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4881A - Custom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 Google Patents

Custom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4881A
KR20230164881A KR1020220064578A KR20220064578A KR20230164881A KR 20230164881 A KR20230164881 A KR 20230164881A KR 1020220064578 A KR1020220064578 A KR 1020220064578A KR 20220064578 A KR20220064578 A KR 20220064578A KR 20230164881 A KR20230164881 A KR 20230164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stical
angle
base portion
custom
orthodontic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5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4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4881A/en
Publication of KR2023016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48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일면이 대상치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며, 일 방향으로 정렬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의 토크각은 다수의 대상치들의 경사각의 통계적 분포로부터 얻은 복수개의 통계 그룹들 중에 상기 대상치가 속하는 통계 그룹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바디부에 대하여 상기 토크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which includes a base portion on one side of which is attached to a target tooth, a body portion that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has a slot into which an orthodontic wire is inserted, and is aligned in one direction. The torque angle of the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is determined based on a statistical group to which the target tooth belongs among a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obtained from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inclination angles of a plurality of target teeth, and the base portion provides the torque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We provide customized, off-the-shelf orthodontic brackets that are positioned to form an angle.

Description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 {CUSTOM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CUSTOM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본 발명은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형태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s, and more specifically, to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s that can be mass-produced in a certain form.

인체의 구강 내에 존재하는 치아들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기형 요인에 의해서 치아 배열(치열)이 고르지 못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렇게 치열이 고르지 못한 상태를 부정교합이라 하는 데, 이러한 부정교합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외모에 악영향을 미치는 심미적인 문제와, 음식 섭취나 부정확한 발음의 언어 구사 등 기능적인 문제를 야기한다.Teeth present in the human oral cavity may have uneven tooth alignment (dentition) due to congenital or acquired deformity factors. This condition in which the teeth are uneven is called malocclusion, and this malocclusion causes aesthetic problems that adversely affect human appearance in human life, as well as functional problems such as food intake and incorrect pronunciation of language.

이러한 부정교합을 교정하는 치과 치료 수단으로서 치아에 지속적인 힘을 가하여 치아를 둘러싼 치조골의 개조와 함께 치아의 이동을 발생시키는 교정 브라켓과 와이어가 사용되고 있다.As a dental treatment method for correcting such malocclusion, orthodontic brackets and wires are used to apply continuous force to the teeth to cause movement of the teeth along with remodeling of the alveolar bone surrounding the teeth.

구체적으로는, 교정 브라켓은 치아에 부착되며, 와이어는 교정 브라켓과 결합하여 교정 브라켓에 지속적인 힘을 가한다. 여기서, 교정 브라켓은 상악 및 하악의 치아 각각에 배치되므로, 복수 개가 사용되고, 복수 개의 교정 브라켓은 와이어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치아는 좌측 어금니에서부터 우측 어금니까지 곡선형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와이어도 치아의 배열에 대응하여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와이어가 치아에 부착된 브라켓에 힘을 가하여, 치조골을 개조하므로, 치아가 이동하여 치열이 교정된다.Specifically, the orthodontic bracket is attached to the teeth, and the wire combines with the orthodontic bracket to apply continuous force to the orthodontic bracket. Here, since the orthodontic brackets are placed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a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are used, and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ires. Since the teeth are arranged in a curved shape from the left molar to the right molar, the wire is also formed in an arch shape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These wires apply force to the brackets attached to the teeth, remodeling the alveolar bone, so the teeth move and the alignment is corrected.

한편, 종래의 기성 교정 브라켓은 일정한 형태로 정형화되어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환자마다 치아의 형상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를 고려하지 않고 정형화된 교정 브라켓을 부착시켜 놓고 교정을 하여 교정의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standardized and mass-produced, making them inexpensive. However, although the shape of the teeth is different for each pati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orthodontic treatment is reduced by attaching standardized orthodontic brackets without considering this.

맞춤형 교정 브라켓은 환자의 치아에 맞추어 제작하므로 교정의 효율이 좋지만,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고, 고가인 단점이 있었다.Customized orthodontic brackets are highly efficient in orthodontic treatment because they are manufactured to fit the patient's teeth, but they have the disadvantage of being expensive and impossible to mass produc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환자를 커버하며 일정한 형태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that covers a large number of patients and can be mass-produced in a certain shap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일면이 대상치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며, 일 방향으로 정렬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의 토크각은 다수의 대상치들의 경사각의 통계적 분포로부터 얻은 복수개의 통계 그룹들 중에 상기 대상치가 속하는 통계 그룹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바디부에 대하여 상기 토크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comprising a base portion on one side of which is attached to a target tooth, a body portion that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has a slot into which an orthodontic wire is inserted, and is aligned in one direction; , the torque angle of the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is determined based on the statistical group to which the target tooth belongs among a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obtained from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inclination angles of a plurality of target teeth, and the base portion has the torque angle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Provided is a customized, off-the-shelf orthodontic bracket that is arranged to form a.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상치들의 경사각은, 중절치의 중심점과 제 1 대구치의 FA점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평면이 대상치의 순면과 이루는 각도 또는 중절치의 중심점과 제 2 소구치의 FA점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평면이 대상치의 순면과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arget teeth is the angle formed by the labial surface of the target tooth with a plane orthogonal to the plane including the center point of the central incisor and the FA point of the first molar, or the center point of the central incisor and the FA point of the second premolar. It may be an angle formed by a plane orthogonal to the containing plane and the labial surface of the target tooth.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상치의 치아 종류는 상악 중절치, 상악 측절치, 상악 견치, 상악 소구치, 상악 제 1 대구치, 하악 4 전치, 하악 견치, 하악 제 1 소구치, 하악 제 2 소구치, 하악 제 1 대구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ooth types of the target teeth are maxillary central incisors, maxillary lateral incisors, maxillary canines, maxillary premolars, maxillary first molars, mandibular 4th incisors, mandibular canines, mandibular first premolars, mandibular second premolars, and mandibular first molar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계적 분포는 기성 교정 브라켓으로 교정한 환자의 대상치에 대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may be for target values of a patient corrected with a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계 그룹들은, 서로 연속하며 상기 통계적 분포를 90% 이상 커버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may be defined to be continuous with each other and cover more than 90% of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토크각은 상기 복수개의 통계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통계 그룹의 중앙값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orque angle may be the median of one statistical group among the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대상치 사이에는 접착제가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베이스부가 치아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하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A ≤ θ ≤ A” 를 만족하는 소정의 각도(θ)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정의 각도(θ)의 경계값(±A)은 상기 접착제의 인장접착강도 및 전단접착강도 중 하나 이상이 최대로 나타나는 각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n adhesive is formed between the base portion and the target tooth, and the adhesive is “-A ≤ θ ≤ A” based on the vertical length of the base portion while the base portion is fixed to the tooth. It is formed to form a satisfying predetermined angle (θ), and the boundary value (±A) of the predetermined angle (θ) may be an angle at which one or more of the tensile adhesive strength and shear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is maximiz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계 그룹의 단위 각도 밴드는 상기 소정의 각도의 범위(2A) 이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nit angle band of the statistical group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2A).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 대상치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를 90%이상 커버하는 복수의 통계 그룹으로부터 교정 브라켓의 토크각을 결정하기 때문에, 기성 교정 브라켓임에도 맞춤형 교정 브라켓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orque angle of the correction bracket is determined from a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covering more than 90% of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of each target tooth, the effect of a customized correction bracket can be expected even though it is an off-the-shelf correction bracket. .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상악 및 하악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대상치들의 경사각 측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기준평면에 기초한 대상치들의 경사각의 측정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의 베이스부 일면에 형성된 접착제가 이루는 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치들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에 대해서 통계 그룹을 구분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은 상악 중절치의 경사각의 통계적 분포로부터 결정된 토크각을 가지는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upper and lower jaw.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reference plane that serves as a standard for measuring inclination angles of target teeth.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measurement positions of inclination angles of target teeth based on the reference plane.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angle formed by the adhesive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of a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Figures 7 to 16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the results of classifying statistical groups for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inclination angles of target tee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7 relates to a customized off-the-shelf orthodontic bracket with a torque angle determined from a statistical distribution of inclination angles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와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해당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은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단계를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만 해석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but the components or step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ordinal numbers. . 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hould be interpret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or step from other components or step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사시도이다. 도 1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은 베이스부(110) 및 바디부(1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portion 110 and a body portion 120.

베이스부(1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인 치아부착면(111)은 접착제에 의해 치아에 부착된다. 이때, 베이스부(120)는 치아의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치아의 전면은 입술을 바라보는 치아의 표면이고, 치아의 후면은 전면의 반대쪽 면으로서, 혀를 바라보는 치아의 표면을 의미한다.The base portion 1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one surface,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is attached to the tooth with an adhesive. At this time, the base portion 120 may be attached to the back as well as the front of the tooth. Here, the front of the tooth is the surface of the tooth facing the lips, and the back of the tooth is the surface opposite the front, meaning the surface of the tooth facing the tongue.

또한, 베이스부(110)의 치아부착면(111)은 치아에 보다 잘 부착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부(110)의 치아부착면(111)은 평면으로 형성되어도 좋다.Additionally,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ortion 110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so that it can be better attached to the tooth.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ortion 110 may be formed as a flat surface.

한편, 바디부(120)는 베이스부(110)의 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와이어가 수용되는 슬롯(121)을 구비한다. 여기서, 슬롯(121)은 상측이 개구되도록, 바디부(120)의 외면으로부터 베이스부(110)의 치아부착면(111)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슬롯(121)의 바닥면은 바디부(120)의 양측면으로 연장되는 근원심장축(X)을 따라 수평하도록 형성되며, 슬롯(121)의 벽면은 바닥면의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바디부(120)의 돌출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Meanwhile, the body portion 120 protrudes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10 and has a slot 121 for receiving a wire. Here, the slot 121 is formed by being recessed in a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0 toward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ortion 110 so that the upper side is open. In detail, the bottom surface of the slot 121 is formed to be horizontal along the mesiocardial axis (X)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20, and the walls of the slot 121 extend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to the body. It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portion 120.

아울러, 슬롯(121)에 와이어가 삽입되면 바디부(120)와 와이어가 서로 결합된다. 이때, 슬롯(121)은 와이어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슬롯(121)의 벽면은 와이어의 외주면에 밀착된다.In addition, when a wire is inserted into the slot 121, the body portion 120 and the wire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slot 12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re, and as a result, the wall surface of the slot 1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은 상기 바디부(120)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슬롯(121) 내부에 와이어를 수용 및 지지할 수 있는 클립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20 and further includes a clip portion 130 capable of receiving and supporting a wire inside the slot 121. can do.

클립부(130)의 일단에는 베이스부(110)와 바디부(120)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13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고리 형상의 후크(132)가 형성된다. 클립부(130)가 바디부(120)에 조립되면, 후크(132)는 슬롯(121)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함으로써, 상기 후크(132)의 단부 내면에 와이어의 상단이 지지된다. 즉, 슬롯(121)에 와이어가 삽입되면, 후크(132)의 단부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와이어가 지지될 수 있다.An insertion portion 131 inserted between the base portion 110 and the body portion 12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lip portion 130, and a ring-shaped hook 132 is formed at the other end. When the clip portion 130 is assembled to the body portion 120, the hook 132 covers the open upper side of the slot 121,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wire is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hook 132. That is, when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slot 121, the wire may be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provided from the end of the hook 132.

한편, 교정 브라켓은 와이어의 힘을 이용해서 교정 시에 필요한 힘을 치아에 가하고, 이로 인해 치열교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치아에 가해지는 힘은 토크각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토크각은 교정효율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하에서는, 교정 브라켓의 토크각에 대해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orthodontic brackets use the power of a wire to apply the force necessary for correction to the teeth, thereby achieving orthodontic treatment. At this time, because the force applied to the teeth is determined by the torque angle, the torque angle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s orthodontic efficiency. Below, the torque angle of the correction bracket will be described.

도 2 는 도 1 의 측면도이다. 도 2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슬롯(121)은 베이스부(110)의 치아부착면(111)을 기준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져 토크각(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As shown in FIG. 2, the slot 121 may be formed to have a torque angle α by being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ortion 110.

상세하게는, 슬롯(121)의 바닥면의 근원심장축(X) 방향 중심을 슬롯(121)의 근원심장축(X)에 수직하도록 통과하는 세로축을 이라 하고, 상기 세로축()이 베이스부(110)의 치아부착면(111)과 교차하는 교차점(B)에서의 치아부착면(111)에 대한 접선을 라 하고, 상기 접선()에 수직하는 세로축을 라 할 때, 토크각(α)은 세로축()과 세로축() 사이의 각도이다.In detail, the longitudinal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lot 121 in the direction of the myocardial axis (X)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myocardial axis (X) of the slot 121. Let's say, the vertical axis ( ) is a tangent to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at the intersection point (B) where it intersects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ortion 110. , and the tangent line ( ), the vertical axis is perpendicular to When , the torque angle (α) is the vertical axis ( ) and the vertical axis ( ) is the angle between

즉, 이러한 토크각(α)을 다르게 표현하면, 슬롯(121)의 바닥면과 베이스부(110)의 치아부착면(111)의 접선()에 수직인 세로축() 사이의 각도이다.That is, if this torque angle (α) is expressed differently, the tangent lin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lot 121 and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ortion 110 ( The vertical axis perpendicular to ) ( ) is the angle between

이때, 토크각(α)은, 베이스부(110)의 치아부착면(111)에 접선에 수직인 선()을 기준으로 교합면측으로 기울어지면 양(+)의 값을 갖고, 치은측으로 기울어지면 음(-)의 값을 갖는다.At this time, the torque angle (α) is a line perpendicular to the tangent to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ortion 110 ( ), if it is tilted toward the occlusal side, it has a positive (+) value, and if it is tilted toward the gingiva, it has a negative (-) value.

도 3은 상악 및 하악의 평면도이다. 도 3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악은 중심에서부터 어금니 방향을 따라서, 중절치(U1), 측절치(U2), 견치(U3), 제1 소구치(U4), 제2 소구치(U5), 제 1대구치(U6), 제 2 대구치(U7) 및 제 3 대구치(U8) 순으로 배치된다. 아울러,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은 중심에서부터 어금니 방향을 따라서, 중절치(L1), 측절치(L2), 견치(L3), 제1 소구치(L4), 제2 소구치(L5), 제 1대구치(L6), 제 2 대구치(L7) 및 제 3 대구치(L8)순으로 배치된다.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upper and lower jaw. As shown in Figure 3, the upper jaw is divided from the center along the molar direction by central incisors (U1), lateral incisors (U2), canines (U3), first premolars (U4), second premolars (U5), and first molars (U6). ), second molars (U7), and third molars (U8) are placed in that order. In addition, as shown, the lower jaw follows the molar direction from the center, including central incisors (L1), lateral incisors (L2), canines (L3), first premolars (L4), second premolars (L5), and first molars (L6). ), second molars (L7), and third molars (L8) are placed in that order.

한편, 일반적인 교정 브라켓은 상악 및 하악의 대상치 각각에 배치된다. 교정 브라켓은 대상치의 경사각에 따라 적절한 토크각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하지만, 기성 교정 브라켓은 토크각이 일정하여 교정의 효율이 떨어지고, 맞춤형 교정 브라켓은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고 고가라는 단점이 있었다.Meanwhile, general orthodontic brackets are placed on each of the target teeth of the upper and lower jaw. Orthodontic brackets must be formed to have an appropriate torque angl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arget tooth, but off-the-shelf orthodontic brackets have a constant torque angle, which reduces orthodontic efficiency, and custom orthodontic brackets have the disadvantage of being expensive and impossible to mass produce.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에서는 토크각을 다수의 대상치들의 경사각의 통계적 분포로부터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rque angle is determined from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s of a plurality of target teeth.

이하에서는, 다수의 대상치들의 경사각의 통계적 분포의 측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성 교정 브라켓을 사용하여 부정교합을 치료한 환자의 대상치의 경사각을 측정하였다.Below, a method for measuring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inclination angles of multiple target values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arget teeth of a patient whose malocclusion was treated using an off-the-shelf orthodontic bracket was measured.

도 4 는 대상치들의 경사각 측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평면(R)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각 중절치(U1)의 FA(Facial Axis) 점의 중심점(P1)과, 제 1 대구치의 FA 점(P2, P3)이 속하는 평면을 경사각 측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평면(R)으로 설정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중절치(U1)의 FA 점의 중심점(P1)과, 제 2 소구치의 FA 점이 속하는 평면을 경사각 측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평면(R)으로 설정해도 좋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reference plane (R) that serves as a standard for measuring inclination angles of target teeth. As shown in Figure 4,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point (P1) of the FA (Facial Axis) point of each central incisor (U1) and the plane to which the FA points (P2, P3) of the first molar belong are defined as an inclination angle. It was set as the reference plane (R), which becomes the standard for measurement.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enter point (P1) of the FA point of each central incisor (U1) and the plane to which the FA point of the second premolar belongs may be set as the reference plane (R) that serves as the standard for measuring the inclination angle.

도 5 는 기준평면(R)에 기초한 대상치들의 경사각(β)의 측정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각 대상치의 순면과 상기 기준평면(R)에 직교하는 평면 사이의 각도를 경사각(β)으로 정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대상치의 FACC (, Facial Axis of Clinical Crown)와 상기 기준평면(R)이 교차하는 지점(P4)에서의 상기 대상치에 대한 접선()과 상기 기준평면(R)에 직교하는 Y 축선() 사이의 각도를 대상치의 경사각(β)으로 측정하였다.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measurement posi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β) of target teeth based on the reference plane (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between the labial surface of each target tooth and a plane orthogonal to the reference plane (R) is referred to as the inclination angle (β). ) was defined as. Specifically, the FACC of the target value ( , Facial Axis of Clinical Crown) and the tangent to the target tooth at the point (P4) where the reference plane (R) intersects ( ) and the Y axis orthogonal to the reference plane (R) ( ) was measured as the inclination angle (β) of the target tooth.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에 따르면 상악의 치아를 중절치(U1), 측절치(U2), 견치(U3), 소구치(제 1 소구치(U4)와 제 2 소구치(U5)) 및 제 1 대구치(U6)로 그루핑하고, 하악의 모든 치아를 4전치(중절치(L1)와 측절치(L2)), 견치(L3), 제 1 소구치(L4), 제 2 소구치(L5) 및 제 1 대구치(L6)로 그루핑할 수 있다. 상악 제 2 대구치(U7), 상악 제 3 대구치(U8), 하악 제 2 대구치(L7) 및 하악 제 3 대구치(L8)의 경우 측정의 대상에서 제외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악 중절치(U1), 상악 측절치(U2), 상악 견치(U3), 상악 소구치(U4), 상악 제 1 대구치(U5), 하악 4전치(L1, L2), 하악 견치(L3), 하악 제 1 소구치(L4), 하악 제 2 소구치(L5) 및 하악 제 1 대구치(L6) 중 하나 이상만 포함해도 좋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eth of the upper jaw are divided into central incisor (U1), lateral incisor (U2), canine (U3), and premolar (first premolar (U4) and second premolar (U5). )) and first molar (U6), and all teeth of the lower jaw are grouped into four incisors (central incisor (L1) and lateral incisor (L2)), canine (L3), first premolar (L4), and second premolar (L5). and first molars (L6). The maxillary second molar (U7), maxillary third molar (U8), mandibular second molar (L7), and mandibular third molar (L8) were excluded from measurement,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maxillary central incisor (U1), maxillary lateral incisor (U2), maxillary canine (U3), maxillary premolar (U4), maxillary first molar (U5), mandibular 4 incisors (L1, L2), mandibular canine (L3), mandible It may include only one or more of the first premolar (L4), the lower second premolar (L5), and the lower first molar (L6).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악 중절치(U1), 상악 측절치(U2), 상악 견치(U3), 상악 소구치(U4), 상악 제 1 대구치(U5), 하악 4전치(L1, L2), 하악 견치(L3), 하악 제 1 소구치(L4), 하악 제 2 소구치(L5) 및 하악 제 1 대구치(L6)의 경사각의 통계적 분포로부터 각각의 대상치에 대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토크각이 결정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entral incisor (U1), the upper lateral incisor (U2), the upper canine (U3), the upper premolar (U4), the upper first molar (U5), and the lower 4 incisors (L1, L2) ),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for each target tooth from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mandibular canine (L3), mandibular first premolar (L4), mandibular second premolar (L5), and mandibular first molar (L6) The torque angle can be determin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대상치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를 복수개의 통계 그룹으로 구분하여, 각 통계 그룹에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토크각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각 대상치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는 통상적으로N개(N은 자연수이며 통상적으로 2 내지 9의 숫자가 될 수 있다)의 통계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대상치별로 N 개의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이 결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of each target tooth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and the torque angle of the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100 can be determined in each statistical group. At this time,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of each target tooth can be typically divided into N statistical groups (N is a natural number and can typically be a number from 2 to 9), and accordingly, each target tooth can be divided into N statistical groups. A custom off-the-shelf orthodontic bracket 100 may be determined.

예를 들면, 도 7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악 중절치(U1)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에 대해 서로 연속하도록 형성되는 4개의 통계 그룹이 정의될 수 있고, 이 경우 상악 중절치(U1)에 대해 4개의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이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7, four statistical groups formed to be continuous with each other can be defined for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fo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U1), in which case four customized groups for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U1) An off-the-shelf orthodontic bracket 100 may be determined.

즉,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토크각은 다수의 대상치들의 경사각의 통계적 분포로부터 얻은 복수개의 통계 그룹들 중에 상기 대상치가 속하는 통계 그룹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이다.That is, the torque angle of the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100 is determined based on the statistical group to which the target tooth belongs among a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obtained from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s of a plurality of target teeth.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통계 그룹은 각 대상치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를 60% 이상 커버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통계 그룹은 각 대상치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를 90% 이상 커버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통계 그룹은 서로 연속하도록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접하는 통계 그룹간 그 경계에서 서로 중복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may be defined to cover more than 60% of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for the inclination angle of each target tooth. Preferably, a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may be defined to cover more than 90% of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for the inclination angle of each target tooth. Here, a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may be defined to be continuous with each other, but this is not limited to this, and adjacent statistical groups may overlap at the boundaries.

한편, 도 6 은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베이스부(110) 치아부착면(111)에 형성된 접착제가 이루는 각도를 도시한다. 다만, 도 6에서 접착제의 도포 각도는 대비를 위해 실제보다 과장되어 묘사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의 치아부착면(111)은 접착제에 의해 치아에 부착되는데, 이 때, 접착제가 베이스부(110)에 균일하게 형성되면 대상치에 부여되는 힘은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토크각으로 결정된다. 다만, 접착제가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면 접착제가 이루는 각도도 고려되어야 한다. Meanwhile, Figure 6 shows the angle formed by the adhesive formed on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ortion 110 of the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100. However, in Figure 6, the application angle of the adhesive is depicted as exaggerated than the actual one for comparison. As described above,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ortion 110 is attached to the tooth by an adhesive. At this time, when the adhesive is uniformly formed on the base portion 110, the force applied to the target tooth is a customized, ready-made It is determined by the torque angle of the correction bracket 100. However, when the adhesive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he angle formed by the adhesive must also be considered.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접착제가 베이스부(110)의 치아부착면(111) 상측에 두껍게 형성되어 -θ 의 각도를 형성하면,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토크각보다 θ 만큼 작은 힘을 대상치에 부여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6 (a), when the adhesive is thick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ortion 110 to form an angle of -θ, the torque of the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It is possible to give a force smaller than the angle θ to the target value.

아울러, 도 6(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접착제가 베이스부(110)의 치아부착면(111) 하측에 두껍게 형성되어 +θ의 각도를 형성하면,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토크각보다 θ 만큼 큰 힘을 대상치에 부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b), when the adhesive is thick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ortion 110 to form an angle of +θ, the torque angle is greater than that of the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It is possible to give a force as large as θ to the target value.

한편, 접착제의 두께에 따른 인장응력과 전단응력을 실험해본 결과, 치아에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베이스부(110)의 상하 길이방향이 3.7mm 일 때, 최대 인장접착강도 및 최대전단접착강도는 접착제가 베이스부(110)의 상하 길이방향에 대하여 -3.8° 또는 3.8° 의 각도를 형성할 때 나타났다.Meanwhile, as a result of testing the tensile stress and shear stres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whe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10 is 3.7 mm based on the state fixed to the tooth, the maximum tensile adhesive strength and maximum shear adhesive strength are It appeared when the adhesive formed an angle of -3.8° or 3.8°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10.

즉, 접착제의 각도를 조절하면 대상치 경사각의 통계적 분포에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토크각의 ±3.8° 내의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110)의 상하 길이방향이 3.7mm 일 때, 통계 그룹은 약 7.6° 이하의 단위 각도 밴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adhesive, it is possible to cover an area within ±3.8° of the torque angle of the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100 in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target tooth inclination angle. Therefore, whe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10 is 3.7 mm, it is desirable for the statistical group to have a unit angle band of about 7.6° or less.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부(110)의 상하 길이방향에 따라 통계 그룹의 단위 각도 밴드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베이스부(110)의 상하 길이방향이 3.0mm 일 때 최대 인장응력과 최대 전단응력은 접착제가 -4.7° 또는 +4.7° 로 형성될 때 나타나므로, 통계 그룹은 약 9.4° 이하의 단위 각도 밴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상하 길이방향이 3.1mm 일 때 최대 인장응력과 최대 전단응력은 접착제가 -4.6° 또는 +4.6° 로 형성될 때 나타나므로, 통계 그룹은 약 9.2° 이하의 단위 각도 밴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상하 길이방향이 3.2mm 일 때 최대 인장응력과 최대 전단응력은 접착제가 -4.4° 또는 +4.4° 로 형성될 때 나타나므로, 통계 그룹은 약 8.8° 이하의 단위 각도 밴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상하 길이방향이 3.3mm 일 때 최대 인장응력과 최대 전단응력은 접착제가 -4.3° 또는 +4.3° 로 형성될 때 나타나므로, 통계 그룹은 약 8.6° 이하의 단위 각도 밴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상하 길이방향이 3.4mm 일 때 최대 인장응력과 최대 전단응력은 접착제가 -4.2° 또는 +4.2° 로 형성될 때 나타나므로, 통계 그룹은 약 8.4° 이하의 단위 각도 밴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상하 길이방향이 3.5mm 일 때 최대 인장응력과 최대 전단응력은 접착제가 -4.0° 또는 +4.0° 로 형성될 때 나타나므로, 통계 그룹은 약 8.0° 이하의 단위 각도 밴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상하 길이방향이 3.6mm 일 때 최대 인장응력과 최대 전단응력은 접착제가 -3.9° 또는 +3.9° 로 형성될 때 나타나므로, 통계 그룹은 약 7.8° 이하의 단위 각도 밴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상하 길이방향이 3.8mm 일 때 최대 인장응력과 최대 전단응력은 접착제가 -3.7° 또는 +3.7° 로 형성될 때 나타나므로, 통계 그룹은 약 7.4° 이하의 단위 각도 밴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상하 길이방향이 3.9mm 일 때 최대 인장응력과 최대 전단응력은 접착제가 -3.6° 또는 +3.6° 로 형성될 때 나타나므로, 통계 그룹은 약 7.2° 이하의 단위 각도 밴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상하 길이방향이 4.0mm 일 때 최대 인장응력과 최대 전단응력은 접착제가 -3.5° 또는 +3.5° 로 형성될 때 나타나므로, 통계 그룹은 약 7.0° 이하의 단위 각도 밴드를 가질 수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of course, the unit angle band of the statistical group may change depending o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10. For example, whe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10 is 3.0 mm, the maximum tensile stress and maximum shear stress appear when the adhesive is formed at -4.7° or +4.7°, so the statistical group is about 9.4° or less. Can have unit angle bands. Whe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10 is 3.1 mm, the maximum tensile stress and maximum shear stress appear when the adhesive is formed at -4.6° or +4.6°, so the statistical group has a unit angle band of about 9.2° or less. You can have it. Whe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10 is 3.2 mm, the maximum tensile stress and maximum shear stress appear when the adhesive is formed at -4.4° or +4.4°, so the statistical group has a unit angle band of about 8.8° or less. You can have it. Whe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10 is 3.3 mm, the maximum tensile stress and maximum shear stress appear when the adhesive is formed at -4.3° or +4.3°, so the statistical group has a unit angle band of about 8.6° or less. You can have it. Whe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10 is 3.4 mm, the maximum tensile stress and maximum shear stress appear when the adhesive is formed at -4.2° or +4.2°, so the statistical group has a unit angle band of about 8.4° or less. You can have it. Whe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10 is 3.5 mm, the maximum tensile stress and maximum shear stress appear when the adhesive is formed at -4.0° or +4.0°, so the statistical group has a unit angle band of about 8.0° or less. You can have it. Whe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10 is 3.6 mm, the maximum tensile stress and maximum shear stress appear when the adhesive is formed at -3.9° or +3.9°, so the statistical group has a unit angle band of about 7.8° or less. You can have it. Whe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10 is 3.8 mm, the maximum tensile stress and maximum shear stress appear when the adhesive is formed at -3.7° or +3.7°, so the statistical group has a unit angle band of about 7.4° or less. You can have it. Whe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10 is 3.9 mm, the maximum tensile stress and maximum shear stress appear when the adhesive is formed at -3.6° or +3.6°, so the statistical group has a unit angle band of about 7.2° or less. You can have it. Whe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10 is 4.0 mm, the maximum tensile stress and maximum shear stress appear when the adhesive is formed at -3.5° or +3.5°, so the statistical group has a unit angle band of about 7.0° or less. You can have it.

다시 말해, 접착제의 인장접착강도 및 전단접착강도 중 하나 이상이 최대로 나타나는 접착제의 형성 각도를 ±A 라 하면, 접착제는 상기 베이스부가 치아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하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A ≤ θ ≤ A 을 만족하는 소정의 각도 θ 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통계 그룹은 약 2A 이하의 단위 각도 밴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if the formation angle of the adhesive at which one or more of the tensile adhesive strength and the shear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is maximized is ±A, the adhesive is based on the vertical length of the base portion when the base portion is fixed to the tooth - Since it can be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θ that satisfies A ≤ θ ≤ A, each statistical group preferably has a unit angle band of about 2A or less.

아울러, 각 통계 그룹의 대표값은 평균값, 최빈값 등 해당 통계 그룹 내에 속하는 값이기만 하면 충분하다.In addition, it is sufficient that the representative value of each statistical group is a value that falls within the relevant statistical group, such as an average value or mod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토크각을 대상치들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로부터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여기서, 베이스부(110)의 상하 길이방향은 3.7mm 이고 각각의 통계 그룹은 약 7.6° 의 단위 각도 밴드를 가진다. 아울러, 통계 그룹은 인접한 통계 그룹과 중복되는 영역없이 연속하도록 배치되어 대상치들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의 90% 이상을 커버하도록 정의되며, 각 통계 그룹의 중앙값을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토크각으로 결정하였다.Hereinafter, a specific method for determining the torque angle of the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s of target teet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10 is 3.7 mm and each statistical group has a unit angle band of approximately 7.6°. In addition, the statistical groups are arranged continuously without overlapping areas with adjacent statistical groups and are defined to cover more than 90% of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target values, and the median value of each statistical group is calculated using the torque of the customized off-the-shelf correction bracket (100). Each was decided.

도 7 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악 중절치(U1)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에 대해서 통계 그룹을 구분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results of classifying statistical groups for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U1)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악 중절치(U1)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는 -9.6° 에서 -2.0° 의 범위를 커버하는 A 통계 그룹, -2.0° 에서 5.6° 의 범위를 커버하는 B 통계 그룹, 5.6° 에서 13.2° 의 범위를 커버하는 C 통계 그룹 및 13.2° 에서 20.8° 의 범위를 커버하는 D 통계 그룹으로 구분함으로써, 4개의 통계 그룹이 커버하는 커버리지는 96.0%에 대응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7,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fo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U1) is A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9.6° to -2.0°, B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2.0° to 5.6°, By dividing into the C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5.6° to 13.2° and the D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13.2° to 20.8°, the coverage covered by the four statistical groups can correspond to 96.0%.

아울러, 상기 A 통계 그룹 내지 D 통계 그룹 각각으로부터 상악 중절치(U1)에 대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이 정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토크각은 각 통계 그룹의 중앙값인 -5.8°, 1.8°, 9.4° 및 17.0° 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for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U1) can be defined from each of the A to D statistical groups, and each torque angle is -5.8°, 1.8°, which is the median value of each statistical group. It can be determined as 9.4° and 17.0°.

도 8 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악 측절치(U2)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에 대해서 통계 그룹을 구분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results of classifying statistical groups for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U2)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악 측절치(U2)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는 -9.0° 에서 -1.4° 의 범위를 커버하는 A 통계 그룹, -1.4° 에서 6.2° 의 범위를 커버하는 B 통계 그룹, 6.2° 에서 13.8° 의 범위를 커버하는 C 통계 그룹 및 13.8° 에서 21.4° 의 범위를 커버하는 D 통계 그룹으로 구분함으로써, 4개의 통계 그룹이 커버하는 커버리지는 96.1%에 대응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8,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fo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U2) is statistical group A covering the range from -9.0° to -1.4°, statistical group B covering the range from -1.4° to 6.2°, By dividing into the C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6.2° to 13.8° and the D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13.8° to 21.4°, the coverage covered by the four statistical groups can correspond to 96.1%.

아울러, 상기 A 통계 그룹 내지 D 통계 그룹 각각으로부터 상악 측절치(U2)에 대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이 정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토크각은 각 통계 그룹의 중앙값인 -5.2°, 2.4°, 10.0° 및 17.6° 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for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U2) can be defined from each of the statistical groups A to D, and each torque angle is -5.2°, 2.4°, which is the median value of each statistical group. It can be determined as 10.0° and 17.6°.

도 9 는 일 실시예에 따라 상악 견치(U3)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에 대해서 통계 그룹을 구분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results of classifying statistical groups for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xillary canine (U3)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악 견치(U3)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는 -18.4° 에서 -10.8° 의 범위를 커버하는 A 통계 그룹, -10.8° 에서 -3.2° 의 범위를 커버하는 B 통계 그룹, -3.2° 에서 4.4° 의 범위를 커버하는 C 통계 그룹 및 4.4° 에서12.0° 의 범위를 커버하는 D 통계 그룹으로 구분함으로써, 4개의 통계 그룹이 커버하는 커버리지는 96.8%에 대응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9,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fo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xillary canine (U3) is statistical group A covering the range from -18.4° to -10.8°, statistical group B covering the range from -10.8° to -3.2°. , By dividing into the C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3.2° to 4.4° and the D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4.4° to 12.0°, the coverage covered by the four statistical groups can correspond to 96.8%.

아울러, 상기 A 통계 그룹 내지 D 통계 그룹 각각으로부터 상악 견치(U3)에 대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이 정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토크각은 각 통계 그룹의 중앙값인 -14.6°, -7.0°, 0.6° 및 8.2° 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for the maxillary canine (U3) can be defined from each of the A to D statistical groups, and each torque angle is -14.6°, -7.0°, which is the median value of each statistical group. , can be determined as 0.6° and 8.2°.

도 10 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악 소구치(U4, U5)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에 대해서 통계 그룹을 구분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results of classifying statistical groups for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xillary premolars (U4, U5)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악 소구치(U4, U5)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는 -18.4° 에서 -10.8° 의 범위를 커버하는 A 통계 그룹, -10.8° 에서 -3.2° 의 범위를 커버하는 B 통계 그룹, -3.2° 에서 4.4° 의 범위를 커버하는 C 통계 그룹 및 4.4° 에서 12.0° 의 범위를 커버하는 D 통계 그룹으로 구분함으로써, 4개의 통계 그룹이 커버하는 커버리지는 96.9%에 대응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0,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fo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xillary premolars (U4, U5) is statistical group A covering the range from -18.4° to -10.8°, B covering the range from -10.8° to -3.2°. By dividing into statistical group, C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3.2° to 4.4°, and D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4.4° to 12.0°, the coverage covered by the four statistical groups can correspond to 96.9%. there is.

아울러, 상기 A 통계 그룹 내지 D 통계 그룹 각각으로부터 상악 소구치(U4, U5)에 대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이 정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토크각은 각 통계 그룹의 중앙값인 -14.6°, -7.0°, 0.6° 및 8.2° 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can be defined for the maxillary premolars (U4, U5) from each of the A to D statistical groups, and each torque angle is -14.6°, which is the median value of each statistical group, -14.6°, - It can be determined as 7.0°, 0.6° and 8.2°.

도 11 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악 제 1 대구치(U6)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에 대해서 통계 그룹을 구분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results of classifying statistical groups for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U6)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1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악 제 1 대구치(U6)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는 -17.8° 에서 -10.2° 의 범위를 커버하는 A 통계 그룹, -10.2° 에서 -2.6° 의 범위를 커버하는 B 통계 그룹, -2.6° 에서 5.0° 의 범위를 커버하는 C 통계 그룹 및5.0° 에서 12.6° 의 범위를 커버하는 D 통계 그룹으로 구분함으로써, 4개의 통계 그룹이 커버하는 커버리지는 95.6%에 대응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1,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fo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U6) is statistical group A covering the range from -17.8° to -10.2°, B covering the range from -10.2° to -2.6°. By dividing into statistical groups, C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2.6° to 5.0°, and D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5.0° to 12.6°, the coverage covered by the four statistical groups can correspond to 95.6%. there is.

아울러, 상기 A 통계 그룹 내지 D 통계 그룹 각각으로부터 상악 제 1 대구치(U6)에 대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이 정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토크각은 각 통계 그룹의 중앙값인 -14.0°, -6.4°, 1.2° 및 8.8° 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for the maxillary first molar (U6) can be defined from each of the A to D statistical groups, and each torque angle is -14.0°, which is the median value of each statistical group. It can be determined as 6.4°, 1.2° and 8.8°.

도 12 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하악 4 전치(하악 중절치(L1) 및 하악 측절치(L2))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에 대해서 통계 그룹을 구분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results of classifying statistical groups for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our lower incisors (mandibular central incisor (L1) and lower lateral incisor (L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2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악 4 전치(L1, L2)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는 -17.4° 에서 -9.8° 의 범위를 커버하는 A 통계 그룹, -9.8° 에서 -2.2° 의 범위를 커버하는 B 통계 그룹, -2.2° 에서 5.4° 의 범위를 커버하는 C 통계 그룹 및5.4° 에서 13.0° 의 범위를 커버하는 D 통계 그룹으로 구분함으로써, 4개의 통계 그룹이 커버하는 커버리지는 95.9%에 대응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2,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fo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ower 4 incisors (L1, L2) is statistical group A, covering the range from -17.4° to -9.8°, and A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9.8° to -2.2°. By dividing into the B statistical group, the C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2.2° to 5.4°, and the D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5.4° to 13.0°, the coverage covered by the four statistical groups would correspond to 95.9%. You can.

아울러, 상기 A 통계 그룹 내지 D 통계 그룹 각각으로부터 하악 4 전치(L1, L2)에 대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이 정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토크각은 각 통계 그룹의 중앙값인 -13.6°, -6.0°, 1.6° 및 9.2° 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100 can be defined for the lower 4 anterior teeth (L1, L2) from each of the A to D statistical groups, and each torque angle is -13.6°, which is the median of each statistical group. It can be determined as -6.0°, 1.6° and 9.2°.

도 13 은 일 실시예에 따라 하악 견치(L3)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에 대해서 통계 그룹을 구분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results of classifying statistical groups for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ndibular canine (L3)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3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악 견치(L3)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는 -25.0° 에서 -17.4° 의 범위를 커버하는 A 통계 그룹, -17.4° 에서 -9.8° 의 범위를 커버하는 B 통계 그룹, -9.8° 에서 -2.2° 의 범위를 커버하는 C 통계 그룹 및 -2.2° 에서 5.4° 의 범위를 커버하는 D 통계 그룹으로 구분함으로써, 4개의 통계 그룹이 커버하는 커버리지는 96.1%에 대응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3,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fo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ower canine (L3) is statistical group A covering the range from -25.0° to -17.4°, statistical group B covering the range from -17.4° to -9.8°. , By dividing into the C statistical group, which covers the range from -9.8° to -2.2°, and the D statistical group, which covers the range from -2.2° to 5.4°, the coverage covered by the four statistical groups can correspond to 96.1%. there is.

아울러, 상기 A 통계 그룹 내지 D 통계 그룹 각각으로부터 하악 견치(L3)에 대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이 정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토크각은 각 통계 그룹의 중앙값인 -21.2°, -13.6°, -6.0° 및 1.6° 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for the mandibular canine (L3) can be defined from each of the A to D statistical groups, and each torque angle is -21.2°, -13.6°, which is the median value of each statistical group. , can be determined as -6.0° and 1.6°.

도 14 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하악 제 1 소구치(L4)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에 대해서 통계 그룹을 구분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results of classifying statistical groups for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ndibular first premolar (L4)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4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악 제 1 소구치(L4)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는 -31.0° 에서 -23.4° 의 범위를 커버하는 A 통계 그룹, -23.4° 에서 -15.8° 의 범위를 커버하는 B 통계 그룹, -15.8° 에서 -8.2° 의 범위를 커버하는 C 통계 그룹 및 -8.2° 에서3.2° 의 범위를 커버하는 D 통계 그룹으로 구분함으로써, 4개의 통계 그룹이 커버하는 커버리지는 95.5%에 대응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4,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fo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ndibular first premolar (L4) is statistical group A covering the range from -31.0° to -23.4°, B covering the range from -23.4° to -15.8°. By dividing into statistical group, C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15.8° to -8.2°, and D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8.2° to 3.2°, the coverage of the four statistical groups corresponds to 95.5%. It can be.

아울러, 상기 A 통계 그룹 내지 D 통계 그룹 각각으로부터 하악 제 1 소구치(L4)에 대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이 정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토크각은 각 통계 그룹의 중앙값인 -27.2°, -19.6°, -12.0° 및 -4.4° 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for the mandibular first premolar (L4) can be defined from each of the A to D statistical groups, and each torque angle is -27.2°, which is the median value of each statistical group. It can be determined as 19.6°, -12.0° and -4.4°.

도 15 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하악 제 2 소구치(L5)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에 대해서 통계 그룹을 구분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results of classifying statistical groups for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 (L5)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악 제 2 소구치(L5)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는 -36.0° 에서 -28.4° 의 범위를 커버하는 A 통계 그룹, -28.4° 에서 -20.8° 의 범위를 커버하는 B 통계 그룹, -20.8° 에서 -13.2° 의 범위를 커버하는 C 통계 그룹 및 -13.2° 에서 -5.6° 의 범위를 커버하는 D 통계 그룹으로 구분함으로써, 4개의 통계 그룹이 커버하는 커버리지는 95.1%에 대응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5,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fo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 (L5) is statistical group A covering the range from -36.0° to -28.4°, B covering the range from -28.4° to -20.8°. By dividing into statistical group, C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20.8° to -13.2°, and D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13.2° to -5.6°, the coverage of the four statistical groups is 95.1%. can be responded to.

아울러, 상기 A 통계 그룹 내지 D 통계 그룹 각각으로부터 하악 제 2 소구치(L5)에 대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이 정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토크각은 각 통계 그룹의 중앙값인 -32.2°, -24.6°, -17.0° 및 -9.4° 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for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 (L5) can be defined from each of the A to D statistical groups, and each torque angle is -32.2°, which is the median value of each statistical group, - It can be determined as 24.6°, -17.0° and -9.4°.

도 16 은 일 실시예에 따라 하악 제 1 대구치(L6)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에 대해서 통계 그룹을 구분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results of classifying statistical groups for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L6)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6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악 제 1 대구치(L6)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는 -46.6° 에서 -39.0° 의 범위를 커버하는 A 통계 그룹, -39.0° 에서 -31.4° 의 범위를 커버하는 B 통계 그룹, -31.4° 에서 -23.8° 의 범위를 커버하는 C 통계 그룹 및 -23.8° 에서 -16.2° 의 범위를 커버하는 D 통계 그룹으로 구분함으로써, 4개의 통계 그룹이 커버하는 커버리지는 92.1%에 대응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6,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fo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L6) is statistical group A covering the range from -46.6° to -39.0°, B covering the range from -39.0° to -31.4°. By dividing into statistical group, C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31.4° to -23.8°, and D statistical group covering the range from -23.8° to -16.2°, the coverage of the four statistical groups is 92.1%. can be responded to.

아울러, 상기 A 통계 그룹 내지 D 통계 그룹 각각으로부터 하악 제 1 대구치(L6)에 대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이 정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토크각은 각 통계 그룹의 중앙값인 -42.8°, -35.2°, -27.6° 및 -20.0° 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for the mandibular first molar (L6) can be defined from each of the A to D statistical groups, and each torque angle is -42.8°, which is the median value of each statistical group, -42.8°, - It can be determined as 35.2°, -27.6° and -20.0°.

도 17 은 상악 중절치(U1)의 경사각의 통계적 분포로부터 결정된 토크각을 가지는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에 관한 것이다.Figure 17 relates to a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100 having a torque angle determined from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U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기성 교정용 브라켓은, 베이스부(110)가 일 방향으로 정렬되는 바디부(120)에 대하여 각 통계 그룹으로부터 결정된 토크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토크각 이외의 인자(인아웃, 앵귤레이션 등)는 소정의 값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so that the base portion 110 forms a torque angle determined from each statistical group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120 aligned in one direction. Here, factors other than the torque angle (in-out, angulation, etc.) may be fixed to a predetermined value.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악 중절치(U1)에 대해서는 = -5.8°, = 1.8°, = 9.4° 및 = 17.0° 의 토크각이 결정될 수 있고, 도 17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바디부(120)에 대해 , , 의 토크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for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U1) = -5.8°, = 1.8°, = 9.4° and A torque angle of = 17.0° can be determined, and as shown in FIG. 17, the base portion 110 is rotated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120 disposed horizontally. , , and It can be arranged to form a torque angle of.

이와 같이,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토크각을 각 대상치의 경사각에 대한 통계적 분포를 90%이상 커버하는 복수의 통계 그룹으로부터 결정하면, 기성 교정 브라켓임에도 맞춤형 교정 브라켓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is way, if the torque angle of the customized off-the-shelf orthodontic bracket 100 is determined from a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covering more than 90% of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of each target tooth, the effect of the customized orthodontic bracket can be expected even though it is an off-the-shelf orthodontic bracket.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singl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
110 베이스부
120 바디부
130 클립부
100 custom off-the-shelf orthodontic brackets
110 base part
120 body part
130 clip part

Claims (8)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일면이 대상치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며, 일 방향으로 정렬되는 바디부; 를 포함하고,
상기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의 토크각은 다수의 대상치들의 경사각의 통계적 분포로부터 얻은 복수개의 통계 그룹들 중에 상기 대상치가 속하는 통계 그룹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바디부에 대하여 상기 토크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
In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s,
A base portion on one side of which is attached to the target tooth; and
a body portion that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base portion, has a slot into which a correction wire is inserted, and is aligned in one direction; Including,
The torque angle of the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is determined based on a statistical group to which the target tooth belongs among a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obtained from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inclination angles of a plurality of target teeth,
A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wherein the base portion is arranged to form the torque angle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치들의 경사각은,
중절치의 중심점과 제 1 대구치의 FA점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평면이 대상치의 순면과 이루는 각도 또는 중절치의 중심점과 제 2 소구치의 FA점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평면이 대상치의 순면과 이루는 각도인,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
According to claim 1,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arget teeth is,
The angle formed by a plane orthogonal to the plane containing the center point of the central incisor and the FA point of the first molar with the labial surface of the target tooth, or the angle formed by the labial surface of the target tooth by a plane orthogonal to the plane containing the center point of the central incisor and the FA point of the second premolar. Angular,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치의 치아 종류는 상악 중절치, 상악 측절치, 상악 견치, 상악 소구치, 상악 제 1 대구치, 하악 4 전치, 하악 견치, 하악 제 1 소구치, 하악 제 2 소구치, 하악 제 1 대구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
According to claim 1,
The tooth type of the target tooth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maxillary lateral incisors, maxillary canines, maxillary premolars, maxillary first molars, mandibular 4 incisors, mandibular canines, mandibular first premolars, mandibular second premolars, and mandibular first molars. , custom off-the-shelf orthodontic bracke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적 분포는 기성 교정 브라켓으로 교정한 환자의 대상치에 대한 것인,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
According to claim 1,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is for the target teeth of a patient corrected with an off-the-shelf orthodontic bracket, a customized off-the-shelf orthodontic bracke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계 그룹들은, 서로 연속하며 상기 통계적 분포를 90% 이상 커버하도록 정의되는,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
According to claim 4,
The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are continuous with each other and are defined to cover more than 90% of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각은 상기 복수개의 통계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통계 그룹의 중앙값인,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
According to claim 5,
A customized, ready-made correction bracket, wherein the torque angle is the median of one statistical group among the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대상치 사이에는 접착제가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베이스부가 치아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하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A ≤ θ ≤ A”를 만족하는 소정의 각도(θ)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정의 각도(θ)의 경계값(±A)은 상기 접착제의 인장접착강도 및 전단접착강도 중 하나 이상이 최대로 나타나는 각도인,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
According to claim 5,
An adhesive is formed between the base portion and the target tooth,
The adhesive is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θ) that satisfies “-A ≤ θ ≤ A” based on the vertical length of the base portion while the base portion is fixed to the tooth,
The boundary value (±A) of the predetermined angle (θ) is the angle at which one or more of the tensile adhesive strength and shear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is maximized, Custom off-the-shelf orthodontic bracket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그룹의 단위 각도 밴드는 상기 소정의 각도의 범위(2A) 이하인,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
According to claim 7,
A custom-made,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wherein the unit angle band of the statistical group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2A).
KR1020220064578A 2022-05-26 2022-05-26 Custom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KR202301648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578A KR20230164881A (en) 2022-05-26 2022-05-26 Custom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578A KR20230164881A (en) 2022-05-26 2022-05-26 Custom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881A true KR20230164881A (en) 2023-12-05

Family

ID=8915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578A KR20230164881A (en) 2022-05-26 2022-05-26 Custom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488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9944A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during mixed dentition stage
US4107844A (en) Orthodontic appliance
US5064371A (en) Dental impression tray
US4015334A (en) Posterior direct bond orthodontic unit segment
US4919612A (en) Dental-form expansion appliance
US6068481A (en) Flexible dimension temporary and long-term provisional crowns
JP2020520737A (en) Orthodontic system with archwire slots of various sizes
Årtun A post treatment evaluation of multibonded lingual appliances in orthodontics
US10478271B2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distalization and/or space closure
Kajiyama et al. Esthetic management of an unerup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with a closed eruption technique
US11317993B2 (en) Orthodontic device for overbite correction
US20230329842A1 (en) Bracket
KR20230164881A (en) Custom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KR20230161754A (en) Custom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KR101629717B1 (en) Orthodontic bracket system
Cubukcu et al. Labial and palatal talon cusps on geminated tooth associated with dental root shape abnormality: A case report
US3337957A (en) Apparatus for stabilizing traumatized teeth
KR20230164882A (en) Custom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US4573913A (en) Lingual orthodontic appliance system for edgewise therapy
Miles Indirect bonding-do custom bases need a plastic conditioner? A randomised clinical trial
Gueray Temporary bite raiser
Naidu et al. Orthodontic retainers
Chang et al. Unilateral Premolar Crossbite and Atypical Extraction Case Treated with Clear Aligner
khalid Jaber Intermaxillary elastics use with orthodontic biomechanic
Sekar et al. Therapeutic Mandibular Incisor Extraction in Orthodontics: An Over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