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4781A - Virtual sense reflecting system and method for xr (mixed reality) experience based commodity marketing - Google Patents

Virtual sense reflecting system and method for xr (mixed reality) experience based commodity marke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4781A
KR20230164781A KR1020220063867A KR20220063867A KR20230164781A KR 20230164781 A KR20230164781 A KR 20230164781A KR 1020220063867 A KR1020220063867 A KR 1020220063867A KR 20220063867 A KR20220063867 A KR 20220063867A KR 20230164781 A KR20230164781 A KR 20230164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store
data
tac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8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진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타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타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타뷰
Priority to KR1020220063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4781A/en
Publication of KR20230164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4781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Abstract

본 발명은 XR(확장현실) 체험 기반의 상품 마케팅을 위한 가상감각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매장 구조, 품목 별 구역, 조명의 밝기, 조명 색, 바닥 타일 형태, 인테리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장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정보 수집부, 사용자 이름, 성별, 나이, 주소, 결제수단 및 구매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 상기 매장 내 판매 물품의 영양소 정보, 포장 정보, 물품 무게 정보, 소비자 후기 평가 정보, 유통기한 정보를 수집하는 물품 정보 수집부, 상기 매장 내 구조물 및 상기 판매 물품의 거칠기 데이터 및 마찰 데이터를 수집하는 촉감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집된 매장 정보와 물품 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 내 3차원 가상공간의 매장 구조 및 판매 물품을 구현하는 매장공간 구현부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판매 물품의 촉감 데이터를 실제 상기 사용자 손끝에 전달하는 촉감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sense provision system for product marketing based on XR (extended reality) experience, and collects at least one store information among store structure, area for each item, brightness of lighting, color of lighting, floor tile type, and interior. Store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user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that collects user name, gender, age, address, payment method and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nutritional information, packaging information, product weight information, consumer review evaluation information, A produc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expiration date information, a tactile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roughness data and friction data of the structures in the store and the sold products, and a user terminal 3 preset using the collected stor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tore space implementation unit that implements a store structure and sales items in a 3D virtual space, and a tactile sensation providing unit that actually delivers tactile data of the sales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to the user's fingertips.

Description

XR(확장현실) 체험 기반의 상품 마케팅을 위한 가상감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VIRTUAL SENSE REFLECTING SYSTEM AND METHOD FOR XR (MIXED REALITY) EXPERIENCE BASED COMMODITY MARKETING}Virtual sense provisio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marketing based on XR (extended reality) experience {VIRTUAL SENSE REFLECTING SYSTEM AND METHOD FOR XR (MIXED REALITY) EXPERIENCE BASED COMMODITY MARKETING}

본 발명은 사용자 감각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로부터 상품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품에 대한 가상 감각을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달받는 XR(확장현실) 체험 기반의 상품 마케팅을 위한 가상감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user sensations, and more specifically, to a virtual XR (extended reality) experience-based product marketing system that receives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receives virtual sensations for the input product through a wearable device. It relates to a sensory provision system and method.

확장 현실(XR : eXtended Reality)은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기술을 넘어 가상공간과 현실공간 사이의 상호작용과 가상감각 센서기반의 초실감, 고몰입, 공간감을 제공하여 가상의 공간을 현실의 공간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술이다.Extended Reality (XR: eXtended Reality) goes beyond virtual reality (VR), augmented reality (AR), and mixed reality (MR) technologies to provide hyper-realism, high immersion, and interaction between virtual and real spaces based on virtual sensory sensors. It is a technology that provides a sense of space and can express virtual space as a real space.

일반적으로 상거래는 기업에서 소비자에게 상품이 유통되기 위한 중관 과정이 필요하고, 고객수요를 파악하기 위한 다수의 영업관련 직원 및 상품의 보관과 진열 및 판매를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상거래 방식은 지역적,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있기 때문에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를 만족시키기에 더 많은 필요사항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물건의 판매 및 구매를 수행하여 유통과정을 간소화시켜 소비자에게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물건을 제공하고 판매자에게 따로 판매공간 및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점점 발전하여 그 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In general, commercial transactions require an intermediate process to distribute products from companies to consumers, and require a large number of sales-related employees to understand customer demand and space for storage, display, and sales of products. However, because this method of commerce has regional, time, and spatial constraints, more requirements are required to satisfy both consumers and sellers. In order to overcome this, in recent years, selling and purchasing products using the Internet has been gradually developed as a means to simplify the distribution process, provide products at lower prices to consumers, and save sales space and labor costs to sellers. The number is increasing.

그러나, 인터넷을 이용한 물건 판매의 특성 상 소비자가 직접 물건을 만지거나 착용해 볼 수 없고, 사진으로만 확인하여 구매를 하다보니 사이즈 문제, 사진과 다른 색상 및 광택, 과일과 같은 식품의 경우 소비자에게 수신되는 과일이 아닌 대표 사진만 표기되어 있어 신선도를 직접 확인할 수 없는 점 등의 문제로 인하여 기존 오프라인 매장에 비해 반품 및 환불요청 건수는 더 증가하고 있다.However, due to the nature of selling products over the Internet, consumers cannot directly touch or try on the products, and since they only check through photos before purchasing, there are issues with size, color and glos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photos, and food products such as fruit, which can cause problems for consumers. The number of returns and refund requests is increasing compared to existing offline stores due to problems such as the inability to directly check freshness because only representative photos are displayed, not the fruits being received.

따라서, 사용자에게 물건에 대한 시각적 정보와 동시에 촉각정보를 동시에 제공하여 판매하고자하는 물건의 특성을 최대한 실제 물건과 유사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마케팅 방법에 대한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n marketing methods that provide users with visual and tactile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at the same time so that they can jud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to be sold as similar to the actual product as possible.

한국등록특허 제10-0399537호Korean Patent No. 10-0399537

본 발명은, 오프라인 매장 공간을 영상촬영하여 3차원 공간에 동일한 인테리어로 마련함으로써, 가상 공간 내 온라인 쇼핑에서 오프라인 쇼핑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consumers with the same visual effect as offline shopping in online shopping in a virtual space by filming the offline store space and providing the same interior in a three-dimensional space.

또한, 오프라인에서 판매 물품의 포장 정보 및 포장 해체 영상을 수집하여 가상 공간 내에서 해당 물품의 포장 해체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이 해당 물품의 훼손없이 내용물을 확인하여 판매 물품의 훼손율을 감소시킴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collecting packaging information and unpacking images of products sold offline and providing unpacking images of the products in virtual space, consumers can check the contents without damaging the products and reduce the damage rate of sold products. There is a purpose.

또한, 판매 물품의 촉감데이터를 수집하여 소비자가 촉감데이터를 출력받을 수 있는 단말로 촉감데이터를 제공함으써, 수건, 의류, 이불, 배게 등 구매 요소 중 촉감의 비율이 높은 물품의 반품율을 감소시키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collecting tactile data of sold items and providing tactile data to a terminal where consumers can print out tactile data, it reduces the return rate of items with a high tactile ratio among purchase factors such as towels, clothing, blankets, and pillows.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XR(확장현실) 체험 기반의 상품 마케팅을 위한 가상감각 제공 시스템은, 매장 구조, 품목 별 구역, 조명의 밝기, 조명 색, 바닥 타일 형태, 인테리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장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정보 수집부, 사용자 이름, 성별, 나이, 주소, 결제수단 및 구매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 상기 매장 내 판매 물품의 영양소 정보, 포장 정보, 물품 무게 정보, 소비자 후기 평가 정보, 유통기한 정보를 수집하는 물품 정보 수집부, 상기 매장 내 구조물 및 상기 판매 물품의 거칠기 데이터 및 마찰 데이터를 수집하는 촉감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집된 매장 정보와 물품 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 내 3차원 가상공간의 매장 구조 및 판매 물품을 구현하는 매장공간 구현부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판매 물품의 촉감 데이터를 실제 상기 사용자 손끝에 전달하는 촉감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A virtual sense providing system for product marketing based on XR (extended reality) experi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store structure, area for each item, brightness of lighting, color of lighting, floor tile shape, and interior. Store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that collects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that collects user name, gender, age, address, payment method, and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nutritional information, packaging information, product weight information, and consumer reviews of products sold in the store A produc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evaluation information and expiration date information, a tactile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roughness data and friction data of structures in the store and the sold items, and a user pre-set using the collected stor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store space implementation unit that implements the store structure and items for sale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within the terminal, and a tactile sensation providing unit that actually delivers tactile data of the item for sal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user's fingertips.

또한, 상기 물품 정보 수집부는, 상기 판매 물품 중 비닐 또는 종이로 포장된 물품에 대하여 상기 비닐 또는 종이를 제거한 내용물을 영상촬영하여 상기 판매 물품의 내용물 영상데이터를 더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의 구매 예정 물품이 식음료인 경우, 상기 물품의 보관방법, 조리 영상, 권장섭취량, 섭취 시 주의사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duc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urther collects video data on the content of the sold product by taking video of the contents of the sold product packaged in plastic or paper, with the plastic or paper removed, and collects video data on the product to be purchased by the user. In the case of this food or beverag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items can be collected: storage method, cooking video, recommended intake amount, and precautions when consuming the item.

또한, 상기 매장공간 생성부는, 상기 판매 물품의 내용물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내용물이 포장 해체 되도록 포장과 내용물을 포함하는 3차원 가상객체 판매물품을 구현하고 상기 구현된 3차원 가상객체 판매물품을 3차원 가상공간에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e space creation unit implements a 3D virtual object for sale including packaging and contents so that the contents are unpacked using image data of the contents of the sale item, and stores the implemented 3D virtual object for sale in 3 It can be created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또한, 상기 촉감데이터 수집부는, 기설정된 비접촉 표면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매장 내 전체 구조물 표면, 전체 판매 물품 표면 및 상기 포장된 물품의 내용물 표면의 표면 거칠기를 스캔하여 거칠기 데이터를 수집하고, 기설정된 마찰계수 측정기를 이용하여 상기 매장 내 전체 구조물 표면, 전체 판매 물품 표면 및 상기 포장된 물품의 내용물 표면의 정지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ctile data collection unit collects roughness data by scann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surface of the entire structure in the store, the surface of all sold items, and the surface of the contents of the packaged goods using a preset non-contact surface measurement sensor, and collects roughness data using a preset non-contact surface measurement sensor. A friction coefficient measuring device can be used to measure the static friction coefficient of the surface of the entire structure in the store, the surface of the entire product for sale, and the surface of the contents of the packaged product.

또한, 상기 촉감제공부는, 상기 판매 물품에 대응하여 수집된 상기 거칠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촉감데이터 저장부, 상기 3차원 가상 공간 내 생성된 물품 객체의 표면에 해당되는 상기 거칠기 데이터를 적용하는 촉감데이터 적용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3차원 가상 공간 내 물품 객체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된 거칠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촉감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촉감데이터 전송부에서 전송한 상기 거칠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촉각출력 장치에 3차원 가상 표면 촉각을 출력하는 촉감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ctile sensation providing unit includes a tactile dat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roughness data collected in response to the sold product, and a tactile data application unit that applies the roughness data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product object created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Part, a tactile data transmitting unit that transmits the stored roughness data corresponding to a preset area of the product object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selected by the user, and a preset tactile sensation that receives the roughn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tactile data transmitting unit. The output device may include a tactile data output unit that outputs a three-dimensional virtual surface tactile sens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오프라인 매장 공간을 영상촬영하여 3차원 공간에 동일한 인테리어로 마련함으로써, 가상 공간 내 온라인 쇼핑에서 오프라인 쇼핑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ilming an offline store space and providing the same interior in a three-dimensional sp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sumers with the same visual effect as offline shopping in online shopping in a virtual space.

또한, 오프라인에서 판매 물품의 포장 정보 및 포장 해체 영상을 수집하여 가상 공간 내에서 해당 물품의 포장 해체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이 해당 물품의 훼손없이 내용물을 확인하여 판매 물품의 훼손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collecting packaging information and unpacking images of sold products offline and providing unpacking images of the products in virtual space, consumers can check the contents without damaging the products and reduce the damage rate of sold products. there is.

또한, 판매 물품의 촉감데이터를 수집하여 소비자가 촉감데이터를 출력받을 수 있는 단말로 촉감데이터를 제공함으써, 수건, 의류, 이불, 배게 등 구매 요소 중 촉감의 비율이 높은 물품의 반품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collecting tactile data of sold items and providing tactile data to a terminal where consumers can output tactile data, the return rate of items with a high tactile ratio among purchase factors such as towels, clothing, blankets, and pillows can be reduced. You ca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XR(확장현실) 체험 기반의 상품 마케팅을 위한 가상감각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XR(확장현실) 체험 기반의 상품 마케팅을 위한 가상감각 제공 시스템의 중간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sensations for product marketing based on XR (extended reality) experi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mediate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sensations for product marketing based on XR (extended reality) experi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례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Specific details, including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and the effec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examples and drawings described below.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인 XR(확장현실) 체험 기반의 상품 마케팅을 위한 가상감각 제공 시스템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or's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sensations for product marketing based on XR (extended reality) experien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FIGS. 1 and 2.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XR(확장현실) 체험 기반의 상품 마케팅을 위한 가상감각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XR(확장현실) 체험 기반의 상품 마케팅을 위한 가상감각 제공 시스템의 중간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rst, Figure 1 is a block diagram of a virtual sense providing system for product marketing based on XR (extended reality) experi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n XR (extended reality) experience-based product marke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ed reality) This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mediate block diagram of a virtual sense provision system for experience-based product marketing.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XR(확장현실) 체험 기반의 상품 마케팅을 위한 가상감각 제공 시스템은 매장 정보 수집부(110), 사용자 정보 수집부(120), 물품 정보 수집부(130), 촉감데이터 수집부(140), 매장공간 생성부(150), 가상 쇼핑부(160) 및 촉감제공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senses for product marketing based on XR (extended reality) experi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a us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and product information collection. It may include a unit 130, a tactile data collection unit 140, a store space creation unit 150, a virtual shopping unit 160, and a tactile sensation providing unit 170.

상기 매장 정보 수집부(110)는, 매장 구조, 품목 별 구역, 조명의 밝기, 조명 색, 바닥 타일 형태, 인테리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장 구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stor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may collect at least one or more store structure information among store structure, area for each item, brightness of lighting, lighting color, floor tile type, and interior.

여기서, 상기 매장 구조 정보는, 영상 촬영이 가능한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매장 내 벽과 벽 또는 바닥과 천장 사이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거리 정보, 면적 정보, 구조물 정보, 품목 별 구획된 판매물품의 판매 구역, 조명의 위치, 조명의 밝기, 조명 색, 바닥 타일 형태, 천장 타일 형태, 벽 타일 형태, 세부 인테리어 구조물 등 오프라인 매장의 모든 구조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Here, the store structure information includes distance information including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walls and floors or floors and ceilings in an offline store using a preset user terminal capable of taking video, area information, structure information, and sales divided by item. All structural information of an offline store can be collected, including product sales area, lighting location, lighting brightness, lighting color, floor tile shape, ceiling tile shape, wall tile shape, and detailed interior structure.

이때, 상기 매장 내 벽과 벽 또는 바닥과 천장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는 거리정보 및 면적정보는, 사용자 단말에 마련된 ToF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하되, 정확한 측정 조건은 상기 매장 내 구조물이나 물품이 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하는 경우 가장 정확한 측정결과 정보가 산출되며, 상기 수집한 정보는 상기 매장공간 생성부(150)에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distance information and area information, including the distance between walls and floors or floors within the store, are measured using a ToF camera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but the exact measurement condition is that no structures or goods are provided in the store. When photographing in an unoccupied state, the most accurate measurement result information is calculated, and the collecte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tore space creation unit 150.

한편,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은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영상촬영, 영상출력 및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을 의미하며, 수집하는 정보 종류에 따라 상기와 같이 ToF카메라 등을 연결하여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t user terminal refers to a terminal capable of video shooting, video output, and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n HMD (Head Mounted Display), smartphone, or tablet PC. Depending on the type of information collected, a ToF camera, etc. is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This can be prepared.

또한, 상기 매장 정보 수집부(110)는,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물품 카테고리별로 구획된 구역, 벽면 타일 또는 도배 무늬, 천장 형태, 천장 무늬, 천장 타일 형태, 바닥 무늬, 바닥 재질, 바닥 타일 형태, 조명 위치, 조명 색, 조명 밝기, 그외 세부 인테리어를 촬영하여 상기 매장공간 생성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uses the preset user terminal to collect areas divided by product category, wall tile or wallpaper pattern, ceiling shape, ceiling pattern, ceiling tile shape, floor pattern, floor material, and floor. The tile shape, lighting position, lighting color, lighting brightness, and other interior details can be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store space creation unit 150.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120)는, 사용자 이름, 성별, 나이, 주소, 결제수단 및 구매이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us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may collect user name, gender, age, address, payment method, and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수단은, 매장을 이용하고 물품을 결제하기 위한 온라인 회원가입 과정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Here, the means for collecting the user information may be through an onlin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 for using the store and paying for goods.

상기 물품 정보 수집부(130)는, 상기 매장 내 판매 물품의 영양소 정보, 포장 정보, 물품 무게 정보, 소비자 후기 평가 정보, 유통기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may collect nutrient information, packaging information, product weight information, consumer review evaluation information, and expiration date information of products sold in the store.

여기서, 상기 판매 물품의 영양소 정보는, 상기 판매 물품이 식음료인 경우, 판매 물품의 제조사로부터 영양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Here, nutritional information of the sold product may be provided from the manufacturer of the sold product if the sold product is a food or beverage.

이때, 상기 제조사로부터 상기 판매 물품의 보관방법, 조리 영상, 권장섭취량, 섭취 시 주의사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물품의 상세 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다.At this tim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old product may be further collected from the manufacturer,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storage method, cooking video, recommended intake amount, and precautions when consuming the product.

또한, 상기 포장정보는, 상기 판매 물품 중 비닐 또는 종이를 이용하여 다수 겹 또는 다수 개의 포장지로 포장된 물품에 대하여 포장지를 단계적으로 제거한 내용물을 영상촬영하여 상기 판매 물품의 내용물 영상데이터로 가공하여 수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ckaging information is collected by videotaping the contents of products packaged in multiple layers or multiple layers of packaging using vinyl or paper and processing them into video data of the contents of the products for sale by gradually removing the packaging. can do.

일례로, 상기 물품 정보 수집부(130)가, 박스형 과자의 물품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제조사로부터 수신한 상기 박스형 과자의 영양소 정보, 전체 무게 정보, 유통기한 정보, 포장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roduc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collects product information of box-type snacks, it may collect nutrient information, total weight information, expiration date information, and packaging information of the box-type snacks received from the manufacturer.

보다 상사하게는, 상기 제조사에서 상기 박스형 과자의 외형은, 가로 30cm, 세로20cm, 높이 7cm 크기의 직육면체의 종이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박스를 해체하여 개별 포장된 과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성분 정보와 가로8cm, 세로6cm, 높이 0.8cm로 이루어진 개별 포장 크기 정보 및 상기 단일 박스에 포함된 상기 개별 포장된 과자의 총 개수 정보를 상기 물품 정보 수집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More similarly, the outer shape of the box-shaped confectionery from the manufacturer is made of a rectangular paper material measuring 30 cm wide, 20 cm long, and 7 cm high, and the individually packaged confectionery after dismantling the box contains ingredient information such as polypropylene. Information on the individual packaging size of 8 cm in width, 6 cm in height, and 0.8 cm in height and information on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ly packaged snacks included in the single box can be provided to the produc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또한, 상기 개별 포장지 내 지름 5cm, 높이 0.5cm크기의 원형 파이로 이루어진 실제 과자 크기 정보, 상기 개별 포장지 내 마련된 실제 과자의 총 수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actual size of the snack consisting of a round pie with a diameter of 5 cm and a height of 0.5 cm in the individual wrapper, and information on the total quantity of actual snacks provided in the individual wrapper can be collected.

이때, 상기 박스형 과자의 금액 정보에서 상기 박스형 과자의 무게 정보를 나누어 상기 박스형 과자의 g당 가격을 산출한 가격 정보를 더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price information obtained by dividing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box-shaped snack from the price information of the box-shaped snack to calculate the price per gram of the box-shaped snack can be further calculated.

즉, 포장된 물품의 경우, 실제 내용물이 나올 때까지 포장 해체 과정 영상과 내용물 영상을 수집하되, 상기 포장물 또는 내용물의 크기와 무게를 포함한 물품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packaged goods, images of the unpacking process and contents are collected until the actual contents are released, and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the size and weight of the package or contents can be collected.

한편, 상기 판매 물품이 구입 후 외부 환경(온도, 습도 등)으로 인하여 변질될 수 있는 물품인 경우, 상기 판매 물품의 제조사로부터 물품의 보관방법을 더 수집할 수 있다.Meanwhile, if the sold product is a product that may deteriorate due to external environment (temperature, humidity, etc.) after purchase, the storage method of the product can be further collected from the manufacturer of the sold product.

또한, 상기 판매 물품이 신선식품 등 조리하여 섭취하는 물품인 경우, 상기 물품을 이용한 조리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물품이 조리에 관계없이 사람이 섭취하는 물품인 경우, 상기 물품 제조 업체로부터 1회 권장섭취량, 하루 권장섭취량 및 섭취 시 주의사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섭취와 관련된 정보를 제조사 또는 외부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product sold is a product to be consumed after cooking, such as fresh food, cooking video data using the product is collected, and if the product is a product to be consumed by humans regardless of cooking, the product is collected once from the manufacturer of the product. Information related to intake of at least one of the recommended intake amount, recommended daily intake amount, and precautions for intake can be collected from the manufacturer or external sources.

이때, 상기 섭취 시 주의사항은 상기 물품의 포장재를 포함하는 비닐 또는 방부제 등의 섭취불가한 내용물에 대한 주의사항과 동시에 상기 식품과 같이 섭취하는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식품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cautions for ingestion include precautions for inedible contents such as vinyl or preservatives containing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product, and at the same time, additional food information that may cause side effects when consumed with the food can be collected. .

또한, 상기 판매 물품에 포함된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물질에 알레르기가 있는 소비자의 섭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allergen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old products,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sumption by consumers who are allergic to the substances.

상기 촉감데이터 수집부(140)는, 상기 매장 내 구조물과 상기 판매 물품 표면의 거칠기 데이터 및 마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The tactile data collection unit 140 may collect roughness data and friction data of the structure within the store and the surface of the product for sal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촉감데이터 수집부(140)는, 비접촉 표면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매장 내 전체 구조물 표면, 판매 물품 표면 및 포장된 물품 안 내용물 표면의 표면 거칠기를 스캔하여 입체 표면 거칠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tactile data collection unit 140 uses a non-contact surface measurement sensor to scan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entire structure surface in the store, the surface of the sold product, and the surface of the contents inside the packaged product to generate three-dimensional surface roughness data. It can be collected.

여기서, 상기 비접촉 표면 측정 센서는, 촉각센서, 거칠기 측정기, 3차원 비접촉 3D 스캐너 등 대상 물체 표면의 거칠기를 측정하여 데이터화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non-contact surface measurement sensor may refer to a device that measures the roughness of the surface of a target object and converts it into data, such as a tactile sensor, a roughness meter, or a 3D non-contact 3D scanner.

이를 이용하여, 상기 촉감데이터 수집부(140)는, 상기 매장 내 판매하는 모든 물품의 겉표면, 포장된 물품의 표면, 상기 포장된 물품 내 개별포장된 포장의 표면 및 개별포장된 포장물의 내용물 표면 및 상기 매장 내 벽면과 바닥면의 거칠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Using this, the tactile data collection unit 140 collects the outer surface of all products sold in the store, the surface of the packaged product, the surface of the individually wrapped package within the packaged product, and the surface of the contents of the individually packaged package. And roughness data of walls and floors within the store can be collected.

또한, 일반적인 포장재로 이루어진 물품이외에 이불, 배게, 의류, 가구 등 세밀한 거칠기 데이터가 필요한 물품의 경우 비접촉 표면 측정 센서 또는 접촉식 촉각센서를 이용하여 더욱 미세한 거칠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items that require detailed roughness data, such as blankets, pillows, clothing, and furniture, in addition to items made of general packaging materials, finer roughness data can be collected using a non-contact surface measurement sensor or a contact tactile sensor.

한편, 상기 거칠기 데이터는, 기설정된 마찰계수 측정기를 이용하여 상기 매장 내 전체 구조물 표면, 전체 판매 물품 표면 및 상기 포장된 물품의 내용물 표면의 정지마찰계수 및 평균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roughness data can measure the static friction coefficient and averag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entire surface of the structure in the store, the surface of all sold products, and the surface of the contents of the packaged product using a preset friction coefficient measuring device.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마찰계수 측정기는, 기설정된 물체의 표면과 맞대어 정지마찰계수를 측정하는 마찰계수 측정기, 마찰감촉 측정기, 마찰·마모 측정기 등의 표면 마찰 측정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preset friction coefficient measuring device may refer to a surface friction measuring device such as a friction coefficient measuring device, a friction feel measuring device, or a friction/wear measuring device that measures the static friction coefficient by touching the surface of a preset object.

이를 통해, 상기 매장 내 판매하는 모든 물품의 겉표면, 포장된 물품의 표면, 상기 포장된 물품 내 개별포장된 포장의 표면, 개별포장된 포장물의 내용물 표면 및 내용물의 정지마찰계수를 수집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outer surface of all products sold in the store, the surface of the packaged product, the surface of the individually wrapped package within the packaged product, the surface of the contents of the individually packaged package, and the static friction coefficient of the contents can be collected. .

상기 매장공간 생성부(150)는, 상기 매장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한 매장 정보와 상기 물품 정보 수집부(130)에서 수집한 물품 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 내 3차원 가상공간의 매장 구조 및 판매 물품을 생성할 수 있다.The store space creation unit 150 uses the stor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tor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and the produc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produc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within a preset user terminal. You can create store structure and sales items.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매장공간 생성부(150)는, 상기 매장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가상 공간에 상기 매장 구조, 품목 별 구역, 매대 형태, 조명의 밝기, 조명 색, 바닥 타일 형태 또는 바닥 무늬, 벽면 타일 형태 또는 벽면 무늬, 천장 형태 등의 상기 수집된 매장 영상 데이터를 반영하여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보여지는 3차원 가상 공간에 상기 매장 정보를 반영한 매장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tore space creation unit 150 uses the image data collected by the stor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to create the store structure, area for each item, stand shape, and brightness of lighting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 a store structure that reflects the store information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displayed through the user terminal by reflecting the collected store video data such as lighting color, floor tile shape or pattern, wall tile shape or wall pattern, and ceiling shape. can be created.

또한, 상기 매장공간 생성부(150)는, 상기 물품 정보 수집부(130)에서 수집한 물품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가상 공간에 물품이 위치하는 공간인 매대에 물품 객체를 생성하며, 상기 물품 객체의 포장 해체 과정 및 내용물 객체를 더 마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e space creation unit 150 uses the product image data collected by the produc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to create a product object on a shelf, which is a space where products are located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and A process for unpacking the product object and a content object may be further provided.

한편, 상기 3차원 가상공간 내 생성되는 매장 정보 모델링 및 물품 객체 모델링은 외부로부터 작업된 모델링 데이터를 수신하여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store information modeling and product object modeling created within the 3D virtual space can be prepared by receiving modeling data worked from outside.

여기서, 상기 3차원 공간에서 상기 물품 객체를 생성하는 경우, 최초에는 전체 포장이 포함된 물품 객체로 생성하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 객체를 한번 더 선택하는 경우 포장지 해체 여부를 물어보는 알람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Here, when creating the product object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t is initially created as a product object including the entire packaging, but when the user selects the product object once more using an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e packaging is dismantled. An alarm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king whether or not to use the device.

이때, 상기 사용자가 포장지 해체를 선택하는 경우 외부 포장이 해체된 물품 객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user selects to dismantle the packaging, an image of the product object with the outer packaging disassembled may be generated.

또한, 내부에 재차 포장된 물품 객체인 경우, 내용물 영상이 표시될 때까지 계속하여 포장지 해체 여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포장이 더 해체된 물품 객체 모델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case of a product object that has been repackaged inside, whether the packaging has been dismantled may be continuously displayed to the user until an image of the contents is displayed,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a model of the product object in which the packaging has been further dismantled.

상기 가상 쇼핑부(160)는, 사용자가 3차원 가상공간 내 생성된 매장공간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이동, 판매 물품의 상세정보 확인, 장바구니에 담기, 장바구니에서 빼기, 구매 및 타 사용자에게 선물하기를 수행할 수 있다.The virtual shopping unit 160 allows the user to use the user terminal to move in a store space created with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check detailed information on sold items, add to the shopping cart, remove from the shopping cart, purchase, and gift to other users. can be performed.

여기서, 이동은 상기 3차원 가상공간 매장 내에서 이동을 의미하고, 상기 판매 물품의 상세정보 확인은, 상기 물품 정보 수집부(130)에서 수집한 데이터인 물품의 가격, 무게, 영양소 정보, g당 가격 등의 상세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Here, movement means movement within the 3D virtual space store, and confirmation of detailed information of the product for sale includes the price, weight, nutrient information, and per gram of the product, which are data collected by the produc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This may mean checking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price.

한편, 상기 매장공간 생성부(150)에서 생성한 3차원 가상공간에서 포장된 물품 객체의 내용물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가 기설정된 모션을 수행하여 상기 포장된 물품의 내용물의 포장을 해체하는 과정 및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wants to check the contents of the packaged product object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created by the store space creation unit 150, the user performs a preset motion to unpack the contents of the packaged product. and contents can be checked.

이때, 상기 사용자는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과 연동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3차원 가상공간 내 선택한 물품의 포장 해체 유무를 선택하여 물품의 포장 해체 과정 및 내용물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can use an input device linked to a preset user terminal to select whether or not to unpack the selected item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to perform the unpacking process and check the contents of the item.

또한, 3차원 가상공간 내 판매 물품을 대상으로 한 타 사용자가 작성한 후기와 평가점수를 조회하여 상기 판매 물품의 구매에 참고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구매이력이 남아있는 판매 물품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가 후기 작성과 평가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reviews and evaluation scores written by other users for items sold in a 3D virtual space can be viewed and used as a reference for purchasing the items sold, and the user can write a review for the items sold for which the user has a purchase history. and evaluation scores can be given.

여기서, 상기 사용자가 후기 작성과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경우, 상기 판매 물품의 사용 사진 및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Here, when the user writes a review and gives an evaluation score, photos and text of the product for sale may be included.

또한, 텍스트 입력 시,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텍스트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inputting text, text input can be performed using a user terminal or an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촉감제공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판매 물품의 촉감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실제 손끝에 전달할 수 있다.The tactile sensation providing unit 170 may transmit tactile data of the product for sal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user's actual fingertips.

여기서, 상기 촉감제공부(170)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촉감 데이터를 전달하는 과정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3차원 가상 공간 내 물품 객체를 선택한 사용자가 해당 물품 객체의 촉감데이터 확인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동된 기설정된 촉감출력장치로 상기 촉감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Here, the process of delivering tactile data to the user using the tactile sensation providing unit 170 involves the user selecting a product object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selecting the tactile data of the product object. Thus, the tactile data can be provided to a preset tactile output device linked to the user terminal.

이때, 상기 기설정된 촉감출력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실제 손가락 또는 손바닥을 위치시켜 물품 객체의 촉감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로써, 근육과 관절에 위치 정보와 힘을 전달하는 역감재현(Force Feedback) 장치 또는 물체의 미세하면 표면구조와 진동을 피부로 전달하는 진동 촉감재현(Vibrotactile Feedback)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et tactile output device is a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nd outputs tactile data of the product object by positioning the user's actual fingers or palm, and is a device that delivers positional information and force to muscles and joints. (Force Feedback) If the surface structure of a device or object is minute, it may refer to a Vibrotactile Feedback device that transmits vibration to the skin.

또한, 촉감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촉감출력장치는, 진동 촉각 출력 장치, 핀형 진동 촉각 출력장치 및 햅틱전자보드 기반의 촉각 출력장치 등의 거칠기 촉감을 출력하는 장치와 마찰 촉감을 출력하는 마찰 촉감 전달장치 등이 더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actile output devices that output tactile data to the user include devices that output rough tactile sensations, such as vibrotactile output devices, pin-type vibrotactile output devices, and haptic electronic board-based tactile output devices, and friction tactile transmitters that output frictional tactile sensations. Additional devices, etc. may be used.

여기서, 상기 촉감제공부(170)는 도 2를 참고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Here, the tactile sensation providing unit 17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촉감데이터 수집부(170)는, 촉감데이터 저장부(171), 촉감데이터 적용부(172), 촉감데이터 전송부(173) 및 촉감데이터 출력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tactile data collection unit 170 includes a tactile data storage unit 171, a tactile data application unit 172, a tactile data transmission unit 173, and a tactile data output unit 174. You can.

상기 촉감데이터 저장부(171)는, 상기 촉감데이터 수집부(140)에서 수집된 상기 거칠기 데이터 및 마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tactile data storage unit 171 may store the roughness data and friction data collected by the tactile data collection unit 140.

보다 상세하게는, 촉감데이터 저장부(171)는, 판매 물품에 대응하여 대상 물체 표면의 거칠기를 데이터화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수집된 거칠기 데이터와 상기 대상 물체의 명칭에 해당하는 거칠기 데이터 및 마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tactile data storage unit 171 stores roughness data collected using a device that converts the roughness of the surface of a target object into data corresponding to a product for sale, and roughness data and fric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name of the target object. You can save it.

이때, 상기 거칠기 데이터 및 마찰 데이터는 상기 매장 내 전체 구조물 표면 및 판매 물품으로부터 측정된 정지마찰계수 및 평균마찰계수 수치를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ughness data and friction data may mean static friction coefficient and average friction coefficient values measured from the entire structure surface and sold items in the store.

일례로, 머그컵 표면의 거칠기 및 마찰계수를 데이터화 하는 과정에서, 상기 머그컵의 손잡이 외측면, 손잡이 내측면, 머그컵의 내부면, 머그컵의 외부면 및 바닥면에 대한 각각의 거칠기 데이터 및 마찰 데이터와 상기 각 머그컵의 세분화한 명칭에 대응한 상기 거칠기 데이터 및 마찰 데이터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roughness and friction coefficient of the mug surface into data, the roughness data and friction data for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the inner surface of the mug, the out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ug and the above The roughness data and fric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name of each mug can be stored in correspondence.

상기 촉감데이터 적용부(172)는, 상기 3차원 가상 공간 내 생성된 물품 객체의 표면에 해당되는 상기 거칠기 데이터 및 상기 마찰 데이터를 기설정된 촉감전달 장치에 전달하여 해당 데이터 수치에 대응하는 촉감데이터를 적용시킬 수 있다.The tactile data application unit 172 transmits the roughness data and the fric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product object created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to a preset tactile transmission device to provide tactile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values. It can be applie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촉감데이터 수집부(170)를 통해 수집한 실제 물품에서 거칠기 데이터 및 마찰 데이터를 상기 촉감데이터 저장부(171)에 상기 수집된 실제 물품의 각 면 또는 내부 포장 등 수집한 모든 면에 대응하도록 거칠기 데이터 및 마찰 데이터를 저장하고, 3차원 가상 공간 내 생성된 물품 객체에 각 면 또는 내부 포장에 대응하는 거칠기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oughness data and friction data from the actual items collected through the tactile data collection unit 170 are stored in the tactile data storage unit 171 for all collected data, such as each side or internal packaging of the collected actual items. Roughness data and friction data can be stored to correspond to the face, and roughness data corresponding to each face or internal packaging can be applied to the product object created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일례로, 3차원 가상 공간 내 생성된 물품 객체가 머그컵인 경우, 객체화된 머그컵의 손잡이 외측면에 상기 실제 머그컵에서 수집한 거칠기 데이터 및 마찰 를 적용하고, 상기 객체화된 머그컵의 손잡이 내측면, 머그컵의 내부면, 머그컵의 외부면 및 머그컵의 바닥면에 상기 실제 머그컵에서 수집한 해당 면의 거칠기 데이터 및 마찰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roduct object created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is a mug, the roughness data and friction collected from the actual mug ar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of the objectified mug,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of the objectified mug,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of the mug. The roughness data and friction data of the corresponding surfaces collected from the actual mug can be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mug,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ug.

즉, 실제 물품의 각 면, 외부 포장 재질, 내부 포장 재질, 내용물 등 상기 물품의 모든 거칠기 데이터 및 마찰 데이터를 수집하여 3차원 가상 공간 내 생성된 동일한 물품 객체에 상기 거칠기 데이터 및 마찰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ll roughness data and friction data of the product, including each side of the actual product, external packaging material, internal packaging material, and contents, can be collected and the roughness data and friction data can be applied to the same product object created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You can.

상기 촉감데이터 전송부(173)는, 사용자가 선택한 3차원 가상 공간 내 물품 객체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저장된 거칠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tactile data transmitting unit 173 may transmit the stored roughness data corresponding to a preset area of the product object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selected by the user.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3차원 가상 공간 내 물품 객체의 기설정된 면적 또는 일측면을 선택하여 촉감 확인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촉감데이터 저장부(171)에 저장된 물품 객체의 기설정된 면적 또는 일측면에 해당하는 거칠기 데이터를 상기 촉감데이터 전송부(173)를 통해 상기 촉감데이터 출력부(174)에 전송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a user performs tactile confirmation by selecting a preset area or one side of a product object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using a user terminal, the product object stored in the tactile data storage unit 171 Roughness data corresponding to a set area or one side can be transmitted to the tactile data output unit 174 through the tactile data transmission unit 173.

이를 통해, 상기 촉감데이터 출력부(174)는, 상기 촉감데이터 전송부(173)에서 전송한 거칠기 데이터 및 마찰 데이터에 해당하는 출력값을 상기 기설정된 촉각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tactile data output unit 174 outputs output values corresponding to the roughness data and fric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tactile data transmission unit 173 through the preset tactile output device to provide a tactile sensation to the user. You can.

여기서, 마찰 데이터의 경우, 기설정된 마찰계수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마찰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어 마찰 촉감을 제시하는 촉감 전달장치(촉감 출력 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끝이 위치한 표면에 상기 선택한 물품 표면 또는 내용물의 마찰감촉을 사용자의 손가락 끝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마찰촉감을 느낄 수 있다.Here, in the case of friction data, the friction data measured using a preset friction coefficient measuring device is transmitted to a tactile transmission device (tactile output device) that presents a frictional tactile sens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user terminal, and is transmitted to the surface where the user's fingertip is located. The friction texture of the surface or contents of the selected product is output to the user's fingertips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friction sensation.

이때, 상기 촉감 전달장치는, 지름 2cm 크기의 개구부위, 상기 개구부위와 1m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고 동일한 크기의 1쌍으로 마련되어 수평하게 위치하는 롤러, 상기 1쌍의 롤러 사이에 밸트를 마련하되 상기 밸트는 마찰 강화 코팅된 질감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롤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개구부위에 손가락을 터치하여 마찰 촉감을 제공받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tactile transmission device includes an opening with a diameter of 2 cm, a pair of rollers of the same size that are rotatable and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 at a distance of 1 mm, and positioned horizontally, and a belt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However, the belt may be provided with a friction enhancing coating texture. Additionally, by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ller in response to the friction data, the user can receive a frictional feel by touching the opening with a finger.

일례로, 상기 기설정된 마찰계수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마찰 데이터가 3의 크기이고, 상기 사용자가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상기 촉감 전달장치를 이용하여 촉감을 전달받는 경우, 상기 촉감 전달장치의 개구부위에 손가락을 넣어 상기 밸트를 사용자의 손목방향 또는 손목반대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롤러에 상기 마찰데이터의 크기인 3에 해당하는 토크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롤러의 반대방향으로 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마찰 데이터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riction data measured using the preset friction coefficient measuring device is of size 3 and the user receives the tactile sensation using the tactile transmission device connected to the preset user terminal, the opening of the tactile transmission device When the belt is pressed in the direction toward or away from the user's wrist by putting a finger on it, a torque corresponding to 3, which is the size of the friction data, is applied to the roller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roller rotated by the user to provide friction data to the user. It can provide a sense of touch.

상기와 같은 마찰 데이터 촉감 제공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물품 포장의 마찰 촉감, 물품 내용물의 점도, 가죽으로 감싸진 물품의 가죽 질김 상태, 물품 포장용기의 내구성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Through the friction data tactile provision device described above, the frictional feel of the packaging of th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the viscosity of the product contents, the toughness of the leather of the product wrapped in leather,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packaging container, etc. can be provided.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XR(확장현실) 체험 기반의 상품 마케팅을 위한 가상감각 제공 시스템은 영상 촬영 및 시청할 수 있는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 물품의 정보, 물품의 촉감정보를 수집하고 3차원 가상공간에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인테리어 등과 같은 외형과 판매 물품과 동일한 외형의 객체를 마련하여 물품의 외부뿐만 아니라 촉감, 포장 구조 및 내용물까지 영상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물품의 종류에 따라 기설정된 촉감 출력장치를 통해 촉감을 느끼도록 마련되어 물품을 구매하는 고객들에 대하여 오프라인 쇼핑을 하는 것과 같이 물품을 촉감을 느낌을 제공함과 동시에 실제로 포장을 해체하지 않더라도 3차원 가상세계 내에서 물품의 포장을 해체하여 세부 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하여 상품의 훼손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의 무게, 영양소 정보, g당 가격, 조리방법, 리뷰 등 다양한 정보와 상기 물품의 표면 및 내용물의 촉감데이터를 포함하는 가상감각을 제공하여 오프라인 쇼핑과 같은 효과를 온라인 쇼핑에서 느낄 수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virtual sense provision system for product marketing based on the XR (extended reality) experience provides offline store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and product feel using a preset user terminal that can capture and view images. By collecting information and creating objects in a 3D virtual space that have the same appearance as the interior of the offline store and the items being sold, not only the exterior of the product, but also its texture, packaging structure, and contents can be confirmed through video, and at the same time, the type of product can be identified. Accordingly, a tactile sensation is provided through a preset tactile output device, providing customers purchasing the product with a tactile feel for the product as if doing offline shopping, and at the same time packaging the product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world even without actually unpacking it. The damage rate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by disassembling it and providing a video that allows you to check the detailed composition. In addition, it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weight, nutrient information, price per gram, cooking method, reviews, etc. of the product you wish to purchase, as well as a virtual sense including tactile data of the surface and contents of the product, providing the same effect as offline shopping in online shopping. I can feel it.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르면, 오프라인 매장 공간을 영상촬영하여 3차원 공간에 동일한 인테리어로 마련함으로써, 가상 공간 내 온라인 쇼핑에서 오프라인 쇼핑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ilming an offline store space and preparing the same interior in a three-dimensional sp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sumers with the same visual effect as offline shopping in online shopping in a virtual space.

또한, 오프라인에서 판매 물품의 포장 정보 및 포장 해체 영상을 수집하여 가상 공간 내에서 해당 물품의 포장 해체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이 해당 물품의 훼손없이 내용물을 확인하여 판매 물품의 훼손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collecting packaging information and unpacking images of sold products offline and providing unpacking images of the products in virtual space, consumers can check the contents without damaging the products and reduce the damage rate of sold products. there is.

또한, 판매 물품의 촉감데이터를 수집하여 소비자가 촉감데이터를 출력받을 수 있는 단말로 촉감데이터를 제공함으써, 수건, 의류, 이불, 배게 등 구매 요소 중 촉감의 비율이 높은 물품의 반품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collecting tactile data of sold items and providing tactile data to a terminal where consumers can output the tactile data, the return rate of items with a high tactile ratio among purchase factors such as towels, clothing, blankets, and pillows can be reduced. You ca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ich is based on common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yone who has the knowledge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is description. According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XR(확장현실) 체험 기반의 상품 마케팅을 위한 가상감각 제공 시스템
110 : 매장 정보 수집부
120 : 사용자 정보 수집부
130 : 물품 정보 수집부
140 : 촉감데이터 수집부
150 : 매장공간 생성부
160 : 가상 쇼핑부
170 : 촉감제공부
171 : 촉감데이터 저장부
172 : 촉감데이터 적용부
173 : 촉감데이터 전송부
174 : 촉감데이터 출력부
100: Virtual sensation provision system for product marketing based on XR (extended reality) experience
110: Store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120: Us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Product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140: Tactile data collection unit
150: Store space creation unit
160: Virtual shopping department
170: Tactile sensation provision unit
171: Tactile data storage unit
172: Tactile data application unit
173: Tactile data transmission unit
174: Tactile data output unit

Claims (5)

매장 구조, 품목 별 구역, 조명의 밝기, 조명 색, 바닥 타일 형태, 인테리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장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정보 수집부;
사용자 이름, 성별, 나이, 주소, 결제수단 및 구매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
상기 매장 내 판매 물품의 영양소 정보, 포장 정보, 물품 무게 정보, 소비자 후기 평가 정보, 유통기한 정보를 수집하는 물품 정보 수집부;
상기 매장 내 구조물 및 상기 판매 물품의 거칠기 데이터 및 마찰 데이터를 수집하는 촉감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집된 매장 정보와 물품 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 내 3차원 가상공간의 매장 구조 및 판매 물품을 생성하는 매장공간 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판매 물품의 촉감 데이터를 실제 상기 사용자 손끝에 전달하는 촉감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R(확장현실) 체험 기반의 상품 마케팅을 위한 가상감각 제공 시스템.
A stor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at least one store information among store structure, area for each item, brightness of lighting, color of lighting, floor tile type, and interior;
User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that collects user name, gender, age, address, payment method, and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a produc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nutritional information, packaging information, product weight information, consumer review evaluation information, and expiration date information of the products sold in the store;
A tactile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roughness data and friction data of the structures in the store and the items for sale;
a store space generator that generates a store structure and items for sale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within a preset user terminal using the collected stor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and
a tactile sensation providing unit that actually delivers tactile data of the product for sal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user's fingertips;
A virtual sense provision system for product marketing based on XR (extended reality) experienc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정보 수집부는,
상기 판매 물품 중 비닐 또는 종이로 포장된 물품에 대하여 상기 비닐 또는 종이를 제거한 내용물을 영상촬영하여 상기 판매 물품의 내용물 영상데이터를 더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의 구매 예정 물품이 식음료인 경우, 상기 물품의 보관방법, 조리 영상, 권장섭취량, 섭취 시 주의사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R(확장현실) 체험 기반의 상품 마케팅을 위한 가상감각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oduct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Among the items for sale, video data on the contents of the items for sale is further collected by filming the contents with the vinyl or paper removed for items packaged in vinyl or paper,
If the product to be purchased by the user is food or beverage, an XR (extended reality) experience-based product characterized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product storage method, cooking video, recommended intake amount, and precautions when consuming the product. A virtual sensory provision system for market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공간 생성부는,
상기 판매 물품의 내용물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내용물이 포장 해체 되도록 포장과 내용물을 포함하는 3차원 가상객체 판매물품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3차원 가상객체 판매물품을 3차원 가상공간에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R(확장현실) 체험 기반의 상품 마케팅을 위한 가상감각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tore space creation unit,
Using the image data of the contents of the sale product, a 3D virtual object for sale including packaging and contents is created so that the contents are unpacked,
A virtual sense provision system for product marketing based on XR (extended reality) experie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erated 3D virtual object sales items are created in a 3D virtual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데이터 수집부는,
기설정된 비접촉 표면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매장 내 전체 구조물 표면, 전체 판매 물품 표면 및 상기 포장된 물품의 내용물 표면의 표면 거칠기를 스캔하여 거칠기 데이터를 수집하고,
기설정된 마찰계수 측정기를 이용하여 상기 매장 내 전체 구조물 표면, 전체 판매 물품 표면 및 상기 포장된 물품의 내용물 표면의 정지마찰계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R(확장현실) 체험 기반의 상품 마케팅을 위한 가상감각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actile data collection unit,
Collecting roughness data by scann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surface of the entire structure in the store, the surface of all items for sale, and the surface of the contents of the packaged item using a preset non-contact surface measurement sensor,
For product marketing based on XR (extended reality) experience, which is characterized by measuring the static friction coefficient of the surface of the entire structure in the store, the surface of all sold products, and the surface of the contents of the packaged goods using a preset friction coefficient measuring device. Virtual sensory provis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제공부는,
상기 판매 물품에 대응하여 수집된 상기 거칠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촉감데이터 저장부;
상기 3차원 가상 공간 내 생성된 물품 객체의 표면에 해당되는 상기 거칠기 데이터를 적용하는 촉감데이터 적용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3차원 가상 공간 내 물품 객체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된 거칠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촉감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촉감데이터 전송부에서 전송한 상기 거칠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촉각출력 장치에 3차원 가상 표면 촉각을 출력하는 촉감데이터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R(확장현실) 체험 기반의 상품 마케팅을 위한 가상감각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actile sensation providing unit,
a tactile dat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roughness data collected in response to the sold product;
a tactile data application unit that applies the roughness data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product object created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a tactile dat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stored roughness data corresponding to a preset area of the product object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selected by the user; and
a tactile data output unit that receives the roughn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tactile data transmission unit and outputs a three-dimensional virtual surface tactile sensation to a preset tactile output device;
A virtual sense provision system for product marketing based on XR (extended reality) experience, comprising:
KR1020220063867A 2022-05-25 2022-05-25 Virtual sense reflecting system and method for xr (mixed reality) experience based commodity marketing KR202301647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867A KR20230164781A (en) 2022-05-25 2022-05-25 Virtual sense reflecting system and method for xr (mixed reality) experience based commodity marke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867A KR20230164781A (en) 2022-05-25 2022-05-25 Virtual sense reflecting system and method for xr (mixed reality) experience based commodity marke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781A true KR20230164781A (en) 2023-12-05

Family

ID=8915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867A KR20230164781A (en) 2022-05-25 2022-05-25 Virtual sense reflecting system and method for xr (mixed reality) experience based commodity marke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478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537B1 (en) 2000-05-23 2003-09-26 김영인 Apparatus and method for purchasing by through 3-dimension virtual reality shopping mal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537B1 (en) 2000-05-23 2003-09-26 김영인 Apparatus and method for purchasing by through 3-dimension virtual reality shopping m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166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shopping space
US20100241525A1 (en) Immersive virtual commerce
JPH10124574A (en) Virtual space commercial transaction method due to computer
KR1003995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rchasing by through 3-dimension virtual reality shopping mall
EP2681704A1 (en) Displaying data for a physical retail environment on a virtual illustration of the physical retail environment
CN202615450U (en) Show-window interactive try-on system
KR20140119291A (en) Augmented Reality Cart system Based mirror world Marketing Platform.
Werdayani et al. Virtual fitting room technology in fashion design
KR20170013835A (en) Online marketing system for accessory of mobile device using design experience of 3D simulation and method of selling using the system
US201900661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othing Promotion
Kang Designing next generation marketplace: The effect of 3D VR store interface design on shopping behavior
KR100856394B1 (en) The online e-commerce system in which the goods purchase is possible in 3d space by using avatar
TWM540332U (en) Augmented reality shopping system
TW201514892A (en) Information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of object
Hewawalpita et al. Effect of 3D product presentation on consumer preference in e-commerce
CN102279964A (en) Emulation trading method
KR20230164781A (en) Virtual sense reflecting system and method for xr (mixed reality) experience based commodity marketing
JP7172139B2 (en) Sales system
TWM631949U (en) Digital product display system
Grande et al. Supporting Small Businesses and Local Economies Through Virtual Reality Shopp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 Position Paper.
Dethe et al. Revolutionizing E-commerce with 3D Visualization: An Experimental Assessment of Behavioural Shopper Responses to Augmented Reality in Online Shopping
JP2008242938A (en) Display simulation system by three-dimensional cg image
TWM503623U (en) 3D shopping system with 3D preview for customized products
Fernandes Influence of Visual Merchandising on the Consumer
Agrad et al. Deep Learning Meets Fashion-A Look Into Virtual Try-On Solu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