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5613A - Smart cooking device and recipe informaiton generation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Smart cooking device and recipe informaiton generation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5613A
KR20230165613A KR1020220065608A KR20220065608A KR20230165613A KR 20230165613 A KR20230165613 A KR 20230165613A KR 1020220065608 A KR1020220065608 A KR 1020220065608A KR 20220065608 A KR20220065608 A KR 20220065608A KR 20230165613 A KR20230165613 A KR 20230165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weight
information
actu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6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주
Original Assignee
김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주 filed Critical 김형주
Priority to KR1020220065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5613A/en
Publication of KR20230165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5613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47J36/321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handheld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6Cook-top or cookwar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되는 재료의 무게를 검지하여 조리과정을 자동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자동 제어를 지원하는 레시피 정보를 생성하여 다수 간에 공유할 수 있는 스마트 조리기기 및 이를 위한 레시피 정보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조리기기는, 조리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어 있는 조리용기가 가열되도록 동작하는 히팅부; 상기 조리용기의 중량정보를 검출하는 중량 센싱부; 각 조리단계별 조리정보를 포함하는 레시피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레시피 정보를 기초로 상기 히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리정보는 N 번째 조리단계(이하, '제1 조리단계'라 함)에서 수행되는 조리정보(이하, '제1 조리정보'라 함)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조리정보는,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시작시 상기 조리용기에 투입되는 제1 재료의 요구투입중량; 및 상기 제1 조리단계가 수행되는 요구조리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조리단계에서 상기 조리용기에 투입된 상기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과 상기 요구투입중량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제1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처리결과, 상기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이 상기 요구투입중량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요구조리시간 대비 증가된 조리시간을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으로 재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처리결과, 상기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이 상기 요구투입중량보다 더 작을 경우, 상기 요구조리시간 대비 감소된 조리시간을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으로 재설정하도록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ooking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cooking process by detecting the weight of the ingredients being cooked, and that can generate recipe information to support such automatic control and share it among many people, and a recipe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for the same. .
A smart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a cooking vessel; a heating unit that operates to heat the cooking vessel mounted on the support unit; A weight sensing unit that detects weight information of the cooking vessel; A memory unit that stores recipe information including cooking information for each cooking step;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heating unit based on recipe information.
The cooking information includes cooking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cooking information') performed in the Nth cooking step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cooking step').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includes: a required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to be added to the cooking vessel at the start of the first cooking step; And the required cooking time for performing the first cooking step is set.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perform a first process of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cooking vessel in the first cooking step and the required input weight.
As a result of the first processing, if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material is greater than the required input weight, the cooking time increased compared to the required cooking time is configured to reset to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As a result of the first processing, if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material is smaller than the required input weight, the cooking time reduced compared to the required cooking time is configured to reset to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Description

스마트 조리기기 및 이를 위한 레시피 정보 생성 방법{SMART COOKING DEVICE AND RECIPE INFORMAITON GENERATION METHOD THEREFOR}Smart cooking device and recipe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for the same {SMART COOKING DEVICE AND RECIPE INFORMAITON GENERA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스마트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과정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재료의 무게를 검지하여 조리과정을 상황에 따라 자동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자동 제어를 지원하는 레시피 정보를 생성하여 다수 간에 공유할 수 있는 스마트 조리기기 및 이를 위한 레시피 정보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ooking device. More specifically, it detects the weight of ingredients that change over time during the cooking process, automatically controls the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generates recipe information to support such automatic control. This relates to smart cooking devices that can be shared among multiple people and a method of generating recipe information for them.

통상적으로 음식(예컨대, 밥)을 조리하는 경우 밥솥 내부의 물이 100℃가 될 때까지 가열을 하고 밥솥 내부의 물이 100℃가 되면 열을 낮추어 일정시간 동안 100℃가 유지되도록 하여 밥을 조리한다.Typically, when cooking food (e.g. rice), the water inside the rice cooker is heated until it reaches 100°C, and when the water inside the rice cooker reaches 100°C, the heat is lowered to maintain 100°C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cook the rice. do.

이 때, 조리하는 밥의 양이 적은 경우와 많은 경우 밥솥의 내부의 물이 100℃가 되기까지의 시간을 비교해보면, 밥의 양이 많은 경우 소요되는 시간이 밥의 양이 적은 경우 소요되는 시간에 비하여 더 길다.At this time, when comparing the time it takes for the water inside the rice cooker to reach 100°C when the amount of rice being cooked is small and when the amount of rice is large, the time taken when the amount of rice is large is the time taken when the amount of rice is small. It is longer compared to

그러나, 통상적인 밥솥의 경우 조리시간은 조리하는 밥의 양과 관계없이 일정한 시간동안 밥을 조리하도록 구성된다. 밥솥의 가열용량이 큰 인덕션 밥솥의 경우에는 일반 밥솥보다 조리시간이 짧으나 조리하는 시간은 밥의 양과 관계없이 일정하게 작동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typical rice cooker, the cooking time is configured to cook rice for a certain amount of time regardless of the amount of rice being cooked. In the case of an induction rice cooker with a large heating capacity, the cooking time is shorter than that of a regular rice cooker, but the cooking time generally operates consistently regardless of the amount of rice.

상기 경우, 밥을 조리하는 시간이 일정하면 밥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조리가 과하게 되어 밥이 타게 되고 양이 많은 경우에는 밥이 설익어서 고두밥처럼 되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above case, if the cooking time is constant, if the amount of rice is small, the rice is overcooked and burnt, and if the amount is large, the rice is undercooked and becomes like godubap.

결국, 이처럼 같은 음식을 조리하더라도 그 투입량에 따라 조리시간, 조리온도 등이 그에 적합하게 설정되어야 최적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In the end, even if you cook the same food, the cooking time and cooking temperature must be se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input amount to cook the optimal food.

한편, 자기유도가열 방식인 인덕션, 전기적 발열체의 발열로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하이라이트, 핫플레이트 등과 같은 조리기기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가열부의 전기적 제어가 가능하며, 따라서 조리기기의 가열온도, 가열시간 등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cooking appliances such as induction, which is a self-induction heating method, highlights, and hot plates that heat the cooking vessel with heat from an electric heating element operate by heating the cooking vessel using electrical energy, so electrical control of the heating part is possible. , Therefore, it can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heating temperature and heating time of the cooking appliance.

특히, 인덕션 레인지(Induction range)는 유도가열방식으로 구동하는 가열 조리기로서, 워킹 코일이 발열되지 않기 때문에, 상판부의 온도가 조리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비교적 낮은 온도로 유지되므로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덕션 레인지는 유도 가열에 의해 조리용기 자체에서 발열되는 방식이므로, 하이라이트 내지 핫플레이트 등과 같이 발열체가 직접 발열하는 방식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an induction range is a heating cooker driven by an induction heating method. Since the working coil does not generate heat,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plate is maintained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even while cooking is taking place,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safe. In addition, since the induction range generates heat from the cooking vessel itself through induction heating,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more energy efficient compared to methods that generate heat directly from a heating element such as a highlight or hot plate.

한편, 일반적인 레시피는 조리 온도는 중불, 중약불 등의 정성적인 언어로 되어있으며 조리시간도 약 몇 분 등의 대충의 시간만을 표기한다. 이러한 레시피를 따라서 조리를 하는 경우 조리하는 사람의 중불 및 중약불의 온도에 대한 정의가 달라서 같은 레시피로 조리를 해도 조리하는 사람에 따라 조리 결과가 상이하고 사용하는 조리기에 따라서도 다른 결과가 나온다.Meanwhile, in general recipes, the cooking temperature is written in qualitative language such as medium heat, medium-low heat, etc., and the cooking time is also indicated only roughly, such as about a few minutes. When cooking according to these recipes, the definition of the temperature of medium heat and medium low heat is different for each cook, so even if cooking with the same recipe, the cooking resul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ok and the cooker used.

또한, 조리시간도 약 3분, 약 2분 등으로 기술되어 있어 조리하는 사람이 조리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며 조리 시간을 조절해야 하므로 조리 경험이 없는 사람은 이러한 레시피를 가지고 재현성이 있는 요리를 만들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ooking time is described as approximately 3 minutes, approximately 2 minutes, etc., so the cook must visually check the cooking status and adjust the cooking time, so people without cooking experience can cook reproducibly using these recipes. There were limitations that made it difficult to create.

그리고, 종래 조리기기는 사용자가 직접 조리온도를 설정하거나, 설령 자동으로 조리온도를 제어하더라도 열원은 온(On)/오프(Off)만을 제어하는 것이 통상적이 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s typically allow the user to set the cooking temperature directly or, even if the cooking temperatur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he heat source is usually controlled only on/off.

한편, 최선의 요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각 조리단계 내지 투입재료에 따라 조리온도가 달라져야 하는데, 이처럼 사용자 입력 내지 열원의 온/오프 제어를 통해서만 조리온도를 제어하게 되면, 조리하는 사람에 따라 조리온도가 상이하게 되고, 재료를 목적하는 조리온도로 가열하거나 또는 최적 조리온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in order to make the best dish, the cooking temperature must vary depending on each cooking step or input ingredient. In this way, if the cooking temperature is controlled only through user input or on/off control of the heat source, the cooking temperature may vary depending on the person cooking. Howev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impossible to heat the ingredients to the desired cooking temperature or maintain the optimal cooking temperature.

한국등록특허 제10-1632742호 (2016.06.16.등록)Korean Patent No. 10-1632742 (registered on June 16, 2016) 한국등록특허 제10-2153494호 (2020.09.02.등록)Korean Patent No. 10-2153494 (registered on 2020.09.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용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조리시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재료의 무게를 검지하여 최적의 조리시간 등을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자동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요리의 조리 과정을 자동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vessel, detect the weight of the ingredients that change with time during cooking, and determine the optimal cooking tim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ituation. It provides a smart cooking device that can set automatically and automatically control the cooking process of the dish based on thi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리되는 재료의 무게와 비열은 물론 조리용기의 무게와 비열 등 조리관련 제반 정보를 파악하여, 최적의 요리를 만들기 위한 조리온도 및 조리시간 등을 상황에 따라 자동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all information related to cooking, such as the weight and specific heat of the cooking ingredients as well as the weight and specific heat of the cooking vessel, and automatically control the cooking temperature and cooking time according to the situation to create optimal dishes. The goal is to provide smart cooking appliances that ca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 조리기기의 이러한 자동 제어를 지원할 수 있는 레시피 정보를 음식 조리 과정에서 손쉽게 생성하여 다수 간에 공유할 수 있는 스마트 조리기기를 위한 레시피 정보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generating recipe information for a smart cooking device that can easily generate recipe information that can support such automatic control of the smart cooking device during the food cooking process and share it among multiple peop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조리기기는, 조리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어 있는 조리용기가 가열되도록 동작하는 히팅부; 상기 조리용기의 중량정보를 검출하는 중량 센싱부; 각 조리단계별 조리정보를 포함하는 레시피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레시피 정보를 기초로 상기 히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smart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a cooking vessel; a heating unit that operates to heat the cooking vessel mounted on the support unit; A weight sensing unit that detects weight information of the cooking vessel; A memory unit that stores recipe information including cooking information for each cooking step;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heating unit based on recipe information.

상기 조리정보는 N 번째 조리단계(이하, '제1 조리단계'라 함)에서 수행되는 조리정보(이하, '제1 조리정보'라 함)를 포함한다.The cooking information includes cooking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cooking information') performed in the Nth cooking step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cooking step').

상기 제1 조리정보는, 바로 이전 조리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제1 조리단계를 시작할 때 상기 조리용기에 투입되는 제1 재료의 요구투입중량; 및 상기 제1 조리단계가 수행되는 요구조리시간이 설정되어 있다.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includes: a required input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to be added to the cooking vessel when starting the first cooking step after completion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cooking step; And the required cooking time for performing the first cooking step is se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조리단계에서 상기 조리용기에 투입된 상기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과 상기 요구투입중량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제1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perform a first process of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cooking vessel in the first cooking step and the required input weight.

상기 제1 처리결과, 상기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이 상기 요구투입중량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요구조리시간 대비 더 증가된 조리시간을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으로 재설정하고,As a result of the first processing, if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material is greater than the required input weight, the cooking time increased compared to the required cooking time is reset to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상기 제1 처리결과, 상기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이 상기 요구투입중량보다 더 작을 경우, 상기 요구조리시간 대비 더 감소된 조리시간을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으로 재설정하는 제2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As a result of the first processing, if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material is smaller than the required input weight, a second method for resetting the cooking time further reduced compared to the required cooking time to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It is configured to perform process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조리정보는, 제1 조리단계의 완료시 만족해야하는 중량값인 요구총중량 - 상기 요구총중량은 상기 조리용기에 담겨있는 상기 제1 재료를 포함한 모든 재료들의 총중량임 - 이 더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includes a required total weight, which is a weight value that must be satisfied upon completion of the first cooking step - the required total weight is the total weight of all ingredients including the first ingredient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 It may be set.

상기 경우, 제어부는, 상기 제1 조리단계에서 상기 조리용기에 담겨있는 상기 제1 재료를 포함한 모든 재료들의 실제총중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상기 요구총중량과 비교하는 제3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perform a third process of detecting in real time the actual total weight of all ingredients including the first ingredient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in the first cooking step and comparing it with the required total weight.

상기 제3 처리결과, 상기 제2 처리에서 재설정된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더라도 상기 실제총중량이 상기 요구총중량과 같아지면, 상기 제1 조리단계를 마치고 N+1 번째 조리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As a result of the third processing, if the actual gross weight is equal to the required gross weight even before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reset in the second processing has elapsed, the N+1th cooking step is completed after completing the first cooking step. Controls the cooking stage.

상기 제3 처리결과, 상기 제2 처리에서 재설정된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상기 실제총중량이 상기 요구총중량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을 연장하여 상기 실제총중량이 상기 요구총중량과 같아질 때 상기 제1 조리단계를 마치고 N+1 번째 조리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As a result of the third processing, if the actual gross weight is greater than the required gross weight even after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reset in the second processing has elapsed,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is extended. Thus, when the actual gross weight becomes equal to the required gross weight, the first cooking step is completed and the N+1th cooking step is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조리기기를 위한 레시피 정보 생성 방법은, 1번째 조리단계의 시작시 조리용기에 투입되는 제1 재료의 투입중량, 상기 1번째 조리단계의 완료시 조리용기에 담겨있는 상기 제1 재료를 포함한 모든 재료들의 총중량, 상기 1번째 조리단계의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을 입력받아 1번째 조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The method of generating recipe information for a smart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put into the cooking container at the start of the first cooking step, and the first ingredient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when the first cooking step is completed. Generating first cooking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total weight of all ingredients, including the ingredients, and the cooking temperature an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2번째 조리단계의 시작시 조리용기에 투입되는 제2 재료의 투입중량, 상기 2번째 조리단계의 완료시 조리용기에 담겨있는 상기 제2 재료를 포함한 모든 재료들의 총중량, 상기 2번째 조리단계의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을 입력받아 2번째 조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The weight of the second ingredient added to the cooking vessel at the start of the second cooking stage, the total weight of all ingredients including the second ingredient contained in the cooking vessel upon completion of the second cooking stage, and the cooking of the second cooking stage. Generating second cooking information by receiving temperature and cooking time;

n번째 조리단계의 시작시 조리용기에 투입되는 제n 재료의 투입중량, 상기 n번째 조리단계의 완료시 조리용기에 담겨있는 상기 제n 재료를 포함한 모든 재료들의 총중량, 상기 n번째 조리단계의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을 입력받아 n번째 조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The input weight of the nth ingredient put into the cooking container at the start of the nth cooking step, the total weight of all ingredients including the nth ingredient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at the completion of the nth cooking step, and the cooking of the nth cooking step A step of receiving temperature and cooking time and generating nth cooking information; and

상기 1번째 조리정보, 상기 2번째 조리정보, 및 상기 n번째 조리정보를 취합하여 데이터 테이블 형태의 상기 제1 레시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d collecting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the second cooking information, and the nth cooking information to generate the first recip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data tabl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조리기기에 의하면, 조리되는 재료의 무게를 검지하여 조리온도 및 조리시간 등의 조리과정을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자동 제어할 수 있어 최적의 조리과정을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조리하는 사람에 따라 요리가 달라지는 단점을 개선할 수 있고, 요리 경험이 없는 조리자자들도 항시 재현성 있는 요리를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mart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weight of the ingredients being cooked and automatically control the cooking process, such as cooking temperature and cooking tim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reby supporting an optimal cooking process. Accordingly, the disadvantage of cooking being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ok can be improved, and even cooks without cooking experience can always make reproducible dishes.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조리기기에 의하면, 재료의 무게와 비열은 물론 조리용기의 무게와 비열 등 조리관련 제반 정보를 파악하여, 최적의 요리를 만들기 위한 조리온도 및 조리시간 등을 상황에 따라 자동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mart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cooking-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weight and specific heat of the ingredients as well as the weight and specific heat of the cooking container, are identified, and the cooking temperature and cooking time are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to create optimal dishes. There are advantages to doing this.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조리기기를 위한 레시피 정보 생성 방법에 의하면,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해당 음식의 레시피 정보를 생성할 수 있어, 다수 간에 레시피를 손쉽게 생성 및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generating recipe information for a smart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ipe information for the food can be generated simultaneously during the process of cooking the food, which has the effect of easily creating and sharing recipes among multiple peopl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조리기기를 위한 레시피 정보 생성 방법에 의하면, 요리전문가가 추출한 레시피를 테이블 형태로 공유하거나 유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이러한 전문적인 레시피 정보를 기초로 동작하는 스마트 조리기기를 통해 누구나 손쉽게 최적의 요리를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generating recipe information for a smart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ipes extracted by cooking experts can be shared in table form or provided for a fee, and anyone can use a smart cooking device that operates based on such professional recipe information.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you to easily prepare optimal dishes.

또한, 이러한 레시피 정보는 요리 재료와 양념 등이 바로 요리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밀키트와 연동하여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경우 조리자는 스마트 조리기기가 안내하는 조리 단계에 따라 밀키트로 제공된 재료를 순서대로 투입하면 요리전문가가 만드는 수준의 요리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is recip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a meal kit that provides cooking ingredients and seasonings so that cooking can be done right away, and in this case, the cook sequentially uses the ingredients provided in the meal kit according to the cooking steps guided by the smart cooking devic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prepare dishes that are as good as those made by cooking exper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조리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센싱부의 설치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조리기기의 제1 제어 기능에 따른 처리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조리기기용 레시피 정보의 일례.
도 5는 도 4의 레시피 정보에 대하여 제1,2 보정이 수행된 레시피 정보의 일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조리기기의 제2 제어 기능에 따른 처리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conditions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function of the smart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of recipe information for a smart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of recipe information in which first and second corrections were performed on the recipe information of Figure 4;
Figure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the second control function of the smart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갖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는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대상 부분의 앞 또는 뒤에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on or above” means located above or below the target portion, but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located above the direction of gravity. That is, “on or above” as used herein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located above or below the target part, but also the case of being located in front or behind the target part.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Additionally, when a part of a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or above” another part, this does not only mean that it is in contact with or at a distance “directly on or above” another part, but also that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Also includes cases where there ar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specifically Unless there is a contrary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조리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조리기기는 조리용기(1)를 지지하는 지지부(10), 상기 지지부(10)에 안착되어 있는 조리용기(1)가 가열되도록 동작하는 히팅부, 상기 조리용기(1)의 중량정보를 검출하는 중량 센싱부(40), 조리용기(1)의 온도정보를 검출하는 온도 센싱부(50), 레시피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60), 및 상기 레시피 정보를 기초로 상기 히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smart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art 10 that supports the cooking vessel 1, a heating part that operates to heat the cooking vessel 1 seated on the support part 10, and the A weight sensing unit 40 that detects weight information of the cooking vessel 1, a temperature sensing unit 50 that detects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ooking vessel 1, a memory unit 60 that stores recipe information, and the recipe. It includes a control unit 70 that controls the heating unit based on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조리기기는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기기와 유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미도시),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정보입력수단(미도시), 및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기 위한 정보출력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mart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remote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 information input means (not shown)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outputting the information to the outside. An information output means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to do thi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조리기기는 유도가열방식의 인덕션 레인지 (Induction range)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mart cooking device may include an induction heating type induction range.

이처럼 본 발명의 스마트 조리기기를 유도가열방식의 인덕션 형태로 구성할 경우, 본 발명의 히팅부는 코일(30)을 포함하고, 코일(30)의 동작을 위한 스위칭부(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smart coo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n induction heating type, the he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il 30 and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witching unit 20 for operating the coil 30. there is.

상기 경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소정 크기의 고주파 전압이 코일(30)에 인가되어 코일(30) 주변에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자력선 중심에 무수한 와류전류 (eddy current)가 발생하여 조리용기(1)의 금속재질이 갖는 전기저항에 의해 조리용기(1) 자체가 발열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above case, as power is applied, a high-frequency voltage of a certain magnitude is applied to the coil 30, generating a magnetic field around the coil 30, and at this time, countless eddy currents are generated at the center of the magnetic force line, causing the cooking vessel ( The cooking vessel 1 itself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heat due to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metal material of 1) to enable cooking.

스위칭부(20)는 자기장의 발생을 위해 교류 전류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The switching unit 20 is configured to function to generate alternating current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지지부(10)는 코일(30)과 피가열체(즉, 조리용기(1))를 일정거리로 이격시키면서 동시에 피가열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피가열체로부터 방사되는 전자기파를 투과하도록 구성된다.The support portion 1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heating object while simultaneously spacing the coil 30 and the object to be heated (i.e., the cooking vessel 1) at a certain distance, and transmits electromagnetic waves radiated from the object to be heated. It is configured to do so.

이러한 지지부(10)는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는 피가열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평탄한 상면을 구비할 수 있다. 플레이트는 피가열체로부터 방사되는 전자기파를 투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는 내열성이 우수한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is support 10 may include a plate shaped like a plate. The plate may have a flat upper surface to stably support the object to be heated. The plate can transmit electromagnetic waves radiated from the object to be hea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late may be formed of a glass material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코일(30)은 플레이트의 하측에 구비되고,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코일(30)은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고, 선택적인 전원공급에 따라 플레이트 상면에 안착된 피가열체를 유도가열시킬 수 있다.The coil 3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and can receive power. The coil 30 includes a conductive material and can inductively heat the object to be heated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y selective power supply.

본 발명의 중량 센싱부(40)는 지지부(10)(예컨대, 플레이트) 위에 놓여지는 피가열체 (즉, 조리용기(1))의 중량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The weight sensing uni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detecting weight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be heated (i.e., the cooking container 1) placed on the support portion 10 (e.g., a plate).

또한, 본 발명의 중량 센싱부(40)는 조리용기(1)에 투입되는 재료의 무게 그리고 조리용기(1)에 담겨져 조리 중인 재료의 무게 변화를 검출 하기 위한 장치이다.In addition, the weight sensing uni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ingredients put into the cooking container 1 and the change in the weight of the ingredients being cooked in the cooking container 1.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 센싱부(40)는 힘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변환기로서, 센서표면에 부착한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변화, 또는 로드셀의 변형량을 검출하여 힘 또는 하중의 크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하중계나 하중센서 또는 힘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중량 센싱부는 로드셀(load cell)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eight sensing unit 40 is a transducer for measuring force or load. It detects the change in resistance of a strain gauge attached to the sensor surface or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load cell and converts the size of the force or load into an electrical signal.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oad gauge, load sensor, or force sensor that is converted and transmitted. For example, the weight sensing unit may include a load cell.

상기 경우, 중량 센싱부(40)는 피가열체의 지지부 안착, 및 조리용기(1) 내의 재료 투입 등에 따른 중량 변화량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신호 증폭부에서 증폭한 후, A/D 컨버터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7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eight sensing unit 40 measures the amount of change in weight due to the seating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heating object and the input of ingredients into the cooking vessel 1, amplifies the measured value in the signal amplifier, and then outputs the measured value through the A/D converter. It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70.

본 발명의 온도 센싱부(50)는 조리용기(1)의 온도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센싱부(50)는 코일(30)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피가열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IR)을 센싱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etect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ooking vessel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0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il 30 to measure temperature by sensing infrared rays (IR) radiated from the object to be heated.

예컨대, 온도 센싱부(50)는 수신한 전자기파(IR)의 방사량을 전압 또는 전류로 환산하고, 이에 기반하여 피가열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적외선의 파장은 2 ~ 14㎛ 범위를 갖는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포함한다.For example,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0 may convert the radiation amount of the received electromagnetic wave (IR) into voltage or current and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object to be heated based on this. And, the wavelength of infrared rays includes near infrared rays and far infrared rays having a range of 2 to 14㎛.

한편, 본 발명은 피가열체 또는 조리용기 일부분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하여 최적의 조리를 하고 최적의 조리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지만 인덕션 레인지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NTC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등의 써미스터(Thermistor)나 열전효과를 이용하는 써모커플(Thermocouple) 등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optimal cooking and extraction of optimal cooking information by accuratel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 portion of the heating object or cooking vessel, but uses NTC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and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commonly used in induction ranges. Temperature can also be measured using a thermistor such as Temperature Coefficient or a thermocouple using the thermoelectric effec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센싱부의 설치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conditions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온도 센싱부(50)를 적외선 센서로 구성할 경우, 적외선 센서의 위치는 다음의 조건식 1을 만족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2, when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0 is configured with an infrared sensor, the position of the infrared sensor is preferably installed to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al equation 1.

[조건식 1][Conditional expression 1]

조건식 1에서, 'd'는 피가열체로부터 적외선 센서까지의 거리이고, 'FOV'는 적외선 센서의 화각(Field of view)이고, 'D1'은 원 형태를 가지는 온도 측정 면적의 직경이다. 조건식 1은 FOV/2의 각도를 가지는 삼각형에서 'd'와 'D1/2'가 다음의 관계식 1을 만족하므로 측정하려는 영역의 직경이 'D1'이라 하면 'd'는 조건식 1을 만족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In Conditional Equation 1, 'd' is the distance from the object to be heated to the infrared sensor, 'FOV' is the field of view of the infrared sensor, and 'D1' is the diameter of the temperature measurement area having a circular shape. Conditional Expression 1 is that in a triangle with an angle of FOV/2, 'd' and 'D1/2'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1, so if the diameter of the area to be measured is 'D1', 'd' is set to satisfy conditional expression 1. Should be.

[관계식 1][Relationship 1]

조건식 1에 따를 경우, 적외선 센서의 시야각(FOV)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빈 공간이 되도록 구성한다.According to Condition Equation 1, the space formed by the field of view (FOV) of the infrared sensor is configured to be an empty space.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피가열체는 방사율이 낮으므로 피가열체의 온도측정 영역에 코팅을 하거나 식각을 하여 방사율을 높게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object to be heated made of metal has a low emissivity, so the emissivity can be increased by coating or etching the temperature measurement area of the object to be heated.

본 발명의 메모리부(60)는 레시피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매체이다. 이러한 메모리부(60)에 저장되는 레시피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직접 입력 저장되는 정보일 수 있고, 또는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관리서버 또는 전기전자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되는 정보일 수 있다.The memory unit 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that stores recipe information. The recip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60 may be information directly input and stored by the user through an information input means, or may be information received and stored from a remote management server or electrical/electronic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

메모리부(60)에 저장되는 레시피 정보는 특정 요리를 조리하기 위한 정보로서 N개의 조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N개의 조리단계는 각각 조리정보를 포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Recip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60 is information for cooking a specific dish and includes N cooking steps, and each of the N cooking steps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cooking informa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본 발명의 통신모듈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기기와 레시피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원격지의 기기란 또 다른 스마트 조리기기, 스마트 조리기기 관리서버, 전기전자단말기 등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recipe information with a remote devic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remote device may be another smart cooking device, a smart cooking device management server, an electrical/electronic terminal, etc.

그리고, 상기 스마트 조리기기 관리서버는 스마트 조리기기에 적합한 레시피 정보를 요리전문가가 전문적으로 추출 생성하여 스마트 조리기기의 사용자에게 유/무상으로 제공하는 관리업체의 서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server may be a server of a management company where a cooking expert professionally extracts and generates recipe information suitable for smart cooking appliances and provides it to users of smart cooking appliances for a fee or free of charge.

그리고, 상기 전기전자단말기는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 (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terminals include smart phones, portable terminals, mobile terminal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terminals, and personal computers ( It can be composed of various terminals such as personal computers, laptop computers, slate PCs, tablet PCs, ultrabooks, etc.

통신모듈은 유/무선의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모듈은 제3세대 이동통신(3G) 모듈, 제4세대 이동통신(3G) 모듈을 비롯하여 와이브로(WiBro) 통신모듈,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 등의 원거리 유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거나,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모듈과 같은 근거리 통신모듈로 구성되거나, RS232, RS422, RS485, TCP/IP와 같은 유선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may consist of wired/wireless short-distance or long-distance communication modules.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consists of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the 3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3G) module, the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3G) module, the WiBro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Wifi communication module, or ZigBee. It may be composed of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Zigbee), Bluetooth, and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modules, or may be composed of wired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RS232, RS422, RS485, and TCP/IP.

본 발명의 정보입력수단은 문자, 기호, 숫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컨대 터치 스크린 내지 키보드 타입 입력기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pu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capable of inputting letters, symbols, numbers, etc., and may be configured, for example, as a touch screen or keyboard type input device.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예컨대 레시피 정보의 추출 및 생성을 위한 투입재료명, 재료투입중량, 조리시간, 조리온도 등과 같은 조리관련 제반정보일 수 있다.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means may be, for example, all cooking-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names of input ingredients, weight of ingredients, cooking time, cooking temperature, etc. for extracting and generating recipe information.

정보출력수단은 조리와 관련된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표시부와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means is a component that outputs information related to cooking to the outside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and a notification un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는 요리 정보, 요리 추출상황, 조리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 등을 외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알려줄 수 있도록 문자, 숫자, 기호 등을 표현할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예컨대, LCD, OLED 등)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is an image display device (e.g., LCD, OLED) that can express letters, numbers, symbols, etc. to visually display cooking information, cooking extraction status, and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cooking to the outside. etc.).

알림부는 요리 추출 단계에 맞추어 다음 단계로 넘어가거나 식재료를 투입하도록 음성 내지 소리 등으로 청각적으로 안내해주는 스피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peaker that provides auditory guidance through voice or sound to move to the next step or to add ingredients according to the cooking extraction step.

본 발명의 제어부(70)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레시피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요리의 조리시간, 조리온도 등 조리와 관련된 요소를 자동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요리를 만들 수 있도록 처리하는 장치이다.The control unit 7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controls elements related to cooking, such as cooking time and cooking temperature, based on recipe information stored in memory to create optimal dishes.

이를 위해, 제어부(70)는 스위칭부(20)의 주파수를 조절하고, 중량 센싱부(40), 온도 센싱부(50), 메모리부(60), 정보입력수단, 정보출력수단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이들을 제어하며, 제1 제어 및 제2 제어를 포함하는 제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To this end, the control unit 70 adjusts the frequency of the switching unit 20 and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weight sensing unit 40,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0, the memory unit 60, the information input means, and the information output means. and also controls them, and is configured to perform control functions including first control and second control.

이하에서는, 제어부(70)의 제1 제어 기능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 후 이어서 제2 제어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Below, the first control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70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n the second control function will be described.

(1) 제1 제어 기능(1) First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의 제어부(70)는 레시피 정보와 중량정보를 기초로 최적의 조리 조건으로 조리 과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7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ooking process under optimal cooking conditions based on recipe information and weight informa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어부(70)의 제1 제어 기능은 투입 재료의 무게를 검지하여 최적의 조리시간을 실시간으로 자동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요리의 조리과정을 자동 제어하는 기능이다.Specifically, the first control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7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nction to automatically set the optimal cooking time in real time by detecting the weight of the input ingredients, and automatically control the cooking process of the corresponding dish based on this.

여기서, 상기 '레시피 정보'는 조리자가 목적하는 요리(이하, '제1 요리'라 칭함)를 만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재료의 중량 및 조리시간 등이 설정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정보를 포함한다.Here, the 'recip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piece of cooking information in which the weight and cooking time of at least one ingredient for making the dish desired by the cook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dish') are set.

그리고, 상기 '중량정보'는 사용되는 조리용기(1) 자체의 무게 및 해당 조리용기(1)에 투입된 음식재료의 무게를 포함하고, 더 나아가 조리 중인 음식재료의 무게변화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ight information' includes the weight of the cooking container (1) itself and the weight of the food ingredients put into the cooking container (1), and may further include the change in weight of the food ingredients being cooked. .

구체적으로, 레시피 정보는 복수 개의 조리단계로 구성될 수 있고, 각 조리단계는 해당 조리단계에서 투입되는 재료의 명칭, 요구투입중량, 요구총중량, 조리온도, 요구조리시간 등의 조리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pecifically, recipe information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cooking steps, and each cooking step may include cooking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of the ingredients input in the corresponding cooking step, required input weight, required total weight, cooking temperature, and required cooking time. there is.

여기서, 상기 '요구투입중량'은 바로 이전 조리단계(예컨데, n번째 조리단계)의 완료 후 바로 이어지는 해당 조리단계(예컨데, n+1번째 조리단계)를 시작하는 시점에 해당 조리단계의 진행을 위해 조리용기(1)에 투입되어야 하는 해당 재료의 무게를 의미한다. 즉, 상기 '요구투입중량'은 레시피 정보의 해당 조리단계의 조리정보에 설정되어 있는 해당 재료의 투입요구 무게일 수 있다.Here, the 'required input weight' refers to the progress of the corresponding cooking step at the time of starting the corresponding cooking step (e.g., n+1th cooking step) immediately following completion of the previous cooking step (e.g., nth cooking step). This refers to the weight of the material that must be put into the cooking container (1). In other words, the 'required input weight' may be the required input weight of the corresponding ingredient set in the cook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oking step of the recipe information.

상기 '요구총중량'은 해당 조리단계가 완료되었을 때 해당 조리단계에서 조리용기(1)에 담겨있는 모든 재료들의 총종량이 만족해야 하는 중량값으로서, 이는 레시피 정보의 해당 조리단계의 조리정보에 기설정되어 있다.The 'required total weight' is a weight value that must be satisfied by the total weight of all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1) at the relevant cooking step when the relevant cooking step is completed, which is based on the cooking information of the relevant cooking step in the recipe information. It is set.

환언하면, N 번째 조리단계에서 조리용기(1)에 담겨있는 모든 재료들이 조리된 후 N 번째 조리단계의 조리정보에 설정되어 있는 요구총중량을 만족해야 N 번째 조리단계가 완료되고 다음 조리단계로 넘어가게 된다.In other words, after all th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1) are cooked in the Nth cooking step, the required total weight set in the cooking information of the Nth cooking step must be satisfied to complete the Nth cooking step and proceed to the next cooking step. I will go.

그리고 상기 '조리온도'는 해당 조리단계에서 가해지는 온도 즉, 조리용기에 투입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온도를 의미하고, 상기 '조리시간'은 해당 조리단계를 수행하는 시간을 의미한다.And the 'cooking temperature' refers to the temperature applied in the corresponding cooking step, that is, the temperature for heating the ingredients put into the cooking container, and the 'cooking time' refers to the time for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cooking step.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도 4 예시의 레시피 정보는 총 4개의 조리단계로 구성되고, 각 조리단계에는 조리정보가 포함되어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the recipe information in the example of FIG. 4 consists of a total of four cooking steps, and each cooking step includes cooking information.

구체적으로, 도 4 예시의 레시피 정보에서, 총 4개의 조리단계 중 두 번째 조리단계에서 투입되는 재료는 돼지고기이고, 이때 투입되는 돼지고기의 요구투입중량은 300g이고, 요구총중량은 295g이고, 조리온도는 200℃이며, 조리시간은 3분으로 기설정되어 있다.Specifically, in the recipe information in the example of Figure 4, the ingredient input in the second cooking step out of a total of four cooking steps is pork, the required input weight of pork input at this time is 300g, the required total weight is 295g, and the cooking The temperature is 200℃, and the cooking time is preset to 3 minutes.

이하에서는, 이러한 레시피 정보의 각 조리단계별 조리정보에 설정되어 있는 각 재료의 투입중량을 '요구투입중량'이라 칭하고, 각 조리단계별 조리정보에 설정되어 있는 해당 조리단계의 수행시간을 '요구조리시간'이라 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put weight of each ingredient set in the cooking information for each cooking step of this recipe information is referred to as the 'required input weight', and the execution time of the corresponding cooking step set in the cooking information for each cooking step is referred to as the 'required cooking time'. We decided to call it '.

제어부(70)는 이와 같이 각 조리단계별 조리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해당 재료의 요구투입중량 및 조리용기(1)에 투입된 해당 재료의 실제투입중량의 차이를 반영하여, 해당 재료의 요구조리시간을 보정하고, 이렇게 보정된 요구조리시간에 따라 해당 재료의 조리시간 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70 reflec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quired input weight of the ingredient included in the cooking information for each cooking step and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ingredient put into the cooking container 1, and corrects the required cooking time for the ingredient. And, 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ooking time of the corresponding ingredient according to the corrected required cooking time.

이하에서는, 이처럼 각 조리단계별 조리정보에 있어서, 해당 재료의 요구투입중량과 실제투입중량의 차이를 반영하여 이에 따라 보정된 요구조리시간을 '실제요구조리시간'이라 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e cooking information for each cooking step, the required cooking time corrected by reflec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quired input weight and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corresponding ingredient will be referred to as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즉, 제어부(70)는 기본적으로 메모리부(60)에 저장되어 있는 레시피 정보를 기초로 조리시간 등을 제어하되, 해당 조리단계에서 투입되는 재료의 실제투입중량, 그리고 조리과정에서의 무게변화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레시피 정보에 기록된 조리정보를 실제 조리상황에 맞게 보정한 후, 이에 따라 조리시간 등의 조리과정을 자동 제어함으로써 항시 최적의 조리조건으로 요리를 만들 수 있도록 기능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70 basically controls the cooking time based on the recip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60, but also controls the actual weight of the ingredients input at the relevant cooking stage and the weight change during the cooking process. It tracks in real time, corrects the cooking information recorded in the recipe information to suit the actual cooking situation, and then automatically controls the cooking process, including cooking time, so that dishes can always be prepared under optimal cooking condition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조리기기의 제1 제어 기능에 따른 처리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Figure 3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function of the smart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조리기기는 각 조리단계별 조리정보가 담긴 레시피 정보를 제공 또는 입력받아 메모리부(70)에 저장한다(S10). 그리고, 각 조리단계에 따라 해당 재료가 투입(S20)되면, 이러한 레시피 정보를 기초로 각 조리단계를 제어한다.Referring to Figure 3, the smart coo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r receives recipe information containing cooking information for each cooking step and stores it in the memory unit 70 (S10). Then, when the corresponding ingredients are input according to each cooking step (S20), each cooking step is controlled based on this recipe information.

이때, 본 발명의 제어부(70)는 각 조리단계에서 중량정보를 기반으로 제1 보정(S30)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제2 보정(S40)을 더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7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erform a first correction (S30) based on weight information in each cooking step, and may preferably be configured to further perform a second correction (S4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조리기기용 레시피 정보의 일례이다.Figure 4 is an example of recipe information for a smart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예시의 레시피 정보는 돼지고기볶음 요리를 위한 레시피로서, 총 4개의 조리단계로 구성되고, 각 조리단계에는 해당 단계에 필요한 조리정보로서 투입재료명, 요구투입중량, 요구총중량, 조리온도, 요구조리시간, 제1,2 보정기능 및 알림기능이 설정되어 있다.The recipe information in the example of Figure 4 is a recipe for stir-fried pork, and consists of a total of four cooking steps, and each cooking step includes the cooking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step, including the name of the input material, required input weight, required total weight, cooking temperature, and required cooking information. Cooking time, first and second correction functions, and notification function are set.

이하에서는, 도 4 예시의 레시피 정보 중 두 번째 조리단계(이하, '제1 조리단계'라 칭함)에서 수행되는 조리정보(이하, '제1 조리정보'라 함)를 참조하여, 제어부(70)에 의한 제1 보정 및 제2 보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cooking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cooking information') performed in the second cooking step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cooking step') among the recipe information in the example of FIG. 4, the control unit 70 ) will be described for the first and second corrections.

(a) 제1 보정(S30)(a) First correction (S30)

본 발명의 제1 보정(S30)은 재료의 실제 투입 중량과 레시피 정보에 설정된 요구투입중량 간의 차이를 보정하여 조리 시간을 최적화하기 위한 처리 작업이다.The first correction (S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ing operation to optimize the cooking time by correc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ingredients and the required input weight set in the recipe information.

도 4 예시의 레시피 정보를 참조하면, 제1 조리단계에서 투입되는 재료 즉, 제1 재료는 돼지고기이고, 제1 재료의 요구투입중량은 300g이고, 제1 조리단계의 요구총중량은 295g이며, 제1 조리단계에서 수행되는 조리시간은 3분으로 기설정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recipe information in the example of Figure 4, the ingredients input in the first cooking step, that is, the first ingredient is pork, the required input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is 300g, and the required total weight of the first cooking step is 295g, The cooking time performed in the first cooking step is preset to 3 minutes.

이와 같은 도 4 예시를 기준으로 제1 보정(S3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70)는 제1 조리단계에서 조리용기(1)에 투입된 제1 재료(즉, 돼지고기)의 실제투입중량과 상기 제1 재료(즉, 돼지고기)의 요구투입중량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제1 처리를 수행한다.The first correction (S30)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xample of FIG. 4 as follows. The control unit 70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ie, pork) added to the cooking vessel 1 in the first cooking step and the required input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ie, pork). The first processing is performed.

여기서, 상기 '제1 재료의 요구투입중량'은 레시피 정보의 제1 조리정보에 기설정되어 있는 제1 재료에 요구되는 무게를 의미하고, 상기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은 조리자가 투입한 제1 재료의 실질적인 무게를 의미한다.Here, the 'required input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refers to the weight required for the first ingredient preset in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of the recipe information, and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refers to the weight input by the cook. It refers to the actual weight of one first material.

이러한 제1 처리를 수행한 결과,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이 제1 재료의 요구투입중량과 같을 경우, 제1 조리정보에 기록되어 있는 제1 재료의 요구조리시간을 제1 재료의 실제요구조리시간으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제1 조리단계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As a result of performing this first processing, if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is the same as the required input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the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ingredient recorded in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is changed to the actual requirement of the first ingredient. The cooking time is set and controlled so that the first cooking step is performed accordingly.

제1 처리를 수행한 결과,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이 제1 재료의 요구투입중량보다 더 큰 경우, 제1 조리정보에 기설정되어 있는 제1 조리단계의 요구조리시간 대비 더 증가된 조리시간을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으로 보정하고, 이에 따라 제1 조리단계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processing, if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is greater than the required input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the cooking time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preset in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The time is corrected to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and the first cooking step is controlled to be performed accordingly.

제1 처리를 수행한 결과,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이 제1 재료의 요구투입중량보다 더 작을 경우, 제1 조리정보에 기설정되어 있는 제1 조리단계의 요구조리시간 대비 더 감소된 조리시간을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으로 보정하고, 이에 따라 제1 조리단계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processing, if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is smaller than the required input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the cooking time is further reduced compared to the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preset in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The time is corrected to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and the first cooking step is controlled to be performed according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리단계에서 투입된 제1 재료의 실제무게를 측정하고, 이렇게 투입된 제1 재료의 실제무게가 요구투입중량보다 크면, 해당 요구투입중량 대비 초과된 무게의 비율(이하, '제1 비율'이라 함)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1 조리정보에 기설정되어 있는 요구조리시간 대비 상기 제1 비율만큼 증가된 조리시간을 제1 조리단계의 보정된 요구조리시간(즉, 실제요구조리시간)으로 재설정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ctual weight of the first material added in the first cooking step is measured, and if the actual weight of the first material added is greater than the required input weight, the ratio of the excess weight to the required input weigh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ratio’) is calculated. Then, the cooking time increased by the first ratio compared to the required cooking time preset in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is reset to the corrected required cooking time (i.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반대로, 제1 조리단계에서 투입된 제1 재료의 실제무게를 측정하고, 이렇게 투입된 제1 재료의 실제무게가 제1 조리정보에 설정되어 있는 요구투입중량보다 작으면, 해당 요구투입중량 대비 부족된 무게의 비율(이하, '제2 비율'이라 함)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1 조리정보에 기설정되어 있는 요구조리시간 대비 제2 비율만큼 감소된 조리시간을 제1 조리단계의 보정된 요구조리시간(즉, 실제요구조리시간)으로 재설정한다.Conversely, if the actual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introduced in the first cooking step is measured, and the actual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added in this way is less than the required input weight set in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the weight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required input weight. Calculate the ratio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ratio'). Then, the cooking time reduced by the second ratio compared to the required cooking time preset in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is reset to the corrected required cooking time (i.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예컨대, 도 4,5의 레시피 정보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2번째 조리단계(즉, 제1 조리단계)에서 투입된 돼지고기의 실제 무게가 279g일 경우, 이는 요구투입중량인 300g 대비 93%의 무게에 해당하므로, 제1 조리정보에 기설정되어 있는 조리시간인 3분 대비 해당 비율만큼 감소된 조리시간 즉, 2.79분(3분*0.93=2.79분)을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으로 재설정하게 된다.For example, if explained based on the recipe information in Figures 4 and 5, if the actual weight of pork input in the second cooking step (i.e., first cooking step) is 279g, this is 93% of the required input weight of 300g. Therefore, the cooking time reduced by the corresponding ratio compared to the cooking time of 3 minutes preset in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that is, 2.79 minutes (3 minutes * 0.93 = 2.79 minutes) is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age. It will be reset.

반대로, 2번째 조리단계(즉, 제1 조리단계)에서 투입된 돼지고기의 실제 무게가 345g일 경우, 이는 요구투입중량인 300g 대비 115%의 무게에 해당하므로, 제1 조리정보에 기설정되어 있는 조리시간인 3분 대비 해당 비율만큼 증가된 조리시간 즉, 3.45분(3분*1.15=3.45분)을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으로 재설정하게 된다.Conversely, if the actual weight of the pork input in the second cooking step (i.e., the first cooking step) is 345g, this corresponds to a weight of 115% of the required input weight of 300g, so the amount preset in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The cooking time increased by the corresponding ratio compared to the cooking time of 3 minutes, that is, 3.45 minutes (3 minutes * 1.15 = 3.45 minutes), is reset to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age.

그리고, 도 4 예시의 레시피 정보에서 세 번째 조리단계인 양념 투입단계, 네 번째 조리단계인 야채 투입단계 역시 두 번째 조리단계(즉, 돼지고기 투입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각 조리정보에 기설정되어 있는 요구조리시간에 대하여 전술한 제1 보정(S30)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ecipe information in the example of Figure 4, the third cooking step, the seasoning input step, and the fourth cooking step, the vegetable input step, are also preset in each cooking information in the same way as the second cooking step (i.e., the pork input step). The above-described first correction (S30) may be performed for the required cooking time.

한편, 본 발명의 제어부(70)는 제1 보정(S30) 과정에서 요구총중량도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우, 전술한 제1 처리 결과,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이 요구투입중량보다 더 큰 경우, 제1 조리정보에 기설정되어 있는 제1 조리단계의 요구총중량 대비 더 증가된 중량을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총중량으로 재설정하는 보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7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correct the required gross weight during the first correction (S30). In the above case, as a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first processing, if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material is greater than the required input weight, the weight increased further compared to the required total weight of the first cooking step preset in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is added to the first cooking step. 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correction to reset the actual required total weight of the cooking step.

만약, 전술한 제1 처리 결과,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이 요구투입중량보다 더 작을 경우, 제1 조리정보에 기설정되어 있는 제1 조리단계의 요구총중량 대비 더 감소된 중량을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총중량으로 재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f, as a result of the above-mentioned first processing,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is smaller than the required input weight, the weight reduced further compared to the required total weight of the first cooking step preset in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is used for first cooking. It can be configured to reset to the actual required total weight of the step.

이때, 전술한 요구조리시간의 보정 방식과 마찬가지로, 제1 조리단계의 요구총중량의 증가분(또는 감소분)은 해당 요구투입중량 대비 초과된 무게(또는 감소된 무게)의 비율을 계산하여 그 비율만큼 제1 조리단계의 요구총중량을 증가(또는 감소)시키는 보정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similar to the method of correcting the required cooking time described above,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required total weight of the first cooking stage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ratio of the excess weight (or decreased weight) to the required input weight and adjusting the amount by that ratio. 1 It can be configured to make corrections that increase (or decrease) the total weight required for the cooking step.

(b) 제2 보정(S40)(b) Second correction (S40)

전술한 제1 보정(S30)을 통해 각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을 최적화하더라도, 각각 상이한 조리자 내지 조리환경에 따라 최적화 조리시간이 미세하게 달라질 수 있다.Even if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for each cooking step is optimiz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first correction (S30), the optimized cooking time may vary slightly depending on different cooks or cooking environments.

본 발명에 따른 제2 보정(S40)은 각 조리단계에서 조리 후 재료의 무게변화를 추적하여 이처럼 다양한 조리상황 내지 주변환경 요인을 반영한 최상의 조리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처리 작업이다.The second correction (S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ing operation for determining the best cooking time that reflects various cooking situations or environmental factors by tracking the change in weight of the ingredients after cooking in each cooking stage.

제어부(70)는 제1 조리단계에서 조리용기(1)에 담겨있는 제1 재료를 포함한 모든 재료들의 실제총중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1 조리정보에 설정되어 있는 제1 조리단계의 요구총중량과 비교하는 제3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70 detects in real time the actual total weight of all ingredients, including the first ingredient,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1 in the first cooking stage, and calculates the required total weight of the first cooking stage set in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and and configured to perform a third processing of comparison.

그리고, 상기 제3 처리결과, 전술한 제2 처리에서 설정된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더라도 실제총중량이 요구총중량과 같아지면, 제1 조리단계를 마치고 N+1 번째 조리단계(도 4의 경우 세 번째 조리단계인 양념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And, as a result of the third processing, if the actual gross weight becomes equal to the required gross weight even before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set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processing has elapsed, the first cooking step is completed and the N+1th cooking step is performed. (In the case of FIG. 4, the third cooking step, the seasoning step, is controlled to proceed).

만약, 전술한 제2 처리에서 설정된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이 경과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실제총중량이 요구총중량보다 큰 경우,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을 연장하여 실제총중량이 요구총중량과 같아질 때 제1 조리단계를 마치고 N+1 번째 조리단계(도 4의 경우 세 번째 조리단계 양념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If the actual required gross weight is still greater than the required gross weight even though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set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processing has elapsed,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is extended so that the actual gross weight becomes the required gross weight. When it becomes equal to , the first cooking step is completed and the N+1th cooking step (in the case of FIG. 4, the third cooking step and seasoning step) is controlled to proceed.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조리단계가 완료될 때마다 해당 조리단계가 끝났음을 정보출력수단을 통해 외부에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안내하여 조리자가 정확한 시간에 다음 재료를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ever each cooking step is completed, it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visual or auditory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rough an information output means that the cooking step has ended, so that the cook can add the next ingredient at the correct time.

한편, 이러한 조리단계 알림 기능은 사용자가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각 조리단계별 알림 여부의 On/Off 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is cooking stage notification function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On/Off of notification for each cooking stage through an information input means.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보정(S30) 및 제2 보정(S40)은 사용자 임의로 활성화(On) 또는 비활성화(Off)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우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제1 보정(S30) 기능의 On/Off, 및 제2 보정(S40) 기능의 On/Off 를 각각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correction (S30) and the second correction (S40)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figured to be activated (On) or deactivated (Off) at the user's discretion. In this case, the first correction (S30) function is activate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means. It can be configured to select On/Off of and On/Off of the second correction (S40) function, respectively.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보정(S40)은 각 조리단계별 조리정보에 설정된 요구총중량과 조리용기(1)에 담겨있는 재료들의 조리과정 중 실제총중량을 비교하여, 해당 조리단계의 완료 내지 연장 여부를 결정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rrection (S40) compares the required total weight set in the cooking information for each cooking step with the actual total weight during the cooking process of th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1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cooking step is completed or extended. decide

이때, 완료 내지 연장 여부의 기준이 되는 상기 '요구총중량'은 레시피 정보에 기설정되어 있는 조리정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요구총중량'은 제1 보정(S30) 과정에서 보정되어 재설정된 요구총중량 즉, 실제요구총중량일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required total weight', which is the standard for completion or extension, can use the cooking information preset in the recipe information. Or, as another example, the 'required gross weight' may be the required gross weight corrected and reset during the first correction (S30), that is, the actual required gross weight.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제어부(70)는 제1 보정(S30) 과정에서 요구총중량도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경우, 제1 처리 결과,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이 요구투입중량보다 더 큰 경우, 제1 조리정보에 기설정되어 있는 제1 조리단계의 요구총중량 대비 더 증가된 중량을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총중량으로 재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처리 결과,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이 요구투입중량보다 더 작을 경우, 제1 조리정보에 기설정되어 있는 제1 조리단계의 요구총중량 대비 더 감소된 중량을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총중량으로 재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control unit 7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correct the required total weight during the first correction (S30). In this case, as a result of the first processing,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material is greater than the required input weight. If it is larger, it may be configured to reset the increased weight compared to the required total weight of the first cooking step preset in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to the actual required total weight of the first cooking step. Conversely, as a result of the first processing, if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is smaller than the required input weight, a further reduced weight compared to the required total weight of the first cooking step preset in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is added to the first cooking step. It can be configured to reset to the actual required gross weight.

도 5는 도 4의 레시피 정보에 대하여 제1,2 보정이 수행된 레시피 정보의 일례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4 예시의 레시피 정보에 있어서 두 번째 조리단계에 대한 제1 보정(S30)이 수행된 레시피 정보의 일례이다.FIG. 5 is an example of recipe information in which first and second corrections were performed on the recipe information of FIG. 4. Specifically, in the recipe information of FIG. 4, the first correction (S30) for the second cooking step was performed. This is an example of recipe information.

제1 예시를 들면, 2번째 조리단계(즉, 제1 조리단계)에서 투입된 돼지고기의 실제 무게가 345g일 경우, 이는 요구투입중량인 300g 대비 115%의 무게에 해당하므로, 제1 조리정보에 기설정되어 있는 조리시간인 3분 대비 해당 비율만큼 증가된 조리시간 즉, 3.45분(3분*1.15=3.45분)을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으로 재설정하게 된다.For the first example, if the actual weight of the pork input in the second cooking step (i.e., the first cooking step) is 345g, this corresponds to a weight of 115% of the required input weight of 300g, so it is included in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The cooking time increased by the corresponding ratio compared to the preset cooking time of 3 minutes, that is, 3.45 minutes (3 minutes * 1.15 = 3.45 minutes), is reset as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for the first cooking stage.

상기 제1 예시에 따를 경우, 도 5의 레시피 정보는 도 4 레시피 정보의 두 번째 조리단계(돼지고기 투입단계)에 있어서, 전술한 제1 보정(S30) 처리에 따라 요구총중량이 295g에서 339.25g(295g*1.15=33.29g)으로 보정되었고, 요구조리시간이 3분에서 3.45분(3분*1.15=3.45분)으로 재설정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According to the first example, the recipe information in FIG. 5 has a required total weight of 295 g to 339.25 g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irst correction (S30) process in the second cooking step (pork input step) of the recipe information in FIG. 4. It was corrected to (295g*1.15=33.29g), and the required cooking time was reset from 3 minutes to 3.45 minutes (3 minutes*1.15=3.45 minutes).

즉, 도 5 예시의 레시피 정보는 전술한 제1 보정(S30)에 의해, 도 4의 레시피 정보에 기설정되어 있는 두 번째 조리단계의 요구조리시간 3분이 보정된 요구조리시간(즉, 실제요구조리시간) 3.45분으로 재설정된 것이고, 요구총중량 295g이 보정된 요구총중량(즉, 실제요구총중량) 339.25g으로 재설정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That is, the recipe information in the example of FIG. 5 is the required cooking time (i.e., the actual demand) corrected by the 3 minutes of required cooking time for the second cooking step preset in the recipe information of FIG. 4 by the above-described first correction (S30). Cooking time) was reset to 3.45 minutes, and the required total weight of 295g was reset to the corrected required total weight (i.e., actual required total weight) of 339.25g.

전술한 제1 보정(S30) 및 제2 보정(S40)을 거치면서 N 번째 조리단계(도 3의 경우 2번째 조리단계)가 완료되면, 다음 조리단계인 N+1 번째 조리단계(도 3의 경우 3번째 조리단계)(S50)부터 마지막 조리단계(도 4의 경우 3번째 조리단계)까지, N 번째 조리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진행하면 목적하는 요리(도 3의 경우 돼지고기볶음 요리)가 완성된다.When the Nth cooking step (2nd cooking step in FIG. 3) is comple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first correction (S30) and second correction (S40), the next cooking step, the N+1th cooking step (in FIG. 3), is completed. If you proceed sequentially in the same manner as the Nth cooking step, from the 3rd cooking step (S50) to the last cooking step (3rd cooking step in the case of Figure 4), the desired dish (stir-fried pork dish in the case of Figure 3) is completed.

(2) 제2 제어 기능(2) Second control function

제어부(70)의 제2 제어 기능은 레시피 정보에 설정된 조리온도와 최대한 동일한 온도로 재료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조리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의미한다.The second control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70 refers to a function that heats the ingredients to the same temperature as possible as the cooking temperature set in the recipe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cooking temperature to be kept constant.

참고로, 최적의 요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전술한 레시피 정보의 조리정보에 설정된 조리온도에 도달 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즉, 해당 조리단계에서의 실제 가열온도(실측정온도)와 조리정보의 각 조리단계에 설정된 조리온도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For reference, in order to make optimal cooking, the cooking temperature set in the cooking information of the above-mentioned recipe information must be reached and maintained constant. In other words, it must be possible to minim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heating temperature (actual measured temperature) at the relevant cooking step and the cooking temperature set for each cooking step in the cooking information.

그러나, 실제 요리 과정을 살펴보면, 실제 조리온도와 레시피 정보에 설정된 조리온도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외란 등의 이유로 일정한 조리온도를 유지하지 못하는게 일반적이다.However, looking at the actual cooking process, it is common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cooking temperature and the cooking temperature set in the recipe information, and it is common that a constant cooking temperature cannot be maintained due to disturbances or other reasons.

이는 종래 조리기기는 가열온도를 제어함에 있어서 열원의 온(On)/오프(Off) 만으로 제어하거나, 설령 PID 제어를 하더라도 조리용기의 무게 및 재료의 무게 변화 등과 상관없이 일정한 PID 상수 Kp, Ki, Kd 를 사용하기 때문이다.This means that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s control the heating temperature only by turning the heat source on/off, or even with PID control, the PID constants Kp, Ki, and This is because Kd is used.

본 발명의 제어부(70)의 제2 제어 기능은 이처럼 스마트 조리기기가 레시피 정보에 설정된 조리온도와 최대한 동일한 온도로 재료를 가열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조리온도를 최대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 항시 최적의 요리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을 제시한다.The second control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7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mart cooking device to heat ingredients to the same temperature as possible as the cooking temperature set in the recipe information, and can also control the cooking temperature to be kept as constant as possible. We provide support methods to help you create optimal dishes at all time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조리기기의 제2 제어 기능에 따른 처리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Figure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the second control function of the smart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제어는 PID 제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PID 제어(비례·적분·미분 제어)를 이용한 온도제어 즉, 조리온도 제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6, the second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ID control. Temperature control using the PID control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cooking temperature contro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PID 제어는 기본적으로 피드백(feedback)제어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제어하고자 하는 온도(temp)의 실제값(output)을 측정하여 이를 목표값(Set Point)과 비교하여 온도(temp)의 오차(error)값을 계산하고, 이 오차값을 이용하여 제어에 필요한 제어값, 즉 출력전력(W)을 계산한다.PID control basically has a form of feedback control. It measures the actual value (output) of the temperature (temp) to be controlled, compares it with the target value (Set Point), and sets the error of the temperature (temp). ) value, and use this error value to calculate the control value required for control, that is, output power (W).

표준적인 형태의 PID 제어기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비례항, 적분항 및 미분항을 더하여 제어값 즉, 출력전력(W)을 계산하도록 이루어져 있다.The standard PID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alculate the control value, that is, output power (W), by adding the proportional term, integral term, and differential term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수학식 1에서, W(t): 시간에 따른 출력전력, err_temp(t): 온도 오차 , t: 시간)(In Equation 1, W(t): output power over time, err_temp(t): temperature error, t: time)

수학식 1에서, "err_temp(t)"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Equation 1, “err_temp(t)” is specifically explained as follows.

수학식 1의 "err_temp(t)"는 시간에 따른 온도 오차로서, 설정온도와 실제온도의 오차 즉, 차이값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온도는 레시피 정보에 있어서 각 조리단계별 조리정보에 설정된 조리온도를 의미한다. 예컨대, 도 4 예시의 경우, 레시피 정보의 1번째 조리단계에 설정된 200℃, 2번째 조리단계에 설정된 200℃, 3번째 조리단계에 설정된 150℃가 상기 설정온도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실제온도는 해당 조리단계에서 실질적으로 가해지고 있는 현재의 가열온도를 의미한다.“err_temp(t)” in Equation 1 is the temperature error over time and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t temperature and the actual temperature. Here, the set temperature refers to the cooking temperature set in the cooking information for each cooking step in the recipe information. For example, in the example of FIG. 4, 200°C set in the first cooking stage of the recipe information, 200°C set in the second cooking stage, and 150°C set in the third cooking stage correspond to the set temperatures. And, the actual temperature refers to the current heating temperature actually applied in the relevant cooking step.

따라서, 레시피 정보의 제1 조리단계에 제1 조리온도가 설정되어 있다면, "err_temp(t)"는 제1 조리단계를 진행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리온도와 실제온도 간의 오차(차이값)을 의미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first cooking temperature is set in the first cooking step of the recipe information, "err_temp(t)" means the error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irst cooking temperature and the actual temperature when proceeding with the first cooking step. can do.

수학식 1에서, 세 개의 항들은 각각 오차값의 비례(proportional), 오차값의 적분(integral), 오차값의 미분(derivative)을 반영하므로 비례·적분·미분 제어(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라고 하며, 각 항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In Equation 1, the three terms reflect the proportional, integral, and derivative of the error value, respectively, so they are proportional , integral , and derivative control. and the meaning of each term is as follows.

비례항은 현재 상태에서의 오차값의 크기에 비례한 제어작용을 하고, 적분항은 정상상태(steady-state) 오차를 없애는 기능을 하며, 미분항은 실제값의 급격한 변화에 제동을 걸어 오버슛(overshoot)을 줄이고 안정성(stability)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proportional term acts as a control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error value in the current state, the integral term functions to eliminate steady-state errors, and the differential term acts as a brake on sudden changes in the actual value to prevent overshoot ( It plays a role in reducing overshoot and improving stability.

(a) 비례 제어(Proportional control)(a) Proportional control

비례 제어(P)는 목표값과 실제값의 편차를 비교해서 편차가 크면 조작량을 크게하고, 편차가 작으면 조작량이 점차 줄어드는 제어 방식이다.Proportional control (P) is a control method that compares the deviation between the target value and the actual value and increases the manipulated amount when the deviation is large, and gradually reduces the manipulated amount when the deviation is small.

비례제어 요소 'Kp'값을 크게하면 편차에 따른 조작량을 커서 빠르게 목표값에 도달하지만 오버슈트(overshoot)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Kp'가 작으면 편차에 따른 조작량을 작게하므로 오버슈트가 발생하지 않지만 목표값에 천천히 도달하게 된다. 비례제어는 실제값이 목표값에 거의 비슷하게 접근하지만 잔류편차가 남는 문제점이 있다.Increasing the value of the proportional control element 'Kp' increases the manipul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deviation and quickly reaches the target value, but overshoot may occur. Conversely, if 'Kp' is small, the manipul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deviation is small, so overshoot does not occur, but the target value is reached slowly. Proportional control has the problem that the actual value approaches the target value almost closely, but residual deviation remains.

즉, 비례 제어(P)는 목표값에 접근할 수 있지만, 실제값과 목표값 간의 오차(편차)는 '0'이 될 수 없는 특성이 있다.In other words, proportional control (P) can approach the target value, but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error (deviation) between the actual value and the target value cannot be '0'.

(b) 적분 제어(Integral control)(b) Integral control

적분 제어(I)는 비례제어(P)의 문제점인 잔류편차를 없애기 위한 동작으로서, 누적되는 잔류편차를 시간으로 적분하여 목표값에 좀 더 정밀하게 접근하도록 제어한다.Integral control (I) is an operation to eliminate residual deviation, which is a problem of proportional control (P). It integrates the accumulated residual deviation over time and controls it to approach the target value more precisely.

적분 제어(I)의 가장 큰 문제점은 외란이 발생하면 반응속도가 너무 느리다는 것이다. 이는, 적분 제어(I)는 외란이 발생한 경우, PI제어(비례·적분 제어)의 편차를 시간 경과로 측정하기 때문에 원래의 값으로 복원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The biggest problem with integral control (I) is that the reaction speed is too slow when a disturbance occurs. This is because integral control (I) measures the deviation of PI control (proportional / integral control) over time when a disturbance occurs, so it takes time to restore the original value.

즉, 적분 제어(I)는 좀 더 정밀하게 목표값에 가깝게 하도록 하기 위해서 조작량 변화 즉, 편차에 대한 조작량의 변화를 미세하게 해뒀기 때문에 갑자기 외란에 의해서 제어량이 갑자기 크게 변해도 조작량 변화가 미세하기 때문에 외란 신호를 다시 목표값의 근처로 가져오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in integral control (I), the change in the manipulated quantity, that is, the change in the manipulated quantity for the deviation, is made minute in order to get closer to the target value with more precision, so even if the control quantity suddenly changes significantly due to a sudden disturbance, the change in the manipulated quantity is minute.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bring the disturbance signal back to the vicinity of the target value.

(c) 미분 제어(Derivative action)(c) Derivative action

미분 제어(D)는 편차의 변화율에 상응하는 조작량을 연산하여 실제값의 급격한 변화에 제동을 걸어 편차의 변화를 억제하고 오버슛(overshoot)을 줄여주는 동작을 한다.Differential control (D) operates to suppress changes in deviation and reduce overshoot by calculating a manipulation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rate of change of deviation and applying the brakes to sudden changes in the actual value.

따라서, 미분 제어(D)가 있으면 갑자기 외란이 일어나더라도 외란과 목표값의 오차를 비교해서 빠르게 다시 안정화시킬 수 있다. Therefore, with differential control (D), even if a disturbance suddenly occurs, it can be quickly stabilized again by comparing the error between the disturbance and the target value.

미분제어 요소인 'Kd' 값이 크면 클수록 가장 먼저 안정화시키는 시간이 축소되기 때문에 정착시간을 감소시키지만, 정상상태에서는 미분 제어(D) 보다는 PI제어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정상상태 오차 변화는 거의 없다.The larger the value of 'Kd', which is the differential control element, the faster the stabilization time is, which reduces the settling time. However, in the steady state, the influence of PI control is greater than that of differential control (D), so there is little change in steady-state error.

한편, 열량과 전기 에너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t and electrical energy is explained as follows.

1 칼로리(cal)는 비열이 '1'인 '1g'의 물의 온도를 1℃ 올리는데 필요한 에너지이며,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1 calorie (cal) is the energy required to raise the temperature of '1g' of water with a specific heat of '1' by 1℃, and can be expressed as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Equation 2]

Q(cal) = C × M(g) × Δt(℃)Q(cal) = C × M(g) × Δt(℃)

(수학식 2에서, C: 비열, M: 무게, Δt: 온도차)(In Equation 2, C: specific heat, M: weight, Δt: temperature difference)

그리고, 1 줄(J)은 1 와트의 전력을 1초간 사용하면 나오는 에너지이고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And, 1 joule (J) is the energy produced when 1 watt of power is used for 1 second, and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3 below.

[수학식 3][Equation 3]

에너지(J) = 전력(W) × 시간(sec)Energy (J) = Power (W) × Time (sec)

그리고, PID 제어식(즉, 수학식 1)의 비례제어(P) 항을 수학식 3에 반영하면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And, if the proportional control (P) term of the PID control equation (i.e., equation 1) is reflected in equation 3, it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4 below.

[수학식 4][Equation 4]

Joule = Watt * time = Kp·err_temp(t)·timeJoule = Watt * time = Kp·err_temp(t)·time

그리고, 칼로리(Calorie)는 온도가 다른 물체 사이에 전해지는 에너지의 양 즉, 열량을 나타내고 줄(Joule)은 전기 에너지로 "1 Calorie = 4.2 Joule"의 관계에 있으므로, 수학식 4는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In addition, Calorie represents the amount of energy transferred between objects of different temperatures, that is, the amount of heat, and Joule is electrical energy, and has the relationship of "1 Calorie = 4.2 Joule", so Equation 4 is the following equation. The same relationship as equation 5 is established.

[수학식 5][Equation 5]

Q(cal) = 4.2 Joule = 4.2 Kp·err_temp(t)·timeQ(cal) = 4.2 Joule = 4.2 Kp·err_temp(t)·time

그리고, 수학식 2와 수학식 5에 의해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And, by Equation 2 and Equation 5, the relationship shown in Equation 6 below is established.

[수학식 6][Equation 6]

Q(cal) = C × M(g) × Δt(℃) = 4.2 Kp·err_temp(t)·timeQ(cal) = C × M(g) × Δt(℃) = 4.2 Kp·err_temp(t)·time

(수학식 6에서, C: 비열, M: 무게, Δt: 온도차)(In Equation 6, C: specific heat, M: weight, Δt: temperature difference)

수학식 6에 나타나듯이, PID 제어식(즉, 수학식 1)의 비례제어(P) 항의 비례상수 'Kp'는 다음의 수학식 7의 관계 즉, 비열(C)과 무게(M)의 시간(t)에 따른 변화량과 비례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Equation 6, the proportionality constant 'Kp' of the proportional control (P) term of the PID control equation (i.e., Equation 1) is the relationship of the following Equation 7, that is, the time between specific heat (C) and weight (M) (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the amount of change according to t).

[수학식 7][Equation 7]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6에 따른 관계식을 적분제어(I)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열량을 구하는 식과 비교하면, PID 제어식(즉, 수학식 1)의 적분제어(I) 항의 적분제어 요소 'Ki'는 다음의 수학식 8의 관계 즉, 비열(C)과 무게(M)의 시간(t)에 따른 변화량과 비례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And, when compared with the equation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heat by applying the relational expressions according to Equations 1 to 6 as described above to the integral control (I), the integral control (I) term of the PID control equation (i.e., Equation 1) It can be seen that the integral control element 'Ki' is proportional to the change in specific heat (C) and weight (M) over time (t) in the relationship of Equation 8 below.

[수학식 8][Equation 8]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6의 관계식을 미분제어(D)에 적용하여 열량을 구하는 식과 비교하면, PID 제어식(즉, 수학식 1)의 미분제어 (D) 항의 미분제어 요소 'Kd' 역시 다음의 수학식 9의 관계 즉, 비열(C)과 무게(M)의 시간(t)에 따른 변화량과 비례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And, when compared with the equation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heat by applying the relational expressions of Equation 1 to Equation 6 as described above to differential control (D), the differential control element of the differential control (D) term of the PID control equation (i.e., Equation 1) It can be seen that 'Kd' is also proportional to the relationship of Equation 9 below, that is, the amount of change in specific heat (C) and weight (M) over time (t).

[수학식 9][Equation 9]

결국, PID 제어에 있어서 비례제어 상수 'Kp', 적분제어 상수 'Ki', 및 미분제어 상수 'Kd'는 모두 비열과 무게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과 비례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e end, it can be seen that in PID control, the proportional control constant 'Kp', the integral control constant 'Ki', and the differential control constant 'Kd' are all proportional to the change in specific heat and weight over time.

한편, 이러한 PID 제어를 음식의 가열 조리에 적용하게 되면, 조리용기(1)의 무게와 비열 그리고 투입재료의 무게와 비열이 PID 상수 "Kp, Ki, Kd"와 관련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is PID control is applied to heating and cooking food, the weight and specific heat of the cooking vessel 1 and the weight and specific heat of the input material act as factors related to the PID constants "Kp, Ki, Kd".

이때, 조리용기(1)는 조리의 시작시부터 완료시까지 무게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나, 투입재료의 경우 가열조리 과정에서 그 무게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조리되는 재료를 최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에너지를 산출하려면 조리용기(1) 및 재료의 무게에 따라 바뀌는 PID 상수 "Kp, Ki, Kd" 의 값을 정확히 설정해 주어야 한다.At this time, the weight of the cooking container 1 does not change from the start of cooking to the completion of cooking, but the weight of the input ingredients changes during the heating and cooking process. Therefore, in order to calculate the electrical energy for optimally heating the ingredients being cooked, the values of the PID constants "Kp, Ki, Kd" that change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cooking vessel 1 and the ingredients must be accurately set.

여기서, "재료를 최적으로 가열함"이란 레시피 정보의 각 조리단계마다 설정된 조리온도로 가열하고 또한 이러한 설정 조리온도를 유지하면서 조리를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optimally heating the ingredients” means heating to the cooking temperature set for each cooking step in the recipe information and proceeding with cooking while maintaining this set cooking temperature.

전술한 바와 같이, 음식을 가열 조리함에 있어서 최적의 조리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PID 제어를 적용할 경우, 조리용기(1)의 무게와 비열 그리고 해당 조리용기(1)에 투입된 후 요리가 진행됨에 따라 변화하는 재료 무게와 비열을 반영하여 PID 상수 "Kp, Ki, Kd"를 설정해 주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PID control is applied to maintain the optimal cooking temperature when heating and cooking food, the weight and specific heat of the cooking vessel (1) and the cooking progress after being placed in the cooking vessel (1). PID constants "Kp, Ki, Kd" must be set to reflect the changing material weight and specific heat.

따라서, 제어부(70)는 이처럼 조리용기(1)에 투입된 재료의 조리진행에 따른 무게 변화량과 비열, 그리고 현재 조리중인 재료가 담겨있는 해당 조리용기(1)의 무게와 비열을 반영하여 PID 상수 "Kp, Ki, Kd"를 산출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PID 상수 "Kp, Ki, Kd" 는 전술한 수학식 6 내지 수학식 9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70 reflects the weight change and specific heat of the ingredients put into the cooking vessel 1 as the cooking progresses, and the weight and specific heat of the cooking vessel 1 containing the ingredients currently being cooked, and sets the PID constant. It is configured to perform processing to calculate “Kp, Ki, Kd”. At this time, the PID constants “Kp, Ki, Kd” can be calculated using Equations 6 to 9 described above.

그리고, 제어부(70)는 이에 따라 산출된 PID 상수 "Kp, Ki, Kd"를 바탕으로 현재 조리 중인 재료를 최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에너지 즉, 출력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And, the control unit 70 can calculate the electrical energy, that is, the output power, for optimally heating the ingredients currently being cooked based on the calculated PID constants “Kp, Ki, Kd.”

예컨대, 레시피 정보의 조리정보는 N 번째 조리단계(이하, '제1 조리단계'라 함)에서 수행되는 조리정보(이하, '제1 조리정보'라 함)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 조리정보는 상기 제1 조리단계에서 상기 조리용기에 투입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온도(이하, '제1 조리온도'라 함)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For example, the cooking information of the recipe information includes cooking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cooking information') performed in the Nth cooking step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cooking step'), and the first cooking step includes cooking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cooking information'). The information assumes that a temperature for heating the ingredients put into the cooking vessel in the first cooking step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cooking temperature') is set.

상기 경우, 제어부(70)는 제1 조리단계에서 제1 조리온도의 제어를 위한 제1'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70 is configured to perform a 'first' process for controlling the first cooking temperature in the first cooking step.

상기 제1' 처리는, 조리용기(1)의 무게와 비열,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1)에 투입된 재료의 무게 변화와 비열을 각각 검출(S100,S110)한 후, 전술한 수학식 6 내지 수학식 9를 이용하여 수학식 1의 "Kp, Ki, Kd"의 값을 산출 및 설정(S120)하는 제1a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first' process detects (S100, S110) the weight and specific heat of the cooking container (1), and the weight change and specific heat of the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cooking container (1), respectively, and then performs the above-mentioned equations 6 to 12. It includes performing a first process of calculating and setting the values of “Kp, Ki, Kd” in Equation 1 using Equation 9 (S120).

그리고, 상기 제1' 처리는, 상기 제1 조리단계에서 상기 제1 조리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a 처리에 따른 "Kp, Ki, Kd" 값이 설정된 수학식 1에 기초하여 히팅부를 제어하는 제1b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And, the first 'process controls the heating unit based on Equation 1 in which the "Kp, Ki, Kd" values according to the first a process are set so that the first cooking temperature can be maintained in the first cooking step. It includes performing the 1b process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b 처리는 상기 제1a 처리에 따른 수학식 1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리온도의 유지에 필요한 코일(30)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S130). 상기 경우, 상기 제1b 처리는 스위칭부(20)를 제어하여 코일(30)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140).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1b process may determine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coil 30 necessary to maintain the first cooking temperature based on Equation 1 according to the 1a process (S130). In this case, the 1b process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switching unit 20 to adjust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coil 30 (S1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마트 조리기기가 유도가열방식의 인덕션 레인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경우, 제어부(70)는 설정온도의 가열 및 유지를 위한 코일(30)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mart coo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duction range of the induction heating method, an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70 determines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coil 30 for heating and maintaining the set temperature. It is configured to perform processing.

여기서, 상기 '설정온도'란 레시피 정보에 설정된 조리온도를 의미하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시피 정보에 기록된 각 조리단계의 조리정보에 설정되어 있는 조리온도일 수 있다.Here, the 'set temperature' refers to the cooking temperature set in the recipe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may be the cooking temperature set in the cooking information of each cooking step recorded in the recipe information.

그리고, 제어부(70)는 이와 같이 결정된 공진 주파수로 해당 코일(30)이 작동하여 이에 따른 자기장을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70)는 스위칭부(20)를 제어하여 코일(30)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Then,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coil 30 to operate at the determined resonance frequency and generate a corresponding magnetic fiel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70 may control the switching unit 20 to adjust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coil 30.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조리과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조리재료를 최적으로 가열하고 설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PID 상수 "Kp, Ki, Kd"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해당 조리용기(1)의 무게와 비열에 대한 정보, 그리고 해당 조리용기(1)에 투입되는 재료의 무게와 비열, 조리과정의 진행에 따른 무게 변화량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alculate the PID constants "Kp, Ki, Kd" for optimally heating the cooking ingredients and maintaining the set temperature during the cooking process, the weight and specific heat of the cooking vessel (1) Information on the weight and specific heat of the ingredients put into the cooking vessel (1) and the amount of change in weight as the cooking process progresses are need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용기(1)의 무게와 비열, 그리고 해당 조리용기(1)에 투입되는 각 재료의 무게와 비열에 대한 정보는 레시피 정보에 기록되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formation on the weight and specific heat of the cooking vessel 1 and the weight and specific heat of each ingredient added to the cooking vessel 1 may be recorded and provided in recipe information.

상기 경우, 레시피 정보에는 해당 조리용기(1)의 무게 및 비열, 그리고 각 조리단계별 조리정보에서 해당 조리단계에서 투입되는 재료의 비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cip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weight and specific heat of the cooking vessel 1, and the specific heat of the ingredients added in the cooking step in the cooking information for each cooking step.

따라서, 제어부(70)는 이러한 레시피 정보를 참조하여 각 조리단계에서 투입되는 재료의 비열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70 can refer to this recipe information to obtain specific heat information of the ingredients added in each cooking step.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용기(1)의 무게와 비열, 그리고 해당 조리용기(1)에 투입되는 재료의 무게와 비열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formation on the weight and specific heat of the cooking vessel 1 and the weight and specific heat of ingredients input into the cooking vessel 1 may be provided by directly input by the user.

상기 경우, 조리용기(1)의 무게 및 재료의 무게는 예컨대 사용자가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각 조리단계의 시작 명령이 입력(예컨대, 시작 버튼 누름)되면, 제어부(70)가 스마트 조리기기에 구비된 중량 센싱부(40)를 통해 해당 지지부 위에 놓은 조리용기(1)의 무게, 해당 조리용기(1)에 투입되는 재료의 무게, 그리고 조리과정에서 변하는 재료 무게를 직접 측정할 수 있다.In the above case, the weight of the cooking vessel 1 and the weight of the ingredients are determined by,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a command to start each cooking step through an information input means (e.g., by pressing the start button), the control unit 70 is provided in the smart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weight sensing unit 40, it is possible to directly measure the weight of the cooking vessel (1) placed on the support unit, the weight of the ingredients put into the cooking vessel (1), and the weight of the ingredients that change during the cooking process.

마찬가지로, 조리용기(1)의 비열 및 투입재료의 비열에 대한 정보 역시 사용자가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해당 조리단계에서 직접 입력 제공할 수도 있다.Likewise, information on the specific heat of the cooking vessel 1 and the specific heat of the input ingredients may also be input directly by the user at the relevant cooking stage through an information input mean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70)의 제2 제어에 따르면, 조리용기(1)의 무게와 비열은 물론 재료의 무게, 비열 및 조리진행에 따른 재료의 무게 변화를 모두 고려하여 PID 상수 "Kp, Ki, Kd"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레시피 정보의 해당 조리단계에 설정된 조리온도와 최대한 동일한 온도로 가열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D By setting the constants "Kp, Ki, Kd", it is possible to heat and maintain the same temperature as possible as the cooking temperature set for the corresponding cooking step in the recipe information.

한편, 조리진행에 따른 재료의 무게 변화를 검지하고 이에 따라 PID 상수를 재설정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detecting the change in the weight of the ingredients as the cooking progresses and resetting the PID constant accordingly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레시피 정보에 따르는 제1 요리의 조리과정에 있어서, 이전 조리단계를 마치고 바로 다음 조리단계를 시작하면 해당 조리용기(1)에 신규의 재료(이하, '제1 재료'라 칭함)를 새롭게 투입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ooking process of the first dish according to the first recipe information, when the previous cooking step is completed and the next cooking step is started immediately, a new ingredi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New materials (referred to as ‘materials’) are introduced.

이때, 제1 재료를 투입하면, 해당 조리용기(1)에 담겨져 있는 재료들의 총중량은 상기 제1 재료의 투입으로 인해 제1 재료의 무게만큼 더 증가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ingredient is added, the total weight of th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1 increases by the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due to the addition of the first ingredient.

따라서, 제어부(70)는 이처럼 새로운 조리단계의 시작시 신규 재료의 투입에 따른 재료 무게 변화를 반영하여 PID 상수 "Kp, Ki, Kd"를 재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조리단계에 설정된 조리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코일(30)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refore, at the start of a new cooking step, the control unit 70 resets the PID constants “Kp, Ki, Kd” to reflect the change in material weight due to the input of new ingredients, and based on this, sets the cooking temperature for the corresponding cooking step.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coil 30 required to maintain.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레시피 정보에 따르는 제1 요리의 조리과정에 있어서, 해당 조리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해당 조리용기(1)에 담겨져 있는 재료의 무게가 변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cooking process of the first dish according to the first recipe information, the weight of th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1 changes as the cooking step progresses.

예컨대, 도 4의 레시피 정보에 따라 2번째 조리단계를 진행하는 경우를 가정할 경우, 2번째 조리단계의 시작시 돼지고기 300g을 투입한 후 2번째 조리단계를 진행하면, 조리가 진행됨에 따라 돼지고기의 중량은 점차 줄어들게 되고, 이후 해당 조리용기(1)에 담긴 재료의 총중량이 295g이 되면 2번째 조리단계를 완료하고 3번째 조리단계를 시작하게 된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second cooking step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cipe information in Figure 4, if 300 g of pork is added at the start of the second cooking step and the second cooking step is performed, as cooking progresses, the pork The weight of the meat gradually decreases, and when the total weight of the ingredients in the cooking container (1) reaches 295g, the second cooking step is completed and the third cooking step begins.

이처럼 해당 조리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해당 조리용기(1)에 담겨 있는 재료의 무게 변화를 반영하여 PID 상수 "Kp, Ki, Kd"를 재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조리단계에 설정된 조리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코일(30)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way, in the process of proceeding with the corresponding cooking step, the PID constants "Kp, Ki, Kd" are reset to reflect the change in the weight of th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1), and based on this, the cooking temperature set for the corresponding cooking step is maintained.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coil 30 required to do this.

이하에서는, 스마트 조리기기의 자동 제어를 지원하는 레시피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다수 간에 공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Below, we will explain how to create recipe information that supports automatic control of smart cooking appliances and share it among multiple people.

본 발명의 스마트 조리기기는 메모리부(60)에 저장되어 있는 각 조리단계별 조리정보를 포함하는 레시피 정보를 기초로 하여 최적의 조리 과정을 지원하고 제어하도록 구성된다.The smart coo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pport and control the optimal cooking process based on recipe information including cooking information for each cooking step stored in the memory unit 60.

그리고, 본 발명의 스마트 조리기기는 스마트 조리기기에 사용되는 제1 레시피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mart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a function for generating first recipe information used in the smart cooking appliance.

이와 같이 스마트 조리리기의 조리 제어에 사용되는 레시피 정보는 스마트 조리기기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거나, 또는 스마트 조리기기에 적합한 레시피 정보를 요리전문가가 스마트 조리리기를 통해 전문적으로 추출 생성하여 다른 스마트 조리기기의 사용자에게 유/무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recipe information used for cooking control of a smart cooker is created directly by the user of the smart cooker, or recipe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smart cooker is professionally extracted and created by a cooking expert through the smart cooker to be used in other smart cookers. It may be provided to users for free or for a fee.

더 나아가, 다수의 스마트 조리기기 사용자들은 본인이 생성한 레시피 정보를 스마트폰 등의 전기전자단말 등을 통해서 상호 공유하여 이를 스마트 조리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urthermore, multiple smart cooking device users may be configured to share recipe information they create with each other through electrical and electronic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provide it to the smart cooking device.

이러한 레시피 정보는 다음과 같이 준비 단계, 조리 단계 및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추출 및 생성될 수 있다.This recipe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and generated in a method including a preparation step, a cooking step, and a storage step as follows.

(1) 준비 단계(1) Preparation stage

조리용기(1)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조리에 사용되는 조리용기(1)를 올려 놓은 후 정보입력수단(예컨대, 확인버튼 누름)을 통해 무게를 측정 저장한다. 이때, 조리기구의 뚜껑을 덮고 조리하는 경우에는 뚜껑의 무게를 포함할 지의 여부를 선택하여 조리용기(1)의 무게를 측정하고 저장할 수 있다.This is the step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cooking container (1). After placing the cooking container (1) used for cooking, the weight is measured and stored through an information input means (e.g., pressing the confirmation button). At this time, when cooking with the lid of the cooking utensil covered, the weight of the cooking container 1 can be measured and stored by selecting whether or not to include the weight of the lid.

(2) 조리 단계(2) Cooking step

조리 단계는 투입된 재료를 조리하며 무게에 따른 최적의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을 추출하는 단계이다.The cooking stage is the stage where the input ingredients are cooked and the optimal cooking temperature and cooking time are extracted according to weight.

1번째 조리단계의 시작시 조리용기에 투입되는 제1 재료의 투입중량(즉, 요구투입중량)을 측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1번째 조리단계의 완료시 조리용기에 담겨있는 상기 제1 재료를 포함한 모든 재료들의 총중량(즉, 요구총중량)을 측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1번째 조리단계의 최적의 조리온도 및 조리시간을 설정하여 1번째 조리정보를 생성한다(제1 단계).At the start of the first cooking step, the input weight (i.e., required input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put into the cooking container is measured and stored in the memory, and when the first cooking step is completed, the first ingredient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The total weight (i.e., required total weight) of all ingredients, including, is measured and stored in memory, and the optimal cooking temperature and cooking time for the first cooking step are set to generate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first step).

상기 1번째 조리단계의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은 전술한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온도 및 시간 정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The cooking temperature an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can be se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tim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input means.

따라서, 상기 1번째 조리정보는 1번째 조리단계의 요구투입중량 정보, 요구총중량 정보, 및 조리온도와 조리시간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required input weight of the first cooking step, information on the required total weight, and information on the cooking temperature and cooking time.

여기서, 상기 제1 단계의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스마트 조리기기에 설치된 메모리부(60)이거나, 또는 스마트 조리기기와 통신 연결되는 별도의 전기전자장치에 설치된 메모리부일 수 있다.Here, the 'memory' of the first step may be the memory unit 60 installed in the smart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 memory unit installed in a separat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that is communicated with the smart cooking appliance.

그리고, 2번째 조리단계의 시작시 조리용기에 투입되는 제2 재료의 투입중량(즉, 요구투입중량)을 측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2번째 조리단계의 완료시 조리용기에 담겨있는 상기 제2 재료를 포함한 모든 재료들의 총중량(즉, 요구총중량)을 측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2번째 조리단계의 최적의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을 설정하여 2번째 조리정보를 생성한다(제2 단계).Then, at the start of the second cooking step, the input weight (i.e., required input weight) of the second ingredient introduced into the cooking container is measured and stored in the memory, and upon completion of the second cooking step, the second ingredient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is measured and stored in the memory. 2 The total weight of all ingredients (i.e. total required weight), including the ingredients, is measured and stored in memory, and the optimal cooking temperature and cooking time for the second cooking step are set to generate second cooking information (second step) .

상기 2번째 조리단계의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은 전술한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온도 및 시간 정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The cooking temperature and cooking time of the second cooking step can be se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tim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input means.

따라서, 상기 2번째 조리정보는 2번째 조리단계의 요구투입중량 정보, 요구총중량 정보, 및 조리온도와 조리시간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Accordingly, the second cook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required input weight of the second cooking step, information on the required total weight, and information on the cooking temperature and cooking time.

여기서, 상기 제2 단계의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스마트 조리기기에 설치된 메모리부(60)이거나, 또는 스마트 조리기기와 통신 연결되는 별도의 전기전자장치에 설치된 메모리부일 수 있다.Here, the 'memory' of the second step may be the memory unit 60 installed in the smart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 memory unit installed in a separat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that is communicated with the smart cooking appliance.

그리고, n번째 조리단계의 시작시 조리용기에 투입되는 제n 재료의 투입중량을 측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n번째 조리단계의 완료시 조리용기에 담겨있는 상기 제n 재료를 포함한 모든 재료들의 총중량을 측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n번째 조리단계의 최적의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을 설정하여 n번째 조리정보를 생성한다(제N 단계).Then, at the start of the nth cooking step, the input weight of the nth ingredient put into the cooking container is measured and stored in the memory, and when the nth cooking step is completed, all ingredients including the nth ingredient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are stored in the cooking container. The total weight is measured and stored in memory, and the nth cooking information is generated by setting the optimal cooking temperature and cooking time for the nth cooking step (Nth step).

상기 n번째 조리단계의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은 전술한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온도 및 시간 정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The cooking temperature and cooking time of the nth cooking step can be se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tim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input means.

따라서, 상기 n번째 조리정보는 n번째 조리단계의 요구투입중량 정보, 요구총중량 정보, 및 조리온도와 조리시간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Accordingly, the nth cook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required input weight of the nth cooking step, information on the required total weight, and information on the cooking temperature and cooking time.

여기서, 상기 제N 단계의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스마트 조리기기에 설치된 메모리부(60)이거나, 또는 본 발명의 스마트 조리기기와 통신 연결되는 별도의 전기전자장치에 설치된 메모리부일 수 있다.Here, the 'memory' of the Nth stage may be the memory unit 60 installed in the smart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 memory unit installed in a separat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that is communicated and connected to the smart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 1번째 조리정보, 상기 2번째 조리정보, 및 상기 n번째 조리정보를 취합하여 데이터 테이블 형태의 상기 제1 레시피 정보를 생성한다.Then,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the second cooking information, and the nth cooking information are collected to generate the first recip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data tab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 단계는 주재료, 부재료, 양념 등을 넣고 제1 단계 ~ 제5 단계를 반복하는 n개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조리의 첫 단계가 시작되면 마지막 단계가 끝날 때까지 일정기간을 주기로 조리기기의 온도와 시간이 메모리에 저장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oking step may consist of n steps in which main ingredients, auxiliary ingredients, seasoning, etc. are added and steps 1 to 5 are repeated. When the first stage of cooking begins, the temperature and time of the cooking device are stored in the memory at regular intervals until the last stage is completed.

모든 조리단계에서 온도 증감 버튼과 시간 증감 버튼을 눌러 조리시간과 조리온도의 변경을 할 수 있다. 각 단계는 시작버튼을 누르면 각 단계에서 투입된 무게를 측정, 저장하고 조리용기(1)의 가열이 시작되고 온도와 시간을 저장하기 위한 타이머가 시작된다.You can change the cooking time and cooking temperature at any cooking stage by pressing the temperature increase/decrease button and time increase/decrease button. When you press the start button for each step, the weight added at each step is measured and stored, heating of the cooking vessel (1) begins, and a timer starts to store the temperature and time.

종료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즉,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설정된 시간이 count down되어 0분 0초가 되면) 각 단계가 끝난다. 각 단계가 끝나면 완료시 무게를 측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실제 조리온도와 실제 조리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한다.Each step ends when the end button is pressed or the set time has elapsed (that is, when the time set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means counts down and reaches 0 minutes and 0 seconds). After each step is completed, the weight is measured and stored in memory, and the actual cooking temperature and actual cooking time are stored in memory.

여기서, 상기 '실제 조리온도'는 초기 설정의 조리온도에서 온도증감 버튼을 누름에 따라 설정된 조리온도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실제 조리시간'은 초기 설정의 조리시간에서 시간증감 버튼을 누름에 따라 설정된 조리시간을 의미한다.Here, the 'actual cooking temperature' refers to the cooking temperature set by pressing the temperature increase/decrease button at the initial setting cooking temperature. And the 'actual cooking time' refers to the cooking time set by pressing the time increase/decrease button from the initial setting cooking time.

시간이 count down되어 단계가 끝날 경우에는 상기 실제 조리시간에 변동이 없지만, 종료 버튼을 눌러 해당 조리단계가 종료될 경우에는 시간증감 버튼을 통해 설정된 실제 조리시간에서 남아있는 시간을 차감한 시간이 최종 실제 조리시간으로 변경 설정된다.When the time counts down and the step is ended, there is no change in the actual cooking time, but when the cooking step is ended by pressing the end button, the final time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remaining time from the actual cooking time set through the time increase/decrease button. The setting is changed to the actual cooking time.

해당 단계가 끝나면 조리용기(1)의 가열을 정지하고 타이머를 정지한다. 각 단계가 끝나면 조리를 종료할 것인지 다음 단계로 진행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is step is completed, heating of the cooking vessel (1) is stopped and the timer is stopped. After each step is completed, you can choose whether to end cooking or proceed to the next step.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 단계는 다음 순서에 따라 각 단계에서의 조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oking data at each stage may be extra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order.

제1 단계 : 현재 단계의 온도와 시간을 설정한다.Step 1: Set the temperature and time of the current step.

제2 단계 : 재료 투입 후,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시작 명령을 입력(예컨대, 시작 버튼 누름)하여, 투입된 재료의 무게를 측정 및 저장하고 조리용기(1)의 가열을 시작한다. Second step: After inserting the ingredients, a start command is entere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means (e.g., pressing the start button) to measure and store the weight of the input ingredients and start heating the cooking vessel (1).

이때, 최적의 가열을 위해 재료의 무게와 조리용기(1)의 무게에 따른 PID 제어의 Kp, Ki, Kd 상수를 설정하여 조리용기(1)가 가열되는 파워를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for optimal heating, the power at which the cooking vessel 1 is heated can be controlled by setting the Kp, Ki, and Kd constants of the PID control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ingredients and the weight of the cooking vessel 1.

제3 단계 : 조리가 진행되면 설정된 시간이 감소한다. 조리의 상태에 따라 온도증가 또는 온도감소 버튼, 시간증가 또는 시간감소 버튼을 눌러 설정된 온도 및 시간을 변경한다. Third stage: As cooking progresses, the set time decreases. Depending on the cooking status, change the set temperature and time by pressing the temperature increase or temperature decrease button, time increase or time decrease button.

제4 단계 : 현재의 단계가 완료되면,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완료 명령을 입력(예컨대, 완료 버튼 누름)하여 완료 시의 무게를 측정 및 저장하고 조리용기(1)가 가열되는 것을 정지한다.Step 4: When the current step is completed, a completion command is entere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means (e.g., pressing the completion button) to measure and store the weight upon completion, and heating of the cooking vessel 1 is stopped.

설정된 시간이 count down이 끝나지 않아도 종료 버튼을 눌러 현재의 단계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시간이 count down되어 0분 0초가 되면 자동으로 현재 단계를 종료하고 조리용기(1)가 가열되는 것을 정지한다.Even if the set time does not finish counting down, you can end the current step by pressing the end button. Additionally, when the set time counts down and reaches 0 minutes and 0 seconds, the current step is automatically ended and the cooking vessel (1) stops heating.

그리고, 현재 단계의 종료시 조리된 재료의 무게를 측정 저장하고, 현재 단계에서의 실제 조리온도와 실제 조리시간을 저장한다.Then, at the end of the current step, the weight of the cooked ingredients is measured and stored, and the actual cooking temperature and actual cooking time at the current step are stored.

제5 단계 : 현 단계가 종료되면 다음 조리단계로 넘어갈지 전체 조리를 완료할지를 선택하도록 한다. Step 5: When the current step is over, choose whether to proceed to the next cooking step or complete cooking.

다음 단계가 선택되면 상기의 제1 단계 ~ 제5 단계의 작업을 반복한다.When the next step is selected, the operations from steps 1 to 5 above are repeated.

보다 상세한 조리 조건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요리가 진행되는 동안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온도를 저장한다.To extract more detailed cooking conditions, the temperature is stored at regular time intervals while cooking is in progress.

제6 단계 : 전체조리 완료가 선택되면 조리 단계를 마치고 저장 단계로 넘어간다.Step 6: When complete cooking is selected, the cooking step is completed and the process moves to the storage step.

(3) 저장 단계(3) Storage step

전술한 조리 단계를 통해 추출한 해당 레시피 정보에 고유 아이디(ID)를 설정함으로써 레시피 정보의 생성이 완료된다. 고유 아이디는 문자 또는 숫자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레시피 정보 간에 상호 구분이 되도록 한다.Creation of recipe information is completed by setting a unique ID (ID) to the recipe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cooking step. The unique ID uses letters or numbers to distinguish between multiple recipe information.

그리고, 준비 단계에서 추출된 조리용기(1)의 무게와 각 조리 단계에서 추출된 재료의 무게, 무게의 변화량, 온도, 시간 정보를 조리 아이디와 함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Then, the weight of the cooking container 1 extracted in the preparation stage, the weight of the ingredients extracted in each cooking stage, the amount of change in weight, temperature, and time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database along with the cooking ID.

한편, 이와 같이 생성된 레시피 정보는 관리서버, 스마트 조리기기, 및 전기전자단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장된다.Meanwhile, the recipe information generated in this way is stored i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smart cooking appliance, and electrical and electronic terminal.

그리고, 관리서버, 스마트 조리기기 또는 전기전자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레시피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또 다른 상기 스마트 조리기기 또는 전기전자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ipe information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smart cooking device, or electrical/electronic terminal may be provided to another smart cooking device or electrical/electronic terminal at a remote loc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using specific terms, such terms are only for clearly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bed terms are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t is self-evident that various change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viating from it. These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조리용기 10: 지지부
20: 스위칭부 30: 코일
40: 중량 센싱부 50: 온도 센싱부
60: 메모리부 70: 제어부
1: Cooking container 10: Support part
20: switching unit 30: coil
40: weight sensing unit 50: temperature sensing unit
60: memory unit 70: control unit

Claims (17)

조리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어 있는 조리용기가 가열되도록 동작하는 히팅부; 중량정보를 검출하는 중량 센싱부; 각 조리단계별 조리정보를 포함하는 레시피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레시피 정보를 기초로 상기 히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정보는,
N 번째 조리단계(이하, '제1 조리단계'라 함)에서 수행되는 조리정보(이하, '제1 조리정보'라 함)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리정보는,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시작시 상기 조리용기에 투입되는 제1 재료의 요구투입중량; 및 상기 제1 조리단계가 수행되는 요구조리시간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조리단계에서 상기 조리용기에 투입된 상기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과 상기 요구투입중량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제1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처리결과, 상기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이 상기 요구투입중량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요구조리시간 대비 증가된 조리시간을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으로 재설정하고,
상기 제1 처리결과, 상기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이 상기 요구투입중량보다 더 작을 경우, 상기 요구조리시간 대비 감소된 조리시간을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으로 재설정하는 제2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리기기.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cooking vessel; a heating unit that operates to heat the cooking vessel mounted on the support unit; A weight sensing unit that detects weight information; A memory unit that stores recipe information including cooking information for each cooking step;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heating unit based on recipe information,
The cooking information above is,
Contains cooking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cooking information') performed in the Nth cooking step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cooking step'),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is,
A required input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to be added to the cooking vessel at the start of the first cooking step; And the required cooking time for performing the first cooking step is set,
The control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first process of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input weight and the required input weight of the first ingredient added to the cooking vessel in the first cooking step,
As a result of the first processing, if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material is greater than the required input weight, the cooking time increased compared to the required cooking time is reset to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As a result of the first processing, if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material is smaller than the required input weight, a second processing to reset the cooking time reduced compared to the required cooking time to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A smart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처리결과,
상기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이 상기 요구투입중량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요구투입중량 대비 초과된 무게의 비율(이하, '제1 비율'이라 함)을 산출하여, 상기 요구조리시간 대비 상기 제1 비율만큼 증가된 조리시간을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으로 재설정하고,
상기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이 상기 요구투입중량보다 더 작을 경우, 상기 요구투입중량 대비 부족한 무게의 비율(이하, '제2 비율'이라 함)을 산출하여, 상기 요구조리시간 대비 상기 제2 비율만큼 감소된 조리시간을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으로 재설정하는 상기 제2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The first processing result,
If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material is greater than the required input weight, the ratio of the excess weight to the required input weight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ratio') is calculated, and the Reset the cooking time increased by a ratio of 1 to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If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material is smaller than the required input weight, the ratio of the insufficient weight compared to the required input weigh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ratio') is calculated, and the second ratio compared to the required cooking time is calculated. A smart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the second process of resetting the cooking time reduced by the ratio to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리정보는,
제1 조리단계의 완료시 상기 조리용기에 담겨있는 상기 제1 재료를 포함한 모든 재료들의 요구총중량이 더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조리단계에서 상기 조리용기에 담겨있는 상기 제1 재료를 포함한 모든 재료들의 실제총중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상기 요구총중량과 비교하는 제3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제3 처리결과,
상기 제2 처리에서 재설정된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더라도 상기 실제총중량이 상기 요구총중량과 같아지면, 상기 제1 조리단계를 마치고 N+1 번째 조리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처리에서 재설정된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상기 실제총중량이 상기 요구총중량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을 연장하여 상기 실제총중량이 상기 요구총중량과 같아질 때 상기 제1 조리단계를 마치고 N+1 번째 조리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is,
Upon completion of the first cooking step, the required total weight of all ingredients including the first ingredient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is further set,
The control unit,
In the first cooking step, a third process is performed to detect in real time the actual total weight of all ingredients including the first ingredient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and compare it with the required total weight,
The third processing result,
Even before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reset in the second process elapses, if the actual total weight becomes equal to the required total weight, control is performed to complete the first cooking step and proceed with the N+1th cooking step. do,
If the actual gross weight is greater than the required gross weight even after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reset in the second process has elapsed,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is extended to increase the actual gross weight to the A smart coo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to complete the first cooking step and proceed with the N+1th cooking step when the required total weight is equal to the required total weigh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리정보는,
제1 조리단계의 완료시 상기 조리용기에 담겨있는 상기 제1 재료를 포함한 모든 재료들의 요구총중량이 더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1 처리결과,
상기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이 상기 요구투입중량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요구총중량 대비 증가된 중량을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총중량으로 재설정하고,
상기 제1 재료의 실제투입중량이 상기 요구투입중량보다 더 작을 경우, 상기 요구총중량 대비 감소된 중량을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총중량으로 재설정하는 제2'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is,
Upon completion of the first cooking step, the required total weight of all ingredients including the first ingredient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is further set,
The first processing result,
If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material is greater than the required input weight, the increased weight compared to the required total weight is reset to the actual required total weight of the first cooking step,
When the actual input weight of the first material is smaller than the required input weight, the smart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a 'second' process to reset the weight reduced compared to the required total weight to the actual required total weight of the first cooking step. Cooking equipmen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조리단계에서 상기 조리용기에 담겨있는 상기 제1 재료를 포함한 모든 재료들의 실제총중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상기 실제요구총중량과 비교하는 제3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제3 처리결과,
상기 제2 처리에서 재설정된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더라도 상기 실제총중량이 상기 실제요구총중량과 같아지면, 상기 제1 조리단계를 마치고 N+1 번째 조리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처리에서 재설정된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상기 실제총중량이 상기 실제요구총중량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실제요구조리시간을 연장하여 상기 실제총중량이 상기 실제요구총중량과 같아질 때 상기 제1 조리단계를 마치고 N+1 번째 조리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use 4,
The control unit,
In the first cooking step, a third process is performed to detect in real time the actual total weight of all ingredients including the first ingredient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and compare it with the actual required total weight,
The third processing result,
Even before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reset in the second processing elapses, if the actual total weight becomes equal to the actual required total weight, the first cooking step is completed and the N+1th cooking step is performed. control,
If the actual gross weight is greater than the actual required gross weight even after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reset in the second processing has elapsed, the actual required cooking time of the first cooking step is extended to increase the actual gross weight. A smart coo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to complete the first cooking step and proceed with the N+1th cooking step when the actual required total weight becomes equal to the actual required total weigh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정보를 검출하는 온도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리정보는,
상기 제1 조리단계에서 수행되는 조리온도가 더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ing unit that detects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ooking vessel,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is,
A smart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king temperature performed in the first cooking step is further s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리정보는,
상기 제1 조리단계에서 상기 조리용기에 투입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온도(이하, '제1 조리온도'라 함)가 더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조리단계에서 상기 제1 조리온도의 제어를 위한 제1' 처리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처리는,
상기 조리용기의 무게와 비열,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에 투입된 재료의 무게 변화와 비열을 반영하여 다음의 수학식 1의 Kp, Ki, Kd 값을 산출하여 설정하는 제1a 처리; 및
상기 제1 조리단계에서 상기 제1 조리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a 처리에 따른 상기 Kp, Ki, Kd 값이 설정된 상기 수학식 1에 기초하여 상기 히팅부를 제어하는 제1b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리기기.
수학식 1

(수학식 1에서, W(t): 시간에 따른 출력전력, err_temp(t): 온도 오차 , t: 시간)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is,
In the first cooking step, a temperature for heating the ingredients added to the cooking vess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cooking temperature') is further set,
The control unit,
Configured to further perform a 'first' process for controlling the first cooking temperature in the first cooking step,
The first' processing is,
A 1a process of calculating and setting the Kp, Ki, and Kd values of the following equation 1 by reflecting the weight and specific heat of the cooking vessel and the weight change and specific heat of the ingredients added to the cooking vessel; and
In order to maintain the first cooking temperature in the first cooking step, comprising a 1b process of controlling the heating unit based on the equation 1 in which the Kp, Ki, and Kd values according to the 1a process are set. Featured smart cooking appliance.
Equation 1

(In Equation 1, W(t): output power over time, err_temp(t): temperature error, t: tim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전원이 인가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b 처리는,
상기 제1a 처리에 따른 상기 Kp, Ki, Kd 값이 설정된 상기 수학식 1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리온도의 유지에 필요한 상기 코일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use 7,
The heating unit,
It includes a coil that generates a magnetic field when power is applied,
The 1b processing is,
A smart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coil required to maintain the first cooking temperature is determined based on Equation 1 in which the Kp, Ki, and Kd values according to the first processing are set.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상기 자기장의 발생을 위해 교류 전류를 발생시키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b 처리는,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코일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use 8,
The heating unit,
It further includes a switching unit that generates alternating current to generate the magnetic field,
The 1b processing is,
A smart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coil is adjusted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리정보에는
상기 제1 조리단계에서 상기 조리용기에 투입되는 재료의 비열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 센싱부에 의해 검출되는 중량정보; 및 상기 제1 조리정보의 상기 비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a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use 7,
In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Specific heat information of the ingredients added to the cooking vessel in the first cooking step is recorded,
The control unit,
Weigh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eight sensing unit; and performing the first processing using the specific heat information of the first cooking information.
제7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입력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조리용기의 비열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use 7,
It further includes an information input mean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The control unit,
A smart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specific heat information of the cooking vessel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mean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 및 상기 제2 처리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활성화(On) 또는 비활성화(Off)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rocessing and the second processing are,
A smart cooking applianc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selectively activate (On) or deactivate (Off).
제1 항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유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원격지의 관리서버 또는 전기전자단말로부터 상기 레시피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trol unit,
A smart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the recipe information from a remote management server or electrical and electronic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stores it in the memory unit.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입력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레시피 정보를 직접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n information input mean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The control unit,
A smart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ipe information is directly input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means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에 투입된 재료의 무게 변화는,
상기 제1 조리단계 이전의 조리단계가 완료되어 상기 제1 조리단계의 시작시 상기 조리용기에 제1 재료가 투입됨에 따라 증가된 무게 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use 7,
The change in weight of the ingredients added to the cooking vessel is,
A smart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change increases as the cooking step before the first cooking step is completed and the first ingredient is added to the cooking container at the start of the first cooking step.
제1 항에 있어서,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는 정보출력수단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출력수단을 제어하여, 각 조리단계의 완료 및 다음 조리단계의 진행을 청각 또는 시각적으로 외부에 출력하여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n information output means for outputting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A smart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information output mean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ompletion of each cooking step and the progress of the next cooking step by outputting them audibly or visually to the outsi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전원이 인가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부; 및 상기 자기장의 발생을 위해 교류 전류를 발생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코일부와 상기 조리용기를 이격시키고 상기 조리용기로부터 방사되는 전자기파를 투과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unit,
A coil unit that generates a magnetic field when power is applied; And a switching unit that generates alternating current to generate the magnetic field,
The support part,
A smart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plate that separates the coil unit from the cooking vessel and transmits electromagnetic waves radiated from the cooking vessel.
KR1020220065608A 2022-05-27 2022-05-27 Smart cooking device and recipe informaiton generation method therefor KR202301656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608A KR20230165613A (en) 2022-05-27 2022-05-27 Smart cooking device and recipe informaiton generation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608A KR20230165613A (en) 2022-05-27 2022-05-27 Smart cooking device and recipe informaiton generation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613A true KR20230165613A (en) 2023-12-05

Family

ID=89157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608A KR20230165613A (en) 2022-05-27 2022-05-27 Smart cooking device and recipe informaiton generation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5613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742B1 (en) 2014-05-28 2016-06-22 정원식 Induction range
KR102153494B1 (en) 2017-10-31 2020-09-08 (주)쿠첸 Induction range including temperature sens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742B1 (en) 2014-05-28 2016-06-22 정원식 Induction range
KR102153494B1 (en) 2017-10-31 2020-09-08 (주)쿠첸 Induction range including temperature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5652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US8212192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5641488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900006796B1 (en) Heating apparatus
US20150334785A1 (en) Menu-based cooking appliance
US20100065551A1 (en) Induction cooking device
WO2020217555A1 (en) Cooking device and cooking system
EP2405712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JP5132718B2 (en) Cooker
JPH06241463A (en) Cooking appliance
JP2006073347A (en) Heating cooker
US20190364618A1 (en) Cooktop appliances and control methods for the same
KR20230165613A (en) Smart cooking device and recipe informaiton generation method therefor
KR20230165611A (en) Smart cooking device and recipe informaiton generation method therefor
JP2005063880A (en) Heating cooking device
JP6870083B2 (en) Cooker
CN112555917B (en) Control method of gas stove, gas cooking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240003548A1 (en) Cooktop appliance sauce reduction mode
JPWO2011089901A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its program
KR102213163B1 (en) Hea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r
US20240008673A1 (en) Cooktop appliance automated rice cooking
JP4973568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4915187B2 (en) Cooker
JP2005150013A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2007115516A (en) Induction he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