에 복원된 각 바이러스(P1, 104 PFU/100ul)를 복강투여 경로로 감염시키고 총 15일간 관찰하였다. 군당 10마리로 진행하여 감염 후 4일 및 7일차에 채혈하였고 7일차에 장기를 적출하였다. 각 군당 5마리는 생존율 및 임상적 증상을 관찰하였고, 무게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매일 마우스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몸무게가 80% 이하로 감소 시 윤리적으로 사망 처리하였다.In addition, normal mouse C57BL/6 was infected with each restored virus (P1, 10 4 PFU/100ul) by intraperitoneal route and observed for a total of 15 days. There were 10 animals per group, blood was collected on the 4th and 7th days after infection, and organs were removed on the 7th day. The survival rate and clinical symptoms of 5 mice in each group were observed, the weight of the mice was measured daily to check weight changes, and ethically killed when the body weight decreased below 80%.

젖먹이 마우스에 복원된 Con1 바이러스(P1, 104 PFU/10ul)를 두개내 투여 경로로 감염시키고 군당 10마리 중 3마리는 감염 후 6, 7일차에 뇌 내 바이러스 RNA 수준과 역가를 분석하였고, 나머지 7마리는 총 14일간 체중 변화를 관찰하였다.Nursing mice were infected with the restored Con1 virus (P1, 10 4 PFU/10ul) by intracranial administration, and 3 out of 10 mice per group were analyzed for viral RNA levels and titers in the brain on the 6th and 7th days after infection, and the remaining mice were infected. Weight changes in 7 animals were observed for a total of 14 days.

실시예Example

실시예 1. 지카바이러스 Con1 전장클론 제작 및 복원Example 1. Production and restoration of Zika virus Con1 full-length clone

지카바이러스 Con1 전장클론을 제조하기 위해 ZIKV-Con1 염기 서열(서열번호 1) 중 37 내지 3,445 nt, 3,426 내지 5,870 nt, 및 5,851 내지 8,430 nt 위치에 해당하는 3가지 DNA 절편(Con1-1, Con1-2 및 Con1-3)을 화학적으로 합성하였다. 플라비바이러스의 유전자는 E. coli 내에서 불안정하기 때문에, 상기 절편을 클로닝하기 위한 벡터로 낮은 카피 수 벡터인 pMW119를 사용하였다. 상기 pMW119에 T7 프로모터, 51 nt의 지카바이러스 5'-UTR 말단 서열, 제한효소 NheI, ApaLI, KasI 및 SfiI를 포함하는 멀티 클로닝 사이트(MCS), 2,392 nt의 지카바이러스 3'-UTR 말단 서열(8,416 내지 10,806 nt) 및 선형화를 위한 EciI 제한효소 위치를 포함하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DNA 절편을 In-Fusion 방법으로 클로닝하여 pMW119-Con1-5'-3' 중간 벡터(서열번호 2)를 제작하였다.In order to prepare a full-length Zika virus Con1 clone, three DNA fragments (Con1-1, Con1- 2 and Con1-3) were chemically synthesized. Because the flavivirus gene is unstable in E. coli , a low copy number vector, pMW119, was used as a vector to clone the fragment. The pMW119 contains the T7 promoter, 51 nt of Zika virus 5'-UTR terminal sequence, multi-cloning site (MCS) including restriction enzymes NheI, ApaLI, KasI and SfiI, and 2,392 nt of Zika virus 3'-UTR terminal sequence (8,416 to 10,806 nt) and an EciI restriction enzyme site for linearization were cloned using the In-Fusion method to construct the pMW119-Con1-5'-3' intermediate vector (SEQ ID NO: 2).

상기 In-Fusion 클로닝을 위해, 먼저 inverse PCR로 중간 벡터 DNA 절편을 제작하였고, 상기 DNA 절편들과 5x Infusion premix를 섞고, 50℃에서 15분 반응시켜 E. coli에 형질전환 시킨 후, DNA를 추출하였다.For the In-Fusion cloning, an intermediate vector DNA fragment was first prepared by inverse PCR, the DNA fragments were mixed with 5x Infusion premix, reacted at 50°C for 15 minutes to transform into E. coli , and then the DNA was extracted. did.

그 다음, 3가지 Con1의 DNA 절편들을 MCS에 맞는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넣어 pMW-T7-ZK-Con1 벡터(서열번호 3)를 제작하였다. pMW-T7-ZK-Con1 제작에 사용한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1과 같다.Next, the pMW-T7-ZK-Con1 vector (SEQ ID NO: 3) was constructed by sequentially inserting the three DNA fragments of Con1 using restriction enzymes suitable for MCS. The primer sequences used to construct pMW-T7-ZK-Con1 are shown in Table 1 below.

유전자/벡터Gene/vector 프라이머primer 서열 (5'-3')a Sequence (5'-3') a 비고note Con1-BCon1-B Con1-B_FCon1-B_F tcg agc tcg gta ccc ggg taa tac gac tca cta tag AGT TGT TGA TCT GTG TGA ATC AG(서열번호 4) tcg agc tcg gta ccc ggg taa tac gac tca cta tag AGT TGT TGA TCT GTG TGA ATC AG (SEQ ID NO: 4) pMW119-Con1-5'-3' 카세트 벡터의 제조를 위해 Con1-B cDNA 증폭 및 pMW119에 클로닝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amplifying Con1-B cDNA and cloning into pMW119 for construction of pMW119-Con1-5'-3' cassette vector. Con1-B_RCon1-B_R tga tta cgc c aa gct tgg cgg aga att ccg cgg AGA AAC CAT GGA TTT CCC CAC(서열번호 5) tga tta cgc c aa gct t gg cgg aga att ccg cgg AGA AAC CAT GGA TTT CCC CAC (SEQ ID NO: 5) Con1-1Con1-1 Con1-1_FCon1-1_F GAG TTT GAA GCG AAA GCT AGC(서열번호 6)GAG TTT GAA GCG AAA GCT AGC (SEQ ID NO: 6) Con1-1 cDNA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Con1-1 cDNA amplification Con1-1_RCon1-1_R GGG CAT TGT GCA CTC CCT G(서열번호 7)GGG CAT T GT GCA C TC CCT G (SEQ ID NO: 7) Con1-2Con1-2 Con1-2_FCon1-2_F GCA GGG AGT GCA CAA TGC C(서열번호 8)GCA GGG A GT GCA C AA TGC C (SEQ ID NO: 8) Con1-2 cDNA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Con1-2 cDNA amplification Con1-2_RCon1-2_R CTT TAA AGT TGG CGC CCA TCT C(서열번호 9)CTT TAA AGT T GG CGC C CA TCT C (SEQ ID NO: 9) Con1-3Con1-3 Con1-3_FCon1-3_F GAT GGG CGC CAA CTT TAA AGC(서열번호 10)GAT G GG CGC C AA CTT TAA AGC (SEQ ID NO: 10) Con1-3 cDNA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Con1-3 cDNA amplification Con1-3_RCon1-3_R TCC TCA TAT TTC ACT GGC CTC C(서열번호 11)TCC TCA TAT TTC ACT GGC CTC C (SEQ ID NO: 11)

a지카바이러스 서열은 대문자로, 그외 서열은 소문자로 표시하였다. In-Fusion 클로닝 위치는 볼드체로 표시하였고, 제한 요소 위치는 밑줄로 표시하였다. a Zika virus sequences are indicated in uppercase letters, and other sequences are indicated in lowercase letters. In-Fusion cloning positions are indicated in bold, and restriction element positions are underlined.

추가적으로, 상기 pMW-T7-ZK-Con1 벡터(서열번호 3)를 싱글 카피 수의 pBeloBAC11 벡터에 서브클로닝 하였다. 먼저, pBeloBAC11 벡터에 T7, HDVRz 및 SacII 제한효소 위치를 포함하는 중간 벡터를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선형화된 중간 벡터에 pMW-T7-ZK-Con1 벡터(서열번호 3)를 주형으로 증폭시킨 전장 지카바이러스 유전자(T7-ZK-Con1)를 In-Fusion 방법으로 클로닝하여 최종적으로 pBAC-T7-ZK-Con1(서열번호 12) 및 말단 서열이 -TTTCT-3'로 치환된 pBAC-T7-ZK-Con1(TTTCT) 플라스미드(서열번호 13)를 제작하였다(도 2 참조). pBAC-T7-ZK-Con1 및 이의 변이체 제작에 사용한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2와 같다.Additionally, the pMW-T7-ZK-Con1 vector (SEQ ID NO: 3) was subcloned into the single copy pBeloBAC11 vector. First, an intermediate vector containing T7, HDVRz, and SacII restriction enzyme sites was constructed in the pBeloBAC11 vector. The full-length Zika virus gene (T7-ZK-Con1) amplified using the pMW-T7-ZK-Con1 vector (SEQ ID NO. 3) as a template was cloned into the linearized intermediate vector prepared as above using the In-Fusion method, and finally pBAC. -T7-ZK-Con1 (SEQ ID NO: 12) and pBAC-T7-ZK-Con1 (TTTCT) plasmid (SEQ ID NO: 13) whose terminal sequence was substituted with -TTTCT-3' were constructed (see Figure 2). The primer sequences used to prepare pBAC-T7-ZK-Con1 and its varian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유전자/벡터Gene/vector 프라이머primer 서열 (5'-3')a Sequence (5'-3') a 비고note HDVrHDVr HDVr_FHDVr_F ggg tcg gca tgg cat ctc cac ctc ctc gcg gtc cga cct ggg cta(서열번호 14)ggg tcg gca tgg cat ctc cac ctc ctc gcg gtc cga cct ggg cta (SEQ ID NO: 14) 프라이머 혼성화 및 연장으로 전장 HDVr 서열을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s to prepare full-length HDVr sequences by primer hybridization and extension HDVr_RHDVr_R ctt ctc cct tag cct acc gaa gta gcc cag gtc gga ccg cga gga(서열번호 15)ctt ctc cct tag cct acc gaa gta gcc cag gtc gga ccg cga gga (SEQ ID NO: 15) T7-HDVrT7-HDVr T7-HDVr_FT7-HDVr_F taa tac gac tca cta tag ggg tcg gca tgg cat ctc(서열번호 16) taa tac gac tca cta tag ggg tcg gca tgg cat ctc (SEQ ID NO: 16) HDVr을 주형으로 T7-HDVr을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manufacturing T7-HDVr using HDVr as a template T7-HDVr_RT7-HDVr_R ctt ctc cct tag cct acc g(서열번호 17) ctt ctc cct tag cct acc g (SEQ ID NO: 17) pBAC-Vec cassettepBAC-Vec cassette pBAC-Vec_FpBAC-Vec_F agg cta agg gag aag ccg cgg aag ctt gag tat tct ata gtg tca c(서열번호 18) agg cta agg gag aag ccg cgg aag ctt gag tat tct ata gtg tca c (SEQ ID NO: 18) pSARS-REF-Feo 플라스미드를 주형으로 inverse PCR을 통해 선형화된 pBAC-Vec cassette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producing linearized pBAC-Vec cassette through inverse PCR using the pSARS-REF-Feo plasmid as a template. pBAC-Vec_RpBAC-Vec_R tag tga gtc gta tta ggc gcc tga tgc ggt att ttc(서열번호 19) tag tga gtc gta tta ggc gcc tga tgc ggt att ttc (SEQ ID NO: 19) T7-ZK-Con1T7-ZK-Con1 T7-ZK-Con1_FT7-ZK-Con1_F taa tac gac tca cta tag AGT TGT TG(서열번호 20) taa tac gac tca cta tag AGT TGT TG (SEQ ID NO: 20) pMW-T7-ZK-Con1을 주형으로 3’ 말단 서열이 -GTCT 또는 -TTTCT인 T7 프로모터 태그 전장 Con1 cDNA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to prepare T7 promoter tag full-length Con1 cDNA with -GTCT or -TTTCT 3' terminal sequence using pMW-T7-ZK-Con1 as a template. ZK-Con1(GTCT)_RZK-Con1(GTCT)_R atg cca tgc cga ccc AGA CCC ATG GAT TTC CCC AC(서열번호 21) atg cca tgc cga ccc AGA CCC ATG GAT TTC CCC AC (SEQ ID NO: 21) ZK-Con1(TTTCT)_RZK-Con1(TTTCT)_R atg cca tgc cga ccc AGA AACC ATG GAT TTC CCC AC(서열번호 22) atg cca tgc cga ccc AGA AACC ATG GAT TTC CCC AC (SEQ ID NO: 22) pBAC-T7-HDVr cassettepBAC-T7-HDVr cassette pBAC-T7-HDVr_FpBAC-T7-HDVr_F ggg tcg gca tgg cat ctc(서열번호 23) ggg tcg gca tgg cat ctc (SEQ ID NO: 23) pBAC-T7-HDVr 벡터를 주형으로 inverse PCR을 통해 선형화된 pBAC-T7-HDVr cassette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producing linearized pBAC-T7-HDVr cassette through inverse PCR using the pBAC-T7-HDVr vector as a template. pBAC-T7-HDVr_RpBAC-T7-HDVr_R tag tga gtc gta tta ggc gcc(서열번호 24) tag tga gtc gta tta ggc gcc (SEQ ID NO: 24) GAA substitution in NS5GAA substitution in NS5 mut_Fmut_F GAA TGG CAG TCA GTG GAG CTG CTT GCG TTG TGA AGC CAA T(서열번호 25)GAA TGG CAG TCA GTG GAG CTG CTT GCG TTG TGA AGC CAA T (SEQ ID NO: 25) NS5 활성 위치에 GAA 치환을 도입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to introduce GAA substitutions in the NS5 active site mut_Rmut_R ATT GGC TTC ACA ACG CAA GCA GCT CCA CTG ACT GCC ATT C(서열번호 26)ATT GGC TTC ACA ACG CAA GCA GCT CCA CTG ACT GCC ATT C (SEQ ID NO: 26) ZK-MR766_NS5ZK-MR766_NS5 MR-NS5_FMR-NS5_F CTT GGT CAA GAG ACG TGG AGG TGG GAC(서열번호 27) CTT GGT CAA GAG ACG T GG AGG TGG GAC (SEQ ID NO: 27) pBAC-T7-ZK-MR766을 주형으로 ZK-MR766_NS5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to prepare ZK-MR766_NS5 using pBAC-T7-ZK-MR766 as a template MR-NS5_RMR-NS5_R CAT TAA GAT TGG TGC TTA CAA CAC TCC GG(서열번호 28) CAT TAA GAT TGG TGC TTA CAA CAC TCC GG (SEQ ID NO: 28) pBAC-T7-ZK-Con1△NS5pBAC-T7-ZK-Con1△NS5 ZK-Con1-Vec_FZK-Con1-Vec_F GCA CCA ATC TTA ATG TTG TCA GG(서열번호 29) GCA CCA ATC TTA ATG TTG TCA GG (SEQ ID NO: 29) pBAC-T7-ZK-Con1을 주형으로 inverse PCR을 통해 NS5 코딩 유전자가 결손된 선형화된 pBAC-T7-ZK-Con1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최종적으로 ZK-MR766_NS5와 In-Fusion 클로닝을 통해 pBAC-T7-ZK-Con1/MR_NS5를 제작하기 위함.)Primer set to prepare linearized pBAC-T7-ZK-Con1 lacking the NS5 coding gene through inverse PCR using pBAC-T7-ZK-Con1 as a template (finally, pBAC- To produce T7-ZK-Con1/MR_NS5.) ZK-Con1-Vec_RZK-Con1-Vec_R ACG TCT CTT GAC CAA GCC AGC(서열번호 30) ACG TCT CTT GAC CAA G CC AGC (SEQ ID NO: 30) ZK-MR766_NS1-5ZK-MR766_NS1-5 MR-NS1-5_FMR-NS1-5_F ACA GCC GTC TCT GCT GAC GTG GGG TGC(서열번호 31) ACA GCC GTC TCT GCT GAC GTG GGG TGC (SEQ ID NO: 31) pBAC-T7-ZK-MR766을 주형으로 ZK-MR766_NS1-5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preparing ZK-MR766_NS1-5 using pBAC-T7-ZK-MR766 as a template pBAC-T7-ZK-Con1△NS1-5pBAC-T7-ZK-Con1△NS1-5 ZK-Con1-Vec_R_2ZK-Con1-Vec_R_2 AGC AGA GAC GGC TGT GGA TAA G(서열번호 32) AGC AGA GAC GGC TGT GGA TAA G (SEQ ID NO: 32) pBAC-T7-ZK-Con1을 주형으로 inverse PCR을 통해 NS1-5 코딩 유전자가 결손된 선형화된 pBAC-T7-ZK-Con1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최종적으로 ZK-MR766_NS1-5와 In-Fusion 클로닝을 통해 pBAC-T7-ZK-Con1/MR_NS1-5를 제작하기 위함.)Primer set to prepare linearized pBAC-T7-ZK-Con1 lacking the NS1-5 coding gene through inverse PCR using pBAC-T7-ZK-Con1 as a template (finally, ZK-MR766_NS1-5 and In-Fusion cloning) To produce pBAC-T7-ZK-Con1/MR_NS1-5.)

a지카바이러스 서열은 대문자로, 그외 서열은 소문자로 표시하였다. In-Fusion 클로닝 위치는 볼드체로 표시하였다. a Zika virus sequences are indicated in uppercase letters, and other sequences are indicated in lowercase letters. In-Fusion cloning positions are indicated in bold.

제작한 지카바이러스 전장 클론을 복원하기 위해 pBAC-T7-ZK-Con1 플라스미드(서열번호 12)를 SacII 제한효소로 37℃에서 4시간 반응시켜 선형화시키고 페놀/클로로포름 추출과 아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한 DNA 침전으로 DNA를 정제하였다. 그 후, mMESSAGE mMACHINE T7 Transcription 키트를 이용해 in vitro transcription 및 캡핑을 수행하였다. Trizol을 이용하여 순수한 RNA를 정제한 후 Vero E6 세포(2 x 106 세포수/100-mm-플레이트)에 리포펙트아민을 이용해 형질도입 시켰다. 형질도입 4시간 후 신선한 배지로 교환하고, 2일 후 세포와 상등액 일정량을 새로운 플레이트에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3일 후 얻은 상등액을 P0로 명명하였고, 상기 P0를 Vero E6 세포(2 x 106 세포수/100-mm-플레이트)에 감염시키고 얻은 상등액을 P1, P1을 다시 Vero E6 세포(2 x 106 세포수/100-mm-플레이트)에 감염시키고 얻은 상등액을 P2로 명명하였다.To restore the produced full-length Zika virus clone, pBAC-T7-ZK-Con1 plasmid (SEQ ID NO: 12) was linearized by reacting with SacII restriction enzyme at 37°C for 4 hours, and DNA was purified by phenol/chloroform extraction and DNA precipitation using isopropanol. was purified. Afterwards, in vitro transcription and capping were performed using the mMESSAGE mMACHINE T7 Transcription kit. After purifying pure RNA using Trizol, Vero E6 cells (2 x 10 6 cells/100-mm-plate) were transduced using lipofectamine. 4 hours after transfection, the medium was replaced with fresh medium, and after 2 days, a certain amount of cells and supernatant were placed on a new plate and cultured. The supernatant obtained after 3 days of culture was named P0. The P0 was infected with Vero E6 cells (2 6 cells/100-mm-plate) and the resulting supernatant was named P2.

상기 방법으로 얻은 P0, P1 및 P2 상등액을 무혈청 DMEM에 각 상등액의 바이러스를 10배씩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Vero 세포(3 x 105 세포수/6웰-플레이트)에 감염시켰다. 감염 2시간 후, 웰을 PBS로 3번 세척하고 2% FBS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함유된 완전 DMEM과 1% low-melting 아가로스 혼합액으로 오버레이(overlay)하였다. 4일 후, plaque 개수를 계수하여 바이러스 역가를 분석하였다. 복원된 바이러스 역가 비교 및 바이러스 복제 비교 시 음성 대조군으로 활용하기 위해, QuikChange II XL Site-Directed Mutagenesis 키트(Agilent)를 사용하여, 지카바이러스 복제효소 NS5의 활성부위에 존재하는 GDD 서열을 GAA로 치환하여 복제효소 활성을 상실시킨 Con1(Con1(NS5_GAA), 서열번호 33)을 제조하였다. 또한, 세포 내 바이러스 단백질 발현양을 웨스턴블랏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The P0, P1, and P2 supernatants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were sequentially diluted 10-fold with the virus in each supernatant in serum-free DMEM and infected with Vero cells (3 x 10 5 cells/6 well-plate). Two hours after infection, the wells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PBS and overlaid with a mixture of complete DMEM and 1% low-melting agarose containing 2% FBS and 1% penicillin/streptomycin. After 4 days, the number of plaques was counted and the virus titer was analyzed. To use it as a negative control when comparing restored virus titers and virus replication, the GDD sequence present in the active site of Zika virus replicase NS5 was replaced with GAA using the QuikChange II XL Site-Directed Mutagenesis kit (Agilent). Con1 (Con1(NS5_GAA), SEQ ID NO: 33), which lost replication enzyme activity, was prepared. In addition, the amount of viral protein expression in cells was measured through Western blot analysis.

바이러스 역가 측정 결과, P0 상등액의 역가가 P1, P2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음성 대조군 Con1(NS5_GAA)(서열번호 33)의 경우 바이러스 역가가 측정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3a 참조). 또한, 상기 실험으로 얻어진 P2의 바이러스를 다른 세포주인 Huh7 세포에 감염시켜 상등액의 바이러스 RNA 수준, 세포내 바이러스 RNA 수준 및 바이러스 단백질인 NS5, NS3 및 캡시드 단백질의 발현을 웨스턴 블랏을 통해 확인하였다(도3b 참조)As a result of measuring the virus titer, it was confirmed that the titer of the P0 supernatan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1 and P2, and that the virus titer was not measured in the case of the negative control Con1 (NS5_GAA) (SEQ ID NO. 33) (see Figure 3a). In addition, the P2 virus obtained in the above experiment was infected with Huh7 cells, another cell line, and the level of viral RNA in the supernatant, the level of intracellular viral RNA, and the expression of the viral proteins NS5, NS3, and capsid protein were confirmed through Western blot (Figure see 3b)

상기 실험을 통해, 지카바이러스의 보존된 서열을 포함하는 신규 재조합 바이러스 Con1을 제조하였고, 상기 Con1을 Vero E6 세포를 이용하여 복원시켰으며, 복원된 Con1의 바이러스 역가를 확인하였다.Through the above experiment, a new recombinant virus Con1 containing the conserved sequence of Zika virus was prepared, the Con1 was restored using Vero E6 cells, and the viral titer of the restored Con1 was confirmed.

실시예 2. Con1과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주 PRVABC59의 바이러스 역가 비교 분석Example 2. Comparative analysis of virus titer between Con1 and Asian Zika virus strain PRVABC59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작한 Con1은 계통도 분석에서 아시아 계통에 속하기 때문에 ATCC사에서 분양 받은 아시아 계통인 reference PRVABC59 바이러스주(GenBank number: KU501215.1)(서열번호 34)와 뉴클레오티드 및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하였다.Since Con1 produced through Example 1 belongs to the Asian lineage in the phylogenetic tree analysis, the reference PRVABC59 virus strain (GenBank number: KU501215.1) (SEQ ID NO: 34), an Asian lineage distributed from ATCC, and the nucleotide and amino acid sequences were used. compared.

비교 결과, Con1과 PRVABC59는 Con1을 기준으로, 캡시드 단백질 부분(I80T)과 복제효소 부분(A2611V)에서 차이가 있고 전체적으로 염기서열 상동성이 98.5%임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t was confirmed that Con1 and PRVABC59 differed from Con1 in the capsid protein portion (I80T) and replicase portion (A2611V) and had an overall nucleotide sequence homology of 98.5% (see Figure 4).

이후, 바이러스 역가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Vero E6와 A549 세포(8 x 105 세포수/60-mm-플레이트)에 복원한 P1의 Con1과 분양 받은 P2의 PRVABC59를 MOI=0.01로 감염시켰다. 감염 두 시간 후 PBS로 세척한 뒤 새로운 배지에서 각 시간별(24, 48 및 72시간)로 상등액을 채취하였고, plaque 에세이로 바이러스 역가 및 plaque 크기를 분석하였다.Afterward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virus titer, Vero E6 and A549 cells (8 Two hours after infection, the cells were washed with PBS, and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in new medium at each hour (24, 48, and 72 hours), and virus titer and plaque size were analyzed by plaque assay.

분석 결과, Vero E6 세포 및 A549 세포 모두에서 ZIKV-Con1 전장 클론에서 복원된 바이러스가 PRVABC59 바이러스주보다 각 측정 시간에서 바이러스 역가가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5a 참조). 또한, PRVABC59와 비교 시 차이가 있는 두 가지 아미노산을 Con1 클론에서 PRVABC59 아미노산으로 치환한 후 바이러스 증식 속도를 비교해 본 결과, 이들 아미노산 치환으로 Con1 바이러스 역가가 변화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5b 참조). 추가적으로, PRVABC59 대비 Con1의 plaque 크기 또한 작음을 확인하였다(도 5c 참조).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virus recovered from the ZIKV-Con1 full-length clone had a reduced virus titer at each measurement time compared to the PRVABC59 virus strain in both Vero E6 cells and A549 cells (see Figure 5a).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virus proliferation rate after substituting the two amino acids that differed from PRVABC59 with the PRVABC59 amino acid in the Con1 clon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1 virus titer did not change due to these amino acid substitutions (see Figure 5b). Additio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plaque size of Con1 was smaller than that of PRVABC59 (see Figure 5c).

상기 실험을 통해, 지카바이러스의 보존된 서열을 포함하는 신규 재조합바이러스 Con1이 같은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주인 PRVABC59에 비해 약독화된 특성을 보이는 것은 Con1 유전자에 존재하는 여러 개의 서열 차이로 인한 것임을 검증하였다.Through the above experiment, it was verified that the new recombinant virus Con1 containing the conserved sequence of Zika virus showed attenuated characteristics compared to PRVABC59, an Asian Zika virus strain, due to several sequence differences in the Con1 gene.

실시예 3. 세포 적응된 지카바이러스 rMR766 전장 클론 제작 및 복원Example 3. Construction and restoration of cell-adapted Zika virus rMR766 full-length clone

지카바이러스 MR766 전장 클론의 제조를 위해 ATCC에서 분양 받은 MR766 바이러스주를 사용하였다. Vero E6에서 4번의 passage를 거친 상등액(P4)에서 RNA를 추출 후, RT-PCR을 통해 cDNA를 합성하였고, ZIKV-MR766 서열(서열번호 35) 중 1 내지 8,032 nt, 8,012 내지 9,288 nt 및 9,272 내지 11,807 nt 위치에 해당하는 3가지 DNA 절편(MR766-1, MR766-2 및 MR766-3)을 PCR을 통해 증폭하였다. 이후, pBAC-T7-ZK-Con1 플라스미드(서열번호 12)를 주형으로 inverse PCR을 통해 T7, HDVRz 및 SacII 서열을 포함하는 선형화된 중간 벡터를 제작하였고, 증폭된 3가지 MR766 DNA 절편을 In-Fusion 방법으로 클로닝하여 최종적으로 pBAC-T7-ZK-MR766 플라스미드(서열번호 36)를 제작하였다(도 6a 참조). 제작된 재조합 MR766과 reference MR766 바이러스주(GenBank number: KX830960.1)(서열번호 37)의 뉴클레오티드 및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하였을 때, 총 5개의 뉴클레오티드와 2개의 아미노산 서열이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6b 참조). pBAC-T7-ZK-MR766 및 이의 변이체 제작에 사용한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3과 같다. To produce the full-length Zika virus MR766 clone, the MR766 virus strain distributed from ATCC was used. After extracting RNA from the supernatant (P4) after four passages in Vero E6, cDNA was synthesized through RT-PCR, and 1 to 8,032 nt, 8,012 to 9,288 nt, and 9,272 to 9,272 nt of the ZIKV-MR766 sequence (SEQ ID NO: 35). Three DNA fragments (MR766-1, MR766-2, and MR766-3) corresponding to the 11,807 nt position were amplified through PCR. Afterwards, a linearized intermediate vector containing T7, HDVRz, and SacII sequences was constructed through inverse PCR using the pBAC-T7-ZK-Con1 plasmid (SEQ ID NO. 12) as a template, and the three amplified MR766 DNA fragments were incubated with In-Fusion. By cloning using this method, pBAC-T7-ZK-MR766 plasmid (SEQ ID NO: 36) was finally produced (see Figure 6a). When comparing the nucleotide and amino acid sequences of the produced recombinant MR766 and the reference MR766 virus strain (GenBank number: KX830960.1) (SEQ ID NO: 37), it was confirmed that a total of 5 nucleotides and 2 amino acid sequences were changed (see Figure 6b). ). The primer sequences used to prepare pBAC-T7-ZK-MR766 and its varian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유전자/벡터Gene/vector 프라이머primer 서열 (5'-3')a Sequence (5'-3') a 비고note MR766-1MR766-1 MR766-1_FMR766-1_F taa tac gac tca cta tag AGT TGT TGA TCT GTG TGA GTC AGA CTG C(서열번호 38) taa tac gac tca cta tag AGT TGT TGA TCT GTG TGA GTC AGA CTG C (SEQ ID NO: 38) MR766-1 cDNA 조각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amplifying MR766-1 cDNA fragment MR766-1_RMR766-1_R GTT CCA CCC ATA GCT TTG CAC CA(서열번호 39) GTT CCA CCC ATA GCT TTG CAC CA (SEQ ID NO: 39) MR766-2MR766-2 MR766-2_FMR766-2_F GTG CAA AGC TAT GGG TGG AAC(서열번호 40) GTG CAA AGC TAT GGG TGG AAC (SEQ ID NO: 40) MR766-2 cDNA 조각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amplifying MR766-2 cDNA fragment MR766-2_RMR766-2_R GTG TCC CAG CCA GCA GTG TCA T(서열번호 41) GTG TCC CAG CCA GCA GT G TCA T (SEQ ID NO: 41) MR766-3MR766-3 MR766-3_FMR766-3_F ACT GCT GGC TGG GAC ACC(서열번호 42) ACT GCT GGC TGG GAC AC C (SEQ ID NO: 42) MR766-3 cDNA 조각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amplifying MR766-3 cDNA fragment MR766-3_RMR766-3_R gat gcc atg ccg acc cAG AAA CCA TGG ATT TCC CCA C(서열번호 43) gat gcc atg ccg acc c AG AAA CCA TGG ATT TCC CCA C (SEQ ID NO: 43) pBAC-T7-HDVr cassettepBAC-T7-HDVr cassette pBAC-T7-HDVr_F_2 pBAC-T7-HDVr_F_2 ggg tcg gca tgg cat ctc cac ct(서열번호 44) ggg tcg gca tgg cat ctc cac ct (SEQ ID NO: 44) pBAC-T7-HDVr 벡터를 주형으로 inverse PCR을 통해 선형화된 pBAC-T7-HDVr cassette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최종적으로 MR766-1, 2, 3 DNA 절편과 In-Fusion 클로닝을 통해 pBAC-T7-ZK-rMR766을 제작하기 위함.)Primer set to prepare a linearized pBAC-T7-HDVr cassette through inverse PCR using the pBAC-T7-HDVr vector as a template (finally, pBAC-T7- through MR766-1, 2, 3 DNA fragments and In-Fusion cloning) To produce ZK-rMR766.) pBAC-T7-HDVr_R_2
pBAC-T7-HDVr_R_2
tat agt gag tcg tat tag gcg cct gat gc(서열번호 45) tat agt gag tcg tat ta g gcg cct gat gc (SEQ ID NO: 45)
ZK-Con1_NS1-5ZK-Con1_NS1-5 Con1-NS1-5_FCon1-NS1-5_F TCT GCT GAT GTG GGG TGC TC(서열번호 46) TCT GCT GAT GTG GGG TGC TC (SEQ ID NO: 46) pBAC-T7-ZK-Con1을 주형으로 ZK-Con1_NS1-5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to prepare ZK-Con1_NS1-5 using pBAC-T7-ZK-Con1 as a template Con1-NS1-5_RCon1-NS1-5_R ATT GGT GCT TAC AGC ACT CCA G(서열번호 47) ATT GGT GCT TAC AGC AC T CCA G (SEQ ID NO: 47) pBAC-T7-ZK-MR766 △NS1-5pBAC-T7-ZK-MR766 △NS1-5 ZK-MR766-Vec_FZK-MR766-Vec_F GTG CTG TAA GCA CCA ATT TTA GTG(서열번호 48) GTG CTG TAA GCA CCA AT T TTA GTG (SEQ ID NO: 48) pBAC-T7-ZK-rMR766을 주형으로 inverse PCR을 통해 NS1-5 코딩 유전자가 결손된 선형화된 Pbac-T7-ZK-MR766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최종적으로 ZK-Con1_NS1-5 DNA 절편과 In-Fusion 클로닝을 통해 pBAC-T7-ZK-rMR766/Con1_NS1-5를 제작하기 위함.)A primer set to prepare linearized Pbac-T7-ZK-MR766 with a deletion of the NS1-5 coding gene through inverse PCR using pBAC-T7-ZK-rMR766 as a template (finally, the ZK-Con1_NS1-5 DNA fragment and In- To produce pBAC-T7-ZK-rMR766/Con1_NS1-5 through Fusion cloning.) ZK-MR766-Vec_RZK-MR766-Vec_R CCC CAC ATC AGC AGA AAC AG(서열번호 49) CCC CAC ATC AGC AGA AAC AG (SEQ ID NO: 49)

a지카바이러스 서열은 대문자로, 그외 서열은 소문자로 표시하였다. In-Fusion 클로닝 위치는 볼드체로 표시하였다. a Zika virus sequences are indicated in uppercase letters, and other sequences are indicated in lowercase letters. In-Fusion cloning positions are indicated in bold.

추가적으로, 복원된 rMR766과 ATCC에서 분양 받은 MR766의 바이러스 역가 비교를 실시하였다. A549 세포(8 x 105 세포수/60-mm-플레이트)에 두 바이러스를 MOI=0.01로 감염시킨 후, 3일째 상등액을 이용하여 plaque 에세이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두 MR766의 바이러스 역가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도 7 참조).Additionally, a comparison of virus titers between restored rMR766 and MR766 distributed from ATCC was conducted. After infecting A549 cells (8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rus titers of the two MR766s (see Figure 7).

상기 실험을 통해, MR766 유전자를 가지는 세포 적응된 지카바이러스 전장 클론 rMR766을 제조하였고, 상기 복원된 rMR766의 바이러스 역가를 확인하였다.Through the above experiment, a cell-adapted full-length Zika virus clone rMR766 containing the MR766 gene was prepared, and the viral titer of the restored rMR766 was confirmed.

실시예 4. 지카바이러스 전장 클론 및 유도체를 통해 3'-말단 서열의 변화가 바이러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Example 4. Analysis of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3'-terminal sequence on the virus through Zika virus full-length clones and derivatives

아프리카 및 아시아 계통의 지카바이러스는 모두 공통적으로 3'-말단 서열(-GTCT-3')을 가지고 있으나, MR766 바이러스주는 특이적인 3'-말단 서열(-TTTCT-3')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상기 3'-말단 서열을 교체시킬 경우, 지카바이러스의 복제, 번역, RNA 안정성 및 증식에 있어서 변화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Zika viruses from Africa and Asia all have a common 3'-terminal sequence (-GTCT-3'), but the MR766 virus strain is known to have a specific 3'-terminal sequence (-TTTCT-3'). Accordingly,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changes occurred in replication, translation, RNA stability, and proliferation of Zika virus when the 3'-terminal sequence was replaced.

(1) 서브게노믹 레플리콘 제작 및 이를 이용한 3'-말단 서열 변화의 영향 분석(1) Subgenomic replicon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the impact of 3'-end sequence changes using it

3'-말단 서열의 변화가 바이러스 복제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pBAC-T7-ZK-Con1 전장 클론(서열번호 12)을 기반으로 서브게노믹 레플리콘(subgenomic replicon, sgRep)을 제작하였다.To determine the effect that changes in the 3'-terminal sequence may have on virus replication, a subgenomic replicon (sgRep) was created based on the pBAC-T7-ZK-Con1 full-length clone (SEQ ID NO: 12). Produced.

상기 서브게노믹 레플리콘의 제조를 위해, 우선 CMV 프로모터 기반 전장 클론을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pBAC-T7-ZK-Con1(서열번호 12)과 pBAC-T7-ZK-Con(TTTCT)(서열번호 13)를 주형으로 PCR을 통해 다른 말단 서열을 가지는 각각의 ZK-Con1-HDVr DNA 절편(서열번호 50 및 51)을 제작하였고, pSARS-REP-Feo(사스코로나바이러스 서브지노믹 레플리콘 cDNA를 지닌 벡터)를 주형으로 inverse PCR을 통해 선형화된 pBAC-CMV-5'-3' 중간 벡터(서열번호 52)와 In-Fusion 방법으로 클로닝하여 pBAC-CMV-ZK-Con1(서열번호 53) 및 pBAC-CMV-ZK-Con1(TTTCT)(서열번호 54)를 제작하였다. 이후, 연속적인 브릿지 PCR을 통해 Renilla 루시퍼레이즈 유전자 서열 및 Puromycin 유전자 서열 사이에 자체적으로 프로세싱이 일어날 수 있도록 FMDV 2A 분해효소 유전자 서열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조된 Puro-2A-Rluc-2A DNA 절편과 inverse PCR을 통해 구조 단백질(캡시드 단백질 N-말단 C 및 외피 단백질 C-말단 E30 암호화 서열 포함)이 제외된 선형화된 sgRep 중간 벡터를 In-Fusion 방법을 통해 클로닝하여 pBAC-CMV-ZK-Con1_sgRep(서열번호 55) 및 pBAC-CMV-ZK-Con1_sgRep(TTTCT)(서열번호 56)를 제작하였다(도 8 참조). pBAC-CMV-ZK-Con1 및 서브게노믹 레플리콘 제작에 사용한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4와 같다.To prepare the subgenomic replicon, a CMV promoter-based full-length clone was first produced. Specifically, each ZK-Con1-HDVr DNA having a different terminal sequence was obtained through PCR using pBAC-T7-ZK-Con1 (SEQ ID NO: 12) and pBAC-T7-ZK-Con (TTTCT) (SEQ ID NO: 13) as templates. Fragments (SEQ ID NOs. 50 and 51) were prepared, and pBAC-CMV-5'-3' was linearized through inverse PCR using pSARS-REP-Feo (vector with SARS-CoV subgenomic replicon cDNA) as a template. pBAC-CMV-ZK-Con1 (SEQ ID NO: 53) and pBAC-CMV-ZK-Con1 (TTTCT) (SEQ ID NO: 54) were produced by cloning with an intermediate vector (SEQ ID NO: 52) and In-Fusion method. Afterwards, the FMDV 2A lyase gene sequence was added to enable independent processing between the Renilla luciferase gene sequence and the Puromycin gene sequence through sequential bridge PCR. The final prepared Puro-2A-Rluc-2A DNA fragment and the linearized sgRep intermediate vector excluding structural proteins (including capsid protein N-terminal C and envelope protein C-terminal E30 coding sequences) were converted to In-Fusion through inverse PCR. pBAC-CMV-ZK-Con1_sgRep (SEQ ID NO: 55) and pBAC-CMV-ZK-Con1_sgRep (TTTCT) (SEQ ID NO: 56) were produced by cloning using this method (see FIG. 8). The primer sequences used to construct pBAC-CMV-ZK-Con1 and subgenomic replicons are shown in Table 4 below.

유전자/벡터Gene/vector 프라이머primer 서열 (5'-3')a Sequence (5'-3') a 비고note CMV-ZK-Con1-HDVrCMV-ZK-Con1-HDVr CMV-ZK-Con1-HDVr_FCMV-ZK-Con1-HDVr_F cgt tta gtg aac cgt AGT TGT TGA TCT GTG TGA ATC AGA C(서열번호 57) cgt tta gtg aac cgt AGT TGT TGA TCT GTG TGA ATC AGA C (SEQ ID NO: 57) pBAC-T7-ZK-Con1 및 pBAC-T7-ZK-Con1(TTTCT)를 주형으로 HDVr 유전자를 포함하는 CMV 프로모터 전장 Con1 cDNA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preparing CMV promoter full-length Con1 cDNA containing the HDVr gene using pBAC-T7-ZK-Con1 and pBAC-T7-ZK-Con1(TTTCT) as templates. CMV-ZK-Con1-HDVr_RCMV-ZK-Con1-HDVr_R caa cta gaa ggc aca gct tct ccc tta gcc tac cga ag(서열번호 58) caa cta gaa ggc aca g ct tct ccc tta gcc tac cga ag (SEQ ID NO: 58) pBAC-CMV-5′-3′ cassette pBAC-CMV-5′-3′ cassette pBAC-CMV_FpBAC-CMV_F ctg tgc ctt cta gtt gcc ag(서열번호 59) ctg tgc ctt cta gtt g cc ag (SEQ ID NO: 59) pSARS-REF-Feo 플라스미드를 주형으로 inverse PCR을 통해 선형화된 pBAC-CMV-5'-3'cassette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최종적으로 CMV-ZK-Con1-HDVr DNA 절편과 In-Fusion 클로닝을 통해 pBAC-CMV-ZK-Con1 및 pBAC-CMV-ZK-Con1(TTTCT)를 제작하기 위함.)A primer set to prepare a linearized pBAC-CMV-5'-3'cassette through inverse PCR using the pSARS-REF-Feo plasmid as a template (finally using the CMV-ZK-Con1-HDVr DNA fragment and In-Fusion cloning) To produce pBAC-CMV-ZK-Con1 and pBAC-CMV-ZK-Con1(TTTCT).) pBAC-CMV_RpBAC-CMV_R acg gtt cac taa acg agc tct g(서열번호 60) acg gtt cac taa acg agc tct g (SEQ ID NO: 60) FMDV 2AFMDV 2A FMDV 2A_FFMDV 2A_F gtg aaa cag act ttg aat ttt gac ctt ctt aag ctg gcg gga gac(서열번호 61)gtg aaa cag act ttg aat ttt gac ctt ctt aag ctg gcg gga gac (SEQ ID NO: 61) 프라이머 혼성화 및 연장으로 FMDV 2A 유전자(2A)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preparing FMDV 2A gene (2A) by primer hybridization and extension FMDV 2A_RFMDV 2A_R ggg ccc ggg gtt gga ctc gac gtc tcc cgc cag ctt aag aag(서열번호 62)ggg ccc ggg gtt gga ctc gac gtc tcc cgc cag ctt aag aag (SEQ ID NO: 62) PuroPuro Puromycin_FPuromycin_F atg acc gag tac aag ccc ac(서열번호 63) atg acc gag tac aag ccc ac (SEQ ID NO: 63) pLenti CMV/TO Puro empty (w175-1) 플라스미드 (Addgene plasmid #17482) 유래 puromycin 저항 유전자(Puro)를 코딩하는 cDNA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preparing cDNA encoding the puromycin resistance gene (Puro) derived from pLenti CMV/TO Puro empty (w175-1) plasmid (Addgene plasmid #17482) Puromycin_RPuromycin_R ggc acc ggg ctt gcg g(서열번호 64) ggc acc ggg ctt gcg g (SEQ ID NO: 64) P-2AP-2A Puro-2A_FPuro-2A_F ccg caa gcc cgg tgc cgt gaa aca gac ttt gaa ttt tga cc(서열번호 65) ccg caa gcc cgg tgc c gt gaa aca gac ttt gaa ttt tga cc (SEQ ID NO: 65) Puro 및 FMDV 2A(2A) 유전자를 융합하여 P-2A cDNA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producing P-2A cDNA by fusing Puro and FMDV 2A (2A) genes 2A-Rluc_R2A-Rluc_R cac ctt gga agc cat ggg ccc ggg gtt gga c(서열번호 66) cac ctt gga agc cat ggg c cc ggg gtt gga c (SEQ ID NO: 66) Puro-2APuro-2A Puromycin_FPuromycin_F atg acc gag tac aag ccc ac(서열번호 63) atg acc gag tac aag ccc ac (SEQ ID NO: 63) FMDV 2A에 융합된 Puro의 cDNA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preparing cDNA of Puro fused to FMDV 2A Puro2A-Rluc_RPuro2A-Rluc_R cac ctt gga agc cat ggg(서열번호 67) cac ctt gga agc cat ggg (SEQ ID NO: 67) RlucRluc 2A-Rluc_F2A-Rluc_F gcc cat ggc ttc caa ggt gta cga c(서열번호 68) gcc cat ggc ttc caa ggt g ta cga c (SEQ ID NO: 68) pRL-TK 플라스미드 (Takara Bio) 유래 Renilla 루시퍼레이즈 유전자(Rluc)를 코딩하는 cDNA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preparing cDNA encoding Renilla luciferase gene (Rluc) from pRL-TK plasmid (Takara Bio) Rluc-2A_RRluc-2A_R cgt acg ctg ctc gtt ctt cag(서열번호 69) cgt acg ctg ctc gtt ctt cag (SEQ ID NO: 69) R-2AR-2A Rluc-2A_FRluc-2A_F ctg aag aac gag cag cgt acg gtg aaa cag act ttg aat ttt gac c(서열번호 70) ctg aag aac gag cag cgt acg gtg aaa cag act ttg aat ttt gac c (SEQ ID NO: 70) Rluc 및 FMDV 2A(2A) 유전자를 융합하여 R-2A cDNA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producing R-2A cDNA by fusing Rluc and FMDV 2A (2A) genes 2A-E30_R2A-E30_R CAG ACC CAA CCA CAT ggg ccc ggg gtt gga c(서열번호 71) CAG ACC CAA CCA CAT ggg ccc ggg gtt gga c (SEQ ID NO: 71) Rluc-2ARluc-2A 2A-Rluc_F2A-Rluc_F gcc cat ggc ttc caa ggt gta cga c(서열번호 68) gcc cat ggc ttc caa ggt g ta cga c (SEQ ID NO: 68) FMDV 2A에 융합된 Rluc의 cDNA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preparing cDNA of Rluc fused to FMDV 2A 2A-Rluc2A-E30_R2A-Rluc2A-E30_R CAG ACC CAA CCA cat ggg c(서열번호 72) CAG ACC CAA CCA cat ggg c (SEQ ID NO: 72) Puro-2A-Rluc-2APuro-2A-Rluc-2A Puromycin_FPuromycin_F atg acc gag tac aag ccc ac(서열번호 63) atg acc gag tac aag ccc ac (SEQ ID NO: 63) Puro-2A-Rluc-2A 유전자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producing Puro-2A-Rluc-2A gene 2A-Rluc2A-E30_R2A-Rluc2A-E30_R CAG ACC CAA CCA cat ggg c(서열번호 72) CAG ACC CAA CCA cat ggg c (SEQ ID NO: 72) sgRep cassettesgRep cassette E30_FE30_F atg TGG TTG GGT CTG AAC ACA AAG(서열번호 73) atg TGG TTG GGT CTG AAC ACA AAG (SEQ ID NO: 73) pBAC-CMV-ZK-Con1 및 pBAC-CMV-ZK-Con1(TTTCT)를 주형으로 inverse PCR을 통해 선형화된 서브게노믹 레플리콘 cassette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최종적으로 Puro-2A-Rluc-2A DNA 절편과 In-Fusion 클로닝을 통해 pBAC-CMV-ZK-Con1-sgRep 및 pBAC-CMV-ZK-Con1-sgRep(TTTCT)를 제작하기 위함.)Primer set to prepare a linearized subgenomic replicon cassette through inverse PCR using pBAC-CMV-ZK-Con1 and pBAC-CMV-ZK-Con1(TTTCT) as templates, (ultimately Puro-2A-Rluc- To produce pBAC-CMV-ZK-Con1-sgRep and pBAC-CMV-ZK-Con1-sgRep(TTTCT) through 2A DNA fragment and In-Fusion cloning.) C38-Puro_RC38-Puro_R CTT GTA CTC GGT CAT cag aag tcc ggc tgg cag(서열번호 74) CTT GTA CTC GGT CAT cag aag tcc ggc tgg cag (SEQ ID NO: 74)

a지카이러스 서열은 대문자로, 그외 서열은 소문자로 표시하였다. In-Fusion 클로닝 위치는 볼드체로 표시하였다. a Zchyrus sequences are indicated in uppercase letters, and other sequences are indicated in lowercase letters. In-Fusion cloning positions are indicated in bold.

추가적으로, 상기와 같이 제작된 서브게노믹 레플리콘 시스템을 이용하여 3'-말단 서열의 변화가 바이러스 복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에 앞서, Huh7 세포(6-웰-플레이트, 3 x 105 세포수/웰)에 서브게노믹 레플리콘(pBAC-CMV-ZK-Con1_sgRep)(서열번호 55) 500 ng을 리포펙트아민을 이용해 형질도입 시키고, 범용성 복제효소 억제제인 2'-CMA(2’-C-Methyladenosine)를 이용하여 레플리콘 시스템을 검증하였다. 이후, 3'-말단 서열의 변화가 바이러스 복제에 미치는 영향을 루시퍼레이즈 활성을 통해 확인하였다.Additionally,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3'-terminal sequence on virus replication using the subgenomic replicon system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Prior to this, 500 ng of subgenomic replicon (pBAC-CMV-ZK-Con1_sgRep) (SEQ ID NO: 55) was added to Huh7 cells (6-well plate, 3 x 10 5 cells/well) using lipofectamine. Transduction was performed, and the replicon system was verified using 2'-CMA (2'-C-Methyladenosine), a universal replicase inhibitor. Afterwards,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3'-terminal sequence on virus replication was confirmed through luciferase activity.

실험 결과, 서브게노믹 레플리콘을 형질도입 시킨 Huh7 세포에 2'-CMA를 처리할 경우, 시간이 24시간에서 48시간으로 경과함에 따라 바이러스 복제가 억제됨을 확인하여 제작된 서브게노믹 레플리콘의 복제능을 검증하였다(도 9 참조).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when Huh7 cells transduced with the subgenomic replicon were treated with 2'-CMA, virus replication was inhibited as time passed from 24 to 48 hours, and the subgenomic replica was produced. The cloning ability of cones was verified (see Figure 9).

또한, 상기와 같이 검증된 서브게노믹 레플리콘에서 3'-말단 서열의 변화에 따라 바이러스 복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MR766의 3'-말단 서열을 가지는 서브게노믹 레플리콘의 경우, 48시간 구간에서 Con1의 3'-말단 서열을 가지는 서브게노믹 레플리콘과 루시퍼레이즈 활성에 있어서 근소하게 차이가 나타났으며, NS5_GAA 서브게노믹 레플리콘(서열번호 75)의 경우, 루시퍼레이즈 활성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도 10 참조).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 on virus replic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3'-end sequence in the subgenomic replicon verified as above, in the case of the subgenomic replicon with the 3'-end sequence of MR766, In the 48-hour period,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luciferase activity between the subgenomic replicon with the 3'-end sequence of Con1, and in the case of the NS5_GAA subgenomic replicon (SEQ ID NO: 75), luciferase activity Activ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see Figure 10).

(2) 미니게놈 제작 및 이를 이용한 3'-말단 서열 변화의 영향 분석(2) Minigenome production and analysis of the impact of 3'-end sequence changes using it

3'-말단 서열의 변화가 바이러스 단백질 번역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미니게놈(minigenome)을 제작하였다.To determine the effect that changes in the 3'-terminal sequence may have on viral protein translation, a minigenome was constructed.

상기 미니게놈의 제조를 위해, 우선, pBAC-T7-ZK-Con1(서열번호 12) 및 pBAC-T7-ZK-Con1(TTTCT)(서열번호 13)를 주형으로 캡시드 단백질의 N-말단 C38 코딩 유전자 서열을 포함하는 5'-UTR과 3'-UTR을 F 프라이머(서열번호 82) 및 R 프라이머(서열번호 83)를 통해 inverse PCR로 선형화된 중간 벡터(서열번호 76)를 제작하였고, 코딩 위치에 Renilla 루시퍼레이즈 유전자 서열을 In-Fusion 방법으로 클로닝 하였다. 이후, pcDNA3.1 벡터에 서브클로닝 하여 pcDNA3.1_Con1-minigenome-Rluc(서열번호 77) 및 pcDNA3.1_Con1-minigenome(TTTCT)-Rluc(서열번호 78)를 제작하였다(도 11 참조). 미니게놈 제작에 사용한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5와 같다.To prepare the minigenome, first, pBAC-T7-ZK-Con1 (SEQ ID NO: 12) and pBAC-T7-ZK-Con1 (TTTCT) (SEQ ID NO: 13) were used as templates to produce the N-terminal C38 coding gene of the capsid protein. An intermediate vector (SEQ ID NO: 76) was created by linearizing the 5'-UTR and 3'-UTR containing the sequence by inverse PCR using the F primer (SEQ ID NO: 82) and R primer (SEQ ID NO: 83), and an intermediate vector (SEQ ID NO: 76) was created at the coding position. Renilla luciferase gene sequence was cloned using the In-Fusion method. Afterwards, pcDNA3.1_Con1-minigenome-Rluc (SEQ ID NO: 77) and pcDNA3.1_Con1-minigenome (TTTCT)-Rluc (SEQ ID NO: 78) were created by subcloning into the pcDNA3.1 vector (see FIG. 11). Primer sequences used for minigenome production are shown in Table 5 below.

유전자/벡터Gene/vector 프라이머primer 서열 (5'-3')a Sequence (5'-3') a 비고note Renilla luciferase Renilla luciferase Rluc_FRluc_F CCA GCC GGA CTT CTG atg gct tcc aag gtg tac gac(서열번호 79) CCA GCC GGA CTT CTG atg gct tcc aag gtg tac gac (SEQ ID NO: 79) pRL-TK 플라스미드 (Takara Bio) 유래 Renilla 루시퍼레이즈 유전자(Rluc)를 코딩하는 cDNA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preparing cDNA encoding Renilla luciferase gene (Rluc) from pRL-TK plasmid (Takara Bio) Rluc_RRluc_R CAT TAA GAT TGG TGC tta cgt acg ctg ctc gtt ctt cag(서열번호 80) CAT TAA GAT TGG TGC tta cgt acg ctg ctc gtt ctt cag (SEQ ID NO: 80) pBAC-T7-5'-3' cassettepBAC-T7-5'-3' cassette 3'-UTR_F3'-UTR_F GCA CCA ATC TTA ATG TTG TCA GGC C(서열번호 81) GCA CCA ATC TTA ATG TTG TCA GGC C (SEQ ID NO: 81) pBAC-T7-ZK-Con1 및 pBAC-T7-ZK-Con1(TTTCT)를 주형으로 inverse PCR을 통해 선형화된 pBAC-T7-5'-3' cassette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to prepare linearized pBAC-T7-5'-3' cassette through inverse PCR using pBAC-T7-ZK-Con1 and pBAC-T7-ZK-Con1(TTTCT) as templates. C38_RC38_R CAG AAG TCC GGC TGG CAG(서열번호 82) CAG AAG TCC GGC TGG CAG (SEQ ID NO: 82) T7-Rluc-HDVrT7-Rluc-HDVr T7-Rluc-HDVr_FT7-Rluc-HDVr_F taa tac gac tca cta tag AGT TGT TGA TCT GTG TG(서열번호 83) taa tac gac tca cta tag AGT TGT TGA TCT GTG TG (SEQ ID NO: 83) pBAC-T7-ZK-Con1-minigenome-Rluc 및 minigenome(TTTCT)-Rluc를 주형으로 HDVr 유전자를 포함하는 T7 프로모터 Rluc cDNA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 for preparing T7 promoter Rluc cDNA containing the HDVr gene using pBAC-T7-ZK-Con1-minigenome-Rluc and minigenome(TTTCT)-Rluc as templates. T7-Rluc-HDVr_RT7-Rluc-HDVr_R ccg cgg ctt ctc cct tag(서열번호 84) ccg cgg ctt ctc cct tag (SEQ ID NO: 84) pcDNA3.1
cassette
pcDNA3.1
cassette
3.1_F3.1_F agg gag aag ccg cgg ctt ctg agg cgg aaa gaa cca gct g(서열번호 85) agg gag aag ccg cgg ctt ctg agg cgg aaa gaa cca gct g (SEQ ID NO: 85) pcDNA3.1 cassette를 만들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최종적으로 T7-Rluc-HDVr 유전자와 In-Fusion 클로닝하여 pcDNA3.1_Con1-minigenome-Rluc 및 pcDNA3.1_Con1-minigenome-Rluc(TTTCT)를 제작하기 위함.)
Primer set to create pcDNA3.1 cassette
(Finally, use In-Fusion cloning with the T7-Rluc-HDVr gene to produce pcDNA3.1_Con1-minigenome-Rluc and pcDNA3.1_Con1-minigenome-Rluc(TTTCT).)
3.1_R3.1_R tag tga gtc gta tta gcg tat atc tgg ccc gta cat c(서열번호 86) tag tga gtc gta tta gcg tat atc tgg ccc gta cat c (SEQ ID NO: 86)

a지카바이러스 서열은 대문자로, 그외 서열은 소문자로 표시하였다. In-Fusion 클로닝 위치는 볼드체로 표시하였다. a Zika virus sequences are indicated in uppercase letters, and other sequences are indicated in lowercase letters. In-Fusion cloning positions are indicated in bold.

추가적으로, 상기와 같이 제작된 미니게놈을 이용하여 3'-말단 서열의 변화가 바이러스 단백질 번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Huh7 세포(6-웰-플레이트, 3 x 105 세포수/웰)에 미니게놈(pBAC-ZK-Con1-minigenome) RNA 1 μg을 형질도입 시키고, 24시간 뒤 루시퍼레이즈 활성을 비교하였다.Additionally,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3'-terminal sequence on viral protein translation using the minigenome produced as described above. For this purpose, 1 μg of minigenome (pBAC-ZK-Con1-minigenome) RNA was transduced into Huh7 cells (6-well plate, 3 x 10 5 cells/well), and luciferase activity was compared after 24 hours. .

실험 결과, Con1의 3'-말단 서열을 가지는 미니게놈과 MR766의 3'-말단 서열을 가지는 미니게놈의 루시퍼레이즈 활성에 유의한 차이가 측정되지 않았다(도 12 참조). 이를 통해, 3'-말단 서열의 변화가 바이러스 단백질 번역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measured in the luciferase activity of the minigenome having the 3'-end sequence of Con1 and the minigenome having the 3'-end sequence of MR766 (see FIG. 12).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changes in the 3'-terminal seque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viral protein translation.

(3) 3’-말단 서열의 변화가 바이러스 RNA 안정성 및 바이러스 증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3) Analysis of the effect of changes in 3’-terminal sequence on viral RNA stability and virus proliferation

3’-말단 서열이 바이러스 RNA 안정성 및 바이러스 증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3'-terminal sequence could affect viral RNA stability and viral replication.

첫 번째로, 3’-말단 서열이 바이러스 RNA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decay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T7 프로모터 서열을 포함하는 Forward 프라이머(서열번호 87)와 Con1의 3’-말단 서열(-GTCT-3')을 포함하는 Reverse 프라이머(서열번호 88) 및 MR766의 3’-말단 서열(-TTTCT-3')을 포함하는 Reverse 프라이머(서열번호 89)를 이용하여 3'-UTR DNA(-GTCT-3')(서열번호 90) 및 3’-UTR DNA(-TTTCT-3')(서열번호 91)를 증폭하였다. 이후, in vitro T7 Megascript 키트를 이용하여 동위원소 α32P-GTP의 존재하에서 in vitro 전사(transcription)를 진행하여, 동위원소 표지된 428 nt 또는 429 nt를 가지는 3'-UTR RNA를 제작하였다. 또한, T7 프로모터 서열을 포함하는 Forward 프라이머(서열번호 92) 및 상기 서열번호 88 또는 89의 Reverse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동위원소 표지된 82 nt 또는 83 nt를 가지는 3'-UTR stem-loop(3'-SL)를 제작하였다(서열번호 93 및 94). 상기와 같이 합성된 3'-UTR RNA 10 pmol과 Vero E6 세포파쇄액 40 μg을 섞고 37℃에서 0, 1, 2 및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또한, 지카바이러스는 모기 매개 감염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모기 세포주인 C6/36 세포를 통한 decay 분석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와 같이 합성된 3'-UTR RNA 10 pmol과 C6/36 세포파쇄액 10 μg을 섞고 37℃에서 0, 5, 10, 20 및 60분 동안 반응시켰다. 각 시간별로 반응시킨 후, RNA를 추출하여 8M Urea가 포함된 8%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에서 로딩하고 포스포이미지 분석을 통해 시그널 세기를 분석하였다.First, decay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3'-terminal sequence on viral RNA stability. For this purpose, a Forward primer (SEQ ID NO: 87) containing the T7 promoter sequence and a Reverse primer (SEQ ID NO: 88) containing the 3'-end sequence of Con1 (-GTCT-3') and the 3'-end sequence of MR766 ( 3'-UTR DNA (-GTCT-3') (SEQ ID NO: 90) and 3'-UTR DNA (-TTTCT-3') using a reverse primer (SEQ ID NO: 89) containing -TTTCT-3') SEQ ID NO: 91) was amplified. Afterwards, in vitro transcription was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isotope α 32 P-GTP using the in vitro T7 Megascript kit to produce isotopically labeled 3'-UTR RNA with 428 nt or 429 nt. In addition, using the forward primer (SEQ ID NO: 92) containing the T7 promoter sequence and the reverse primer of SEQ ID NO: 88 or 89, an isotopically labeled 3'-UTR stem-loop (3') having 82 nt or 83 nt -SL) was produced (SEQ ID NOs: 93 and 94). 10 pmol of 3'-UTR RNA synthesized as above was mixed with 40 μg of Vero E6 cell lysate and reacted at 37°C for 0, 1, 2, and 4 hours. In addition, because Zika virus is a mosquito-borne virus, decay analysis was additionally performed using C6/36 cells, a mosquito cell line. For this purpose, 10 pmol of 3'-UTR RNA synthesized as above was mixed with 10 μg of C6/36 cell lysate and reacted at 37°C for 0, 5, 10, 20, and 60 minutes. After each reaction time, RNA was extracted and loaded on an 8% polyacrylamide gel containing 8M Urea, and signal intensity was analyzed through phosphoimage analysis.

분석 결과, Con1의 3’-말단 서열과 MR766의 3’-말단 서열에 대한 RNA 안정성에 유의한 차이가 관측되지 않았다(도 13a 내지 13d 참조).As a result of the analysi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RNA stability between the 3'-end sequence of Con1 and the 3'-end sequence of MR766 (see Figures 13a to 13d).

두 번째로, 3’-말단 서열이 바이러스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pBAC-T7-ZK-Con1(서열번호 12), pBAC-T7-ZK-Con1(TTTCT)(서열번호 13), pBAC-T7-ZK-MR766(서열번호 36) 및 pBAC-T7-ZK-MR766(GTCT)(서열번호 95) 전장 클론의 P1 바이러스를 복원하였고, 이를 Vero E6 및 A549 세포(8 x 105 세포수/60-mm-플레이트)에 MOI=0.01로 감염시켜 시간별 바이러스 역가를 plaque 에세이로 분석하였다.Second,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3'-terminal sequence on virus proliferation. pBAC-T7-ZK-Con1 (SEQ ID NO: 12), pBAC-T7-ZK-Con1 (TTTCT) (SEQ ID NO: 13), pBAC-T7-ZK-MR766 (SEQ ID NO: 36) and pBAC-T7-ZK-MR766 ( GTCT) (SEQ ID NO: 95) full-length clone P1 virus was restored, and Vero E6 and A549 cells ( 8 analyzed.

실험 결과, Con1의 3’-말단 서열과 MR766의 3’-말단 서열에 대한 RNA 안정성에 유의한 차이가 관측되지 않았고(도 13a 내지 13d 참조), pBAC-T7-ZK-Con1(서열번호 12)과 pBAC-T7-ZK-Con1(TTTCT)(서열번호 13)의 바이러스 역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도 14a 참조), pBAC-T7-ZK-MR766(서열번호 36)와 pBAC-T7-ZK-MR766(GTCT)(서열번호 95)의 바이러스 역가 또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도 14b 참조). 이를 통해, 3’-말단 서열의 변화가 바이러스 RNA 안정성 및 바이러스 증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RNA stability between the 3'-end sequence of Con1 and the 3'-end sequence of MR766 (see FIGS. 13a to 13d), and pBAC-T7-ZK-Con1 (SEQ ID NO: 1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rus titer of pBAC-T7-ZK-Con1(TTTCT) (SEQ ID NO: 13) (see Figure 14a), and pBAC-T7-ZK-MR766 (SEQ ID NO: 36) and pBAC-T7- The virus titer of ZK-MR766 (GTCT) (SEQ ID NO: 95)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see Figure 14b).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changes in the 3'-terminal seque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viral RNA stability and virus proliferation.

(4) 소결(4) Sintering

상기와 같은 실험들을 통해, 3’-말단 서열 교체가 바이러스 복제능, 단백질 번역, 바이러스 RNA 안정성 및 바이러스 증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Through the above experim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3'-terminal sequence replacement did not affect virus replication ability, protein translation, viral RNA stability, and virus proliferation.

실시예 5. ZIKV-Con1 클론 기반 변이체 및 ZIKV-MR766 클론 기반 변이체의 제작 및 이들의 바이러스 역가 비교 분석Example 5. Construction of ZIKV-Con1 clone-based variants and ZIKV-MR766 clone-based variant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ir virus titers

ZIKV-Con1 클론 및 ZIKV-MR766 클론을 기반으로 비구조단백질이 서로 교체된 변이체를 제작하였고, 상기 변이체의 바이러스 역가를 비교하여 비구조단백질이 바이러스 복제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Based on the ZIKV-Con1 clone and the ZIKV-MR766 clone, variants in which non-structural proteins were replaced were created, and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non-structural proteins on virus replication ability by comparing the virus titers of the variants.

구체적으로, pBAC-T7-ZK-Con1 전장 클론(서열번호 12)을 기반으로 MR766의 비구조단백질 중 복제효소(NS5) 또는 MR766의 비구조단백질 전체(NS1-5)를 가지는 pBAC-T7-ZK-Con1/MR_NS5(서열번호 96) 및 pBAC-T7-ZK-Con1/MR_NS1-5(서열번호 97)와, pBAC-T7-ZK-MR766 전장 클론(서열번호 36)을 기반으로 Con1의 비구조단백질 전체(NS1-5)를 가지는 pBAC-T7-ZK-rMR766/Con1_NS1-5(서열번호 98)를 In-Fusion 클로닝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제작하였다(도 15 참조).Specifically, pBAC-T7-ZK-Con1, which has the replication enzyme (NS5) among the non-structural proteins of MR766 or the entire non-structural protein (NS1-5) of MR766, based on the pBAC-T7-ZK-Con1 full-length clone (SEQ ID NO: 12). /MR_NS5 (SEQ ID NO: 96) and pBAC-T7-ZK-Con1/MR_NS1-5 (SEQ ID NO: 97), and the entire non-structural protein of Con1 (NS1) based on the pBAC-T7-ZK-MR766 full-length clone (SEQ ID NO: 36) -5) pBAC-T7-ZK-rMR766/Con1_NS1-5 (SEQ ID NO: 98) were each produced using the In-Fusion cloning method (see FIG. 15).

이후, 상기 클론들을 복원시키고, P1 상등액을 사용하여 바이러스 역가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역가 비교를 위해, Vero E6 세포(8 x 105 세포수/60-mm-플레이트)에 각각의 바이러스를 MOI=0.01로 감염시키고 감염 72시간 후의 상등액을 채취해 시간별 바이러스 역가 차이를 plaque 에세이로 분석하였다.Afterwards, the clones were restored,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virus titers was performed using the P1 supernatant. To compare titers, Vero E6 cells (8 did.

그 결과, Vero E6 세포에서 Con1/MR_NS5(서열번호 96)의 역가는 Con1(서열번호 12)의 역가와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Con1/MR_NS1-5(서열번호 97) 및 rMR766(서열번호 36)의 경우, 감염 후 72시간 구간에서 Con1(서열번호 12)에 비해 역가가 유의하게 높고, Con1/MR_NS1-5(서열번호 97)의 역가는 rMR766(서열번호 36)의 역가에 비해 유의하게 낮음을 확인하였다(도 16a 참조). 이와 반대로, rMR766(서열번호 36)을 Con1(서열번호 12)의 비구조단백질 전체로 치환시킨 rMR766/Con1_NS1-5(서열번호 98)의 경우, rMR766(서열번호 36)에 비해 역가가 유의하게 낮음을 확인하였다(도 16b 참조).As a result, the titer of Con1/MR_NS5 (SEQ ID NO: 96) in Vero E6 cell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titer of Con1 (SEQ ID NO: 12), but Con1/MR_NS1-5 (SEQ ID NO: 97) and In the case of rMR766 (SEQ ID NO: 36), the tit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1 (SEQ ID NO: 12) in the 72-hour period after infection, and the titer of Con1/MR_NS1-5 (SEQ ID NO: 97) was higher than that of rMR766 (SEQ ID NO: 36).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see Figure 16a).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rMR766/Con1_NS1-5 (SEQ ID NO: 98), in which rMR766 (SEQ ID NO: 36) was replaced with the entire non-structural protein of Con1 (SEQ ID NO: 12), the tit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rMR766 (SEQ ID NO: 36). Confirmed (see FIG. 16b).

상기 실험을 통해, MR766의 비구조단백질을 가지는 클론이 Con1의 비구조단백질을 가지는 클론에 비해 바이러스 역가가 높음을 확인함으로써, MR766의 비구조단백질, 즉 replicase 복합체가 Con1의 replicase 복합체보다 복제능이 우수함을 검증하였다.Through the abov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clone with the non-structural protein of MR766 had a higher viral titer than the clone with the non-structural protein of Con1, thereby verifying that the non-structural protein of MR766, i.e., the replicase complex, had a superior replication ability than the replicase complex of Con1. .

실시예 6. 인터페론 결손 마우스를 이용한 바이러스주별 병원성 분석Example 6. Pathogenicity analysis by virus strain using interferon-deficient mice

Con1(서열번호 12), Con1/MR_NS5(서열번호 96), Con1/MR_NS1-5(서열번호 97) 및 rMR766(서열번호 36) 바이러스주의 병원성을 비교하기 위해, 각각의 바이러스를 마우스에 감염시킨 뒤, 마우스의 체중 변화, 생존율, 임상적 증상, 혈청 내 바이러스 역가 및 장기 내 바이러스 역가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To compare the pathogenicity of Con1 (SEQ ID NO: 12), Con1/MR_NS5 (SEQ ID NO: 96), Con1/MR_NS1-5 (SEQ ID NO: 97), and rMR766 (SEQ ID NO: 36) viruses, each virus was infected in mice. ,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measure changes in body weight, survival rate, clinical symptoms, viral titer in serum, and viral titer in organs of mice.

구체적으로, 인터페론 α/β 결손마우스의 footpad에 각각의 바이러스를 100 PFU/100 μl로 감염시키고 총 15 일간 마우스의 체중 변화, 생존율 및 임상적 증상을 매일 관찰하였고, 체중이 80% 이하로 감소할 경우 사망 처리하였다. 각 군당 12마리로 실험을 진행하였고, 각 군당 6마리는 생존율 및 임상적 증상을 관찰하였고, 각 군당 6마리는 감염 후 3일 차에 채혈하였으며, 5일 차에 채혈 및 장기(비장, 정소, 신장, 뇌 및 간) 적출을 진행하였다(도 17 참조). 채혈한 혈액을 이용하여 혈청 내 존재하는 바이러스 역가를 plaque 에세이로 측정하였고, 적출한 장기 내 바이러스 역가를 qPCR로 분석하였으며, 바이러스 RNA 역가를 Con1 기준 상대적인 변화로 표현하였다.Specifically, the footpad of interferon α/β deficient mice was infected with 100 PFU/100 μl of each virus, and the weight change, survival rate, and clinical symptoms of the mice were observed daily for a total of 15 days, and body weight was not reduced to less than 80%. In this case, death was record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2 animals in each group. Survival rate and clinical symptoms were observed for 6 animals in each group. Blood was collected from 6 animals in each group on the 3rd day after infection, and blood was collected on the 5th day and organs (spleen, testis, Kidney, brain, and liver) were removed (see Figure 17). Using collected blood, the viral titer present in the serum was measured by plaque assay, the viral titer in the extracted organs was analyzed by qPCR, and the viral RNA titer was expressed as a relative change based on Con1.

마우스의 체중 변화, 생존율 및 임상적 증상을 관찰한 결과, rMR766(서열번호 36) 감염 마우스는 6일차부터 사망하기 시작하여 모두 약 7일 차에 초기 체중 대비 80% 이하로 감소하여 사망하였으며, 비구조단백질이 치환된 Con1/MR_NS1-5(서열번호 97) 감염 마우스는 뒷다리의 심각한 마비 증상과 함께 7일차에 1마리, 8일차에 2마리, 그리고 9일차에 3마리가 사망함으로써 모든 마우스가 사망하였다. Con1/MR_NS5(서열번호 96)의 경우, 미약한 뒷다리 마비 증상과 함께 8일 차에 1마리가 사망하였고, 9일차에 2마리, 11일 차에 1마리가 초기 무게 대비 80% 이하로 감소함에 따라 윤리적으로 사망 처리하여 총 4마리가 사망하였으며, 남은 2마리의 마우스는 모두 21일 차까지 생존하였다. 마지막으로, Con1(서열번호 12) 감염 마우스는 모두 특이 증상 또는 큰 체중 변화 없이 15일 차까지 생존함을 확인하였다(도 18a 및 18b 참조).As a result of observing the weight change, survival rate, and clinical symptoms of mice, rMR766 (SEQ ID NO: 36)-infected mice began to die from the 6th day, and all died by reducing to less than 80% of the initial body weight on the 7th day. All mice infected with Con1/MR_NS1-5 (SEQ ID NO: 97) in which the crude protein was substituted showed severe paralysis of the hind limbs and one mouse died on the 7th day, 2 mice died on the 8th day, and 3 mice died on the 9th day. . In the case of Con1/MR_NS5 (SEQ ID NO: 96), 1 animal died on the 8th day with mild symptoms of hind limb paralysis, 2 animals on the 9th day, and 1 animal on the 11th day decreased to less than 80% of the initial weight. Accordingly, a total of 4 mice were killed ethically, and the remaining 2 mice all survived until the 21st day.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all Con1 (SEQ ID NO: 12) infected mice survived until day 15 without any specific symptoms or significant body weight changes (see FIGS. 18A and 18B).

3일 차 및 5일 차에서 채혈한 혈액의 혈청 내 바이러스 역가를 측정한 결과, 상기 실시예 5에서의 세포 실험 결과에서는 Con1/MR_NS1-5(서열번호 97)의 바이러스 역가가 Con1(서열번호 12) 및 Con1/MR_NS5(서열번호 96)의 역가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것과 달리, 감염 3일 후 혈청 내 바이러스 역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rMR766(서열번호 36)의 경우, 3일차에서 상기 실시예 5에서의 세포 실험 결과와 유사하게, 다른 바이러스주들에 비해 바이러스 역가가 유의하게 높음을 확인하였다(도 19 참조).As a result of measuring the virus titer in the serum of blood collected on the 3rd and 5th days, the cell experiment results in Example 5 showed that the virus titer of Con1/MR_NS1-5 (SEQ ID NO: 97) was Con1 (SEQ ID NO: 12). ) and Con1/MR_NS5 (SEQ ID NO: 96),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it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rus titer in serum 3 days after infection. In the case of rMR766 (SEQ ID NO: 36), on day 3, similar to the cell experiment results in Example 5, the virus titer was confirm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virus strains (see FIG. 19).

5일 차에 적출한 장기(비장, 정소, 신장, 뇌 및 간) 내 바이러스 역가를 측정한 결과, 상기 실시예 5에서의 세포 실험 결과에서는 Con1/MR_NS1-5(서열번호 97)의 바이러스 역가가 Con1(서열번호 12) 및 Con1/MR_NS5(서열번호 96)의 역가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것과 달리, 신장과 간에서만 Con1(서열번호 12)과 Con1/MR_NS1-5(서열번호 97)의 바이러스 역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rMR766(서열번호 36)의 경우, 비장에서 Con1/MR_NS1-5(서열번호 97)과 역가가 유사하게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장기에서 다른 바이러스주들에 비해 바이러스 역가가 유의하게 높음을 확인하였다(도 20a 및 20b 참조).As a result of measuring the virus titer in the organs (spleen, testis, kidney, brain, and liver) removed on the 5th day, the cell experiment results in Example 5 showed that the virus titer of Con1/MR_NS1-5 (SEQ ID NO: 97) was Unlike the titers of Con1 (SEQ ID NO: 12) and Con1/MR_NS5 (SEQ ID NO: 96),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e virus titers of Con1 (SEQ ID NO: 12) and Con1/MR_NS1-5 (SEQ ID NO: 97) were found only in the kidney and liver. A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In the case of rMR766 (SEQ ID NO: 36), the virus titer was confirm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virus strains in all other organs, except that the titer was similar to Con1/MR_NS1-5 (SEQ ID NO: 97) in the spleen. (see Figures 20a and 20b).

상기 실험을 통해, 마우스에서 아프리카 바이러스주인 MR766의 비구조단백질 NS5는 복제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병원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데에 있어 크게 기여함을 확인하였고, 아프리카 바이러스주가 아시아 바이러스주로 진화하면서 지카바이러스 비구조단백질의 병원성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Through the abov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non-structural protein NS5 of MR766, an African virus strain,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replication ability in mice, but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differences in pathogenicity. As the African virus strain evolved into an Asian virus strain, Zika virus It was confirmed that the pathogenicity of non-structural proteins was reduced.

실시예 7. 일반 마우스를 이용한 바이러스주별 병원성 분석Example 7. Pathogenicity analysis by virus strain using normal mice

Con1(서열번호 12), Con1/MR_NS5(서열번호 96), Con1/MR_NS1-5(서열번호 97) 및 rMR766(서열번호 36) 바이러스주의 일반 마우스 모델(C57BL/6)에서의 병원성을 비교하기 위해, 각각의 바이러스를 마우스에 감염시킨 뒤, 마우스의 체중 변화, 생존율, 임상적 증상, 혈청 내 바이러스 역가 및 장기 내 바이러스 역가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반 마우스 모델에서는 지카바이러스의 감염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감염 1일 전 2 mg, 감염 1일 후 0.5 mg, 감염 4일 후 0.5 mg의 IFNAR 항체를 복강으로 주입하였다. To compare the pathogenicity of Con1 (SEQ ID NO: 12), Con1/MR_NS5 (SEQ ID NO: 96), Con1/MR_NS1-5 (SEQ ID NO: 97), and rMR766 (SEQ ID NO: 36) virus strains in a general mouse model (C57BL/6). , After infecting mice with each virus,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measure changes in body weight, survival rate, clinical symptoms, virus titer in serum, and virus titer in organs of the mouse. Since Zika virus infection does not occur easily in a general mouse model, 2 mg of IFNAR antibody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1 day before infection, 0.5 mg 1 day after infection, and 0.5 mg 4 days after infection.

바이러스의 감염은 구체적으로, 복강 루트를 통해 각각의 바이러스를 104 PFU/100 μl로 감염시키고 총 15일간 마우스의 체중 변화, 생존율 및 임상적 증상을 매일 관찰하였고, 몸무게가 80% 이하로 감소할 경우 사망 처리하였다. 각 군당 10마리로 실험을 진행하였고, 각 군당 5마리는 생존율 및 임상적 증상을 관찰하였고, 각 군당 5마리는 감염 후 4일 차에 채혈하였으며, 7일 차에 채혈 및 장기(비장, 정소, 신장, 뇌 및 간) 적출을 진행하였다(도 24 참조). 채혈한 혈액을 이용하여 혈청 내 존재하는 바이러스 RNA 카피수 및 역가를 plaque 에세이로 측정하였고, 적출한 장기 내 바이러스 RNA 카피수를 qPCR로 분석하였으며, 바이러스 RNA 수준을 Con1 기준 상대적인 변화로 표현하였다.Infection with the virus was specifically conducted through the intraperitoneal route with each virus at 10 4 PFU/100 μl, and the weight change, survival rate, and clinical symptoms of the mice were observed daily for a total of 15 days, and the body weight was reduced to less than 80%. In this case, death was record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0 animals in each group, 5 animals in each group were observed for survival rate and clinical symptoms, 5 animals in each group had blood collected on the 4th day after infection, and blood was collected on the 7th day and organs (spleen, testis, Kidney, brain, and liver) were removed (see Figure 24). Using collected blood, the viral RNA copy number and titer present in the serum were measured by plaque assay, the viral RNA copy number in the extracted organs was analyzed by qPCR, and the viral RNA level was expressed as a relative change based on Con1.

마우스의 체중 변화, 생존율 및 임상적 증상을 관찰한 결과, 인터페론 α/β 결손마우스의 결과와 다르게, 오직 rMR766(서열번호 36) 감염 마우스만이 뒷다리의 마비 증상과 함께 7일차부터 사망하기 시작하여 모두 8일 차에 초기 무게 대비 80% 이하로 감소하여 사망하였다. Con1/MR_NS1-5(서열번호 97) 경우, 감염 7일 차부터 Con1 감염마우스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지만, 체중을 서서히 회복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Con1(서열번호 12) 및 Con1/MR_NS5(서열번호 96) 감염 마우스는 모두 특이 증상 또는 큰 체중 변화 없이 15일 차까지 생존함을 확인하였다(도 22a 및 22b 참조).As a result of observing the weight change, survival rate, and clinical symptoms of mice, unlike the results of interferon α/β deficient mice, only rMR766 (SEQ ID NO: 36) infected mice began to die from the 7th day with symptoms of paralysis of the hind limbs. All died after reducing to less than 80% of their initial weight on the 8th day. In the case of Con1/MR_NS1-5 (SEQ ID NO: 97),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Con1-infected mice from the 7th day of infection, but there was a tendency to gradually recover body weight.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all Con1 (SEQ ID NO: 12) and Con1/MR_NS5 (SEQ ID NO: 96) infected mice survived until day 15 without any specific symptoms or significant body weight changes (see FIGS. 22A and 22B).

4일 차 및 7일 차에서 채혈한 혈액의 혈청 내 바이러스 역가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6의 인터페론 α/β 결손마우스와 달리, 감염 4일 및 7일 후 혈청 내 바이러스 RNA level 및 바이러스 역가가 Con1(서열번호 12) 감염 마우스에 비해 Con1/MR_NS5(서열번호 96), Con1/MR_NS1-5(서열번호 97), 그리고 rMR766(서열번호 36)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rMR766(서열번호 36)의 경우, 실시예 6과 유사하게 다른 바이러스주들에 비해 바이러스 역가가 유의하게 높음을 확인하였다(도 24 참조).As a result of measuring the virus titer in the serum of blood collected on the 4th and 7th days, unlike the interferon α/β deficient mouse of Example 6, the viral RNA level and virus titer in the serum were 4 and 7 days after infection. It was confirmed that Con1/MR_NS5 (SEQ ID NO: 96), Con1/MR_NS1-5 (SEQ ID NO: 97), and rMR766 (SEQ ID NO: 36) al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Con1 (SEQ ID NO: 12) infected mice. In the case of rMR766 (SEQ ID NO: 36), similar to Example 6, it was confirmed that the virus tit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virus strains (see FIG. 24).

또한, 7일 차에 적출한 장기(비장, 정소, 신장, 뇌 및 간) 내 바이러스 역가를 측정한 결과, 혈청의 바이러스 역가와 다르게 모든 장기에서 Con1과 Con1/MR_NS5의 유의성은 확인할 수 없었지만, 정소를 제외한 모든 장기에서 Con1/MR_NS1-5(서열번호 97)의 바이러스 RNA 수준은 Con1(서열번호 12) 및 Con1/MR_NS5(서열번호 96)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과 유사하게 rMR766(서열번호 36)은 다른 바이러스주들에 비해 바이러스 역가가 유의하게 높음을 확인하였다(도 25a 및 25b 참조).In addition,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viral titer in the organs (spleen, testis, kidney, brain, and liver) removed on the 7th day, unlike the viral titer in the serum, the significance of Con1 and Con1/MR_NS5 could not be confirmed in all organs, but testis It was confirmed that the viral RNA level of Con1/MR_NS1-5 (SEQ ID NO: 9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1 (SEQ ID NO: 12) and Con1/MR_NS5 (SEQ ID NO: 96) in all organs except. Similar to the above experiment, rMR766 (SEQ ID NO: 36) was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ly higher virus titer than other virus strains (see FIGS. 25A and 25B).

추가적으로, 7일 차에 적출한 뇌 내의 H&E 염색을 통한 대뇌 피질의 감염에 의한 병변성을 확인하였다. 마우스 생존율 및 체중 변화와 일치하게, rMR766(서열번호 36) 감염 마우스의 대뇌 피질에는 혈관 주위에 많은 면역 세포들의 침투를 확인할 수 있었고, 7일차에 체중 변화가 나타났던 Con1/MR_NS1-5(서열번호 97) 또한 병변이 확인되었다. 또한, Con1/MR_NS5(서열번호 96) 감염 마우스에서도 미약하지만 병변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Con1은 mock 감염 대비 병변의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6 참조).Additionally, lesions due to infection of the cerebral cortex were confirmed through H&E staining in the brain extracted on day 7. Consistent with the mouse survival rate and body weight change, the infiltration of many immune cells around blood vessels was confirmed in the cerebral cortex of rMR766 (SEQ ID NO: 36) infected mice, and Con1/MR_NS1-5 (SEQ ID NO: 97) Additionally, lesion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lesions, although slight, were confirmed in Con1/MR_NS5 (SEQ ID NO: 96) infected mice, but it was confirmed that Con1 showed no difference in lesions compared to mock infection (see FIG. 26).

상기 일반 마우스와 인터페론 α/β 결손마우스의 실험을 통해, 인터페론 수용체와 그 하위 시그널이 병독성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시예 6과 유사하게, 바이러스주가 아시아 바이러스주로 진화하면서 지카바이러스 비구조단백질의 병원성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Through experiments with the normal mice and interferon α/β deficient mice, it was confirmed that interferon receptors and their downstream signals play an important role in virulence, and similarly to Example 6, It was confirmed that the pathogenicity of Zika virus non-structural proteins decreased as the virus strain evolved into an Asian virus strain.

실시예 8. 젖먹이 마우스를 이용한 Con1의 안전성 평가 실험Example 8. Safety evaluation experiment of Con1 using suckling mice

젖먹이 마우스를 통해 Con1(서열번호 12)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MR766 (ATCC, VR-84) 바이러스를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104 PFU의 MR766 바이러스주를 56℃에서 30분간 열로 불활성화(heat inactivation)하여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고, 104 PFU의 Con1 및 MR766 바이러스주를 젖먹이 마우스의 대뇌 피질에 각각 10-μl의 용량으로 주입하여, 2주동안 체중 변화 및 생존율 변화를 측정하였다. 군당 총 10마리으로 진행하였고, 3마리는 감염 후 7일차에 마우스 뇌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RNA 수준 및 역가를 qPCR 및 plaque 분석법으로 분석하였고, 나머지 7마리는 체중 변화 및 생존율 변화를 측정하였다(도 27a 참조).To confirm the safety of Con1 (SEQ ID NO: 12) in suckling mic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the MR766 (ATCC, VR-84) virus as a control. 10 4 PFU of the MR766 virus strain was heat inactivated at 56°C for 30 minutes and used as a negative control, and 10 4 PFU of the Con1 and MR766 virus strains were each injected into the cerebral cortex of suckling mice at a volume of 10-μl. By injection, changes in body weight and survival rate were measured for 2 weeks. A total of 10 mice were administered per group. For 3 mice, the RNA level and titer of the virus present in the mouse brain on the 7th day after infection were analyzed using qPCR and plaque analysis, and for the remaining 7 mice, changes in body weight and survival rate were measured (Figure 27a).

각 바이러스 주입군별 체중 변화를 측정한 결과, 감염 4일까지는 체중이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하다가 5일차부터 감소하면서, 감염 6일 차에 체중 감소를 동반한 매우 심각한 임상적 증상(움츠림, 운동성 저하 등)을 보였고 모든 마우스가 사망하였다. 그러나, Con1의 경우 체중이 서서히 증가하다 2주까지 유지되었고, 대조군에 비해서 체중이 큰 차이를 보였으나, 감염 14일차에 한 마리를 제외하고는 사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27b 참조).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hange in body weight for each virus injection group, body weight increased to a similar leve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until the 4th day of infection, but decreased from the 5th day, and very serious clinical symptoms accompanied by weight loss occurred on the 6th day of infection ( withdrawal, decreased motility, etc.) and all mice died. However, in the case of Con1, the body weight gradually increased and was maintained for up to 2 weeks, and although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in body weigh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was confirmed that no death occurred except for one animal on the 14th day of infection (see Figure 27b).

상기 체중 변화를 토대로 25% 이상 체중 감소를 사망의 기준으로 설정하고 생존율 변화를 관찰한 결과, MR766 바이러스주 감염 마우스는 체중 감소와 별개로 감염 5일 후 1마리, 6일 후 6마리 모두 사망하였다. 그러나, Con1 바이러스주 감염 마우스는 감염 8일 후 3마리가 체중 25% 이상 감소하여 사망처리 되었고, 9일차에 2마리, 10일차에 2마리가 체중 감소로 사망처리 되었다(도 27c 참조).Based on the above weight change, a weight loss of more than 25% was set as the criterion for death and the change in survival rate was observed.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change in survival rate, 1 mouse infected with the MR766 virus strain died after 5 days and all 6 mice after 6 days after infection, regardless of weight loss. . However, 3 mice infected with the Con1 virus strain died due to weight loss of more than 25% after 8 days of infection, 2 mice died on the 9th day, and 2 mice died on the 10th day due to weight loss (see Figure 27c).

이후, 감염 7일 차에 뇌 내 바이러스 RNA 수준 및 역가를 분석하였다. MR766 감염군의 경우, 6일차에 모두 사망하여 사망한 마우스 6일차 사망 마우스의 뇌 내의 바이러스 RNA 및 역가를 분석하였고, Con1 감염군은 7일차에 뇌 내 바이러스 RNA 및 역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Con1 바이러스주에 비해 MR766 바이러스주 감염군의 뇌 내 바이러스 RNA 수준과 역가가 높음을 확인하였다(도 27d 참조).Then, on the 7th day of infection, the level and titer of viral RNA in the brain were analyzed. In the case of the MR766 infection group, all mice died on the 6th day, and the viral RNA and titer in the brain of the mice that died on the 6th day were analyzed. In the Con1 infection group, the viral RNA and titer in the brain were analyzed on the 7th da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viral RNA level and titer in the brain of the MR766 virus strain infection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1 virus strain (see Figure 27d).

상기 실험을 통해 Con1 바이러스주 또한 병독성을 가지고 있지만, MR766 바이러스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독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Through the abov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1 virus strain also has virulence, but is relatively attenuated compared to the MR766 virus strain.

Claims (27)

T7 박테리아 파지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
Full-length clone of Zika virus containing the T7 bacterial phage promot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론은 HDVRz 및 SacI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에 의해 절단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지카바이러스의 전장 클론.
The full-length clone of Zika vir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one includes a region cleaved by one or more enzym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DVRz and SacII.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론은 pBeloBAC11 벡터를 주형으로 제조된 것인, 클론.
The clo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one is prepared using the pBeloBAC11 vector as a tem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카바이러스는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 또는 상기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 및 상기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키메릭(chimeric) 바이러스인, 클론.
The clone of claim 1, wherein the Zika virus is an Asian Zika virus, an African Zika virus, or a chimeric virus of the Asian Zika virus and the African Zika viru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는 아시아 계통 및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 서열에서 공통적으로 보존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클론.
The clon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Asian Zika virus includes sequences commonly conserved in Asian and African Zika virus sequence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클론은 서열번호 12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인, 클론.
The clon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lone is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클론으로부터 복원된 지카바이러스는 PRVABC59 지카바이러스 보다 약독화(attenuation)된 것인, 클론.
The clon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Zika virus recovered from the clone is attenuated than the PRVABC59 Zika viru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는 MR766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NS3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부터 변이된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클론.
The clon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African Zika virus comprises a nucleotide sequence mutated from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non-structural protein NS3 of the MR766 Zika viru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클론은 서열번호 3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인, 클론.
The clon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clone is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base sequence of SEQ ID NO: 3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론 내 지카바이러스는 3'말단 염기 서열이 변이된 것인, 클론.
The clo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Zika virus in the clone has a 3' terminal base sequence mutated.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변이는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3' 말단 염기 서열이 -GTCT-3’인 경우, -TTTCT-3’로 치환되는 것이거나,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3' 말단 염기 서열이 -TTTCT-3’인 경우, -GTCT-3’로 치환되는 것인, 클론.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utation is a substitution of -TTTCT-3' when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Zika virus is -GTCT-3', or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Zika virus is -TTTCT- In the case of 3', the clone is substituted with -GTCT-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클론은 서열번호 13 또는 95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인, 클론.
The clon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clone is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3 or 9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키메릭 바이러스는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이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 치환된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이거나,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이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 치환된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인 것인, 클론.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himeric virus is an Asian Zika virus in which a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a non-structural protein of an Asian Zika virus is replaced with a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a non-structural protein of an African Zika virus, or an acetabulum sequence of an African Zika virus. A clone, which is an African Zika virus in which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crude protein is replaced with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Asian Zika virus.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비구조단백질은 NS1, NS2A, NS2B, NS3, NS4A, NS4B 및 NS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클론.
The clon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non-structural protei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S1, NS2A, NS2B, NS3, NS4A, NS4B, and NS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클론은 서열번호 96 내지 98의 염기 서열 중 하나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인, 클론.
The clon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clone is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one of the base sequences of SEQ ID NOs: 96 to 9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이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 치환된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는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 보다 지카바이러스의 복제능 또는 병원성이 증가된 것인, 클론.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Asian Zika virus in which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Asian Zika virus is substituted with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African Zika virus has the replication capacity of the Zika virus or the Asian Zika virus. Clones with increased pathogenicity.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이 아시아 계통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 치환된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는 아프리카 계통 지카바이러스 보다 지카바이러스의 복제능 또는 병원성이 감소된 것인, 클론.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African Zika virus in which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African Zika virus is replaced with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Asian Zika virus has a replication capacity of Zika virus or higher than that of the African Zika virus. Clones with reduced pathogenicity.
청구항 1의 클론 내 지카바이러스의 캡시드 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외피 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 및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을 포함하고,
CMV 프로모터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서브게노믹 레플리콘(subgenomic replicon).
The clone of claim 1 includes a base sequence encoding a capsid protein of the Zika virus, a base sequence encoding an envelope protein of the Zika virus, and a base sequence encoding a non-structural protein of the Zika virus,
A subgenomic replicon of Zika virus containing a base sequence encoding the CMV promoter.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레플리콘은 서열번호 55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인, 레플리콘.
The replicon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replicon is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5.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레플리콘 내 지카바이러스는 3’말단 염기 서열이 변이된 것인, 레플리콘.
The replicon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3' terminal base sequence of the Zika virus in the replicon is mutated.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레플리콘은 서열번호 56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인, 레플리콘.
The replicon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the replicon is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6.
청구항 1의 클론 내 지카바이러스의 캡시드 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의 미니게놈(minigenome).
A minigenome of Zika virus containing a base sequence encoding the capsid protein of Zika virus in the clone of claim 1.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미니게놈은 서열번호 77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인, 미니게놈.
The minigenome of claim 22, wherein the minigenome is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7.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미니게놈 내 지카바이러스는 3’말단 염기 서열이 변이된 것인, 미니게놈.
The minigenome of claim 22, wherein the 3' termin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Zika virus in the minigenome is mutated.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미니게놈은 서열번호 78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인, 미니게놈.
The minigenome of claim 24, wherein the minigenome is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8.
청구항 1의 클론 또는 이의 유도체를 세포에 도입하는 단계;
후보 약제를 상기 세포에 처리하는 단계;
상기 약제를 처리한 세포에서 지카바이러스의 역가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역가가 상기 약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약제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스크리닝 방법.
Introducing the clone or derivative thereof of claim 1 into a cell;
treating the cells with a candidate agent;
Measuring the titer of Zika virus in cells treated with the drug; and
A screening method for a drug for preventing or treating Zika virus infection, comprising the step of selecting a drug whose titer is reduced compared to a control group not treated with the drug.
청구항 1의 클론 또는 이의 유도체로부터 복원되는 지카바이러스의 유전 물질, 상기 유전 물질이 발현하는 단백질 또는 이들의 단편을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 백신 조성물.A Zika virus vaccine composition comprising genetic material of the Zika virus reconstructed from the clone of claim 1 or a derivative thereof, a protein expressed by the genetic material, or a fragment thereof.
KR1020230060438A 2022-05-26 2023-05-10 A full-length infectious clone of Zika virus or variants thereof and their uses KR202301660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7265 WO2023229422A1 (en) 2022-05-26 2023-05-26 Infectious full-length clone of zika virus or variant thereof and us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869 2022-05-26
KR20220064869 2022-05-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042A true KR20230166042A (en) 2023-12-06

Family

ID=8916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0438A KR20230166042A (en) 2022-05-26 2023-05-10 A full-length infectious clone of Zika virus or variants thereof and their us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6042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714A (en) 2013-12-24 2015-07-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nfectious clone comprising full-length nucleotide of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714A (en) 2013-12-24 2015-07-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nfectious clone comprising full-length nucleotide of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 Pesch et al. The leader protein of Theiler's virus inhibits immediate-early alpha/beta interferon production
Lee et al. E protein domain III determinants of yellow fever virus 17D vaccine strain enhance binding to glycosaminoglycans, impede virus spread, and attenuate virulence
US6696281B1 (en) Chimeric flavivirus vaccines
Wicker et al. A single amino acid substitution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West Nile virus NS4B protein confers a highly attenuated phenotype in mice
RU2209082C2 (en) Chimeric flaviviral vaccines
Guirakhoo et al. Construction, safety, and immunogenicity in nonhuman primates of a chimeric yellow fever-dengue virus tetravalent vaccine
Choi et al. Cotranslational autoproteolysis involved in gene expression from a double-stranded RNA genetic element associated with hypovirulence of the chestnut blight fungus.
JP5538729B2 (en) Mock infectious flaviviruses and their use
US10918710B2 (en) Temperature-sensitive attenuated FMDV strains, construc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US6589522B1 (en) Vaccines against infections caused by YF virus; YF infectious cDNA, method for producing a recombinant YF virus from the YF infectious cDNA and plasmids to assemble the YF infectious cDNA
EA015907B1 (en) Recombinant flavivirus and use thereof
Suthar et al. Infectious clones of novel lineage 1 and lineage 2 West Nile virus strains WNV-TX02 and WNV-Madagascar
JP2013247959A (en) Mutant vesicular stomatitis viruses and use thereof
WO2001039802A9 (en) Chimeric flavivirus vaccines
Li et al. The glycosylation site in the envelope protein of West Nile virus (Sarafe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plication and maturation processes
CN111511397A (en) Recombinant viruses with codon pair de-optimized regions and their use for treating cancer
JP4430543B2 (en) Japanese encephalitis virus full-length genomic RNA, JEV cDNA having infectivity to the JEV genomic RNA, and uses thereof
Takano et al. Construction of a replicon and an infectious cDNA clone of the Sofjin strain of the Far-Eastern subtype of tick-borne encephalitis virus
KR20230166042A (en) A full-length infectious clone of Zika virus or variants thereof and their uses
AU3757199A (en) Chimeras of hepatitis c virus and bovine viral diarrhea virus
WO2023229422A1 (en) Infectious full-length clone of zika virus or variant thereof and use thereof
CN100412089C (en) Full-length infectious CDNA clones of tick borne flavivirus
CZ185095A3 (en) INFECTIOUS cDNA-CLONE OF TICK ENCEPHALITIS (TBE), VACCINE DERIVED THEREFROM AND PROCESS FOR PREPARING SUCH VACCINE
Hietala et al. Virus replication
CN113717953A (en) Application of attenuated flavivirus in oncoly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