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4990A -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glass-free multiview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glass-free multiview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4990A
KR20230164990A KR1020220064815A KR20220064815A KR20230164990A KR 20230164990 A KR20230164990 A KR 20230164990A KR 1020220064815 A KR1020220064815 A KR 1020220064815A KR 20220064815 A KR20220064815 A KR 20220064815A KR 20230164990 A KR20230164990 A KR 20230164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plenoptic
viewpoint
imag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8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유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64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4990A/en
Publication of KR20230164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499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68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wo or more view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6Mix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7Light-field or plenoptic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Abstract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장치는 플렌옵틱 촬영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에 대한 플렌옵틱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각 동영상에 대한 플렌옵틱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레임별로 플렌옵틱 공간분할 영상을 생성하며, 각 동영상에 대한 프레임별 플렌옵틱 공간분할 영상을 이용하여 각 동영상에 대해 프레임별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 가능한 시점 수에 해당되는 다시점 영상을 생성한 후, 각 동영상에 대응하는 프레임별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시점별로 서로 다른 동영상을 재생한다. The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device acquires plenoptic image data for at least one video from a plenoptic imaging device, and generates plenoptic spatial division images for each frame using the plenoptic image data for each video, Using the frame-by-frame plenoptic spatial division image for each video, a multi-view imag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viewpoint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is generated for each frame for each video, and then each video is divided into frames corresponding to each video. Using multi-view video, different videos are played from each viewpoint.

Description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GLASS-FREE MULTIVIEW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method and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GLASS-FREE MULTIVIEW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본 개시는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 이상의 동영상에 대한 플렌옵틱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임의 시점에 대한 임의 시점 영상을 생성하여 두 가지 이상의 동영상을 동시에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가시화하는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glasses-free multi-viewpoint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method and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generate a random viewpoint image for a random viewpoint based on plenoptic image data for two or more videos to display two or more videos simultaneous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visualizing a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using a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3차원 형태의 콘텐츠는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보기에 사실과 유사한 입체적 느낌을 줄 수 있어 영화, 광고, 게임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 및 활용되고 있다. 3D content can generally give users a three-dimensional feeling similar to reality, so it is applied and utilized in a variety of fields such as movies, advertisements, and games.

3차원 형태의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주로 3차원 메쉬(Mesh) 데이터가 사용된다. 3차원 메쉬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스캔 방식으로 피사체를 스캔한 후, 3차원 메쉬로 만들고, 뭉개진 텍스처를 보정해야 한다. 또한 액체의 움직임을 실감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액체 구현 엔진 또는 에셋을 적용해야 한다. 또한 3차원 메쉬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 금속이나 유리 등의 반사 재질이나 피사체의 불규칙적인 변형은 구현이 어렵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To create 3D content, 3D mesh data is mainly used. When using 3D mesh data, you must scan the subject using a scanning method, create a 3D mesh, and correct the crushed texture. Additionally, in order to realistically express the movement of liquid, a liquid implementation engine or asset must be applied. Additionally, when using 3D mesh data,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reflective materials such as metal or glass, or irregular deformation of the subject, and it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플렌옵틱 촬영 장치를 통해 획득되는 플렌옵틱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과 비용은 줄이면서, 보는 시점에 따라 서로 다른 3차원 형태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lasses-free multi-viewpoint that can provide different three-dimensional content depending on the viewing point of view while reducing time and cost by using plenoptic image data acquired through a plenoptic imaging device. The object is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display visualization method and device.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장치에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영상을 가시화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방법은 플렌옵틱 촬영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에 대한 플렌옵틱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각 동영상에 대한 플렌옵틱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레임별로 플렌옵틱 공간분할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각 동영상에 대한 프레임별 플렌옵틱 공간분할 영상을 이용하여 각 동영상에 대해 프레임별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 가능한 시점 수에 해당되는 다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각 동영상에 대응하는 프레임별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시점별로 서로 다른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ethod of visualizing an image through a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is provided. The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method includes obtaining plenoptic image data for at least one video from a plenoptic imaging device, and generating plenoptic spatial division images for each frame using plenoptic image data for each video. Step, generating a multi-view imag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viewpoint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 each frame for each video using a plenoptic spatial division image for each video, and corresponding to each video It includes the step of playing different videos for each viewpoint using a multi-view video for each frame.

실시 예에 의하면, 기존의 메쉬 기반의 입체영상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반사재질(금속, 액체, 유리 등), 피사체의 불규칙적인 변형(음식의 커팅 등), 실사 입체동영상 등을 플렌옵틱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한 후, 플렌옵틱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플렌옵틱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용으로 시점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무안경 입체 다시점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실감나는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보는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고분야에서 널리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lective materials (metal, liquid, glass, etc.), which are difficult to implement in existing mesh-based stereoscopic images, irregular deformation of the subject (cutting of food, etc.), and live-action stereoscopic video are captured using a plenoptic imaging device. After shooting, the plenoptic image data acquired from the plenoptic imaging device is used to generate a viewpoint image for a glasses-free multi-viewpoint stereoscopic display, effectively providing realistic three-dimensional images to users through a glasses-free stereoscopic multiview display. It can provide different stereoscopic images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widely used in the advertising field.

도 1은 한 실시 예에 따른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플렌옵틱 촬영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장치를 통해 재생되는 하나의 동영상에 대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관찰된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장치를 통해 재생되는 복수의 동영상에 대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관찰된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실제 적용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가시화를 위해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시점별 할당된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lenoptic imaging device.
FIG. 3 is a diagram showing images observed from different directions for one video played through the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device shown in FIG. 1.
FIG. 4 is a diagram showing images observed from different directions for a plurality of videos played through the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device shown in FIG. 1.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actual application example of Figure 4.
FIG. 6 is a diagram showing images allocated to each viewpoint for one frame for the visualization of FIG. 5.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a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Now, a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method an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한 실시 예에 따른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플렌옵틱 촬영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ostereoscopic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lenoptic imaging device.

도 1을 참고하면,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렌옵틱 영상 처리부(110), 시점 영상 할당부(120), 합성 렌더링부(130) 및 재생부(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glasses-free multi-viewpoint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plenoptic image processing unit 110, a viewpoint image allocation unit 120, a composite rendering unit 130, and a playback unit 140.

플렌옵틱 영상 처리부(110)는 플렌옵틱 촬영 장치(10)로부터 획득한 하나의 신(scene)에 대한 플렌옵틱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 가능한 시점 수에 해당되는 하나의 신(scene)에 대한 다시점 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신은 동영상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하나의 독립된 콘텐츠를 나타낸다. The plenoptic image processing unit 110 provides one viewpoin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viewpoint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based on the plenoptic image data for one scene acquired from the plenoptic imaging device 10. Create a multi-view image of a scene. Here, God may mean a video and represents a single piece of independent content.

구체적으로, 플렌옵틱 영상 처리부(110)는 플렌옵틱 영상 획득부(111), 플렌옵틱 영상 저장부(112), 공간분할 영상 생성부(113), 공간분할 영상 저장부(114) 및 시점 영상 생성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lenoptic image processing unit 110 includes a plenoptic image acquisition unit 111, a plenoptic image storage unit 112, a spatial division image generation unit 113, a spatial division image storage unit 114, and a viewpoint image generation unit. It may include unit 115.

플렌옵틱 영상 획득부(111)는 플렌옵틱 촬영 장치(10)로부터 하나의 동영상에 대한 플렌옵틱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The plenoptic image acquisition unit 111 acquires plenoptic image data for one video from the plenoptic imaging device 10.

플렌옵틱 촬영 장치(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1)가 배열되어 있는 카메라 어레이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plenoptic imaging device 10 includes a camera array in which a plurality of cameras 1 are arranged.

복수의 카메라(1)는 피사체(20)를 촬영하여 하나의 동영상을 생성한다. 플렌옵틱 영상 획득부(111)는 복수의 카메라(1)에 의해 각각 촬영된 복수 개의 플렌옵틱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cameras 1 captures a subject 20 and creates a video. The plenoptic image acquisition unit 111 may acquire a plurality of plenoptic image data each captured by a plurality of cameras 1.

다시, 도 1을 보면, 플렌옵틱 촬영 장치(10)로부터 획득된 하나의 동영상에 대한 플렌옵틱 영상 데이터는 플렌옵틱 영상 저장부(112)에 저장된다.Referring again to FIG. 1, plenoptic image data for one video acquired from the plenoptic imaging device 10 is stored in the plenoptic image storage unit 112.

플렌옵틱 영상 데이터는 좌표계(θ, Φ, λ, t, x, y, z,)에 대한 세기(intensity)로 표현이 가능하며, θ과 Φ는 빛의 방향을 나타내고, λ는 파장(컬러)을 나타내며, t는 시간을 나타낸다. (x, y, z)은 관측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낸다.Plenoptic image data can be expressed as intensity with respect to a coordinate system (θ, Φ, λ, t, x, y, z,), where θ and Φ represent the direction of light, and λ is the wavelength (color). , and t represents time. (x, y, z) represents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observer.

플렌옵틱 영상 데이터는 플렌옵틱 촬영 장치(10)로부터 촬영된 영상이 그대로 플렌옵틱 영상 저장부(112)에 저장되므로, 플렌옵틱 영상 데이터로는 임의의 3차원 위치(x, y, z)에서의 영상 합성을 수행하기 어렵다. Since the plenoptic image data is stored in the plenoptic image storage unit 112 as is the image captured by the plenoptic imaging device 10, the plenoptic image data includes images taken at any three-dimensional position (x, y, z). Video compositing is difficult to perform.

임의의 3차원 위치(x, y, z)에서의 영상 합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공간분할 영상 생성부(113)에서는 플렌옵틱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플렌옵틱 공간분할 영상을 생성한다. 공간분할 영상 생성부(113)는 카메라별 플렌옵틱 영상 데이터를 거리별로 카메라에 가까운 위치부터 먼 위치까지 화면 내에 존재하는 객체들을 분할하여, 거리별 플렌옵틱 공간분할 영상을 생성한다. In order to facilitate image synthesis at arbitrary 3D positions (x, y, z), the spatial division image generator 113 generates a plenoptic spatial division image using plenoptic image data. The spatial division image generator 113 divides the plenoptic image data for each camera into objects existing on the screen from a position close to the camera to a position far from the camera by distance, and generates a plenoptic spatial division image for each distance.

하나의 동영상에 대한 각 카메라의 거리별 플렌옵틱 공간분할 영상은 저장부(114)에 저장된다. Plenoptic spatial division images for each camera distance for one video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4.

시점 영상 생성부(115)는 하나의 동영상에 대한 각 카메라의 거리별 플렌옵틱 공간분할 영상을 기반으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 가능한 시점 수에 해당되는 다시점 영상을 생성한다. The viewpoint image generator 115 generates a multi-viewpoint imag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viewpoint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glasses-free multi-viewpoint stereoscopic display device based on the plenoptic spatial division image for each distance of each camera for one video.

이렇게 하여, 플렌옵틱 영상 처리부(110)는 하나의 동영상으로부터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 가능한 시점 수에 해당되는 프레임별 다시점 영상을 생성한다. In this way, the plenoptic image processing unit 110 generates a multi-view image for each fram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viewpoints that the autostereoscopic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an provide from one video.

또한 복수의 플렌옵틱 영상 처리부(110)를 통해 병렬로 복수의 동영상 각각으로부터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 가능한 시점 수에 해당되는 프레임별 다시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 multi-viewpoint image for each fram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viewpoint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autostereoscopic multi-viewpoint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an be genera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videos in parallel through the plurality of plenoptic image processing units 110.

이와 달리, 하나의 플렌옵틱 영상 처리부(110)를 통해 순차적인 방법으로 복수의 동영상 각각으로부터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 가능한 시점 수에 해당되는 프레임별 다시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In contrast, a single plenoptic image processing unit 110 can generate a multi-view image for each fram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viewpoint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autostereoscopic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from each of a plurality of videos in a sequential manner.

시점 영상 할당부(120)는 하나의 동영상에 대응하는 프레임별 다시점 영상을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가시화하기 위해, 프레임별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시점 위치에 해당 동영상의 시점 영상을 할당한다.In order to visualize the multi-viewpoint image for each frame corresponding to one video through the unglasses multi-viewpoint stereoscopic display device, the viewpoint image allocation unit 120 assigns the corresponding video to each viewpoint position of the autoglasses multi-viewpoint 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 each frame. Allocate a viewpoint image.

시점 영상 할당부(120)는 복수의 동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별 다시점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동영상을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가시화하기 위해, 프레임별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시점 위치에 어느 하나의 동영상의 시점 영상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FOV(Field of View)가 45도이고 시점의 개수가 45개이고, A와 B 동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별 45개의 다시점 영상이 생성된 것으로 가정한다. 영상 할당부(120)는 프레임별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하는 45개의 시점 각각에 대하여 45개의 해당 시점 영상을 할당함에 있어서, 프레임별로 1부터 22의 시점 위치 각각에는 A 동영상에서 해당 프레임의 1부터 22의 시점 영상을 할당하고, 프레임별로 23부터 45의 시점 위치 각각에는 B 동영상에서 해당 프레임의 23부터 45의 시점 영상을 할당한다. The viewpoint image allocation unit 120 selects each frame of the unglasses multi-viewpoint stereoscopic display device from the multi-viewpoint image for each fram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ideos, in order to visualize the plurality of videos through the autostereoscopic multi-viewpoint stereoscopic display device. The viewpoint image of any one video can be assigned to the viewpoint position. For example, assume that the field of view (FOV) of a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is 45 degrees, the number of viewpoints is 45, and 45 multi-view images are generated for each fram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 and B videos. . The image allocation unit 120 allocates 45 corresponding viewpoint images for each of the 45 viewpoints provided by the glasses-free multi-viewpoint 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 each frame, and each viewpoint position from 1 to 22 for each frame contains the corresponding frame in the A video. The viewpoint images from 1 to 22 are assigned, and the viewpoint images from 23 to 45 of the corresponding frame in the B video are assigned to each viewpoint position from 23 to 45 for each frame.

합성 렌더링부(130)는 프레임별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시점 위치에 할당된 시점 영상을 합성하여 각 시점에 해당되는 동영상을 생성한다. The composite rendering unit 130 synthesizes the viewpoint images assigned to each viewpoint position of the autostereoscopic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 each frame and generates a video corresponding to each viewpoint.

재생부(140)는 각 시점에 해당되는 동영상을 재생한다. 재생부(140)는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The playback unit 140 plays the video corresponding to each viewpoint. The playback unit 140 includes a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영상 할당부(120)에 의해 하나의 동영상에 대응하는 프레임별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프레임별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시점 위치에 해당 동영상의 시점 영상을 할당하면, 재생부(140)에 의해 해당 동영상이 시점별로 재생된다. If the image allocation unit 120 allocates the viewpoint image of the video to each viewpoint position of the autostereoscopic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 each frame using the multi-viewpoint image for each frame corresponding to one video, the playback unit 140 The video is played at each viewpoint.

한편, 영상 할당부(120)에 의해 복수의 동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별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프레임별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시점 위치에 서로 다른 동영상의 시점 영상이 할당되면, 재생부(140)에 의해 해당 동영상이 시점별로 재생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보는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동영상이 보여지게 된다. Meanwhile, when different viewpoint images of a video are assigned to each viewpoint position of the autostereoscopic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 each frame by the video allocation unit 120 using the multi-viewpoint image for each fram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ideos, the video is played. The video is played from each viewpoint by the unit 140, and at this time, different videos are displayed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장치를 통해 재생되는 하나의 동영상에 대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관찰된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3 is a diagram showing images observed from different directions for one video played through the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device shown in FIG. 1.

도 3을 보면,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장치(100)는 하나의 동영상에 대응하는 프레임별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시점별 동영상을 생성하고, 시점별 동영상을 재생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device 100 generates a video for each viewpoint using a multi-view image for each frame corresponding to one video, and plays the video for each viewpoint.

그러면, 사용자는 보는 방향(a, b, c)에 따라 양 쪽 눈에 서로 다른 시점 영상이 보여지게 된다. Then, the user sees images from different viewpoints in both eyes depending on the viewing direction (a, b, c).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장치를 통해 재생되는 복수의 동영상에 대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관찰된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showing images observed from different directions for a plurality of videos played through the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device shown in FIG. 1.

도 4를 참고하면,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장치(100)는 복수의 동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별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시점별 서로 다른 동영상을 재생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device 100 plays different videos for each viewpoint using multi-view images for each frame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videos.

예를 들면,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45개의 시점 수를 가지고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1부터 45의 시점 인덱스를 할당한다고 가정할 때, 1부터 22의 시점 위치에서는 A 동영상을 재생하고, 23부터 45의 시점 위치에서는 B 동영상을 재생한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a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has 45 viewpoints and allocates viewpoint indices from 1 to 45 from left to right, A video is played at viewpoint positions from 1 to 22, and viewpoints from 23 to 45 are played. The B video is played at this location.

그러면, 사용자는 a 방향에서 양 쪽 눈에 A 동영상의 서로 다른 시점 영상이 보여지고, c 방향에서는 양 쪽 눈에 B 동영상의 서로 다른 시점 영상이 보여지게 된다. 한편, b 방향에서는 양 쪽 눈에 A 동영상의 시점 영상과 B 동영상의 시점 영상이 같이 보여질 수 있다. Then, the user sees different viewpoint images of video A in both eyes in direction a, and different viewpoint images of video B in both eyes in direction c. Meanwhile, in direction b, the viewpoint image of video A and the viewpoint image of video B may be displayed to both eyes.

도 5는 도 4의 실제 적용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actual application example of Figure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장치(100)는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보는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동영상(C, D)의 시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glasses-free multi-viewpoint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device 100 can provide images from different viewpoints of the video (C, D)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through the glasses-free multi-viewpoint stereoscopic display device. there is.

도 6은 도 5의 가시화를 위해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시점별 할당된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showing images allocated to each viewpoint for one frame for the visualization of FIG. 5.

도 6을 참고하면,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장치(100)는 프레임별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1부터 22의 시점 위치에는 C 동영상에서 해당 프레임의 1부터 22의 시점 영상을 각각 할당하고, 프레임별로 23부터 45의 시점 위치에는 B 동영상에서 해당 프레임의 23부터 45의 시점 영상을 각각 할당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glasses-free multi-viewpoint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device 100 allocates the video from viewpoints 1 to 22 of the corresponding frame in the C video to viewpoint positions 1 to 22 of the autoglasses multi-viewpoint 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 each frame. And, for each frame, the video from viewpoints 23 to 45 of the corresponding frame in the B video is assigned to viewpoint positions 23 to 45, respectively.

이렇게 하면,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보는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동영상(C, D)의 시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ovide images from different viewpoints of the video (C, D)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as shown in FIG. 5.

또한 동일한 동영상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1부터 22의 시점으로 움직이면, 여러 각도에 따른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Additionally, if the user moves from viewpoint 1 to 22 of the same video, a three-dimensional effect can be felt from various angles.

또한 플렌옵틱 촬영 장치(10)에서 촬영할 때, 배경을 유지하면서 서로 다른 동영상을 생성하면, 공간감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우동 그릇에 기본 우동, 튀김 우동, 카레 우동, 김치 우동 등 다양한 우동 메뉴를 촬영하여 복수의 동영상을 생성한다고 가정할 때, 우동 그릇 및 테이블과 같은 배경은 고정시키고 우동 그릇에 담기는 우동만을 메뉴에 따라 변경한 후 플렌옵틱 촬영 장치(10)를 통해 촬영한다. 이렇게 촬영된 각각의 우동 메뉴에 따른 복수의 동영상은 도 1에서 설명한 과정을 거쳐 프레임별 다시점 영상이 생성되고, 복수의 동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별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시점별 서로 다른 동영상이 가시화된다. Additionally, when shooting with the plenoptic imaging device 10, the sense of space can be maintained as much as possible by creating different videos while maintaining the background. For example, assuming that you want to create multiple videos by filming various udon menu items such as basic udon, tempura udon, curry udon, and kimchi udon in one udon bowl, the background such as the udon bowl and table are fixed and the udon bowl is Only the udon being place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enu and then photographed using the plenoptic photographing device (10). The plurality of videos according to each udon menu filmed in this way are multi-viewpoint images for each frame are generated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in FIG. 1, and different videos for each viewpoint are created using the multi-viewpoint images for each fram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ideos. It becomes visible.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a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고하면, 플렌옵틱 영상 처리부(110)는 플렌옵틱 촬영 장치(10)로부터 하나의 동영상에 대한 플렌옵틱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S710). Referring to FIG. 7, the plenoptic image processing unit 110 acquires plenoptic image data for one video from the plenoptic imaging device 10 (S710).

플렌옵틱 영상 처리부(110)는 하나의 동영상에 대한 플렌옵틱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레임별로 플렌옵틱 공간분할 영상을 생성한다(S720).The plenoptic image processing unit 110 generates a plenoptic spatial division image for each frame using plenoptic image data for one video (S720).

플렌옵틱 영상 처리부(110)는 프레임별로 플렌옵틱 공간분할 영상을 이용하여 프레임별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 가능한 시점 수에 해당되는 다시점 영상을 생성한다(S730). The plenoptic image processing unit 110 uses the plenoptic spatial division image for each frame to generate a multi-view imag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viewpoint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 each frame (S730).

이렇게 하여, 하나의 동영상에 대한 프레임별 다시점 영상을 생성한다. In this way, a multi-view image is generated for each frame of one video.

플렌옵틱 영상 처리부(110)는 합성하고자 하는 다른 동영상이 존재하면(S740), 다른 동영상에 대해서도 앞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동영상에 대한 프레임별 다시점 영상을 생성한다. If there is another video to be synthesized (S740), the plenoptic image processing unit 110 generates a multi-view image for each frame for the other video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다음, 시점 영상 할당부(120)는 복수의 동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별 다시점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동영상을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가시화하기 위해, 프레임별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시점 위치에 어느 하나의 동영상의 시점 영상을 할당한다(S750). Next, the viewpoint image allocation unit 120 selects the multi-viewpoint image for each fram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ideos, to visualize the plurality of videos through the autostereoscopic multi-viewpoint stereoscopic display device, frame by frame. A viewpoint image of one video is assigned to each viewpoint position in (S750).

합성 렌더링부(130)는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시점 위치에 할당된 프레임별 시점 영상을 합성하여 각 시점에 해당되는 동영상을 생성한다(S760). The synthesis rendering unit 130 synthesizes the viewpoint images for each frame assigned to each viewpoint position of the autostereoscopic multi-viewpoint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generates a video corresponding to each viewpoint (S760).

재생부(140)는 각 시점에 해당되는 동영상을 재생한다.The playback unit 140 plays the video corresponding to each viewpoint.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8을 참고하면,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장치(800)는 앞에서 설명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방법이 구현된 컴퓨팅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glasses-free multi-viewpoint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device 800 may represent a computing device that implements the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method described above.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장치(800)는 프로세서(810), 메모리(82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83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840), 저장 장치(85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8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공통 버스(bus)(8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공통 버스(870)가 아니라, 프로세서(8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The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device 800 includes at least a processor 810, a memory 820, an input interface device 830, an output interface device 840, a storage device 850, and a network interface device 860. It can contain one. Each component is connected by a common bus 870 and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dditionally,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through an individual interface or individual bus centered on the processor 810, rather than the common bus 870.

프로세서(810)는 AP(Application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모리(820) 또는 저장 장치(85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임의의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20) 및 저장 장치(85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810)는 도 1에서 설명한 플렌옵틱 영상 처리부(110), 시점 영상 할당부(120), 합성 렌더링부(130) 및 재생부(140)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메모리(820)에 저장하여, 도 1 내지 도 7을 토대로 설명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81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such as an Application Processor (AP), Central Processing Unit (CPU), Graphic Processing Unit (GPU), etc., and executes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820 or storage device 850. It may be any semiconductor device. The processor 810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820 and the storage device 850. This processor 810 has a program memory memory for implementing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plenoptic image processing unit 110, the viewpoint image allocation unit 120, the composite rendering unit 130, and the reproduction unit 140 described in FIG. 1. By storing it in 820, it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the operations described based on FIGS. 1 to 7.

메모리(820) 및 저장 장치(85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820)는 ROM(read-only memory)(821) 및 RAM(random access memory)(82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20) 또는 저장 장치(850)는 플렌옵틱 영상 저장부(112) 및 공간분할 영상 저장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20)는 프로세서(8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메모리(820)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810)와 연결될 수 있다. Memory 820 and storage device 85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the memory 820 may include a read-only memory (ROM) 821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822. The memory 820 or storage device 850 may include a plenoptic image storage unit 112 and a spatial division image storage unit 114. The memory 820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810, and the memory 820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 810 through various known means.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830)는 데이터를 프로세서(81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The input interface device 830 is configured to provide data to the processor 81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840)는 프로세서(810)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The output interface device 840 is configured to output data from the processor 8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860)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device 860 can transmit or receive signals with other devices through a wired network or wireless network.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방법 중 적어도 일부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At least some of the autostereoscopic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software running on a computing device, and the program or software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방법 중 적어도 일부는 컴퓨팅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 autostereoscopic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mputing device.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개시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개시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ossible.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rights.

Claims (1)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장치에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영상을 가시화하는 방법에서,
플렌옵틱 촬영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에 대한 플렌옵틱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각 동영상에 대한 플렌옵틱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레임별로 플렌옵틱 공간분할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각 동영상에 대한 프레임별 플렌옵틱 공간분할 영상을 이용하여 각 동영상에 대해 프레임별로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 가능한 시점 수에 해당되는 다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각 동영상에 대응하는 프레임별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시점별로 서로 다른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안경 다시점 입체 디스플레이 가시화 방법.
In a method of visualizing an image through a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Obtaining plenoptic image data for at least one video from a plenoptic imaging device,
Generating a plenoptic spatial segmentation image for each frame using plenoptic image data for each video,
A step of generating a multi-view imag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viewpoint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 each frame of each video using a plenoptic spatial division image for each frame, and
A step of playing different videos for each viewpoint using multi-view images for each frame corresponding to each video.
A glasses-free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visualization method comprising:
KR1020220064815A 2022-05-26 2022-05-26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glass-free multiview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KR2023016499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815A KR20230164990A (en) 2022-05-26 2022-05-26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glass-free multiview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815A KR20230164990A (en) 2022-05-26 2022-05-26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glass-free multiview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990A true KR20230164990A (en) 2023-12-05

Family

ID=8915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815A KR20230164990A (en) 2022-05-26 2022-05-26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glass-free multiview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499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6639B2 (en) Virtual/augmented reality system having dynamic region resolution
US20180192033A1 (en) Multi-view scene flow stitching
JP4489610B2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method
Schmidt et al. Multiviewpoint autostereoscopic dispays from 4D-Vision GmbH
CN108141578B (en) Presentation camera
Balram et al. Light‐field imaging and display systems
US20150002636A1 (en) Capturing Full Motion Live Events Using Spatially Distributed Depth Sensing Cameras
JPWO2012176431A1 (en) Multi-viewpoint image generation apparatus and multi-viewpoint image generation method
JP2017532847A (en) 3D recording and playback
JP2010039501A (en) Method for generating free viewpoint video image in three-dimensional movement, and recording medium
US202302837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three-dimensional content
Pereira et al. Plenoptic imaging: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Cserkaszky et al. Light-field capture and display systems: limitations, challenges, and potentials
CN110730340B (en) Virtual audience display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based on lens transformation
KR101212223B1 (en) Device taking a picture and method to generating the image with depth information
KR20000041329A (en) Stereoscopic image converting method and apparatus
US11710256B2 (en) Free-viewpoint method and system
Jung et al. Ray-space360: An extension of ray-space for omnidirectional free viewpoint
JP2015043187A (en) Image generation device and image generation program
KR10201987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360 VR images in a game using a virtual camera
KR102019880B1 (en) 360 VR image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istributed virtual camera
KR202301649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glass-free multiview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JPWO2018186287A1 (en) Video data generating device, video reproducing device, video data generating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eong et al. Efficient light-field rendering using depth maps for 100-mpixel multi-projection 3D display
Park et al. Universal view synthesis unit for glassless 3D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