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3916A - Lid-equipped container - Google Patents

Lid-equipped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3916A
KR20230163916A KR1020220165392A KR20220165392A KR20230163916A KR 20230163916 A KR20230163916 A KR 20230163916A KR 1020220165392 A KR1020220165392 A KR 1020220165392A KR 20220165392 A KR20220165392 A KR 20220165392A KR 20230163916 A KR20230163916 A KR 20230163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container body
ventilation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53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게이 이토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215972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3172837A/en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230163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3916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4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65D51/165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formed by an elastic band closing an opening in a tubular part of the closure encircled by said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과제] 저비용이고 간편한 구조를 가지면서, 용기 본체 내의 압력 변화에 대해서 덮개체를 용기 본체로부터 용이하고 안전하게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덮개 부착 용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덮개체(3)는, 둘레벽부(3a)의 내주면과 대향하면서, 천벽부(3b)의 하면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리브벽(8)과, 둘레벽부(3a)와 리브벽(8)과의 사이에 형성된 홈부(9)와, 홈부(9)의 저면의 일부를 지름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한 제1 통기용 오목부(12)와, 리브벽(8)의 일부를 상하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한 제2 통기용 오목부(13)를 가지고, 지수 패킹(4)은, 홈부(9)에 감합되는 제1 탄성부(4a)와, 리브벽(8)이 감합되는 감합 오목부(10)가 마련된 제2 탄성부(4b)를 가지고, 덮개체(3)의 내측에 감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Problem] To provide a container with a cover that is low-cost and has a simple structure, and that allows the cover to be easily and safely removed from the container body in response to pressure changes within the container body.
[Solution] The cover body 3 includes a rib wall 8 that face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3a and protrudes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wall portion 3b, a peripheral wall portion 3a, and a rib. A groove portion (9) formed between the wall (8), a first ventilation concave portion (12) in which a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groove portion (9) is recess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and a portion of the rib wall (8). It has a second venting concave portion 13 concav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water stop packing 4 has a first elastic portion 4a fitted into the groove portion 9 and a rib wall 8 fitted therewith. It has a second elastic portion 4b provided with a fitting concave portion 10,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body 3 by fitting.

Description

덮개 부착 용기{Lid-equipped container}Lid-equipped container {Lid-equipped container}

본 발명은, 덮개 부착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with a lid.

예를 들면, 내부 덮개 및 외부 덮개를 이용하여 용기 본체에 마련된 개구부를 밀폐하는 구조를 채용한 덮개 부착 용기가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을 참조.). For example, there is a container with a cover that adopts a structure that seals the opening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using an inner cover and an outer cover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below).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덮개 부착 용기는, 상단부에 개구부가 마련된 용기 본체와, 개구부로부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개구부를 폐색(閉塞)하는 내부 덮개와, 내부 덮개에 장착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와 내부 덮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止水, 물이 새는 것을 막음) 패킹과, 개구부를 외측으로부터 덮은 상태에서 용기 본체에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되는 외부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덮개 부착 용기는, 내부 덮개에 마련된 공기 구멍(통기(通氣) 구멍)을 외부 덮개에 마련된 마개 폐쇄 패킹(마개체)이 폐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Specifically, such a container with a cover includes a container body provided with an opening at the upper end, an inner cover that closes the opening when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from the opening, and a container in a state mounted on the inner cover. It is equipped with a water-stop packing that seals the gap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inner cover, and an outer cover that is screwed to the container body while covering the opening from the outside. Additionally, the container with a lid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ir hole (ventilation hole) provided in the inner lid is closed by a stopper closing packing (cap body) provided in the outer lid.

이와 같은 덮개 부착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에 외부 덮개가 장착되었을 때에, 마개 폐쇄 패킹이 내부 덮개와 맞닿음되는 것에 의해서, 내부 덮개의 상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덮개 부착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로부터 외부 덮개를 분리할 때에, 마개 폐쇄 패킹에 의한 공기 구멍의 폐색이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이 저하했을(부압(負壓)이 되었을) 경우라도, 용기 본체로부터 외부 덮개를 분리했을 때에 공기 구멍을 통해 외기가 도입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이 대기압과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 덮개가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끌려가지 않고, 내부 덮개를 용기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such a container with a lid, when the outer lid is mounted on the container body, the stopper closing packing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lid, thereby restric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inner lid. Additionally, in a container with a lid, when the outer cover is removed from the container body, the air hole is unoccluded by the stopper closing packing. As a result, even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decreases (becomes negative pressure), when the outer cover is removed from the container body, outsid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air hole, so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remains the same as atmospheric pressure. I do 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inner cover from the container body without the inner cover being dragged inside the container body.

일본 특허 제5494717호 공보Japanese Patent No. 5494717 Publication

그렇지만, 상술한 종래의 덮개 부착 용기에서는, 내부 덮개 및 외부 덮개를 이용하여 용기 본체에 마련된 개구부를 밀폐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화될 뿐만 아니라, 부품수의 증가에 의해 비용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ontainer with a lid, a structure that seals the opening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using an inner cover and an outer cover is adopted, which not only makes the structure complicated, but also increases the cost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There is.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저비용이고 간편한 구조를 가지면서, 용기 본체 내의 압력 변화에 대해서 덮개체를 용기 본체로부터 용이하고 안전하게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덮개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such conventional circumstances, and provides a container with a cover that has a low cost and simple structure and allows the cover to be easily and safely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in response to pressure changes within the container body.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means.

[1] 상단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와, [1] A container body with an open upper end,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체와, A cover body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by screwing and opens and closes an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덮개체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 개구부를 폐색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하면서,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체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을 구비하고, When the lid body closes the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it is provided with a water-stop packing that adheres closely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entire circumference, and seals the space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body,

상기 덮개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둘레벽부와, 상기 둘레벽부의 상부를 폐색하는 천벽부(天壁部)와, 상기 둘레벽부의 내주면과 대향하면서, 상기 천벽부의 하면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리브벽과, 상기 둘레벽부와 상기 리브벽과의 사이에 형성된 홈부와, 상기 홈부의 저면의 일부를 지름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한 제1 통기용 오목부와, 상기 리브벽의 일부를 상하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한 제2 통기용 오목부를 가지고, The cover body includes a peripheral wall portion fac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 top wall portion that closes the upper part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which faces the entire circumfere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wall portion. A rib wall protruding across, a groove formed between the peripheral wall and the rib wall, a first ventilation concave port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is recess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and a portion of the rib wall. It has a second ventilation concave portion that is concav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지수 패킹은, 상기 홈부에 감합(嵌合)되는 제1 탄성부와, 상기 리브벽이 감합되는 감합 오목부가 마련된 제2 탄성부를 가지고, 상기 덮개체의 내측에 감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부착 용기. The water stop packing has a first elastic part that fits into the groove and a second elastic part provided with a fitting concave part into which the rib wall fits, and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over body by fitting. A container with a cov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id.

[2] 상단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와, [2] A container body with an open upper end,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체와, A cover body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by screwing and opens and closes an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덮개체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 개구부를 폐색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하면서,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체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을 구비하고, When the lid body closes the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it is provided with a water-stop packing that adheres closely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entire circumference, and seals the space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body,

상기 덮개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둘레벽부와, 상기 둘레벽부의 상부를 폐색하는 천벽부와, 상기 둘레벽부의 내주면과 대향하면서, 상기 천벽부의 하면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리브벽과, 상기 둘레벽부와 상기 리브벽과의 사이에 형성된 홈부를 가지고, The lid body has a peripheral wall portion fac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 top wall portion that closes the upper part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and a rib that face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and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wall portion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It has a wall and a groove formed between the peripheral wall portion and the rib wall,

상기 지수 패킹은, 상기 홈부에 감합되는 제1 탄성부와, 상기 리브벽이 감합되는 감합 오목부가 마련된 제2 탄성부와, 상기 제1 탄성부에 있어서의 상기 홈부의 저면과 대향하는 면의 일부를 지름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한 제1 통기용 오목부와, 상기 제2 탄성부에 있어서의 상기 리브벽과 대향하는 면의 일부를 상하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한 제2 통기용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덮개체의 내측에 감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부착 용기. The water stop packing includes a first elastic portion that fits into the groove portion, a second elastic portion provided with a fitting concave portion into which the rib wall fits, and a portion of a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that faces the bottom of the groove portion. It has a first ventilation concave portion concave along the radial direction, and a second ventilator concave portion in which a part of a surface of the second elastic portion opposing the rib wall is concav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 container with a li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lid body by fitting.

[3]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이 상승 또는 저하했을 때에, 상기 지수 패킹의 일부가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제1 통기용 오목부, 상기 제2 통기용 오목부 및 상기 감합 오목부의 일부를 통해서 외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가 통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덮개 부착 용기. [3] When the pressure within the container body increases or decreases, a part of the water stop packing is elastically deformed,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portion of the first ventilation recess, the second ventilation recess, and the fitting recess. The container with a lid according to [1] or [2] above, wherei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is ventilated.

[4] 상기 제2 통기용 오목부는, 상기 제1 통기용 오목부와 둘레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덮개 부착 용기. [4] The container with a lid according to [1] or [2] above, wherein the second venting recess is provided at a position that overlaps the first venting reces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5] 상기 제1 통기용 오목부와 상기 제2 통기용 오목부가 연속해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덮개 부착 용기. [5] The container with a lid according to [1] or [2] above, wherein the first ventilation recess and the second ventilation recess are provided in succession.

[6] 상기 지수 패킹은, 상기 감합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탄성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 탄성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덮개 부착 용기. [6] The container with a lid according to [1] or [2] above, wherein the water-stop packing has a third elastic portion located on an opposite side to the first elastic portion with the fitting concave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7] 상기 제1 통기용 오목부 및 상기 제2 통기용 오목부는, 각각 둘레 방향의 복수 개소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덮개 부착 용기. [7] The container with a lid according to [1] or [2] above, wherein the first venting recess and the second venting recess are each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8] 상기 제1 통기용 오목부는, 상기 제2 통기용 오목부보다도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덮개 부착 용기. [8] The container with a lid according to [1] or [2] above, wherein the first ventilation recess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second ventilation recess.

[9] 상기 덮개체는, 상기 둘레벽부의 내주면에 마련된 암나사부를 가지고, [9] The cover body has a female thread portion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둘레벽부와 대향하는 외주면에 마련된 수나사부를 가지고, The container body has a male thread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facing the peripheral wall portion,

상기 암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서 상기 덮개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덮개 부착 용기. The container with a lid according to [1] or [2] above, wherein the lid body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by screwing the female thread portion and the male thread por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저비용이고 간편한 구조를 가지면서, 용기 본체 내의 압력 변화에 대해서 덮개체를 용기 본체로부터 용이하고 안전하게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덮개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ainer with a cover that has a low cost and simple structure and allows the cover body to be easily and safely removed from the container body in response to pressure changes within the container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 부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덮개 부착 용기의 용기 본체에 대해서 덮개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 중에 나타내는 박스 부분(A)을 확대한 덮개 부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덮개체의 내측에 지수 패킹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덮개체의 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 중에 나타내는 박스 부분(B)을 확대한 덮개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 중에 나타내는 박스 부분(B)을 확대한 덮개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 중에 나타내는 박스 부분(A)을 확대한 덮개 부착 용기의 단면도에 있어서,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이 저하했을 때의 지수 패킹의 변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덮개 부착 용기의 변형예로서, 도 2 중에 나타내는 박스 부분(A)을 확대한 덮개 부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덮개 부착 용기의 변형예로서, 도 5 중에 나타내는 박스 부분(B)을 확대한 덮개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덮개 부착 용기의 변형예로서, 제1 통기용 오목부에 대해서 제2 통기용 오목부가 90°둘레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때의 덮개체의 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 부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덮개 부착 용기의 용기 본체에 대해서 덮개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 중에 나타내는 박스 부분(C)을 확대한 덮개 부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덮개체의 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지수 패킹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 중에 나타내는 박스 부분(D)을 확대한 지수 패킹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6 중에 나타내는 박스 부분(D)을 확대한 지수 패킹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3 중에 나타내는 박스 부분(C)을 확대한 덮개 부착 용기의 단면도에 있어서,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이 저하했을 때의 지수 패킹의 변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ainer with a li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body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of a container with a cover.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with a lid enlarging the box portion A shown in FIG.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stop packing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over body.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ver body.
FIG. 6 is a plan view of the cover body in which the box portion B shown in FIG. 5 is enlarg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body in which the box portion B shown in FIG. 5 is enlarge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with a lid enlarging the box portion A shown in FIG. 2,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eformation state of the water-stop packing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decreases.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with a lid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tainer with a lid shown in FIG. 1, in which the box portion A shown in FIG. 2 is enlarge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d body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tainer with a lid shown in FIG. 1, in which the box portion B shown in FIG. 5 is enlarged.
Fig. 11 is a modification of the container with a lid shown in Fig. 1, and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lid body when the second ventilation recess is in a position where the second ventilation recess is mo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90° with respect to the first ventilation recess.
Figur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ainer with a li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body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of a container with a cover.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with a lid enlarging the box portion C shown in FIG. 13.
Figure 15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ver body.
Figure 16 is a top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exponential packing.
FIG. 17 is a plan view of exponential packing enlarged from the box portion D shown in FIG. 16.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exponential packing enlarged from the box portion D shown in FIG. 16.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with a lid enlarging the box portion C shown in FIG. 13,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eformation state of the water-stop packing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decreases.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도 8에 나타내는 덮개 부착 용기(1A)에 대해 설명한다. First,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dded container 1A shown, for example, in FIGS. 1 to 8 will be described.

또한, 도 1은, 덮개 부착 용기(1A)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덮개 부착 용기(1A)의 용기 본체(2)에 대해서 덮개체(3)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 중에 나타내는 박스 부분(A)을 확대한 덮개 부착 용기(1A)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덮개체(3)의 내측에 지수 패킹(4)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덮개체(3)의 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 중에 나타내는 박스 부분(B)을 확대한 덮개체(3)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 중에 나타내는 박스 부분(B)을 확대한 덮개체(3)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 중에 나타내는 박스 부분(A)을 확대한 덮개 부착 용기(1A)의 단면도에 있어서,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저하했을 때의 지수 패킹(4)의 변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1A of containers with a li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body 3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2 of the container 1A with a li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1A with a lid enlarging the box portion A shown in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stop packing 4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over body 3.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ver body 3. FIG. 6 is a plan view of the cover body 3 in which the box portion B shown in FIG. 5 is enlarg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body 3 in which the box portion B shown in FIG. 5 is enlarge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with a lid 1A enlarging the box portion A shown in FIG. 2, illustrating the deformation state of the water-stop packing 4 when the pressure within the container body 2 decreases. This is a drawing for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부착 용기(1A)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부(2a)가 개구된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의 상단 개구부(2b)를 개폐하는 덮개체(3)와, 용기 본체(2)와 덮개체(3)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4)을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container with a cover 1A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ontainer body 2 with an open upper end 2a, and a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opening 2b of the container body 2. It is provided with a lid body (3) and a water-stop packing (4) that seals between the container body (2) and the lid body (3).

용기 본체(2)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대략 원형 모양의 저부(2c)와, 저부(2c)의 외주로부터 원통 모양으로 기립한 몸통부(2d)와, 몸통부(2d)의 상부측에 있어서 구배가 마련된 대략 원통 모양의 구경부(口頸部)(2e)를 가지고 있다. 또한, 구경부(2e)의 상단부는, 용기 본체(2)의 상단부(2a)로서, 원형 모양으로 개구된 상단 개구부(2b)를 형성하고 있다. The container body 2 is made of, for example, a heat-resistant resin such as polypropylene (PP),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bottom portion 2c, and a body portion 2d that stands in a cylindrical shap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portion 2c. An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2d, there is a generally cylindrical aperture portion 2e provided with a gradient. Additionally,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portion 2e is the upper end 2a of the container body 2, and forms an upper opening 2b opened in a circular shape.

덮개체(3)는,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둘레벽부(3a)와, 둘레벽부(3a)의 상부를 폐색하는 천벽부(3b)를 가지고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5, the cover body 3 is made of a heat-resistant resin such as polypropylene (PP), and includes a peripheral wall portion 3a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 peripheral wall portion 3a. It has a ceiling wall portion 3b that blocks the upper part of the.

덮개체(3)는, 용기 본체(2)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를 위해, 구경부(2e)(용기 본체(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5)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구경부(2e)(용기 본체(2))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둘레벽부(3a)(덮개체(3))의 내주면에는, 수나사부(5)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6)가 마련되어 있다. The cover body 3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2 by screwing. For this purpose, a male thread portion 5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uth portion 2e (container main body 2). On the other han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3a (cover body 3) fac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2e (container main body 2), a female threaded portion 6 that is screwed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5 is provided. It is provided.

또한, 둘레벽부(3a)(덮개체(3))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가 되는 복수의 돌기부(7)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둘레벽부(3a)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늘어서 마련되어 있다. In addi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3a (cover body 3), a plurality of non-slip protrusions 7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3a. .

지수 패킹(4)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대략 원형 링 모양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지수 패킹(4)은, 덮개체(3)의 내측에 감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The water stop packing 4 is made of a heat-resistant, approximately circular ring-shaped elastic member made of, for example, silicone rubber. The water stop packing (4)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over body (3) by fitting.

이를 위해, 덮개체(3)는, 둘레벽부(3a)의 내주면과 대향하면서, 천벽부(3b)의 하면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서 원형 링 모양으로 돌출된 리브벽(8)과, 둘레벽부(3a)와 리브벽(8)과의 사이에 원형 링 모양으로 형성된 홈부(9)를 가지고 있다. For this purpose, the cover body 3 includes a rib wall 8 that face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3a and protrudes in a circular ring shap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wall portion 3b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and a peripheral wall portion 3a. It has a groove 9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between ) and the rib wall 8.

한편, 지수 패킹(4)은, 홈부(9)에 감합되는 제1 탄성부(4a)와, 제1 탄성부(4a)의 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신장(伸長)하여, 리브벽(8)이 감합되는 감합 오목부(10)가 마련된 제2 탄성부(4b)와, 제1 탄성부(4a)와 대향하면서, 제2 탄성부(4b)의 외주면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탄성 플랜지부(4c)와, 감합 오목부(10)를 사이에 두고 제1 탄성부(4a)와는 반대측(내주측)에 위치하는 제3 탄성부(4d)를 가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stop packing 4 has a first elastic portion 4a fitted into the groove 9, extends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4a, and is fitted with a rib wall 8. a second elastic portion 4b provided with a fitting concave portion 10, and an elastic flange portion 4c opposing the first elastic portion 4a and protruding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elastic portion 4b. ) and a third elastic portion 4d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inner peripheral side) from the first elastic portion 4a across the fitting concave portion 10.

지수 패킹(4)은, 덮개체(3)로부터 분리하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3)와는 별개로 세정할 수 있어, 이 지수 패킹(4)과 덮개체(3)와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수 패킹(4)에는, 덮개체(3)의 내측으로부터 분리하기 쉽게 하기 위한 노브(11)가 제3 탄성부(4d)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By removing the water-stop packing (4) from the cover body (3), it can be cleaned separately from the cover body (3), thereby maintaining the space between the water-stop packing (4) and the cover body (3) hygienically. It is possible. Additionally, the water stop packing 4 is provided with a knob 11 that protrudes inward from the third elastic portion 4d for easy removal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body 3.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부착 용기(1A)에서는, 용기 본체(2)의 구경부(2e)에 덮개체(3)가 장착된 상태, 즉, 용기 본체(2)의 상단 개구부(2b)를 덮개체(3)가 폐색한 상태에 있어서, 지수 패킹(4)의 제1 탄성부(4a)가 탄성 변형하면서, 덮개체(3)의 홈부(9)의 저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함과 아울러, 지수 패킹(4)의 탄성 플랜지부(4c)가 탄성 변형하면서, 용기 본체(2)의 상단부(2a)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하는 것에 의해서, 용기 본체(2)와 덮개체(3)와의 사이를 지수 패킹(4)에 의해 밀폐하고 있다. In the container with a lid 1A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d 3 is mounted on the opening portion 2e of the container body 2, that is, the upper opening 2b of the container body 2 is closed to the lid body. In the state where (3) is closed, the first elastic portion (4a) of the water stop packing (4) elastically deforms, adheres closely to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9) of the cover body (3), and The elastic flange portion 4c of the packing 4 is elastically deformed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2a of the container body 2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thereby creating a gap between the container body 2 and the cover body 3. It is sealed with water-stop packing (4).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부착 용기(1A)에 있어서, 덮개체(3)는, 도 3,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부(9)의 저면의 일부를 지름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한 제1 통기용 오목부(12)와, 제1 통기용 오목부(12)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는 위치에, 리브벽(8)의 일부를 상하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한 제2 통기용 오목부(13)를 가지고 있다. However, in the lidded container 1A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d body 3 has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9 concave along the radi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3, 6, and 7. A first ventilation recess 12 and a second ventilation recess in which a part of the rib wall 8 is recess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first ventilation recess 1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has a concave portion (13).

제1 통기용 오목부(12)는, 제2 통기용 오목부(13)보다도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통기용 오목부(13)는, 제1 통기용 오목부(12)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는 위치에 있어서, 제1 통기용 오목부(12)와 연속해서 마련되어 있다. 즉, 이 제2 통기용 오목부(13)는, 리브벽(8)의 선단(하단)으로부터 기단(基端)(상단)에 걸쳐서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The first ventilation recess 12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second ventilation recess 13. Additionally, the second recessed portion 13 for ventilation is provided continuously with the recessed portion 12 for ventilation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recessed portion 12 for ventilation 1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t is, this second ventilation recess 13 is provided concavely from the tip (lower end) of the rib wall 8 to the base end (upper end).

제1 통기용 오목부(12) 및 제2 통기용 오목부(13)는, 각각 둘레 방향의 복수 개소(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통기용 오목부(12) 및 제2 통기용 오목부(13)는, 홈부(9)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늘어놓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통기용 오목부(12) 및 제2 통기용 오목부(13)는, 홈부(9)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1개소 이상 마련한 구성으로 하면 된다. The first recess 12 for ventilation and the second recess 13 for ventilation are each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wo location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ecessed portion for ventilation 12 and the second recessed portion for ventilation 13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roove portion 9. On the other hand, the first ventilation recess 12 and the second ventilation recess 13 may be provided at at least one loc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roove 9.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부착 용기(1A)에서는,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상승했을 때에, 덮개체(3)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 상태가 된다. In the container with a lid 1A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2 increases, the lid 3 is pushed upward.

이것에 의해, 덮개체(3)의 홈부(9)와 밀착하고 있던 제1 탄성부(4a)(지수 패킹(4))의 일부가 홈부(9)로부터 이간(離間)함으로써, 제1 통기용 오목부(12), 제2 통기용 오목부(13) 및 감합 오목부(10)의 일부를 통해서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외부로 개방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외부와 동일한 압력(대기압)이 된다. As a result, a part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4a (water-stop packing 4) that wa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portion 9 of the cover body 3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portion 9, thereby allowing the first ventilation. Since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2 is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cess 12, the second ventilation recess 13, and a part of the fitting recess 10,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2 is connected to the outside. It becomes the same pressure (atmospheric pressure).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부착 용기(1A)에서는,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상승했을(양압(陽壓)이 되었을) 경우에, 그 영향을 받지 않고, 용기 본체(2)와 덮개체(3)와의 사이에서 수나사부(5)와 암나사부(6)와의 나사 결합을 해제하여, 덮개체(3)를 용기 본체(2)로부터 용이하고 안전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ntainer 1A with a cover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2 increases (becomes a positive pressure), the container body 2 and the lid body are not affected by this. By releasing the screw connection between the male screw portion 5 and the female screw portion 6 with (3),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afely separate the cover body 3 from the container body 2.

또한,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양압이 되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용기 본체(2)의 내부에 고온의 내용물을 넣었을 때나, 용기 본체(2) 내의 내용물이 부패하여 가스가 발생했을 때 등을 들 수 있다. Additionally, in cases where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2 increases (becomes a positive pressure), for example, when high-temperature contents are placed inside the container body 2, or whe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body 2 rot and gas When occurs, etc.

한편,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부착 용기(1A)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저하했을 때에, 제1 탄성부(4a), 제2 탄성부(4b) 및 제3 탄성부(4d)(지수 패킹(4))의 일부가 탄성 변형하면서, 용기 본체(2)측으로 밀려 내려간 상태가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ainer with a lid 1A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when the pressure within the container body 2 decreases, the first elastic portion 4a, the second elastic portion 4b, and the second elastic portion 4a 3 A part of the elastic portion 4d (water stop packing 4) is elastically deformed and is pushed down toward the container body 2.

이것에 의해, 제1 통기용 오목부(12), 제2 통기용 오목부(13) 및 감합 오목부(10)의 일부를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용기 본체(2)의 내부로 도입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외부와 동일한 압력(대기압)이 된다. As a result,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2 through a portion of the first ventilation recess 12, the second ventilation recess 13, and the fitting recess 10.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2 becomes the same pressure as the outside (atmospheric pressure).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부착 용기(1A)에서는,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저하했을(부압이 되었을) 경우에, 그 영향을 받지 않고, 용기 본체(2)와 덮개체(3)와의 사이에서 수나사부(5)와 암나사부(6)와의 나사 결합을 해제하여, 덮개체(3)를 용기 본체(2)로부터 용이하고 안전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ntainer with a lid 1A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2 decreases (becomes a negative pressure), the container body 2 and the lid body 3 are not affected by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afely separate the cover body 3 from the container body 2 by releasing the screw connection between the male thread portion 5 and the female thread portion 6 therebetween.

또한,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저하하는(부압이 되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용기 본체(2)의 내부에 고온의 내용물을 넣은 후에, 그 내용물이 식었을 때 등을 들 수 있다. Additionally, examples of cases where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2 decreases (becomes negative pressure) include, for example, when high-temperature contents are placed inside the container body 2 and then the contents cool down. .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부착 용기(1A)에서는, 저비용이고 간편한 구조를 가지면서, 용기 본체(2) 내의 압력 변화에 대해서 덮개체(3)를 용기 본체(2)로부터 용이하고 안전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tainer with a lid 1A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d 3 is easily and safely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2 in response to pressure changes within the container body 2, while having a low cost and simple structure. It is possible.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부착 용기(1A)에 대해서는, 상술한 구성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통기용 오목부(12)와 제2 통기용 오목부(13)가 불연속으로 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In addition, the lidded container 1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first ventilation recess 12 and the second The configuration may be such that the ventilation concave portion 13 is discontinuous.

즉, 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제2 통기용 오목부(13)는, 리브벽(8)의 선단(하단)으로부터 상방의 중도부에 걸쳐서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통기용 오목부(13)는, 제1 통기용 오목부(12)와는 이간하고 있다. That is, the second ventilation concave portion 13 shown in FIGS. 9 and 10 is provided concavely from the tip (lower end) of the rib wall 8 to the upper middle portion. As a result, the second ventilation recess 13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ntilation recess 12.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부착 용기(1A)에서는, 제1 통기용 오목부(12)와 제2 통기용 오목부(13)가 둘레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가 아니라,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일방이 90도 둘레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어도 된다. In addition, in the lidded container 1A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ventilation recess 12 and the second ventilation recess 13 are not positioned at the overlapping posi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ut are shown, for example, in Fig. 11. As shown, either side may be in a position that has moved 9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상승했을(양압이 되었을) 경우나,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저하했을(부압이 되었을) 경우에, 그 영향을 받지 않고, 용기 본체(2)와 덮개체(3)와의 사이에서 수나사부(5)와 암나사부(6)와의 나사 결합을 해제하여, 덮개체(3)를 용기 본체(2)로부터 용이하고 안전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Even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2 increases (becomes positive pressure) or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2 decreases (becomes negative pressure), it is not affected and the container body ( By releasing the screw connection between the male screw portion 5 and the female screw portion 6 between 2) and the cover body 3,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afely separate the cover body 3 from the container body 2.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2~도 19에 나타내는 덮개 부착 용기(1B)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dded container 1B shown, for example, in FIGS. 12 to 19 will be described.

또한, 도 12는, 덮개 부착 용기(1B)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덮개 부착 용기(1B)의 용기 본체(2)에 대해서 덮개체(3)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 중에 나타내는 박스 부분(C)을 확대한 덮개 부착 용기(1B)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덮개체(3)의 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지수 패킹(4)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 중에 나타내는 박스 부분(D)을 확대한 지수 패킹(4)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6 중에 나타내는 박스 부분(D)을 확대한 지수 패킹(4)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3 중에 나타내는 박스 부분(C)을 확대한 덮개 부착 용기(1B)의 단면도에 있어서,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이 저하했을 때의 지수 패킹(4)의 변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덮개 부착 용기(1A)와 동등한 부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Additionally,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iner 1B with a li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body 3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2 of the container 1B with a lid.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1B with a lid enlarging the box portion C shown in FIG. 13. Fig. 15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ver body 3. Fig. 16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xponential packing 4. FIG. 17 is a plan view of the water stop packing 4 in which the box portion D shown in FIG. 16 is enlarged.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top packing 4 in which the box portion D shown in FIG. 16 is enlarged.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with a lid 1B enlarging the box portion C shown in FIG. 13,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eformation state of the water-stop packing 4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decreases. .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for parts equivalent to those of the lid-equipped container 1A,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assigned to them in the drawings.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부착 용기(1B)는, 상기 덮개 부착 용기(1A)의 구성 중, 덮개체(3)측에 마련된 제1 통기용 오목부(12) 및 제2 통기용 오목부(13)를 지수 패킹(4)측에 마련한 구성이다. The container with a lid (1B)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recess for ventilation 12 and a recess for second ventilation 13 provided on the cover body 3 side among the structures of the container with a cover 1A. This is a configuration provided on the index packing (4) side.

구체적으로, 이 덮개 부착 용기(1B)에 있어서, 덮개체(3)는, 도 12~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통기용 오목부(12) 및 제2 통기용 오목부(13)가 생략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Specifically, in this container 1B with a lid, the lid body 3 has a first ventilation recess 12 and a second ventilation recess 13, as shown in FIGS. 12 to 19. It has an omitted structure.

한편, 지수 패킹(4)은, 제1 탄성부(4a)에 있어서의 홈부(9)의 저면과 대향하는 면(상면)의 일부를 지름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한 제1 통기용 오목부(14)와, 제1 통기용 오목부(14)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는 위치에, 제2 탄성부(4b)에 있어서의 리브벽(8)과 대향하는 면(감합 오목부(10)의 외주면)의 일부를 상하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한 제2 통기용 오목부(15)를 가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stop packing 4 has a first ventilation concave portion 14 in which a part of the surface (upper surface) oppos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9 in the first elastic portion 4a is concave along the radial direction. ) and the surfac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tting concave portion 10) facing the rib wall 8 in the second elastic portion 4b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ventilation concave portion 14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has a second ventilation concave portion 15 in which a portion of it is concav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제1 통기용 오목부(14)는, 제2 통기용 오목부(15)보다도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통기용 오목부(15)는, 제1 통기용 오목부(14)와 둘레 방향에서 중첩되는 위치에 있어서, 제1 통기용 오목부(14)와 연속해서 마련되어 있다. The first ventilation recess 14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second ventilation recess 15. Additionally, the second recessed portion 15 for ventilation is provided continuously with the recessed portion 14 for ventilation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recessed portion 14 for ventil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1 통기용 오목부(14) 및 제2 통기용 오목부(15)는, 각각 둘레 방향의 복수 개소(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통기용 오목부(14) 및 제2 통기용 오목부(15)는, 지수 패킹(4)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늘어놓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통기용 오목부(14) 및 제2 통기용 오목부(15)는, 지수 패킹(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1개소 이상 마련한 구성으로 하면 된다. The first recess 14 for ventilation and the second recess 15 for ventilation are each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wo location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ventilation recess 14 and the second ventilation recess 15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ater stop packing 4. On the other hand, the first ventilation recess 14 and the second ventilation recess 15 may be provided at at least one loc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ater stop packing 4.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부착 용기(1B)에서는,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상승했을 때에, 덮개체(3)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 상태가 된다. In the container with a lid 1B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2 increases, the lid 3 is pushed upward.

이것에 의해, 덮개체(3)의 홈부(9)와 밀착하고 있던 제1 탄성부(4a)(지수 패킹(4))의 일부가 홈부(9)로부터 이간함으로써, 제1 통기용 오목부(12), 제2 통기용 오목부(13) 및 감합 오목부(10)의 일부를 통해서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외부로 개방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외부와 동일한 압력(대기압)이 된다. As a result, a part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4a (water stop packing 4) that wa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portion 9 of the cover body 3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portion 9, thereby causing the first ventilation concave portion ( 12), Since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2 is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a part of the second ventilation concave portion 13 and the fitting concave portion 10,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2 is the same as the outside pressure ( atmospheric pressure).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부착 용기(1B)에서는,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상승했을(양압이 되었을) 경우에, 그 영향을 받지 않고, 용기 본체(2)와 덮개체(3)와의 사이에서 수나사부(5)와 암나사부(6)와의 나사 결합을 해제하여, 덮개체(3)를 용기 본체(2)로부터 용이하고 안전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ntainer with a lid 1B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2 increases (becomes a positive pressure), the container body 2 and the lid body 3 are not affected by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afely separate the cover body 3 from the container body 2 by releasing the screw connection between the male thread portion 5 and the female thread portion 6 therebetween.

한편,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부착 용기(1B)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저하했을 때에, 제1 탄성부(4a), 제2 탄성부(4b) 및 제3 탄성부(4d)(지수 패킹(4))의 일부가 탄성 변형하면서, 용기 본체(2)측으로 밀려 내려간 상태가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ainer 1B with a lid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9,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2 decreases, the first elastic portion 4a, the second elastic portion 4b, and the second elastic portion 4a 3 A part of the elastic portion 4d (water stop packing 4) is elastically deformed and is pushed down toward the container body 2.

이것에 의해, 제1 통기용 오목부(14), 제2 통기용 오목부(15) 및 감합 오목부(10)의 일부를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용기 본체(2)의 내부로 도입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외부와 동일한 압력(대기압)이 된다. As a result,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2 through a portion of the first ventilation recess 14, the second ventilation recess 15, and the fitting recess 10.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2 becomes the same pressure as the outside (atmospheric pressure).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부착 용기(1B)에서는,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저하했을(부압이 되었을) 경우에, 그 영향을 받지 않고, 용기 본체(2)와 덮개체(3)와의 사이에서 수나사부(5)와 암나사부(6)와의 나사 결합을 해제하여, 덮개체(3)를 용기 본체(2)로부터 용이하고 안전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ntainer with a lid 1B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2 decreases (becomes a negative pressure), the container body 2 and the lid body 3 are not affected by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afely separate the cover body 3 from the container body 2 by releasing the screw connection between the male thread portion 5 and the female thread portion 6 therebetween.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부착 용기(1B)에서는, 저비용이고 간편한 구조를 가지면서, 용기 본체(2) 내의 압력 변화에 대해서 덮개체(3)를 용기 본체(2)로부터 용이하고 안전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tainer 1B with a lid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d body 3 is easily and safely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2 in response to pressure changes within the container body 2, while having a low cost and simple structure. It is possible.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부착 용기(1B)에 대해서는, 상술한 구성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통기용 오목부(14)와 제2 통기용 오목부(15)가 불연속으로 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In addition, the lidded container 1B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for example, as in the case shown in FIGS. 9 and 10, the first ventilation recess 14 and the second ventilation concave portion 15 may be discontinuous.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부착 용기(1B)에서는, 제1 통기용 오목부(14)와 제2 통기용 오목부(15)가 둘레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가 아니라, 예를 들면 상기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일방이 90도 둘레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어도 된다. In addition, in the container 1B with a lid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ventilation recess 14 and the second ventilation recess 15 are not positioned in a circumferentially overlapping position, for example in FIG. 11 above. As shown, either side may be in a position moved 9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상승했을(양압이 되었을) 경우나,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저하했을(부압이 되었을) 경우에, 그 영향을 받지 않고, 용기 본체(2)와 덮개체(3)와의 사이에서 수나사부(5)와 암나사부(6)와의 나사 결합을 해제하여, 덮개체(3)를 용기 본체(2)로부터 용이하고 안전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Even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2 increases (becomes positive pressure) or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2 decreases (becomes negative pressure), it is not affected and the container body ( By releasing the screw connection between the male screw portion 5 and the female screw portion 6 between 2) and the cover body 3,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afely separate the cover body 3 from the container body 2.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덮개 부착 용기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이즈나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에 의해서 보냉(또는 보온) 기능을 갖게 한 덮개 부착 용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the external shape of the container with a li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to suit the size, design, etc.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a container with a lid having a cold insulating (or warm insulating) function by the container body having a vacuum insulation structure.

1A, 1B…덮개 부착 용기 2…용기 본체
3…덮개체 3a…둘레벽부
3b…천벽부 4…지수 패킹
4a…제1 탄성부 4b…제2 탄성부
4c…탄성 플랜지부 4d…제3 탄성부
5…수나사부 6…암나사부
7…돌기부 8…리브벽
9…홈부 10…감합 오목부
11…노브 12…제1 통기용 오목부
13…제2 통기용 오목부 14…제1 통기용 오목부
15…제2 통기용 오목부
1A, 1B… Container with cover 2… container body
3… Cover body 3a... perimeter wall
3b… Ceiling wall part 4… exponential packing
4a… First elastic portion 4b… 2nd elastic part
4c… Elastic flange part 4d… 3rd elastic part
5… Male thread 6… Female thread part
7… Protrusion 8… rib wall
9… Home Department 10… Fitting recess
11… Knob 12… First ventilation recess
13… Second ventilation recess 14... First ventilation recess
15… Second ventilation concave portion

Claims (9)

상단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 개구부를 폐색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하면서,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체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둘레벽부와, 상기 둘레벽부의 상부를 폐색하는 천벽부와, 상기 둘레벽부의 내주면과 대향하면서, 상기 천벽부의 하면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리브벽과, 상기 둘레벽부와 상기 리브벽과의 사이에 형성된 홈부와, 상기 홈부의 저면의 일부를 지름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한 제1 통기용 오목부와, 상기 리브벽의 일부를 상하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한 제2 통기용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지수 패킹은, 상기 홈부에 감합되는 제1 탄성부와, 상기 리브벽이 감합되는 감합 오목부가 마련된 제2 탄성부를 가지고, 상기 덮개체의 내측에 감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부착 용기.
A container body with an open upper part,
A cover body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by screwing and opens and closes an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When the lid body closes the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it is provided with a water-stop packing that adheres closely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entire circumference, and seals the space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body,
The lid body has a peripheral wall portion fac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 top wall portion that closes the upper part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and a rib that face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and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wall portion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A wall, a groove formed between the peripheral wall and the rib wall, a first ventilation concave port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is recess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and a portion of the rib wall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Having a second concave ventilation concave portion,
The water stop packing has a first elastic portion that fits into the groove portion and a second elastic portion provided with a fitting concave portion into which the rib wall fits, and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over body by fitting. A container with a lid.
상단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 개구부를 폐색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하면서,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체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둘레벽부와, 상기 둘레벽부의 상부를 폐색하는 천벽부와, 상기 둘레벽부의 내주면과 대향하면서, 상기 천벽부의 하면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리브벽과, 상기 둘레벽부와 상기 리브벽과의 사이에 형성된 홈부를 가지고,
상기 지수 패킹은, 상기 홈부에 감합되는 제1 탄성부와, 상기 리브벽이 감합되는 감합 오목부가 마련된 제2 탄성부와, 상기 제1 탄성부에 있어서의 상기 홈부의 저면과 대향하는 면의 일부를 지름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한 제1 통기용 오목부와, 상기 제2 탄성부에 있어서의 상기 리브벽과 대향하는 면의 일부를 상하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한 제2 통기용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덮개체의 내측에 감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부착 용기.
A container body with an open upper part,
A cover body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by screwing and opens and closes an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When the lid body closes the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it is provided with a water-stop packing that adheres closely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entire circumference, and seals the space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body,
The lid body has a peripheral wall portion fac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 top wall portion that closes the upper part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and a rib that face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and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wall portion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It has a wall and a groove formed between the peripheral wall portion and the rib wall,
The water stop packing includes a first elastic portion that fits into the groove portion, a second elastic portion provided with a fitting concave portion into which the rib wall fits, and a portion of a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that faces the bottom of the groove portion. It has a first ventilation concave portion concave along the radial direction, and a second ventilator concave portion in which a part of a surface of the second elastic portion opposing the rib wall is concav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 container with a li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lid body by fitting.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이 상승 또는 저하했을 때에, 상기 지수 패킹의 일부가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제1 통기용 오목부, 상기 제2 통기용 오목부 및 상기 감합 오목부의 일부를 통해서 외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가 통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부착 용기.
In claim 1 or claim 2,
When the pressure within the container body increases or decreases, a part of the water stop packing elastically deforms, and the outside and the container body through a portion of the first ventilation recess, the second ventilation recess, and the fitting recess. A container with a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ior is ventilate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통기용 오목부는, 상기 제1 통기용 오목부와 둘레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부착 용기.
In claim 1 or claim 2,
A container with a lid, wherein the second ventilation recess is provided at a position that overlaps the first ventilation reces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기용 오목부와 상기 제2 통기용 오목부가 연속해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부착 용기.
In claim 1 or claim 2,
A container with a li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venting recess and the second venting recess are provided in succession.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수 패킹은, 상기 감합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탄성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 탄성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부착 용기.
In claim 1 or claim 2,
A container with a lid, wherein the water-stop packing has a third elastic portion located on an opposite side to the first elastic portion with the fitting concave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기용 오목부 및 상기 제2 통기용 오목부는, 각각 둘레 방향의 복수 개소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부착 용기.
In claim 1 or claim 2,
A container with a lid, wherein the first recess for ventilation and the second recess for ventilation are each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기용 오목부는, 상기 제2 통기용 오목부보다도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부착 용기.
In claim 1 or claim 2,
A container with a lid, wherein the first ventilation recess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second ventilation recess.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둘레벽부의 내주면에 마련된 암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둘레벽부와 대향하는 외주면에 마련된 수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암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서 상기 덮개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부착 용기.
In claim 1 or claim 2,
The cover body has a female thread portion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The container body has a male thread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facing the peripheral wall portion,
A container with a lid, wherein the cover body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by screwing the female thread portion and the male thread portion.
KR1020220165392A 2022-05-24 2022-12-01 Lid-equipped container KR2023016391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84752 2022-05-24
JPJP-P-2022-084752 2022-05-24
JPJP-P-2022-159724 2022-10-03
JP2022159724A JP2023172837A (en) 2022-05-24 2022-10-03 Container provided with l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916A true KR20230163916A (en) 2023-12-01

Family

ID=86793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5392A KR20230163916A (en) 2022-05-24 2022-12-01 Lid-equipped contain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3916A (en)
CN (1) CN116280682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4717B2 (en) 2012-04-24 2014-05-21 サーモス株式会社 Container with li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4717B2 (en) 2012-04-24 2014-05-21 サーモス株式会社 Container with l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280682A (en)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001538A (en) Cap unit and container with cap
JP5494717B2 (en) Container with lid
US11535433B2 (en) Container closure with venting seal
EP3480130A1 (en) Discharge container
JP5170848B2 (en) Container with lid
KR101508440B1 (en) Container with lid
US9834345B2 (en) Closure for a bottle
TWI671240B (en) Cap structure and container containing cap
JP7020861B2 (en) Container with lid
JP2017197274A (en) Double container having refill container
JP2021143022A (en) Cap unit and container with cap
JP7445794B2 (en) container with lid
KR20230163916A (en) Lid-equipped container
JP5424249B2 (en) Pressure regulating container
JP2023172837A (en) Container provided with lid
JP2007314233A (en) Highly airtight container with lid
JP6629124B2 (en) Discharge container
JP6372032B2 (en) Container with lid
TW202144245A (en) Cover assembly and container with cover wherein the container with a cover has the cover assembly and a container body, and the cover assembly comprises a cover body, a cover, a waterproof gasket, and a cover gasket
JP2018140816A (en) Inner container with cap
KR20180098244A (en) Closed container with inner lid
JP7321616B1 (en) Containers with Lids and Lid Units
JPS6334041U (en)
JP7300964B2 (en) cap
JP6487594B1 (en) Beverage container closure