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5449A - 피부 노화 예방 기능성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요구르트 제품 - Google Patents

피부 노화 예방 기능성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요구르트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5449A
KR20230165449A KR1020220065164A KR20220065164A KR20230165449A KR 20230165449 A KR20230165449 A KR 20230165449A KR 1020220065164 A KR1020220065164 A KR 1020220065164A KR 20220065164 A KR20220065164 A KR 20220065164A KR 20230165449 A KR20230165449 A KR 20230165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gurt
whey protein
paragraph
prebiotics
enzyme hydrolyz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덕근
김지연
방제철
남명수
김기광
Original Assignee
(주)서울에프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울에프엔비 filed Critical (주)서울에프엔비
Priority to KR1020220065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5449A/ko
Publication of KR20230165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544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7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and other microorganisms or enzymes, e.g. kefir, koumi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3/00Preservation of milk or milk preparations
    • A23C3/02Preservation of milk or milk preparations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03Addition of, or treatment with, enzymes or microorganisms other than lactobacteriaceae
    • A23C9/1209Proteolytic or milk coagulating enzymes, e.g. tryps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additives
    • A23C9/1307Milk products or derivatives; Fruit or vegetable juices; Sugars, sugar alcohols, sweeteners; Oligosaccharides; Organic acids or salts thereof or acidifying agents; Flavours, dyes or pigments; Inert or aerosol gases; Carbona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51Bifidobacterium
    • A23V2400/531Lact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3Lactobacillus acidophi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46Streptococcus ; Enterococcus; Lactococc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노화 예방 기능성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요구르트 제품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구르트는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을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활성, 항염증 및 피부 노화 예방 효능을 보유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피부 노화 예방 기능성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요구르트 제품 {Manufacturing method of yogurt with anti-aging functionality and yogurt using it}
본 발명은 피부 노화 예방 기능성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요구르트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요구르트(yogurt)는 우유나 탈지유에 유산균을 넣어 발효시킨 것으로, 우유 속의 단백질과 비타민 A, B2 등의 비타민, 칼슘, 망간 등의 무기질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프리바이오틱스에 의해 단백질과 지방이 분해되어 있으므로 소화 흡수가 쉽다. 요구르트에는 유산균이 g당 1억~10억 마리가 함유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요구르트는 장내 유해균을 억제하고 유익균의 증식을 돕는다.
또한, 요구르트는 발효 식품 특유의 신맛을 줄이기 위해 제조과정에서 과당, 포도당 등의 당분을 인위적으로 첨가하기 때문에 우유에 비해 탄수화물 함량이 높다.
최근, 요구르트는 장 내의 면역세포에 작용하여 인터페론을 늘려 각종 암 발생을 억제함이 알려졌다.
이 외에도, 요구르트는 혈중 콜레스테롤 및 혈압 저하 효능을 가지며, 풍부하게 함유된 망간이 칼슘의 흡수를 도와 이와 뼈를 튼튼하게 하고, 골다공증의 예방과 개선에 도움될 수 있음이 알려졌다.
한편, 우유 중에는 일반성분으로서 유당이 약 4.9%, 유지방이 약 4.1% 및 우유 단백질이 3.3% 수준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이 중 우유 단백질은 약 2.6%의 케이신 단백질과 0.7% 수준의 유청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단백질의 품질은 영양적 이익과 인체의 생리 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필수 아미노산의 조성, 소화력, 생체 이용률 등으로 평가되는데, 우유 중의 유청단백질은 매우 우수한 고품질 단백질 조성으로 평가되는 소재 중의 하나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83950호 (2005.08.26.)에는, 유장 단백질 가수분해산물을 포함하는 영양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03921호 (2018.09.19.)에는, 완두콩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영양제형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요구르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요구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요구르트에 있어, 상기 효소는, 가수분해효소로서 바람직하게는 판크레아틴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요구르트는 항산화 활성, 항염증 및 피부 노화 예방 효능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기능을 보유한다.
한편, 본 발명은 (a) 원료유, 당류 및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를 혼합하는 단계; (b) 요구르트 총량 대비 0.5%(w/w) 내지 5.0%(w/w)의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을 첨가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혼합물을 75~95℃에서 5~30분 동안 가열살균하는 단계; 및 (d) 스타터를 접종하여 35~45℃에서 산도가 0.60~1.20%가 될 때까지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요구르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요구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단계 (a)의 원료유는, 바람직하게는 무지유고형분 함량 5~15%(w/w)의 탈지환원유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요구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단계 (a)의 당류 및 프리바이오틱스는, 일 예로 갈락토스, 글루코스, 락토스, 폴리덱스트로스, 이눌린, 갈락토올리고당, 펙틴, β-글루칸, 구아검, 잔탄검, 카라기난(carrageenan), 캐러브(carob) 및 프락토올리고당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요구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단계 (a)의 당류 및 프리바이오틱스는, 바람직하게는 요구르트 총량 대비 1~8%(w/w)가 첨가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요구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스타터는, 일 예로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Bifidobacterium lactis),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sp. bulgaricus)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요구르트 총량 대비 0.002~0.004%(w/v)만큼 첨가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요구르트는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을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활성, 항염증 및 피부 노화 예방 효능을 보유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요구르트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요구르트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FM: Fermented milk(yogurt, 대조구), T1: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액상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T2: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건조하고 분말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요구르트의 세포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FM: Fermented milk(yogurt, 대조구), T1: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액상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T2: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건조하고 분말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요구르트의 항염증 효과를 mRNA 발현 정도로 확인한 결과이다 (FM: Fermented milk(yogurt, 대조구), T1: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액상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T2: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건조하고 분말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요구르트의 항염증 효과를 단백질 발현 정도로 확인한 결과이다 (FM: Fermented milk(yogurt, 대조구), T1: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액상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T2: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건조하고 분말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요구르트의 β-갈락토시다아제(β-galactosidase) 염색 결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FM: Fermented milk(yogurt, 대조구), T1: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액상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T2: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건조하고 분말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요구르트의 항노화 효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FM: Fermented milk(yogurt, 대조구), T1: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액상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T2: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건조하고 분말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본 발명은 (a) 원료유, 당류 및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를 혼합하는 단계; (b) 요구르트 총량 대비 0.5%(w/w) 내지 5.0%(w/w)의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을 첨가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혼합물을 75~95℃에서 5~30분 동안 가열살균하는 단계; 및 (d) 스타터를 접종하여 35~45℃에서 산도가 0.60~1.20%가 될 때까지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요구르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의 각 단계를 세분화해 설명하고자 한다.
<단계 (a): 원료의 혼합>
본 단계는 원료유, 당류 및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를 혼합하는 과정으로, 상기 원료유는, 바람직하게는 무지유고형분 함량 5~15%(w/w)의 탈지환원유인 것이 좋다. 원료유가 무지유고형분 함량이 5%(w/w) 미만이거나 15%(w/w)를 초과할 경우에는 요구르트로의 발효가 어렵고 성상이 바람직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류 및 프리바이오틱스는, 일 예로 갈락토스, 글루코스, 락토스, 폴리덱스트로스, 이눌린, 갈락토올리고당, 펙틴, β-글루칸, 구아검, 잔탄검, 카라기난(carrageenan), 캐러브(carob) 및 프락토올리고당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요구르트 총량 대비 1~8%(w/w)가 첨가되는 것이 좋다. 상기 당류 및 프리바이오틱스가 요구르트 총량 대비 1%(w/w) 미만으로 첨가되면 발효가 지연되고, 8%(w/w)를 초과하면 관능적 선호도가 떨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단계 (b) 및 (c):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의 첨가 및 가열 살균>
본 단계는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혼합물에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을 첨가하고 가열 살균하는 과정으로, 바람직하게는 판크레아틴으로 가수분해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요구르트 총량 대비 0.5%(w/w) 내지 5.0%(w/w)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을 0.5%(w/w) 미만으로 첨가하면 기대하는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못하고, 5.0%(w/w)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첨가량 대비 기대한 효과의 증대가 미비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가열살균은 바람직하게는 75~95℃에서 5~3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이 좋은데, 해당 조건하에 요구르트의 발효 및 기대하는 효과가 최적으로 발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단계 (d): 스타터 접종 및 배양>
본 단계는 상기 (c) 단계에서 가열살균된 혼합물에 스타터를 접종하여 배양하는 과정으로, 상기 스타터는, 일 예로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Bifidobacterium lactis),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sp. bulgaricus)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요구르트 총량 대비 0.002~0.004%(w/v)만큼 첨가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배양은 바람직하게는 35~45℃에서 산도가 0.60~1.20%가 될 때까지 발효시키는 것이 좋은데, 해당 조건하에 요구르트의 발효 및 기대하는 효과가 최적으로 발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요구르트는 항산화 활성, 항염증 및 피부 노화 예방 효능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기능을 보유한다.
본 발명의 요구르트는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아연(Zn), 철(Fe), 칼슘(Ca)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테인, 발린, 라이신, 트립토판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 또는 실험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또는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제조예 1: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의 제조]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를 위하여, 우유로부터 등전점을 이용하여 유청단백질을 분리하고, 이를 동결건조하였다. 이후, 90% 이상으로 구성된 유청단백질을 10배량의 정제수에 용해시키고, 판크레아틴 단백질 분해 효소를 기질 대비 100:1의 농도로 첨가하여 혼합하고, 40℃에서 5시간 동안 150rpm으로 반응시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요구르트의 제조]
무지유고형분 함량 10%(w/w)의 탈지환원유 (탈지분유를 정제수에 용해하여 만든 것으로 무지유고형분 함량이 10%(w/w)임)를 원료유로 사용하였고, 여기에 요구르트 총량 대비 4%(w/w)의 프락토올리고당을 당류 및 프리바이오틱스로 첨가 혼합하였다.
이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요구르트 총량 대비 0.5%(w/w) (T2: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건조하고 분말타입으로 혼합) 또는 5.0%(w/w) (T1: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액상타입으로 혼합)를 첨가한 뒤, 85℃에서 15분 동안 가열살균하였다.
그 후, 41℃까지 냉각시킨 뒤,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sp. bulgaricus),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및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로 구성된 복합 유산균을 요구르트 총량 대비 0.002%(w/v)를 접종하여 41℃에서 유산균의 산도가 0.65%가 될 때까지 발효시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요구르트를 제조하였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요구르트의 제조공정도이다.
[ 실험예 1: 항산화 효능 평가]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요구르트(FM)와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함유된 요구르트(T1, T2)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대표적인 물질인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을 양성 대조군으로 하여 ABTS 에세이를 수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7mM과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2.4mM을 1:1로 혼합하여 24시간 동안 암실에서 반응시켜 ABTS를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상태로 만들어 준 후, 실험 사용 전에 증류수로 희석하여 ABTS 용액이 734㎚에서 흡광도가 0.7이 되도록 보정하였다.
시험하고자 하는 시료 20㎕와 희석해 놓은 ABTS 용액 80㎕를 혼합한 뒤 10분간 차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해 734㎚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항산화능은 하기와 같은 공식으로 산출하였다.
[수학식 1]
대조구 요구르트와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함유된 요구르트를 1.25, 2.5, 5 및 10㎎/㎖ 농도로 처리하였고, 레스베라트롤은 6.25, 12.5 및 25μM로 처리하여 항산화 능력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구 요구르트와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함유된 요구르트가 레스베라트롤과 비교하여도 높은 항산화 효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도 2).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요구르트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Res: Resveratrol, FM: Fermented milk(yogurt, 대조구), T1: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액상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T2: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건조하고 분말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 실험예 2: 세포 활성도 측정]
대조구 요구르트와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함유된 요구르트의 세포 활성에 대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궁경부암 세포 (HeLa), 신장 세포 (293A), 기관지 상피 세포 (BEAS-2B) 및 근모 세포 (C2C12)에 각각 대조구 요구르트와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함유된 요구르트를 1.25, 2.5, 5, 10㎎/㎖의 농도로 36시간 동안 처리한 후 MTS (tetrazolium compound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에세이를 통해 세포의 활성도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BEAS-2B 세포와 C2C12 세포의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세포활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HeLa 세포와 293A 세포는 농도의존적으로 세포활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네 세포 모두 1.25, 2.5㎎/㎖의 농도에서 70% 이상의 세포활성을 보였으므로 추후 실험농도를 1.25, 2.5㎎/㎖로 정하여 진행하였다 (도 3).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요구르트의 세포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FM: Fermented milk(yogurt, 대조구), T1: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액상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T2: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건조하고 분말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 실험예 3: 항염증 효능 평가]
1. mRNA 발현 측정
대조구 요구르트와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함유된 요구르트의 항염증에 대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대식세포 (RAW 264.7)에 각각 대조구 요구르트와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함유된 요구르트를 1.25, 2.5㎎/㎖의 농도로 30시간 동안 처리한 후 LPS 1㎍/㎖의 농도로 6시간 동안 처리하여 염증을 유도하였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mRNA 발현을 qRT-PCR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1.25, 2.5㎎/㎖의 농도의 대조구 요구르트와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함유된 요구르트의 TNF-α, IL-6 및 IL-1β 발현은 LPS 단독처리군에 비하여 40%~90%가량 감소되었으며, 대조구 요구르트에 비해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함유된 요구르트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mRNA 발현 감소가 더욱 우수하게 나타남으로써,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함유된 요구르트가 항염증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도 4).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요구르트의 항염증 효과를 mRNA 발현 정도로 확인한 결과이다 (FM: Fermented milk(yogurt, 대조구), T1: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액상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T2: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건조하고 분말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2. 단백질 발현 측정
대조구 요구르트와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함유된 요구르트의 항염증에 대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대식세포 (RAW 264.7)에 각각 대조구 요구르트와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함유된 요구르트를 1.25, 2.5㎎/㎖의 농도로 36시간 동안 처리한 후 LPS 1㎍/㎖의 농도로 30분 동안 처리하여 염증을 유도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단백질 발현 수준을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구 요구르트는 1.25㎎/㎖의 농도에서 LPS 단독처리군에 비하여 p-lκBα의 발현이 약 14% 증가되는 반면, 1.25, 2.5㎎/㎖의 농도의 유청단백질이 함유된 요구르트는 약 30% 가량 감소됨에 따라, 유청단백질이 함유된 요구르트가 항염증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도 5).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요구르트의 항염증 효과를 단백질 발현 정도로 확인한 결과이다 (FM: Fermented milk(yogurt, 대조구), T1: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액상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T2: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건조하고 분말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 실험예 4: 세포 노화 억제 효능 평가]
노화된 세포는 세포 안에서 대사 작용은 일어나지만, 더이상 증식하지 않고 세포 분열이 멈춘 상태로 존재한다. 이런 노화된 세포에서는 pH 6.0일 때 β-갈락토시다아제의 활성이 특이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β-갈락토시다아제는 노화 마커로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활성산소로 인해 노화된 세포에서 대조구 요구르트와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함유된 요구르트가 노화 예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H2O2로 노화를 유도한 세포에 요구르트를 처리하여 노화 마커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에 대조구 요구르트와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함유된 요구르트를 24시간 처리한 후에 600μM H2O2를 2시간 동안 처리하여 노화를 유도한 후, 대조구 요구르트와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함유된 요구르트를 각각 1.25, 2.5㎎/㎖씩 재처리하여 4일 동안 회복을 유도하였다.
이후, 세포에 4% 파라포름알데히드를 넣어 세포를 고정시킨 후, X-Gal이 포함된 SA-β-gal(senescence -associated β-galactosidase) 염색 용액 (pH 6.0)을 고정된 세포에 넣고 염색이 될 때까지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X-Gal은 β-갈락토시다아제의 활성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파란색으로 발색되며 이렇게 파란색을 띄는 세포는 노화된 세포를 의미한다.
실험 결과, 인간의 피부 섬유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ast; HDF)에 β-gal 어세이를 진행하자, H2O2를 처리하여 노화를 유도한 세포에서 음성대조군 세포에 비해 파란색으로 염색이 된 세포가 57% 더 많이 나타난 것으로보아, H2O2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노화된 세포에 비하여 요구르트 처리군에서 노화 발생 정도가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고, 그 중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함유된 요구르트의 β-갈락토시다아제의 활성 억제 효능이 더욱 우수함을 확인한 바,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함유된 요구르트가 항노화에 대해 탁월한 효능을 보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 및 도 7).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요구르트의 β-갈락토시다아제(β-galactosidase) 염색 결과를 확인한 결과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요구르트의 항노화 효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FM: Fermented milk(yogurt, 대조구), T1: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액상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T2: 유청단백질을 가수분해 후 건조하고 분말타입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시료).

Claims (8)

  1.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요구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판크레아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르트는 항산화 활성, 항염증 및 피부 노화 예방 효능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기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르트.
  4. (a) 원료유, 당류 및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를 혼합하는 단계;
    (b) 요구르트 총량 대비 0.5%(w/w) 내지 5.0%(w/w)의 유청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을 첨가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혼합물을 75~95℃에서 5~30분 동안 가열살균하는 단계; 및
    (d) 스타터를 접종하여 35~45℃에서 산도가 0.60~1.20%가 될 때까지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원료유는,
    무지유고형분 함량 5~15%(w/w)의 탈지환원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당류 및 프리바이오틱스는,
    갈락토스, 글루코스, 락토스, 폴리덱스트로스, 이눌린, 갈락토올리고당, 펙틴, β-글루칸, 구아검, 잔탄검, 카라기난(carrageenan), 캐러브(carob) 및 프락토올리고당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당류 및 프리바이오틱스는,
    요구르트 총량 대비 1~8%(w/w)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Bifidobacterium lactis),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sp. bulgaricus)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KR1020220065164A 2022-05-27 2022-05-27 피부 노화 예방 기능성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요구르트 제품 KR20230165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164A KR20230165449A (ko) 2022-05-27 2022-05-27 피부 노화 예방 기능성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요구르트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164A KR20230165449A (ko) 2022-05-27 2022-05-27 피부 노화 예방 기능성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요구르트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449A true KR20230165449A (ko) 2023-12-05

Family

ID=8915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164A KR20230165449A (ko) 2022-05-27 2022-05-27 피부 노화 예방 기능성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요구르트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544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950A (ko) 2002-11-22 2005-08-26 메이지 데어리즈 코포레이션 영양 조성물
KR20180103921A (ko) 2016-01-29 2018-09-19 로께뜨프레르 완두콩 단백질 단리물을 포함하는 영양 제형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950A (ko) 2002-11-22 2005-08-26 메이지 데어리즈 코포레이션 영양 조성물
KR20180103921A (ko) 2016-01-29 2018-09-19 로께뜨프레르 완두콩 단백질 단리물을 포함하는 영양 제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709B1 (ko) 항고혈압 트리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제품의 생산 방법
CA2521220C (en) Compositions comprising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in combination with tannin and new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US9113641B2 (en) Probiotic bacteria and regulation of fat storage
CN106103696B (zh) 新颖的拟干酪乳杆菌菌株
EP2159277A1 (en) Lactic ferment comprising a particular strain of lactobacillus acidophillus and use thereof
JP6923883B2 (ja) 栄養状態改善に使用するための組成物
US20090088391A1 (en) Strains of Lactobacillus Helveticus which do not Ferment Lactose
TW202005661A (zh) 含有乳酸菌菌株混合物的菌元,以及使用該菌元所製得的發酵產物與該發酵產物的用途
JPWO2018003899A1 (ja) 腎性貧血改善用組成物
KR20140137496A (ko)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과 버섯자실체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가 있는 발효유의 제조방법
Chatterjee et al. Properties of sweetened Indian yogurt (mishti dohi) as affected by added tryptic whey protein hydrolysate
Vasiljevic et al. Fermented milk: Health benefits beyond probiotic effect
Pato et al.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indigenous dadih lactic acid bacteria by deconjugation of bile salts
KR20230165449A (ko) 피부 노화 예방 기능성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요구르트 제품
KR20190048732A (ko) 염증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아이디씨씨 9203 및 이의 용도
KR20190048739A (ko)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아디씨씨 9203 및 이의 용도
Sasmita et al. Potential use of fermented dangke cheese to improve glycemic control in rats fed with a high-fat glucose diet and propylthiouracil
EP2953476B1 (en) Use of skim milk as a carrier for a composi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Rupa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functional yoghurt prepared with Moringa oleifera leaf extract
Yousefi et al. Production of bioactive peptides in milk using two native strains of Levilactobacillus brevis
RU2048123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родукта для диетического питания
EP2986157B1 (en) Fermented nutritional composition with thiol protease inhibitor
TWI730719B (zh) 植物醱酵物及其製造方法、含彼之組成物暨其用途
KR20220122264A (ko) 항산화 및 항노화 기능성이 우수한 우유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 발효유 식품
US20230180778A1 (en) Milk fermentation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