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4651A -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중계 통신 방법, 장치 및 기기 - Google Patents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중계 통신 방법, 장치 및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64651A KR20230164651A KR1020237027930A KR20237027930A KR20230164651A KR 20230164651 A KR20230164651 A KR 20230164651A KR 1020237027930 A KR1020237027930 A KR 1020237027930A KR 20237027930 A KR20237027930 A KR 20237027930A KR 20230164651 A KR20230164651 A KR 202301646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lay
- terminal device
- information
- relay method
-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69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9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7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523 data manag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6—Connectivity information discove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or lo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중계 통신 방법, 장치 및 기기를 제공하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은 코어망 기기가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제1 구성 정보에는 코어망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이 포함됨 -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코어망 기기를 통해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를 위해 중계 방식을 구성하여, 상기 단말 기기가 중계 통신의 연결 방식을 명확히 하도록 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중계 통신을 구현할 수 있도록 확보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중계 통신 방법, 장치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는 제13 버전(Release 13, R13) 근접 통신 서비스(Proximity Service, ProSe) 아키텍처에서 중계 통신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중계 통신 시스템에는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적어도 두 개의 단말 기기(User Equipment, UE)가 포함되고, 이러한 UE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타입으로 나뉠 수 있으며, 한 가지는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UE이고, 다른 한 가지는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UE이다.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UE는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다른 UE와 직접 통신을 구축할 수 있다. 중계 통신 시스템이 UE가 중계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되는 것으로 구현되는 경우, UE가 5 세대 이동 통신 기술(5th-Generation, 5G) 등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능력을 구비하고, Prose 능력을 더 구비할 때, 이 UE는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즉 이 UE는 중계 통신 시스템에서 Relay UE(중계 단말 기기) 역할을 하고; 중계 통신 시스템에서 이 UE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된 다른 UE는, 이 UE에 의해 제공되는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며, 즉, 다른 UE는 중계 통신 시스템에서 Remote UE(원격 단말 기기) 역할을 한다. 중계 통신 시스템이 복수 개의 UE가 중계를 통해 서비스 인터랙션을 구현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경우, UE가 적어도 두 개의 UE에 통신 중계를 제공할 수 있고, 각각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 적어도 두 개의 UE와 직접 통신을 구축할 수 있을 때, 이 UE는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즉, 이 UE는 중계 통신 시스템에서 Relay UE 역할을 하고; 중계 통신 시스템에서 각각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 UE와 직접 통신을 구축하는 다른 UE는, 이 UE에 의해 제공되는 중계 서비스를 사용한다.
그러나,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UE가 중계 통신 과정에서, 중계 통신의 연결 방식을 명확히 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토론 및 연구가 더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중계 통신 방법, 장치 및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 방안은 아래와 같다.
일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에 적용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은,
코어망 기기로부터의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코어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이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기기임 - 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코어망 기기에 적용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은,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코어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이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기기임 - 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단말 기기에 적용되는 중계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중계 통신 방법은,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2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는 단계 -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함 - 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중계 단말 기기에 적용되는 중계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중계 통신 방법은,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는 단계 -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함 - 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 단말 기기에 적용되는 중계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중계 통신 방법은,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는 단계 -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함 - 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에 설치된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구성 장치는,
코어망 기기로부터의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 정보 수신 모듈 -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코어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이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기기임 - 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코어망 기기에 설치된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구성 장치는,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구성 정보 송신 모듈 -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코어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이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기기임 - 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단말 기기에 설치된 중계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중계 통신 장치는,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2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제1 통신 모듈 -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함 - 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중계 단말 기기에 설치된 중계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중계 통신 장치는,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중계 통신 모듈 -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함 - 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 단말 기기에 설치된 중계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중계 통신 장치는,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제2 통신 모듈 -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함 - 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트랜시버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시버는 코어망 기기로부터의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코어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이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근접 통신 서비스(Prose) 능력을 구비하는 기기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코어망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코어망 기기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트랜시버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시버는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코어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이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근접 통신 서비스(Prose) 능력을 구비하는 기기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단말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트랜시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트랜시버는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2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한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중계 단말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중계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트랜시버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시버는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한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 단말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트랜시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트랜시버는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한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단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단말 기기 측의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코어망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코어망 기기 측의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단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제1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중계 단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중계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2 단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제2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칩을 제공하고, 상기 칩은 프로그램 가능 논리 회로 및 프로그램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칩이 단말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단말 기기 측의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칩을 제공하고, 상기 칩은 프로그램 가능 논리 회로 및 프로그램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칩이 코어망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코어망 기기 측의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칩을 제공하고, 상기 칩은 프로그램 가능 논리 회로 및 프로그램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칩이 제1 단말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제1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칩을 제공하고, 상기 칩은 프로그램 가능 논리 회로 및 프로그램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칩이 중계 단말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중계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칩을 제공하고, 상기 칩은 프로그램 가능 논리 회로 및 프로그램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칩이 제2 단말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제2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단말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단말 기기 측의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코어망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코어망 기기 측의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1 단말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제1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중계 단말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중계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2 단말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제2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 방안은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망 기기를 통해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를 위해 중계 방식을 구성하여, 상기 단말 기기가 중계 통신의 연결 방식을 명확히 하도록 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중계 통신을 구현할 수 있도록 확보한다.
복수 개의 단말 기기가 중계를 통해 서비스 인터랙션을 구현하는 중계 통신 시스템의 경우, 각 단말 기기가 일치한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 중계 통신 과정을 실행하여, 단말 기기에 사용되는 중계 방식이 매칭되지 않아 중계 연결을 구축할 수 없는 것을 피함으로써, 중계 통신의 정상 수행을 확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 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 실시예 설명에서 사용해야 하는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 아래 설명에서의 도면은 다만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뿐이며, 본 분야의 통상적 기술자는, 창조성 노동을 부여하지 않는 전제 하에서도, 이러한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획득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5GS의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5GS의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계층 3 기반 중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계층 2 기반 중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계층 3 기반 중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계층 2 기반 중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코어망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1 단말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단말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2 단말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5GS의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5GS의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계층 3 기반 중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계층 2 기반 중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계층 3 기반 중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계층 2 기반 중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코어망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1 단말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단말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2 단말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 방안 및 장점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해, 아래에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방식에 대해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 서비스 시나리오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 방안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본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라면,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진화 및 새로운 서비스 시나리오의 출현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 방안은 유사한 기술 문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 아키텍처(100)는 단말 기기(10), 접속망 기기(20) 및 코어망 기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기기(10)는 UE, 액세스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모바일 플랫폼,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모바일 기기,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는 또한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가입자망(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5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5th-Generation System, 5GS) 중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진화형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단말 기기 등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접속망 기기(20)는 접속망에 배치되어 단말 기기(10)에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기이다. 접속망 기기(20)는 다양한 형태의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이 사용된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의 명칭은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5GS에 있어서, 접속망 기기는 gNodeB 또는 gNB로 지칭될 수 있고; 진화형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에 있어서, 접속망 기기는 진화형 기지국(Evolved NodeB, eNodeB)로 지칭될 수 있다. 통신 기술의 진화에 따라, “접속망 기기”란 명칭은 변화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에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접속망 기기로 통칭한다.
코어망 기기(30)는 코어망에 배치되어 단말 기기(10)에 다양한 관리 및/또는 인증 등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 엔티티이다. 일부 구현에 있어서, 코어망 기기는 코어망 망 요소로 지칭될 수도 있다. 통신 기술의 진화에 따라, “코어망 기기”란 명칭은 변화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코어망에 배치된 기능 엔티티를 코어망 기기로 통칭한다. 일 예에 있어서, 코어망 기기(30)는 사용자 정책 관리를 담당하는 기기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5GS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정책 관리를 담당하는 코어망 기기(30)는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5GS의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 아키텍처(200)는 UE,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R)AN), 코어망(Core) 및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DN)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UE, (R)AN, Core는 시스템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이고, 논리적으로 이들은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뉠 수 있으며, 제어 평면은 이동망의 관리를 담당하고, 사용자 평면은 서비스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NG2 참조점은 (R)AN 제어 평면 및 Core 제어 평면 사이에 위치하고, NG3 참조점은 (R)AN 사용자 평면 및 Core 사용자 평면 사이에 위치하며, NG6 참조점은 Core 사용자 평면 및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UE는 모바일 사용자와 네트워크가 인터랙션하는 입구로서, 기본적인 컴퓨팅 능력, 저장 능력을 제공하고, 사용자한테 서비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 동작 입력을 수락할 수 있다. UE는 차세대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R)AN과 신호 연결, 데이터 연결을 구축함으로써, 제어 신호 및 서비스 데이터를 이동망에 전송할 수 있다.
(R)AN은 고유의 네트워크에서의 기지국과 유사하여, UE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특정 영역의 인증된 사용자에 네트워크 액세스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레벨, 서비스의 수요 등에 따라 상이한 품질의 전송 터널을 사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R)AN은 자체의 자원을 합리적으로 사용하도록 관리하고, 수요에 따라 UE에 액세스 서비스를 제공하여, 제어 신호 및 사용자 데이터를 UE 및 코어망 사이에서 전달할 수 있다.
Core는 이동망의 계약 데이터를 유지 보수하고, 이동망의 망 요소를 관리하여, UE에 세션 관리, 이동성 관리, 정책 관리, 안전 인증 등 기능을 제공한다. UE가 부착되는 경우, UE에 네트워크 액세스 인증을 제공하고; UE에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UE를 위해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하며; UE가 이동하는 경우, UE에 네트워크 자원을 업데이트하고; UE가 유휴인 경우, UE에 빠른 복구 메커니즘을 제공하며; UE가 부착을 제거하는 경우, UE에 네트워크 자원을 릴리즈하고; UE에 서비스 데이터가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업 링크 데이터를 DN으로 전달하거나 DN로부터 UE 다운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여, (R)AN으로 전달함으로써, UE한테 송신하는 것과 같이 UE에 데이터 라우팅 기능을 제공한다.
DN은 사용자에 업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네트워크로서, 일반적인 클라이언트는 UE에 위치하고, 서버 엔드는 데이터 네트워크에 위치한다. 데이터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과 같은 사유 네트워크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인터넷(Internet)과 같은 통신사의 관리 통제를 받지 않는 외부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IP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IP Multimedia Core Network Subsystem, IMS) 서비스를 구성하기 위한 통신사에서 공동 배치한 전용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기초 위에 결정된 상세한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시도이고, 여기서 코어망 사용자 평면은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을 포함하며; 코어망 제어 평면은 인증 서버 기능(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USF), 코어망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Core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통합 데이터 관리(Unified Data Management, UDM), PCF, 응용 기능(Application Function, AF)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 엔티티의 기능은 아래와 같다.
UPF:SMF의 라우팅 규칙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패깃 전달을 실행한다.
AUSF:UE의 안전 인증을 실행한다.
AMF:UE 액세스 관리 및 이동성 관리를 실행한다.
SMF:UE 세션 관리를 실행한다.
UDM:사용자 계약 컨텍스트 관리를 실행한다.
PCF:사용자 정책 관리를 실행한다.
AF:사용자 응용 관리를 실행한다.
도 3에 도시된 시스템 아키텍처에 있어서, Uu 인터페이스는 UE와 (R)AN 사이의 참조점이고, UE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R)AN과 액세스 계층 연결을 구축하여, 액세스 계층 메시지 및 무선 데이터 전송을 인터랙션하며; N1 인터페이스는 UE와 AMF 사이의 참조점이고, UE는 N1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와 비액세스 계층(None Access Stratum, NAS) 연결을 구축하여, NAS 메시지를 인터랙션하며; N2 인터페이스는 (R)AN 및 AMF의 참조점으로서, NAS 메시지의 송신 등을 위한 것이고; N3 인터페이스는 (R)AN 및 UPF 사이의 참조점으로서, 사용자 평면의 데이터 등을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N4 인터페이스는 SMF 및 UPF 사이의 참조점으로서, 예를 들어 N3에 연결된 터널 식별자 정보, 데이터 캐시 지시 정보 및 다운 링크 데이터 알림 메시지 등과 같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N6 인터페이스는 UPF 및 DN 사이의 참조점으로서, 사용자 평면의 데이터 등을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2 및 도 3 중의 각 망 요소 사이의 인터페이스 명칭은 다만 일 예일 뿐, 구체적 구현에서 인터페이스의 명칭은 다른 명칭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에 포함된 각 망 요소(예를 들어 UPF, PCF 등)의 명칭도 다만 일 예일 뿐, 망 요소 자체의 기능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5G 및 미래의 다른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각 망 요소는 다른 명칭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6G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각 망 요소 중의 일부 또는 전체는 5G 중의 용어를 계속 사용할 수 있고, 다른 명칭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일괄적으로 설명하고, 아래에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각 망 요소 사이에서 전송되는 메시지(또는 시그널링)의 명칭도 다만 일 예일 뿐, 메시지 자체의 기능에 대해 그 어떠한 한정도 구성하지 않는다.
3GPP는 R13 ProSe 아키텍처에서 중계 통신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중계 통신 시스템에는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적어도 두 개의 단말 기기(User Equipment, UE)가 포함되고, 이러한 UE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타입으로 나뉠 수 있으며, 한 가지는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UE이고, 다른 한 가지는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UE이다.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UE는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다른 UE와 직접 통신을 구축할 수 있다.
중계 통신 시스템이 UE가 중계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되는 것으로 구현되는 경우, UE가 5G 등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능력을 구비하고, Prose 능력도 구비할 때, 이 UE는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즉 이 UE는 중계 통신 시스템에서 Relay UE 역할을 하고; 중계 통신 시스템에서 이 UE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된 다른 UE는 이 UE에 의해 제공되는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며, 즉, 다른 UE는 중계 통신 시스템에서 Remote UE 역할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시스템의 예시도를 도시하고, 상기 중계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원격 단말 기기(Remote UE)는 중계 단말 기기(Relay UE)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단말 기기는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계 단말 기기와 직접 통신을 구축하고, 중계 단말 기기와 5G 등 네트워크 사이에서 구축된 PDU 세션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와 인터랙션을 구현할 수 있다.
Remote UE가 Relay UE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되는 중계 통신 과정은 상이한 중계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일 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중계 통신 시스템에 기반하여, 중계 통신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또는 “계층 3 기반 중계(Layer-3 UE-to-Network Relays)”로 지칭됨) 및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또는 “계층 2 기반 중계(Layer-3 UE-to-Network Relays)”로 지칭됨)과 같은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계층 3 기반 중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Relay UE와 Relay UE에 서비스되는 사용자 평면 기능(UPF) 엔티티 사이에는 PDU 세션이 구축되고, Remote UE의 데이터가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Relay UE로 송신된 다음, Relay UE와 UPF 사이에 구축된 PDU 세션을 통해 Relay UE에 의해 외부 네트워크로 전달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계층 2 기반 중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Relay UE는 다만 Remote UE와 Remote UE에 서비스되는 네트워크 기기(gNB) 사이에 대해서만 라디오 데이터의 중계를 수행하고, Remote UE와 Remote UE에 서비스되는 사용자 평면 기능(UPF) 엔티티 사이에는 PDU 세션이 구축되며, Remote UE의 데이터는 Remote UE와 UPF 사이에 구축된 PDU 세션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로 전달된다.
중계 통신 시스템이 복수 개의 UE가 중계를 통해 서비스 인터랙션을 구현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경우, UE가 적어도 두 개의 UE에 통신 중계를 제공할 수 있고, 각각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 적어도 두 개의 UE와 직접 통신을 구축할 수 있을 때, 이 UE는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즉 이 UE는 중계 통신 시스템에서 Relay UE 역할을 하고; 중계 통신 시스템에서 각각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 UE와 직접 통신을 구축하는 다른 UE는 이 UE에 의해 제공되는 중계 서비스를 사용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시스템의 예시도를 도시하고, 상기 중계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중계 단말 기기(Relay UE)는 한편으로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UE1과 직접 통신을 구축하며, 다른 한편으로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UE2와 직접 통신을 구축함으로써, UE1 및 UE2는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서비스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 개의 UE가 중계를 통해 서비스 인터랙션을 구현하는 중계 통신 과정은 상이한 중계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일 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중계 통신 시스템에 기반하여, 중계 통신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및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과 같은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계층 3 기반 중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Relay UE와 UE2 사이에는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통신이 구축되고, UE1의 데이터가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Relay UE로 송신된 다음, Relay UE와 UE2 사이의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Relay UE에 의해 UE2로 전달된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계층 2 기반 중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Relay UE는 다만 UE1과 UE2 사이의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이하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에 대해서만 중계를 수행하고, 비액세스 계층으로부터 볼 때, UE1은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UE2와 인터랙션을 수행한다.
일부 구현에 있어서,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상이한 UE가 중계 통신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중계 방식은 서로 구별된다. 중계 통신 시스템이 UE가 중계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되는 것으로 구현되는 것의 경우, Remote UE와 Relay UE에 사용되는 중계 방식이 상이하면, 중계 통신 연결을 정확히 구축할 수 없고; 중계 통신 시스템이 복수 개의 UE가 중계를 통해 서비스 인터랙션을 구현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것의 경우, UE1, UE2 및 Relay UE에 사용되는 중계 방식이 상이하면, 여전히 중계 통신 연결을 정확히 구축할 수 없다. 따라서, 중계 통신 과정에 있어서,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UE가 중계 통신의 연결 방식(자체의 중계 방식 및 다른 UE의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명확히 하는 방법은, 추가적인 토론 및 연구가 더 필요하다.
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및 중계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아래에, 몇 개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방안에 대해 소개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방식”은 중계 통신의 연결 방식을 의미하고, 일부 구현에 있어서, “중계 방식”은 “중계 연결 방식” 또는 “중계 통신 방식”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기 실시예에 있어서, 중계 통신의 연결 방식을 “중계 방식”으로 통칭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 중의 적어도 일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10에 있어서, 코어망 기기는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제1 구성 정보에는 코어망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이 포함된다.
단말 기기는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기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의 타입에 대해 한정하지 않고, 일 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기기이며, 선택적으로,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기기는 Relay UE로 구현될 수 있고; 다른 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 기기이며, 선택적으로, UE가 중계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되는 중계 통신 과정의 경우,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 기기는 Remote UE로 구현될 수 있고; 복수 개의 UE가 중계를 통해 서비스 인터랙션을 구현하는 중계 통신 과정의 경우,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 기기는 직접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연결 통신을 구축할 수 없는 복수 개의 UE로 구현될 수 있다.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가 중계 통신의 방식을 명확히 하도록 하기 위해, 코어망 기기는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코어망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이 포함되며, 이로써 단말 기기가 코어망 기기에 의해 구성된 중계 방식을 사용하여 향후의 중계 통신 과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코어망 기기는 PCF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구성 정보의 송신 방식에 대해 한정하지 않고, 일 예에 있어서, 제1 구성 정보는 다른 정보와 독립적이며, 예를 들어, 코어망 기기는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독립적으로 송신하고;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구성 정보는 코어망 기기가 단말 기기에 송신한 다른 정보에 반송되어, 코어망 기기와 단말 기기 사이에서 교환된 메시지 개수이 증가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구성 정보가 코어망 기기에 의해 단말 기기로 송신된 다른 정보에 반송되는 경우, 제1 구성 정보는 Prose 구성 정보에 반송되거나, 제1 구성 정보는 사용자 기기 경로 선택 정책(URSP) 구성 정보에 반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구성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의 타입에 대해 한정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물론, 코어망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은 또한 다른 타입의 중계 방식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은 또한 비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상호 연동 기능(Non-3GPP Inter Working Function, N3IWF)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또는 “N3IWF 기반 중계 ”로 지칭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해해야 할 것은,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중계 방식의 타입이 제출될 수 있고,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상기 소개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제1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를 위해 중계 방식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구성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이 포함되는 것 외에, 예를 들어, 또한 각 중계 방식에 각각 대응되는 사용 조건 정보, 각 중계 방식과 각각 대응되는 지시 정보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과 연관되는 다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아래에, 제1 구성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정보에 대해 소개한다.
일 예에 있어서, 제1 구성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과 각각 대응되는 중계 서비스 코드(Relay Service Code, RSC)가 더 포함되고, 즉, 코어망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중계 방식과 RSC 사이의 맵핑 관계를 구성함으로써, 단말 기기는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RSC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결정하거나,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소개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중계 통신을 구현하는 과정 중의 단말 기기는 동일한 중계 방식을 사용해야만 중계 통신의 정상 수행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단말 기기는 자체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명확히 해야 하는 것 외에, 또한 중계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 중의 다른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명확히 해야 함으로써, 동일한 중계 방식을 사용하여 중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확보한다.
이에 기반하여, 선택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은 아래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1020에 있어서, 다른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에 제1 RSC를 송신한다. 단계 1030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RSC에 대응되는 다른 단말 기기의 중계 방식을 결정한다. 여기서, 코어망 기기가 다른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중계 방식에는, 제1 RSC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이 포함된다. 단말 기기와 다른 단말 기기가 RSC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대한 이해가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 코어망 기기가 상이한 단말 기기에 구성한 중계 방식과 RSC 사이의 맵핑 관계는 동일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예시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망 기기는 복수 개의 단말 기기를 위해 동일한 중계 방식과 RSC 사이의 맵핑 관계를 구성함으로써, 상이한 단말 기기는 특정된 RSC에 대해, 코어망 기기에 의해 구성된 맵핑 관계에 기반하여 동일한 중계 방식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망 기기가 상이한 단말 기기를 위해 중계 방식을 구성하는 방안의 경우, 코어망 기기가 상이한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중계 방식은 동일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코어망 기기가 모든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중계 방식은 모두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및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이거나; 코어망 기기가 상이한 단말 기기의 능력에 기반하여 구별적으로 상이한 단말 기기를 위해 중계 방식을 구성하며,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다만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만 지원하면, 코어망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중계 방식은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이다.
코어망 기기가 상이한 단말 기기의 능력에 기반하여 구별적으로 상이한 단말 기기를 위해 중계 방식을 구성하는 방안의 경우, 단말 기기는 먼저 코어망 기기에 자체의 능력을 보고해야 한다. 이에 기반하여, 선택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1010 전, 단계 1000를 더 포함하고, 단계 1000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코어망 기기에 중계 능력 정보를 송신하며, 중계 능력 정보는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에 기반하여, 선택적으로, 코어망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은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즉 코어망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중계 방식은 단말 기기의 능력에 부합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구성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에 각각 대응되는 사용 조건 정보가 더 포함되고, 특정된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 조건 정보는 상기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조건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 조건 정보의 내용에 대해 한정하지 않고, 예시적으로, 사용 조건 정보는 시간 정보, 영역 정보,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간 정보는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시간 조건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영역 정보는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영역 조건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선택적으로, 영역 정보는 PLMN에 대응되는 식별자,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에 대응되는 식별자, 지리적 영역에 대응되는 식별자(예를 들어 경도 정보 및 위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서비스 정보는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서비스 타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선택적으로,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타입 식별자, RS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 방안은, 코어망 기기를 통해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를 위해 중계 방식을 구성하여, 상기 단말 기기가 중계 통신의 연결 방식을 명확히 하도록 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중계 통신을 구현할 수 있도록 확보한다. 또한, 코어망 기기가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를 위해 중계 방식을 구성할 때, 또한 단말 기기를 위해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를 구성할 수 있음으로써, 단말 기기는 코어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RSC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코어망 기기는 복수 개의 단말 기기를 위해 동일한 중계 방식과 RSC 사이의 맵핑 관계를 구성하여, 단말 기기가 향후의 중계 통신 과정에서 다른 단말 기기로부터의 RSC를 수신할 때, 코어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RSC에 대응되는 다른 단말 기기의 중계 방식을 명확할 수 있어, 단말 기기가 다른 단말 기기와 동일한 중계 방식을 사용하여, 중계 통신의 정상 수행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10 내지 도 12에 대응되는 실시예는 단말 기기와 코어망 기기 사이의 인터랙션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상기 관련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는, 단말 기기 측의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으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관련 코어망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는, 코어망 기기 측의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으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기 중계 통신 방법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중계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 중의 적어도 일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310에 있어서,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며, 제1 중계 방식은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제1 중계 방식은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제1 중계 방식은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한다.
본 실시 방식 중의 중계 통신 시스템은 제1 단말 기기, 중계 단말 기기, 제2 단말 기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계 단말 기기는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직접 통신을 구축할 수 있고,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단말 기기와 직접 통신을 구축할 수도 있으며; 제1 단말 기기 및 제2 단말 기기는 직접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통신을 구축할 수 없음으로써,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 사이의 서비스 인터랙션은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중계된다.
상기 소개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중계 통신의 정상 수행을 확보하기 위해,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단말 기기, 중계 단말 기기, 제2 단말 기기에 사용되는 중계 방식은 일치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한다. 여기서, 제1 중계 방식은 제1 단말 기기, 중계 단말 기기, 제2 단말 기기에 공동으로 대응되는 중계 방식이고, 즉 제1 중계 방식은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제1 중계 방식은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제1 중계 방식은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한다. 제1 중계 방식의 결정 과정 등에 관련되는 소개 설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면 되고,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중계 통신 시스템 중 각 단말 기기에 각각 대응되는 중계 방식의 타입에 대해 한정하지 않고, 일 예에 있어서,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물론, 각 단말 기기에 각각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또한 예를 들어, N3IWF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과 같은 다른 타입의 중계 방식을 포함할 수 있고, 이해해야 할 것은,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예시적으로,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하고,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및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하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및 N3IWF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하면,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할 때, 각 단말 기기에 사용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인 것, 즉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인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중계 통신 시스템 중 각 단말 기기에 각각 대응되는 중계 방식의 결정 방식에 대해서도 한정하지 않고, 일 예에 있어서,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제1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제1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제1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중계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중계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중계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제2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제2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제2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 방안은, 복수 개의 단말 기기가 중계를 통해 서비스 인터랙션을 구현하는 중계 통신 시스템의 경우, 각 단말 기기가 일치한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 중계 통신 과정을 실행하여, 단말 기기에 사용되는 중계 방식이 매칭되지 않아 중계 연결을 구축할 수 없는 것을 피함으로써, 중계 통신의 정상 수행을 확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하는 주체에 대해 한정하지 않고, 일 예에 있어서, 제1 중계 방식은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결정되며, 예를 들어, 제1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 및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획득하고, 자체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결합하여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할 수 있으며;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중계 방식은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결정되고, 예를 들어, 제2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 및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획득하며, 자체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결합하여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할 수 있고;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중계 방식은 중계 단말 기기에 의해 결정되며, 예를 들어, 중계 단말 기기는 제1 단말 기기 및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획득하고, 자체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결합하여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중계 방식은 직접 코어망 기기에 의해 구성되고, 예를 들어, 코어망 기기는 제1 단말 기기, 제2 단말 기기 및 중계 단말 기기에 동일하되 유일한 중계 방식을 구성하고, 향후 각 단말 기기는 코어망 기기에 의해 구성된 중계 방식을 사용하여 중계 통신을 수행한다.
아래에, 제1 중계 방식이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결정되고, 제1 중계 방식이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결정되는 이 두 개의 방안에 대해 각각 소개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분야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을 이해한 다음, 중계 단말 기기에 의해 제1 중계 방식이 결정되는 기술 방안을 쉽게 생각할 수 있고, 이들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실제 응용에서, 각 단말 기기 사이의 메시지 교환 개수 및 처리 오버헤드 등 요소를 고려하여, 제1 단말 기기 또는 제2 단말 기기가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하는 기술 방안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제1 단말 기기가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하는 기술 방안을 소개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1310 전에, 아래와 같은 몇 개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1302에 있어서, 제2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정보를 송신하고, 제2 정보는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방식은 제1 단말 기기가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하는 것이고, 따라서 제2 단말 기기는 자체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해야 하며, 제2 단말 기기와 제1 단말 기기는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통신을 구축할 수 없으므로, 제2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중계해야 함으로써, 제1 단말 기기와 정보 인터랙션을 수행하려는 목적에 달성한다.
이에 기반하여, 제2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정보에 관련되는 구체적 송신 방식은,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면 되고,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의 지시 방식에 대해 한정하지 않고, 일 예에 있어서, 제2 정보는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명확히 지시하며, 예를 들어, 제2 정보에는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의 파라미터 구성 등이 포함되고; 다른 예에 있어서, 제2 정보는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암시적으로 지시하며, 예를 들어, 제2 정보에는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다. 제2 정보가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코어망 기기는 각 단말 기기를 위해 동일한 중계 방식과 RSC 사이의 맵핑 관계를 사전에 구성할 수 있고, 구체적인 구성 과정은 도 10 내지 도 12에 대응되는 실시예의 관련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1304에 있어서, 중계 단말 기기는 제1 단말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하고, 제1 정보는 제2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제1 정보는 제2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제1 중계 방식은 각 단말 기기에서 모두 사용되는 중계 방식이기에, 중계 단말 기기도 자체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해야 한다. 본 실시 방식에서, 중계 단말 기기는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정보를 수신한 다음, 제2 정보 및 중계 단말 기기 자체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결정하고, 제1 단말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하여, 중계 단말 기기 및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제1 단말 기기에 알려준다.
중계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정보는 제2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제2 중계 방식은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중계 단말 기기는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정보를 수신한 다음, 직접 제2 정보의 기초 위에서,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의 지시를 추가하여, 제1 정보를 얻고, 제1 단말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제2 중계 방식은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및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중 공동적인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중계 단말 기기는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정보를 수신한 다음, 제2 정보에 의해 지시된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및 중계 단말 기기 자체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제2 단말 기기 및 중계 단말 기기 중 공동적인 중계 방식을 결정한 다음, 공동적인 중계 방식의 지시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얻고, 제1 단말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 중계 방식의 지시 방식에 대해 한정하지 않고, 일 예에 있어서, 제1 정보는 제2 중계 방식을 명확히 지시하며, 예를 들어, 제1 정보에는 제2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구성 등이 포함되고;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정보는 제2 중계 방식을 암시적으로 지시하며, 예를 들어, 제1 정보에는 제2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다. 제1 정보에는 제2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 경우에 있어서, 코어망 기기는 각 단말 기기를 위해 동일한 중계 방식과 RSC 사이의 맵핑 관계를 사전에 구성할 수 있고, 구체적인 구성 과정은 도 10 내지 도 12에 대응되는 실시예의 관련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중계 단말 기기는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 개의 제2 단말 기기와 직접 통신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중계 단말 기기는 복수 개의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제1 단말 기기가 각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의 경우를 명확히 하도록 하기 위해, 제1 단말 기기가 복수 개의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적합한 제2 단말 기기를 선택하여 중계 통신을 수행하는데 편이하도록, 선택적으로, 제1 정보에는 제2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가 더 포함되며, 제2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는 제2 단말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1306에 있어서, 제1 단말 기기는 제2 중계 방식 및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한다.
제1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정보를 수신한 다음, 제1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2 중계 방식을 명확히 할 수 있고, 제2 중계 방식과 제1 단말 기기 자체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통신 과정에서 사용되는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 기기는 제2 중계 방식 및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중 공동적인 중계 방식을, 제1 중계 방식으로 결정한다.
아래에, 정보의 송신 방식에 대해 소개 설명한다.
일 예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1302 내지 단계 1306은 각각 아래와 같은 단계(단계 1302는 단계 1302a로 구현되고, 단계 1304는 단계 1304a로 구현되며, 단계 1306은 단계 1306로 구현됨)로 구현된다.
단계 1302a에 있어서, 제2 단말 기기는 제2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제2 정보는 제2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반송되거나; 제2 단말 기기가 중계 단말 기기로 등록되는 과정에 있어서, 제2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정보를 송신하거나; 제2 단말 기기가 중계 단말 기기와 연결을 구축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2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정보를 송신한다.
제2 단말 기기는 제2 정보를 제2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반송하여 브로드캐스트함으로써, 중계 단말 기기는 제2 단말 기기의 제2 브로드캐스트 정보가 검출될 때 제2 정보를 수신한다. 또는, 제2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에 등록될 때,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와 연결을 구축하는 과정에 있어서,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1304a에 있어서, 중계 단말 기기는 제1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제1 정보는 제1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반송된다.
중계 단말 기기는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정보를 수신한 다음, 제2 정보 및 중계 단말 기기 자체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결정하고, 제1 정보를 제1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반송하여 브로드캐스트함으로써, 제1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의 제1 브로드캐스트 정보가 검출될 때 제1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1306에 있어서, 제1 단말 기기는 제2 중계 방식 및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1302 및 단계 1304는 각각 아래와 같은 단계(단계 1302는 단계 1302b 및 단계 1302c로 구현되고, 단계 1304는 단계 1304b 및 단계 1304c로 구현되며, 단계 1306은 단계 1306로 구현됨)로 구현된다.
단계 1304b에 있어서, 제1 단말 기기는 제1 발견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한다.
제1 단말 기기는 기기 발견 과정에서 제1 발견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제1 발견 요청은 상응한 중계 서비스의 중계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를 발견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발견 요청의 내용에 대해 한정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제1 발견 요청에는 중계 서비스의 서비스 타입 식별자, 중계 서비스의 RSC, 제1 단말 기기의 기기 식별자 등이 포함된다.
단계 1302b에 있어서, 중계 단말 기기는 제2 발견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제2 발견 요청은 제1 발견 요청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중계 단말 기기가 제1 단말 기기의 제1 발견 요청을 검출한 다음, 제1 발견 요청에 기반하여 제2 발견 요청을 결정하고, 제2 발견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한다. 선택적으로, 중계 단말 기기는 제1 단말 기기의 제1 발견 요청을 직접 전달할 수 있고, 즉. 제2 발견 요청과 제1 발견 요청의 내용은 동일하거나; 중계 단말 기기는 제1 발견 요청의 내용에 대해 증감 및/또는 포맷 처리 등을 수행하여 제2 발견 요청을 얻고, 제2 발견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중계 단말 기기는 제1 발견 요청에서 중계 단말 기기의 기기 식별자를 추가하여 제2 발견 요청을 얻는다.
단계 1302c에 있어서, 제2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발견 응답을 송신하고, 제2 정보는 제2 발견 응답에 반송된다.
제2 단말 기기가 중계 단말 기기의 제2 발견 요청을 검출한 다음, 제2 단말 기기가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결정하면, 예를 들어 제2 단말 기기도 발견 요청에 의해 지시된 중계 서비스를 수행해야 하면, 제2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발견 응답을 송신할 수 있음으로써, 중계 단말 기기의 제2 발견 요청을 응답할 수 있다. 제2 단말 기기가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발견 응답을 리턴할 때, 제2 발견 응답에 제2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
단계 1304c에 있어서, 중계 단말 기기는 제1 단말 기기에 제1 발견 응답을 송신하고, 제1 정보는 제1 발견 응답에 반송된다.
중계 단말 기기는 제2 발견 응답을 수신하면 바로 제2 정보를 파싱할 수 있고, 다음, 제2 정보 및 중계 단말 기기 자체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결정하며, 제1 정보를 제1 발견 응답에 반송하여 제1 단말 기기로 리턴함으로써, 제1 단말 기기의 제1 발견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단계 1306에 있어서, 제1 단말 기기는 제2 중계 방식 및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한다.
다음, 제2 단말 기기가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하는 기술 방안을 소개한다.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1310 전에, 아래와 같은 몇 개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1322에 있어서, 제1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에 제4 정보를 송신하고, 제4 정보는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제2 단말 기기가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하는 것이고, 따라서 제1 단말 기기는 자체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해야 하며,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는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통신을 구축할 수 없으므로, 제1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중계함으로써, 제2 단말 기기와 정보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목적에 달성해야 한다.
이에 기반하여, 제1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에 제4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4 정보는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4 정보에 관련되는 구체적인 송신 방식은,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고,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의 지시 방식에 대해 한정하지 않고, 일 예에 있어서, 제4 정보는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명확히 지시하며, 예를 들어, 제4 정보에는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의 파라미터 구성 등이 포함되고; 다른 예에 있어서, 제4 정보는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암시적으로 지시하며, 예를 들어, 제4 정보에는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다. 제4 정보에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 경우에 있어서, 코어망 기기는 각 단말 기기를 위해 동일한 중계 방식과 RSC 사이의 맵핑 관계를 사전에 구성할 수 있고, 구체적인 구성 과정은 도 10 내지 도 12에 대응되는 실시예의 관련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1324에 있어서, 중계 단말 기기는 제2 단말 기기에 제5 정보를 송신하고, 제5 정보는 제3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제5 정보는 제4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제1 중계 방식은 각 단말 기기에서 모두 사용되는 중계 방식이므로, 중계 단말 기기도 자체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해야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중계 단말 기기는 제1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4 정보를 수신한 다음, 제4 정보 및 중계 단말 기기 자체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제5 정보를 결정하고, 제2 단말 기기에 제5 정보를 송신하여, 중계 단말 기기 및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제2 단말 기기에 알려준다.
중계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제5 정보는 제3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제3 중계 방식은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중계 단말 기기는 제1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4 정보를 수신한 다음, 직접 제4 정보의 기초 위에,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의 지시를 추가하여, 제5 정보를 얻고, 제2 단말 기기에 제5 정보를 송신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제3 중계 방식은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및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중 공동적인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중계 단말 기기는 제1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4 정보를 수신한 다음, 제4 정보에 의해 지시된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및 중계 단말 기기 자체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제1 단말 기기 및 중계 단말 기기 중 공동적인 중계 방식을 결정한 다음, 공동적인 중계 방식의 지시에 기반하여 제5 정보를 얻고, 제2 단말 기기에 제5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3 중계 방식의 지시 방식에 대해 한정하지 않고, 일 예에 있어서, 제5 정보는 제3 중계 방식을 명확히 지시하며, 예를 들어, 제5 정보에는 제3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구성 등이 포함되고; 다른 예에 있어서, 제5 정보는 제3 중계 방식을 암시적으로 지시하며, 예를 들어, 제5 정보에는 제3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다. 제5 정보에 제3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 경우에 있어서, 코어망 기기는 각 단말 기기를 위해 동일한 중계 방식과 RSC 사이의 맵핑 관계를 사전에 구성할 수 있고, 구체적인 구성 과정은 도 10 내지 도 12에 대응되는 실시예의 관련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중계 단말 기기가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 개의 제1 단말 기기와 직접 통신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중계 단말 기기는 복수 개의 제1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4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단말 기기가 각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의 경우를 명확히 하도록 하기 위해, 제2 단말 기기가 복수 개의 제1 단말 기기로부터 적합한 제1 단말 기기를 선택하여 중계 통신을 수행하는데 편이하도록, 선택적으로, 제5 정보에는 제1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가 더 포함되며, 제1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는 제1 단말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1326에 있어서, 제2 단말 기기는 제3 중계 방식 및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한다.
제2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5 정보를 수신한 다음, 제5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3 중계 방식을 명확히 할 수 있고, 제3 중계 방식과 제2 단말 기기 자체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통신 과정에서 사용되는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단말 기기는 제3 중계 방식 및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중 공동적인 중계 방식을, 제1 중계 방식으로 결정한다.
단계 1328에 있어서, 제2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에 제3 정보를 송신하고, 제3 정보는 제1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2 단말 기기는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한 다음, 제1 단말 기기에 제1 중계 방식을 지시하여, 제1 단말 기기가 향후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2 단말 기기와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단말 기기와 제1 단말 기기는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통신을 구축할 수 없으므로, 제2 단말 기기는 먼저 중계 단말 기기에 제3 정보를 송신하고, 중계 단말 기기에 의해 제1 단말 기기로 전달된다.
여기서, 제3 정보는 제1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중계 방식의 지시 방식에 대해 한정하지 않고, 일 예에 있어서, 제3 정보는 제1 중계 방식을 명확히 지시하며, 예를 들어, 제3 정보에는 제1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구성 등이 포함되고; 다른 예에 있어서, 제3 정보는 제1 중계 방식을 암시적으로 지시하며, 예를 들어, 제3 정보에는 제1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다. 제3 정보에 제1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 경우에 있어서, 코어망 기기는 각 단말 기기를 위해 동일한 중계 방식과 RSC 사이의 맵핑 관계를 사전에 구성할 수 있고, 구체적인 구성 과정은 도 10 내지 도 12에 대응되는 실시예의 관련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1320에 있어서, 중계 단말 기기는 제1 단말 기기에 제3 정보를 송신한다.
중계 단말 기기는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3 정보를 수신한 다음, 제1 단말 기기에 제3 정보를 전달하여, 제1 중계 방식을 지시할 수 있다.
아래에, 정보의 송신 방식에 대해 소개한다.
일 예에 있어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1322 내지 단계 1320은 각각 아래와 같은 단계(단계 1322는 단계 1322a로 구현되고, 단계 1324는 단계 1324a로 구현되며, 단계 1326은 단계 1326으로 구현되고, 단계 1328은 단계 1328a로 구현되며, 단계 1320은 단계 1320a로 구현됨)로 구현된다.
단계 1322a에 있어서, 제1 단말 기기는 제3 발견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제4 정보는 제3 발견 요청에 반송된다.
제1 단말 기기는 기기 발견 과정에서 제3 발견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제3 발견 요청은 상응한 중계 서비스의 중계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를 발견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단말 기기는 제2 단말 기기에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지시해야 하므로, 제1 단말 기기는 제3 발견 요청에 제4 정보를 반송할 수 있고, 상기 제4 정보는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1324a에 있어서, 중계 단말 기기는 제4 발견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제5 정보는 제4 발견 요청에 반송된다.
중계 단말 기기는 제1 단말 기기의 제3 발견 요청을 검출하면 바로 제4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다음, 제4 정보 및 중계 단말 기기 자체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제5 정보를 결정하며, 제5 정보를 제4 발견 요청에 반송하여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단계 1326에 있어서, 제2 단말 기기는 제3 중계 방식 및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한다.
제2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의 제4 발견 요청을 검출할 때 제5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제2 단말 기기는 제5 정보에 의해 지시된 제3 중계 방식 및 제2 단말 기기 자체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한다.
단계 1328a에 있어서, 제2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에 제4 발견 응답을 송신하고, 제3 정보는 제4 발견 응답에 반송된다.
제2 단말 기기는 제1 중계 방식을 지시하는 제3 정보를 제4 발견 응답에 반송하고, 제4 발견 응답을 중계 단말 기기로 리턴함으로써, 중계 단말 기기의 제4 발견 요청에 응답한다.
단계 1320a에 있어서, 중계 단말 기기는 제1 단말 기기에 제3 발견 응답을 송신하고, 제3 정보는 제3 발견 응답에 반송된다.
중계 단말 기기는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4 발견 응답을 수신한 다음, 제1 단말 기기에 제3 정보를 반송하는 제3 발견 응답을 송신함으로써, 제1 단말 기기의 제3 발견 요청에 응답한다. 선택적으로, 중계 단말 기기는 제4 발견 응답을 제1 단말 기기에 직접 전달하고, 즉 제4 발견 응답과 제3 발견 응답의 내용은 동일하거나; 중계 단말 기기는 제4 발견 응답의 내용에 대해 증감하는 것 및 포맷에 대해 처리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 다음 제3 발견 응답을 얻으며, 제3 발견 응답을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1322 내지 단계 1320은 각각 아래와 같은 단계(단계 1322는 단계 1322b로 구현되고, 단계 1324는 단계 1324b로 구현되며, 단계 1326은 단계 1326으로 구현되고, 단계 1328은 단계 1328b로 구현되며, 단계 1320은 단계 1320b로 구현됨)로 구현된다.
단계 1322b에 있어서, 제1 단말 기기는 제1 연결 구축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제4 정보는 제1 연결 구축 요청에 반송된다.
실제 응용에서, 제1 단말 기기는 기기 발견 프로세스를 실행하지 않을 수 있고, 연결 구축을 직접 개시한다. 제1 단말 기기가 연결 구축을 직접 개시할 때, 제1 단말 기기는 제1 연결 구축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제1 중계 방식은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결정되므로, 제1 단말 기기는 제2 단말 기기에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지시해야 함으로써, 제1 단말 기기는 브로드캐스트된 제1 연결 구축 요청에 제4 정보를 반송할 수 있고, 상기 제4 정보는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1324b에 있어서, 중계 단말 기기는 제2 연결 구축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제5 정보는 제2 연결 구축 요청에 반송된다.
중계 단말 기기는 제1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연결 구축 요청을 검출하면 바로 제4 정보를 파싱할 수 있고, 다음, 제4 정보에 의해 지시된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및 중계 단말 기기 자체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제3 중계 방식을 결정하며, 제3 중계 방식을 지시하는 제5 정보를 제2 연결 구축 요청에 반송하여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단계 1326에 있어서, 제2 단말 기기는 제3 중계 방식 및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한다.
제2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연결 구축 요청을 검출하면 바로 제5 정보를 파싱할 수 있고, 다음, 제5 정보에 의해 지시된 제3 중계 방식 및 제2 단말 기기 자체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1328b에 있어서, 제2 단말 기기는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연결 구축 응답을 송신하고, 제3 정보는 제2 연결 구축 응답에 반송된다.
제2 단말 기기는 제1 중계 방식을 지시하는 제3 정보를 제2 연결 구축 응답에 반송하고, 제2 연결 구축 응답을 중계 단말 기기로 리턴함으로써, 중계 단말 기기의 제2 연결 구축 요청에 응답한다.
단계 1320b에 있어서, 중계 단말 기기는 제1 단말 기기에 제1 연결 구축 응답을 송신하고, 제3 정보는 제1 연결 구축 응답에 반송된다.
중계 단말 기기는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연결 구축 응답을 수신한 다음, 제1 단말 기기에 제3 정보를 반송하는 제1 연결 구축 응답을 송신함으로써, 제1 단말 기기의 제1 연결 구축 요청에 응답한다. 선택적으로, 중계 단말 기기는 제2 연결 구축 응답을 제1 단말 기기에 직접 전달하고, 즉, 제1 연결 구축 응답 및 제2 연결 구축 응답의 내용은 동일하거나; 중계 단말 기기는 제2 연결 구축 응답의 내용에 대해 증감 및/또는 포맷 처리를 수행한 다음 제1 연결 구축 응답을 얻으며, 제1 연결 구축 응답을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13 내지 도 19에 대응되는 실시예는 제1 단말 기기, 중계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 사이의 인터랙션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에 연관된 것은, 제1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으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에 연관된 것은, 중계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으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관련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에 연관된 것은, 제2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으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기 내용은 본 발명의 장치 실시예이고,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를 실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 실시예에서 개시되지 않은 세부 사항에 대해,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를 참조하면 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는 상기 단말 기기측의 방법 예를 구현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가 상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것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는 상술된 도 1 실시예에서 소개한 단말 기기일 수 있고, 단말 기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2000)는 구성 정보 수신 모듈(20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정보 수신 모듈(2010)은 코어망 기기로부터의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코어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이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근접 통신 서비스(ProSe) 능력을 구비하는 기기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과 각각 대응되는 RSC가 더 포함된다.
일 예에 있어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2000)는 다른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RSC를 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코드 수신 모듈(2020); 및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RSC에 대응되는 상기 다른 단말 기기의 중계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중계 방식 결정 모듈(2030)을 더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에 각각 대응되는 사용 조건 정보가 더 포함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 조건 정보는 시간 정보, 영역 정보,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는 PLMN에 대응되는 식별자, TA에 대응되는 식별자, 지리적 영역에 대응되는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Prose 구성 정보에 반송되거나,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URSP 구성 정보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2000)는,
상기 코어망 기기에 중계 능력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능력 정보 송신 모듈(20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은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에 속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기기이거나,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 기기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코어망 기기는 복수 개의 상기 단말 기기에 동일한 중계 방식과 RSC 사이의 맵핑 관계를 구성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 방안은, 코어망 기기를 통해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를 위해 중계 방식을 구성하여, 상기 단말 기기가 중계 통신의 연결 방식을 명확히 하도록 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중계 통신을 구현할 수 있도록 확보한다. 또한, 코어망 기기가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를 위해 중계 방식을 구성할 때, 또한 단말 기기를 위해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를 구성할 수 있음으로써, 단말 기기는 코어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RSC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코어망 기기는 복수 개의 단말 기기를 위해 동일한 중계 방식과 RSC 사이의 맵핑 관계를 구성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향후 중계 통신 과정에서 다른 단말 기기로부터의 RSC를 수신할 때, 코어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RSC에 대응되는 다른 단말 기기의 중계 방식을 명확히 할 수 있음으로써, 단말 기기가 다른 단말 기기와 동일한 중계 방식을 사용하여, 중계 통신의 정상 수행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는 상기 코어망 기기측의 방법 예시를 구현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가 상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것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는 상술된 도 1 실시예에서 소개한 코어망 기기일 수 있고, 코어망 기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2200)는 구성 정보 송신 모듈(22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정보 송신 모듈(2210)은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코어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이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기기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과 각각 대응되는 RSC가 더 포함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에 각각 대응되는 사용 조건 정보가 더 포함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 조건 정보는 시간 정보, 영역 정보,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는 PLMN에 대응되는 식별자, TA에 대응되는 식별자, 지리적 영역에 대응되는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Prose 구성 정보에 반송되거나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URSP 구성 정보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2200)는 상기 단말 기기로부터의 중계 능력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능력 정보 수신 모듈(22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은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에 속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기기이거나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 기기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코어망 기기는 복수 개의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동일한 중계 방식과 RSC 사이의 맵핑 관계를 구성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 방안은, 코어망 기기를 통해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를 위해 중계 방식을 구성하여, 상기 단말 기기가 중계 통신의 연결 방식을 명확히 하도록 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중계 통신을 구현할 수 있도록 확보한다. 또한, 코어망 기기가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를 위해 중계 방식을 구성할 때, 또한 단말 기기를 위해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단말 기기는 코어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RSC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코어망 기기는 복수 개의 단말 기기를 위해 동일한 중계 방식과 RSC 사이의 맵핑 관계를 구성하여, 단말 기기가 향후 중계 통신 과정에서 다른 단말 기기로부터의 RSC를 수신할 때, 코어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RSC에 대응되는 다른 단말 기기의 중계 방식을 명확히 할 수 있음으로써, 단말 기기가 다른 단말 기기와 동일한 중계 방식을 사용하여, 중계 통신의 정상 수행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상기 중계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측의 방법 예를 구현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가 상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것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중계 통신 장치는 상술된 도 7 실시예에서 소개한 제1 단말 기기일 수 있고, 제1 단말 기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 통신 장치(2400)는 제1 통신 모듈(2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2410)은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2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한다.
일 예에 있어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 통신 장치(2400)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정보 수신 모듈(2420) - 상기 제1 정보는 제2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2 중계 방식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중계 방식 결정 모듈(2430)을 더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중 공동적인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에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정보 수신 모듈(2420)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정보 수신 모듈(2420)은 제1 발견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발견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발견 응답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에는 상기 제2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다.
일 예에 있어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 통신 장치(2400)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제4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4 정보 송신 모듈(2440) -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3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정보 수신 모듈(2450) -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더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정보 송신 모듈(2440)은 제3 발견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제3 발견 요청에 반송되고; 상기 제3 정보 수신 모듈(2450)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3 발견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3 발견 응답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정보 송신 모듈(2440)은 제1 연결 구축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제1 연결 구축 요청에 반송되며; 상기 제3 정보 수신 모듈(2450)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연결 구축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연결 구축 응답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4 정보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되고; 상기 제3 정보에는 상기 제1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중계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제2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 방안은, 복수 개의 단말 기기가 중계를 통해 서비스 인터랙션을 구현하는 중계 통신 시스템의 경우, 각 단말 기기가 일치한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 중계 통신 과정을 실행하여, 단말 기기에 사용되는 중계 방식이 매칭되지 않아 중계 연결을 구축할 수 없는 것을 피함으로써, 중계 통신의 정상 수행을 확보한다.
도 2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상기 중계 통신 장치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 측의 방법 예를 구현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가 상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것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중계 통신 장치는 상술된 도 7 실시예에서 소개한 중계 단말 기기일 수 있고, 중계 단말 기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 통신 장치(2600)는 중계 통신 모듈(2610)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 통신 모듈(2610)은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한다.
일 예에 있어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 통신 장치(2600)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정보 수신 모듈(2620) -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정보 송신 모듈(2630) - 상기 제1 정보는 제2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됨 - 을 더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중 공동적인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에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반송되거나;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 등록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송신된 것이거나;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제2 단말 기기와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연결을 구축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 송신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정보 송신 모듈(2630)은 제1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수신 모듈(2620)은 상기 제1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발견 요청을 수신하고; 제2 발견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며 - 상기 제2 발견 요청은 상기 제1 발견 요청에 기반하여 결정됨 - ;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발견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발견 응답에 반송되며; 상기 제1 정보 송신 모듈(2630)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제1 발견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발견 응답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에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정보에는 상기 제2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다.
일 예에 있어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 통신 장치(2600)는 상기 제1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4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4 정보 수신 모듈(2640) -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제5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5 정보 송신 모듈(2650) - 상기 제5 정보는 제3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5 정보는 상기 제4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됨 - ;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3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정보 수신 모듈(2660) -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상기 제3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3 정보 송신 모듈(2670)을 더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중 공동적인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5 정보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는 제1 단말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정보 수신 모듈(2640)은 상기 제1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3 발견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제3 발견 요청에 반송되며; 상기 제5 정보 송신 모듈(2650)은 제4 발견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5 정보는 상기 제4 발견 요청에 반송되며; 상기 제3 정보 수신 모듈(2660)은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4 발견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4 발견 응답에 반송되며; 상기 제3 정보 송신 모듈(2670)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제3 발견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3 발견 응답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정보 수신 모듈(2640)은 상기 제1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연결 구축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제1 연결 구축 요청에 반송되며; 상기 제5 정보 송신 모듈(2650)은 제2 연결 구축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5 정보는 상기 제2 연결 구축 요청에 반송되며; 상기 제3 정보 수신 모듈(2660)은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연결 구축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연결 구축 응답에 반송되며; 상기 제3 정보 송신 모듈(2670)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제1 연결 구축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연결 구축 응답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4 정보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되고; 상기 제5 정보에는 상기 제3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되며; 상기 제3 정보에는 상기 제1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 방안은, 복수 개의 단말 기기가 중계를 통해 서비스 인터랙션을 구현하는 중계 통신 시스템의 경우, 각 단말 기기가 일치한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 중계 통신 과정을 실행하여, 단말 기기에 사용되는 중계 방식이 매칭되지 않아 중계 연결을 구축할 수 없는 것을 피함으로써, 중계 통신의 정상 수행을 확보한다.
도 2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상기 중계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단말 기기 측의 방법 예를 구현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가 상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것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중계 통신 장치는 상술된 도 7 실시예에서 소개한 제2 단말 기기일 수 있고, 제2 단말 기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 통신 장치(2800)는 제2 통신 모듈(28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2810)은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한다.
일 예에 있어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 통신 장치(2800)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정보 송신 모듈(28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정보 송신 모듈(2820)은 제2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거나 -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반송됨 - ;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 등록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상기 제2 정보를 송신하거나; 상기 제2 단말 기기와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연결을 구축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상기 제2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정보 송신 모듈(2820)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발견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발견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발견 응답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에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다.
일 예에 있어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 통신 장치(2800)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5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5 정보 수신 모듈(2830) - 상기 제5 정보는 제3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제3 중계 방식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중계 방식 결정 모듈(2840); 및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제3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3 정보 송신 모듈(28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중 공동적인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5 정보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는 제1 단말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 정보 수신 모듈(2830)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4 발견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5 정보는 상기 제4 발견 요청에 반송되며; 상기 제3 정보 송신 모듈(2850)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제4 발견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4 발견 응답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 정보 수신 모듈(2830)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연결 구축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5 정보는 상기 제2 연결 구축 요청에 반송되며; 상기 제3 정보 송신 모듈(2850)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연결 구축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연결 구축 응답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5 정보에는 상기 제3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되고; 상기 제3 정보에는 상기 제1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 방안은, 복수 개의 단말 기기가 중계를 통해 서비스 인터랙션을 구현하는 중계 통신 시스템의 경우, 각 단말 기기가 일치한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 중계 통신 과정을 실행하여, 단말 기기에 사용되는 중계 방식이 매칭되지 않아 중계 연결을 구축할 수 없는 것을 피함으로써, 중계 통신의 정상 수행을 확보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통신 장치가 그 기능을 구현할 때, 다만 상기 각 기능 모듈의 구분으로만 예를 들어 설명하고, 실제 응용에서, 실제 수요에 따라 상기 기능 분배는 상이한 기능 모듈에 의해 완료될 수 있고, 즉 기기의 내부 구조를 상이한 기능 모듈로 분할함으로써, 상기 설명한 전부 또는 부분 기능을 완료한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중계 통신 장치에 관련하여, 여기서 각 모듈이 동작을 실행하는 구체적 방식은 상기 방법에 관련된 실시예에서 이미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기기(300)의 구조 예시도를 도시하고, 예를 들어,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 측의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300)는 프로세서(301) 및 상기 프로세서(301)와 연결된 트랜시버(302)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프로세서(301)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코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30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작동함으로써, 다양한 기능 응용 및 정보 처리를 실행한다.
트랜시버(302)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트랜시버(302)는 통신 칩이다.
일 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300)는 메모리 및 버스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와 연결된다.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의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각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메모리는 임의의 타입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Access Memory, RAM) 및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솔리드스테이트 메모리 기술, 콤팩트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또는 다른 광학 메모리, 테이프 카트리지,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메모리 또는 다른 자기 저장 기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트랜시버(302)는 코어망 기기로부터의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코어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이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근접 통신 서비스(Prose) 능력을 구비하는 기기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과 각각 대응되는 RSC가 더 포함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02)는 다른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RSC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301)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RSC에 대응되는 상기 다른 단말 기기의 중계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에 각각 대응되는 사용 조건 정보가 더 포함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 조건 정보는 시간 정보, 영역 정보,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는 PLMN에 대응되는 식별자, TA에 대응되는 식별자, 지리적 영역에 대응되는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Prose 구성 정보에 반송되거나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URSP 구성 정보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02)는 상기 코어망 기기에 중계 능력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중계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은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에 속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기기이거나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 기기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코어망 기기는 복수 개의 상기 단말 기기에 동일한 중계 방식과 RSC 사이의 맵핑 관계를 구성한다.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코어망 기기(310)의 구조 예시도를 도시하고, 예를 들어, 상기 코어망 기기는 상기 코어망 기기측의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망 기기(310)는 프로세서(311) 및 상기 프로세서(311)와 연결된 트랜시버(312)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프로세서(311)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코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31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작동함으로써, 다양한 기능 응용 및 정보 처리를 실행한다.
트랜시버(312)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트랜시버(312)는 통신 칩이다.
일 예에 있어서, 코어망 기기(310)는 메모리 및 버스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와 연결된다.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의 코어망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각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메모리는 임의의 타입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는 RAM 및 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솔리드스테이트 메모리 기술, CD-ROM, DVD 또는 다른 광학 메모리, 테이프 카트리지,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메모리 또는 다른 자기 저장 기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트랜시버(312)는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코어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이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ProSe 능력을 구비하는 기기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과 각각 대응되는 RSC가 더 포함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에 각각 대응되는 사용 조건 정보가 더 포함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 조건 정보는 시간 정보, 영역 정보,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는 PLMN에 대응되는 식별자, TA에 대응되는 식별자, 지리적 영역에 대응되는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Prose 구성 정보에 반송되거나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URSP 구성 정보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12)는 또한 상기 단말 기기로부터의 중계 능력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중계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은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에 속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기기이거나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 기기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코어망 기기는 복수 개의 상기 단말 기기에 동일한 중계 방식과 RSC 사이의 맵핑 관계를 구성한다.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1 단말 기기(320)의 구조 예시도를 도시하고,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 기기(320)는 프로세서(321) 및 상기 프로세서(321)와 연결된 트랜시버(322)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프로세서(321)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코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32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작동함으로써, 다양한 기능 응용 및 정보 처리를 실행한다.
트랜시버(322)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트랜시버(322)는 통신 칩이다.
일 예에 있어서, 제1 단말 기기(320)는 메모리 및 버스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와 연결된다.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의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각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메모리는 임의의 타입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는 RAM 및 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솔리드스테이트 메모리 기술, CD-ROM, DVD 또는 다른 광학 메모리, 테이프 카트리지,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메모리 또는 다른 자기 저장 기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트랜시버(322)는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2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22)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제2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321)는 상기 제2 중계 방식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서 공동적인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에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22)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22)는 제1 발견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발견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발견 응답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에는 상기 제2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22)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제4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트랜시버(322)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3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22)는 제3 발견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제3 발견 요청에 반송되며; 상기 트랜시버(322)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3 발견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3 발견 응답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22)는 제1 연결 구축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제1 연결 구축 요청에 반송되며; 상기 트랜시버(322)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연결 구축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연결 구축 응답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4 정보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되고; 상기 제3 정보에는 상기 제1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중계 단말 기기(330)의 구조 예시도를 도시하고,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기기(330)는 프로세서(331) 및 상기 프로세서(33)와 연결된 트랜시버(332)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프로세서(331)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코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33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작동함으로써, 다양한 기능 응용 및 정보 처리를 실행한다.
트랜시버(332)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트랜시버(332)는 통신 칩이다.
일 예에 있어서, 중계 단말 기기(330)는 메모리 및 버스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와 연결된다.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의 중계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각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메모리는 임의의 타입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는 RAM 및 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솔리드스테이트 메모리 기술, CD-ROM, DVD 또는 다른 광학 메모리, 테이프 카트리지,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메모리 또는 다른 자기 저장 기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트랜시버(332)는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32)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트랜시버(332)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제2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서 공동적인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에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반송되거나;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 등록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송신된 것이거나;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제2 단말 기기와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연결을 구축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 송신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32)는 제1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32)는 상기 제1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발견 요청을 수신하고; 제2 발견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며 - 상기 제2 발견 요청은 상기 제1 발견 요청에 기반하여 결정됨 - ;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발견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발견 응답에 반송되며; 상기 트랜시버(332)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제1 발견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발견 응답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에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정보에는 상기 제2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32)는 상기 제1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4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트랜시버(332)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제5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5 정보는 제3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5 정보는 상기 제4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상기 트랜시버(322)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3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트랜시버(332)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상기 제3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중 공동적인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5 정보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는 제1 단말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32)는 상기 제1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3 발견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제3 발견 요청에 반송되며; 상기 트랜시버(332)는 제4 발견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5 정보는 상기 제4 발견 요청에 반송되며; 상기 트랜시버(332)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4 발견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4 발견 응답에 반송되며; 상기 트랜시버(332)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제3 발견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3 발견 응답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32)는 상기 제1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연결 구축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제1 연결 구축 요청에 반송되며; 상기 트랜시버(332)는 제2 연결 구축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5 정보는 상기 제2 연결 구축 요청에 반송되며; 상기 트랜시버(332)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연결 구축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연결 구축 응답에 반송되며; 상기 트랜시버(332)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제1 연결 구축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연결 구축 응답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4 정보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되고; 상기 제5 정보에는 상기 제3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되며; 상기 제3 정보에는 상기 제1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2 단말 기기(340)의 구조 예시도를 도시하고,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 기기(340)는 프로세서(341) 및 상기 프로세서(341)와 연결된 트랜시버(342)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프로세서(341)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코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34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작동함으로써, 다양한 기능 응용 및 정보 처리를 실행한다.
트랜시버(342)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트랜시버(342)는 통신 칩이다.
일 예에 있어서, 제2 단말 기기(340)는 메모리 및 버스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와 연결된다.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의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각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메모리는 임의의 타입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는 RAM 및 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솔리드스테이트 메모리 기술, CD-ROM, DVD 또는 다른 광학 메모리, 테이프 카트리지,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메모리 또는 다른 자기 저장 기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트랜시버(342)는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42)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42)는 제2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거나 -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반송됨 - ;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 등록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상기 제2 정보를 송신하거나; 상기 제2 단말 기기와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연결을 구축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상기 제2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42)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발견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발견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발견 응답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에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42)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5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5 정보는 제3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341)는 상기 제3 중계 방식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트랜시버(342)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제3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서 공동적인 중계 방식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5 정보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는 제1 단말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42)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4 발견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5 정보는 상기 제4 발견 요청에 반송되며; 상기 트랜시버(342)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제4 발견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4 발견 응답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342)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연결 구축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5 정보는 상기 제2 연결 구축 요청에 반송되며; 상기 트랜시버(342)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연결 구축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연결 구축 응답에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5 정보에는 상기 제3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되고; 상기 제3 정보에는 상기 제1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단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단말 기기 측의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코어망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코어망 기기 측의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단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제1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중계 단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중계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2 단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제2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칩을 더 제공하고, 상기 칩은 프로그램 가능 논리 회로 및 프로그램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칩이 단말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단말 기기 측의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칩을 더 제공하고, 상기 칩은 프로그램 가능 논리 회로 및 프로그램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칩이 코어망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코어망 기기 측의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칩을 더 제공하고, 상기 칩은 프로그램 가능 논리 회로 및 프로그램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칩이 제1 단말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제1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칩을 더 제공하고, 상기 칩은 프로그램 가능 논리 회로 및 프로그램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칩이 중계 단말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중계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칩을 더 제공하고, 상기 칩은 프로그램 가능 논리 회로 및 프로그램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칩이 제2 단말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제2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단말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단말 기기 측의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코어망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코어망 기기 측의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1 단말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제1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중계 단말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중계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2 단말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제2 단말 기기 측의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예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능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할 때, 이러한 기능을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하거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명령어 또는 코드로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통신 매체는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쉽게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가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사용 가능 매체일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원칙 내에서 진행한 임의의 수정, 동등한 대체, 개진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09)
-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에 적용되고,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은, 코어망 기기로부터의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코어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이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근접 통신 서비스(Prose) 능력을 구비하는 기기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에 각각 대응되는 중계 서비스 코드(RSC)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은,
다른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RSC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RSC에 대응되는 상기 다른 단말 기기의 중계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에 각각 대응되는 사용 조건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조건 정보는 시간 정보, 영역 정보,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는 공중 육상 이동망(PLMN)에 대응되는 식별자, 타이밍 어드밴스(TA)에 대응되는 식별자, 지리적 영역에 대응되는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Prose 구성 정보에 반송되거나,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사용자 기기 경로 선택 정책(URSP) 구성 정보에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망 기기로부터의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은,
상기 코어망 기기에 중계 능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중계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은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기기이거나,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망 기기는 복수 개의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동일한 중계 방식과 RSC 사이의 맵핑 관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으로서,
코어망 기기에 적용되고,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은,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코어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이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근접 통신 서비스(Prose) 능력을 구비하는 기기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에 각각 대응되는 중계 서비스 코드(RSC)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에 각각 대응되는 사용 조건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조건 정보는 시간 정보, 영역 정보,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는 공중 육상 이동망(PLMN)에 대응되는 식별자, 타이밍 어드밴스(TA)에 대응되는 식별자, 지리적 영역에 대응되는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Prose 구성 정보에 반송되거나,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사용자 기기 경로 선택 정책(URSP) 구성 정보에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로부터의 중계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중계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은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14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기기이거나,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제14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망 기기는 복수 개의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동일한 중계 방식과 RSC 사이의 맵핑 관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 중계 통신 방법으로서,
제1 단말 기기에 적용되고,
상기 중계 통신 방법은,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2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는 단계 -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2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전에, 상기 중계 통신 방법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정보는 제2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2 중계 방식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중 공동적인 중계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에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27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반송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27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 발견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발견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발견 응답에 반송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27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에는 상기 제2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중계 서비스 코드(RSC)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2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전에, 상기 중계 통신 방법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제4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3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통신 방법은,
제3 발견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제3 발견 요청에 반송됨 - ; 및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3 발견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3 발견 응답에 반송됨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통신 방법은,
제1 연결 구축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제1 연결 구축 요청에 반송됨 - ; 및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연결 구축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연결 구축 응답에 반송됨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정보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되고;
상기 제3 정보에는 상기 제1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26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26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중계 통신 방법으로서,
중계 단말 기기에 적용되고,
상기 중계 통신 방법은,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는 단계 -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전에, 상기 중계 통신 방법은,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정보는 제2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됨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중 공동적인 중계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4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에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4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반송되거나;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 등록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송신된 것이거나;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단말 기기와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연결을 구축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송신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1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반송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4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발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2 발견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 상기 제2 발견 요청은 상기 제1 발견 요청에 기반하여 결정됨 - ;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발견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발견 응답에 반송됨 - :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제1 발견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발견 응답에 반송됨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4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에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중계 서비스 코드(RSC)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정보에는 상기 제2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전에, 상기 중계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4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제5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5 정보는 제3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5 정보는 상기 제4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됨 - ;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3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상기 제3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중 공동적인 중계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49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정보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는 제1 단말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49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3 발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제3 발견 요청에 반송됨 - ;
제4 발견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 상기 제5 정보는 상기 제4 발견 요청에 반송됨 - ;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4 발견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4 발견 응답에 반송됨 - ;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제3 발견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3 발견 응답에 반송됨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49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연결 구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제1 연결 구축 요청에 반송됨 - ;
제2 연결 구축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 상기 제5 정보는 상기 제2 연결 구축 요청에 반송됨 - ;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연결 구축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연결 구축 응답에 반송됨 - ;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제1 연결 구축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연결 구축 응답에 반송됨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49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정보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되고;
상기 제5 정보에는 상기 제3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되며;
상기 제3 정보에는 상기 제1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40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40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중계 통신 방법으로서,
제2 단말 기기에 적용되고,
상기 중계 통신 방법은,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는 단계 -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전에, 상기 중계 통신 방법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2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반송됨 - ; 또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 등록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상기 제2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와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연결을 구축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상기 제2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발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발견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발견 응답에 반송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59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에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중계 서비스 코드(RSC)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전에, 상기 중계 통신 방법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5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5 정보는 제3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제3 중계 방식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중계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제3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중계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 중 공동적인 중계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63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정보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는 제1 단말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63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통신 방법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4 발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5 정보는 상기 제4 발견 요청에 반송됨 - ; 및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제4 발견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4 발견 응답에 반송됨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63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통신 방법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2 연결 구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5 정보는 상기 제2 연결 구축 요청에 반송됨 - ; 및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제2 연결 구축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연결 구축 응답에 반송됨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63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정보에는 상기 제3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되며;
상기 제3 정보에는 상기 제1 중계 방식에 대응되는 RSC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58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제58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중계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지원하고 코어망 기기에 의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구성된 중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방법. -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로서,
단말 기기에 설치되고,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는,
코어망 기기로부터의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 정보 수신 모듈 -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코어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이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근접 통신 서비스(Prose) 능력을 구비하는 기기임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에 각각 대응되는 중계 서비스 코드(RSC)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73항에 있어서,
다른 단말 기기로부터의 제1 RSC를 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코드 수신 모듈; 및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RSC에 대응되는 상기 다른 단말 기기의 중계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중계 방식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72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에 각각 대응되는 사용 조건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조건 정보는 시간 정보, 영역 정보,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는 공중 육상 이동망(PLMN)에 대응되는 식별자, 타이밍 어드밴스(TA)에 대응되는 식별자, 지리적 영역에 대응되는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72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72항 내지 제7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Prose 구성 정보에 반송되거나,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사용자 기기 경로 선택 정책(URSP) 구성 정보에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72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망 기기에 중계 능력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능력 정보 송신 모듈 - 상기 중계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함 -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80항 또는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은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72항 내지 제8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기기이거나,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72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망 기기는 복수 개의 상기 단말 기기에 동일한 중계 방식과 RSC 사이의 맵핑 관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로서,
코어망 기기에 설치되고,
상기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는,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구성 정보 송신 모듈 -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코어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이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근접 통신 서비스(Prose) 능력을 구비하는 기기임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에 각각 대응되는 중계 서비스 코드(RSC)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85항 또는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에 각각 대응되는 사용 조건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조건 정보는 시간 정보, 영역 정보,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는 공중 육상 이동망(PLMN)에 대응되는 식별자, 타이밍 어드밴스(TA)에 대응되는 식별자, 지리적 영역에 대응되는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85항 내지 제8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85항 내지 제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Prose 구성 정보에 반송되거나,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사용자 기기 경로 선택 정책(URSP) 구성 정보에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85항 내지 제9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로부터의 중계 능력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능력 정보 수신 모듈 - 상기 중계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을 포함함 -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은 계층 3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계층 2에 기반하는 중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92항 또는 제9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은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중계 방식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85항 내지 제9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기기이거나,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제85항 내지 제9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망 기기는 복수 개의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동일한 중계 방식과 RSC 사이의 맵핑 관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식의 구성 장치. - 중계 통신 장치로서,
제1 단말 기기에 설치되고,
상기 중계 통신 장치는,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2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제1 통신 모듈 -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장치. - 중계 통신 장치로서,
중계 단말 기기에 설치되고,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중계 통신 모듈 -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장치. - 중계 통신 장치로서,
제2 단말 기기에 설치되고,
상기 중계 통신 장치는,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제2 통신 모듈 -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장치. - 단말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시버는 코어망 기기로부터의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코어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이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근접 통신 서비스(Prose) 능력을 구비하는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 코어망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시버는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코어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방식이 포함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근접 통신 서비스(Prose) 능력을 구비하는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망 기기. - 제1 단말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시버는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2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 중계 단말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시버는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단말 기기. - 제2 단말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시버는 제1 중계 방식에 기반하여, 중계 단말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고,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중계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며, 상기 제1 중계 방식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중계 방식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기기. -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단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코어망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4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단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26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중계 단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40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중계 단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58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CN2021/084741 WO2022205219A1 (zh) | 2021-03-31 | 2021-03-31 | 中继方式的配置方法、中继通信方法、装置及设备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64651A true KR20230164651A (ko) | 2023-12-04 |
Family
ID=8345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27930A KR20230164651A (ko) | 2021-03-31 | 2021-03-31 |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중계 통신 방법, 장치 및 기기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300638A1 (ko) |
EP (1) | EP4236468A4 (ko) |
JP (1) | JP2024511248A (ko) |
KR (1) | KR20230164651A (ko) |
CN (2) | CN116325928A (ko) |
BR (1) | BR112023012545A2 (ko) |
MX (1) | MX2023007996A (ko) |
WO (1) | WO2022205219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841865A (zh) * | 2009-03-20 | 2010-09-22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中继站工作模式选择方法和装置 |
WO2017026763A1 (en) * | 2015-08-09 | 2017-02-16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performing realy functions at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EP3148284B1 (en) * | 2015-09-25 | 2020-10-21 | ASUSTek Computer Inc. | Methods and apparatus for solving mismatch between sidelink buffer status report (bsr) and available side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CN109996414A (zh) * | 2017-12-29 | 2019-07-09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线缆背板、线缆盒和线缆组件 |
CN110099423A (zh) * | 2018-01-30 | 2019-08-06 |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 一种中继工作模式的选择方法、装置及设备 |
CN110098858A (zh) * | 2018-01-30 | 2019-08-06 |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 一种中继工作模式配置方法及终端 |
US11197200B2 (en) * | 2019-07-12 | 2021-12-07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Radio slice controller to support network slicing and quality of service |
US11824620B2 (en) * | 2019-09-05 | 2023-11-21 | Qualcomm Incorporated | Remote unit with a configurable mode of operation |
US11849503B2 (en) * | 2020-02-07 | 2023-12-19 | Qualcomm Incorporated | Proximity service multi-hop relay configuration |
US11825330B2 (en) * | 2020-03-13 | 2023-11-21 | Qualcomm Incorporated | Techniques for quality of service support in sidelink communications |
CN114079995A (zh) * | 2020-08-12 | 2022-02-22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中继管理方法及通信装置 |
CN114339814B (zh) * | 2020-09-29 | 2024-05-28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中继通信信息配置方法、装置及电子设备 |
WO2022170563A1 (zh) * | 2021-02-10 | 2022-08-18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通信方法、装置及系统 |
-
2021
- 2021-03-31 WO PCT/CN2021/084741 patent/WO2022205219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03-31 BR BR112023012545A patent/BR112023012545A2/pt unknown
- 2021-03-31 JP JP2023535696A patent/JP2024511248A/ja active Pending
- 2021-03-31 CN CN202180071192.3A patent/CN116325928A/zh active Pending
- 2021-03-31 MX MX2023007996A patent/MX2023007996A/es unknown
- 2021-03-31 EP EP21933881.1A patent/EP4236468A4/en active Pending
- 2021-03-31 CN CN202310909325.0A patent/CN116761229A/zh active Pending
- 2021-03-31 KR KR1020237027930A patent/KR20230164651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3
- 2023-05-25 US US18/201,968 patent/US20230300638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236468A1 (en) | 2023-08-30 |
CN116761229A (zh) | 2023-09-15 |
EP4236468A4 (en) | 2024-01-17 |
JP2024511248A (ja) | 2024-03-13 |
BR112023012545A2 (pt) | 2023-10-10 |
WO2022205219A1 (zh) | 2022-10-06 |
MX2023007996A (es) | 2023-07-13 |
US20230300638A1 (en) | 2023-09-21 |
CN116325928A (zh) | 2023-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2042259B (zh) |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通信的方法和装置 | |
US11172539B2 (en) | Base station and terminal device | |
US9591679B2 (en) | Initiation of inter-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
JP2021518684A (ja) | アクセストラフィック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ング、及び/又は、分割動作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 |
US20240064863A1 (en) | Ue controlled pdu sessions on a network slice | |
WO2022032220A1 (en) | Access to second network | |
WO201102018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network inter-device communications | |
WO2017219244A1 (zh) | 一种通信方法及设备 | |
EP435477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 |
US20240251228A1 (en) | Emergency Service | |
CN115484582A (zh) | 通信方法和通信装置 | |
US20230018378A1 (en) | Parameter configu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device and storage medium | |
WO2020168467A1 (en) |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a group communication | |
US20230269573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ue context management in sidelink relay scenarios | |
WO2022067540A1 (zh) | 中继设备的选择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KR20230164651A (ko) | 중계 방식의 구성 방법, 중계 통신 방법, 장치 및 기기 | |
CN116996859A (zh) | 一种通信方法和通信装置 | |
US2012012079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ffic | |
EP4216622A2 (en) | Network registration method for traffic steering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US20160308600A1 (en) |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wireless access system | |
CN117062173B (zh) | 边缘网络下的安全通信方法及装置 | |
WO2023241467A1 (zh) | 通信方法及通信装置 | |
CN115708385A (zh) |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 |
CN116996985A (zh) | 一种基于边缘网络的通信方法及装置 | |
CN118844091A (zh) | 用于业务传输的网络注册方法和支持该方法的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