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007A -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 - Google Patents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007A
KR20230166007A KR1020220065449A KR20220065449A KR20230166007A KR 20230166007 A KR20230166007 A KR 20230166007A KR 1020220065449 A KR1020220065449 A KR 1020220065449A KR 20220065449 A KR20220065449 A KR 20220065449A KR 20230166007 A KR20230166007 A KR 20230166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load switch
insulated load
partial dischar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성
박종영
김형철
한문섭
정락교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65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6007A/ko
Publication of KR20230166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00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2Apparatus, systems or circuits therefor
    • G01R31/3274Details related to measuring, e.g. sensing, displaying or computing; Measuring of variables related to the contact pieces, e.g. wear, position or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2Measuring rate of ch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동작성능을 검출하는 동작성능 검출부;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부분방전 검출부;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조작기구부의 외함의 진공도를 감지하는 진공 센서부; 및 동작성능 검출부에서 검출된 동작성능, 부분방전 검출부에서 검출된 부분방전 신호 및 진공 센서부에서 감지된 진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고체절연 부하개폐기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DIAGNOSIS APPARATUS FOR SOLID INSULATED LOAD BREAKER SWITCH}
본 발명은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동작상태를 진단하여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장애를 방지하고 운영자가 적절한 시점에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체절연 부하개폐기는 가압부를 에폭시로 절연하여 감전 사고나 가스 누기로 인한 절연성능 저하를 방지한다.
고체절연 부하개폐기는 진공 인터럽터, 전압센서, 전류센서 등을 에폭시로 절연시킨 고체절연 개폐부 및 진공 인터럽터의 개폐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장치를 포함하는 철제로 구성된 조작기구부가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고체절연 부하개폐기는 진공 인터럽터로만 개폐를 수행하기 때문에 진공 인터럽터 자체의 절연 파괴로 인해 장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고체절연 부하개폐기는 진공 인터럽터와 단로기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외부에서 단로기의 개폐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 표시창이 설치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10-1257098호(2013.04.15)의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부분방전 검출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단로기 일체형 방식의 고체절연 부하개폐기는 유지보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maintenance free)되어 있으나, 철도 운행 노선에 설치 운영되고 있어 철도차량에 운행에 따른 기계적 진동과 아크 및 고조파 등과 같은 외부의 기계적, 전기적 충격 등으로 인한 기능 및 절연 성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최근 개발되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는 에폭시 절연물 내부에 단로기와 투명표시창 등의 장치가 추가되어 절연 성능 유지에 보다 면밀한 점검이 필수적이다.
더욱이, 철도 운영 노선에 설치된 고체절연 부하개폐기는 주기적으로 외관 및 동작검사, 접촉저항시험, 절연저항시험 등을 통해 최소한의 성능을 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고체절연 부하개폐기는 에폭시로 절연되어 있어 동작성능 및 내부 절연성능의 저하를 상시로 점검할 수 없고, 기능 장애가 발생하기 전에는 정확한 성능 점검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동작상태를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장애를 방지하고 운영자가 적절한 시점에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동작성능을 검출하는 동작성능 검출부;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부분방전 검출부;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조작기구부의 외함의 진공도를 감지하는 진공 센서부; 및 상기 동작성능 검출부에서 검출된 동작성능, 상기 부분방전 검출부에서 검출된 부분방전 신호 및 상기 진공 센서부에서 감지된 진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동작성능 검출부는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보조접점의 개방 및 투입시간,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보조접점이 동작하기까지의 기계적 작동 속도,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투입 코일과 개방 코일의 전류, 및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차단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진단부는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보조접점의 개방 및 투입시간의 시간변화,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보조접점이 동작하기까지의 기계적 작동 속도,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투입 코일과 개방 코일의 전류 변화량, 및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차단전류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토대로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동작 성능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부분방전 검출부는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에 부분방전 발생시에 수반되는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제1 부분방전 센서; 및 상기 조작기구부의 외함의 접지 라인으로 흐르는 신호로부터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제2 부분방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제1 부분방전 센서와 상기 제2 부분방전 센서에서 감지된 부분방전 신호로부터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절연성능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진공 센서부는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외함 내 진공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동작성능 검출부에서 검출된 동작성능, 상기 부분방전 검출부에서 검출된 부분방전 신호 및 상기 진공 센서부에서 감지된 진공도를 상기 진단부로 전달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진단부는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진단 결과를 운영 시스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진단부는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초기 제작상태 및 설치 개소의 외부환경에 따라 설정되는 진단 기준에 따라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진단하여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장애를 방지하고 운영자가 적절한 시점에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체절연 부하개폐기가 운영되는 개소의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유지보수를 위해 일정 주기별로 수행되는 인력 중심의 유지보수를 자동화함으로써,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상태 점검을 위한 비용을 절감하고, 인적 오류를 최소화하여 점검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성능 검출부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성능 검출부의 동작성능 검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방전 검출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코로나방전에 따른 부분방전 검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체결장치 이상에 따른 부분방전 검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성능 검출부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성능 검출부의 동작성능 검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방전 검출부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코로나방전에 따른 부분방전 검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체결장치 이상에 따른 부분방전 검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는 동작성능 검출부(100), 부분방전 검출부(200), 진공 센서부(300), 데이터 통신부(400) 및 진단부(500)를 포함한다.
동작성능 검출부(100)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조작기구부의 외함(11) 내에 설치된다.
동작성능 검출부(100)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개폐시간이나 제어전류를 포함하는 동작성능을 검출한다.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동작성능은 기계적 특성 변화를 통해 판단될 수 있다. 기계적 특성 변화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기계적 접점 메커니즘의 이상 유무와 접점의 열화정도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기계적 접점 메커니즘은 접점의 투입 및 개방 변화를 위해 인가되는 DC 제어전류와 보조접점의 시간간극을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접점의 열화정도는 접점이 구성되거나 변화될 때 접점에 가해지는 사고전류(또는 아크전류)의 크기를 측정하여 주접점 표면을 이루고 있는 합금의 열화정도로 유추될 수 있다.
이에, 동작성능 검출부(100)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동작성능으로 예컨대, 보조접점 개방 및 투입 시간(Operate Time), 기계적 작동 속도(Response Time), 및 개방 및 투입 코일 전류, 및 차단전류를 검출한다.
보조접점 개방 및 투입 시간은 보조접점의 개방 시간 및 투입 시간을 디지털 입력으로 입력받을 수 있으며, 두 접점 사이의 시간차로 측정될 수 있다.
기계적 작동 속도는 개방 코일 및 투입 코일에 DC 전류가 인가되기 시작하여 기계적으로 보조 접점이 동작하기까지의 시간으로 검출될 수 있다.
개방 및 투입 코일 전류(DC 전류)는 개방 코일 회로와 투입 코일 회로 사이에 설치된 션트 저항(0.1Ω or 0.5Ω)으로 계산될 수 있다.
차단전류는 2차 CT를 사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성능, 예컨대 보조접점 개방 및 투입 시간의 변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기계적 동작 속도, 개방 및 투입 코일 전류의 변화, 및 차단전류의 변화량에 따라 기계적 동작상태가 판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동작성능 검출부(100)의 하드웨어 구성과 동작성능 검출 예가 각각 도시되었다.
부분방전 검출부(200)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한다.
부분방전 신호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절연성능을 진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 내부의 내부 크랙과 기공 등의 내부 절연파괴 요인이 검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부분방전 검출부(200)는 제1 부분방전 센서(210) 및 제2 부분방전 센서(220)를 포함한다.
제1 부분방전 센서(210)는 부분방전 발생시에 수반되는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한다. 도 5는 제1 부분방전 센서(210)에 감지된 내부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된 부분방전 신호이다.
제1 부분방전 센서(210)로는 1.5GHz 대역까지 전자파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UHF(Ultra High Frequency) 센서가 채용될 수 있다.
제2 부분방전 센서(220)는 외함(11)의 접지부에 설치되며, 외함(11)의 접지 라인으로 흐르는 신호로부터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한다. 도 6은 제1 부분방전 센서(22)에 의해 감지된 내부 체결장치 이상에 따라 발생된 부분방전 신호이다.
제2 부분방전 센서(220)로는 HFCT(High Frequency Current Transformer) 센서가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부분방전 센서(210)로 UHF 신호를 예시로 설명하고 제2 부분방전 센서(220)로 HFCT 센서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절연성능 저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부분방전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1 부분방전 센서(210) 및 제2 부분방전 센서(220)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진공 센서부(300)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조작기부의 외함(11)의 진공도를 감지한다.
조작기구부의 외함(11)의 밀봉이 저하되는 경우, 외함(11) 내부로 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습기 유입에 따라 전기적, 기계적 장치가 오동작하고, 고체절연 에폭시의 내부 절연이 파괴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400)는 동작성능 검출부(100)에서 검출된 동작성능, 부분방전 검출부(200)에서 검출된 부분방전 신호 및 진공 센서부(300)에서 감지된 진공도를 진단부(500)로 전달한다.
데이터 통신부(400)의 통신 방식은 유무선 통신 방식이 채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단부(500)는 데이터 통신부(400)로부터 동작성능 검출부(100)에서 검출된 동작성능, 부분방전 검출부(200)에서 검출된 부분방전 신호, 및 진공 센서부(300)에서 감지된 진공도를 전달받는다.
진단부(500)는 동작성능 검출부(100)에서 검출된 동작성능, 부분방전 검출부(200)에서 검출된 부분방전 신호, 및 진공 센서부(300)에서 감지된 진공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동작성능 또는 절연성능을 기 설정된 진단 기준에 따라 진단한다.
한편, 진단 기준은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동작성능 또는 절연성능을 진단하기 위해 설정된다. 진단 기준은 동작성능 검출부(100)에서 검출된 동작성능, 부분방전 검출부(200)에서 검출된 부분방전 신호 및 진공 센서부(300)에서 감지된 진공도 마다 설정될 수 있으며, 이들 파라미터에 대해 종합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는 초기 제작상태 및 설치 개소의 외부 환경에 따라 영향이 있으므로, 진단 기준은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초기 설치 운영 시에 데이터를 바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진단부(500)는 동작성능 검출부(100)로부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보조접점 개방 및 투입 시간(Operate Time), 기계적 작동 속도(Response Time), 및 개방 및 투입 코일 전류, 및 차단전류를 전달받는다. 이어, 진단부(500)는 이들을 통해 보조접점 개방 및 투입 시간의 변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기계적 동작 속도, 개방 및 투입 코일 전류의 변화, 및 차단전류의 변화량을 검출하고, 이들을 각각에 설정된 진단기준과 비교하여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기계적 동작상태를 진단한다.
또한, 진단부(500)는 부분방전 검출부(200)로부터 부분방전 신호를 전달받고 부분방전 신호의 세기 등을 진단 기준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내부 크랙과 기공 등의 내부 절연파괴 요인을 검출한다.
또한, 진단부(500)는 진공 센서로부터 외함(11) 내부의 진공도를 전달받고 이 진공도를 진단 기준과 비교하여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진공도를 판별한다.
한편, 진단부(500)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동작성능 또는 절연성능에 대한 진단 결과를 운영 시스템에 전달한다. 이때, 운영 시스템은 진단부(500)로부터 전달받은 진단 결과를 출력하여 운영자가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위험 요인을 인지하여 적절한 시점에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운영 시스템은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동작성능과 절연성능을 확인하고 운영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운영 시스템은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운영 및 관리를 위한 서버나 운영자의 개인 단말일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진단하여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장애를 방지하고 운영자가 적절한 시점에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가 운영되는 개소의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10)의 유지보수를 위해 일정 주기별로 수행되는 인력 중심의 유지보수를 자동화함으로써,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상태 점검을 위한 비용을 절감하고, 인적 오류를 최소화하여 점검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11: 외함
100: 동작성능 검출부 200: 부분방전 검출부
210: 제1 부분방전 센서 220: 제2 부분방전 센서
300: 진공 센서부 400: 데이터 통신부
500: 진단부

Claims (9)

  1.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동작성능을 검출하는 동작성능 검출부;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부분방전 검출부;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조작기구부의 외함의 진공도를 감지하는 진공 센서부; 및
    상기 동작성능 검출부에서 검출된 동작성능, 상기 부분방전 검출부에서 검출된 부분방전 신호 및 상기 진공 센서부에서 감지된 진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성능 검출부는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보조접점의 개방 및 투입시간,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보조접점이 동작하기까지의 기계적 작동 속도,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투입 코일과 개방 코일의 전류, 및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차단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보조접점의 개방 및 투입시간의 시간변화,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보조접점이 동작하기까지의 기계적 작동 속도,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투입 코일과 개방 코일의 전류 변화량, 및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차단전류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토대로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동작 성능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방전 검출부는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에 부분방전 발생시에 수반되는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제1 부분방전 센서; 및
    상기 조작기구부의 외함의 접지 라인으로 흐르는 신호로부터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제2 부분방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제1 부분방전 센서와 상기 제2 부분방전 센서에서 감지된 부분방전 신호로부터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절연성능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센서부는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외함 내 진공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성능 검출부에서 검출된 동작성능, 상기 부분방전 검출부에서 검출된 부분방전 신호 및 상기 진공 센서부에서 감지된 진공도를 상기 진단부로 전달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진단 결과를 운영 시스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초기 제작상태 및 설치 개소의 외부환경에 따라 설정되는 진단 기준에 따라 상기 고체절연 부하개폐기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
KR1020220065449A 2022-05-27 2022-05-27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 KR20230166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449A KR20230166007A (ko) 2022-05-27 2022-05-27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449A KR20230166007A (ko) 2022-05-27 2022-05-27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007A true KR20230166007A (ko) 2023-12-06

Family

ID=8916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449A KR20230166007A (ko) 2022-05-27 2022-05-27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60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9024B2 (ja) 真空開閉装置
KR100883266B1 (ko) Swnt-uhf 융합 센서 및 이를 이용한 가스 절연 개폐장치의 부분 방전을 검출하는 방법
EP1109186A2 (en) Vacuum switch including vacuum-measurement devices, switchgear using the vacuum switch,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5819012B2 (ja) 真空劣化監視装置
JP6704907B2 (ja) 真空テストを可能にする真空絶縁スイッチ、スイッチアセンブリ、およびテスト方法
KR101972325B1 (ko) 개폐기의 고장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166007A (ko)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진단장치
KR20040051047A (ko) 절연보호커버가 있는 부분방전, 인가전압 및 위상 검출겸용 안테나
Schellekens Continuous vacuum monitoring in vacuum circuit breakers
KR20070016348A (ko) 전기차단기의 이상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JP5518259B2 (ja) タンク型開閉装置
KR100518370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방전 진단 시스템
NL2018552B1 (en) Measurement system for monitoring gas insulated system
Biasse et al. New features for MV switchgear are now available to move to condition based maintenance
JP2007174726A (ja) ガス絶縁電力機器
JPH08306279A (ja) 真空遮断器の真空度監視装置
Silva et al. Projects for predictive maintenance and operation between Copet G&T and Gnarus Institute
JP2012156117A (ja) 真空絶縁開閉器及び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JPH08241654A (ja) ガス遮断器の故障検出装置
JP3172988B2 (ja) ガス遮断器の故障検出装置
JPH08235976A (ja) ガス遮断器の故障検出装置
Richardson Bushings and tapchangers
TW201212086A (en) Vacuum insulated switch device and vacuum insulated switchgear
KR20210152348A (ko) 차단기 밸브의 결함 검출을 위한 실시간 전자기파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KR20210041824A (ko) 변압기 oltc의 보호장치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